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3806A - 차량 타이어를 처리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과, 차량 타이어 - Google Patents

차량 타이어를 처리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과, 차량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3806A
KR20110093806A KR1020117011381A KR20117011381A KR20110093806A KR 20110093806 A KR20110093806 A KR 20110093806A KR 1020117011381 A KR1020117011381 A KR 1020117011381A KR 20117011381 A KR20117011381 A KR 20117011381A KR 20110093806 A KR20110093806 A KR 20110093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balancing
delimiter
tires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1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르베르트 세이츠
Original Assignee
카르네햄마르, 라스 베르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르네햄마르, 라스 베르틸 filed Critical 카르네햄마르, 라스 베르틸
Publication of KR20110093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38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33After-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vulcanising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19/003Balancing means attached to the ty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32Correcting- or balancing-weights or equivalent means for balancing rotating bodies, e.g. vehicle whe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 G01M1/30Compensating imbalance
    • G01M1/32Compensating imbalance by adding material to the body to be tested, e.g. by correcting-weigh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 G01M1/30Compensating imbalance
    • G01M1/36Compensating imbalance by adjusting position of masses built-in the body to be tested
    • G01M1/365Compensating imbalance by adjusting position of masses built-in the body to be tested using balancing liq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2Tyres
    • G01M17/022Tyres the tyre co-operating with rotatable rolls
    • G01M17/024Tyres the tyre co-operating with rotatable rolls combined with tyre surface correcting or mar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33After-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vulcanising tyres
    • B29D2030/0634Measuring, calculating, correcting tyre uniformity, e.g. correcting RFV
    • B29D2030/0637Correcting by add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Balance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Tyre Moulding (AREA)

Abstract

타이어를 취급, 예컨대 이동, 운반 및 회전시키는 장치에 타이어를 장착하는 단계와, 타이어를 취급하는 장치로부터 타이어를 탈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타이어의 처리 방법과, 대응하는 장치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차량 타이어를 처리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과, 차량 타이어{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CESSING OF VEHICLE TYRES, AND VEHICLE TYRE}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체적으로 차륜의 처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타이어, 예컨대 공압 타이어를 처리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과, 차량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운전 체감은, 여러 요인 중에서도 노면 품질과 차륜의 품질, 예컨대 균질성 또는 균일성에 의해 결정된다. 차륜은 타이어, 림 및 밸브를 포함하는 시스템이다. 차륜의 불균일성 또는 불균질성은 타이어 또는 림 또는 양자의 불균일한 질량 분포, 즉 불균형, 타이어 또는 림 또는 양자의 기하학적 비정상, 예컨대 축방향 이탈 또는 반경 방향 이탈 또는 양자, 또는 타이어 또는 림 또는 양자의 축방향, 반경 방향 또는 접선 방향 강성의 변동(축방향 힘의 변동, 반경 방향 힘의 변동, 접선 방향 힘의 변동), 또는 림 상의 타이어 또는 차량 액슬 상의 림 또는 양자의 편심 장착으로부터 생길 수 있다. 차륜의 균형 조절은 불균일한 질량 분포를 보완하기 때문에 운전 체감을 향상시킨다.
타이어, 예컨대 바이어스 타이어(바이어스 플라이 타이어, 크로스 플라이 타이어, 다이애고널 타이어, 다이애고널 플라이 타이어), 바이어스 벨티드 타이어(bias-belted tyre), 래디얼 타이어(래디얼 플라이 타이어), 예컨대 런플랫 타이어(run-flat tyre)는 일반적으로 타이어 성형 드럼 상에 일련의 층들로서 생타이어를 성형하고, 생타이어 내에 삽입되는 팽창 가능한 경화 블래더(expandable curing bladder)를 이용하여 경화 프레스에서 생타이어를 경화하며, 생타이어를 경화 프레스의 경화 몰드 내에 밀어 넣음으로써 제조된다. 가열 전에, 이형제, 예컨대 실리콘계 이형제가 생타이어 또는 경화 몰드 및 경화 블래더에 도포된다. 이형제는 타이어를 경화 몰드 및 경화 블래더로부터 분리시킨다. 경화 동안에, 층들이 접착되고, 타이어의 외주 상의 트레드가 경화 몰드의 함입부에 의해 형성된다. 경화 후에, 타이어는 경화 프레스로부터 해방되고 이형제에 의해 편하게 된다.
유럽 특허 출원 제0 281 252호 및 이에 대응하는 미국 특허 제4,867,792호는 타이어 상의 헤비 스폿(질점, heavy spot)이 노면과 부딪칠 때에 생기는 진동의 영향 하에 유동할 수 있음으로 해서 타이어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30 Pa 내지 260 Pa의 항복 응력값을 갖는 요변성(thixotropic) 타이어 밸런싱 조성물을 개시한다. 밸런싱 조성물은 림에 장착되고 헤비 스폿을 갖는 타이어로 이루어진 차륜 조립체 내에 분포된다.
미국 특허 제5,431,726호는 -20℃ 내지 +90℃의 온도 범위에서 3000 내지 15000 Pa의 저장 탄성률(storage modulus)과 1000 kg/m3 미만의 비중을 갖고 차륜 조립체의 불균형에 기인하는 진동 하에서 유동할 수 있음으로 해서 타이어의 균형을 맞출 수 있는 타이어 겔 밸런싱 조성물을 개시한다.
독일 특허 출원 제3823926호는 차량 타이어의 제조에 좌우되는 원주 방향으로 분포된 불균일성의 분석을 위한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하는데, 소정 불균일성의 분석은, 각각의 경우 분석 대상인 불균일성을 갖는 지점이 각각의 동일한 각도 회전 위치에 있도록 하여 복수의 타이어를 측정 림에 연속 장착하고 그 외주 둘레를 따라 측정된 각 타이어의 불균일성의 크기를 저장하고 그 값을 합산함으로써 수행된다. 이런 방법은 특히 자동차용 타이어의 품질 관리에 적합하다.
국제 특허 출원 공개 WO 98/52009 및 대응하는 독일 특허 출원 제197 19 886호는 공압 타이어를 포함하는 차륜 조립체의 밸런싱 방법을 개시하는데, 이 방법은 타이어 내로 점성 밸런싱 조성물을 도입하는 단계와, 회전 가능한 조립체 상에 차륜을 장착하는 단계와, 실질적으로 서로의 회전축이 평행한 회전 가능한 드럼과 상기 회전 가능한 조립체 내의 차륜의 트레드 면을 정지력 F로 서로 프레싱하는 단계와, 상기 드럼 및/또는 차륜 조립체를 소정 시간 T 동안 회전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정지력 F와 시간 T는 밸런싱 조성물이 타이어 내측에 분포되어 차륜 조립체의 균형을 잡기에 충분한 값을 갖는다. 이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림과 공압 타이어를 포함하는 차륜 조립체를 장착할 수 있는 회전 가능한 조립체와, 상기 회전 가능한 차륜 조립체의 회전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회전축을 갖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드럼으로서 상기 드럼 및/또는 상기 회전 가능한 차륜 조립체의 회전축이 서로에 대해 다가서고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드럼과, 상기 회전 가능한 차륜 조립체 및/또는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과, 각각 상기 드럼의 회전축 및 상기 회전 가능한 차륜 조립체의 회전축 사이의 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회전축들에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정지력과 완충 작용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 수단 및 댐핑 수단과, 상기 회전 가능한 차륜 조립체의 회전축과 지면 사이에 및/또는 상기 드럼의 회전축과 지면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 수단 및/또는 댐핑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독일 특허 출원 제198 57 646호는 타이어 내측에 밸런싱 물질을 도입함으로써 타이어의 균형을 맞추는 방법을 개시하는데, 이 방법은 타이어 내에 일정한 성질, 형태, 기하학적 형상 및 중량을 갖는 물질을 배치하는 단계와, 타이어를 회전시켜서 타이어를 불균형 지점까지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또한 다른 회전체를 균형을 맞추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독일 특허 출원 제198 53 691호는 내부 원주 겔 비드로서 타이어 밸런싱 물질을 도입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물질의 특성, 형상, 중량, 기하학적 형태 및 그 도포 위치는 한정된다. 타이어의 내부면은 정해진 형상 및 기하학적 형태를 갖는다. 하나 이상의 무단 스트랜드가 이용될 수 있다. 스트랜드의 단면은 원형, 반원형, 평판형, 삼각형, 사변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원주면 전체 또는 단지 일부에 하나 이상의 스트랜드를 분포시키거나 이들 두 가지 분포 유형 모두가 수행된다. 스트랜드 부분은 림에 장착시 밸브 반대쪽에 도포된다. 스트랜드 부분들은 적도면이나 이로부터 떨어져서 대칭적으로 또는 비대칭적으로 도포된다. 상기 물질은 밸브를 통해 설정된 양으로 주입된다. 정해진 점도, 요변성, 장기 안정성 및 타이어 내부면과의 적합성을 갖는 겔이 사용된다. 타이어는 상기 물질을 수용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비드 사이에 하나 이상의 원주 홈을 포함한다.
밸런싱 물질은 내주를 따라 접착된 튜브형 중공부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점성 조성물, 예컨대 요변성 조성물과 같은 밸런싱 물질이 타이어를 포함하는 차륜의 균형을 잡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타이어 내로 주입하고, 예컨대 밸런싱 물질을 수용하는 튜브형 중공부 또는 밸런싱 물질의 스트랜드를 한정하는 층형 발포부 등의 부분을 접착함으로써 타이어의 내측 라이너에 접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독일 특허 출원 제199 16 564호는 타이어의 내측 라이너에 중량 물질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이어내 중량체 분포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타이어의 불균일성은 림에 장착하기 전에 일반적인 기계 상에서 측정되며, 측정 값은 컴퓨터로 전달되어 불균일성을 상쇄하기 위해 도포될 중량 물질의 양과 도포 위치를 결정하는데, 컴퓨터는 필요한 위치에 필요한 양으로 중량 물질을 도포하기 위한 기계에 연결되어 있다.
점성 조성물, 예컨대 요변성 조성물과 같은 밸런싱 물질이 타이어를 포함하는 차륜의 균형을 잡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밸런싱 물질은 림에 타이어를 장착하기 전에 타이어 내로 또는 밸브를 통해 주입될 수 있다. 차륜의 균형을 잡기 위해, 밸런싱 물질은, 차륜을 포함하는 차량을 구동하거나 회전 가능한 조립체에 차륜을 장착하고, 회전 가능한 드럼과 상기 회전 가능한 조립체 내의 차륜의 트레드면을 정지력으로 서로 프레싱하고, 상기 드럼 및/또는 상기 차륜을 소정 시간 동안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분포되는데, 정지력과 힘의 크기는 밸런싱 물질이 타이어 내로 분포되어 차륜의 균형을 잡기에 충분한 크기를 갖는다.
타이어가 사양에 따라 축방향 이탈 또는 반경방향 이탈과 같은 현저한 기하학적 비정상이나 축방향, 반경방향 또는 접선방향 강성에 현저한 변동이 없으면, 균형 잡힌 차륜은 사용자의 관점에서 편안한 운전을 경험하도록 한다.
그러나 차량 제조자 뿐 아니라 차량 정비소는 차량 타이어와 요변성 밸런싱 물질을 효율적이고 바람직하게는 대부분을 자동으로 처리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국제 공개 제WO 2008/009696 A1호는 요변성 밸런싱 겔의 내부 도입에 의해 균형 맞춤되기에 적절한 자동차 타이어 또는 타이어 조립체 또는 그 부품에 관한 발명을 개시하는데, 밸런싱 겔과 접촉하는 타이어 또는 타이어 조립체 또는 그 부품의 표면들에는 1 내지 1000 nm 범위의 평균 표면 거칠기를 갖는 표면 나노구조가 제공된다. 표면 나노구조는 해당 표면이 표면 나노구조를 갖지 않는 경우보다 상당히 빠르게 요변성 밸런싱 겔을 타이어의 균형을 맞추는 지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런 이유와 그 밖의 이유로 인해 아래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바와 같은 발명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타이어의 개선된 처리를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과, 개선된 차량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차량 타이어(20; 30; 40; 50; 60)를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타이어(20; 30; 40; 50; 60)를 취급, 예컨대 이동, 운반 및 회전시키는 장치에 타이어(20; 30; 40; 50; 60)를 장착하는 단계와; 타이어(20; 30; 40; 50; 60)를 취급하는 장치로부터 타이어(20; 30; 40; 50; 60)를 탈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이어의 처리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장치가 타이어(20; 30; 40; 50; 60)를 장착하도록 작동되고, 장치가 타이어(20; 30; 40; 50; 60)를 탈착하도록 작동되는 타이어의 처리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장치가 타이어(20; 30; 40; 50; 60)를 처리하는 장치로 타이어(20; 30; 40; 50; 60)를 이동시키도록 작동되는 타이어의 처리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타이어(20; 30; 40; 50; 60)가 타이어(20; 30; 40; 50; 60)를 처리하는 장치에 의해 처리될 때에 장치가 타이어(20; 30; 40; 50; 60)를 회전시키도록 작동되는 타이어의 처리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장치는 타이어(20; 30; 40; 50; 60)의 회전을 타이어(20; 30; 40; 50; 60)의 처리와 협동하기 위하여 타이어(20; 30; 40; 50; 60)를 처리하는 장치와 통신하도록 작동되는 타이어의 처리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로봇은 나노 기판을 부착하는 스테이션으로 타이어(50)를 이동시키고 해당 스테이션에서 나노 기판을 부착하는 동안 타이어(50)를 적절한 범위까지, 예컨대 360도까지 회전시키며,
로봇은 구획자(671)를 부착하는 스테이션으로 타이어(50)를 이동시키고 해당 스테이션에서 구획자(671)를 부착하는 동안 타이어(50)를 적절한 범위까지, 예컨대 360도까지 회전시키며,
로봇은 밸런싱 기판을 부착하는 스테이션으로 타이어(50)를 이동시키고 해당 스테이션에서 밸런싱 기판을 부착하는 동안 타이어(50)를 적절한 범위까지, 예컨대 360도까지 회전시키는 타이어의 처리 방법이다.
바람직하게는, 나노 기판을 부착하는 스테이션은 제1 스테이션일 수 있고, 구획자를 부착하는 스테이션은 제2 스테이션일 수 있으며, 밸런싱 물질을 부착하는 스테이션은 제3 스테이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제1 분량의 요변성 밸런싱 물질(251; 351; 451; 651)을 차량 타이어(20; 30; 40; 50; 60)의 내측면(240; 340; 440; 640) 상의 제1 원주 방향 밸런싱 영역(250; 350; 450; 650)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1 분량의 밸런싱 물질(251; 351; 451; 651)을 제1 밸런싱 영역(250, 350, 450, 650)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이어의 처리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제1 분량의 밸런싱 물질(251; 351; 451; 651)을 제공하는 단계는 제1 분량의 밸런싱 물질(251; 351; 451; 651)을 제1 밸런싱 물질 스트랜드로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타이어의 처리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제1 분량의 밸런싱 물질(251; 351; 451; 651)을 제공하는 단계는 제1 분량의 밸런싱 물질(251; 351; 451; 651)을 제1 밸런싱 물질 스트랜드(654)와 제2 밸런싱 물질 스트랜드(655)로서 제공하는 타이어의 처리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제1 밸런싱 물질 스트랜드(654)는 제2 밸런싱 물질 스트랜드(655)와 단속적으로 제공되는 타이어의 처리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제1 밸런싱 물질 스트랜드(654) 또는 제2 밸런싱 물질 스트랜드(655) 또는 이들 모두의 단면이 원형, 반원형, 평판형, 삼각형, 사변형 또는 다각형인 타이어의 처리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제1 분량의 밸런싱 물질(251; 351; 451; 651)을 제공하는 단계가 타이어(20; 30; 40; 50; 60)의 특성, 예컨대 타이어(20; 30; 40; 50; 60)의 크기, 유형 또는 모델로부터 제1 분량의 밸런싱 물질(251; 351; 451; 651)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타이어의 처리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제1 분량의 밸런싱 물질(251; 351; 451; 651)을 제공하는 단계는, 타이어(20; 30; 40; 50; 60)의 특징물, 예컨대 타이어의 코드 또는 바코드, 또는 타이어(20; 30; 40; 50; 60) 상부 또는 내부의 전자 인식표 또는 무선 주파수 인식표(RFID)로부터 제1 분량의 밸런싱 물질(251; 351; 451; 651)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타이어의 처리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타이어(20; 30; 40; 50; 60)를 처리하도록 타이어(20; 30; 40; 50; 60)를 장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타이어의 처리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타이어를 장착하는 단계는 타이어(20; 30; 40; 50; 60)의 외측면, 예컨대 원주 방향 트레드 면(210; 310; 410; 610) 또는 타이어(20; 30; 40; 50; 60)의 원주 방향 비드부(225, 235; 325, 335; 425, 435; 625, 635)를 거치하는 단계, 예컨대 파지, 연결 또는 클램프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타이어의 처리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타이어(20; 30; 40; 50; 60)의 원주 방향 비드부(225, 235; 325, 335; 425, 435; 625, 635)를 개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타이어의 처리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비드부(225, 235; 325, 335; 425, 435; 625, 635)의 개방이 부분적이거나 완전한 타이어의 처리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타이어(20; 30; 40; 50; 60)로부터 구 밸런싱 물질(601)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타이어의 처리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구 밸런싱 물질(601)을 제거하는 단계는 구 밸런싱 물질(601)을 세척하는 단계, 예컨대 이완시키거나, 세정하거나, 흡입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이어의 처리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구획자(471; 671)를 타이어(20; 30; 40; 50; 60) 내에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구획자(471; 671)는 제1 밸런싱 영역(250; 350; 450; 650)의 제1 경계를 한정하는 타이어의 처리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구획자(471)를 삽입하는 단계는 내측면(240) 상의 구획자 영역(470; 670)을 전처리하는 단계와, 구획자(471; 671)를 구획자 영역(470; 670) 상에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이어의 처리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구획자 영역(470; 670)을 전처리하는 단계는 구획자 영역(470; 670)을 활성화, 예컨대 연마하는 단계나, 구획자 영역(670)을 세척, 예컨대 세정하거나 흡입 세척하는 단계, 또는 양 단계 모두를 포함하는 타이어의 처리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구획자(471; 671)를 구획자 영역(470; 670) 상에 장착하는 단계는 구획자(471; 671)를 타이어(20; 30; 40; 50; 60) 내에 삽입하는 단계와, 구획자(471; 671)를 구획자 영역(470; 670) 상에 고정, 예컨대 접착 및 건조 또는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이어의 처리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구획자(471; 671)를 구획자 재료로부터 형성함으로써 구획자(471; 671)를 타이어(20; 30; 40; 50; 60) 내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이어의 처리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구획자(471; 671)를 삽입하는 단계는 내측면(240, 340, 440, 640) 상의 구획자 영역(470; 670)을 전처리하는 단계와, 구획자(471; 671)를 구획자 영역(470; 670) 상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이어의 처리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구획자 영역(470; 670)을 전처리하는 단계는 구획자 영역(470; 670)을 활성화, 예컨대 연마하는 단계나, 구획자 영역(470; 670)을 세척, 예컨대 세정하거나 흡인 세척하는 단계, 또는 양 단계 모두를 포함하는 타이어의 처리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구획자(471; 671)를 구획자 영역(470; 670) 상에 형성하는 단계는 구획자 재료를 구획자 영역(470; 670)에 부착하는 단계와, 구획자 재료를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이어의 처리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구획자 재료를 구획자 영역(470; 670)에 부착하는 단계는 구획자 재료를 노즐을 통해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이어의 처리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구획자 재료가 경화 플라스틱, 예컨대 폴리우레탄을 포함하고, 구획자(471; 671)는 예컨대 발포 재료, 바람직하게는 다공성 발포 재료와 같은 세포성 재료를 포함하는 타이어의 처리 방법이다. 바람직하게는, 구획자(671)의 표피는 화학반응 후 폐쇄되는 셀 표피를 갖는 것이다. 다음 단계에서, 구획자(671)의 상측면 및 내측면에서는 박층, 예컨대 0.1 내지 1 mm의 박층, 바람직하게는 0.5 mm의 박층이, 예컨대 절단, 밀링, 연마 또는 레이저 처리에 의해 제거되어 발포 셀을 개방하여 개방 셀 구조를 얻는다. 층의 외측면은 밸런싱 물질의 경계벽을 형성하도록 폐쇄 셀 표피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제1 밸런싱 영역(250; 350; 450; 650)에 제1 나노구조(252; 352; 452; 652)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타이어의 처리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밸런싱 영역(250; 350; 450; 650)에 제1 나노구조(252; 352; 452; 652)를 제공하는 단계는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광택제 등의 재료를 제1 밸런싱 영역(250; 350; 450; 650)에 분포, 예컨대 분사 및 건조 또는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이어의 처리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타이어(20; 30; 40; 50; 60)를 회전시키는 단계, 타이어(20; 30; 40; 50; 60)를 처리하도록 공구를 이동시키는 단계 또는 이들 모두를 더 포함하는 타이어의 처리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타이어(20; 30; 40; 50; 60)의 단속적인 세그먼트를 처리하기 위하여 공구가 단속적으로 채용되는 타이어의 처리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차륜을 형성하도록 림 상에 타이어(20; 30; 40; 50; 60)를 장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타이어의 처리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예컨대 차륜을 바람직하게는 부하 조건하에서 회전시킴으로써 차륜의 균형을 맞추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타이어의 처리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제1 밸런싱 영역(250; 350; 450; 650)이 내측면(240; 340; 440; 640)의 내측 라이너 상에 있는 타이어의 처리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제1 밸런싱 영역(250; 350; 450; 650)이 내측면(240; 340; 440; 640)의 제1 견부(221; 321; 421; 621) 상에 있는 타이어의 처리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제2 밸런싱 영역(260, 360, 460; 660)이 제1 밸런싱 영역(250; 350; 450; 650)과 유사하게 또는 동일하게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동시에 처리되는 타이어의 처리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제2 밸런싱 영역(260; 360; 460; 660)이 내측면(240; 340; 440; 640)의 제2 견부(222; 322; 422; 622) 상에 있는 타이어의 처리 방법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방법에 따른 차량 타이어(20; 30; 40; 50; 60)의 처리 장치이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는 방법에 따른 차량 타이어(20; 30; 40; 50; 60)의 처리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타이어의 개선된 처리를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과, 개선된 차량 타이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발명으로 간주되는 것을 구체적으로 지적하고 명확히 주장하는 특허청구범위로 종결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구현되는 방식을 예시하기 위해 첨부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들 도면이 반드시 정확한 치수로 도시된 것이 아니고 따라서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예만을 도시하고 있음을 이해하면서, 다음의 첨부 도면을 이용하여 실시예들을 보다 구체적이고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차량 타이어(10)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주 방향 밸런싱 영역을 포함하는 차량 타이어(20)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타이어(30)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타이어(40)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타이어(50)를 장착하는 다양한 방법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타이어(60)의 처리 방법과 요변성 밸런싱 물질을 도시한다.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예시의 목적으로 실행 가능한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보여주는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한다. 도면에서, 유사 도면부호는 여러 도면에 걸쳐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를 설명한다. 실시예들은 당업자가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충분히 상세히 발명의 여러 측면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실시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들 실시예를 구조적, 논리적, 전기적으로 변화 또는 조합할 수 있다. 또한, 비록 상이하더라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이 반드시 서로 배타적이지 않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일 실시예에 설명된 특정의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이한 기술을 이용하여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예시적"이란 표현은 최적 또는 최선의 것이 아니라 단지 일례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아래의 상세한 설명은 제한적인 의미로 취급되지 않으며,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주어지는 균등물의 전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한다. 실시예의 구조를 가장 명확히 보여주기 위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 도면은 본 발명의 물품을 도식적으로 표현한다. 따라서 제작된 구조물의 실제 외관은 실시예의 필수구성을 여전히 포함하면서도 다르게 보일 수 있다. 더욱이, 도면은 실시예의 이해를 위해 필요한 구조만을 보여준다. 당업계에 공지된 추가 구성은 도면의 간결성을 위해 포함되지 않았다. 물론, 도면에 표현된 특징부 및/또는 요소가 간명성 및 용이한 이해를 위해 서로에 대해 특별한 크기로 도시되며 실제 크기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는 실질적으로 다를 수 있다.
아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항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또는 그와 유사한 표현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표현은 "포함하다"의 표현과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도록 의도된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아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항에서 "상호 연결되다"와 같은 파생어와 함께 "결합되다"와 "연결되다"의 표현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표현은 서로 동의어로서 의도된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오히려, 특정 실시예에서 "연결되다"는 2개 이상의 요소가 서로 직접적으로 물리적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음을 가리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결합되다"는 2개 이상의 요소가 서로 직접 접촉하지 않지만 서로 협력 동작하거나 상호 작용함을 의미하는 것일 수도 있다.
아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항에서 "상부", "하부", "제1", "제2" 등의 표현은 설명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한정의 의미로서 해석되지 않는다. 여기에 설명되는 장치 또는 물품의 실시예는 다양한 위치와 배향으로 제작, 사용 또는 선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나노구조"라 함은 나노미터 범위에 해당하는 크기의 표면 세부 사항을 갖는 임의의 표면 구조물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차량 타이어(10)의 단면도이다. 차량 타이어(10)는 외면에 트레드면을 한정하는 원주 방향 트레드 면(10)과, 제1 견부(121) 및 제1 비드부(125)를 포함하는 제1 측벽부(120)와, 원환체 형상과 환형 중공부를 형성하도록 제1 비드부(125)에서 축방향으로 이격된 제2 비드부(135) 및 제2 견부(131)를 포함하는 제2 측벽부(130)를 포함한다. 타이어(10)는 공압 타이어일 수 있고 압축 가스 또는 예컨대 대기 공기(미도시)와 같은 가스 혼합물을 포함한다. 차량 타이어(10)는 동력 차량, 예컨대 자동차, 버스, 경량 트럭, 중형 트럭 또는 오토바이 또는 비행기와 같은 모터 차량에 사용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주 방향 밸런싱 영역을 포함하는 차량 타이어(20)의 단면도이다.
도 2a는 타이어(20)의 내측면(240), 예컨대 내측 라이너에 제1 원주 방향 밸런싱 영역(250)을 더 포함하는 차량 타이어(20)의 단면도이다. 제1 밸런싱 영역(250)은 제1 견부(221)와 제2 견부(231) 사이에서, 바람직하게는 중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밸런싱 영역(250)은 홈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홈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20)의 처리 동안에 형성될 수 있다. 밸런싱 영역(250)은 제1 분량의 밸런싱 물질(251)을 포함한다. 밸런싱 물질은 요변성 겔 등의 요변성 밸런싱 물질일 수 있다. 제1 분량의 밸런싱 물질(25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20)의 처리 동안 제1 밸런싱 영역(250; 350; 450; 650) 상에 분포될 수 있다. 제1 분량의 밸런싱 물질(251)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된다. 제1 분량의 밸런싱 물질은 제1 밸런싱 물질 스트랜드로서 제공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제1 분량의 밸런싱 물질(251)은 제1 밸런싱 물질 스트랜드와 제2 밸런싱 물질 스트랜드로서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제1 밸런싱 물질 스트랜드에는 제1 분량의 밸런싱 물질(251)를 분포하는 처리 시간이 감소될 수 있도록 제2 밸런싱 물질 스트랜드가 단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밸런싱 물질 스트랜드 또는 제2 밸런싱 물질 스트랜드 또는 이들 모두의 단면은 원형, 반원형, 평판형, 삼각형, 사변형, 다각형 등이다.
도 2b는 제1 밸런싱 영역(250)의 표면이 제1 나노구조(252)를 포함하는 차량 타이어(20)의 단면도이다. 제1 나노구조(250)는 차륜을 형성하는 타이어(20)와 림의 균형을 잡기 위해 제1 밸런싱 영역(250)에서 제1 분량의 밸런싱 물질(251)의 이동성을 증가시킨다. 제1 나노구조(252)는 타이어(20)의 제조 동안 또는 제조 후,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20)의 처리 동안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나노구조(252)가 타이어(20)의 제조 동안에 형성되는 경우, 제1 나노구조는 타이어(20)의 중공부를 형성하는 블래더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제1 나노구조(252)는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재료, 예컨대 광택제를 제1 밸런싱 영역(250)에 분포시킴으로써, 예컨대 분사 및 건조 또는 경화시킴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나노구조는 제1 밸런싱 영역(250) 상에 아크릴레이트 모재에 예컨대 개질된 나노규모의 실리카 입자를 합체한 공지된 복합 "나노광택제" 중 임의의 나노광택제를 도포함으로써 마련될 수 있었다. 예컨대, 2003년 12월 25일자 "Der Spiegel"에 개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외면에 사용하기 위한 독일 슈투트가르트 소재 다임러-크라이슬러 아게사(Daimler-Chrysler AG)에서 개발한 나노광택제와, 독일 괴텐도르프 소재 나노프루프트(등록상표, nanoproofed®) 게베알(GbR)사 또는 독일 사르브뤽켄 소재 나노게이트 아게사(Nanogate AG)에서 판매하는 나노광택제를 참조한다.
나노게이트 아게사에서 판매하는 나노광택제는 10 내지 100 nm 크기의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이성분 폴리우레탄계 재료로 이루어지는 열경화성 이성분 나노광택제이다. 폴리우레탄계 재료는 나노입자 함유 수지 100부 대 경화제 3부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나노광택제 층은 120℃에서 30분 동안 경화되어 표면 나노구조를 갖는 유연층을 제공할 수 있다.
건조 또는 경화는 예컨대 자외선(UV), 즉 자외광을 이용하여 나노재료, 즉 나노광택제를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c는 제1 밸런싱 영역(250)이 제1 견부(221)와 제2 견부(231) 사이에서 제1 견부(221)에 근접하게, 바람직하게는 바로 다음에 배열되는 차량 타이어(20)의 단면도이다. 타이어(20)는 제2 분량의 밸런싱 물질(261)을 포함하는 제2 밸런싱 영역(260)을 더 포함한다. 제2 밸런싱 영역(260)은 제1 견부(221)와 제2 견부(231) 사이에서 제2 견부(231)에 근접하게, 바람직하게는 바로 다음에 배치된다. 제2 밸런싱 영역(260)은 제1 밸런싱 영역(250)과 유사 또는 동일하게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동시에 처리될 수 있다.
도 2d는 제1 나노구조(252)를 포함하는 제1 밸런싱 영역(250)이 제1 견부(221)와 제2 견부(231) 사이에서 제1 견부(221)에 근접하게, 바람직하게는 바로 다음에 배치되고, 제2 나노구조(262)를 포함하는 제2 밸런싱 영역(260)이 제1 견부(221)와 제2 견부(231) 사이에서 제2 견부(231)에 근접하게, 바람직하게는 바로 다음에 배치되는 차량 타이어(20)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타이어(30)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타이어(30)의 내측면(340), 예컨대 내측 라이너 상에 제1 분량의 밸런싱 물질(351)을 포함하는 제1 원주 방향 밸런싱 영역(350)을 포함하는 차량 타이어(30)의 단면도이다. 타이어(30)는 제1 밸런싱 영역(350)의 제1 경계를 한정하는 제1 구획자(353)와 제1 밸런싱 영역(350)의 제2 경계를 한정하는 제2 구획자(354)를 더 포함한다. 제1 밸런싱 영역(350), 제1 구획자(353) 및 제2 구획자(354)는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구획자(353)와 제2 구획자(354)는 도 6d 및 도 6e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30)의 처리 동안에 형성된다. 제1 구획자(353)와 제2 구획자(354)는 예컨대 발포 재료, 바람직하게는 다공성 발포 재료와 같은 세포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제1 구획자(353)와 제2 구획자(354)는 타이어(30)의 구름 소음을 줄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b는 제1 밸런싱 영역(350)의 표면이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나노구조(352)를 포함하는 차량 타이어(30)의 단면도이다. 제1 나노구조(352)는 내측면(340)의 일부를 형성한다. 제1 나노구조(352)가 타이어(30)의 제조 중에 형성되는 경우, 제1 나노구조는 타이어(30)의 중공부를 형성하는 블래더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제1 나노구조(352)가 제조 후,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30)의 처리 동안에 형성되는 경우, 제1 나노구조는 내측면(340)을 처리함으로써, 예컨대 연마 또는 성형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 3c는 제1 밸런싱 영역(350)의 표면이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나노구조(352)를 포함하는 차량 타이어(30)의 단면도이다. 제1 나노구조(352)는 내측면(340) 상에 형성된다. 제1 나노구조(352)는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재료, 예컨대 광택제를 제1 밸런싱 영역(350) 상에 분포, 예컨대 분사 및 건조 또는 경화시킴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타이어(40)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타이어(40)의 내측면(440), 예컨대 내측 라이너 상에, 제1 분량의 밸런싱 물질(451)을 포함하는 제1 원주 방향 밸런싱 영역(450)과, 제2 분량의 밸런싱 물질(461)을 포함하는 제2 원주 방향 밸런싱 영역(460)과, 제1 밸런싱 영역(450)과 제1 밸런싱 영역(450) 사이에 구획자(471)를 포함하는 구획자 영역(470)을 포함하는 차량 타이어(40)의 단면도이다. 구획자(471)는 도 6d 및 도 6e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40)의 처리 동안에 형성된다. 구획자(471)는 예컨대 발포 재료, 바람직하게는 다공성 발포 재료와 같은 세포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구획자(471)는 타이어(40)의 구름 소음을 줄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타이어(40)는 제1 밸런싱 영역(450)의 제1 구획자(453)와 제2 밸런싱 영역(460)의 제1 구획자(4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밸런싱 영역(450)의 제1 구획자(453)와 제2 밸런싱 영역(460)의 제1 구획자(463)는 예컨대 발포 재료, 바람직하게는 다공성 발포 재료와 같은 세포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제1 밸런싱 영역(450)의 제1 구획자(453)와 제2 밸런싱 영역(460)의 제1 구획자(463)는 타이어(40)의 구름 소음을 줄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b는 구획자 영역(470)이 구획자(471)를 장착하기 위해 활성화된, 예컨대 연마된 표면(472)을 포함할 수 있는 차량 타이어(40)의 단면도이다. 구획자 영역(470)은 접착제층(473), 예컨대 아교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층(473)은 타이어(40) 또는 구획자(47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구획자(471)는 다른 적절한 수단에 의해 타이어(4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밸런싱 영역(450)의 표면은 제1 나노구조(452)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밸런싱 영역(460)의 표면은 제2 나노구조(4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나노구조(452, 462)는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내측면(440)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c는 구획자 영역(470)이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표면(472) 또는 접착제층(473)을 포함하거나 이들 모두를 포함할 수 있는 차량 타이어(40)의 단면도이다. 제1 밸런싱 영역(450)의 표면은 제1 나노구조(452)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밸런싱 영역(460)의 표면은 제2 나노구조(4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나노구조(452, 462)는 도 3c를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이 내측면(44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타이어(50)의 다양한 장착 방법을 도시한다. 타이어(50)는 수직 방향으로, 수평 방향으로 또는 특정 각도로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 있다.
타이어(50)는 장치에 장착될 수 있고, 타이어(50)를 처리하는 방법의 모든 실행은 타이어가 장치에 장착된 동안에 행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장치는 타이어(50)를 장착하도록 작동될 수 있고 장치는 타이어(50)를 탈착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장치는 실행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는 실행을 수행하기 위한 공구를 포함할 수 있고, 고정식일 수 있다. 복수 개의 타이어(50)를 동시에 처리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바람직하게는 유사하거나 동일한 장치가 제공되어 작동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장치는 실행을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장치는 하나의 실행을 수행하는 하나의 전용 장치로부터 다른 실행을 수행하는 다른 전용 장치로 타이어(50)를 이동 또는 운반하는 타이어(50) 취급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이동식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장치는 타이어(50)를 처리하는 장치로 타이어(50)를 이동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타이어(50)를 동시에 처리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바람직하게는 유사하거나 동일한 장치가 제공되어 타이어를 전용 장치들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특정한 타이어(50)는 타이어(50)를 처리하는 방법이 수행되기 전에 제1 실행에서 장치에 장착되고 타이어(50)를 처리하는 방법이 수행된 후에 마지막 실행에서 장치로부터 탈착된다. 예컨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타이어(50)를 장치에 장착하는 단계와, 타이어(50)를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재료를 밸런싱 영역에 분포하는 전용 장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타이어를 구획자를 삽입하는 다른 전용 장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타이어(50)를 소정량의 요변성 밸런싱 물질을 분포하는 또 다른 전용 장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타이어를 장치로부터 탈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타이어(50)는 장치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장치는, 예컨대 전용 장치에 의해 실행이 수행되는 동안에 타이어(50)를 회전시킴으로써 타이어(50)의 처리를 보조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장치는 타이어(50)가 타이어(50)를 처리하는 장치에 의해 처리될 때에 타이어(50)를 회전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고, 장치는 타이어(50)의 회전을 타이어(50)의 처리와 협동하기 위하여 타이어(50)를 처리하는 장치와 연통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장치가 타이어(50)를 처리, 즉 이동, 운반 및 회전하고 전용 장치가 실행을 수행할 때, 전용 장치의 구성은 간소화될 수 있고 처리 시간이 감소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비용이 저감될 수 있다.
장치는 로봇, 예컨대 독일 86165 아우그스버그 소재 쿠카 아게사(KUKA AG)에서 판매하는 로봇과 같은 산업용 로봇일 수 있다.
이 로봇은 타이어(50)를 잡고 나노 기판, 즉 나노 재료를 부착하기 위한 스테이션, 예컨대 제1 스테이션으로 이동시키고 이 스테이션에서 나노 기판의 부착 중에 타이어(50)를 적절한 범위까지, 예컨대 360도까지 회전시킬 수 있다. 로봇은 타이어(50)를 구획자(671)를 부착시키는 스테이션, 예컨대 제2 스테이션가지 더 이동시키고 이 스테이션에서 구획자(671)의 부착 중에 타이어(50)를 적절한 범위까지, 예컨대 360도까지 회전시킨다. 로봇은 타이어(50)를 밸런싱 기판을 부착시키는 스테이션, 예컨대 제3 스테이션까지 더 이동시키고 해당 스테이션에서 밸런싱 기판의 부착 중에 타이어(50)를 적절한 범위까지, 예컨대 360도까지 회전시킨다.
도 5a는 고정식일 수 있는 제1 부분(510A)과, 이 제1 부분(510A)에 대해 가동식일 수 있는 제2 부분(520A)을 포함하는 장치(500A)를 이용하여 타이어(50)를 장착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제1 부분(510A)은 제1 브래킷(511A)과, 제1 브래킷(511A)에서 이격된 제2 브래킷(51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분(520A)은 제3 브래킷(521A)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브래킷은 롤러와 같은 원통일 수 있다. 타이어(50)는 제1 브래킷(511A), 제2 브래킷(512A) 및 제3 브래킷(521A) 사이에 타이어(50)를 배치하고 제1 부분(510A)을 향해 제2 부분(520A)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장치(500A)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브래킷(511A), 제 브래킷(512A) 및 제3 브래킷(521A)은 타이어(50)의 외면, 예컨대 트레드면을 파지하거나, 거치하거나 또는 연결할 수 있다. 타이어(50)를 처리하기 위하여, 타이어(50)는, 예컨대 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장치(500A) 내에서 회전될 수 있거나, 공구가 타이어(5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거나, 이들 모두가 수행될 수 있다.
도 5b는 고정식일 수 있는 제1 부분(510B) 및 제1 부분(510B)에 대해 가동식일 수 있는 제2 부분(520B)을 포함하는 장치(500B)를 이용하여 타이어(50)를 장착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제1 부분(510B)은 도 5a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브래킷(511B) 및 제1 브래킷(511A)에서 이격될 제2 브래킷(51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분(520B)은 제3 브래킷(521B) 및 제3 브래킷(521B)에서 이격된 제4 브래킷(522B)을 포함할 수 있다. 타이어(50)는 제1 브래킷(511B), 제2 브래킷(512B), 제3 브래킷(521B) 및 제4 브래킷(522B) 사이에 타이어(50)를 배치하고, 제2 부분(520B)을 제1 부분(510B)을 향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장치(500B)에 장착될 수 있다. 타이어(50)는 도 5a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처리될 수 있다.
도 5c는 제1 브래킷(511C)과 제2 브래킷(512C)을 포함할 수 있는 부분(510C)을 포함하는 장치(500C)를 이용하여 타이어(50)를 장착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예컨대 브래킷은 직물 벨트 등의 벨트, 금속 포일 등의 포일, 금속 시트 등의 시트, 금속판 등의 판재로 제조될 수 있다. 제1 부분(510C)은 제1 브래킷(511C)과 제2 브래킷(512C)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제1 부분(510C)은 벨트나 체인과 같은 가요성 링을 포함할 수 있다. 타이어(50)는 타이어(50)를 제1 브래킷(511C)과 제2 브래킷(512C) 사이에 배치하고 제1 브래킷(511C)을 향해 제2 브래킷(512C)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예컨대 접근시킴으로써 장치(500C)에 장착될 수 있다. 타이어(50)는 도 5a를 참조로 설명된 바와 같이 처리될 수 있다.
도 5d는 도 5a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브래킷(511D), 제2 브래킷(521D) 및 제3 브래킷(531D)을 포함하는 장치(500D)를 이용하여 타이어(50)를 장착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타이어(50)는 타이어(50)를 제1 브래킷(511D), 제2 브래킷(521D) 및 제3 브래킷(531D) 사이에 배치하고 제1 브래킷(511D), 제2 브래킷(521D) 및 제3 브래킷(531D)을 서로를 향해 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장치(500D)에 장착될 수 있다. 타이어(50)는 도 5a를 참조로 설명된 바와 같이 처리될 수 있다.
도 5e는 브래킷(511E)을 포함하는 장치(500E)를 이용하여 타이어(50)를 장착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타이어(50)는 타이어(50)를 브래킷(511E) 상에 배치함으로써 장치(500E)에 장착될 수 있다. 브래킷(511E)은 타이어(50)의 비드부를 파지하거나, 거치하거나, 연결하거나, 클램프 고정할 수 있다. 타이어(50)는 도 5a를 참조로 설명된 바와 같이 처리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타이어(60)를 처리하는 방법과, 요변성 밸런싱 물질을 도시한다. 본 방법은 여러 단계들의 바람직한 순서대로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단계와 단계의 순서를 달리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예컨대, 많은 단계들이 동시에 실행될 수 있다. 더불어, 여러 단계들은 선택적일 수 있다.
도 6a는 타이어(60)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타이어(60)를 선택적으로 장착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타이어(60)의 장착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예컨대 브래킷, 실린더 또는 롤러를 이용하여 타이어(60)의 외측면, 예컨대 원주 방향 트레드 면(610) 또는 타이어(60)의 원주 방향 비드부(625, 635)를 거치하는 단계, 예컨대 파지하거나, 클램프 고정하거나, 거치하거나,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b는 타이어(60)의 비드부(625, 635)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비드부(625, 635)의 개방은 비드부(625, 635)의 원주에 대해 부분적이거나 완전할 수 있다. 비드부(625, 635)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적절한 각도로 롤러가 삽입되어 반대 방향으로 당겨진다. 개방은 타이어(60)를 처리하는 데에 채용되는 공구를 위해 내측면(640)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c는 구(舊) 밸런싱 물질(601)을 타이어(60)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도시한다. 예컨대 타이어(60)가 정비소에서의 경우와 같이 중고 타이어일 경우, 타이어는 오래된, 가능하게는 중고의 밸런싱 물질(601)을 포함할 수 있다. 구 밸런싱 물질(601)의 제거는 구 밸런싱 물질(601)을 세척하는 단계, 예컨대 이완시키거나, 세정하거나, 흡입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 단계, 예컨대 내측면(640)의 내측 라이너의 세척 단계는 세척 대상인 표면으로 액화 가스 또는 고화 가스, 예컨대 액체 공기, 액체 질소 또는 드라이아이스, 즉 고화 이산화탄소(CO2)를 인가하는 단계, 예컨대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액화 또는 고화 가스는 표면을 향해 예컨대 대략 1 내지 50 bar, 예컨대 대략 4 내지 10 bar, 바람직하게는 대략 7 bar의 압력으로 분사된다. 세척 단계는, 예컨대 드라이아이스 블래스팅(blasting) 또는 이산화탄소 눈 블래스팅을 포함할 수 있다. 드라이아이스 블래스팅 세척시에, 드라이아이스는 바람직하게는 미세한 과립 또는 펠릿의 형태이다. 펠릿은 예컨대 압축 공기 또는 이산화탄소 등의 압축 가스를 이용하여 노즐에서 사출되고, 예컨대 최대 음속까지 고속으로 세척 대상인 표면으로 블래스팅되어 구 밸런싱 물질(601) 등의 잔여물, 예컨대 오염물을 가격한다. 잔여물은 냉각되어 경화 및 취화되고, 표면 재질과 잔여물 간의 상이한 열팽창 계수로 인해, 표면으로부터 이완된다. 타이어(60)의 크기, 즉 치수와 자동화 정도 등과 같은 요인에 따라서 세척은 대략 5 내지 60초를 필요로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드라이아이스 블래스팅은 운동 에너지, 열충격 및 열적 운동 에너지를 수반한다. 펠릿의 운동 에너지는 이들 펠릿이 다른 블래스팅 방법에서와 같이 표면을 가격할 때 전달되어 잔여물을 직접 축출한다. 열충격은 펠릿이 훨씬 높은 온도를 갖는 표면을 가격할 때 펠릿의 급속 승화에 의한 것이다. 열적 운동 효과는 표면을 가격하는 드라이아이스의 급속 승화에 의한 것이다. 이들 요인의 조합으로 인해 각각의 펠릿이 충돌하는 지점에서 기상 이산화탄소의 "미소 폭발 현상"이 생긴다.
이런 세척 공정은 많은 장점을 갖는다. 이런 세척 공정은 세척 대상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이런 세척 공정은 부식을 일으킬 수 있는 수분을 방출하지 않는다. 이런 세척 공정은 해로울 수 있는 용매를 이용하지 않는다. 주된 환경 효과로서, 세척 공정은 잔여물과 함께 이산화탄소를 방출한다. 그러나, 드라이아이스 공급원은 통상적으로 기존의 이산화탄소이기 때문에, 이산화탄소의 순방출은 오직 이산화탄소를 드라이아이스로 응고시켜서 드라이아이스를 블래스팅하기 위해 소모되는 에너지로부터만 유도된다.
도 6d 및 도 6e는 제1 밸런싱 영역(650)의 제1 경계를 한정하는 구획자(671)를 타이어(60)에 선택적으로 삽입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제2 밸런싱 영역(660)은 제1 밸런싱 영역(650)과 유사 또는 동일하게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동시에 처리될 수 있다.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자(671)의 삽입 단계는 내측면(640) 상에 구획자 영역(670)을 전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영역(670)의 전처리는 구획자 영역(670)의 표면(672)을 활성화하는 단계나, 예컨대 연마 단계, 먼지, 액체 등을 제거하기 위해 구획자 영역(670)을 세척하는 단계, 예컨대 세정 또는 흡입 세척,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구획자 영역(670)의 세척은 도 6c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구 밸런싱 물질(601)을 세척하는 것과 유사하게 또는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자(671)를 타이어(60)에 삽입하는 단계는 구획자 영역(670)에 구획자(671)를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획자(671)는 무단 제품으로서 제공되어 필요에 따라 절개되거나, 사전 절개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구획자(670)는 예컨대 발포 재료, 바람직하게는 다공성 발포 재료와 같은 세포형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구획자(671)는 타이어(60)의 구름 소음을 줄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획자 영역(670)은 접착제층, 예컨대 아교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층(673)은 타이어(60) 또는 구획자(67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구획자(671)는 다른 적절한 수단에 의해 타이어(60)에 장착될 수 있다. 구획자(671)를 구획자 영역(670)에 장착하는 단계는 구획자(671)를 타이어(60) 내에 삽입하는 단계와, 구획자 영역(670) 상에 구획자(671)를 고정하는, 예컨대 접합 및 건조 또는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 또는 경화를 위해, 열, 적외선(IR) 광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밸런싱 영역(650)을 위한 구획자(671) 또는 홈은 타이어(60)의 제조 중에 생성될 수 있다.
타이어(60) 상에 구획자(671)를 장착하는 단계는 구획자 영역(670) 상에 구획자(671)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되, 접착제층(673)은 나노구조를 포함한다. 접착제층(673)에 나노구조를 제공하는 단계는 접착제층(673)에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재료, 즉 광택제 등의 나노재료를 분포시키는, 예컨대 분사 및 건조 또는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층(673)은 구획자(67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접착제층(673)은 타이어(60)의 구획자 영역(67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접착제층(673)의 나노구조는 도 6f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공될 수 있다. 나노재료의 화학적 가교 반응 동안, 구획자(671), 예컨대 발포층이 나노재료에 도포되어 나노구조에 의해 구획자 영역(670) 상에 고정, 즉 접합될 수 있다. 구획자(671)는 접착제층을 갖거나 갖지 않을 수 있다. 접착제층(673)은 예컨대 감압형 접착제의 형태이거나 나노재료와 동일한 성분을 갖는 임의의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착제층(763)의 나노구조에는 제1 나노구조(652) 또는 제2 나노구조(662) 또는 양자가 동시에 제공된다.
대안으로서, 타이어(60)에 구획자(671)를 삽입하는 단계는 구획자(671)를 구획자 영역(670) 상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획자(671)는 구획자 재료, 예컨대 경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예컨대 발포 재료, 바람직하게는 다공성 발포 재료와 같은 세포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획자(671)를 구획자 영역(670)에 형성하는 단계는 구획자 영역(670)에 구획자 재료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획자(671)는 타이어(60)의 구름 소음을 줄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획자 재료는 점성일 수 있고,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성분, 예컨대 제1 성분(A), 예컨대 수지와, 제2 성분(B), 예컨대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구획자 재료는 이성분 재료일 수 있다. 구획자 재료, 즉 제1 성분(A)와 제2 성분(B)는 도 6f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화학적 가교반응 또는 중합반응에 의해 반응할 수 있다. 구획자 재료는, 예컨대 우레탄 링크(-NH-CO-O-)에 의해 결합되는 유기 유닛의 체인을 포함하는 폴리머인 폴리우레탄(PU)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 폴리머는 촉매의 존재 하에 적어도 두 개의 이소시아네이트 기능기를 포함하는 나노머를 적어도 두 개의 알코올기를 포함하는 다른 모노머와 반응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구획자 재료는, 예컨대 압출에 의해 노즐을 통해 도포될 수 있다. 경화 전에, 구획자 재료는 가스, 예컨대 공기가 구획자 재료를 통해 순환되거나, 구획자 재료와 혼합되거나, 구획자 재료에서 용해되는 자체의 화학 반응 또는 통기로 인해 구획자(671)를 형성하도록 팽창될 수 있다. 이성분 분포기, 예컨대 독일 42781 하안 소재 플루드시스템즈 게엠베하 앤 코 카게사(FludSystems GmbH & Co. KG)에서 판매하는 Posidot 44(PD44)를 사용하여 구획자(671)를, 바람직하게는 구획자 영역(670) 상에 직접 형성할 수 있다.
구획자 재료를 구획자 영역(670)에 적용하는 단계는 소정량의 구획자 재료를 구획자 영역(670) 상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소정량의 구획자 재료의 적용 단계는 소정량의 구획자 재료를 제1 구획자 재료 스트랜드로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정량의 구획자 재료의 적용 단계는 또한 소정량의 구획자 재료를 제2 구획자 재료 스트랜드로서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획자 재료 스트랜드 또는 제2 구획자 재료 스트랜드 또는 이들 모두의 단면은 원형, 반원형, 평판형, 삼각형, 사변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제1 구획자 재료의 스트랜드는 제2 구획자 재료의 스트랜드와 평행하게 제공될 수 있다.
가요성을 위해, 소정량의 구획자 재료를 적용하는 단계는 타이어(60)의 특성, 예컨대 타이어(60)의 크기, 유형 또는 모델로부터, 또는 타이어의 특징, 예컨대 타이어의 코드 또는 바코드, 또는 타이어(60) 상에 또는 타이어 내에 전자 식별이나 무선 주파수 식별로부터 또는 양자로부터 구획자 재료의 양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구획자 영역(670)에 구획자 재료의 양을 분포시키는 단계는 타이어(60)의 불균일성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완할 수 있다.
구획자 영역(670)은 접착제층(673), 예컨대 아교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층(673)은 타이어 또는 구획자(671)에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구획자(671)는 다른 적절한 수단에 의해 타이어(60)에 고정될 수 있다.
구획자(671)를 구획자 영역(670)에 형성하는 단계는 구획자(671)를 구획자 영역(670) 상에 고정, 예컨대 접합 및 건조 또는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를 위해, 열, 적외선(IR) 광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구획자(671)를 구획자 영역(670) 상에 형성하는 단계는 구획자(671)를 구획자 영역(670) 상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접착제층(673)은 나노구조를 포함한다. 접착제층(673)에 나노구조를 제공하는 단계는,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재료, 즉 광택제 등의 나노재료를 접착제층(673)에 분포시키는 단계, 예컨대 분사 및 건조 또는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층(673)은 구획자(671)에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접착제층(673)은 타이어(60)의 구획자 영역(670)에 형성될 수 있다.
접착제층(673)의 나노구조는 도 6f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공될 수 있다. 나노재료의 화학적 가교 반응 중에, 구획자(671), 예컨대 발포층은 나노재료에 도포되고 나노구조에 의해 구획자 영역(670) 상에 고정, 즉 접합될 수 있다. 구획자(671)는 접착제층을 갖거나 갖지 않을 수 있다. 접착제층(673)은 예컨대 감압 접착제 형태의 임의의 접착제, 또는 나노재료와 동일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착제층(763)의 나노구조에는 제1 나노구조(652) 또는 제2 나노구조(662) 또는 양자가 동시에 제공된다.
도 6f는 제1 밸런싱 영역(650)에 제1 나노구조(652)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제1 밸런싱 영역(650)에 제1 나노구조(652)를 제공하는 단계는 제1 밸런싱 영역(650) 상에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광택제 등의 재료를 분포시키는, 예컨대 분사 및 건조 또는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 또는 경화를 위해, 열, 적외선(IR) 광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제1 나노구조(652)는 타이어(60)를 제조하는 동안 타이어(60)의 중공부를 형성하는 블래더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재료, 즉 나노재료는 나노기판으로서 제1 나노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나노재료는 둘 이상의 성분, 예컨대 제1 성분(A), 예컨대 수지와, 제2 성분(B), 예컨대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나노재료는 이성분 재료일 수 있다. 나노 재료, 즉 제1 성분(A)와 제2 성분(B)는 화학적 가교 반응 또는 중합반응에 의해 반응할 수 있다. 화학적 가교 반응은 제1 성분(A)와 제2 성분(B)를 혼합한 직후 또는 혼합한 후 시작할 수 있다.
화학적 가교 반응은 성분들과 그 비율에 따라 대략 1초 내지 240초 내에서, 대략 1초 내지 3초 사이와 같이 예컨대 대략 1초 내지 10초 사이에서 보다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다.
제1 성분(A)과 제2 성분(B)은 고온에서 보다 빠르게 반응할 수 있다. 화학적 가교반응은 제1 성분(A) 또는 제2 성분(B) 또는 이들 모두 또는 나노재료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가열함으로써 가속될 수 있다. 적절한 온도는 화학 성분과 같은 여러 요인에 따라 대략 50 내지 200 ℃ 사이의 범위, 예컨대 대략 9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20℃ 사이의 범위일 수 있다.
제1 성분(A)과 제2 성분(B)은 화학적 가속제, 즉 촉진제가 있을 때 보다 빠르게 반응할 수 있다. 촉진제는 화학 결합을 변경하거나 천연적 또는 인공적 화학 공정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물질이다. 따라서 화학적 가교 반응은 촉진제에 의해 가속될 수 있다. 나노재료에 적절한 촉진제는 화학 성분과 같은 여러 요인에 따라 예컨대 N,N-디메틸-p-톨루이딘(CH3C6H4N(CH3)2)일 수 있다. 제1 성분(A)과 제2 성분(B)은 직접적으로 촉진제를 제1 성분(A) 및 제2 성분(B)과 혼합함으로써 또는 간접적으로 촉진제를 혼합된 제1 성분(A) 및 제2 성분(B)에 적용함으로써 촉진제와 접촉될 수 있다.
제1 성분(A)과 제2 성분(B)은 촉매가 있을 때 보다 빠르게 반응할 수 있다. 촉매는 화학 공정에서 소모되지 않는 촉진제이다. 나노재료에 적절한 촉매는 화학 조성과 같은 요인에 따라, 예컨대 아크릴 과산화물과 같은 과산화 촉매와, 알칼리성 촉매와, 트리플루오로보란 에테르산과 같은 산성 촉매와, 알루미노포르피린(aluminoporphyrine) 금속 착물 및 아연 코발트 시안화 글리콜 에테르-착물 촉매와 같은 복합 금속 시안화 착물 촉매와, 포스파젠(phosphazen) 촉매와 같은 비금속 분자 촉매와, 세슘 촉매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성분(A)과 제2 성분(B)은 직접적으로 촉매를 제1 성분(A) 및 제2 성분(B)과 혼합함으로써 또는 간접적으로 촉매를 혼합된 제1 성분(A) 및 제2 성분(B)에 촉매를 적용함으로써 촉매와 접촉될 수 있다. 촉매는 일반적으로 화학 반응 완료 후 회수될 수 있다. 그러나, 촉매는 바람직하게는 화학 반응의 완료 후 회수되지 않는다.
밸런싱 영역(650)에 제1 나노구조(652)를 제공하는 단계는 제1 성분(A) 및 제2 성분(B)를 결합하는 단계, 예컨대 서로 연결하거나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성분(A) 및 제2 성분(B)의 결합 단계는 이들 성분을 동시에 또는 순서대로 용기, 바람직하게는 혼합기 또는 블렌더에 넣고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성분(A) 및 제2 성분(B)의 결합 단계는 표적 영역, 예컨대 제1 밸런싱 영역(650) 상에 나노재료인 혼합 성분들을 분포시키는 단계, 예컨대 도포하거나, 분무하거나, 브러싱(brushing)하거나 롤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성분(A) 및 제2 성분(B)의 결합 단계는 예컨대 용기에 이들 성분을 넣기 전에, 제1 성분(A) 또는 제2 성분(B) 또는 이들 모두를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화학적 가교 반응이 가속될 수 있다. 가열 단계는 가열 대상인 성분을 포함하는 용기 또는 저장조를 가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가열 단계는 표적 영역을 가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가열 단계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 예컨대 저항 가열, 유도 가열, 물 가열, 증기 가열, 고온 공기, IR 광 또는 UV 광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1 성분(A) 및 제2 성분(B)의 결합 단계는 예컨대 용기에 성분들을 넣기 전에, 제1 성분(A) 또는 제2 성분(B) 또는 이들 모두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화학적 가교 반응이 감속될 수 있다. 냉각 단계는 냉각 대상인 성분을 포함하는 용기 또는 저장조 또는 이들 모두를 냉각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냉각 공정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 예컨대 냉동, 수냉 및 공기 조화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제1 성분(A) 및 제2 성분(B)의 결합 단계는 표적 영역을 향해서 또는 표적 영역 상에서 이들 성분을 동시에 또는 순서대로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성분은 개개의 노즐을 통해 분사될 수 있다.
제1 성분(A) 및 제2 성분(B)의 결합 단계는 예컨대 표적 영역을 향해서 또는 표적 영역 상에서 이들 성분을 분사하기 전에, 제1 성분(A) 또는 제2 성분(B) 또는 이들 모두를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 단계는 가열 대상인 성분을 포함하는 저장조 또는 개별 노즐 또는 이들 모두를 가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가열 단계는 표적 영역, 예컨대 타이어(60)의 내측면(640) 상의 내측 라이너,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밸런싱 영역(650)을 가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적절한 온도 범위는 대략 50 내지 200 ℃로서, 예컨대 대략 9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20℃ 사이의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나노재료는 가능하게는 잔여물, 예컨대 실리콘, 실리콘 오일 또는 활석과 같은 이형제를 포함하는 세척되지 않고 처리되지 않은 내측 라이너에 직접 적용된다. 나노재료의 화학적 가교는 이형제를 포함하고 나노재료의 화학 구조에 이형제를 합체시킴으로써, 예컨대 발포 재료와 같은 구획자(671) 및 구획자 영역(670) 뿐만 아니라 내측 라이너와 제1 밸런싱 영역(650)에 나노재료를 밀착시킨다.
촉진제, 촉매 또는 이들 모두를 적용하는 단계는 표적 영역을 향해 또는 표적 영역 상에 상기 물질 또는 상기 물질들을 동시에 또는 순서대로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질 또는 상기 물질들은 개별 노즐을 통해서 분사될 수 있다. 촉진제 또는 촉매의 경우, 표적 영역은 구획자(671) 상에 있을 수 있으며, 나노재료의 제1 성분(A)과 제2 성분(B)이 구획자 영역(670) 상에 접착제층(673)을 형성하는 동안, 구획자(671) 상에 도포된 촉진제 또는 촉매는 제1 성분(A)과 제2 성분(B)에 적용되고, 화학 공정은 구획자(671)가 타이어(60)로 삽입되어 접착제층(673)과 접촉될 때 가속된다. 따라서 화학 공정은 구획자(671)가 타이어(60) 내로 삽입될 때 실질적으로 시작되고 증가된 속도로 인해 가능한 신속히 종료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밸런싱 영역(650)에 제1 나노구조를 제공하고 구획자 영역(670)에 구획자(671)를 장착하기 위한 처리 시간은 최소화될 수 있다.
가열 단계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 예컨대 저항 가열, 유도 가열, 물 가열, 증기 가열, 고온 공기, 롤러 등의 가열된 공구 및 바람직하게는 IR 광 또는 UV 광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방법은 제2 밸런싱 영역(660)에 제2 나노구조(662)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나노구조(652)와 제2 나노구조(662)는 동시에 제공될 수 있다.
도6g는 타이어(60)의 제1 견부(621)에 인접한 내측면(640) 상에서 제1 원주 방향 밸런싱 영역(650)에 제1 분량의 균형 조절 물질(651)을 제공하는 단계를 도시하며, 이 단계는 제1 밸런싱 영역(650) 상에 제1 분량의 균형 조절 물질(651)을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대안으로서, 제1 밸런싱 영역(650)은 내측면(640) 상에서 내측 라이너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분량의 밸런싱 물질(651)을 제공하는 단계는 제1 밸런싱 물질 스트랜드(654)로서 제1 분량의 밸런싱 물질(651)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분량의 밸런싱 물질(651)을 제공하는 단계는 또한 제2 밸런싱 물질 스트랜드(655)로서 제1 분량의 밸런싱 물질(651)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밸런싱 물질 스트랜드(654) 또는 제2 밸런싱 물질 스트랜드(655) 또는 이들 모두의 단면은 원형, 반원형, 평판형, 삼각형, 사변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제1 밸런싱 물질 스트랜드(654)는 제2 밸런싱 물질 스트랜드(655)와 평행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제1 분량의 밸런싱 물질(651)을 제공하는 단계는 예컨대 타이어(60)의 크기, 유형 또는 모델과 같은 타이어(60)의 특성, 예컨대 타이어의 코드 또는 바코드 또는 타이어(60) 상부 또는 내부의 전자 인식표 또는 무선 주파수 인식표(RFID)와 같은 타이어의 특징물, 또는 이들 모두로부터 제1 분량의 밸런싱 물질(651)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장치는 가능하게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와, 메모리와, 스크린, 키보드와 같은 입/출력 장치와, 가능하게는 RFID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연산 장치는 특성, 특징물 또는 이들 모두를 분석하고, 예컨대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룩-업 테이블과 같은 저장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분량의 균형 조절 물질(651)을 결정하고, 배출 속도를 결정하고, 펌프와 같은 배출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제1 밸런싱 영역(650) 상에 제1 분량의 균형 조절 물질(651)을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시킨다.
본 방법은 타이어(60)의 제2 견부(631)에 인접한 내측면(640) 상에서 제2 원주 방향 밸런싱 영역(660)에 제2 분량의 균형 조절 물질(661)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분량의 균형 조절 물질(651)과 제2 분량의 균형 조절 물질(661)은 동시에 제공될 수 있다.
도6h는 타이어(60)의 비드부(625, 635)를 선택적으로 이형시키는 단계를 도시한다. 본 방법은 차륜을 형성하기 위해 림에 타이어(60)를 장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은 가스 또는 예컨대 대기 공기와 같은 가스 혼합물로 타이어(60)를 충전하는 단계, 즉 가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부하 조건 하에서 예컨대 차륜을 회전시킴으로써 차륜의 균형을 맞추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은 타이어(60)를 처리하기 위해 타이어(60)를 회전시키거나 공구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이들 모두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방법은 타이어(60)의 단속 구역을 처리하기 위해 복수의, 예컨대 두 개의 공구를 단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대응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가능하게는 많은 장치를 거쳐 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대응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예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예시된 특정 실시예들을 동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계산된 임의의 구성으로 대체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상술한 설명이 제한적이지 않고 예시를 위해 제시된 것임은 물론이다. 본 출원은 본 발명에 대한 소정의 개조 또는 변경을 포괄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당업자라면 상술한 설명에 비추어 이해함으로써 상술한 실시예들과 다른 많은 실시예들의 조합을 자명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구조와 방법이 이용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실시예와 응용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물론, 이것이 제공하는 균등예의 전 범위를 참조하여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차량 타이어(20; 30; 40; 50; 60)를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타이어(20; 30; 40; 50; 60)를 취급, 예컨대 이동, 운반 및 회전시키는 장치에 타이어(20; 30; 40; 50; 60)를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타이어(20; 30; 40; 50; 60)를 취급하는 장치로부터 상기 타이어(20; 30; 40; 50; 60)를 탈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타이어의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타이어(20; 30; 40; 50; 60)를 장착하도록 작동되고, 상기 장치는 타이어(20; 30; 40; 50; 60)를 탈착하도록 작동되는 차량 타이어의 처리 방법.
  3.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타이어(20; 30; 40; 50; 60)를 처리하는 장치로 타이어(20; 30; 40; 50; 60)를 이동시키도록 작동되는 차량 타이어의 처리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타이어(20; 30; 40; 50; 60)가 상기 타이어(20; 30; 40; 50; 60)를 처리하는 장치에 의해 처리될 때에 타이어(20; 30; 40; 50; 60)를 회전시키도록 작동되는 차량 타이어의 처리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타이어(20; 30; 40; 50; 60)의 회전을 타이어(20; 30; 40; 50; 60)의 처리와 협동하기 위하여 상기 타이어(20; 30; 40; 50; 60)를 처리하는 장치와 통신하도록 작동되는 차량 타이어의 처리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로봇, 예컨대 산업용 로봇인 차량 타이어의 처리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은 나노 기판을 부착하는 스테이션으로 상기 타이어(50)를 이동시키고 상기 스테이션에서 나노 기판을 부착하는 동안 상기 타이어(50)를 적절한 범위까지, 예컨대 360도까지 회전시키며,
    상기 로봇은 구획자(671)를 부착하는 스테이션으로 상기 타이어(50)를 이동시키고 상기 스테이션에서 구획자(671)를 부착하는 동안 상기 타이어(50)를 적절한 범위까지, 예컨대 360도까지 회전시키며,
    상기 로봇은 밸런싱 기판을 부착하는 스테이션으로 상기 타이어(50)를 이동시키고 상기 스테이션에서 밸런싱 기판을 부착하는 동안 상기 타이어(50)를 적절한 범위까지, 예컨대 360도까지 회전시키는 차량 타이어의 처리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분량의 요변성 밸런싱 물질(251; 351; 451; 651)을 차량 타이어(20; 30; 40; 50; 60)의 내측면(240; 340; 440; 640) 상의 제1 원주 방향 밸런싱 영역(250; 350; 450; 650)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분량의 밸런싱 물질(251; 351; 451; 651)을 상기 제1 밸런싱 영역(250, 350, 450, 650)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타이어의 처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량의 밸런싱 물질(251; 351; 451; 651)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분량의 밸런싱 물질(251; 351; 451; 651)을 제1 밸런싱 물질 스트랜드로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타이어의 처리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량의 밸런싱 물질(251; 351; 451; 651)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분량의 밸런싱 물질(251; 351; 451; 651)을 제1 밸런싱 물질 스트랜드(654)와 제2 밸런싱 물질 스트랜드(655)로서 제공하는 차량 타이어의 처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런싱 물질 스트랜드(654)는 상기 제2 밸런싱 물질 스트랜드(655)와 단속적으로 제공되는 차량 타이어의 처리 방법.
  12.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런싱 물질 스트랜드(654) 또는 상기 제2 밸런싱 물질 스트랜드(655) 또는 이들 모두의 단면은 원형, 반원형, 평판형, 삼각형, 사변형 또는 다각형인 차량 타이어의 처리 방법.
  13. 제6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량의 밸런싱 물질(251; 351; 451; 651)을 제공하는 단계는, 타이어(20; 30; 40; 50; 60)의 특성, 예컨대 타이어(20; 30; 40; 50; 60)의 크기, 유형 또는 모델로부터 상기 제1 분량의 밸런싱 물질(251; 351; 451; 651)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타이어의 처리 방법.
  14. 제6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량의 밸런싱 물질(251; 351; 451; 651)을 제공하는 단계는, 타이어(20; 30; 40; 50; 60)의 특징물, 예컨대 타이어의 코드 또는 바코드, 또는 타이어(20; 30; 40; 50; 60) 상부 또는 내부의 전자 인식표 또는 무선 주파수 인식표(RFID)로부터 상기 제1 분량의 밸런싱 물질(251; 351; 451; 651)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타이어의 처리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른 차량 타이어(20; 30; 40; 50; 60)의 처리 장치.
  16.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른 차량 타이어(20; 30; 40; 50; 60)의 처리 시스템.
KR1020117011381A 2008-11-12 2009-11-11 차량 타이어를 처리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과, 차량 타이어 KR201100938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168915 2008-11-12
EP08168915.0 2008-11-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806A true KR20110093806A (ko) 2011-08-18

Family

ID=41609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1381A KR20110093806A (ko) 2008-11-12 2009-11-11 차량 타이어를 처리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과, 차량 타이어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110203741A1 (ko)
EP (1) EP2349702B1 (ko)
JP (1) JP2012508139A (ko)
KR (1) KR20110093806A (ko)
CN (1) CN102209623A (ko)
AU (1) AU2009315692A1 (ko)
BR (1) BRPI0921056A2 (ko)
CA (1) CA2739162A1 (ko)
DK (1) DK2349702T3 (ko)
ES (1) ES2423789T3 (ko)
MX (1) MX2011005016A (ko)
RU (1) RU2011123405A (ko)
WO (1) WO20100550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07356A1 (en) * 2008-03-31 2009-10-07 Carnehammar, Lars Bertil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analyzing a vehicle wheel
JP2014004793A (ja) * 2012-06-26 2014-01-16 Bridgestone Corp スピューの除去方法
EP3658362B1 (en) * 2017-07-28 2022-11-16 Pirelli Tyre S.p.A. Process and apparatus for applying noise reducer elements to tyres for vehicle wheel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6964A (en) * 1976-06-11 1978-08-15 Ransburg Corporation Balance correction method and apparatus
DK60087D0 (da) * 1987-02-05 1987-02-05 Alron Chemical Co Ab Daekbalanceringskomposition
DE3706860A1 (de) * 1987-03-04 1988-09-15 Byk Chemie Gmbh Thixotrope zubereitungen, verwendung von polycarbonsaeureamiden zu ihrer herstellung und mit polycarbonsaeureamiden beschichtetes siliciumdioxid
SE500179C2 (sv) * 1990-11-09 1994-05-02 Alvin Ronlan Däckbalanseringsgel och förfarande för balansering av fordonshjul
DE9419066U1 (de) 1994-11-28 1995-01-26 Stahlgruber Gruber & Co Otto Vorrichtung zum Markieren und Kennzeichnen von runderneuerten Kfz-Luftreifen
DE19853691A1 (de) * 1998-11-22 2000-07-06 Norbert Seitz Verfahren zum Aufbringen von Reifenauswuchtsubstanzen auf die Innenfläche von Reifen vor dem Wuchtvorgang
EP1063106A1 (en) * 1999-06-24 2000-12-27 Carnehammar Lars Bertil Tyre balancing compositions
DE10064360A1 (de) * 2000-12-21 2002-07-04 B I G Gentilini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lassifizierung einer Felge und eines Reifens und zur Montage eines Rades
JP3400787B2 (ja) * 2000-12-26 2003-04-2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のアンバランス修正方法
US7086669B2 (en) * 2002-11-07 2006-08-08 Grant Prideco, L.P. Method and apparatus for sealing radially expanded joints
US7408005B2 (en) * 2004-03-12 2008-08-05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Hairy polymeric nanoparticles
US7368024B2 (en) 2005-09-01 2008-05-06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Balanced tire assembly and method
JP4787784B2 (ja) * 2006-05-09 2011-10-0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セット
WO2008009696A1 (en) * 2006-07-21 2008-01-24 Carnehammar, Lars Bertil Tyre with inner surface provided with a nanostructure
JP4833783B2 (ja) * 2006-09-26 2011-12-07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騒音低減装置及び空気入りタイヤ
WO2008084708A1 (ja) * 2007-01-10 2008-07-17 Bridgestone Corporation 生タイヤの調芯供給装置及び調芯供給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03741A1 (en) 2011-08-25
RU2011123405A (ru) 2012-12-20
WO2010055068A1 (en) 2010-05-20
MX2011005016A (es) 2011-05-30
CN102209623A (zh) 2011-10-05
CA2739162A1 (en) 2010-05-20
BRPI0921056A2 (pt) 2018-10-16
JP2012508139A (ja) 2012-04-05
AU2009315692A1 (en) 2010-05-20
EP2349702B1 (en) 2013-05-01
EP2349702A1 (en) 2011-08-03
DK2349702T3 (da) 2013-07-22
ES2423789T3 (es) 2013-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72270A (ko) 차량 타이어의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00375680C (zh) 充气轮胎和轮辋的组装件、噪音抑制体、充气轮胎的保存方法
KR20110093854A (ko) 차량 타이어의 처리를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과 차량 타이어
JP2012071601A (ja) フォーム製ノイズダンパーを有する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法
KR20110093806A (ko) 차량 타이어를 처리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과, 차량 타이어
CN106715148B (zh) 充气轮胎
EP2039536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cessing of vehicle tyres
CN107428036B (zh) 用于生产磨削弹性体的方法和设备
GB2569321A (en) An improved solid tyre
KR102569142B1 (ko) 타이어 및 타이어 제조 방법
TW201331060A (zh) 減少旋轉系統振動之方法、裝置及系統
JP2003025806A (ja) 安全タイヤ及びリム組立体と発泡性組成物
KR100579475B1 (ko) 패드가 구비된 연삭휠
KR20240082116A (ko) 흡음층을 구비한 타이어 및 그 제조방법
KR100884187B1 (ko) 생타이어용 톱형 이형제 도포장치
CN114670583A (zh) 一种高强度防爆胎轮毂及加工平台
CN103101401A (zh) 安全防戳轮胎及其制备方法
Hussaini et al. Design and Analysis of Airless Tire
JPH07257112A (ja) 空気入り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