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1752A -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1752A
KR20110091752A KR1020117012907A KR20117012907A KR20110091752A KR 20110091752 A KR20110091752 A KR 20110091752A KR 1020117012907 A KR1020117012907 A KR 1020117012907A KR 20117012907 A KR20117012907 A KR 20117012907A KR 20110091752 A KR20110091752 A KR 20110091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trol
unit
control information
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2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5036B1 (ko
Inventor
아이 야노
류이치 마츠쿠라
준 가쿠타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91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1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16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ransmission is by pulses
    • G08C19/28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ransmission is by pulses using pulse cod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G08C2201/32Remote control based on movements, attitude of remote control devi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G08C2201/33Remote control using macros, scrip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G08C2201/34Context aware guid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50Receiving or transmitting feedback, e.g. replies, status updates, acknowledgements, from the controlled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50Receiving or transmitting feedback, e.g. replies, status updates, acknowledgements, from the controlled devices
    • G08C2201/51Remote controlling of devices based on replies, status thereof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1Remote control based on location and proximi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2Universal remote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3Remote control using othe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제어기는 피제어기에 대해 정해진 거리보다 가까워짐으로써 피제어기와의 통신을 개시한 경우, 피제어기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파일 테이블을 피제어기로부터 취득한다. 제어기는, 자신에게 저장되어 있는 액션 테이블과, 피제어기로부터 취득된 프로파일 테이블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대응 맵을 생성한다. 대응 맵은 제어기의 사용자가 제어기에 대해 행하는 액션과, 이 액션이 수행된 경우에 피제어기가 수행하는 처리를 대응시키는 맵이다. 대응 맵이 생성된 제어기는 사용자로부터의 액션을 접수한 경우에, 접수된 액션에 대응하여 피제어기가 수행하는 처리를 대응 맵에서 특정한다. 제어기는 특정된 처리를 피제어기에 대해 실행시킨다.

Description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CONTROL DEVICE,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본 발명은 각종의 기능을 갖는 전기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 제어 방법, 상기 제어 장치를 컴퓨터로 실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정 내, 회사 또는 사업소 등에 있어서, 텔레비전 장치, 영상 및/또는 음성의 녹화 재생 장치, 공기 조절 장치, 조명 기구, 복사기, 프린터, 복합기 등의 전기 기기가 보급되어 있다. 이들 전기 기기는 조작성을 높이기 위해 각종의 고안이 이루어져 있다. 예컨대, 전기 기기는 원격 조작기에 의해 원격으로부터의 조작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각각의 전기 기기는 각각의 전기 기기에 대응한 원격 조작기에 의해 조작되기 때문에, 전기 기기의 설치수의 증가에 따라 원격 조작기의 수가 증가하여, 원격 조작기의 관리가 번잡하다. 또한, 각각의 원격 조작기는 조작 키의 배열, 조작 방법 등이 상이하기 때문에, 복수의 원격 조작기를 충분히 잘 다루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그런데, 휴대 전화기,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휴대 단말의 보급률이 향상되고 있다. 그래서, 전술한 바와 같은 전기 기기의 원격 조작기로서, 이러한 휴대 단말을 이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3 참조). 이에 따라, 하나의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각종의 전기 기기를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원격 조작기를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국제 공개 제01/082646호 팜플렛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5150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72269호 공보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을 전기 기기의 원격 조작기로서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휴대 단말에 대해 행하는 각 조작과, 각각의 전기 기기가 갖는 각 기능을 사전에 대응시켜 둘 필요가 있다. 이러한 대응 관계는 예컨대 휴대 단말에 대한 각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와 전기 기기가 갖는 각 기능을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대응시킨 대응 테이블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휴대 단말이 대응 테이블을 관리하는 구성에서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을 조작한 경우, 휴대 단말은 접수된 조작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자신이 관리하는 대응 테이블로부터 특정하고, 특정된 제어 정보를 전기 기기에 송출한다. 전기 기기는 휴대 단말로부터 취득된 제어 정보에 따른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휴대 단말의 조작에 따른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외부의 서버 장치가 각 전기 기기에서의 대응 테이블을 관리하는 구성에서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을 조작한 경우, 휴대 단말은 접수된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를 서버 장치에 송출한다. 서버 장치는 휴대 단말로부터 취득된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자신이 관리하는 대응 테이블로부터 특정하고, 특정된 제어 정보를 휴대 단말에 반환한다. 휴대 단말은 서버 장치로부터 취득된 제어 정보를 전기 기기에 송출한다. 전기 기기는 휴대 단말로부터 취득된 제어 정보에 따른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휴대 단말의 조작에 따른 처리를 실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는, 전기 기기의 메이커는 새로운 전기 기기를 제조할 때마다 대응 테이블을 생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각 전기 기기마다, 어떤 조작이 어떤 기능에 대응하고 있는지를 미리 파악해 둘 필요가 있다. 또한, 휴대 단말이 대응 테이블을 관리하는 구성에서는, 사용자가 새로운 전기 기기를 구입할 때마다, 대응 테이블을 휴대 단말에 등록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대응 테이블을 미리 준비해 두지 않고서, 각종의 전기 기기(피제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에 개시하는 제어 장치는 피제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서, 그 제어 장치가 접수 가능한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를 조작 정보 기억부에 기억한다. 또한, 본원에 개시하는 제어 장치는 피제어 장치에 관한 제어 정보를 취득한 경우에, 조작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조작 정보에, 취득된 제어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하는 대응 테이블을 생성한다.
본원에 개시하는 제어 장치에 따르면, 그 제어 장치가 접수 가능한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와, 피제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대응시킨 대응 테이블을 동적으로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원에서는, 제어 장치가 접수 가능한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와, 피제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대응시킨 대응 테이블을 동적으로 생성하기 때문에, 제어 장치의 사용자는 대응 테이블을 미리 준비해 둘 필요가 없다. 또한, 어떤 조작 정보에 어떤 제어 정보가 대응하고 있는지를 미리 파악해 둘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생성된 대응 테이블을 이용함으로써, 제어 장치가 접수한 조작에 대응한 제어 정보에 따라 피제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제어 장치를 피제어 장치의 원격 조작기로서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의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의 제어기 및 피제어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액션 테이블의 저장 내용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는 프로파일 테이블의 저장 내용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 1의 제어기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은 대응 맵의 저장 내용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7은 통지 화면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8은 확인 화면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9는 대응 맵의 생성 처리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대응 맵의 생성 처리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제어기가 피제어기의 동작을 제어할 때의 처리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설정 화면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액션 테이블의 저장 내용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4는 설정 화면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5는 액션 테이블의 저장 내용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6은 실시형태 3의 대응 맵의 저장 내용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7은 대응 맵의 생성 처리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대응 맵의 생성 처리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9는 대응 맵의 생성 처리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0은 실시형태 4의 대응 맵 및 누적 정보 테이블의 저장 내용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1은 실시형태 4의 제어기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2는 누적 정보 테이블의 저장 내용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3은 대응 맵의 생성 처리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4는 대응 맵의 생성 처리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5는 제어기가 피제어기의 동작을 제어할 때의 처리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6은 제어기에 의한 누적 정보 테이블의 갱신 처리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7은 실시형태 5의 대응 맵 및 누적 정보 테이블의 저장 내용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8은 대응 맵의 생성 처리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9는 대응 맵의 생성 처리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0은 제어기가 피제어기의 동작을 제어할 때의 처리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1은 제어기에 의한 누적 정보 테이블의 갱신 처리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2는 실시형태 6의 대응 맵 및 누적 정보 테이블의 저장 내용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3은 실시형태 7의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4는 실시형태 7의 제어기 및 피제어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5는 관리 서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6은 실시형태 7의 대응 맵의 생성 처리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7은 실시형태 8의 누적 정보 테이블 및 추천 정보 테이블의 저장 내용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8은 대응 맵의 생성 처리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9는 대응 맵의 생성 처리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0은 대응 맵의 생성 처리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1은 추천 정보 테이블의 갱신 처리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2는 추천 정보 테이블의 갱신 처리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3은 실시형태 9의 제어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에, 본원에 개시하는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각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형태 1)
이하에, 실시형태 1에 따른 제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 1의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형태 1의 제어 시스템은 본원에 개시하는 제어 장치인 제어기(1), 제어기(1)를 통해 조작되는 피제어기(피제어 장치)(2, 2a, 2b, 2c) 등을 구비한다.
제어기(1)와, 피제어기(2, 2a, 2b, 2c)의 각각은 수미터 정도의 단거리간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기(1)와, 피제어기(2, 2a, 2b, 2c)는 Bluetooth(등록 상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ZigBee(등록 상표) 등의 단거리 무선 통신 규격에 따른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기(1)와, 피제어기(2, 2a, 2b, 2c)를,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적외선을 이용한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의 무선 통신 규격에 따른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구성해도 된다.
제어기(1)는 피제어기(2, 2a, 2b, 2c)를 조작하기 위한 원격 조작기로서 이용되기 때문에 소형 경량화된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명함 크기의 카드 형상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층 더한 소형화가 가능하면, 제어기(1)를 펜던트 톱으로 한 펜던트로서 구성해도 되고, 손목 시계 또는 반지에 부착되는 형상으로 구성해도 된다.
제어기(1)는 자신을 중심으로 하여 수미터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피제어기(2, 2a, 2b, 2c) 중 어느 하나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하고 싶은 피제어기(2)(또는 2a, 2b, 2c) 근방에서 제어기(1)를 조작함으로써, 원하는 피제어기(2)(또는 2a, 2b, 2c)의 원격 조작기로서 제어기(1)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피제어기(2)로서 프린터의 동작을 제어기(1)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구성을 예로 본 실시형태 1의 제어 시스템을 설명한다. 또, 제어기(1)를 이용하여 제어되는 피제어기(2)로서는 프린터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복사기, 복합기, 텔레비전 장치(2a), 영상 및/또는 음성의 녹화 재생 장치(2b), 공기 조절 장치(2c) 등이 있다.
녹화 재생 장치(2b)로서는, 예컨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DVD(Digital Versatile Disk) 레코더, 하드 디스크 레코더, BD(Blu-ray Disc) 레코더, 음성 레코더(digital voice recorder) 등이 있다. 공기 조절 장치(2c)로서는, 예컨대 에어컨디셔너, 가습기, 제습기, 공기 청정기 등이 있다. 이들 장치 외에, 예컨대 조명 기구 및 카 내비게이션 장치 등과 같이, 원격 조작기와 함께 판매되는 전기 기기도 피제어기(2)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 본 실시형태 1의 제어기(1) 및 피제어기(2)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실시형태 1의 제어기(1) 및 피제어기(2)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 1의 제어기(1)는 제어부(10), 메모리부(13), 각종 센서(14), 표시부(15), 단거리 무선 통신부(16) 등을 구비한다. 이들 하드웨어 각부는 버스(1a)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본 실시형태 1의 제어기(1)는 본원에 개시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메모리부(13)에 저장해 두고, 제어부(10)에 의해 컴퓨터 프로그램이 실행됨으로써 본원에 개시하는 제어 장치의 동작을 실현한다. 본원에 개시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미리 메모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제어기(1)가 외부 메모리에의 액세스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어기(1)가 외부 메모리에 기억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메모리부(13)에 저장해도 된다. 또한, 제어기(1)가 외부 장치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메모리부(13)에 저장해도 된다.
제어부(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MPU(Micro Processor Unit) 등이고, 절대 시각(연월일, 시, 분, 초)을 표시하는 시계를 갖고 있다. 제어부(10)는 정해진 타이밍에 따라, 메모리부(13)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적절하게 실행한다. 또한, 제어부(10)는 전술한 하드웨어 각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부(13)는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이다. 메모리부(13)는 제어기(1)를 본원에 개시하는 제어 장치로서 동작시키기 위해 필요한 여러 가지 제어 프로그램을 미리 저장하고 있다. 또한, 메모리부(13)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액션 테이블(13a)을 저장하고 있다. 액션 테이블(13a)의 세부 사항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각종 센서(14)는 예컨대 자이로스코프 센서 및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하는 3차원의 모션 센서이다. 각종 센서(14)는 사용자가 제어기(1)에 대해 행한 액션(조작)을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각종 센서(14)는 사용자가 제어기(1)를 어떤 방향으로 흔들었는지, 어떻게 돌렸는지 등, 제어기(1)의 움직임을 검출한다.
각종 센서(14)는 모션 센서를 이용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레이저, 적외선, 초음파 등을 이용하는 각종의 센서를 이용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근접 센서, 압력 센서, 온도 센서, 조도 센서, 심박, 맥박, 뇌파, 지문, 정맥, 성문 등을 검출하는 센서, 정전 용량 센서, 변위 센서, 화상 센서, 각도 센서, 각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자기 센서, 경사 센서, 방위, 자세 등을 검출하는 자세 방위 기준 장치, 위치 평정 장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 중 어느 하나를 조합하여 이용하면 된다. 또한, 바코드, QR 코드 등의 코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IC 카드 등에 대한 판독 및 기록이 가능한 리더 라이터, 터치 센서(터치 패널), 마이크 등을 이용해도 된다. 또, 이들 센서 이외의 것을 이용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표시부(15)는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이고, 제어부(1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제어기(1)의 동작 상태, 사용자에 대해 통지해야 할 정보 등을 표시한다.
단거리 무선 통신부(16)는 수미터 정도의 단거리간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단거리 무선 통신부(16)는 제어기(1)를 중심으로 하여 수미터 정도의 정해진 범위 내에 존재하는 피제어기(2)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한다.
본 실시형태 1의 제어기(1)는 전용 장치로서 설명한다. 그러나, 제어기(1)는 예컨대 모션 센서[각종 센서(14)] 및 단거리 통신 기능[단거리 무선 통신부(16)]을 구비하는 휴대 전화기, PHS, PDA 등의 휴대 단말에 대해 제어 프로그램 및 액션 테이블(13a)을 추가하는 것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 1의 피제어기(2)는 제어부(20), 메모리부(23), 각종 처리부(24), 단거리 무선 통신부(25) 등을 구비한다. 이들 하드웨어 각부는 버스(2a)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제어부(20)는 CPU 또는 MPU 등이다. 제어부(20)는 정해진 타이밍에 따라, 메모리부(23)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적절하게 실행한다. 또한, 제어부(20)는 전술한 하드웨어 각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부(23)는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이다. 메모리부(23)는 피제어기(2)로서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여러 가지 제어 프로그램을 미리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부(23)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프로파일 테이블(23a)을 저장한다. 프로파일 테이블(23a)의 세부 사항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각종 처리부(24)는 제어부(2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본 실시형태 1의 피제어기(2)는 프린터이기 때문에, 각종 처리부(24)는 예컨대 외부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처리, 수신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을 출력하는 화상 출력 처리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단거리 무선 통신부(25)는 수미터 정도의 단거리간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단거리 무선 통신부(25)는 피제어기(2)를 중심으로 하여 수미터 정도의 정해진 범위 내에 제어기(1)가 진입한 경우에 제어기(1)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한다.
피제어기(2)는 예컨대 터치 패널(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고, 터치 패널을 통해, 사용자에 의한 조작의 접수, 사용자에의 각종 정보의 통지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액션 테이블(13a)의 저장 내용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션 테이블(조작 정보 기억부)(13a)에는, 제어기(1)가 접수 가능한 액션(조작)마다, 액션 정보, 추천 제어 정보 및 조작 횟수(검지 횟수) 등이 대응하여 저장되어 있다. 또, 제어기(1)가 접수 가능한 액션이란, 각종 센서(14)에 의해 검지 가능한 액션을 말한다.
액션 정보는 제어기(1)의 각종 센서(14)에 의해 검지 가능한 액션(조작)을 나타내는 정보(조작 정보)이다. 구체적으로는, 「파일을 연 상태에서 앞면 방향으로 2회 흔든다」, 「좌측 방향으로 2회 흔든다」 등이다.
본 실시형태 1에서는, 표시부(15)가 설치되어 있는 면을 제어기(1)의 앞면으로 한다. 따라서, 「파일을 연 상태에서 앞면 방향으로 2회 흔든다」라고 하는 액션은 원하는 파일을 표시부(15)에 표시시킨 상태에서, 표시부(15)가 설치되어 있는 면의 방향으로 제어기(1)를 2회 흔드는 동작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 1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상태의 제어기(1)를 사용자가 본 상태에서 표시부(15)의 좌측을 제어기(1)의 좌측으로 하고, 표시부(15)의 우측을 제어기(1)의 우측으로 한다. 따라서, 「좌측 방향으로 2회 흔든다」라고 하는 액션은 도 1에 도시하는 상태의 제어기(1)를 좌측으로 2회 흔드는 동작이다.
추천 제어 정보는 각각의 액션에 대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정보이다. 추천 제어 정보는 피제어기(2)가 될 수 있는 전기 기기가 갖는 각 기능에 있어서, 각각의 액션으로부터 직감적으로 추측할 수 있는 기능을 피제어기(2)에 실행시키기 위한 정보이다. 여기서는, 예컨대 「파일 지정」을 지시하기 위한 「Set File」, 「다음 페이지로의 이동」을 지시하기 위한 「Send Page」, 「앞 페이지로 되돌아간다」를 지시하기 위한 「Return Page」, 「모든 단말(사용자)에의 일제 송신」을 지시하기 위한 「Send to All」, 「수치 설정」을 지시하기 위한 「Num」, 「처리 종료」를 지시하기 위한 「Bye」, 「처리 취소」를 지시하기 위한 「Cancel」 등이 이용되고 있다.
조작 횟수는 사용자가 각각의 액션을 행한 횟수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각각의 액션을 행한 것을 각종 센서(14)가 검지한 횟수이다.
액션 테이블(13a)에는, 액션 정보 및 추천 제어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액션 테이블(13a)의 조작 횟수는 각종 센서(14)가 각각의 액션의 실행을 검지할 때마다, 제어부(10)에 의해 갱신된다.
도 4는 프로파일 테이블(23a)의 저장 내용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프로파일 테이블(23a)에는, 피제어기(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로파일 테이블(제어 정보 기억부)(23a)에는, 피제어기(2)가 갖는 기능마다, 항목명, 제어 정보 및 인수(引數) 등을 포함하는 기능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프로파일 테이블(23a)은 피제어기(2)의 제조 단계에서 작성된다. 항목명은 각 기능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제어 정보는 각 기능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정보이다. 피제어기(2)는 어느 하나의 제어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인수는 피제어기(2)가 각 기능을 실행할 때에 필요한 정보이다. 또, 모든 기능 정보에 인수의 정보가 필요하지 않다.
프로파일 테이블(23a)의 1번째 기능 정보로서는, 항목명 란에 「기기 프로파일」이 저장되고, 제어 정보 란에 「Printer」가 저장되어 있다. 이것은, 피제어기(2)의 기종이 프린터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2번째 기능 정보로서는, 항목명 란에 「기기명」이 저장되고, 제어 정보 란에 「Pri-AAA」가 저장되어 있다. 이것은 피제어기(2)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가 「Pri-AAA」인 것을 나타낸다. 「기기명」에 대한 제어 정보 「Pri-AAA」는 동일한 모델 번호의 기기라도 각각의 기기마다 상이한 정보가 할당되기 때문에, 각 기기를 식별할 수 있다. 기기 프로파일 및 기기명의 각 정보는 통신 기능을 구비한 모든 전기 기기에 통상 부여되는 정보이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프로파일 테이블(23a)에서는, 이벤트 1의 정보는 파일 지정 처리(Set File)에 관한 기능 정보이고, 이벤트 2의 정보는 인쇄 부수의 설정(Copy Num)에 관한 기능 정보이다. 이벤트 3의 정보는 각종 처리의 캔슬(Cancel)에 관한 기능 정보이고, 이벤트 4의 정보는 흑백 인쇄(Black and White)에 관한 기능 정보이다. 이벤트 5의 정보는 컬러 인쇄(Color)에 관한 기능 정보이고, 이벤트 6의 정보는 확대 처리(Expansion)에 관한 기능 정보이다.
이하에, 전술한 구성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기(1)의 제어부(10)가 메모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하는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실시형태 1의 제어기(1)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 1의 제어기(1)에 있어서, 제어부(10)는 메모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통신 상황 검지부(10a), 프로파일 테이블 취득부(10b), 맵 생성부(10c), 대응 관계 통지부(10d), 액션 검지부(10e), 제어 정보 판정부(10f), 제어 정보 확인부(10g), 제어 정보 송신부(10h) 등의 기능을 실현한다.
통신 상황 검지부(10a)는 단거리 무선 통신부(16)를 통한 피제어기(2)와의 통신 상황을 검지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상황 검지부(10a)는 제어기(1)와 피제어기(2)와의 거리가 정해진 거리보다 가까워짐으로써, 피제어기(2)와의 통신이 개시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지한다. 통신 상황 검지부(10a)는 피제어기(2)와의 통신이 개시된 것을 검지한 경우, 그 취지를 프로파일 테이블 취득부(10b)에 통지한다. 통신 상황 검지부(10a)는 제어기(1)가 피제어기(2)와의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 제어기(1)와 피제어기(2)와의 거리가 정해진 거리 이상 떨어짐으로써, 피제어기(2)와의 통신이 차단되었는지의 여부도 검지한다.
프로파일 테이블 취득부(요구부)(10b)는 제어기(1)와 피제어기(2)와의 통신이 개시된 경우, 피제어기(2)에 프로파일 테이블(23a)을 요구한다. 피제어기(2)의 제어부(20)는 단거리 무선 통신부(25)를 통해 제어기(1)와의 통신이 개시된 후, 제어기(1)로부터 프로파일 테이블(23a)을 요구받은 경우, 프로파일 테이블(23a)을 메모리부(23)로부터 판독한다. 제어부(20)는 메모리부(23)로부터 판독된 프로파일 테이블(23a)을 단거리 무선 통신부(송출부)(25)를 통해 제어기(1)에 송신한다.
프로파일 테이블 취득부(제어 정보 취득부)(10b)는 피제어기(2)로부터 송신된 프로파일 테이블(23a)을 취득하여, 메모리부(13)에 저장시킨다. 프로파일 테이블 취득부(10b)는 프로파일 테이블(23a)을 취득했다는 취지를 맵 생성부(10c)에 통지한다.
맵 생성부(10c)는 메모리부(13)에 저장된 액션 테이블(13a) 및 프로파일 테이블(23a)에 기초하여, 도 6의 (a), 도 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대응 맵(대응 테이블)(13b)을 생성하여 메모리부(13)에 저장한다. 도 6은 대응 맵(13b)의 저장 내용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6의 (a)는 생성 도중의 대응 맵(13b)을 도시하고, 도 6의 (b)는 완성된 대응 맵(13b)을 도시하고 있다.
대응 맵(13b)은 사용자가 제어기(1)에 대해 행하는 액션을 나타내는 액션 정보(조작 정보)와, 피제어기(2)가 갖는 각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하는 맵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6의 (a), 도 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응 맵(13b)에는,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 각 액션 정보에, 프로파일 테이블(23a)에 저장되어 있는 각 제어 정보가 대응하여 기억되어 있다.
맵 생성부(유사 검출부)(10c)는 먼저,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 추천 제어 정보와, 프로파일 테이블(23a)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정보를 비교하여, 어느 하나의 추천 제어 정보와 유사한 제어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도 3에 도시하는 액션 테이블(13a)과, 도 4에 도시하는 프로파일 테이블(23a)에서는, 맵 생성부(10c)는 프로파일 테이블(23a)의 제어 정보 「Set File」, 「Copy Num」, 「Cancel」 각각이 액션 테이블(13a)의 추천 제어 정보 「Set File」, 「Num」, 「Cancel」의 각각과 유사하다고 판단한다.
맵 생성부(10c)는 어느 하나의 추천 제어 정보와 유사한 제어 정보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 이 추천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액션 정보를 액션 테이블(13a)로부터 판독한다. 맵 생성부(10c)는 판독된 액션 정보에, 이 추천 제어 정보와 유사하다고 판단된 제어 정보를 대응시켜 대응 맵(13b)에 저장한다. 도 6의 (a)에는, 이렇게 하여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가 저장된 상태의 대응 맵(13b)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6의 (a)에 도시한 대응 맵(13b)에는, 추천 제어 정보 「Set File」에 대응하는 액션 정보 「파일을 연 상태에서 앞면 방향으로 2회 흔든다」와, 이 추천 제어 정보와 유사하다고 판단된 제어 정보 「Set File」이 대응하여 저장된다. 마찬가지로, 도 6의 (a)에 도시한 대응 맵(13b)에는, 추천 제어 정보 「Num」에 대응하는 액션 정보 「크게 돌린다」와, 제어 정보 「Copy Num」이 대응하여 저장되고, 추천 제어 정보 「Cancel」에 대응하는 액션 정보 「좌측 방향으로 1회 흔든 후, 우측 방향으로 1회 흔든다」와, 제어 정보 「Cancel」이 대응하여 저장된다.
여기서, 액션 테이블(13a)에는, 각각의 액션의 액션 정보와, 각각의 액션으로부터 직감적으로 결부되는 추천 제어 정보가 대응하여 저장된다. 이러한 액션 테이블(13a)을 이용하여 대응 맵(13b)을 생성하기 때문에, 제어기(1)에 대해 행해지는 각 액션과, 각 액션으로부터 직감적으로 결부되는 피제어기(2)의 동작을 대응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피제어기(2)의 각 처리에, 각 처리로부터 직감적으로 추측되는 액션을 대응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맵 생성부(10c)는 액션 테이블(13a)의 액션 정보 중에서, 전술한 처리에서 제어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액션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액션 정보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 맵 생성부(10c)는 제어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액션 정보를, 조작 횟수가 많은 순서대로 액션 테이블(13a)로부터 판독한다. 또한, 맵 생성부(10c)는 프로파일 테이블(23a)의 제어 정보 중에서, 전술한 처리에서 액션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제어 정보를 프로파일 테이블(23a)의 선두로부터 순서대로 판독한다. 맵 생성부(10c)는 각각 판독된 순서대로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를 대응시켜 대응 맵(13b)에 저장한다.
도 6의 (b)에는, 이렇게 하여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가 저장된 상태의 대응 맵(13b)을 도시한다. 여기서는, 액션 테이블(13a)로부터는 액션 정보 「우측 방향으로 2회 흔든다」 및 「좌측 방향으로 2회 흔든다」가 이 순서로 판독되고, 프로파일 테이블(23a)로부터는 제어 정보 「Black and White」 및 「Color」가 이 순서로 판독된다. 따라서, 액션 정보 「우측 방향으로 2회 흔든다」 및 제어 정보 「Black and White」가 대응하여 대응 맵(13b)에 저장되고, 액션 정보 「좌측 방향으로 2회 흔든다」 및 제어 정보 「Color」가 대응하여 대응 맵(13b)에 저장된다.
맵 생성부(10c)는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액션 정보에 대해, 프로파일 테이블(23a)에 저장되어 있는 어느 하나의 제어 정보를 각각 대응시켜 대응 맵(13b)에 저장할 때까지 전술한 처리를 실행한다. 맵 생성부(10c)는 모든 액션 정보의 각각에 대해 제어 정보를 대응시켜 대응 맵(13b)에 저장한 경우, 대응 맵(13b)이 완성되었다는 취지를 대응 관계 통지부(10d)에 통지한다.
대응 관계 통지부(통지부)(10d)는 맵 생성부(10c)에 의해 생성된 대응 맵(13b)에 저장된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의 대응 관계를 통지한다. 구체적으로는, 대응 관계 통지부(10d)는 대응 맵(13b)에 저장된 액션 정보를 판독하고, 대응 맵(13b)에 저장된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처리 내용을, 피제어기(2)로부터 취득된 프로파일 테이블(23a)로부터 판독한다. 대응 관계 통지부(10d)는 각각 판독된 액션 정보 및 처리 내용을 대응시켜 표시하는 통지 화면을 생성하여, 표시부(15)에 표시시킨다.
도 7은 통지 화면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7에 도시하는 통지 화면은 대응 맵(13b)에 저장된 액션 정보의 각각이 나타내는 액션과, 각 액션에 대응하는 피제어기(2)의 기능을 대응시켜 표시한다.
이에 따라, 제어기(1)의 사용자는 피제어기(2)에 각 처리(기능)를 실행시키기 위해, 제어기(1)에 대해 행해야 할 액션(조작)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1)에 대해 사용자가 행하는 액션과, 피제어기(2)가 수행하는 처리를 미리 파악해 둘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도 7에 도시된 통지 화면에 의해, 액션 및 기능의 대응 관계를 확인한 후, 제어기(1)를 배면 방향으로 1회 흔듦으로써 OK 버튼을 조작한다. 또, 제어기(1)의 배면 방향이란, 제어기(1)의 표시부(15)가 설치되어 있는 면의 이면이다. 제어기(1)의 제어부(10)는 도 7에 도시한 통지 화면에 있어서 OK 버튼이 조작된 경우, 통지 화면의 표시를 종료하고, 대응 맵(13b)의 생성 처리를 종료한다.
대응 맵(13b)에 저장된 액션 정보가 나타내는 액션과, 제어 정보가 나타내는 피제어기(2)의 기능의 대응 관계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통지 화면을 표시부(15)에 표시시켜 통지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표시부(15)의 표시 영역이 작아, 한줄분의 표시 영역밖에 없는 경우,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일정 방향으로 흐르게 하여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어기(1)가 스피커를 구비하는 경우, 음성으로 대응 관계를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 대응 관계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타이밍은 대응 맵(13b)의 생성 후 뿐만 아니라, 제어기(1)가 피제어기(2)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동안이라면, 사용자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적절하게 통지해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대응 맵(13b)을 생성한 제어기(1)에 있어서, 액션 검지부(10e)는 각종 센서(14)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제어기(1)에 대해 행한 액션(조작)을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액션 검지부(조작 검지부)(10e)는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정보 각각이 나타내는 액션 중 어느 하나가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검지한다.
액션 검지부(10e)는 어느 하나의 액션이 행해진 것을 검지한 경우, 이 액션의 조작 횟수를 갱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액션 검지부(검지 횟수 갱신부)(10e)는 검지한 액션의 액션 정보에 대응하여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 조작 횟수(검지 횟수)에 1을 가산한다. 이와 같이, 각 액션의 조작 횟수를 계수함으로써, 사용자가 제어기(1)에 대해 행하는 각 액션의 빈도를 파악할 수 있다.
액션 검지부(10e)는 어느 하나의 액션이 행해진 것을 검지한 경우, 검지한 액션을 나타내는 액션 정보를 액션 테이블(13a)로부터 판독하여, 제어 정보 판정부(10f)에 통지한다. 제어 정보 판정부(10f)는 액션 검지부(10e)로부터 통지된 액션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대응 맵(13b)으로부터 특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정보 판정부(10f)는 대응 맵(13b)을 검색하여, 액션 검지부(10e)로부터 통지된 액션 정보가 대응 맵(13b)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액션 정보가 대응 맵(13b)에 저장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제어 정보 판정부(특정부)(10f)는 액션 정보에 대응하여 대응 맵(13b)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정보를 대응 맵(13b)으로부터 판독한다.
제어 정보 판정부(10f)는 액션 검지부(10e)로부터 통지된 액션 정보 및 대응 맵(13b)으로부터 판독된 제어 정보를 제어 정보 확인부(10g)에 통지한다. 제어 정보 확인부(10g)는 통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제어기(1)에 대해 행한 액션과, 이 액션에 대해 피제어기(2)가 수행하는 처리를 통지하고, 이 액션 및 처리가 적절한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정보 확인부(10g)는 통지된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처리 내용을, 피제어기(2)로부터 취득된 프로파일 테이블(23a)로부터 판독한다. 제어 정보 확인부(검지 결과 통지부)(10g)는 통지된 액션 정보가 나타내는 액션과, 프로파일 테이블(23a)로부터 판독된 처리 내용을 표시하는 확인 화면을 생성하여, 표시부(15)에 표시시킨다.
도 8은 확인 화면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8에 도시하는 통지 화면은 제어기(1)가 검지한 액션으로서 「크게 3회 돌린다」와, 이 액션에 대응하는 피제어기(2)의 기능으로서 「3부 인쇄」를 대응시켜 표시한다.
이에 따라, 제어기(1)의 사용자는 제어기(1)에 대해 자신이 행한 액션과, 이 액션에 대응하여 피제어기(2)가 수행하는 처리(기능)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기(1)의 사용자는 도 8에 도시한 확인 화면을 확인하여, 자신이 행한 액션이 「크게 3회 돌린다」이며, 자신이 피제어기(2)에 실행시키려고 한 처리가 「3부 인쇄」의 설정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는 도 8에 도시된 액션 및 실행 기능이 적절하다고 판단한 경우, 제어기(1)를 배면 방향으로 1회 흔듦으로써 OK 버튼을 조작한다. 도 8에 도시하는 확인 화면에 있어서 OK 버튼이 조작된 경우, 제어 정보 확인부(접수부)(10g)는 확인 화면에 의해 통지된 액션 및 기능이 적절한 것을 접수한다. 그리고, 제어 정보 확인부(10g)는 제어 정보 판정부(10f)로부터 통지받은 제어 정보를 제어 정보 송신부(10h)에 통지한다.
한편, 사용자는 도 8에 도시된 액션 및/또는 실행 기능이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제어기(1)를 좌측 방향으로 1회 흔든 후, 우측 방향으로 1회 흔듦으로써 캔슬 버튼을 조작한다. 또, 제어기(1)의 좌측 방향이란, 도 1에 도시한 상태의 제어기(1)를 사용자가 본 상태에서 표시부(15)의 좌측을 제어기(1)의 좌측으로 한다. 도 8에 도시하는 확인 화면에 있어서 캔슬 버튼이 조작된 경우, 제어 정보 확인부(접수부)(10g)는 확인 화면에 의해 통지된 액션 및/또는 기능이 적절하지 않은 것을 접수한다. 이 경우, 제어 정보 확인부(10g)는 아무것도 수행하지 않고 처리를 종료한다.
제어 정보 송신부(제어부)(10h)는 제어 정보 확인부(10g)로부터 제어 정보가 통지된 경우, 통지된 제어 정보를 단거리 무선 통신부(16)를 통해 피제어기(2)에 송신한다. 이에 따라, 제어 정보 송신부(10h)는 제어 정보에 따른 동작(처리)의 실행을 피제어기(2)에 지시한다. 피제어기(2)의 제어부(20)는 단거리 무선 통신부(25)를 통해 제어기(1)로부터 제어 정보를 취득한 경우, 취득된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이에 따라, 제어기(1)는 사용자가 행한 액션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에 따라 피제어기(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1)를 피제어기(2)의 원격 조작기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1)가 액션을 검지한 경우에, 검지된 액션 및 이 액션에 대응하여 피제어기(2)가 실행하는 기능을 사용자에게 통지함으로써, 이 액션 및 기능의 적부를 사용자가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피제어기(2)에 실행시키고 싶은 기능에 대응하는 액션과는 상이한 액션을 행한 경우, 또는 제어기(1)에 의해 액션이 오인식된 경우에, 액션을 재차 다시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 1에서는, 제어 정보 판정부(10f)는 액션 검지부(10e)로부터 액션 정보가 통지될 때마다, 통지된 액션 정보 및 대응 맵(13b)으로부터 판독된 제어 정보를 제어 정보 확인부(10g)에 통지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제어 정보 확인부(10g)는 액션마다, 확인 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OK율을 산출하여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시켜 둔다. 그리고, 제어 정보 판정부(10f)는 OK율이 정해진 값(예컨대 90%) 이상인 액션에 대해서는,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를 제어 정보 확인부(10g)에 통지하지 않고, 제어 정보 송신부(10h)에 통지시켜도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액션을 행할 때마다, 확인 화면에 의해 액션이 올바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수고를 생략할 수 있다.
이하에, 본 실시형태 1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기(1)가 피제어기(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대응 맵(13b)을 생성하는 처리에 대해 흐름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은 대응 맵(13b)의 생성 처리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의 처리는 제어기(1)의 메모리부(13)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부(10)에 의해 실행되고, 피제어기(2)의 메모리부(23)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부(20)에 의해 실행된다. 또한, 도 9에서는, 파선으로 구획된 2개의 영역에 있어서, 좌측 영역에 제어기(1)의 제어부(10)에 의한 처리를, 우측 영역에 피제어기(2)의 제어부(20)에 의한 처리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제어기(1)의 제어부(10)는 피제어기(2)와의 통신이 개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1), 개시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S1: NO), 개시될 때까지 대기한다. 피제어기(2)와의 통신이 개시되었다고 판단한 경우(S1: YES), 제어부(10)는 피제어기(2)에 프로파일 테이블(23a)을 요구한다(S2). 피제어기(2)의 제어부(20)는 제어기(1)와의 통신이 개시된 후, 제어기(1)로부터 프로파일 테이블(23a)을 요구받은 경우, 메모리부(23)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파일 테이블(23a)을 판독하여, 제어기(1)에 송신한다(S3).
제어기(1)의 제어부(10)는 피제어기(2)로부터 프로파일 테이블(23a)을 취득한 경우(S4), 취득된 프로파일 테이블(23a)을 메모리부(13)에 저장시킨다(S5). 제어부(10)는 메모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테이블(13a) 및 프로파일 테이블(23a)에 기초하여 대응 맵(13b)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는 프로파일 테이블(23a)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정보에 있어서,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 추천 제어 정보 중 어느 하나와 유사한 제어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6). 추천 제어 정보 중 어느 하나와 유사한 제어 정보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S6: YES), 제어부(10)는 이 추천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액션 정보와, 이 추천 제어 정보와 유사하다고 판단된 제어 정보를 대응시켜 대응 맵(13b)에 저장한다(S7).
제어부(10)는 단계 S6으로 처리를 되돌려,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 추천 제어 정보 중 어느 하나와 유사한, 다른 제어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6). 제어부(10)는 추천 제어 정보 중 어느 하나와 유사한 제어 정보가 없다고 판단할 때까지, 단계 S6, S7의 처리를 반복한다. 제어부(10)는 추천 제어 정보 중 어느 하나와 유사한 제어 정보가 없다고 판단한 경우(S6: NO),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정보에 있어서, 전술한 처리에서 제어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미할당) 액션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8).
제어부(10)는 제어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액션 정보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S8: YES), 미할당 액션 정보 중에서, 조작 횟수가 가장 많은 액션 정보를 액션 테이블(13a)로부터 판독한다(S9). 제어부(10)는 프로파일 테이블(23a)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정보에 있어서, 전술한 처리에서 액션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제어 정보 중에서, 프로파일 테이블(23a)의 선두에 가장 가까운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정보를 프로파일 테이블(23a)로부터 판독한다(S10).
제어부(10)는 단계 S9에서 판독된 액션 정보와, 단계 S10에서 판독된 제어 정보를 대응시켜 대응 맵(13b)에 저장한다(S11). 제어부(10)는 단계 S8로 처리를 되돌려,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정보에 있어서, 제어 정보가 아직 할당되지 않은 액션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8). 제어부(10)는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액션 정보의 각각에 제어 정보를 할당할 때까지, 단계 S8∼S11의 처리를 반복한다.
제어부(10)는 제어 정보가 아직 할당되지 않은 액션 정보가 없다고 판단한 경우(S8: NO),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통지 화면을 생성한다(S12). 제어부(10)는 생성된 통지 화면을 표시부(15)에 표시시키고(S13), 대응 맵(13b)에 저장된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의 대응 관계를 통지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전술한 대응 맵(13b)의 생성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전술한 처리에 의해 제어기(1)가 대응 맵(13b)을 생성한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기(1)가 피제어기(2)의 원격 조작기로서 동작할 때의 처리에 대해 흐름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제어기(1)가 피제어기(2)의 동작을 제어할 때의 처리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의 처리는 제어기(1)의 메모리부(13)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부(10)에 의해 실행되고, 피제어기(2)의 메모리부(23)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부(20)에 의해 실행된다. 또한, 도 11에서는, 파선으로 구획된 2개의 영역에 있어서, 좌측 영역에 제어기(1)의 제어부(10)에 의한 처리를, 우측 영역에 피제어기(2)의 제어부(20)에 의한 처리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제어기(1)의 제어부(10)는 각종 센서(14)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제어기(1)에 대해,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정보의 각각이 나타내는 액션 중 어느 하나를 행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1). 어떠한 액션도 행해지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S21: NO), 제어부(10)는 대기한다. 어느 하나의 액션이 행해졌다고 판단한 경우(S21: YES), 제어부(10)는 실행을 검지한 액션을 나타내는 액션 정보를 액션 테이블(13a)로부터 판독하고, 판독된 액션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대응 맵(13b)에서 특정한다(S22).
제어부(10)는 단계 S21에서 실행을 검지한 액션과, 단계 S22에서 특정된 제어 정보가 나타내는 피제어기(2)의 처리가 적절한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 화면을 생성하여, 표시부(15)에 표시한다(S23). 제어부(10)는 확인 화면을 통해 OK 버튼이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24), OK 버튼이 조작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S24: NO), 즉 캔슬 버튼이 조작된 경우, 단계 S21로 처리를 되돌린다.
제어부(10)는 확인 화면을 통해 OK 버튼이 조작되었다고 판단한 경우(S24: YES), 액션 테이블(13a)을 갱신한다(S25).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는 실행을 검지한 액션의 액션 정보에 대응하여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 조작 횟수에 1을 가산한다.
제어부(10)는 단계 S22에서 특정된 제어 정보를 피제어기(2)에 송신한다(S26).
피제어기(2)의 제어부(20)는 제어기(1)로부터 제어 정보를 취득한 경우, 취득된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한다(S27). 이에 따라, 제어기(1)가 피제어기(2)의 원격 조작기로서 동작할 때의 처리는 종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1에서는, 사용자가 제어기(1)에 대해 행하는 액션과, 피제어기(2)가 갖는 각 기능을 대응시킨 대응 맵(13b)을 동적으로 생성한다. 이에 따라, 대응 맵(13b)을 미리 준비해 둘 필요가 없다. 따라서, 메이커측은 피제어기(2)가 되는 전기 기기마다, 각각의 제어기(1)에 대한 대응 맵(13b)을 생성해 둘 필요가 없고, 제어기(1)의 사용자는 대응 맵(13b)을 미리 제어기(1)에 등록해 둘 필요가 없다. 또한, 대응 맵(13b)이 동적으로 생성되기 때문에, 어떤 액션에 대해 어떤 기능이 대응해 있는지를 미리 파악해 둘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 1에서는, 피제어기(2)로서 프린터의 동작을 제어기(1)에서 제어하는 구성을 예로 설명하였다. 따라서, 프로파일 테이블(23a)에 저장되어 있는 기능 정보로서는, 인쇄 처리(Set File), 인쇄 부수 설정(Copy Num), 캔슬(Cancel) 등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들 정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예컨대, 피제어기(2)로서 텔레비전 장치의 동작을 제어기(1)에서 제어하는 것을 상정한 경우, 프로파일 테이블(23a)에는, 예컨대 「채널 번호를 1 큰 값으로 설정」, 「음량을 정해진 값만큼 큰 값으로 설정」 등에 관한 기능 정보가 저장된다.
따라서, 액션 테이블(13a)의 추천 제어 정보로서도, 「Set File」, 「Send Page」, 「Return Page」 등의 정보 뿐만 아니라, 「채널 번호에 1을 가산」, 「음량에 정해진 값을 가산」 등의 처리에 대응하는 정보를 저장해 두면 된다. 예컨대,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정보 「좌측 방향으로 2회 흔든다」에 대응하는 추천 제어 정보로서, 「채널 번호를 1 작은 값으로 설정」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해 두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기(1)는 생성된 대응 맵(13b)을 메모리부(13)에 저장해 두고, 사용자에 의한 액션을 검지한 경우에, 대응 맵(13b)에 기초하여 피제어기(2)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이었다. 제어기(1)와 피제어기(2)는 단거리간의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기(1)가 피제어기(2)로부터 정해진 거리보다 떨어진 경우, 제어기(1)와 피제어기(2) 사이의 통신은 종료된다. 이때, 제어기(1)의 제어부(10)는 메모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대응 맵(13b)을 삭제해도 된다.
또한, 제어기(1)의 제어부(10)는 피제어기(2)와의 통신이 종료된 경우, 피제어기(2)로부터 취득된 프로파일 테이블(23a)에 저장된 기기 프로파일 및 기기명의 정보에 대응시켜 대응 맵(13b)을 메모리부(13)에 저장해도 된다. 이 경우, 제어기(1)를 동일한 피제어기(2)의 원격 조작기로서 재차 사용할 때에, 이미 생성되어 있는 대응 맵(13b)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처리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이하에, 실시형태 2에 따른 제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또, 본 실시형태 2의 제어 시스템은 전술한 실시형태 1의 제어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에 의해 실현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실시형태 1에서는,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정보의 각각에, 프로파일 테이블(23a)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정보 중 어느 하나를 대응시켜 대응 맵(13b)을 생성하는 구성이었다. 또한, 본 실시형태 1에서는, 액션 테이블(13a)에는 미리 설정된 각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구성이었다. 이에 비해, 본 실시형태 2에서는,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 추천 제어 정보, 즉 액션 정보에 대응하는 추천 제어 정보를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 2의 제어기(1)에 있어서, 제어부(10)는 사용자가 액션 테이블(13a)의 설정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정해진 조작을 행한 경우,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설정 화면을 생성하여 표시부(15)에 표시시킨다. 도 12는 설정 화면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2에 도시하는 설정 화면은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정보의 각각에,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해야 할 추천 제어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할당하기 위한 화면이다.
도 12에 도시하는 설정 화면에서는, 액션 정보의 각각에 대응하여, 어느 하나의 추천 제어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풀다운 메뉴가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풀다운 메뉴를 이용하여, 액션 정보의 각각에 대해 추천 제어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할당한다. 또, 상이한 액션 정보에 동일한 추천 제어 정보를 중복 할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미 어느 하나의 액션 정보에 대해 할당된 추천 제어 정보를 선택할 수 없도록 표시해도 된다.
사용자는 도 12에 도시하는 설정 화면에 있어서, 각 액션 정보에 대해 추천 제어 정보를 할당한 후, 이 대응 관계를 액션 테이블(13a)에 등록하고 싶은 경우, 제어기(1)를 배면 방향으로 1회 흔듦으로써 OK 버튼을 조작한다. 도 12에 도시하는 설정 화면에 있어서 OK 버튼이 조작된 경우, 제어기(1)의 제어부(추천 제어 정보 접수부)(10)는 설정 화면을 통해 액션 정보 및 추천 제어 정보를 접수한다. 제어부(기억 제어부)(10)는 접수된 액션 정보 및 추천 제어 정보를 대응시켜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한다.
도 13은 액션 테이블(13a)의 저장 내용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2의 액션 테이블(13a)에는, 각 액션 정보에 대해 사용자가 설정한 추천 제어 정보가 저장된다. 따라서, 실시형태 1의 액션 테이블(13a)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션 정보 「크게 돌린다」에 대해 2개의 추천 제어 정보 「Send to All」, 「Num」이 저장되어 있었으나, 본 실시형태 2의 액션 테이블(13a)에서는, 액션 정보 「크게 돌린다」에 대해 하나의 추천 제어 정보 「Num」이 저장되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도 12에 도시하는 설정 화면에 있어서, 각 액션 정보에 대해 추천 제어 정보를 할당하는 처리를 중단하고 싶은 경우, 제어기(1)를 좌측 방향으로 1회 흔든 후, 우측 방향으로 1회 흔듦으로써 캔슬 버튼을 조작한다. 도 12에 도시하는 설정 화면에 있어서 캔슬 버튼이 조작된 경우, 제어기(1)의 제어부(10)는 설정 화면을 통한 액션 테이블(13a)의 설정 처리를 종료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2에서는,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정보 및 추천 제어 정보의 대응 관계를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어기(1)에 대해 행하기 쉬운 액션, 제어기(1)에 대해 그다지 행하지 않는 액션, 각 액션으로부터 직감적으로 추측하기 쉬운 정보 등에 따라, 각각 추천 제어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피제어기(2)에 대해 실행 지시를 행할 가능성이 높은 처리의 제어 정보와 유사한 추천 제어 정보를, 사용자가 보다 조작하기 쉬운 액션에 대응시킴으로써, 피제어기(2)의 원격 조작기로서 제어기(1)를 조작할 때의 조작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추천 제어 정보가 설정된 액션 테이블(13a)을 이용하여 대응 맵(13b)을 생성하는 처리는 전술한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처리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생성된 대응 맵(13b)을 이용하여 제어기(1)를 피제어기(2)의 원격 조작기로서 사용할 때의 처리도 전술한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처리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3)
이하에, 실시형태 3에 따른 제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또, 본 실시형태 3의 제어 시스템은 전술한 실시형태 1의 제어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에 의해 실현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실시형태 1에서는,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 추천 제어 정보와 유사한 제어 정보가 있는 경우에, 이 추천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액션 정보와, 유사한 제어 정보를 대응시켜 대응 맵(13b)을 생성하는 구성이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 1에서는, 이러한 처리에서 제어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액션 정보를 조작 횟수가 많은 순서대로 판독하고, 액션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제어 정보를 프로파일 테이블(23a)의 선두로부터 순서대로 판독하며, 각각을 대응시켜 대응 맵(13b)을 생성하는 구성이었다.
이에 비해, 본 실시형태 3에서는,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정보에 대해 사용자가 임의로 우선도(처리 순서)를 설정해 두고, 조작 횟수가 많은 순서대로 액션 테이블(13a)로부터 액션 정보를 판독할 때에, 동일한 조작 횟수의 액션 정보를 복수개 판독한 경우에, 우선도를 고려하는 구성으로 한다. 즉, 본 실시형태 3의 제어기(1)는 유사한 제어 정보가 없는 추천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액션 정보를 조작 횟수가 많은 순서대로 판독했을 때에, 동일한 조작 횟수의 액션 정보가 복수개 있는 경우, 우선도가 높은 액션 정보로부터 순서대로, 프로파일 테이블(23a)로부터 판독된 제어 정보를 대응시켜 대응 맵(13b)을 생성한다.
본 실시형태 3의 제어기(1)에 있어서, 제어부(10)는 사용자가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 각 액션 정보에 우선도를 할당하기 위해 정해진 조작을 행한 경우,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설정 화면을 생성하여 표시부(15)에 표시시킨다. 도 14는 설정 화면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4에 도시하는 설정 화면은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정보의 각각에, 1, 2, 3…의 우선도(처리 순서)를 부여하기 위한 화면이다.
도 14에 도시하는 설정 화면에서는, 액션 정보의 각각에 대응하여, 1, 2, 3…의 우선도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란이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정해진 조작을 행함으로써, 액션 정보의 각각에 대해 우선도를 부여한다.
사용자는 도 14에 도시하는 설정 화면에 있어서, 각 액션 정보에 대해 우선도를 부여한 후, 이 대응 관계를 액션 테이블(13a)에 등록하고 싶은 경우, 제어기(1)를 배면 방향으로 1회 흔듦으로써 OK 버튼을 조작한다. 도 14에 도시하는 설정 화면에 있어서 OK 버튼이 조작된 경우, 제어기(1)의 제어부(처리 순서 접수부)(10)는 설정 화면을 통해 우선도 및 액션 정보를 접수한다. 제어부(처리 순서 기억 제어부)(10)는 접수된 우선도를, 접수된 액션 정보에 대응시켜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한다.
도 15는 액션 테이블(13a)의 저장 내용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3의 액션 테이블(13a)에는, 미리 설정된 액션 정보 및 추천 제어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우선도와, 순차적으로 갱신되는 조작 횟수가 저장된다.
한편, 사용자는 도 14에 도시하는 설정 화면에 있어서, 각 액션 정보에 대해 우선도를 부여하는 처리를 중단하고 싶은 경우, 제어기(1)를 좌측 방향으로 1회 흔든 후, 우측 방향으로 1회 흔듦으로써 캔슬 버튼을 조작한다. 도 14에 도시하는 설정 화면에 있어서 캔슬 버튼이 조작된 경우, 제어기(1)의 제어부(10)는 설정 화면을 통한 우선도의 설정 처리를 종료시킨다.
이하에, 본 실시형태 3의 제어기(1)에 있어서, 제어부(10)가 메모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 3의 제어기(1)에 있어서도, 제어부(10)는 도 5에 도시한 각 기능을 실현한다.
본 실시형태 3의 맵 생성부(10c)는 전술한 실시형태 1의 맵 생성부(10c)와 마찬가지로, 메모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테이블(13a)과, 피제어기(2)로부터 취득하여 메모리부(13)에 저장한 프로파일 테이블(23a)에 기초하여, 대응 맵(13b)을 생성한다.
본 실시형태 3의 맵 생성부(10c)도, 먼저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된 추천 제어 정보와, 프로파일 테이블(23a)에 저장된 제어 정보를 비교하여, 어느 하나의 추천 제어 정보와 유사한 제어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도 15에 도시하는 액션 테이블(13a)과, 도 4에 도시하는 프로파일 테이블(23a)에 있어서도, 맵 생성부(10c)는 프로파일 테이블(23a)의 제어 정보 「Set File」, 「Copy Num」, 「Cancel」의 각각이 액션 테이블(13a)의 추천 제어 정보 「Set File」, 「Num」, 「Cancel」의 각각과 유사하다고 판단한다.
맵 생성부(10c)는 어느 하나의 추천 제어 정보와 유사한 제어 정보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 이 추천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액션 정보를 액션 테이블(13a)로부터 판독한다. 맵 생성부(10c)는 판독된 액션 정보에, 이 추천 제어 정보와 유사하다고 판단된 제어 정보를 대응시켜 대응 맵(13b)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맵 생성부(10c)는 액션 테이블(13a)의 액션 정보 중에서, 전술한 처리에서 제어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액션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액션 정보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 맵 생성부(10c)는 제어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액션 정보를, 조작 횟수가 많은 순서대로 액션 테이블(13a)로부터 판독한다. 여기서는, 조작 횟수 「6」의 액션 정보 「좌측 방향으로 2회 흔든다」 및 「우측 방향으로 2회 흔든다」가 판독된다.
맵 생성부(10c)는 판독된 액션 정보가 복수개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맵 생성부(10c)는 동일한 조작 횟수의 액션 정보가 복수개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는, 2개의 액션 정보 「좌측 방향으로 2회 흔든다」 및 「우측 방향으로 2회 흔든다」가 판독되기 때문에, 맵 생성부(10c)는 판독된 액션 정보가 복수개 있다고 판단한다.
판독된 액션 정보가 복수개 있다고 판단한 경우, 맵 생성부(10c)는 판독된 액션 정보 중에서 우선도가 높은 액션 정보를 특정한다. 한편, 맵 생성부(10c)는 프로파일 테이블(23a)의 제어 정보 중에서, 전술한 처리에서 액션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제어 정보를 프로파일 테이블(23a)의 선두로부터 순서대로 판독한다. 그리고, 맵 생성부(10c)는 우선도가 높은 액션 정보와, 프로파일 테이블(23a)로부터 판독된 제어 정보를 대응시켜 대응 맵(13b)에 저장한다.
또한, 맵 생성부(10c)는 동일한 조작 횟수의 액션 정보를 복수개 판독한 경우에, 다음으로 우선도가 높은 액션 정보를 특정하고, 특정된 액션 정보와, 다음으로 프로파일 테이블(23a)로부터 판독된 제어 정보를 대응시켜 대응 맵(13b)에 저장한다. 맵 생성부(10c)는 동일한 조작 횟수의 액션 정보 모두에 대해 제어 정보를 할당한다.
여기서는, 액션 정보 「좌측 방향으로 2회 흔든다」의 우선도가 액션 정보 「우측 방향으로 2회 흔든다」의 우선도보다 높기 때문에, 먼저 액션 정보 「좌측 방향으로 2회 흔든다」와, 제어 정보 「Black and White」가 대응 맵(13b)에 저장된다. 그리고, 액션 정보 「우측 방향으로 2회 흔든다」와, 제어 정보 「Color」가 대응 맵(13b)에 저장된다.
도 16은 실시형태 3의 대응 맵(13b)의 저장 내용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전술한 처리에 의해, 본 실시형태 3의 제어기(1)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대응 맵(13b)을 생성한다. 맵 생성부(10c)는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액션 정보에 대해, 프로파일 테이블(23a)에 저장되어 있는 어느 하나의 제어 정보를 각각 대응시켜 대응 맵(13b)에 저장할 때까지 전술한 처리를 실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3에서는,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정보의 각각에 우선도를 부여해 둔다. 따라서, 대응 맵(13b)을 생성할 때에,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 각 액션 정보의 조작 횟수가 동일한 경우에는 우선도를 고려함으로써, 조작 횟수가 동일한 액션 정보에 대해서도 적절한 순서로 제어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 3의 제어기(1)에 있어서, 맵 생성부(10c) 이외의 각부는 전술한 실시형태 1의 각부와 동일한 처리를 실행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 본 실시형태 3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기(1)가 피제어기(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대응 맵(13b)을 생성하는 처리에 대해 흐름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7 내지 도 19는 대응 맵(13b)의 생성 처리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의 처리는 제어기(1)의 메모리부(13)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부(10)에 의해 실행되고, 피제어기(2)의 메모리부(23)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부(20)에 의해 실행된다. 또한, 도 17에서는, 파선으로 구획된 2개의 영역에 있어서, 좌측 영역에 제어기(1)의 제어부(10)에 의한 처리를, 우측 영역에 피제어기(2)의 제어부(20)에 의한 처리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제어기(1)의 제어부(10)는 피제어기(2)와의 통신이 개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31), 개시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S31: NO), 개시될 때까지 대기한다. 피제어기(2)와의 통신이 개시되었다고 판단한 경우(S31: YES), 제어부(10)는 피제어기(2)에 프로파일 테이블(23a)을 요구한다(S32). 피제어기(2)의 제어부(20)는 제어기(1)와의 통신이 개시된 후, 제어기(1)로부터 프로파일 테이블(23a)을 요구받은 경우, 메모리부(23)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파일 테이블(23a)을 판독하여, 제어기(1)에 송신한다(S33).
제어기(1)의 제어부(10)는 피제어기(2)로부터 프로파일 테이블(23a)을 취득한 경우(S34), 취득된 프로파일 테이블(23a)을 메모리부(13)에 저장시킨다(S35). 제어부(10)는 메모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테이블(13a) 및 프로파일 테이블(23a)에 기초하여 대응 맵(13b)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는 프로파일 테이블(23a)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정보에 있어서,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 추천 제어 정보 중 어느 하나와 유사한 제어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6). 추천 제어 정보 중 어느 하나와 유사한 제어 정보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S36: YES), 제어부(10)는 이 추천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액션 정보와, 이 추천 제어 정보와 유사하다고 판단된 제어 정보를 대응시켜 대응 맵(13b)에 저장한다(S37).
제어부(10)는 단계 S36으로 처리를 되돌려,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 추천 제어 정보 중 어느 하나와 유사한, 다른 제어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6). 제어부(10)는 추천 제어 정보 중 어느 하나와 유사한 제어 정보가 없다고 판단할 때까지, 단계 S36, S37의 처리를 반복한다. 제어부(10)는 추천 제어 정보 중 어느 하나와 유사한 제어 정보가 없다고 판단한 경우(S36: NO),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정보에 있어서, 전술한 처리에서 제어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미할당) 액션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8).
제어부(10)는 제어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액션 정보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S38: YES), 미할당 액션 정보 중에서, 조작 횟수가 가장 많은 액션 정보를 액션 테이블(13a)로부터 판독한다(S39). 제어부(10)는 판독된 액션 정보가 복수개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40), 복수개 있다고 판단한 경우(S40: YES),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 우선도가 높은 쪽의 액션 정보를 특정한다(S41).
제어부(10)는 프로파일 테이블(23a)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정보에 있어서, 전술한 처리에서 액션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제어 정보 중에서, 프로파일 테이블(23a)의 선두에 가장 가까운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정보를 프로파일 테이블(23a)로부터 판독한다(S42). 제어부(10)는 단계 S41에서 특정된 액션 정보와, 단계 S42에서 판독된 제어 정보를 대응시켜 대응 맵(13b)에 저장한다(S43).
제어부(10)는 단계 S39에서 판독된 액션 정보 중에서, 제어 정보가 아직 할당되지 않은(미할당) 액션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4). 제어 정보가 아직 할당되지 않은 액션 정보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S44: YES), 제어부(10)는 단계 S39에서 판독된 복수의 액션 정보 중에서, 다음으로 우선도가 높은 액션 정보를 특정한다(S45).
제어부(10)는 프로파일 테이블(23a)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정보에 있어서, 아직 액션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제어 정보 중에서, 프로파일 테이블(23a)의 선두에 가장 가까운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정보를 판독한다(S46). 제어부(10)는 단계 S45에서 특정된 액션 정보와, 단계 S46에서 판독된 제어 정보를 대응시켜 대응 맵(13b)에 저장한다(S47).
단계 S40에서, 판독된 액션 정보가 복수개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S40: NO), 제어부(10)는 단계 S46으로 처리를 이행하고, 아직 액션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제어 정보 중에서, 프로파일 테이블(23a)의 선두에 가장 가까운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정보를 판독한다(S46). 제어부(10)는 단계 S39에서 판독된 액션 정보와, 단계 S46에서 판독된 제어 정보를 대응시켜 대응 맵(13b)에 저장한다(S47).
제어부(10)는 단계 S44로 처리를 되돌려, 단계 S39에서 판독된 액션 정보 중에서, 제어 정보가 아직 할당되지 않은 액션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4). 제어부(10)는 단계 S39에서 판독된 모든 액션 정보의 각각에 제어 정보를 할당할 때까지, 단계 S44∼S47의 처리를 반복한다. 제어부(10)는 단계 S39에서 판독된 액션 정보 중에서, 제어 정보가 아직 할당되지 않은 액션 정보가 없다고 판단한 경우(S44: NO), 단계 S38로 처리를 되돌린다.
제어부(10)는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정보에 있어서, 제어 정보가 아직 할당되지 않은 액션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8). 제어부(10)는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액션 정보의 각각에 제어 정보를 할당할 때까지, 단계 S38∼S47의 처리를 반복한다. 제어부(10)는 제어 정보가 아직 할당되지 않은 액션 정보가 없다고 판단한 경우(S38: NO),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통지 화면을 생성한다(S48).
제어부(10)는 생성된 통지 화면을 표시부(15)에 표시시키고(S49), 대응 맵(13b)에 저장된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의 대응 관계를 통지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전술한 대응 맵(13b)의 생성 처리를 종료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3에서는, 대응 맵(13b)을 생성할 때에,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 각 액션 정보의 조작 횟수가 동일한 경우에는 우선도를 고려한다. 따라서, 조작 횟수가 동일한 액션 정보에 대해서도 적절한 순서로 제어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전술한 처리에 의해 제어기(1)가 대응 맵(13b)을 생성한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기(1)가 피제어기(2)의 원격 조작기로서 동작할 때의 처리는 전술한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처리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실시형태 3에서는, 조작 횟수가 동일한 액션 정보를 액션 테이블(13a)로부터 복수개 판독한 경우에, 우선도가 높은 액션 정보로부터 순서대로 제어 정보를 할당하는 구성이었다.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조작 횟수는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우선도가 높은 액션 정보로부터 순서대로 제어 정보를 할당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 추천 제어 정보와 유사한 제어 정보와, 이 추천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액션 정보를 대응시켜 대응 맵(13b)에 저장한 후에, 우선도가 높은 순서로 액션 테이블(13a)로부터 판독된 액션 정보와, 프로파일 테이블(23a)의 선두로부터 순서대로 판독된 제어 정보를 대응시켜 대응 맵(13b)에 저장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실시형태 4)
이하에, 실시형태 4에 따른 제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또, 본 실시형태 4의 제어 시스템은 전술한 실시형태 1의 제어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에 의해 실현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실시형태 1에서는,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 추천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액션 정보와, 이 추천 제어 정보와 유사한 제어 정보를 대응시켜 대응 맵(13b)을 생성하는 구성이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 1은 이 처리에서 제어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액션 정보에 대해서는, 조작 횟수가 많은 순서대로 제어 정보를 대응시켜 대응 맵(13b)을 생성하는 구성이었다.
이에 비해, 본 실시형태 4에서는, 생성한 대응 맵(13b)에 대해, 실제로 사용자가 제어기(1)를 조작함으로써 피제어기(2)를 동작시킨 횟수(제어 횟수)를 축적하는 구성으로 한다. 그리고, 실행 횟수가 정해진 수 이상인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를, 다음에 대응 맵(13b)을 생성할 때에 그대로 사용하는 구성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 4의 제어기(1)는 도 2에 도시한 실시형태 1의 제어기(1)와 동일한 구성 외에, 도 20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누적 정보 테이블(13c)을 메모리부(13)에 저장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 4의 제어기(1)가 생성하는 대응 맵(13b)은 도 20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맵이다.
도 20은 실시형태 4의 대응 맵(13b) 및 누적 정보 테이블(13c)의 저장 내용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형태 4의 대응 맵(13b)은 도 20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어기(1)에 대해 행하는 액션을 나타내는 액션 정보와, 피제어기(2)가 갖는 각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와, 이 액션 정보에 의해 대응하는 기능을 피제어기(2)에 실행시킨 실행 횟수(제어 횟수)를 각각 대응시켜 저장한다.
즉, 본 실시형태 4의 대응 맵(13b)은 도 6에 도시한 실시형태 1의 대응 맵(13b)에 실행 횟수 란을 추가한 구성이다. 본 실시형태 4의 대응 맵(13b)은 제어부(10)[맵 생성부(10c)]에 의해 생성되고, 어느 하나의 액션 정보가 나타내는 액션에 의해 대응하는 기능을 피제어기(2)에 실행시킨 경우에, 제어부(10)에 의해 실행 횟수가 갱신된다.
누적 정보 테이블(제어 횟수 기억부)(13c)은 도 20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어기(1)에 대해 행하는 액션을 나타내는 액션 정보와, 피제어기(2)가 갖는 각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와, 이 액션 정보에 의해 대응하는 기능을 피제어기(2)에 실행시킨 실행 횟수의 누적을 나타내는 누적 실행 횟수를 각각 대응시켜 저장한다. 즉, 누적 정보 테이블(13c)은, 대응 맵(13b)과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고, 대응 맵(13b)의 실행 횟수 대신에, 누적 실행 횟수 란을 갖고 있다. 누적 정보 테이블(13c)의 저장 내용은 제어기(1)와 피제어기(2)의 통신이 차단될 때마다, 제어부(10)에 의해 갱신된다.
이하에, 본 실시형태 4의 제어기(1)에 있어서, 제어부(10)가 메모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21은 실시형태 4의 제어기(1)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 4의 제어기(1)에 있어서, 제어부(10)는 도 5에 도시한 각 기능 외에, 누적 정보 갱신부(10i)의 기능을 실현한다. 또, 도 21에서는 프로파일 테이블 취득부(10b), 맵 생성부(10c) 및 대응 관계 통지부(10d)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 4의 맵 생성부(10c)는 피제어기(2)로부터 취득된 프로파일 테이블(23a)과, 메모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테이블(13a) 및 누적 정보 테이블(13c)에 기초하여, 대응 맵(13b)을 생성한다.
본 실시형태 4의 맵 생성부(10c)는 먼저 누적 정보 테이블(13c)에 저장되어 있는 누적 실행 횟수가 정해진 수(예컨대 3회) 이상인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의 세트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누적 실행 횟수가 정해진 수 이상인 세트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 맵 생성부(10c)는 이 세트의 액션 정보가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 이 세트의 제어 정보가 프로파일 테이블(23a)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세트의 액션 정보가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고, 이 세트의 제어 정보가 프로파일 테이블(23a)에 저장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 맵 생성부(10c)는 이 세트의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를 대응 맵(13b)에 저장한다. 이때, 맵 생성부(10c)는 이 세트에 대응하는 실행 횟수에 0을 저장한다. 또, 이 세트의 액션 정보가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및/또는 이 세트의 제어 정보가 프로파일 테이블(23a)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맵 생성부(10c)는 대응 맵(13b)에 저장하지 않는다.
맵 생성부(10c)는 누적 정보 테이블(13c)에 저장되어 있는 누적 실행 횟수가 정해진 수 이상인 모든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에 대해 전술한 처리를 실행하여 대응 맵(13b)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맵 생성부(10c)는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정보 중에서, 전술한 처리에서 제어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액션 정보와, 프로파일 테이블(23a)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정보 중에서, 전술한 처리에서 액션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제어 정보를 대응시킨다.
맵 생성부(10c)는 제어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액션 정보에 대응하는 추천 제어 정보와, 액션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제어 정보를 비교하여, 어느 하나의 추천 제어 정보와 유사한 제어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맵 생성부(10c)는 어느 하나의 추천 제어 정보와 유사한 제어 정보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 이 추천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액션 정보를 액션 테이블(13a)로부터 판독한다. 맵 생성부(10c)는 판독된 액션 정보에, 이 추천 제어 정보와 유사하다고 판단된 제어 정보를 대응시켜 대응 맵(13b)에 저장한다. 이때, 맵 생성부(10c)는 이 세트에 대응하는 실행 횟수에 0을 저장한다.
다음으로, 맵 생성부(10c)는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정보 중에서, 전술한 2가지 처리에서 제어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액션 정보와, 프로파일 테이블(23a)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정보 중에서, 전술한 2가지 처리에서 액션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제어 정보를 대응시킨다.
맵 생성부(10c)는 제어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액션 정보를, 조작 횟수가 많은 순서대로 액션 테이블(13a)로부터 판독하고, 액션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제어 정보를 프로파일 테이블(23a)의 선두로부터 순서대로 판독한다. 맵 생성부(10c)는 각각 판독된 순서대로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를 대응시켜 대응 맵(13b)에 저장한다. 이때, 맵 생성부(10c)는 이 세트에 대응하는 실행 횟수에 0을 저장한다.
전술한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맵 생성부(10c)는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액션 정보에 대해, 프로파일 테이블(23a)에 저장되어 있는 어느 하나의 제어 정보를 각각 대응시켜 대응 맵(13b)에 저장한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 맵 생성부(10c)는 도 20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대응 맵(13b)을 생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4에서는, 이미 실행 횟수가 정해진 수 이상인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의 각 세트를 대응 맵(13b)에 저장함으로써, 이미 사용자가 정해진 수 이상 실행한 적이 있는 조작을 재차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 4의 제어 정보 확인부(10g)는 전술한 실시형태 1의 제어 정보 확인부(10g)와 동일한 처리를 실행하고, 제어 정보 판정부(10f)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제어기(1)에 대해 행한 액션과, 이 액션에 대해 피제어기(2)가 실행하는 처리가 적절한지의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한다.
본 실시형태 4의 제어 정보 확인부(10g)는 사용자에게 통지한 액션 및 기능이 적절하다는 취지를 접수한 경우, 통지한 액션을 나타내는 액션 정보와, 통지한 기능을 나타내는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실행 횟수를 갱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정보 확인부(10g)는 통지된 액션을 나타내는 액션 정보와, 통지한 기능을 나타내는 제어 정보에 대응하여 대응 맵(13b)에 저장되어 있는 실행 횟수에 1을 가산한다. 그리고, 제어 정보 확인부(10g)는 제어 정보 판정부(10f)로부터 통지된 제어 정보를 제어 정보 송신부(10h)에 통지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 4의 제어 정보 확인부(10g)는 사용자에게 통지한 액션 및 기능이 적절하지 않다는 취지를 접수한 경우, 아무것도 수행하지 않고 처리를 종료한다.
본 실시형태 4의 통신 상황 검지부(10a)는 제어기(1)와 피제어기(2) 사이의 거리가 정해진 거리보다 가까워짐으로써, 피제어기(2)와의 통신이 개시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고, 제어기(1)와 피제어기(2) 사이의 거리가 정해진 거리보다 멀어짐으로써, 피제어기(2)와의 통신이 차단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지한다. 통신 상황 검지부(10a)는 피제어기(2)와의 통신이 차단된 것을 검지한 경우, 그 취지를 누적 정보 갱신부(10i)에 통지한다.
누적 정보 갱신부(제어 횟수 갱신부)(10i)는 피제어기(2)와의 통신이 차단된 것을 통신 상황 검지부(10a)로부터 통지받은 경우, 대응 맵(13b)의 저장 내용에 기초하여 누적 정보 테이블(13c)을 갱신한다. 구체적으로는, 누적 정보 갱신부(10i)는 대응 맵(13b)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정보, 제어 정보 및 실행 횟수의 각 세트에 있어서, 실행 횟수가 0이 아닌 세트의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된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누적 정보 테이블(13c)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동일한 정보가 누적 정보 테이블(13c)에 저장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 누적 정보 갱신부(10i)는, 동일한 정보에 대응시켜 누적 정보 테이블(13c)에 저장되어 있는 누적 실행 횟수에, 대응 맵(13b)으로부터 판독된 실행 횟수를 가산하여, 누적 실행 횟수를 갱신한다. 한편, 동일한 정보가 누적 정보 테이블(13c)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누적 정보 갱신부(10i)는 대응 맵(13b)으로부터 판독된 액션 정보, 제어 정보 및 실행 횟수를 각각, 누적 정보 테이블(13c)의 액션 정보, 제어 정보 및 누적 실행 횟수 란에 저장하여, 누적 정보 테이블(13c)을 갱신한다.
도 22는 누적 정보 테이블(13c)의 저장 내용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2에 도시하는 누적 정보 테이블(13c)은 도 20의 (a)에 도시한 대응 맵(13b)의 저장 내용에 기초하여, 도 20의 (b)에 도시한 누적 정보 테이블(13c)의 저장 내용을 갱신한 경우의 누적 정보 테이블(13c)이다. 본 실시형태 4에서는, 이와 같이, 피제어기(2)와의 통신이 차단된 후에 순차적으로 갱신되는 누적 정보 테이블(13c)을 이용하여 대응 맵(13b)을 생성한다. 이에 따라, 제어기(1)의 사용자가 실제로 피제어기(2)를 동작시키기 위해 제어기(1)에 대해 행한 액션을 대응 맵(13b)에 등록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 4의 제어기(1)에 있어서, 통신 상황 검지부(10a), 프로파일 테이블 취득부(10b), 대응 관계 통지부(10d), 액션 검지부(10e), 제어 정보 판정부(10f), 제어 정보 송신부(10h)는 전술한 실시형태 1의 각부와 동일한 처리를 실행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 본 실시형태 4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기(1)가 피제어기(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대응 맵(13b)을 생성하는 처리에 대해 흐름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3 및 도 24는 대응 맵(13b)의 생성 처리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의 처리는 제어기(1)의 메모리부(13)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부(10)에 의해 실행되고, 피제어기(2)의 메모리부(23)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부(20)에 의해 실행된다. 또한, 도 23에서는, 파선으로 구획된 2개의 영역에 있어서, 좌측 영역에 제어기(1)의 제어부(10)에 의한 처리를, 우측 영역에 피제어기(2)의 제어부(20)에 의한 처리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제어기(1)의 제어부(10)는 피제어기(2)와의 통신이 개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51), 개시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S51: NO), 개시될 때까지 대기한다. 피제어기(2)와의 통신이 개시되었다고 판단한 경우(S51: YES), 제어부(10)는 피제어기(2)에 프로파일 테이블(23a)을 요구한다(S52). 피제어기(2)의 제어부(20)는 제어기(1)와의 통신이 개시된 후, 제어기(1)로부터 프로파일 테이블(23a)을 요구받은 경우, 메모리부(23)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파일 테이블(23a)을 판독하여, 제어기(1)에 송신한다(S53).
제어기(1)의 제어부(10)는 피제어기(2)로부터 프로파일 테이블(23a)을 취득한 경우(S54), 취득된 프로파일 테이블(23a)을 메모리부(13)에 저장시킨다(S55). 제어부(10)는 메모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테이블(13a), 누적 정보 테이블(13c) 및 프로파일 테이블(23a)에 기초하여 대응 맵(13b)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는 누적 정보 테이블(13c)에 저장되어 있는 누적 실행 횟수가 정해진 수 이상인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의 세트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56). 누적 실행 횟수가 정해진 수 이상인 세트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S56: YES), 제어부(10)는 이 세트의 액션 정보가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고, 이 세트의 제어 정보가 프로파일 테이블(23a)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57).
이 세트의 액션 정보가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이 세트의 제어 정보가 프로파일 테이블(23a)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S57: NO), 제어부(10)는 단계 S56으로 처리를 되돌린다. 이 세트의 액션 정보가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고, 이 세트의 제어 정보가 프로파일 테이블(23a)에 저장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S57: YES), 제어부(10)는 이 세트의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를 대응 맵(13b)에 저장한다(S58). 또, 제어부(10)는 이 세트에 대응하는 실행 횟수로서 0을 대응 맵(13b)에 저장한다.
제어부(10)는 단계 S56으로 처리를 되돌려, 누적 실행 횟수가 정해진 수 이상인 다른 세트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56). 제어부(10)는 누적 실행 횟수가 정해진 수 이상인 세트가 없다고 판단할 때까지, 단계 S56∼S58의 처리를 반복한다. 제어부(10)는 누적 실행 횟수가 정해진 수 이상인 다른 세트가 없다고 판단한 경우(S56: NO), 아직 액션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제어 정보에 있어서, 아직 제어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액션 정보에 대응하는 추천 제어 정보 중 어느 하나와 유사한 제어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59).
추천 제어 정보 중 어느 하나와 유사한 제어 정보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S59: YES), 제어부(10)는 이 추천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액션 정보와, 이 추천 제어 정보와 유사하다고 판단된 제어 정보를 대응시켜 대응 맵(13b)에 저장한다(S60). 또, 제어부(10)는 이 세트에 대응하는 실행 횟수로서 0을 대응 맵(13b)에 저장한다. 제어부(10)는 단계 S59로 처리를 되돌려, 아직 제어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액션 정보에 대응하는 추천 제어 정보 중 어느 하나와 유사한, 다른 제어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59).
제어부(10)는 추천 제어 정보 중 어느 하나와 유사한 제어 정보가 없다고 판단할 때까지, 단계 S59, S60의 처리를 반복한다. 제어부(10)는 추천 제어 정보 중 어느 하나와 유사한 제어 정보가 없다고 판단한 경우(S59: NO), 아직 제어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액션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61).
제어부(10)는 아직 제어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액션 정보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S61: YES), 미할당 액션 정보 중에서, 조작 횟수가 가장 많은 액션 정보를 액션 테이블(13a)로부터 판독한다(S62). 제어부(10)는 아직 액션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제어 정보 중에서, 프로파일 테이블(23a)의 선두에 가장 가까운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정보를 프로파일 테이블(23a)로부터 판독한다(S63).
제어부(10)는 단계 S62에서 판독된 액션 정보와, 단계 S63에서 판독된 제어 정보를 대응시켜 대응 맵(13b)에 저장한다(S64). 또, 제어부(10)는 이 세트에 대응하는 실행 횟수로서 0을 대응 맵(13b)에 저장한다. 제어부(10)는 단계 S61로 처리를 되돌려, 아직 제어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액션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61). 제어부(10)는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액션 정보의 각각에 제어 정보를 할당할 때까지, 단계 S61∼S64의 처리를 반복한다.
제어부(10)는 아직 제어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액션 정보가 없다고 판단한 경우(S61: NO),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통지 화면을 생성한다(S65). 제어부(10)는 생성된 통지 화면을 표시부(15)에 표시시키고(S66), 대응 맵(13b)에 저장된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의 대응 관계를 통지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전술한 대응 맵(13b)의 생성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 4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기(1)가 피제어기(2)의 원격 조작기로서 동작할 때의 처리에 대해 흐름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5는 제어기(1)가 피제어기(2)의 동작을 제어할 때의 처리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의 처리는 제어기(1)의 메모리부(13)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부(10)에 의해 실행되고, 피제어기(2)의 메모리부(23)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부(20)에 의해 실행된다. 또한, 도 25에서는, 파선으로 구획된 2개의 영역에 있어서, 좌측 영역에 제어기(1)의 제어부(10)에 의한 처리를, 우측 영역에 피제어기(2)의 제어부(20)에 의한 처리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제어기(1)의 제어부(10)는 각종 센서(14)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제어기(1)에 대해,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정보의 각각이 나타내는 액션 중 어느 하나를 행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71). 어떠한 액션도 행해지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S71: NO), 제어부(10)는 대기한다. 어느 하나의 액션이 행해졌다고 판단한 경우(S71: YES), 제어부(10)는 실행을 검지한 액션을 나타내는 액션 정보를 액션 테이블(13a)로부터 판독하고, 판독된 액션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대응 맵(13b)에서 특정한다(S72).
제어부(10)는 단계 S71에서 실행을 검지한 액션과, 단계 S72에서 특정된 제어 정보가 나타내는 피제어기(2)의 처리가 적절한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 화면을 생성하여, 표시부(15)에 표시한다(S73). 제어부(10)는 확인 화면을 통해 OK 버튼이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74), OK 버튼이 조작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S74: NO), 즉, 캔슬 버튼이 조작된 경우, 단계 S71로 처리를 되돌린다.
제어부(10)는 확인 화면을 통해 OK 버튼이 조작되었다고 판단한 경우(S74: YES), 액션 테이블(13a)을 갱신한다(S75).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는 실행을 검지한 액션의 액션 정보에 대응하여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 조작 횟수에 1을 가산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대응 맵(13b)을 갱신한다(S76).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는 단계 S71에서 실행을 검지한 액션을 나타내는 액션 정보와, 단계 S72에서 특정된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실행 횟수에 1을 가산한다.
제어부(10)는 단계 S72에서 특정된 제어 정보를 피제어기(2)에 송신한다(S77). 피제어기(2)의 제어부(20)는 제어기(1)로부터 제어 정보를 취득한 경우, 취득된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한다(S78). 이에 따라, 제어기(1)가 피제어기(2)의 원격 조작기로서 동작할 때의 처리는 종료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 4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기(1)가 피제어기(2)로부터 정해진 거리 이상 떨어진 경우에 제어기(1)가 수행하는 누적 정보 테이블(13c)의 갱신 처리에 대해 흐름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6은 제어기(1)에 의한 누적 정보 테이블(13c)의 갱신 처리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의 처리는 제어기(1)의 메모리부(13)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부(10)에 의해 실행된다.
제어기(1)의 제어부(10)는 피제어기(2)와의 통신이 차단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81), 차단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S81: NO), 그 외의 처리를 실행하고 대기한다. 피제어기(2)와의 통신이 차단되었다고 판단한 경우(S81: YES), 제어부(10)는 대응 맵(13b)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정보, 제어 정보 및 실행 횟수의 각 세트에 있어서, 실행 횟수가 0이 아닌 세트의 정보를 판독한다(S82). 제어부(10)는 판독된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누적 정보 테이블(13c)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83).
동일한 정보가 누적 정보 테이블(13c)에 저장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S83: YES), 제어부(10)는 동일한 정보에 대응시켜 누적 정보 테이블(13c)에 저장되어 있는 누적 실행 횟수에, 대응 맵(13b)으로부터 판독된 실행 횟수를 가산하여, 누적 실행 횟수를 갱신한다(S84). 동일한 정보가 누적 정보 테이블(13c)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S83: NO), 제어부(10)는 대응 맵(13b)으로부터 판독된 액션 정보, 제어 정보 및 실행 횟수를 대응시켜 누적 정보 테이블(13c)에 저장한다(S85).
제어부(10)는 대응 맵(13b)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정보, 제어 정보 및 실행 횟수의 각 세트에 있어서, 실행 횟수가 0이 아닌 세트의 정보를 모두 판독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86). 모든 정보를 판독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S86: NO), 제어부(10)는 단계 S82로 처리를 되돌려, 실행 횟수가 0이 아닌 다른 세트의 정보를 대응 맵(13b)으로부터 판독한다(S82). 제어부(10)는 실행 횟수가 0이 아닌 세트의 정보를 모두 판독할 때까지, 단계 S82∼S86의 처리를 반복한다.
제어부(10)는 실행 횟수가 0이 아닌 세트의 정보를 모두 판독했다고 판단한 경우(S86: YES), 대응 맵(13b)을 메모리부(13)로부터 삭제하고(S87), 전술한 누적 정보 테이블(13c)의 갱신 처리를 종료한다. 또, 제어기(1)가 생성한 대응 맵(13b)을, 제어기(1)가 피제어기(2)로부터 취득된 기기 프로파일 및 기기명의 정보에 대응시켜 메모리부(13)에 저장하도록 제어기(1)를 구성할 수도 있다. 기기 프로파일에 대응시켜 대응 맵(13b)을 메모리부(13)에 저장하는 제어기(1)에 있어서, 제어부(10)는 대응 맵(13b)을 메모리부(13)로부터 삭제하는 처리 대신에, 대응 맵(13b)에 저장된 실행 횟수를 모두 1로 초기화하는 처리를 실행하면 된다. 또한, 기기명에 대응시켜 대응 맵(13b)을 메모리부(13)에 저장하는 제어기(1)에 있어서, 제어부(10)는 대응 맵(13b)을 메모리부(13)로부터 삭제하는 처리 대신에, 대응 맵(13b)에 저장된 실행 횟수를 모두 0으로 초기화하는 처리를 실행하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4에서는 사용자가 피제어기(2)를 조작하기 위해 제어기(1)에 대해 정해진 횟수 이상 실행한 적이 있는 액션을 나타내는 액션 정보와, 피제어기(2)의 처리를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새롭게 생성하는 대응 맵(13b)에도 등록해 둔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많이 조작하여 익숙해진 액션으로 피제어기(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조작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 4에서는, 프린터인 피제어기(2)에 대해 누적 정보 테이블(13c)을 생성하는 처리에 대해 설명하였다. 따라서, 누적 정보 테이블(13c)은 피제어기(2)의 기기 프로파일마다 생성되고, 기기 프로파일마다 메모리부(13)에 저장된다. 그러나, 예컨대 누적 정보 테이블(13c)에 기기 프로파일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란을 마련함으로써, 복수의 피제어기(2)에 대해 생성된 누적 정보 테이블(13c)의 내용을 하나의 누적 정보 테이블(13c)에 저장시켜도 된다.
본 실시형태 4는 전술한 실시형태 1의 변형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형태 4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형태 2, 3에도 적용될 수 있다.
(실시형태 5)
이하에, 실시형태 5에 따른 제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또, 본 실시형태 5의 제어 시스템은 전술한 실시형태 4의 제어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에 의해 실현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실시형태 4에서는, 대응 맵(13b)에 있어서, 실제로 사용자가 제어기(1)를 조작함으로써 피제어기(2)를 동작시킨 횟수(실행 횟수)를 축적하는 구성이었다. 또한, 실시형태 4에서는, 실행 횟수가 정해진 수 이상인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의 대응 관계를, 다음에 대응 맵(13b)을 생성할 때에 그대로 사용하는 구성이었다.
이에 비해, 본 실시형태 5에서는, 대응 맵(13b)에 있어서, 실제로 사용자가 제어기(1)를 조작함으로써 피제어기(2)를 동작시킨 횟수(실행 횟수)를 실행 시간대마다 축적하는 구성으로 한다. 그리고, 대응 맵(13b)을 생성할 때의 시간대에서의 실행 횟수가 정해진 수 이상인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의 대응 관계를, 다음에 대응 맵(13b)을 생성할 때에 그대로 사용하는 구성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 5의 제어기(1)에 있어서, 메모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누적 정보 테이블(13c)은 도 2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테이블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 5의 제어기(1)가 생성하는 대응 맵(13b)은 도 2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맵이다.
도 27은 실시형태 5의 대응 맵(13b) 및 누적 정보 테이블(13c)의 저장 내용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형태 5의 대응 맵(13b)은 도 2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어기(1)에 대해 행하는 액션을 나타내는 액션 정보와, 피제어기(2)가 갖는 각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와, 이 액션 정보에 의해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시킨 실행 시간대와, 이 실행 시간대에 실행시킨 실행 횟수를 각각 대응시켜 저장한다. 본 실시형태 5의 대응 맵(13b)은 제어부(10)[맵 생성부(10c)]에 의해 생성되고, 어느 하나의 액션 정보가 나타내는 액션에 의해 대응하는 기능을 피제어기(2)에 실행시킨 경우에, 제어부(10)에 의해 실행 시간대 및 실행 횟수가 갱신된다.
본 실시형태 5의 누적 정보 테이블(13c)은 도 2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어기(1)에 대해 행하는 액션을 나타내는 액션 정보와, 피제어기(2)가 갖는 각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와, 이 액션 정보에 의해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시킨 실행 시간대와, 이 실행 시간대에 실행시킨 실행 횟수의 누적을 나타내는 누적 실행 횟수를 각각 대응시켜 저장한다. 대응 맵(13b) 및 누적 정보 테이블(13c)에 저장되는 실행 시간대는 예컨대 오전 중의 시간대(AM), 정오로부터 오후 5시까지의 시간대(PM1), 오후 5시 이후의 시간대(PM2) 등의 시간대를 나타낸다. 그러나, 실행 시간대는 이러한 시간대에 한정되지 않고, 1시간 단위의 시간대여도 되고, 수시간 단위의 시간대여도 된다.
이하에, 본 실시형태 5의 제어기(1)에 있어서, 제어부(10)가 메모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 5의 제어기(1)에 있어서, 제어부(10)는 도 5 및 도 21에 도시한 실시형태 4의 제어기(1)와 동일한 기능을 실현한다.
본 실시형태 5의 맵 생성부(10c)는 피제어기(2)로부터 취득된 프로파일 테이블(23a)과, 메모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테이블(13a) 및 누적 정보 테이블(13c)에 기초하여, 대응 맵(13b)을 생성한다.
본 실시형태 5의 맵 생성부(생성 시간대 판정부)(10c)는, 먼저 시계가 나타내는 현재 시각에 기초하여, 현재 시각을 포함하는 시간대를, AM, PM1, PM2 중에서 판정한다. 맵 생성부(10c)는 판정된 시간대와 동일한 실행 시간대에 대응하여 누적 정보 테이블(13c)에 저장되어 있는 누적 실행 횟수가 정해진 수(예컨대 3회) 이상인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의 세트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누적 실행 횟수가 정해진 수 이상인 세트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 맵 생성부(10c)는 이 세트의 액션 정보가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 이 세트의 제어 정보가 프로파일 테이블(23a)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세트의 액션 정보가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고, 이 세트의 제어 정보가 프로파일 테이블(23a)에 저장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 맵 생성부(10c)는 이 세트의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를 대응 맵(13b)에 저장한다. 이때, 맵 생성부(10c)는 이 세트에 대응하는 실행 횟수에 0을 저장하고, 실행 시간대에는 아무것도 저장하지 않는다. 이 세트의 액션 정보가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및/또는 이 세트의 제어 정보가 프로파일 테이블(23a)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맵 생성부(10c)는 대응 맵(13b)에 저장하지 않는다.
맵 생성부(10c)는 판정된 시간대와 동일한 실행 시간대에 대응하여 누적 정보 테이블(13c)에 저장되어 있는 누적 실행 횟수가 정해진 수 이상인 모든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에 대해 전술한 처리를 실행하여 대응 맵(13b)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맵 생성부(10c)는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정보 중에서, 전술한 처리에서 제어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액션 정보와, 프로파일 테이블(23a)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정보 중에서, 전술한 처리에서 액션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제어 정보를 대응시킨다.
맵 생성부(10c)는 제어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액션 정보에 대응하는 추천 제어 정보와, 액션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제어 정보를 비교하여, 어느 하나의 추천 제어 정보와 유사한 제어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맵 생성부(10c)는 어느 하나의 추천 제어 정보와 유사한 제어 정보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 이 추천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액션 정보를 액션 테이블(13a)로부터 판독한다. 맵 생성부(10c)는 판독된 액션 정보에, 이 추천 제어 정보와 유사하다고 판단된 제어 정보를 대응시켜 대응 맵(13b)에 저장한다. 이때, 맵 생성부(10c)는 이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실행 횟수에 0을 저장하고, 실행 시간대에는 아무것도 저장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맵 생성부(10c)는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정보 중에서, 전술한 2가지 처리에서 제어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액션 정보와, 프로파일 테이블(23a)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정보 중에서, 전술한 2가지 처리에서 액션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제어 정보를 대응시킨다.
맵 생성부(10c)는 제어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액션 정보를, 조작 횟수가 많은 순서대로 액션 테이블(13a)로부터 판독하고, 액션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제어 정보를 프로파일 테이블(23a)의 선두로부터 순서대로 판독한다. 맵 생성부(10c)는 각각 판독된 순서대로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를 대응시켜 대응 맵(13b)에 저장한다. 이때, 맵 생성부(10c)는 이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실행 횟수에 0을 저장하고, 실행 시간대에는 아무것도 저장하지 않는다.
전술한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맵 생성부(10c)는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액션 정보에 대해, 프로파일 테이블(23a)에 저장되어 있는 어느 하나의 제어 정보를 각각 대응시켜 대응 맵(13b)에 저장한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 맵 생성부(10c)는 도 2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대응 맵(13b)을 생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5에서는, 대응 맵(13b)을 생성할 때의 시간대와 동일 시간대에 있어서 이미 정해진 횟수 이상의 실행 실적이 있는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를 대응시켜 대응 맵(13b)에 저장한다. 이에 따라, 제어기(1)를 이용하여 피제어기(2)를 조작하는 시간대마다, 사용자가 조작하기 쉬운 액션에 의한 피제어기(2)의 제어가 가능해진다. 사용자가 시간대마다 상이한 액션에 의해 피제어기(2)의 각 기능을 실행시키는 경향에 있는 경우에는, 시간대마다 사용자의 조작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 5의 제어 정보 확인부(10g)는 전술한 실시형태 1의 제어 정보 확인부(10g)와 동일한 처리를 실행하고, 제어 정보 판정부(10f)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제어기(1)에 대해 행한 액션과, 이 액션에 대해 피제어기(2)가 수행하는 처리가 적절한지의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한다.
본 실시형태 5의 제어 정보 확인부(10g)는 사용자에게 통지한 액션 및 기능이 적절하다는 취지를 접수한 경우, 대응 맵(13b)을 갱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정보 확인부(제어 시간대 판정부)(10g)는 이 시점에서 시계가 나타내는 현재 시각에 기초하여, 현재 시각을 포함하는 시간대를 판정한다. 제어 정보 확인부(10g)는 통지한 액션을 나타내는 액션 정보와, 통지한 기능을 나타내는 제어 정보에 대응하여 대응 맵(13b)에 저장되어 있는 실행 시간대가 판정된 시간대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대응하는 실행 시간대가 판정된 시간대이면, 제어 정보 확인부(10g)는, 대응하는 실행 횟수에 1을 가산한다. 또한, 대응하는 실행 시간대가 판정된 시간대가 아니면, 제어 정보 확인부(10g)는 통지한 액션을 나타내는 액션 정보와, 통지한 기능을 나타내는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실행 시간대로서, 판정된 시간대를 대응 맵(13b)에 저장하고, 대응하는 실행 횟수로서 1을 대응 맵(13b)에 저장한다.
제어 정보 확인부(10g)는 제어 정보 판정부(10f)로부터 통지된 제어 정보를 제어 정보 송신부(10h)에 통지한다. 또, 본 실시형태 5의 제어 정보 확인부(10g)도 사용자에게 통지한 액션 및 기능이 적절하지 않다는 취지를 접수한 경우, 아무것도 수행하지 않고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 5의 누적 정보 갱신부(10i)는 피제어기(2)와의 통신이 차단된 것을 통신 상황 검지부(10a)로부터 통지받은 경우, 대응 맵(13b)의 저장 내용에 기초하여 누적 정보 테이블(13c)을 갱신한다. 구체적으로는, 누적 정보 갱신부(10i)는 대응 맵(13b)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정보, 제어 정보, 실행 시간대 및 실행 횟수의 각 세트에 있어서, 실행 횟수가 0이 아닌 세트의 정보를 판독한다. 누적 정보 갱신부(10i)는 판독된 액션 정보, 제어 정보 및 실행 시간대와 동일한 정보가 누적 정보 테이블(13c)에 저장되어 있으면, 동일한 정보에 대응시켜 누적 정보 테이블(13c)에 저장되어 있는 누적 실행 횟수에, 대응 맵(13b)으로부터 판독된 실행 횟수를 가산하여, 누적 실행 횟수를 갱신한다.
한편, 동일한 정보가 누적 정보 테이블(13c)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누적 정보 갱신부(10i)는 대응 맵(13b)으로부터 판독된 액션 정보, 제어 정보, 실행 시간대 및 실행 횟수를 각각, 누적 정보 테이블(13c)의 액션 정보, 제어 정보, 실행 시간대 및 누적 실행 횟수 란에 저장하여, 누적 정보 테이블(13c)을 갱신한다.
본 실시형태 5의 제어기(1)에 있어서, 통신 상황 검지부(10a), 프로파일 테이블 취득부(10b), 대응 관계 통지부(10d), 액션 검지부(10e), 제어 정보 판정부(10f), 제어 정보 송신부(10h)는 전술한 실시형태 1, 4의 각부와 동일한 처리를 실행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 본 실시형태 5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기(1)가 피제어기(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대응 맵(13b)을 생성하는 처리에 대해 흐름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8 및 도 29는 대응 맵(13b)의 생성 처리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의 처리는 제어기(1)의 메모리부(13)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부(10)에 의해 실행되고, 피제어기(2)의 메모리부(23)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부(20)에 의해 실행된다. 또한, 도 28에서는, 파선으로 구획된 2개의 영역에 있어서, 좌측 영역에 제어기(1)의 제어부(10)에 의한 처리를, 우측 영역에 피제어기(2)의 제어부(20)에 의한 처리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제어기(1)의 제어부(10)는 피제어기(2)와의 통신이 개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91), 개시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S91: NO), 개시될 때까지 대기한다. 피제어기(2)와의 통신이 개시되었다고 판단한 경우(S91: YES), 제어부(10)는 피제어기(2)에 프로파일 테이블(23a)을 요구한다(S92). 피제어기(2)의 제어부(20)는 제어기(1)와의 통신이 개시된 후, 제어기(1)로부터 프로파일 테이블(23a)을 요구받은 경우, 메모리부(23)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파일 테이블(23a)을 판독하여, 제어기(1)에 송신한다(S93).
제어기(1)의 제어부(10)는 피제어기(2)로부터 프로파일 테이블(23a)을 취득한 경우(S94), 취득된 프로파일 테이블(23a)을 메모리부(13)에 저장시킨다(S95). 제어부(10)는 메모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테이블(13a), 누적 정보 테이블(13c) 및 프로파일 테이블(23a)에 기초하여 대응 맵(13b)을 생성한다. 제어부(10)는 시계가 나타내는 현재 시각에 기초하여 현재의 시간대를 판정한다(S96). 제어부(10)는 판정된 시간대와 동일한 실행 시간대에 대응하여 누적 정보 테이블(13c)에 저장되어 있는 누적 실행 횟수가 정해진 수 이상인 액션 정보, 제어 정보 및 실행 시간대의 세트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97).
누적 실행 횟수가 정해진 수 이상인 세트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S97: YES), 제어부(10)는 이 세트의 액션 정보가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고, 이 세트의 제어 정보가 프로파일 테이블(23a)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98). 이 세트의 액션 정보가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및/또는 이 세트의 제어 정보가 프로파일 테이블(23a)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S98: NO), 제어부(10)는 단계 S97로 처리를 되돌린다.
이 세트의 액션 정보가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고, 이 세트의 제어 정보가 프로파일 테이블(23a)에 저장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S98: YES), 제어부(10)는 이 세트의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를 대응 맵(13b)에 저장한다(S99). 또, 제어부(10)는 이 세트에 대응하는 실행 횟수로서 0을 대응 맵(13b)에 저장하고, 대응하는 실행 시간대에는 아무것도 저장하지 않는다. 제어부(10)는 단계 S97로 처리를 되돌려, 누적 실행 횟수가 정해진 수 이상인 다른 세트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97). 제어부(10)는 누적 실행 횟수가 정해진 수 이상인 세트가 없다고 판단할 때까지, 단계 S97∼S99의 처리를 반복한다. 제어부(10)는 누적 실행 횟수가 정해진 수 이상인 다른 세트가 없다고 판단한 경우(S97: NO), 아직 액션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제어 정보에 있어서, 아직 제어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액션 정보에 대응하는 추천 제어 정보 중 어느 하나와 유사한 제어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0).
추천 제어 정보 중 어느 하나와 유사한 제어 정보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S100: YES), 제어부(10)는 이 추천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액션 정보와, 이 추천 제어 정보와 유사하다고 판단된 제어 정보를 대응시켜 대응 맵(13b)에 저장한다(S101). 또, 제어부(10)는 이 세트에 대응하는 실행 횟수로서 0을 대응 맵(13b)에 저장하고, 대응하는 실행 시간대에는 아무것도 저장하지 않는다. 제어부(10)는 단계 S100으로 처리를 되돌려, 아직 제어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액션 정보에 대응하는 추천 제어 정보 중 어느 하나와 유사한, 다른 제어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0).
제어부(10)는 추천 제어 정보 중 어느 하나와 유사한 제어 정보가 없다고 판단할 때까지, 단계 S100, S101의 처리를 반복한다. 제어부(10)는 추천 제어 정보 중 어느 하나와 유사한 제어 정보가 없다고 판단한 경우(S100: NO), 아직 제어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액션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2).
제어부(10)는 아직 제어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액션 정보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S102: YES), 미할당 액션 정보 중에서, 조작 횟수가 가장 많은 액션 정보를 액션 테이블(13a)로부터 판독한다(S103). 제어부(10)는 아직 액션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제어 정보 중에서, 프로파일 테이블(23a)의 선두에 가장 가까운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정보를 프로파일 테이블(23a)로부터 판독한다(S104).
제어부(10)는 단계 S103에서 판독된 액션 정보와, 단계 S104에서 판독된 제어 정보를 대응시켜 대응 맵(13b)에 저장한다(S105). 또, 제어부(10)는 이 세트에 대응하는 실행 횟수로서 0을 대응 맵(13b)에 저장하고, 대응하는 실행 시간대에는 아무것도 저장하지 않는다. 제어부(10)는 단계 S102로 처리를 되돌려, 아직 제어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액션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2). 제어부(10)는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액션 정보의 각각에 제어 정보를 할당할 때까지, 단계 S102∼S105의 처리를 반복한다.
제어부(10)는 아직 제어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액션 정보가 없다고 판단한 경우(S102: NO),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통지 화면을 생성한다(S106). 제어부(10)는 생성된 통지 화면을 표시부(15)에 표시시키고(S107), 대응 맵(13b)에 저장된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의 대응 관계를 통지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전술한 대응 맵(13b)의 생성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 5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기(1)가 피제어기(2)의 원격 조작기로서 동작할 때의 처리에 대해 흐름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30은 제어기(1)가 피제어기(2)의 동작을 제어할 때의 처리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의 처리는 제어기(1)의 메모리부(13)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부(10)에 의해 실행되고, 피제어기(2)의 메모리부(23)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부(20)에 의해 실행된다. 또한, 도 30에서는, 파선으로 구획된 2개의 영역에 있어서, 좌측 영역에 제어기(1)의 제어부(10)에 의한 처리를, 우측 영역에 피제어기(2)의 제어부(20)에 의한 처리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제어기(1)의 제어부(10)는 각종 센서(14)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제어기(1)에 대해,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정보의 각각이 나타내는 액션 중 어느 하나를 행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11). 어떠한 액션도 행해지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S111: NO), 제어부(10)는 대기한다. 어느 하나의 액션이 행해졌다고 판단한 경우(S111: YES), 제어부(10)는 실행을 검지한 액션을 나타내는 액션 정보를 액션 테이블(13a)로부터 판독하고, 판독된 액션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대응 맵(13b)에서 특정한다(S112).
제어부(10)는 단계 S111에서 실행을 검지한 액션과, 단계 S112에서 특정된 제어 정보가 나타내는 피제어기(2)의 처리가 적절한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 화면을 생성하여, 표시부(15)에 표시한다(S113). 제어부(10)는 확인 화면을 통해 OK 버튼이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114), OK 버튼이 조작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S114: NO), 즉 캔슬 버튼이 조작된 경우, 단계 S111로 처리를 되돌린다.
제어부(10)는 확인 화면을 통해 OK 버튼이 조작되었다고 판단한 경우(S114: YES), 실행을 검지한 액션의 액션 정보에 대응하여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 조작 횟수에 1을 가산하여, 액션 테이블(13a)을 갱신한다(S115). 제어부(10)는 시계가 나타내는 현재 시각에 기초하여 현재의 시간대를 판정한다(S116). 제어부(10)는 단계 S111에서 실행을 검지한 액션을 나타내는 액션 정보와, 단계 S112에서 특정된 제어 정보와, 단계 S116에서 판정된 시간대와 동일한 실행 시간대에 대응하는 실행 횟수에 1을 가산하여, 대응 맵(13b)을 갱신한다(S117).
또, 단계 S111에서 실행을 검지한 액션을 나타내는 액션 정보와, 단계 S112에서 특정된 제어 정보에 대응하여, 단계 S116에서 판정된 시간대와 동일한 실행 시간대가 대응 맵(13b)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0)는 이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실행 시간대에, 단계 S116에서 판정된 시간대를 저장하고, 대응하는 실행 횟수에 1을 저장한다.
제어부(10)는 단계 S112에서 특정된 제어 정보를 피제어기(2)에 송신한다(S118). 피제어기(2)의 제어부(20)는 제어기(1)로부터 제어 정보를 취득한 경우, 취득된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한다(S119). 이에 따라, 제어기(1)가 피제어기(2)의 원격 조작기로서 동작할 때의 처리는 종료된다.
다음으로, 제어기(1)가 피제어기(2)로부터 정해진 거리 이상 떨어진 경우에 제어기(1)가 수행하는 누적 정보 테이블(13c)의 갱신 처리에 대해 흐름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31은 제어기(1)에 의한 누적 정보 테이블(13c)의 갱신 처리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의 처리는 제어기(1)의 메모리부(13)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부(10)에 의해 실행된다.
제어기(1)의 제어부(10)는 피제어기(2)와의 통신이 차단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121), 차단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S121: NO), 그 외의 처리를 실행하고 대기한다. 피제어기(2)와의 통신이 차단되었다고 판단한 경우(S121: YES), 제어부(10)는 대응 맵(13b)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정보, 제어 정보, 실행 시간대 및 실행 횟수의 각 세트에 있어서, 실행 횟수가 0이 아닌 세트의 정보를 판독한다(S122). 제어부(10)는 판독된 액션 정보, 제어 정보 및 실행 시간대와 동일한 정보가 누적 정보 테이블(13c)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23).
동일한 정보가 누적 정보 테이블(13c)에 저장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S123: YES), 제어부(10)는 동일한 정보에 대응시켜 누적 정보 테이블(13c)에 저장되어 있는 누적 실행 횟수에, 대응 맵(13b)으로부터 판독된 실행 횟수를 가산하여, 누적 실행 횟수를 갱신한다(S124). 동일한 정보가 누적 정보 테이블(13c)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S123: NO), 제어부(10)는 대응 맵(13b)으로부터 판독된 액션 정보, 제어 정보, 실행 시간대 및 실행 횟수를 대응시켜 누적 정보 테이블(13c)에 저장한다(S125).
제어부(10)는 대응 맵(13b)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정보, 제어 정보, 실행 시간대 및 실행 횟수의 각 세트에 있어서, 실행 횟수가 0이 아닌 세트의 정보를 모두 판독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26). 모든 정보를 판독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S126: NO), 제어부(10)는 단계 S122로 처리를 되돌려, 실행 횟수가 0이 아닌 다른 세트의 정보를 대응 맵(13b)으로부터 판독한다(S122). 제어부(10)는 실행 횟수가 0이 아닌 세트의 정보를 모두 판독할 때까지, 단계 S122∼S126의 처리를 반복한다.
제어부(10)는 실행 횟수가 0이 아닌 세트의 정보를 모두 판독했다고 판단한 경우(S126: YES), 대응 맵(13b)을 메모리부(13)로부터 삭제하고(S127), 전술한 누적 정보 테이블(13c)의 갱신 처리를 종료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5에서는, 각 시간대에 있어서 사용자가 피제어기(2)를 제어하기 위해 제어기(1)에 대해 정해진 횟수 이상 조작한 적이 있는 액션을 나타내는 액션 정보와, 피제어기(2)의 처리를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새롭게 생성하는 대응 맵(13b)에도 등록해 둔다. 이에 따라, 시간대마다 사용자가 제어기(1)를 이용하여 피제어기(2)를 조작하는 빈도에 따른 대응 맵(13b)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시간대마다 실행 빈도가 많은 액션으로 피제어기(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조작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6)
이하에, 실시형태 6에 따른 제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또, 본 실시형태 6의 제어 시스템은 전술한 실시형태 5의 제어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에 의해 실현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실시형태 5에서는, 실제로 사용자가 제어기(1)를 조작함으로써 피제어기(2)를 동작시킨 횟수(실행 횟수)를 실행 시간대마다 축적하는 구성이었다. 이에 비해, 본 실시형태 6은 실제로 사용자가 제어기(1)를 조작함으로써 피제어기(2)를 동작시킨 횟수(실행 횟수)를 실행 장소마다 축적하는 구성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 6의 제어기(1)는 현재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 검출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위치 검출부는 예컨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복수의 GPS 위성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전파(GPS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기(1)의 현재 위치를 검출한다. 또, 검출된 현재 위치는 위도, 경도 및 표고(標高)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로서 취득된다.
본 실시형태 6의 제어기(1)에 있어서, 메모리부(13)에는, 사용자가 제어기(1)를 사용할 가능성이 있는 장소(자택, 직장 등)를 나타내는 정보와, 각각의 장소를 특정하는 위치 정보가 대응하여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기(1)의 제어부(10)는 위치 검출부가 현재 위치를 검출한 경우, 취득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메모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어떠한 장소인지를 판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 6의 제어기(1)에 있어서, 메모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누적 정보 테이블(13c)은 도 3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테이블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 6의 제어기(1)가 생성하는 대응 맵(13b)은 도 3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맵이다.
도 32는 실시형태 6의 대응 맵(13b) 및 누적 정보 테이블(13c)의 저장 내용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형태 6의 대응 맵(13b)은 도 3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어기(1)에 대해 행하는 액션을 나타내는 액션 정보와, 피제어기(2)가 갖는 각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와, 이 액션 정보에 의해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시킨 실행 장소와, 이 실행 장소에서 실행시킨 실행 횟수를 각각 대응시켜 저장한다. 본 실시형태 6의 대응 맵(13b)은 제어부(10)[맵 생성부(10c)]에 의해 생성되고, 어느 하나의 액션 정보가 나타내는 액션에 의해 대응하는 기능을 피제어기(2)에 실행시킨 경우에, 제어부(10)에 의해 실행 장소 및 실행 횟수가 갱신된다.
본 실시형태 6의 누적 정보 테이블(13c)은 도 3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어기(1)에 대해 행하는 액션을 나타내는 액션 정보와, 피제어기(2)가 갖는 각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와, 이 액션 정보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시킨 실행 장소(제어 위치)와, 이 실행 장소에서의 실행 횟수의 누적을 나타내는 누적 실행 횟수를 각각 대응시켜 저장한다.
대응 맵(13b) 및 누적 정보 테이블(13c)에 저장되는 실행 장소는 제어기(1)의 위치 검출부가 검출한 위치에 대응하여 미리 메모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장소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그러나, 실행 장소는 이러한 정보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위치 검출부가 취득한 위치 정보를 그대로 이용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 6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기(1)가 피제어기(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대응 맵(13b)을 생성하는 처리, 제어기(1)가 피제어기(2)의 원격 조작기로서 동작할 때의 처리, 제어기(1)가 수행하는 누적 정보 테이블(13c)의 갱신 처리 등은 전술한 실시형태 1∼5에서 설명한 처리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또, 본 실시형태 6의 제어기(1)는 전술한 실시형태 5의 제어기(1)가 취급하는 실행 시간대의 정보 대신에 실행 장소의 정보를 이용한다.
본 실시형태 6은 전술한 실시형태 5의 변형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전술한 실시형태 5와 조합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기(1)는 실제로 사용자가 제어기(1)를 조작함으로써 피제어기(2)를 동작시킨 실행 횟수를, 실행 시간대 및 실행 장소마다 관리한다. 그리고, 제어기(1)는 대응 맵(13b)을 생성할 때의 시간대 및 장소에 기초하여, 대응 맵(13b)을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피제어기(2)를 조작할 때의 시간대 및 실행 장소를 고려한 대응 맵(13b)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형태 7)
이하에, 실시형태 7에 따른 제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또, 본 실시형태 7의 제어 시스템은 전술한 실시형태 1의 제어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실시형태 1에서는, 제어기(1)는 자신의 메모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테이블(13a)과, 피제어기(2)로부터 취득된 프로파일 테이블(23a)에 기초하여 대응 맵(13b)을 생성하는 구성이었다.
이에 비해, 본 실시형태 7에서는, 피제어기(2)의 프로파일 테이블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설치하고, 제어기(1)는 자신의 메모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테이블(13a)과, 관리 서버로부터 취득된 프로파일 테이블에 기초하여 대응 맵(13b)을 생성하는 구성으로 한다.
도 33은 실시형태 7의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형태 7의 제어 시스템은 제어기(1) 및 피제어기(2) 외에, 관리 서버(관리 장치)(3)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 7의 제어기(1) 및 피제어기(2)는 전술한 실시형태 1의 제어기(1) 및 피제어기(2)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 7의 제어기(1)는 피제어기(2)와의 사이에서 단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 외에,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한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기(1)는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버(3)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이하에, 본 실시형태 7의 제어 시스템에서의 제어기(1), 피제어기(2) 및 관리 서버(3)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4는 실시형태 7의 제어기(1) 및 피제어기(2)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5는 관리 서버(3)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 7의 제어기(1)는 도 2에 도시한 구성 외에, 무선 통신부(17)를 구비한다. 무선 통신부(17)는 네트워크(N)를 통해 다른 장치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무선 통신부(17)는 제어부(1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네트워크에 설치된 가장 가까운 무선 액세스 포인트(N1)와의 접속을 확립하고, 가장 가까운 무선 액세스 포인트(N1)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본 실시형태 7의 제어기(1)는 무선 통신부(17)를 통해 관리 서버(3)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한다.
본 실시형태 7의 피제어기(2)는 도 2에 도시한 구성에 있어서, 프로파일 테이블(23a) 대신에 프로파일 데이터(23b)를 메모리부(식별 정보 기억부)(23)에 저장한다. 프로파일 데이터(23b)는 피제어기(2)의 기종을 나타내는 기기 프로파일과, 피제어기(2)를 식별하기 위한 기기명을 포함한다. 즉, 프로파일 데이터(23b)는 도 4에 도시한 프로파일 테이블(23a)의 첫번째 기능 정보와 두번째 기능 정보이다.
본 실시형태 7의 관리 서버(3)는 예컨대 공지된 서버 컴퓨터이다. 관리 서버(3)는 제어부(30),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이하, HDD라고 함)(33), 통신부(34) 등을 구비한다. 이들 하드웨어 각부는 버스(3a)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제어부(30)는 CPU 또는 MPU 등이다. 제어부(30)는 정해진 타이밍에 따라, HDD(33)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적절하게 실행한다. 또한, 제어부(30)는 전술한 하드웨어 각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HDD(33)는 대용량의 기억 장치이다. HDD(33)는 관리 서버(3)로서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여러 가지 제어 프로그램을 미리 저장하고 있다. 또한, HDD(33)는, 복수의 프로파일 테이블(제어 정보 기억부)(33a)을 저장한다. 프로파일 테이블(33a)은 피제어기(2)의 기기 프로파일 및 기기명의 정보마다 HDD(33)에 저장된다. 또, 본 실시형태 7의 프로파일 테이블(33a)의 각각은 도 4에 도시한 프로파일 테이블(23a)과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통신부(34)는 네트워크(N)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통신부(34)는 네트워크(N)를 통해 다른 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한다. 본 실시형태 7의 관리 서버(3)는 무선 통신부(17)를 통해 제어기(1)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한다.
전술한 구성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기(1)의 제어부(10)가 메모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기능은 도 5에 도시한 각 기능과 동일하다. 단, 실시형태 1의 프로파일 테이블 취득부(10b)가 피제어기(2)로부터 프로파일 테이블(23a)을 취득하는 구성이었던 데 비해, 본 실시형태 7의 프로파일 테이블 취득부(10b)는 관리 서버(3)로부터 프로파일 테이블(33a)을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 7의 프로파일 테이블 취득부(식별 정보 요구부)(10b)는 제어기(1)와 피제어기(2)의 통신이 개시된 경우, 피제어기(2)에 프로파일 데이터(식별 정보)(23b)를 요구한다. 피제어기(2)의 제어부(20)는 단거리 무선 통신부(25)를 통해 제어기(1)와의 통신이 개시된 후, 제어기(1)로부터 프로파일 데이터(23b)를 요구받은 경우, 프로파일 데이터(23b)를 메모리부(23)로부터 판독하여 제어기(1)에 송신한다.
프로파일 테이블 취득부(식별 정보 취득부)(10b)는 피제어기(2)로부터 송신된 프로파일 데이터(23b)를 취득하고, 취득된 프로파일 데이터(23b)를 관리 서버(3)에 송신한다. 이에 따라, 프로파일 테이블 취득부(요구부)(10b)는 프로파일 데이터(23b)에 대응하는 프로파일 테이블(33a)을 관리 서버(3)에 요구한다. 관리 서버(3)의 제어부(30)는 제어기(1)로부터 프로파일 테이블(33a)을 요구받은 경우, 요구된 프로파일 테이블(33a)을 HDD(33)로부터 판독하여 제어기(1)에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관리 서버(3)의 제어부(30)는 제어기(1)로부터 수신된 프로파일 데이터(23b)에 관련되는 프로파일 테이블(33a)을 HDD(33)로부터 검색하여, 검색 가능한 경우에 프로파일 테이블(33a)을 제어기(1)에 송신한다. 제어기(1)의 프로파일 테이블 취득부(10b)는 관리 서버(3)로부터 송신된 프로파일 테이블(33a)을 취득하여, 메모리부(13)에 저장시킨다.
본 실시형태 7의 맵 생성부(10c)는 프로파일 테이블 취득부(10b)가 관리 서버(3)로부터 취득된 프로파일 테이블(33a)과, 메모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테이블(13a)에 기초하여,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대응 맵(13b)을 생성한다. 또, 맵 생성부(10c)가 대응 맵(13b)을 생성하는 처리는 전술한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처리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 본 실시형태 7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기(1)가 피제어기(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대응 맵(13b)을 생성하는 처리에 대해 흐름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 제어기(1)의 제어부(10)가 대응 맵(13b)을 생성하는 처리는 전술한 실시형태 1의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한 처리와 동일하며, 동일 처리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36은 실시형태 7의 대응 맵(13b)의 생성 처리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의 처리는 제어기(1)의 메모리부(13)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부(10)에 의해 실행되고, 피제어기(2)의 메모리부(23)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부(20)에 의해 실행되며, 관리 서버(3)의 HDD(33)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부(30)에 의해 실행된다.
또한, 도 36에서는, 파선으로 구획된 3개의 영역에 있어서, 좌측 영역에 관리 서버(3)의 제어부(30)에 의한 처리를, 중앙 영역에 제어기(1)의 제어부(10)에 의한 처리를, 우측 영역에 피제어기(2)의 제어부(20)에 의한 처리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또, 도 36에 도시하는 처리는 도 9에 도시한 처리 중 단계 S1∼S4를 대신하는 처리이다.
제어기(1)의 제어부(10)는 피제어기(2)와의 통신이 개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131), 개시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S131: NO), 개시될 때까지 대기한다. 피제어기(2)와의 통신이 개시되었다고 판단한 경우(S131: YES), 제어부(10)는 피제어기(2)에 프로파일 데이터(23b)를 요구한다(S132). 피제어기(2)의 제어부(20)는 제어기(1)와의 통신이 개시된 후, 제어기(1)로부터 프로파일 데이터(23b)를 요구받은 경우, 메모리부(23)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파일 데이터(23b)를 판독하여, 제어기(1)에 송신한다(S133).
제어기(1)의 제어부(10)는 피제어기(2)로부터 프로파일 데이터(23b)를 취득한 경우(S134), 취득된 프로파일 데이터(23b)에 대응하는 프로파일 테이블(33a)을 관리 서버(3)에 요구한다(S135). 관리 서버(3)의 제어부(30)는 제어기(1)로부터 프로파일 테이블(33a)을 요구받은 경우, 요구된 프로파일 테이블(33a)을 HDD(33)로부터 판독하고, 판독된 프로파일 테이블(33a)을 제어기(1)에 송신한다(S136).
제어기(1)의 제어부(10)는 관리 서버(3)로부터 프로파일 테이블(33a)을 취득한 경우(S137), 도 9 중의 단계 S5로 처리를 이행하고, 단계 S5 이후의 처리를 계속한다. 또, 이후의 처리의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7에서는, 피제어기(2)의 각각에 대응한 대응 맵(13b)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파일 테이블(33a)을 관리 서버(3)가 관리한다. 그리고, 제어기(1)는 대응 맵(13b)을 생성할 때에 원하는 프로파일 테이블(33a)을 관리 서버(3)로부터 취득한다. 이에 따라, 기기 프로파일 및 기기명의 정보인 프로파일 데이터(23b)만을 저장하는 종래의 전기 기기도, 본원에 개시하는 제어 시스템에서의 피제어기(2)로서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 7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기(1)가 피제어기(2)의 원격 조작기로서 동작할 때의 처리는 전술한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처리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 7은 전술한 실시형태 1의 변형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형태 7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형태 2∼6에도 적용될 수 있다.
(실시형태 8)
이하에, 실시형태 8에 따른 제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또, 본 실시형태 8의 제어 시스템은 전술한 실시형태 7의 제어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에 의해 실현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실시형태 7에서는, 제어기(1)는 자신의 메모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테이블(13a)과, 관리 서버(3)로부터 취득된 프로파일 테이블(33a)에 기초하여 대응 맵(13b)을 생성하는 구성이었다.
본 실시형태 8에서는 전술한 실시형태 7의 구성에 더하여, 전술한 실시형태 4와 같이, 실제로 사용자가 제어기(1)를 조작함으로써 피제어기(2)를 동작시킨 횟수(실행 횟수)를 고려한 대응 맵(13b)을 생성하는 구성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기(1)가 복수개 존재하는 것을 고려하여, 제어기(1)의 각각에 있어서 실제로 사용자가 제어기(1)를 조작함으로써 피제어기(2)를 동작시킨 횟수를 관리 서버(3)가 관리한다. 그리고, 실행 횟수가 정해진 수 이상인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쉬운 액션이라고 하여, 다음에 대응 맵(13b)을 생성할 때의 추천 정보로서 사용하는 구성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 8의 제어기(1)는 도 34에 도시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갖지만, 제어기(1)가 생성하는 대응 맵(송출 횟수 기억부)(13b)은 도 2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맵이다.
본 실시형태 8의 피제어기(2)는 도 34에 도시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 8의 관리 서버(3)는 도 35에 도시한 구성 외에, HDD(33)에 도 3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누적 정보 테이블(33b)과, 도 3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추천 정보 테이블(33c)을 저장하고 있다. 또, 누적 정보 테이블(33b) 및 추천 정보 테이블(33c)은 피제어기(2)의 기기 프로파일 및/또는 기기명에 대응하여 HDD(33)에 저장된다. 도 37은 실시형태 8의 누적 정보 테이블(33b) 및 추천 정보 테이블(33c)의 저장 내용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형태 8의 누적 정보 테이블(33b)은 도 20의 (b)에 도시한 누적 정보 테이블(13c)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 8의 누적 정보 테이블(33b)은 도 3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제어기(1)의 각각의 사용자가 피제어기(2)를 동작시키기 위해 제어기(1)에 대해 행하는 액션을 나타내는 액션 정보와, 피제어기(2)가 갖는 각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와, 각 사용자가 이 액션 정보에 따라 대응하는 기능을 피제어기(2)에 실행시킨 실행 횟수의 누적(총수)을 나타내는 누적 실행 횟수를 각각 대응시켜 저장한다. 누적 정보 테이블(33b)의 저장 내용은, 제어기(1)가 피제어기(2)와의 통신을 종료하고, 대응 맵(13b)에 저장된 정보를 관리 서버(3)에 송출할 때마다, 제어부(30)에 의해 갱신된다.
추천 정보 테이블(33c)은 누적 정보 테이블(33b)의 저장 내용에 기초하여, 제어부(30)에 의해 생성된다. 추천 정보 테이블(추천 정보 기억부)(33c)은 도 3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기(1)에 대해 행하는 액션을 나타내는 액션 정보와, 이 액션에 의해 피제어기(2)가 수행하는 기능을 추천하는 추천 정보가 대응하여 저장되어 있다.
이하에, 본 실시형태 8의 제어기(1)에 있어서, 제어부(10)가 메모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 8의 제어기(1)에 있어서, 제어부(10)는 도 5 및 도 21에 도시한 각 기능과 동일한 기능을 실현한다. 단, 본 실시형태 8의 제어부(10)는 누적 정보 갱신부(10i) 대신에 실행 정보 송신부(도시하지 않음)의 기능을 실현한다.
실행 정보 송신부(송신 횟수 송출부)는 피제어기(2)와의 통신이 차단된 것을 통신 상황 검지부(10a)로부터 통지받은 경우, 대응 맵(13b)의 저장 내용을 관리 서버(3)에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실행 정보 송신부는 대응 맵(13b)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정보, 제어 정보 및 실행 횟수의 각 세트에 있어서, 실행 횟수가 0이 아닌 세트의 정보를 판독한다. 실행 정보 송신부는 판독된 액션 정보, 제어 정보 및 실행 횟수를, 피제어기(2)의 기기 프로파일 및/또는 기기명과 함께 관리 서버(3)에 송신한다.
본 실시형태 8의 관리 서버(3)에 있어서, 제어부(합계 산출부)(30)는 제어기(1)로부터 액션 정보, 제어 정보 및 실행 횟수를 수신한 경우, 수신된 기기 프로파일 및/또는 기기명에 대응하는 누적 정보 테이블(33b)을 갱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0)는 수신된 기기 프로파일 및 기기명에 대응하는 누적 정보 테이블(33b)에, 수신된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동일한 정보가 누적 정보 테이블(33b)에 저장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30)는 동일한 정보에 대응시켜 누적 정보 테이블(33b)에 저장되어 있는 누적 실행 횟수에, 제어기(1)로부터 수신된 실행 횟수를 가산하여, 누적 실행 횟수를 갱신한다.
한편, 동일한 정보가 누적 정보 테이블(33b)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30)는 제어기(1)로부터 수신된 액션 정보, 제어 정보 및 실행 횟수를 각각, 누적 정보 테이블(33b)의 액션 정보, 제어 정보 및 누적 실행 횟수 란에 저장하여, 누적 정보 테이블(33b)을 갱신한다. 도 37의 (a)는 이렇게 하여 갱신된 누적 정보 테이블(33b)을 도시하고 있다.
관리 서버(3)의 제어부(30)는 누적 정보 테이블(33b)을 갱신한 후, 누적 정보 테이블(33b)의 저장 내용에 기초하여 추천 정보 테이블(33c)을 갱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0)는 누적 정보 테이블(33b)에 저장된 누적 실행 횟수가 정해진 수(예컨대, 5회) 이상인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누적 실행 횟수가 정해진 수 이상인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30)는 이 제어 정보를 추천 정보로서, 액션 정보와 함께 추천 정보 테이블(33c)에 저장한다. 또, 누적 실행 횟수가 정해진 수 이상인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가 없다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30)는 아무것도 수행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어기(1)의 각 사용자가 실제로 피제어기(2)를 동작시키기 위해 제어기(1)에 대해 행한 액션의 실행 횟수가 정해진 수 이상이 된 경우에, 이 액션에 대해, 이 액션에 의해 피제어기(2)가 실행하는 처리의 제어 정보를 추천 정보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추천 정보 테이블(33c)을 이용하여 대응 맵(13b)을 생성한 경우에는, 복수의 사용자가 피제어기(2)를 동작시킬 때에 제어기(1)에 대해 행하는 액션을 대응 맵(13b)에 등록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 8의 관리 서버(3)에 있어서, 제어부(30)는 제어기(1)로부터 프로파일 테이블(33a)을 요구받은 경우, 제어기(1)로부터 수신된 프로파일 데이터(23b)에 대응하는 추천 정보 테이블(33c)도 제어기(1)에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관리 서버(3)의 제어부(30)는 제어기(1)로부터 프로파일 데이터(23b)를 수신한 경우, 수신된 프로파일 데이터(23b)에 관련되는 프로파일 테이블(33a)과, 프로파일 데이터(23b)에 대응하여 HDD(33)에 저장되어 있는 추천 정보 테이블(33c)을 HDD(33)로부터 검색한다.
제어부(30)는 검색 가능한 경우에 프로파일 테이블(33a) 및 추천 정보 테이블(33c)을 제어기(1)에 송신한다. 또, 프로파일 데이터(23b)에 대응하는 추천 정보 테이블(33c)이 HDD(33)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30)는 프로파일 테이블(33a)만을 제어기(1)에 송신한다.
본 실시형태 8의 제어기(1)에 있어서, 프로파일 테이블 취득부(10b)는 관리 서버(3)로부터 송신된 프로파일 테이블(33a) 및 추천 정보 테이블(33c)을 취득하여, 메모리부(13)에 저장시킨다.
본 실시형태 8의 맵 생성부(10c)는 프로파일 테이블 취득부(10b)가 관리 서버(3)로부터 취득된 프로파일 테이블(33a) 및 추천 정보 테이블(33c)과, 메모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테이블(13a)에 기초하여,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대응 맵(13b)을 생성한다. 또, 프로파일 테이블 취득부(10b)가 관리 서버(3)로부터 추천 정보 테이블(33c)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 맵 생성부(10c)는 프로파일 테이블(33a) 및 액션 테이블(13a)에 기초하여 대응 맵(13b)을 생성한다.
본 실시형태 8의 맵 생성부(10c)는 먼저, 메모리부(13)에 추천 정보 테이블(33c)이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추천 정보 테이블(33c)이 메모리부(13)에 저장되어 있으면, 맵 생성부(10c)는 추천 정보 테이블(33c)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정보 및 추천 정보를 순차 판독한다. 맵 생성부(10c)는 추천 정보 테이블(33c)로부터 판독된 액션 정보가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 추천 정보 테이블(33c)로부터 판독된 추천 정보가 프로파일 테이블(33a)의 제어 정보 란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판독된 액션 정보가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고, 판독된 추천 정보가 프로파일 테이블(33a)의 제어 정보 란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맵 생성부(10c)는 대응시켜 대응 맵(13b)에 저장한다. 이때, 맵 생성부(10c)는 추천 정보를 제어 정보로서 저장하고, 이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실행 횟수에 0을 저장한다. 판독된 액션 정보가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및/또는 판독된 제어 정보가 프로파일 테이블(33a)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맵 생성부(10c)는 대응 맵(13b)에 저장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맵 생성부(10c)는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정보 중에서, 전술한 처리에서 제어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액션 정보와, 프로파일 테이블(23a)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정보 중에서, 전술한 처리에서 액션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제어 정보를 대응시킨다. 맵 생성부(10c)는 제어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액션 정보에 대응하는 추천 제어 정보와, 액션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제어 정보를 비교하여, 어느 하나의 추천 제어 정보와 유사한 제어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맵 생성부(10c)는 어느 하나의 추천 제어 정보와 유사한 제어 정보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 이 추천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액션 정보를 액션 테이블(13a)로부터 판독한다. 맵 생성부(10c)는 판독된 액션 정보에, 이 추천 제어 정보와 유사하다고 판단된 제어 정보를 대응시켜 대응 맵(13b)에 저장한다. 이때, 맵 생성부(10c)는 이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실행 횟수에 0을 저장한다.
다음으로, 맵 생성부(10c)는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정보 중에서, 전술한 2가지 처리에서 제어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액션 정보와, 프로파일 테이블(23a)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정보 중에서, 전술한 2가지 처리에서 액션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제어 정보를 대응시킨다.
맵 생성부(10c)는 제어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액션 정보를, 조작 횟수가 많은 순서대로 액션 테이블(13a)로부터 판독하고, 액션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제어 정보를 프로파일 테이블(23a)의 선두로부터 순서대로 판독한다. 맵 생성부(10c)는 각각 판독된 순서대로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를 대응시켜 대응 맵(13b)에 저장한다. 이때, 맵 생성부(10c)는 이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실행 횟수에 0을 저장한다.
전술한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맵 생성부(10c)는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액션 정보에 대해, 프로파일 테이블(23a)에 저장되어 있는 어느 하나의 제어 정보를 각각 대응시켜 대응 맵(13b)에 저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8에서는, 관리 서버(3)에 있어서 추천 정보로서 추천 정보 테이블(33c)에 등록된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의 각 세트를 대응 맵(13b)에 저장한다. 이에 따라, 이미 복수의 사용자에게 있어서 어느 정도의 실행 실적이 있는 조작을 대응 맵(13b)에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 8의 제어기(1)에 있어서, 전술한 구성 이외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형태 4, 7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처리를 실행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 본 실시형태 8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기(1)가 피제어기(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대응 맵(13b)을 생성하는 처리에 대해 흐름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38 내지 도 40은 대응 맵(13b)의 생성 처리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의 처리는 제어기(1)의 메모리부(13)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부(10)에 의해 실행되고, 피제어기(2)의 메모리부(23)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부(20)에 의해 실행되며, 관리 서버(3)의 HDD(33)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부(30)에 의해 실행된다. 또한, 도 38에서는, 파선으로 구획된 3개의 영역에 있어서, 좌측 영역에 관리 서버(3)의 제어부(30)에 의한 처리를, 중앙 영역에 제어기(1)의 제어부(10)에 의한 처리를, 우측 영역에 피제어기(2)의 제어부(20)에 의한 처리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제어기(1)의 제어부(10)는 피제어기(2)와의 통신이 개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141), 개시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S141: NO), 개시될 때까지 대기한다. 피제어기(2)와의 통신이 개시되었다고 판단한 경우(S141: YES), 제어부(10)는 피제어기(2)에 프로파일 데이터(23b)를 요구한다(S142). 피제어기(2)의 제어부(20)는 제어기(1)와의 통신이 개시된 후, 제어기(1)로부터 프로파일 데이터(23b)를 요구받은 경우, 메모리부(23)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파일 데이터(23b)를 판독하여, 제어기(1)에 송신한다(S143).
제어기(1)의 제어부(10)는 피제어기(2)로부터 프로파일 데이터(23b)를 취득한 경우(S144), 취득된 프로파일 데이터(23b)를 관리 서버(3)에 송신하고, 프로파일 데이터(23b)에 대응하는 프로파일 테이블(33a)을 관리 서버(3)에 요구한다(S145). 관리 서버(3)의 제어부(30)는 제어기(1)로부터 프로파일 테이블(33a)을 요구받은 경우, 요구된 프로파일 테이블(33a) 및 추천 정보 테이블(33c)을 HDD(33)로부터 판독하고, 판독된 프로파일 테이블(33a) 및 추천 정보 테이블(33c)을 제어기(1)에 송신한다(S146).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0)는 수신된 프로파일 데이터(23b)에 관련되는 프로파일 테이블(33a)과, 프로파일 데이터(23b)에 대응하는 추천 정보 테이블(33c)을 제어기(1)에 송신한다. 또, 프로파일 데이터(23b)에 대응하는 추천 정보 테이블(33c)이 HDD(33)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부(30)는 프로파일 테이블(33a)만을 제어기(1)에 송신한다.
제어기(1)의 제어부(10)는 관리 서버(3)로부터 프로파일 테이블(33a) 및 추천 정보 테이블(33c)을 취득한 경우(S147), 취득된 프로파일 테이블(33a) 및 추천 정보 테이블(33c)을 메모리부(13)에 저장시킨다. 제어부(10)는 메모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테이블(13a), 프로파일 테이블(33a) 및 추천 정보 테이블(33c)에 기초하여 대응 맵(13b)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는 추천 정보 테이블(33c)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148), 추천 정보 테이블(33c)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S148: YES), 추천 정보 테이블(33c)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정보 및 추천 정보를 순차 판독한다.
제어부(10)는 판독된 액션 정보가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고, 판독된 추천 정보가 프로파일 테이블(33a)의 제어 정보 란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49). 판독된 액션 정보가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및/또는 판독된 추천 정보가 프로파일 테이블(33a)의 제어 정보 란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10)는 단계 S148로 처리를 되돌린다. 판독된 액션 정보가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고, 판독된 추천 정보가 프로파일 테이블(33a)의 제어 정보 란에 저장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S149: YES), 제어부(10)는 각각을 대응시켜 대응 맵(13b)에 저장한다(S150). 또, 제어부(10)는 추천 정보를 제어 정보로서 대응 맵(13b)에 저장하고, 저장된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실행 횟수로서 0을 대응 맵(13b)에 저장한다.
제어부(10)는 추천 정보 테이블(33c)이 없다고 판단한 경우(S148: NO), 단계 S151로 처리를 이행한다. 제어부(10)는 아직 액션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제어 정보에 있어서, 아직 제어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액션 정보에 대응하는 추천 제어 정보 중 어느 하나와 유사한 제어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51).
추천 제어 정보 중 어느 하나와 유사한 제어 정보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S151: YES), 제어부(10)는 이 추천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액션 정보와, 이 추천 제어 정보와 유사하다고 판단된 제어 정보를 대응시켜 대응 맵(13b)에 저장한다(S152). 또, 제어부(10)는 저장된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실행 횟수로서 0을 대응 맵(13b)에 저장한다. 제어부(10)는 단계 S151로 처리를 되돌려, 아직 제어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액션 정보에 대응하는 추천 제어 정보 중 어느 하나와 유사한, 다른 제어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51).
제어부(10)는 추천 제어 정보 중 어느 하나와 유사한 제어 정보가 없다고 판단할 때까지, 단계 S151, S152의 처리를 반복한다. 제어부(10)는 추천 제어 정보 중 어느 하나와 유사한 제어 정보가 없다고 판단한 경우(S151: NO), 아직 제어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액션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53).
제어부(10)는 아직 제어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액션 정보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S153: YES), 미할당 액션 정보 중에서, 조작 횟수가 가장 많은 액션 정보를 액션 테이블(13a)로부터 판독한다(S154). 제어부(10)는 아직 액션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제어 정보 중에서, 프로파일 테이블(23a)의 선두에 가장 가까운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정보를 프로파일 테이블(23a)로부터 판독한다(S155).
제어부(10)는 단계 S154에서 판독된 액션 정보와, 단계 S155에서 판독된 제어 정보를 대응시켜 대응 맵(13b)에 저장한다(S156). 또, 제어부(10)는 저장된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실행 횟수로서 0을 대응 맵(13b)에 저장한다. 제어부(10)는 단계 S153으로 처리를 되돌려, 아직 제어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액션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53). 제어부(10)는 액션 테이블(13a)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액션 정보의 각각에 제어 정보를 할당할 때까지, 단계 S153∼S156의 처리를 반복한다.
제어부(10)는 아직 제어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액션 정보가 없다고 판단한 경우(S153: NO),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통지 화면을 생성한다(S157). 제어부(10)는 생성된 통지 화면을 표시부(15)에 표시시키고(S158), 대응 맵(13b)에 저장된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의 대응 관계를 통지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전술한 대응 맵(13b)의 생성 처리를 종료한다.
본 실시형태 8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기(1)가 피제어기(2)의 원격 조작기로서 동작할 때의 처리는 전술한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처리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 본 실시형태 8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기(1)가 피제어기(2)로부터 정해진 거리 이상 떨어진 경우에 제어기(1) 및 관리 서버(3)가 수행하는 처리에 대해 흐름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41 및 도 42는 추천 정보 테이블(33c)의 갱신 처리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의 처리는 제어기(1)의 메모리부(13)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부(10)에 의해 실행되고, 관리 서버(3)의 HDD(33)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부(30)에 의해 실행된다. 또한, 도 41에서는, 파선으로 구획된 2개의 영역에 있어서, 좌측 영역에 제어기(1)의 제어부(10)에 의한 처리를, 우측 영역에 관리 서버(3)의 제어부(30)에 의한 처리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제어기(1)의 제어부(10)는 피제어기(2)와의 통신이 차단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161), 차단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S161: NO), 그 외의 처리를 실행하고 대기한다. 피제어기(2)와의 통신이 차단되었다고 판단한 경우(S161: YES), 제어부(10)는 대응 맵(13b)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정보, 제어 정보 및 실행 횟수의 각 세트에 있어서, 실행 횟수가 0이 아닌 세트의 정보를 판독한다(S162). 제어부(10)는 판독된 정보를, 대응 맵(13b)을 생성할 때에 이용한 프로파일 테이블(33a)에 저장되어 있는 기기 프로파일 및/또는 기기명과 함께 관리 서버(3)에 송신한다(S163).
관리 서버(3)의 제어부(30)는 제어기(1)로부터 송신된 액션 정보, 제어 정보 및 실행 횟수를, 기기 프로파일 및/또는 기기명과 함께 수신한다(S164). 제어부(30)는 수신된 기기 프로파일 및/또는 기기명에 대응하는 누적 정보 테이블(33b)에, 수신된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65). 동일한 정보가 누적 정보 테이블(33b)에 저장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S165: YES), 제어부(30)는 동일한 정보에 대응시켜 누적 정보 테이블(33b)에 저장되어 있는 누적 실행 횟수에, 제어기(1)로부터 수신된 실행 횟수를 가산하여, 누적 실행 횟수를 갱신한다(S166).
동일한 정보가 누적 정보 테이블(33b)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S165: NO), 제어부(30)는 제어기(1)로부터 수신된 액션 정보, 제어 정보 및 실행 횟수를 대응시켜 누적 정보 테이블(33b)에 저장한다(S167). 제어부(30)는 제어기(1)로부터 수신된 모든 정보를 누적 정보 테이블(33b)에 저장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68). 모든 정보를 저장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S168: NO), 제어부(30)는 단계 S165로 처리를 되돌려, 수신된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누적 정보 테이블(33b)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65).
제어부(30)는 제어기(1)로부터 수신된 모든 정보를 누적 정보 테이블(33b)에 저장했다고 판단할 때까지, 단계 S165∼S168의 처리를 반복한다. 제어부(30)는 모든 정보를 저장했다고 판단한 경우(S168: YES), 누적 정보 테이블(33b)에 대해, 정해진 수 이상의 누적 실행 횟수가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69). 정해진 수 이상의 누적 실행 횟수가 저장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S169: YES), 제어부(30)는 이 누적 실행 횟수에 대응하는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를 누적 정보 테이블(33b)로부터 판독한다.
제어부(30)는 누적 정보 테이블(33b)로부터 판독된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의 세트가 추천 정보 테이블(33c)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70). 판독된 세트가 추천 정보 테이블(33c)에 아직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S170: NO), 제어부(30)는 판독된 제어 정보를 추천 정보로서, 판독된 액션 정보에 대응시켜 추천 정보 테이블(33c)에 저장한다(S171).
판독된 세트가 추천 정보 테이블(33c)에 이미 저장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S170: YES), 제어부(30)는 단계 S171의 처리를 스킵한다. 제어부(30)는 단계 S169로 처리를 되돌려, 누적 정보 테이블(33b)에 대해, 정해진 수 이상의 누적 실행 횟수가 그 외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69). 제어부(30)는 누적 정보 테이블(33b)에 대해, 정해진 수 이상의 누적 실행 횟수가 그 외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할 때까지, 단계 S169∼S171의 처리를 반복한다. 제어부(30)는 정해진 수 이상의 누적 실행 횟수가 그 외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S169: NO), 전술한 추천 정보 테이블(33c)의 갱신 처리를 종료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8에서는, 제어기(1)의 각 사용자에 의해 실행 횟수가 정해진 수 이상이 된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의 각 세트를 대응 맵(13b)에 저장한다. 따라서, 복수의 사용자에게 있어서 정해진 횟수 이상의 실행 실적이 있는 조작을 추천 정보로서, 다음 번에 대응 맵(13b)을 생성할 때에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조작하기 쉬운 액션으로 피제어기(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 8의 제어기(1)는 대응 맵(13b)을 생성할 때에, 먼저 관리 서버(3)로부터 추천 정보 테이블(33c)을 취득하면, 추천 정보 테이블(33c)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정보 및 추천 정보의 각 세트를 대응 맵(13b)에 저장하는 구성이었다. 제어기(1)의 구성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제어기(1) 자체도 도 20의 (b)에 도시한 누적 정보 테이블(13c)을 관리하는 구성인 경우가 고려된다. 이 경우, 먼저 누적 정보 테이블(13c)에 저장되어 있는 누적 실행 횟수가 정해진 수 이상인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의 각 세트를 대응 맵(13b)에 저장하고, 그 후, 관리 서버(3)로부터 취득된 추천 정보 테이블(33c)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정보 및 추천 정보의 각 세트를 대응 맵(13b)에 저장하도록 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 8의 관리 서버(3)는 제어기(1)로부터 액션 정보, 제어 정보 및 실행 횟수를 수신한 경우에, 수신된 액션 정보 및 제어 정보에 대응하여 누적 정보 테이블(33b)에 저장되어 있는 실행 횟수에, 제어기(1)로부터 수신된 실행 횟수를 가산하여 누적 정보 테이블(33b)을 갱신하였다. 이러한 구성 외에, 예컨대 동일 액션 정보에 대해 상이한 제어 정보 및 실행 횟수가 누적 정보 테이블(33b)에 저장된 경우에, 실행 횟수가 많은 제어 정보 및 실행 횟수만을 누적 정보 테이블(33b)에 저장해도 된다. 이 경우, 동일한 액션 정보에 대해 상이한 제어 정보가 누적 정보 테이블(33b)에 저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 8은 전술한 실시형태 1, 4의 변형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전술한 실시형태 5, 6과 같은 구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 9)
이하에, 실시형태 9에 따른 제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43은 실시형태 9의 제어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 9의 제어기(1)는 도 2에 도시한 하드웨어 각부 외에, 외부 기억 장치(18)를 구비한다. 외부 기억 장치(18)는 예컨대 메모리 카드 드라이브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 드라이브 등이며, 메모리 카드 또는 USB 메모리 등인 기록 매체(18a)로부터, 기록 매체(18a)에 저장된 데이터를 판독한다.
기록 매체(18a)는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제어기(1)로서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외부 기억 장치(18)는 기록 매체(18a)로부터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메모리부(13)에 저장시킨다. 제어부(10)는 메모리부(13)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순차 실행하고,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 9의 제어기(1)는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제어기(1)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기록 매체(18a)로서는 메모리 카드 또는 USB 메모리 외에, CD-ROM, DVD-ROM, 플렉시블 디스크 등, 각종의 기록 매체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제어기(1)는 인터넷 또는 LAN(Local Area Network) 등의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부를 가져도 된다. 이 경우, 제어기(1)는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제어기(1)로서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 프로그램을,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하여 메모리부(13)에 저장시키면 된다.
1: 제어기(제어 장치) 10: 제어부
10b: 프로파일 테이블 취득부(요구부, 제어 정보 취득부)
10c: 맵 생성부(대응 테이블 생성부, 유사 검출부)
10d: 대응 관계 통지부(통지부)
10e: 액션 검지부(조작 검지부, 검지 횟수 갱신부)
10f: 제어 정보 판정부(특정부)
10g: 제어 정보 확인부(검지 결과 통지부, 접수부)
10h: 제어 정보 송신부(제어부)
13a: 액션 테이블(조작 정보 기억부)
13b: 대응 맵(대응 테이블) 13c: 누적 정보 테이블
2: 피제어기(피제어 장치)
23a: 프로파일 테이블(제어 정보 기억부)
25: 단거리 무선 통신부(송출부) 3: 관리 서버(관리 장치)
30: 제어부 33: HDD
33a: 프로파일 테이블 34: 통신부

Claims (19)

  1. 피제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접수 가능한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를 기억하는 조작 정보 기억부와,
    상기 피제어 장치에 관한 제어 정보를 취득하는 제어 정보 취득부와,
    상기 조작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조작 정보에, 상기 제어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제어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하는 대응 테이블을 생성하는 대응 테이블 생성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정보 기억부는 상기 조작 정보에 대응시켜 추천 제어 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대응 테이블 생성부는,
    상기 제어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제어 정보로부터, 상기 조작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추천 제어 정보와 유사한 제어 정보를 검출하는 유사 검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추천 제어 정보와 유사한 제어 정보를 상기 유사 검출부가 검출한 경우에, 상기 추천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조작 정보에, 상기 추천 제어 정보와 유사한 제어 정보를 대응시켜 상기 대응 테이블에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추천 제어 정보를 외부로부터 접수하는 추천 제어 정보 접수부와,
    상기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추천 제어 정보를 상기 추천 제어 정보 접수부가 접수한 경우에, 상기 조작 정보에 대응시켜, 접수한 추천 제어 정보를 상기 조작 정보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기억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처리 순서를 외부로부터 접수하는 처리 순서 접수부와,
    상기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처리 순서를 상기 처리 순서 접수부가 접수한 경우에, 상기 조작 정보에 대응시켜, 접수한 처리 순서를 상기 조작 정보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처리 순서 기억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 정보 기억부는 상기 조작 정보에 대응시켜 처리 순서를 기억하며,
    상기 대응 테이블 생성부는 상기 조작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처리 순서로 상기 조작 정보에, 상기 제어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제어 정보를 대응시켜 상기 대응 테이블에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 취득부는 상기 피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제어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제어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식별 정보 취득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정보 취득부는, 상기 식별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피제어 장치에 관한 제어 정보를 정해진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테이블에 기억되어 있는 조작 정보 및 제어 정보의 대응 관계를 통지하는 통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조작 정보가 나타내는 조작의 실행을 검지하는 조작 검지부와,
    상기 대응 테이블 생성부가 생성한 대응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검지부가 실행을 검지한 조작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특정하는 특정부와,
    그 특정부가 특정한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피제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검지부가 실행을 검지한 조작 및 상기 특정부가 특정한 제어 정보를 통지하는 검지 결과 통지부와,
    그 검지 결과 통지부가 통지한 조작 및 제어 정보가 적절한지의 여부를 접수하는 접수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및 제어 정보가 적절하다는 취지를 상기 접수부가 접수한 경우에, 상기 특정부가 특정한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피제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검지부가 조작의 실행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조작 검지부가 실행을 검지한 조작의 조작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조작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검지 횟수를 갱신하는 검지 횟수 갱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 정보 기억부는, 상기 조작 정보에 대응시켜, 상기 조작 정보가 나타내는 조작의 실행을 상기 조작 검지부가 검지한 검지 횟수를 기억하며,
    상기 대응 테이블 생성부는, 상기 조작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검지 횟수가 많은 순서대로 상기 조작 정보에, 상기 제어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제어 정보를 대응시켜 상기 대응 테이블에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테이블에 기억되어 있는 조작 정보 및 제어 정보에 대응시켜, 그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피제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 제어 횟수를 기억하는 제어 횟수 기억부와,
    상기 특정부가 특정한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피제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 경우에, 상기 제어 정보 및 상기 조작 검지부가 실행을 검지한 조작의 조작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 횟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횟수를 갱신하는 제어 횟수 갱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대응 테이블 생성부는 상기 제어 횟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횟수가 정해진 수 이상인 조작 정보 및 제어 정보를 대응시켜 상기 대응 테이블에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부가 특정한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피제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 경우에, 이 시점의 시각을 포함하는 시간대를 판정하는 제어 시간대 판정부와,
    상기 대응 테이블 생성부가 대응 테이블을 생성할 때에, 이 시점의 시각을 포함하는 시간대를 판정하는 생성 시간대 판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횟수 기억부는, 상기 대응 테이블에 기억되어 있는 조작 정보 및 제어 정보와, 그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피제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 시점에서 상기 제어 시간대 판정부가 판정한 시간대에 대응시켜, 그 시간대에 상기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피제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 제어 횟수를 기억하며,
    상기 대응 테이블 생성부는 상기 생성 시간대 판정부가 판정한 시간대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 횟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횟수가 정해진 수 이상인 조작 정보 및 제어 정보를 대응시켜 상기 대응 테이블에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부가 특정한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피제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 경우에, 이 시점에서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어 위치 검출부와,
    상기 대응 테이블 생성부가 대응 테이블을 생성할 때에, 이 시점에서의 위치를 검출하는 생성 위치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횟수 기억부는, 상기 대응 테이블에 기억되어 있는 조작 정보 및 제어 정보와, 상기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피제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 시점에서 상기 제어 위치 검출부가 검출한 위치에 대응시켜, 그 위치에서 상기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피제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 제어 횟수를 기억하며,
    상기 대응 테이블 생성부는, 상기 생성 위치 검출부가 검출한 위치에 대응시켜 상기 제어 횟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횟수가 정해진 수 이상인 조작 정보 및 제어 정보를 대응시켜 상기 대응 테이블에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4. 피제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와, 그 제어 장치로 동작이 제어되는 피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접수 가능한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를 기억하는 조작 정보 기억부와,
    상기 피제어 장치에 관한 제어 정보를 상기 피제어 장치에 요구하는 요구부와,
    상기 피제어 장치에 관한 제어 정보를 상기 피제어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제어 정보 취득부와,
    상기 조작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조작 정보에, 상기 제어 정보 취득부가 상기 피제어 장치로부터 취득된 제어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하는 대응 테이블을 생성하는 대응 테이블 생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피제어 장치는,
    자신에 관한 제어 정보를 기억하는 제어 정보 기억부와,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제어 정보를 요구받은 경우에, 상기 제어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정보를 상기 제어 장치에 송출하는 송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15. 피제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와, 그 제어 장치로 동작이 제어되는 피제어 장치와, 그 피제어 장치를 관리하는 관리 장치를 구비하는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접수 가능한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를 기억하는 조작 정보 기억부와,
    상기 피제어 장치의 식별 정보를 상기 피제어 장치에 요구하는 식별 정보 요구부와,
    그 식별 정보 요구부가 요구한 식별 정보를 상기 피제어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식별 정보 취득부와,
    그 식별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그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피제어 장치에 관한 제어 정보를 상기 관리 장치에 요구하는 요구부와,
    상기 피제어 장치에 관한 제어 정보를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제어 정보 취득부와,
    상기 조작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조작 정보에, 상기 제어 정보 취득부가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 취득된 제어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하는 대응 테이블을 생성하는 대응 테이블 생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피제어 장치는,
    자신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기억하는 식별 정보 기억부와,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요구받은 경우에, 상기 식별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 정보를 상기 제어 장치에 송출하는 식별 정보 송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피제어 장치의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상기 피제어 장치에 관한 제어 정보를 기억하는 제어 정보 기억부와,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제어 정보를 요구받은 경우에, 상기 제어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정보를 상기 제어 장치에 송출하는 송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조작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조작 정보가 나타내는 조작의 실행을 검지하는 조작 검지부와,
    상기 대응 테이블 생성부가 생성한 대응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검지부가 실행을 검지한 조작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특정하는 특정부와,
    그 특정부가 특정한 제어 정보를 상기 피제어 장치에 송출하는 제어 정보 송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피제어 장치는,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제어 정보를 취득한 경우, 취득된 제어 정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대응 테이블에 기억되어 있는 조작 정보 및 제어 정보에 대응시켜, 그 제어 정보를 상기 제어 정보 송출부가 송출한 송출 횟수를 기억하는 송출 횟수 기억부와,
    상기 특정부가 특정한 제어 정보를 상기 제어 정보 송출부가 송출한 경우에, 상기 제어 정보 및 상기 조작 검지부가 실행을 검지한 조작의 조작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송출 횟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송출 횟수를 갱신하는 송출 횟수 갱신부와,
    상기 송출 횟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조작 정보, 제어 정보 및 송출 횟수를 상기 관리 장치에 송출하는 송출 횟수 송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취득된 조작 정보 및 제어 정보마다,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취득된 송출 횟수의 합계를 산출하는 합계 산출부와,
    그 합계 산출부가 산출한 합계가 정해진 값 이상인 조작 정보 및 제어 정보를 추천 정보로서 기억하는 추천 정보 기억부를 구비하며,
    상기 관리 장치의 상기 송출부는, 상기 제어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정보와 함께, 상기 추천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추천 정보를 상기 제어 장치에 송출하고,
    상기 제어 정보의 상기 대응 테이블 생성부는,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 추천 정보를 취득한 경우, 취득된 추천 정보인 조작 정보 및 제어 정보를 대응시켜 상기 대응 테이블에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18. 접수 가능한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를 기억하는 조작 정보 기억부를 구비하고, 피제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가 수행하는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피제어 장치에 관한 제어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조작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조작 정보에, 취득된 제어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하는 대응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9.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를 기억하는 조작 정보 기억부를 구비하는 컴퓨터에, 피제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상기 피제어 장치에 관한 제어 정보를 취득시키는 단계와,
    상기 컴퓨터에, 상기 조작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조작 정보에, 취득된 제어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하는 대응 테이블을 생성시키는 단계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17012907A 2008-11-28 2008-11-28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2650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71625 WO2010061467A1 (ja) 2008-11-28 2008-11-28 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752A true KR20110091752A (ko) 2011-08-12
KR101265036B1 KR101265036B1 (ko) 2013-05-24

Family

ID=42225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2907A KR101265036B1 (ko) 2008-11-28 2008-11-28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11441B2 (ko)
EP (1) EP2362299B1 (ko)
JP (1) JP5429186B2 (ko)
KR (1) KR101265036B1 (ko)
CN (1) CN102224477B (ko)
WO (1) WO20100614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06838B2 (en) 2010-07-12 2018-02-27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ent delivery and message exchange across multiple content delivery networks
JP5591649B2 (ja) * 2010-09-30 2014-09-17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及び通信制御方法
JP5655515B2 (ja) * 2010-11-11 2015-01-2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テーブル、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携帯端末、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8902180B2 (en) 2011-12-16 2014-12-02 Nokia Corporatio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enabling use of remote devices with pre-defined gestures
TW201404113A (zh) * 2012-07-05 2014-01-16 Wave Shielding Tech Co 一種具有功能項目及語音與觸控混合操作之遠距遙控手機及接收開關控制器組合裝置
JP6338494B2 (ja) * 2013-11-28 2018-06-06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制御方法、プログラム、プログラムの提供方法、通信端末、及び、制御システム
US9630317B2 (en) 2014-04-03 2017-04-25 Brain Corporation Learn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rol of robotic devices via spoofing
US9821470B2 (en) 2014-09-17 2017-11-21 Brain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ext determination using real time sensor data
US9849588B2 (en) * 2014-09-17 2017-12-26 Brain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remotely controlling robotic devices
US9860077B2 (en) 2014-09-17 2018-01-02 Brain Corporation Home animation apparatus and methods
KR102257474B1 (ko) * 2014-11-04 2021-05-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CN104506713A (zh) * 2014-12-01 2015-04-08 苏州市欧博锐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终端控制方法
CN104731331B (zh) * 2015-03-24 2018-08-31 联想(北京)有限公司 控制开启方法及电子设备
CN106325079A (zh) * 2015-06-16 2017-01-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家电设备的控制方法和装置
CN105068741B (zh) * 2015-08-26 2018-05-2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装置以及智能手表
CN105407372A (zh) * 2015-10-30 2016-03-16 深圳Tcl数字技术有限公司 电视应用的控制方法及装置
JP2018087931A (ja) * 2016-11-29 2018-06-07 キヤノン株式会社 処理装置、処理システム、および物品製造方法
JP6887715B2 (ja) 2017-05-26 2021-06-16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電動ベッドの手元スイッチ及び電動ベッド
TWI773952B (zh) * 2019-12-24 2022-08-11 亞旭電腦股份有限公司 紅外線控制裝置
CN111176127A (zh) * 2019-12-30 2020-05-19 创维集团有限公司 一种智控系统、方法及智能茶几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31048A1 (de) 1999-07-06 2001-02-01 Bahnbau Wels Gmbh Wels Gleis für schienengebundene Fahrzeuge sowie Schallschutzelement hierfür
US20010033243A1 (en) * 2000-03-15 2001-10-25 Harris Glen Mclean Online remote control configuration system
WO2001082646A1 (en) 2000-04-24 2001-11-0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ellular phone and remote control system
US7483867B2 (en) * 2001-06-26 2009-01-27 Intuition Intelligence, Inc. Processing device with intuitive learning capability
US7193661B2 (en) * 2001-09-27 2007-03-20 Universal Electronics Inc. Two way communication using light links
JP4591083B2 (ja) 2002-06-19 2010-12-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サーバ装置、電子機器、外部機器とそれらを用いた情報処理システム、電子機器の設定・状態取得方法
JP2004102609A (ja) * 2002-09-09 2004-04-02 Toshiba Corp 移動通信端末
US7233316B2 (en) * 2003-05-01 2007-06-19 Thomson Licensing Multimedia user interface
JP2005059812A (ja) * 2003-08-20 2005-03-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機器制御インターフェース
JP4352820B2 (ja) * 2003-09-02 2009-10-28 ソニー株式会社 優先機能割当装置および優先機能割当方法
JP4497346B2 (ja) 2003-11-20 2010-07-07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装置、電子機器制御システム
US7869618B2 (en) * 2003-12-18 2011-01-1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 of a device
US20050212753A1 (en) * 2004-03-23 2005-09-29 Marvit David L Motion controlled remote controller
JP2006074529A (ja) * 2004-09-03 2006-03-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機器操作システム、操作情報送出装置、操作情報送出装置付き電子機器、無線携帯端末
KR100640064B1 (ko) * 2005-02-21 2006-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나의 컨트롤러를 이용한 다수의 홈 디바이스 제어방법 및장치
WO2006095593A1 (ja) * 2005-03-09 2006-09-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制御装置、機器制御システム、機器制御プログラム、機器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及び設定確認データ作成方法
JP4427486B2 (ja) 2005-05-16 2010-03-10 株式会社東芝 機器操作装置
JP2007259381A (ja) * 2006-03-27 2007-10-04 Funai Electric Co Ltd リモコン装置およびリモコンシステム
JP4986555B2 (ja) 2006-09-13 2012-07-25 ソニー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通信装置、処理実行方法および処理実行プログラム
JP2008172614A (ja) * 2007-01-12 2008-07-24 Sharp Corp リモコン制御システム、サーバ装置
EP2124132B1 (en) 2007-02-09 2017-03-2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pplication executing terminal
JP4743132B2 (ja) * 2007-02-15 2011-08-10 ティアック株式会社 複数のファンクションキーを有する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62299A4 (en) 2013-04-03
JP5429186B2 (ja) 2014-02-26
KR101265036B1 (ko) 2013-05-24
EP2362299A1 (en) 2011-08-31
CN102224477A (zh) 2011-10-19
JPWO2010061467A1 (ja) 2012-04-19
US9111441B2 (en) 2015-08-18
EP2362299B1 (en) 2014-05-07
US20110221623A1 (en) 2011-09-15
WO2010061467A1 (ja) 2010-06-03
CN102224477B (zh) 201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5036B1 (ko)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1540102B2 (en) Method for function control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210029071A1 (en) Electronic device, server, and control method an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or the electronic device
JP6068576B2 (ja) 通信装置
US7139562B2 (en) Remote control device
JP5620287B2 (ja)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を変更する携帯端末、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23543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20140123038A1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contents
EP3180763B1 (en)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transmitting content
KR101380967B1 (ko) 애플리케이션 기능 실행을 위한 사용자 정의 패턴 설정 장치 및 방법
CN108297092B (zh) 机器人装置及其控制方法
CN107111446A (zh) 控制设备的方法和系统
KR102501245B1 (ko) 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40081642A (ko) 외부 기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2021013159A (ja) 情報処理装置、テレプレゼンスロボット、拠点制御システム、遠隔制御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756835B1 (ko) 컨택 정보 관리 방법, 이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유저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JP6721023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504216B2 (ja) 情報機器、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133609A (zh) 用于使用缩略图管理文件的方法和设备
EP2063346A2 (en) Device iden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device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s having recorded thereon programs for executing the device identification method and the device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JP2019063988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9049859A (ja) 検索条件受付システムおよび検索条件受付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