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2153A - 액체식 제습장치용 열물질 교환기 - Google Patents

액체식 제습장치용 열물질 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2153A
KR20110092153A KR1020100011660A KR20100011660A KR20110092153A KR 20110092153 A KR20110092153 A KR 20110092153A KR 1020100011660 A KR1020100011660 A KR 1020100011660A KR 20100011660 A KR20100011660 A KR 20100011660A KR 20110092153 A KR20110092153 A KR 20110092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
heat
liquid
dehumidifying
exchang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1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4638B1 (ko
Inventor
장영수
이대영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11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4638B1/ko
Publication of KR20110092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2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4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4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7/00Removing ice or water from heat-exchang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65/00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 F28F2265/22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for draining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식 제습장치용 열물질 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내측에 형성된 유로를 통해 열전달 매체가 흐르는 복수의 평판형 열교환 바디; 양측 단부가 인접한 두 개의 열교환 바디의 표면에 각각 접하고, 상기 각각의 열교환 바디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플레이트; 상기 열교환 바디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열교환 바디의 표면에 제습액을 공급하는 상부 헤더; 및 상기 열교환 바디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열교환 바디로부터 배출되는 제습액을 포집하는 하부 헤더;를 포함하는 액체식 제습장치용 열물질 교환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액체식 제습장치용 열물질 교환기{HEAT AND MATERIAL EXCHANGER FOR A DEHUMIDIFIER USING LIQUID DESICCANT}
본 발명은 액체식 제습장치용 열물질 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상의 제습액을 사용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제습장치 내에서 사용되어 열과 수분을 교환하는 열물질 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액체식 제습장치는 고농도의 액상 제습액을 공기에 분사하여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케 하여 건조 공기를 얻는 장치의 일종이다. 이러한 액체식 제습장치는 건조 대상인 공기중으로 분사한 제습액을 순환시켜서 연속적인 작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한 제습액은 수분으로 인해 묽어지게 되므로 다음 사이클에서의 흡습성이 저하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수분을 흡수한 제습액을 고온의 재생 공기중으로 재차 분사하여 고온 분위기에서 제습액에 포함된 수분이 증발되도록 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재생이라고 하며, 재생기 내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술한 제습 과정에 있어서 제습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제습액 및 제습액이 분사되는 공기의 온도가 낮은 것이 유리하다. 아울러, 제습액과 공기와의 접촉 면적을 늘리는 것도 제습 효율 향상에 도움이 된다. 재생 과정에 있어서는, 제습액 및 제습액이 분사되는 공기의 온도가 높아야 하고, 접촉 면적도 증가되어야 한다. 이렇게 액체식 제습장치의 작동을 위해서는 공기와 제습액을 가열(재생 과정)하거나 냉각(제습 과정)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서는 열물질 교환기가 사용된다.
즉, 내부에 고온 또는 저온의 열 매체가 흐르는 열물질 교환기의 표면에 제습액을 분사하여 제습액이 열물질 교환기의 표면을 따라서 흐르게 함과 동시에 공기를 분사함으로서 제습액 및 공기가 열물질 교환기 내부를 흐르는 열매체와의 열교환을 통해서 냉각되거나 가열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열물질 교환기의 표면에서는 상기 공기와 제습액 사이에서 수분이 교환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열과 수분이 동시에 교환되는 것이기에, 일반적인 열교환기와 구별하여 열물질 교환기로 칭한다.
한편, 단위 시간당 보다 많은 양의 제습액을 냉각 또는 가열하기 위해서는 많은 유량의 제습액을 공급하여야 하지만, 이 경우 제습액이 열물질 교환기의 표면에 두꺼운 액막을 형성하게 되어 열 및 물질 전달 계수를 저하시키게 된다. 아울러, 두꺼운 액막이 존재하는 경우에 액막 표면에 웨이브가 형성되거나 액막이 불안정 해지므로 공급되는 유동 공기 중으로 비산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도 1에 이러한 열물질 교환기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열물질 교환기(10)는 복수개의 열교환 바디(12)가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형태를 갖는다. 상기 바디(12) 각각의 내부 공간에는 열교환을 위한 냉각수 또는 가열수가 흐르게 되는데, 상기 내부 공간은 격벽(14)에 의해 복수개의 채널로 구획된다. 상기 열교환 바디(12)의 표면을 따라서 제습액이 공급된다. 상기 제습액은 상기 바디(12)의 상부로 공급되어 중력에 의해 바디(12)의 표면을 따라서 아래로 이동하게 되며, 이들 바디(12) 사이의 공간으로 제습 대상인 공기 또는 재생 공기가 공급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제습액와 공기가 가열 또는 냉각될 수 있어 제습 효율 또는 재생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열 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제습액이 상기 바디(12)의 표면을 따라서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어야 하며, 액막의 두께는 가급적 작아야만 공기로의 열전달량을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습액이 공기중으로 비산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제습액와 공기가 실제로 열교환이 되는 부분은 상기 열교환 바디(12)의 표면으로만 한정될 수밖에 없어 열물질 교환기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액막의 두께에 제한이 있으므로 단위 시간당 열 전달량이 작아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열물질 교환기를 제안한 바 있다. 도 2에 도시된 열물질 교환기는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열교환 바디의 사이에 지그재그 형태를 갖는 제습액 가이드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제습액 가이드의 표면은 열물질 교환기의 상부에서 공급된 제습액과 상기 열물질 교환기의 측면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서로 접촉하여 열물질을 교환할 수 있는 표면적을 확장시키는 것으로서, 동일한 크기의 열물질 교환기에 대해서 열과 수분의 교환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제습액 가이드의 밀집도를 높이게 되면, 제습액 가이드에 의해 형성되는 통로의 면적이 작아져서, 제습액의 표면장력에 의해 제습액이 흘러내리지 못하고 상기 통로 사이에 고착될 위험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가 발생되면, 제습액 가이드의 전체 면적이 열 및 물질의 교환에 사용되지 못해 열물질의 교환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출원인의 선행 발명을 더욱 개량한 것으로서, 제습액 가이드의 밀집도를 높이더라도 원활하게 제습액이 흐를 수 있는 제습액 가이드를 갖는 열물질 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내측에 형성된 유로를 통해 열전달 매체가 흐르는 복수의 평판형 열교환 바디; 양측 단부가 인접한 두 개의 열교환 바디의 표면에 각각 접하고, 상기 각각의 열교환 바디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플레이트; 상기 열교환 바디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열교환 바디의 표면에 제습액을 공급하는 상부 헤더; 및 상기 열교환 바디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열교환 바디로부터 배출되는 제습액을 포집하는 하부 헤더;를 포함하는 액체식 제습장치용 열물질 교환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측면에서는 상부 헤더로부터 공급된 제습액을 가이드하게 되는 상기 각각의 플레이트들을 열교환 바디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하여 제습액이 플레이트의 표면을 따라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 제습 또는 재생 대상인 공기는 상기 열교환 바디의 하측으로부터 또는 상측으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플레이트들의 양측 단부는 인접한 한 쌍의 열교환 바디의 표면과 접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플레이트들은 상기 열교환 바디의 상하 방향에 대해서 평행하게 연장될 수도 있고, 경사지게 연장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플레이트의 하단부가 상기 각각의 열교환 바디의 두께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플레이트를 타고 흘러내린 제습액이 플레이트의 하단부에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각각의 플레이트의 하단부는 삼각형 또는 반원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 바디의 하단부에는 제습액 포집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습액 포집홈은 플레이트에 의해 유도된 제습액을 포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제습액이 분산되지 않고 한곳에 모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습액 포집홈은 상기 열교환 바디의 폭 방향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고, 경사지게 연장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하부 헤더는 상기 복수개의 열교환 바디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메인 채널; 및 상기 복수개의 열교환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단부가 상기 메인 채널과 연통되며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보조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헤더 역시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부 헤더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각각의 열교환 바디 마다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헤더 역시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들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플레이트들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플레이트들은 반드시 일직선 형태를 갖는 것은 아니며, 일 예로서, 상기 열교환 바디의 상하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하측 단부; 및 상기 상하측 단부 사이에서 연결되며, 상기 열교환 바디의 상하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측면들에 의하면, 제습액이 흘러내리게 되는 확장표면을 제공하는 플레이트들이 열교환 바디의 상하 방향으로 평행하거나 경사지게 연장되므로 제습액이 원활하게 흘러내리게 되므로 열 및 물질의 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열물질 교환기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식 제습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계통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예 중 열물질 교환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 중 열교환 바디의 하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열교환 바디의 하부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열물질 교환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열물질 교환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물질 교환기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물질 교환기가 구비되는 액체식 제습장치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계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100)는 외기를 흡입하여 시스템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제1 송풍팬(11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송풍팬(110)에 의해 제습 대상공간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제1 열물질 교환기(120)로 송풍된다. 상기 제1 열물질 교환기(120)은 공기가 제습액과 접촉하도록 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측에 제습액을 하향으로 공급하기 위한 상부 헤더(122)가 위치하며, 상기 상부 헤더(122)의 하부에 제1 열교환 바디(124) 및 복수개의 플레이트(미도시)가 배치된다. 이러한 제1 열물질 교환기(120)를 통과한 공기는 제습액으로 인해 습도가 낮아진 상태로 제습되어 대상 공간으로 다시 보내진다.
이때, 상기 제1 송풍팬(110)은 공기를 상기 제1 열물질 교환기(12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송풍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역방향으로 송풍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헤더(122)에 의해 공급된 제습액은 상기 제1 열교환 바디(124)의 표면을 타고 흐르면서 흡입된 공기와 접촉하고, 이 과정에서 외기에 포함된 수분을 흡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열교환 바디(124)의 내부로 공급되는 냉각수와의 열교환으로 인해서 상기 제습액과 상기 공기는 냉각되게 되며, 이로 인해서 제습과정에서 생성되는 열이 제거되어 제습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냉각수는 외부의 수원이나 별도의 냉각 장치 등에 의해 냉각된 냉각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열교환 바디(124)를 통과한 제습액은 제1 열교환 바디(124)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헤더(126)에 포집되게 된다. 이렇게 포집된 제습액은 제2 열물질 교환기(130)에 포함되는 상부 헤더(132)로 공급된다. 상기 제2 열물질 교환기(130)는 상기 제1 열물질 교환기(120)에서 수분을 포함하게 된 제습액을 건조시켜서 흡습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서, 제1 열교환 바디(124)와 동일한 제2 열교환 바디(134)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2 열교환 바디(134)측으로 고온의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제2 송풍팬(140)이 제2 열교환 바디(134)와 인접하여 배치되며,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150)가 상기 제2 송풍팬(140)와 상기 제2 열교환 바디(134)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렇게 공급되는 열풍은 상기 제2 열물질 교환기(130) 상에서 제습액과 접촉하여 제습액을 건조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열교환 바디(134)의 내부에는 제1 열교환 바디(124)와는 달리 온수가 공급되어 수분의 증발을 더욱 촉진시키는 한편, 제습액 내부의 수분이 증발하면서 제습액의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재생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송풍팬(140) 역시 제1 송풍팬과 같이 제2 열교환 바디(134)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열풍을 공급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2 열교환 바디(134)를 통과한 제습액은 제2 열교환 바디(134)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헤더(136)에 포집되고, 펌프(160)에 의해서 상기 상부 헤더(122)측으로 압송된다. 이때, 현열교환기(170)를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순환되는 제습액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열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현열교환기(170)의 내부에서 제1 열물질 교환기에서 제2 열물질 교환기로 이동하는 제습액과 그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제습액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습액을 냉각하거나 가열하는데 소요되는 에너지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열물질 교환기(12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열물질 교환기(130)도 제1 열교환기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그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제외하도록 한다.
상기 제1 열물질 교환기(120)는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평판형 열교환 바디(124)를 포함한다. 상기 열교환 바디(124)의 내부로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가 열교환 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흐르게 되고, 그에 따라 열교환 바디(124)의 표면에 위치하는 제습액 또는 공기와 열교환하면서 이들을 냉각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열교환 바디(124)는 상기 제습액의 높은 부식성에 견딜 수 있는 내부식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며, 도시된 예에서는 PP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각각의 열교환 바디(124)의 사이에는 열 및 물질의 교환 면적을 확장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플레이트(200)들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플레이트(200)들은 상기 열교환 바디(124)들의 사이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도시된 예에서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플레이트(200)들은 상기 열교환 바디(124)의 상하방향, 즉 높이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 바디(124)는 PET 재질의 부직포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열교환 바디(124)의 상측에는 상부 헤더(122)가 배치된다. 상기 상부 헤더(122)는 상기 열교환 바디(124) 및 상기 플레이트(200) 측으로 제습액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제습액이 일차적으로 유입되는 메인 채널(122a)과 상기 메인 채널(122a)로부터 분지되는 복수개의 보조 채널(122b)로 이루어진다.
이들 메인 채널 및 보조 채널들은 각각 내부가 빈 파이프 형태를 가지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보조 채널의 하부에는 보조 채널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나란하게 형성되는 분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메인 채널(122a)로 공급된 제습액은 상기 보조 채널(122b)로 유입되고 최종적으로 상기 분사구를 통해 상기 열교환 바디 및 플레이트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보조 채널(122b)은 인접한 두 개의 열교환 바디의 사이에 배치되게 된다. 이로 인해서, 열교환 바디와 플레이트 측으로 제습액이 고르게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형태 외에도 상기 상부 헤더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헤더는 상기 열교환 바디 및 플레이트로 제습액을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갖기만 하면 되는 것이므로, 도 3에서 보조 채널을 생략하고 메인 채널에 해당되는 파이프가 상기 열교환 바디의 상부를 가로질러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파이프를 열교환 바디의 중앙부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교환 바디의 하측에는 하부 헤더(126)가 위치한다. 상기 하부 헤더(126)는 상기 상부 헤더와 유사하게 메인 채널(126a) 및 그로부터 분지되는 보조 채널(126b)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 보조 채널(126b)은 상기 열교환 바디 및 플레이트를 타고 흘러내린 제습액을 포집하는 역할을 하며, 이렇게 보조 채널로 포집된 제습액은 메인 채널(126a)로 유입되어 상술한 펌프(160)측으로 유입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 채널(126b)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은 상술한 제1 및 제2 송풍팬(110, 140)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상기 열교환 바디의 사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송풍된 공기가 보다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보조 채널(126b)의 단면 형상을 도시된 바와 같은 직사각형 대신에 삼각형 형태가 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상기 열교환 바디(124)의 하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열교환 바디의 하부에는 상기 플레이트 및 열교환 바디의 표면을 따라 흘러내린 제습액이 포집되는 제습액 포집홈(124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습액 포집홈(124a)은 상기 열교환 바디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흘러내린 제습액이 열교환 바디의 하단부에 맺히는 것을 방지하고 원활하게 흘러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200)의 하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플레이트(200)의 표면을 따라 흘러내린 제습액이 플레이트(200)의 하단부에 맺히지 않고 경사진 단부를 따라 흘러서 열교환 바디측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200)의 하단부는 반드시 도시된 형태에 한하지 않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반원형의 단부를 갖는 형태도 고려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플레이트(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플레이트(200)는 반드시 일직선 형태를 갖는 것에 한하지 않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와 하단부는 상기 열교환 바디(124)의 높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중앙부가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Claims (14)

  1. 내측에 형성된 유로를 통해 열전달 매체가 흐르는 복수의 평판형 열교환 바디;
    상기 각각의 열교환 바디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플레이트;
    상기 열교환 바디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플레이트 및 열교환 바디의 표면에 제습액을 공급하는 상부 헤더; 및
    상기 열교환 바디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열교환 바디 및 플레이트로부터 배출되는 제습액을 포집하는 하부 헤더;를 포함하는 액체식 제습장치용 열물질 교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플레이트들의 양측 단부는 인접한 한 쌍의 열교환 바디의 표면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식 제습장치용 열물질 교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플레이트들은 상기 열교환 바디의 상하 방향에 대해서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식 제습장치용 열물질 교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플레이트들은 상기 열교환 바디의 상하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식 제습장치용 열물질 교환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플레이트의 하단부가 상기 각각의 열교환 바디의 두께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식 제습장치용 열물질 교환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플레이트의 하단부는 삼각형 또는 반원형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식 제습장치용 열물질 교환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바디의 하단부에는 제습액 포집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식 제습장치용 열물질 교환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액 포집홈은 상기 열교환 바디의 폭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식 제습장치용 열물질 교환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액 포집홈은 상기 열교환 바디의 폭 방향을 따라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식 제습장치용 열물질 교환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헤더는,
    상기 복수개의 열교환 바디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메인 채널; 및
    상기 복수개의 열교환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단부가 상기 메인 채널과 연통되며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보조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식 제습장치용 열물질 교환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헤더는 상기 각각의 열교환 바디 마다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식 제습장치용 열물질 교환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들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식 제습장치용 열물질 교환기.
  13. 제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플레이트들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식 제습장치용 열물질 교환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플레이트들은
    상기 열교환 바디의 상하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하측 단부; 및
    상기 상하측 단부 사이에서 연결되며, 상기 열교환 바디의 상하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식 제습장치용 열물질 교환기.
KR1020100011660A 2010-02-08 2010-02-08 액체식 제습장치용 열물질 교환기 KR101174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660A KR101174638B1 (ko) 2010-02-08 2010-02-08 액체식 제습장치용 열물질 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660A KR101174638B1 (ko) 2010-02-08 2010-02-08 액체식 제습장치용 열물질 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153A true KR20110092153A (ko) 2011-08-17
KR101174638B1 KR101174638B1 (ko) 2012-08-21

Family

ID=44929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1660A KR101174638B1 (ko) 2010-02-08 2010-02-08 액체식 제습장치용 열물질 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46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683B1 (ko) * 2013-10-29 2015-01-08 한국지역난방공사 간접 증발냉각기용 미세유량 급수조절식 주수장치
KR20200075496A (ko) * 2018-12-18 2020-06-26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증발식 열교환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3555B2 (ja) 1999-02-08 2009-06-0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683B1 (ko) * 2013-10-29 2015-01-08 한국지역난방공사 간접 증발냉각기용 미세유량 급수조절식 주수장치
KR20200075496A (ko) * 2018-12-18 2020-06-26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증발식 열교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4638B1 (ko) 2012-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4925B1 (ko) 액체식 제습장치용 열물질교환기 및 그를 이용한 액체식 제습장치
KR20120113608A (ko) 확장표면판을 갖는 열물질 교환기 및 이를 갖는 액체식 제습 장치
CN101317040B (zh) 露点冷却设备
KR100763657B1 (ko) 열교환 조립체
JP5261865B2 (ja) 除湿装置
JP2019511697A (ja) 多相プレート式熱交換器による空調
CN103502760A (zh) 冷却流体的蒸发冷却装置及方法
JP3574325B2 (ja) 除湿機
KR101116036B1 (ko) 액체식 제습장치
KR101174638B1 (ko) 액체식 제습장치용 열물질 교환기
JP3559255B2 (ja) 間接型熱交換装置を備えたデシカント空調装置
KR101250765B1 (ko) 유체 분배기를 구비한 열교환기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 시스템
JP2009139071A (ja) コンデンサー及びそれを用いた除湿装置
JP3554158B2 (ja) 除湿機
JP2004003844A (ja) 除湿機
KR102089419B1 (ko) 상변환물질을 이용한 열교환기
JP2004190907A (ja) 多段式間接型熱交換装置を備えたデシカント空調装置
JP2003135890A (ja) 洗濯乾燥機および水冷式熱交換器
KR101258455B1 (ko) 다열 튜브형 열교환패널을 구비한 열교환기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 시스템
KR101343424B1 (ko) 재생증발식 냉방기
JP2004000979A (ja) 除湿器
KR101692939B1 (ko) 유체분배기 및 이를 구비한 열교환기
JP5261868B2 (ja) 除湿装置
JP2017072288A (ja) 間接気化式空調装置及び間接気化式空調方法
KR101369770B1 (ko) 다열 튜브형 열교환패널을 이용한 공기조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