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0766A -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0766A
KR20110090766A KR1020110002209A KR20110002209A KR20110090766A KR 20110090766 A KR20110090766 A KR 20110090766A KR 1020110002209 A KR1020110002209 A KR 1020110002209A KR 20110002209 A KR20110002209 A KR 20110002209A KR 20110090766 A KR20110090766 A KR 20110090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pace
housing
contact
low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2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4338B1 (ko
Inventor
세이지 오카무라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90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0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0Coupling parts carrying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커넥터 내부에서의 분진의 퇴적을 방지하여, 단자끼리의 단락 등의 문제 그리고 단자와 평형 도체의 접촉 불량을 발생시키지 않고, 또한, 접속부로부터의 땜납 및 플럭스 상승을 방지하여, 단자와 평형 도체의 접촉 불량을 발생시키지 않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커넥터 (1) 에 있어서, 하우징 (10) 은, 상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상개구부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삽입되는 평형 도체를 받아들이는 받아들임 홈부와, 받아들임 홈부에 연통됨과 함께 하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개구부로부터 제 1 단자 (20) 가 수용되는 수용 홈부 (15) 를 갖고, 수용 홈부 (15) 는, 제 1 단자 (20) 의 제 1 접속부 (24) 와 제 1 접촉부 사이의 중간부를 수용하는 부분에서는, 상방에서 보았을 때, 적어도 상개구부 및 하개구부의 양방과 중복되는 범위를 포함하는 영역에서, 제 1 단자 (20) 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수용 홈부 (15) 의 내벽면과 제 1 단자 (20) 사이의 공극이 그 영역 이외에서의 공극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SUBSTRATE}
본 발명은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방으로부터 평형 도체 (플렉시블 기판) 를 받아들여 그 플렉시블 기판이 접속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의 전기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이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는, 상개구부와 하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그 하우징에 배열 유지되는 복수의 단자 (접촉자) 와, 그 하우징 및 단자에 의해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압 부재를 갖고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개구부로부터 평형 도체를 받아들이는 받아들임 홈부와, 하개구부로부터 단자가 수용되는 수용 홈부 (유지홈) 가 형성되어 있고, 그 받아들임 홈부와 수용 홈부는 연통되어 있다. 또, 상기 단자는, 금속판의 평탄한 판면을 유지하여 타발 가공에 의해 만들어져 있고, 상방을 향하여 만곡하여 연장되어 상단 (上端) 에 접촉부가 형성된 아암부와, 그 아암부의 기부 (基部) 의 하부 가장자리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는 접속부를 갖고 있다. 그 단자가 상기 수용 홈부 내에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그 단자의 아암부는, 하우징의 받아들임 홈부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그 아암부의 접촉부가 상개구부 근방에 위치하고 있어, 받아들임 홈부 내에 삽입된 평형 도체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접속부는 하우징의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어,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와 땜납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195256
상기 특허문헌 1 과 같은 전기 커넥터에서는, 단자가 수용되는 상기 하우징의 수용 홈부가 단자의 판 두께와 거의 동일한 폭 치수의 슬릿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그 특허문헌 1 에서는, 특히 이 점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지 않으므로, 수용 홈부는 단자의 판 두께와 거의 동일한 폭 치수의 슬릿으로 형성되어 있어, 그 판 두께 방향에서 단자와의 사이에 간극이 거의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 수용 홈부가 이와 같은 슬릿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그 수용 홈부에 단자가 수용되면 그 단자에 의해 하우징의 하개구부가 막히므로, 이물질인 분진이 상개구부로부터 낙하 진입되었을 때, 그 분진이 하우징의 받아들임 홈부 내 그리고 수용 홈부 내에서 퇴적되어 단자에 부착되는 결과, 서로 인접하는 단자끼리의 단락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 상기 분진이 단자의 접촉부에 부착됨으로써, 단자와 평형 도체의 접촉 불량이 발생할 우려도 있다.
또, 접속부가 회로 기판 상의 대응 회로부와 땜납 접속되었을 때, 상기 수용 홈부와 단자의 판면 사이에서 모세관 현상에 의한 땜납 및 플럭스 상승이 발생하여, 그 땜납 및 플럭스가 단자의 접촉부까지 도달하는 것에 의해서도, 단자와 평형 도체의 접촉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커넥터 내부에서의 분진의 퇴적을 방지함으로써, 단자끼리의 단락 등의 문제 그리고 단자와 평형 도체의 접촉 불량을 발생시키지 않고, 또한, 접속부로부터의 땜납 및 플럭스 상승을 방지함으로써, 단자와 평형 도체의 접촉 불량을 발생시키지 않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는, 하우징과 그 하우징에 배열 유지되는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고,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되는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하우징은, 상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상개구부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삽입되는 평형 도체를 받아들이는 받아들임 공간과, 상기 받아들임 공간에 연통됨과 함께 하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개구부로부터 단자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갖고, 상기 단자는, 상기 하개구부측에서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일단 (一端) 에 그리고 받아들임 공간에 받아들여지는 도체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타단에 갖고 있다.
이러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단자의 접속부와 접촉부 사이의 중간부를 수용하는 부분에서는, 상방에서 보았을 때, 적어도 상개구부 및 하개구부의 양방과 중복되는 범위를 포함하는 영역에서, 상기 단자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수용 공간의 내벽면과 그 단자 사이의 공극이 그 영역 이외에서의 공극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수용 공간에 있어서, 단자의 접속부와 접촉부 사이의 중간부를 수용하는 부분 중 상하 방향에서 상개구부와 하개구부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단자의 판 두께 방향에서 단자와의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개구부로부터 낙하 진입된 분진은 상기 공극을 거쳐 하개구부로부터 외부로 낙하 배출되므로, 받아들임 공간 내 그리고 수용 공간 내에 퇴적되는 경우가 없다.
이 결과, 상기 분진이 단자에 부착되는 경우가 없으므로, 서로 인접하는 단자끼리의 단락 등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 상기 분진이 단자의 접촉부에 부착되는 경우가 없으므로, 그 단자와 평형 도체의 접촉 불량도 발생하지 않는다.
또, 수용 공간에 있어서 단자와의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공극에 있어서는 모세관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접속부측으로부터 올라온 땜납 및 플럭스가 그 공극으로부터 접촉부측으로 진행하는 경우는 없다.
이 결과, 상기 땜납 및 플럭스가 단자의 접촉부에 부착되는 경우가 없으므로, 단자와 평형 도체의 접촉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다.
하우징의 받아들임 공간에 대한 평형 도체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열림 위치와, 평형 도체를 단자의 접촉부에 누르는 닫힘 위치 사이에서 회전 운동 가능한 가압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가압 부재는, 닫힘 위치에서 받아들임 공간 내에 위치하여 평형 도체를 상기 단자의 접촉부를 향하여 누르는 가압부를 갖고 있고, 그 가압부는, 상기 닫힘 위치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받아들임 공간과 수용 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개구부로부터 낙하 진입된 분진이 그 홈부를 거쳐 하개구부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 부재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그 가압 부재의 가압부는 받아들임 공간 내에 위치한다. 그리고, 그 가압부에는, 닫힘 위치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 홈부가 형성되어 있어, 받아들임 공간과 수용 공간이 연통되어 있으므로, 상개구부로부터 낙하 진입된 분진은 그 연통 홈부 그리고 상기 공극을 거쳐 하개구부로부터 낙하 배출된다. 따라서, 분진이 받아들임 공간 내 그리고 수용 공간 내에 퇴적되는 경우는 없다. 이 결과, 상기 분진이 단자에 부착되는 경우가 없으므로, 서로 인접하는 단자끼리의 단락 등의 문제의 발생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단자의 접촉부에 대한 상기 분진의 부착에 의한 그 단자와 평형 도체의 접촉 불량의 발생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의 수용 공간에 있어서, 단자의 접속부와 접촉부 사이의 중간부를 수용하는 부분 중 상하 방향에서 상개구부와 하개구부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상기 단자의 판 두께 방향에서 그 단자와의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개구부로부터 낙하 진입된 분진이 그 공극을 거쳐 하개구부로부터 외부로 낙하 배출된다. 따라서, 받아들임 공간 내 그리고 수용 공간 내에 분진이 퇴적되지 않으므로, 그 분진이 단자에 부착되는 경우가 없어, 서로 인접하는 단자끼리의 단락 등의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단자의 접촉부에 대한 상기 분진의 부착에 의한 그 단자와 평형 도체의 접촉 불량의 발생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수용 공간에 있어서 단자와의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어 있고, 그 공극에서는 모세관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접속부와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와의 땜납 접속에서 기인하여 접속부측에서 올라온 땜납 및 플럭스는 그 공극으로부터 접촉부측으로 진행하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그 땜납 및 플럭스가 단자의 접촉부까지 도달하는 경우가 없으므로, 그 단자와 평형 도체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삽입 전의 평형 도체 와 함께 나타낸 사시도이며, 가압 부재가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2 는 도 1 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삽입 전의 평형 도체와 함께 나타낸 사시도이며, 가압 부재가 닫힘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3 은 평형 도체의 삽입 전의 커넥터의 종단면도이며, (A) 는 ⅢA-ⅢA 단면도, (B) 는 ⅢB-Ⅲ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3(B) 에 나타낸 커넥터 단면도에서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의 도 시를 생략한 도면이다.
도 5(A) 는, 도 3(B)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저면도이며, 도 5(B) 는 도 3(B)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ⅤB-ⅤB 단면도이다.
도 6 은 평형 도체의 삽입 후의 커넥터의 종단면도이며, (A) 는 도 3(A) 에 대응되고, (B) 는 도 3(B) 에 대응된다.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삽입 전의 평형 도체와 함께 나타낸 사시도이며, 후술하는 가압 부재가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또, 도 2 는, 도 1 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삽입 전의 평형 도체와 함께 나타낸 사시도이며, 가압 부재가 닫힘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1) (이하, 간단히 「커넥터 (1)」라고 한다) 는, 회로 기판 (도시 생략) 상에 배치되는 전기 커넥터로서, 상방으로부터 평형 도체 (P) 를 받아들여 그 평형 도체 (P) 가 접속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평형 도체 (P) 의 본체부 (P1) 의 일방의 면에는, 그 하단측 부분에 보강판 (P2) 이 첩착 (貼着) 되어 있다. 또, 그 본체부 (P1) 의 타방의 면에는, 그 하단측 부분에, 후술하는 제 1 단자 (20) 와 접속되는 신호 회로부의 접속 패드 (도시 생략) 가 나타나 있고 그 평형 도체 (P) 의 폭 방향으로 배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후술하는 제 2 단자 (30) 와 접속되는 그라운드 회로부로서의 그라운드바 (P3) 가 본체부 (P1) 의 하단부쪽 위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 회로부보다 상방에서 상기 폭 방향 전체 영역에 걸쳐 첩착되어 있다.
즉, 상기 평형 도체 (P) 는, 상기 제 1 단자 (20) 에 대응되는 신호 회로부와 상기 제 2 단자 (30) 에 대응되는 그라운드바 (P3) 가, 평형 도체 (P) 의 두께 방향에서 2 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신호 회로부의 접속 패드 부분과 그라운드바 (P3) 는, 그 평형 도체 (P) 의 상기 타방의 면 상에서 그 평형 도체 (P) 의 폭 방향에 있어서 서로 같은 위치에서 상하로 배치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1) 는, 상방으로부터 평형 도체 (P) 를 받아들이는 대략 직육면체 외형의 하우징 (10) 과, 그 하우징 (10) 의 길이 방향 (회로 기판의 면에 평행한 단자 배열 방향) 에서 그 하우징 (10) 에 등간격을 갖고 배열 유지되는 신호 단자로서의 제 1 단자 (20) 및 그라운드 단자로서의 제 2 단자 (30) 와, 도 1 에 나타내는 열림 위치와 도 2 에 나타내는 닫힘 위치 사이에서 자유롭게 회전 운동하는 가압 부재 (40) 와, 하우징 (10) 에 장착되어 가압 부재 (40) 를 열림 위치에서 유지하기 위한 로크 금구 (50) 를 갖고 있다.
상기 하우징 (10) 은, 회로 기판의 면으로부터 수립 (垂立) 하여 길이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측벽 (11) 및 측벽 (12) 과, 그 측벽 (11) 및 측벽 (12) 의 양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2 개의 단벽 (13) 을 갖고 있다. 상기 측벽 (11, 12) 및 단벽 (13) 에 의해 형성되어 상방으로 개구된 공간은, 상방으로부터 평형 도체 (P) 를 받아들이기 위한 받아들임 공간인 받아들임 홈부 (14) 로서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 (20) 는 측벽 (11) 에 의해 배열 유지되고, 제 2 단자 (30) 는 측벽 (12) 에 의해 배열 유지되어 있다. 도 1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2 단자 (30) 는, 제 1 단자 (20) 보다 수가 적어, 단자 배열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제 1 단자 (20) 중 일부에 대응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단자 (30) 가 단자 배열 방향으로 제 1 단자 (20) 와 같은 위치에서 유지됨으로써, 평형 도체 (P) 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조밀한 피치로 배열된 회로부와의 전기적 도통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 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측벽 (12) 에는, 그 길이 방향, 즉 단자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단자 (30) 가 각각 유지되는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돌조부 (12A) 가, 그 측벽 (12) 의 내벽면으로부터 받아들임 홈부 (14) 내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 1 쌍의 돌조부 (12A) 끼리 사이의 홈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 (20) 및 제 2 단자 (30) 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 홈부 (15) 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단벽 (13) 은, 도 1 및 도 2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로크 금구 (50) 를 수용 유지하기 위한 오목부 (16) 가 상방으로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고, 그 오목부 (16) 의 저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연장되는 로크 금구 장착 구멍부 (도시 생략) 가 형성되어 있다. 그 오목부 (16) 는, 측벽끼리의 대향 방향에서 측벽 (11) 쪽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단자 배열 방향으로 폭 넓게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폭이 넓은 부분에서 로크 금구 (50) 의 탄성 변위를 허용하고 있다.
도 3 은, 평형 도체 (P) 의 삽입 전의 커넥터 (1) (가압 부재는 열림 위치) 의 종단면도이고, (A) 는 ⅢA-ⅢA 단면도이며, (B) 는 ⅢB-ⅢB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3(A) 는, 단자 배열 방향에 있어서 제 1 단자 (20) 및 제 2 단자 (30) 의 양방이 배치되어 있는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낸다. 또, 도 3(B) 는 단자 배열 방향에 있어서 제 1 단자 (20) 만이 배치되어 있는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3(A),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측벽 (11) 및 측벽 (12) 중, 일방의 측벽 (11) 은 타방의 측벽 (12) 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있다. 그 측벽 (11) 은, 제 1 단자 (20) 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구멍부 (11A) 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벽 (12) 은, 제 2 단자 (30) 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구멍부 (12B) 가 하방으로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하우징 (10) 은, 측벽 (12) 의 내벽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그 하부에 있어서 측벽 (11, 12) 의 대향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1 단자 (20)및 제 2 단자 (30) 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으로서의 수용 홈부 (15) 가 형성되어 있다 (도 4 참조). 요컨대, 그 수용 홈부 (15) 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하우징 (10) 의 상단부의 위치로부터 하단부의 위치까지 연장됨과 함께, 상기 대향 방향에 있어서 측벽 (12) 의 내벽면의 위치로부터 측벽 (11) 의 장착 구멍부 (11A) 의 하방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어, 그 전체가 대략 L 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4 참조).
상기 수용 홈부 (15) 는, 받아들임 홈부 (14) 에 연통됨과 함께 하개구부를 갖고 있고, 그 하개구부로부터 제 1 단자 (20) 및 제 2 단자 (30) 가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그 하개구부는 상기 장착 구멍부 (11A, 12B) 와 연통되어 있다. 수용 홈부 (15) 의 홈 폭 치수, 즉 지면 (紙面) 에 대해 직각인 방향에서의 치수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 1 단자 (20) 는, 금속판의 판면을 유지하여 타발 가공에 의해 만들어져 있고, 도 3(A), (B)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좌방을 향하여 연장된 후에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대략 L 자 형상의 가요적인 제 1 탄성 아암부 (22) 와, 그 제 1 탄성 아암부 (22) 의 기부 (21) 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직상 (直狀) 의 지지 아암부 (23) 와, 그 기부 (21) 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된 후에 우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크랭크 형상으로 하우징 (10) 밖으로 연장되는 제 1 접속부 (24) 를 갖고 있다.
상기 제 1 탄성 아암부 (22) 는, 기부 (21) 로부터 좌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대략 수평 부분과, 받아들임 홈부 (14) 보다 측벽 (12) 쪽 위치에서 그 대략 수평 부분의 좌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대략 수직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수직 부분의 상단에는, 평형 도체 (P) 의 신호 회로부와 탄성 접촉시키기 위한 제 1 접촉부 (22A) 가 삽입 후의 평형 도체 (P) 를 향하여 받아들임 홈부 (14) 내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6(A), (B) 참조).
상기 지지 아암부 (23) 는, 좌방으로 개방된 오목 원호 형상의 회전 운동 지지부 (23A) 를 상단부에 갖고 있다. 그 회전 운동 지지부 (23A)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압 부재 (40) 의 회전 운동 축부 (42) 를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 상기 지지 아암부 (23) 는, 하방쪽 위치에 있어서 좌측 가장자리 부에서 돌출되는 압입 돌출부 (23B)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접속부 (24) 는, 하우징 (10) 의 저부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우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부분의 하부 가장자리부가 회로 기판 상의 신호 회로부 (도시 생략) 와 땜납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제 1 단자 (20) 는, 지지 아암부 (23) 가 하우징 (10) 의 측벽 (11) 의 장착 구멍부 (11A) 내로 하방으로부터 압입되고, 그 지지 아암부 (23) 의 압입 돌출부 (23B) 가 그 장착 구멍부 (11A) 의 내벽면에 파고들어가, 그 측벽 (11) 에 의해 하우징 (10) 의 저부쪽 위치에서 유지된다. 또, 그 제 1 단자 (20) 가 측벽 (11) 에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 아암부 (23) 는 상기 장착 구멍부 (11A) 를 관통하고 있고, 상반부가 그 장착 구멍부 (11A) 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도 3(A), (B)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제 1 탄성 아암부 (22) 는, 그 대부분이 수용 홈부 (15) 내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제 1 접촉부 (22A) 가 그 수용 홈부 (15) 로부터 받아들임 홈부 (14) 로 돌출되어 있다.
제 2 단자 (30) 는, 제 1 단자 (20) 와 동일하게, 금속판의 판면을 유지하여 타발 가공에 의해 만들어져 있고, 도 3(A)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2 탄성 아암부 (32) 와, 그 제 2 탄성 아암부 (32) 의 기부 (31) 의 좌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직상의 장착 아암부 (33) 와, 그 기부 (31)의 좌부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된 후 좌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크랭크 형상으로 하우징 (10) 밖으로 연장되는 제 2 접속부 (34) 를 갖고 있다.
제 2 탄성 아암부 (32) 는, 도 3(A) 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중까지는 상방을 향함에 따라 측벽 (12) 으로부터 서서히 멀어지도록 경사져 연장되고, 그 제 2 탄성 아암부 (32) 의 상단쪽 위치의 굴곡 부분부터는 상방을 향함에 따라 상기 측벽 (12) 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연장되어 있다. 그 제 2 탄성 아암부 (32) 의 상기 굴곡 부분에는, 평형 도체 (P) 의 그라운드바 (P3) 와 탄성 접촉시키기 위한 제 2 접촉부 (32A) 가 삽입 후의 평형 도체 (P) 를 향하여 받아들임 홈부 (14)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6(A), (B) 참조).
상기 장착 아암부 (33) 는, 상하 방향에서의 대략 중앙 위치에 있어서 우측 가장자리부에서 돌출되는 압입 돌출부 (33A)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접속부 (34) 는, 하우징 (10) 의 저부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어, 좌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부분의 하부 가장자리부가 회로 기판 상의 그라운드 회로부 (도시 생략) 와 땜납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제 2 단자 (30) 는, 장착 아암부 (33) 가 하우징 (10) 측벽 (12) 의 장착 구멍부 (12B) 내로 하방으로부터 압입되고, 장착 아암부 (33) 의 압입 돌출부 (33A) 가 그 장착 구멍부 (12B) 의 내벽면에 파고들어가, 그 측벽 (12) 에 의해 하우징 (10) 의 저부쪽 위치에서 유지된다. 그 제 2 탄성 아암부 (32) 는, 그 대부분이 수용 홈부 (15) 내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제 2 접촉부 (32A) 가 그 수용 홈부 (15) 로부터 받아들임 홈부 (14)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탄성 아암부 (32) 는, 제 1 단자 (20) 의 제 1 탄성 아암부 (22) 보다 측벽 (12) 쪽 위치에서 하우징 (10) 의 저부쪽 위치로부터 그 제 1 탄성 아암부 (22) 의 상단부보다 상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 그 제 2 탄성 아암부 (32) 의 제 2 접촉부 (32A) 는 제 1 탄성 아암부 (22) 의 제 1 접촉부 (22A) 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단자 (30) 가, 측벽 (12) 에 대해 하방으로부터 장착되어 있고, 그 제 2 단자 (30) 의 제 2 탄성 아암부 (32) 가, 수용 홈부 (15) 내에서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즉, 종래와 같은 하우징의 측벽 외면을 따라 연장되어 상단부를 걸치듯이 되접어 꺾여 만곡되는 그라운드 부재와는 상이하게, 제 2 단자 (30) 는 측벽 (12) 의 상단부를 걸친 만곡부를 갖고 있지 않으므로, 그 만큼, 제 2 단자 (30) 의 높이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하우징 (10) 에 있어서도, 종래와 같이 그라운드 부재의 만곡부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 만큼, 하우징 (10) 의 높이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제 2 단자 (30) 를 고정시키기 위한 부분을 측벽 (12) 의 외면으로부터 돌출시켜 만들 필요도 없어, 그 만큼, 그 측벽 (12) 의 두께 방향으로의 하우징 (10) 의 치수도 작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상기 높이 방향 및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커넥터 (1) 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측벽 (12) 의 높이 범위 내에서 그 측벽 (12) 의 상단부의 근방 위치까지 이르도록 제 2 탄성 아암부 (32) 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 2 탄성 아암부 (32) 의 높이 치수가 하우징 (10) 의 높이 범위 내여도 제 2 탄성 아암부 (32) 에 있어서 충분히 큰 스프링 길이를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 탄성 아암부 (32) 의 스프링 길이를 크게 함으로써 그 제 2 탄성 아암부 (32) 가 탄성 변위되기 쉬워지므로, 그 만큼, 받아들임 홈부 (14) 에 대한 평형 도체 (P) 의 삽입이 용이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단자 (20) 및 제 2 단자 (30) 는, 각각 하우징 (10) 의 측벽 (12) 및 측벽 (13) 에 대해 동일 방향으로부터의 압입에 의해 장착되므로, 그 하우징 (10) 에 대한 제 1 단자 (20) 및 제 2 단자 (30) 의 장착 나아가서는 커넥터 (1) 의 제조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 공간 내 (15) 내에 있어서, 신호 단자로서의 제 1 단자 (20) 와 그라운드 단자로서의 제 2 단자 (30) 를, 그것들 사이에 하우징 (10) 등의 다른 부재를 전혀 개재시키지 않고, 근접시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전기 신호의 전송 특성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4 는, 도 3(B) 에 나타낸 커넥터 단면도에서 제 1 단자 (20) 및 제 2 단자 (30) 의 도시를 생략한 도면이다. 또, 도 5(A) 는, 도 3(B) 에 나타내는 커넥터 (1) 의 저면도이며, 도 5(B) 는 도 3(B) 에 나타내는 커넥터 (1) 의 ⅤB-ⅤB 단면도이다. 여기서, 그 도 5(A), (B) 는, 단자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단자 (20) 의 위치의 근방에서의 저면도 및 단면도를 나타내며, 다른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하우징 (10) 에 있어서의 대략 L 자 형상의 수용 홈부 (15) 의 홈 폭은, 그 대부분에 걸쳐 차지하고 있는 영역 (도 4 에 있어서의 영역 (R2)) 이 제 1 단자 (20) 및 제 2 단자 (30) 의 판 두께보다 약간 넓게 되어 있어, 그 제 1 단자 (20) 및 제 2 단자 (30) 의 판면 사이에 약간의 공극이 형성되어 있다. 그 공극은, 상기 판면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그 제 1 단자 (20) 및 제 2 단자 (30) 의 탄성 변위를 허용하고, 그 공극을 형성하는 홈 내벽면은, 상기 판면에 직각인 방향, 즉 단자 배열 방향으로의 그 제 1 단자 (20) 및 제 2 단자 (30) 의 소정량 이상의 변위를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제 1 단자 (20) 의 제 1 탄성 아암부 (22) 의 수평 부분이 수용되는 부분의 일부 영역 (도 4 에 있어서의 영역 (R1)) 에서는 다른 부분의 영역 (도 4 에 있어서의 영역 (R2)) 의 상기 공극보다 넓은 공극이 제 2 단자 (30) 의 판면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즉, 도 5(A),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영역 (R1) 에서의 홈 폭 치수 (S1) 는, 상기 영역 (R2) 에서의 홈 폭 치수 (S2) 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 홈 폭 치수 (S2) 는, 제 1 단자 (20) 의 판 두께 치수 (S3) 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다.
또, 상기 영역 (R1) 은, 하우징 (10) 을 상방에서 보았을 때, 받아들임 홈부 (14) 상개구부 및 수용 홈부 (15) 의 하개구부의 양방과 중복된 범위를 갖는다. 바꿔 말하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영역 (R1) 의 좌부는 상기 상개구부의 바로 아래 또한 하개구부의 바로 위에 위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영역 (R1) 이 영역 (R2) 보다 큰 홈 폭 치수로 되어 있어, 그 영역 (R1) 에 있어서 제 1 단자 (20) 의 판면과의 사이에 공극이 크게 형성되어 있고, 그 영역 (R1) 이 상개구부 및 하개구부의 양방과 중복된 범위를 갖고 있다. 따라서, 가압 부재 (40) 가 도 3(A), (B) 에 나타나는 열림 위치에 있을 때, 이물질인 분진이 받아들임 홈부 (14) 상개구부로부터 낙하 진입되어도, 그 분진은 영역 (R1) 에 있어서의 공극의 좌부를 거쳐 하개구부로부터 외부로 낙하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분진이 하우징 (10) 으로부터 낙하 배출되므로, 받아들임 홈부 (14) 내 그리고 수용 홈부 (15) 내에 퇴적되는 경우가 없어진다. 따라서, 제 1 단자 (20) 및 제 2 단자 (30) 에 대한 상기 분진의 부착에 의한, 서로 인접하는 단자끼리에서의 단락 등의 문제의 발생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1 단자 (20) 의 제 1 접속부 (24) 가 회로 기판 상의 신호 회로부에 땜납 접속되면, 땜납 및 플럭스가 모세관 현상에 의해 제 1 접속부 (24) 로부터 제 1 접촉부 (22A) 측을 향하여 올라가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영역 (R1) 에 있어서의 상기 공극이 넓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넓은 공극에 있어서 모세관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는 없어, 땜납 및 플럭스는 그 이상 진행되지 않는다. 이 결과, 땜납 및 플럭스가 상기 제 1 접촉부 (22A) 에 부착되는 것에 의한 접촉 불량의 발생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가압 부재 (40) 는, 도 1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 (10) 의 측벽 (11, 12) 의 단자 배열 방향의 치수와 거의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어 있고, 도 3(A), (B) 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측벽 (11) 의 상방에 형성되어 있다. 그 가압 부재 (40) 는, 도 1 에 나타내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자세의 열림 위치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열림 위치에 대해 거의 직각을 이루는 닫힘 위치 사이에서 회전 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3(A),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 부재 (40) 는, 단자 배열 방향으로의 제 1 단자 (20) 과 같은 위치에서, 상기 열림 위치에 있어서의 하반부에 슬릿 형상의 홈부 (41) 가 형성되어 있다.
도 3(A),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홈부 (41) 내에는, 단자 배열 방향에 대해 직각인 단면 (斷面) 이 원형상의 회전 운동 축부 (42) 와 사각형상의 회전 운동 규제부 (43) 가 일체를 이루어 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회전 운동 축부 (42) 및 회전 운동 규제부 (43) 에 의해 그 홈부 (41) 의 대향 내벽면끼리가 연결되어 있다. 그 회전 운동 축부 (42) 는, 제 1 단자 (20) 의 회전 운동 지지부 (23A) 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 운동하도록 지지되어 있고, 가압 부재 (40) 의 회전 운동축으로서 기능한다. 또, 상기 회전 운동 규제부 (43) 는, 가압 부재 (40) 가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를 향하여 이동되었을 때, 그 닫힘 위치에서 회전 운동 지지부 (23A) 의 선단부와 맞닿는다 (도 6(A), (B) 참조). 이 결과, 그 가압 부재 (40) 의 그 이상의 회전 운동이 규제되어, 그 가압 부재 (40) 가 닫힘 위치에서 유지된다.
도 3(A), (B) 에 나타내는 열림 위치에 있어서의 가압 부재 (40) 의 하단측 부분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닫힘 위치에서 받아들임 홈부 (14) 내로 돌출되고, 평형 도체 (P) 를 상기 제 1 단자 (20) 의 제 1 접촉부 (22A) 및 제 2 단자 (30) 의 제 2 접촉부 (32A) 를 향하여 누르는 가압부 (44) 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6(A), (B) 참조).
또, 가압 부재 (40) 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 그 열림 위치에서의 가압부 (44) 의 회전 운동 규제부 (43) 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홈 부분은, 그 가압 부재 (40) 가 닫힘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받아들임 홈부 (14) 내에 위치하여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 홈부 (45) 를 이루고 있다. 상기 닫힘 위치에 있어서, 그 연통 홈부 (45) 는 받아들임 홈부 (14) 와 수용 홈부 (15) 를 상하 방향으로 연통시킨다 (도 6(A), (B) 참조).
또, 도 2 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압 부재 (40) 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단자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그 가압 부재 (40) 의 양 단부에 측벽 (11) 과 측벽 (12) 의 대향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조를 이루는 피 (被) 로크부 (46) 가 형성되어 있다. 그 피로크부 (46)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림 위치에 있어서 후술하는 로크 금구 (50) 의 로크부 (51) 와 걸리도록 되어 있다.
로크 금구 (50) 는, 금속판을 타발함과 함께 판 두께 방향으로 굴곡되어 만들어져 있다. 그 로크 금구 (50) 는,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장착부 (도시 생략) 와, 단자 배열 방향으로 커넥터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굴곡된 로크부 (51) 를 갖고 있다. 상기 로크 금구 (50) 는, 하우징 (10) 의 오목부 (16) 저부에 형성된 로크 금구 장착 구멍부 (도시 생략) 내로 상기 피장착부가 상방으로부터 압입됨으로써, 그 오목부 (16) 내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로크부 (51) 는, 가압 부재 (40) 가 도 1 에 나타내는 열림 위치에 있을 때, 그 가압 부재 (40) 의 양 단부에 형성된 피로크부 (46) 와 걸림으로써 그 가압 부재 (40) 를 열림 위치에 유지한다.
도 6 은, 평형 도체 (P) 의 삽입 후에 가압 부재 (40) 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의 커넥터 (1) 의 종단면도이고, (A) 는 도 3(A) 에 대응되며, (B) 는 도 3(B) 에 대응된다. 이하, 도 3(A), (B) 및 도 6(A), (B) 에 기초하여, 커넥터 (1) 와 평형 도체 (P) 와의 접속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가압 부재 (40) 를 도 3(A), (B) 에 나타내는 열림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평형 도체 (P) 를 받아들임 홈부 (14) 에 상방으로부터 삽입한다. 상기 받아들임 홈부 (14) 내에 상기 평형 도체 (P) 가 삽입되면, 평형 도체 (P) 는, 신호 회로부 및 그라운드바 (P3) 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면 (도 6(A) 에 있어서의 좌면) 이 제 1 단자 (20) 의 제 1 접촉부 (22A) 그리고 제 2 단자 (30) 의 제 2 접촉부 (32A) 와 대향된다.
다음으로, 열림 위치에 있는 가압 부재 (40) 를 회전 운동시켜, 도 6(A), (B) 에 나타나는 닫힘 위치로 가져온다. 그 닫힘 위치에 있어서, 가압 부재 (40) 의 가압부 (44) 가 받아들임 홈부 (14) 내에 돌출됨과 함께, 제 1 단자 (20) 의 제 1 접촉부 (22A) 및 제 2 단자 (30) 의 제 2 접촉부 (32A) 로 평형 도체 (P) 를 누른다. 이 결과, 그 제 1 접촉부 (22A) 와 신호 회로부의 접압 그리고 제 2 접촉부 (32A) 와 그라운드바 (P3) 와의 접압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단자 (30) 의 제 2 탄성 아암부 (32) 는 자유 상태 에 있어서 외팔보 형상이므로, 평형 도체 (P) 의 삽입 후, 가압 부재 (40) 가 닫힘 위치로 회전 운동됨으로써 제 2 접촉부 (32A) 가 그라운드바 (P3) 에 압압되면, 그 제 2 탄성 아암부 (32) 전체가 좌방으로 용이하게 탄성 변위된다. 그리고, 그 탄성 변위량이 소정량에 도달하면, 도 6(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제 2 탄성 아암부 (32) 의 상단부가 측벽 (12) 의 내벽면에 맞닿아 양팔보 형상이 되어, 외팔보 형상의 경우와 비교하여 탄성 변위되기 어려워진다. 이 결과, 제 2 탄성 아암부 (32) 의 과도한 탄성 변위가 규제되므로, 그 제 2 탄성 아암부 (32) 의 손상 (찌부러짐) 이 방지됨과 함께, 제 2 접촉부 (32A) 와 상기 그라운드바 (P3) 의 큰 접압을 얻을 수 있다.
또, 닫힘 위치에 있어서, 도 6(A),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 부재 (40) 의 연통 홈부 (45) 는 받아들임 홈부 (14) 내에 위치하고 있고, 받아들임 홈부 (14) 와 수용 홈부 (15) 가 그 연통 홈부 (45) 를 개재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이물질인 분진이 받아들임 홈부 (14) 상개구부로부터 낙하 진입되어도, 그 분진은 그 연통 홈부 (45) 그리고 수용 홈부 (15) 의 공극을 거쳐 하개구부로부터 외부로 낙하 배출된다. 이 결과, 상기 분진이 받아들임 홈부 (14) 내 그리고 수용 홈부 (15) 내에 퇴적되는 경우가 없어진다. 따라서, 제 1 단자 (20) 및 제 2 단자 (30) 에 대한 상기 분진의 부착에 의한, 서로 인접하는 단자끼리에서의 단락 등의 문제의 발생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1 단자 (20) 의 제 1 접촉부 (22A) 및 제 2 단자 (30) 의 제 2 접촉부 (32A) 에 대한 상기 분진의 부착에 의한 평형 도체 (P) 와의 접촉 불량의 발생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는, 금속판을 타발하여 만들어져 있는데, 이 대신에, 그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 중 적어도 일방이 띠 형상의 금속판을 판 두께 방향으로 굴곡되어 만들어져 있어도 된다.
1 : 커넥터 23A : 회전 운동 지지부
10 : 하우징 24 : 제 1 접속부
11 : 측벽 30 : 제 2 단자
12 : 측벽 32 : 제 2 탄성 아암부
14 : 받아들임 홈부 (받아들임 공간) 32A : 제 2 접촉부
15 : 수용 홈부 (수용 공간) 34 : 제 2 접속부
20 : 제 1 단자 40 : 가압 부재
22 : 제 1 탄성 아암부 42 : 회전 운동 축부
22A : 제 1 접촉부 44 : 가압부
23 : 지지 아암부 45 : 연통 홈부

Claims (2)

  1. 하우징과 그 하우징에 배열 유지되는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고,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되는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하우징은, 상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상개구부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삽입되는 평형 도체를 받아들이는 받아들임 공간과, 상기 받아들임 공간에 연통됨과 함께 하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개구부로부터 단자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갖고, 상기 단자는, 상기 하개구부측에서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일단 (一端) 에 그리고 받아들임 공간에 받아들여지는 평형 도체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타단 (他端) 에 갖고 있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단자의 접속부와 접촉부 사이의 중간부를 수용하는 부분에서는, 상방에서 보았을 때, 적어도 상개구부 및 하개구부의 양방과 중복되는 범위를 포함하는 영역에서, 상기 단자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수용 공간의 내벽면과 그 단자 사이의 공극이 그 영역 이외에서의 공극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받아들임 공간에 대한 평형 도체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열림 위치와, 평형 도체를 단자의 접촉부에 누르는 닫힘 위치 사이에서 회전 운동 가능한 가압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가압 부재는, 닫힘 위치에서 받아들임 공간 내에 위치하고 평형 도체를 상기 단자의 접촉부를 향하여 누르는 가압부를 갖고 있고, 그 가압부는, 상기 닫힘 위치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받아들임 공간과 수용 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개구부로부터 낙하 진입된 분진이 그 홈부를 거쳐 하개구부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20110002209A 2010-02-03 2011-01-10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12743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22086A JP4931261B2 (ja) 2010-02-03 2010-02-03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JP-P-2010-022086 2010-0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0766A true KR20110090766A (ko) 2011-08-10
KR101274338B1 KR101274338B1 (ko) 2013-06-13

Family

ID=44342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2209A KR101274338B1 (ko) 2010-02-03 2011-01-10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342869B2 (ko)
JP (1) JP4931261B2 (ko)
KR (1) KR101274338B1 (ko)
CN (1) CN1021700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48335B2 (ja) * 2011-06-08 2015-07-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601347B2 (ja) * 2012-05-16 2014-10-08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8915747B2 (en) * 2013-03-14 2014-12-23 Intel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with integrated pitch translation
JP5809343B1 (ja) * 2014-10-30 2015-11-10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198712B2 (ja) * 2014-12-12 2017-09-2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6394420B2 (ja) * 2015-01-29 2018-09-26 山一電機株式会社 ケーブルの接続構造、および、それを備える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9831582B2 (en) 2015-01-29 2017-11-28 Yamaichi Electronics Co., Ltd. Cable connection structure and cable connector including same
JP7432840B2 (ja) * 2019-05-08 2024-02-19 山一電機株式会社 高周波コネクタ及び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
WO2021011487A1 (en) * 2019-07-16 2021-01-21 Cellink Corporation Terminal-free connectors and circuits comprising terminal-free connectors
TWI787619B (zh) * 2020-06-11 2022-12-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具有自動鎖扣結構的連接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2945B2 (ja) * 1994-08-05 1999-05-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3172385B2 (ja) * 1995-01-17 2001-06-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TW325602B (en) * 1995-11-09 1998-01-21 Hirose Electric Co Ltd Electrical connector for flexible substrate
JP3356265B2 (ja) * 1997-07-29 2002-12-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3754869B2 (ja) * 2000-04-17 2006-03-1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4440122B2 (ja) * 2005-01-07 2010-03-24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フレキシブル配線部材用コネクタ
JP4707597B2 (ja) * 2006-04-13 2011-06-22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4215265B2 (ja) * 2006-04-28 2009-01-2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及び平型導体付き電気コネクタ
JP4390821B2 (ja) * 2007-07-06 2009-12-2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4526040B2 (ja) * 2007-08-03 2010-08-1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4817466B2 (ja) * 2009-01-22 2011-11-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89896A1 (en) 2011-08-04
JP2011159571A (ja) 2011-08-18
CN102170056A (zh) 2011-08-31
JP4931261B2 (ja) 2012-05-16
CN102170056B (zh) 2013-11-13
US8342869B2 (en) 2013-01-01
KR101274338B1 (ko) 201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4338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CN109565134B (zh) 连接器
JP4613179B2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US7374430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a flat-type circuit board
JP4883215B1 (ja) 端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JP4098290B2 (ja) Ffc用コネクタ
US20110294326A1 (en) Floating connector
KR101274278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JP4863317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TWI418102B (zh) Electrical connectors for flat conductors
JP2012151021A (ja) コネクタ
KR20110108248A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KR20060051140A (ko) 커버체 장착 전기커넥터
US7341470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JP4007411B2 (ja) アンテナ給電構造
KR101422907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CN101447624B (zh) 接触部件、接触部件的保持构造及电连接器
KR20110121544A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JP5083690B2 (ja) メモリーカード用コネクタ
US7344417B2 (en) DIP connector
JP6287977B2 (ja) コネクタ
US20190052009A1 (en) Connector
JP4506712B2 (ja) コネクタ
JP2024013564A (ja) 電気コネクタ、電気コネクタ連結体、ユニットおよびユニット連結体
JP2019003755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