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9455A -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 - Google Patents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9455A
KR20110089455A KR1020117015811A KR20117015811A KR20110089455A KR 20110089455 A KR20110089455 A KR 20110089455A KR 1020117015811 A KR1020117015811 A KR 1020117015811A KR 20117015811 A KR20117015811 A KR 20117015811A KR 20110089455 A KR20110089455 A KR 20110089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sports
crescent
garment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5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6486B1 (ko
Inventor
쓰구히로 가나다
료타 이토
겐 아라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골드윈
가부시키가이샤 골드윈 테크니컬 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골드윈, 가부시키가이샤 골드윈 테크니컬 센터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골드윈
Publication of KR20110089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9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6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6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12Surgeons' or patients' gowns or d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41D1/08Trousers specially adapted for sport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5Sports garments other than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088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4Panti-hose; Body-stock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7/00Bathing gowns; Swim-suits, drawers, or trunks; Beach su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8Elastic stockings; for contracting aneuris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20Inserts
    • A41D2300/22Elastic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2Therapeutic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이며, 무릎부의 내측 및 외측의 측면부에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를 가지는 것, 또한 착용 시에 각부에 단계적 착용압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 본 발명의 의료용 및 스포츠용 의복은 스포츠 시에 무릎의 굴곡이 용이하고, 슬와에서 옷감이 남는 것이 억제되며, 불쾌한 압박감의 적고, 쾌적한 착용감이 있는 의복이며 정맥 환류가 촉진되어, 스포츠 중의 각부의 피로 경감, 스포츠 능력의 향상, 스포츠 후의 피로 경감 및 신속한 피로 회복을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MEDICAL CLOTHING AND SPORTS WEAR}
본 발명은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단계적 착용압을 가지고 또한 운동 동작 추종성이 높은 커팅을 가지는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에 관한 것이다.
종래 팬티 스타킹류에서는 정맥 환류를 촉진시키기 위해서, 발목부, 장딴지부, 대퇴부 등에 단계적으로 압력을 가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그러나 이러한 팬티 스타킹류를 스포츠용 의복에 적용하고자 하면, 내구성, 신축성 등에 문제가 생긴다. 또한, 이러한 팬티 스타킹류는 특히, 인체 중에서 가장 신장(伸張)이 큰 부위의 하나인 무릎부의 운동 동작에 추종하는 패턴 설계가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운동 시에 착용압의 변화, 땅기는 느낌, 움직이기 어려움 등의 문제점이 생긴다.
스포츠용 의복에 있어서도, 스포츠 중에 각부(脚部)의 피로 경감, 스포츠 능력의 향상, 또는 스포츠 후에 피로 회복 효과를 촉진하기 위해서, 단계적 착용압을 이용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특허문헌 3 및 특허문헌 4).
예를 들면, 특허문헌 3에는 대퇴사두근, 대퇴굴근군 및 내전근군을 덮는 대퇴부의 착용압과 하퇴신근군 및 하퇴굴근군을 덮는 하퇴부의 착용압이 무릎 관절 직하(直下)를 지나는 선을 경계선으로 하여 상이하고, 대퇴부의 착용압보다 하퇴부의 착용압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롱 타이츠(long tights)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롱 타이츠에서는 운동 동작 추종성이 높은 커팅이 되어 있지 않아, 운동 동작 중에 무릎 뒤에 옷감이 남아서, 불쾌한 착용감의 발생 및 하지의 움직임이 저해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특허문헌 3에 기재한 롱 타이츠에서는 발목부에 소망의 착용압을 가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팬티 스타킹류는 족부(足部)로부터 대퇴부 또는 허리 부분에 이르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발목부에 소망의 착용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일반적으로 족부가 없는, 발목부로부터 허리 부분에 이르는 구조를 가지는 스포츠용 의복에서는 발목부의 착용압을 크게 하면, 특히 발목부의 탈착이 곤란해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특허문헌 4에는, 제1신축성 재료 패널과 이것에 솔기로 접합되는 제2신축성 재료 패널을 가지고, 이 솔기의 적어도 일부가 근육능(筋肉稜)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도록 해서 이루어지는 근육능을 포함하는 몸부를 덮기 위한 압축 의료(衣料)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압축 의료는 신축성이 있는 재료를 이용하고 있지만, 전환 및 봉합부가 많아, 이 재료의 신축이 제한되어, 운동 동작이 저해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4에 기재되는 압축 의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발목부에 소망의 착용압을 가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스포츠용 의복에서는 스포츠 동작에 대한 추종성이 높은 커팅에 의해, 슬와에서 옷감이 남는 것을 억제하고, 불쾌한 압박감이 적고, 또한 쾌적한 착용감을 가지는 스포츠용 의복이 기대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스포츠용 의복에서는 발목부에 소망의 착용압이 가해지도록 설계되어 있지 않지만, 예를 들면, 발목부로부터 대퇴부까지 착용압이 점점 감소함에 따라 정맥 환류를 촉진할 수 있는 의료용 및 스포츠용 의복이 기대되고 있다. 또한, 의료용 의복에 관해서도 동일하게 요구되고 있다.
일본국 특개2000-290806호 일본국 특개평3-279403 일본국 특개평10-130915호 일본국 특표2008-513623호
본 발명은 스포츠 시에 무릎의 굴곡이 용이하고, 슬와에서 옷감이 남는 것을 억제하고, 불쾌한 압박감이 적고, 또한 쾌적한 착용감을 가지는, 의료용 및 스포츠용 의복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맥 환류를 촉진하고, 스포츠 중에 각부의 피로 경감, 스포츠 능력의 향상, 스포츠 후에 피로 경감 및 신속한 피로 회복을 촉진하는 의료용 및 스포츠용 의복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원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으로서, 무릎부의 내측 및 외측의 측면부에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를 가지는 것, 그리고 착용 시에 각부(脚部)에 단계적 착용압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에 의해,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이하의 형태에 관한 것이다.
[형태 1]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으로서,
무릎부의 내측 및 외측의 측면부에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를 가지는 것, 또한
착용 시에 각부에 단계적 착용압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
[형태 2]
상기 각부의 단계적인 착용압이 장딴지부의 착용압 > 대퇴부의 착용압, 또는 발목부의 착용압 > 장딴지부의 착용압 > 대퇴부의 착용압이 되는 착용압인, 형태 1에 기재한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
[형태 3]
상기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가 슬두 쪽의 긴 원호 x와 슬와 쪽의 짧은 원호 y로 형성되고, 슬두 쪽의 긴 원호 x의 길이와 슬와 쪽의 짧은 원호 y의 길이의 차가 1cm∼8cm인, 형태 1 또는 2에 기재한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
[형태 4]
상기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가 이 전환부의 정상부에 오목부를 가지는, 형태 1∼3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
[형태 5]
상기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의 소재가 이 전환부 이외의 부분의 소재와 동일하거나 혹은 다른 신축성이 있는 소재, 및/또는 통기성을 가지는 소재인, 형태 1∼4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
[형태 6]
발목부의 착용압이 15hPa∼30hPa의 범위에 있는, 형태 1∼5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
[형태 7]
장딴지부의 착용압이 7∼24hPa이며, 또한 대퇴부의 착용압이 3∼18hPa인, 형태 1∼6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
[형태 8]
상기 신축성이 있는 소재에 있어서, 둘레 길이 방향의 신장률이 길이 방향의 신장률보다도 큰, 형태 1∼7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
[형태 9]
상기 신축성이 있는 소재에 있어서, 둘레 길이 방향의 신장률이 150%∼500%의 범위에 있는, 형태 1∼8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
[형태 10]
봉제부가 안감이 사용된 플랫심(flat seam)인, 형태 1∼9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
[형태 11]
스포츠용 타이츠, 스패츠(spats), 수영복, 타이츠, 팬티 스타킹, 보디수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형태 1∼10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
본 발명의 의료용 및 스포츠용 의복은 스포츠 동작에 대한 추종성이 높은 커팅을 채용함으로써, 스포츠 시에 무릎의 굴곡이 용이하고, 슬와에서 옷감이 남는 것을 억제하고, 불쾌한 압박감이 적고, 또한 쾌적한 착용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의료용 및 스포츠용 의복은 각부에 단계적 착용압을 가하는 것, 특히, 발목부로부터 대퇴부까지 착용압이 점점 감소함에 따라, 정맥 환류를 촉진하고, 스포츠 중에 각부의 피로 경감, 스포츠 능력의 향상, 스포츠 후에 피로 경감 및 신속한 피로 회복을 촉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의 하나의 형태인 스포츠용 타이츠의 왼쪽 다리 부분을 외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의 하나의 형태인 스포츠용 타이츠의 왼쪽 다리 부분을 내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오른쪽 다리 부분은 생략되어 있다.
도 3은 외측의 측면부의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의 하나의 형태인 스포츠용 타이츠의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의 하나의 형태인 스포츠용 타이츠의 보행을 이미지화한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의 착용압을 측정하기 위해서 이용할 수 있는 다리 모형의 도면이다.
도 7은 초승달 모양의 전환부의 변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초승달 모양의 전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 기재하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기 바란다.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
[의료용 의복]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의료용 의복」은 약사법에서 정하는 의료기기 중, 클래스 Ⅰ의 일반 의료기기로서의 의복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의료용 의복으로서는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팬티 스타킹, 스패츠, 타이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료용 의복은 각부에 단계적 착용압을 가함으로써, 하지의 정맥 환류를 촉진하고, 부종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서서하는 업무, 데스크 워크, 비행기 또는 전차에서의 이동 등에 적합하다.
[스포츠용 의복]
본 명세서에 있어서, 「스포츠」는 유희, 경쟁, 육체적 단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신체 운동의 총칭을 의미하고, 예를 들면, 육상 경기, 야구, 소프트볼, 테니스, 핸드볼, 체조, 탁구, 배드민턴, 축구, 농구, 배구, 자전거, 스키, 스노보드, 스케이트, 수영, 보트 레이스뿐만 아니라, 지구계 스포츠, 러닝, 워킹, 트레킹, 등산, 골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포츠용 의복으로서는 예를 들면, 스포츠용 타이츠, 스패츠, 수영복, 타이츠, 또는 보디수트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료용 의복 또는 스포츠용 의복은 족부가 없는 형태에 있어서, 발목부에 소망의 착용압을 가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의복은 그것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족부를 가지는 의복, 예를 들면, 팬티 스타킹, 발목부를 가지는 타이츠일 수 있다.
[신축성이 있는 소재]
본 발명의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은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소재는 탄성사(彈性絲) 및 비탄성사로 편성되는 탄성 경편물(經編物)이다. 상기 탄성사는 폴리우레탄 탄성사,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탄성사, 폴리아미드 탄성사 등, 또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혹은 반(半)합성 고무로 이루어지는 실 형상의 이른바 고무사, 혹은 이들을 유기 합성수지와 복합 또는 혼합함으로써 얻어지는 탄성사가 바람직하고, 실 자체가 고무 형태의 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사로서는 모노 필라멘트(filament) 또는 멀티 필라멘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사는 생사(生絲)일 수 있고, 또는 비탄성사 혹은 탄성사로 피복된 가공사라도 좋다. 상기 탄성사로서, 특히 폴리우레탄 탄성사가 바람직하다. 탄성사의 섬도(纖度)는 44데시텍스(dtex)∼78데시텍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탄성사는 필라멘트사 또는 방적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필라멘트사로서 레이온, 아세테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폴리프로필렌, 염화 비닐 등의 화합섬유(chemical synthetic fiber) 또는 견(생사) 등을 들 수 있고, 원사, 가연가공사, 혹은 선염사 등, 또는 이것들의 복합사일 수 있다. 이것들은 연사(撚絲) 가공이 쉽고, 안정된 실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적사는 목면, 양모, 마, 견 등의 천연 섬유, 레이온,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로니트릴, 폴리프로필렌, 염화 비닐계 등의 화합섬유로 이루어지는 스테이플이며, 이것들이 단독 또는 혼방된 방적사일 수 있다. 상기 필라멘트사는 22∼78데시텍스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22∼55데시텍스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소재로서, 예를 들면, 일반적인 트리콧 편기(tricot knitting machine)를 이용하여, 바디(筬) L1로서의 나일론과 바디 L2로서의 폴리우레탄 탄성섬유를 배합하고, 양쪽을 풀 세트로 사용하여, 덴비(denbigh) 조직인 L1이 1023, L2가 1210의 조직으로 해서 폴리우레탄 혼합율이 20∼40%가 되도록 짠 탄성 경편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신축성이 있는 소재는 이 소재의 둘레 길이 방향의 신장률이 길이 방향의 신장률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길이 방향」은 착용자의 신장(身長) 방향을 의미하고, 「둘레 길이 방향」은 상기 길이 방향과 수직 방향을 의미한다.
「신장률」은 하중과 신장(伸張)이 비례 관계를 유지하는 최대 신장 길이(A)의 원래 길이(B)의 차의, 원래 길이에 대한 백분율을 의미한다.
상기 신장률은 다음의 식:
신장률(%)=100×(A-B)/B
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신장률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폭 5cm 및 길이 15cm의 시험편을 텐실론형의 정속신장형 인장시험기에 세트하고, 지그(jig)의 간격을 5cm로 하고, 인장 속도 5cm/분으로 하여 시험편이 파탄될 때까지 시험을 실행한다. 시험 후, 가로축을 신장, 세로축을 하중으로 하는 그래프를 그리고, 하중과 신장이 비례 관계를 벗어나는 지점의 최대 신장 길이로부터, 신장률을 산출한다. 텐실론형의 정속신장형 인장시험기로서는, 예를 들면, 오리엔테크제 RTC-1210A를 들 수 있다.
상기 소재의 길이 방향보다도, 특히 발목부에 있어서, 상기 소재의 둘레 길이 방향의 신장률을 크게 함으로써, 착탈성을 확보하면서, 착용 시에 일정한 크기의 착용압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소재의 둘레 길이 방향의 신장률은 바람직하게는 150%∼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300%인 것이 발목부의 착탈성의 확보 및 적응 사이즈 범위의 확대, 및 발목부의 소망의 착용압의 확보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이용되는 소재는 신장률이 높으므로, 예를 들면, 근육이 비대할 경우, 또는 다리를 크게 굴곡시켰을 경우에도 착용압의 변화가 적다.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
본 발명의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은 무릎부의 내측 및 외측의 측면부에,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는 슬두 쪽의 긴 원호 x와 슬와 쪽의 짧은 원호 y로 이루어지고, 슬두 쪽의 긴 원호 x 및 슬와 쪽의 짧은 원호 y가 각각 옷의 앞길 및 뒷길과 잇대어져, 옷의 앞길 및 뒷길의 사이에 치수 차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이 치수 차에 의해, 본 발명의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이 인체 피부, 특히 무릎부의 굴곡에 추종할 수 있다.
무릎부의 내측 및 외측의 측면부의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는 대칭형 또는 비대칭형일 수 있고, 예를 들면, 무릎부의 내측의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가 무릎부의 외측의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보다도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를 가지지 않는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에서는 일반적으로, 옷의 앞길과 뒷길이 동일 치수인 경우가 많아, 서 있을 경우에는 잘 맞지만, 보행 시에 다리를 올렸을 경우, 또는 앉았을 경우 등에 다리를 구부릴 경우에 슬와에서 옷감이 남게 된다.
상기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에 대해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1)의 하나의 형태인 스포츠용 타이츠의 왼쪽 다리 부분을 외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외측의 측면부의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2)는 옷의 앞길(3) 및 뒷길(4)의 사이의 측면부에 위치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의 하나의 형태인 스포츠용 타이츠의 왼쪽 다리 부분을 내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오른쪽 다리 부분은 생략되어 있다. 내측의 측면부의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7)는 도 1과 마찬가지로, 옷의 앞길(3) 및 뒷길(4)의 사이의 측면부에 위치한다.
도 3은 외측의 측면부의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2)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있어서, 부호 x는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의 슬두 쪽의 긴 원호이고, 부호 y는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의 슬와 쪽의 짧은 원호이며,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의 2개의 원호가 교차하는 부분의 사이의 길이 a는 외측의 측면부의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2)의 2개의 원호가 교차하는 부분의 상단과 하단의 사이의 길이이다.
슬두 쪽의 긴 원호 x 및 슬와 쪽의 짧은 원호 y의 길이는, 본 발명의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에 소망의 치수 차를 생기게 하는 범위이면,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에 의해 형성되는 옷의 앞·뒷길의 치수 차는 크면 다리를 올리기 쉬워져, 무릎 굴곡이 큰 운동 등에 유효하지만, 지나치게 크게 하면, 선 자세일 경우 무릎 앞부분에 주름이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치수 차, 즉, 슬두 쪽의 긴 원호 x 및 슬와 쪽의 짧은 원호 y의 길이의 차는 바람직하게는 1cm∼8cm, 더욱 바람직하게는 2cm∼6cm이다.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의 상단은 착용 시에 있어서, 적어도 슬개골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있지만, 대퇴 중앙부(다리 가랑이 밑으로부터 슬개 중심까지의 중간점) 부근을 크게 초과하지 않는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관절에 가까운 부위에서는 고관절의 굴신(屈伸) 쪽이 전후의 피부의 신축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의 하단은 적어도 슬개골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있지만, 장딴지(하퇴 최대 둘레부) 부근을 크게 초과하지 않는 범위가 바람직하다. 족관절에 가까운 부위에서는, 발목 관절의 굴신 쪽이 전후의 피부의 신축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도 3에 있어서,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의 2개의 원호가 교차하는 부분의 사이의 길이 a는 슬두 쪽의 긴 원호 x, 슬와 쪽의 짧은 원호 y, 및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의 상단 및 하단의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이면,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8∼45cm일 수 있다.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의 정상부 T는 본 발명의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 내에서, 착용 시에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의 정상부 T의 높이와, 착용자의 슬두의 정상부의 높이가 대략 같아지는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 외측의 측면부의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2)에 관해서, a, x 및 y의 바람직한 범위 등에 대해서 설명해 왔지만, 내측의 측면부의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7)의 경우에도, a, x 및 y의 바람직한 범위는 외측의 측면부의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2)의 경우와 동일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의 하나의 형태인 스포츠용 타이츠의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4에 있어서, 부호 5 및 6은 고어(gore)부 및 옆부를 의미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의 하나의 형태인 스포츠용 타이츠의 보행을 이미지화한 좌측면도이다. 도 5에 있어서, 부호 7은 내측의 측면부의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를 의미한다.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의 소재는 이 전환부 이외의 부분의 소재와 동일하거나 혹은 다른 신축성이 있는 소재, 및/또는 통기성을 가지는 소재일 수 있다. 여기서, 「전환부 이외의 부분」은 예를 들면, 옷의 앞길(3) 및 뒷길(4)을 들 수 있다. 「전환부 이외의 부분의 소재와 다른 신축성이 있는 소재」는 예를 들면, 무릎부의 신축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신축률이 더욱 큰 소재일 수 있고, 또한, 슬와에서 옷감이 더욱 적게 남게 하는, 신축률이 더욱 작은 소재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통기성」은 통기도를 의미한다. 「통기성을 가지는 소재」는 운동 시에 땀이 차는 것이 느껴지지 않는 등의, 이 업계에서 통기성을 가지는 소재 또는 통기성이 있는 소재로서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소재이면, 특히 문제없이 이용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JIS L1018(프레이질형(Frazil type) 시험기를 이용한 측정법)의 측정법을 따라, 100㎤/㎠·s 이상의 통기도를 가지는 소재일 수 있다. 또한, 여름철에 있어서의 운동 시에 땀이 차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소재는 예를 들면, 300㎤/㎠·s 이상의 통기도를 가지는 소재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에는 2개의 원의 호로 만들어지는 형상뿐만 아니라, 슬두 쪽의 긴 원호 x 및/또는 슬와 쪽의 짧은 원호 y의 일부가 직선으로 치환된 형상, 슬와 쪽의 짧은 원호 y가 직선인 형상 등이 그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별도로 무릎 패드를 구성하기 위해서,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의 정상부 T를 오목하게 한 형상(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도 본 발명의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에 포함된다. 이러한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의 형상을 만곡부라고도 부를 수 있다.
이어서,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의 구체적인 형상을 결정하는 프로세스에 대해서, 도 8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8의 (i)에 있어서, 옷의 앞길(3)의 무릎부에 일정한 초승달 모양의 전환부를 상정하는 초승달 모양의 고어를 형성하는 가상의 선을 긋는다. 이 초승달 모양의 고어의 슬와 쪽의 짧은 원호를 y'로 한다. 이어서, (ii)에 있어서, 상기 초승달 모양의 고어를 오려낸다. 이 초승달 모양의 고어의 슬두 쪽의 긴 원호를 x로 한다. 마지막으로, (iii)에 있어서, 상기 초승달 모양의 고어를, 슬두 쪽의 긴 원호 x의 길이를 유지하면서 변형시킨다. 변형시킨 초승달 모양의 고어의 슬와 쪽의 짧은 원호를 y로 한다.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초승달 모양의 고어를 변형시킬수록 슬와 쪽의 짧은 원호 y의 길이가 짧아져, 치수 차가 커서, 다리를 들어올리기 쉬워지지만, 슬와 쪽의 짧은 원호 y의 길이가 지나치게 짧으면, 선 자세에서 무릎 앞부분에 주름이 생긴다.
[단계적 착용압]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각부」는 하지를 의미하고, 이하에 설명하는 대퇴부, 장딴지부, 발목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대퇴부」는 치골근, 장내전근, 박근(膊筋) 및 대내전근으로 이루어지는 내전근군, 봉공근, 대퇴직근, 중간광근, 외측광근 및 내측광근으로 이루어지는 대퇴사두근(대퇴신근군), 반막양근, 반건양근 및 대퇴이두근으로 이루어지는 대퇴굴근군을 덮는 부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장딴지부」는 하퇴삼두근, 비복근, 전경골근 및 장지신근을 덮는 부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발목부」는 장딴지와 복사뼈의 사이의 둘레 길이가 가장 짧은 부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착용압」은 착용 시의 압력을 의미한다. 이 착용압을,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목제의 다리 모형에, 본 발명의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을 착용시켜, 잘츠만사제의 착용압 측정기 MST-MK IV를 이용해서 측정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다리 모형의 둘레 길이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도 6에 있어서, 부호 b, c 및 f는 각각 발목부, 장딴지부 및 대퇴부를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내는 다리 모형의 둘레 길이
장소 둘레 길이(cm)
b 22.0
c 36.5
f 50.0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계적 착용압」은 각부 내의 신장 방향이 다른 장소에 있어서, 상기 착용압이 다른 것을 의미한다. 상기 단계적 착용압으로서는 팬티 스타킹 분야에서 알려져 있는 여러가지의 단계적 착용압을 적용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장딴지부의 착용압 > 대퇴부의 착용압, 또한, 발목부의 착용압 > 장딴지부의 착용압 > 대퇴부의 착용압일 수 있다.
각부 장딴지 부분의 근육 펌프 작용을 효과적으로 보조하고, 착용자의 각부의 부종이나 혈행장애를 경감시키는 정맥 환류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발목부의 착용압 > 장딴지부의 착용압 > 대퇴부의 착용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딴지부의 착용압 > 대퇴부의 착용압의 경우에는, 장딴지부의 착용압은 바람직하게는 7∼24hPa, 더욱 바람직하게는 14∼17.5hPa이고, 또한 대퇴부의 착용압은 바람직하게는 3∼18hPa, 더욱 바람직하게는 8∼16hPa이다.
상기 발목부의 착용압 > 장딴지부의 착용압 > 대퇴부의 착용압의 경우에는, 발목부의 착용압은 바람직하게는 15hPa∼30hPa, 더욱 바람직하게는 18∼27hPa이다. 장딴지부 및 대퇴부의 착용압은 상기 장딴지부의 착용압 > 대퇴부의 착용압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봉제부]
본 발명에 있어서,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와 옷의 앞길 및 뒷길의 봉제는 특히 제한되지 않고, 여러가지의 봉제 방법을 이용해서 실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4본침 플랫시머(flat seamer)(양면장식 편평봉 재봉틀), 2본침 양면장식 편평봉 재봉틀, 3본침 양면장식 편평봉 재봉틀을 이용해서 실행할 수 있다. 특히, 플랫시머가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전환 부분의 두께를 얇게 하고, 또한 소재의 신장을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플랫시머는 피부에 닿는 재봉실이 입체적이지 않도록, 옷감의 안쪽을 보고 꿰매는 「내부 솔기」로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부 감촉이 더욱 향상한다.
본 발명에서는, 간단한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를 채용해서 입체 설계를 실행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은 전환부의 수가 적고, 그 결과, 종래의 스포츠용 의복의 재료보다도 봉제 부분의 양이 적어, 하기의 이점을 더 얻을 수 있다;
(1) 소재의 신장이 저해되지 않으므로, 운동 시에 대퇴부 등의 둘레 길이가 변화되었을 경우에도, 착용압이 쉽게 변하지 않는다;
(2) 소재의 신장이 저해되지 않으므로, 운동 동작이 쉽게 저해되지 않는다; 또한
(3) 피부 감촉이 부드러워져, 불쾌한 착용감이 없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해 조금도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스포츠용 타이츠의 제조예]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스포츠용 타이츠를 아래와 같이 제조했다.
외측의 측면부의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2) 및 내측의 측면부의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7), 옷의 앞길(3), 뒷길(4), 고어부(5), 및 옆부(6)를 포함하는 스포츠용 타이츠 부품의 형지를, 탄성 경편물의 직물의 결에 맞춰 두고, 좌우의 외측의 측면부의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2)의 부품(2개), 좌우의 내측의 측면부의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7)의 부품(2개), 좌우의 옷의 앞길(3)의 부품(2개), 좌우의 옷의 뒷길(4)의 부품(2개), 고어부(5)의 부품(1개) 및 옆부(6)의 부품(2개)을 옷본에 따라 재단했다. 외측의 측면부의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2) 및 내측의 측면부의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7)의 부품의 형상은 대칭형이며, 슬두 쪽의 긴 원호 x 및 슬와 쪽의 짧은 원호 y의 길이의 차는 3cm이었다. 또한, 상기 탄성 경편물의 둘레 길이 방향의 신장률은 250%이었다.
옷의 앞길(3)의 부품(2개)에 각각 외측의 측면부의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2)의 부품 및 내측의 측면부의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7)의 부품을 플랫시머에 의해 꿰매어 붙인다. 이어서, 이 봉제물(2개)에 옆부(6)의 부품 및 뒷길(4)의 부품을 순서대로 플랫시머에 의해 꿰매어 붙였다. 이어서, 이 2개의 봉제물의 가랑이 아래 부분을 플랫시머에 의해 꿰매어 붙인 후, 고어부(5)를 플랫시머에 의해 꿰매어 붙였다. 허리 부분에 허리 고무 밴드를 2본침 한면장식 편평봉으로 꿰매어 붙였다. 옷자락을 꺾어 넣고 2점 새발뜨기로 처리하여, 스포츠용 타이츠(1)를 제조했다.
스포츠용 타이츠(1)를 도 6에 나타내는 다리 모형에 착용시켜, 착용압을 측정한 결과, 발목부, 장딴지부 및 대퇴부의 착용압은 각각 25hPa, 17.5hPa 및 9hPa이었다.
[실시예 1]
상기 스포츠용 타이츠를 복수의 피험자에게 착용시킨 결과, 스포츠 시에 무릎의 굴곡이 용이하고, 또한 쾌적한 착용감이 얻어졌다는 회답을 얻었다. 또한, 종래의 스포츠용 타이츠와 비교하여, 스포츠 중에 피로가 경감되고, 또한 스포츠 후에 피로 회복이 신속했다는 회답이 얻어졌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효과를 재확인하기 위해서, 모니터 시험을 실행했다.
모니터 시험의 조건은 아래와 같다.
(1) 의복: 제조예 1에 따라서 제조된, 도 1 및 4에 나타내는 스포츠용 타이츠
(2) 참가자: 총 32명(남성 23명, 여성 9명)
(3) 기간: 약 2주간
(4) 동작:
(i) 스포츠(러닝, 스키, 스노보드 등)
(ii) 일상생활(보행, 일 등)
(5) 평가:
(i) 움직이기 용이함
(ii) 피로 경감 효과
또한 상기 스포츠용 타이츠는 남녀별로 S, M 및 L사이즈의 3종류의, 총 6종류를 준비하고, 모니터 시험 참가자가 체격에 맞는 타이츠를 선택했다. 모든 스포츠용 타이츠는 발목부, 장딴지부 및 대퇴부의 착용압이 각각 약 25hPa, 약 17.5hPa 및 약 9hPa로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움직이기 용이함]
모니터 시험의 참가자에게 움직이기 용이함을 이하의 3단계로 평가하게 했다.
Good(G): 미착용 시와 변함없다
Poor(P): 미착용 시보다 움직이기 어렵다
결과를 이하의 표 2에 정리한다.
움직이기 용이함의 모니터 시험 결과
움직이기 용이함 G P
회답자의 비율 95% 5%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니터 시험 참가자의 95%가 상기 스포츠용 타이츠는 그 착용 시의 움직이기 용이함이 미착용 시와 변함없다고 회답했다. 종래의 스포츠용 타이츠가 착용에 의해 움직이기 어려워지는 것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본 발명의 스포츠용 타이츠의 착용 시의 움직이기 용이함의 효과가 모니터 시험에 의해 재확인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놀랍게도 움직이기 용이함이 미착용 시와 변함없다고 회답한 95%의 참가자 중에서 56%의 참가자는 상기 스포츠용 타이츠를 착용함으로써, 오히려 미착용 시보다 움직이기 용이해진다고 회답했다.
[피로 경감효과]
모니터 시험의 참가자에게 피로 경감효과를 이하의 4단계로 평가하게 했다. 또한 비교 대상은 미착용 시이다.
Very Good(VG): 피로 경감효과가 매우 높다
Good(G): 피로 경감효과가 높다
Fair(F): 피로 경감효과를 조금 가진다
Poor(P): 피로 경감효과가 없다
결과를 이하의 표 3에 정리한다. 또한 회답하지 않은 1명은 계산에서 제외했다.
피로 경감효과의 모니터 시험 결과
피로 경감효과 VG G F P
회답자의 비율 23% 71% 6% 0%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23%의 참가자가 상기 스포츠용 타이츠가 미착용 시와 비교해서 피로 경감효과가 매우 높다고 회답하고, 71%의 참가자가 상기 스포츠용 타이츠가 미착용 시와 비교해서 피로 경감효과가 높다고 회답했다. 총 94%의 참가자가 상기 스포츠용 타이츠의 피로 경감효과가 매우 높다고 하거나 또는 높다고 회답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포츠용 타이츠의 피로 경감효과가 모니터 시험에 의해 재확인되었다고 할 수 있다.
[초승달 형상 전환부의 용이한 위치 맞춤]
모니터 시험의 참가자에게 상기 스포츠용 타이츠의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를 소정의 위치, 즉 무릎 위치에 맞추기 쉬운지의 여부를 이하의 5단계로 평가하게 했다.
Very Good(VG): 위치를 맞추기 매우 쉽다
Good(G): 위치를 맞추기 쉽다
Poor(P): 어느 쪽이라고도 할 수 없다
Bad(B): 위치를 맞추기 어렵다
Very Bad(VB): 위치를 맞추기 매우 어렵다
초승달 형상 전환부의 위치 맞추기 용이함의 모니터 시험 결과
위치 맞추기 쉬움 VG G P B VB
회답자의 비율 31% 50% 13% 6% 0%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31%의 참가자가 상기 스포츠용 타이츠가 위치를 맞추기 매우 쉽다고 회답하고, 50%의 참가자가 상기 스포츠용 타이츠가 위치를 맞추기 쉽다고 회답했다. 총 81%의 참가자가 상기 스포츠용 타이츠가 위치를 맞추기 매우 쉽다고 하거나 또는 위치를 맞추기 쉽다고 회답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의 스포츠용 타이츠는 착용 시에 위치를 맞추기 쉬운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위치 맞춤의 용이함은 착용 시에 외부로부터 인식하기 쉬운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를 무릎 부분에 맞추기 쉬운 것에 기인한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은 스포츠 시에 무릎의 굴곡이 용이하고, 슬와에서 옷감이 남는 것이 억제되며, 불쾌한 압박감의 적고, 쾌적한 착용감이 있는 의복이며, 또한, 정맥 환류가 촉진되어, 스포츠 중에 각부의 피로 경감, 스포츠 능력의 향상, 스포츠 후에 피로 경감 및 신속한 피로 회복을 기대할 수 있는 의복이므로, 산업상 유용하다.
1 본 발명의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
2 외측의 측면부의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
3 옷의 앞길
4 옷의 뒷길
5 고어부
6 옆부
7 내측의 측면부의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
a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의 2개의 원호가 교차하는 부분의 사이의 길이
b 발목부
c 장딴지부
f 대퇴부
x 슬두 쪽의 긴 원호
y 슬와 쪽의 짧은 원호
T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의 정상부

Claims (11)

  1.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으로서,
    무릎부의 내측 및 외측의 측면부에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를 가지는 것, 또한
    착용 시에, 각부(脚部)에 단계적 착용압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적 착용압이 장딴지부의 착용압 > 대퇴부의 착용압, 또는 발목부의 착용압 > 장딴지부의 착용압 > 대퇴부의 착용압이 되는 착용압인,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가 슬두 쪽의 긴 원호 x와 슬와 쪽의 짧은 원호 y로 형성되고, 슬두 쪽의 긴 원호 x의 길이와 슬와 쪽의 짧은 원호 y의 길이의 차가 1cm∼8cm인,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가 상기 전환부의 정상부에 오목부를 구비한,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승달 형상의 전환부의 소재가 상기 전환부 이외의 부분의 소재와 동일하거나 혹은 다른 신축성이 있는 소재, 및/또는 통기성을 가지는 소재인,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목부의 착용압이 15hPa∼30hPa의 범위에 있는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딴지부의 착용압이 7∼24hPa이며, 또한 대퇴부의 착용압이 3∼18hPa인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이 있는 소재에 있어서, 둘레 길이 방향의 신장률이 길이 방향의 신장률보다도 큰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이 있는 소재에 있어서, 둘레 길이 방향의 신장률이 150%∼500%의 범위에 있는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봉제부가 안감이 사용된 플랫심(flat seam)인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포츠용 타이츠, 스패츠(spats), 수영복, 타이츠, 팬티 스타킹, 보디수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
KR1020117015811A 2009-01-15 2010-01-14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 KR1011164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07037 2009-01-15
JP2009007037 2009-01-15
PCT/JP2010/050657 WO2010082677A1 (ja) 2009-01-15 2010-01-14 医療用又はスポーツ用衣服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9455A true KR20110089455A (ko) 2011-08-08
KR101116486B1 KR101116486B1 (ko) 2012-03-07

Family

ID=42339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5811A KR101116486B1 (ko) 2009-01-15 2010-01-14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2387893B1 (ko)
JP (1) JP4684370B2 (ko)
KR (1) KR101116486B1 (ko)
CN (1) CN102271544B (ko)
CA (1) CA2749765C (ko)
PL (1) PL2387893T3 (ko)
WO (1) WO201008267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686B1 (ko) * 2012-05-22 2014-09-0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압박 보조기
KR102259774B1 (ko) * 2020-10-28 2021-06-02 (주)라쉬반코리아 테이핑 타이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27336B2 (ja) * 2010-08-20 2014-11-19 株式会社ゴールドウイン レッグウェア
JP5627346B2 (ja) * 2010-08-31 2014-11-19 株式会社ゴールドウイン アームカバー
KR20130092588A (ko) * 2010-09-30 2013-08-20 미도리안젠 가부시키가이샤 바지, 작업 바지 및 작업복
WO2013179440A1 (ja) * 2012-05-31 2013-12-05 株式会社アシックス タイツ
TWI507141B (zh) * 2013-12-02 2015-11-11 Taiwan Textile Res Inst 運動服裝
USD793664S1 (en) 2014-01-16 2017-08-08 Bert Emanuel Garment bottom component
WO2016019111A1 (en) 2014-07-30 2016-02-04 Vf Imagewear, Inc. Pants configured for enhancing worker mobility
CA3212036A1 (en) * 2015-05-22 2016-12-01 Nike Innovate C.V. Running tight with preconfigured compression zones and integrated structure patterns
WO2016191084A1 (en) 2015-05-22 2016-12-01 Nike Innovate C.V. Training tight with preconfigured compression zones and integrated structure patterns
FR3055209B1 (fr) * 2016-08-29 2019-06-28 Millet Innovation Orthese de maintien du genou adaptee a une position assise prolongee
US20200146901A1 (en) * 2017-05-31 2020-05-14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Compression Stocking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2090B2 (ja) 1990-03-24 1998-11-05 グンゼ株式会社 パンティストッキング
JP3016025U (ja) * 1995-01-20 1995-09-26 露子 山林 ズボン
JP3024047U (ja) * 1995-10-24 1996-05-17 株式会社トヤマゴールドウイン スキーズボン
JP3241608B2 (ja) * 1996-10-07 2001-12-25 愈 中澤 下 衣
JP3356637B2 (ja) 1996-10-18 2002-12-16 美津濃株式会社 スポーツ用衣服
JP2000290806A (ja) 1999-04-06 2000-10-17 Wacoal Corp 脚部を有する衣類
JP2001172805A (ja) 1999-12-21 2001-06-26 Toray Ind Inc 下 衣
JP3481577B2 (ja) * 2000-10-03 2003-12-22 株式会社オンワード樫山 ズボン
EP1802208B1 (en) 2004-09-23 2016-08-17 Skins International Trading AG Compression garments and a method of manufacture
JP2008007863A (ja) 2006-06-27 2008-01-17 Toray Ind Inc 水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686B1 (ko) * 2012-05-22 2014-09-0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압박 보조기
KR102259774B1 (ko) * 2020-10-28 2021-06-02 (주)라쉬반코리아 테이핑 타이즈
WO2022092417A1 (ko) * 2020-10-28 2022-05-05 (주)라쉬반코리아 테이핑 타이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49765A1 (en) 2010-07-22
PL2387893T3 (pl) 2014-11-28
EP2387893A1 (en) 2011-11-23
JP4684370B2 (ja) 2011-05-18
EP2387893B1 (en) 2014-06-18
CA2749765C (en) 2014-03-18
WO2010082677A1 (ja) 2010-07-22
CN102271544A (zh) 2011-12-07
JPWO2010082677A1 (ja) 2012-07-12
KR101116486B1 (ko) 2012-03-07
EP2387893A4 (en) 2013-03-13
CN102271544B (zh) 2014-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6486B1 (ko) 의료용 또는 스포츠용 의복
US10863781B2 (en) Articles of apparel providing enhanced body position feedback
JP3740344B2 (ja) 運動用スパッツ
US7934267B2 (en) Articles of apparel providing enhanced body position feedback
US11445774B2 (en) Compressive garment having an outer layer
JP5627336B2 (ja) レッグウェア
JP4368364B2 (ja) 運動用スパッツ
CN106213605B (zh) 一种具有按摩功能的智能压迫无缝运动紧身裤
WO2010050539A1 (ja) 衣類
JP5333974B2 (ja) テーピング機能を有する下半身用衣料
JP6811832B1 (ja) スポーツ用衣料
WO2022265114A1 (ja) ボトム衣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