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8468A - 착탈 및 내용물 확인이 용이한 스마트씰 커버 및 이를 갖는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착탈 및 내용물 확인이 용이한 스마트씰 커버 및 이를 갖는 밀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8468A
KR20190098468A KR1020180018456A KR20180018456A KR20190098468A KR 20190098468 A KR20190098468 A KR 20190098468A KR 1020180018456 A KR1020180018456 A KR 1020180018456A KR 20180018456 A KR20180018456 A KR 20180018456A KR 20190098468 A KR20190098468 A KR 20190098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rotation
upper cover
lower cover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8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5743B1 (ko
Inventor
최운환
Original Assignee
(주)네오플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플램 filed Critical (주)네오플램
Priority to KR1020180018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5743B1/ko
Publication of KR20190098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8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3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radial or radial and axial pressure, e.g. contractible bands encircling closur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측이 개구된 개구부를 갖는 용기본체의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고 중앙에 탭결합홈을 갖는 하부커버와; 상기 개구부의 외관의 외측이 되도록 상기 하부커버 상측에 배치되고 중앙의 관통홀 주위로 슬라이딩리브를 갖는 상부커버와; 일측은 상기 슬라이딩리브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하부커버에 대하여 상기 상부커버가 승강하도록 상기 탭결합홈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손잡이와; 상기 회전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개구부와 상기 하부커버 사이의 기밀을 유지 및 해제 가능하게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 사이에 결합되는 패킹과; 상기 패킹이 기밀을 유지하는 록킹위치와 기밀을 해제하여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언록킹위치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상기 리브 및 상기 회전손잡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물림부와 상기 물림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걸림부를 갖는 회전제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본체와 결합되는 다수의 부품이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일체형으로 조립되어 사용이 편리한 스마트씰 커버의 각 부품을 필요시 간단하고 편리하게 분해할 수 있다.

Description

착탈 및 내용물 확인이 용이한 스마트씰 커버 및 이를 갖는 밀폐용기 {Smart-Seal Cover with easily detachable and watching internal contents and Airtight Contai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착탈 및 내용물 확인이 용이한 스마트씰 커버 및 이를 갖는 밀폐용기와 관련된 것으로, 구체적으로 밀폐용기의 용기본체를 개폐하는 스마트씰 커버의 구조를 개선하여 사용시 일체형으로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각 부품을 분해, 조립하는 경우 각 부품의 착탈이 간단하고 편리하며 각 부품 사이의 오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스마트씰 커버가 용기본체의 개구부를 덮은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용기본체의 내용물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스마트씰 커버 및 이를 갖는 밀폐용기와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시간 음식물의 상태를 유지하고 위생적인 보관을 위하여 식품을 밀폐용기에 담아 필요시 적절한 양만큼 덜어 사용한다.
이러한, 밀폐용기는 밀폐용기 내부로 공기가 유입 또는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용기본체와 커버의 결합부분에 탄성재질의 패킹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밀폐용기는 다양한 실시예로 공개되고 있으며, 이러한 밀폐용기의 기밀을 유지하는 밀폐용기 커버 중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특허문헌 1의“밀폐용기(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6702호 / 2017. 05. 08. 공고)”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밀폐용기 커버”는 사각형상의 용기본체(2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조작여부에 따라 상기 용기본체(200) 내부를 밀폐시키는 밀폐용기 커버(100)에 있어서, 중앙에 결합공(11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111)의 내측면에 단턱부(112)가 형성되는 상부플레이트(110); 상기 결합공(111)에 삽입되되, 상부 외측면에 상기 단턱부(112)에 안착되는 날개부(121)가 형성되고, 하부 외측면에 나사산(122)이 형성되는 회전손잡이부(120);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와 결합되되, 중앙에 상기 회전손잡이부(120)와 볼팅결합되는 탭결합홈(131)이 형성되고, 외측면에 삽입홈(132)이 형성되는 하부플레이트(130); 상기 삽입홈(132)에 삽입되되, 그 둘레면이 외측방향으로 테이퍼져 형성되는 탄성재질의 패킹부(140);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플레이트(130)가 상기 용기본체(200)의 하부커버거치부재(115)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손잡이부(120)를 회전하게 되면, 상기 상부플레이트(110)가 하강하게 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의 외측면이 상기 패킹부(140)의 내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패킹부(140)의 외측면이 상기 용기본체(200)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패킹부(140)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의 하강에 의해 상기 패킹부(140)가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는 경우, 상기 용기본체(20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용기본체(200)의 내측면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는 밀착면부(141)가 구성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패킹부(140)의 내측면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는 경사면부(113)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종래기술은 회전손잡이의 회전여부에 따라 상부커버가 하강하여 하부커버 둘레에 구비된 패킹부를 외측방향으로 밀어줌으로써, 간단한 동작을 통해 용기본체 내부를 손쉽게 밀폐시키고, 최소화된 구성을 통해 생산 공정이 줄어들어 생산 및 가공의 효율성이 증가하고 더불어 원가비용 및 판매비용이 현저하게 줄어들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아울러, 상기 특허문헌 1의 “밀폐용기 커버”는 장시간 사용 시 조립되는 각 구성품 사이에서 먼지, 이물질 등이 혼입된 오염으로 청소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사용상의 편의 등을 위하여 상부커버와 회전손잡이가 일체형으로 조립되어 분해가 용이하지 않다는 우려가 있다.
[관련 기술 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0-1726702호 (2017. 05. 08.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본체와 결합되는 다수의 부품이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일체형으로 조립되어 사용이 편리한 스마트씰 커버의 각 부품을 필요시 간단하고 편리하게 분해할 수 있는 스마트씰 커버 및 이를 갖는 밀폐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씰 커버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오염을 쉽게 제거하여 위생성, 청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마트씰 커버 및 이를 갖는 밀폐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마트씰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씰 커버 및 이를 갖는 밀폐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측이 개구된 개구부를 갖는 용기본체의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고 중앙에 탭결합홈을 갖는 하부커버와; 상기 개구부의 외관의 외측이 되도록 상기 하부커버 상측에 배치되고 중앙의 관통홀 주위로 슬라이딩리브를 갖는 상부커버와; 일측은 상기 슬라이딩리브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하부커버에 대하여 상기 상부커버가 승강하도록 상기 탭결합홈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손잡이와; 상기 회전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개구부와 상기 하부커버 사이의 기밀을 유지 및 해제 가능하게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 사이에 결합되는 패킹과; 상기 패킹이 기밀을 유지하는 록킹위치와 기밀을 해제하여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언록킹위치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상기 리브 및 상기 회전손잡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물림부와 상기 물림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걸림부를 갖는 회전제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용 스마트씰 커버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물림부는, 상기 상부커버에 고정된 고정물림부와 상기 상부커버에 대하여 변형 가능하게 마련된 변형물림부를 포함하되, 상기 변형물림부는 상기 언록킹위치에서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상기 걸림부의 회전 제한을 해제 가능하게 상기 상부커버에 결합되며, 회전 제한이 해제된 상기 회전손잡이는 상기 상부커버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착탈위치로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변형물림부는, 사용자가 가압하는 물림부재와; 상기 물림부재를 상기 언록킹위치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물림부재는, 사용자가 가압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에서 연장되어 상기 걸림부와 맞물리는 물림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손잡이의 중앙영역과 상기 하부커버의 중앙영역에 상기 개구부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볼 수 있는 투명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손잡이가 상기 착탈위치에서 상기 물림부가 통과 가능하게 상기 상부커버에 관통 형성된 손잡이착탈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손잡이와 상기 하부커버는 나사결합되되, 상기 록킹위치 및 상기 언록킹위치에서는 상기 나사결합이 유지되고, 상기 착탈위치에서는 상기 나사결합이 해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개구부를 갖는 용기본체와; 밀폐용기용 스마트씰 커버로 상기 개구부를 개폐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본체와 결합되는 다수의 부품이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일체형으로 조립되어 사용이 편리한 스마트씰 커버의 각 부품을 필요시 간단하고 편리하게 분해할 수 있는 스마트씰 커버 및 이를 갖는 밀폐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씰 커버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오염을 쉽게 제거하여 위생성, 청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마트씰 커버 및 이를 갖는 밀폐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씰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씰 커버 및 이를 갖는 밀폐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밀폐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3a는 스마트씰 커버가 언록킹 위치에 위치한 경우의 부분 횡단면도,
도 3b는 도 3a의 Ⅲb-Ⅲ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3c는 도 3b에서 언록킹위치에서 변형물림부가 가압되어 틈새를 형성하여 걸림부가 걸림 해제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d는 걸림부가 도 3c에서 더 회전하여 회전손잡이가 상부커버로부터 착탈되는 착탈위치에 위치한 경우의 단면도,
도 4a는 스마트씰 커버와 개구부를 닫기 전의 상태인 언록킹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4b는 도 4a의 상태에서 회전제한부재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 4a의 Ⅳb-Ⅳb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 횡단면도,
도 5a는 스마트씰 커버가 개구부를 닫아 기밀을 유지하는 상태인 록킹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5b는 도 5a의 상태에서 회전제한부재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 5b의 Ⅴb-Ⅴb선을 절단한 부분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 및 내용물 확인이 용이한 스마트씰 커버 및 이를 갖는 밀폐용기(이하에서 ‘밀폐용기(100)’ 또는 ‘스마트씰 커버(2000)’라 함)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밀폐용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a는 스마트씰 커버가 언록킹 위치에 위치한 경우의 부분 횡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Ⅲb-Ⅲ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3c는 도 3b에서 언록킹위치에서 변형물림부가 가압되어 틈새를 형성하여 걸림부가 걸림 해제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3d는 걸림부가 도 3c에서 더 회전하여 회전손잡이가 상부커버로부터 착탈되는 착탈위치에 위치한 경우의 단면도이며, 도 4a는 스마트씰 커버와 개구부를 닫기 전의 상태인 언록킹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상태에서 회전제한부재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 4a의 Ⅳb-Ⅳb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 횡단면도이며, 도 5a는 스마트씰 커버가 개구부를 닫아 기밀을 유지하는 상태인 록킹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상태에서 회전제한부재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 5b의 Ⅴb-Ⅴb선을 절단한 부분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는, 도 1 내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10)와 스마트씰 커버(200)로 구성된다.
용기본체(110)는 예를 들면, 음식물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를 수용하여 보관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보관되는 내용물은 설명의 편의상 음식물을 예로 든다. 용기본체(110)는 사각형, 원형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용기본체(110)의 형상에 따라 스마트씰 커버(200)의 형상도 대응하여 구비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상 용기본체(110)의 개구부(113)를 갖는 하부가 약간 좁은 육면체 형상인 것으로 한다.
용기본체(110)는 음식물 등과 관련하여 위해 물질을 함유하지 않은 소재인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본체(110)에는 하부커버(250)가 개구부(113)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는 하부커버거치부재(115)가 상단부에서 내려온 위치(패킹이 안착되는 높이 참조)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하부커버(250)의 형상에 대응하여 수평면 형태로 마련된다.
스마트씰 커버(200)는, 도 1 내지 도 3d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부커버(210), 하부커버(250), 회전손잡이(230), 하부커버(250), 패킹(270) 및 회전제한수단(290)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커버(210)는,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져 후술할 회전손잡이(230)의 회전여부에 따라 하부커버(250)에 대하여 회전손잡이(230)와 함께 승, 하강되어 후술할 하부커버(250) 외측면에 구비되는 후술할 패킹(270)을 외측방향으로 밀거나 원상태로 탄성변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부커버(210)는 관통홀(211), 슬라이딩리브(212), 경사부(213), 상부보강부재(214), 물림부수용홈(215), 손잡이착탈홈(216), 외측리브(217) 및 물림부재착탈홈(218)으로 구성된다.
관통홀(211)은 상부커버(210)의 중앙 영역에 통공 형성된 구성요소이다. 관통홀(211)은 회전손잡이(230)가 삽입되어 상부커버(110)와 결합 가능하게 한다.
슬라이딩리브(212)는 관통홀(211)의 내측 둘레에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성요소이다. 슬라이딩리브(212)는 회전손잡이(230)가 관통홀(211)에 삽입된 상태에서, 날개부재(233)가 슬라이딩리브(212)의 상측에 회전손잡이(230)의 걸림부(297)가 슬라이딩리브(212)의 하측에 위치한 ‘ㄷ’자 형태의 홈에 끼여진 형태로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에 의해 슬라이딩리브(212)는 회전손잡이(230)를 안정적으로 회전하도록 안내할 수 있고, 관통홀(211)에서 이탈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즉, 슬라이딩리브(212)에 회전손잡이(230)가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후술하는 회전제한수단(290)을 해제하지 않은 이상 스마트씰 커버(200)의 회전손잡이(230)와 상부커버(210)는 분해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부(213)는 상부커버(210)의 외측 둘레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구성요소이다. 경사부(213)는 후술할 패킹(270)의 내측면과 동일 또는 유사한 각도로 형성된다. 이에, 회전손잡이(120)의 회전에 의해 상부커버(110)가 하강하면, 상부커버(210)의 경사부(213)가 패킹(270)을 가압하여 패킹(270)의 탄성변형을 유도할 수 있다.
상부보강부재(21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커버(210)의 하부 모서리 4곳에 긴 막대 형상의 바(bar) 모양으로 형성되는 구성요소이다. 상부보강부재(214)는 회전손잡이(230)의 회전에 의해 상부커버(110)가 하강하는 경우, 상부커버(210)와 관통홀(211) 사이의 수평거리 보다 거리가 먼 상부커버(210)와 관통홀(211) 사이의 대각선거리, 즉, 패킹(270)의 모서리측에 가압력이 최대한 전달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부커버(210)의 대각선 부분이 변형되어 뒤틀리거나 움직이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즉, 상부커버(210)의 하강이 완료되면, 패킹(270)의 전체 외각 둘레가 용기본체(11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밀폐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외측리브(217)는 상부커버(210)의 하부 둘레에 수직 띠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요소이다. 외측리브(217)는 회전손잡이(230)의 회전에 의해 상부커버(210)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상부커버(210)가 좌, 우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회전손잡이(23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외측리브(217)는 상부커버(210)를 온전히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고 패킹(140)의 전체 내측면에 가압력이 고르게 전달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물림부수용홈(215)은 후술하는 물림부재(295a)가 결합되어 수용 가능하게 상부커버(210)의 판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어 있다. 물림부수용홈(215)은 사용자가 물림부재(295a)를 가압할 수 있도록 개구부(미도시)를 가지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회전손잡이(230)의 회전중심 축선 방향으로 개구된 물림부재착탈홈(218)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물림부재착탈홈(218)을 통해 물림부재(295a)가 결합되고 분리될 수 있고, 물림턱(295a2)의 상승, 하강 동작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손잡이착탈홈(216)은, 도 3b, 3c, 3d, 4b 및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커버(210)의 슬라이딩리브(212) 중 일부가 절단 내지 관통되어 형성되며, 후술하는 걸림부(297)가 상하 방향으로 통과하여 착탈될 수 있는 구성이다.
회전손잡이(230)는, 도 2 또는 도 3a에 나타낸 것과 같이, 관통홀(211)에 삽입되어 회전여부에 따라 상부커버(210)를 하부커버(250)에 대하여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구성요소이다. 회전손잡이(230)는, 날개부재(233), 나사산(235), 손잡이그립(236), 손잡이그립홈(237) 및 위치표시화살표(23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회전손잡이(230)의 하부 외측면에는 나사산(235)이 형성됨으로써, 후술할 하부커버(250)의 탭결합홈(251)과 나사 결합되어 회전손잡이(230)의 회전에 의해 상부커버(210)가 하부커버(250)에 대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회전손잡이(230)에는 사용자가 잡고 회전손잡이(230)를 회전시킬 수 있는 긴 막대 형상의 회전손잡이(230)의 날개부재(233) 내부 중앙 영역을 가로지르는 손잡이그립(236)이 구비되어 있다. 이에 사용자는 손잡이그립(236)을 잡고 회전력을 회전손잡이(230)에 전체에 전달할 수 있다.
손잡이그립홈(237)은 긴 막대 형상의 손잡이그립(236) 주위와 날개부재(233) 사이에 사용자가 손잡이그립(236)을 잡을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된 공간이다. 이에, 사용자가 편리하게 손잡이그립(236)을 잡을 수 있다.
위치표시부재(238)는 회전손잡이(23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현재 어느 위치에 왔는지를 알려주도록 날개부재(233)의 표면에 표시된 화살표를 포함하는 표시수단이다. 위치표시부재(238)에 대응하여 상부커버(210)에도 표시부재가 록킹위치(도 3b의 ‘X’ 참조, 예를 들면, 열쇠가 잠긴 표시) 및 언록킹위치(도 3b의 ‘Y’ 참조, 예를 들면, 열쇠가 열린 표시)에도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손잡이(230)에서 특히 손잡이그립홈(237)이 있는 부분이 투명한 유리창을 포함하는 투명한 재질로 구비되어 있는 것(미도시)이 바람직하다. 이에, 후술하는 하부커버(250)의 투명부재(259)와 함께 회전손잡이(230)의 투명한 재질을 통해 용기본체(111)가 스마트씰 커버(200)에 의해 덮혀 있더라도 사용자는 용기본체(110)에 수용된 내용물의 종류, 량, 상태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하부커버(250)는 도 2, 도 3a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커버(210)의 하부에 결합되고, 용기본체(200)의 개구부(113)를 개폐 가능하게 하부커버거치부재(115)에 지지된다. 하부커버(250)는 탭결합홈(251), 삽입홈(252), 나사탭(253), 보강부재안착홈(257) 및 투명부재(259)로 구성된다.
탭결합홈(251)은 하부커버(250)의 중앙측에 형성된 구성요소이다. 탭결합홈(251)의 내측면에는 나사산(235)과 나사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나사탭(253)이 형성된다.
삽입홈(252)은 하부커버(250)의 외측면에 함몰 형성되어 있고 패킹(270)의 수평부재(237)를 삽입하여 지지시킬 수 있다.
하부커버(250)의 내측에는 각각의 상부보강부재(214)와 대응하여 각각의 상부보강부재(214)가 삽입되어 맞물리는 보강부재안착홈(257)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부커버(210)와 하부커버(250)의 결합성이 향상되고, 회전손잡이(230)의 회전에 의해 상부커버(210)가 뒤틀리거나 움직이는 것이 더욱 예방될 수 있으며, 상부커버(210)의 수직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커버(250)의 외측면에는 하부커버거치부재(115)에 지지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부재(25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부재(259)는 회전손잡이(230)의 손잡이그립(236)과 손잡이그립홈(237)에 대응한 위치인 하부커버(250)의 중앙 영역에 구비되어 유리창을 포함하는 투명한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사용자는 편리하게 스마트씰 커버(200)가 닫힌 상태에서도 용기본체(110)의 내용물의 종류, 량, 상태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패킹(270)은 도 2, 4a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고, 하부커버(250)의 외측둘레에 결합되어 상부커버(210)의 가압 여부에 따라 탄성변형되어 용기본체(200)의 내측벽면에 접촉 또는 탈거된다.
패킹(270)은 삽입홈(252)에 삽입되는 수평부재(237)를 가지고, 패킹(270)의 외측 둘레면은 수평부재(237)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외측 상향 방향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킹(270)의 외측 둘레면에는 용기본체(200)의 내측벽면과 동일 또는 유사한 각도의 밀착부재(271)가 형성됨으로써, 상부커버(210)의 하강에 의해 패킹(270)이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는 경우, 용기본체(110)의 내측벽면에 최대한 밀착되어 밀폐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스마트씰 커버(200)에서 패킹(270)이 기밀을 유지하는 록킹위치와 기밀을 해제하여 상기 용기본체(110)로부터 분리 가능한 언록킹위치 사이를 작동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회전손잡이(230)의 정회전(도 5b의 시계 방향 참조, 각 걸림부(297) 우측면이‘01’ 위치에서 ‘03’위치로, ‘01`’ 위치에서 ‘03`’위치로 각각 이동)에 의해 상부커버(210)가 패킹(270)을 가압하여 개구부(113)가 밀폐되어 용기본체(110)의 내부와 외부와의 공기 유동을 하지 못하게 기밀을 유지하는 기밀유지위치 내지 록킹위치(도 3b 및 도 5b의 “X”참조, 이 경우 스마트씰 커버(200)와 용기본체(110)가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상호 분리가 되지 않음)로 된다.
다음, 회전손잡이(230)의 역회전(도 3b 참조 반시계 방향)에 의해 상부커버(210)가 패킹(270)을 가압 해제하여 개구부(113)가 개방되어 용기본체(110)의 내부와 외부와의 공기 유동이 이루어지게 기밀을 해제하는 기밀해제위치 내지 언록킹위치(도 3b 및 도 5b의 “Y”참조, 이 경우 스마트씰 커버(200)는 용기본체(110)로부터 분리 가능함) 사이를 스마트씰 커버(200)가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록킹위치와 언록킹위치 사이에서 회전손잡이(230)의 회전이 제한되며, 이러한 회전의 제한은 후술하는 회전제한수단(290)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언록킹위치에서는 하부커버(250)에 대하여 상부커버(210) 및 회전손잡이(230)가 승강한 상태이고 상부커버(210)와 하부커버(250) 사이에 패킹(270)의 가압이 느슨해진다. 이에, 사용자가 손잡이그립(236)을 잡고 스마트씰 커버(200)를 들어 올리면 개구부(113)로부터 스마트씰 커버(200)가 용이하게 분리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스마트씰 커버(200)의 각 구성은 상호 분리되지 않는다.
이는 회전손잡이(230)의 나사산(235)과 하부커버(250)의 나사탭(253)이 상호 맞물린 상태이고 상부커버(210)의 슬라이딩리브(212)에 회전손잡이(230)의 날개부재(233)와 걸림부(297)가 상하로 맞물린 상태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스마트씰 커버(200)는 각 부품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어 한 덩어리로 움직인다. 이에, 사용자는 손잡이그립(236)을 잡고 회전하여 개구부(113)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으며, 스마트씰 커버(200)를 개구부(113)로부터 분리하여 식탁과 같은 곳에 놓아두고 용기본체(110)로부터 내용물을 꺼내거나 용기본체(110)에 내용물을 담을 수 있다. 또한, 스마트씰 커버(200)로 개구부(113)를 닫고 기밀을 유지한 록킹위치에서 냉장고 등에 밀폐용기(100)를 장기간 보관할 수 있다.
즉, 이러한 록킹위치와 언록킹위치 사이에서 일체형 구조를 갖는 스마트씰 커버(200)는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르면 다수의 구성 내지 부품 자체 또는 구성들의 사이에 수분, 증기, 음식물을 가스, 냄새, 먼지, 이물질 등이 부착, 흡착,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밀폐용기를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각 부품 자체와 이들 사이의 공간, 틈새에서 눈에 보이지 않은 박테리아, 바이러스, 균 등이 번식하여 오염되거나 부패 등을 유발할 수도 있다.
반면, 이러한 각 구성 내지 부품의 틈새 등은 좁고 내부 공간은 넓어 각 부품을 분해하지 않으며 부품이나 이들 틈새의 청결성, 위생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어렵다.
이에 본 발명자는 후술하는 회전제한수단(290)을 도출하게 되었다.
회전제한수단(290)은, 도 2와 도 3a 내지 도 3d, 도 4b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씰 커버(200)를 전술한 록킹위치와 언록킹위치 사이로 회전을 제한하기도 하고 필요에 따라 회전제한을 해제하여 상부커버(210) 및/또는 하부커버(250)로부터 회전손잡이(230)가 분리 및 결합되는 착탈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회전제한수단(290)은, 고정물림부(293)와 변형물림부(295)로 이루어진 물림부(293, 295)와, 물림부(293, 295)와 맞물리는 걸림부(297)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림부(293, 295) 및 걸림부(297) 중 어느 하나는 회전손잡이(230) 및 상부커버(21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있고, 물림부(293, 295) 및 걸림부(297) 중 다른 하나는 회전손잡이(230) 및 상부커버(210)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하에서 일실시예로 설명의 편의상 걸림부(297)는 회전손잡이(230)에 물림부(293, 295)는 상부커버(210)에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고정물림부(293)는 고정되어 있으며 회전손잡이(230)의 걸림부(297)가 록킹위치에서 회전(예를 들면, 도 5b에서 시계방향의 회전)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게 걸림부(297)와 맞물리도록 상부커버(210)의 슬라이딩리브(212) 하측 판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변형물림부(295)는 상부커버(210)의 물림부수용홈(215)에 수용되어 회전손잡이(230)의 걸림부(297)가 언록킹위치에서 회전(예를 들면, 도 3b에서 반시계방향 회전)이 더 이상 진행하지 않도록 구비되어 있다. 변형물림부(295)는 물림부재(295a)와 탄성부재(295b)로 구성되어 있다.
변형물림부(295)는 평상시에 걸림부(297)가 언록킹위치에서 회전을 제한하게 하면서, 필요시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변형된다. 이에, 물림턱(295a2)이 슬라이딩리브(212)를 따라 슬라이딩 회전하는 반경의 평면상으로부터 하측으로 이동하고, 걸림부(297)는 회전 제한이 해제되어 착탈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물림부재(295a)는, 물림부수용홈(215)에 결합되어 하측의 탄성부재(295b)에 의해 상부커버(210) 판면으로 탄성 가압되며, 사용자가 가압하는 누를 수 있는 누름판(295a1)과, 누름판(295a1)에서 연장되어 걸림부(297)와 맞물리도록 회전손잡이(230)의 중심축선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물림턱(295a2)으로 구성된다.
탄성부재(295b)는 누름판(295a1) 하측의 물림부수용홈(215)에 결합되어 누름판(295a1)을 상부커버(210)의 판면측으로 탄성 가압한다. 탄성부재(295b)는 여러 종류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지만 스마트씰 커버(200)가 음식물을 저장, 보관하는 밀폐용기(100)와 관련이 있으므로 내식성을 구비하고 식음료품에 사용을 할 수 있도록 인증된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물림턱(295a2)에는 좌우측 벽면 상부가 좁아지도록 경사진 챔퍼링(295a21)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b 참조). 이에, 회전손잡이(230)가 착탈위치에서 언록킹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물림턱(295a2)이 하강하여 슬라이딩리브(212)와 틈새(도 3b의 ‘GAP’참조)를 만들어도 챔퍼링(295a21)에 의해 걸림부(297)가 보다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변형물림부(295)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도3b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회전손잡이(230)의 걸림부(297)를 언록킹위치에서 착탈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물림부재(295a)를 도 3c와 같이 가압하여 누르면, 슬라이딩리브(212)의 하측판면과 물림턱(295a2)의 상측판면 사이에 걸림부(297)가 통과할 수 있는 틈새(도 3c의 ‘GAP’ 참조, 도 3b의 ‘H1’에서 도 3c의 ‘H2’로 높이 변화 참조)가 발생하여 걸림부(297)의 회전 제한이 해제(각 걸림부(297) 우측면이 ‘01’위치에서 ‘02’위치로, ‘01`’위치에서 ‘02`’위치로 각각 이동)된다. 즉, 사용자가 물림부재(295a)를 가압하여 누르면 물림부재(295a)의 물림턱(295a2)이 걸림부(297)가 회전하는 높이보다 낮아져 걸림부(297)의 회전반경의 평면상에 존재하지 않아 걸림부(297)가 틈새(도 3c의 ‘GAP’ 참조) 사이로 통과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탄성부재(295b)는 사용자가 가압하는 힘에 의해 틈새(‘GAP’)가 형성될 수 있도록 아래로 수축 가능하게 탄성변형된다.
그리고,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손잡이(230)가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각 걸림부(297) 우측면이 ‘01’위치에서 ‘04’위치로, ‘01`’위치에서 ‘04`’위치로 각각 회전)하여 걸림부(297)가 상부커버(210)의 손잡이착탈홈(216)에 위치한다. 이에, 슬라이딩리브(212)의 하측에 위치한 걸림부(297)가 손잡이착탈홈(216)을 통과하여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부커버(210)로부터 회전손잡이(230)가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에 의해 회전손잡이(230), 상부커버(210), 패킹(270), 하부커버(250) 부품이 각각 분리되어 각 부품 자체 또는 각 부품 사이의 틈새를 살균, 멸균, 청소 및 소제할 수 있어 이물질, 발효균, 병균 등의 오염원을 제거하여 스마트씰 커버(200)의 위생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한편, 이러한 회전제한 해제 및 착탈 과정에서 회전손잡이(230)를 회전시키면 언록킹위치에서 회전손잡이(230)의 나사산(235)과 하부커버(250)의 나사탭(253)은 상호 나사결합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회전손잡이(230)가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되면 착탈위치 이전 위치에서 회전손잡이(230)의 나사산(235)과 하부커버(250)의 나사탭(253)은 상호 나사결합 해제된다. 이에, 회전손잡이(230)와 상부커버(210)를 착탈하는 경우 회전손잡이(230)는 하부커버(250)와 나사결합이 해제되어 있으므로 회전손잡이(230)와 상부커버(210)의 착탈은 보다 간단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언록킹위치에서는 스마트씰 커버(200)가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사용자의 사용이 편리하다.
걸림부(297)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부커버(210)의 슬라이딩리브(212)의 하측판면을 따라 슬라이딩 회전하도록 회전손잡이(230)의 날개부재(233)의 하측에 물림부(293, 295)와 맞물리도록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297)가 복수로 마련된 것은 회전하는 과정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슬라이딩리브(212)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미도시하였지만 착탈위치에서 회전손잡이(230)를 상부커버(210)에 결합하는 과정은 분리과정의 역순이다. 이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부커버(210)를 하측에 두고 회전손잡이(230)를 상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측의 걸림부(297)를 슬라이딩리브(212)의 손잡이착탈홈(216)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회전손잡이(230)를 하강시킨다. 이에, 걸림부(297)는 하강하여 손잡이착탈홈(216)을 통과한다. 동시에 날개부재(233)의 하측 판면이 슬라이딩리브(212)의 상측 판면에 슬라이딩 회전 가능하게 접촉되며 걸림부(297)는 슬라이딩리브(212) 하측 판면보다 낮게 위치하게 된다.
다음, 회전손잡이(230)를 약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하부커버(250)의 삽입홈(252)에 패킹(270)의 수평부재(237)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탭결합홈(251)의 나사탭(253)에 나사산(235)이 위치하도록 상측에서 하측으로 회전손잡이(230), 상부커버(210), 패킹(270), 하부커버(250) 순서로 배열한다. 이러한 배열은 상부커버(210), 패킹(270) 및 하부커버(250)가 사각형 구조를 가져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상부커버(210), 패킹(270) 및 하부커버(250)가 상호 맞물려 결합되는 지점을 숫자, 기호 등의 표시를 하여 초보 사용자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사용자가 물림부재(295a)를 가압하면 탄성부재(295b)가 탄성변형하여 수축하고 물림턱(295a2)은 슬라이딩리브(212)의 하측판면으로부터 하강하여 도 3b 및 도 3d와 같이 틈새(도 3b 및 도 3d의 ‘GAP’ 참조)를 형성한다. 이에, 그 틈새 사이로 걸림부(297)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통과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손잡이(230)의 반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나사산(235)과 나사탭(253)은 나사결합되어 언록킹위치에서는 각 부품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위치표시부재(238)가 언록킹위치를 통과하면 물림부재(295a)에 가해진 가압력을 제거한다. 이에, 탄성부재(295b)의 탄성력에 의해 물림부재(295a)는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물림턱(295a2)이 슬라이딩리브(212) 하측 판면에 접촉되어 도 3b 및 도 3d에 형성된 틈새(GAP)는 없어진다.
이에, 회전손잡이(230)의 걸림부(297)는 고정물림부(293)와 변형물림부(295)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어 록킹위치와 언록킹위치 사이를 이동하면서 용기본체(110)의 개구부(113)를 개폐하여 기밀을 유지 내지 기밀해제를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본체와 결합되는 다수의 부품이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일체형으로 조립되어 사용이 편리한 스마트씰 커버의 각 부품을 필요시 간단하고 편리하게 분해할 수 있는 스마트씰 커버 및 이를 갖는 밀폐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씰 커버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오염을 쉽게 제거하여 위생성, 청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마트씰 커버 및 이를 갖는 밀폐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씰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씰 커버 및 이를 갖는 밀폐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 밀폐용기 110: 용기본체
113: 개구부 115 : 하부커버거치부재
200 : 스마트씰 커버
210 : 상부커버 211 : 관통홀
212 : 슬라이딩리브 213 : 경사부
214 : 상부보강부재 215 : 물림부수용홈
216 : 손잡이착탈홈 217 : 외곽리브
218 : 물림부재착탈홈
230 : 회전손잡이 233 : 날개부재
235 : 나사산 236 : 손잡이그립
237 : 손잡이그립홈 238 : 위치표시부재
250 : 하부커버 251 : 탭결함홈
252 : 삽입홈 253 : 나사탭
254 : 지지부재 257 : 보강부재안착홈
259 : 투명부재
270 : 패킹 271 : 밀착부재
273 : 수평부재
290 : 회전제한수단 293 : 고정물림부
295 : 변형물림부 295a : 물림부재
295a1 : 누름판 295a2 : 물림턱
295a21 : 챔퍼링 295b : 탄성부재
297 : 걸림부

Claims (8)

  1. 상측이 개구된 개구부를 갖는 용기본체의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고 중앙에 탭결합홈을 갖는 하부커버와;
    상기 개구부의 외관의 외측이 되도록 상기 하부커버 상측에 배치되고 중앙의 관통홀 주위로 슬라이딩리브를 갖는 상부커버와;
    일측은 상기 슬라이딩리브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하부커버에 대하여 상기 상부커버가 승강하도록 상기 탭결합홈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손잡이와;
    상기 회전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개구부와 상기 하부커버 사이의 기밀을 유지 및 해제 가능하게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 사이에 결합되는 패킹과;
    상기 패킹이 기밀을 유지하는 록킹위치와 기밀을 해제하여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언록킹위치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상기 리브 및 상기 회전손잡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물림부와 상기 물림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걸림부를 갖는 회전제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용 스마트씰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림부는, 상기 상부커버에 고정된 고정물림부와 상기 상부커버에 대하여 변형 가능하게 마련된 변형물림부를 포함하되,
    상기 변형물림부는 상기 언록킹위치에서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상기 걸림부의 회전 제한을 해제 가능하게 상기 상부커버에 결합되며, 회전 제한이 해제된 상기 회전손잡이는 상기 상부커버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착탈위치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용 스마트씰 커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물림부는, 사용자가 가압하는 물림부재와; 상기 물림부재를 상기 언록킹위치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밀폐용기용 스마트씰 커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림부재는, 사용자가 가압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에서 연장되어 상기 걸림부와 맞물리는 물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용 스마트씰 커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손잡이의 중앙영역과 상기 하부커버의 중앙영역에 상기 개구부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볼 수 있는 투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용 스마트씰 커버.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손잡이가 상기 착탈위치에서 상기 물림부가 통과 가능하게 상기 상부커버에 관통 형성된 손잡이착탈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용 스마트씰 커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손잡이와 상기 하부커버는 나사결합되되,
    상기 록킹위치 및 상기 언록킹위치에서는 상기 나사결합이 유지되고, 상기 착탈위치에서는 상기 나사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용 스마트씰 커버.
  8. 개구부를 갖는 용기본체와;
    제1항의 밀폐용기용 스마트씰 커버로 상기 개구부를 개폐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KR1020180018456A 2018-02-14 2018-02-14 착탈 및 내용물 확인이 용이한 스마트씰 커버 및 이를 갖는 밀폐용기 KR102055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456A KR102055743B1 (ko) 2018-02-14 2018-02-14 착탈 및 내용물 확인이 용이한 스마트씰 커버 및 이를 갖는 밀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456A KR102055743B1 (ko) 2018-02-14 2018-02-14 착탈 및 내용물 확인이 용이한 스마트씰 커버 및 이를 갖는 밀폐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8468A true KR20190098468A (ko) 2019-08-22
KR102055743B1 KR102055743B1 (ko) 2019-12-13

Family

ID=67767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8456A KR102055743B1 (ko) 2018-02-14 2018-02-14 착탈 및 내용물 확인이 용이한 스마트씰 커버 및 이를 갖는 밀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57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054B1 (ko) * 2019-12-30 2021-07-08 (주)네오플램 진공 밀폐 용기
WO2021187838A1 (ko) * 2020-03-20 2021-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주전자
KR20220170580A (ko) * 2021-06-23 2022-12-30 한국전력공사 지중 저압 접속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04383B2 (en) * 2004-06-16 2007-04-17 Jumper Enterprise Co., Ltd. Seal container
KR20120020814A (ko) * 2010-08-31 2012-03-08 주식회사 로이첸 공기차단을 위한 밀폐용기 뚜껑
US20120285958A1 (en) * 2010-02-02 2012-11-15 Dongyang Chemical Co., Ltd. Preservation container
KR101726702B1 (ko) * 2016-09-23 2017-05-08 (주)네오플램 밀폐용기 커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04383B2 (en) * 2004-06-16 2007-04-17 Jumper Enterprise Co., Ltd. Seal container
US20120285958A1 (en) * 2010-02-02 2012-11-15 Dongyang Chemical Co., Ltd. Preservation container
KR20120020814A (ko) * 2010-08-31 2012-03-08 주식회사 로이첸 공기차단을 위한 밀폐용기 뚜껑
KR101726702B1 (ko) * 2016-09-23 2017-05-08 (주)네오플램 밀폐용기 커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054B1 (ko) * 2019-12-30 2021-07-08 (주)네오플램 진공 밀폐 용기
WO2021187838A1 (ko) * 2020-03-20 2021-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주전자
KR20220170580A (ko) * 2021-06-23 2022-12-30 한국전력공사 지중 저압 접속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5743B1 (ko) 2019-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5743B1 (ko) 착탈 및 내용물 확인이 용이한 스마트씰 커버 및 이를 갖는 밀폐용기
US9359114B2 (en) Detachable sealable lid,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and sealing ring for use with the lid
ES2372657T3 (es) Tapa de recipiente para líquidos con mecanismo dispensador y cierre estanco.
JP3164912U (ja) 容器
ES2395346A2 (es) Conjunto de recipiente
KR20110008138A (ko) 밀봉 뚜껑을 갖는 용기
WO2005110600A2 (en) Tube, cap and rack for automatic handling of samples
DK161764B (da) Prop til en beholder, saasom en flaske, samt en fra proppen aftagelig pumpe for ind- eller udpumpning af en luftart i beholderen
JP2010104327A (ja) 培養用容器
US20210253310A1 (en) Storage container provided with lid
CN101253102B (zh) 用于医院和实验室环境的墙壁内的垃圾容器及垃圾的清洁方法
CA2568942A1 (en) Fruit slicer and dispenser device
JP4703876B2 (ja) 菌検出器
KR200466582Y1 (ko) 밀폐형 음식물 보관 용기용 누름판의 쏠림 방지구조
KR200404820Y1 (ko) 한개의 잠금수단으로 밀폐가 가능한 양념통
EP1969116B1 (en) Laboratory culture flask with snap-on cap
KR20210017283A (ko) 외부 뚜껑 개폐 및 기밀성이 향상된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
KR20120007211U (ko) 밀폐 용기
CN210192258U (zh) 一种儿童锁盒子
KR100820051B1 (ko) 손잡이가 구비된 용기 뚜껑
BE1016827A6 (fr) Flacon pour culture de laboratoire avec un capuchon encliquetable.
KR200316999Y1 (ko) 다수의 수용 내용물에 대한 독립적 밀폐 및 사용이용이한 식품보관용기
KR102096907B1 (ko) 손잡이가 조립되는 마개
KR20190000531U (ko) 다용도 용기
KR20030051936A (ko) 음식물 저장용기의 뚜껑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