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3807A - 선형 구동장치의 장착 장치 - Google Patents

선형 구동장치의 장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3807A
KR20110093807A KR1020117011575A KR20117011575A KR20110093807A KR 20110093807 A KR20110093807 A KR 20110093807A KR 1020117011575 A KR1020117011575 A KR 1020117011575A KR 20117011575 A KR20117011575 A KR 20117011575A KR 20110093807 A KR20110093807 A KR 20110093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linear drive
sleeve
bolts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1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7093B1 (ko
Inventor
크리스토프 앙게러
안드레아스 리니히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10093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3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6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by linear actuators, e.g. linear screw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8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f the electric motor for adjusting the seat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볼트(16a, 16b)를 이용한 선형 구동장치(1)의 장착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선형 구동장치(1)는 트랜스미션 하우징(4)을 가진 트랜스미션(3)에 있는 모터(15)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미션 하우징(4)에 있는 2개의 개구는 볼트 수용부(20a, 20b)를 형성하고, 볼트들(16a, 16b)의 각각은 볼트 헤드(22), 고정 섹션(24), 및 상기 볼트 헤드(22)와 상기 고정 섹션(24) 사이의 베어링 섹션(23)으로 나눠지고, 상기 고정 섹션(24)은 볼트(16a, 16b)를 볼트 수용부(20a, 20b) 내에 고정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볼트 헤드(22)가 트랜스미션 하우징(4)의 외부면으로부터 이격되고, 따라서 베어링 섹션(23)이 트랜스미션 하우징(4) 외부에 선형 구동장치(1)용 베어링으로서 배치된다.

Description

선형 구동장치의 장착 장치{DEVICE FOR MOUNTING A LINEAR DRIVE}
본 발명은 선형 구동장치의 장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형 구동장치, 특히 스핀들 구동장치는 전기 모터의 회전 운동을 병진 운동으로 바꾸기 위해 사용된다. 이는 대부분 승강력을 위해 회전 속도가 감소하는 웜 구동장치에 기초한 전기 모터의 감속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스핀들 구동장치는 예컨대 카 시트, 스티어링 컬럼 등과 같은 시스템의 조절을 위해 그리고 자동차와 떨어진 용도에서 병진 운동이 필요한 모든 곳에 사용될 수 있다.
스핀들 구동장치는 회전 스핀들 구동장치와 삽입 스핀들 구동장치로 나눠지고, 이들은 그 기능면에서 하기와 같은 차이점을 갖는다: 회전 스핀들 구동장치의 경우 축 방향 행정 운동이 스핀들 너트에 의해 실시되고, 나사 스핀들은 회전 자유도만을 갖는다. 삽입 스핀들 구동장치의 경우 축 방향 행정 운동은 나사 스핀들 자체에 의해 실시되며, 회전 스핀들 구동장치와는 달리 스핀들 너트가 조절될 메커니즘에 대한 연결부로서 사용되지 않고, 나사 스핀들 자체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2개의 볼트에 의해 선형 구동장치를 장착하는, 특히 자동차 내에서 시트 조절을 위해 삽입 스핀들 구동장치를 장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와 본 발명에 따라 장착된 선형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조절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시스템 구조물 내에 선형 구동장치의 연결이 수명에 걸쳐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전술한 방식의 장착 장치를 개선하는 것이다.
2개의 볼트를 이용해서 선형 구동장치를 장착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수명에 걸쳐 시스템 구조물 내에 선형 구동장치의 확실한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차량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사용시, 충돌 강도가 훨씬 높아질 수 있다. 작동 안정성 및 충돌 강도의 이러한 증가는 실질적으로 휨 응력을 전단 응력으로 변환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모듈식 구성에 의해, 다양한 조절 메커니즘에 본 발명의 간단한 실시 가능성이 주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부품 다양성이 적기 때문에, 제조 및 조립 비용이 절감된다. 이러한 모든 장점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2개의 볼트를 이용해서 선형 구동장치를 장착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선형 구동장치는 트랜스미션 하우징을 가진 트랜스미션에 모터를 포함하며, 트랜스미션 하우징에 있는 2개의 개구들은 볼트 수용부를 형성한다. 2개의 볼트들은 각각 볼트 헤드, 고정 섹션 및 베어링 섹션으로 세분된다. 베어링 섹션은 볼트 헤드와 고정 섹션 사이에 배치된다. 고정 섹션은 볼트 수용부 내에 볼트를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므로, 볼트 헤드는 트랜스미션 하우징의 외부면으로부터 이격되고, 따라서 베어링 섹션은 트랜스미션 하우징의 외부에 선형 구동장치에 대한 베어링 또는 현수 점으로서 제공된다. 즉, 볼트들은 3부분으로 구현되고, 중간 부분, 즉 베어링 섹션은 예컨대 차량 시트에 대한 인터페이스 부품의 베어링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볼트의 고정 섹션에 대한 대응 부품으로서 사용되는 트랜스미션 하우징 내의 2개의 볼트 수용부에 의해, 인터페이스 부품에 대한 휨 응력이 전단 응력으로 변환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부하 하에서 인터페이스 부품의 휨이 방지되고, 충돌 강도 및 작동 안정성이 증가한다. 물론, 볼트 헤드가 볼트의 일체형 부분일 필요는 없으며, 예컨대 나사 결합되는 너트로도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제시된다.
전단 응력으로의 상기 변환을 더욱 최적화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볼트 수용부의 길이가 볼트의 축 방향으로 볼트의 고정 섹션의 직경의 적어도 1/2, 바람직하게는 3/4, 특히 바람직하게는 직경 전체에 상응한다. 볼트 수용부는 볼트에 전단 응력이 가해지기에 충분한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2개의 볼트의 베어링 섹션들이 선형 구동장치의 슬라이딩 베어링으로서 사용된다.
슬라이딩 베어링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2개의 볼트의 베어링 섹션들은 원통형이고, 2개의 베어링 섹션의 회전 대칭 축선들은 일직선이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회전 자유도가 제공되고, 선형 구동장치는 예컨대 조절 운동의 실시시 선회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트랜스미션 하우징 및 하나 이상의 볼트의 볼트 헤드는 베어링 섹션의 직경을 지나 돌출함으로써, 슬라이딩 베어링에 대해 볼트 축 방향으로 축 방향 스토퍼를 형성한다. 따라서, 베어링 섹션 상의 인터페이스 부품은 양측에서 축 방향으로 고정 또는 지지된다. 또한, 여기서는 볼트 수용부가 베어링 섹션 또는 인터페이스 부품까지 접근함으로써, 볼트 및 인터페이스 부품에 대한 휨 응력이 감소한다. 물론, 인터페이스 부품은 슬라이딩 베어링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고정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트랜스미션 하우징은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는 그 외부면에 2개의 슬리브 개구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2개의 슬리브 개구들은 볼트 수용부를 형성한다. 볼트 수용부는 트랜스미션 하우징 내에 직접 실시되지 않고, 슬리브가 트랜스미션 하우징을 보완하며, 슬리브의 외부면에 볼트 수용부가 형성된다. 슬리브는 바람직하게 일체형 및 다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체형 구현의 경우, 예컨대 2개의 셸 절반을 가진 구성이 제공된다.
슬리브의 바람직한 개선예에서, 슬리브는 트랜스미션 하우징의 케이싱 관 상에 놓이고, 상기 케이싱 관은 슬리브 개구와 일직선으로 하나 이상의 볼트 개구를 가지며, 하나 이상의 볼트는 고정 섹션에 축 방향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슬리브를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케이싱 관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볼트 개구 내에 삽입된다. 트랜스미션 하우징은 케이싱 관을 가지며, 삽입 스핀들 구동장치의 경우 상기 케이싱 관 내에서 삽입 스핀들이 왕복 이동된다. 상기 비교적 얇은 케이싱 관 상에 슬리브가 놓이고, 양측의 볼트 수용부는 케이싱 관으로부터 인터페이스 부품으로의 슬리브 보강부를 형성한다. 슬리브를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케이싱 관에 고정하고 힘을 케이싱 관으로부터 볼트로 전달하기 위해, 케이싱 관은 하나 이상의 볼트 개구를 가지며, 상기 볼트 개구 내로 하나 이상의 볼트가 돌출한다. 상기 볼트는 다양하게 구현되며, 볼트 헤드, 베어링 섹션, 고정 섹션 및 축방향 연장부를 갖는다. 케이싱 관을 가진 이 변형예는 조립이 매우 용이하고, 예컨대 기존의 스핀들 구동장치, 특히 삽입 스핀들 구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2개의 대향 배치된 볼트가 최적으로 사용되며 하나의 연속하는 볼트가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이 해결책은 삽입 스핀들 구동장치에 가장 적합하다.
슬리브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슬리브가 링으로 형성되고, 2개의 볼트 수용부들이 볼트 수용부의 길이에 걸쳐 연장된 각각 하나의 보강부로 형성된다. 링은 재료 절감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슬리브는 볼트 수용부 둘레에만 보강되어 형성된다. 보강된 볼트 수용부들은 링과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거나 또는 별도의 슬리브로서 볼트의 고정 섹션 상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고정 섹션이 스크루 결합 또는 억지 끼워맞춤 및/또는 접착 결합에 의해 볼트 수용부 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볼트는 적어도 축 방향으로 형상-끼워맞춤(positive) 결합, 비 형상-끼워맞춤(non-positive) 결합 및/또는 재료 결합에 의해 고정된다.
바람직한 적용에서, 선형 구동장치는 삽입 스핀들 구동장치이다. 하나의 연속하는 볼트 대신에 본 발명에 따라 2개의 대향 배치된 볼트가 사용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매우 컴팩트하게 구성되고, 삽입 스핀들의 운동이 방해받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시트, 특히 차량 시트, 및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해 장착되는 선형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조절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시트는 하나 이상의 홀을 가진 인터페이스 부품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볼트의 베어링 섹션은 상기 홀 내에 놓인다. 상기 시트 조절 메커니즘은 차량 시트의 높이 및/또는 경사 조절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해, 시스템 구조물 내에 선형 구동장치의 연결이 수명에 걸쳐 확실히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선형 구동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없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선형 구동장치의 단면도.
도 1a는 선형 구동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없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선형 구동장치의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 실시예의 단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차량 내에서 시트 조절을 위해 사용되는 선형 구동장치(1)를 도시한다. 편의상, 선형 구동장치(1)의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다. 선형 구동장치(1)는 삽입 스핀들로서 형성된 나사 스핀들(2), 트랜스미션(3) 및 전기 모터(15)를 포함한다. 트랜스미션(3)은 원통형 케이싱 관(5)을 가진 트랜스미션 하우징(4)을 포함한다. 또한, 도 1은 나사 스핀들(2)을 구동시키는 웜 휠(6) 및 다양한 베어링 부재를 도시한다: 제 1 베어링 디스크(7), 파형 스프링(8), 베어링 슬리브(9) 및 제 2 베어링 디스크(10). 나사 스핀들(2)의 끝 위치를 규정하기 위해, 트랜스미션(3)은 스토퍼 슬리브(11) 및 스페이서 슬리브(13)를 포함한다. 나사 스핀들(2)의 단부에는 단부 스토퍼(12)가 배치되고, 나사 스핀들(2)의 다른 측면에는 선형 구동장치를 차량 내 시트 조절 메커니즘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14)가 배치된다.
나사 스핀들(2)은 스핀들 축선(2a)을 따라 축방향 행정 운동을 한다. 나사 스핀들(2)은 트랜스미션(3)을 통해 삽입된다. 트랜스미션(3)은 이를 위해 케이싱 관(5)을 가지며, 상기 케이싱 관 내에 웜 휠(6)이 방사방향으로 지지된다. 축 방향 지지는 제 1 베어링 디스크(7)에 의해 이루어지며, 케이싱 관(5)과 제 1 베어링 디스크(7) 사이에 유격 보상을 위한 파형 스프링(8)이 배치된다. 웜 휠(6)의 축 방향 및 방사 방향 지지는 제 2 베어링 디스크(10)와 함께 베어링 슬리브(9)에 의해 이루어진다. 스토퍼 댐핑은 스토퍼 슬리브(11)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스토퍼 슬리브 상에 단부 스토퍼(12)의 끝 위치가 놓인다. 맞은편 측면에서, 연결부(14)는 스페이서 슬리브(13) 상에 평면으로 놓인다.
웜 휠(3)을 구동시키는 전기 모터(15)는 웜 구동장치에 의해 기어 비를 통해 필요한 조절력을 제공한다.
도 1a는 도 1과 동일한 선형 구동장치를 분해도로 도시한다. 트랜스미션 하우징(4)은 2개의 셸을 포함하고, 따라서 트랜스미션 커버(4a)를 갖는다. 상기 트랜스미션 커버(4a)는 4개의 스크루(4b)에 의해 트랜스미션 하우징(4)과 결합한다. 또한, 도 1a는 전기 모터(15)가 웜(6a)과 결합하는 것이 도시된다. 웜(6a)은 웜 휠(6) 내로 맞물린다. 또한, 트랜스미션 하우징 내에 보상 플레이트(28) 및 댐핑 부재(29)가 웜(6a)의 축 방향 보상을 위해 배치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라 제 1 볼트(16a) 및 제 2 볼트(16b)에 의해 선형 구동장치(1)를 장착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도시한다. 도 1에 대해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선형 구동장치(1)는 전기 모터(15), 및 트랜스미션 하우징(4)과 케이싱 관(5)을 가진 트랜스미션(3)을 포함한다. 추가로, 도 2는 제 1 볼트(16a) 및 제 2 볼트(16b), 슬리브(17), 제 1 인터페이스 부품(18a) 및 제 2 인터페이스 부품(18b)을 도시한다. 제 1 인터페이스 부품(18a)은 제 1 인터페이스 홀(19a)을 포함하고, 제 2 인터페이스 부품(18b)은 제 2 인터페이스 홀(19b)을 포함한다. 슬리브(17)는 링(17a)으로서 형성되고, 외부면에서 대향 측면에 제 1 볼트 수용부(20a) 및 제 2 볼트 수용부(20b)가 연장된다. 제 1 볼트 수용부(20a) 및 제 2 볼트 수용부(20b)는 링(17a) 상에 보강부로서 형성된다. 케이싱 관 내부에서, 제 1 인터페이스 홀(19a) 및 제 2 인터페이스 홀(19b)과 일직선으로 제 1 볼트 개구(26a) 및 맞은 편 제 2 볼트 개구(26b)(제 1 볼트 개구(26a)는 도 3에 처음으로 도시됨)가 배치된다. 선형 구동장치(1)의 가능한 선회 방향은 화살표(21)로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도 2에서 부분적으로 분해도로 도시된다. 물론, 당업자는 제 1 볼트(16a)가 제 1 볼트 수용부(20a)를 통해 연장하고 제 1 인터페이스 홀(19a)은 제 1 볼트 개구(26a) 내로 연장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유사한 것이 제 2 볼트(16b)에도 적용된다. 이 구성은 도 3을 참고로 더 자세히 설명된다.
제 1 인터페이스 부품(18a) 및 제 2 인터페이스 부품(18b)은 선형 구동장치(1)를 예컨대 차량 시트에 고정 또는 지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 1 인터페이스 부품(18a) 및 제 2 인터페이스 부품(18b)은 편의상 긴 박판으로 도시된다. 물론, 당업자는 제 1 인터페이스 부품(18a) 및 제 2 인터페이스 부품(18b)에 대한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며 실질적으로 제 1 인터페이스 홀(19a) 및 제 2 인터페이스 홀(19b)에 달려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슬리브(17), 특히 제 1 볼트 수용부(20a) 및 제 2 볼트 수용부(20b)가 생략되면, 제 1 볼트(16a) 및 제 2 볼트(16b)에 대한 휨 부하로서 나사 스핀들(2)을 따른 부하가 나타날 것이다. 이 휨 부하를 피하기 위해, 슬리브(17)가 제 1 볼트 수용부(20a) 및 제 2 볼트 수용부(20b)로 보강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를 나사 스핀들(2)의 길이 방향 축선에 대해 수직인 단면도로 도시한다. 여기서는 제 1 볼트(16a) 및 제 2 볼트(16b)가 각각 4개의 섹션으로 어떻게 나눠지는지가 잘 나타난다. 가장 외측의 섹션은 제 4 직경(D4)을 가진 볼트 헤드(22)이고, 그 다음에 직경(D3)을 가진 베어링 섹션(23), 제 1 직경(D1) 및 외부 나사를 가진 고정 섹션(24) 및 연장부(25)가 이어진다.
도 3에 잘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1 볼트 개구(26a), 제 2 볼트 개구(26b), 제 1 볼트 수용부(20a), 제 2 볼트 수용부(20b), 제 1 인터페이스 홀(19a) 및 제 2 인터페이스 홀(19b)이 볼트 축선(27)을 중심으로 동심으로 배치된다. 볼트 축선(27)은 제 1 볼트(16a) 및 제 2 볼트(16b)에 대한 회전 대칭 축선을 형성한다. 이로 인해, 전체 선형 구동장치(1)가 볼트 축선(27)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다. 이러한 선회 운동은 슬라이딩 베어링으로서 베어링 섹션(23)의 기능에 의해 지원된다. 제 3 직경(D3)을 가진 베어링 섹션(23)은 제 1 인터페이스 홀(19a) 또는 제 2 인터페이스 홀(19b) 내에 놓인다. 또한, 볼트 헤드(22)의 제 4 직경(D4)과 제 1 볼트 수용부(20a) 또는 제 2 볼트 수용부(20b)의 제 2 직경(D2)은 제 3 직경(D3) 보다 크다. 따라서, 제 1 인터페이스 부품(18a) 및 제 2 인터페이스 부품(18b)은 볼트 축선(27)을 따라 축 방향으로 지지되고 미끄러지지 않는다.
제 1 볼트(16a) 및 제 2 볼트(16b)가 실질적으로 전단 응력에 의해 부하를 받도록 하기 위해, 고정 섹션(24)의 제 1 직경(D1)은 고정 섹션(24)의 길이(L)와 동일하고, 전체 고정 섹션(24)은 길이(L)에 걸쳐 제 1 볼트 수용부(20a) 또는 제 2 볼트 수용부(20b)에 의해 지지된다.
선형 구동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도시된 장치는 전체 장치의 수명 동안 작동 안정성을 높인다. 장치를 본 발명에 따라 차량에 사용하면, 선형 구동장치 및 차량에 대한 그 연결부의 충돌 강도가 현저히 높아진다. 슬리브를 가진 모듈식 구성에 의해, 인터페이스 부품에 대한 연결이 유연성을 가지며, 다양한 조절 메커니즘에서 간단한 실시가 가능하다.
1 선형 구동장치
3 트랜스미션
4 트랜스미션 하우징
15 모터
16a, 16b 볼트
17 슬리브
18a, 18b 인터페이스 부품
19a, 19b 인터페이스 홀
20a, 20b 볼트 수용부
22 볼트 헤드
23 베어링 섹션
24 고정 섹션
25 연장부
26a, 26b 볼트 개구
27 축선
D1, D3 직경

Claims (11)

  1. 2개의 볼트(16a, 16b)를 이용한 선형 구동장치(1)의 장착 장치로서,
    - 상기 선형 구동장치(1)는 트랜스미션 하우징(4)을 가진 트랜스미션(3)에 있는 모터(15)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미션 하우징(4)에 있는 2개의 개구는 볼트 수용부(20a, 20b)를 형성하고,
    - 상기 볼트들(16a, 16b)은 각각 볼트 헤드(22), 고정 섹션(24), 및 상기 볼트 헤드(22)와 상기 고정 섹션(24) 사이의 베어링 섹션(23)으로 나눠지고,
    - 상기 고정 섹션(24)은 상기 볼트(16a, 16b)를 상기 볼트 수용부(20a, 20b) 내에 고정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볼트 헤드(22)가 상기 트랜스미션 하우징(4)의 외부면으로부터 이격되고, 따라서 상기 베어링 섹션(23)이 상기 트랜스미션 하우징(4) 외부에 상기 선형 구동장치(1)용 베어링으로서 배치되는, 선형 구동장치의 장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수용부(20a, 20b)의 길이(L)는 상기 볼트(16a, 16b)의 축 방향으로 상기 고정 섹션(24)의 제 1 직경(D1)의 적어도 1/2, 바람직하게는 3/4, 특히 바람직하게는 직경(D1) 전체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구동장치의 장착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볼트(16a, 16b)의 상기 베어링 섹션들(23)은 상기 선형 구동장치(1)의 지지를 위한 슬라이딩 베어링으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구동장치의 장착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볼트(16a, 16b)의 상기 베어링 섹션들(23)은 원통형이며 2개의 베어링 섹션들(23)의 회전 대칭 축선들(27)은 일직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구동장치의 장착 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미션 하우징(4) 및 하나 이상의 볼트(16a, 16b)의 상기 볼트 헤드(22)는 상기 베어링 섹션(23)의 제 3 직경(D3)을 지나 돌출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에 대해 상기 볼트(16a, 16b)의 축 방향으로 축 방향 스토퍼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구동장치의 장착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미션 하우징(4)은 슬리브(17)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17)는 그 외부면에 상기 2개의 볼트들(16a, 16b)에 대한 2개의 슬리브 개구들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슬리브 개구들은 상기 볼트 수용부들(20a, 20b)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구동장치의 장착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17)는 상기 트랜스미션 하우징(4)의 케이싱 관(5) 상에 놓이고, 상기 케이싱 관(5)은 슬리브 개구와 일직선으로 하나 이상의 볼트 개구(26a, 26b)를 가지며, 하나 이상의 볼트(16a, 16b)는 상기 고정 섹션(24)에 축 방향 연장부(25)를 갖고, 상기 연장부(25)는 상기 슬리브(17)를 상기 케이싱 관(5) 상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상기 볼트 개구(26a, 26b)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구동장치의 장착 장치.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17)는 링이고, 상기 2개의 볼트 수용부들(20a, 20b)은 상기 볼트 수용부(20a, 20b)의 전체 길이(L)에 걸쳐 연장된 각각 하나의 보강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구동장치의 장착 장치.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섹션(24)은 형상-끼워맞춤 결합 및/또는 비 형상-끼워맞춤 결합 및/또는 재료 결합에 의해 상기 볼트 수용부(20a, 20b)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구동장치의 장착 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구동장치(1)는 삽입 스핀들 구동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구동장치의 장착 장치.
  11. 시트 및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착 장치에 의해 장착되는 선형 구동장치(1)를 포함하는 시트 조절 메커니즘으로서,
    상기 시트는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홀(19a, 19b)을 가진 인터페이스 부품(18a, 18b)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볼트(16a, 16b)의 베어링 섹션(23)은 상기 인터페이스 홀(19a, 19b) 내에 배치되는, 시트 조절 메커니즘.
KR1020117011575A 2008-11-20 2009-09-24 선형 구동장치의 장착 장치 KR1016070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43904.5 2008-11-20
DE102008043904A DE102008043904A1 (de) 2008-11-20 2008-11-20 Vorrichtung zur Lagerung eines Linearantrieb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807A true KR20110093807A (ko) 2011-08-18
KR101607093B1 KR101607093B1 (ko) 2016-03-29

Family

ID=41210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1575A KR101607093B1 (ko) 2008-11-20 2009-09-24 선형 구동장치의 장착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346715B1 (ko)
KR (1) KR101607093B1 (ko)
CN (1) CN102216115B (ko)
DE (1) DE102008043904A1 (ko)
WO (1) WO20100577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77584A1 (de) 2011-06-16 2012-12-20 Robert Bosch Gmbh Verstellvorrichtung
DE102013210496A1 (de) * 2013-06-06 2014-12-11 Voith Patent Gmbh Walze und Herstellung einer Walzenachse
DE102013220677A1 (de) * 2013-10-14 2015-04-16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Schienenbaugruppe mit zusätzlichem steckbaren Bauelement für ein Verstellelement eines Verstellmechanismus
DE102020105408A1 (de) 2020-02-28 2021-09-02 Nidec Motors & Actuators (Germany) Gmbh Getriebegehäuseeinheit mit Anschlag für axialen Spielausgleich
DE102020105410A1 (de) 2020-02-28 2021-09-02 Nidec Motors & Actuators (Germany) Gmbh Getriebegehäuseeinheit mit Spannschraube für axialen Spielausgleich
DE102020105411A1 (de) 2020-02-28 2021-09-02 Nidec Motors & Actuators (Germany) Gmbh Getriebegehäuseeinheit mit Polymerelement und Spannschraube für axialen Spielausgleich
DE102020105412A1 (de) 2020-02-28 2021-09-02 Nidec Motors & Actuators (Germany) Gmbh Getriebegehäuseeinheit mit gewölbter Wellfederauflage für axialen Spielausgleich
DE102020105409A1 (de) 2020-02-28 2021-09-02 Nidec Motors & Actuators (Germany) Gmbh Getriebegehäuseeinheit mit Polymerelement für axialen Spielausgleich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154Y2 (ja) * 1990-09-26 1995-03-22 池田物産株式会社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3740802B2 (ja) * 1997-08-18 2006-02-0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シートスライド装置
DE10060715C1 (de) * 2000-12-07 2002-02-28 Faurecia Autositze Gmbh & Co Kraftfahrzeugsitz
DE102004001624B3 (de) * 2004-01-09 2005-09-01 Keiper Gmbh & Co. Kg Antrieb einer Sitzverstell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7093B1 (ko) 2016-03-29
DE102008043904A1 (de) 2010-05-27
CN102216115B (zh) 2013-12-25
EP2346715B1 (de) 2013-04-24
CN102216115A (zh) 2011-10-12
WO2010057705A1 (de) 2010-05-27
EP2346715A1 (de) 201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7093B1 (ko) 선형 구동장치의 장착 장치
US7997596B2 (en) Actuator for vehicle
US8573604B2 (en) Wheel suspension for a motor vehicle
CN105782350B (zh) 汽车减速器
RU142143U1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усилитель рулевого управления дл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US7871084B2 (en) Telescopic actuator
CN107542857B (zh) 机动车辆的齿轮装置
KR101477907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US20100319471A1 (en)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CN102468707B (zh) 传动-驱动单元
US8544591B2 (en) Bearing device for the vibration-decoupled rotatable support of an intermediate shaft on the engine block of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the vibration-decoupled rotatable support of an intermediate shaft on the engine block of a motor vehicle
CN109477561B (zh) 用于机动车的舒适性驱动装置的驱动机构以及舒适性驱动装置
EP3845411B1 (en) Novel electric slide rail
JP2018024284A (ja) ステアバイワイヤ式操舵装置
US6923462B2 (en) Fastening element for a shock absorber
KR101920042B1 (ko) 인서트부시를 갖는 엑츄에이터장치
CN108859748B (zh) 一种轮式机器人的转轮系统及安装方法
CN104742956B (zh) 后轮转向装置的转向连杆结构
KR101985875B1 (ko) 기어조립체 일체형 엑츄에이터장치
CN219788393U (zh) 机器人关节及机器人
CN115485175A (zh) 一种用于机电的制动压力产生器的主轴驱动单元、一种机电的制动压力产生器
KR101450319B1 (ko) 조향장치 기어 하우징의 마운팅 부시
KR20010043149A (ko) 반전 가능한 기어 모터를 구비한 와이퍼 구동 메카니즘
CN116325442A (zh) 具有供定子、转子和连接轴所用的中央支撑基部的电机
KR20160025322A (ko) 공용형 트레일링암 부시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