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6697A - 밀폐용기 뚜껑 - Google Patents
밀폐용기 뚜껑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26697A KR20190126697A KR1020180091563A KR20180091563A KR20190126697A KR 20190126697 A KR20190126697 A KR 20190126697A KR 1020180091563 A KR1020180091563 A KR 1020180091563A KR 20180091563 A KR20180091563 A KR 20180091563A KR 20190126697 A KR20190126697 A KR 201901266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handle
- cover
- plate
- peripher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8—Closures specially adapted for closing container mouths of differing size or configuration, e.g. screw/snap comb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손잡이에 의해서 하단에 형성된 실리콘커버가 용기의 상단입구 주연부부분을 밀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용기입구의 크기가 균일하지 않더라도 완전하게 밀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크기의 용기 입구의 크기변화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밀폐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밀폐용기 뚜껑에 의하면 용기입구의 치수가 일정하지 않을 경우(유리, 세라믹 등)에도 밀폐커버가 작동구에 의해서 적어도 1~10mm까지는 커버할 수 있어서 밀폐가 잘되고, 용기의 입구의 크기가 다소 차이가 있는 곳에서도 확실하게 밀폐할 수 있으며, 핸들을 돌리는 간단한 작업으로 밀폐할 수 있어서 편리한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밀폐용기 뚜껑에 의하면 용기입구의 치수가 일정하지 않을 경우(유리, 세라믹 등)에도 밀폐커버가 작동구에 의해서 적어도 1~10mm까지는 커버할 수 있어서 밀폐가 잘되고, 용기의 입구의 크기가 다소 차이가 있는 곳에서도 확실하게 밀폐할 수 있으며, 핸들을 돌리는 간단한 작업으로 밀폐할 수 있어서 편리한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밀폐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손잡이에 의해서 하단에 형성된 실리콘커버가 용기의 상단입구 주연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용기입구의 크기가 균일하지 않더라도 완전하게 밀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크기의 용기 입구의 크기변화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밀폐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밀폐용기는 합성수지나 스텐레스 등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밀폐용기를 덮는 뚜껑은 밀폐를 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걸이 등이 구비된다.
종래의 밀폐용기는 도 9와 같이 구성되는데, 개방된 용기의 상단을 덮을 수 있도록 뚜껑을 구비하되, 용기의 상단외주연에는 단턱을 형성하고, 뚜껑의 외주연에는 연장되어 잠금손잡이(23)가 용기의 단턱에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밀폐용기는 용기에 별도의 단턱을 형성해야 하고, 뚜껑의 외주연에 다수개의 잠금손잡이(23)를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생산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생산단가가 매우 높고, 잠금손잡이(23)를 일일이 열어서 개폐해야 하므로 사용하기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원터치식으로 개폐될 수 있는 밀폐용기가 제공되었는데, 용기의 상단 주연부에 원터치로 삽입할 수 있도록 뚜껑이 형성하고, 상기 뚜껑에는 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별도의 공기배출구가 형성되다.
이러한 밀폐용기에 관한 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25701호,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0-0009276호 등에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밀폐용기 뚜껑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1) 밀폐를 하기 위한 패킹이 뚜껑의 주연부에 설치되어 있는데, 제작시 수축율에 따라서 용기입구의 치수가 일정하지 않을 경우(유리, 세라믹 등)에는 정확하게 밀폐하지 못한다.
(2) 용기의 입구의 크기가 일정한 곳에만 사용이 가능하여 약간의 입구의 크기차이를 보상하지 못하여 동일한 크기의 용기입구에만 한정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용기입구의 크기와 유사하도록 형성되고, 끝단 주연부에는 상단으로 돌출된 밀폐단턱이 형성된 밀폐커버와;
다수개의 판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밀폐커버의 상단에 수용되어 밀폐단턱을 외주연으로 밀어내어 밀폐커버의 주연부를 용기입구 내주연에 밀착할 수 있도록 각 판의 가운데에 쐐기홈이 형성되는 작동구와;
상기 작동구의 쐐기홈에 대응되도록 주연부에 작동돌출부가 형성되고, 상단 가운데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핸들과;
상기 작동구를 하단에 수용하고, 가운데에 핸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용기입구의 크기와 유사하도록 형성되는 밀폐커버와;
다수개의 판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밀폐커버를 덮어서 수용할 수 있도록 끝단에 하단으로 하단돌출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하단돌출단턱이 밀폐커버의 주연부를 끌어 당겨서 용기입구의 외주연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작동구와;
상기 작동구의 쐐기홈에 대응되도록 주연부에 작동돌출부가 형성되고, 상단 가운데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핸들과;
상기 작동구를 하단에 수용하고, 가운데에 핸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밀폐용기 뚜껑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1) 용기입구의 치수가 일정하지 않을 경우(유리, 세라믹 등)에도 밀폐커버가 작동구에 의해서 적어도 1~10mm까지는 커버할 수 있어서 밀폐가 잘된다.
(2) 용기의 입구의 크기가 다소 차이가 있는 곳에서도 확실하게 밀폐할 수 있다.
(3) 핸들을 돌리는 간단한 작업으로 밀폐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밀폐용기 뚜껑의 사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밀폐용기 뚜껑의 측단면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형성된 밀폐용기 뚜껑의 측단면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형성된 밀폐용기 뚜껑의 사용상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밀폐용기 뚜껑의 커버의 하단에서 살펴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밀폐용기 뚜껑의 작동구의 하단에서 살펴본 상태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밀폐용기 뚜껑의 분리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형성된 밀폐용기 뚜껑의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밀폐용기 뚜껑의 작동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는 종래의 밀폐용기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밀폐용기 뚜껑의 측단면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형성된 밀폐용기 뚜껑의 측단면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형성된 밀폐용기 뚜껑의 사용상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밀폐용기 뚜껑의 커버의 하단에서 살펴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밀폐용기 뚜껑의 작동구의 하단에서 살펴본 상태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밀폐용기 뚜껑의 분리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형성된 밀폐용기 뚜껑의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밀폐용기 뚜껑의 작동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는 종래의 밀폐용기의 분리 사시도.
본 발명은 용기입구의 크기와 유사하도록 형성되고, 끝단 주연부에는 상단으로 돌출된 밀폐단턱(310)이 형성된 밀폐커버(300)와;
다수개의 판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밀폐커버(300)의 상단에 수용되어 밀폐단턱(310)을 외주연으로 밀어내어 밀폐커버(300)의 주연부를 용기입구 내주연에 밀착할 수 있도록 각 판의 가운데에 쐐기홈(240)이 형성되는 작동구(200)와;
상기 작동구(200)의 쐐기홈(240)에 대응되도록 주연부에 작동돌출부(110)가 형성되고, 상단 가운데에는 손잡이(102)가 형성되는 핸들(100)과;
상기 작동구(200)를 하단에 수용하고, 가운데에 핸들(1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커버(15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뚜껑(1)에 사용될 수 있는 용기입구의 모양 또는 용기(10)의 모양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만약, 뚜껑(1)의 형태가 타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작동구(200)의 가운데 부분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주연부는 용기입구의 모양에 맞춰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밀폐커버(300)는 상단에 평탄부(320)가 형성되고, 평탄부(320)의 주연부에는 밀폐단턱(310)이 형성되며, 상기 밀폐단턱(310)의 주연부에는 상단으로 경사진 날개부(330)가 형성된다.
상기 밀폐단턱(310)은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작동구(200)의 끝단이 포함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폐커버(300)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이 탄성이 많은 재질로 형성되고,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작동구(200)는 다수개의 판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데, 예를 들어 원형의 용기(10)를 위한 뚜껑일 경우에는 방사형으로 2개 혹은 10개의 판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작동구(200)의 각 판은 이격된 부분에 텐션부(210)로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텐션부(210)는 곡선형으로 작동구(200)의 각 판들 사이에 형성되어 작동구(200)의 이동과 확산에 대응, 즉 벌어지거나 좁아질 때 가이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작동구(200)의 텐션부(210)는 각 판들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211)가 각 판과 판의 사이에 연결 형성된다.
상기 작동구(200)의 각 판과 판이 인접하는 주연부에는 위아래로 겹쳐지도록 주연부를 따라서 도 9와 같이 서로 돌출되는 겹침부(212)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겹침부(212)는 텐션부(210)가 벌어졌을 때 벌어진 부분에서 공간이 발생하여 밀폐커버(300)가 용기(10)의 상단주연부를 완전히 밀폐하지 못하는 것에 대응하기 위해서 형성된다.
상기 작동구(200)는 각 판들이 방사형으로 일정거리를 밀려날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가운데에서 핸들(100)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 형상의 작동돌출구(110)가 회전하면서 작동구(200)의 각 쐐기홈(240)의 두께와 대응하는 부분이 작동구(200)를 외주연으로 밀려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작동구(200)의 각 판에는 다수개의 가이드(220)이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220)에는 커버(150)에서 하단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돌출구(160)가 끼워져서 작동구(200)의 판들이 외부로 밀려날 때 이를 따라서 이동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커버(150)는 가운데에 핸들(100)이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하단주연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돌출구(160)가 배열되어 돌출된다.
상기 가이드돌출구(160) 중의 하나의 끝단에는 쐐기가 형성되어 가이드(220)에 삽입되면 빠져나가지 않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용기입구의 크기와 유사하도록 형성되는 밀폐커버(300)와;
다수개의 판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밀폐커버(300)를 덮어서 수용할 수 있도록 끝단에 하단으로 하단돌출단턱(230)이 형성되며, 상기 하단돌출단턱(230)이 밀폐커버(300)의 주연부를 끌어 당겨서 용기입구의 외주연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하고, 각 판의 가운데에 쐐기홈(240)이 형성되는 작동구(200)와;
상기 작동구(200)의 쐐기홈(240)에 대응되도록 주연부에 작동돌출부(110)가 형성되고, 상단 가운데에는 손잡이(102)가 형성되는 핸들(100)과;
상기 작동구(200)를 하단에 수용하고, 가운데에 핸들(1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커버(150)로 구성된다.
상기 핸들(100)의 작동돌출부(110)는 작동구(200)의 안쪽 끝단에 이송홈(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홈에 삽입되어 회전하면 작동구(200)의 각 판을 안쪽으로 당길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작업성을 높이기 위해서 작동판(170)을 별도로 형성하는데, 상기 작동판(170)의 가운데에는 핸들(100)과 결합되도록 요입부와 돌출부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작동판(170)은 가운데 핸들(100)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 수용판(174)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판(174)의 홀의 주연부에는 상단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2개의 ''형상의 작동돌출부(172)가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커버(150)의 하단에 작동구(200)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200)의 하단에 작동판(170)이 형성삽입된다.
이때, 상기 작동구(200)의 쐐기홈(240)과 작동판(170)의 작동돌출부(172)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작동판(170)의 하단에는 밀폐단턱(310)이 형성되고, 가운데에는 핸들(100)이 삽입되어 작동판(170)을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밀폐용기 뚜껑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핸들(100)을 회전시키면, 핸들(100)의 작동돌출부(110)가 작동구(200)의 각 쐐기홈(240)을 밀어내면서 각 판들이 벌어지면서 외주연으로 밀려나가거나, 안으로 들어오게 되고, 이때, 밀폐커버(300)의 외주연이 용기(10)의 내주연 또는 외주연에 밀착된다.
상기와 같이, 밀폐용기 뚜껑을 핸들(100)만 간단히 돌리는 방법으로 용기(10)를 완전하게 밀폐할 수 있고, 용기(10) 입구에 생산시 발생하는 오차가 있더라도 밀폐커버(300)가 용기입구 전체를 덮고 있고, 작동구(200)에 의해서 밀려나가면서 지지하기 때문에 완전하게 밀폐된다.
또한, 일정크기 약 1~10mm 정도의 용기(10) 입구의 직경 또는 크기의 차이는 동일한 본 발명의 밀폐용기 뚜껑으로 커버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밀폐용기 뚜껑에 의하면 용기입구의 치수가 일정하지 않을 경우(유리, 세라믹 등)에도 밀폐커버가 작동구에 의해서 적어도 1~10mm까지는 커버할 수 있어서 밀폐가 잘되고, 용기의 입구의 크기가 다소 차이가 있는 곳에서도 확실하게 밀폐할 수 있으며, 핸들을 돌리는 간단한 작업으로 밀폐할 수 있어서 편리한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1 : 뚜껑 10 : 용기
100 : 핸들 110, 172 : 작동돌출부
150 : 커버 152 : 커버돌출구
160 : 가이드돌출구 170 : 작동판
174 : 수용판 200 : 작동구
210 : 텐션부 211 : 연결부
212 : 겹침부 220 : 가이드
230 : 하부돌출단턱 240 : 쐐기홈
300 : 밀폐커버 310 : 밀폐단턱
320 : 평탄부 330 : 날개부
100 : 핸들 110, 172 : 작동돌출부
150 : 커버 152 : 커버돌출구
160 : 가이드돌출구 170 : 작동판
174 : 수용판 200 : 작동구
210 : 텐션부 211 : 연결부
212 : 겹침부 220 : 가이드
230 : 하부돌출단턱 240 : 쐐기홈
300 : 밀폐커버 310 : 밀폐단턱
320 : 평탄부 330 : 날개부
Claims (7)
- 커버의 가운데에 핸들이 형성되고, 상기 핸들에 의해서 외주연으로 밀려나는 다수개의 판으로 형성되는 작동구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구의 주연부가 삽입되는 밀폐단턱이 형성된 밀폐커버가 하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뚜껑.
- 용기입구의 크기와 유사하도록 형성되고, 끝단 주연부에는 상단으로 돌출된 밀폐단턱이 형성된 밀폐커버와;
다수개의 판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밀폐커버의 상단에 수용되어 밀폐단턱을 외주연으로 밀어내어 밀폐커버의 주연부를 용기입구 내주연에 밀착할 수 있도록 각 판의 가운데에 쐐기홈이 형성되는 작동구와;
상기 작동구의 쐐기홈에 대응되도록 주연부에 작동돌출부가 형성되고, 상단 가운데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핸들과;
상기 작동구를 하단에 수용하고, 가운데에 핸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뚜껑. - 용기입구의 크기와 유사하도록 형성되는 밀폐커버와;
다수개의 판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밀폐커버를 덮어서 수용할 수 있도록 끝단에 하단으로 하단돌출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하단돌출단턱이 밀폐커버의 주연부를 끌어 당겨서 용기입구의 외주연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하고, 각 판의 가운데에 쐐기홈이 형성되는 작동구와;
상기 작동구의 쐐기홈에 대응되도록 주연부에 작동돌출부가 형성되고, 상단 가운데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핸들과;
상기 작동구를 하단에 수용하고, 가운데에 핸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뚜껑. - 제 1항 내지 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구의 판은 2개 내지 10개로 구성될 수 있고, 용기입구의 형상을 막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뚜껑. - 제 1항 내지 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구의 텐션부는 각 판들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가 각 판과 판의 사이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뚜껑 - 제 1항 내지 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구의 각 판의 주연부에는 서로 위아래로 겹쳐지도록 겹침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뚜껑.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8/010969 WO2019221341A1 (ko) | 2018-05-17 | 2018-09-18 | 밀폐용기 뚜껑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80056268 | 2018-05-17 | ||
KR1020180056268 | 2018-05-1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26697A true KR20190126697A (ko) | 2019-11-12 |
KR102148945B1 KR102148945B1 (ko) | 2020-08-28 |
Family
ID=68577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91563A KR102148945B1 (ko) | 2018-05-17 | 2018-08-07 | 밀폐용기 뚜껑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4894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20371790A1 (en) * | 2021-05-20 | 2022-11-24 | Doskocil Manufacturing Company, Inc. | Food container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7066Y1 (ko) * | 2007-04-09 | 2007-10-30 | 김영우 | 밀폐용기 |
KR100999415B1 (ko) * | 2010-02-02 | 2010-12-09 | 이진우 | 보존용기 |
KR20110090741A (ko) * | 2010-09-09 | 2011-08-10 | 이진우 | 보존용기 |
KR20120020814A (ko) * | 2010-08-31 | 2012-03-08 | 주식회사 로이첸 | 공기차단을 위한 밀폐용기 뚜껑 |
CN202670325U (zh) * | 2012-05-29 | 2013-01-16 | 蒋屹南 | 便携式保温保冷冻保鲜盒盖 |
KR200472089Y1 (ko) * | 2013-12-18 | 2014-04-07 | 주식회사 삼성웰비스 | 밀폐용기 |
KR101726702B1 (ko) * | 2016-09-23 | 2017-05-08 | (주)네오플램 | 밀폐용기 커버 |
-
2018
- 2018-08-07 KR KR1020180091563A patent/KR10214894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7066Y1 (ko) * | 2007-04-09 | 2007-10-30 | 김영우 | 밀폐용기 |
KR100999415B1 (ko) * | 2010-02-02 | 2010-12-09 | 이진우 | 보존용기 |
KR20120020814A (ko) * | 2010-08-31 | 2012-03-08 | 주식회사 로이첸 | 공기차단을 위한 밀폐용기 뚜껑 |
KR20110090741A (ko) * | 2010-09-09 | 2011-08-10 | 이진우 | 보존용기 |
CN202670325U (zh) * | 2012-05-29 | 2013-01-16 | 蒋屹南 | 便携式保温保冷冻保鲜盒盖 |
KR200472089Y1 (ko) * | 2013-12-18 | 2014-04-07 | 주식회사 삼성웰비스 | 밀폐용기 |
KR101726702B1 (ko) * | 2016-09-23 | 2017-05-08 | (주)네오플램 | 밀폐용기 커버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20371790A1 (en) * | 2021-05-20 | 2022-11-24 | Doskocil Manufacturing Company, Inc. | Food contain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48945B1 (ko) | 2020-08-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848540B (zh) | 具有止回阀的盖子 | |
JP4068558B2 (ja) | 再閉鎖可能なコンテナリッド | |
KR101613482B1 (ko) | 밀폐용기 | |
RU2704520C2 (ru) | Закуп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контролем вскрытия, а также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а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 |
KR101508440B1 (ko) | 뚜껑부착 용기 | |
JP2013142004A (ja) | ボタン式容器栓 | |
WO2016005240A1 (en) | Container | |
US4969572A (en) | End closure having a push open lid portion | |
JP6882014B2 (ja) |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 |
TWI409444B (zh) | 具有蓋可移開機構的量表封殼 | |
JP6093909B2 (ja) | 缶蓋の密閉構造 | |
CN110267885A (zh) | 带有夹子的存储容器 | |
KR20190126697A (ko) | 밀폐용기 뚜껑 | |
KR20070120007A (ko) | 원터치식 밀폐용기 | |
KR200425701Y1 (ko) | 원터치식 밀폐용기 | |
KR20140002515U (ko) | 밀폐뚜껑 | |
JP6064444B2 (ja) | 注出容器 | |
JP2016078930A (ja) | 容器から分離可能なキャップ | |
KR20160088073A (ko) | 개폐성과 기밀성이 향상된 화장품 용기 | |
WO2019221341A1 (ko) | 밀폐용기 뚜껑 | |
KR200261828Y1 (ko) | 밀폐용기용 뚜껑 | |
KR101616877B1 (ko) | 음식물 보관용 밀폐 뚜껑 | |
US20210371169A1 (en) | Bowl and lid set | |
KR20220013179A (ko) | 의류용 먼지제거기 | |
KR200491721Y1 (ko) | 감마선 측정용 시료용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opening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