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9698A -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 및 그 양생 방법 - Google Patents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 및 그 양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9698A
KR20140039698A KR1020120106223A KR20120106223A KR20140039698A KR 20140039698 A KR20140039698 A KR 20140039698A KR 1020120106223 A KR1020120106223 A KR 1020120106223A KR 20120106223 A KR20120106223 A KR 20120106223A KR 20140039698 A KR20140039698 A KR 20140039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ing
concrete
curing sheet
water
water circ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3348B1 (ko
Inventor
박천진
고경택
류금성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06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3348B1/ko
Publication of KR20140039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9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3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3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46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curing concrete in situ, e.g. by covering it with protective sh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8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against unfavourable weather influ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여름철 등 고온건조한 기상조건 하에서 콘크리트의 초기양생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소성수축 균열을 방지함으로써 콘크리트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취급이 용이한 수냉식 콘크리트 양생시트를 제공함으로써 공사 노무자의 작업환경을 개선하고, 시공 방법을 간편화시킬 수 있는,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 및 그 양생 방법이 제공된다.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는, 타설된 콘크리트 상부에 포설되어 콘크리트 양생시 소성수축 균열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생시트 유닛; 상기 양생시트 유닛 내에 배치되어 물을 순환시키는 물 순환호스; 물 순환호스에 물을 공급하도록 양생시트 유닛의 일측에 형성되는 주수구; 물 순환호스를 통해 순환된 물이 배수되도록 양생시트 유닛의 타측에 형성되는 배수구; 물 순환호스에 공급되는 물을 순환시키는 물 순환펌프; 물 순환펌프 및 양생시트 유닛의 최초 주수구 사이에 체결되는 물 주입호스; 및 양생시트 유닛의 마지막에 연결된 배수구 및 상기 물 순환펌프 사이에 체결되는 물 배수호스를 포함하되, 양생시트 유닛은 물 순환호스를 통해 순환하는 물을 통해 수냉식으로 콘크리트를 일정 온도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 및 그 양생 방법 {CONCRETE CURING SHEET FOR PREVENTING PLASTIC SHRINKAGE CRACK, AND CUR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콘크리트 양생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타설 콘크리트의 양생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성수축 균열(Plastic Shrinkage Crack)을 방지하기 위한 콘크리트 양생시트 및 그 양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설공사의 연중시공을 위하여 여름철 및 겨울철에도 콘크리트 공사가 불가피하다. 특히, 여름철 콘크리트 공사 중에 슬래브 부재를 타설할 경우, 높은 기온, 바람, 일광 등에 의하여 콘크리트의 소성수축 균열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건조하고 바람이 많이 부는 봄이나 가을에도 이러한 소성수축 균열에 대한 대비를 해야 한다. 다시 말하면, 콘크리트 타설 후 급격한 수분증발을 방지하고, 습윤상태를 유지하며, 콘크리트의 고온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
현재 많은 공사현장에서는 슬래브 부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비닐을 깔아주어 수분의 증발을 억제함과 동시에 바람의 영향을 줄이고 있다. 또한, 차양막을 설치하여 일광을 차단하고, 부분적으로 소성수축 균열이 일어나면 인부가 수작업으로 살수 및 탭핑을 함으로써 소성수축 균열을 억제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콘크리트 마감처리를 위한 전용장비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타설면을 평탄하게 하고 견고히 다지더라도 후처리 없이 콘크리트를 양생시키면, 콘크리트가 충분히 굳기 전에 콘크리트 표면의 수분이 빠르게 손실되면서 소성수축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소성수축 균열은 콘크리트 표면의 수분 증발속도가 블리딩에 의한 수분공급 속도보다 빠를 경우에 주로 발생하며, 콘크리트의 중성화, 철근부식 등 콘크리트 구조물 성능저하의 주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소성수축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타설층에 대한 진동 마감처리 후, 플라스틱 시트나 이중버블시트와 같은 양생용 덮개를 덮는 방법 또는 수분증발을 적절히 억제하는 기능을 가진 액상의 피막양생제를 도포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표면 마감처리 후 표면으로 노출된 수분의 증발을 적절히 억제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자재의 설치, 비효율적인 작업성 등의 문제가 있으며, 공사 완료 후에도 콘크리트의 품질이 양호하다고 확신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선행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443140호에는 "콘크리트의 양생공법 및 양생필름"이라는 명칭의 발명의 개시되어 있는데,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의 양생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콘크리트 양생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의 양생 공정은, 타설된 콘크리트(C)의 표면에 얇은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되는 양생필름(10)을 부착시켜 콘크리트(C)와 양생필름(10) 사이에 1~3mm의 중공영역(S)을 형성하고, 이후, 양생필름(10)에 '-'형으로 절개되는 다수개의 유입구(20)를 형성하며, 상기 부착된 양생필름(10) 상에 물을 살수한다.
이러한 양생필름(10)상으로 공급된 물(W)이 양생필름(10)에 형성된 유입구(20)를 통해 양생필름(10)과 콘크리트(C) 사이에 형성된 중공영역(S)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물기가 양생필름(10)과 콘크리트(C)사이에 물막을 생성하게 되며, 이때, 유입된 물기가 유입구(20)를 통해 유입되는 것은 모세관 현상에 기인하며, 유입된 물기에 의한 물막의 형성은 유입된 물기의 표면장력에 기인한다.
상기 양생필름(10)과 콘크리트(C)에 형성된 중공영역(S)내로 유입된 물기는 표면장력이 발생하여 양생필름(10)을 당기는 형태로 물막을 생성하게 되며, 이와 같이 생성된 물막은 양생필름(10)에 의해 증발이 억제된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양생필름(10)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비닐 등과 같은 형태를 이루며, 양생필름(10)의 표면에는 그 형성간격(L)이 50mm를 초과하지 않는 다수개 유입구(20)를 형성한다.
이러한 유입구(20)는 그 길이(L1)가 20mm를 넘지 않고, 폭(L2)이 0.2mm를 넘지 않는 '-'형 절개홈의 형태를 이룬다. 또한, 상기 양생필름(10)의 저면에는 양면테이프 등과 같은 수개의 부착수단(30)을 부착수단(30)을 이용하여 양생필름(10)을 콘크리트(C)의 표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양생필름은, 모세관 및 표면장력의 원리를 이용하여 물기의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면서, 공급된 물기에 의해 생성된 물막의 증발을 억제시킴으로써, 타설된 콘크리트의 표면에 장시간 동안 보전되는 물막을 생성시키고, 콘크리트의 내외층에서 균일한 양생이 이루어지게 한다. 즉, 종래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양생필름은 타설 콘크리트에 직접 물기를 공급해야만 한다.
한편, 다른 선행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09-60776호에는 "콘크리트 양생환경 제어시트"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양생환경 제어시트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콘크리트 양생환경 제어시트 유닛이 연결되어 일체화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양생환경 제어시트 유닛(40)은,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팩(41)과 상면날개(42a) 및 하면날개(42b)로 구성되며, 상면날개(42a) 및 하면날개(42b)는 각각 하단 부착면(43a) 및 상단 부착면(43b)을 통해 중공팩(41)에 부착된다. 이때, 중공팩(41)은 상하면(41a, 41b)과 양측면(41c, 41d)으로 이루어지며, 압축과 팽창에 가변적이어야 한다.
상기 상면날개(42a) 및 하면날개(42b)는 각각 인접하는 양생환경 제어시트 유닛(40)과의 연결을 위해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상면날개(42a)는 중공팩 상면(41a)에서 일측방향으로 돌출되며, 인접하는 양생환경 제어시트 유닛(40)의 중공팩(41) 상면(41a)에 부착된다. 상기 하면날개(42b)는 상기 중공팩 하면(41b)에서 상기 상면날개(42a)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것으로서, 인접하는 양생환경 제어시트 유닛(40)의 중공팩(41) 하면(41b)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면날개(42a)와 하면날개(42b)의 부착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생환경 제어시트 유닛(40)이 횡방향으로 나란히 연속된 상태로 일체화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양생환경 제어시트 유닛은, 양생시트 내에 형성된 중공팩에 투여되는 매질의 부피와 온도를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콘크리트의 양생환경을 적극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양생환경 제어시트의 자체의 손상을 최소화하며, 보관과 운송 부피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른 양생환경 제어시트 유닛의 경우, 중공팩을 이용하기 때문에 급격하게 외기의 온도가 변할 경우에는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에 따른 소성수축 균열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양생방법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003618호에는 "소성균열방지용 액상피막양생제 분사장비를 갖춘 콘크리트 진동 표면마감기"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소성수축 균열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양생방법은, 콘크리트의 타설 전체 부위를 마감기로 인부가 시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인부의 시공능력에 따라 마감성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균일한 품질을 보장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443140호(출원일: 2001년 8월 6일), 발명의 명칭: "콘크리트의 양생공법 및 양생필름" 2)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003618호(출원일: 2008년 5월 19일), 발명의 명칭: "소성균열방지용 액상피막양생제 분사장비를 갖춘 콘크리트 진동 표면마감기" 3)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09-60776호(공개일: 2009년 6월 15일), 발명의 명칭: "콘크리트 양생환경 제어시트" 4)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667103호(출원일: 2006년 5월 3일), 발명의 명칭: "콘크리트 양생용 버블시트" 5)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352529호(출원일: 2004년 3월 22일), 고안의 명칭: "한중콘크리트용 슬래브 상부 단열양생시트" 6)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1-138502호(공개일: 2011년 12월 28일), 발명의 명칭: "건설물 수직 보양막 및 그 제조방법"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여름철 등 고온건조한 기상조건 하에서 콘크리트의 초기양생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소성수축 균열을 방지함으로써 콘크리트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 및 그 양생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취급이 용이한 수냉식 콘크리트 양생시트를 제공함으로써 공사 노무자의 작업환경을 개선하고, 시공 방법을 간편화시킬 수 있는,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 및 그 양생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타설된 콘크리트의 표면온도 및 외기온도에 따라 콘크리트 양생시트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 및 양을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콘크리트 양생에 적합한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 및 그 양생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는, 타설된 콘크리트 상부에 포설되어 콘크리트 양생시 소성수축 균열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생시트 유닛; 상기 양생시트 유닛 내에 배치되어 물을 순환시키는 물 순환호스; 상기 물 순환호스에 물을 공급하도록 상기 양생시트 유닛의 일측에 형성되는 주수구; 상기 물 순환호스를 통해 순환된 물이 배수되도록 상기 양생시트 유닛의 타측에 형성되는 배수구; 상기 물 순환호스에 공급되는 물을 순환시키는 물 순환펌프; 상기 물 순환펌프 및 상기 양생시트 유닛의 최초 주수구 사이에 체결되는 물 주입호스; 및 상기 양생시트 유닛의 마지막에 연결된 배수구 및 상기 물 순환펌프 사이에 체결되는 물 배수호스를 포함하되, 상기 양생시트 유닛은 상기 물 순환호스를 통해 순환하는 물을 통해 수냉식으로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를 일정 온도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생시트 유닛은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면적에 대응하여 각각 조립식으로 연장되며, 상기 양생시트 유닛의 배수구는 다른 양생시트 유닛의 주수구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수구 및 배수구는 각각 볼트와 너트 방식으로 체결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밸브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생시트 유닛은 각각, 상기 물 순환호스가 배치되는 하단 시트; 상기 하단 시트 상에 배치된 물 순환호스 상부에 적층되는 상단 시트; 및 상기 상단 시트 상에 적층되고, 일광에 의한 콘크리트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일광 차단막 역할을 하는 불투명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불투명 시트는 상기 상단 시트보다 외곽으로 50㎜ 이상 연장되는 겹침덮개가 형성되고, 상기 겹침덮개가 상기 양생시트 유닛 간의 체결시 외부로 노출된 콘크리트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단 시트 및 상단 시트는 동일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물 순환호스가 배치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이 압축 가열 방식으로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양생시트 유닛은 가로의 길이가 1000~1500mm이고, 세로의 길이가 2500~50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물 순환호스는 내경이 10~15mm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는, 상기 양생시트가 덮인 콘크리트의 표면온도를 측정하는 콘크리트 표면온도 측정부; 상기 양생시트가 포설된 외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외기온도 측정부; 및 상기 측정된 콘크리트 표면온도 및 외기온도에 따라 상기 물 순환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를 이용한 양생 방법은, a) 건설공사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b)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상부 표면을 마감하는 단계; c) 기제작된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를 포설하는 단계; d) 상기 양생시트를 형성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각각의 양생시트 유닛간 물 순환호스를 체결하는 단계; e) 물 순환펌프를 통해 설정 온도에 따라 상기 양생시트 유닛의 물 순환호스에 물을 주입하여 순환시키는 단계; f) 상기 양생시트 유닛이 덮인 상태에서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를 양생시키는 단계; g)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연결된 양생시트 유닛을 각각 분리하는 단계; 및 h) 상기 양생시트 유닛을 해체하고 정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c) 단계의 양생시트 유닛은 상기 물 순환호스를 통해 순환하는 물을 통해 수냉식으로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를 일정 온도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름철 등 고온건조한 기상조건 하에서 콘크리트의 초기양생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소성수축 균열을 방지함으로써 콘크리트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취급이 용이한 수냉식 콘크리트 양생시트를 제공함으로써 공사 노무자의 작업환경을 개선하고, 시공 방법을 간편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타설된 콘크리트의 표면온도 및 외기온도에 따라 콘크리트 양생시트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 및 양을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콘크리트 양생에 적합한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의 양생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콘크리트 양생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양생환경 제어시트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콘크리트 양생환경 제어시트 유닛이 연결되어 일체화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A 라인을 절개선으로 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의 각 유닛간의 체결 부분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의 각 유닛을 연결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를 이용한 양생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의 구성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A 라인을 절개선으로 하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100)는, 양생시트 유닛(110), 물 순환호스(120), 주수구(130), 배수구(140), 물 순환펌프(150), 물 주입호스(150) 및 물 배수호스(17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양생시트 유닛(1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시트(111), 상단 시트(112) 및 불투명 시트(113)를 포함한다.
양생시트 유닛(110)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콘크리트 양생시 소성수축 균열을 방지하도록 타설 콘크리트 상부에 포설되며, 상기 양생시트 유닛(110)은 물 순환호스(120)를 통해 순환하는 물을 통해 수냉식으로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를 일정 온도로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양생시트 유닛(110)은 가로의 길이가 1000~1500mm이고, 세로의 길이가 2500~5000mm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양생시트 유닛(110)의 가로의 길이는 인부들이 운반시에 크게 부담 없는 크기인 1000~150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양생시트 유닛(110)의 세로의 길이는 양생시트 유닛을 펼쳤을 때 작지 않으면서, 정리 시 접거나 말았을 때 두께가 두껍지 않을 정도인 2500~500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생시트 유닛(110)은 하단 시트(111), 상단 시트(112) 및 불투명 시트(113)를 포함하며, 상기 양생시트 유닛(110)의 하단 시트(111)는 그 상부에 상기 물 순환호스(120)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양생시트 유닛(110)의 상단 시트(112)는 상기 하단 시트(111) 상에 배치된 물 순환호스(120) 상부에 적층된다. 또한, 상기 양생시트 유닛(110)의 불투명 시트(113)는 상기 상단 시트(112) 상에 적층되고, 일광에 의한 콘크리트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일광 차단막 역할을 한다.
물 순환호스(120)는 물을 순환시키도록 상기 양생시트 유닛(110) 내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물 순환호스(120)는 내경이 10~15mm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물 순환호스(120)의 두께는 상기 양생시트 유닛(110)의 두께와 직결되므로 15mm 이상의 내경은 시공성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고, 10mm 이하의 내경은은 너무 얇기 때문에 물의 온도가 외기의 영향을 쉽게 받을 우려가 있기 때문에, 10~15mm 범위의 내경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물 순환호스(120)의 재질은 테프론 종류의 유연한 것을 사용한다.
주수구(130)는 상기 물 순환호스(120)에 물을 공급하도록 상기 양생시트 유닛(110)의 일측에 형성되고, 배수구(140)는 상기 물 순환호스(120)를 통해 순환된 물이 배수되도록 상기 양생시트 유닛(110)의 타측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주수구(130) 및 배수구(140)는 각각 볼트와 너트 방식으로 체결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밸브일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물 순환펌프(150)는 상기 물 순환호스(120)에 공급되는 물을 순환시키도록 상기 양생시트 유닛(110) 근처에 설치된다.
물 주입호스(150)는 상기 물 순환펌프(150) 및 상기 양생시트 유닛(110)의 최초 주수구(130) 사이에 체결되며, 물 배수호스(170)는 상기 양생시트 유닛(110)의 마지막에 연결된 배수구(140) 및 상기 물 순환펌프(150) 사이에 체결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생시트 유닛(110)은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면적에 대응하여 각각 조립식으로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양생시트 유닛(110)의 배수구(140)는 다른 양생시트 유닛의 주수구(130)에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100)는, 여름철 등 고온건조한 기상조건 하에서 콘크리트의 초기양생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소성수축 균열을 방지함으로써 콘크리트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취급이 용이한 수냉식 콘크리트 양생시트를 제공함으로써 공사 노무자의 작업환경을 개선하고, 시공 방법을 간편화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의 각 유닛간의 체결 부분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양생시트 유닛과 다른 양생시트 유닛 간의 물 순환호스를 연결하여 사용한다.
이때, 양생시트 유닛(110)과 다른 양생시트 유닛 사이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생시트 유닛(110)의 최외부의 형성되는 일광 차단막인 흰색의 불투명 시트(113)는, 도면부호 B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생시트 유닛(110)보다 약 50mm 연장되도록 겹침덮개(113a)를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흰색의 불투명 시트(113)는 상기 상단 시트(112)보다 외곽으로 50㎜ 이상 연장되는 겹침덮개(113a)가 형성되는데, 상기 겹침덮개(113a)는 상기 양생시트 유닛(110) 둘레에 형성되는 탈부착수단으로서, 상기 양생시트 유닛(110) 간의 체결시 외부로 노출된 콘크리트(200)를 덮기 위한 것이다.
이때, 물 순환호스(120)가 내장된 양생시트 유닛(110)은 공장 제작을 원칙으로 하며, 상기 양생시트 유닛의 제작시, 상기 양생시트 유닛의 하단 시트 위에 물 순환호스를 배치한 후, 상기 하단 시트(111)와 상기 상단 시트(112)를 적층한다. 예를 들면, 상기 양생시트 유닛(110)의 하단 시트(111) 및 상단 시트(112)는 동일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물 순환호스(120)가 배치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은 압축 가열 방식으로 서로 접착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의 각각의 유닛을 연결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는, 여러 개의 양생시트 유닛(110a, 110b, 110c)을 서로 연결하여 시공되며, 상기 양생시트 유닛(110a, 110b, 110c) 근처에 1개소의 물 주입호스, 1개소의 물 배수호스 및 이와 연결된 물 순환펌프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양생시트 유닛(110a, 110b, 110c)은, 도면부호 C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1개의 주수구 및 1개의 배수구를 구비하며, 이때, 상기 양생시트 유닛(110a, 110b, 110c) 각각의 연결은 주수구와 배수구의 연결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주수구 및 배수구는 플라스틱 재질의 밸브로 구성되며, 예를 들면, 볼트와 너트 형식으로 제작 및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를 이용한 양생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를 이용한 양생 방법은, 먼저, 건설공사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S110), 이후,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상부 표면을 마감한다(S120).
다음으로, 기제작된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를 포설한다(S130). 이때, 상기 양생시트 유닛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물 순환호스를 통해 순환하는 물을 통해 수냉식으로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를 일정 온도로 유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양생시트를 형성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각각의 양생시트 유닛간 물 순환호스를 체결한다(S140). 즉, 각각의 양생시트 유닛은 주수구와 배수구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이때, 상기 주수구 및 배수구는 플라스틱 재질의 밸브로 구성되며, 예를 들면, 볼트와 너트 형식으로 제작 및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물 순환펌프를 통해 설정 온도에 따라 상기 양생시트 유닛의 물 순환호스에 물을 주입하여 순환시킨다(S150).
다음으로, 상기 양생시트 유닛이 덮인 상태에서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를 양생시킨다(S160).
다음으로,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연결된 양생시트 유닛을 각각 분리하고(S170), 이후, 상기 양생시트 유닛을 해체하고 정리한다(S180).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의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100)는, 전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생시트 유닛(110) 이외에 콘크리트 표면온도 측정부(310), 외기온도 측정부(320) 및 제어부(3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콘크리트 표면온도 측정부(310)는 상기 양생시트 유닛(110)이 덮인 콘크리트의 표면온도를 측정한다.
외기온도 측정부(320)는 상기 양생시트 유닛(110)이 포설된 외기의 온도를 측정한다.
제어부(330)는 상기 측정된 콘크리트 표면온도 및 외기온도에 따라 상기 물 순환펌프(12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면, 외기온도가 높거나 또는 상기 콘크리트 표면온도가 콘크리트 양생에 적합한 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어부(330)가 상기 물 순환펌프(120)를 동작시키고, 콘크리트 표면온도가 콘크리트 양생에 적합한 온도가 되면 상기 물 순환펌프(120)의 동작을 오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100)는, 상기 물 순환펌프(120)에 응축기(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하여 상기 물 순환호스에 공급되는 물을 냉각시킬 수 있고, 또는, 상기 물 순환펌프(120)에 히터(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하여 상기 물 순환호스에 공급되는 물을 가열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100)는, 외기온도 및/또는 콘크리트 표면온도를 실시간 측정하여 상기 양생시트 유닛에 내장된 물 순환호스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 및 양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설 콘크리트의 양생시, 콘크리트의 표면 온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콘크리트 양생시트
200: 타설 콘크리트
110, 110a, 110b, 110c: 양생시트 유닛
120: 물 순환호스
130: 주수구
140: 배수구
150: 물 순환펌프
160: 물 주입호스
170: 물 배수호스
111: 하단 시트
112: 상단 시트
113: 불투명 시트(일광 차단막)
113a: 겹침덮개

Claims (14)

  1. 타설된 콘크리트 상부에 포설되어 콘크리트 양생시 소성수축 균열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생시트 유닛;
    상기 양생시트 유닛 내에 배치되어 물을 순환시키는 물 순환호스;
    상기 물 순환호스에 물을 공급하도록 상기 양생시트 유닛의 일측에 형성되는 주수구;
    상기 물 순환호스를 통해 순환된 물이 배수되도록 상기 양생시트 유닛의 타측에 형성되는 배수구;
    상기 물 순환호스에 공급되는 물을 순환시키는 물 순환펌프;
    상기 물 순환펌프 및 상기 양생시트 유닛의 최초 주수구 사이에 체결되는 물 주입호스; 및
    상기 양생시트 유닛의 마지막에 연결된 배수구 및 상기 물 순환펌프 사이에 체결되는 물 배수호스를 포함하되,
    상기 양생시트 유닛은 상기 물 순환호스를 통해 순환하는 물을 통해 수냉식으로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를 일정 온도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생시트 유닛은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면적에 대응하여 각각 조립식으로 연장되며, 상기 양생시트 유닛의 배수구는 다른 양생시트 유닛의 주수구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수구 및 배수구는 각각 볼트와 너트 방식으로 체결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생시트 유닛은 각각,
    상기 물 순환호스가 배치되는 하단 시트;
    상기 하단 시트 상에 배치된 물 순환호스 상부에 적층되는 상단 시트; 및
    상기 상단 시트 상에 적층되고, 일광에 의한 콘크리트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일광 차단막 역할을 하는 불투명 시트를 포함하는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명 시트는 상기 상단 시트보다 외곽으로 50㎜ 이상 연장되는 겹침덮개가 형성되고, 상기 겹침덮개가 상기 양생시트 유닛 간의 체결시 외부로 노출된 콘크리트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시트 및 상단 시트는 동일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물 순환호스가 배치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이 압축 가열 방식으로 서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생시트 유닛은 가로의 길이가 1000~1500mm이고, 세로의 길이가 2500~50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순환호스는 내경이 10~15mm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생시트가 덮인 콘크리트의 표면온도를 측정하는 콘크리트 표면온도 측정부;
    상기 양생시트가 포설된 외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외기온도 측정부; 및
    상기 측정된 콘크리트 표면온도 및 외기온도에 따라 상기 물 순환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
  10. a) 건설공사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b)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상부 표면을 마감하는 단계;
    c) 기제작된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를 포설하는 단계;
    d) 상기 양생시트를 형성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각각의 양생시트 유닛간 물 순환호스를 체결하는 단계;
    e) 물 순환펌프를 통해 설정 온도에 따라 상기 양생시트 유닛의 물 순환호스에 물을 주입하여 순환시키는 단계;
    f) 상기 양생시트 유닛이 덮인 상태에서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를 양생시키는 단계;
    g)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연결된 양생시트 유닛을 각각 분리하는 단계; 및
    h) 상기 양생시트 유닛을 해체하고 정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c) 단계의 양생시트 유닛은 상기 물 순환호스를 통해 순환하는 물을 통해 수냉식으로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를 일정 온도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를 이용한 양생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양생시트는,
    콘크리트 양생시 소성수축 균열을 방지하도록 타설된 콘크리트 상부에 포설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생시트 유닛;
    상기 양생시트 유닛 내에 배치되어 물을 순환시키는 물 순환호스;
    상기 물 순환호스에 물을 공급하도록 상기 양생시트 유닛의 일측에 형성되는 주수구;
    상기 물 순환호스를 통해 순환된 물이 배수되도록 상기 양생시트 유닛의 타측에 형성되는 배수구;
    상기 물 순환호스에 공급되는 물을 순환시키는 물 순환펌프;
    상기 물 순환펌프 및 상기 양생시트 유닛의 최초 주수구 사이에 체결되는 물 주입호스; 및
    상기 양생시트 유닛의 마지막에 연결된 배수구 및 상기 물 순환펌프 사이에 체결되는 물 배수호스를 포함하는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를 이용한 양생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생시트 유닛은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면적에 대응하여 각각 조립식으로 연장되며, 상기 양생시트 유닛의 배수구는 다른 양생시트 유닛의 주수구에 체결되며, 상기 주수구 및 배수구는 각각 볼트와 너트 방식으로 체결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를 이용한 양생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생시트 유닛은 각각,
    상기 물 순환호스가 배치되는 하단 시트;
    상기 하단 시트 상에 배치된 물 순환호스 상부에 적층되는 상단 시트; 및
    상기 상단 시트 상에 적층되고, 일광에 의한 콘크리트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일광 차단막 역할을 하는 불투명 시트
    를 포함하는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를 이용한 양생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명 시트는 상기 상단 시트보다 외곽으로 50㎜ 이상 연장되는 겹침덮개가 형성되고, 상기 겹침덮개가 상기 양생시트 유닛 간의 체결시 외부로 노출된 콘크리트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를 이용한 양생 방법.
KR1020120106223A 2012-09-25 2012-09-25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 및 그 양생 방법 KR101543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223A KR101543348B1 (ko) 2012-09-25 2012-09-25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 및 그 양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223A KR101543348B1 (ko) 2012-09-25 2012-09-25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 및 그 양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698A true KR20140039698A (ko) 2014-04-02
KR101543348B1 KR101543348B1 (ko) 2015-08-11

Family

ID=50650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223A KR101543348B1 (ko) 2012-09-25 2012-09-25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 및 그 양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3348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53236A (zh) * 2014-12-21 2015-03-25 北京工业大学 一种控制大体积混凝土裂缝的循环水自然冷却系统及作法
JP2015227565A (ja) * 2014-05-30 2015-12-17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コンクリートを養生する方法、シート、及びシステム
CN109098459A (zh) * 2018-07-12 2018-12-28 天津市林海建设工程集团有限公司 高温环境混凝土木模板水处理构筑物抗裂施工方法
CN110259165A (zh) * 2019-06-12 2019-09-20 同济大学 一种大体积混凝土自循环控温养护系统及养护方法
CN111236668A (zh) * 2020-01-14 2020-06-05 中国建筑第五工程局有限公司 一种大体积混凝土温度裂缝控制的施工方法
CN111441246A (zh) * 2019-01-16 2020-07-24 东南大学 一种高强大体积强约束索塔混凝土裂缝控制方法
CN112031423A (zh) * 2020-08-12 2020-12-04 河南高建工程管理有限公司 一种超大体积混凝土施工质量控制方法
CN113173803A (zh) * 2021-06-08 2021-07-27 中建安装集团有限公司 一种净水厂用水泥基材料养护系统及其方法
CN113668928A (zh) * 2021-06-18 2021-11-19 中国化学工程第十四建设有限公司 超长大体积混凝土水池施工裂缝控制方法
CN113846857A (zh) * 2021-10-25 2021-12-28 孙海宏 用于大体积混凝土连续降温的裂缝防治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103B1 (ko) * 2006-05-03 2007-01-12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콘크리트 양생용 버블시트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27565A (ja) * 2014-05-30 2015-12-17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コンクリートを養生する方法、シート、及びシステム
CN104453236A (zh) * 2014-12-21 2015-03-25 北京工业大学 一种控制大体积混凝土裂缝的循环水自然冷却系统及作法
CN104453236B (zh) * 2014-12-21 2017-01-04 北京工业大学 一种控制大体积混凝土裂缝的循环水自然冷却系统及作法
CN109098459A (zh) * 2018-07-12 2018-12-28 天津市林海建设工程集团有限公司 高温环境混凝土木模板水处理构筑物抗裂施工方法
CN111441246A (zh) * 2019-01-16 2020-07-24 东南大学 一种高强大体积强约束索塔混凝土裂缝控制方法
CN110259165A (zh) * 2019-06-12 2019-09-20 同济大学 一种大体积混凝土自循环控温养护系统及养护方法
CN111236668A (zh) * 2020-01-14 2020-06-05 中国建筑第五工程局有限公司 一种大体积混凝土温度裂缝控制的施工方法
CN112031423A (zh) * 2020-08-12 2020-12-04 河南高建工程管理有限公司 一种超大体积混凝土施工质量控制方法
CN113173803A (zh) * 2021-06-08 2021-07-27 中建安装集团有限公司 一种净水厂用水泥基材料养护系统及其方法
CN113173803B (zh) * 2021-06-08 2024-03-26 中建安装集团有限公司 一种净水厂用水泥基材料养护系统及其方法
CN113668928A (zh) * 2021-06-18 2021-11-19 中国化学工程第十四建设有限公司 超长大体积混凝土水池施工裂缝控制方法
CN113668928B (zh) * 2021-06-18 2022-12-09 中国化学工程第十四建设有限公司 超长大体积混凝土水池施工裂缝控制方法
CN113846857A (zh) * 2021-10-25 2021-12-28 孙海宏 用于大体积混凝土连续降温的裂缝防治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3348B1 (ko) 2015-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39698A (ko) 소성수축 균열 방지용 콘크리트 양생시트 및 그 양생 방법
KR101240878B1 (ko) 콘크리트 양생시 파이프 쿨링 기술을 응용한 콘크리트 온도차 저감 시스템, 그 시스템을 이용한 콘트리트 온도차 저감 양생공법
KR101155285B1 (ko) 콘크리트 온도차 저감방법, 그 저감장치 및 그 저감방법에 의해 양생된 구조물
KR101175883B1 (ko) 콘크리트 양생시 파이프 쿨링 기술을 응용한 변환식 콘크리트 온도차 저감 장치, 그 장치를 이용한 변환식 콘크리트 온도차 저감 양생공법 및 그 공법에 의해 양생된 구조물
JP6275998B2 (ja) コンクリートの湿潤養生装置
KR101644111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양생장치
CN207609123U (zh) 一种超大超平承重保温地坪
CN205223812U (zh) 一种公路水泥混凝土路面养护垫
KR20100101408A (ko) 발열거푸집, 보온매트 및 한중 콘크리트 양생공법
JP2017141558A (ja) コンクリートの寒中養生装置および寒中養生方法
JP4918176B1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養生方法および養生装置
JP2015004162A (ja) コンクリート用型枠パネルおよびコンクリートの養生方法
CN108049542A (zh) 大面积超平防裂耐磨承重保温冷链库坪
CN204370710U (zh) 防漏屋面
JP4437072B2 (ja) コンクリート湿潤養生装置及び方法
JP6426784B2 (ja) コンクリート用型枠パネル
RU85501U1 (ru) Основание для ледового поля
RU2366776C2 (ru) Способ строительства крепления в зимнее время
CN105971297B (zh) 轻型多功能施工温度调节设备
KR20230050694A (ko) 콘크리트 양생용 비닐시트롤
JP2001132230A (ja) 充填鋼管コンクリート柱の寒中施工方法および装置
KR200354815Y1 (ko) 조립식 온돌용 바닥판
KR101389943B1 (ko) 건축 구조물용 하이브리드 슬래브
JP2007089412A (ja) 植裁用見切り材と植裁用見切り枠構造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緑化構造体
RU2280126C1 (ru) Воздуходу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грева бетонных откосных креплений в зимнее врем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