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1750A - 톤수 조절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한 몰드 - Google Patents
톤수 조절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한 몰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91750A KR20110091750A KR1020117012833A KR20117012833A KR20110091750A KR 20110091750 A KR20110091750 A KR 20110091750A KR 1020117012833 A KR1020117012833 A KR 1020117012833A KR 20117012833 A KR20117012833 A KR 20117012833A KR 20110091750 A KR20110091750 A KR 2011009175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ld
- height
- tonnage
- correction
- mol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80—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of relative position of mould pa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톤수 조절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한 몰드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몰딩 머신의 몰드(502)에 사용되는 톤수 조절 구조체(302, 1002, 1202)가 제공되며, 몰드(502)는 밀폐되어 클램핑된 상태에서 몰드 면들 사이의 개방 틈새(520)와 관련이 있다. 톤수 조절 구조체(302)는 휴면 상태에서 제1 높이(306)를 갖는 보디(304, 1040, 1240)를 포함하며, 제1 높이(306)는 몰드가 밀폐되어 클램핑된 상태에서 몰드 면들 사이의 개방 틈새(520)보다 크도록 선택되고, 보디(304, 1040, 1240)는 보정 구조부(308)를 포함하고, 보정 구조부(308)는 클램프 톤수가 가해져 사용되는 동안 보디(304, 1040, 1240)를 제2 높이(320)로 조절하며, 제2 높이(320)는 제1 높이(306)보다 작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몰딩 시스템(molding system)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톤수 조절 구조체(tonnage regulating structure) 및 이를 포함한 몰드(mold)에 관한 것이다.
몰딩이란 몰딩 시스템을 이용하여 몰딩 재료로부터 성형 제품이 형성될 수 있는 공정을 말한다. 다양한 성형 제품이 사출 성형 공정과 같은 몰딩 시스템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재료로 성형될 수 있는 성형 제품의 일례는, 병 등과 같은 음료 용기로 후속하여 블로우 성형될 수 있는 예비 성형품이다. 성형 제품의 다른 예는 얇은 벽 용기(예컨대, 요구르트 용기, 컵 등), 의료 기기 등을 포함한다.
사출 성형 초기에는, 성형 사이클당 단일의 성형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단일 캐비티 몰드가 통상적으로 사용되었다. 단일 캐비티 몰드에 있어, 통상적으로, 용융물은 가소화 유닛(plasticizing unit)으로부터 스프루(sprue)를 거쳐 단일 캐비티 몰드에 형성된 몰딩 캐비티로 전달된다. 사출 성형 기술의 발전과 함께, 몰딩 사이클당 제조되는 성형 제품의 개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멀티 캐비티 몰드가 가능성을 가지고 소개되었다. 통상적으로, 멀티 캐비티 몰드에서, 용융물은 가소화 유닛으로부터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핫 러너"로서 공지된 용융물 분배 네트워크를 통해 멀티 캐비티 몰드의 복수개의 몰딩 캐비티 각각으로 전달된다.
컨버터(converter; 즉, 수지와 같은 원료를 예를 들어 예비 성형품과 같은 성형 제품으로 가공하는 업체)에 대하여 1인당 생산량 및 운영 비용을 통제하도록(즉, 1인당 생산량을 증가시키고 생산 비용을 낮추도록) 하는 시장의 압박이 지속됨에 따라, 성형 기계 공급 업체들[예를 들면, 온타리오주(Ontario)의 볼튼(Bolton)에 소재하며 홈페이지가 www.husky.ca인 Husky Injection Molding, Ltd]은 주어진 몰딩 사이클 내에서 생산될 수 있는 성형 제품의 수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키는 몰드 캐비테이션을 점진적으로 증대시켜왔다.
캐비테이션(cavitation)의 추가적 증가와 함께, "타이트 피치(tight pitch)"란 용어가 널리 사용되어 오고 있다. 이 용어는 캐비티들 사이에서 비교적 타이트한 피치를 갖는 몰드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허스키 인젝션 몰딩 시스템(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은 MICROPITCH라는 상표로 이런 몰드를 판매하고 있다. 산업에 공지된 하나의 문제는, 특히 타이트 피치 몰드에 있어 심각한 문제는, 몰드 클램프 구조에서 몰드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힘의 불균일한 분포이다. 이는 몰드 스택 구성요소가 매우 타이트한 허용 오차로 생산되더라도 문제를 심각하게 야기할 수 있는 미세한 치수(가령, 예를 들면 이의 높이) 차이가 있다는 사실로 인해 특히 악화된다. 이 문제는 적절한 플래튼 평행의 부재, 사용시 플래튼의 변형 등에 의해 추가로 악화될 수 있다.
144개의 캐비티를 갖는, 그로 인해 (몰딩 캐비티 인서트, 코어 인서트, 쌍을 이룬 네크 링 및 다른 관련 몰딩 구성요소) 144개의 몰드 적층체를 갖는 소정의 몰드를 고려한다. 144개의 몰드 스택들 중 임의의 제1 스택은 144개의 몰드 스택들 중 임의의 제2 스택보다 약간 높을 수 있다. 이런 경우에서, 최대 클램프 힘이 몰드에 작용하면, 144개의 몰드 스택들 중 임의의 제1 스택이 변형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는 조기 마모를 야기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몰딩의 결점들이 성형 제품 등에 반영된다.
몰드에 보다 많은 캐비티를 추가함으로써, 이용 가능한 셧오프 영역이 제한되고 소정의 표준 이하로 저하된다. 또한, 상기 구성의 경우 외형적 특징들을 구비한 셧오프 영역의 추가를 필요로 한다. 당업계에서 지향되어온 해결책 중 하나로, 타이트 피치 몰드에서 주로(그러나 비독점적으로) 사용되는 이른바 "톤수 블록(tonnage block)"이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몰드에 톤수 블록을 추가하는 이유는, 클램핑 상태에서의 접촉 표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셧오프 면들의 영구 변형["호빙(hobbing)"이라고도 알려져 있음]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톤수 블록은 통상 상보적 몰드 반부들 사이에 삽입되는 구조물이며, 클램핑 힘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하거나 재분배하도록 구성된다.
2007년 9월 13일자로 공개된 구오밍(Guoming) 등에 의한 미국 특허 출원 제2007/0212443호에는 슬라이드 부재의 이동 동안 슬라이드 부재와 몰드 기부 각각의 대면하는 면을 분리하기 위한 연결 구조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구조체는 슬라이드 부재가 몰드 기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되도록 압축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대면하는 표면들 사이의 포지티브 접촉(positive contact)은 슬라이드 부재와 몰드 기부 사이의 가해지는 클림프 힘에 반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캠 장치는, 슬라이드 부재가 인 몰드 위치(in-mold position)에 배열될 때 대면하는 표면들 사이에서 포지티브 접촉할 수 있는 몰드 기부와 슬라이드 부재를 연결하고, 슬라이드 부재가 이동할 때 적어도 소정의 간격 중에 대면하는 표면들 사이에 갭을 제공한다. 이 특허 출원은 그 중에서도 클램핑 힘이 너무 클 때 몰드 스택에 가해지는 클램핑 힘(A; 도 1 참조)을 흡수하도록, (필요에 따라)추가되는 클램핑 힘 블록(29)을 개시한다.
2007년 12월 20일자로 공개된 이완(Irwine) 등에 의한 미국 특허 출원 제2007/0292558호에는 사출 성형 장치용 핫 러너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핫 러너 조립체는 중간 플레이트 체적(inter-plate volume)을 한정하도록 상호 이격된 전방 플레이트와 후방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중간 플레이트 체적은 유동성 물질을 복수개의 사출 노즐로 전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매니폴드를 포함한다. 또한, 중간 플레이트 체적은 매니폴드(들)에 바로 인접하여 위치한 제1 중간 플레이트 지지부 구역과, 중간 플레이트 체적의 균형을 조정하는 제2 중간 플레이트 지지부 구역 사이에 분포된 중간 플레이트 지지부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제1 중간 플레이트 지지부 구역은 제2 중간 플레이트 지지부 구역의 중간 플레이트 지지부 점유 밀도보다 큰 중간 플레이트 지지부 점유 밀도를 가진다. 이 특허 출원은 그 중에서도 중간 플레이트 지지부(120)를 개시한다.
2007년 8월 9일자로 공개된 나오토(Naoto) 등에 의한 미국 특허 출원 제2007/0184148호에는 몰드를 제작할 시에 짧은 전달 주기에 따라 낮은 비용으로 제조 가능하고 성형 제품을 몰딩할 시에 안정적으로 성형 제품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몰딩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인-몰드를 위한 몰드가 개시되어 있으며, 캐비티 성형 블록은 몰딩 캐비티를 가지며, 이런 몰딩 캐비티에 삽입되는 인-몰드 전사용 필름(in-mold decoration film)은 고정측과 이동측의 다이세트(diesets)에 장착된다. 캐비티 성형 블록이 끼워지는 포켓은 다이세트에 형성되지 않고, 다이세트 및 캐티비 성형 블록은 이의 접촉면들 중 하나에 형성된 돌출부과 결합하고 설치 전에 다른 면에 형성된 리세스와 결합함으로써 위치 설정되며, 복수개의 몰드 클램프 힘 수용 부분은 캐비티 성형 블록 주위의 필름 패싱 영역(film passing area)의 외부에 설치된다. 이 특허 출원은 그 중에서도 캐비티 성형 블록 주위에 부분적으로 설정된 복수개의 클램프 힘 수용 부분(6a, 6b)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르면, 몰딩 머신의 몰드에 사용되는 톤수 조절 구조체가 제공되면, 몰드가 밀폐되어 클램핑된 상태에서 몰드 면들 사이의 개방 틈새와 관련이 있는 몰드가 제공된다. 톤수 조절 구조체는 휴면 상태에서 제1 높이를 갖는 보디를 포함하며, 제1 높이는 몰드가 밀폐되어 클램핑된 상태에서 몰드 면들 사이의 개방 틈새보다 크게 선택된다. 본체는 보정 구조부를 포함하며, 보정 구조부는 클램프 톤수가 가해져 사용되는 동안 보디를 제2 높이로 조절하며, 제2 높이는 제1 높이보다 작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르면, 몰딩 머신에 사용되는 몰드가 제공된다. 몰드는 캐비티 측 몰드 면을 포함하는 캐비티 부분과, 코어 측 몰드 면을 포함하는 코어 부분을 포함하며, 캐비티 부분과 코어 부분은 이들 사이에 몰딩 캐비티를 한정하고, 몰드는 몰드가 밀폐되어 클램핑된 상태에서 캐비티 측 몰드 면과 코어 측 몰드 면 사이의 개방 틈새와 관련이 있고, 톤수 조절 구조체는 휴면 상태에서 제1 높이를 갖는 보디를 포함하고, 제1 높이는 개방 틈새보다 크게 선택되며, 보디는 보정 구조부를 포함하고, 보정 구조부는 클램핑 톤수가 가해져 사용되는 동안 보디를 제2 높이로 조절하며, 제2 높이는 제1 높이보다 작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따르면, 몰드에 톤수 힘 분포를 조절하기 위한 톤수 조절 구조체가 제공된다. 톤수 조절 구조체는 휴면 높이와 사용 높이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작동 가능한 보디를 포함하며, 보디는 보정 구조부를 포함하고, 보정 구조부는 보디가 휴면 높이와 사용 높이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제어 가능하게 토글되도록 허용한다.
본 발명의 비제한적 실시예의 이들 태양 및 특징과 다른 태양 및 특징들은 첨부한 도면과 관련한 본 발명의 특정 비제한적 실시예들에 대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및/또는 변형례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비제한적 실시예들이 아래의 도면들과 함께 비제한적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보다 양호한 이해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공지 기술에 따라 실시되는, 의도한 바와 달리 짧은 톤수 조절 구조체를 포함하는 몰드의 개략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공지 기술에 따라 실시되는, 의도한 바와 달리 긴 톤수 조절 구조체를 포함하는 몰드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비제한적 실시예에 따라 실시되는, 휴면 상태로 도시된 톤수 조절 구조체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사용 상태에 있는 도 3의 톤수 조절 구조체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톤수 조절 구조체를 포함하는 몰드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5의 몰드 일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3의 톤수 조절 구조체의 기술적 효과를 나타내는 이를 포함한 몰드의 개략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톤수 조절 구조체의 보정 구조부에 대한 다른 비제한적 실시를 도시한다.
도 9a 및 도 9b는 톤수 조절 구조체의 보정 구조부에 대한 또 다른 비제한적 실시를 도시한다.
도 10은 톤수 조절 구조체의 보정 구조부에 대한 또 다른 비제한적 실시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10의 보정 구조부에 대한 다른 비제한적 변형례를 도시한다.
도 12는 톤수 조절 구조체의 보정 구조부에 대한 또 다른 비제한적 실시를 도시한다.
도 13은 도 5의 몰드 일부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면은 실측으로 나타낼 필요가 없으며, 가상선, 도해 및 부분 도면을 통해 도시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 필요가 없거나 또는 인지하기 어려운 다른 구체적인 부분을 나타내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공지 기술에 따라 실시되는, 의도한 바와 달리 짧은 톤수 조절 구조체를 포함하는 몰드의 개략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공지 기술에 따라 실시되는, 의도한 바와 달리 긴 톤수 조절 구조체를 포함하는 몰드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비제한적 실시예에 따라 실시되는, 휴면 상태로 도시된 톤수 조절 구조체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사용 상태에 있는 도 3의 톤수 조절 구조체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톤수 조절 구조체를 포함하는 몰드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5의 몰드 일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3의 톤수 조절 구조체의 기술적 효과를 나타내는 이를 포함한 몰드의 개략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톤수 조절 구조체의 보정 구조부에 대한 다른 비제한적 실시를 도시한다.
도 9a 및 도 9b는 톤수 조절 구조체의 보정 구조부에 대한 또 다른 비제한적 실시를 도시한다.
도 10은 톤수 조절 구조체의 보정 구조부에 대한 또 다른 비제한적 실시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10의 보정 구조부에 대한 다른 비제한적 변형례를 도시한다.
도 12는 톤수 조절 구조체의 보정 구조부에 대한 또 다른 비제한적 실시를 도시한다.
도 13은 도 5의 몰드 일부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면은 실측으로 나타낼 필요가 없으며, 가상선, 도해 및 부분 도면을 통해 도시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 필요가 없거나 또는 인지하기 어려운 다른 구체적인 부분을 나타내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종래의 톤수 조절 구조체와 관련하여 적어도 하나의 문제가 있다는 인식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전개한다. 문제는 도 1a 및 도 1b와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당업자가 이해하기 용이하도록 예시되어 있다. 도 1a, 도 1b, 도 2a 및 도 2b는 단지 종래의 문제들에 대한 설명을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음을 명확히 알 것이며,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구성요소들의 실질적인 실시를 이해할 것으로 생각된다.
도 1a 및 도 1b에는 톤수 조절 구조체가 의도한 바와 달리 짧은 경우의 시나리오가 도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a에는 복수개의 몰딩 스택(molding stack; 106)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제1 몰드 반부(mold half; 102)와 제2 몰드 반부(104)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1 몰드 반부(102)는 제1 몰드 면(mold face; 103)과 관련되어 있고, 제2 몰드 반부(104)는 제2 몰드 면(105)과 관련되어 있다.
도 1a로부터, 복수개의 몰딩 스택(106) 중 일부는 다른 몰딩 스택(106)과 (길이 방향에서) 상이한 치수를 가지며, 이들 치수의 차이는 도 1a에서 설명을 목적으로 상당히 과장되어 있음을 알 것이다. 예를 들면, 제1 몰딩 스택(106a)은 제2 몰딩 스택(106b)보다 길다. 마찬가지로, 제2 몰딩 스택(106b)은 제3 몰딩 스택(106c)보다 길다. 또한, 도 1a에는 제1 몰드 반부(102)와 제2 몰드 반부(104) 사이에 배치된 예시적인 두 개의 톤수 조절 구조체(108)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들 예시적인 두 개의 톤수 조절 구조체(108)는 공지의 기술에 따라 실시된다. 이 시나리오에서, 매우 엄격한 생산 허용오차에도 불구하고, 톤수 조절 구조체(108)의 치수는 제1 몰드 스택(106a)보다 다소 짧고 제3 몰드 스택(106c)보다 다소 긴 경우가 발생하며, 이들 차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설명을 목적으로 도 1a에 상당히 과장되어 있다.
도 1b에는 클램프 톤수("A")의 적어도 일부가 가해지는 경우 [클램프 톤수("A")는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식에 따라 적절한 수압 클램프, 전기 클램프, 토글 클램프 등에 의해 발생될 수 있음], 이들 길이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최종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가해진 클램프 톤수("A")에 의해 제1 몰딩 스택(106a)이 변형되어 있음을 명확하게 알 수 있다. 또한, 톤수 조절 구조체(108)와 제2 몰드 면(105) 사이에 갭("G1")이 존재함을 명확하게 알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두 개의 예시적인 톤수 조절 구조체(108)는 하중의 일부를 흡수하는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며, 이와 동시에 제1 몰딩 스택(106a)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결과적으로 [클램프 힘("A")이 완전히 가해지면] 제2 몰딩 스택(106b)은 변형될 것이며, 이는 시간 흐름에 따라 조기 마모 등을 야기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톤수 조절 구조체가 의도한 바와 달리 긴 경우에도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이는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a에는 복수개의 몰딩 스택(206)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제1 몰드 반부(202)와 제2 몰드 반부(204)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1 몰드 반부(202)는 제1 몰드 면(203)과 관련되어 있고, 제2 몰드 반부(204)는 제2 몰드 면(205)과 관련되어 있다.
도 2a로부터, 복수개의 몰딩 스택(206) 중 일부는 다른 몰딩 스택(206)과 (길이 방향에서) 상이한 치수를 가지며, 이들 치수의 차이는 도 2a에서 설명을 목적으로 상당히 과장되어 있음을 알 것이다. 예를 들면, 제1 몰딩 스택(206a)은 제2 몰딩 스택(206b)보다 길다. 마찬가지로, 제2 몰딩 스택(206b)은 제3 몰딩 스택(206c)보다 길다. 또한, 도 2a에는 제1 몰드 반부(202)와 제2 몰드 반부(204) 사이에 배치된 예시적인 두 개의 톤수 조절 구조체(208)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들 예시적인 두 개의 톤수 조절 구조체(208)는 공지의 기술에 따라 실시된다. 실시되면, 매우 엄격한 생산 허용오차에도 불구하고, 톤수 조절 구조체(208)의 치수는 제1 몰드 스택(206a), 제2 몰드 스택(106b) 및 제3 몰드 스택(106c)보다 다소 긴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들 차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설명을 목적으로 도 2a에 상당히 과장되어 있다.
도 2b에는 클램프 톤수("A")의 적어도 일부가 가해지는 경우 [클램프 톤수("A")는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식에 따라 적절한 수압 클램프, 전기 클램프, 토글 클램프 등에 의해 발생될 수 있음], 이들 길이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최종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제2 몰드 면(205)이 제1 몰딩 스택(206a)과 매우 인접하여 있고 제2 몰딩 스택(206b) 및 제3 몰딩 스택(206c)과는 개별적으로 수치화되지 않은 각각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여전히 이격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예시적인 두 개의 톤수 조절 구조체(208)가 변형되어 있음을 명확하게 알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클램프 힘("A")이 단지 부분 클램프 힘이고 추가의 클램프 힘("A")이 가해지면, 예시적인 두 개의 톤수 조절 구조체(208)는 추가 변형될 것이며, 이는 톤수 조절 구조체의 기능 수행에 대해 잠재적 실패를 야기한다. 또한, 종래 기술의 실시에 있어, 톤수 조절 구조체(208)의 변형 및 변형 정도는 작업자/사용자에 의해 제어 불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다시 말해서, 변형 정도는 몰딩 스택(206)의 여러 구성요소들과 톤수 조절 구조체(208)의 높이 간의 관계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비제한적 실시예에 따라 실시되는 톤수 조절 구조체(302)의 비제한적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에는 톤수 조절 구조체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톤수 조절 구조체(302)는 보디(304)를 포함한다. 보디(304)는 제1 높이(306)와 관련이 있는데, 제1 높이(306)는 휴면 상태(resting configuration), 또는 다시 말해서 톤수 조절 구조체가 사용 중이 아닐 때, 즉 톤수 조절 구조체가 (도시되지 않은) 몰드 내에 위치되지 않거나, 또는 몰드 개방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몰드에 위치된 경우 보디(304)의 높이에 해당한다.
보디(304)는 보정 구조부(compensating structure; 308)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서, 보정 구조부(308)는 보디(304)에 형성된 복수개의 절결부(310)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도시된 특정 예에서는 복수개의 절결부(310)가 세 개 존재한다. 복수개의 절결부(310)는 톤수 조절 구조체(302)의 높이를 따라 이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비제한적 실시예에서, 다른 개수, 다른 위치 및 다른 형태 인자(form factor)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다음의 고려 사항들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절결부(310)의 위치, 형태 인자, 개수 및 깊이를 선택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본 명세서에 후속하여 설명되는) 보정 효과가 발생할 수 있도록 충분한 재료가 복수개의 절결부(310)로 제거되어야 한다. 이와 동시에, 보디(304)의 남아있는 재료는 톤수 조절 구조체(302)에 의해 클램프 힘("A")의 일부를 흡수하거나 및/또는 재분포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허용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보정 구조부(308)의 목적은 전술한 클램프 톤수("A")가 가해지는 경우에 보디(304)의 제1 높이(306)를 도 4에 도시된 제2 높이(320)로 제어하는 것이다. 도 4에는 클램프 톤수("A")가 가해지는 경우에 사실상 도 3의 톤수 조절 구조체(302)인 최종 톤수 조절 구조체(302')가 도시되어 있다. 유사하게, 톤수 조절 구조체(302')는 보디(304')를 가지며, 보디(304')는 제2 높이(320)와 관련이 있다. 제2 높이(320)는 제1 높이(306)보다 다소 짧다. 환언하면, 제2 높이(320)는 "사용시(in-use)" 상태에서, 또는 다시 말하면 톤수 조절 구조체가 (도시되지 않은) 몰드에 설치되고 몰드가 몰드 클램프 상태에 있는 경우에 보디(304')의 높이에다. 이 특정 예에서, 이런 결과는 보정 구조부(308)에 의한 "스프링 효과" 또는 압축 효과로 인해 달성된다. 다시 말하면, 보정 구조부(308)는 보디(304)에 탄성도를 제공하여 보디(304)가 아래의 (a) 및 (b)를 선택적으로 변화시키도록 한다.
(a) (도시되지 않은) 몰드가 폐쇄되거나 클램핑된 경우 제1 높이(306)로부터 제2 높이(320)로 변화.
(b) (도시되지 않은) 몰드가 개방된 경우 제2 높이(320)로부터 제1 높이(306)로 변화.
이는 도 5를 참조하여 추가 설명될 것이다.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몰딩 머신(molding machine)에 사용되는 몰드(502)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몰드(502)는 단일 몰딩 캐비티(single molding cavity)를 포함하지만,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서 이와 같을 필요는 없다. 가령, 다른 실시예에서는 멀티 캐비티 몰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몰드(502)는 몰딩 캐비티(508)를 사이에 한정하는 캐비티 부분(504)과 코어 부분(506)을 포함한다. 캐비티 부분(504)은 캐비티 측 몰드 면(510)을 포함하고 코어 부분(506)은 코어 측 몰드 면(512)을 포함한다. 캐비티 측 몰드 면(510)은 캐비티 측 형선 표면(513)을 포함하고 코어 측 몰드 면(512)은 코어 측 형선 표면(511)을 포함하며, 이들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섀도 면(shadow-face)"으로 칭해지기도 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실시된 예시적인 두 개의 톤수 조절 구조체(302)가 도 5에 나타나 있다. 도 5에는 캐비티 부분(504)과 코어 부분(506)의 폐쇄가 시작되었지만 클램프 톤수는 아직 가해지는 않은 몰드(502)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톤수 조절 구조체(30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높이(306)와 관련이 있다. 몰드(502)는 캐비티 측 몰드 면(510)과 코어 측 몰드 면(512) 사이의 간격인 개방 틈새(opening clearance; 520)와 관련이 있다. 개방 틈새(520)는 몰드 밀폐와 (도 5에 도시되지 않은) 클램핑 상태에서 캐비티 측 몰드 면(510)과 코어 측 몰드 면(512) 사이의 틈새보다 다소 크다.
도 5의 몰드(502) 일부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 6을 참조한다. 도 6에는 코어 부분(506)의 일부 및 캐비티 부분(504)의 일부와, 톤수 조절 구조체의 일부(302)가 도시되어 있다. 개방 틈새(520)는, 몰드가 완전히 밀폐되어 클램핑된 상태에서의 캐비티 측 몰드 면(510)과 코어 측 몰드 면(512) 사이의 틈새보다 다소 크다는 것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이는 몰드(502)의 캐비티 부분(504)과 코어 부분(506)이 밀폐되기 시작하지만 클램프 톤수("A")는 아직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 위치해 있음을 의미하며,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측 형선 표면(511)과 캐비티 측 형선 표면(513) 사이로 한정된 제2 갭("G2")이 톤수 조절 구조체(302)와 코어 측 몰드 면(512) 사이로 한정된 제3 갭("G3")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클램프 톤수("A")가 몰드(502)에 가해지면, 제2 갭("G2")은 캐비티 측 몰드 면(510)이 코어 측 몰드 면(512)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결과적으로 감소될 것이다. 이와 동시에, 보정 구조부(308)는 톤수 조절 구조체(302)가 도 4의 도시된 톤수 조절 구조체(302')의 상태[즉, 제1 높이(306))로부터 제2 높이(320)로 변화]가 되도록 유도할 것이다.
요약하면, 도 6에 대한 설명은,
(a) 몰드가 밀폐되어 클램핑된 상태에서의 몰드 면들[예를 들면, 제1 몰드 면(103)과 제2 몰드 면(105)] 사이의 틈새보다 큰 ["비사용(non-use)" 상태] 휴면 높이(resting height)를 톤수 조절 구조체(302)가 가지며,
(b) 톤수 조절 구조체(302)는 몰드가 밀폐되어 클램핑된 상태에서의 몰드 면들[제1 몰드 면(103)과 제2 몰드 면(105)] 사이의 틈새와 대체로 동일한 사용 높이(in-use height)를 가진다는 것을 나타낸다.
기본적으로, 보정 구조부(308)는 톤수 조절 구조체(302)가 이들 양 상태(즉, 양 높이) 사이에서 토글(toggle)되는 것을 허용하여, 임의의 스택 높이의 차이를 효과적으로 보정하고, 종래 기술의 방법과 관련하여 논의된 일부 문제들을 적어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다시 말해서, 보정 구조부(308)는 보디(304)가 휴면 상태인 제1 높이(306), 즉 개방 틈새(520)보다 크게 선택되는 제1 높이(306)와, 사용 상태인 제2 높이(320), 즉 몰드가 밀폐되어 클램핑된 상태에서의 몰드 면들[제1 몰드 면(103)과 제2 몰드 면(105)] 사이의 틈새에 대체로 상응하는 제2 높이(320) 사이에서의 선택적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톤수 조절 구조체(302)의 구조에 대한 설명을 마무리하기 위해, 몰드(502) 일부의 단면을 나타내고, 톤수 조절 구조체(302), 캐비티 부분(504)의 일부, 코어 부분(506)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 13을 간단히 참조한다. 톤수 조절 구조체(302)의 보디(304)는 이를 관통하는 개구(1302)로서 한정된다. 개구(1302)는 보디(304)를 코어 부분(506)에 결합하는 (도시되지 않은) 적절한 패스너를 수용하도록 코어 부분(506)에 형성된 상보적 개구(1304)와 협동한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구조에서, 보디(304)는 캐비티 부분(504)에 결합될 수 있고, 이들 실시예에서 상보적 개구(1304)는 캐비티 부분(504)에 형성될 수 있다.
톤수 조절 구조체(302)의 사용에 따른 최종 결과가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a에는 복수개의 몰딩 스택(706)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제1 몰드 반부(702)와 제2 몰드 반부(704)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1 몰드 반부(702)는 제1 몰드 면(703)과 관련이 있고 제2 몰드 반부(704)는 제2 몰드 면(705)과 관련이 있다.
도 7a로부터, 복수개의 몰딩 스택(706) 중 일부는 다른 복수개의 몰딩 스택(706)과 (길이 방향에서) 상이한 치수를 가지며, 이들 치수의 차이는 설명을 목적으로 도 7a에 상당히 과장되어 있음을 알 것이다. 예를 들면, 제1 몰딩 스택(706a)은 제2 몰딩 스택(706b)보다 길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몰딩 스택(706b)은 제3 몰딩 스택(706c)보다 길다.
또한, 도 7a에는 제1 몰드 반부(702)와 제2 몰드 반부(704) 사이에 배치된 예시적인 두 개의 톤수 조절 구조체(708)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들 예시적인 두 개의 톤수 조절 구조체(708)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설명된 실시예에 따라 실시된다.
도 7b에는 클램프 톤수("A")의 적어도 일부가 가해질 때 [클램프 톤수("A")는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식에 따라 적절한 수압 클램프, 전기 클램프, 토글 클램프 등에 의해 발생될 수 있음], 톤수 조절 구조체(708)의 최종 작용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전술된 보정 구조부(308)가 복수개의 몰딩 스택(706) 일부들 사이의 높이 차이를 보정하는 톤수 조절 구조체(708')의 "사용" 상태임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최종 결과는 제1 몰딩 스택(706a), 제2 몰딩 스택(706b) 및 제 3 몰딩 스택(706c)의 일부 변형을 적어도 감소시키고, 및/또는 이들 사이의 보다 균일한 힘 분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효과는 [예를 들면, 제1 몰딩 스택(706a), 제2 몰딩 스택(706b) 및 제3 몰딩 스택(706c)에 대한 적어도 부분적인 마모 감소에 의한] 몰드 구성요소들의 향상된 사용 수명 기간을 포함한다.
전술한 보정 구조부(308)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 중 단지 하나의 예시임을 알 것이다. 실시의 다른 실시예가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되어 있다.
도 8a에는 본 발명의 다른 비제한적 실시예에 따라 실시되는 톤수 조절 구조체(802)가 도시되어 있다. 도 8a에는 제1 높이(806)와 관련이 있는 휴면 상태의 톤수 조절 구조체(802)가 도시되어 있다. 도 8b에는 톤수 조절 구조체(802)에 클램프 톤수("A")가 가해진 톤수 조절 구조체(802')가 도시되어 있다. 톤수 조절 구조체(802')는 제2 높이(806')와 관련이 있다. 톤수 조절 구조체(802)는 보디(804)와 관련이 있다. 보디(804)는 강철(steel) 등과 같은 제1 재료로 제조된다. 보디(804)는 보정 구조부(808)와 관련이 있으며, 보정 구조부(808)는 탄성도를 제공하는 제2 재료로 제조된다. 예를 들면, 제2 재료는 핫 러버(hot rubber), 적절한 가소성 재료 등과 같은 탄성이 있거나 및/또는 변형 가능한 재료일 수 있다. 따라서, 클램프 톤수("A")가 가해질 때, 보정 구조부(808; 도8a)는 높이 방향에 따른 치수가 변화되어 보정 구조부(808'; 도 8b)가 되며, 이 과정은 가해지는 클램프 톤수("A")가 중지되면 역으로 진행된다. 이런 탄성에 의해 제1 높이(806)로부터 제2 높이(806')로의 변화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도 9a 및 도 9b에는 보정 구조부(908)와, [클램프 톤수("A")가 가해진 상태의 보정 구조부(908')]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보정 구조부(908)는 이의 배치를 제외하고는 보정 구조부(808)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도 9a 및 도 9b의 실시예에서, 보정 구조부(908)는 보디(904)의 중간에 위치된다. 보정 구조부(908)에 대한 다른 배치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 것이다. 또한, 두 개 이상(즉, 적어도 두 경우)의 보정 구조부(906)가 보디(904)를 따라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보정 구조부(308)에 대한 다른 실시가 가능하다. 이런 비제한적 일 실시예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0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몰딩 머신에 사용되는 일례의 몰드(1001)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몰드(1001)는 단일 몰딩 캐비티를 포함하지만,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서 이와 같을 필요는 없다. 가령, 다른 실시예에서는 멀티 캐비티 몰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몰드(1001)는 몰딩 캐비티(1008)를 사이에 함께 한정하는 캐비티 부분(1004)과 코어 부분(1006)을 포함한다. 캐비티 부분(1004)은 캐비티 측 몰드 면(1010)을 포함하고 코어 부분(1006)은 코어 측 몰드 면(1012)을 포함한다. 또한, 도 10에는 본 발명의 다른 비제한적 실시예에 따라 실시되는 예시적인 두 개의 톤수 조절 구조체(1002)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는 캐비티 부분(1004)과 코어 부분(1006)의 밀폐가 시작되지만 클램프 톤수가 아직 가해지지 않은 몰드(1001)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는 몰딩 캐비티(1008) 쪽으로 몰딩 재료와 연통하기 위한 용융물 주입구(1020)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는 스트리퍼 플레이트(stripper plate; 1024)와 이젝터(ejector; 1026)를 포함하는 스트리퍼 조립체(1022)가 도시되어 있다. 스트리퍼 조립체(1022)의 작동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하고, 이는 일반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성형된 파트가 코어 부분(1006)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돕도록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이들 실시예에 있어서, 톤수 조절 구조체(1002)는 보디(1040)를 포함한다. 보디(1040)는 본 발명의 다른 비제한적 실시예에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휴면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보디(1040)는 제1 부분(1042)과 제2 부분(1044)을 포함한다. 제1 부분(1042)은 코어 부분(1006)과 제1 부분(1042)에 각각 형성된 상보적 보어(1046A, 1046B) 내에 수용 가능한 (도시되지 않은) 적절한 패스너에 의해 코어 부분(1006)에 결합된다. 제2 부분(1044)은 캐비티 부분(1004)과 제2 부분(1044)에 각각 형성된 상보적 보어(1048A, 1048B) 내에 수용 가능한 (도시되지 않은) 적절한 패스너에 의해 캐비티 부분(1004)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이들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부분(1042)은 보정 구조부로서 실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들 실시예에서, 제2 부분(1044)은 강철 등과 같은 제1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제1 부분(1042)은 탄성도를 제공하는 제2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재료는 핫 러버, 적절한 가소성 재료 등과 같은 탄성이 있거나 및/또는 변형 가능한 재료일 수 있다. 물론, 제1 부분(1042)과 제2 부분(1044)의 구조는 반대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부분(1042)과 제2 부분(1044) 중 하나가 보정 구조부로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실시예에서, 제2 재료의 탄성은 톤수 조절 구조체(1002)의 보디(1040)가 본 발명의 다른 비제한적 실시예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휴면 높이로부터 제2 사용 높이로 변화하는 것을 허용하며, 제2 높이는 제1 높이보다 작다.
도 11을 참조하여, 다른 비제한적 실시가 설명될 것이다. 도 11에는 잠시 언급한 특정 차이들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동일한 방식으로 실시되는 도 10의 몰드(1001)의 변형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 10의 구성요소들과 유사한 방식으로 실시되는 도 11에 도시된 몰드(1001)의 특정 구성요소들에 대해, 도면부호를 별도로 기재하지 않았으며 이들에 대한 설명은 도 10을 참조하면 확인할 수 있다.
도 10과 도 11의 구별되는 차이점은 제1 부분(1042)과 제2 부분(1044)의 결합 방식에 있다. 제2 부분(1044)은 캐비티 부분(1004)과 제2 부분(1044)에 각각 형성된 상보적 보어(1048A, 1048B) 내에 수용 가능한 (도시되지 않은) 적절한 패스너에 의해 캐비티 부분(1004)에 결합된다. 제1 부분(1042)은 제1 부분(1042)과 제2 부분(1044)에 각각 형성된 상보적 보어(1050A, 1050B) 내에 수용 가능한 (도시되지 않은) 적절한 패스너에 의해 제2 부분(1044)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이들 실시예에서, 제1 부분(1042)은 보정 구조부로서 실시될 수 있다.
보정 구조부에 대한 또 다른 비제한적 실시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면, 보정 구조부(308)가 탄성 바이어스 부재로서 실시되어 보정 구조부(308)를 제1 높이(306)로 가압하는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 바이어스에 의한 실시가 가능하다.
이런 비제한적 실시의 실례가 도 12를 참조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12에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특정 차이점들을 제외하고는 도 10을 참조하여 전술한 방식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실시되는 몰드(1001)의 다른 비제한적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몰드(1001)는 본 발명의 다른 비제한적 실시예에 따라 실행되는 예시적인 두 개의 톤수 조절 구조체(1202)를 포함한다. 도 12에는 캐비티 부분(1004)과 코어 부분(1006)의 밀폐가 시작되었지만 (아직 완료되지는 않았으며) 클램프 톤수가 아직 가해지지 않은 몰드(1001)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들 실시예에서, 톤수 조절 구조체(1202)는 보디(1240)를 포함한다. 보디(1240)는 본 발명의 다른 비제한적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이의 휴면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보디(1240)는 제1 부분(1242)과 제2 부분(1244)을 포함한다. 제2 부분(1244)은 캐비티 부분(1004)과 제2 부분(1244)에 각각 형성된 상보적 보어(1048A, 1048B) 내에 수용 가능한 (도시되지 않은) 적절한 패스너에 의해 캐비티 부분(1004)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이들 실시예에서, 제1 부분(1242)은 보정 구조부로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실시예에서, 제1 부분(1242)은 코어 부분(1006)에 형성된 포켓(1246) 내에 위치 설정 가능한 스프링 팩(1248)을 포함한다. 제1 부분(1242)은 핀(1250)과 리테이너(1252)를 더 포함한다. 리테이너(1252)는 (도면부호에 의해 별도로 지시되지 않은) 개구를 포함하고, 핀(1250)의 일부는 휴면 상태에서 스프링 팩(1248)에 의해서 리테이너(1252)의 개구를 통해 캐비티 부분(1004) 쪽으로 (도 12의 시점에서) 상향 바이어스된다. 리테이너(1252)는 핀(1250)의 (도면부호에 의해 별도로 지시되지 않은) 숄더(shoulder)와 협력하여 [핀(1250)과 스프링 팩(1248)]을 포켓(1246)에 보유한다. 물론, 제1 부분(1242)과 제2 부분(1244)의 위치는 반대일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스프링 팩(1248)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팽창 배열(휴면 상태)과 압축 배열(사용 상태) 사이에서 핀(1250)의 토글을 허용한다. 즉, 이는 톤수 조절 구조체(1202)의 보디(1240)가 본 발명의 다른 비제한적 실시예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휴면 높이로부터 제2 사용 높이로 변화하는 것을 허용하며, 제2 높이는 제1 높이보다 작다.
도 12의 도면에서, 캐비티 부분(1004)과 코어 부분(1006)이 함께 지속적으로 가압되어 결과적으로 클랭핑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 팩(1248)은 압축되고 핀(1250)이 결과적으로 제2 사용 높이로 후퇴될 것이다. 이 과정은 몰드가 언댐핑되면 반대로 진행되어, 캐비티 부분(1004)과 코어 부분(1006)이 떨어지도록 밀어내게 된다.
도 12의 실시예의 실시에 대한 다른 대안의 비제한적 변형례에서, 보디(1240)의 제2 부분(1244)은 생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보디(1240)는 제1 부분(1242)을 포함하며, 핀(1250)은 캐비티 부분(1004)의 (도면부호에 의해 별도로 지시되지 않은) 몰드 면에 직접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종래 기술에서는 이로 인해 발생하는 변형을 제어할 수 없는 반면에, 전술한 다양한 비제한적 실시예에 따라 실시된 보정 구조부는 보정 구조부의 변형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함을 알 것이다. 다시 말하면, 보정 구조부의 탄성도 및 휴면 높이를 선택함으로써 사용 높이로 변형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톤수 조절 구조체의 장점[즉, 클램프 톤수("A")의 흡수 및/또는 재분포]의 제공을 허용함과 동시에, 톤수 조절 조립체를 고도의 허용오차로 제조할 필요성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비제한적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로서 제공되며, 이들 예시로서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영역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한됨을 명확히 이해할 것이다. 전술한 사상들은 특정 조건 및/또는 기능을 위해 개조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른 여러 분야에 추가적으로 확장되어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비제한적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사상으로부터 벗어남 없이 변형 및 개선이 가능하다는 것은 자명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바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Claims (16)
- 몰딩 머신의 몰드(502)에 사용되는 톤수 조절 구조체(302, 1002, 1202)로서, 몰드(502)는 몰드가 밀폐되어 클램핑된 상태에서 몰드 면들 사이의 개방 틈새(520)와 관련이 있는 톤수 조절 구조체(302, 1002, 1202)이며,
톤수 조절 구조체(302)는, 휴면 상태에서 제1 높이(306)를 갖는 보디(304, 1040, 1240)를 가지며, 제1 높이(306)는 몰드가 밀폐되어 클램핑된 상태에서 몰드 면들 사이의 개방 틈새(520)보다 크게 선택되고,
보디(304, 1040, 1240)는 보정 구조부(308)를 포함하고, 보정 구조부(308)는 클램프 톤수가 가해져 사용시, 보디(304, 1040, 1240)를 제2 높이(320)로 조절하며, 제2 높이(320)는 제1 높이(306)보다 작은, 톤수 조절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높이(320)는 몰드의 밀폐 및 클램핑 상태에서 몰드 면들 사이의 개방 틈새에 대체로 상응하는, 톤수 조절 구조체(302).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은 제1 높이(306)와 보정 구조부(308)의 탄성도를 선택함으로써 조절이 제어되는, 톤수 조절 구조체(302).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구조부(308)는 보디(304)에 형성된 복수개의 절결부(310)를 포함하는, 톤수 조절 구조체(302).
- 제4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절결부(310)는 보디(304)의 높이를 따라 이격되는, 톤수 조절 구조체(302).
- 제4항에 있어서, 사용시, 몰드 면들 중 하나와의 결합을 위한 패스너를 수용하기 위해, 이를 통해 형성된 개구(1302)를 더 포함하는, 톤수 조절 구조체(302).
- 제1항에 있어서, 사용시, 몰드 면들 중 하나와의 결합을 위한 패스너를 수용하기 위해, 이를 통해 형성된 개구(1302)를 더 포함하는, 톤수 조절 구조체(302).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304)는 제1 재료로 제조되고, 상기 보정 구조부(308)는 제2 재료로 제조되며, 제2 재료는 보디(304)에 충분한 탄성도를 제공하도록 선택되는, 톤수 조절 구조체(302).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구조부(308)는 적어도 두 경우의 보정 구조부(906)를 포함하는, 톤수 조절 구조체(302).
- 제1항에 있어서, 보디(1040)는 제1 부분(1042)과 제2 부분(1044)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1042)은 사용시 몰드 면들 중 제1 몰드 면에 결합되고 제2 부분(1044)은 사용시 몰드 면들 중 제2 몰드 면에 결합되며, 제1 부분(1042)과 제2 부분(1044) 중 하나는 보정 구조부(308)로서 실시되고, 제1 부분(1042)은 제1 재료로 제조되고 제2 부분(1044)은 제2 재료로 제조되며, 제1 재료와 제2 재료 중 하나는 보디(1040)가 제1 높이(306)로부터 제2 높이(320)로 조절 가능하도록 허용하는 탄성도를 가지는, 톤수 조절 구조체(1002).
- 제1항에 있어서, 보디(1040)는 제1 부분(1042)과 제2 부분(1044)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1042)은 사용시 몰드 면들 중 하나에 결합되고 제2 부분(1044)은 사용시 제1 부분(1042)에 결합되며, 제2 부분(1044)은 보상 구조부(308)로서 실시되고, 제1 부분(1042)은 제1 재료로 제조되고 제2 부분(1044)은 제2 재료로 제조되며, 제2 재료는 보디(1040)가 제1 높이(306)로부터 제2 높이(320)로 조절 가능하도록 허용하는 탄성도를 가지는, 톤수 조절 구조체(1002).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구조부(308)는 보디(1240)를 제1 높이(306) 쪽으로 가압하는 탄성 바이어스 부재(1242)를 포함하는, 톤수 조절 구조체(1202).
- 제1항에 있어서, 보디(304, 1040, 1240)는 사용시 몰딩 면들 사이에 대체로 위치 설정되는, 톤수 조절 구조체(1202).
- 몰딩 머신에 사용되는 몰드(502, 1001)이며,
캐비티 측 몰드 면(510, 1010)을 포함하는 캐비티 부분(504, 1004)과, 코어 측 몰드 면(512, 1012)을 포함하는 코어 부분(506, 1006)과,
톤수 조절 구조체(302, 1002)를 포함하며,
캐비티 부분(504, 1004)과 코어 부분(506, 1006)은 이들 사이에 몰딩 캐비티(508, 1008)를 한정하고, 몰드(502, 1001)는 몰드가 밀폐되어 클램핑된 상태에서 캐비티 측 몰드 면(510, 1010)과 코어 측 몰드 면(512, 5012) 사이의 개방 틈새(520)와 관련이 있고,
톤수 조절 구조체(302, 1002)는,
휴면 상태에서 제1 높이(306)를 갖는 보디(304, 1040, 1240)를 포함하며, 제1 높이(306)는 개방 틈새(520)보다 크게 선택되며,
보디(304, 1040, 1240)는 보정 구조부(308)를 포함하고, 보정 구조부(308)는 클램프 톤수가 가해져 사용되는 동안 보디(304, 1040, 1240)를 제2 높이(320)로 조절하며, 제2 높이(320)는 제1 높이(306)보다 작은, 몰드. - 몰드(502)에 톤수 힘의 분포를 조절하기 위한 톤수 조절 구조체(302, 1002, 1202)이며,
휴면 높이(306)와 사용 높이(320)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작동 가능한 보디(304, 1040, 1240)를 포함하며,
보디(304, 1040, 1240)는 보정 구조부(308)를 포함하고, 보정 구조부(308)는 보디(304, 1040, 1240)가 휴면 높이(306)와 사용 높이(320)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제어 가능하게 토글되는 것을 허용하는, 톤수 조절 구조체.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구조부(308)는 몰드의 밀폐 및 개방에 반응하며,
몰드의 밀폐시, 보정 구조부(308)는 사용 높이(320)로 변화하도록 구성되고,
몰드의 개방시, 보정 구조부(308)는 휴면 높이(306)로 변화하도록 구성되는, 톤수 조절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1186508P | 2008-11-06 | 2008-11-06 | |
US61/111,865 | 2008-11-06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91750A true KR20110091750A (ko) | 2011-08-12 |
Family
ID=42152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7012833A KR20110091750A (ko) | 2008-11-06 | 2009-10-09 | 톤수 조절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한 몰드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8348657B2 (ko) |
EP (1) | EP2352629A4 (ko) |
KR (1) | KR20110091750A (ko) |
CN (1) | CN102209619A (ko) |
CA (1) | CA2739906A1 (ko) |
WO (1) | WO201005162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418068B1 (en) * | 2010-08-10 | 2016-11-09 | Mold-Masters (2007) Limited | Quick-change molding system for injection molding |
CN103167942B (zh) | 2010-10-28 | 2015-09-23 | 赫斯基注塑系统有限公司 | 模具装置 |
USD730416S1 (en) | 2010-11-12 | 2015-05-26 |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 Lock ring for use in a mold stack |
CA2901398C (en) | 2013-02-01 | 2017-12-05 |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 Molding system having an adjustable mold shut height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97815A (ja) * | 1983-11-02 | 1985-05-31 | Hitachi Ltd | 成形方法および成形機 |
JPS63296914A (ja) | 1987-05-29 | 1988-12-05 | Nisshin Koki Kk | 成形金型 |
US5015426A (en) * | 1989-05-18 | 1991-05-14 | Galic Maus Ventures | Precision single cavity and multicavity plastic injection molding via an adaptive mold process |
US5326244A (en) * | 1992-11-05 | 1994-07-05 | Federal-Mogul Corporation | Axially compact compression mold |
JP3625869B2 (ja) | 1994-09-16 | 2005-03-02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射出成形用金型 |
US5736173A (en) | 1996-04-24 | 1998-04-07 | Zygo Mold Limited | Preform injection mould with slide taper locks |
DE10141858B4 (de) | 2001-08-27 | 2010-06-17 | Kraussmaffei Technologies Gmbh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flächenartiger Kunststoff-Formteile, insbesondere Kunststoffscheiben |
TWI325364B (en) | 2003-03-31 | 2010-06-01 | Nissha Printing | Mold for in-mold decoration |
US7314590B2 (en) | 2005-09-20 | 2008-01-01 | Bayer Materialscience Llc | Method of preparing a coated molded plastic article |
US7381049B2 (en) | 2006-03-08 | 2008-06-03 |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 Injection mold |
US20070292558A1 (en) | 2006-06-14 | 2007-12-20 |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 Rail and pillar hot runner |
US7597551B2 (en) * | 2007-07-20 | 2009-10-06 |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 Compensating retaining member for use with a molding system |
-
2009
- 2009-10-09 KR KR1020117012833A patent/KR2011009175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9-10-09 WO PCT/CA2009/001402 patent/WO2010051620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9-10-09 EP EP09824299A patent/EP2352629A4/en not_active Withdrawn
- 2009-10-09 CN CN2009801442976A patent/CN102209619A/zh active Pending
- 2009-10-09 US US13/123,160 patent/US8348657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10-09 CA CA2739906A patent/CA2739906A1/en not_active Abandon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0051620A1 (en) | 2010-05-14 |
EP2352629A4 (en) | 2012-04-04 |
CA2739906A1 (en) | 2010-05-14 |
CN102209619A (zh) | 2011-10-05 |
US8348657B2 (en) | 2013-01-08 |
US20110212215A1 (en) | 2011-09-01 |
EP2352629A1 (en) | 2011-08-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38473B1 (ko) | 보정 몰드 스택 및 정렬 방법 | |
CN101068670B (zh) | 注射发泡成型方法和注射发泡成型用模具 | |
KR101146046B1 (ko) | 보정 몰드 스택, 이를 포함하는 몰딩 시스템 및 보정 몰드 스택을 정렬시키는 방법 | |
US7645132B2 (en) | Mold insert and mold stack for use with molding machine | |
KR101138587B1 (ko) | 몰딩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보정 코어 및 보정 코어를 포함하는 몰딩 시스템 | |
KR101086606B1 (ko) | 몰딩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보정 유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몰딩 시스템 | |
KR20110091750A (ko) | 톤수 조절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한 몰드 | |
CA2556560A1 (en) | Two-sided in-mold decoration molding di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molded product with such molding die | |
US20060145395A1 (en) | Molding method, mold for molding, molded product, and molding machine | |
CA2813832C (en) | Molding apparatus | |
KR20170062819A (ko) | 금형의 3차원 급속 가열 냉각구조 및 그 방법 | |
US20070110843A1 (en) | Nozzle and apparatus for injection molding | |
US20060082017A1 (en) | Method and a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articles made of moulded plastic material particularly by means injecto-compression | |
CA2274850A1 (en) | Process for manufacturing injection mouldings | |
JP2001501139A (ja) | 射出成形アセンブリ | |
JPH1058502A (ja) | 射出圧縮成形方法 | |
CN207128208U (zh) | 转椅连接件用注塑成型模具 | |
KR20030083043A (ko) | 고무성형용 웨이스트레스 장치 | |
JPH06344370A (ja) | モールドプレス成形方法およびその成形用金型装置 | |
WO2021003559A1 (en) | Injection molding machine and bolster plate for same | |
JP2986143B2 (ja) | モールドプレス成形方法ならびにモールドプレス成形用金型 | |
JP2024033268A (ja) | 樹脂容器の成形用金型、および射出吹込成形機 | |
KR20170140040A (ko) | 방수 금형장치 | |
KR20150051736A (ko) | 일체형 방수부재의 인서트 몰딩장치 | |
CN113815181A (zh) | 一种注射成型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