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9718B1 - 동절기 콘크리트구조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동절기 콘크리트구조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9718B1
KR100189718B1 KR1019960003243A KR19960003243A KR100189718B1 KR 100189718 B1 KR100189718 B1 KR 100189718B1 KR 1019960003243 A KR1019960003243 A KR 1019960003243A KR 19960003243 A KR19960003243 A KR 19960003243A KR 100189718 B1 KR100189718 B1 KR 100189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synthetic resin
pipe
water pipe
concret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3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2223A (ko
Inventor
김종곤
Original Assignee
김헌출
삼성물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헌출, 삼성물산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헌출
Priority to KR1019960003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9718B1/ko
Publication of KR970062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2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9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97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로 시공되는 구조물을 동절기에도 지장없이 시행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동절기 콘크리트구조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거푸집(10)을 설치하는 거푸집설치단계와, 상기 거푸집의 내부에 철근배근시 보일러(50)로부터 온수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는 합성수지 온수관(20)을 배관하는 온수관 배관단계와, 상기 합성수지 온수관(20)이 배관된 거푸집 내부에 미경화콘크리트를 일체로 타설하면서 상기 보일러(50)에서 끓인 더운물을 동시에 합성수지 온수관(20)으로 공급하여 주는 온수공급단계로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동절기 콘크리트구조체의 시공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거푸집 20 : 합성수지 온수관
30 : 유입관 40 : 배출관
50 : 보일러 51 : 순환펌프
60 : 하부철근 60a : 상부철근
70 : 온도감지기 80 : 콘크리트구조체
90 : 물탱크
본 발명은 콘크리트로 시공되는 구조물을 동절기에도 지장없이 시행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동절기 콘크리트구조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멘트는 물과의 수화작용에 의하여 접착제로서의 기능을 비로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시멘트와 골재 및 물이 혼합되어 만들어지는 콘크리트는 시멘트의 수화작용이 진행되어 소정의 강도를 나타낼 때까지는 그 내부의 물이 얼게 되어서는 아니된다. 왜냐하면 시멘트가 수화작용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물이 얼게되면 양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구조적강도가 저하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콘크리트 공사는 기온이 영하로 하강하는 동절기에는 시행되지 아니하는 것이 통례이다.
하지만, 최근에 동절기에도 건설현장의 공정관리 및 기후조건 등으로 부득불 공사를 진행해야 할 때가 비일비재하다. 특히, 여름이 짧고 겨울이 긴 극지방으로 갈수록 건설시공사 기간이 짧기 때문에 동절기에도 콘크리트로 시공되는 공사를 진행해야 할 필요성이 절실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동절기에 시공되는 콘크리트구조물이 동해로부터 보호하여 구조적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열풍기 등으로 열을 방출하여 실내의 온도를 상승시켜서 미경화콘크리트를 양생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열풍기로 열을 방출하여 실내의 온도를 상승시켜 주어서 미경화콘크리트를 양생하는 종래의 것은 어느정도의 효과는 있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열풍기로 실내의 온도를 상승시 콘크리트 표면만 가열되므로 전체적인 조기 양생이 곤란하였으며, 둘째, 더운 공기가 상부로 상승하므로 바닥에 위치된 콘크리트에 미치는 영향이 미비하므로 열손실이 많았으며, 셋째, 실내의 상승된 온도가 콘크리트구조물의 실내면은 양생이 진행되지만 차가운 외기에 접하는 외부면에는 영향을 줄 수가 없었으며, 넷째, 콘크리트가 단열성이 높은 거푸집판넬로 차단된 면은 간접적인 영향을 받기 때문에 콘크리트에 미치는 영향이 미비하여 구조적 강도가 저하되면서 조기에 적정강도를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콘크리트 내부에 전기히팅 케이블(Heating Cable)을 매설하여 전기를 통전시켜서 미경화콘크리트를 내부에서 가열하여 주는 것이 선택되고 있다.
이와같이 최근에는 전기 히팅 케이블을 콘크리트 내부에 매설하여 미경화콘크리트를 내부에서 가열하여 주기 때문에 어느정도 콘크리트가 전체적으로 조기에 양생되며, 열손실이 적으면서도 동해로부터 방지하여 조기 적정 강도를 확보하여 주는 등의 장점을 가지는 것이 사실이나, 전기 히팅 케이블이 고가이기 때문에 전체적인 공비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전기 히팅 케이블은 평균 24,000원/m2투입비가 소요된다. 이는 아파트 1동을 건축하는 데 소요되는 히팅 케이블의 투입비만도 수천만원이 상회하는 것이다. 따라서 히팅 케이블의 투입비를 가급적 절감하여 줄 필요가 있는 것이다.
또한, 최근의 전기 히팅 케이블이 고가일 뿐만 아니라 전기를 통전시켜서 발열시키는 히팅 케이블은 자유로운 온도조절이 곤란하여 열량이 제한적일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케이블에 발열되는 열량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미경화콘크리트 표면에까지 충분히 열전달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렴한 가격으로 자재를 구입하여 전체적인 공비를 절감하여 주면서도 열전달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여 미경화콘크리트 전체를 균일하게 양생하여 주는 동절기 콘크리트구조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여 주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동절기 콘크리트구조체의 시공방법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거푸집(10)을 설치하는 거푸집설치단계와, 상기 거푸집의 내부에 철근배근시 보일러(50)로부터 온수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는 합성수지 온수관(20)을 배관하는 온수관 배관단계와, 상기 합성수지 온수관(20)이 배관된 거푸집 내부에 미경화콘크리트를 일체로 타설하면서 상기 보일러(50)에서 끓인 더운물을 동시에 합성수지 온수관(20)으로 공급하여 주는 온수공급단계로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온수관 배관단계에서 합성수지 온수관(20)을 타설되는 콘크리트구조체 내부에 배관하여 미경화콘크리트를 가열하는 이유는 합성수지 온수관(20)을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합성수지 온수관(20)은 일반주택 보일러공사에 사용되는 합성수지 배관이 사용될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합성수지 온수관(20)은 미경화콘크리트가 경화되면 노출된 부분을 절단하고 전기 히팅 케이블과 마찬가지로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되어 일회용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합성수지 온수관(20) 내부에 물을 빼어내고 그냥 매립할 수 있으며, 온수관 내부에 물을 빼어낸 후 그라우팅하여 매립할 수도 있다.
한편, 합성수지 온숴관(20)은 평균 3,000원/m2투입비가 소요된다. 이는 평균 24,000원/m2투입비가 소요된 전기 히팅 케이블에 비하여 약 1/8의 비용이 소요되는 것이므로 전체적인 공비를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합성수지 온수관(20)을 배관하여 온수를 공급하여 미경화콘크리트를 가열하는 것이기 때문에 온수의 온도조절이 자유로워서 미경화콘크리트전체에 열을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균일하게 양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전기 히팅 케이블을 사용함으로써 공비가 증대되면서도 열전달이 미약하였던 종래의 것과는 달리,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는 합성수지 온수관(20)을 거푸집내부에 배관하여 그 합성수지 온수관(20)을 통하여 더운 물을 공급하여 미경화콘크리트를 가열하는 것이다. 따라서 저렴한 가격으로 합성수지 온수관(20)을 구입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공비를 절감하여 주는 작용효과를 가지며, 온수의 온도조절이 자유로원서 미경화콘크리트 전체를 균일하게 양생하여 주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가지고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도는 본 발명의 합성수지 온수관(20)이 타설되는 콘크리트구조체(80)에 배관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2도에서 도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온수관 배관단계는 거푸집 바닥 상부에 하부철근(60)을 배근하고, 하부철근 상부에 상기 합성수지 온수관(20)을 배관하고, 상기 합성수지 온수관의 상부에 상부철근(60a)을 배근함으로써, 상기 합성수지 온수관(20)이 하부철근(60)과 상부철근(60a)들의 중간점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는 합성수지 온수관(20)을 상부철근(60a)과 하부철근(60)의 중간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구조적 강도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서이다. 즉, 상부철근(60a)은 압축력에 저항하고 하부철근(60)은 인장력에 저항하지만 중간에 위치된 합성수지 온수관(20)은 하중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상부철근(60a)과 하부철근(60)의 중간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제1도 및 제 2도에서 도시되는 바와같이, 본 발명은 상기 합성수지 온수관(20)의 유입구쪽에 보일러(50)로부터 연결되어 온수가 유입되는 유입관(30)과, 상기 합성수지 온수관 배출구쪽에 냉각된 물이 순환펌프(51)에 의해서 보일러(50)로 순환되는 배출관(40)이 배관되도록 한다.
이는 콘크리트의 국부적인 온도차이를 감소시켜 주기 위함이다. 즉, 유입관(30)으로 유입된 더운 물이 일시에 합성수지 온수관(20)으로 공급되어지므로 콘크리트 전체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가열된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국부적인 온도차이를 감소하여 주므로 구조적인 강도가 균일하며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제 2도에서 도시되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유입관(30)과 배출관(40)은 타설되는 콘크리트구조체의 양측 외곽에 배관되면서 타설되는 콘크리트구조체(80)의 높이보다 어느 정도 높게 배관되도록 한다.
이는 거푸집 탈리시 유입관(30)과 배출관(40)도 함께 탈리하여 재 사용하며 합성수지 온수관(20)은 콘크리트구조체에 매립된다. 이때, 유입관(30)과 배출관(40)들은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강도를 가지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금속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제1도에서 도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유입관(30)에 유입되는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주는 온도감지기(70)가 부착되도록 하여, 적절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준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발명은 콘크리트로 시공되는 구조물을 동절기에도 지장없이 시행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것으로서, 보일러에 연결된 합성수지재 온수관을 철근배근시에 함께 배관하여 온수를 공급하여 미경화콘크리트를 동해로부터 방지하여 주는 것이므로 전체적인 공비를 절감하여 주면서도 열전달 효율이 높아서 콘크리트구조체를 균일하게 양생하여 주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5)

  1.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거푸집(10)을 설치하는 거푸집설치단계와, 상기거푸집의 내부에 철근배근시 보일러(50)로부터 온수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는 합성수지 온수관(20)을 배관하는 온수관 배관단계와, 상기합성수지 온수관(20)이 배관된 거푸집 내부에 미경화콘크리트를 일체로 타설하면서 상기 보일러(50)에서 끊인 더운물을 동시에 합성수지 온수관(20)으로 공급하여 주는 온수공급단계로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절리 콘크리트구조체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관 배관단계는 거푸집 바닥 상부에 하부철근(60)을 배근하고, 하부철근 상부에 상기 합성수지 온수관(20)을 배관하고, 상기 합성수지 온수관의 상부에 상부철근(60a)을 배근함으로써, 상기 합성수지 온수관(20)이 하부철근(60)과 상부철근(60a)들의 중간점에 위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절기 콘크리트구조체 시공방법.
  3. 제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온수관(20)의 유입구쪽에 보일러(50)로부터 연결되어 온수가 유입되는 유입관(30)과, 상기 합성수지 온수관 배출구쪽에 냉각된 물이 순환펌프(51)에 의해서 보일러(50)로 순환되는 배출관(40)이 배관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절기 콘크리트구조체 시공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30)과 배출관(40)은 타설되는 콘크리트구조체의 양측 외곽에 배관되면서 타설되는 콘크리트구조체(80)의 높이보다 어느정도 높게 배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절기 콘크리트구조체 시공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30)에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주는 온도감지기(70)가 부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절기 콘크리트구조체 시공방법.
KR1019960003243A 1996-02-10 1996-02-10 동절기 콘크리트구조체의 시공방법 KR100189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3243A KR100189718B1 (ko) 1996-02-10 1996-02-10 동절기 콘크리트구조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3243A KR100189718B1 (ko) 1996-02-10 1996-02-10 동절기 콘크리트구조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2223A KR970062223A (ko) 1997-09-12
KR100189718B1 true KR100189718B1 (ko) 1999-06-01

Family

ID=19451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3243A KR100189718B1 (ko) 1996-02-10 1996-02-10 동절기 콘크리트구조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97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268B1 (ko) * 2007-03-27 2008-04-14 민덕기 콘크리트 양생 장치 및 방법
KR100915501B1 (ko) * 2007-09-05 2009-09-03 (주)하나토건 동절기 터널내 콘크리트 양생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40144467A (ko) * 2013-06-11 2014-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난방시스템의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268B1 (ko) * 2007-03-27 2008-04-14 민덕기 콘크리트 양생 장치 및 방법
KR100915501B1 (ko) * 2007-09-05 2009-09-03 (주)하나토건 동절기 터널내 콘크리트 양생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40144467A (ko) * 2013-06-11 2014-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난방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44700B1 (ko) 2013-06-11 2019-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난방시스템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2223A (ko) 199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07179A (en) Method and apparaatus for curing concrete
US5595171A (en) Apparatus for heating concrete
KR101240878B1 (ko) 콘크리트 양생시 파이프 쿨링 기술을 응용한 콘크리트 온도차 저감 시스템, 그 시스템을 이용한 콘트리트 온도차 저감 양생공법
CN205710462U (zh) 一种混凝土冬季施工加热用磁吸式电热毯
KR20120082559A (ko) 콘크리트 양생시 파이프 쿨링 기술을 응용한 변환식 콘크리트 온도차 저감 장치, 그 장치를 이용한 변환식 콘크리트 온도차 저감 양생공법 및 그 공법에 의해 양생된 구조물
KR100189718B1 (ko) 동절기 콘크리트구조체의 시공방법
KR100284894B1 (ko) 경량단열패널을 이용한 온돌바닥구조
KR20110092680A (ko) 콘크리트구조물의 수중양생장치
CN111763099A (zh) 压型钢板组合楼板的低温热水养护系统及冬期施工方法
KR0151943B1 (ko) 동절기 콘크리트구조체의 시공방법
JPH06101206A (ja) ロードヒーテイング用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舗装版
CN216196782U (zh) 超厚大体积混凝土单层多回路水冷却系统
CN208329313U (zh) 安装在楼板下侧的天棚采暖制冷结构
CN105971297B (zh) 轻型多功能施工温度调节设备
CA1150722A (en) Sandheat module
CN105888267B (zh) 基于热水盘管自动加温养护的高层建筑冬期施工方法
KR20020064049A (ko) 맨홀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보수공법
CN205805001U (zh) 轻型多功能施工温度调节设备
CN218712283U (zh) 混凝土结构修复及智能养护装置
CN220601909U (zh) 一种冷库地坪防冻加热装置
KR20150021709A (ko) 다용도 히터 장치
JP4059308B2 (ja) 熱交換マット
CN215716227U (zh) 一种用于寒区普通混凝土墙体的养护装置
JPH06136715A (ja) 橋梁用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床版
KR100357752B1 (ko) 난방배관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