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1704A - 롤리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롤리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1704A
KR20110091704A KR1020117012211A KR20117012211A KR20110091704A KR 20110091704 A KR20110091704 A KR 20110091704A KR 1020117012211 A KR1020117012211 A KR 1020117012211A KR 20117012211 A KR20117012211 A KR 20117012211A KR 20110091704 A KR20110091704 A KR 20110091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llipop
stick
engagement mechanism
ball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2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티브 다비도비치
Original Assignee
슈가 팩토리,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가 팩토리, 엘엘씨 filed Critical 슈가 팩토리,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10091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17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50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e.g. products with supported structure
    • A23G3/56Products with edible or inedible supports, e.g. lollip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50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e.g. products with supported structure
    • A23G3/56Products with edible or inedible supports, e.g. lollipops
    • A23G3/563Products with edible or inedible supports, e.g. lollipops products with an inedible support, e.g. a stic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1Circular sheet or circular blank
    • Y10T428/216Ornamental, decorative, pattern, or indici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Confectionery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Abstract

롤리팝 볼이 롤리팝 볼 맞물림 메커니즘에 형성되고, 롤리팝 볼 맞물림 메커니즘은 롤리팝 스틱의 인접 단부와 분리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롤리팝 볼로부터 외부로 연장된다. 대안적으로, 롤리팝 볼은 롤리팝 볼의 구 내 공동을 한정하는 롤리팝 볼 맞물림 메커니즘에 형성되고, 롤리팝 스틱의 인접 단부는 롤리팝의 내부에 위치한 공동과 분리 가능하게 맞물린다. 대안적으로, 롤리팝 자체는 롤리팝 스틱의 인접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맞물리는데 롤리팝 볼 맞물림 메커니즘이 요구되지 않도록 공동을 한정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롤리팝 스틱은 하나 이상의 디자인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롤리팝 장치 및 방법{LOLLIPOP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롤리팝(lollipop) 및 롤리팝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롤리팝과 같은 종래 캔디 제품은 소비자들에게 많은 매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캔디 제품은 일반적으로 포장과 다른 외장을 버리면서 소비된다. 예를 들어, 롤리팝의 포장지와 스틱은 롤리팝이 소비된 후에 버려진다. 또한, 종래의 캔디 제품은 고급 패션과 선호되는 개인적인 액세서리와 연관성이 부족하다.
그러므로, 재사용이 가능한 요소를 포함하고 선호되는 패션과 개인적인 액세서리 요소를 구비하는 새로운 롤리팝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길다란 핸들(이하 "스틱"이라 함)에 장착된 캔디 또는 다른 식용 재료(이하 "롤리팝"이라 함)를 포함하는 소비가능한 장치가 기술된다.
제 1 실시형태에서, 롤리팝은 나사산이 형성된 마운트(mount)에 형성되며, 이 나사산이 형성된 마운트는 스틱에서 나사산이 형성된 공동과 분리 가능하게 맞물리게 구성된다. 제 2 실시형태에서, 롤리팝은 나사산이 형성된 공동을 한정하는 나사산이 형성된 삽입부재에 형성되며, 스틱은 롤리팝 내 나사산이 형성된 공동과 분리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된 나사산을 갖는 근접 단부를 구비한다. 대안적으로, 롤리팝 자체는 나사산이 형성된 스틱과 분리가능하게 맞물리는데 나사산이 형성된 삽입부재가 필요치 않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공동을 한정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장점은 이하 상세한 설명과 첨부 도면을 통하여 더 명확히 드러날 것이다.
본 발명의 구조와 동작에 대한 상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통하여 부분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분을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 스틱을 갖는 나사산이 형성된 롤리팝을 예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사산이 형성된 롤리팝을 예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사산이 형성된 롤리팝을 위한 힌지 형성된 용기를 예시하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사산이 형성된 롤리팝을 위한 2개 부품의 용기를 예시하는 블록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리팝 스틱에 롤리팝 볼을 고정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적인 다른 맞물림 메커니즘을 예시하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리팝을 사용하는 예시적인 공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여기서는, 롤리팝 내에 나사산이 형성된 공동에 또는 롤리팝이 주위에 형성되는 삽입부재에 의해 한정된 나사산이 형성된 공동에 나사 결합되는 재사용 가능한 스틱을 포함하는 나사산이 형성된 롤리팝을 제공하는 특정 실시예들이 기술된다. 또한, 롤리팝이 주위에 형성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마운트가 제공되고 이 나사산이 형성된 마운트는 롤리팝으로부터 연장하며 스틱에서 나사산이 형성된 공동에 나사 결합되는 다른 실시예가 기술된다. 롤리팝 스틱과 맞물리는 롤리팝 볼과 사용하기 위해 또는 롤리팝 볼과만 사용하기 위해 선택적인 홀을 구비하는 캡이 또한 제공된다.
본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대안적인 실시예들과 대안적인 응용들을 구현하는 방법들을 명백하게 알게될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이 기술되어 있으나, 이들 실시예들은 단지 예로써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은 전혀 아니다. 따라서, 여러 가지 대안적인 실시예들에 대한 본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 스틱(40)을 갖는 나사산이 형성된 롤리팝(10)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롤리팝(10) 볼은 제조 중 나사산이 형성된 삽입부재(20) 주위에 형성된다. 나사산이 형성된 삽입부재(20)는 롤리팝을 위한 맞물림 메커니즘의 일 실시예이다. 일 실시예에서, 롤리팝(10) 볼은 32그램(gram)의 볼이다.
나사산이 형성된 삽입부재(20)는 나사산이 형성된 공동(25)을 한정할 수 있는 플라스틱 또는 페이퍼 또는 임의의 다른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나사산이 형성된 삽입부재(20)는 식용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사산이 형성된 삽입부재(20)의 기능은 2가지이다. 첫째, 삽입부재는 롤리팝(10) 볼이 형성되는 베이스를 한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롤리팝(10) 볼의 외주 에지 부근에 있는 나사산이 있는 삽입부재(20)의 단부는 롤리팝(10) 볼의 내부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이거나 또는 이보다 약간 리세스된다. 이런 방식으로, 롤리팝(10) 볼의 표면은 나사산이 형성된 공동(25)이 위치하는 리세스를 갖는 기본적으로 구형이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나사산이 형성된 공동(25)은 롤리팝(10) 볼 그 자체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롤리팝(10) 볼이 형성될 때, 나사산이 형성된 공동(25)은 롤리팝(10) 볼이 경화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공동(25)이 유지되도록 한정된다.
나사산이 형성된 공동(25)은 롤리팝 스틱(40)의 일 단부에 제공되는 나사산(30)을 아늑하게(snugly) 수용하도록 사이즈가 정해지고 형성된다. 스틱(40)의 나사산(30)은 스틱(40)에 롤리팝(10) 볼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롤리팝(10) 볼에 한정된 나사산이 형성된 공동(25) 내에 트위스트(twisted)된다.
스틱(40)은 또한 스틱(40)과 롤리팝(10)의 전체적인 매력에 더하기 위하여 디자인 요소(design elements)(90)로 장식될 수 있다. 스틱(40)에 있는 디자인 요소(90)는 여러 가지 프린트물, 디자인물, 포장물 및 부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틱(40)은 스틱의 외부면에 부착되는 2mm 내지 5mm의 크리스탈(crystals)로 장식된다. 크리스탈은 유리하게는 롤리팝 스틱(40)에 원하는 외양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이한 컬러일 수 있다. 주문 제작 가능한 스틱(customizable sticks)은 또한 소비자 주문 인터페이스(custom order interface)를 통해, 예를 들어, 오퍼레이터와의 전화통화를 통해 또는 웹사이트를 통해 소비자에게 이용가능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사산이 형성된 롤리팝(10)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롤리팝(10) 볼은 제조 중 나사산이 형성된 마운트(20) 주위에 형성된다. 나사산이 형성된 마운트(20)는 롤리팝(10) 볼의 내부로 연장되고 또한 롤리팝(10) 볼의 외부면을 넘어 연장된다. 롤리팝 볼(10)의 외부면을 넘어 연장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마운트(50)의 부분(즉, 외부 부분)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외부 부분은 또한 도 1에 대해 전술된 포크(fork) 및 미늘(barb)과 같은 대안적인 맞물림 메커니즘을 사용하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롤리팝 볼(10)의 내부로 연장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마운트(50)의 부분(즉, 내부 부분)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고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내부 부분은 롤리팝(10) 볼의 제조 중 롤리팝(10) 볼이 형성될 수 있는 고정 마운트를 제공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최적으로 형성된다.
나사산이 형성된 마운트(20)의 외부 부분은 롤리팝 스틱(70)의 일 단부에 의해 한정된 나사산이 형성된 공동(60)에 아늑하게 끼워 맞춰지도록 사이즈가 정해지고 형성된다. 나사산이 형성된 마운트(20)가 나사산이 형성된 공동(60)에 아늑하게 끼워 맞춰질 때, 롤리팝(10) 볼은 스틱(7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롤리팝(10) 볼을 스틱(70)에 맞물리고/고정하는 수단은 나사산, 포크(fork) 및 미늘(barb) 또는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알려져 있는 다른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나사산이 형성된 마운트(50)는 롤리팝(10) 볼을 스틱(7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롤리팝 스틱(70)의 일 단부에 한정된 나사산이 형성된 공동(60)으로 트위스트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스틱(70)은 도 1에 대해 전술된 바와 같은 디자인 요소(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롤리팝을 위한 힌지 형성된 용기(150)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용기(150)는 힌지(100)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연결된 상부(130) 부분과 하부(140) 부분을 포함한다. 용기(150)는 롤리팝(10) 볼을 둘러싸고 죔쇠(clasp)(110) 수단에 의해 단단히 폐쇄되도록 구성된다. 폐쇄될 때, 용기(150)는 롤리팝(10) 볼이 저장될 수 있는 구형 격실을 한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선택적인 홀(120)이 용기(150)의 표면의 일부에 제공되어 롤리팝 스틱(40)이 홀(120)을 통과하거나 또는 나사산이 형성된 마운트(50)가 홀(120)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롤리팝을 위한 2부품 용기(150)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용기(150)는 롤리팝(10) 볼이 저장될 수 있는 구형 격실을 함께 한정하는 상부(130) 부분과 별개의 하부(140) 부분을 포함한다. 상부(130) 부분과 하부(140) 부분은 각각 구형 격실을 한정하기 위해 상부(130) 부분을 하부(140) 부분에 단단히 고정하도록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정합 죔쇠(matching clasps)(110)를 구비하게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선택적인 홀(120)이 용기(150)의 표면의 일부에 제공되어, 롤리팝 스틱(40)이 홀(120)을 통과하거나 또는 나사산이 형성된 마운트(50)가 홀(120)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롤리팝 볼을 롤리팝 스틱에 분리가능하게 고정하는 예시적인 다른 맞물림 메커니즘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롤리팝 스틱(150)은 2개 이상의 포크(fork)(160)를 가지게 제공되고 각 포크(160)는 그 단부에 미늘(barb)(170)을 구비한다. 대응하는 삽입부재(180)가 또한 지지부(190)를 포함하게 제공된다. 스틱(150)은 2개 이상의 포크(160)를 서로 누르고, 이들 포크(160)들을 삽입부재(180) 안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것에 의해 삽입부재(180)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들 포크(160)들이 분리되면, 미늘(170)이 지지부(190)와 맞물려 롤리팝 볼(미도시)이 롤리팝 스틱(150)에 고정되게 된다. 롤리팝 스틱(150)은 2개 이상의 포크(160)를 누르고 삽입부재(180)로부터 스틱을 당기는 것에 의해 삽입부재(18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런 타입의 맞물림 메커니즘의 잇점은 롤리팝 스틱(150)에 단단히 고정되게 유지되는 동안 롤리팝 스틱(150)에 대해 롤리팝 볼이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롤리팝을 사용하는 예시적인 공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예시된 방법에 있는 단계들은 도시된 순서로 또는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처음에, 단계 200에서, 하나 이상의 롤리팝 볼이 맞물림 메커니즘 주위에 형성된다. 맞물림 메커니즘은 암 나사산이 형성된 공동이거나 또는 수 나사산이 형성된 마운트일 수 있다. 맞물림 메커니즘은 또한 롤리팝 스틱에서 대응하는 미늘을 수용하는 지지 플랫폼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단계 210에서, 롤리팝 스틱은 대응하는 맞물림 메커니즘을 구비한다. 맞물림 메커니즘은 암 나사산이 형성된 공동이나 수 나사산일 수 있다. 맞물림 메커니즘은 또한 미늘이 지지 플랫폼과 맞물리는 삽입부재 안으로 슬라이딩하기 위해 포크들이 서로 눌려질 수 있도록 미늘을 가지는 2개 이상의 포크일 수 있다. 롤리팝 스틱은 또한 인쇄 재료에 스틱을 포장하여서, 스틱에 직접 인쇄하여서, 장식 크리스탈, 보석 등과 같은 물품을 스틱에 부착하여서 장식될 수 있다.
대응하는 맞물림 메커니즘이 제 위치에 위치하면, 단계 220에서, 제 1 롤리팝 볼의 맞물림 메커니즘은 롤리팝 스틱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된다. 이것은 제 1 롤리팝 볼의 맞물림 메커니즘에 롤리팝 스틱을 나사 고정하여서 또는 롤리팝 스틱을 누르고 이를 제 1 롤리팝 볼의 맞물림 메커니즘 안으로 슬라이딩시켜서 달성될 수 있다. 단계 230에서 결정된 바와 같이 일단 롤리팝 볼이 소비되거나 또는 다른 방법으로 소진되면, 단계 240에서 맞물림 메커니즘과 롤리팝 스틱이 분리된다. 이후 단계 250에서, 그 다음 롤리팝 볼의 맞물림 메커니즘이 롤리팝 스틱에 고정되고 공정은 원하는 만큼 많은 추가적인 롤리팝 볼로 이어진다.
맞물림 메커니즘과 이 맞물림 메커니즘과 대응하는 롤리팝 스틱을 갖는 전술된 롤리팝 볼의 중요한 잇점은 롤리팝 스틱이 소비자에 의해 재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나아가, 롤리팝 스틱의 재사용 가능성으로 인해 롤리팝 스틱이 매력적으로 장식될 수 있는 패션 악세사리가 될 수 있다. 맞물림 메커니즘과 이 맞물림 메커니즘과 대응하는 롤리팝 스틱을 갖는 전술된 롤리팝 볼의 재사용 가능한 특성의 다른 중요한 잇점은 단일 사용으로 버려질 수 있는 스틱을 요구하는 종래의 롤리팝과 연관된 쓰레기 및 페이퍼 제품 소비의 감소에 있다.
전술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거나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이들 실시예에 대한 여러 가지 변형들은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기술된 일반 원리들은 본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상세한 설명과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어서 본 발명에 의해 넓게 구상되는 주제를 나타내는 것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수 있는 다른 실시예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따라 전술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34)

  1. 복수의 롤리팝과 사용하기 위한 재사용가능한 롤리팝 스틱으로서,
    인접 단부와 말단 단부를 구비하고, 인접 단부는 롤리팝과 맞물리는 스틱과,
    롤리팝 볼을 스틱에 분리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롤리팝에 있는 짝을 이루는 맞물림 메커니즘과 분리가능하게 결합가능한 스틱의 인접 단부에 위치한 제 1 맞물림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리팝 스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에 하나 이상의 디자인 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리팝 스틱.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디자인 요소는 스틱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3차원 물체 또는 인쇄 재료 또는 양자 모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리팝 스틱.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물체는 크리스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리팝 스틱.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스탈은 2mm 내지 5mm의 사이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리팝 스틱.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맞물림 메커니즘은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리팝 스틱.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맞물림 메커니즘은 외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리팝 스틱.
  8. 롤리팝 장치로서,
    인접 단부와 말단 단부를 구비하고 말단 단부는 제 1 맞물림 메커니즘을 구비하는 롤리팝 스틱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식용 재료로 형성되고, 제 1 맞물림 메커니즘과 분리가능하게 맞물리는 제 2 맞물림 메커니즘을 구비하는 롤리팝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롤리팝 헤드는 롤리팝을 형성하기 위해 스틱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리팝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롤리팝 헤드는 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리팝 장치.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맞물림 메커니즘은 외부면을 구비하고 롤리팝 헤드는 제 2 맞물림 메커니즘의 외부면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형성된 식용 재료의 롤리팝 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리팝 장치.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롤리팝 헤드는 완전히 식용 재료로 형성되고 제 2 맞물림 메커니즘은 롤리팝 헤드의 식용 재료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리팝 장치.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메커니즘들 중 하나는 형성된 공동을 포함하고 다른 맞물림 메커니즘은 공동에 분리가능한 짝을 이루는 맞물림을 위해 형성된 외부에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리팝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과 외부에 형성된 부분은 롤리팝 헤드를 스틱에 분리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맞물림 나사산이나 맞물림 스냅 형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리팝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맞물림 메커니즘은 스틱의 외부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고 제 2 맞물림 메커니즘은 상기 롤리팝을 형성하기 위해 스틱의 외부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과 분리가능하게 맞물리는 롤리팝 헤드 내로 연장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공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리팝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맞물림 메커니즘은 스틱의 인접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공동을 포함하고 제 2 맞물림 메커니즘은 롤리팝을 형성하기 위해 스틱의 나사산이 형성된 공동과 분리 가능하게 맞물리는 롤리팝 헤드로부터 연장되는 외부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리팝 장치.
  16. 제 8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리팝 스틱은 하나 이상의 디자인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리팝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디자인 요소는 스틱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3차원 물체 또는 인쇄 재료 또는 양자 모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리팝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물체는 크리스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리팝 장치.
  19. 제 8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비하기 전에 한번에 하나씩 연속적으로 스틱에 고정되는 복수의 롤리팝 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리팝 장치.
  20. 제 1 롤리팝을 형성하기 위해 롤리팝 스틱의 인접 단부에 짝을 이루는 맞물림 메커니즘에 제 1 롤리팝 헤드 맞물림 메커니즘 주위에 형성된 제 1 롤리팝 헤드를 분리가능하게 고정하는 단계;
    상기 롤리팝 스틱에 짝을 이루는 맞물림 메커니즘으로부터 상기 제 1 롤리팝 헤드 맞물림 메커니즘을 분리하는 단계;
    제 2 롤리팝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롤리팝 스틱에 짝을 이루는 맞물림 메커니즘에 제 2 롤리팝 헤드 맞물림 메커니즘 주위에 형성된 제 2 롤리팝 헤드를 분리가능하게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리팝을 사용하는 방법.
  21. 롤리팝 볼과 맞물리는 외부면과, 내부면을 구비하는 롤리팝 볼 맞물림 메커니즘;
    롤리팝 볼 맞물림 메커니즘의 외부면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형성된 롤리팝 볼;
    인접 단부와 말단 단부를 구비하고 인접 단부는 롤리팝을 형성하기 위해 롤리팝 볼 맞물림 메커니즘과 분리가능하게 맞물리는 롤리팝 스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리팝.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리팝 볼은 24그램을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리팝.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리팝 볼은 거의 32 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리팝.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리팝 스틱은 하나 이상의 디자인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리팝.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디자인 요소는 인쇄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리팝.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디자인 요소는 스틱에 부착된 3차원 물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리팝.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물체는 크리스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리팝.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스탈은 2mm 내지 5mm의 사이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리팝.
  29.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리팝 볼 맞물림 메커니즘은 실질적으로 롤리팝 볼의 내부에 위치하며 나사산이 형성된 공동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리팝.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의 인접 단부는 롤리팝을 형성하기 위하여 롤리팝 볼 맞물림 메커니즘의 나사산이 형성된 공동과 분리 가능하게 맞물리는 외부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리팝.
  31. 제 21 항에 있어서,
    롤리팝 볼 맞물림 메커니즘의 부분은 롤리팝 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고 롤리팝을 형성하기 위하여 외부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리팝.
  32.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의 인접 단부는 롤리팝 볼 맞물림 메커니즘의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과 분리가능하게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된 공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리팝.
  33. 롤리팝 볼과 맞물리는 외부면을 구비하고, 내부면을 구비하는 롤리팝 볼 맞물림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롤리팝 볼 맞물림 메커니즘 주위에 롤리팝 볼을 형성하는 단계;
    인접 단부와 말단 단부를 구비하는 롤리팝 스틱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접 단부는 롤리팝을 형성하기 위하여 롤리팝 볼 맞물림 메커니즘과 분리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리팝을 사용하는 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롤리팝 스틱의 인접 단부의 형상은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리팝을 사용하는 방법.
KR1020117012211A 2008-10-31 2009-02-11 롤리팝 장치 및 방법 KR201100917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262,507 US20100112148A1 (en) 2008-10-31 2008-10-31 Lollipop Apparatus and Method
US12/262,507 2008-10-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704A true KR20110091704A (ko) 2011-08-12

Family

ID=42129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2211A KR20110091704A (ko) 2008-10-31 2009-02-11 롤리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20100112148A1 (ko)
EP (1) EP2346346B1 (ko)
KR (1) KR20110091704A (ko)
CN (2) CN102202515A (ko)
ES (1) ES2540254T3 (ko)
HR (1) HRP20150746T1 (ko)
HU (1) HUE025755T2 (ko)
PL (1) PL2346346T3 (ko)
PT (1) PT2346346E (ko)
WO (1) WO20100510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10309B2 (en) * 2011-12-05 2014-12-09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ing public displays with private devices
DE202012102990U1 (de) 2012-08-09 2012-08-31 Volker Jan Block Lutscher
ES2636244T3 (es) * 2013-08-06 2017-10-05 Gea Food Solutions Weert B.V. Máquina de moldeo de piruletas con un conjunto de troqueles
US20150282798A1 (en) * 2014-04-02 2015-10-08 Michele Uphoff Oral Tool
US20160338542A1 (en) * 2015-05-22 2016-11-24 Franke Technology And Trademark Ltd. Food skewer and food dip coating methods and apparatuses

Family Cites Families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75625A (en) * 1925-10-19 1926-03-09 Kingsley Miller Company Illuminated gear-shift-lever ball
US1889118A (en) * 1928-11-26 1932-11-29 Philip Laux Gear shift lever knob
US2166568A (en) * 1938-06-15 1939-07-18 Otto J Kuhlke Process of making and covering articles
GB1110705A (en) * 1966-01-05 1968-04-24 Vauxhall Motors Ltd Change-speed transmission selector assemblies
US3549465A (en) * 1966-11-29 1970-12-22 Joseph B Skelley Jr Ornaments
US3481458A (en) * 1967-10-10 1969-12-02 Emma Lee A Mayeaux Holder for food
US3615596A (en) * 1969-12-04 1971-10-26 Albert F Petti Writing accessory
US3943928A (en) * 1974-09-25 1976-03-16 Lariccia Anthony H Eliminating the safety hazard in oral dissolution of a solid
AR206823A1 (es) 1974-11-02 1976-08-23 Heidelberger Druckmasch Ag Tambor de traslacion en maquinas impresoras rotativas de pliegos
ES217250Y (es) * 1975-12-06 1977-01-01 Cruz Herranz Emilio De Soporte para porciones de productos alimentarios.
US4914748A (en) * 1988-08-30 1990-04-03 Schlotter Iv William K In combination, a novelty flashlight and piece of candy for illumination
US5824334A (en) * 1989-09-05 1998-10-20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Tobacco substitute
JPH05153911A (ja) * 1990-12-07 1993-06-22 Omuji:Kk 発光菓子
JP2935602B2 (ja) * 1991-12-09 1999-08-16 鐘紡株式会社 還元乳糖含有ハードキャンディ
US5209692A (en) * 1992-01-08 1993-05-11 Coleman Thomas J Combination, a novelty toy and a candy holding device
FR2688396A1 (fr) * 1992-03-13 1993-09-17 Legoy Dominique Produit a usage alimentaire comprenant une spatule reutilisable et un produit consommable.
ES1024744Y (es) * 1993-04-30 1994-06-01 Bernat Enrique F Sa Caja portadora de caramelo con palito.
US5702742A (en) * 1993-08-25 1997-12-30 Spangler Candy Company Container and lollipop combination
US5536054A (en) * 1994-12-28 1996-07-16 Jyco Inc. Lollypop holder
US5690535A (en) * 1996-07-10 1997-11-25 Coleman; Thomas J. Twin spins spin pop
US5919079A (en) * 1997-11-10 1999-07-06 Coleman; Thomas J. Play sword lollipop holder
US6090420A (en) * 1998-04-13 2000-07-18 Coleman; Thomas J. Animated chicken candy pop combination
US5955099A (en) * 1998-04-16 1999-09-21 White; Wendy A. Cough drop sucker with cover
US6177110B1 (en) * 1998-06-23 2001-01-23 Candy Novelty Works Ltd. Lollipop with edible stick
WO2000004790A1 (es) * 1998-07-23 2000-02-03 Francisco Hernandez Vidal, S.A. Caramelo con mango luminoso
ES1041603Y (es) * 1998-12-31 1999-11-16 Clavell Rafael Calonge Caramelo luminoso.
WO2000044647A1 (es) * 1999-01-29 2000-08-03 Enrique Bernat F., S.A. Combinacion de caramelo con palo y recipiente
US6074266A (en) * 1999-02-03 2000-06-13 Oddzon, Inc. Spin pop with facial expression capability
US6619816B1 (en) * 1999-03-29 2003-09-16 Richard Johnson Illuminated novelty confection
US6572244B1 (en) * 2000-01-10 2003-06-03 Jim Clark Novelty item having illuminating handle
US6309683B1 (en) * 2000-05-04 2001-10-30 Thomas J. Coleman Novelty candy holding device
US6565899B1 (en) * 2000-05-19 2003-05-20 Al Louis Cecere Combination lollipop, drinking straw and beverage cap
US20020058090A1 (en) * 2000-10-11 2002-05-16 Zak Siddons Food product or food additive product having a chemiluminescent stick
WO2002069728A2 (en) * 2001-03-06 2002-09-12 Gordon J Paul Luminescent lollipop
US6471364B1 (en) * 2001-03-19 2002-10-29 Jon M. Plante Chemiluminescent lollypop
US6595899B2 (en) * 2001-07-06 2003-07-22 Hung-Min Liang Stepping exerciser
US6730339B2 (en) * 2001-08-20 2004-05-04 Candy Novelty Works Ltd. Lollipop with fluid reservoir handle
US20030077362A1 (en) * 2001-10-23 2003-04-24 Panhorst Dorothy A. Encapsulated flavors as inclusion in candy confections
US20030087007A1 (en) * 2001-11-06 2003-05-08 Ethan Summers Candy magnifier
USD491336S1 (en) * 2002-08-13 2004-06-15 Al Louis Cecere Combination lollipop, drinking straw
US7014877B2 (en) * 2003-06-18 2006-03-21 Zip-Pop Manufacturing & Marketing Ltd. Lollipop stick and lollipop container
CN2652150Y (zh) * 2003-07-31 2004-11-03 薛浩亮 棒棒糖棍
US20050095949A1 (en) * 2003-11-01 2005-05-05 Fernandez Rodolfo Jr. Dancing toy lollipop
US20050180125A1 (en) * 2004-02-13 2005-08-18 Kuang-Chang Yu Lollipop stick
US8485875B1 (en) * 2004-07-21 2013-07-16 Candyrific, LLC Novelty hand-held fan and object holder
US20060040019A1 (en) * 2004-08-23 2006-02-23 Cecere Al L Combination bottle top beverage dispenser and candy sucker
US20060107781A1 (en) * 2004-11-22 2006-05-25 Alice Yao Gearshift lever knob for hand shifting vehicle
KR200376387Y1 (ko) 2004-11-30 2005-03-10 손재도 후렛시가 부착된 사탕과자
KR200394488Y1 (ko) * 2005-06-13 2005-08-31 주식회사 지에프 야광캔디
CN2891678Y (zh) * 2005-11-10 2007-04-25 陈启明 带手柄的糖果
CN2880737Y (zh) * 2005-12-14 2007-03-21 时越 棒棒糖包装壳
FR2902977B1 (fr) * 2006-07-03 2008-10-24 Katia Lopez Porte-sucette securise
US7473155B1 (en) * 2006-07-18 2009-01-06 K & A Design, Llc Novelty hand-held object holder
US20080233247A1 (en) * 2007-03-19 2008-09-25 Rodolfo Fernandez Assemblable swinging lollypo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46346A1 (en) 2011-07-27
ES2540254T3 (es) 2015-07-09
HRP20150746T1 (hr) 2015-08-14
CN102202515A (zh) 2011-09-28
US20100112148A1 (en) 2010-05-06
HUE025755T2 (en) 2016-04-28
WO2010051047A1 (en) 2010-05-06
PT2346346E (pt) 2015-08-21
US20150327570A1 (en) 2015-11-19
EP2346346B1 (en) 2015-04-08
PL2346346T3 (pl) 2015-09-30
US9781944B2 (en) 2017-10-10
EP2346346A4 (en) 2012-11-21
CN108208298A (zh) 2018-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1944B2 (en) Lollipop apparatus and method
AU748077B2 (en) Paint set confectionery
US10918116B2 (en) Combination confectionery product assembly
AU2010202234A1 (en) Package assembly
US20110027430A1 (en) Lollipop Apparatus and Method
US20090289070A1 (en) Food container with drawing utensil
FR2849995A1 (fr) Recipient pour cosmetiques
KR20100072140A (ko) 막대 사탕 모양의 차(茶) 티백
JP2005075789A (ja) 多色固形化粧料および多色固形化粧料の製造方法
CN207292715U (zh) 一种高筒双层饮品杯
EP1787919A1 (en) Container for foodstuffs provided with a drawing utensil
KR101444745B1 (ko) 다용도 화장품용 성형몰드 및 그를 이용한 다용도 화장품 성형방법
CN200939971Y (zh) 一种悠悠球包装盒
RU66899U1 (ru) Обертка для конфеты
CN110049695A (zh) 头发配饰的改进或者与头发配饰有关的改进
KR200468523Y1 (ko) 모자 겸용 꽃바구니
CN205686892U (zh) 糖果盒
KR200349057Y1 (ko) 제과제빵장식용 짤주머니
JP4781392B2 (ja) 飾り餅用飾り支持具
JP2006255239A (ja) 模擬果実一体式の飾り餅容器
KR20080076438A (ko) 꽃다발을 구비한 포장용기
US8945658B2 (en) Apple with edible filling
JP3112496U (ja) 飾り餅用飾り支持具
RU66896U1 (ru) Обертка для кондитерского драже
RU68245U1 (ru) Обертка для кондитерского драж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