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0741A - 보존용기 - Google Patents

보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0741A
KR20110090741A KR1020100088321A KR20100088321A KR20110090741A KR 20110090741 A KR20110090741 A KR 20110090741A KR 1020100088321 A KR1020100088321 A KR 1020100088321A KR 20100088321 A KR20100088321 A KR 20100088321A KR 20110090741 A KR20110090741 A KR 20110090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ntainer
protrusion
knob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8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7252B1 (ko
Inventor
이진우
Original Assignee
이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우 filed Critical 이진우
Priority to KR1020100088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7252B1/ko
Publication of KR20110090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0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7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7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8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 A47J47/10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45Internal membrane, floating cover or the like isolating the contents from the ambient atmosp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824Means for facilitating removing of the closure
    • B65D2543/00861Non-integral tabs, tongues, handles or similar
    • B65D2543/00879Non-integral tabs, tongues, handles or similar on the central part of the l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953Sealing means
    • B65D2543/0099Integral supplemental sealing 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단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뚜껑조립체를 포함하는 보존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조립체는, 상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 상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으로 회전되는 노브와, 상기 상부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노브의 회전에 따라 승강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상부커버 하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재가 노출되도록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어있는 덮개와, 상기 승강부재에 결합되는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 상면에 형성된 홈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승강부재가 상승할 경우, 상기 덮개의 하면에 미끄러지면서 상기 용기의 내면에 밀착하는 패킹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보존용기 {Conservation Container}
본 발명은 뚜껑식 조립체와 식품 등의 재료를 보관하는 용기로 이루어진 보존용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식품 용기 등의 보존 용기는 해당 용기 내에 보존된 식품들의 품질과 신선도를 유지하도록 용기와의 밀봉을 형성하는 밀폐식 덮개 또는 뚜껑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보존용기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8-0112335에 공지되어있다. 상기의 보존용기는 버튼을 교대로 누르는 동작에 의해서 개폐를 하는 구조인데 구조가 복잡하고, 완전히 분해하기에 어려운 점이 있었다.
또한, 보존용기의 다른 실시예가 미국 특허공보 US 2005/0279746 A1에 공지되어있다. 상기의 보존용기는 노브를 회전하는 동작에 의해서 용기를 밀폐 및 해제하는 구조인데 개폐하는 동작이 확실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덮개를 돌려 고정하면서 용기를 쉽게 밀폐할 수 있고, 완전히 분해 가능하여 내부 청소하기가 쉬운 보존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단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뚜껑조립체를 포함하는 보존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조립체는, 상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 상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으로 회전되는 노브와, 상기 상부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노브의 회전에 따라 승강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상부커버 하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재가 노출되도록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어있는 덮개와, 상기 승강부재에 결합되는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 상면에 형성된 홈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승강부재가 상승할 경우, 상기 덮개의 하면에 미끄러지면서 상기 용기의 내면에 밀착하는 패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본 발명의 보존용기는 상기 상부커버 상면 중앙에 홈을 형성하고 있는 바닥판과, 상기 홈에 삽입되는 승강부재와, 상기 바닥판에 수직으로 형성된 제1벽과, 상기 제1벽 상단 양측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있는 제1구멍 및 제2구멍과, 상기 바닥판 상면에 설치되고, 중앙에 구멍을 형성하고 있는 보조부재와,상기 보조부재 상면에 형성된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에 연결되어 수직으로 형성된 제1돌기 및 제2돌기와, 상기 제1돌기 및 제2돌기의 외측에 형성되는 홈과, 상기 노브 하면에 돌출되어 상기 제1구멍 및 제2구멍에 삽입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내측 또는 외측에 형성되는 걸림턱과, 상기 노브 하면의 중앙부에 형성된 원통과,상기 원통의 내벽에 형성된 제3돌기 및 제4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재에 형성된 구멍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핀과, 상기 승강부재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커버 하면에 닿도록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하부 커버의 중앙에 형성된 원판과, 상기 원판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벽과, 상기 하부커버 하단에 설치되며 내면에 상기 패킹이 삽입되는 홈을 가지고 있는 용기;를 포함하되, 상기 노브를 시계방향으로 돌렸을 때, 상기 핀이 상기 경사면을 타고 올라가면서 상기 스프링이 압축되는 동시에 상기 승강부재가 상승함으로써 상기 용기가 밀폐되고, 상기 노브를 반 시계방향으로 돌렸을 때, 상기 핀이 상기 경사면을 타고 내려오면서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이 복귀되는 동시에 상기 승강부재가 하강됨으로써 상기 용기의 밀폐가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본 발명의 보존용기의 상기 승강부재는 나사산을 형성하고 있는 판과, 상기 판 상면의 중앙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제3구멍을 형성하고 있는 기둥과, 상기 판 상면의 양측으로 형성된 제5돌기 및 제6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제2벽 외벽에 설치되는 제1스톱퍼와, 상기 제2벽 상면에 설치되는 제2스톱퍼를 포함하되, 상기 승강부재와 상기 원판과 결합될 때, 상기 제5돌기 및 제6돌기는 상기 제1스톱퍼를 타고 올라가면서 상기 제2스톱퍼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존용기는 회전덮개를 시계방향으로 돌려 고정하면서 용기를 쉽게 밀폐시킬 수 있고, 고정된 용기를 반 시계방향으로 돌려 밀폐를 해제시킬 수 있다. 밀폐 및 해제가 쉽고, 용기의 부품을 분해할 수 있기 때문에 내부 청소를 하기에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존용기의 전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존용기의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브를 분리하여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존용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부커버의 상면과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브의 상면과 저면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재와 보조부재의 결합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의 양측에 돌기가 형성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재의 저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부재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부커버의 상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는데,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상세설명은 생략한다.
용기(100)와, 상기 용기(100)의 상단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뚜껑조립체(200)를 포함하는 보존용기(500)에 있어서, 상기 뚜껑조립체(200)는 상부커버(101)와, 상기 상부커버(101) 상면(101a)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으로 회전되는 노브(102)와, 상기 상부커버(101)에 설치되어 상기 노브(102)의 회전에 따라 승강하는 승강부재(103)와, 상기 상부커버(101) 하면(101b)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재(103)가 노출되도록 중앙에 구멍(104H)이 형성되어있는 덮개(104)와, 상기 승강부재(103)에 결합되는 하부커버(105)와, 상기 하부커버(105) 상면(105a)에 형성된 홈(105e)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승강부재(103)가 상승할 경우, 상기 덮개(104)의 하면(104b)에 미끄러지면서 상기 용기(100)의 내면에 밀착하는 패킹(107)을 포함한다.
상기에 있어서, 본 발명의 보존용기(500)는 상기 상부커버(101) 상면(101a) 중앙에 홈(101d)을 형성하고 있는 바닥판(101e)과, 상기 홈(101d)에 삽입되는 승강부재(103)와, 상기 바닥판(101e)에 수직으로 형성된 제1벽(101f)과, 상기 제1벽(101f) 상단 양측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있는 제1구멍(101g) 및 제2구멍(101h)과, 상기 바닥판(101e) 상면에 설치되고, 중앙에 구멍을 형성하고 있는 보조부재(108)와, 상기 보조부재(108) 상면에 형성된 경사면(108a)과, 상기 경사면(108a)에 연결되어 수직으로 형성된 제1돌기(108b) 및 제2돌기(108c)와, 상기 제1돌기(108b) 및 제2돌기(108c)의 외측에 형성되는 홈(108h)과, 상기 노브(102) 하면에 돌출되어 상기 제1구멍(101g) 및 제2구멍(101h)에 삽입되는 돌출부(102a)와, 상기 돌출부(102a)의 내측 또는 외측에 형성되는 걸림턱(102c)과, 상기 노브(102) 하면의 중앙부에 형성된 원통(102d)과, 상기 원통(102d)의 내벽에 형성된 제3돌기(102e) 및 제4돌기(102f)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재(103)에 형성된 구멍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핀(103p)과, 상기 승강부재(103)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커버(101) 하면(101b)에 닿도록 설치되는 스프링(103s)과, 상기 하부 커버(105)의 중앙에 형성된 원판(105a)과, 상기 원판(105a)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벽(105b)과, 상기 하부커버(105) 하단에 설치되며 내면에 상기 패킹(107)이 삽입되는 홈(106)을 가지고 있는 용기(100);를 포함하되, 상기 노브(102)를 시계방향으로 돌렸을 때, 상기 핀(103p)이 상기 경사면(108a)을 타고 올라가면서 상기 스프링(103s)이 압축되는 동시에 상기 승강부재(103)가 상승함으로써 상기 용기(100)가 밀폐되고, 상기 노브(103)를 반 시계방향으로 돌렸을 때, 상기 핀(103p)이 상기 경사면(108a)을 타고 내려오면서 상기 스프링(103s)의 탄성력이 복귀되는 동시에 상기 승강부재(103)가 하강됨으로써 상기 용기(100)의 밀폐가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본 발명의 보존용기(500)의 상기 승강부재(103)는 나사산을 형성하고 있는 판(103a)과, 상기 판(103a) 상면의 중앙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제3구멍(103h)을 형성하고 있는 기둥(103b)과, 상기 판(103b) 상면의 양측으로 형성된 제5돌기(103c) 및 제6돌기(103d)로 구성되고, 상기 제2벽(105b) 외벽에 설치되는 제1스톱퍼(105c)와, 상기 제2벽(105b) 상면에 설치되는 제2스톱퍼(105d)를 포함하되, 상기 승강부재(103)와 상기 원판(105a)과 결합될 때, 상기 제5돌기(103c) 및 제6돌기(103d)는 상기 제1스톱퍼(105c)를 타고 올라가면서 상기 제2스톱퍼(105d)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존용기(500)는 상기 용기(100)와, 상기 용기(100)의 상단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뚜껑조립체(2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용기(100)는 상부가 개방되고, 식품 등을 수용할 수 있는 저장소로 구성된다. 상기 용기(100)는 상기 하부커버(105) 하단에 설치되며 내면 상부측에 후술할 패킹(107)이 삽입되는 홈(106)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홈(106)은 상기 용기(100)의 내면 상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패킹(107)이 삽입될 수 있도록 곡선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보존용기(500)가 밀폐될 때, 상기 패킹(107)의 테두리의 일부분이 상기 홈(106)에 밀착되면서 삽입된다. 상기 홈(106)은, 즉 힘으로 쉽게 빠지지 못하게 하는 것으로, 상기 패킹(107)이 상기 홈(106)에 파고들기 때문에 상기 용기(100)가 상기 뚜껑조립체(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101)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되어있고, 상면(101a)과 하면(101b)과, 상기 상면(101a)에 경사를 이루면서 상기 하면(101b) 방향으로 형성되는 내벽(101c)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커버(101)의 네 모서리에는 다수개의 곡선부(S)가 형성된다.
상기 상면(101a)의 중앙에는 상기 노브(102)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커버(101) 상면(101a) 중앙에 홈(101d)을 형성하고 있는 바닥판(101e)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바닥판(101e)에 후술할 보조 부재(108)가 삽입된다.
상기 하면(101b) 방향으로 상기 홈(101d)을 둘러싸면서 돌출부(101D)가 형성되어있다. 상기 돌출부(101D)는 상하가 직선형태로 떨어져 형성되어있고, 그 양단에는 곡선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돌출부(101D)의 상기 홈(101d)에 후술할 승강부재(103)가 삽입된다.
상기 돌출부(101D)는 상기 승강부재(103)가 회전하지 않고 상하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도록 형상이 제한된다.
상기 공간(A) 및 상기 바닥판(101e)은 원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바닥판(101e)에는 수직으로 제1벽(101f)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제1벽(101f) 상단 양측에는 원주방향으로 제1구멍(101g) 및 제2구멍(101h)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A)은 상기 바닥판(101e)과, 상기 제1구멍(101g) 및 제2구멍(101h)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면(101b)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구멍(101g) 및 제2구멍(101h)을 둘러싸고 원주방향으로 테두리(101G, 101H)가 있게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101G, 101H) 내면에 후술할 노브(103)의 돌출부(102g) 및 걸림턱(102h)이 걸리게 된다.
상기 내벽(101c)은 테두리 형태로 되어있고 중앙에 상기 공간(A)이 돌출되어형성되어있다. 상기 공간(A)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내벽(101c)의 상하 좌우방향으로 보강리브(101r)가 형성되어있다. 상기 보강리브(101r)는 다수개의 수직부로 구성된다. 상기 내벽(101c)의 상부와 하부 중앙에는 돌기(101z)가 형성되어있다.
상기 돌기(101z)는 후술할 덮개(104)의 홈(104d)과 결합된다.
상기 덮개(104)는 상기 상부커버(101)와 상기 하면(101b)에 마주보게 닿으면서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덮개(104)는 상면(104a)과, 하면(104b)과, 상기 상면(104a)에 일정간격 떨어져서, 상기 상면(101a)과 같은 크기로 경사를 이루면서 형성되는 벽(104c)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면(104a)과 상기 벽(104c) 사이에는 테두리(104g)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벽(104c)의 상면와 하면 중앙에는 일부가 오목하게 파인 오목부(104e)와, 상기 오목부(104e) 하부에 홈(104d)이 형성된 삽입부(104f)가 설치된다. 상기 오목부(104e)의 양측부터 상면(104a)의 끝단까지 구멍(104h)이 형성된다.
상기 홈(104d)에 상기 돌기(103d)가 삽입되면서 상기 덮개(104)가 상기 상부커버(101) 하면(101b)에 결합된다.
상기 덮개(104)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덮개(104)의 중앙에 형성되는 구멍(104H)은 상기 승강부재(103)가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구멍(104H)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에 형성된 구멍(104h)은 사용자가 상기 구멍(104h)에 손가락을 넣어서 결합된 덮개(104)를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커버(101)의 상기 공간(A)에 상기 노브(102)가 결합된다.
상기 노브(102)는 원의 형상을 띄고 있다. 상기 노브(102)는 상면 중앙에 돌출된 손잡이(102a)와, 상기 손잡이(102a)의 양측면에 반달모양의 공간(102b)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공간(102b)은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102a)를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공간으로써 깊이가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브(102)의 하면의 중앙부에 원통(102d)이 돌출되어 형성되어있다.
상기 원통(102d)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는 홈()이 깊게 형성되어있다.
상기 원통(102d)의 내벽에는 형성된 제3돌기(102e) 및 제4돌기(102f)가 형성되어있다. 상기 제3돌기(102e) 및 제4돌기(102f)는 상기 원통(102d)의 수직방향을 중심으로 좌측 하향 방향으로 설치된다. 즉, 약 135도 각도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돌기(102e) 및 제4돌기(102f)는 수직부와 수평부로 형성되어있고, 상기 수직부가 상기 원통(102d)의 내면에 설치되어있는 형태이다.
상기 노브(102) 하면에는 돌출되어 상기 제1구멍(101g) 및 제2구멍(101h)에 삽입되는 돌출부(102g)가 형성되어있다. 상기 돌출부(102g)는 상기 제3돌기(102e) 및 제4돌기(102f)와 같은 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102g)는 상기 노브(102)에 수직되게 형성되는 수직부(1) 및 상기 수직부에(1) 수평되게 형성되는 수평부(2) 및 상기 수평부(2)에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3)로 이루어져서 상기 노브(102)에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02g)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살 두께가 얇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102g)의 외측에는 걸림턱(102h)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걸림턱(102h)은 상기 제1구멍(101g) 및 제2구멍(101h)에 삽입되면서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걸림턱(102h)은 상기 수직부(1)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수평부(4)와, 상기 수평부(4)에 수직되게 형성되는 수직부(5)와, 상기 수직부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노브(102)를 돌릴 때, 상기 수직부(1)가 상기 제1구멍(101g) 및 제2구멍(101h)에 맞물리면서 회전된다. 상기 노브(102)는 90도 범위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노브(102)는 상기 돌출부(102a)를 통하여 상기 제1구멍(101g) 및 제2구멍(101h)로부터 탈착 가능한 구조로 되어있다.
상기 바닥판(101e) 상면에는 중앙에 원형의 구멍(108d)을 형성하고 있는 상기 보조부재(108)가 설치된다. 상기 보조부재(108)의 상기 구멍(108d)에 후술할 승강부재(103)가 삽입된다.
상기 보조부재(108) 상면에는 경사가 다르도록 경사면(108a)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경사면(108a)에 수직으로 연결되면서, 제1돌기(108b) 및 제2돌기(108c)가 돌출되어 대칭되도록 형성되어있다.
상기 경사면(108a)은 상기 제1돌기(108b)와 제2돌기(108c) 사이에 형성되는데, 상기 경사면(108a)은 경사가 낮은 부분부터 높아지는 부분까지 이어져 있고 끝단에 경사면이 높아지게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제1돌기(108b) 및 제2돌기(108c)는 상기 구멍(108d)을 중심으로 대칭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돌기(108b) 및 제2돌기(108c)에 상기 제3돌기(102e) 및 제4돌기(102f)가 삽입되는 형태이다.
상기 제1돌기(108b) 및 제2돌기(108c)는 상기 구멍(108d)의 둘레의 일부분을 따라서 형성되는 원호부(7)와, 상기 원호부(7)를 중심으로 경사지게 양측면에 형성되는 직선부(8)와, 상기 직선부(8)에 경사지게 양측면에 형성되는 곡선부(9)와, 상기 곡선부(9)로 이루어져있다. 상기 제1돌기(108b) 및 제2돌기(108c)의 외측에는 홈(108h)이 형성된다. 상기 홈(108h)은 단면이 직사각형이고 모서리는 곡선을 이루고 있으면서 상기 보조부재(108)의 하면에까지 관통된 형태이다.
상기 승강부재(103)는 상기 홈(101d)과 상기 구멍(108d)에 삽입되면서 설치된다. 상기 승강부재(103)는 나사산(103j)을 형성하고 있는 원 형태의 판(103a)과, 상기 판(103a) 상면의 중앙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제3구멍(103h)을 형성하고 있는 기둥(103b)과, 상기 판(103b) 상면의 양측으로 형성된 제5돌기(103c) 및 제6돌기(103d)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3구멍(103h)에 삽입되는 핀(103p)과 상기 기둥(103b)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커버(101) 하면(101b)에 닿도록 설치되는 스프링(103s)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둥(103b)은 기둥의 형태로 돌출되어있고, 상면은 상기 돌출부(101D)의 형태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회전하지 않고 상하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게 형성된다. 상기 기둥(103b)의 상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제3구멍(103h)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제3구멍(103h)의 하단으로 네 모서리가 곡선이고 직사각형 형태로 된 홈(103f)이 형성된다.
상기 제5돌기(103c) 및 제6돌기(103d)는 상기 판(103a)의 양측에 모서리가 곡선형태로 된 수평부(103g)와 상기 수평부(103g)에 연결되어 상기 판(103a)의 하면 방향으로 돌출부(103i)가 형성된다.
상기 판(103a)의 나사산(103j)은 상기 제5돌기(103c) 및 제6돌기(103d)가 설치된 하부방향을 제외하고, 상기 제5돌기(103c) 및 제6돌기(103d)의 상하방향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판(103a)의 하면에는 십자가 모양의 리브(103e)가 형성된다.
상기 핀(103p)은 상기 보조부재(102)의 경사면(108a)이 낮은 부분에 삽입되면서 상기 제1돌기(108b) 및 제2돌기(108c)에 걸쳐지는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103s)은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도 7a에서와 같이, 상기 스프링(103s)은 상기 핀(103p)이 상기 보조부재(102)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보조부재(102)가 움직이지 않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다른 실시예로, 도7b에서와 같이, 상기 판(103a) 상면에 상기 스프링(103s)의 좌우에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103s)을 지지하는 돌기(103w)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브(102)를 시계방향으로 90도 돌렸을 때, 상기 핀(103p)이 상기 경사면(108a)을 타고 올라가면서 상기 스프링(103s)이 압축되는 동시에 상기 승강부재(103)가 상승함으로써 상기 용기(100)가 밀폐되고, 상기 노브(103)를 반 시계방향으로 돌렸을 때, 상기 핀(103p)이 상기 경사면(108a)을 타고 내려오면서 상기 스프링(103s)의 탄성력이 복귀되는 동시에 상기 승강부재(103)가 하강됨으로써 상기 용기(100)의 밀폐가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부커버(105)는 상면(105e)과 상기 상면에 경사지도록 형사되는 제1벽(105f)과 상기 제1벽(105f)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1테두리(105i)와 상기 제1테두리(105i)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2벽(105g)과, 상기 제2벽(105g)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2테두리(105h)로 형성되어있다.
상기 제1테두리(105e)의 상면과 상기 제2테두리(105h)의 하면에 상기 패킹(107)이 삽입된다.
상기 패킹(107)은 상기 노브(103)를 돌려서 밀폐할 때, 상기 승강부재(103)가 상승하고, 상기 덮개(104)의 하면에 미끄러지면서 상기 용기(100)의 내면에 밀착한다. 상기 패킹(107)은 실리콘이나 고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105)의 중앙에 형성된 원판(105a)과, 상기 원판(105a)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내면에 나사산(105f)이 형성된 제2벽(105b)과, 상기 제2벽(105b) 외면에 설치되는 제1스톱퍼(105c)와, 상기 제2벽(105b) 상면에 설치되는 제2스톱퍼(105d)로 구성된다. 상기 제2벽(105b)과 상기 승강부재(103)의 판(103a)은 결합된다.
상기 원판(105a)은 원의 형태로 되어있으며 고정되어있으며 상기 원판(105a)의 상하 좌우방향으로 보강리브(105r)가 형성되어있다. 상기 보강리브(105r)는 다수개의 수직부와 수평부로 구성된다.
상기 제1스톱퍼(105c)는 상기 원판(105a)에 수평되도록 형성되는 제1수평부(10)와 상기 제1수평부(10)에 경사지게 형성된 제2수평부(11)와 상기 제2수평부(11)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12)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수평부(10) 및 제2수평부(11) 및 경사부(12)는 상기 상면의 바닥까지 연장되어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스톱퍼(105d)는 직사각형 형태로 상기 원판(105a)에 수직되게 형성된다.
상기 원판(105a)과 상기 승강부재(103)의 하면이 결합할 때, 제5돌기(103c) 및 제6돌기(103d)가 상기 제1스톱퍼(105c)를 걸쳐 타고 올라가면서 상기 제2스톱퍼(105d)에 걸리게 된다. 상기 제1스톱퍼(105c)는 상기 판(103a)이 더 이상 돌지 못하도록 회전 방향을 제어하고, 상기 제2스톱퍼(105d)는 유격을 잡아 움직임을 막고 흔들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보존용기는 회전덮개를 시계방향으로 돌려 고정하면서 용기를 쉽게 밀폐시킬 수 있고, 고정된 용기를 반 시계방향으로 돌려 밀폐를 해제시킬 수 있다.
노브를 회전할 때 큰 힘을 들이지 않아도 되어 밀폐 및 해제가 쉽고, 용기의 부품을 각각 분해할 수 있기 때문에 내부 청소를 하기에 용이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또는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500 : 보존용기 100 : 용기 200 : 뚜껑조립체
101 : 상부커버 101a : 상부커버 상면 101b : 상부커버 하면
101c : 상부커버 내벽 101d : 상부커버 홈 101e: 바닥판
101f : 제1벽 101g : 제1구멍 101h : 제2구멍
101r : 보강리브 101z : 돌기 102 : 노브
102a : 노브 손잡이 102b : 공간 102d : 원통
102e : 제3돌기 102f : 제4돌기 102g : 돌출부
102h : 걸림턱 103 : 승강부재 103a : 승강부재 판
103b : 승강부재 기둥 103c : 제5돌기 103d : 제6돌기
103h : 제3구멍 103s : 스프링 103p : 핀
103f : 기둥 홈 103g : 수평부 103i : 돌출부
103e : 리브 104 : 덮개 104a : 덮개 상면
104b : 덮개 하면 104c : 덮개벽 104g : 테두리
104e : 오목부 104d : 삽입부 홈 104f : 삽입부
104h : 구멍 104H : 구멍 105 : 하부커버
105a : 원판 105b : 제2벽 105c : 제1스톱퍼
105d : 제2스톱퍼 105e : 하부커버상면 105f : 제1벽
105i : 제1테두리 105g : 제2벽 105h : 제2테두리
105r : 보강리브 107 : 패킹 108 : 보조부재
108a : 경사면 108b : 제1돌기 108c : 제2돌기
108d : 보조부재 구멍 108h : 홈 1 : 돌출부 수직부
2 : 돌출부 수평부 3 : 돌출부 경사부 4 : 걸림턱 수평부
5 : 걸림턱 수직부 6 : 걸림턱 경사부 7 : 원호부
8 : 직선부 9 : 곡선부 10 : 제1수평부
11 : 제2수평부 12 : 경사부 106 : 홈
101D : 돌출부 101G : 제1구멍 테두리 101H : 제2구멍 테두리
A : 공간 S : 곡선부 102i : 홈 103j : 나사산

Claims (1)

  1.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단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뚜껑조립체를 포함하는 보존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조립체는,
    상부커버;
    상기 상부커버 상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으로 회전되는 노브;
    상기 상부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노브의 회전에 따라 승강하는 승강부재;
    상기 상부커버 하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재가 노출되도록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어있는 덮개;
    상기 승강부재에 결합되는 하부커버;
    상기 하부커버 상면에 형성된 홈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승강부재가 상승할 경우, 상기 덮개의 하면에 미끄러지면서 상기 용기의 내면에 밀착하는 패킹;을 포함하는 보존용기.
KR1020100088321A 2010-09-09 2010-09-09 보존용기 KR101167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321A KR101167252B1 (ko) 2010-09-09 2010-09-09 보존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321A KR101167252B1 (ko) 2010-09-09 2010-09-09 보존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9596A Division KR100999415B1 (ko) 2010-02-02 2010-02-02 보존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0741A true KR20110090741A (ko) 2011-08-10
KR101167252B1 KR101167252B1 (ko) 2012-07-23

Family

ID=44928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8321A KR101167252B1 (ko) 2010-09-09 2010-09-09 보존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72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6697A (ko) * 2018-05-17 2019-11-12 윤종병 밀폐용기 뚜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6697A (ko) * 2018-05-17 2019-11-12 윤종병 밀폐용기 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7252B1 (ko) 2012-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9415B1 (ko) 보존용기
ES2388241T3 (es) Recipiente con tapa que se puede sellar
KR100790549B1 (ko) 식품 보관용기
US20070169637A1 (en) Apparatus for sealing pressure container
CA2592732A1 (en) Closure lid for open mouth containers
KR101446060B1 (ko) 식품용기포장기
KR101167252B1 (ko) 보존용기
JP2018193132A (ja) 密閉容器
KR200472089Y1 (ko) 밀폐용기
KR20190098468A (ko) 착탈 및 내용물 확인이 용이한 스마트씰 커버 및 이를 갖는 밀폐용기
KR20170003991U (ko) 쌀 퍼냄이 용이하면서 제습기능을 갖는 쌀통
WO2011055560A1 (ja) シャーレ
KR101091747B1 (ko) 식품보관용기
KR200487553Y1 (ko)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름판
KR101440990B1 (ko) 손잡이 연동형 밀폐 냄비
KR100651088B1 (ko) 덮개 및 이를 이용한 용기
KR100606603B1 (ko) 밀폐성이 개선된 진공용기
KR101161650B1 (ko) 손잡이가 구비된 용기 뚜껑
KR100601400B1 (ko) 상하 개폐용기
KR200253340Y1 (ko) 진공용기
KR101436010B1 (ko) 안전 냄비
KR20150045110A (ko) 탄성이 부여된 잠금장치
KR20140003546U (ko) 기울어지지 않으면서 수직으로 승하강 되는 밀폐용기 속뚜껑
KR200485154Y1 (ko) 용기용 캡의 구조
JP3176652U (ja) 蓋付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