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5001A - 조기 진통에 특이적인 위험도 조기예측 마커 유전자 및 이를 이용한 조기진통 관련 유전자 발현양상 분석방법 - Google Patents
조기 진통에 특이적인 위험도 조기예측 마커 유전자 및 이를 이용한 조기진통 관련 유전자 발현양상 분석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95001A KR20110095001A KR1020100014778A KR20100014778A KR20110095001A KR 20110095001 A KR20110095001 A KR 20110095001A KR 1020100014778 A KR1020100014778 A KR 1020100014778A KR 20100014778 A KR20100014778 A KR 20100014778A KR 20110095001 A KR20110095001 A KR 2011009500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arly
- group
- gene
- analgesia
- genbank access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13—Hybridisation assays
- C12Q1/6834—Enzymatic or biochemical coupling of nucleic acids to a solid phase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13—Hybridisation assays
- C12Q1/6834—Enzymatic or biochemical coupling of nucleic acids to a solid phase
- C12Q1/6837—Enzymatic or biochemical coupling of nucleic acids to a solid phase using probe arrays or probe chip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마커 유전자로서 선정된 C1QB, C1QA, GMCL1 및 AHCTF1 유전자들에 대하여 리얼타임 PCR을 수행하여 C1QB, C1QA, GMCL1 및 AHCTF1 유전자들에 대한 분석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Claims (15)
- 조기 진통에 특이적인 위험도 조기예측 마커 유전자에 있어서,
C1QB(GenBank Accession No.: NM_000491.3), C1QA(GenBank Accession No.: NM_015991.2), GMCL1(GenBank Accession No.: NM_178439.3) 및 AHCTF1(GenBank Accession No.: NM_015446.3) 유전자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전자를 포함하는 조기 진통에 특이적인 위험도 조기예측 마커 유전자. - 조기 진통에 특이적인 위험도 조기예측 마커 유전자와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조기 진통 위험도 조기예측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로브에 있어서,
서열번호 17의 염기서열 내지 서열번호 20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과 이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조기 진통 위험도 조기예측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로브. - 제2항에 있어서,
서열번호 17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프로브는 마커 유전자 C1QB(GenBank Accession No.: NM_000491.3)와, 서열번호 18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프로브는 마커 유전자 C1QA(GenBank Accession No.: NM_015991.2)와, 서열번호 19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프로브는 마커유전자 GMCL1(GenBank Accession No.: NM_178439.3)과, 서열번호 20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프로브는 마커유전자 AHCTF1(GenBank Accession No.: NM_015446.3)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기 진통 위험도 조기예측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로브. - 서열번호 17의 염기서열 내지 서열번호 20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과 이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조기 진통 위험도 조기예측 검사 칩.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는 기판 상에 마이크로어레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기 진통 위험도 조기예측 검사 칩. -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1프라이머 군과, 서열번호 9 내지 서열번호 16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2프라이머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라이머 군, DNA 중합효소, dNTPs, PCR 완충용액 및 PCR 증폭산물의 표지물질을 포함하는 조기 진통에 특이적인 위험도 조기예측 마커 유전자 PCR 증폭키트.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는 상기 제1프라이머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정방향 프라이머 및 역방향 프라이머의 조합으로 제공되거나, 상기 제2프라이머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정방향 프라이머 및 역방향 프라이머의 조합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기 진통에 특이적인 위험도 조기예측 마커 유전자 PCR 증폭키트. - 피검자의 혈액으로부터 RNA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준비한 RNA로부터, 조기 진통에 특이적인 C1QB(GenBank Accession No.: NM_000491.3), C1QA(GenBank Accession No.: NM_015991.2), GMCL1(GenBank Accession No.: NM_178439.3) 및 AHCTF1(GenBank Accession No.: NM_015446.3) 유전자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전자의 발현수준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C1QB, C1QA, GMCL1 및 AHCTF1 유전자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전자의 발현여부, 발현정도 및 정상군과의 발현정도의 차이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기 진통관련 유전자 발현양상 분석방법. - 피검자의 혈액으로부터 RNA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준비한 RNA를 이용하여 형광표지된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합성하는 단계와,
상기 형광표지된 상보적인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17의 염기서열 내지 서열번호 20의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과 이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를 혼성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혼성화 단계 이후, 상기 형광표지된 상보적인 염기서열과 상기 프로브와의 결합에 의한 형광강도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형광강도에 의해 조기 진통에 특이적인 유전자의 발현여부, 발현정도 및 정상군과의 발현정도의 차이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기 진통관련 유전자 발현양상 분석방법. - 피검자의 혈액으로부터 RNA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준비한 RNA를 주형으로 사용하고 조기 진통에 특이적인 C1QB(GenBank Accession No.: NM_000491.3), C1QA(GenBank Accession No.: NM_015991.2), GMCL1(GenBank Accession No.: NM_178439.3) 및 AHCTF1(GenBank Accession No.: NM_015446.3) 유전자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전자에 대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RT-PCR(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RT-PCR 증폭 산물에 대한 전기영동을 수행하여 조기 진통에 특이적인 C1QB, C1QA, GMCL1 및 AHCTF1 유전자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전자의 발현여부, 발현정도 및 정상군과의 발현정도의 차이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기 진통관련 유전자 발현양상 분석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는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8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기 진통관련 유전자 발현양상 분석방법. - 피검자의 혈액으로부터 RNA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준비한 RNA를 주형으로 사용하고 조기 진통에 특이적인 C1QB(GenBank Accession No.: NM_000491.3), C1QA(GenBank Accession No.: NM_015991.2), GMCL1(GenBank Accession No.: NM_178439.3) 및 AHCTF1(GenBank Accession No.: NM_015446.3) 유전자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조기 진통에 특이적인 유전자에 대한 프라이머, 및 증폭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기 진통에 특이적인 유전자와 관련하여 조기 진통에 특이적인 유전자 증폭량을 나타내는 표지물질을 이용하여, 조기 진통에 특이적인 C1QB, C1QA, GMCL1 및 AHCTF1 유전자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전자를 PCR 증폭하는 단계와,
상기 조기 진통에 특이적인 유전자의 증폭 후, 상기 표지물질을 이용하여 조기 진통에 특이적인 C1QB, C1QA, GMCL1 및 AHCTF1 유전자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전자 증폭량에 기초하여 조기 진통에 특이적인 유전자 발현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발현량에 기초하여 조기 진통에 특이적인 C1QB, C1QA, GMCL1 및 AHCTF1 유전자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전자의 발현여부, 발현정도 및 정상군과의 발현정도의 차이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기 진통관련 유전자 발현양상 분석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는 서열번호 9 내지 서열번호 16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기 진통관련 유전자 발현양상 분석방법. -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정상군의 C1QB, C1QA, GMCL1 및 AHCTF1 유전자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전자를 PCR 증폭하는 단계와,
상기 정상군의 C1QB, C1QA, GMCL1 및 AHCTF1 유전자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전자에 대한 전체 PCR 증폭 기간에 대한 상기 표지물질의 형광세기의 변화를 측정하고, 일정한 형광세기에 도달하는 PCR 반응회수(Cp값)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피검자의 C1QB, C1QA, GMCL1 및 AHCTF1 유전자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전자의 전체 PCR 증폭 기간에 대한 상기 표지물질의 형광세기의 변화를 측정하고, 일정한 형광세기에 도달하는 PCR 반응회수(Cp값)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피검자의 Cp값을 상기 정상군의 Cp값과 비교하여 상기 피검자에 있어서 조기 진통에 특이적인 C1QB, C1QA, GMCL1 및 AHCTF1 유전자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전자의 발현여부, 발현정도 및 정상군과의 발현정도의 차이를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기 진통관련 유전자 발현양상 분석방법. -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물질은 형광물질이고, 상기 표지물질로부터의 형광의 세기를 측정하여 상기 조기 진통에 특이적인 유전자 발현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기 진통관련 유전자 발현양상 분석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14778A KR20110095001A (ko) | 2010-02-18 | 2010-02-18 | 조기 진통에 특이적인 위험도 조기예측 마커 유전자 및 이를 이용한 조기진통 관련 유전자 발현양상 분석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14778A KR20110095001A (ko) | 2010-02-18 | 2010-02-18 | 조기 진통에 특이적인 위험도 조기예측 마커 유전자 및 이를 이용한 조기진통 관련 유전자 발현양상 분석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95001A true KR20110095001A (ko) | 2011-08-24 |
Family
ID=44930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14778A Ceased KR20110095001A (ko) | 2010-02-18 | 2010-02-18 | 조기 진통에 특이적인 위험도 조기예측 마커 유전자 및 이를 이용한 조기진통 관련 유전자 발현양상 분석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95001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61852A (ko) | 2022-05-19 | 2023-11-28 | 이지연 | 바이오마커 세트를 이용한 조산 예측정보 획득방법 |
-
2010
- 2010-02-18 KR KR1020100014778A patent/KR20110095001A/ko not_active Ceas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61852A (ko) | 2022-05-19 | 2023-11-28 | 이지연 | 바이오마커 세트를 이용한 조산 예측정보 획득방법 |
KR20250079116A (ko) | 2022-05-19 | 2025-06-04 | 이지연 | 바이오마커 세트를 이용한 조산 예측정보 획득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732849C (en) | Gene expression profile as an endometrial receptivity marker | |
JP6285009B2 (ja) | 前立腺ガンの予後の検知及び判定のための組成物及び該検知及び判定方法 | |
US20160168649A1 (en) | Gene expression predictors of cancer prognosis | |
JP4435259B2 (ja) | 微量胃癌細胞の検出法 | |
JP2005500834A (ja) | 敗血症または敗血症関連症候群の診断のためのバイオチップの使用 | |
JP2011525106A (ja) | 瀰漫性b大細胞型リンパ腫のマーカーおよびその使用方法 | |
JPWO2017146033A1 (ja) | 体液由来miRNAの品質を評価する方法 | |
US20210301340A1 (en) | Method of evaluating quality of body fluid specimen | |
CN106319031A (zh) | 反复自然流产相关微小rna及其应用 | |
JP4317854B2 (ja) | 微量胃癌細胞の検出法 | |
CN112635051A (zh) | 小分子标志物在诊断肺部疾病中的用途 | |
KR101657051B1 (ko) | 만성폐쇄성폐질환 진단용 마커 조성물 | |
KR20110095001A (ko) | 조기 진통에 특이적인 위험도 조기예측 마커 유전자 및 이를 이용한 조기진통 관련 유전자 발현양상 분석방법 | |
US20190276890A1 (en) | Gene expression profile as an endometrial receptivity marker | |
KR100993773B1 (ko) | 조기 진통에 특이적인 진단용 조성물 및 dna 칩 | |
WO2021060311A1 (ja) | 脳腫瘍を検査する方法 | |
JP5487555B2 (ja) | 胎盤機能の網羅的かつ非侵襲的評価方法および検査用試薬 | |
CN112802551A (zh) | 辅助诊断肺癌的基因组合及其应用 | |
JPWO2013157215A1 (ja) | 子宮体がん発症感受性の判定方法 | |
KR20100059768A (ko) | 조기 진통에 특이적인 진단용 마커 유전자 및 dna 칩 | |
JP7218887B2 (ja) | 子宮頸がん検査用検体 | |
CN106520970A (zh) | 用于诊断脑卒中的标志物 | |
WO2020054474A1 (ja) | 関節リウマチを検査する方法 | |
CN106435010B (zh) | 布加综合征的诊断标志物 | |
KR101568731B1 (ko) | 만성폐쇄성폐질환 진단용 마커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9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202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9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