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1872A - 물품의 표면 구조 - Google Patents

물품의 표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1872A
KR20110091872A KR1020117013769A KR20117013769A KR20110091872A KR 20110091872 A KR20110091872 A KR 20110091872A KR 1020117013769 A KR1020117013769 A KR 1020117013769A KR 20117013769 A KR20117013769 A KR 20117013769A KR 20110091872 A KR20110091872 A KR 20110091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convex
finger
surface structure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3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4368B1 (ko
Inventor
아카네 반
마코토 다무라야
다카시 다케우치
연이 강
히데오 후지모토
아키히토 사노
히로미 모치야마
나오유키 다케스에
요시히로 다나카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국립대학법인 나고야공업대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국립대학법인 나고야공업대학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91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1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4Pressing or stamping ornamental designs on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물품(7)의 표면 구조는 표면(9)에 복수의 오목부(11)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오목부(11)의 적어도 테두리부(15)의 표면에, 상기 오목부(11)보다도 작은 직경(d) 및 높이(h)를 갖는 미세한 볼록부(21)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물품(7)의 표면(9)에 손이 접촉한 경우에, 손가락의 지문(23)을 구성하는 선상체(25)에 적절한 수의 볼록부(21)가 접촉하여, 섬세하고 소프트한 감촉이 얻어진다.

Description

물품의 표면 구조 {SURFACE STRUCTURE FOR ARTICLE}
본 발명은 물품의 표면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자동차나 전차 등의 차량 실내에는 내장 부품이 배치되어, 외관 향상 또는 촉감 향상을 도모하고 있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등 참조).
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차량용 내장 부품은 자동차용 웨더 스트립 등의 장척 형상 부재에 적용되어, 장척 성형품 본체와, 상기 장척 성형품 본체의 표면에 설치된 장식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장식층의 표면에는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선 형상 홈부가 복수 형성되어 있고, 이들 복수의 선형상 홈부는 장척 형상 부재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선 형상 홈부의 표면에는 상기 선 형상 홈부에 의한 요철보다도 작은 미세한 요철 모양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일본특허출원공개제2005-263197호공보
그러나, 상기 배경 기술에 개시된 차량용 내장 부품에서는, 선 형상 홈부의 크기나 선형상 홈부의 표면에 형성한 요철 모양의 크기가 구체적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인간의 손가락이 내장 부품의 표면에 접촉한 경우에, 손가락의 지문에 의해 느껴지는 섬세하고 소프트한 감촉을 얻는 것이 곤란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인간의 손가락의 지문에 의해 느껴지는 섬세하고 소프트한 감촉을 얻을 수 있는 물품의 표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물품의 표면 구조는, 표면에, 직경의 크기가 15㎛ 내지 40㎛인 미세한 볼록부가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물품의 표면 구조에 따르면, 표면에, 직경의 크기가 15㎛ 내지 40㎛의 미세한 볼록부가 복수 형성되어 있으므로, 표면에 인간의 손가락이 접촉한 경우에, 손가락의 지문에 의해 느껴지는 섬세하고 소프트한 감촉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도어 트림을 구비한 도어를 차 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어 그립의 표면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인간의 손가락의 지문을 확대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도어 그립의 표면에 형성된 오목부의 테두리부에 손가락의 지문이 접촉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비교예에 관한 도어 그립에 있어서의 오목부의 테두리부에 손가락의 지문이 접촉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9는 오목부의 테두리부의 각(R)과 오목부의 테두리부에 형성한 볼록부의 높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실시예에서 채용한 도어 핸들의 표면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C-C선에 의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오목부의 배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실시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도어 트림을 구비한 도어를 차 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어(1)는 아우터 패널 및 이너 패널끼리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도어 본체와, 상기 도어 본체의 차 내측에 설치된 도어 트림(3)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어 트림(3)의 높이 방향 중앙부에는 차 내측으로 돌출되는 아암 레스트(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아암 레스트(5)의 상면(5a)에는 탑승원이 파지하여 도어(1)를 개폐시키는 도어 그립(7)이 설치되어 있다. 이 도어 그립(7)은 아암 레스트(5)의 상면에 오목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도어 그립(7)을 형성하는 내벽면 중, 차 내측의 내벽면(9)에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표면 구조가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도어 그립(7)의 표면을 확대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및 도 4는 도 3의 A-A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어 그립(7)의 상기 내벽면(9)의 표면에는 복수의 오목부(11)가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들 오목부(11)는 이면측을 향해 오목한 대략 반구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끼리(11, 11)의 사이에는 평탄한 평면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11)의 직경(D)은 0.5㎜ 내지 2.0㎜가 바람직하고, 오목부(11)의 깊이(H)는 60㎛ 내지 350㎛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오목부(11)의 직경(D)은 테두리부(15)에 있어서의 R 끝부끼리의 거리를 나타내고, 오목부(11)의 깊이(H)는 오목부(11)의 저면으로부터 내벽면의 평면부(13)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또한, 오목부(11)의 표면 근방에 있어서의 테두리부(15)의 단면의 각(R)(곡률 반경)은 1㎜ 내지 2㎜가 바람직하다.
도 5는 도 4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4에서는 생략하였지만, 오목부(11)의 테두리부(15)뿐만 아니라, 오목부(11) 전체 및 평면부(13)의 전체 표면에는 오목부(11)의 직경(D)보다도 작은 직경(d)으로 형성된 미세한 볼록부(21)가 연속해서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들 볼록부(21)는 표면측으로 돌출되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직경(d)의 크기는 15㎛ 내지 40㎛가 바람직하고, 높이(h)는 15㎛ 내지 30㎛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볼록부(21)는 적어도, 오목부(11)의 테두리부(15)에 형성되어 있으면 좋지만,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오목부(11) 전체나 오목부(11) 이외의 평면부(13)에도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인간의 손가락의 지문(23)을 나타내고 있고, (a)는 지문(23)을 확대한 개략도, (b)는 (a)의 B-B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손가락의 표면에는,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무늬를 형성하는 지문(23)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의 무늬는 원형 또는 소용돌이 형상의 선상체(25)로 형성된 소용돌이 형상 무늬의 지문(23)을 나타내고 있다. 이 선상체(25)는 외측을 향해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서 단속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선상체(25)끼리의 사이는 평탄부(27)로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도어 그립(7)의 표면에 형성된 오목부(11)의 테두리부(15)에 손가락의 지문(23)이 접촉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의 우측 하부에 그려진 오목부(11)의 테두리부(15)의 표면에는 다른 부위와 마찬가지로, 대략 반구 형상의 미세한 볼록부(21)가 표면측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21)는 이웃하는 볼록부(21)와의 사이에 간극이 없는 상태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7의 좌측 상부에 그려진 큰 반원은 손가락의 지문(23)을 구성하는 선상체(25)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1개의 선상체(25)에 대해, 4개의 볼록부(21)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손가락의 지문(23)을 구성하는 선상체(25)에 접촉하는 볼록부(21)의 수가 4개인 경우에, 손가락의 내부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촉각 기관이 자극되어 「섬세하고 부드럽다」라고 하는 감촉을 받는다. 여기서의 「섬세」라 함은, 가볍게 접촉함으로써 알 수 있는 매우 민감한 의미로서 표현하고 있다. 또한, 도 7에서는, 테두리부(15)에 있어서의 각(R)은 1㎜이고, 볼록부(21)의 높이(h)는 20㎛, 직경(d)은 40㎛이다.
〔비교예〕
도 8은 비교예에 관한 도어 그립(7)에 있어서의 오목부(11)의 테두리부(15)에 손가락의 지문(23)이 접촉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전술한 도 7에 대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두리부(15)의 각(R)이 작은 경우에는, 손가락의 지문(23)을 구성하는 1개의 선상체(25)에 대해, 4개 미만인 3개의 볼록부(21)가 접촉한다. 이와 같이, 각(R)이 작으면 테두리부(15)의 곡률이 커지[각(R)이 작아지]므로, 볼록부(21)의 크기나 지문(23)의 선상체(25)가 동일 치수라도, 1개의 선상체(25)에 접촉하는 볼록부(21)의 수는 감소하여, 손가락의 지문(23)에 의해 느껴지는 섬세하고 소프트한 감촉이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도 8에서는, 테두리부(15)에 있어서의 각(R)은 0.5㎜이고, 볼록부(21)의 높이(h)는 20㎛, 직경(d)은 40㎛이다.
도 9는 오목부(11)의 테두리부(15)의 각(R)과 오목부의 테두리부(15)에 형성한 볼록부(21)의 높이(h)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의 횡축은 오목부(11)의 테두리부(15)에 있어서의 각(R)(곡률 반경)을 나타내고, 도 9의 종축은 볼록부(21)의 높이(h)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흑색 동그라미 상에 기재한 개수는 지문(23)의 선상체(25)가 접촉한 볼록부(21)의 개수를 나타내고 있다.
이 그래프에 따르면, 사선을 그은 직사각형 부분의 범위로 조건을 설정하면, 지문(23)의 선상체(25)가 4개의 볼록부(21)에 접촉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오목부(11)의 테두리부(15)의 각(R)이 1㎜ 내지 2㎜이고, 볼록부(21)의 높이(h)가 15㎛ 내지 30㎛의 범위이다. 이와 같이, 지문(23)의 선상체(25)가 4개인 볼록부(21)에 접촉하는 경우에, 지문(23)의 이측에 있는 촉각 기관을 자극하여 섬세하고 소프트한 감촉을 얻을 수 있다.
이하에,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1)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차량용 내장 부품은 표면에 복수의 오목부(11)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오목부(11)의 적어도 테두리부(15)의 표면에, 상기 오목부(11)보다도 작은 소정 직경 치수를 갖는 미세한 볼록부(21)가 복수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차량용 내장 부품의 표면에 손이 접촉한 경우에, 손가락의 지문(23)을 구성하는 선상체(25)에 적절한 수의 볼록부(21)가 접촉하여, 섬세하고 소프트한 감촉이 얻어진다.
(2) 상기 오목부(11)는 직경(D)의 크기가 0.5㎜ 내지 2.0㎜이고, 깊이(H)가 60㎛ 내지 350㎛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오목부(11)의 직경(D) 및 깊이(H)를 소정 범위로 형성함으로써, 손가락의 지문(23)을 구성하는 선상체(25)에 적절한 수(4개)의 볼록부(21)가 접촉하여, 섬세하고 소프트한 감촉이 얻어진다.
(3) 상기 오목부(11)의 테두리부(15)에 있어서의 단면의 곡률 반경(R)은 1㎜ 내지 2㎜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오목부(11)의 테두리부(15)에 있어서의 단면의 곡률 반경(R)을 소정 범위로 형성함으로써, 손가락의 지문(23)을 구성하는 선상체(25)에 적절한 수(4개)의 볼록부(21)가 접촉하여, 섬세하고 소프트한 감촉이 얻어진다.
(4) 상기 볼록부(21)는 직경(d)의 크기가 15㎛ 내지 40㎛이고, 높이(h)가 15㎛ 내지 30㎛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볼록부(21)의 직경(d) 및 높이(h)를 소정 범위로 형성함으로써, 손가락의 지문(23)을 구성하는 선상체(25)에 적절한 수(4개)의 볼록부(21)가 접촉하여, 섬세하고 소프트한 감촉이 얻어진다.
(5) 상기 오목부(11)는 대략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문(23)의 선상체(25)의 지향성에 대한 의존성이 낮아, 어느 방향으로부터 접촉한 경우라도 일정한 촉감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은 실시예에서 채용한 도어 핸들의 표면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평면도 및 도 11은 도 10의 C-C선에 의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자동차의 도어 그립(7)의 내벽면(9)에, 도 10에 도시하는 오목부(11)를 형성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오목부(11)는 평면에서 볼 때 진원에 가까운 타원으로 형성되어 있고, 장축의 길이인 긴 직경은 1.8㎜이고, 단축의 길이인 짧은 직경은 1.6㎜이다. 또한, 이들 오목부(11)는 평면에서 볼 때, 1변이 6㎜인 정사각형의 정점에 배치되는 동시에, 정사각형의 중앙 부분에 1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치로 된 오목부(11)를 규칙적으로 반복하여 다수 배열하였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11) 및 평면부(13)의 양쪽의 표면에 미세한 볼록부(21)를 형성하였다. 이 볼록부(21)의 직경(d)은 20㎛ 내지 30㎛이고, 높이(h)는 20㎛였다. 또한, 오목부(11)의 각(R)은 1㎜로 하였다.
이 도어 그립(7)을 실제로 파지하여 감촉을 확인한 바, 종래의 도어 그립보다도 섬세하고 소프트한 감촉이 얻어졌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기초하여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구면 형상의 오목부(11)를 배치하는 경우에, 1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정육각형(29)의 정점에 대응하는 부위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도 12의 종이면에 있어서의 상하 좌우 등의 어느 방향으로부터도 대략 동일한 촉감을 얻을 수 있다.
일본 특허 출원 2008-293138(출원일 2008년 11월 17일)의 전체 내용이 여기에 원용되어, 오역이나 기재 누락으로부터 보호된다.
본 발명에 관한 물품의 표면 구조에 따르면, 표면에, 직경의 크기가 15㎛ 내지 40㎛의 미세한 볼록부가 복수 형성되어 있으므로, 표면에 인간의 손가락이 접촉한 경우에, 손가락의 지문에 의해 느껴지는 섬세하고 소프트한 감촉을 얻을 수 있다.

Claims (6)

  1. 표면에 복수의 오목부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오목부의 테두리부에 있어서의 단면의 곡률 반경은 1㎜ 내지 2㎜로 설정되고, 상기 오목부의 적어도 테두리부의 표면에, 볼록부가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표면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에 직경의 크기가 15㎛ 내지 40㎛의 미세한 상기 볼록부가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표면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직경의 크기가 0.5㎜ 내지 2.0㎜이고, 깊이가 60㎛ 내지 350㎛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표면 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높이가 15㎛ 내지 30㎛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표면 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대략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표면 구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차량용 내장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표면 구조.
KR1020117013769A 2008-11-17 2009-11-17 물품의 표면 구조 KR1013243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93138A JP5253103B2 (ja) 2008-11-17 2008-11-17 車両用内装部品
JPJP-P-2008-293138 2008-11-17
PCT/JP2009/069498 WO2010055948A1 (ja) 2008-11-17 2009-11-17 物品の表面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872A true KR20110091872A (ko) 2011-08-16
KR101324368B1 KR101324368B1 (ko) 2013-11-01

Family

ID=42170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3769A KR101324368B1 (ko) 2008-11-17 2009-11-17 물품의 표면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07541B2 (ko)
EP (1) EP2357110B1 (ko)
JP (1) JP5253103B2 (ko)
KR (1) KR101324368B1 (ko)
CN (1) CN102216120B (ko)
WO (1) WO20100559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18959B2 (ja) * 2008-12-25 2014-02-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樹脂成型体
JP2012162233A (ja) * 2011-02-09 2012-08-30 Hino Motors Ltd ガードバー
CN103492193B (zh) 2011-04-27 2016-01-06 泰卡株式会社 水压转印方法、水压转印膜用涂布剂及水压转印品
WO2012169233A1 (ja) * 2011-06-07 2012-12-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物品の表面構造
JP2013028152A (ja) * 2011-06-24 2013-02-07 Nissan Motor Co Ltd 物品の表面構造
JP6010784B2 (ja) * 2012-08-28 2016-10-19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自動車の内装品、自動車の内装品の成形型、および自動車の内装品の製造方法
KR102100669B1 (ko) * 2016-09-27 2020-05-27 (주)엘지하우시스 차량용 내장재의 제조방법 및 차량용 내장재
KR101905993B1 (ko) 2016-10-31 2018-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내장재 및 그 성형 방법
CN106740685A (zh) * 2016-12-26 2017-05-31 深圳市中舜创新科技有限公司 带按压式指纹传感器的车门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6625B2 (ja) * 1989-03-10 1995-11-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
JPH0535864Y2 (ko) * 1989-06-27 1993-09-10
JPH081895A (ja) * 1994-06-21 1996-01-09 Dainippo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239739A (ja) * 1996-03-12 1997-09-16 Sony Corp 成形体の表面構造、成形体の表面構造の成形方法、および成形型表面の仕上げ加工方法
US6136415A (en) * 1997-05-27 2000-10-24 R + S Technik Gmbh Vehicle interior trim panel with a soft-touch foam layer, and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TW440519B (en) * 1999-04-23 2001-06-16 Dainippon Printing Co Ltd Shaped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3535090B2 (ja) * 2000-11-15 2004-06-07 東海興業株式会社 装飾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4635353B2 (ja) * 2001-03-06 2011-02-23 日本エクスラン工業株式会社 吸・放湿性に優れた塗装金属板
US6749794B2 (en) * 2001-08-13 2004-06-15 R + S Technik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molding components with molded-in surface texture
US20050208275A1 (en) * 2002-05-30 2005-09-22 Kazuhiro Abe Decorative material and decorative sheet
JP4175960B2 (ja) 2002-09-26 2008-11-0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金属板及びこれを使用した成形品
US7431975B2 (en) * 2002-11-29 2008-10-07 Dzs, L.L.C. Textured composite material
US8216659B2 (en) * 2003-07-01 2012-07-10 Dzs, Llc Spring-like textured composite floorcovering
CA2508563C (en) * 2003-09-17 2009-06-30 Tokai Kogyo Co., Ltd. Long ornament mem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BRPI0416595B1 (pt) 2003-11-15 2014-06-17 Basf Ag Substrato, e, proceso para produzir um acabamento provido com um substrato
JP4379715B2 (ja) * 2004-02-19 2009-12-09 豊田合成株式会社 長尺成形品
AT8006U1 (de) * 2004-06-07 2005-12-15 Schaefer Philipp An seiner oberseite mit einer zurichtung versehener träger
JP2006068972A (ja) * 2004-08-31 2006-03-16 World Etching:Kk 樹脂成形用金型及びその低グロス化方法並びに樹脂成形品
JP2007022000A (ja) 2005-07-20 2007-02-01 Honda Motor Co Ltd 物体の表面構造
US7636538B2 (en) 2006-04-27 2009-12-22 Seiko Epson Corporation Layer-thickness restriction member, developing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restriction blade, and blade-forming mold
JP4844218B2 (ja) * 2006-04-27 2011-12-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層厚規制部材、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US20070261224A1 (en) * 2006-05-11 2007-11-15 Dow Global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rticles in having a fringed microprotrusion surface structure
FI20065407A0 (fi) * 2006-06-14 2006-06-14 Avantone Oy Vaikeasti väärennettävissä oleva hologrammi
JP4877068B2 (ja) 2007-05-22 2012-02-15 富士電機株式会社 ソフトウェア開発支援プログラム、ソフトウェア開発支援方法
JP2008302549A (ja) * 2007-06-06 2008-12-18 Nissan Motor Co Ltd 表皮材、その製造方法及び自動車内装用表皮材
US9162519B2 (en) * 2008-07-31 2015-10-20 Seiren Co., Ltd. Decorative surface structure of synthetic resin molded article,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automobile interior pa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57110A4 (en) 2012-10-24
WO2010055948A1 (ja) 2010-05-20
CN102216120A (zh) 2011-10-12
US20110287220A1 (en) 2011-11-24
JP5253103B2 (ja) 2013-07-31
EP2357110B1 (en) 2014-01-08
KR101324368B1 (ko) 2013-11-01
JP2010120399A (ja) 2010-06-03
US10807541B2 (en) 2020-10-20
CN102216120B (zh) 2015-09-09
EP2357110A1 (en) 201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4368B1 (ko) 물품의 표면 구조
EP2998109B1 (en) Multilayer composite interior component
EP3045305B1 (en) Multilayer composite interior component
CN104853909B (zh) 重合复合部件
CN107000655B (zh) 重叠复合内装部件
JP5630085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10752183B2 (en) Stacked composite interior part
JP5950814B2 (ja) 重ね合わせ複合部品
US20070020437A1 (en) Textured structure for object surface
EP3150441B1 (en) Overlaid composite interior component
JP2018192706A (ja) 樹脂成形品
JP2019069576A (ja) 樹脂成形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