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683B1 - 간접 증발냉각기용 미세유량 급수조절식 주수장치 - Google Patents

간접 증발냉각기용 미세유량 급수조절식 주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683B1
KR101479683B1 KR1020130129138A KR20130129138A KR101479683B1 KR 101479683 B1 KR101479683 B1 KR 101479683B1 KR 1020130129138 A KR1020130129138 A KR 1020130129138A KR 20130129138 A KR20130129138 A KR 20130129138A KR 101479683 B1 KR101479683 B1 KR 101479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ing
water
evaporation water
evapora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9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준
김진배
오진수
정용진
Original Assignee
한국지역난방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역난방공사 filed Critical 한국지역난방공사
Priority to KR1020130129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6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3/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flows in a continuous film, or trickles freely, over the conduits
    • F28D3/04Distribu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8Double-walled pipes;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9/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vaporation of a refrigerant but without recovery of the vapou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3/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flows in a continuous film, or trickles freely, over the conduits
    • F28D3/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flows in a continuous film, or trickles freely, over the conduits with tubular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7/00Control arrangements or 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35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5/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using the cooling effect of natural or forced evaporation
    • F28D5/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using the cooling effect of natural or forced evaporation in which the evaporating medium flows in a continuous film or trickles freely over the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접 증발냉각기용 미세유량 급수조절식 주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증발 냉각기의 각각의 습채널에 설치되는 이중관들을 그룹화시키고, 그룹화된 이중관들로 분배기를 이용해서 증발냉각을 위한 최적의 미세 유량만을 습채널로 공급하여 습채널 핀 벽면을 따라 서서히 흘러내려 증발하도록 하는 간접 증발냉각기용 미세유량 급수조절식 주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간접 증발냉각기용 미세유량 급수조절식 주수장치{WATER SUPPLY DEVICE FOR CONTROLLING MINOR FLOW RATE FOR INDIRECT EVAPORATION COOLER}
본 발명은 간접 증발냉각기용 미세유량 급수조절식 주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증발 냉각기의 각각의 습채널에 설치되는 이중관들을 그룹화시키고, 그룹화된 이중관들로 분배기를 이용해서 증발냉각을 위한 최적의 미세 유량만을 습채널로 공급하여 습채널 핀 벽면을 따라 서서히 흘러내려 증발하도록 하는 간접 증발냉각기용 미세유량 급수조절식 주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증발식 냉각기는 물을 공 기중으로 분사시켜 물의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주위 공기를 냉각시키는 장치이다. 증발식 냉각기는 실내 공급공기에 직접 물을 분사하는 직접 증발식과, 물을 분사하여 온도가 낮아진 공기 또는 온도가 낮아진 물과 실내 공급공기를 열교환시켜 저온을 얻는 간접 증발식, 및 직접 증발식과 간접 증발식을 조합한 방식이 있다.
이러한 증발식 냉각기는 송풍기를 제외하면, 에너지 투입 없이 냉방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일반적인 증발식 냉각기에서는 공급 가능한 최저 온도가 흡입공기의 습구 온도로 제한되기 때문에, 주위 공기가 고온 건조한 경우에만 적절한 냉방을 공급할 수 있으며, 습도가 높은 경우에는 이 방식으로 충분한 저온을 얻을 수 없다.
증발식 냉각기는 국내 등록실용 0201473호 "코일형 증발식 응축기 냉각장치", 국내 공개특허 2011-0092773호 "하이브리드 냉방 시스템", 국내 공개특허 2008-0081050호 "증발식 냉각장치"등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증발식 냉방분야에는 재생형 증발냉각방식(regenerative evaporative cooling)이 알려져 있으며, 이 방식은 이론적으로 공급공기의 온도를 흡입공기의 습구온도가 아닌 이슬점온도까지 낮출 수 있다. 국내의 여름철 온습도 조건에서 이슬점온도는 습구온도보다 2∼5℃ 정도 낮으므로, 재생형 증발방식을 적용할 경우, 일반적인 증발방식보다 급기 온도를 더욱 낮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종래의 증발식 냉각기의 주수장치는 급수밸브를 통하여 물탱크로 유입된 물을 순환펌프를 가동하여 증발식 냉각기 상부에 설치된 물분사관으로 보내 주는데, 이때 물분사관 하부에 연결된 모세관은 미소량의 물을 분사한다.
이러한 모세관식 주수장치는 모세관들 사이의 정압 불균형 또는 이물질 쌓임 등으로 인하여 종종 간접 증발냉각기의 습채널로 주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증발냉각의 성능저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등록특허 10-1288270호(증발 냉각기용 주수장치)가 출원되어 등록되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증발 냉각기용 주수장치(1)는 증발식냉각기의 습채널(110) 측으로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부(100)와,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200)와, 물탱크(200)의 물을 물분사부(100)로 공급하는 공급펌프(300)와, 물분사부(100)로 공급된 물의 일부를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관(400)과, 주수장치(1)의 구동에 따라 공급펌프(300)와 바이패스관(400)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증발 냉각기의 습채널(110)과; 상기 습채널(110)의 상부에 배치되며 공급펌프(300)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물분사관(140)과; 상기 물분사관(140)의 하부영역에 상기 습채널(110)을 향하여 일정 길이 연장형성되어 상기 습채널(140)로 물을 분사하는 모세관(153)과; 상기 공급펌프(300)로부터 상기 물분사관(140)으로 공급되는 물량을 제어하는 제어부(500)와; 상기 공급펌프(300)의 토출측에 배치되는 바이패스 배관(400)과, 상기 바이패스 배관(400)을 개폐하는 바이패스 밸브(41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450)는 운전초기에는 상기 바이패스 밸브(41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공급펌프(300)가 최대 회전수로 구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물분사관(140) 내부가 만수되면 상기 바이패스 밸브(410)를 개방하고 상기 공급펌프(300)의 회전수를 감소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증발 냉각기용 주수장치는 모세관의 막힘 방지를 위하여 증발 냉각기의 최적 증발유량 이상의 주수량을 요구하기 때문에 물이 흘러내릴 때 그 위에 물이 연속적으로 덮여 물의 증발을 방해하므로 증발냉각 성능을 저하시키게 되고, 이러한 과유량 공급에 따라 용수사용량이 커서 사용요금 증가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증발 냉각기용 주수장치중 스프링클러 방식의 경우 물을 임의로 확산 분무를 하기 때문에 건채널로 물이 들어가지 않게 하기 위하여 건채널 상부에 지붕형태의 캡을 씌우게 되며 이로 인하여 건공기의 실내 공급시 큰 정압손실로 작용하여 팬의 동력이 증가되고, 이로 인해 소비 전력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등록특허 10-1288270호 국내 등록특허 10-124419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증발 냉각기의 각각의 습채널에 설치되는 이중관들을 그룹화시키고, 그룹화된 이중관들로 분배기를 이용해서 증발냉각을 위한 최적의 미세 유량만을 습채널로 공급하여 습채널 핀 벽면을 따라 서서히 흘러내려 증발하도록 함으로써 증발잠열을 최대한 활용하여 증발냉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간접 증발냉각기용 미세유량 급수조절식 주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배기 내부에 회전체를 형성하고, 물의 압력에 따라 회전체를 회전시켜 그룹화된 이중관들로 공급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상대적으로 낮출 수 있도록 하는 간접 증발냉각기용 미세유량 급수조절식 주수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복수의 습채널과 건채널이 교대로 형성되는 간접 증발냉각기의 습채널에 증발수를 공급하는 주수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습채널 상부에서 동일 선상으로 수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습채널로 증발수를 공급하는 복수의 이중관과; 복수의 상기 이중관중 임의의 이중관들을 상호 연결시켜 그룹화시키는 복수의 그룹화 배관과; 각각의 상기 그룹화 배관과 연결되고, 각각의 상기 그룹화 배관으로 주입된 증발수를 공급하는 분배기와; 상기 분배기와 연결되어 증발수를 공급하는 증발수 공급 배관; 및 상기 분배기로 증발수를 가압하여 공급하는 증발수 공급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이중관은 증발수를 배출하도록 상단에 등간격으로 제 1홀이 형성되는 내관과; 상기 내관이 내부에 삽입되고, 증발수를 상기 습채널로 공급하도록 하단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제 2홀이 형성되는 외관으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분배기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저면 중앙에 상기 증발수 공급 배관이 연결되며, 측면에 각각의 상기 그룹화 배관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수압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하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측면이 일정 각도로 개방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증발수 공급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증발수의 압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각각의 상기 그룹화 배관으로 선택적으로 증발수를 공급하는 회전 부재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또, 상기 회전 부재는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회전 날개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또, 상기 회전 부재의 측면 개방 각도는 360°에서 상기 그룹화 배관의 개수로 나눈 각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복수의 습채널과 건채널이 교대로 형성되는 간접 증발냉각기의 습채널에 증발수를 공급하는 주수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습채널 상부에서 동일 선상으로 수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습채널로 증발수를 공급하는 복수의 이중관과; 복수의 상기 이중관중 임의의 이중관들을 상호 연결시켜 그룹화시키는 복수의 그룹화 배관과; 각각의 상기 그룹화 배관과 연결되고, 각각의 상기 그룹화 배관으로 주입된 증발수를 공급하는 분배기와; 상기 분배기와 연결되어 증발수를 공급하는 증발수 공급 배관과; 상기 분배기를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 및 상기 회전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이중관은 증발수를 배출하도록 상단에 등간격으로 제 1홀이 형성되는 내관과; 상기 내관이 내부에 삽입되고, 증발수를 상기 습채널로 공급하도록 하단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제 2홀이 형성되는 외관으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분배기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저면 중앙에 상기 증발수 공급 배관이 연결되며, 측면에 각각의 상기 그룹화 배관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본체와; 저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측면이 일정 각도로 개방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증발수 공급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증발수를 상기 회전 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각각의 상기 그룹화 배관으로 선택적으로 증발수를 공급하는 회전 부재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또, 상기 회전 부재의 측면 개방 각도는 360°에서 상기 그룹화 배관의 개수로 나눈 각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복수의 습채널과 건채널이 교대로 형성되는 간접 증발냉각기의 습채널에 증발수를 공급하는 주수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습채널 상부에서 동일 선상으로 수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습채널로 증발수를 공급하는 복수의 이중관과; 복수의 상기 이중관중 임의의 이중관들을 상호 연결시켜 그룹화시키는 복수의 그룹화 배관과; 각각의 상기 그룹화 배관과 연결되고, 각각의 상기 그룹화 배관으로 주입된 증발수를 공급하는 분배기와; 상기 분배기와 연결되어 증발수를 공급하는 증발수 공급 배관과; 상기 증발수 공급 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분배기로 증발수를 가압하여 공급하는 증발수 공급 펌프와; 각각의 상기 그룹화 배관 상에 설치되어 외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그룹화 배관으로 증발수를 공급 및 차단하는 복수의 전자 조절 밸브; 및 각각의 상기 전자 조절 밸브의 개방 및 차단 시간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이중관은 증발수를 배출하도록 상단에 등간격으로 제 1홀이 형성되는 내관과; 상기 내관이 내부에 삽입되고, 증발수를 상기 습채널로 공급하도록 하단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제 2홀이 형성되는 외관으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간접식 증발냉각기의 수직높이, 핀 형상 및 표면의 특성에 따라 상기 전자 조절 밸브의 개방시간을 조절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간접 증발냉각기용 미세유량 급수조절식 주수장치에 따르면, 증발 냉각기의 각각의 습채널에 설치되는 이중관들을 그룹화시키고, 그룹화된 이중관들로 분배기를 이용해서 증발냉각을 위한 최적의 미세 유량만을 습채널로 공급하여 습채널 핀 벽면을 따라 서서히 흘러내려 증발하도록 함으로써 증발잠열을 최대한 활용하여 증발냉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분배기 내부에 회전체를 형성하고, 물의 압력에 따라 회전체를 회전시켜 그룹화된 이중관들로 공급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상대적으로 낮출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증발 냉각기용 주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간접 증발냉각기용 미세유량 급수조절식 주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간접 증발냉각기용 미세유량 급수조절식 주수장치중 회전 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간접 증발냉각기용 미세유량 급수조절식 주수장치의 이중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간접 증발냉각기용 미세유량 급수조절식 주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간접 증발냉각기용 미세유량 급수조절식 주수장치중 회전 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간접 증발냉각기용 미세유량 급수조절식 주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요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간접 증발냉각기용 미세유량 급수조절식 주수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제 1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간접 증발냉각기용 미세유량 급수조절식 주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요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간접 증발냉각기용 미세유량 급수조절식 주수장치중 회전 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간접 증발냉각기용 미세유량 급수조절식 주수장치의 이중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간접 증발냉각기용 미세유량 급수조절식 주수장치(10)는, 이중관(11)과, 그룹화 배관(13)과, 분배기(15)와, 증발수 공급 배관(17) 및 증발수 공급 펌프(19)로 구성된다.
먼저, 이중관(1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접 증발냉각기(A)의 각 습채널(WC) 상부에서 동일 선상으로 수평하게 형성되어 습채널(WC)로 증발냉각을 위한 최적의 미세 유량으로 증발수를 공급한다. 여기에서, 이중관(11)은 증발수를 배출하도록 상단에 등간격으로 제 1홀(11a)이 형성되는 내관(11b)과, 내관(11b)이 내부에 삽입되고, 증발수를 습채널(WC)로 공급하도록 하단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제 2홀(11c)이 형성되는 외관(11d)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그룹화 배관(13)은 복수의 이중관(11)중 임의의 이중관들을 상호 연결시켜 그룹화시킨다. 예를 들어, 6개의 이중관이 존재하면, 이중관 2개씩을 상호 연결시켜 3개의 그룹화 배관이 설치된다.
또한, 분배기(1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저면 중앙에 증발수 공급 배관(17)이 연결되며, 측면에 각각의 그룹화 배관(13)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본체(15a)와, 본체(15a)의 수압에 의해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하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측면이 일정 각도(θ)로 개방, 즉 "C"자 형태로 형성되고, 본체(15a)의 내부에서 증발수 공급 배관(17)을 통해 공급되는 증발수의 압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각각의 그룹화 배관(13)으로 선택적으로 증발수를 공급하는 회전 부재(15b)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회전 부재(15b)는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회전 날개(15c)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측면 개방 각도는 360°에서 그룹화 배관(13)의 개수로 나눈 각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그룹화 배관(13)이 3개인 경우 120°가 개방된다.
또, 증발수 공급 배관(17)은 분배기(15)의 본체(15a) 저면 중앙과 수직으로 연결되어 증발수를 공급한다.
한편, 증발수 공급 펌프(19)는 분배기(15)로 증발수를 가압하여 공급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간접 증발냉각기용 미세유량 급수조절식 주수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증발수 공급 배관(17)으로 공급되는 증발수는 증발수 공급 펌프(19)를 통해 가압되어 분배기(15)로 공급된다.
그러면, 분배기(15)의 본체(15a)로 유입된 증발수는 수압에 의해 원심력이 발생되고, 원심력에 의해 회전 부재(15b)가 회전하게 된다.
회전 부재(15b)가 회전을 하면서 회전 부재(15b)의 측면 개방 부분이 각각의 그룹화 배관(13)을 순차적으로 지나면서 일정량의 증발수가 각각의 그룹화 배관(13)으로 공급된다.
각각의 그룹화 배관(13)으로 공급된 증발수는 각 그룹화 배관(13)과 연결된 이중관(11)들에 증발냉각을 위한 최적의 미세 유량으로 증발수를 공급한다.
그러면, 증발수가 이중관(11)을 통해 습채널(WC)로 순차적으로 공급되고, 습채널(WC)의 핀 벽면을 따라 서서히 흘러내리면서 증발된다.
《제 2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간접 증발냉각기용 미세유량 급수조절식 주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요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간접 증발냉각기용 미세유량 급수조절식 주수장치중 회전 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간접 증발냉각기용 미세유량 급수조절식 주수장치(10)는, 이중관(11)과, 그룹화 배관(13)과, 분배기(15)와, 증발수 공급 배관(17)와, 증발수 공급 펌프(19)와, 회전 모터(21) 및 컨트롤러(23)로 구성된다.
먼저, 이중관(1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접 증발냉각기(A)의 각 습채널(WC) 상부에서 동일 선상으로 수평하게 형성되어 습채널(WC)로 증발냉각을 위한 최적의 미세 유량으로 증발수를 공급한다. 여기에서, 이중관(11)은 증발수를 배출하도록 상단에 등간격으로 제 1홀(11a)이 형성되는 내관(11b)과, 내관(11b)이 내부에 삽입되고, 증발수를 습채널(WC)로 공급하도록 하단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제 2홀(11c)이 형성되는 외관(11d)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그룹화 배관(13)은 복수의 이중관(11)중 임의의 이중관들을 상호 연결시켜 그룹화시킨다. 예를 들어, 6개의 이중관이 존재하면, 이중관 2개씩을 상호 연결시켜 3개의 그룹화 배관이 설치된다.
또한, 분배기(1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저면 중앙에 증발수 공급 배관(17)이 연결되며, 측면에 각각의 그룹화 배관(13)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본체(15a)와, 본체(15a)의 수압에 의해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저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측면이 일정 각도(θ)로 개방되고, 본체(15a)의 내부에서 증발수 공급 배관(17)을 통해 공급되는 증발수를 하기에서 설명할 회전 모터(21)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면서 각각의 그룹화 배관(13)으로 선택적으로 증발수를 공급하는 회전 부재(15b)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회전 부재(15b)의 측면 개방 각도는 360°에서 그룹화 배관(13)의 개수로 나눈 각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그룹화 배관(13)이 3개인 경우 120°가 개방된다.
또, 증발수 공급 배관(17)은 분배기(15)의 본체(15a) 저면 중앙과 수직으로 연결되어 증발수를 공급한다.
또, 증발수 공급 펌프(19)는 분배기(15)로 증발수를 가압하여 공급한다.
또, 회전 모터(21)는 분배기(15)의 본체(15a)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회전축이 본체(15a)를 관통하여 회전 부재(15b)와 연결되어 하기에서 설며할 컨트롤러(23)에 의해 회전된다.
한편, 컨트롤러(23)는 회전 모터(21)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여기에서, 컨트롤러(23)는 간접식 증발냉각기의 수직높이, 핀 형상 및 표면의 특성에 따라 회전 모터(21)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용자는 회전 모터(21)의 회전수를 변경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간접 증발냉각기용 미세유량 급수조절식 주수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증발수 공급 배관(17)으로 공급되는 증발수는 증발수 공급 펌프(19)를 통해 가압되어 분배기(15)로 공급된다.
그러면, 분배기(15)의 본체(15a)로 유입된 증발수는 수압에 의해 원심력이 발생되고, 원심력에 의해 회전 부재(15b)가 회전하는 데, 회전 부재(15b)는 회전 모터(21)에 의해 그 회전수가 조정된다.
회전 모터(21)에 의해 회전 부재(15b)가 회전을 하면서 회전 부재(15b)의 측면 개방 부분이 각각의 그룹화 배관(13)을 순차적으로 지나면서 일정량의 증발수가 각각의 그룹화 배관(13)으로 공급된다.
각각의 그룹화 배관(13)으로 공급된 증발수는 각 그룹화 배관(13)과 연결된 이중관(11)들에 증발냉각을 위한 최적의 미세 유량으로 증발수를 공급한다.
그러면, 증발수가 이중관(11)을 통해 습채널(WC)로 순차적으로 공급되고, 습채널(WC)의 핀 벽면을 따라 서서히 흘러내리면서 증발된다.
《제 3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간접 증발냉각기용 미세유량 급수조절식 주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요도이다.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간접 증발냉각기용 미세유량 급수조절식 주수장치(10)는, 이중관(11)과, 그룹화 배관(13)과, 분배기(15)와, 증발수 공급 배관(17)과, 증발수 공급 펌프(19)과, 전자 조절 밸브(25)와, 컨트롤러(23)로 구성된다.
먼저, 이중관(1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접 증발냉각기(A)의 각 습채널(WC) 상부에서 동일 선상으로 수평하게 형성되어 습채널(WC)로 증발냉각을 위한 최적의 미세 유량으로 증발수를 공급한다. 여기에서, 이중관(11)은 증발수를 배출하도록 상단에 등간격으로 제 1홀(11a)이 형성되는 내관(11b)과, 내관(11b)이 내부에 삽입되고, 증발수를 습채널(WC)로 공급하도록 하단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제 2홀(11c)이 형성되는 외관(11d)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그룹화 배관(13)은 복수의 이중관(11)중 임의의 이중관들을 상호 연결시켜 그룹화시킨다. 예를 들어, 3개의 이중관이 존재하면, 이중관 2개씩을 상호 연결시켜 3개의 그룹화 배관이 설치된다.
또한, 분배기(15)는 저면 중앙에 증발수 공급 배관(17)이 연결되며, 측면에 각각의 그룹화 배관(13)이 형성된다.
또, 증발수 공급 배관(17)은 분배기(15)와 연결되어 증발수를 공급한다.
계속해서, 증발수 공급 펌프(19)는 분배기(15)로 증발수를 가압하여 공급한다.
이어서, 전자 조절 밸브(25)는 각각의 그룹화 배관(13) 상에 설치되어 하기에서 설명할 컨트롤러(23)의 제어에 따라 그룹화 배관(13)으로 증발수를 공급 및 차단한다.
한편, 컨트롤러(23)는 각각의 전자 조절 밸브(25)의 개방 및 차단 시간을 제어한다. 여기에서, 컨트롤러(23)는 간접식 증발냉각기의 수직높이, 핀 형상 및 표면의 특성에 따라 전자 조절 밸브(25)의 개방시간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용자는 컨트롤러(23)에 기설정된 전자 조절 밸브(25)의 개방 순서와 개방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간접 증발냉각기용 미세유량 급수조절식 주수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증발수 공급 배관(17)으로 공급되는 증발수는 증발수 공급 펌프(19)를 통해 가압되어 분배기(15)로 공급된다.
그러면, 컨트롤러(23)는 기설정된 순서 및 시간에 따라 각각의 전자 조절 밸브(25)의 개방 및 차단하여 최적의 미세 유량으로 증발수를 각각의 그룹화 배관(13)으로 공급한다.
그러면, 증발수가 이중관(11)을 통해 습채널(WC)로 순차적으로 공급되고, 습채널(WC)의 핀 벽면을 따라 서서히 흘러내리면서 증발된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1 : 이중관 13 : 그룹화 배관
15 : 분배기 17 : 증발수 공급 배관
19 : 증발수 공급 펌프 21 : 회전 모터
23: 컨트롤러 25 : 전자 조절 밸브
DC : 건채널 WC : 습채널

Claims (12)

  1. 복수의 습채널과 건채널이 교대로 형성되는 간접 증발냉각기의 습채널에 증발수를 공급하는 주수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습채널 상부에서 동일 선상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되, 증발수를 배출하도록 상단에 등간격으로 제 1홀이 형성되는 내관과, 상기 내관이 내부에 삽입되고, 증발수를 상기 습채널로 공급하도록 하단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제 2홀이 형성되는 외관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이중관과;
    복수의 상기 이중관중 임의의 이중관들을 상호 연결시켜 그룹화시키는 복수의 그룹화 배관과;
    각각의 상기 그룹화 배관과 연결되고, 각각의 상기 그룹화 배관으로 주입된 증발수를 공급하는 분배기와;
    상기 분배기와 연결되어 증발수를 공급하는 증발수 공급 배관; 및
    상기 분배기로 증발수를 가압하여 공급하는 증발수 공급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증발냉각기용 미세유량 급수조절식 주수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저면 중앙에 상기 증발수 공급 배관이 연결되며, 측면에 각각의 상기 그룹화 배관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수압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하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측면이 일정 각도로 개방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증발수 공급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증발수의 압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각각의 상기 그룹화 배관으로 선택적으로 증발수를 공급하는 회전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증발냉각기용 미세유량 급수조절식 주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회전 날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증발냉각기용 미세유량 급수조절식 주수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의 측면 개방 각도는,
    360°에서 상기 그룹화 배관의 개수로 나눈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증발냉각기용 미세유량 급수조절식 주수장치.
  6. 복수의 습채널과 건채널이 교대로 형성되는 간접 증발냉각기의 습채널에 증발수를 공급하는 주수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습채널 상부에서 동일 선상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되, 증발수를 배출하도록 상단에 등간격으로 제 1홀이 형성되는 내관과, 상기 내관이 내부에 삽입되고, 증발수를 상기 습채널로 공급하도록 하단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제 2홀이 형성되는 외관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이중관과;
    복수의 상기 이중관중 임의의 이중관들을 상호 연결시켜 그룹화시키는 복수의 그룹화 배관과;
    각각의 상기 그룹화 배관과 연결되고, 각각의 상기 그룹화 배관으로 주입된 증발수를 공급하는 분배기와;
    상기 분배기와 연결되어 증발수를 공급하는 증발수 공급 배관과;
    상기 분배기를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 및
    상기 회전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증발냉각기용 미세유량 급수조절식 주수장치.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저면 중앙에 상기 증발수 공급 배관이 연결되며, 측면에 각각의 상기 그룹화 배관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본체와;
    저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측면이 일정 각도로 개방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증발수 공급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증발수를 상기 회전 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각각의 상기 그룹화 배관으로 선택적으로 증발수를 공급하는 회전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증발냉각기용 미세유량 급수조절식 주수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의 측면 개방 각도는,
    360°에서 상기 그룹화 배관의 개수로 나눈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증발냉각기용 미세유량 급수조절식 주수장치.
  10. 복수의 습채널과 건채널이 교대로 형성되는 간접 증발냉각기의 습채널에 증발수를 공급하는 주수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습채널 상부에서 동일 선상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되, 증발수를 배출하도록 상단에 등간격으로 제 1홀이 형성되는 내관과, 상기 내관이 내부에 삽입되고, 증발수를 상기 습채널로 공급하도록 하단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제 2홀이 형성되는 외관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이중관과;
    복수의 상기 이중관중 임의의 이중관들을 상호 연결시켜 그룹화시키는 복수의 그룹화 배관과;
    각각의 상기 그룹화 배관과 연결되고, 각각의 상기 그룹화 배관으로 주입된 증발수를 공급하는 분배기와;
    상기 분배기와 연결되어 증발수를 공급하는 증발수 공급 배관과;
    상기 증발수 공급 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분배기로 증발수를 가압하여 공급하는 증발수 공급 펌프와;
    각각의 상기 그룹화 배관 상에 설치되어 외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그룹화 배관으로 증발수를 공급 및 차단하는 복수의 전자 조절 밸브; 및
    각각의 상기 전자 조절 밸브의 개방 및 차단 시간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증발냉각기용 미세유량 급수조절식 주수장치.
  11. 삭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간접식 증발냉각기의 수직높이, 핀 형상 및 표면의 특성에 따라 상기 전자 조절 밸브의 개방시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증발냉각기용 미세유량 급수조절식 주수장치.
KR1020130129138A 2013-10-29 2013-10-29 간접 증발냉각기용 미세유량 급수조절식 주수장치 KR101479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138A KR101479683B1 (ko) 2013-10-29 2013-10-29 간접 증발냉각기용 미세유량 급수조절식 주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138A KR101479683B1 (ko) 2013-10-29 2013-10-29 간접 증발냉각기용 미세유량 급수조절식 주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9683B1 true KR101479683B1 (ko) 2015-01-08

Family

ID=52588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9138A KR101479683B1 (ko) 2013-10-29 2013-10-29 간접 증발냉각기용 미세유량 급수조절식 주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96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4648A1 (ko) * 2016-12-29 2018-07-05 서강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물방울 조형 생성 장치
KR20180078127A (ko) * 2016-12-29 2018-07-09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3차원 물방울 조형 생성 장치
CN114234674A (zh) * 2021-11-19 2022-03-25 河钢股份有限公司 一种空冷器水膜冷却强化装置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2863A (ja) * 1995-07-27 1997-02-14 Ebara Shinwa:Kk 直交流式冷却塔
JP2001116397A (ja) * 1999-10-19 2001-04-27 Mitsubishi Electric Corp 冷媒分配器
KR20110092153A (ko) * 2010-02-08 2011-08-1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액체식 제습장치용 열물질 교환기
JP5185376B2 (ja) * 2007-06-19 2013-04-17 ダンフォス・アクチ−セルスカブ 冷却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2863A (ja) * 1995-07-27 1997-02-14 Ebara Shinwa:Kk 直交流式冷却塔
JP2001116397A (ja) * 1999-10-19 2001-04-27 Mitsubishi Electric Corp 冷媒分配器
JP5185376B2 (ja) * 2007-06-19 2013-04-17 ダンフォス・アクチ−セルスカブ 冷却システム
KR20110092153A (ko) * 2010-02-08 2011-08-1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액체식 제습장치용 열물질 교환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4648A1 (ko) * 2016-12-29 2018-07-05 서강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물방울 조형 생성 장치
KR20180078127A (ko) * 2016-12-29 2018-07-09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3차원 물방울 조형 생성 장치
KR20190096323A (ko) * 2016-12-29 2019-08-19 주식회사 미라클스페샬시스템 3차원 물방울 조형 생성 장치
KR102011969B1 (ko) * 2016-12-29 2019-10-21 주식회사 미라클스페샬시스템 3차원 물방울 조형 생성 장치
KR102275792B1 (ko) * 2016-12-29 2021-07-09 주식회사 미라클스페샬시스템 3차원 물방울 조형 생성 장치
CN114234674A (zh) * 2021-11-19 2022-03-25 河钢股份有限公司 一种空冷器水膜冷却强化装置及方法
CN114234674B (zh) * 2021-11-19 2024-01-23 河钢股份有限公司 一种空冷器水膜冷却强化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58093B (zh) 冰箱及用于冰箱的分路送风装置
TWI439657B (zh) 濕式或乾式冷卻塔及方法
US10267570B2 (en) Coolant heat exchanger having a scraper for each heat exchange interface surface
US4478767A (en) Air cooling device
KR101479683B1 (ko) 간접 증발냉각기용 미세유량 급수조절식 주수장치
KR20190005941A (ko) 정밀 온도 제어가 가능한 직접 증발 냉각 시스템
JP2017516061A (ja) 組み合わせ式コンベクタ
CN102564204A (zh) 制冷剂分配装置和具有它的换热器
KR101451644B1 (ko) 친환경 냉각탑 수력 터빈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냉각탑
JP2022530465A (ja) フラッシュ密閉型熱交換器
US20130043007A1 (en) Condenser with capillary cooling device
US20090116980A1 (en) Air and water conditioner by two separated air flows
JP2014122728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RU2453774C2 (ru) Система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с теплообменными аппаратами
CN107062444B (zh) 一种自调节热平衡溶液调湿新风机组及其运行方法
KR101288270B1 (ko) 증발 냉각기용 주수장치
US10857855B2 (en) Absorption heat pump device
JP5998476B2 (ja) 空気調和機
JP2005201573A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CN103148552B (zh) 两级无风机、单水泵直接蒸发冷却空调器
CN102519105A (zh) 一种空调风扇
CN111771547A (zh) 一种全自动低温储粮粮仓
JP2006322669A (ja) 冷却塔
CN101482375B (zh) 蒸发补水器
JP2001208486A (ja) 空水冷式冷却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