KR102436988B1 - 임플란트 수복 공간 분석용 측정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수복 공간 분석용 측정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6988B1
KR102436988B1 KR1020207014721A KR20207014721A KR102436988B1 KR 102436988 B1 KR102436988 B1 KR 102436988B1 KR 1020207014721 A KR1020207014721 A KR 1020207014721A KR 20207014721 A KR20207014721 A KR 20207014721A KR 102436988 B1 KR102436988 B1 KR 102436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ing
connecting rod
measurement
analysis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4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7549A (ko
Inventor
하이양 위
자오자오 천
시 천
Original Assignee
시추안 유니버시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추안 유니버시티 filed Critical 시추안 유니버시티
Publication of KR20200077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47Evaluat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1Computer-aided simulation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5Modelling of the patient, e.g. for ligaments or 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8Computer aided selection or customisation of medical implants or cutting gu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obotics (AREA)
  • Rheu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임플란트 수복 공간 분석용 측정 시스템으로, 개구량 및 복수의 치아 결손 간격을 측정하는 제1 측정 어셈블리, 하나의 치아 결손 간격 및 교합거리를 측정하는 제2 측정 어셈블리 및 잇몸 관통 깊이를 측정하는 제3 측정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정 어셈블리, 제2 측정 어셈블리 및 제3 측정 어셈블리는 모두 연결로드와 연결로드의 상단에 설치된 측정 헤드를 포함한다. 임플란트 수복 공간 분석용 측정 방법은 상기 임플란트 수복 공간 분석용 측정 시스템으로 분석을 진행한다. 측정 어셈블리는 구조가 간결하고 사용이 간단하며 측정 데이터가 정확하여, 수복 대상 부위의 특정 공간 특징을 정확하고 빠르게 측정할 수 있으며, 매식체 치수, 식립 위치 또는 상부 보철물의 형상, 구조 등와 같은 관련 파라미터의 설계에 근거를 제공하여, 현재 구강 내 분석 및 모형 공간 분석이 임상 경험에 의존하고 정확하면서도 효율이 높은 측정 수단이 없는 문제를 해결한다.

Description

임플란트 수복 공간 분석용 측정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임플란트 수복 공간 분석 기술 분야에 속하며, 구체적으로 임플란트 수복 공간 분석용 측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는 자연치를 손상시키지 않고, 매우 편안하고, 미관효과가 좋은 등의 장점으로 인해, 치아 결손 환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으며, 또한 오늘날 결손 치아를 수복하는 중요 수단 중 하나이다. 임플란트 기술은 오늘날까지 40여년의 역사를 가진다. 끊임없는 발전과정에서, 임상의와 학자들의 병례 축적과 실험 연구를 통해, 보다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치료 방안과 기술을 점진적으로 찾아내, 임플란트 수술 후의 성공률을 점차 향상시켰다. 현재 가장 일반적인 임플란트는 2부분으로 구성되며, 턱뼈 내에 위치하는 매식체 및 구강 내에 위치하는 상부 보철물을 포함한다. 동시에, 임플란트 수복 이념도 “수술 중심”에서 “수복 중심”으로 전향되었다. 그러나, 임플란트가 임상 치료에 대량 응용됨과 동시에, 관련 합병증도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연구 결과, 임플란트 합병증을 초래하는 원인은 매식체 3차원 위치 불량, 매식체 주변 연조직 두께 불충분 및 보철물 설계 불량 등을 포함한다. 이상의 요인은 주로 수술 전 공간 분석이 불충분한 것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임플란트 합병증 등 위해 사례의 발생을 줄여, 수복을 중심으로 하는 매식체 식립을 더욱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수술 전의 구강 및 모형 공간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필요하다.
현재 대부분 임상의는 모형 분석 및 육안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구강 내 분석을 진행하며, 구강 내 분석은 의사의 경험에 크게 의존하므로, 각도, 시선 등 요소의 영향을 받기 쉬워 오차가 발생하게 되고, 또한 환자 개구량(최대로 입을 벌렸을 때, 상하 중절치 가장자리 사이의 수직 거리) 및 교합거리(상하 치열이 가장 광범위하게 접촉할 때 매식체 상면과 대합치 사이의 수직거리)에 대한 검사를 종종 누락하여, 후속 수복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모형 분석은 먼저 치열에 대해 음형을 제작하고, 음형에 석고를 부어 치열 모형을 제작한 후, 모형의 수복 대상 부위를 측정한다. 치열 모형의 수복 대상 부위 형태가 불규칙적이므로, 직선자로 측정할 경우 작업 난이도가 높고, 작업 과정이 복잡하며 측정 정확성이 떨어져, 측정 후 종종 경험에 의해 데이터를 2차 처리해야 한다.
종합하자면, 현재의 구강 내 분석 및 모형 공간 분석은 임상 경험에 의존하므로, 정확하면서도 효율이 높은 측정 수단, 명확한 측정 방법 및 기준이 없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중국 공개특허공보 제103690260호 (2014.4.2.) 및 미국 특허공보 제6347940호(2002.2.19)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임플란트 수복 공간 분석용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측정 시스템에 사용되는 측정 어셈블리는 구조가 단순하며, 사용이 간편하고, 측정 데이터가 정확하므로, 수복 대상 부위의 특정 공간 특징을 정확하고 빠르게 측정하여, 매식체 치수, 식립 위치 또는 상부 보철물의 형상, 구조 등 관련 파라미터의 설계에 근거를 제공함으로써, 현재 구강 내 분석 및 모형 공간 분석이 임상 경험에 의존하므로, 정확하면서도 효율이 높은 측정 수단이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임플란트 수복 공간 분석용 측정 방법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음 기술방안을 통해 실현된다:
임플란트 수복 공간 분석용 측정 시스템은 개구량 및 복수의 치아 결손 간격을 공간을 측정하는 제1 측정 어셈블리, 하나의 치아 결손 간격과 교합거리를 측정하는 제2 측정 어셈블리 및 잇몸 관통 깊이를 측정하는 제3 측정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정 어셈블리, 제2 측정 어셈블리 및 제3 측정 어셈블리는 모두 연결로드와 연결로드의 상단에 설치된 측정 헤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개선방안으로서, 상기 제1 측정 어셈블리의 측정 헤드는 “凸”자형이며, 제1 사각자 및 제2 사각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각자의 길이는 제2 사각자의 길이보다 크며, 제1 사각자의 하단은 연결로드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단은 제2 사각자의 하단에 연결된다. 제1 사각자의 길이 방향과 제2 사각자의 길이 방향은 연결로드의 방향에 수직이며, 제2 사각자의 상단 정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눈금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방안에서 제1 측정 어셈블리는 일반적인 임플란트 수술 및 디지털 가이드 임플란트 수술에 이용되며, 두 가지 수술의 요구에 따라, 두 사각자의 길이를 미리 설정하여, 직접적인 비교 측정이 용이하도록 한다. 환자가 입을 가장 크게 벌렸을 때, 측정 헤드가 환자의 수복 대상 영역에 수직되게 하여, 제1 사각자 및 제2 사각자를 수직으로 놓아, 제2 사각자의 하단이 환자 수복 대상 영역에 수직으로 접촉하고, 상단이 대합치에 의해 막히지 않으면, 개구 높이가 제2 사각자의 길이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 경우 환자의 임플란트 수술 작업 공간은 일반적인 임플란트 수술의 요구를 만족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임플란트 수술 작업 공간이 부족하여, 환자는 일반적인 임플란트 수술이 적합하지 않으며, 마찬가지로, 제1 사각자의 하단이 환자 수복 대상 영역에 수직으로 접촉하고, 타단이 대합치에 막히지 않으면, 개구 높이가 제1 사각자의 길이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 경우 환자의 임플란트 수술 작업 공간이 디지털 가이드 임플란트 수술의 요구를 만족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환자는 디지털 가이드 임플란트 수술이 적합하지 않다. 제1 측정자를 이용하여 환자의 최대 개구량을 직접 비교 측정하면, 수술 시 작업 공간이 충분한지 여부를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어, 육안 측정에 의한 오판으로 인한 수술 기계의 방해 및 수술 불가와 같은 결과를 피할 수 있다. 본 방안에서의 제1 측정 어셈블리는 복수의 치아가 연달아 빠진 경우의 매식체 개수 및 위치의 확정에 사용될 수도 있으며, 사용 시 작업자는 제1 측정 어셈블리를 손에 쥐고, 눈금이 있는 일면을 위로 하여, 제2 사각자의 측면 가장자리를 자연치의 결손 간격에 가까운 측의 인접면에 근접시켜, 제2 사각자 정면의 눈금으로 향후 매식체의 중심 위치를 비교 측정하며, 복수의 치아가 빠진 치아 결손 간격을 매우 편리하게 비교 측정할 수 있고, 작업자가 매식체의 식립 위치 및 모델을 선택하도록 보조한다. 그밖에, 제1 측정 어셈블리는 동시에 일반적인 임플란트 수술 및 디지털 가이드 임플란트 수술의 개구량 측정 및 복수의 치아가 연달아 빠진 경우의 매식체 개수 및 위치의 확정에 응용될 수 있으며, 하나의 자를 다중으로 사용하여, 여러 개의 공구가 사용되지 않도록 하므로, 휴대 및 수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자원 및 원가를 효과적으로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개선 방안으로서, 상기 제2 측정 어셈블리의 측정 헤드는 제1 측정자 및 제2 측정자를 포함하며, 제2 측정자의 하단은 연결로드의 상단에 연결되고, 제1 측정자와 제2 측정자는 서로 수직되며, 제1 측정자의 일단부는 연결로드의 측면에 연결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2 측정자는 아래에서 위로 차례로 연결된 제1 측정부, 제2 측정부 및 제3 측정부를 포함하며, 제1 측정부, 제2 측정부 및 제3 측정부는 모두 직사각형 판이고 너비는 순차적으로 감소하며, 제1 측정부의 하단은 연결로드의 상단에 연결된다. 제1 측정부, 제2 측정부 및 제3 측정부는 바람직하게는 상하 방향의 높이가 동일하며, 너비는 영구 전구치의 너비, 영구 대구치의 너비에 따라 미리 설정된다. 제2 측정자의 경사 방향은 연결로드의 상단과 방향이 일치하다. 제2 측정자는 하나의 치아가 빠진 경우의 결손 간격 측정에 이용되며, 측정 시, 제2 측정자를 이용하여 수복 대상 영역의 인접한 두 치아의 결손 간격에 가까운 측의 인접면의 가장 돌출된 지점 사이의 거리를 비교 측정하고, 비교 측정으로 통과 가능한 측정부에 의해 임플란트 수복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적합한 보철물을 선택하고, 하나의 치아가 빠진 경우의 치아 결손 간격을 간단하게 직접적으로 분석하여, 육안으로 인한 오류를 해소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1 측정자는 차례로 연결된 제6 측정부, 제4 측정부, 제5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5 측정부는 연결로드와 이격되게 설치되고, 제6 측정부의 제4 측정부와 이격된 일단은 연결로드의 상단 측면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5 측정부 및 제4 측정부는 모두 직사각형 판이며, 제5 측정부의 너비는 제4 측정부보다 작다. 본 방안에서의 제1 측정자는 교합거리의 검사에 이용될 수 있으며, 턱 간 거리의 요구에 따라 제5 측정부 및 제4 측정부 및 제6 측정부의 치수를 미리 설정하고, 측정 시, 작업자는 제2 측정 어셈블리를 손에 쥐고, 환자로 하여금 상하 치아가 가장 광범위하고 가장 긴밀하게 접촉하도록 맞물게 한 다음, 제1 측정자를 이용하여 비교 측정하고, 제4 측정부가 통과할 수 있으면, 이때 턱간 거리가 비교적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상부 보철물은 접착 고정 또는 나사 고정을 선택할 수 있고, 만약 제4 측정부가 통과할 수 없고, 제5 측정부가 통과할 수 있으면, 이때 턱간 거리가 중간임을 의미하며, 나사 고정을 우선 선택하고, 만약 제5 측정부가 통과할 수 없으면, 이때 턱간 거리가 매우 작다는 것을 의미하며, 수복 공간이 너무 적어, 지지대(abutment) 및 보철물을 배치할 수 없어, 임플란트 수복에 적합하지 않다. 본 방안의 제1 측정자를 이용하여 수복 대상 영역의 교합 간격을 통과할 수 있는지 여부를 직접 비교 측정하면, 교합 거리 검사를 간단하면서도 직접적으로 진행할 수 있어, 교합거리가 불충분하여 상부 수복을 완성할 수 없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지지대 고정 방식(나사 고정 또는 접합 고정)의 선택에 정확하고, 신뢰할 만한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개선 방안으로서, 상기 제3 측정 어셈블리의 측정 헤드는 자를 포함하며, 상기 자의 하단은 연결로드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자의 길이 방향은 연결로드의 방향과 동일하며, 상기 자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눈금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방안에서 제3 측정 어셈블리는 임플란트 수복 공간 분석에 이용될 때 모형 분석 또는 환자 구강 내에서 잇몸 관통 깊이를 측정하여, 환자의 최종 모형을 제작한 후, 작업자는 제3 측정 어셈블리를 손에 쥐고 자의 첨단을 매식체의 상부 가장자리에 밀착시켜, 눈금을 이용하여 잇몸 관통 깊이를 측정하고, 그 첨단인 자가 잇몸 속으로 들어가는 깊이에 따라, 지지대의 잇몸 관통 깊이를 확정할 수 있고, 또한 추가적으로 눈금 첨단으로부터 3-4mm(이상적 깊이) 떨어진 곳을 레드 영역으로 표기할 수 있으며, 색상을 통해 잇몸 관통 깊이 및 개성화된 지지대를 제작해야 하는지 여부를 직관적으로 판단하여, 구체적인 눈금을 식별할 필요가 없어, 작업 시간을 더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개선 방안으로, 상기 연결로드는 위에서 아래로 차례로 연결된 상부 연결로드, 중간 연결로드 및 하부 연결로드를 포함하고, 3차원 직각좌표계에서, 하부 연결로드의 하단을 원점0에 배치하고, 하부 연결로드가 y축의 양의 반축에 위치하면, 중간 연결로드(4b2)는 z축의 음의 반축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되므로, 중간 연결로드와 하부 연결로드는 yz 평면상에서 협각(A)을 형성하고, 상부 연결로드의 하단이 중부 연결로드에 연결되며, 상단은 z축의 양의 반축 방향으로 경사져 중간 연결로드와yz 평면상에서 협각(B)를 형성한다. 구강은 공동이고, 치아는 공동 내에 위치하므로, 하부 연결로드를 손에 쥐고 측정자를 구강 안으로 넣으면, 중간 연결로드, 상부 연결로드의 yz평면상에서의 각도(B)는 측정자가 입술을 지나 수복 대상 영역에 직접 도달하는데 유리하다(측정 시, 입술은 중간 연결로드와 상부 연결로드의 협각(B)을 이루는 부분의 오목부 내에 위치하여, 자를 막지 않는다). 그리고, 중간 연결로드와 하부 연결로드의 yz평면상에서 협각(A)를 형성하여, 측정자의 손이 측정자 작업단과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보다 낮은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손 등 수복 대상 영역 이외의 조직이 측정 영역을 막는 것을 방지하므로, 데이터의 정확 수집 및 기록에 유리하며, 협각(A)와 협각(B)의 각도는 120° - 135°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중간 연결로드는 동시에 x축의 양의 반축 또는 음의 반축 방향으로도 경사지므로, 중간 연결로드와 상부 연결로드는 xy평면상에서도 y축과 협각(C)를 형성하고, 상기 협각(C)의 각도는 120° - 180° 미만이다. 즉, 상부 연결로드와 y축 사이는 협각을 형성하고, 이 협각은 60°보다 작다. 구강 깊은 곳에서 수복 대상 영역을 측정할 때, 측정자는 종종 입가에 의해 막히게 되므로, 본 기술방안에서, 중간 연결로드, 상부 연결로드의 xy평면상의 각도는 측정자의 작업단이 입가를 지나 구강 깊은 곳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여, 입가에 의한 막힘을 감소시켜, 데이터의 정확 수집 및 기록에 유리하다.
본 발명은 임플란트 수복 공간 분석용 측정 시스템으로 분석을 진행하는 임플란트 수복 공간 분석용 측정 방법을 더 제공하며, 상기 측정 방법은 구강 내 분석 측정 단계 및/또는 모형 분석 측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강 내 측정 분석 단계는, 작업 공간 측정 단계, 하나의 치아가 빠진 경우의 치아 결손 간격 측정 단계, 복수의 치아가 연달아 빠진 경우의 매식체 개수 및 위치 확정 단계 및 교합거리 검사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술 전 모형 분석 측정 단계는 하나의 치아가 빠진 경우의 치아 결손 간격 측정 단계, 복수의 치아가 연달아 빠진 경우의 매식체 개수 및 위치 확정 단계, 교합거리 검사 단계 및 잇몸 관통 깊이 측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 공간 측정 단계에서는 제1 측정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환자의 최대 개구 높이를 측정하고;
상기 하나의 치아가 빠진 경우의 치아 결손 간격 측정 단계에서는 제2 측정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환자의 수복 대상 영역의 인접한 두 치아의 결손 간격에 가까운 측의 인접면의 돌출된 지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복수의 치아가 연달아 빠진 경우의 매식체 개수 및 위치 확정 단계에서는 제1 측정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결손 간격의 크기를 측정하고 매식체의 중심 위치를 확정하고;
상기 교합거리 검사 단계에서는 제2 측정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환자의 턱간 거리를 측정한다.
본 발명과 종래 기술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 및 유익한 효과를 가진다.
1. 본 발명의 제1 측정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환자의 최대 개구량을 직접 비교 측정하므로, 수술 시 작업 공간이 충분한지 여부를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어, 육안 측정에 의한 오판으로 인한 수술 기계의 방해 및 수술 불가와 같은 결과를 피할 수 있다.
2. 본 발명의 제2 측정 어셈블리의 제1 측정자를 이용하여 수복 대상 영역의 교합 간격을 통과할 수 있는지 여부를 직접 비교 측정하므로, 교합 거리 검사를 간단하면서도 직접적으로 진행할 수 있어, 교합거리가 불충분하여 상부 수복을 완성할 수 없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지지대 고정 방식(나사 고정 또는 접합 고정)의 선택에 정확하고 신뢰할 만한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3. 본 발명의 제2 측정 어셈블리의 제2 측정자를 이용하여 수복 대상 영역의 간격을 통과할 수 있는지 여부를 직접 비교 측정하므로, 하나의 치아가 빠진 경우의 치아 결손 간격 분석을 간단하게 직접 진행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1 측정 어셈블리의 제2 사각자 단부의 눈금을 이용하여 복수의 치아가 빠진 경우의 치아 결손 간격을 비교 측정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매식체의 식립 위치 및 모델을 선택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4. 본 발명의 제3 측정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제3 측정 어셈블리의 첨단이 잇몸 속으로 들어가는 깊이에 따라, 지지대의 잇몸 관통 깊이를 확정할 수 있고, 또한 눈금 첨단으로부터 3-4mm(이상적 깊이) 떨어진 곳을 레드 영역으로 표기할 수 있으며, 색상을 통해 잇몸 관통 깊이 및 개성화된 지지대를 제작해야 하는지 여부를 직관적으로 판단하여, 구체적인 눈금을 식별할 필요가 없어, 작업 시간을 더 단축시킬 수 있다.
종합하자면, 본 발명은 3개의 측정 어셈블리의 특정 형상, 구조의 조합 사용을 통해, 특정 부위의 직접 비교를 이용하여, 일련의 임플란트 수복 공간의 구강 내 분석 및 모형을 분석을 실현한다. 육안 측정 또는 일반 직선자에 비해, 측정이 더욱 간단하고, 정확하며, 수복 대상 부위의 공간 특징을 더욱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어, 매식체 치수, 식립 위치 및 상부 보철물의 형상, 구조 등 파라미터의 설계에 근거를 제공한다.
여기서 설명하는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추가적인 이해를 제공하고, 본 출원의 일부분을 구성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한정을 구성하지는 않는다.
도 1은 연결로드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제1 측정 어셈블리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3은 제2 측정 어셈블리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4는 제3 측정 어셈블리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5는 실시예3의 제1 측정 어셈블리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6은 실시예3의 제2 측정 어셈블리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7은 실시예2의 xz평면에서의 상부 연결로드, 중간 연결로드의 투영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방안 및 장점이 더욱 명확하도록, 이하 실시예 및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에 대해 추가적으로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형태 및 그 설명은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이해해야 할 점은, 용어 “전”, “후”, “좌”, “우”, “위”, “아래”, “수직”, “수평”, “높음”, “낮음”, “내부”, “외부” 등이 가리키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에 도시된 것에 기반한 방위 또는 위치 관계이며, 본 발명을 쉽고 간단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상기 용어들이 가리키는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한 방위를 가지고, 특정 방위로 구성 및 작동되는 것을 지시 또는 암시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실시예1]
임플란트 수복 공간 분석용 측정 시스템은, 개구량 및 복수의 치아 결손 간격을 측정하는 제1 측정 어셈블리, 하나의 치아 결손 간격 및 교합거리를 측정하는 제2 측정 어셈블리 및 잇몸 관통 깊이를 측정하는 제3 측정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측정 어셈블리, 제2 측정 어셈블리 및 제3 측정 어셈블리는 모두 독립된 연결로드 및 연결로드의 상단에 설치된 측정 헤드를 포함한다. 즉, 각 측정 어셈블리는 모두 하나의 연결로드 및 하나의 측정 헤드를 가지며, 3개의 측정 어셈블리의 측정 헤드는 다르며, 연결로드는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3개의 측정 어셈블리의 연결로드의 형상은 모두 동일하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로드(4)는 만곡된 긴 로드이며, 연결로드 본체(4b), 연결 원기둥(4a) 및 육각체(4c)를 포함하고, 상기 육각체(4c)는 육각기둥이며, 그 상단면, 하단면, 횡단면은 모두 정육각형이며, 육각체(4c)의 상단면은 연결로드 본체(4b)의 하단에 연결되고, 육각체(4c)의 하단면은 연결 원기둥(4a)의 상단에 연결되며, 연결 원기둥(4a)의 축향은 수직 방향이다.
연결로드 본체(4b)는 위에서 아래로 차례로 연결된 상부 연결로드(4b3), 중간 연결로드(4b2) 및 하부 연결로드(4b1)를 포함하고, 하부 연결로드(4b1)는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부 연결로드(4b3)와 중간 연결로드(4b2)는 모두 일정 정도로 경사지며, 3차원 직각좌표계에서, 하부 연결로드(4b1)의 하단을 원점0에 배치하고, 하부 연결로드(4b1)가 y축의 양의 반축에 위치하면, 상부 연결로드(4b3)와 중간 연결로드(4b2)의 위치는 중간 연결로드(4b2)가 z축의 음의 반축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므로, 중간 연결로드(4b2)와 하부 연결로드(4b1)는 yz평면상에 협각(A)를 형성하고, 상부 연결로드(4b3)의 하단이 중부 연결로드(4b2)에 연결되며, 상단은 z축의 양의 반축 방향으로 경사져 중간 연결로드(4b2)와 협각(B)를 형성한다. 협각(A)와 협각(B)의 각도범위는 120°-135°이다.
X축의 양의 반축 방향을 앞쪽, 음의 반축 방향을 뒤쪽, y축의 양의 반축 방향을 위쪽, 음의 반축 방향을 아래쪽, z축의 음의 반축 방향을 왼쪽, 양의 반축 방향은 오른쪽으로 하면, 중간 연결로드(4b2)는 하부 연결로드(4b1)의 왼쪽을 향해 경사지므로, 중간 연결로드(4b2)와 협각(A)를 형성하고, 상부 연결로드(4b3)의 상단은 그 하단에 대해 오른쪽으로 경사져 중간 연결로드(4b2)와 협각(B)를 형성한다. 하부 연결로드(4b1)의 하단은 육각체(4c)의 상단면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연결로드(4b3), 중간 연결로드(4b2) 및 하부 연결로드(4b1)의 횡단면은 모두 정사각형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측정 어셈블리의 측정 헤드는 “凸”자형이며, 제1 사각자(1a) 및 제2 사각자(1b)를 포함하고, 제1 사각자(1a)의 하단은 제1 측정 어셈블리의 연결로드(4)의 상부 연결로드(4b3)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단은 제2 사각자(1b)의 하단에 연결되어, “凸”자형 구조를 형성한다. 제1 사각자(1a)의 길이 방향과 제2 사각자(1b)의 길이 방향은 상부 연결로드(4b3)의 연신 방향에 수직된다.
상기 제1 사각자(1a)의 길이(L2)는 제2 사각자(1b)의 길이(L1)보다 크며, 두께 및 너비는 모두 제2 사각자(1b)와 같고, 제1 사각자(1a)의 정면과 제2 사각자(1b)의 정면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며, 제1 사각자(1a)의 후면과 제2 사각자(1b)의 후면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므로, 제1 사각자(1a)와 제2 사각자(1b)는 전체적으로 모두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며, 실질적으로, 제1 사각자(1a)와 제2 사각자(1b)는 두께가 균일한 일체로 일체 성형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측정 어셈블리의 측정 헤드는 제1 측정자(2a) 및 제2 측정자(2b)를 포함하며, 제1 측정자(2a)와 제2 측정자(2b)는 서로 수직되며, 제2 측정자(2b)의 하단은 제2 측정 어셈블리의 연결로드(4)의 상부 연결로드(4b3)의 상단에 연결되고 장착 방향은 상부 연결로드(4b3)의 장착 방향과 일치하다. 즉, 제2 측정자(2b)와 중간 연결로드(4b2) 사이의 협각은 협각(B)의 각도와 같고, 제1 측정자(2a)의 일단부는 상부 연결로드(4b3)의 중간 연결로드(4b2)와 이격된 측면상에 연결되어 중간 연결로드(4b2)의 경사 방향을 향하며, 즉 제1 측정자(2a)는 상부 연결로드(4b3)의 좌측면에 위치하고, 제1 측정자(2a)의 우측은 상부 연결로드(4b3)의 좌측에 연결된다.
상기 제2 측정자(2b)는 아래에서 위로 차례로 연결된 제1 측정부(2b1), 제2 측정부(2b2) 및 제3 측정부(2b3)를 포함하며, 제1 측정부(2b1), 제2 측정부(2b2) 및 제3 측정부(2b3)는 모두 직사각형 판이고 너비는 순차적으로 감소하며, 제1 측정부(2b1)의 하단은 연결로드(4)의 상단에 연결된다.
상기 제1 측정자(2a)는 차례로 연결된 제6 측정부(2a1), 제4 측정부(2a2), 제5 측정부(2a3)를 포함하고, 상기 제5 측정부(2a3)는 연결로드(4)와 이격되게 설치되고, 제6 측정부(2a1)의 제4 측정부(2a2)와 이격된 일단(우측단)은 상부 연결로드(4b3)의 좌측면에 연결된다.
상기 제5 측정부(2a3)와 제4 측정부(2a2)는 모두 직사각형 판이며, 제5 측정부(2a3)의 너비는 제4 측정부(2a2)보다 작고, 상기 제6 측정부(2a1)는 등변 사다리꼴 판이며, 그 긴 변은 제4 측정부(2a2)에 연결되고, 짧은 변은 상부 연결로드(4b3)의 좌측면에 연결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3 측정 어셈블리의 측정 헤드는 자(3a)를 포함하고, 자(3a)의 하단은 연결로드(4)의 상부 연결로드(4b3)의 상단에 연결되고, 자(3a)의 길이 방향은 상부 연결로드(4b3)의 방향과 동일하며, 모두 x축의 음의 반축 방향으로 경사지고, 동시에 자(3a)와 상부 연결로드(4b3)의 방향은 동일하며, 실질적으로, 자(3a)는 상부 연결로드(4b3)로부터 그 길이방향을 따라 연신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단지 너비 치수가 더 작고, 상기 자(3a)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눈금이 설치된다.
[실시예2]
실시예1을 토대로, 본 실시예는 연결로드(4)를 추가로 개선하였다.
상기 중간 연결로드(4b2)가 z축의 음의 반축 방향으로 경사질 경우, 동시에 x축의 음의 반축 방향, 즉 뒤로 경사지므로, 중간 연결로드(4b2)와 하부 연결로드(4b1)는 xy평면상에서 협각(C)을 형성하고, 상기 협각(C)의 각도는 120° - 180° 미만이다. 즉 중간 연결로드(4b2)와 y축의 양의 반축의 각도는 60°보다 작다. 다시 말하면, 중간 연결로드(4b2)는 또한 뒤로 경사지며, 경사 각도는 60° 이내이다.
상부 연결로드(4b3), 중간 연결로드(4b2)의 xy평면상에서의 투영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고, 그 중 5는 xz평면상에서의 중간 연결로드(4b2)의 투영이며, 6은 xz평면상에서의 상부 연결로드(4b3)의 투영이다.
기타 실시예에서, 중간 연결로드(4b2)가 z축의 음의 반축 방향으로 경사질 경우, x축의 양의 반축 방향, 즉 뒤로 경사질 수도 있으므로, 각도는 본 실시예와 동일하다.
[실시예3]
본 실시예는 실시예1을 추가 개선한 것으로, 실시예1의 임플란트 수복 공간 분석용 측정 시스템을 위해 구체적인 치수를 제공한다.
(1) 연결로드
본 실시예에서, 제1 측정 어셈블리, 제2 측정 어셈블리 및 제3 측정 어셈블리의 연결로드의 구조 및 치수는 완전히 동일하다. 기타 실시예에서, 사용 필요에 따라 그 중 1개 이상의 측정 어셈블리의 연결로드 치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로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로드(4)의 하단은 길이가5mm이고, 직경이 3mm인 연결 원기둥(4a)이며, 연결 원기둥(4a)과 연결로드 본체(4b) 사이의 연결 부분은 높이가 2mm이고, 변의 길이가 2mm인 육각체(4c)이며, 연결로드 본체(4b)는 만곡된 긴 로드이며, 그 횡단면은 변의 길이가 3mm인 정사각형이고, 연결로드 본체(4b)는 3부분으로 구분되어 'S'자를 이루며, 3부분은 각각 상부 연결로드(4b3), 중간 연결로드(4b2) 및 하부 연결로드(4b1)이다.
하부 연결로드(4b1)는 연결 원기둥(4a)의 장축 방향을 따라 위로 형성(즉 수직으로 장착)되며, 하부 연결로드(4b1)의 좌측 가장자리의 길이(x1)는 11mm이고, 우측 가장자리의 길이(x2)는 12mm이며, 중간 연결로드(4b2)는 좌측으로 편향 형성되어, 하부 연결로드(41b)과 135º의 협각을 형성(즉 협각(A)은 135°)하며, 중간 연결로드(4b2)의 좌측 가장자리의 길이(x3)는 11mm이고, 우측 가장자리의 길이(x4)는 10mm이다. 상부 연결로드(4b3)는 우측으로 편향 형성되어, 중간 연결로드(42b)와 120º의 협각을 형성(즉 협각(B)은 120°)하며, 중간 연결로드(4b3)의 좌측 가장자리의 길이(x5)는 6mm이고, 우측 가장자리의 길이(x6)는 4mm이다.
(2) 제1 측정 어셈블리의 측정 헤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측정 헤드는 “凸”자형 자이며, 제2 사각자(1b)의 길이(L1)은 33mm이고, 너비(W1)은 7mm이며, 두께(Z1)는 3mm이고, 정면은 길이 방향(즉, L1의 방향)을 따라 mm 단위로 눈금이 표시되어 있고, 도 5에서 “凸”자형 자가 나타내는 면이 정면(즉 평면α가 정면)이며, 제1 사각자(1a)의 길이(L2)는 43mm이고, 너비(W2)은 7mm이며, 두께(Z2)는 3mm이다. 측면에서 보면, 제1 사각자(1a), 제2 사각자(1b)와 연결로드(4)의 상부 연결로드(4b3)는 동일 평면상에 있다.
(3) 제2 측정 어셈블리의 측정 헤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측정 어셈블리의 측정 헤드는 “凸”자형과 유사한 2개의 자(제1 측정자(2a), 제2 측정자(2b)이며, 양자는 연결로드(4)의 상부 연결로드(4b3)에 연결된다.
위에서 보면, 제1 측정자(2a)의 제6 측정부(2a1)는 등변 역사다리꼴이며, 긴 변의 길이는 7mm이고, 짧은 변의 길이는 3mm이며, 측 변의 길이는 3.6mm이고, 제5 측정부(2a3)는 직사각형이며, 긴 변의 길이는 5mm이고, 짧은 변의 길이는 4mm이며, 제4 측정부(2a2)는 직사각형이며, 긴 변의 길이(y4)는 7mm이고, 짧은 변의 길이(y5)는 4mm이다. 실제 응용에서, 제6 측정부(2a1)는 본 실시예의 형상 및 치수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으며, 치수의 크기가 제4 측정부(2a2)의 측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사다리꼴, 직사각형 또는 기타 형상도 모두 가능하다.
도 3 시각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서 보면, 제2측정자(2b)의 제2 측정부(2b2)는 직사각형이며, 긴 변의 길이(y2)는 7mm이고, 짧은 변의 길이는 4mm이며, 제1 측정부(2b1)는 직사각형이며, 긴 변의 길이(y1)는 10mm이고, 짧은 변의 길이(y8)는 4mm이며, 제3 측정부(2b3)는 직사각형이며, 긴 변의 길이(y3)는 5mm이고, 짧은 변의 길이는 4mm이다.
상기 제5 측정부(2a3), 제4 측정부(2a2), 제1 측정부(2b1), 제2 측정부(2b2), 제1 측정부(2b1)의 긴 변의 길이는 각 측정부에 대응되는 너비며, 짧은 변의 길이는 각 측정부에 대응되는 높이이다.
상기 제1 측정2(2a)와 제2 측정자(2b)의 두께(y6)는 모두 2mm이다.
실제 제조에서, 제6 측정부(2a1), 제4 측정부(2a2), 제5 측정부(2a3)는 두께가 균일한 일체로 일체 성형될 수 있다. 제1 측정부(2b1), 제2 측정부(2b2)와 제3 측정부(2b3)도 두께가 균일한 일체로 일체 성형될 수 있다.
(4) 제3 측정 어셈블리의 측정 헤드
제3 측정 어셈블리의 측정 헤드 상단의 자(3a)는 “1”자형 자이며, 정면에서 보면, 자(3a)의 길이는 15mm이고, 너비는 2mm이며, 두께는 1mm이다.
본 실시예의 임플란트 수복 공간 분석용 측정 시스템에서, 제1 측정 어셈블리는 임플란트 수복 공간 분석 시 개구량 및 복수의 치아 결손 간격의 측정에 사용될 수 있고, 제2 측정 어셈블리는 임플란트 수복 공간 분석 시 하나의 치아 결손 간격 및 교합거리의 측정에 사용될 수 있으며, 제3 측정 어셈블리는 임플란트 수복 공간 분석 시 잇몸 관통 깊이의 측정에 사용될 수 있다. 3개의 측정자의 기능 및 사용 형태 및 파라미터는 하기 표에 나타낸 바와 같다:
Figure 112020051819280-pct00001
상기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임플란트 수복 공간을 분석하기 위해 측정을 진행할 경우, 상기 측정방법은 구강 내 분석 측정 단계 및/또는 모형 분석 측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강 내 측정 분석 단계는, 작업 공간 측정 단계, 하나의 치아가 빠진 경우의 치아 결손 간격 측정 단계, 복수의 치아가 연달아 빠진 경우의 매식체 개수 및 위치 확정 단계 및 교합거리 검사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술 전 모형 분석 측정 단계는 하나의 치아가 빠진 경우의 치아 결손 간격 측정 단계, 복수의 치아가 연달아 빠진 경우의 매식체 개수 및 위치 확정 단계, 교합거리 검사 단계 및 잇몸 관통 깊이 측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 공간 측정 단계에서는 제1 측정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환자의 최대 개구 높이를 측정하고;
상기 하나의 치아가 빠진 경우의 치아 결손 간격 측정 단계에서는 제2 측정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환자의 수복 대상 영역의 인접한 두 치아의 결손 간격에 가까운 측의 인접면의 돌출된 지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복수의 치아가 연달아 빠진 경우의 매식체 개수 및 위치 확정 단계에서는 제1 측정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결손 간격의 크기를 측정하고 매식체의 중심 위치를 확정하고;
상기 교합거리 검사 단계에서는 제2 측정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환자의 턱간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잇몸 관통 깊이 측정 단계에서는 제3 측정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잇몸 관통 깊이를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3개의 측정 어셈블리의 사용, 측정 및 임플란트 수복 공간 설계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수술 전 구강 내 분석
(1.1) 임플란트 수술 작업 공간의 측정
일반적인 임플란트 수술: 작업자는 제1 측정 어셈블리를 손에 쥐고, 눈금이 있는 일면이 앞을 향하게 하고, 환자로 하여금 입을 최대로 벌리게 하며, 제1 측정 어셈블리를 환자 수복 대상 영역에 수직되게 하여, 환자의 최대 개구 높이를 비교 측정한다. 환자가 입을 최대로 벌렸을 때, 제1 측정 어셈블리의 제2 사각자(1b)의 일단이 환자의 수복 대상 영역에 수직으로 접촉하고, 타단이 대합치에 의해 막히지 않으면, 개구 높이가 33mm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 경우 환자의 임플란트 수술 작업 공간은 일반적인 임플란트 수술의 요구를 만족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임에 의해 막히지 않으면, 개구 높이가 43mm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 경우 환자의 임플란트 수술 작업 공간은 디지털 가이드 임플란트 수술의 요구를 만족시키며, 그렇지 않으면, 환자는 디지털 가이드 임플란트 수술이 적합하지 않다.
(1.2) 하나의 치아가 빠진 경우의 치아 결손 간격 측정: 제2 측정 어셈블리의 제2 측정자(2b)는 3개의 너비로 구분되며, 각각 하부에 위치하는 제1 측정부(2b1)의 100mm, 중간부에 위치하는 제2 측정부(2b2)의 7mm, 상부에 위치하는 제3 측정부(2b3)의 5mm이다. 작업자는 제2 측정 어셈블리를 손에 쥐고, 환자로 하여금 입을 최대로 벌리게 하고, 제2 측정자(2b)를 이용하여 수복 대상 영역의 인접한 두 치아의 결손 간격에 가까운 측의 인접면의 돌출된 지점 사이의 거리를 비교 측정하고, 만약 그 하부의 제2 측정부(2b1)가 통과할 수 있으면, 치아 결손 간격의 너비가 영구 대구치의 평균 너비(10mm) 이상임을 의미하고, 대직경(4.5mm 초과) 매식체를 우선 선택할 수 있으며, 하부의 제1 측정부(2b1)가 통과할 수 없고 중간의 제2 측정부(2b2)가 통과할 수 있으면, 치아 결손 간격의 너비가 7mm-10mm의 영구 전구치 너비임을 의미하고, 표준직경(3.5~4.5mm) 매식체를 우선 선택할 수 있으며, 만약 중간의 제2 측정부(2b2)가 통과할 수 없고 상부의 제3 측정부(2b3)가 통과할 수 있으면, 치아 결손 간격의 너비가 5mm~7mm의 영구 아래 앞니의 폭임을 의미하고, 소직경(3.5mm 이하) 매식체를 우선 선택할 수 있으며, 만약 상부의 제2 측정부(2b3)가 통과할 수 없으면, 치아 결손 간격이 5mm 미만으로 좁다는 것을 의미하고, 임플란트 수복에 적합하지 않지 않다.
(1.3) 복수의 치아가 연달아 빠진 경우의 매식체 개수 및 위치 확정: 작업자는 제1 측정 어셈블리를 손에 쥐고, 눈금이 있는 일면이 위를 향하게 하고, 제2 사각자(1b)의 측면 가장자리를 자연치의 결손 간격에 가까운 측의 인접면에 근접시켜, 제2 사각자 정면(1b)의 눈금으로 향후 매식체의 중심 위치를 비교 측정한다. 참고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매식체 중심과 자연치의 결손 간격에 가까운 측의 인접면 사이의 이상적 거리는 D=R(매식체 반경)+2mm이며, 매식체 중심과 자연치의 결손 간격에 가까운 측의 인접면 사이의 최소 거리는 d=R+1.5mm이며, 두 가지 매식체의 중심 사이의 최소 거리는 d12=R1+R2+3mm이다.
(1.4) 교합 거리 검사: 제2 측정 어셈블리의 제1 측정자(2a)는 2개의 너비로 나뉘며, 각각 중간에 위치하는 제4 측정부(2a2)의 7mm와 단부에 위치하는 제5 측정부(2a3)의 5mm이다. 작업자는 제2 측정 어셈블리를 손에 쥐고, 환자로 하여금 상하 치아가 가장 광범위하고 가장 긴밀하게 접촉하도록 맞물게 한 다음, 제1 측정자(2a)를 이용하여 비교 측정하고, 중간부의 제4 측정부(2a2)가 통과할 수 있으면, 이때의 턱간 거리가 7mm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상부 보철물은 접합 고정 또는 나사 고정을 선택할 수 있고, 만약 중간부의 제4 측정부(2a2)가 통과할 수 없고, 단부의 제5 측정부(2a3)가 통과할 수 있으면, 턱간 거리는 5mm보다 크고 7mm보다 작음을 의미하며, 나사 고정을 우선 선택할 수 있고, 만약 단부의 제5 측정부(2a3)가 통과할 수 없으면, 이때의 턱간 거리는 5mm 미만임을 의미하며, 수복 공간이 너무 적어, 지지대 및 보철물을 배치할 수 없어, 임플란트 수복에 적합하지 않다.
2) 수술 전 모형 분석
(2.1) 하나의 치아가 빠진 경우의 치아 결손 간격 측정: 환자 연구 모형을 제작한 후, 제2 측정자(2b)를 이용하여 모형 수복 대상 영역의 인접한 두 치아의 결손 간격에 가까운 측의 인접면의 가장 돌출된 지점 사이 거리를 비교 측정하고, 만약 하부의 제1 측정부(2b1)가 통과할 수 있으면, 치아 결손 간격의 너비가 영구 대구치의 평균 너비(10mm) 이상임을 의미하고, 대직경(4.5mm 초과) 매식체를 우선 선택할 수 있으며, 만약 하부의 제1 측정부(2b1)가 통과할 수 없고 중간부의 제2 측정부(2b2)가 통과할 수 있으면, 치아 결손 간격의 너비가 7mm-10mm의 영구 전구치의 너비임을 의미하고, 표준직경(3.5~4.5mm) 매식체를 우선 선택할 수 있으며, 만약 중간부의 제2 측정부(2b2)가 통과할 수 없고 상부의 제3 측정부(2b3)가 통과할 수 있으면, 치아 결손 간격의 너비가 5mm-7mm의 영구 아래 앞니의 너비임을 의미하고, 소직경(3.5mm 이하) 매식체를 선택할 수 있으며, 만약 상부의 제3 측정부(2b3)가 통과할 수 없으면, 치아 결손 간격이 5mm 미만으로 좁다는 것을 의미하고, 임플란트 수복에 적합하지 않다.
(2.2) 복수의 치아가 연달아 빠진 경우의 매식체 개수 및 위치 확정: 환자의 연구 모형을 제작한 후, 모형에서 (1.3)단계를 반복한다.
(2.3) 교합거리 검사: 환자 연구 모형을 제작한 후, 상하 치아가 가장 광범위하고 가장 긴밀하게 접촉하도록 상하턱 모형을 맞물게 하고, 작업자는 제2 측정 어셈블리를 손에 쥐고 제1 측정자(2a)를 이용하여 비교 측정하며, 만약 중간부의 제4 측정부(2a2)가 통과할 수 있으면, 이때의 턱간 거리는 7mm보다 큼을 의미하고, 상부 보철물은 접합 고정 또는 나사 고정을 선택할 수 있으며, 만약 중간부의 제4 측정부(2a2)가 통과할 수 없고 단부의 제5 측정부(2b3)가 통과할 수 있으면, 턱간 거리가 5mm보다 크고 7mm보다 작음을 의미하고, 나사 고정을 우선 선택하며, 단부의 제5 측정부(2a3)이 통과할 수 없으면, 이때의 턱간 거리는 5mm 미만임을 의미하고, 수복 공간이 너무 적어, 지지대 및 보철물을 배치할 수 없어, 임플란트 수복에 적합하지 않다.
3) 상부의 수복 전 구강 내 분석
(3.1) 교합거리 검사: 환자의 임플란트 수복 모형 본뜨기 전, 단계(1.4)를 반복한다.
(3.2) 잇몸 관통 깊이 측정: 환자의 임플란트 수복 모형 본뜨기 전, 작업자는 제3 측정 어셈블리를 손에 쥐고, 자(3a)의 첨단을 매식체의 상부 가장자리에 밀착시키고, 자는 수평면과 수직되며, 눈금을 이용하여 잇몸 관통 깊이를 측정한다. 해당 수치는 지지대를 선택하는 잇몸 관통 깊이에 대응되며, 만약 측정된 깊이가 레드 영역 이내이면, 완성품 지지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만약 측정된 깊이가 레드 영역을 초과하면 개성화된 지지대를 제작해야 한다.
4) 상부 수복 전 모형 분석
(4.1) 잇몸 관통 깊이 측정: 환자의 최종 모형을 제작하고, 작업자는 제3 측정 어셈블리를 손에 쥐고, 자(3a)의 첨단을 매식체의 상부 가장자리에 밀착시키고, 눈금을 이용하여 잇몸 관통 깊이를 측정한다. 해당 수치는 지지대를 선택하는 잇몸 관통 깊이에 대응되며, 만약 측정된 깊이가 레드 영역 이내이면, 완성품 지지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만약 측정된 깊이가 레드 영역을 초과하면 개성화된 지지대를 제작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측정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환자의 최대 개구량을 직접 비교 측정하므로, 수술 시 작업 공간이 충분한지 여부를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어, 육안 측정에 의한 오판으로 인한 수술 기계의 방해 및 수술 불가와 같은 결과를 피할 수 있다.
제2 측정 어셈블리의 제1 측정자(2a)를 이용하여 수복 대상 영역의 교합 간격을 통과할 수 있는지 여부를 직접 비교 측정하므로, 교합 거리 검사를 간단하면서도 직접적으로 진행할 수 있어, 교합거리가 불충분하여 상부 수복을 완성할 수 없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지지대 고정 방식(나사 고정 또는 접합 고정)의 선택에 정확하고, 신뢰할 만한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측정 어셈블리의 제2 측정자(2b)를 이용하여 수복 대상 영역의 간격을 통과할 수 있는지 여부를 직접 비교 측정하므로, 하나의 치아가 빠진 경우의 치아 결손 간격 분석을 간단하게 직접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제1 측정 어셈블리의 제2 사각자(1b) 단부의 눈금을 이용하여 복수의 치아가 빠진 경우의 치아 결손 간격을 비교 측정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매식체의 식립 위치 및 모델을 선택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제3 측정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제3 측정 어셈블리의 첨단이 잇몸 속으로 들어가는 깊이에 따라, 지지대의 잇몸 관통 깊이를 확정할 수 있고, 또한 눈금 첨단으로부터 3-4mm(이상적 깊이) 떨어진 곳을 레드 영역으로 표기할 수 있으며, 색상을 통해 잇몸 관통 깊이 및 개성화된 지지대를 제작해야 하는지 여부를 직관적으로 판단하여, 구체적인 눈금을 식별할 필요가 없어, 작업 시간을 더 단축시킬 수 있다.
종합하자면, 본 발명의 측정 시스템은 특정 형상, 구조 및 조합 사용되는 어셈블리를 통해, 특정 부위의 직접 비교를 이용하여, 일련의 임플란트 수복 공간의 구강 내 분석 및 모형 분석을 실현한다. 육안 측정 또는 일반 직선자에 비해, 측정이 더욱 간단하고, 정확하며, 수복 대상 부위의 공간 특징을 더욱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어, 매식체 치수, 식립 위치 및 상부 보철물의 형상, 구조 등 파라미터의 설계에 근거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수술 전 및 수복 전의 공간 분석, 수술 설계 방법을 추가로 제공하며, 내용이 전면적이고 상세하여, 임상 경험이 부족한 의사를 위해 과학적이고 믿을 만한 수술 방안을 제공하여, 임플란트 성공률을 높이는데 유리하다.
이상의 구체적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목적, 기술방안 및 유익한 효과를 추가적으로 자세히 설명한 것이며, 이해해야 할 점은, 이상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정신 및 원칙 내에서 진행하는 수정, 등가 변형, 개선 등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1a-제1 사각자
1b-제2 사각자
2a-제1 측정자
2b-제2 측정자
2a1-제6 측정부
2a2-제4 측정부
2a3-제5 측정부
2b1-제1 측정부
2b2-제2 측정부
2b3-제3 측정부
3a-자
4-연결로드
4a-연결 원기둥
4b-연결로드 본체
4b1-하부 연결로드
4b2-중간 연결로드
4b3-상부 연결로드
4c-육각체
5-xz평면상의 중간 연결로드의 투영
6-xz평면상의 상부 연결로드의 투영

Claims (10)

  1. 개구량 및 복수의 치아 결손 간격을 측정하는 제1 측정 어셈블리, 하나의 치아 결손 간격 및 교합거리를 측정하는 제2 측정 어셈블리 및 잇몸 관통 깊이를 측정하는 제3 측정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정 어셈블리, 제2 측정 어셈블리 및 제3 측정 어셈블리는 모두 연결로드와 연결로드의 상단에 설치된 측정 헤드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수복 공간 분석용 측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정 어셈블리의 측정 헤드는 “凸”자형이며, 제1 사각자 및 제2 사각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각자의 길이는 제2 사각자의 길이보다 크며,
    제1 사각자의 하단은 연결로드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단은 제2 사각자의 하단에 연결되는
    임플란트 수복 공간 분석용 측정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정 어셈블리의 측정 헤드는 제1 측정자 및 제2 측정자를 포함하며,
    제2 측정자의 하단은 연결로드의 상단에 연결되고,
    제1 측정자와 제2 측정자는 서로 수직되며, 제1 측정자(2a)의 일단부는 연결로드의 측면에 연결되는
    임플란트 수복 공간 분석용 측정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정자는 아래에서 위로 차례로 연결된 제1 측정부, 제2 측정부 및 제3 측정부를 포함하며,
    제1 측정부, 제2 측정부 및 제3 측정부는 모두 직사각형 판이고 너비는 순차적으로 감소하며, 제1 측정부의 하단은 연결로드의 상단에 연결되는
    임플란트 수복 공간 분석용 측정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정자는 차례로 연결된 제6 측정부, 제4 측정부, 제5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5 측정부는 연결로드와 이격되게 설치되고,
    제6 측정부의 제4 측정부와 이격된 일단은 연결로드의 상단 측면에 연결되는
    임플란트 수복 공간 분석용 측정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측정부와 제4 측정부는 모두 직사각형 판이며,
    제5 측정부의 너비는 제4 측정부보다 작은
    임플란트 수복 공간 분석용 측정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측정 어셈블리의 측정 헤드는 자를 포함하고,
    상기 자의 하단은 연결로드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자의 길이방향은 연결로드의 방향과 동일하며, 상기 자는 길이방향을 따라 눈금이 설치되어 있는
    임플란트 수복 공간 분석용 측정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로드는 위에서 아래로 차례로 연결된 상부 연결로드, 중간 연결로드 및 하부 연결로드를 포함하고,
    3차원 직각좌표계에서 하부 연결로드의 하단을 원점0에 배치하고 하부 연결로드가 y축의 양의 반축에 위치하면, 중간 연결로드는 z축의 음의 반축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되어 중간 연결로드와 하부 연결로드는 yz 평면상에서 협각A를 형성하고,
    상부 연결로드의 하단이 하부 연결로드에 연결되고 상단은 z축의 양의 반축 방향으로 경사져 중간 연결로드(4b2)와 협각B를 형성하는
    임플란트 수복 공간 분석용 측정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연결로드는 동시에 X축의 양의 반축 또는 음의 반축 방향으로도 경사져, 중간 연결로드와 하부 연결로드가 xy평면상에서도 협각C를 형성하고,
    상기 협각C의 각도는 120°내지 180°미만인
    임플란트 수복 공간 분석용 측정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임플란트 수복 공간 분석용 측정 시스템으로 분석을 진행하는 임플란트 수복 공간 분석용 측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측정 방법은 구강 내 분석 측정 단계 및/또는 모형 분석 측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강 내 측정 분석은 작업 공간 측정 단계, 하나의 치아가 빠진 경우의 치아 결손 간격 측정 단계, 복수의 치아가 연달아 빠진 경우의 매식체 개수 및 위치 확정 단계 및 교합거리 검사 단계를 포함하고,
    수술 전 모형 분석 측정 단계는 하나의 치아가 빠진 경우의 치아 결손 간격 측정 단계, 복수의 치아가 연달아 빠진 경우의 매식체 개수 및 위치 확정 단계, 교합거리 검사 단계 및 잇몸 관통 깊이 측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 공간 측정 단계에서는 제1 측정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환자의 최대 개구 높이를 측정하고;
    상기 하나의 치아가 빠진 경우의 치아 결손 간격 측정 단계에서는 제2 측정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환자의 수복 대상 영역의 인접한 두 치아의 결손 간격에 가까운 측의 인접면의 돌출된 지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복수의 치아가 연달아 빠진 경우의 매식체 개수 및 위치 확정 단계에서는 제1 측정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결손 간격의 크기를 측정하고 매식체의 중심 위치를 확정하고;
    상기 교합거리 검사 단계에서는 제2 측정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환자의 턱간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잇몸 관통 깊이 측정 단계에서, 제3 측정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잇몸 관통 깊이를 측정하는, 임플란트 수복 공간 분석용 측정 방법.
KR1020207014721A 2017-11-02 2018-03-27 임플란트 수복 공간 분석용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1024369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1062017.X 2017-11-02
CN201711062017.XA CN107647929B (zh) 2017-11-02 2017-11-02 用于口腔种植修复空间分析的测量系统及方法
PCT/CN2018/080642 WO2019085380A1 (zh) 2017-11-02 2018-03-27 用于口腔种植修复空间分析的测量系统及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549A KR20200077549A (ko) 2020-06-30
KR102436988B1 true KR102436988B1 (ko) 2022-08-25

Family

ID=61096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4721A KR102436988B1 (ko) 2017-11-02 2018-03-27 임플란트 수복 공간 분석용 측정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672634B2 (ko)
KR (1) KR102436988B1 (ko)
CN (1) CN107647929B (ko)
DE (1) DE112018005085T5 (ko)
WO (1) WO20190853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8640949U (zh) * 2017-11-02 2019-03-26 四川大学 用于开口度和/或连续缺牙间隙测量的测量装置
CN208640948U (zh) 2017-11-02 2019-03-26 四川大学 用于咬合距离和/或缺牙空间大小测量的测量装置
CN107647929B (zh) * 2017-11-02 2019-05-14 四川大学 用于口腔种植修复空间分析的测量系统及方法
CN109431640B (zh) * 2018-12-13 2024-01-26 四川大学 一种口腔间隙专用测量尺
CN109925085B (zh) * 2019-04-25 2024-02-20 四川大学 一种口腔种植垂直间隙测量组件
CN110507444B (zh) * 2019-09-25 2020-09-22 四川大学 用于测量两颗牙邻接面距离的测量装置
CN112451150B (zh) * 2020-12-02 2021-09-10 遂宁市中心医院 一种口腔科多功能工具及其使用方法
CN214908451U (zh) * 2021-03-29 2021-11-30 四川大学 一种具有轴向核查功能的种植套环
KR102477778B1 (ko) * 2021-04-30 2022-12-1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 시술용 게이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7940B1 (en) 2000-08-22 2002-02-19 Antonio Jose Gordils Wallis Instrument and process for the minimum distance verification between two teeth for the placement of one or two bone integrated cylindrical or screwed type implants in dentistry
CN103690260B (zh) 2013-11-27 2015-07-22 浙江大学 牙种植辅助诊断工具
CN206463069U (zh) 2016-10-13 2017-09-05 四川大学 一种口腔种植修复空间分析用折叠测量尺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72074C (de) * 1929-02-21 Hans Geys Dr Massstab fuer zahnaerztliche Zwecke, insbesondere zum Messen der Hoehe von Kronenringen
US1783654A (en) * 1927-10-10 1930-12-02 William A Kelsey Dental instrument
US1800714A (en) * 1928-09-27 1931-04-14 Dentists Supply Co Interalveolar angle finder
USD294470S (en) * 1985-05-20 1988-03-01 Jordan David J Clearance gauge
JPH0620469B2 (ja) * 1986-01-29 1994-03-23 而至陶歯工業株式会社 人工臼歯撰択用測定具
US5044951A (en) * 1989-05-30 1991-09-03 Sheridan John J Dental space and periodontal cavity measuring instrument
US4959014A (en) * 1989-05-30 1990-09-25 Sheridan John J Dental space measuring instrument
US4997368A (en) * 1990-03-12 1991-03-05 Mayer Norman M Oral measuring device
US5361506A (en) * 1991-12-19 1994-11-08 Therabite Corporation Jaw opening measurement device
US5423677A (en) * 1993-11-04 1995-06-13 Brattesani; Steven J. Periodontal probe tip and method for using
CZ290140B6 (cs) * 1996-04-10 2002-06-12 Curaden Ag Souprava pro určení aproximativní průchodnosti mezizubního prostoru a sonda pro takovou soupravu
DE20105192U1 (de) * 2001-03-26 2001-06-21 Uppenkamp Andreas Messvorrichtung für die Erfassung des Zahnkronenreliefs
US6413086B1 (en) * 2001-08-30 2002-07-02 William R. Womack Interproximal gauge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width of a gap between adjacent teeth
US20030044751A1 (en) * 2001-09-04 2003-03-06 Deslauriers Richard J. Radiographic bitewing
US20050130102A1 (en) * 2003-11-17 2005-06-16 Matthew James Pring Periodontal scaling instruments
US7163396B2 (en) * 2004-02-27 2007-01-16 Innovative Implant Technology, Llc Instrument and process for the minimum distance verification between two teeth for the placement of one or two bone integrated cylindrical or screwed type implants in density
US7163395B2 (en) * 2004-05-26 2007-01-16 Chu Stephen J Dental measurement instruments
US7874838B2 (en) * 2005-02-28 2011-01-25 Innovative Implant Technology, Llc Instrument and process for the minimum distance verification between teeth for the placement of one or two bone integrated dental implants
US8007278B2 (en) * 2005-08-04 2011-08-30 John Chao Periodontal surgery operation methods and instruments
EP1922018A4 (en) * 2005-08-19 2008-10-01 Yoo-Jin Chung DISTANCE MEASURING APPARATUS FOR DENTAL IMPLANT INSERTION
DE102007002622B4 (de) * 2006-03-07 2011-06-22 Zipplies, Robert, Dr., 83064 Vorrichtung für Messungen zu oral-implantologischen Zwecken sowie für eine mechanisch navigierte Bohrerführung
GB2439926A (en) * 2006-07-06 2008-01-16 Timothy Patrick O'brien Dental gauge
US7833013B2 (en) * 2006-12-13 2010-11-16 Diers Nelson R Device, method and kit for determining orthodontic dimensions
US20090042165A1 (en) * 2007-02-23 2009-02-12 Tom Garrison Dental instrument
KR20080082813A (ko) * 2007-03-09 2008-09-12 임두만 본 게이지
KR100860762B1 (ko) * 2007-05-28 2008-09-29 윤인한 임플란트 식립위치 유도기
US20110151406A1 (en) * 2009-12-17 2011-06-23 Mildred Solano Dental articulating paper forceps
KR101265819B1 (ko) * 2011-09-28 2013-05-20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임플란트 시술용 포인트 드릴 보조구
DE102011055723A1 (de) * 2011-11-25 2013-05-29 Stefan Neumeyer Messlehre sowie Perimplantärkit oder -System
US9072574B2 (en) * 2013-07-18 2015-07-07 Mike E. CALDERÓN Periosteal elevator and implant spacing instrument
USD739529S1 (en) * 2013-08-30 2015-09-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asuring tool for dental
KR101501954B1 (ko) * 2013-09-16 2015-03-12 (주)이비아이 치주 수술용 견인기
CN203763286U (zh) * 2014-04-12 2014-08-13 宁波大学 牙齿种植体辅助诊断工具
USD782044S1 (en) * 2015-12-16 2017-03-21 Global Dental Impression Trays, Inc. Dental esthetic space ruler
US10080637B2 (en) * 2016-04-19 2018-09-25 Elizabeth Mary Bakeman Tooth display measurement device
US10835359B2 (en) * 2016-08-22 2020-11-17 Global Dental Science, LLC Dental measuring instrument
FR3063215B1 (fr) * 2017-02-24 2020-01-17 Franck Bertrand Dispositif de mesure de dimension verticale d'occlusion de dentisterie
US9993321B1 (en) * 2017-05-29 2018-06-12 Juan Fernando Saiz Gauge system for measuring underbite and overbite in ruminants
US20190083207A1 (en) * 2017-09-20 2019-03-21 Global Dental Science, LLC Method for Capturing Patient Information to Produce Digital Models and Fabricate Custom Prosthetic
US10765358B2 (en) * 2017-10-11 2020-09-08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Dental instrument for measuring a degree of tapering of a side wall of a tooth
CN107647929B (zh) * 2017-11-02 2019-05-14 四川大学 用于口腔种植修复空间分析的测量系统及方法
EP3586792B1 (de) * 2018-06-28 2021-05-26 Curaden AG Dentalgerät zum sondieren von zahnzwischenräumen
CN109363788B (zh) * 2018-10-16 2023-05-23 四川大学 一种牙种植植入位点的测量装置及方法
CN109431640B (zh) * 2018-12-13 2024-01-26 四川大学 一种口腔间隙专用测量尺
CN111743654A (zh) * 2019-03-29 2020-10-09 成都橙子思创医疗科技有限公司 无牙颌口腔检查尺
CN110507444B (zh) * 2019-09-25 2020-09-22 四川大学 用于测量两颗牙邻接面距离的测量装置
CN112451150B (zh) * 2020-12-02 2021-09-10 遂宁市中心医院 一种口腔科多功能工具及其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7940B1 (en) 2000-08-22 2002-02-19 Antonio Jose Gordils Wallis Instrument and process for the minimum distance verification between two teeth for the placement of one or two bone integrated cylindrical or screwed type implants in dentistry
CN103690260B (zh) 2013-11-27 2015-07-22 浙江大学 牙种植辅助诊断工具
CN206463069U (zh) 2016-10-13 2017-09-05 四川大学 一种口腔种植修复空间分析用折叠测量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85380A1 (zh) 2019-05-09
CN107647929A (zh) 2018-02-02
US11672634B2 (en) 2023-06-13
KR20200077549A (ko) 2020-06-30
DE112018005085T5 (de) 2020-07-02
CN107647929B (zh) 2019-05-14
US20210030520A1 (en) 2021-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6988B1 (ko) 임플란트 수복 공간 분석용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uhr et al. A new method for assessing the accuracy of full arch impressions in patients
Anh et al. A comparison of the precision of three-dimensional images acquired by 2 digital intraoral scanners: effects of tooth irregularity and scanning direction
US20070281279A1 (en) Custom impression transfer coping
US20160015488A1 (en) Precalibrated dental implant aid
CN104379083A (zh) 检查牙齿位置的方法
US11071614B2 (en) Measuring apparatus for measuring occlusal distance and/or space of missing tooth
US20200093582A1 (en) Dental Measuring Instrument
Kernen et al. In vitro scanning accuracy using different aids for multiple implants in the edentulous arch
CN112043447A (zh) 种植修复空间和袖口深度二合一测量尺及测量方法
CN112451150B (zh) 一种口腔科多功能工具及其使用方法
KR101394887B1 (ko) 고딕 아치 트레이서 및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cad cam 총의치 제작 방법
CN110507444A (zh) 用于测量两颗牙邻接面距离的测量装置
CN213372686U (zh) 一种种植牙颌架咬合测试装置
CN206355175U (zh) 一种种植体周围牙龈高度测量尺
DI FIORE et al. Influence of three different scanning techniques in full-arch implants digital impression using intraoral scanners: A randomized controlled cross-over trial
CN208640949U (zh) 用于开口度和/或连续缺牙间隙测量的测量装置
TWI569775B (zh) Snap-in positioning of the X-ray device
CN213552561U (zh) 用于术前缺牙区三维空间测量和术中定位测量核查的装置
Vögtlin et al. Comparison of denture models by means of micro computed tomography
Prasad et al. Assessment of Beta Angle among the various Facial Types in Garhwali Population-A Cephalometric Evaluation
CN217040342U (zh) 一种指导备牙导板
RU115648U1 (ru) Дентальный фантом-трансформер
CN212308102U (zh) 一种同时测量种植修复空间和袖口深度的测量尺
TWI547268B (zh) Surgical drill guid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