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2492A -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오븐 - Google Patents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오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2492A
KR20110092492A KR1020100011938A KR20100011938A KR20110092492A KR 20110092492 A KR20110092492 A KR 20110092492A KR 1020100011938 A KR1020100011938 A KR 1020100011938A KR 20100011938 A KR20100011938 A KR 20100011938A KR 20110092492 A KR20110092492 A KR 20110092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support
head
gas
burner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1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3318B1 (ko
Inventor
류정완
임재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1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318B1/ko
Publication of KR20110092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2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JSHIFTING OR SHUNTING OF RAIL VEHICLES
    • B61J1/00Turntables; Traversers; Transporting rail vehicles on other rail vehicles or dollies
    • B61J1/02Turntables; Integral sto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5/00Autocar-like self-drivers; Runwa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탑버너는, 가스의 연소를 위한 다수개의 염공이 형성되는 아웃터 버너; 상기 아웃터 버너에 안착되고, 가스의 연소를 위한 다수개의 염공이 형성되는 이너 버너; 상기 아웃터 버너 및 이너 버너를 설계된 정위치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에 의하여 정위치로 안내된 상기 아웃터 버너 및 이너 버너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효율적인 조리물의 조리가 가능하도록 아웃터 버너 및 이너 버너가 설계된 정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오븐{Top burner and gas ove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를 연소시켜서 조리물을 조리하는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오븐에 관한 것이다.
가스 오븐은 가스나 전기 등을 사용하여 조리물을 조리하는 조리기기이다. 가스 오븐의 경우에는, 가스를 연소시켜서 조리물이 담겨진 용기를 가열하여 조리물을 조리하는 탑버너가 구비된다.
한편 최근에는 각각 가스의 연소를 위한 다수개의 염공이 형성되는 아웃터 버너 및 이너 버너를 포함하는 듀얼 타입의 탑버너가 출시되고 있다. 듀얼 타입의 탑버너에서는, 아웃터 버너에는 염공에서의 가스의 점화를 위한 점화플러그가 설치되는 점화저부가 형성되고, 이너 버너에는 염공에서 점화된 가스의 소화시 이를 재점화하기 위한 가스가 저장되는 가스챔버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점화저부 및 가스챔버에 대응하는 상기 아웃터 버너의 일부 및 이너 버너의 일부에는 실질적으로 염공이 형성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점화저부 및 가스챔버에 대응하는 상기 아웃터 버너의 일부 및 이너 버너의 일부에서는 실질적으로 가스의 연소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듀얼 타입의 탑버너의 경우에는, 상기 점화저부 및 가스챔버의 상대위치를 상기 탑버너에 의한 조리성능이 최대가 되도록 설계한다. 따라서 상기 점화저부 및 가스챔버의 상대위치가 설계된 값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실질적인 탑버너에 의한 조리물의 조리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듀얼 타입의 탑버너의 경우에는, 이와 같이 상기 점화저부 및 가스챔버의 상대위치가 설계된 값을 만족하도록 상기 아웃터 버너 및 이너 버너를 고정하는 기술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아웃터 버너와 이너 버너가 설계된 정위치에서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가스 오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탑버너는, 가스의 연소를 위한 다수개의 염공이 형성되는 아웃터 버너; 상기 아웃터 버너에 안착되고, 가스의 연소를 위한 다수개의 염공이 형성되는 이너 버너; 상기 아웃터 버너 및 이너 버너를 설계된 정위치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에 의하여 정위치로 안내된 상기 아웃터 버너 및 이너 버너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탑버너는, 점화플러그가 설치되는 점화저부가 형성되는 아웃터 버너헤드, 및 상기 아웃터 버너헤드에 안착되어 가스가 연소되는 염공을 형성하는 아웃터 버너캡을 포함하는 아웃터 버너; 가스가 저장되는 가스챔버가 형성되는 이너 버너헤드, 및 상기 이너 버너헤드에 안착되어 가스가 연소되는 염공을 형성하는 이너 버너캡을 포함하는 이너 버너; 상기 점화저부에 대하여 상기 가스챔버가 설계된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아웃터 버너헤드 및 이너 버너헤드를 가고정하는 가고정부재; 및 상기 가고정부재에 의하여 상기 아웃터 버너헤드 및 이너 버너헤드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스 오븐은,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탑플레이트, 상기 탑플레이트에 구비되고 조리물이 안착되는 탑그레이트 및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의 탑버너를 포함하는 탑버너부; 및 상기 탑버너부의 하방에 구비되고, 오븐실이 구비되는 캐비티 및 상기 오븐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오븐도어를 포함하는 오븐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효율적인 조리물의 조리가 가능하도록 아웃터 버너 및 이너 버너가 설계된 정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스 오븐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탑버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탑버너의 일요부를 보인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탑버너의 다른 요부를 보인 확대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가스 오븐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너의 조립과정을 보인 종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오븐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스 오븐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탑버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탑버너의 일요부를 보인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탑버너의 다른 요부를 보인 확대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가스 오븐(10)의 외관을 본체(100)가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에는 탑버너부(200), 오븐부(300), 워밍드로워(400), 백가드(500), 컨트롤 패널(600) 및 탑버너 컨트롤부(700)가 구비된다.
상기 탑버너부(200) 및 오븐부(300)은 조리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곳이다. 그리고 상기 워밍드로워(400)는 조리물을 담는 용기를 데우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컨트롤 패널(600)은 각각 상기 가스 오븐(10)의 동작을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가스 오븐(1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탑버너 컨트롤부(700)는 상기 탑버너부(200)에 가스를 공급하는 밸브를 개폐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백가드(500)는 상기 오븐부(300)에서 조리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탑버너부(200)는 상기 본체(100)의 상단에 위치된다. 상기 탑버너부(200)의 상면을 탑플레이트(210)가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탑버너부(200)에는 다수개의 탑버너(220)가 구비된다. 상기 탑버너(220)는 가스를 연소시켜서 조리물이 담겨진 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탑버너(2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탑버너부(200)에는 다수개의 탑그레이트(290)가 구비된다. 상기 탑그레이트(290)에는 상기 탑버너(220)에 의하여 가열되는 용기가 안착된다.
한편 상기 오븐부(300)은 상기 탑버너부(200)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본체(100)의 중앙부에 구비된다. 상기 오븐부(300)의 내부에는 버너(미도시)에 의하여 조리물을 조리하는 오븐실(31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오븐실(310)은 오븐 도어(32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오븐 도어(320)는 상기 본체(100)에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로 회동하여 상기 오븐실(310)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상기 오븐 도어(320)의 전면 상단에는 상기 오븐 도어(320)를 여닫기 위하여 사용자가 파지하는 도어 핸들(321)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워밍드로워(400)는 상기 오븐부(300)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본체(100)의 하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워밍드로워(400)는 드로워방식으로 상기 본체(100)의 내외부로 출납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워밍드로워(400)에는 조리물을 담는 용기가 안착되고, 상기 워밍드로워(400)에 담겨진 용기는 상기 오븐실(310)에서 조리물을 조리하기 위한 상기 버너 또는 별개로 구비되는 워밍용 버너의 버너열에 의하여 데워진다. 또한 상기 워밍드로워(400)의 전면에도 사용자가 상기 워밍드로워(400)를 출납시키기 위하여 파지하는 드로워핸들(410)이 구비된다.
상기 백가드(500)는 상기 탑버너부(200)의 후방에 해당하는 상기 본체(100)의 상면 후단에 구비된다. 상기 백가드(500)는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백가드(500)의 내부에는 상기 오븐실(310)과 연통되는 유로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오븐부(30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오븐실(310)에서 조리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상기 유로를 유동하여 상기 오븐실(3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컨트롤 패널(600)은 상기 백가드(500)의 전면에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 패널(600)에는 실질적으로 상기 오븐부(300) 또는 워밍드로워(400)의 동작을 위한 각종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오븐부(300) 및 워밍드로워(400)의 동작에 관한 각종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탑버너 컨트롤부(700)에는 상기 탑버너(220)의 개수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조작노브(710)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노브(710)는 각각 상기 탑버너(220)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밸브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킨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탑버너(220)는 아웃터 버너(230) 및 이너 버너(260)를 포함한다. 상기 아웃터 버너(230) 및 이너 버너(260)는 각각 아웃터 버너헤드(240) 및 아웃터 버너캡(250), 이너 버너헤드(270) 및 이너 버너캡(280)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아웃터 버너헤드(240), 아웃터 버너캡(250), 이너 버너헤드(270) 및 이너 버너캡(280)은 금속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아웃터 버너헤드(240) 및 아웃터 버너캡(250)은 알루미늄재질을 주조하여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이너 버너헤드(270) 및 이너 버너캡(280)은 황동재질을 주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고온으로 상승되는 상기 이너 버너(250)를 구성하는 상기 이너 버너헤드(270) 및 이너 버너캡(280)은, 상기 아웃터 버너(230)를 구성하는 상기 아웃터 버너헤드(240) 및 아웃터 버너캡(250)에 비하여 열변형온도가 높은 재질인 황동재질로 성형함으로써, 상기 이너 버너(250)의 열변형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아웃터 버너헤드(240)는 대략 원형의 횡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터 버너헤드(240)는 상기 탑플레이트(210)의 상면에 안착된다.
상기 아웃터 버너헤드(240)의 테두리면 상단에는 다수개의 주염공 형성치형(241A) 및 보조염공 형성치형(241B)이 구비된다. 상기 아웃터 버너헤드(240)의 주염공 형성치형(241A) 및 보조염공 형성치형(241B)은 각각 혼합가스가 배출되어 연소되는 상기 아웃터 버너(230)의 주염공(231) 및 보조염공(232)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아웃터 버너헤드(240)의 주염공 형성치형(241A)은 상기 아웃터 버너헤드(240)의 보조염공 형성치형(241B)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아웃터 버너헤드(240)의 상면 외주연 일측에는 점화저부(242)가 형성된다. 상기 점화저부(242)는 스파크가 발생되는 점화플러그(미도시)의 단부가 위치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점화저부(242)에 인접하는 상기 아웃터 버너(230)의 주염공(231) 및 보조염공(232)이 상기 점화플러그에서 발생되는 스파크에 의하여 먼저 점화되고, 점화된 불꽃이 옮겨짐으로써, 상기 아웃터 버너(230)의 주염공(231) 및 보조염공(232)에서 배출되는 혼합가스가 전체적으로 점화되는 것이다.
상기 아웃터 버너헤드(240)의 저면 중앙에는 관통개구(244)가 형성된다. 상기 아웃터 버너헤드(240)의 관통개구(244)는 대략 상기 아웃터 버너헤드(240)의 저면 중앙부가 원형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아웃터 버너헤드(240)의 관통개구(244)의 내주연에는 구획리브(244)가 구비된다. 상기 구획리브(243)는 상기 아웃터 버너헤드(240)의 관통개구(244)의 내주연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구획리브(243)는 상기 아웃터 버너캡(250)의 저면에 밀착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아웃터 버너헤드(240)의 관통개구(244)의 내주연에는 다수개의 지지리브(245)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리브(245)는 상기 이너 버너헤드(27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지지리브(245)의 상면에는, 후술할 지지보스(275)의 하단이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리브(245)가 상기 아웃터 버너헤드(240)의 관통개구(244)의 내주연에서 상기 아웃터 버너헤드(240)의 관통개구(244)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는 다수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리브(245)는 상기 아웃터 버너헤드(240)의 관통개구(244)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기설정된 중심각만큼 이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리브(245)가 모두 3개로 구성되므로, 상기 지지리브(245)는 각각 120도씨의 중심각만큼 서로 이격될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리브(245)에는 관통홀(246)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246)은, 후술할 체결홀(276)에 체결되는 체결구(S)(도 7참조)가 관통하는 곳이다. 상기 관통홀(246)은 상기 지지리브(245)의 일부가 상하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리브(245)에는 삽입홈(247)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247)에는 후술할 삽입돌기(277)가 삽입된다. 상기 삽입홈(247)은 상기 관통홀(246)과 연통되도록 상기 지지리브(245)의 상면 일부가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리브(245)에 각각 형성되는 상기 삽입홈(247)이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삽입홈(247)이 상기 아웃터 버너헤드(240)의 관통개구(244)의 직경방향에 대하여 상이한 각도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아웃터 버너헤드(240)에는 2개의 제1믹싱튜브(249)가 구비된다. 상기 제1믹싱튜브(249)는 상기 탑플레이트(210)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탑버너부(200)의 내부에 구비되는 노즐(미도시)에서 분사되어 공기와 혼합된 상태의 가스(이하에서는 '혼합가스'라 칭함)를 상기 아웃터 버너(230)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믹싱튜브(249)의 상단부는 상기 아웃터 버너헤드(24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한편 상기 아웃터 버너캡(250)에도 관통개구(251)가 형성된다. 상기 아웃터 버너캡(250)의 관통개구(251)는, 상기 아웃터 버너헤드(240)의 관통개구(244)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아웃터 버너캡(250)은 상기 아웃터 버너헤드(240)의 상면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아웃터 버너캡(250)의 저면 테두리는, 상기 아웃터 버너헤드(240)의 테두리면 상단에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아웃터 버너캡(250)의 저면 외주연은 상기 아웃터 버너헤드(240)의 주염공 형성치형(241A) 및 보조염공 형성치형(241B)과 상기 아웃터 버너(230)의 주염공(231) 및 보조염공(232)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아웃터 버너캡(250)의 관통개구(251)의 내주연에 인접하는 상기 아웃터 버너캡(250)의 저면은 상기 구획리브(243)의 상단에 안착된다.
한편 상기 아웃터 버너캡(250)의 상면에는 유입방지턱(253)이 구비된다. 상기 유입방지턱(253)은 조리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국물 등이 상기 아웃터 버너캡(250)의 관통개구(252) 및 상기 아웃터 버너헤드(240)의 관통개구(243)를 통하여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이너 버너헤드(270)는 상기 아웃터 버너헤드(240)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이너 버너헤드(270)는 대략 상기 이너 버너안착부(251)에 대응하는 원형의 횡단면을 가진다.
상기 이너 버너헤드(270)의 상면 내주연에는 다수개의 주염공 형성치형(271A) 및 보조염공 형성치형(271B)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상기 이너 버너헤드(270)의 주염공 형성치형(271A) 및 보조염공 형성치형(271B)은 각각 혼합가스가 배출되어 연소되는 상기 이너 버너(260)의 주염공(261) 및 보조염공(262)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너 버너헤드(270)에는 가스챔버(273)가 구비된다. 상기 가스챔버(273)에는 상기 이너 버너(260)의 주염공(261) 및 보조염공(262)에서의 불꽃이 소화되는 경우에 이를 재점화시키기 위한 혼합가스가 저장된다.
상기 이너 버너헤드(270)에는 3개의 지지보스(275)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보스(275)는 상기 이너 버너헤드(270)를 상기 아웃터 버너헤드(240)에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보스(275)가 상기 이너 버너헤드(270)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3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보스(275)의 하단은 각각 상기 지지리브(245)의 상면에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보스(275)는, 상기 지지리브(245)에 대응되도록 상기 이너 버너헤드(270)의 저면에 위치된다.
한편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보스(275)에는 체결홀(276)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체결홀(276)은 상기 관통홀(246)을 관통한 상기 체결구(S)가 체결되는 곳이다. 따라서 상기 체결홀(276)은, 상기 지지보스(275)의 하단이 상기 지지리브(245)의 상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홀(246)과 연통된다.
또한 상기 지지보스(275)에는 삽입돌기(277)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삽입돌기(277)는, 상기 지지보스(275)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삽입돌기(277)는, 상기 지지보스(275)의 하단이 상기 지지리브(245)의 상면에 지지되면, 각각 상기 삽입홈(247)에 삽입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홈(247)은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삽입돌기(277)도 상기 삽입홈(247)에 각각 대응하도록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삽입홈(247)에 삽입되는 상기 삽입돌기(277)는, 상기 아웃터 버너헤드(240) 및 이너 버너헤드(270)의 정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삽입돌기(277)가 상기 삽입홈(247)에 삽입된 경우에만, 상기 아웃터 버너헤드(240) 및 이너 버너헤드(270)가 정위치에 위치되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삽입돌기(277)가 상기 삽입홈(247)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이너 버너헤드(270)가 상기 아웃터 버너헤드(240)에 실질적으로 가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삽입홈(247) 및 삽입돌기(277)의 형상이 상이한 것은, 상기 아웃터 버너(230) 및 이너 버너(250), 실질적으로는, 상기 아웃터 버너헤드(240) 및 이너 버너헤드(270)가 설계된 정위치만 위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삽입홈(247) 및 삽입돌기(277)가 각각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면, 상기 아웃터 버너헤드(240)에 대하여 상기 이너 버너헤드(270)가 120도씨만큼 회전하더라도 상기 삽입돌기(277)가 상기 삽입홈(247)에 삽입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 아웃터 버너(230)와 이너 버너(250)는, 실질적으로 혼합가스의 연소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기 점화저부(242) 및 가스챔버(273)가 설계된 위치에 위치되도록, 정위치에서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점화저부(242) 및 가스챔버(273)의 설계위치는, 실험 등에 의하여 상기 탑버너(220)에 의한 조리물의 조리가 가장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위치로 설정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삽입홈(247) 및 삽입돌기(277)가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되면, 상기 아웃터 버너(230) 및 이너 버너(250)는 정위치에서만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이너 버너헤드(270)에는 1개의 제2믹싱튜브(279)가 구비된다. 상기 제2믹싱튜브(279)는 혼합가스를 상기 이너 버너(260)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믹싱튜브(279)의 상단부는 상기 이너 버너헤드(27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믹싱튜브(279)의 하단부는 상기 이너 버너헤드(270)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아웃터 버너캡(250)의 관통개구(252) 및 상기 아웃터 버너헤드(240)의 관통개구(243)를 차례로 관통한다.
상기 이너 버너캡(280)은 상기 이너 버너헤드(270)의 상면에 지지된다. 상기 이너 버너캡(280)의 저면 내주연은 상기 이너 버너헤드(270)의 주염공 형성치형(271A) 및 보조염공 형성치형(271B)과의 사이에 상기 이너 버너(260)의 주염공(261) 및 보조염공(262)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이너 버너캡(280)이 상기 이너 버너헤드(270)의 상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이너 버너캡(280)의 저면은 상기 제2믹싱튜브(279)의 상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오븐의 실시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가스 오븐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너의 조립과정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이너 버너헤드(270)를 아웃터 버너헤드(240)를 향하여 이동시킨다. 이때 삽입돌기(277)가 대응하는 삽입홈(247)의 직상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아웃터 버너헤드(240)에 대하여 상기 이너 버너헤드(270)를 위치시킨 후, 상기 이너 버너헤드(270)를 상기 아웃터 버너헤드(240)를 향하여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이너 버너헤드(270)가 상기 아웃터 버너헤드(240)에 대하여 계속하여 이동하면, 지지리브(245)의 상면에 지지보스(275)의 하단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리브(245)에 상기 지지보스(275)가 지지되면, 관통홀(246) 및 체결홀(276)이 서로 연통된다. 또한 상기 삽입돌기(277)가 대응하는 상기 삽입홈(247)에 각각 삽입된다.
마지막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체결구(S)를 상기 관통홀(246)를 관통하여 상기 체결홀(276)에 체결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아웃터 버너헤드(240)와 이너 버너헤드(270)의 체결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리브 및 지지보스가 각각 3개로 구성되지만, 상기 지지리브 및 지지보스는 2개이상의 다른 개수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삽입홈 및 삽입돌기가 상기 지지보스 및 지지리브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리브 및 지지보스의 일부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리브 및 지지보스의 나머지에는 삽입돌기가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오븐에서는, 점화저부 및 가스챔버가 설계된 위치에 위치되도록 아웃터 버너 및 이너 버너가 정위치에서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탑버너에 의한 보다 효율적인 조리물의 조리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220: 탑버너 230: 아웃터 버너
240: 아웃터 버너헤드 245: 지지리브
246: 관통홀 247: 삽입홈
250: 아웃터 버너캡 260: 이너 버너
270: 이너 버너헤드 275: 지지보스
276: 체결홀 277: 삽입돌기
280: 이너 버너캡

Claims (14)

  1. 가스의 연소를 위한 다수개의 염공이 형성되는 아웃터 버너;
    상기 아웃터 버너에 안착되고, 가스의 연소를 위한 다수개의 염공이 형성되는 이너 버너;
    상기 아웃터 버너 및 이너 버너를 설계된 정위치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에 의하여 정위치로 안내된 상기 아웃터 버너 및 이너 버너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탑버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아웃터 버너 및 이너 버너 중 어느 일방에 형성되는 삽입홈; 및
    상기 아웃터 버너 및 이너 버너 중 타방에 구비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 를 포함하는 탑버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아웃터 버너에 형성되는 지지리브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안착리브에 안착되는 지지보스에 구비되는 탑버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지지리브에 형성되는 관통홀;
    상기 지지보스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보스가 상기 지지리브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는 체결홀; 및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는 체결구; 를 포함하는 탑버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에 의하여 상기 아웃터 버너 및 이너 버너의 상대위치가 안내된 상태에서, 상기 아웃터 버너 및 이너 버너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나머지 하나에 체결되는 체결구를 포함하는 탑버너.
  6. 점화플러그가 설치되는 점화저부가 형성되는 아웃터 버너헤드, 및 상기 아웃터 버너헤드에 안착되어 가스가 연소되는 염공을 형성하는 아웃터 버너캡을 포함하는 아웃터 버너;
    가스가 저장되는 가스챔버가 형성되는 이너 버너헤드, 및 상기 이너 버너헤드에 안착되어 가스가 연소되는 염공을 형성하는 이너 버너캡을 포함하는 이너 버너;
    상기 점화저부에 대하여 상기 가스챔버가 설계된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아웃터 버너헤드 및 이너 버너헤드를 가고정하는 가고정부재; 및
    상기 가고정부재에 의하여 상기 아웃터 버너헤드 및 이너 버너헤드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탑버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고정부재는,
    상기 아웃터 버너헤드 및 이너 버너헤드 중 어느 일방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지지리브;
    상기 아웃터버헤드 및 이너 버너헤드 중 타방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리브에 지지되는 다수개의 지지보스;
    상기 지지리브 및 지지보스 중 어느 일방에 각각 형성되는 삽입홈; 및
    상기 지지리브 및 지지보스 중 타방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지지리브에 상기 지지보스가 지지되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 를 포함하는 탑버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삽입홈의 나머지와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삽입홈에 각각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탑버너.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삽입홈에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리브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보스에 체결되는 다수개의 체결구인 탑버너.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고정부재는,
    상기 아웃터 버너헤드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관통개구의 내주연에서 상기 아웃터 버너헤드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고, 서로 기설정된 중심각만큼 이격되며,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리브; 및
    상기 이너 버너헤드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각각 상기 지지리브의 상면에 지지되며,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보스가 각각 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보스; 를 포함하는 탑버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저부에 대한 상기 지지보스의 상대위치에 따라서 상기 삽입홈은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스챔버에 대한 상기 지지보스의 상대위치에 따라서 상기 삽입돌기는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탑버너.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지지리브에 각각 형성되는 관통홀;
    상기 지지보스에 각각 형성되는 삽입홀; 및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체결구; 를 포함하는 탑버너.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관통홀의 외주연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지지리브의 상면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지지보스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탑버너.
  14.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탑플레이트, 상기 탑플레이트에 구비되고 조리물이 안착되는 탑그레이트 및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의 탑버너를 포함하는 탑버너부; 및
    상기 탑버너부의 하방에 구비되고, 오븐실이 구비되는 캐비티 및 상기 오븐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오븐도어를 포함하는 오븐부; 를 포함하는 가스 오븐.
KR1020100011938A 2010-02-09 2010-02-09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오븐 KR101663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938A KR101663318B1 (ko) 2010-02-09 2010-02-09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오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938A KR101663318B1 (ko) 2010-02-09 2010-02-09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오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492A true KR20110092492A (ko) 2011-08-18
KR101663318B1 KR101663318B1 (ko) 2016-10-06

Family

ID=44929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1938A KR101663318B1 (ko) 2010-02-09 2010-02-09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오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31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5724A (ko) * 2002-05-01 2003-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기록재생장치의 트레이 로딩장치 및 이를 채용한광기록재생장치
KR200363748Y1 (ko) * 2004-07-12 2004-10-11 유상근 이중 헤드 구조의 가스 연소기
CN2738135Y (zh) * 2004-09-07 2005-11-02 中山市长青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燃气灶的燃烧器
KR20090064606A (ko) * 2007-12-17 2009-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5724A (ko) * 2002-05-01 2003-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기록재생장치의 트레이 로딩장치 및 이를 채용한광기록재생장치
KR200363748Y1 (ko) * 2004-07-12 2004-10-11 유상근 이중 헤드 구조의 가스 연소기
CN2738135Y (zh) * 2004-09-07 2005-11-02 中山市长青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燃气灶的燃烧器
KR20090064606A (ko) * 2007-12-17 2009-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3318B1 (ko)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2530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US8978637B2 (en) Top burner and cooker comprising the same
US8464703B2 (en) Top-burner and cooker comprising the same
EP2806213B1 (en) Burner for cooking appliance
KR100926442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US9410705B2 (en) Gas cooker
KR101824736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0938201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0927328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596497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082645B1 (ko) 가스조리기기
KR101663318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오븐
KR101598625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531057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617442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303521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조리기기
KR101535300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533847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710202B1 (ko) 가스 오븐레인지
KR101665708B1 (ko) 가스 오븐레인지
KR101596498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090064608A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090064607A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