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2939B1 - 유체분배기 및 이를 구비한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유체분배기 및 이를 구비한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2939B1
KR101692939B1 KR1020140152551A KR20140152551A KR101692939B1 KR 101692939 B1 KR101692939 B1 KR 101692939B1 KR 1020140152551 A KR1020140152551 A KR 1020140152551A KR 20140152551 A KR20140152551 A KR 20140152551A KR 101692939 B1 KR101692939 B1 KR 101692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groove
slot
heat exchanger
heat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2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3486A (ko
Inventor
전동순
김영률
김선창
문지현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52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2939B1/ko
Publication of KR20160053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3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22Arrangements for directing heat-exchange media into successive compartments, e.g. arrangements of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22Arrangements for directing heat-exchange media into successive compartments, e.g. arrangements of guide plates
    • F28F2009/222Particular guide plates, baffles or deflectors, e.g. having particular orientation relative to an elongated casing or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22Arrangements for directing heat-exchange media into successive compartments, e.g. arrangements of guide plates
    • F28F2009/222Particular guide plates, baffles or deflectors, e.g. having particular orientation relative to an elongated casing or conduit
    • F28F2009/224Longitudinal parti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분배기 및 이를 구비한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외부로부터 내부의 저수공간 측으로 유체가 공급되도록 유입구를 가지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부로부터 삽입 결합되어 몸체에 저수된 유체가 표면을 따라 흐르게 하는 분배슬롯;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유체분배기 및 이를 구비한 열교환기{A fluid distributor and having them heat}
본 발명은 유체분배기 및 이를 구비한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역류구조를 갖는 분해기를 이용해 내부에 충진되는 유체를 전체적으로 균일성을 갖고 분배될 수 있게 함으로써 열교환패널 전체면에 대해 균일한 유체 공급이 가능하게 하는 유체분배기 및 이를 구비한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교환기는 외부와 구획된 내부유로를 구비하여 이 내부유로를 통해 흐르는 제1유체와 열교환기의 외부와 접하면서 흐르는 제2유체 간에 이루어지는 열의 이동에 의해 제1유체 또는 제2유체를 가열하거나 냉각하는 것으로, 건물의 냉방 및 난방, 시설물이나 장치의 냉각 및 가열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인 열교환기는 관(pipe)을 다열로 배열하거나 굴곡시켜 배관한 구조,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패널 구조 등으로 이루어지며, 외부에 냉각핀과 같은 열교환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요소가 구비될 수 있다.
열교환기 외부의 제2유체가 액체인 경우, 제2유체를 열교환기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게 하여 제1유체와 제2유체 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유체의 유동이 열교환기 표면 전체에 넓고 고르게 분산되어 흘러내려야 효율적인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관 구조의 열교환기는 이러한 유동에 적합하지 못한 형태를 가지므로, 패널 구조의 열교환기가 바람직하다.
패널 구조의 열교환기는 통상적으로 내부에 제1유체가 흐르는 유로가 구비된 열교환패널을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여러 개 병렬 결합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열교환기는 제1유체를 열교환패널 내부의 유로에 순환 공급하는 수단과 제2유체를 열교환패널의 외부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도록 순환 공급하는 수단을 필요로 한다. 또한, 열교환패널의 표면을 따라 제2유체가 균일하게 퍼진 유동을 이루면서 흐르도록 제2유체를 분산 공급하는 수단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종래의 패널 구조 열교환기는 상기한 제1유체 및 제2유체의 공급을 위한 효율적인 구조를 구비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각 유체의 공급원과 열교환기의 연결을 위한 복잡한 배관과 연결구를 필요로 하여 열교환기 자체 및 주변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열교환패널 표면에 제2유체가 균일하게 공급되지 못하여 열교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액체 제습제(이하, 제습액)를 이용하는 제습 냉각 사이클의 작동은 낮은 온도에서 주위공기로부터 수증기를 빨아들여 제습액의 농도가 희석되면서 공기를 제습하고, 고온에서 수증기를 공기에 방출하는 제습액의 물성에 의해 가능하게 되었다. 공기와 제습액 사이의 수증기 교환은 공기 중의 수증기 분압과 공기와 접촉하는 제습액 표면의 증기압력의 상대적 크기에 의존한다. 제습액 표면의 증기압력은 제습액의 온도와 농도의 함수이다. 즉, 주어진 증기압력에서 제습액과 공기의 수증기압차에 따라 낮은 온도에서는 흡수과정(absorption)을 통하여 습공기의 제습(dehumidification)이 이루어지며, 높은 온도에서는 탈수과정(desorption)을 통하여 제습액의 재생(regeneration)이 이루어진다.
흡수과정에서는 제습액 표면에서 수증기의 응축에 의한 응축열 뿐만 아니라 혼합열로 인한 흡수열이 항상 발생하게 되므로, 제습능력의 향상을 위해서는 제습액의 냉각이 필요하게 된다. 한편, 제습제의 탈수과정, 즉 재생과정(regeneration)에서는 제습액에 흡수된 물을 증발시켜 재사용에 적합한 농도로 만들기 위한 열입력을 필요로 한다.
도 1은 통상적인 충진탑 방식의 액체식 제습 공조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 제습기(dehumidifier)에서 공기의 제습이 이루어지고, 재생기(regenerator)에서 제습액의 재생이 이루어진다. 제습기에서는 제습액이 공기 중의 수증기를 흡수하는 제습과정에서 고온/다습한 공기(1)가 제습기 내부의 다공성 충진재에 흐르는 제습액(2)과 직접 접촉된다. 공기 중의 수증기는 제습액 표면에서 응축/흡수되며, 이러한 제습과정은 일정한 엔탈피에서 이루어지는 단열과정이다. 이때, 공기의 온도는 약간 증가되고 절대습도는 감소된다. 제습과정을 통해 건조된 처리공기(3)는 증발식 냉각기(4)를 통과하면서 냉각되어 원하는 온도와 습도의 공기(5)로 만들어진다.
건조된 처리공기(3)가 증발식 냉각기(4)를 통과하는 동안 공기의 온도는 낮아지고, 절대습도 역시 원래 상태보다 약간 낮은 값이 된다. 제습액이 수증기를 흡수하는 능력은 수분함유량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고, 일정량 이상의 수분이 함유된 제습액은 재생 사이클을 통해 재생되어야만 다시 제습과정에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습기에서 공기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묽어진 제습액 희용액(6)은 재생기로 보내진다. 재생기의 제습액은 흡수된 수분이 재생공기로 배출되기 쉽도록 하기 위해 용액가열기(11)를 거치게 된다. 용액가열기(11)에서 가열된 제습액은 용액분배기(10)에서 분배되어 재생기에서 재생공기(8)와 접촉하면서 제습액 내의 수분을 재생공기에 배출하여 농용액(7)으로 바뀌어진다. 수분을 흡수한 재생공기(9)는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재생기에서 수분이 제거된 제습액은 제습기에 공급되기 전에 효과적인 제습을 행할 수 있도록 용액냉각기(12)를 거치게 된다. 액체 제습식 공조 시스템에 사용되는 제습액의 수분 흡수 능력은 농도 뿐 아니라 온도와도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온도가 높은 경우 수증기 분압이 높아져 재생이 용이하게 되며, 온도가 낮을 경우 수증기 분압이 낮아져 제습이 용이하게 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제습시에는 용액 냉각기(12)를 거치고, 재생시에는 용액 가열기(11)를 통과하도록 설계가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종래의 제습기 및 재생기는 내부에 구비된 충진재를 따라 제습액이 흘러내리면서 공기와 접촉하여 공기의 제습 또는 제습액의 재생이 이루어지는 구조였기 때문에, 즉, 충진재를 통과하는 동안 제습제를 적절한 온도로 냉각하거나 가열하는 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구조였기 때문에, 제습기에서는 제습액이 충진재를 통과하면서 공기의 열을 흡수하여 바람직한 낮은 온도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고, 재생기에서는 제습액이 충진재를 통과하면서 공기에 열을 방출하여 바람직한 높은 온도를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제습기의 제습효율과 재생기의 재생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제습기와 재생기에 제습액을 공기와 접하도록 유동시키는 동시에 제습액을 냉각 또는 가열하는 열교환기의 적용이 요구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용도에 적합한 구조를 갖는 열교환기가 제시되지 못하였고,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열교환기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외부 표면을 따라 흐르는 액체를 고르게 분산 공급하지 못하여 열교환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실제적인 적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0512036호와 일본공개특허공보 2010-249342호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 또한 열교환기패널을 흐르도록 유체를 분해주는 분배기로부터의 유체 분배가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열교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역류구조를 갖는 분해기를 이용해 내부에 충진되는 유체를 전체적으로 균일성을 갖고 분배될 수 있게 함으로써 열교환패널 전체면에 대해 균일한 유체 공급이 가능하게 하는 유체분배기 및 이를 구비한 열교환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열교환기의 상부에 배치되어 열교환기패널 표면으로 유체를 흐르게 하는 유체분배기에 있어서, 상기 유체분배기는, 외부로부터 내부의 저수공간 측으로 유체가 공급되도록 유입구를 가지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부로부터 삽입 결합되어 몸체에 저수된 유체가 표면을 따라 흐르게 하는 분배슬롯;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분배슬롯은 다수개의 수직홈을 따라 유체가 흐르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분배슬롯은 수직홈 하단과 연결되는 절개홈을 형성시켜 유체가 저수공간 내에 일정량 이상 저수된 상태에서 수직홈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흐르게 한다.
그리고 상기 분배슬롯은 수직홈이 각진 형태 또는 곡선 형태이다.
한편 본 발명에는 유체분배기가 구비된 열교환기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는 유체분배기가 열교환기패널 사이에서 독립된 형태로 배치되어 유체를 분배한다.
또한 상기 유체분배기는 열교환기로부터 개별적으로 분리되게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역류구조를 갖는 분해기를 이용해 내부에 충진되는 유체를 전체적으로 균일성을 갖고 분배될 수 있게 함으로써 열교환패널 전체면에 대해 균일한 유체 공급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분배기를 열교환기로부터 탈착 가능한 구조로 설치하여 유체분배기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열교환기의 유지보수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공조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분배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분배기를 나타내는 분해 부분 단면도.
도 4 및 도5는 본 발명의 유체분배기가 설치된 상태의 열교환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체분배기(100)는 몸체(110), 분배슬롯(120) 및 덮개(1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110)는 내부에 일정한 저수공간(111)이 형성되며, 상기 저수공간(111) 일측에는 외부와 연결되는 유입구(1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저수공간(111)에는 일정한 간격을 갖고 다수개의 슬롯뭉치(113)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슬롯뭉치(113) 일측은 외부와 연결되어 판넬이 삽입되도록 삽입홈(114)이 형성되고, 삽입홈(114)이 형성되기 위한 한쌍의 수직벽(113a)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직벽(113a) 상단은 일정한 길이를 갖고 절개된 절개공(117)이 형성되어 열교환환패널 표면과의 접촉면을 증대시켜 유체의 균일한 분배가 가능하게 하고 있으며, 수직벽(113a) 측면을 따라 슬롯홈(115)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홈(115) 하부에는 분배슬롯(120)이 삽입되는 걸림홈(1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배슬롯(120)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판체 형태를 하고 있고, 길이 방향 측면(121a)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수직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홈(122) 하단에는 폭 방향 하면(121b)을 절개한 절개홈(12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직홈(122)은 각진 형태 또는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직홈을 따라 흐르는 유체가 홈의 표면을 따라 균일하게 흘려 균일한 유체 분배가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덮개(130)은 몸체 상부와 대응되는 형태를 하고 있으며, 뭉치덮개(131)와 삽입홈(132)이 슬롯뭉치(113)와 삽입홈(114)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어 몸체를 상부를 차단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덮개와 몸체 사이에는 상호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오링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유체분배기(100)는 유체가 몸체 저수공간에 일정량 이상 저수될 경우에 유체를 분배하도록 몸체 내부로 삽입되는 분배슬롯을 배치함으로써 분배슬롯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유체가 흐르도록 하는 구조(역류 구조)를 통해 유체의 분배를 균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유체분배기(100)의 결합 상태를 보면, 우선 몸체(110)와 덮개(130)를 분리한 상태로 슬롯뭉치(113)의 수직벽(113a) 측면에 형성된 슬롯홈(115)에 수직벽(113a)과 일측이 밀착되도록 분배슬롯(120)을 삽입하여 하단의 절개홈(123)이 걸림홈(116)에 삽입 고정되게 한다. 이때 절개홈(123)의 높이는 걸림홈(116)의 깊이 보다 크게 형성되어 향 후 절개홈을 따라 유체가 유동할 수 있게 한다.
같은 방식으로 각각의 슬롯뭉치(113)에 분배슬롯(120)을 배치하고 덮개(130)로 몸체를 덮어 외부와 저수공간이 차단되게 한다.
이 상태에서 삽입홈(114)을 이용해 열교환패널 사이에 슬라이딩 삽입하면 열교환을 위한 유체분배기의 배치가 끝난다.
본 발명의 동작상태를 보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공간(111) 측으로 유입구(112)를 통해 유체를 유입시키면 저수공간(111)에 유체가 일정량 저수하게 된다. 저수되는 유체는 1차적으로 하단의 좁은 절개홈(123)에 의해 저항을 받으며 저수하게 되는데, 이때 저수량은 저수공간 상부 측의 절개공(117) 하단에 수위가 도달하기 전까지는 지속적으로 유입하게 된다. 이는 유입되는 유체가 저수공간에서 절개홈을 경유하여 수직홈으로 이어지는 관로가 "L"자 형태를 하고 있어 "L"자 상단에 수위가 도달하기 전까지는 유체가 지속적으로 저수공간에 저수하게 된다.
저수된 유체는 일정한 수위에 도달하면 내부 압력과 수위에 의해 절개홈(123)와 수직홈(122)을 따라 이동(도 2의 화살표 방향)하게 되고, 상부의 수직벽(113a)을 절개하여 형성된 절개공(117)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절개공(117)에 도달한 유체는 수직벽(113a)이 열교환패널(300)과 밀착된 상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절개공(117) 내에서 2차적으로 압력 저항을 받게 되어 절개공(117) 내에 일정하게 유체가 저수하게 되어 절개공(117)과 연결되는 열교환패널(300)의 홈(301) 측으로 균일한 유체 공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예컨대 1차적으로 절개홈과 수직홈을 통해 유체가 저항을 받으며 저수공간에 저수되게 함으로써 수직홈을 따라 배치되는 유체의 균일한 배출이 가능하며, 2차적으로 수직홈으로부터 배출된 유체는 절개공 내에서 일정한 저수되며 홈을 따라 열교환패널의 표면을 흐르도록 함으로써 열교환패널 전체 면에 대해 균일한 유체 분배가 가능하여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체분배기(100)는 열교환기(10) 포함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열교환기(10)는 상부매체분배기(200), 열교환패널(300) 및 하부매체분배기(400)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분배기(100)는 상부매체분배기(200)의 하부에 카트리지 형태로 교체할 수 있도록 삽입되어 열교환패널(300) 사이에서 열교환패널(300)의 표면으로 유체를 흐르게 한다.
예컨대 상기 유체분배기(100)는 열교환패널(300) 사이에서 슬라이딩 방식(도 7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 탈착) 결합되며,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유입구 측에는 각각 독립적으로 삽입된 유체분배기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헤드가 배출되어 이를 통해 각각의 유체분배기를 하나로 결속시킬 수 있게 하고 있고 체결공을 이용해 고정시킬 수 있게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패널(200)의 내부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매체가 흐르는 매체유로가 구비되고, 각 열교환패널의 사이에 제습액에 의해 제습될 공기 또는 제습액의 재생을 위한 공기가 흐르는 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매체유로는 매체의 원활한 흐름이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각 매체유로가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경우에 따라, 상기 매체유로는 도시된 직선형뿐만 아니라, 굴곡된 선형, 교차된 망형 등 다양한 형태 및 배열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패널(200)의 외부 표면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요철된 분산부가 구비된다. 상기 분산부는 열교환패널(200)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제습액의 유동이 표면장력에 의해 뭉쳐지면서 갈라지지 않도록 넓고 고르게 확산시키는 것으로, 다수의 돌출부나 요홈부 또는 그 조합이 다양한 배열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체는 '제습액'을 의미하고, 매체는 '냉각매체와 '열매체' 또는 '열교환매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통상 물, 오일 등과 같이 비열이 높은 것을 말한다.
상기 열교환기(10)는 매체가 열교환패널 내부의 매체유로를 통해 하부에서 상부로 흘려 이동하고, 유체는 상부에서 하부로 열교환패널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며 열교환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열교환기(10)는 하부매체분배기(400)에 수용되는 매체가 열교환패널(200) 내부의 매체유로를 통해 상부로 이동하여 상부매체분배기(200)에 수용된다. 상부매체분배기(200)에 수용된 매체는 외부와 연결된 유로를 통해 배출되어 다시 순환되며 열교환을 반복하게 된다.
이 과정에 열교환패널(200) 사이에 독립적으로 배치된 각각의 유체분배기(100)에서는 열교환패널(200)의 표면으로 유체를 하측으로 흐르게 하며 열교환패널 내부를 흐르는 매체와 열교환을 하게 된다.
이때 유체분배기(100)는 분배슬롯을 통해 균일한 유체 분배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열교환패널 전체 표면에 대해 균일한 열교환을 가능케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체분배기(100)가 열교환패널의 사이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유체분배기(100) 일측에는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공을 통해 유체분개기의 체결을 개별적으로 하여 독립적인 동작과 더불어 분해가 가능해진다.
이를 통해 각각의 유체분배기에 대한 개별적인 유지 보수가 가능하므로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함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이나 개조가 가능함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이나 개조는 청구범위의 해석상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있음은 말할 나위가 없다.
10 : 열교환기 100 : 유체분배기
110 : 몸체 111 : 저수공간
112 : 유입구 113 : 슬롯뭉치
113a : 수직벽 114 : 삽입홈
115 : 슬롯홈 116 : 걸림홈
117 : 절개공 120 : 분배슬롯
121a : 측면 121b : 하면
122 : 수직홈 123 : 절개홈
200 : 상부매체분배기 300 : 열교환패널
400 : 하부매체분배기

Claims (7)

  1. 열교환기의 상부에 배치되어 열교환패널 표면으로 유체를 흐르게 하는 유체분배기에 있어서,
    상기 유체분배기는,
    내부에 일정한 크기로 형성된 저수공간과, 상기 저수공간 일측에 외부와 연결되는 유입구와, 상기 저수공간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형성된 다수개의 슬롯뭉치와, 상기 슬롯뭉치의 일측에 외부와 연결되어 판넬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단은 일정한 길이를 갖고 절개된 절개공이 형성된 한쌍의 수직벽으로 구성된 몸체; 및
    일정한 길이를 갖고 상기 몸체의 슬롯홈에 삽입되며 길이 방향 측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갖고 형성된 수직홈과, 상기 수직홈 하단에 폭 방향 하면을 절개하여 형성된 절개홈으로 구성된 분배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분배슬롯은 몸체의 수직벽에 의해 형성된 슬롯홈에 삽입되며 저수공간 내에서 유체가 일정량 이상 저수된 상태에서 유체의 수위와 압력에 의해 분배슬롯 하부에 형성된 절개홈을 경유하여 분배슬롯 측면에 형성된 수직홈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이동하여 상기 수직홈의 상단과 이웃한 상태로 수직벽의 상단에 형성되는 절개공에 일정량 저수된 상태에서 다시 절개공에 수위와 압력에 의해 열교환패널 표면의 홈이 수직벽 사이의 삽입홈에 밀착된 상태에서 절개공으로부터 홈 측으로 유체가 흘러 열교환패널 표면을 따라 흐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분배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슬롯은 수직홈이 각진 형태 또는 곡선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분배기.
  5. 제1항 또는 제4항의 유체분배기가 구비된 열교환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유체분배기가 열교환기패널 사이에서 독립된 형태로 배치되어 유체를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분배기는 열교환기로부터 개별적으로 분리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KR1020140152551A 2014-11-05 2014-11-05 유체분배기 및 이를 구비한 열교환기 KR101692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551A KR101692939B1 (ko) 2014-11-05 2014-11-05 유체분배기 및 이를 구비한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551A KR101692939B1 (ko) 2014-11-05 2014-11-05 유체분배기 및 이를 구비한 열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486A KR20160053486A (ko) 2016-05-13
KR101692939B1 true KR101692939B1 (ko) 2017-01-04

Family

ID=56023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551A KR101692939B1 (ko) 2014-11-05 2014-11-05 유체분배기 및 이를 구비한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293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036B1 (ko) 2003-06-10 2005-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열교환기
KR101250765B1 (ko) 2011-04-06 2013-04-0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유체 분배기를 구비한 열교환기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 시스템
KR101390460B1 (ko) * 2013-06-04 2014-05-27 장한기술 주식회사 원형 다채널 열판과 유량분배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액체식 제습냉방용 열교환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8400B2 (ja) * 1997-03-25 2007-08-15 三菱電機株式会社 分配ヘッダ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036B1 (ko) 2003-06-10 2005-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열교환기
KR101250765B1 (ko) 2011-04-06 2013-04-0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유체 분배기를 구비한 열교환기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 시스템
KR101390460B1 (ko) * 2013-06-04 2014-05-27 장한기술 주식회사 원형 다채널 열판과 유량분배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액체식 제습냉방용 열교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486A (ko) 2016-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40471B2 (en) Indirect evaporative coolers with enhanced heat transfer
KR101184925B1 (ko) 액체식 제습장치용 열물질교환기 및 그를 이용한 액체식 제습장치
US6568466B2 (en) Heat exchange assembly
EP1836046B1 (en) Method and materials for improving evaporative heat exchangers
JP2019511697A (ja) 多相プレート式熱交換器による空調
AU2018236727A1 (en) Evaporative media pad with reduced internal spacing
JP4958935B2 (ja) 除湿空調装置
JP2017190928A (ja) 処理機および再生機
US20170205154A1 (en) A method of conditioning air and an air-conditioner module
KR101250765B1 (ko) 유체 분배기를 구비한 열교환기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 시스템
KR101692939B1 (ko) 유체분배기 및 이를 구비한 열교환기
US9915452B2 (en) Support sheet arrangement for falling film evaporator
WO2016053100A2 (en) A method of conditioning air and an air-conditioner module
KR101258455B1 (ko) 다열 튜브형 열교환패널을 구비한 열교환기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 시스템
KR101174638B1 (ko) 액체식 제습장치용 열물질 교환기
EP3314169B1 (en) Enthalpy-exchanging unit for reducing the influence of surface tension, enthalpy exchanger and method for producing an enthalpy-exchanging unit
KR101369770B1 (ko) 다열 튜브형 열교환패널을 이용한 공기조화 시스템
US9308491B2 (en) Membrane contactor for dehumidification systems
AU2010201392B2 (en) Method and Means for Operating Evaporative Coolers
KR20200032777A (ko) 액체식 제습장치용 열교환기
KR101531092B1 (ko) 증발식 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