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348B1 - 콘크리트 슬라브 크랙 보수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슬라브 크랙 보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348B1
KR102147348B1 KR1020200030470A KR20200030470A KR102147348B1 KR 102147348 B1 KR102147348 B1 KR 102147348B1 KR 1020200030470 A KR1020200030470 A KR 1020200030470A KR 20200030470 A KR20200030470 A KR 20200030470A KR 102147348 B1 KR102147348 B1 KR 102147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ck
slab
injection body
injection
re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0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윤석
서지원
Original Assignee
서윤석
서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윤석, 서지원 filed Critical 서윤석
Priority to KR1020200030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3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E04G23/0211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using inj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와 하부 또는 양측에 공간이 존해하는 슬라브에 형성된 크랙의 종류를 미리 확인하여 해당 크랙의 보수를 실시할 수 있는 콘크리트 슬라브 크랙 보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1)슬라브에 형성된 다수의 크랙과 연통되게 상기 슬라브 상면에 부착되는 제1주입체와 상기 슬라브 하면에 부착되는 제2주입체를 포함하는 주입부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2)상기 제1주입체에 온풍을 주입하되 해당 온풍의 온도에 반응하는 상기 제2주입체를 확인하여 상기 슬라브 상면에서 하면까지 이어지는 제1크랙과 이어지지 않는 제2크랙을 선별하는 단계와, 3)확인된 상기 제1크랙과 연통하는 상기 제1주입체를 통해 상기 제2주입체에서 주입정도를 확인할 수 있게 상기 제1크랙 내부에 보수액을 주입하는 단계 및 4)상기 슬라브 상면과 하면에 각각 마감작업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슬라브 크랙 보수방법{Concrete slab crack repair method}
본 발명은 상부와 하부 또는 양측에 공간이 존해하는 슬라브에 형성된 크랙의 종류를 미리 확인하여 해당 크랙의 보수를 실시할 수 있는 콘크리트 슬라브 크랙 보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은, 시공불량, 물리적인 손상, 철근 부식 및 충격 등으로 인한 성능 저하 등으로부터 기인하는 구조적인 크랙(structural crack)과, 소성 수축 및 침하 크랙, 건조 수축 크랙, 동결융해에 의한 크랙 등의 비구조적인 크랙(nonstructural crack)이 있으며, 상기와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은 구조적 결함, 내구성 저하, 외관 손상, 방수 성능 저하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고, 크랙(crack)이 지속적으로 확산되기 때문에 크랙의 발생시에는 되도록 빨리 적절한 대처가 필요하다.
이러한 크랙의 보수를 위한 방법으로는 크랙이 미세할(0.2㎜ 내외) 경우에는, 그 크랙 위로 도막 탄성 방수재, 폴리머 시멘트 페이스트, 충전재 등의 도포로, 피복막을 형성하여 방수성, 내구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나, 이는 해당 크랙 내부 충진이 용이하지 못해 근래에는 상술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인젝터 그라우팅 공법(Injector Grouting)을 실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인젝터 그라우팅 공법은 고단위 애폭시(EPOXY)수지를 콘크리트 구조물 크랙부위에 주입시켜 구조물의 크랙보수, 보강, 방수를 하는 방법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인젝터 그라우팅 공법은 특히, 상부와 하부 또는 양측에 공간(예를 들어, 도면 상의 실외공간과 실내 공간)이 존재하는 건축물의 천정 등에 설치되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슬라브의 크랙을 보수시에 적합하지 못한 단점이 존재하게 된다.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브(10)의 상면에서 하면까지 이어지는 제1크랙(C1)과 그러하지 않은 제2크랙(C2)이 모두 존재하는 경우, 작업자는 육안상으로 해당 제1크랙(C1)과 제2크랙(C2)을 구분하기 어렵기 때문에 먼저, 크랙이 확인된 상기 슬라브(10) 하면에 씰링재(20)를 도포하여 크랙 내부의 기밀을 유지한 후,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슬라브(10) 상면에 주입체(30)를 통해 크랙 내부에 고단위 애폭시(EPOXY)수지인 보수액(R)을 주입한 이후에, 해당 보수액의 경화 시간 이후에 다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슬라브(10) 하면의 씰링재(20)를 제거 후, 보수액이 충진되지 않은 크랙에 또 다시 주입체(30)를 사용하여 보수액을 주입하는 번거로운 반복적인 작업 순서를 갖는 문제점이 존재하게 되며, 이러한 보수공법은 제1크랙(C1)과 제2크랙(C2)의 구별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무분별한 주입체(30)와 씰링재(20)의 사용으로 인하여 재료의 낭비를 일으키며, 이는 곧 경제적인 손실과 작업시간의 낭비를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국내등록특허 제10-0508729호(공고일:2005.08.17.) 국내등록특허 제10-0688468호(공고일:2007.03.02.) 국내등록특허 제10-1188742호(공고일:2012.10.10.)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슬라브를 관통하는 크랙과 그러하지 않은 크랙을 미리 선별하여 보수작업을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재료의 낭비는 물론, 작업시간의 신속함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보수공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슬라브 크랙 보수방법은 1)슬라브에 형성된 다수의 크랙과 연통되게 상기 슬라브 상면에 부착되는 제1주입체와 상기 슬라브 하면에 부착되는 제2주입체를 포함하는 주입부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2)상기 제1주입체에 온풍을 주입하되 해당 온풍의 온도에 반응하는 상기 제2주입체를 확인하여 상기 슬라브 상면에서 하면까지 이어지는 제1크랙과 이어지지 않는 제2크랙을 선별하는 단계와, 3)확인된 상기 제1크랙과 연통하는 상기 제1주입체를 통해 상기 제2주입체에서 주입정도를 확인할 수 있게 상기 제1크랙 내부에 보수액을 주입하는 단계 및 4)상기 슬라브 상면과 하면에 각각 마감작업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3)단계 이후에, 3-1)단계로, 상기 제1크랙 내의 보수액이 경화되는 동안에 상기 제1주입체 또는 상기 제2주입체와 연통하는 상기 제2크랙 내부에 보수액을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단계에서, 상기 제2주입체는 상기 제1주입체를 중심으로 반경 1 내지 1.5미터 이내의 의심구역에 존재하는 상기 슬라브 하면에 존재하는 크랙과 연통되게 상기 슬라브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주입체 및 상기 제2주입체는 각각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부착몸체와, 상기 부착몸체와 이어지되 크랙과 연통되게 관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의 개구된 상부를 개폐하되 크랙 내에 주입되는 보수액의 식별은 물론, 해당 크랙 내에 주입되는 온풍의 온도에 서로 다른 색상으로 식별가능하게 가변되는 덮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부재는 상기 연결관 상부와 탈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하여 상부가 개구된 상기 연결관을 개폐하는 덮개, 상기 덮개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1주입체를 통해 크랙 내부로 공급되는 온풍의 온도에 반응하여 색상의 변화가 이루어지는 캡슐 형태의 시온안료, 상기 시온안료가 분리시에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상기 덮개 내부에 구비되되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제1주입체를 통해 크랙 내부로 주입되는 보수액의 충진 정도를 식별할 수 있는 확인창을 포함하되, 상기 덮개와 상기 연결관이 서로 끼움 결합시에 상기 덮개 내측으로 온풍 또는 보수액의 유입은 물론,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상기 연결관 끝단이 지지되는 턱부가 돌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착몸체 외면에는 상기 연결관에서 분리된 상기 덮개부재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덮개부재가 끼움 결합하는 끼움홈이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상부와 하부 또는 양측에 공간이 존재하는 슬라브에 형성된 크랙을 보수 하기 이전에 해당 크랙의 종류를 온풍에 의해 미리 선별하여 그에 따라 보수를 실시함으로써, 해당 크랙의 보수에 따른 재료의 낭비를 방지함과 동시에 신속한 작업시간을 갖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슬라브 크랙 보수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슬라브 크랙 보수방법의 순서도.
도 5 내지 도 7은 도 4에 대한 슬라브에 부착되는 주입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4에 대한 슬라브에 형성된 크랙에 온풍을 주입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9 내지 도 11은 도 4에 대한 제1 및 제2크랙에 보수액을 주입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4에 대한 보수액이 경화된 이후에 마감작업의 실행을 나타낸 도면.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슬라브 크랙 보수방법(이하, 간략하게 '보수방법'이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의 보수방법(1)은 수평방향으로 건물에 설치되되 상부는 공간을 형성하는 실외와 연통되되 하부는 공간을 형성하는 실내와 연통하는 소정의 두께(D)를 갖는 콘크리트를 재료로 하는 슬라브(10)를 예시적으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해당 슬라브(10)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는 물론, 양측에 공간이 형성된 슬라브(10)의 크랙도 적용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한다.
먼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수방법(1)은 크게 1)슬라브에 주입부재를 부착하는 단계(S100), 2)제1크랙 및 제2크랙을 선별하는 단계(S200), 3)제1크랙 내부에 보수액을 주입하는 단계(S300) 및 슬라브 표면에 마감작업을 실행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1)단계(S10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브(10)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크랙들과 연통되게 주입부재(I)를 설치하여 후술하는 2)단계(S200) 내지 4)단계(S400)의 실행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의 주입부재(I)는 슬라브(10) 상면에 존재하는 크랙 내부와 연통되게 부착되는 제1주입체(I-1) 및 상기 슬라브(10) 하면에 존재하는 크랙 내부와 연통되게 부착되는 제2주입체(I-2)를 포함하며, 후술하는 단계들을 통해 온풍(H/air)이나 보수액(R)이 주입되지 않는 상기 제2주입체(I-2)는 폐쇄된 상태를 갖도록 부착되어 상기 제1주입체(I-1)를 통해 공급되는 온풍(H/air)이나 보수액(R)이 슬라브(10)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각각의 제1주입체(I-1) 및 제2주입체(I-2)는 도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몸체(31), 연결관(34) 및 덮개부재(35)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부착몸체(31)는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되 그 일면에는 외측 방향으로 연결관(34)이 이어지게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관(34)과 반대되는 타면은 접착제(미도시)가 도포되어 슬라브(10) 외면과 접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부착몸체(31) 타면에는 연결관(34)과 서로 연통되게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크랙 내부로 일부 인입될 수 있는 보조관(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연결관(34)을 통하여 공급되는 고온의 온풍(H/air)이나 보수액(R)이 해당 크랙 내부로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부착몸체(31) 일면에는 연결관(34)에서 분리된 덮개부재(35)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게 상기 덮개부재(35)가 끼움 결합할 수 있는 끼움홈(3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관(34)은 전체적으로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일측은 부착몸체(31) 또는 보조관까지 중공부가 이어지게 상기 부착몸체(31)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형상을 갖는다.
연결관(34)은 탄성 복원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되 후술하는 온풍기(미도시)와 관 연결되어 크랙 내부로 고온의 온풍이 주입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수액 공급부(미도시)와 관 연결되어 보수액(R)이 크랙 내부로 충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덮개부재(35)는 개구된 연결관(34)의 끝단을 필요에 따라 개폐하되 상기 연결관(34)을 통해 크랙 내부로 주입되는 온풍(H/air)의 온도 정도 및 해당 크랙 내부로 충진되는 보수액(R)의 충진 여부가 육안으로 식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를 위해 덮개(36), 시온안료(38) 및 확인창(39)을 포함한다.
덮개(36)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캡(Cap)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되 그 개방된 상부는 시온안료(38)에 의해 폐쇄되며, 그 내부는 상기 시온안료(38) 하부에 위치하도록 투명한 플라스틱이나 비닐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확인창(39)이 고정 설치되어 상기 확인창(39)을 통해 연결관(34) 내부가 식별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관(34)의 개방된 끝단에 탈착 가능하게 형상 맞춤으로 끼움 결합한다.
이때, 덮개(36) 내부에는 끼움 결합하는 연결관(34)의 끝단이 확인창(39)과 이격되어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관(34)의 끝단이 지지되는 턱부(37)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34) 내부로 주입되는 고온의 온풍에 의해 상기 확인창(39) 외면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시온안료(38)는 온도의 정도에 따라 색상이 가변되는 열색변화(Thermochromic, TC)를 가져오는 재료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시온안료(38)는 캡슐의 형상을 갖도록 덮개(36)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에 대한 작용관계는 후술하는 2)단계(S200)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2)단계(S20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브(10) 상면에 부착된 제1주입체(I-1)를 통해 크랙 내부에 고온의 온풍을 주입하여 상기 슬라브(10)의 상면에서 하면까지 이어지는 제1크랙(C1)과 이어지지 않는 제2크랙(C2)을 선별하기 위한 단계이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브(10) 하면에 구비된 제2주입체(I-2)의 연결관(34)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브(10) 상면에 설치된 제1주입체(I-1)의 연결관(34)과 외부에 구비된 온풍기가 서로 관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제1주입체(I-1)를 통해 크랙 내부에 온풍을 주입하여 제1크랙(C1)과 제2크랙(C2)을 선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작업자는 슬라브(10) 하면에 구비된 모든 제2주입체(I-2)를 폐쇄하기 보단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브(10) 하면에 발생한 누수의 흔적(예를 들어 누수가 육안으로 확인되는 범위) 등을 고려하여 의심이 가는 크랙과 연통되게 상기 슬라브(10) 하면에 위치하는 상기 제2주입체(I-2)만 선택적으로 폐쇄 상태를 갖도록 실시하되 해당 의심이 가는 크랙의 선택 여부는 누수의 흔적이 선명한 크랙의 슬라브(10) 상면에 설치된 제1주입체(I-1)의 임의의 수직가상선(L)을 기준으로 반경 1 내지 1.5미터 이내의 의심구역(Z)에 존재하는 상기 슬라브(10) 하면에 부착된 제2주입체(I-2)만 적용 가능하여 보수작업의 신속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5 및 도 6 참조)
계속하여, 제2주입체(I-2)가 폐쇄된 상태에서 제1주입체(I-1)를 통해 온풍(H/air)이 다수의 크랙 내부에 동시적으로 주입되면 제1크랙(C1)에 설치된 상기 제2주입체(I-2)의 시온안료(38)는 상기 제1크랙(C1) 내부를 관통하는 해당 온풍(H/air)의 열기에 의해 색상 변화가 이루어짐에 반하여, 제2크랙(C2)에 설치된 제2주입체(I-2)의 시온안료(38)는 해당 온풍(H/air)의 도달이 용이하지 못하고 슬라브(10) 내에서 소멸되거나 전도되어 색상변화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작업자는 제1크랙(C1)과 제2크랙(C2)을 선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시온안료(38)는 최소 30 내지 40도 이내의 온도감지에 의한 색상 변화가 이루어지는 열색변화재료를 사용하되 그 감지되는 온도의 세기에 따라 또 다른 색상으로 가변 가능한 것을 사용하여 제1주입체(I-1)를 통해 온풍(H/air)을 주입한 시간과 비례하여 상기 시온안료(38)의 가변되는 색상에 대한 제1크랙(C1)의 손상 정도의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크랙(C1)의 손상 정도가 심하면 제1주입체(I-1)를 통해 온풍(H/air)을 주입하는 시간과 비례하여 해당 온풍(H/air)이 상기 제1크랙(C1) 내부를 신속하게 관통하게 되어 시온안료(38)의 색상변화의 속도나 감지된 온도의 세기가 증대하는 결과를 통해 상기 제1크랙(C1)의 손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3)단계(S300)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2)단계(S200)에서 확인된 제1크랙(C1) 및 제2크랙(C2)에 보수액(R)을 주입하여 해당 크랙을 보수하기 위한 단계이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슬라브(10)의 상면에서 하면까지 이어지는 제1크랙(C1) 내부와 연통하는 제1주입체(I-1)의 연결관(34)과 보수액 공급부가 서로 관 연결될 수 있도록 설치하며, 상기 제1크랙(C1)과 연통하는 제2주입체(I-2)는 덮개(36)에 의해 기밀이 유지된 상태에서 보수액(R)을 상기 제1크랙(C1) 내부에 주입한다.
이때, 작업자는 제1크랙(C1)과 연통하는 제2주입체(I-2)의 시온안료(38)를 분리하여 외부로 확인창(39)이 노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크랙(C1) 상부에서 하부로 유입된느 보수액(R)의 충진 정도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3)단계(S300)에서는 슬라브(10)에 제2크랙(C2)이 존재하지 않거나 보다 신속한 제1크랙(C1)의 보수가 실행되어야 하는 경우, 상술한 2)단계(S200) 이후에 상기 슬라브(10) 하면에 구비된 제2주입체(I-2)를 제거함과 동시에 상기 제2주입체(I-2)가 존재하던 위치에 씰링재(20)를 도포하여 상기 제1크랙(C1)의 기밀이 유지된 상태에서 제1주입체(I-1)를 통해 보수액(R)을 공급하여 상기 제1크랙(C1)의 보수를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작업자는 우선적으로 제2주입체(I-2)나 씰링재(20)에 의해 제1크랙(C1)의 하부 기밀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크랙(C1)에 보수액(R)을 주입한 상태에서, 해당 보수액(R)이 경화되는 시간에 제2크랙(C2)과 연통하는 제1주입체(I-1) 또는 제2주입체(I-2)와 연통하는 제2크랙(C2) 내부에 순차적으로 보수액(R)을 주입하는 작업순서를 갖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4)단계(S400)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크랙(C1) 또는 제2크랙(C2)에 주입된 보수액(R)의 경화 이후에 슬라브(10) 외면이 평탄면을 가질 수 있게 마감작업을 실시하기 위한 단계이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끌 등의 작업도구를 사용하여 제1주입체(I-1), 제2주입체(I-2) 및 씰링재(20)를 긁어내어 분리하되 긁어진 러프한 부분은 그라인더 등을 이용하여 평탄 작업을 실시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보수방법(1)이 마감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단계들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슬라브 크랙 보수방법(1)은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상부와 하부 또는 양측에 공간이 존재하는 슬라브(10)에 형성된 크랙을 보수 하기 이전에 해당 크랙의 종류를 온풍에 의해 미리 선별하여 그에 따라 보수를 실시함으로써, 해당 크랙의 보수에 따른 재료의 낭비를 방지함과 동시에 신속한 작업시간을 갖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슬라브 크랙 보수방법
10: 슬라브
20: 씰링재
30: 주입체
31: 부착몸체 33: 끼움홈
34: 연결관 35: 덮개부재
36: 덮개 37: 턱부
38: 시온안료 39: 확인창
C1: 제1크랙 C2: 제2크랙
H/air: 온풍 R: 보수액

Claims (6)

1)슬라브(10)에 형성된 다수의 크랙과 연통되게 상기 슬라브(10) 상면에 부착되는 제1주입체(I-1)와 상기 슬라브(10) 하면에 부착되는 제2주입체(I-2)를 포함하는 주입부재(I)를 설치하는 단계;
2)상기 제1주입체(I-1)에 온풍을 주입하되 해당 온풍의 온도에 반응하는 상기 제2주입체(I-2)를 확인하여 상기 슬라브(10) 상면에서 하면까지 이어지는 제1크랙(C1)과 이어지지 않는 제2크랙(C2)을 선별하는 단계;
3)확인된 상기 제1크랙(C1)과 연통하는 상기 제1주입체(I-1)를 통해 상기 제2주입체(I-2)에서 주입정도를 확인할 수 있게 상기 제1크랙(C1) 내부에 보수액(R)을 주입하는 단계; 및
4)상기 슬라브(10) 상면과 하면에 각각 마감작업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주입체(I-1) 및 상기 제2주입체(I-2)는 각각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부착몸체(31);
상기 부착몸체(31)와 이어지되 크랙과 연통되게 관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연결관(34); 및
상기 연결관(34)의 개구된 상부를 개폐하되 크랙 내에 주입되는 보수액의 식별은 물론, 해당 크랙 내에 주입되는 온풍의 온도에 서로 다른 색상으로 식별가능하게 가변되는 덮개부재(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라브 크랙 보수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 이후에, 3-1)단계로,
상기 제1크랙(C1) 내의 보수액(R)이 경화되는 동안에 상기 제1주입체(I-1) 또는 상기 제2주입체(I-2)와 연통하는 상기 제2크랙(C2) 내부에 보수액(R)을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라브 크랙 보수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에서, 상기 제2주입체(I-2)는
상기 제1주입체(I-1)를 중심으로 반경 1 내지 1.5미터 이내의 의심구역(Z)에 존재하는 상기 슬라브(10) 하면에 존재하는 크랙과 연통되게 상기 슬라브(10)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라브 크랙 보수방법.
삭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35)는
상기 연결관(34) 상부와 탈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하여 상부가 개구된 상기 연결관(34)을 개폐하는 덮개(36), 상기 덮개(36)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1주입체(I-1)를 통해 크랙 내부로 공급되는 온풍의 온도에 반응하여 색상의 변화가 이루어지는 캡슐 형태의 시온안료(38), 상기 시온안료(38)가 분리시에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상기 덮개(36) 내부에 구비되되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제1주입체(I-1)를 통해 크랙 내부로 주입되는 보수액(R)의 충진 정도를 식별할 수 있는 확인창(39)을 포함하되,
상기 덮개(36)와 상기 연결관(34)이 서로 끼움 결합시에 상기 덮개(36) 내측으로 온풍 또는 보수액의 유입은 물론,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상기 연결관(34) 끝단이 지지되는 턱부(37)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라브 크랙 보수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몸체(31) 외면에는 상기 연결관(34)에서 분리된 상기 덮개부재(35)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덮개부재(35)가 끼움 결합하는 끼움홈(33)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라브 크랙 보수방법.
KR1020200030470A 2020-03-12 2020-03-12 콘크리트 슬라브 크랙 보수방법 KR102147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470A KR102147348B1 (ko) 2020-03-12 2020-03-12 콘크리트 슬라브 크랙 보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470A KR102147348B1 (ko) 2020-03-12 2020-03-12 콘크리트 슬라브 크랙 보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348B1 true KR102147348B1 (ko) 2020-08-24

Family

ID=72235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470A KR102147348B1 (ko) 2020-03-12 2020-03-12 콘크리트 슬라브 크랙 보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3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039B1 (ko) 2020-12-28 2021-08-30 한신호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 보수공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4105A (ja) * 1998-01-05 1999-07-21 Yoshitake Eda 建築物の構造体内部漏水路の検知方法と、その方法を用いた漏水補修工法
KR200277907Y1 (ko) * 2002-03-16 2002-06-20 김천만 플라스틱 마이크로 패커
KR100508729B1 (ko) 2005-05-03 2005-08-17 신경균 구조물의 크랙 보수 공법
KR100688468B1 (ko) 2006-04-04 2007-03-02 (주)성우이앤씨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크랙 보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장치
KR101188742B1 (ko) 2009-12-07 2012-10-10 (주)수향방수 구조물의 방수 및 크랙 보수 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4105A (ja) * 1998-01-05 1999-07-21 Yoshitake Eda 建築物の構造体内部漏水路の検知方法と、その方法を用いた漏水補修工法
KR200277907Y1 (ko) * 2002-03-16 2002-06-20 김천만 플라스틱 마이크로 패커
KR100508729B1 (ko) 2005-05-03 2005-08-17 신경균 구조물의 크랙 보수 공법
KR100688468B1 (ko) 2006-04-04 2007-03-02 (주)성우이앤씨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크랙 보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장치
KR101188742B1 (ko) 2009-12-07 2012-10-10 (주)수향방수 구조물의 방수 및 크랙 보수 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039B1 (ko) 2020-12-28 2021-08-30 한신호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 보수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24534B (zh) 混凝土建筑物漏水源的检测堵漏方法
KR102127128B1 (ko) 미관 및 공기단축, 작업환경을 개선한 균열보수공법
KR102147348B1 (ko) 콘크리트 슬라브 크랙 보수방법
CN106801768A (zh) 已安装pccp管道插口环与钢筒焊缝微渗漏处理工艺
CN110952644B (zh) 一种渗漏探测和堵漏一体化装置及其工艺方法
CN110410112A (zh) 一种隧道工程缝防水施工方法
KR101142857B1 (ko) 개량방수시트와 이를 사용한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구조
CN105909122A (zh) 一种塑钢门窗的安装方法
CN207959289U (zh) 一种用于地下室后浇带部位的漏水修补结构
KR101135473B1 (ko) 지붕층 구조시스템
KR102136115B1 (ko) 거동에 대응하는 방수재료 성능측정장치
CN110081267B (zh) Pccp管道破裂修复工艺
Verani et al. Composite linings: ground support and waterproofing through the use of a fully bonded membrane
KR102194836B1 (ko) 크랙의 형성 구조가 식별가능한 가열식 단면보수공법
KR100621639B1 (ko) Grp관을 이용한 맨홀의 보수,보강공법
CN104847022A (zh) 一种柔性防水结构及其施工方法
CN104652715A (zh) 用于制备和施工钢结构屋面用防水涂料的方法
CN207959290U (zh) 一种用于地下室施工缝部位的渗漏维修结构
CN109083027B (zh) 一种涵洞修补方法
KR100587410B1 (ko) 구조물용 단열방수패널 및 그 패널의 시공방법
KR100271421B1 (ko) 경질시트를 이용한 도막 방수공법 및 그 방수시트
CN103291329A (zh) 暗挖隧道防水及气密性的施工方法及结构
KR102102250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커버 유닛 및 그 커버 유닛을 이용한 균열부위 보수 시공방법
KR100396006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슬래브의 시트방수 보수시공방법 및 주입기
KR200326872Y1 (ko) 구조물용 단열방수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