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678B1 - 다양한 약물 투여 방법에 적용 가능한 실험동물 보정기 - Google Patents

다양한 약물 투여 방법에 적용 가능한 실험동물 보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678B1
KR102533678B1 KR1020210112458A KR20210112458A KR102533678B1 KR 102533678 B1 KR102533678 B1 KR 102533678B1 KR 1020210112458 A KR1020210112458 A KR 1020210112458A KR 20210112458 A KR20210112458 A KR 20210112458A KR 102533678 B1 KR102533678 B1 KR 102533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plate
fixing
plate
animal
anesth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2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0339A (ko
Inventor
박성걸
오태건
임선화
박소라
Original Assignee
(주)플라스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플라스바이오 filed Critical (주)플라스바이오
Priority to KR1020210112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678B1/ko
Priority to PCT/KR2021/020033 priority patent/WO2023027266A1/ko
Priority to US17/564,904 priority patent/US20230062009A1/en
Publication of KR20230030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0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7/00Devices or methods for introducing solid, liquid, or gaseous remedies or other materials into or onto the bodies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3/00Appliances for supporting or fettering animals for operative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5/00Instruments for treating animals'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7/00Devices or methods for introducing solid, liquid, or gaseous remedies or other materials into or onto the bodies of animals
    • A61D7/04Devices for anaesthetising animals by gases or vapours; Inhal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약물 투여 방법에 적용 가능한 실험동물 보정기에 관한 것으로, 일부 부품의 교체 만으로 척수강내 투여, 정맥 투여 및 기도내 투여시 사용할 수 있는 실험동물 보정기로, 각각의 투여 방법에만 가능한 실험동물 보정기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실험동물 보정기만으로 투약 물질을 다양한 방법으로 실험동물에 투여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다양한 약물 투여 방법에 적용 가능한 실험동물 보정기{EXPERIMENTAL ANIMAL RESTRAINER APPLICABLE TO VARIOUS DRUG ADMINISTRATION METHOD}
본 발명은 다양한 약물 투여 방법에 적용 가능한 실험동물 보정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회절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의 일측 면에 일단부가 힌지 연결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타단부에 회절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된 고정판; 일측 면이 상기 고정판과 결합되는 하판; 일측 면이 상기 하판의 타측 면과 결합하고, 타측 면에 꼬리를 갖는 실험동물이 놓여지는 상판; 상기 상판 중앙 상부에 위치하는 중공의 마취구 및 상기 마취구를 상판에 고정하기 위한 마취구 고정부를 포함하는 실험동물 보정기를 제공한다.
안전성이 확보되어 있지 않은 미지의 화학물질을 실험동물에 적용하는 독성시험은 과학적 연구를 위해서뿐만 아니라, 해당 물질의 안전성을 확보하여 임상시험을 실시하기 위해서도 필요불가결하다.
신약 개발과 기초연구분야에서는 다양한 목적으로 실험동물을 사용하고 있으며, 연구 목적과 대상이 다양함에 따라 실험동물 모델들의 실험에 적용하기 위한 보정기구의 형태도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정맥주사(Intraveineuse injection)는 다른 경로보다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약액이 수초 내에 심장을 거쳐 신체의 필요한 조직에 도달하므로 약효가 빨리 나타나고, 또 그만큼 반응도 확실하게 나타난다. 경구적으로 수분을 충분히 투여할 수 없는 경우에 수분이나 염분, 그 밖에 필요한 전해질을 보급하기 위하여, 또는 출혈 후의 혈액보급을 비롯하여 해독제 등의 약제를 혈액 속에 주입하거나 빠른 약효를 기대할 경우 등에 쓰인다.
척수강내 투여법(intrathecal injection)은 지주막하공간(subarachnoid space)의 뇌척수액 내로 약물을 직접적으로 투여하는 방법이다. 임상적으로 중추 신경계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약물의 경우 척수강내 투여는 전신 투여(systemic injection)시의 부작용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뇌혈관장벽(brain-blood barrier)의 투과성이 낮은 약물에 대해 최대 치료효과(maximal therapeutic efficacy)를 유도할 수 있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기관내 투여(Intratracheal injection)는 투약 물질을 기관에 직접 주입하는 것으로, 동물 실험에서 흡입(inhalation)에 대한 대안으로 물질의 호흡기 독성을 테스트하는데 널리 사용된다.
이처럼 다양한 약물 투여 방법이 존재하지만, 현재 공개되고 실험실에서 사용되고 있는 실험동물 보정기들은 특정한 약물 투여 방법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다른 약물 투여 방법에 적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6154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7632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6522호
이에 본 발명자는 보관이 용이하고, 다양한 약물 투여 방법에 적용 가능한 실험동물 보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보관이 용이하고, 다양한 약물 투여 방법에 적용 가능한 실험동물 보정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험동물 보정기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회절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의 일측 면에 일단부가 힌지 연결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타단부에 회절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된 고정판; 일측 면이 상기 고정판과 결합되는 하판; 일측 면이 상기 하판의 타측 면과 결합하고, 타측 면에 꼬리를 갖는 실험동물이 놓여지는 상판; 상기 상판 중앙 상부에 위치하는 중공의 마취구 및 상기 마취구를 상판에 고정하기 위한 마취구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 및 고정판은 상기 베이스 평면에 대하여 180도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험동물 보정기는 상기 상판에 놓인 실험동물을 구속하기 위하여 상기 상판과 결합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판에 놓인 실험동물을 구속하기 위하여 상기 상판과 결합되는 고정부는 상기 실험동물의 몸통을 감싸는 자켓 및 상기 자켓을 상기 상판과 밀착시키기 위한 보아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험동물 보정기는 상기 마취구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상기 상판 단부에 결합하는 실험동물 배 보호용 클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판 중앙 상부에 위치하는 중공의 마취구는 하나 이상의 마취 가스 유입구 및 하나의 마취 가스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마취 가스 배출구는 실험동물의 머리를 덮을 수 있는 포물면 형상 또는 스쿱 형상의 머리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취구를 상판에 고정하기 위한 마취구 고정부는 상판 결합부 및 상기 상판 결합부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상기 마취구를 고정할 수 있는 마취구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험동물 보정기는 상기 마취구의 아래에 위치하며, 실험동물의 입을 개방하기 위한 개구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험동물 보정기의 상판은 상기 개구기를 고정하기 위한 세로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개구기는 실험동물의 이빨을 고정하기 위한 막대 형상의 이빨 고정기 및 상기 이빨 고정기를 상기 상판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이빨 고정기의 양단에 위치하는 이빨 고정기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험동물 보정기는 상기 마취구의 반대편에 위치하여 상기 상판에 고정되고, 실험동물의 꼬리를 고정할 수 있는 꼬리 거치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꼬리 거치대 일측에는 상기 상판에 고정될 수 있도록 돌출된 꼬리 거치대 고정부 및 타측에는 상기 걸이부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고 실험동물의 꼬리가 위치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된 꼬리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험동물 보정기는 정맥투여, 척수강내 투여 및 기관내 투여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험동물 보정기는 일부 부품의 교체 만으로 척수강내 투여, 정맥 투여 및 기도내 투여시 사용할 수 있는 실험동물 보정기로, 각각의 투여 방법에만 가능한 실험동물 보정기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실험동물 보정기만으로 투약 물질을 다양한 방법으로 실험동물에 투여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척수강내 투여시 본 발명 실험동물 보정기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정맥 투여시 본 발명 실험동물 보정기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은 기도내 투여시 본 발명 실험동물 보정기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실험동물 보정기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실험동물 보정기의 절첩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상판에 놓인 실험동물을 구속하기 위한 고정부(6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 실험동물 보정기의 A) 마취구(70), 머리덮개(71) B) 마취구 고정부(80) C) 다른 실시예의 마취구(70') 및 D) 머리덮개(71')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 실험동물 보정기의 A) 척수강내 투여시 사용되는 상판(50) B) 정맥 투여시 사용되는 상판(51) C) 기도내 투여시 사용되는 상판(52)을 도시한다.
도 9는 실험동물의 입을 개방하기 위한 개구기(100)를 도시한다.
도 10은 실험동물의 꼬리를 고정할 수 있는 꼬리 거치대(120)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상술한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척수강내 투여시 본 발명 실험동물 보정기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2는 정맥 투여시 본 발명 실험동물 보정기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3은 기도내 투여시 본 발명 실험동물 보정기의 사용 상태도이다. 각각의 도면에서 빨간색으로 표시되어 있는 화살표는 투여하고자 하는 물질이 실험동물에 투여되는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실험동물 보정기는 일부 부품의 교체 만으로 척수강내 투여, 정맥 투여 및 기도내 투여시 사용할 수 있는 실험동물 보정기로, 각각의 투여 방법에만 가능한 실험동물 보정기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실험동물 보정기만으로 투약 물질을 다양한 방법으로 실험동물에 투여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 실험동물 보정기의 분해도를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험동물 보정기는 베이스(10); 상기 베이스와 회절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의 일측 면에 일단부가 힌지 연결된 지지대(20); 상기 지지대의 타단부에 회절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된 고정판(30); 일측 면이 상기 고정판과 결합되는 하판(40); 일측 면이 상기 하판의 타측 면과 결합하고, 타측 면에 꼬리를 갖는 실험동물이 놓여지는 상판(50, 51, 52); 상기 상판 중앙 상부에 위치하는 중공의 마취구(70) 및 상기 마취구를 상판에 고정하기 위한 마취구 고정부(8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험동물 보정기는 상기 상판에 놓인 실험동물을 구속하기 위하여 상기 상판과 결합되는 고정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는 지면 또는 실험용 테이블 등에 놓여 본 발명의 실험동물 보정기를 지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베이스(10)의 일측면, 즉 지면과 맞닿는 면의 반대 측면에는 지지대(2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대(20)의 일단부는 상기 베이스(10)의 중앙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20)는 상기 베이스(10)와 힌지 결합(미도시)되어 소정의 각도로 틸팅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대(20)는 상기 베이스(10) 평면에 대하여 180도로 절첩될 수 있다. 따라서 실험자는 투여 방법에 따라서 지지대(20)의 경사도를 조절하면서 실험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20)의 타단부에 고정판(30)이 회절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20)의 타단부는 상기 고정판(30)의 일단부에 회절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판(30)은 상기 베이스(10) 평면에 대하여 180도로 절첩될 수 있다. 따라서 실험자는 투여 방법에 따라서 고정판(30)의 경사도를 조절하면서 실험을 진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 실험동물 보정기의 절첩 과정을 보여준다. 도 5A는 실험동물 보정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보관 상태도면으로, 상기 베이스(10), 지지대(20) 및 고정판(30)이 모두 밀착된 상태로 부피가 작아 보관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5B는 상기 베이스(10)에 대하여 지지대(20) 및 고정판(30)이 90도로 펼쳐진 상태의 도면을 나타낸다.
도 5C는 상기 고정판(30)이 상기 베이스(10)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로, 주로 척수강내 투여시 본 발명 실험동물 보정기는 이와 같은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대(20)는 상기 베이스(10) 및 고정판(3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된다.
도 5D는 상기 고정판(30)이 상기 베이스(1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주로 정맥 투여 또는 기도내 투여시 본 발명 실험동물 보정기는 이와 같은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힌지 결합 관련하여는 다양한 공지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 상술은 생략한다.
상기 고정판(30)의 일측 면에는 하판(40)이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하판(40)의 타측 면에는 상판(50, 51, 52)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판(40) 은 상판(50, 51, 52)과 고정판(30)을 결합시켜 주는 중간 매개체 역할을 한다.
상기 하판(40)의 일측 면에는 고정판(30)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판(30)에는 상기 하판(40)의 결합돌출부와 대응하는 부위에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50, 51, 52)의 일 측면에는 상기 하판(40)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판(40)에는 상기 상판(50, 51, 52)의 결합 돌출부와 대응하는 부위에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하판(40)에서 고정판(30)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돌출부와 상판(50, 51, 52)의 결합 돌출부와 대응하는 결합홈은 서로 반대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출부 및 결합홈의 위치, 형상 및 크기는 특별히 정해진 것은 아니며, 결합 강도, 제조 공정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상판(50, 51, 52)은 일측 면이 상기 하판의 타측 면과 결합하고, 상기 상판(50, 51, 52)의 타측 면에는 꼬리가 있는 실험동물이 놓여질 수 있다. 상기 실험동물은 실험 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판(50, 51, 52)은 투여 방법에 따라서 크기와 디자인이 달라질 수 있으며, 투여 방법에 따른 구체적인 상판(50, 51, 52)의 구조적 특징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상판(50, 51, 52)에는 상판에 놓인 실험동물을 구속하기 위하여 고정부(6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고정부(60)는 자켓(61) 및 보아시스템(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켓(61)은 실험동물의 몸체를 감싸는 역할을 하고, 상기 보아시스템(62)은 실험동물을 상기 상판(50, 51, 52)에 구속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보아시스템(220)은 고정다이얼 및 끈을 활용하여 고정다이얼의 회전에 따라 끈이 조여지는 신발 등에 주로 활용되는 체결형태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상판에는 상기 보아시스템(62)의 끈이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4개의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판(50, 51, 52)은 중공의 마취구(70)를 상판(50, 51, 52)에 고정하기 위한 마취구 고정부(8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상기 마취구(70) 및 마취구 고정부(80)를 도시한다. 도 7A는 마취구 고정부(80)에 결합되어 있는 마취구(70)를 도시한다. 상기 마취구(70)는 중공의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마취구(70)의 일단부는 실험동물의 안면에 가까이 위치하고, 상기 마취구(70)의 타단부는 마취 가스가 공급될 수 있는 호스(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취 가스 호스로부터 공급되는 마취 가스에 의하여 상기 실험동물은 마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마취구(70)의 일단부에는 실험동물의 머리를 덮거나 거치할 수 있는 포물면 또는 스쿱 형상의 머리 덮개(71, 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머리 덮개가 스쿱 형상인 경우 머리 거치대로도 호칭될 수 있다. 상기 머리 덮개(71)는 실험동물의 머리를 내부에 위치시켜 마취 가스가 실험동물에 집중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머리 덮개(71, 71')는 주로 척수강내 투여나 정맥 투여시 사용될 수 있다. 기도내 투여의 경우에는 실험동물의 입을 통하여 투약 물질을 주입해야 하므로, 머리 덮개(71, 71')를 사용하는 경우 투여 과정에서 불편을 겪을 수 있어, 기도내 투여시 상기 머리 덮개(71, 71')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취구(70)는 마취구 고정부(80)에 결합되고, 상기 마취구 고정부(80)는 상판(50, 51, 52)의 중앙 상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B는 마취구(70)가 결합할 수 있는 마취구 고정부(80)를 도시한다. 상기 마취구 고정부(80)는 상판에 결합될 수 있는 상판 결합부(81) 및 상기 상판 결합부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상기 마취구를 고정할 수 있는 마취구 결합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취구는 마취구 결합주(82)에 결합되어 상판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취구 결합부(82)는 상기 마취구(70)가 고정되는 부위로 만곡된 후크 형상이나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7B는 마취구 고정부(80)를 도시한다. 이 경우 상기 마취구 결합부(82)는 내부 면에 마취구(70)와 결합할 수 있는 복수의 결합홈(83)을 포함할 수 있으며, 마취구(70)의 외부면에는 상기 결합홈에 대응하는 결합돌출부(72, 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취구 고정부(80)는 상기 상판(50, 51, 52)에 결합되고, 상기 마취구(70)는 상기 마취구 결합부(82)에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마취구 고정부(80)의 일 측면에는 상기 상판(50, 51, 52)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판(50, 51, 52)에는 상기 마취구 고정부(80)의 결합 돌출부와 대응하는 부위에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돌출부 및 결합홈의 위치, 형상 및 크기는 특별히 정해진 것은 아니며, 결합 강도, 제조 공정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7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취구(70')를 도시한다. 앞에서 언급한 마취구(70)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가지고 있어, 하나의 마취 가스 유입구와 하나의 마취 가스 배출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마취구(70)의 마취 가스 유입구는 마취 가스 호스와 연결되고, 마취 가스 배출구는 상기 머리 덮개(71, 71')와 결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7C에서는 복수의 마취 가스 유입구(73, 73')를 포함하는 마취구(70')를 도시한다. 상기 마취 가스 유입구(73, 73')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마취 가스를 공급하는 마취 가스 호스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마취 가스 유입구로 유입된 서로 다른 마취 가스는 안내관(74)에서 서로 혼합되어 마취 가스 배출구(75)로 배출될 수 있다.
도 7D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머리 덮개(71')를 도시한다. 상기 머리 덮개(71')는 포물면 형상이 아닌 면의 일부가 개방되어 있는 스쿱 형상을 갖는다. 이 경우 실험동물의 머리를 완전하게 덮는 포물면 머리 덮개(71)보다 실험동물의 머리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실험동물의 마취 상태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머리 덮개(71, 71') 및 마취구(70)는 분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머리 덮개(71, 71') 및 마취구(7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었을 때, 마취구(70)를 통하여 복수의 가스 주입이 필요한 경우 상기 마취구(70)는 복수의 마취 가스 유입구(73, 73')를 포함하는 마취구(70')와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마취구(70')와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마취구(70)는 복수의 결합돌출부(72, 72')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중 하나는 상기 마취구 고정부(80)의 결합홈에 결합되고, 나머지 하나는 마취 가스 배출구(75)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에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상판(50, 51, 52)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A는 척수강내 투여시 사용될 수 있는 상판(50)을 도시한다. 상기 상판(50)은 정맥 투여 또는 기도내 투여시 사용될 수 있는 상판(51, 52)에 비하여 세로 길이가 짧은 것이 특징이다.
척수강내 투여시 실험동물의 배가 상판(50)의 단부에 걸치게 되고, 따라서 실험동물의 척추 L2, 3 부분이 벌어지게 되고 주입하고자 하는 물질은 바늘을 통하여 상기 벌어진 곳으로 투여된다(도 1 참조).
이와 같은 투여 방법의 특징에 따라서 상기 상판(50)은 세로 길이가 짧게 설계된다. 상기 상판(50)의 세로 길이는 170 ~ 210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90 ~ 200mm이다.
상기 척수강내 투여시 사용될 수 있는 상판(50)은 실험동물의 배가 상판(50)의 단부에 걸치기 때문에, 실험동물의 배를 보호할 수 있는 실험동물 배 보호용 클립(90)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험동물 배 보호용 클립(90)은 마취구(70)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상기 상판(50)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도 8B는 정맥 투여시 사용될 수 있는 상판(51)을 도시한다. 실험 쥐의 경우에는 꼬리를 통하여 정맥 투여를 진행한다. 따라서 척수강내 투여와 달리 꼬리만 상기 상판(51)의 단부에 걸치면 족하다. 따라서 실험동물의 엉덩이 부분이 상기 상판(51)의 단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정맥 투여시 사용될 수 있는 상판(51)의 세로 길이는 척수강내 투여시 사용될 수 있는 상판(50)의 세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C는 기도내 투여시 사용될 수 있는 상판(52)을 도시한다. 도 3을 참고하면, 기도내 투여시 실험동물은 척수강내 투여 및 정맥 투여와 달리 실험동물이 누워서 상판에 놓여지게 된다.
기관내 투여는 투약 물질을 실험동물의 입을 통하여 기관에 직접 주입해야 하기 때문에 투약 과정에서 실험동물의 입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기도내 투여시, 본 발명의 실험동물 보정기는 마취구 하단에 위치하고, 실험동물의 입을 개방하기 위한 개구기(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기(100)는 상기 상판(52)에 고정되어 실험동물의 이빨을 고정시켜 실험동물의 입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개구기(100)는 상기 개구기는 실험동물의 이빨을 고정하기 위한 이빨 고정기(101) 및 상기 이빨 고정기를 상기 상판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이빨 고정기의 양단에 위치하는 이빨 고정기 고정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빨 고정기(101)는 실 또는 얇은 막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실험동물의 이빨을 고정하기 위하여 기타 적절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빨 고정기 고정부(102)는 이빨 고정기(101)의 양 단에서 상기 이빨 고정기(101)를 고정할 수 있으며, 한 쌍의 이빨 고정기 고정부(102)는 상기 상판(5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판(52)에는 상기 이빨 고정기 고정부(102)가 결합될 수 있는 세로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구기(100)는 실험동물의 사이즈에 따라서 위아래로 이동하여 적절한 위치에서 실험동물의 이빨을 고정할 수 있다.
기관내 투여시 실험동물을 누워서 상판에 놓여지게 되므로 실험동물의 머리를 받칠 수 있는 머리 받침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머리 받침대(110)의 경우 척수강내 투여 및 정맥내 투여의 경우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머리 받침대(110)의 경우, 일 측면에는 상기 상판(52)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판(52)에는 상기 머리 받침대(110)의 결합 돌출부와 대응하는 부위에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돌출부 및 결합홈의 위치, 형상 및 크기는 특별히 정해진 것은 아니며, 결합 강도, 제조 공정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기관내 투여시 본 발명의 실험동물 보정기는 실험동물의 꼬리를 고정할 수 있는 꼬리 거치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꼬리 거치대(120)는 상기 마취구의 반대편에 위치하여 상기 상판(52)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꼬리 거치대(120)는 일측에 상기 상판(53)에 고정될 수 있도록 돌출된 꼬리 거치대 고정부(121) 및 꼬리 거치대(120) 타측에는 상기 꼬리 거치대 고정부(121)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고 실험동물의 꼬리가 위치할 수 있는 홈(123)이 형성된 꼬리 고정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판(52)에는 상기 꼬리 거치대(120)가 결합될 수 있는 세로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꼬리 거치대(120)는 실험동물의 사이즈에 따라서 위아래로 이동하여 적절한 위치에서 실험동물의 꼬리를 고정할 수 있다.
기도내 투여의 경우 상기 고정부(60)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판(52)에는 상기 보아시스템(62)의 끈이 결합될 수 있는 체결부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실험동물 보정기의 상판(50, 51, 52)에는 실험시 사용될 수 있는 튜브 또는 주사기와 같은 실험 도구들을 거치할 수 있는 개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실험동물이 놓여지는 중앙에서 양 옆에 설치될 수 있다.
실험시 사용되는 실험 도구들은 실험대 바닥에 놓여지는 경우 오염의 우려가 있어 정확한 실험 결과를 수득할 수 없어, 상기 개구부에 거치하여 실험을 진행한다면 오염을 방지하여 보다 정확한 실험 결과를 수득할 수 있고, 실험 도구가 넘어지거나 투여 물질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을 한정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 명의 사상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또한 설명되지는 않았으나, 균등한 수단도 또한 본 발명에 그대로 결합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베이스
20 지지대
30 고정판
40 하판
50, 51, 52 상판
60 실험동물 고정부
61 자켓
62 보아시스템
70, 70' 마취구
71, 71' 머리 덮개
72, 72' 마취구 결합돌출부
73, 73' 마취 가스 유입구
74 마취 가스 안내관
75 마취가스 배출부
80 마취구 고정부
81 상판 결합부
82 마취구 결합부
83 마취구 결합홈
90 실험동물 배 보호용 클립
100 개구기
101 이빨 고정기
102 이빨 고정기 고정부
110 실험동물 머리 받침대
120 실험동물 꼬리 거치대
121 꼬리 거치대 고정부
122 꼬리 고정부

Claims (12)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회절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의 일측 면에 일단부가 힌지 연결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타단부에 회절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된 고정판;
    일측 면이 상기 고정판과 결합되는 하판;
    일측 면이 상기 하판의 타측 면과 결합하고, 타측 면에 꼬리를 갖는 실험동물이 놓여지는 상판;
    상기 상판 중앙 상부에 위치하는 중공의 마취구;및
    상기 마취구를 상판에 고정하기 위한 마취구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 및 고정판은 상기 베이스 평면에 대하여 180도 절첩되어 베이스, 지지대 및 고정판이 모두 밀착된 상태로 보관이 가능하고,
    상기 하판의 일측 면에는 고정판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에는 하판의 결합돌출부와 대응하는 부위에 결함홈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의 일측 면에는 하판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판에는 상판의 결합돌출부와 대응하는 부위에 결함홈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은 척수강내 투여시 사용될 수 있는 상판 또는 기도내 투여시 사용될 수 있는 상판을 포함하고,
    상기 척수강내 투여시 사용될 수 있는 상판의 세로길이는 기도내 투여시 사용될 수 있는 상판의 세로길이보다 짧고,
    상기 척수강내 투여시 사용될 수 있는 상판은 실험동물의 배가 상판의 단부에 걸치게 되고, 따라서 실험동물의 배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마취구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상기 상판 단부에 결합하는 배 보호용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기도내 투여시 사용될 수 있는 상판은 상기 마취구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상판에 고정되는 실험동물의 입을 개방하기 위한 개구기를 포함하고, 기도내 투여시 실험동물이 누워서 상판에 놓여지게 되므로 실험동물의 머리를 받칠 수 있는 머리 받침대 및 실험동물의 꼬리를 고정할 수 있는 꼬리 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약물 투여 방법에 적용 가능한 실험동물 보정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 놓인 실험동물을 구속하기 위하여 상기 상판과 결합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동물 보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실험동물의 몸통을 감싸는 자켓 및 상기 자켓을 상기 상판과 밀착시키기 위한 보아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동물 보정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취구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마취 가스 유입구 및 하나의 마취 가스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마취 가스 배출구는 실험동물의 머리를 덮을 수 있는 포물면 형상 또는 스쿱 형상의 머리 덮개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동물 보정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취구 고정부는
    상판 결합부;및
    상기 상판 결합부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상기 마취구를 고정할 수 있는 마취구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동물 보정기.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판은 상기 개구기를 고정하기 위한 세로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개구기는 실험동물의 이빨을 고정하기 위한 막대 형상의 이빨 고정기;및
    상기 이빨 고정기를 상기 상판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이빨 고정기의 양단에 위치하는 이빨 고정기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동물 보정기.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꼬리 거치대 일측에는 상기 상판에 고정될 수 있도록 돌출된 꼬리 거치대 고정부;및
    타측에는 상기 꼬리 거치대 고정부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고 실험동물의 꼬리가 위치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된 꼬리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동물 보정기.
  12. 삭제
KR1020210112458A 2021-08-25 2021-08-25 다양한 약물 투여 방법에 적용 가능한 실험동물 보정기 KR102533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458A KR102533678B1 (ko) 2021-08-25 2021-08-25 다양한 약물 투여 방법에 적용 가능한 실험동물 보정기
PCT/KR2021/020033 WO2023027266A1 (ko) 2021-08-25 2021-12-28 다양한 약물 투여 방법에 적용 가능한 실험동물 보정기
US17/564,904 US20230062009A1 (en) 2021-08-25 2021-12-29 Experimental animal restrainer applicable to various drug administra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458A KR102533678B1 (ko) 2021-08-25 2021-08-25 다양한 약물 투여 방법에 적용 가능한 실험동물 보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339A KR20230030339A (ko) 2023-03-06
KR102533678B1 true KR102533678B1 (ko) 2023-05-17

Family

ID=85323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2458A KR102533678B1 (ko) 2021-08-25 2021-08-25 다양한 약물 투여 방법에 적용 가능한 실험동물 보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33678B1 (ko)
WO (1) WO2023027266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7843A (ja) * 2002-10-10 2006-03-09 ビジュアルソニ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一体型多レール映像化システム
CN105686892A (zh) 2014-11-28 2016-06-22 苏州大学 血吸虫感染实验用小鼠固定装置及实验方法
KR102038991B1 (ko) * 2019-07-30 2019-10-31 박성걸 소동물 미정맥 투여 또는 채혈 보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0181A (en) * 1977-09-06 1979-03-28 Fumie Kanetake Fixing instrument for small animal
KR100761545B1 (ko) 2006-03-02 2007-10-04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동물 실험용 정위장치
KR101136522B1 (ko) 2010-02-19 2012-04-17 (재)예수병원유지재단 동물 실험용 정위장치
KR101491344B1 (ko) * 2013-11-07 2015-02-11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동물용 수술대
KR102076321B1 (ko) 2018-05-17 2020-02-1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실험용 동물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7843A (ja) * 2002-10-10 2006-03-09 ビジュアルソニ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一体型多レール映像化システム
CN105686892A (zh) 2014-11-28 2016-06-22 苏州大学 血吸虫感染实验用小鼠固定装置及实验方法
KR102038991B1 (ko) * 2019-07-30 2019-10-31 박성걸 소동물 미정맥 투여 또는 채혈 보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339A (ko) 2023-03-06
WO2023027266A1 (ko) 2023-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04011T3 (es) Dispositivo de vórtice para un sistema de administración de fármacos
ES2626275T3 (es) Dispositivo compacto de reconstitución de medicamentos y método
JP4825962B2 (ja) 小動物の固定装置
ES2864415T3 (es) Nuevos profármacos poliméricos de la HCh.
KR20100017619A (ko) 캐뉼라와 약물공급장치
JPH11347120A (ja) カテ―テルヘッド
PT2254629E (pt) Um sistema de inalação de pó seco
JP2001523490A (ja) 患者に液状薬を投与する装置
JP2002360695A (ja) 可撓性針アセンブリ
KR102533678B1 (ko) 다양한 약물 투여 방법에 적용 가능한 실험동물 보정기
US20230062009A1 (en) Experimental animal restrainer applicable to various drug administration method
ES2942007T3 (es) Aparato para el suministro de microesferas de radioembolización
Hampl et al. Nebulized nitric oxide/nucleophile adduct reduces chronic pulmonary hypertension
ES2659166T3 (es) Inyección de octreótido
BR112021007083A2 (pt) tratamento de doença neurológica com zilucoplan
TWI376245B (en) Use of needle-less syringe and kit of needle-less syringe
ES2902784T3 (es) Una forma de dosificación parenteral estable de acetato de Cetrorelix
US20120073515A1 (en) Intrathecal needle guide apparatus
ES2511046T3 (es) Sistemas y métodos para proporcionar un dispositivo de administración mejorada por convección
JP2001252292A (ja) 動物用保定装置
KR101439466B1 (ko) 약물 주사 장치 및 약물 주사용 키트
CN112891013B (zh) 一种用于小型啮齿类实验动物结直肠内药物灌注的装置
KR101882454B1 (ko) 방사선 약물 분배 장치
US9011410B2 (en) Spinal multisegmental cell and drug delivery system
JP7395206B1 (ja) 頭部固定具、係止構造、及び麻酔ガス供給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