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2680A - 콘크리트구조물의 수중양생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구조물의 수중양생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2680A
KR20110092680A KR1020100012238A KR20100012238A KR20110092680A KR 20110092680 A KR20110092680 A KR 20110092680A KR 1020100012238 A KR1020100012238 A KR 1020100012238A KR 20100012238 A KR20100012238 A KR 20100012238A KR 20110092680 A KR20110092680 A KR 20110092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ing
tank
module
water
under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1728B1 (ko
Inventor
정민희
Original Assignee
정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민희 filed Critical 정민희
Priority to KR1020100012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1728B1/ko
Publication of KR20110092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2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1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1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2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uring, setting or hardening
    • B28B11/245Curing concrete articles
    • B28B11/246Underwater c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구조물의 수중양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특히 콘크리트 구조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밀폐 구조의 양생수조와 상기 양생수조 내부로 물을 급수 또는 배수하는 급배수모듈, 그리고 상기 양생수조 내부에 수용되는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모듈과 통풍모듈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된 공간의 수조구조를 구비하는 양생수조에 급배수 시스템과 환경조절시스템을 부가하여 원활한 수중양생의 공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이동성이 확보된 구조로서 수조구조를 형성하여, 건설장소 이외의 장소에서 간편하게 수중양생을 수행하며, 수중양생의 환경설정 및 변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양생 후 건설장소로 간편하게 이송이 가능한 구조의 양생설비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구조물의 수중양생장치{UNDERWATER CONCRETE PRODUCT CURING DEVICE}
본 발명은 벽돌, 블록, 경계석 등 다양한 콘크리트구조물의 양생을 위한 구조물에 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수중양생을 위한 환경조성을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하며 건설현장 이외에서도 양생 공정을 실시하고 이송할 수 있도록 이동성이 확보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장에 시멘트 공사를 한 후, 혹은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 공정이 수행되게 된다. 콘크리트 양생이란 콘크리트를 혼합하고 나서 경화하기까지 적당한 온도와 습기(수분)를 주어 충분히 경화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거나, 콘크리트의 강도가 충분히 크게 되기까지 과도한 충격이나 하중을 주지 않거나 또는 풍우, 서리, 햇빛 등에 대해서 콘크리트의 노출면을 보호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가 소정의 강도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이러한 양생을 시켜야 하는바, 상기 양생을 통해 건조, 온도 변화, 하중 및 충격 등의 영향으로부터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다 견고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특히 콘크리트 표면이 건조하면 균열이 생기기 쉬우므로 타설 후 즉시 물을 뿌려줌으로써 콘크리트의 표면을 습윤 상태로 유지해야 한다.
그리고, 양생에는 공사의 상황에 따라 습윤양생, 막양생, 증기양생, 전기양생 등 다양한 시공방법이 있는바, 가장 대표적인 양생으로 콘크리트에 지속적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습윤양생이 있으며, 이 습윤양생은 콘크리트의 노출면을 양생용 가마니, 마포, 모래 등을 적셔서 덮든가 또는 살수하여 콘크리트를 친 후에 적어도 5일간은 습윤상태로 보호하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습윤양생의 경우 이를 위하여 많은 인력과 장비 및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공사비가 많이 들게 되는 결점이 있고, 작업자의 호스 등으로 직접 살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구조물의 전 면적에 골고루 살수되기가 어려우며, 이에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가 떨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보통양생의 경우, 콘크리트의 강도부족,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의 방지, 동결방지 등의 목적으로 특별히 온도를 올리는 것 같은 것은 하지 않고 틀에 다져 넣은 후 1주간 정도 물을 뿌리기도 하고 젖은 가마니, 톱밥 등으로 덮어서 콘크리트의 표면이 건조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으로 현장에서 타설하는 콘크리트의 양생은 거의 이 방법이다. 추운 날씨에 건조물을 시트 등으로 덮고 콘크리트를 따뜻하게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도 넓은 의미의 보통 양생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양생 방법은 인력소모가 과다하며, 양생의 효율이 덜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다음으로, 증기양생의 경우 콘크리트를 혼합하고 나서 수시간 후에 증기로 콘크리트에 온도와 수분을 주어 일찍 강도를 내는 방법으로 도로용의 콘크리트 제품이나, 프리캐스트 제품 등은 이 방법으로 양생시키는 경우가 많다. 종래의 콘크리트 양생 장치는 양생실 내에 적재된 콘크리트 성형물을 양생하기 위해 가열된 증기를 장시간의 양생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양생실 내부로 배출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양생실내부로 배출된 많은 양의 고온, 고압의 증기가 침출수로 바뀌어 열손실이 발생됨과 동시에 콘크리트 성분이 함유된 침출수가 외부로 유출되는데 따른 환경오염과 오일버너의 연료로서 등유나 경유 등을 사용하는데 따른 환경오염 및 많은 연료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술한 오토클레이브 양생의 경우, 증기양생이 끝난 콘크리트를 오토클레이브라고 하는 특수한 양생 가마에 넣고 180℃, 10기압 정도의 고온,고압의 증기로 행하는 방법으로 이에 의해 800~ 1,800kgf/cm2 정도의 압축강도를 갖는 콘크리트를 얻을 수 있는데 통상의 콘크리트 재료 외에 규석 등의 실리카질 분말을 혼합한다. 이 방법으로 만들어지는 제품에는 고강도 파일 등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 역시 양질의 콘크리트 양생을 위한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운전이 어렵고, 관리비가 많이 소요되며, 고압의 증기에 의한 폭발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양생실 내부로 배출되는 고온, 고압의 증기가 콘크리트 성형물 및 거푸집에 직접 닿기 때문에 급팽창되어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양생 방법을 보완하기 위한 수중양생 방법의 경우, 제품을 수중환경에서 급배수를 통해 건설장소에서 양생을 하게 되는데, 이는 양생을 위한 설비의 구축 면에서 비용소모가 많으며, 공간적인 제약이 많아 시공시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건설장소 이외의 장소에서 간편하게 수중양생을 수행하며, 수중양생의 환경설정 및 변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양생후 건설장소로 간편하게 이송 가능한 구조의 양생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밀폐된 공간의 수조구조를 구비하는 양생수조에 급배수 시스템과 환경조절시스템을 부가하여 원활한 수중양생의 공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이동성이 확보된 구조로서 수조구조를 형성하여, 건설장소 이외의 장소에서 간편하게 수중양생을 수행하며, 수중양생의 환경설정 및 변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양생 후 건설장소로 간편하게 이송이 가능한 구조의 양생 설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밀폐 또는 상부개방 구조의 양생수조; 상기 양생수조 내부로 물을 급수 또는 배수하는 급배수모듈; 상기 양생수조 내부에 수용되는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모듈과 통풍모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구조물의 수중양생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양생수조는 다각형상의 밀폐구조 또는 다각형상의 상부가 개방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폐구조의 경우 양생 환경의 다양한 변위(ph 등) 변화에도 적합하게 대처가능하다는 데 장점이 있으며, 상부개방구조의 경우 양생과정에 대해서 면밀히 관찰할 수 있다는 데 그 장점이 있다.
특히,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중양생장치의 상기 급배수모듈은, 상기 양생수조의 측면에 밀착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급배수수조의 구조로 형성되거나, 또는 분리형으로 상기 양생수조의 외부에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술한 상기의 급배수모듈은, 상기 양생수조 내부로 물을 급수하는 급수배관부; 상기 양생수조의 외부로 물을 배수하는 배수배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양생수조의 상부면에 적어도 1 이상의 양수기용 급배수구인 보조급배수구를 더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중양생장치의 상기 순환모듈은, 상기 양생수조의 상부면에 장착되어, 양생수조 내부에 수용되는 물을 순환시킬 수 있도록 순환팬;과 상기 양생수조의 하부 면에 장착되어 물을 순환시키는 수중모터; 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수중양생장치의 상기 통풍모듈은, 상기 양생수조의 상부면에 적어도 1 이상 배치되는 통풍용공기구;와 상기 양생수조의 측면에 적어도 1 이상 형성되는 공기순환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양생수조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내부로 도입 및 반출하도록 상기 양생수조의 전면에 형성되는 방수용개폐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방수용개폐모듈은, 상기 양생수조의 전면을 밀폐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도어몸체; 상기 도어몸체를 상기 양생수조에 고정 또는 탈착시키는 락킹부; 상기 도어몸체와 양생수조의 접촉면의 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몸체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밀착유닛; 상기 도어몸체의 밀착유닛과 양생수조의 밀착력을 보강하는 방수개폐유닛;을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구조물의 수중양생장치는 양생수조의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1 이상의 온도센서, 습도센서, 산도측정(PH)센서의 정보를 읽어들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통합환경관리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통합환경관리모듈은, 상기 양생수조 또는 상기 급배수모듈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의 일체형급수수조에 각각 배치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환경관리모듈은, 양생수조 또는 일체형급수수조의 양생환경을 온도센서, 습도센서, 산도측정(PH)센서를 통해 측정하는 양생환경측정모듈; 상기 양생환경측정모듈에서 측정된 정보를 바탕으로 각각의 측정 인자를 조절하는 양생환경조절모듈; 상기 양생환경측정모듈 또는 양생환경조절모듈의 측정값 또는 조절값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 상기 양생환경조절모듈, 디스플레이모듈, 양생환경측정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구조물의 수중양생장치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밀폐 또는 상부개방 구조의 양생수조; 상기 양생수조 내부로 물을 급수 또는 배수하는 급배수모듈; 상기 양생수조 내부에 수용되는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모듈과 통풍모듈;을 구비하는 수중양생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급배수모듈은, 상기 양생수조의 측면에 밀착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급배수수조의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급배수수조 하나에 적어도 1 이상의 양생수조가 밀착형성되는 수중양생장치 연합유닛이 다수 개로 형성되는 병렬형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된 또는 상부가 개방된 수조구조를 구비하는 양생수조에 급배수 시스템과 환경조절시스템을 부가하여 원활한 수중양생의 공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이동성이 확보된 구조로서 수조구조를 형성하여, 건설장소 이외의 장소에서 간편하게 수중양생을 수행하며, 수중양생의 환경설정 및 변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양생 후 건설장소로 간편하게 이송이 가능한 구조의 양생 설비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구조물의 수중양생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의 콘크리트구조물의 수중양생장치의 개념도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구조물의 수중양생장치를 다수로 형성한 적용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서의 콘크리트구조물의 수중양생장치의 개념도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여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중양생 환경을 실시간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양생수조에 급배수 시스템과 환경조절시스템을 부가하여 원활한 수중양생의 공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이동성이 확보된 구조로서 수조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요지로 한다. 이하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이라 함은, 벽돌, 블록, 경계석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시멘트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다양한 구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구조물의 수중양생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구조물의 수중양생장치는 크게 콘크리트 구조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밀폐 또는 상부개방 구조의 양생수조(100)와 상기 양생수조(100) 내부로 물을 급수 또는 배수하는 급배수모듈(300), 그리고 상기 양생수조 내부에 수용되는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모듈(410)과 통풍모듈(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양생수조(100)는 방수 및 방청이 가능한 재질의 재료로 외벽을 형성하여 밀폐 또는 상부개방된 구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내부에 콘크리트구조물을 수용한 상태에서 수중양생을 위하여 외부에서 내부로 물을 급수 받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로 설비됨이 바람직한바, 전체적으로는 밀폐 또는 상부개방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입이 가능한 출입구인 방수용개폐모듈(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양생수조(10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거나 배수하기 위한 급배수모듈(300)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급배수모듈(300)은 급수부(310)와 배수부(320), 그리고 보조급배수구(33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생장치는 상기 양생수조(10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온도 상승을 조절하기 위하여 수용되는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모듈(410)을 구비하며, 상기 양생수조의 내부의 통풍을 위해 통풍모듈(4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양생수조 내부의 환경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조절할 수 있도록 통합환경관리모듈(20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통합환경관리모듈(200)은 상기 양생수조 또는 일체형급수수조의 양생환경을 온도센서, 습도센서, 산도측정(PH)센서를 통해 측정하는 양생환경측정모듈(210)과 상기 양생환경측정모듈에서 측정된 정보를 바탕으로 각각의 측정인자를 조절하는 양생환경조절모듈(220), 그리고 상기 양생환경측정모듈 또는 양생환경조절모듈의 측정값 또는 조절값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230) 및 상기 양생환경조절모듈, 디스플레이모듈, 양생환경측정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구조물의 수중양생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전체적으로 밀폐 또는 상부개방되는 구조의 양생수조(100)를 구비하며, 내부는 비어 있는 구조로 형성하여 콘크리트구조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양생수조(100)의 전면에는 방수용개폐모듈(110)을 형성하여,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을 인입과 반출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하며, 상기 방수용개폐모듈(110)은 상기 양생수조의 전면을 밀폐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도어몸체(110A)와 상기 도어몸체를 상기 양생수조에 고정 또는 탈착시키는 락킹부(113), 상기 도어몸체와 양생수조의 접촉면의 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몸체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밀착유닛(11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도어몸체(D)의 전면에 안정적인 방수구조를 실현하기 위하여 방수용개폐장치(미도시)를 형성하여, 도어몸체(D)가 더욱 안정적으로 양생수조에 강하게 밀폐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양생수조(100)의 내부에는 기본적으로 수용되는 물이 내부에 구비된 콘크리트구조물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온도조절을 조절하기 위해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모듈(410)로서 상기 양생수조의 상부에 장착되는 순환팬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양생수조의 하부에는 수중모터(420)를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물을 순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양생수조 내부의 통풍을 구현하기 위하여 통풍모듈(430)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통풍모듈은 상기 양생수조의 상부면에 개구된 통풍용공기구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홀에 부설되는 환기용 팬을 더 설치할 수 있다. 아울러 양생수조의 측벽면 상부에는 원활한 공기의 통풍을 위하여 적어도 1 이상의 공기순환홀(44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양생수조(100)의 측면에는 일체로 연결된 구조의 급배수모듈(300)으로서의 급배수수조를 구비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급배수수조(P)는 상기 양생수조(100)와 같이 밀폐 또는 상부개방된 구조의 구조물로서, 내부에 물을 수용하고 있다가 필요 시 상기 양생수조(100)로 급수부(310)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급수부(310)에서 물의 인출입구 전면에는 이물질거름망(310a, 310b)를 qol하여 이물질을 걸러낼수 있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급배수를 조절하는 밸브(310c)는 도시된 것처럼 급배수수조안에서 조작하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급배수수조의 외부에서 조작하는 구조로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물론 상기 양생수조(100)에서 수용하는 물을 추후 배수부(320)를 통해서 배출될 수 있으며, 특히 이 배수부에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이물질거름망(320a)가 장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양생수조(100)의 상부면에는 추후 보온수를 공급하거나 추가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양수기용급수구(330)을 더 구비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배수부(320)은 배치위치는 도시된 것처럼 양생수조의 바닥면에 형성하는것이 바람직하나, 이외에도 양생수조의 측면하부 등 그 배치위치를 상황에 따라 변경배치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급배수모듈(300)을 구성하는 급배수수조(P)는 상부가 열리는 구조의 개폐문(210)을 형성하여 출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나아가 필요에 따라 사다리(220)를 부설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급배수수조(P)의 내부에는 기본적으로 상기 양생수조의 내부에 구비되는 수중모터(411)을 구비하여 물을 순환할 수 있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자체적으로 배수할 수 있는 배수부(311)을 급배수수조의 바닥부분에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배수부(311)에는 이물질거름망(3110a)를 추가하여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급배수수조(P) 상부에는 독립적인 급수부(331)을 구비하여 급수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수중양생의 경우 물의 산도에 따라 부식 등의 문제가 발생하므로, 콘크리트구조물을 양생시키는 물의 PH의 파악과 이를 조절하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며, 따라서 공급되는 물의 PH 값과 양생수조 내부에서 일정시간이 지난 후의 물의 PH값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 이를 조절하기 위해 새로운 물을 공급하거나 배수하여 능동적인 조절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아울러 양생을 하는 공정의 물은 콘크리트가 양생중에 발생시키는 열로 인해 온도가 급상승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원활하고 신뢰성 있는 양생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바, 물의 온도를 파악하여 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구조물의 수중양생장치의 외부에는 양생수조의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1 이상의 온도센서, 습도센서, 산도측정(PH)센서의 정보를 읽어들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통합환경관리모듈(200)을 적어도 1 이상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즉 양생수조(100)와 급배수수조(P)의 각각의 환경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독립적으로 구비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합관리모듈(200)은 기본적으로 양생수조의 수중환경 및 대기환경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디스플레이하고, 필요한 환경설정을 제어할 수 있는 유닛으로 양생수조와 급배수수조의 외부에 장착(200a, 200b)될 수 있다. 상기 통합관리모듈은 기본적으로 양생수조 내부의 온도환경, 습도환경, 물의 산도(PH)를 각각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하고, 각각의 센서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각 정보의 표시는 디지털 방식으로 LCD 액정에 표시되거나, 또는 각 항목의 수치에 대응되는 값을 LED로 표시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합환경관리모듈(200)은 양생수조 또는 일체형급수수조의 양생환경을 온도센서, 습도센서, 산도측정(PH)센서를 통해 측정하는 양생환경측정모듈과 상기 양생환경측정모듈에서 측정된 정보를 바탕으로 각각의 측정인자를 조절하는 양생환경조절모듈, 그리고 상기 양생환경측정모듈 또는 양생환경조절모듈의 측정값 또는 조절값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 및 상기 양생환경조절모듈, 디스플레이모듈, 양생환경측정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아울러, 상기 양생수조의 외벽에 수위측정유닛(S)을 구비하여 양생수조의 내부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수위측정유닛(S)는 투명호스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 몸체(S1)과, 상기 몸체(S1)의 외면에 형성되는 측정눈금(S2), 그리고 수위가 상기 몸체의 내부를 올라오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측정야광찌(S3)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위측정유닛(S)는 기본적으로 관리자가 긴급하게 수위여부를 확인하는데 유용한 유닛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통합관리모듈이 작동하지 않을 경우, 수동으로 기작시,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구조물이 된다.
도 3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구조물의 수중양생장치를 다른 실시예로 적용한 적용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적용례는 도 2에서 상술한 구조물을 적어도 1 이상 구비하여 연결한 구조로 대량 양생시스템으로 구축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특히 도시된 도면(이는 도 2의 수중양행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정면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은 하나의 급배수수조(P)에 2개의 양생수조(100)을 연결한 것으로, 이 경우에는 하나의 급배수수조(P)가 각각의 양생수조로 급수를 실시할 수 있도록 도 2에서의 급수부(310)를 2개로 형성함으로써 급수를 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물론, 상기 양생수조의 내부의 순환모듈로서의 순환팬(410), 수중모터(420), 통풍모듈(430)의 구성은 동일한다. 아울러 상기 급배수수조(P)의 내부에 도어(210)나 수중모터(411), 급수구(321)도 역시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다.
이처럼 하나의 급배수수조(P)에 다수의 양생수조를 연결한 구조를 이용하면, 콘크리트구조물을 대량으로 양생할 수 있게 되며, 한정된 장소에서 양생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2의 실시예와의 다른 점은 급배수모듈의 주 구성부분인 급배수수조(P)를 상기 양생수조에 일체형으로 형성시키지 않고 분리형으로 형성시킨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기본적으로 양생수조(100)와 방수용개폐모듈(110), 상기 양생수조(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통풍모듈(430), 수중모터(420)의 구성은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양생수조(100)의 외부에 형성되는 통합환경관리모듈(200)도 동일한 구성으로 장착될 수 있다.
다만, 급배수모듈(300)을 상기 양생수조와 일체형으로 형성시키지 않고 분리하여 형성하며, 급수는 급수배관부(310), 배수는 배수배관부(320)를 통해 구현하며, 자체적으로 급수저장고와 배수저장고를 별도로 관리하여 급배수되는 물을 순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순환시에는 별도의 필터를 이용하여 오염물을 확인하고, 급수저장고(Q1)와 배수저장고(Q2)의 수질환경(PH, 온도 등)을 확인하여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별도의 통합환경관리모듈(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의 통합환경관리모듈(200)을 통해 양생수조(100)의 내부의 양생환경을 파악 및 조절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도 2에서 상술한 것과 같이, 양생수조의 외벽에 수위측정유닛(S)을 구비하여 양생수조의 내부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수위측정유닛(S)는 투명호스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 몸체(S1)과, 상기 몸체(S1)의 외면에 형성되는 측정눈금(S2), 그리고 수위가 상기 몸체의 내부를 올라오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측정야광찌(S3)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위측정유닛(S)는 기본적으로 관리자가 긴급하게 수위여부를 확인하는데 유용한 유닛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통합관리모듈이 작동하지 않을 경우, 수동으로 기작시,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구조물이 됨 역시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술한바와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기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양생수조
110: 방수용개폐모듈
200: 통합환경관리모듈
210: 양생환경측정모듈
220: 양생환경조절모듈
230: 디스플레이모듈
240: 제어부
300: 급배수모듈
310: 급수부
320: 배수부
330: 보조급배수구
410: 순환모듈
420: 수중모터
430: 통풍모듈

Claims (12)

  1. 콘크리트 구조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밀폐 또는 상부개방 구조의 양생수조;
    상기 양생수조 내부로 물을 급수 또는 배수하는 급배수모듈;
    상기 양생수조 내부에 수용되는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모듈과 통풍모듈;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구조물의 수중양생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급배수모듈은,
    상기 양생수조의 측면에 밀착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급배수 수조의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구조물의 수중양생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급배수모듈은,
    상기 양생수조의 외부에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구조물의 수중양생장치.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급배수모듈은,
    상기 양생수조 내부로 물을 급수하는 급수배관부;
    상기 양생수조의 외부로 물을 배수하는 배수배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양생수조의 상부면에 적어도 1 이상의 양수기용 급배수구인 보조급배수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중양생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순환모듈은,
    상기 양생수조의 상부 면에 장착되어, 양생수조 내부에 수용되는 물을 순환시킬 수 있도록 순환팬;과
    상기 양생수조의 하부 면에 장착되어 물을 순환시키는 수중모터;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구조물의 수중양생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통풍모듈은,
    상기 양생수조의 상부 면에 적어도 1 이상 배치되는 통풍용공기구;와
    상기 양생수조의 측면에 적어도 1 이상 형성되는 공기순환홀;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구조물의 수중양생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양생수조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내부로 도입 및 반출하도록 상기 양생수조의 전면에 형성되는 방수용개폐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구조물의 수중양생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방수용개폐모듈은,
    상기 양생수조의 전면을 밀폐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도어몸체;
    상기 도어몸체를 상기 양생수조에 고정 또는 탈착시키는 락킹부;
    상기 도어몸체와 양생수조의 접촉면의 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몸체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밀착유닛;
    상기 도어몸체의 밀착유닛과 양생수조의 밀착력을 보강하는 방수개폐유닛;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중양생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수중양생장치는,
    양생수조의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1 이상의 온도센서, 습도센서, 산도측정(PH)센서의 정보를 읽어들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통합환경관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구조물의 수중양생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통합환경관리모듈은,
    상기 양생수조 또는 상기 급배수모듈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의 일체형급수수조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구조물의 수중양생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통합환경관리모듈은,
    양생수조 또는 일체형급수수조의 양생환경을 온도센서, 습도센서, 산도측정(PH)센서를 통해 측정하는 양생환경측정모듈;
    상기 양생환경측정모듈에서 측정된 정보를 바탕으로 각각의 측정인자를 조절하는 양생환경조절모듈;
    상기 양생환경측정모듈 또는 양생환경조절모듈의 측정값 또는 조절값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
    상기 양생환경조절모듈, 디스플레이모듈, 양생환경측정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구조물의 수중양생장치.
  12. 콘크리트 구조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밀폐 구조의 양생수조;
    상기 양생수조 내부로 물을 급수 또는 배수하는 급배수모듈;
    상기 양생수조 내부에 수용되는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모듈과 통풍모듈;을 구비하는 수중양생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급배수모듈은,
    상기 양생수조의 측면에 밀착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급배수수조의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급배수수조 하나에 적어도 1 이상의 양생수조가 밀착형성되는 수중양생장치 연합유닛이 다수 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중양생장치.

KR1020100012238A 2010-02-10 2010-02-10 콘크리트구조물의 수중양생장치 KR101081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238A KR101081728B1 (ko) 2010-02-10 2010-02-10 콘크리트구조물의 수중양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238A KR101081728B1 (ko) 2010-02-10 2010-02-10 콘크리트구조물의 수중양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680A true KR20110092680A (ko) 2011-08-18
KR101081728B1 KR101081728B1 (ko) 2011-11-08

Family

ID=44929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238A KR101081728B1 (ko) 2010-02-10 2010-02-10 콘크리트구조물의 수중양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172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28918A (zh) * 2012-01-14 2012-07-04 中铁一局集团有限公司 恶劣环境中混凝土结构物施工养护方法
CN114670323A (zh) * 2022-03-31 2022-06-28 北京港创瑞博混凝土有限公司 一种混凝土管材用蒸养装置及其蒸养工艺
CN115452499A (zh) * 2022-07-26 2022-12-09 广州港股份有限公司 一种水泥土芯样养护装置
CN115478479A (zh) * 2022-09-07 2022-12-16 中铁十局集团第八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高立柱夏季养护循环水系统的装置及使用方法
CN117226975A (zh) * 2023-10-31 2023-12-15 济南市交通运输事业发展中心 一种公路桥梁预制梁养护装置及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341B1 (ko) 2012-04-16 2013-10-08 (주)다이유진코리아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체의 양생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943147D1 (de) 1998-06-04 2011-03-03 Denki Kagaku Kogyo Kk Härtvorrichtung für hochtemperatur- hochdruckunterwasserbeton und verfahren zum aushärten die härtvorrichtung benutzend
JP2006008431A (ja) 2004-06-23 2006-01-12 Abekogyosho Co Ltd コンクリートの養生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28918A (zh) * 2012-01-14 2012-07-04 中铁一局集团有限公司 恶劣环境中混凝土结构物施工养护方法
CN114670323A (zh) * 2022-03-31 2022-06-28 北京港创瑞博混凝土有限公司 一种混凝土管材用蒸养装置及其蒸养工艺
CN114670323B (zh) * 2022-03-31 2023-08-29 北京港创瑞博混凝土有限公司 一种混凝土管材用蒸养装置及其蒸养工艺
CN115452499A (zh) * 2022-07-26 2022-12-09 广州港股份有限公司 一种水泥土芯样养护装置
CN115478479A (zh) * 2022-09-07 2022-12-16 中铁十局集团第八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高立柱夏季养护循环水系统的装置及使用方法
CN117226975A (zh) * 2023-10-31 2023-12-15 济南市交通运输事业发展中心 一种公路桥梁预制梁养护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1728B1 (ko) 201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1728B1 (ko) 콘크리트구조물의 수중양생장치
CN100572710C (zh) 无网聚苯板现浇混凝土外墙保温施工方法
CN103806656A (zh) 现浇混凝土无梁板内置薄壁空心盒体的施工方法
KR20140039698A (ko)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 및 그 양생 방법
CN110374328A (zh) 基于穿插施工的楼层止水引流施工处理方法
CN113668928A (zh) 超长大体积混凝土水池施工裂缝控制方法
CN104264716B (zh) 一种在地下工程中建立永久无渗漏的维护体系的方法
CN107893426A (zh) 一种输电线路杆塔的大开挖防腐基础及施工方法
CN105822068A (zh) 高温环境下的超长薄壁混凝土墙浇筑和养护方法
CN112392160A (zh) 外墙防火保温系统及其施工方法
CN209397632U (zh) 一种地下室防疏排构造
CN112962646B (zh) 一种集水坑及其施工方法
CN210389616U (zh) 一种可移动的混凝土养护室
KR102302947B1 (ko) 콘크리트블록 급속제작시스템 및 급속제작방법
KR102147348B1 (ko) 콘크리트 슬라브 크랙 보수방법
CN211440509U (zh) 一种轨道板补水控温水养系统
CN208557885U (zh) 蒸汽隧道窑
KR100189718B1 (ko) 동절기 콘크리트구조체의 시공방법
CN218712283U (zh) 混凝土结构修复及智能养护装置
WO2018043847A1 (ko) 물 순환용 침투·저류조
KR20020064049A (ko) 맨홀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보수공법
CN214871471U (zh) 一种用于混凝土试块保存的温箱
CN209396959U (zh) 一种处理电镀废水的多层水池
CN214749255U (zh) 一种水泥检测养护装置
CN220226397U (zh) 一种装配式水池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