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3368A - 차량 조향 시스템용 감속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조향 시스템용 감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3368A
KR20110093368A KR1020100013383A KR20100013383A KR20110093368A KR 20110093368 A KR20110093368 A KR 20110093368A KR 1020100013383 A KR1020100013383 A KR 1020100013383A KR 20100013383 A KR20100013383 A KR 20100013383A KR 20110093368 A KR20110093368 A KR 20110093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planetary gear
ring gear
ring
plane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9236B1 (ko
Inventor
김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킴
Priority to KR1020100013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236B1/ko
Publication of KR20110093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3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조향 시스템용 감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동력을 전달하여 회전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선기어와, 상기 선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유성기어와, 상기 유성기어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성기어의 일부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1링기어와, 상기 유성기어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성기어의 잔부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2링기어와, 상기 제 2링기어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종동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링기어와 상기 제 2링기어는 서로 차동기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조향 시스템용 감속 장치{A Decelerator for Vehicle Steering System}
본 발명은 차량 조향 시스템용 감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조향 작동 부재의 조작량에 대한 바퀴 회전 장치의 바퀴 조향량의 비를 변경할 수 있는 차량 조향 시스템용 감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차량이 갖는 조향 시스템인 이른바 VGRS(Variable Gear Ratio Streering)기능, 즉 조향 핸들과 같은 조향 작동 부재의 조작량에 대한 바퀴 회전 장치의 바퀴 회전량의 비가 변경 가능한 가변 기어비 전달 장치를 구비하는 조향시스템이 검토되고 있다.
상기 조향 시스템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작동장치와 , 바퀴회전장치와, 운동량 가변전달장치로서 VGRS액츄에이터와 제어장치로서의 전자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VGRS액츄에이터에는 입력축과 출력축 각각의 회전 사이의 비인 회전비를 변경할 수 있는 감속장치가 마련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감속장치가 차량에 장착되기 위해서는 크기의 제한이 있어 소형으로 제작되는데, 그 일예로 대한민국특허공개공보 제 10-2008-4575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고정자기어와 피동기어의 잇수를 서로 다르게 하여 감속효과가 나타나도록 한 것인데, 그 기어들과 맞물리는 가요성기어가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진동의 발생과, 마찰력 등으로 인하여 전체적으로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형으로 안전하게 작동하는 감속장치가 장착되는 차량용 조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인 차량 조향 시스템용 감속 장치는, 동력을 전달하여 회전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선기어와, 상기 선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유성기어와, 상기 유성기어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성기어의 일부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1링기어와, 상기 유성기어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성기어의 잔부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2링기어; 그리고, 상기 제 2링기어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종동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링기어와 상기 제 2링기어는 서로 차동기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인 차량 조향 시스템용 감속 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동력을 전달하여 회전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선기어와, 상기 선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유성기어와, 상기 유성기어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성기어의 일부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1링기어와, 상기 유성기어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성기어의 잔부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2링기어; 그리고, 상기 제 2링기어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종동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성기어는, 바 형상으로 회전하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선단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상기 제 1링기어와 맞물리는 제 1기어부; 그리고, 상기 축부의 후단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상기 제 2링기어와 맞물리는 제 2기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기어부와 상기 제 2기어부는 서로 차동기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인 차량 조향 시스템용 감속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동력을 전달하여 회전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선기어와, 상기 선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유성기어와, 상기 유성기어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성기어의 일부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1링기어와, 상기 유성기어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성기어의 잔부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2링기어; 그리고, 상기 제 2링기어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종동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성기어는, 바 형상으로 회전하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선단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상기 제 1링기어와 맞물리는 제 1기어부; 그리고, 상기 축부의 후단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상기 제 2링기어와 맞물리는 제 2기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링기어와 상기 제 2링기어는 서로 차동기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조향 시스템용 감속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유성기어와 두 개의 케리어기어가 연동하며, 각각 서로 잇수비가 다르도록 하여 차등감속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소형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어 내구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조향 시스템용 감속장치의 제 1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조향 시스템용 감속장치의 제 2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조향 시스템용 감속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차량 조향 시스템용 감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의 제 1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을 전달하여 회전하는 구동축(10)과, 상기 구동축(1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선기어(12)와, 상기 선기어(12)와 맞물려 회전하는 유성기어(20)와, 상기 유성기어(20)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성기어(20)의 일부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1링기어(30)와, 상기 유성기어(20)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성기어(20)의 잔부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2링기어(40)와, 상기 제 2링기어(40)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종동축(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감속장치에는 구동축(10)이 마련된다. 상기 구동축(10)의 일측에는 모터(미도시)가 마련되어, 상기 구동축(10)이 회전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구동축(10)은 상기 모터의 동력을 아래에서 설명될 종동축(5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동축(10)의 외측면에는 선기어(12)가 마련된다. 상기 선기어(12)는 상기 구동축(10)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유성기어(20)에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선기어(12)의 외측면에는 유성기어(20)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유성기어(20)에는 상기 구동축(10)의 선기어(12)와 맞물리도록 상기 유성기어(20)의 외측면에 기어가 마련된다. 상기 구동축(10)의 선기어(12)와 상기 유성기어(20)의 기어에 의해 상기 구동축(10)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유성기어(20)가 회전하면서 아래에서 설명될 링기어(30, 40)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유성기어(20)는 상기 선기어(12)를 중심으로 자전과 공전을 동시에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성기어(20)는 상기 선기어(12)를 중심으로 다수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전달하는 하중에 따라 유성기어(20)의 수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성기어(20)는 3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성기어(20)의 외측면에는 링기어(30, 40)가 마련된다. 상기 링기어(30, 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성기어(20)들이 상기 링기어(30, 40)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링기어(30, 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성기어(20)의 전면에 제 1링기어(30)가, 상기 유성기어(20)의 후면에 제 2링기어(40)가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유성기어(20)로 전달된 동력이 상기 제 1링기어(30)와 상기 제 2링기어(40)로 각각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 2링기어(40)는 상기 유성기어(20)와 서로 차동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유성기어(20)로 전달된 동력이 제 1링기어(30)로 전달되는 것과 달리 상기 제 2링기어(40)로는 다른 속도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링기어(30)와 상기 제 2링기어(40)는 서로 다른 기어잇수비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구동축(10)을 통한 동력이 전달되면서, 상기 제 1링기어(30)와 달리 상기 제 2링기어(40)로 다른 속도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 2링기어(40)에는 종동축(50)이 마련된다. 상기 종동축(50)은 상기 제 2링기어(40)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반대측 휠로 다른 속도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조향 시스템용 감속장치의 제 2실시예를 이하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조향 시스템용 감속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을 전달하여 회전하는 구동축(10)과, 상기 구동축(1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선기어(12)와, 상기 선기어(12)와 맞물려 회전하는 유성기어(20)와, 상기 유성기어(20)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성기어(20)의 일부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1링기어(30)와, 상기 유성기어(20)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성기어(20)의 잔부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2링기어(40)와, 상기 제 2링기어(40)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종동축(5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성기어(20)는, 바 형상으로 회전되는 축부(22)와, 상기 축부(22)의 선단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상기 제 1링기어(30)와 맞물리는 제 1기어부(24)와, 상기 축부(22)의 후단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상기 제 2링기어(40)와 맞물리는 제 2기어부(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조향 시스템용 감속장치의 구성은 상술한 제 1실시예에서와 그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나, 유성기어(20)의 구성이 상이하다. 따라서, 이하 유성기어(20)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유성기어(20)에는 축부(22)가 마련된다. 상기 축부(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형상의 바모양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축부(22)에는 제 1기어부(24)와 제 2기어부(26)가 마련된다. 상기 제 1기어부(2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부(22)의 선단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상기 제 1링기어(30)와 맞물려 상기 유성기어(20)의 동력을 제 1링기어(3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 2기어부(2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부(22)의 후단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상기 제 2링기어(40)와 맞무려 상기 유성기어(20)의 동력을 제 2링기어(4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기어부(24)와 상기 제 2기어부(26)는 서로 차동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유성기어(20)로 전달된 동력이 상기 제 1링기어(30)로 전돨되는 것과 달리 상기 제 2링기어(40)로는 다른 속도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기어부(24)와 상기 제 2기어부(26)는 서로 다른 기어잇수비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구동축(10)을 통한 동력이 전달되면서, 상기 제 2링기어(40)와 달리 상기 제 2링기어(40)로 다른 속도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상기 제 1내지기어(24)와 상기 제 2기어부(26)는 동일하고, 상기 제 1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제 1링기어(30)와 상기 제 2링기어(40)가 서로 다른 기어잇수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조향 시스템용 감속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조향 시스템용 감속장치의 제 1실시예의 동작과정을 살펴보면, 모터의 동력이 구동축(10)으로 전달되면, 상기 구동축(10)이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10)이 회전하면서, 상기 구동축(10)의 선기어(12)와 맞물리는 유성기어(20)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유성기어(20)는 회전하면서, 상기 유성기어(20)와 맞물리는 제 1링기어(30)와 상기 제 2링기어(40)가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제 1링기어(30)와 상기 제 2링기어(40)는 서로 기어잇수비가 달라 서로 다른 감속비를 나타내면서, 종동축(50)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조향 시스템용 감속장치의 제 2실시예의 동작과정을 살펴보면, 모터의 동력이 구동축(10)으로 전달되면, 상기 구동축(10)이 회전한다.
상기 구동축(10)이 회전하면서, 상기 구동축(10)의 선기어(12)와 맞물리는 유성기어(20)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유성기어(20)는 회전하면서, 상기 유성기어(20)와 맞물리는 제 1링기어(30)와 상기 제 2링기어(40)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 1링기어(30)와 맞물리는 제 1기어부(24)와 상기 제 2링기어(40)와 맞물리는 제 2기어부(26)는 서로 기어잇수비가 달라 서로 다른 감속비를 나타내면서 종동축(50)이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이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구동축 12: 선기어
20: 유성기어 22: 주축
24: 제 1기어부 26: 제 2기어부
30: 제 1링기어 40: 제 2링기어
50: 종동축

Claims (3)

  1. 동력을 전달하여 회전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선기어;
    상기 선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유성기어;
    상기 유성기어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성기어의 일부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1링기어;
    상기 유성기어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성기어의 잔부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2링기어; 그리고,
    상기 제 2링기어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종동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링기어와 상기 제 2링기어는 서로 차동기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조향 시스템용 감속장치.
  2. 동력을 전달하여 회전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선기어;
    상기 선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유성기어;
    상기 유성기어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성기어의 일부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1링기어;
    상기 유성기어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성기어의 잔부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2링기어; 그리고,
    상기 제 2링기어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종동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성기어는,
    바 형상으로 회전하는 축부;
    상기 축부의 선단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상기 제 1링기어와 맞물리는 제 1기어부; 그리고,
    상기 축부의 후단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상기 제 2링기어와 맞물리는 제 2기어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기어부와 상기 제 2기어부는 서로 차동기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조향 시스템용 감속장치.
  3. 동력을 전달하여 회전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선기어;
    상기 선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유성기어;
    상기 유성기어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성기어의 일부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1링기어;
    상기 유성기어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성기어의 잔부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2링기어; 그리고,
    상기 제 2링기어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종동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성기어는,
    바 형상으로 회전하는 축부;
    상기 축부의 선단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상기 제 1링기어와 맞물리는 제 1기어부; 그리고,
    상기 축부의 후단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상기 제 2링기어와 맞물리는 제 2기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링기어와 상기 제 2링기어는 서로 차동기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조향 시스템용 감속장치.
KR1020100013383A 2010-02-12 2010-02-12 차량 조향 시스템용 감속 장치 KR101229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383A KR101229236B1 (ko) 2010-02-12 2010-02-12 차량 조향 시스템용 감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383A KR101229236B1 (ko) 2010-02-12 2010-02-12 차량 조향 시스템용 감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368A true KR20110093368A (ko) 2011-08-18
KR101229236B1 KR101229236B1 (ko) 2013-02-04

Family

ID=44930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383A KR101229236B1 (ko) 2010-02-12 2010-02-12 차량 조향 시스템용 감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236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5832A (ja) 2001-02-13 2002-08-23 Exedy Corp 減速機付き差動装置
KR100409192B1 (ko) * 2001-04-24 2003-12-18 송창준 복합가변속장치
JP2005132327A (ja) 2003-10-10 2005-05-26 Honda Motor Co Ltd 車両用操舵装置
KR100939946B1 (ko) * 2005-09-14 2010-02-04 도요타 지도샤(주) 차량용 조향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9236B1 (ko) 2013-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24317B1 (en) Input synthesis gear system
WO2015008325A1 (ja) 駆動歯車装置
US8303451B2 (en) Driving force distribution mechanism
US8376886B2 (en) Coaxial epicyclic gear train with bidirectional input and one-way output
EP1932622A3 (en) Screwdriver with motor and speed change mechanism
US20180313440A1 (en) Geared transmission unit
JP6627155B2 (ja) 入力合成装置
WO2018163948A1 (ja) ハイブリッド車両用トランスミッション
US7357747B2 (en) Apparatus for differential power distribution
KR101033858B1 (ko) 무단변속 기어셋트
US8439783B2 (en) Penetrating shaft type planetary gear train with bidirectional input and one-way output
JP4958113B2 (ja) 動力伝達機構
JP2010144762A (ja) 駆動力配分装置
EP1867515A1 (en) Axle driving device having dual planetary reduction
KR101229236B1 (ko) 차량 조향 시스템용 감속 장치
JP2017110682A (ja) 動力伝達装置
US8734284B1 (en) Differential and active torque vectoring
CN114962569A (zh) 用于电动车辆的动力传动系
JP2010188810A (ja) 車両用動力伝達装置
JP2022061200A (ja) 電動車両用駆動ユニット
JP6939471B2 (ja) 電動駆動装置
KR20110097196A (ko) 차량용 무단변속기
JP2009030626A (ja) 駆動力配分装置
WO2020230368A1 (ja) 動力伝達機構
JP2011157055A (ja) 車両のトランスフ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