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4457A - 인쇄 방법 및 인쇄 장치 - Google Patents

인쇄 방법 및 인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4457A
KR20110094457A KR1020100013843A KR20100013843A KR20110094457A KR 20110094457 A KR20110094457 A KR 20110094457A KR 1020100013843 A KR1020100013843 A KR 1020100013843A KR 20100013843 A KR20100013843 A KR 20100013843A KR 20110094457 A KR20110094457 A KR 20110094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 head
print
printing
zon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4878B1 (ko
Inventor
이동원
노태용
박상훈
손영목
신혜원
김영일
김성호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3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4878B1/ko
Priority to JP2011029017A priority patent/JP5792478B2/ja
Priority to US13/028,800 priority patent/US8596739B2/en
Publication of KR20110094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4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4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4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001Mechanisms for bodily moving print heads or carriages parallel to the paper surface
    • B41J25/003Mechanisms for bodily moving print heads or carriages parallel to the paper surface for changing the angle between a print element array axis and the printing line, e.g. for dot density cha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28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rinting downwardly on flat surfaces, e.g. of books, drawings, boxes, envelopes, e.g. flat-bed ink-jet printers

Landscapes

  • Ink Jet (AREA)
  • Common Mechanism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인쇄 헤드가 서로 인접한 제1 구역과 제2 구역을 순차적으로 인쇄시 제1 구역에서 상기 제2 단부가 인쇄하는 면과 상기 제2 구역에서 상기 제2 단부가 인쇄하는 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인쇄 헤드와 인쇄 대상체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인쇄하는 인쇄 방법 및 인쇄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쇄 방법 및 인쇄 장치{Printing method and printer}
본 발명은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즐간 편차를 줄이는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시장치(display device)는 정보처리장치(information processing device)에 의하여 처리된 데이터를 영상으로 변경한다. 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EL) 및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등 이 대표적이다. 이와 같은 표시장치들은 음극선관 표시장치에 비하여 부피 및 무게가 작은 평판 형상을 갖는 평판 표시장치이다.
평판 형상을 갖는 표시장치들은 공통적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화소 패턴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액정표시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 게이트 신호선, 데이터 신호선, 화소전극, 블랙 매트릭스, 컬러필터, 공통전극 등과 같은 다양한 화소 패턴을 포함 한다. 예를 들면,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애노드 전극, 전자 주입층, 정공 주입층, 캐소드 전극, 유기막 등과 같은 다양한 화소 패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시 노즐간 편차를 줄이는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인쇄 헤드가 서로 인접한 제1 구역과 제2 구역을 순차적으로 인쇄시 제1 구역에서 상기 제2 단부가 인쇄하는 면과 상기 제2 구역에서 상기 제2 단부가 인쇄하는 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인쇄 헤드와 인쇄 대상체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인쇄하는 인쇄 방법을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인쇄 헤드의 상기 인쇄 대상체에 대한 위치가 상기 제1 구역에서 상기 제2 구역으로 전환시, 상기 인쇄 헤드는 상기 인쇄 대상체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인쇄 헤드는 상기 인쇄 헤드 상 적어도 어느 한 점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인쇄 헤드는 상기 인쇄 헤드의 일 단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인쇄 헤드는 상기 인쇄 헤드의 중심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인쇄 헤드는 상기 인쇄 헤드의 양 단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인쇄 헤드와 상기 인쇄 대상체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은 상기 인쇄 헤드에 대해서 상기 인쇄 대상체를 이동하는 방법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쇄 헤드와 상기 인쇄 대상체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은 상기 인쇄 대상체에 대해서 상기 인쇄 헤드를 수평 이동하는 방법일 수 있다.
상기 인쇄 방법은 잉크젯 프린팅 방법일 수 있다.
상기 인쇄 방법은 노즐 프린팅 방법일 수 있다.
발광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인쇄 헤드는 발광 물질을 분사할 수 있다. 칼라필터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인쇄 헤드는 칼라필터층의 안료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인쇄 방법은 단일 색상의 안료를 분사하는 상기 인쇄 헤드를 복수 개 사용하여 인쇄방법일 수 있다.
상기 인쇄 헤드는 상기 인쇄 대상체의 인쇄면 상에서 진행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될 수 있다.
상기 인쇄 방법은 상기 인쇄 대상체에 대하여, 상기 인쇄 헤드를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며 인쇄하는 단계; 상기 인쇄 헤드를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인쇄 헤드를 회전하는 단계; 상기 인쇄 헤드를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며 인쇄하는 단계; 상기 인쇄 헤드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인쇄 헤드를 회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 방법은, 상기 인쇄 대상체를 상기 인쇄 헤드에 대하여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며 인쇄하는 단계; 상기 인쇄 대상체를 상기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인쇄 헤드를 회전하는 단계; 상기 인쇄 대상체를 상기 인쇄 헤드에 대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며 인쇄 하는 단계; 상기 인쇄 대상체를 상기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인쇄 헤드를 회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 헤드의 상기 인쇄 대상체에 대한 위치가 상기 제1 구역에서 상기 제2 구역으로 전환시 상기 인쇄 헤드가 상기 제2 구역에서 인쇄를 시작하는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인쇄 대상체에 대한 상기 인쇄 헤드의 위치를 비전 카메라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인쇄 헤드의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인쇄 헤드가 서로 인접한 제1 구역과 제2 구역을 순차적으로 인쇄시 제1 구역에서 상기 제2 단부가 인쇄하는 면과 상기 제2 구역에서 상기 제2 단부가 인쇄하는 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인쇄 헤드와 인쇄 대상체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인쇄하는 인쇄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인쇄 헤드의 상기 인쇄 대상체에 대한 위치가 상기 제1 구역에서 상기 제2 구역으로 전환시 상기 인쇄 대상체에 대하여 상기 인쇄 헤드는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인쇄 헤드는 상기 인쇄 헤드 상 적어도 어느 한 점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인쇄 헤드는 상기 인쇄 헤드의 일 단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인쇄 헤드는 상기 인쇄 헤드의 중심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인쇄 헤드는 상기 인쇄 헤드의 양 단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인쇄 헤드는 복수 개의 노즐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인쇄 장치는 잉크젯 프린팅 방식으로 인쇄할 수 있다.
상기 인쇄 장치는 노즐 프린팅 방식으로 인쇄할 수 있다.
상기 인쇄 헤드의 상기 인쇄 대상체에 대한 위치가 상기 제1 구역에서 상기 제2 구역으로 전환시 상기 인쇄 헤드가 상기 제2 구역에서 인쇄를 시작하는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인쇄 대상체에 대한 상기 인쇄 헤드의 위치를 수신하는 비전 카메라; 및 상기 인쇄 헤드의 위치를 보정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르면의 인쇄시 노즐간 편차를 줄여 발광편차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평행이동에 의해 인쇄 대상체에 대해 움직이는 인쇄 헤드의 이동을 위에서 바라본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적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 인쇄 헤드의 직선 운동 및 회전운동에 의해 제1 구역에서 제2 구역으로 전환하는 것을 도시한 개략적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와 도 2의 III-III에 따른 노즐별 토출량을 비교하여 도시한 도표이다.
도 4는 도 2의 실시예의 제1 변형예로 인쇄 대상체 상의 인쇄 헤드의 이동을 위에서 바라본 개략적 개념도이다.
도 5는 인쇄 대상체에 대해 인쇄 헤드가 이동하는 인쇄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서 인쇄 헤드의 움직임의 흐름도이다.
도 7은 평행이동하는 인쇄 대상체와 회전 운동하는 인쇄 헤드를 구비한 인쇄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서 인쇄 대상체와 인쇄 헤드의 움직임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5의 실시예에서 인쇄 헤드의 위치보정을 설명하는 인쇄 헤드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실시예에서 인쇄 헤드의 움직임과 위치 보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2의 실시예의 제2 변형예로 인쇄 대상체 상의 인쇄 헤드의 이동을 위에서 바라본 개략적 개념도이다.
도 12는 도 2의 실시예의 제3 변형예로 인쇄 대상체 상의 인쇄 헤드의 이동을 위에서 바라본 개략적 개념도이다.
도 13은 도 2의 실시예의 제4 변형예로 인쇄 대상체 상의 인쇄 헤드의 이동을 위에서 바라본 개략적 개념도이다.
도 14는 도 2의 실시예의 제5 변형예로 인쇄 대상체 상의 인쇄 헤드의 이동을 위에서 바라본 개략적 개념도이다.
도 15는 도 2의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인쇄 헤드를 이용하여 적(R), 녹(G), 청(B)를 각각 인쇄 대상체에 인쇄하는 것을 위에서 바라본 개략적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평행이동에 의해 인쇄 대상체(1)에 대해 움직이는 인쇄 헤드(H1)의 이동을 위에서 바라본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적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쇄 대상체(1)는 제1 구역과 제2 구역으로 구성된다. 인쇄 헤드(H1)는 제1 구역을 -Y축 방향으로 직선운동으로 이동하며 인쇄할 수 있다. 제1 구역의 인쇄를 마친 인쇄 헤드(H1)는 제2 구역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도 1에서 인쇄 대상체(1)의 아래로 이동한 후, X축 방향으로 제2 구역으로 수평 이동한다. 제2 구역으로 수평 이동한 인쇄 헤드(H1)는 Y축 방향으로 직선운동하며 제2 구역을 인쇄하게 된다. 이때, 인쇄 헤드(H1)는 복수 개의 노즐을 구비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1에서 인쇄 헤드(H1)는 제1 노즐(N1)부터 제6 노즐(N6)까지 총 6 개의 노즐을 구비하였다. 물론, 노즐의 개수와 위치는 도 1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인쇄 헤드(H1)상에서 노즐의 수량과 위치의 변화를 줄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구역은 X축 방향으로 제1 노즐(N1)부터 제6 노즐(N6)까지 순차적으로 인쇄되며 제2 구역 역시 X축 방향으로 제1 노즐(N1)부터 제6 노즐(N6)까지 순차적으로 인쇄된다. 따라서, 제1 구역과 제2 구역 중 서로 인접한 곳은 서로 다른 노즐에 의해 인쇄 된다. 즉, 도 1 에서는 제1 구역과 제2 구역 중 서로 인접한 곳이 각각 제6 노즐(N6)과 제1 노즐(N1)에 의해 인쇄되었다.
여기서, 인쇄 헤드(H1)는 복수 개의 노즐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노즐마다 토출량 등에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편차는 불규칙하게 또는 규칙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편차가 점증적으로 발생할 경우 제1 노즐(N1)과 제6 노즐(N6)간에는 누적된 토출량의 차이는 인접한 제1 노즐(N1)과 제2 노즐(N2)간의 토출량의 차이보다 커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노즐(N1)과 제6 노즐(N6)간의 토출량 편차는 결국 눈에 잘 시인되는 발광편차로 나타난다.
이와 같은 노즐간 편차를 극복하기 위해 이때,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구비한 인쇄 헤드(H2)가 제1 구역과 제2 구역을 차례대로 인쇄할 때, 제1 구역에서 제2 단부에 의해 인쇄되는 면과 제2 구역에서 제2 단부가 인쇄하는 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인쇄 헤드(H2)와 인쇄 대상체(1)의 위치를 조절하여 인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 인쇄 헤드(H2)의 직선 운동 및 회전운동에 의해 제1 구역에서 제2 구역으로 전환하는 것을 도시한 개략적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인쇄 헤드(H2)는 제1 노즐(N1)이 위치한 제1 단부와 제6 노즐(N6)이 위치한 제2 단부를 구비한다. 인쇄 헤드(H2)가 제1 구역과 제2 구역을 차례대로 인쇄할 때, 제1 구역에서 제6 노즐(N6)이 위치한 제2 단부에 의해 인쇄되는 면과 제2 구역에서 제6 노즐(N6)이 위치한 제2 단부가 인쇄하는 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인쇄 헤드(H2)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2와 같이 인쇄 헤드(H2)를 임의의 한 점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제1 구역과 제2 구역의 서로 마주보며 인접한 면이 같은 노즐에 의해 인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2 단부가 인쇄하는 면이란 제2 단부에 의해 인쇄되는 제1 구역 또는 제2 구역 상의 면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제1 단부가 인쇄하는 면이란 제1 단부에 의해 인쇄되는 제1 구역 또는 제2 구역 상의 면을 의미한다.
도 2에 도시된 방법과 같이 인접한 면이 같은 노즐에 의해 인쇄되는 경우의 효과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III-III를 따라 취한 단면과 도 2의 III-III를 따라 취한 단면에 따른 노즐별 토출량을 비교하여 도시한 도표이다. 도 3에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라 노즐의 토출량을 도시한 제1 직선(I)과 도 2의 실시예에 따라 노즐의 토출량을 도시한 제2 직선(II)을 도시하였다. 이때, 인쇄 헤드(H)는 제1 노즐(N1)과 제6 노즐(N6)간에 토출량이
Figure pat00001
만큼의 차이가 난다고 가정한다. 이때, 제1 직선(I)에 따르면 인접 지점(A)마다
Figure pat00002
만큼의 차이가 발생한다. 이에 반하여 제2 직선(II)에 따르면 인접 지점(B)간에 토출량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으며 다만 인쇄 헤드(H)의 각 노즐간의 편차(
Figure pat00003
)가 점진적으로 나타날 뿐이다. 따라서, 노즐간 편차가 있는 인쇄 헤드(H)를 사용하여 인쇄하는 인쇄 방법 및 인쇄 장치에 있어서, 인접한 면을 같은 노즐에 의해 인쇄되도록 조절하여 인접한 면간 노즐간 편차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이제,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구비한 인쇄 헤드(H)가 제1 구역과 제2 구역을 차례대로 인쇄할 때, 제1 구역에서 제2 단부에 의해 인쇄되는 면과 제2 구역에서 제2 단부가 인쇄하는 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인쇄 헤드(H)와 인쇄 대상체(1)의 위치를 조절하여 인쇄하는 방법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2의 실시예의 제1 변형예로 인쇄 대상체(1) 상의 인쇄 헤드(H3)의 이동을 위에서 바라본 개략적 개념도이다. 도 5는 인쇄 대상체(1)에 대해 인쇄 헤드(H3)가 이동하는 인쇄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서 인쇄 헤드의 움직임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인쇄 헤드(H3)는 제1 단부부터 제2 단부 방향으로 차례대로 제1 노즐(N1)내지 제6 노즐(N6)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인쇄 헤드(H3)는 제1 구역을 인쇄하며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S110). 이후, 인쇄 헤드(H3)는 X축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S120). 이후, 인쇄 헤드(H3)상의 한 점을 중심축(P1)으로 회전할 수 있다(S130). 이때,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 헤드(H3)의 중심에 중심축(P1)을 구비할 수 있다. 중심축(P1)을 기준으로 회전한 인쇄 헤드(H3)는 Y축으로 이동하며 인쇄하여 제2 구역을 인쇄할 수 있다(S140).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제2 구역을 인쇄하게 되면 서로 인접한 제1 구역과 제2 구역은 제6 노즐(N6)로 인쇄하게 되어 구역간 인접 지역에 토출량에 의한 편차가 없어지게 된다. 제2 구역을 인쇄 후 Y축 방향으로 인쇄 대상체(1)를 통과하게 되면, 인쇄 헤드(H3)는 X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할 수 있다(S150). 이후, 인쇄 헤드(H3)는 중심축(P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S160). 이후, 도 6의 인쇄 헤드(H3)의 움직임을 다시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인쇄 대상체(1)를 인쇄할 수 있다. 즉, -Y축으로 이동하며 인쇄하며 제3 구역을 인쇄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구역과 제3 구역의 인접 지역은 제1 노즐(N1)로 인쇄되어 각 구역간 노즐 편차가 없이 인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은, 도 5를 참조하면, 인쇄 대상체(1)가 고정되고, 인쇄 헤드(H3)는 인쇄 대상체(1)에 대하여 X축 또는 Y축을 따라 이동하거나 중심축(P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인쇄 장치(100)를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인쇄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인쇄 장치(100)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인쇄 장치(100)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7은 인쇄 대상체(1)를 평행이동 시키거나 인쇄 헤드(H3)를 회전 운동시키는 인쇄 장치(2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서 인쇄 대상체(1)와 인쇄 헤드(H3)의 움직임의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인쇄 장치(200)에 따르면 인쇄 대상체(1)를 평행이동 시키며, 인쇄 헤드(H3)는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인쇄 대상체(1)의 제1 구역을 인쇄 하기 위하여 인쇄 대상체(1)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S210). 이후, 인쇄 대상체(1)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S220). 이후, 인쇄 헤드(H3)를 중심축(P1)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S230). 이후, 인쇄 대상체(1)를 -Y축으로 이동시키며 제2 구역을 인쇄 할 수 있다(S240). 이후, 제3 구역을 인쇄 하기 위하여 인쇄 대상체(1)를 -X축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S250). 이후, 인쇄 헤드(H3)를 회전시킬 수 있다(S260). 이후, 도 8의 인쇄 헤드(H3)의 움직임을 다시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인쇄 대상체(1)를 인쇄할 수 있다. 즉, 인쇄 대상체(1)를 Y축으로 이동하며 인쇄하며 제3 구역을 인쇄할 수 있다.
물론 인쇄 장치(100)의 구성이나 인쇄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인쇄 장치(100)는 인쇄 헤드(H3)를 고정하고 인쇄 대상체(1)를 평행 이동 및 회전운동 시켜 인쇄 헤드(H3)와 인쇄 대상체(1)간의 상대적 거리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는, 인쇄 헤드(H3)나 인쇄 대상체(1)가 모두 평행이동 및 회전 운동하여 인쇄 헤드(H3)와 인쇄 대상체(1)간의 상대적 거리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인쇄 헤드(H3)를 회전시켜 노즐의 위치를 변화시 인쇄 헤드(H3)와 인쇄 대상체(1)의 상대적 거리를 정밀화 하기 위하여 인쇄 헤드(H3)의 회전각(
Figure pat00004
)을 보정하여 인쇄 헤드(H3)의 위치를 보정하는 제어 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인쇄 헤드(H3)의 위치 보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도 5의 실시예에서 인쇄 헤드(H3)의 위치보정을 설명하는 인쇄 헤드(H3)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실시예에서 인쇄 헤드(H3)의 움직임과 위치 보정의 흐름도이다. 이때, 제어 시스템은 인쇄 헤드(H3)의 인쇄 대상체(1)에 대한 위치가 제1 구역에서 제2 구역으로 전환시 인쇄 헤드(H3)가 제2 구역에서 인쇄를 시작하는 위치를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이때, 제1 구역에서 제2 구역으로 전환시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물론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인접한 구역으로 이동시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도 9를 참조하면, 인쇄 헤드(H3)는 비전 카메라(C)를 구비한다. 또한, 인쇄 대상체(1) 또는 그 주위 스테이지 상에 얼라인 마크(M)를 가지고 있어 비전 카메라(C)가 얼라인 마크(M)를 읽고 인쇄 헤드(H3)의 회전각(
Figure pat00005
)를 조절하여 인쇄 헤드(H3)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시스템은 인쇄 대상체(1)에 대한 인쇄 헤드(H3)의 위치를 수신하는 단계(S231, S261)와 인쇄 헤드(H3)의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S232, S262)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 시스템의 단계들은 인쇄 헤드(H3)를 회전한 후 Y축 상에서 이동하기 전에 이루어지므로 도 8의 흐름도에 인쇄 헤드(H3)의 회전과 인쇄 대상체(1)의 Y축상 이동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인쇄 대상체(1)의 제1 구역을 인쇄 하기 위하여 인쇄 대상체(1)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S210). 이후, 인쇄 대상체(1)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S220). 이후, 인쇄 헤드(H3)를 중심축(P1)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S230). 이후, 인쇄 대상체(1)에 대한 인쇄 헤드(H3)의 위치를 수신할 수 있다(S231). 이후, 인쇄 헤드(H3)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S232). 이후, 인쇄 대상체(1)를 -Y축으로 이동시키며 제2 구역을 인쇄 할 수 있다(S240). 이후, 제3 구역을 인쇄 하기 위하여 인쇄 대상체(1)를 -X축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S250). 이후, 인쇄 헤드(H3)를 회전시킬 수 있다(S260). 이후, 인쇄 대상체(1)에 대한 인쇄 헤드(H3)의 위치를 수신할 수 있다(S261). 이후, 인쇄 헤드(H3)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S262). 이후, 도 8의 인쇄 헤드(H3)의 움직임을 다시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인쇄 대상체(1)를 인쇄할 수 있다. 즉, 인쇄 대상체(1)를 Y축으로 이동하며 인쇄하며 제3 구역을 인쇄할 수 있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4는 도 2 실시예의 다양한 변형예들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인쇄 대상체(1)는 고정되었고 인쇄 헤드(H)가 이동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그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인쇄 대상체(1)와 인쇄 헤드(H)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동할 수 있다. 즉, 인쇄 대상체(1)가 평행이동하고 인쇄 헤드(H)가 회전 운동할 수도 있고, 또는, 인쇄 대상체(1)와 인쇄 헤드(H) 모두 평행 이동 및 회전운동 할 수도 있다. 또한, 인쇄 헤드(H) 또는 인쇄 대상체(1)의 회전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인쇄 헤드(H)의 보정하는 단계 또는 보정하는 구성을 추가적으로 더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1은 도 2의 실시예의 제2 변형예로 인쇄 대상체 상의 인쇄 헤드의 이동을 위에서 바라본 개략적 개념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인쇄 헤드(H4)는 제1 노즐(N1) 내지 제6 노즐(N6)을 구비하며 제1 노즐(N1)이 배치된 인쇄 헤드(H4)의 제1 단부상에 제1 회전축(P2)을 구비하고 제6 노즐(N6)이 배치된 제2 단부상에 제2 회전축(P3)을 구비할 수 있다. 인쇄 헤드(H4)를 -Y축으로 이동시키며 제1 구역을 인쇄 할 수 있다. 이후 인쇄 헤드(H4)의 제2 회전축(P3)을 중심으로 회전 시킬 수 있다. 이후, Y축 방향으로 이동 시키며 제2 구역을 인쇄 할 수 있다. 이후, 인쇄 헤드(H4)의 제1 회전축(P2)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다시 -Y축으로 인쇄 헤드(H4)를 이동시키며 제3 구역을 인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인쇄 대상체(1)를 인쇄할 수 있다.
도 12는 도 2의 실시예의 제3 변형예로 인쇄 대상체(1) 상의 인쇄 헤드(H5)의 이동을 위에서 바라본 개략적 개념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인쇄 헤드(H5)는 제1 노즐(N1) 내지 제6 노즐(N6)을 구비하며 제1 노즐(N1)이 배치된 인쇄 헤드(H5)의 제1 단부상에 제1 회전축(P2)을 구비할 수 있다. 인쇄 헤드(H5)를 -Y축으로 이동시키며 제1 구역을 인쇄 할 수 있다. 이후 인쇄 헤드(H5)의 제1 회전축(P2)을 중심으로 회전 시킬 수 있다. 이때, 회전 방향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후, X축 방향으로 이동 시킬 수 있다. 이후, Y축 방향으로 이동 시키며 제2 구역을 인쇄 할 수 있다. 이후, 인쇄 헤드(H5)를 다시 제1 회전축(P2)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는 X축 방향의 이동이 필요 없으며 다시 -Y축으로 인쇄 헤드(H5)를 이동시키며 제3 구역을 인쇄 할 수 있다. 이후, -Y축 방향으로 인쇄 헤드(H5)를 이동시키며 인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인쇄 대상체(1)를 인쇄할 수 있다. 도 11의 실시예가 회전축(P2, P3)을 두 개 필요로 하는데 반하여 도 12의 실시예는 하나의 회전축으로 방향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3은 도 2의 실시예의 제4 변형예로 인쇄 대상체(1) 상의 인쇄 헤드(H6)의 이동을 위에서 바라본 개략적 개념도이다. 도 13를 참조하면, 인쇄 헤드(H6)는 제1 노즐(N1) 내지 제6 노즐(N6)을 구비하며 제6 노즐(N6)이 배치된 인쇄 헤드(H6)의 제2 단부상에 제2 회전축(P3)을 구비할 수 있다. 인쇄 헤드(H6)를 -Y축으로 이동시키며 제1 구역을 인쇄 할 수 있다. 이후 인쇄 헤드(H6)의 제2 회전축(P3)을 중심으로 회전 시킬 수 있다. 이후, Y축 방향으로 이동 시키며 제2 구역을 인쇄 할 수 있다. 이후, 인쇄 헤드(H6)를 다시 제2 회전축(P3)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후, X축으로 이동시켜 인쇄 헤드(H6)와 인쇄 대상체(1)의 얼라인을 다시 맞출 수 있다. 이후, -Y축으로 인쇄 헤드(H6)를 이동시키며 제3 구역을 인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인쇄 대상체(1)를 인쇄할 수 있다.
도 14는 도 2의 실시예의 제5 변형예로 인쇄 대상체(1) 상의 인쇄 헤드(H7)의 이동을 위에서 바라본 개략적 개념도이다. 도 14는 인쇄 헤드(H7)의 기울어진 경사 방향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인쇄 헤드(H2)는 진행 방향에 대하여 좌저우고의 경사를 가지고 있으나 도 14에서는 인쇄헤드(H7)가 좌고우저의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5에서 설명한 인쇄 방법 및 인쇄 장치(100, 200)는 특정 인쇄 대상체(1) 상에 인쇄하는 방법에 제한되지 않으며 인쇄 가능한 인쇄 대상체(1)에 대한 실시될 수 있다. 인쇄 대상체(1)는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화소 영역을 가진 기판(10)일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여 기판(10)상에 인쇄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도 2의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인쇄 헤드(H8, H9, H10)를 이용하여 적(R), 녹(G), 청(B)를 각각 인쇄 대상체(1)에 인쇄하는 것을 위에서 바라본 개략적 개념도이다. 기판(10)상에는 복수 개의 화소영역(pixel region, PR)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화소영역(PR)에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소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0)의 해상도가 1024 ×768일 경우, 화소영역(PR)들은 약 1024 ×768 ×3 개가 기판(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 화소영역에 적색(R), 녹색(G), 청색(B)의 발광 물질을 채울 수 있다. 이때, 제1 인쇄 헤드(H8)은 적색(R) 발광물질을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제2 인쇄 헤드(H9)은 녹색(G) 발광물질을, 제3 인쇄 헤드(H10)는 청색(B) 발광물질을 각각 분사할 수 있다. 이때, 인쇄 헤드(H8, H9, H10)는 각각 백색광을 필터링 하여 단색광을 발생하는 적색(R)컬러필터 물질, 녹색(G) 컬러필터 물질 및 청색(B) 컬러필터 물질 등을 분사하여 컬러 필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인쇄 헤드(H)의 인쇄 방법은 잉크젯 프린팅 방법일 수도 있고 또는 노즐 프린팅 방법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의 사용하는 모든 산업에 이용될 수 있다.
1: 인쇄 대상체 10: 기판
C:카메라 H: 인쇄 헤드
N1, N2, N3, N4, N5, N6:노즐 P1, P2, P3: 회전 중심축

Claims (27)

  1.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인쇄 헤드가 서로 인접한 제1 구역과 제2 구역을 순차적으로 인쇄시 제1 구역에서 상기 제2 단부가 인쇄하는 면과 상기 제2 구역에서 상기 제2 단부가 인쇄하는 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인쇄 헤드와 인쇄 대상체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인쇄하는 인쇄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의 상기 인쇄 대상체에 대한 위치가 상기 제1 구역에서 상기 제2 구역으로 전환시, 상기 인쇄 헤드는 상기 인쇄 대상체에 대하여 회전하는 인쇄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는 상기 인쇄 헤드 상 적어도 어느 한 점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인쇄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는 상기 인쇄 헤드의 일 단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인쇄 방법.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는 상기 인쇄 헤드의 중심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인쇄 방법.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는 상기 인쇄 헤드의 양 단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인쇄 방법.
  7.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와 상기 인쇄 대상체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은 상기 인쇄 헤드에 대해서 상기 인쇄 대상체를 이동하는 방법인 인쇄 방법.
  8.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와 상기 인쇄 대상체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은 상기 인쇄 대상체에 대해서 상기 인쇄 헤드를 수평 이동하는 방법인 인쇄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방법은 잉크젯 프린팅 방법인 인쇄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방법은 노즐 프린팅 방법인 인쇄 방법.
  11. 제1 항에 있어서,
    발광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인쇄 헤드는 발광 물질을 분사하는 인쇄 방법.
  12. 제1 항에 있어서,
    칼라필터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인쇄 헤드는 칼라필터층의 안료를 분사하는 인쇄 방법.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방법은 단일 색상의 안료를 분사하는 상기 인쇄 헤드를 복수 개 사용하여 인쇄하는 인쇄 방법.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는 상기 인쇄 대상체의 인쇄면 상에서 진행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인쇄하는 인쇄 방법.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방법은 상기 인쇄 대상체에 대하여,
    상기 인쇄 헤드를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며 인쇄하는 단계;
    상기 인쇄 헤드를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인쇄 헤드를 회전하는 단계;
    상기 인쇄 헤드를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며 인쇄하는 단계;
    상기 인쇄 헤드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인쇄 헤드를 회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 방법.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방법은,
    상기 인쇄 대상체를 상기 인쇄 헤드에 대하여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며 인쇄하는 단계;
    상기 인쇄 대상체를 상기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인쇄 헤드를 회전하는 단계;
    상기 인쇄 대상체를 상기 인쇄 헤드에 대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며 인쇄 하는 단계;
    상기 인쇄 대상체를 상기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인쇄 헤드를 회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 방법.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의 상기 인쇄 대상체에 대한 위치가 상기 제1 구역에서 상기 제2 구역으로 전환시 상기 인쇄 헤드가 상기 제2 구역에서 인쇄를 시작하는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인쇄 대상체에 대한 상기 인쇄 헤드의 위치를 비전 카메라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인쇄 헤드의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 방법.
  18.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인쇄 헤드가 서로 인접한 제1 구역과 제2 구역을 순차적으로 인쇄시 제1 구역에서 상기 제2 단부가 인쇄하는 면과 상기 제2 구역에서 상기 제2 단부가 인쇄하는 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인쇄 헤드와 인쇄 대상체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인쇄하는 인쇄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의 상기 인쇄 대상체에 대한 위치가 상기 제1 구역에서 상기 제2 구역으로 전환시 상기 인쇄 대상체에 대하여 상기 인쇄 헤드는 회전하는 인쇄 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는 상기 인쇄 헤드 상 적어도 어느 한 점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인쇄 장치.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는 상기 인쇄 헤드의 일 단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인쇄 장치.
  22.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는 상기 인쇄 헤드의 중심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인쇄 장치.
  23.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는 상기 인쇄 헤드의 양 단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인쇄 장치.
  24.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는 복수 개의 노즐을 구비하는 인쇄 장치.
  25. 제18 항 또는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는 잉크젯 프린팅 방식으로 인쇄하는 인쇄 장치.
  26. 제18 항 또는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는 노즐 프린팅 방식으로 인쇄하는 인쇄 장치.
  27.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의 상기 인쇄 대상체에 대한 위치가 상기 제1 구역에서 상기 제2 구역으로 전환시 상기 인쇄 헤드가 상기 제2 구역에서 인쇄를 시작하는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인쇄 대상체에 대한 상기 인쇄 헤드의 위치를 수신하는 비전 카메라; 및
    상기 인쇄 헤드의 위치를 보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인쇄 장치.
KR1020100013843A 2010-02-16 2010-02-16 인쇄 방법 및 인쇄 장치 KR101174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843A KR101174878B1 (ko) 2010-02-16 2010-02-16 인쇄 방법 및 인쇄 장치
JP2011029017A JP5792478B2 (ja) 2010-02-16 2011-02-14 プリンティング方法及びプリンティング装置
US13/028,800 US8596739B2 (en) 2010-02-16 2011-02-16 Printing method and prin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843A KR101174878B1 (ko) 2010-02-16 2010-02-16 인쇄 방법 및 인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4457A true KR20110094457A (ko) 2011-08-24
KR101174878B1 KR101174878B1 (ko) 2012-08-17

Family

ID=44369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843A KR101174878B1 (ko) 2010-02-16 2010-02-16 인쇄 방법 및 인쇄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596739B2 (ko)
JP (1) JP5792478B2 (ko)
KR (1) KR1011748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4066A (ko) * 2018-01-08 2019-08-12 엑스와이지프린팅, 인크. 입체 프린터 및 그 스캔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31077A1 (en) * 2012-02-21 2013-08-28 Dip Tech. Ltd. Printing system
US9079439B2 (en) 2012-04-13 2015-07-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otatable printhead assembly
EP3025868A1 (de) 2012-10-18 2016-06-01 Durst Phototechnik Digital Technology GmbH Zweidimensionales verfahren zum tintenstrahldrucken mit druckkopfausrichtung
DE102013101693B9 (de) * 2013-02-20 2015-11-12 Notion Systems GmbH Oberflächenbearbeitungsvorrichtung
US10226951B1 (en) 2017-11-14 2019-03-12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ivoting a printhead in a direct-to-object printer during printing of an object
GB201803979D0 (en) * 2018-03-13 2018-04-25 Johnson Matthey Plc Security device, method of making a security device and method of authenticating a product
US10639909B1 (en) * 2018-10-18 2020-05-05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inting on three-dimensional objects with ultraviolet curable inks in a direct-to-object printer
KR20200131421A (ko) * 2019-05-14 2020-11-24 세메스 주식회사 약액 토출 장치 및 약액 토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10250B2 (en) * 1997-07-15 2008-08-12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nkjet nozzle with supply duct dimensioned for viscous damping
US7401884B2 (en) * 1997-07-15 2008-07-22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nkjet printhead with integral nozzle plate
US7591539B2 (en) * 1997-07-15 2009-09-22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nkjet printhead with narrow printing zone
US6406126B1 (en) * 2000-08-24 2002-06-18 Eastman Kodak Company Multiple head inkjet printer for producing adjacent images
JP3953776B2 (ja) * 2001-01-15 2007-08-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材料の吐出装置、及び吐出方法、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液晶装置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el装置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2003089195A (ja) * 2001-09-17 2003-03-25 Toshiba Tec Corp 記録ヘッド及びこれを用いる記録装置
JP2004141973A (ja) * 2002-10-22 2004-05-20 Nihon Micro Coating Co Ltd パネルクリーニング方法
JP3798396B2 (ja) 2003-10-17 2006-07-19 ニチハ株式会社 建築板印刷装置
KR101048371B1 (ko) * 2003-11-21 2011-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적 공급 설비,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US7374266B2 (en) * 2004-05-27 2008-05-20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Method for at least partially compensating for errors in ink dot placement due to erroneous rotational displacement
US7377609B2 (en) * 2004-05-27 2008-05-27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Printer controller for at least partially compensating for erroneous rotational displacement
US7484831B2 (en) * 2004-05-27 2009-02-03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Printhead module having horizontally grouped firing order
US20060132516A1 (en) * 2004-05-27 2006-06-22 Walmsley Simon R Printer controller for causing expulsion of ink from nozzles in groups, alternately, starting at outside nozzles of each group
US7735944B2 (en) * 2004-05-27 2010-06-15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Printer comprising two printhead modules and at least two printer controllers
US7427117B2 (en) * 2004-05-27 2008-09-23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Method of expelling ink from nozzles in groups, alternately, starting at outside nozzles of each group
US7448707B2 (en) * 2004-05-27 2008-11-11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Method of expelling ink from nozzels in groups, starting at outside nozzels of each group
US7314261B2 (en) * 2004-05-27 2008-01-01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Printhead module for expelling ink from nozzles in groups, alternately, starting at outside nozzles of each group
US7758143B2 (en) * 2004-05-27 2010-07-20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Printhead module having nozzle redundancy
US8011747B2 (en) * 2004-05-27 2011-09-06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Printer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printhead with horizontally grouped firing order
US7252353B2 (en) * 2004-05-27 2007-08-07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Printer controller for supplying data to a printhead module having one or more redundant nozzle rows
US7866778B2 (en) * 2004-05-27 2011-01-11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Printhead module having nozzle redundancy for faulty nozzle tolerance
US7549715B2 (en) * 2004-05-27 2009-06-23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Printer controller for causing expulsion of ink from nozzles in groups, starting at outside nozzles of groups
EP1778496B1 (en) * 2004-08-06 2015-07-22 S. Dana Seccombe Method and means for higher speed inkjet printing
KR20060034869A (ko) 2004-10-20 2006-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프린팅 시스템용 헤드 유니트
JP2006159114A (ja) 2004-12-08 2006-06-22 Seiko Epson Corp 液滴吐出装置を用いた描画方法、液滴吐出装置、並びに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060098305A (ko) 2005-03-11 2006-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프린팅 시스템용 헤드 유니트
KR20060100750A (ko) * 2005-03-18 2006-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적분사장치, 이를 이용한 화소패턴 형성방법 및 이를갖는 표시기판
KR100677579B1 (ko) * 2005-04-26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JP4935152B2 (ja) * 2005-06-24 2012-05-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滴吐出方法
JP4487950B2 (ja) 2006-02-22 2010-06-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パターン形成方法、液滴吐出装置及び電気光学装置
US7568777B2 (en) * 2007-07-30 2009-08-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ltering firing order
US20090195579A1 (en) * 2008-02-06 2009-08-06 Tousi Susan H Inkjet printing system and method of printing
US7800089B2 (en) * 2008-02-27 2010-09-21 Eastman Kodak Company Optical sensor for a prin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4066A (ko) * 2018-01-08 2019-08-12 엑스와이지프린팅, 인크. 입체 프린터 및 그 스캔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99409A1 (en) 2011-08-18
JP5792478B2 (ja) 2015-10-14
US8596739B2 (en) 2013-12-03
KR101174878B1 (ko) 2012-08-17
JP2011167684A (ja) 201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4878B1 (ko) 인쇄 방법 및 인쇄 장치
US6667795B2 (en) Head unit, display device panel manufactur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anel for display device using the head unit,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manufacturing method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color filter, and device hav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060093751A1 (en) System and methods for inkjet printing for flat panel displays
US20090122110A1 (en) Ink Discharging Apparatus and Ink Discharging Method
CN110167761B (zh) 通过喷墨打印在基板上打印变化的结合区图案的方法
JP2004031070A (ja) 有機el材料塗布装置とその塗布方法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JP2010017683A (ja) 液滴塗布装置及び液滴塗布方法
JP2007256312A (ja) 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インクジェット塗工装置
US8944564B2 (en)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WO2018030256A1 (ja) 膜形成方法及び膜形成装置
US10847723B2 (en) Droplet discharge method, program, manufacturing method of organic el device, forming method of color filter
CN108511634A (zh) 喷墨打印机及其打印方法
JP2010026181A (ja) 液滴塗布装置及び液滴塗布方法
JP2006159117A (ja) ヘッド位置補正方法およびヘッド位置補正装置、並びに液滴吐出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
US8247021B2 (en) Liquid material arrangement method, color filter manufacturing method, and organic EL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JP2006159703A (ja) 液滴吐出装置を用いた描画方法、液滴吐出装置、並びに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6159114A (ja) 液滴吐出装置を用いた描画方法、液滴吐出装置、並びに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6189550A (ja) インクジェット法を用いたマトリクス状の微小領域の描画方法
JP2004111074A (ja) 有機el表示装置の製造装置と、その製造方法
KR20190030203A (ko) 인쇄 장치
JP5384816B2 (ja) 液滴塗布装置及び液滴塗布方法
JP2007263990A (ja) 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
KR10053180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제작을 위한 잉크젯 도포 방법
US20240165980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inting on a substrate by way of inkjet printing
KR100547975B1 (ko) 멀티헤드및랜딩에러보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