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2588A - 바지, 작업 바지 및 작업복 - Google Patents

바지, 작업 바지 및 작업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2588A
KR20130092588A KR1020137010275A KR20137010275A KR20130092588A KR 20130092588 A KR20130092588 A KR 20130092588A KR 1020137010275 A KR1020137010275 A KR 1020137010275A KR 20137010275 A KR20137010275 A KR 20137010275A KR 20130092588 A KR20130092588 A KR 20130092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pants
cargo pocket
knee
p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0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시 구라오카
쇼헤이 다마나하
가가리 사코
Original Assignee
미도리안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도리안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도리안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92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25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2Overalls, e.g. bodysuits or bib overal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20Inserts
    • A41D2300/22Elastic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착용자의 허리부에 대응하는 허리부 부위(7)부터 고관절의 외측에 대응하는 고간부 외측 부위(11)를 지나며, 무릎의 근처이며 대퇴부의 내측에 대응하는 부위인 무릎 근방 내측 부위(15)까지 이르는 부분이 소정 폭의 나선형상의 신축 소재(3)로 구성되어 있는 바지(1)이다.

Description

바지, 작업 바지 및 작업복{Trousers, work trousers and overalls}
본 발명은 바지, 작업 바지 및 작업복(오버올; overall)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부가 신축 소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포츠 웨어나 댄스용 피복의 일부에 마련한 신축 소재에 의해 조임력을 발휘하여 운동하기 쉽게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스포츠 웨어는 내선(內旋) 또는 외선(外旋) 운동에 대한 운동성을 향상시킨 것으로, 허리 뒤부터 하의 측면을 지나서 허벅지 아래까지 선회하도록 착용자의 몸을 조이는 신축 소재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댄스용 피복은 복수의 다른 소재를 이어맞춤하여 형성되어 있고, 피복의 소정 위치에 조임력을 발휘하는 옷감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피로 방지나 몸의 균형을 유지하기 쉬워진다.
즉, 상기 종래의 스포츠 웨어나 댄스용 피복은 신축 소재(신축 부재)에 의해 착용자의 몸을 적당히 조임으로써 근육에 부하를 부여하여 운동시의 균형 유지, 피로 방지를 실현하고, 러닝이나 댄스 등의 심한 운동에 대해 효과를 발휘하게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2008-138322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 2007-239160호 공보
그런데, 태양광 패널의 설치 등을 위해 지붕 위 등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는 장시간에 걸친 웅크린 자세의 유지나, 화물을 운반할 때에 직립 자세로부터 웅크린 자세로 이행하는 운동을 하거나 웅크린 자세로부터 직립 자세로 이행하여 지붕 위에서 서서 걷거나 하는 기회가 많다.
즉, 지붕 위에서는 균형을 잃어 지붕으로부터 전락(轉落)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자세를 낮게 하여(웅크려) 넘어지기 어렵게 함과 동시에, 태양광 패널의 설치 위치는 작업자의 발 밑이 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웅크려 작업하는 시간이 길어진다. 또, 지붕 위에서의 태양광 패널의 운반이나 작업 위치의 변경을 위해, 웅크린 자세로부터 직립 자세로 이행하거나 직립 자세로부터 웅크린 자세로 이행하는 동작을 자주 반복하는 경우도 있다.
장시간의 웅크린 자세나 웅크린 운동에 대해 착용자의 몸의 일부를 조이고 있는 상기 종래의 스포츠 웨어나 댄스용 피복에서는, 착용자의 몸의 일부가 필요 이상으로 조여져 쾌적성을 얻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 쾌적성뿐만 아니라 종래의 스포츠 웨어나 댄스용 피복을 착용하고 장시간 웅크린 자세를 계속해서 취하면, 하지의 혈관이 압박되어 저림이 발생하고, 일어섰을 때에 균형을 잃을 우려가 있다. 또한, 웅크린 자세를 취할 때에 바지(종래의 스포츠 웨어나 댄스용 피복)에 저항이 있으면, 원활하게 웅크린 자세를 취할 수 없고, 웅크린 자세를 취하는 도중에 균형을 잃을 우려가 있다.
이에 의해, 지붕으로부터의 전락 재해가 발생할 우려가 높아진다. 즉, 저층 주택에 관련된 노동에 있어서 매우 많은 추락 전락 재해가 발생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2009년에는 추락에 의한 사상 재해(사망 재해 및 휴업 4일 이상)가 모든 산업·전국 합계 114,152건 발생하였고, 그 중에서 17.5%에 해당하는 20,006건이 추락·전락에 의한 것이다(2009년에서의 업종별·사고의 형별 사상 재해 발생 상황, 일본 후생노동성 「노동자 사상병(死傷病) 보고」: 안전 위생 정보 센터에 의함). 추락에 의한 사망 재해는 저층 주택 관련 공사에서는 사업 규모에 비해 매우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건설업에서의 사망 재해의 39.62%가 추락에 의한 것이며, 추락의 17.00%가 건축 공사(저층)에 의한 것이다(건설업 노동 재해 방지 협회 홈 페이지에 의함).
클린 에너지로서 주목받는 태양광 발전의 증가 등으로 저층 주택의 지붕 위 작업의 건수는 늘어나는 경향이 있고, 또한 최근에 디자인 하우스의 보급에 의해 저층 주택의 형상도 다양화되어 안전 대책을 취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사정도 있어, 저층 주택의 낙하 사고의 방지는 한층 더 중요해지고 있다.
또한, 예를 들면 2002년 아이치현 건설 산업 협회에서의 주요 노동 재해 사고」에서는 지붕 위 작업시의 사고예가 많이 보고되어 있다. 작업자가 지붕 위나 사다리 위에서 균형을 잃거나 무리한 자세를 취함으로써 큰 부상이나 사망 사고로 이어진다. 작업 현장에서의 작업자(착용자)가 받는 쾌적성에 따라 사고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작업자가 착용하고 웅크린 자세, 무릎을 세운 자세, 쭈그려 앉은 자세, 책상다리를 한 자세 등을 취해도 쾌적한(쾌적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바지, 작업 바지 및 작업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양상의 발명은, 착용자의 허리부에 대응하는 부위부터 고관절의 외측에 대응하는 부위를 지나며, 무릎의 근처이며 대퇴부의 내측에 대응하는 부위인 무릎 근방 내측 부위까지 이르는 부분이 소정 폭의 나선형상의 신축 소재로 구성되어 있는 바지이다.
제2 양상의 발명은, 제1 양상의 바지에 있어서, 상기 신축 소재의 무릎 근방 내측 부위는 상기 바지의 인심(inseam)의 부위보다 약간 후방까지 이르는 바지이다.
제3 양상의 발명은, 제1 양상 또는 제2 양상의 바지에 있어서, 상기 신축 소재의 폭은 위에서 아래로 향함에 따라 점차 넓어지는 바지이다.
제4 양상의 발명은, 제1 양상 내지 제3 양상 중 어느 하나의 양상의 바지에 있어서, 상기 고관절의 외측에 대응하는 부위에 위치하는 신축 소재의 아래쪽에 카고 포켓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카고 포켓의 개구부는 앞쪽 부위가 뒤쪽 부위보다 아래쪽에 위치하여 경사지게 개구되어 있는 바지이다.
제5 양상의 발명은, 제4 양상의 바지에 있어서, 상기 카고 포켓에는 착용자가 직립 자세를 취하고 있을 때에 대략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연장되는 제1 바닥부와, 착용자가 웅크린 자세를 취하고 있을 때에 대략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연장되는 제2 바닥부가 설치되어 있는 바지이다.
제6 양상의 발명은, 제4 양상 또는 제5 양상의 바지에 있어서, 상기 카고 포켓은 이음용 천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바지의 본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카고 포켓의 개구부의 양단부는 상기 바지의 본체에 직접 설치되어 있는 바지이다.
제7 양상의 발명은, 착용자의 대퇴부의 외측에 대응하는 부위에 설치되고, 개구부의 앞쪽 부위가 뒤쪽 부위보다 아래쪽에 위치하여 경사지게 개구되어 있는 카고 포켓을 갖는 작업 바지이다.
제8 양상의 발명은, 제7 양상의 작업 바지에 있어서, 상기 카고 포켓에는 착용자가 직립 자세를 취하고 있을 때에 대략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연장되는 제1 바닥부와, 착용자가 웅크린 자세를 취하고 있을 때에 대략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연장되는 제2 바닥부가 설치되어 있는 작업 바지이다.
제9 양상의 발명은, 제7 양상 또는 제8 양상의 작업 바지에 있어서, 상기 카고 포켓은 이음용 천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작업 바지의 본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카고 포켓의 개구부의 양단부는 상기 작업 바지의 본체에 직접 설치되어 있는 작업 바지이다.
제10 양상의 발명은, 착용자의 허리부에 대응하는 부위부터 고관절의 외측에 대응하는 부위를 지나며, 무릎의 근처이며 대퇴부의 내측에 대응하는 부위인 무릎 근방 내측 부위까지 이르는 부분이 소정 폭의 나선형상의 신축 소재로 구성되어 있는 작업복(오버올; overall)이다.
제11 양상의 발명은, 제10 양상의 작업복에 있어서, 상기 신축 소재의 무릎 근방 내측 부위는 상기 작업복의 바지부에서의 인심의 부위보다 약간 후방까지 이르는 작업복이다.
제12 양상의 발명은, 제10 양상 또는 제11 양상의 작업복에 있어서, 상기 신축 소재의 폭은 위에서 아래로 향함에 따라 점차 넓어지는 작업복이다.
제13 양상의 발명은, 제10 양상 내지 제12 양상 중 어느 하나의 양상의 작업복에 있어서, 착용자의 목 부들기 부위이며 경사 앞에 위치하는 부위에 대응하는 부위부터, 팔 부들기 부위이며 앞쪽에 위치하는 부위에 대응하는 부위를 지나며, 겨드랑이 아래의 부위이며 앞쪽에 위치하는 부위에 대응하는 부위까지 이르는 부분이 띠형상의 신축 소재로 구성되어 있는 작업복이다.
제14 양상의 발명은, 제10 양상 내지 제13 양상 중 어느 하나의 양상의 작업복에 있어서, 착용자의 목 부들기 부위이며 경사 뒤에 위치하는 부위에 대응하는 부위부터, 팔 부들기 부위이며 뒤쪽에 위치하는 부위에 대응하는 부위를 지나며, 겨드랑이 아래의 부위이며 뒤쪽에 위치하는 부위에 대응하는 부위까지 이르는 부분이 띠형상의 신축 소재로 구성되어 있는 작업복이다.
제15 양상의 발명은, 제10 양상 내지 제14 양상 중 어느 하나의 양상의 작업복에 있어서, 착용자의 허리부에 대응하는 부위부터 횡복부(橫腹部)에 대응하는 부위를 지나 복부의 경사 앞에 대응하는 부위에 이르기까지의 부분이 띠형상의 신축 소재로 구성되어 있는 작업복이다.
제16 양상의 발명은, 제10 양상 내지 제15 양상 중 어느 하나의 양상의 작업복에 있어서, 상기 고관절의 외측에 대응하는 부위에 위치하는 신축 소재의 아래쪽에 카고 포켓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카고 포켓의 개구부는 앞쪽 부위가 뒤쪽 부위보다 아래쪽에 위치하여 경사지게 개구되어 있는 작업복이다.
제17 양상의 발명은, 제16 양상의 작업복에 있어서, 상기 카고 포켓에는 착용자가 직립 자세를 취하고 있을 때에 대략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연장되는 제1 바닥부와, 착용자가 웅크린 자세를 취하고 있을 때에 대략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연장되는 제2 바닥부가 설치되어 있는 작업복이다.
제18 양상의 발명은, 제16 양상 또는 제17 양상의 작업복에 있어서, 상기 카고 포켓은 이음용 천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작업복의 본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카고 포켓의 개구부의 양단부는 상기 작업복의 본체에 직접 설치되어 있는 작업복이다.
제19 양상의 발명은, 착용자의 대퇴부의 외측에 대응하는 부위에 설치되고, 개구부의 앞쪽 부위가 뒤쪽 부위보다 아래쪽에 위치하여 경사지게 개구되어 있는 카고 포켓을 갖는 작업복이다.
제20 양상의 발명은, 제19 양상의 작업복에 있어서, 상기 카고 포켓에는 착용자가 직립 자세를 취하고 있을 때에 대략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연장되는 제1 바닥부와, 착용자가 웅크린 자세를 취하고 있을 때에 대략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연장되는 제2 바닥부가 설치되어 있는 작업복이다.
제21 양상의 발명은, 제19 양상 또는 제20 양상의 작업복에 있어서, 상기 카고 포켓은 이음용 천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작업복의 본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카고 포켓의 개구부의 양단부는 상기 작업복의 본체에 직접 설치되어 있는 작업복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착용하고 웅크린 자세, 무릎을 세운 자세, 쭈그려 앉은 자세, 책상다리를 한 자세 등을 취해도 쾌적한 바지, 작업 바지 및 작업복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바지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바지의 측면도로서, 도 1에서의 II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바지의 배면도로서, 도 2에서의 III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바지의 전개도로서, 바지를 구성하고 있는 신축 소재 등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바지를 입은 착용자가 무릎을 세운 자세를 취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카고 포켓을 설치한 바지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카고 포켓을 설치한 바지의 측면도로서, 도 6에서의 VII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8은 착용자의 기립 자세와 무릎을 세운 자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의 (a)는 도 3에서의 IXA-IXA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b)는 도 3에서의 IXB-IXB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착용자의 우측의 카고 포켓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로서, 개구부에 플랩이 덮여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착용자의 우측의 카고 포켓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로서, 플랩이 벗겨져 개구부가 나타나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의 (a)는 도 11에서의 XIIA-XIIA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b)는 도 11에서의 XIIB-XIIB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c), (d)는 도 11에서의 XIIC-XIIC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카고 포켓을 구성하고 있는 포켓 천 등의 전개도이다.
도 14의 (a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카고 포켓이 부착된 바지를 착용자가 입고 직립 자세를 취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a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카고 포켓이 부착된 바지를 착용자가 입고 웅크린 자세를 취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b1)은 종래의 카고 포켓이 부착된 바지를 착용자가 입고 직립 자세를 취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b2)는 종래의 카고 포켓이 부착된 바지를 착용자가 입고 웅크린 자세를 취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착용자 피부의 표면적의 변화를 도시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착용자가 기립하고 있을 때에 하지나 복부를 앞쪽에서 본 도면으로, 피부의 부위(대퇴삼각을 포함한 대퇴부에서의 앞쪽이면서 내측 부위) A~D, A′~D′를 나타내고, (b)는 피부의 부위 A~D, A′~D′의 전개도이다.
도 16은 착용자 피부의 표면적의 변화를 도시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착용자가 무릎을 세운 자세일 때에 하지나 복부를 앞쪽에서 본 도면으로, 피부의 부위(대퇴삼각을 포함한 대퇴부에서의 앞쪽이면서 내측 부위) A~D, A′~D′를 나타내고, (b)는 피부의 부위 A~D, A′~D′의 전개도이다.
도 17은 기립하고 있는 착용자가 무릎을 세운 자세가 되었을 때의 착용자 피부의 표면적의 변화(도 15에서 도 16으로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착용자 피부의 표면적의 변화를 도시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착용자가 기립하고 있을 때에 하지나 복부를 뒤쪽에서 본 도면으로, 피부의 부위(허리부 및 엉덩이부) E~G, E′~G′를 나타내고, (b)는 피부의 부위 E~G, E′~G′의 전개도이다.
도 19는 착용자 피부의 표면적의 변화를 도시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착용자가 무릎을 세운 자세일 때에 하지나 복부를 뒤쪽에서 본 도면으로, 피부의 부위(허리부 및 엉덩이부) E~G, E′~G′를 나타내고, (b)는 피부의 부위 E~G, E′~G′의 전개도이다.
도 20은 기립하고 있는 착용자가 무릎을 세운 자세가 되었을 때의 착용자 피부의 표면적의 변화(도 18에서 도 19로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도 16의 (a)에 바지를 겹친 도면이다.
도 22는 도 19의 (a)에 바지를 겹친 도면이다.
도 23은 착용자에 의한 종래 바지의 걷어올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작업복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작업복을 앞쪽에서 본 도면이고, (b)는 작업복을 뒤쪽에서 본 도면이다.
도 25는 작업복의 전개도로서, 작업복을 구성하고 있는 신축 소재 등의 평면도이다.
도 26은 변형예에 관한 작업복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작업복을 앞쪽에서 본 도면이고, (b)는 작업복을 뒤쪽에서 본 도면이다.
도 27은 신축 소재를 구비하지 않은 종래 바지의 전개도이다.
바지(1)는 예를 들면 작업에 사용되는 긴 바지(작업 바지)로서, 입은 경우에 착용자의 몸에는 밀착되지 않는 구성, 즉 착용자 피부와의 사이에 약간의 공간이 존재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또, 바지(1)의 착용자가 직립 자세가 되어 있을 때에는 바지(1)는 도 1 내지 도 3, 도 6, 도 7 등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로 되어 있다.
바지(1)는 소정의 부분이 신축 소재(팬츠측 신축 소재; 바지측 신축 소재)(3)로 구성되어 있다. 신축 소재(3)는 예를 들면 니트(편물)로 구성되어 있고, 투웨이 스트레치 타입으로 되어 있다. 즉, 신축 소재(3)는 이 면내(面內) 방향(신축 소재(3)의 두께 방향에 직교하는 임의의 방향)으로 신축성을 구비하고 있다. 또, 신축 소재(3)는 바지(1)의 착용자 몸을 조이는 목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아니다.
신축 소재(3)로서 이 신장률이 170% 정도인 것이 채용되지만, 신축률이 160%~190% 정도인 것을 채용해도 되고, 신축률이 140%~220% 정도인 것을 채용해도 되며, 신축률이 120%~250% 정도인 것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신축 소재(3)로서 신축률이 120%~170% 정도인 것을 채용해도 되고, 신축률이 110%~130% 정도인 것을 채용해도 된다.
또, 신축률은 다음 식으로 나타난다. (신축률=힘을 가했을 때의 신축 소재(3)의 최대 길이÷힘을 가하지 않을 때의 신축 소재(3)의 길이×100%)
여기서, 힘을 가했을 때의 신축 소재(3)의 최대 길이란 신축 소재(3)에 최대의 인장력을 가했을 때의 신축 소재(3)의 길이이다. 신축 소재(3)에 가하는 인장력을 「0」부터 점차 크게 하면 신축 소재(3)는 점차 길어지는데, 최대의 인장력 이상의 힘으로 신축 소재(3)를 잡아당겨도 신축 소재(3)는 거의 늘어나지 않고 신축 소재(3)는 파단하여 버린다. 또한, 최대의 인장력 이하의 힘으로 잡아당기는 한에서 신축 소재(3)는 복원하도록 되어 있는데, 최대의 인장력(탄성 한도에서의 최대 인장력)보다 큰 힘으로 잡아당기면 신축 소재(3)에 영구 왜곡이 남아 버린다.
여기서, 신축률이 170%인 경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소정의 두께와 소정의 폭으로 소정의 길이(LA)(인장력을 가하지 않을 때의 길이가 LA; 예를 들면 100mm)의 신축 소재(3)를 이 길이방향의 양단에 인장력을 가하여 잡아당기는 것으로 한다. 최대 인장력을 가하면, 신축 소재(3)의 길이는 1.7배(1.7LA; 예를 들면 170mm)가 된다.
또한, 신축 소재(3) 이외의 바지(1)의 부위는 신축성을 거의 가지지 않는 직물(포백; 布帛; 5)로 구성되어 있다. 직물(5)의 신축률은 100%~105% 정도이고, 신축 소재(3)의 신장률보다 작게 되어 있다.
또, 신축 소재(3)로서 니트 대신에 신축성이 있는 포백을 채용해도 된다. 이 신축성이 있는 포백은 예를 들면 탄성을 구비한 실을 짜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신축 소재(3)는 허리부 부위(하측 허리부 부위)(7), 둔부 위쪽 부위(9), 고관절 외측 부위(11), 대퇴부 앞쪽 중간 부위(13)를 이 순서로 지나며 무릎 근방 내측 부위(15)까지 이르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대략 1회 감기의 나선형상의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신축 소재(3)는 소정의 폭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허리부 부위(7)는 착용자의 허리부(허리부 중의 하측 부위)의 바로 뒤에 대응하는 부위(착용자의 가랑이 윗부분의 바로 뒤로서 웨이스트 밴드부(17)의 바로 아래 부위; 하측 허리부 부위)이다. 둔부 위쪽 부위(9)는, 착용자의 좌측 또는 우측 둔부의 상부에 대응하는 부위이다. 고관절 외측 부위(11)는, 착용자의 고관절 외측에 대응하는 부위(착용자의 왼쪽 고관절보다 더 왼쪽에 위치하는 착용자의 피부 부분에 대응하는 부위 또는 착용자의 오른쪽 고관절보다 더 오른쪽에 위치하는 착용자의 피부 부분에 대응하는 부위)이다.
대퇴부 앞쪽 중간 부위(13)는, 착용자의 대퇴부의 상하방향에서의 중간부이며 대퇴부의 앞쪽에 대응하는 부위이다. 무릎 근방 내측 부위(15)는, 착용자의 무릎 근처이며 대퇴부의 내측(착용자의 왼쪽 대퇴부에 있어서는 우측, 착용자의 오른쪽 대퇴부에 있어서는 좌측)에 대응하는 부위이다. 또, 허리부 부위(7) 등은 착용자가 바지를 입었을 때에 착용자의 허리부 등의 피부 부분과 대향하는 바지의 부위이다.
바지(1)는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고, 나선형상의 신축 소재(3)는 좌우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바지(1)의 좌측에서는 좌측의 허리부 부위(7L)부터 좌측의 둔부 위쪽 부위(9L), 좌측의 고관절 외측 부위(11L), 좌측의 대퇴부 앞쪽 중간 부위(13L)를 지나 좌측의 무릎 근방 내측 부위(15L)까지 이르는 부분이 소정 폭의 나선형상(위에서 아래로 바지(1)를 보았을 때에 시계방향의 나선형상)의 신축 소재(3L)로 구성되어 있다.
바지(1)의 우측에서는 우측의 허리부 부위(7R)부터 우측의 둔부 위쪽 부위(9R), 우측의 고관절 외측 부위(11R), 우측의 대퇴부 앞쪽 중간 부위(13R)를 지나 우측의 무릎 근방 내측 부위(15R)까지 이르는 부분이 소정 폭의 나선형상(위에서 아래로 바지(1)를 보았을 때에 반시계방향의 나선형상)의 신축 소재(3R)로 구성되어 있다.
착용자의 허리부쪽에서 좌측의 신축 소재(3L)와 우측의 신축 소재(3R)가 서로 이어져 있다(도 3 참조).
이하, 바지(1)의 좌측 또는 우측을 예로 들어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좌측의 신축 소재(3L)의 무릎 근방 내측 부위(15L)는 바지(1)의 인심(19)의 부위보다 약간 후방까지 이르고 있다(도 3 참조).
여기서, 좌측의 신축 소재(3L)의 무릎 근방 내측 부위(15L)가 바지(1)의 인심(19)의 부위보다 약간 후방까지 이르는 것에 대해 도 9를 이용하여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바지(1)의 좌측 통형상부(왼쪽 다리가 들어가는 통형상부)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는데, 바지(1)가 상술한 바와 같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바지(1)의 우측 통형상부도 좌측 통형상부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도 9의 (a)는 도 3에서의 IXA-IXA단면을 도시한 도면으로, 신축 소재(3L)의 최하단(신축 소재(3L)와 좌측 뒤 팬츠지(27L)의 직선상의 접합부의 하단)에서의 바지(1)의 단면도이고, 도 9의 (b)는 도 3에서의 IXB-IXB단면을 도시한 도면으로, 신축 소재(3L)의 최하단보다 약간 위쪽(신축 소재(3L)와 좌측 뒤 팬츠지(27L)의 직선상의 접합부의 상단; 도 3 참조)에서의 바지(1)의 단면도이다.
도 9에서 도시한 참조 부호 LG는 바지(1)의 착용자의 대퇴부를 나타내고, 참조 부호 PA1, PB1은 바지(1)의 사이드 심(33)을 나타내며, 참조 부호 OA, OB는 대퇴부(LG)의 중심과 바지(1)의 통형상부의 중심을 나타내고, 참조 부호 LA1, LB1은 바지(1)의 사이드 심(33)과 인심(19)을 연결하는 직선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9의 (a)에서 도시한 대퇴부(LG)의 중심(OA)은 예를 들면 직선(LA1) 상에 존재하고, 도 9의 (b)에서 도시한 대퇴부(LG)의 중심(OB)은 예를 들면 직선(LB1) 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도 9의 (a)에서 도시한 참조 부호 PA2는 신축 소재(3L)의 최하단을 나타내고(도 3도 함께 참조), 참조 부호 LA2는 대퇴부(LG)의 중심(OA)과 신축 소재(3L)의 최하단(PA2)을 연결하는 직선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직선(LA1)과 직선(LA2)의 교차 각도(θA1)는 15°정도가 되어 있다.
도 9의 (b)에서 도시한 참조 부호 PB2는 신축 소재(3L)의 최하단보다 약간 위쪽을 나타내고(도 3도 함께 참조), 참조 부호 LB2는 대퇴부(LG)의 중심(OB)과 신축 소재(3L)의 최하단보다 약간 위쪽의 부위(PB2)를 연결하는 직선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직선(LB1)과 직선(LB2)의 교차 각도(θB1)는 15°정도가 되어 있다. 또, 참조 부호 PB3는 신축 소재(3L)와 좌측 앞 팬츠지(25L)의 경계이다.
이들에 의해, 신축 소재(3L)의 무릎 근방 내측 부위(15L)가 바지(1)의 인심(19)의 부위보다 약간 후방까지 이르게 된다. 또, 교차 각도(θA1)나 교차 각도(θB1)를 15°보다 넓은 10°~20°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정해도 되고, 더 넓은 5°~30°의 범위에서 적절히 정해도 되며, 한층 더 넓은 5°~45° 또는 5°~60°의 범위에서 적절히 정해도 된다.
우측의 신축 소재(3R(3L))의 폭은 위에서 아래로 향함에 따라 점차 넓어지고 있다. 여기서, 신축 소재(3R(3L))의 폭방향은 신축 소재(3R(3L))의 나선형상의 연신 방향(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데, 신축 소재(3R(3L))의 폭방향을 바지(1)의 상하 방향으로 해도 된다.
도 4에서는 재단되어 꿰매맞춤되기 전의 우측의 신축 소재(3R) 등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신축 소재(3R) 등은 평판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4의 지면(紙面)에 직교하는 방향이 신축 소재(3R) 등의 두께 방향으로 되어 있다. 또, 도 4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신축 소재(3R) 등의 시접 표시는 생략한다.
바지(1)는 신축 소재(3R), 우측 앞 열림지(21R)(좌측 앞 열림지라면 21L), 우측 뒤 겨드랑이 이음지(23R)(좌측 뒤 겨드랑이 이음지라면 23L), 우측 앞 팬츠지(25R)(좌측 앞 팬츠지라면 25L), 우측 뒤 팬츠지(27R)(좌측 뒤 팬츠지라면 27L)를, 예를 들어 봉제함으로써 적절히 접합(예를 들어, 봉합)하여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우측 앞 팬츠지(25R)의 일변부(29R)와 우측 뒤 팬츠지(27R)의 일변부(31R)가 서로 접합되어 바지(1)의 사이드 심(33)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우측 앞 팬츠지(25R)의 다른 일변부(일변부(29R)와 대향하는 일변부)(35R)와 우측 뒤 팬츠지(27R)의 다른 일변부(일변부(31R)와 대향하는 일변부)(37R)의 일부가 서로 접합되어 인심(19) 근방의 접합부(꿰매맞춤부)(39)(도 3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 우측 앞 팬츠지(25R)로 나타낸 이점쇄선(L1)은 바지(1)에서의 인심(19)이 되는 개소이다.
또한, 바지(1)에서는 신축 소재(3)의 다른 일변부(길이방향의 한쪽 단부)(52R)와 우측 뒤 팬츠지(27R)의 다른 일변부(37R)의 다른 일부가 서로 접합되어 인심(19) 근방의 접합부(39)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신축 소재(3R)의 무릎 근방 내측 부위(15R)는 바지(1)의 인심(19)의 부위보다 약간 후방까지 이르는 것이다(도 3, 도 9 참조).
또한, 바지(1)에서는 우측 앞 팬츠지(25R)의 다른 일변부(41R) 및 우측 뒤 팬츠지(27R)의 다른 일변부(43R)와 신축 소재(3)의 일변부(폭방향의 한쪽 변부)(45R)가 서로 접합되고, 우측 앞 열림지(21R)의 일변부(47R) 및 우측 뒤 겨드랑이 이음지(23R)의 일변부(49R)와 신축 소재(3)의 다른 일변부(폭방향의 다른 쪽 변부)(51R)가 서로 접합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접합을 쉽게 하기 위해 신축 소재(3)의 폭방향의 양변부(45R, 51R(45L, 51L))는 대략 직선상으로 되어 있다.
바지(1)에서는 상기 접합 이외의 접합도 이루어지는데, 다른 접합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신축 소재(3), 우측 앞 열림지(21R), 우측 뒤 겨드랑이 이음지(23R), 우측 앞 팬츠지(25R), 우측 뒤 팬츠지(27R)가 접합되어 형성된 바지(1)에서는 신축 소재(3)에는 압축력이 걸리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 인장력도 걸리지 않는다. 즉, 어떤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다.
또한, 바지(1)에서는 앞 열림지(21R, 21L)와 뒤 겨드랑이 이음지(23R, 23L)의 상부에 환상의 웨이스트 밴드부(17)가 봉제 등에 의해 접합되어 있고, 사이드 포켓(55)과 뒷부분 포켓(57)이 설치되어 있다.
또, 바지(1)에서는 정면에서 보아 가랑이 아래의 이음매(6)와 신축 소재(3)의 사이가 소정의 거리(인심(19)에서의 거리)(L2)(예를 들면, 100mm정도) 떨어져 있다(도 1 참조). 이에 의해, 바지(1)의 강도(가랑이 아래의 이음매(6)에서의 인장 강도 등)를 올릴 수 있음과 동시에,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바지(1)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만약 거리(L2)를 「0」이라고 하면, 바지(1)의 가랑이 아래의 이음매(6)에서 탄성 소재(3L)와 탄성 소재(3R)가 서로 접합되게 되고, 가랑이 아래의 이음매(6)에서의 강도가 저하됨과 동시에, 바지(1)의 착용자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속옷의 팬츠를 바지 위에 겹쳐 입고 있는 것과 같이 보여 외관이 나빠진다.
그러나, 가랑이 아래의 이음매(6)와 신축 소재(3)의 사이를 소정의 거리(L2) 만큼 떨어뜨림으로써 상기 강도 부족과 외관의 나쁨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바지(1)에서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에서 거리(치수)(L2)의 값과 거리(치수)(L3)의 값과 거리(치수)(L4)의 값이 서로 대략 같게 되어 있거나 또는 거리(L4)의 값이 거리(L3)보다 약간 크고 거리(L3)의 값이 거리(L2)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바지(1)의 착용자가 웅크린 자세를 취하여 다리의 피부가 늘어났을 때이어도 바지(1)가 적당히 늘어나 착용자가 위화감을 느끼는 일이 없어진다. 즉, 웅크린 자세에서는 착용자의 대퇴부 앞쪽 피부는 무릎 부분에서 가장 늘어나고, 무릎에서 고간으로 향함에 따라 늘어남량이 점차 작아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각 치수(L2, L3, L4)가 됨으로써, 피부가 늘어나는 개소 근처에 신축 소재(3)가 설치되게 되고, 피부의 늘어남에 추종하여 신축 소재(3)가 늘어나 위화감을 느끼는 일이 거의 없는 것이다. 또, 치수(L4)를 치수(L2)나 치수(L3)보다 작게 해도 대퇴부 앞쪽 피부의 늘어남에는 추종하지만, 반면에, 스치거나 하는 부분(무릎부 근방)에 신축 소재(3)가 위치하므로 바람직하지는 않다. 또한, 치수(L2)를 「O」 또는 작은 치수로 하면, 대퇴부 앞쪽 피부가 늘어나는 부위와 신축 소재(3)의 위치가 크게 어긋나 버리므로 위화감을 느낀다.
또, 상기 치수(L3)는 신축 소재(3)의 상하방향의 치수(인심(19)에서의 신축 소재(3)의 폭)이고, 상기 치수(L4)는 무릎의 중심에 대응하는 부위와 신축 소재(3)의 하단의 사이의 치수(인심(19)에서의 우측 앞 팬츠지(25R)나 좌측 앞 팬츠지(25L)의 치수)이다.
바지(1)에 의하면, 착용자가 입었을 때에 웅크린 자세, 무릎을 세운 자세, 쭈그려 앉은 자세, 책상다리를 한 자세 등 무릎을 벌린 자세를 취해도 쾌적(쾌적성을 손상시키지 않음)한 효과를 얻는다. 다시 말하면, 바지(1)는 착용자(작업자)가 지붕 위 등에서 작업을 할 때에 웅크린 자세를 취하거나 다리를 벌리는데, 바지(1)는 착용자의 상기 자세에 대응하여 착용자의 쾌적성을 확보하고 있는 것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인체의 각 관절 중에서 바지(1)에 관계된 주요 관절은 고관절과 무릎관절이다. 바지(1)는, 예를 들면 착용자가 고관절과 무릎관절을 구부리지 않은 상태(기립 상태; 직립 상태)에 맞추어 형상이 정해져 있다.
여기서, 기립 상태에 대해 착용자의 다리가 가장 변형되고, 착용자가 입고 있는 바지(1)가 착용자의 다리로부터 가장 변형력을 받는 것은, 예를 들면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무릎을 세운 자세가 되었을 때이다. 즉, 고간이 열리도록 고관절을 구부리고 무릎관절을 구부리며 또한, 한쪽 무릎(도 5에서는 오른쪽 무릎)을 지면이나 마루에 붙였을 때이다. 이와 같이 무릎을 세운 자세가 되면, 바지(1)에는 도 5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은 인장력이 작용한다. 이러한 인장력이 작용해도 신축 소재(3)가 적당히 연장되므로, 바지(1)를 입고 있는 착용자는 무릎을 세운 자세를 취하기 쉬운 것이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무릎을 세운 자세를 취한 경우, 신축 소재(3)는 화살표의 개소(무릎 근방 내측 부위)에서 가장 크게 신축 소재(3)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데, 다른 개소에서도 연장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신축 소재(3)를 1회 감기의 나선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신축 소재(3)가 다리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360°설치되게 되고,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무릎을 세운 자세가 된 경우, 신축 소재(3)가 적당히 탄성 변형되어 바지(1)가 변형되고, 착용자가 무릎을 세운 자세를 취하기 쉬워진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무릎을 세운 자세를 취한 경우에 대해 도 8을 이용하여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의 (a)는 착용자가 기립 자세(직립 자세)를 취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의 (b)는 착용자가 무릎을 세운 자세를 취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에 대응한 도면이다.
도 8의 (a)에 점선으로 도시한 곡선(L11)은, 착용자의 우측 무릎의 내측 부위부터 착용자의 고간을 지나 착용자의 좌측 무릎의 내측 부위에 이른다(착용자의 허벅지부를 지난다). 또한, 도 8의 (b)에 점선으로 도시한 곡선(L12)은 곡선(L11)과 같은 곳(도 8의 (a)에서 나타낸 착용자와 동일한 착용자의 피부 부위)을 지나는 곡선이다.
도 8의 (a)에서 도시한 상태에서는 곡선(L11)의 길이가 예를 들면 7O.5cm인 데에 대해, 도 8의 (b)에서 도시한 상태에서는 곡선(L12)의 길이가 예를 들면 83.5cm이 되고, 착용자의 자세에 따라 착용자의 허벅지부의 피부의 길이가 18% 정도 증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착용자의 허벅지부의 피부의 길이가 18% 정도 증가해도, 신축 소재(3)가 설치됨으로써 착용자는 무릎을 세운 자세를 취하기 쉽다.
이에 대해, 도 2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앞길(201)과 뒷길(203)을 구비하여 구성된 바지이면, 신축 소재가 설치되지 않았으므로 상술한 18%의 증가에 충분히 대응할 수 없고, 착용자가 무릎을 세운 자세를 취하기 어렵다.
바지(1)에 따르면, 착용자가 무릎을 세운 자세가 되었을 때뿐만 아니라 착용자가 쭈그려 앉은 자세, 책상다리를 한 자세 등이 된 경우에서도 무릎을 세운 자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착용자가 쭈그려 앉은 자세나 책상다리를 한 자세 등의 자세를 취하기 쉬워진다.
또한, 신축 소재(3)는 바지(1)의 다른 부위(직물로 구성된 부위)에 비해 마찰이나 긁힘에 약하고, 마찰이나 긁힘에 의해 니트의 실이 스내깅이나 필링을 일으키기 쉽다. 그러나, 바지(1)에서는 신축 소재(3)가 상술한 개소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착용자가 바지(1)를 입고 작업을 하여 마루나 지면에 앉아도 신축 소재(3)가 마루나 지면이나 벽 등에 접촉하기 어려워진다. 예를 들면, 바지(1)에서는 신축 소재(3)가 둔부의 하측 부위를 피하여 둔부의 상측 부위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착용자가 둔부를 지붕 등에 붙이도록 하여 앉아도 신축 소재(3)가 지붕 등에 접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신축 소재(3)가 닿거나 하는 일이 거의 없어지고(스내깅이나 필링을 일으키는 일이 없어지고), 신축 소재(3)가 손상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스포츠 웨어나 댄스용 피복에서는 피복 전체가 니트 등의 신축 소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지붕 위 등의 작업에 있어서 스내깅이나 필링이 간단히 발생하여 실용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신축 소재(3)가 상술한 바와 같이 설치됨으로써, 신축 소재(3)와 사이드 포켓(55)이 서로 간섭하는 일이 없어지고 사이드 포켓(55)의 설치가 용이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바지(1)에서는 무릎보다 아래에 신축 소재(3)로 구성된 부위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신축 소재(3)의 사용량이 삭감되어 있음과 동시에 벽 등에 접촉하기 쉬운 무릎 아래 부위가 엉켜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바지(1)에 따르면, 신축 소재(3)의 무릎 근방 내측 부위(15)가 바지(1)의 인심(19)의 부위보다 약간 후방까지 이르고 있으므로, 착용자가 입었을 때에 무릎을 세운 자세 등을 한층 더 취하기 쉬워진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착용자가 무릎을 세운 자세 등을 취하였을 때는 바지(1)의 인심(19)쪽에서 신축 소재(3)가 크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무릎 근방 내측 부위(15)가 바지(1)의 인심(19)의 부위에서 멈춰 있으면, 직물에 접합되어 있는 신축 소재(3)가 직물에 방해되어 충분히 연장될 수 없다. 그러나, 바지(1)에서는 신축 소재(3)의 무릎 근방 내측 부위(15)가 바지(1)의 인심(19)의 부위보다 약간 후방까지 이르고 있으므로, 직물의 영향이 적어지고 바지(1)의 인심(19)의 부위에서 신축 소재(3)가 충분히 연장되어 착용자가 무릎을 세운 자세 등을 한층 더 취하기 쉬워진다.
또한, 바지(1)에 의하면, 신축 소재(3)의 폭이 위에서 아래로 향함에 따라 점차 넓어지고 있으므로, 바지(1)를 입은 착용자가 무릎을 세운 자세 등을 한층 더 취하기 쉬워진다.
즉, 착용자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무릎을 세운 자세를 취한 경우, 신축 소재(3)는 무릎 근방 내측 부위(15)의 인심(19)쪽에서 가장 크게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상측으로 향할수록 연장량이 적어진다. 따라서, 신축 소재(3)의 폭이 위에서 아래로 향함에 따라 점차 넓어짐으로써, 바지(1)를 입은 착용자가 무릎을 세운 자세 등을 한층 더 취하기 쉬워진다.
또한, 신축 소재(3)는 상측(허리부측)에서 폭이 작기 때문에, 바지(1)의 둔부에 뒷부분 포켓(57)을 설치해도 신축 소재(3)와 뒷부분 포켓(57)이 서로 간섭하지 않고 뒷부분 포켓(57)의 설치가 용이해진다.
또, 바지(1) 위쪽(허리부, 특히 선골(仙骨)부 및 이 근방)에서는 신축 소재(3)가 수평에 가까운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으므로, 뒷부분 포켓(57)과의 간섭을 한층 더 확실히 피할 수 있다.
또한, 바지(1)에 따르면, 바지(1)가 땀으로 착용자의 다리에 붙어도 신축 소재(3)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착용자가 무릎이나 허리를 용이하게 구부려 다리를 벌릴 수 있다. 즉, 종래 바지에서는 이 바지가 착용자의 다리에 땀으로 붙은 상태에서 착용자가 다리 벌리기 등의 동작을 하고자 하면, 바지와 다리 피부의 사이에 미끄러짐이 거의 발생하지 않고 바지에 의해 착용자의 다리 벌리기 등의 동작이 저해된다. 그러나, 바지(1)에서는 바지(1)가 착용자의 다리 피부에 땀으로 붙은 상태로 착용자가 다리 벌리기 등의 동작을 하였을 때에 바지(1)와 다리 피부의 사이에 미끄러짐은 거의 발생하지 않지만 신축 소재(3)가 적당히 늘어나므로, 바지(1)에 의해 착용자의 다리 벌리기 등의 동작이 저해되는 일은 없다.
또한, 바지(1)에 따르면, 착용자가 기립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무릎 등을 구부려 웅크리는 경우이어도 신축 소재(3)가 적당히 늘어나므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지(종래 바지)의 걷어올림을 행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래서, 짐을 들고 있어 착용자의 양손을 쓸 수 없어도 바지(1)의 착용자는 용이하게 웅크린 자세 등을 취할 수 있다.
여기서, 바지(1)의 착용자(작업자)에서의 피부의 신장 등에 대해 설명한다.
작업자가 쭈그려 앉기, 무릎 세우기 등의 웅크린 자세를 취하면(기립 자세로부터 웅크린 자세가 되면), 신체 치수의 변화가 생긴다. 이 치수 변화는 주로 고관절 및 무릎관절의 굴곡에 의한 피부의 신장·수축, 근육의 수축 및 뼈의 이동에 따라 생긴다. 웅크린 자세는 「굴신(屈伸)」, 「쭈그려 앉기」, 「무릎 세우기」, 「책상다리」 등이 주로 취해지고 있는 자세이다. 작업자는 장시간 웅크린 자세를 유지한 채로 지붕 위에서의 작업을 하는 것이다.
웅크린 자세에서는, 적어도, 하지의 관절의 굴곡 운동이 행해져 있고, 쭈그려 앉는 자세에서는 하지의 관절의 굴곡 운동에 덧붙여 다리의 외전(外轉), 외선 운동을 하고 있다.
웅크린 자세에 특히 관계된 뼈는, 골반, 대퇴골, 슬개골, 경골이다. 이들 웅크린 자세에 관계된 뼈가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가동하는 부분이 관절로 되어 있다. 웅크린 자세에 특히 관계된 관절은 골반과 대퇴골의 연결 부분인 고관절, 대퇴골과 슬개골과 경골의 연결 부분인 무릎관절이다.
웅크린 동작(기립 자세로부터 웅크리는 동작)에서의 관절의 움직임에 대해 설명한다. 하지에서 웅크릴 때 고관절과 무릎관절이 굴곡 운동을 한다. 또한, 쭈그려앉기 등의 다리 벌리기가 수반되는 웅크린 동작에서는 고관절이 더욱 외전 운동과 외선 운동을 한다.
고관절에서의 굴곡은 앞쪽으로 다리를 내밀도록 굽히는 동작이다. 작업자가 직립하고 있을 때(기립 자세로 있을 때)에 무릎을 구부리지 않는 경우, 다리(대퇴부)는 동체(복부나 흉부)에 대해 90°정도의 각도까지 구부릴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직립하고 있을 때(기립 자세로 있을 때)에 무릎을 구부리면, 대퇴부는 동체(복부나 흉부)에 대해 125°정도의 각도까지 구부릴 수 있다.
무릎관절에서의 굴곡은 하퇴부(다리에서의 정강이 이하의 부위)를 대퇴부에 대해 후방으로 보내도록 구부리는 동작으로서, 130°정도의 각도까지 구부릴 수 있다.
고관절에서의 외전은 대퇴부가 몸의 축으로부터 떨어지도록 대퇴부를 여는 동작으로서, 대퇴부를 몸의 축(동체)에 대해 측방으로 45°정도의 각도까지 구부릴 수 있다.
고관절에서의 외선은 대퇴부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대퇴부를 회전(회동)하는 동작으로서, 대퇴부를 외측으로 20°정도의 각도까지 구부릴 수 있다.
작업자의 웅크린 동작은 상술한 고관절과 무릎관절의 굴곡 운동, 고관절의 외전 운동, 고관절의 외선 운동을 조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웅크린 동작(기립 자세로부터 웅크리는 동작)에서의 근육의 움직임에 대해 설명한다. 웅크린 동작에서 일하는 근육은 하지의 근육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고관절을 굴곡할 때에는 대요근, 장골근, 대퇴직근, 봉공근이 수축한다. 무릎관절을 굴곡할 때에는 박근, 봉공근, 대퇴이두근, 반막양근, 반건양근, 비복근, 슬와근이 수축한다. 고관절을 외전할 때에는 중둔근, 소둔근, 봉공근이 작용하고, 고관절을 외선할 때에는 대둔근, 심층외선6근, 봉공근, 대퇴이두근이 작용한다.
이상, 웅크린 동작에서의 운동의 종류, 뼈, 관절, 근육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웅크린 동작에서의 운동에 따라 체표(體表) 치수의 변화가 생긴다. 이는 웅크린 동작에서 뼈의 이동, 근육의 수축, 관절의 구부러짐에 따라 체표(작업자의 피부)의 신전(伸展) 및 위치의 변화가 생기기 때문이다.
여기서, 체표의 변화에 대해 설명한다.
고관절의 굴곡 운동이나 외전 운동이나 외선 운동, 무릎관절의 굴곡 운동에 의해 대퇴부의 근육(대요근, 장골근, 대퇴직근, 봉공근)이 수축하면, 근육의 팽륭(膨隆)이 생기고, 대퇴부의 둘레직경(외주 길이; 대퇴부의 직경)이 커진다. 또, 무릎 뒷부분에서는 힘줄의 내밀어짐이 발생하고, 무릎 윗부분의 둘레직경 치수도 커진다.
고관절을 굴곡하면, 골반과 대퇴골의 이동(회전 운동)이 생긴다. 무릎관절을 굴곡하면, 무릎관절에서의 대퇴골, 슬개골, 경골의 이동(위치 변화)이 생긴다. 고관절을 외전하면, 대퇴골이 몸의 축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고관절을 외선하면, 슬개골이 신체의 측방으로 이동한다.
고관절의 굴곡에 의해 둔부의 피부가 신장한다. 무릎관절의 굴곡에 의해 무릎부 표면이 내밀어져 무릎부 전면의 피부가 신장한다. 고관절의 외전에 의해 가랑이 아랫부분으로부터 무릎 안쪽의 피부가 신장한다. 고관절의 외선에 의해 무릎부 전면부터 가랑이 아랫부분까지의 피부가 신장한다.
상술한 피부의 신장에 대해 무릎을 세운 자세에서의 변화(기립 자세로부터 무릎을 세운 자세로 이행하였을 때의 변화)를 측정하였다(도 15~도 20 참조). 또, 무릎을 세운 자세는 도 5, 도 8, 도 16의 (a), 도 19의 (a), 도 21, 도 22에 도시한 자세이다. 무릎을 세운 자세에서는, 고관절이 다리를 벌리고 있음과 더불어 한 쪽 무릎이 지붕에 붙어 있다. 도 16, 도 19, 도 21, 도 22에서는 작업자는 좌측 무릎을 지붕에 붙이고 있다.
도 15의 (a)는 착용자가 기립하고 있을 때에 대퇴부나 복부를 앞쪽에서 본 도면이다. 또한, 도 15의 (a)는 피부의 부위(대퇴삼각을 포함한 대퇴부에서의 앞쪽이면서 내측의 부위) A~D, A′~D′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의 (b)는 피부의 부위 A~D, A′~D′의 전개도이다.
도 16의 (a)는 착용자가 무릎을 세운 자세를 취하고 있을 때에 대퇴부나 복부를 앞쪽에서 본 도면이다. 또한, 도 16의 (a)는 피부의 부위(대퇴삼각을 포함한 대퇴부에서의 앞쪽이면서 내측의 부위) A~D, A′~D′를 나타내고 있다. 도 16의 (b)는 피부의 부위 A~D, A′~D′의 전개도이다.
도 18의 (a)는 착용자가 기립하고 있을 때에 하지나 복부를 뒤쪽에서 본 도면이다. 또한, 도 18의 (a)는 피부의 부위(허리부 및 엉덩이부)E~G, E′~G′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의 (b)는 피부의 부위 E~G, E′~G′의 전개도이다.
도 19의 (a)는 착용자가 무릎을 세운 자세일 때에 하지나 복부를 뒤쪽에서 본 도면이다. 또한, 도 19의 (a)는 피부의 부위(허리부 및 엉덩이부) E~G, E′~G′를 나타내고 있다. 도 19의 (b)는 피부의 부위 E~G, E′~G′의 전개도이다.
착용자의 앞쪽 부위에서의 피부의 신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5에서 도시된 부위(기립 자세에서의 우측 부위) A와 도 16에서 도시된 부위(무릎을 세운 자세에서의 우측 부위) A를 비교하면, 기립 자세로부터 무릎을 세운 자세로 이행함으로써 면적이 약 200%(정확하게는 196.7%)가 된다. 또한, 기립 자세로부터 무릎을 세운 자세로 이행함으로써 부위 A의 길이(도 16의 (b)에서는 좌우방향의 치수)가 약 2배가 된다.
도 15에서 도시된 부위(기립 자세에서의 우측 부위) B와 도 16에서 도시된 부위(무릎을 세운 자세에서의 우측 부위) B를 비교하면, 기립 자세로부터 무릎을 세운 자세로 이행함으로써 면적이 약 80%(정확하게는 80.1%)가 된다.
도 15에서 도시된 부위(기립 자세에서의 우측 부위) C와 도 16에서 도시된 부위(무릎을 세운 자세에서의 우측 부위) C를 비교하면, 기립 자세로부터 무릎을 세운 자세로 이행해도 면적의 변화는 거의 없다(정확하게는 104.3%가 된다).
도 15에서 도시된 부위(기립 자세에서의 우측 부위) D와 도 16에서 도시된 부위(무릎을 세운 자세에서의 우측 부위) D를 비교하면, 기립 자세로부터 무릎을 세운 자세로 이행함으로써 면적이 약 140%(정확하게는 136.7%)가 된다.
도 15에서 도시된 부위(기립 자세에서의 좌측 부위) A′와 도 16에서 도시된 부위(무릎을 세운 자세에서의 좌측 부위) A′를 비교하면, 기립 자세로부터 무릎을 세운 자세로 이행함으로써 면적이 약 160%(정확하게는 162.7%)가 되어 있다. 또한, 기립 자세로부터 무릎을 세운 자세로 이행함으로써 길이(도 16의 (b)에서는 좌우방향의 치수)가 약 1.7~1.8배 정도가 되어 있다.
도 15에서 도시된 부위(기립 자세에서의 좌측 부위) B′와 도 16에서 도시된 부위(무릎을 세운 자세에서의 좌측 부위) B′를 비교하면, 기립 자세로부터 무릎을 세운 자세로 이행함으로써 면적이 약 90%(정확하게는 85.9%)가 되어 있다.
도 15에서 도시된 부위(기립 자세에서의 좌측 부위) C′와 도 16에서 도시된 부위(무릎을 세운 자세에서의 좌측 부위) C′를 비교하면, 기립 자세로부터 무릎을 세운 자세로 이행함으로써 면적이 약 110%(정확하게는 114.8%)가 되어 있다.
도 15에서 도시된 부위(기립 자세에서의 좌측 부위) D′와 도 16에서 도시된 부위(무릎을 세운 자세에서의 좌측 부위) D′를 비교하면, 기립 자세로부터 무릎을 세운 자세로 이행함으로써 면적이 약 140%(정확하게는 142.9%)가 되어 있다.
다음에, 착용자의 뒤쪽 부위에서의 피부의 신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8에서 도시된 부위(기립 자세에서의 좌측 부위) E와 도 19에서 도시된 부위(무릎을 세운 자세에서의 좌측 부위) E를 비교하면, 기립 자세로부터 무릎을 세운 자세로 이행함으로써 면적이 약 130%(정확하게는 134.5%)가 된다.
도 18에서 도시된 부위(기립 자세에서의 좌측 부위) F와 도 19에서 도시된 부위(무릎을 세운 자세에서의 좌측 부위) F를 비교하면, 기립 자세로부터 무릎을 세운 자세로 이행함으로써 면적이 약 120%(정확하게는 120.3%)가 된다.
도 18에서 도시된 부위(기립 자세에서의 좌측 부위) G와 도 19에서 도시된 부위(무릎을 세운 자세에서의 좌측 부위) G를 비교하면, 기립 자세로부터 무릎을 세운 자세로 이행함으로써 면적이 약 220%(정확하게는 222.5%)가 된다. 또한, 기립 자세로부터 무릎을 세운 자세로 이행함으로써, 부위 G의 길이(도 19의 (b)에서는 상하방향의 치수)가 약 2.2배가 되어 있다. 또, 도 18의 (b)에서 도시된 부위 G의 마름모 형상의 홈과 도 19의 (b)에서 도시된 부위 G의 「V」자형의 노치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립 자세로부터 무릎을 세운 자세로 이행함으로써 부위 G의 형태(입체적인 형태)도 변화한다.
또, 도 18의 (b)와 도 19의 (b)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착용자의 뒤쪽에서는 피부의 신장이 좌우로 서로 대략 같게 되어 있다.
작업자가 웅크린 자세, 특히 다리 벌리기를 수반하는 자세를 취하였을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착용자의 피부가 신전(신축)하고 있다. 따라서, 바지(1)의 착용자가 웅크린 자세를 취하였을 때에 쾌적성을 느낄 수 있으려면, 상술한 피부의 신축에 대응하여 바지(1)에 신축 소재(신축 부재)(3)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바지(1)에 따르면, 앞길의 넓적다리 부분(대퇴부)에 신축 소재(3)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도 15나 도 16에서 도시된 부위 A, A′에서의 피부의 신장에 추종하여 신축 소재(3)가 늘어나서, 넓적다리 부분의 저항감이나 답답한 느낌을 방지하여 쾌적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바지(1)에 따르면, 뒷길에서도 허리 뒤에 설치된 신축 소재(3)가 신축하여 도 18이나 도 19에서 도시된 부위 G, G′에서의 피부의 신장에 추종하여 신축 소재(3)가 늘어나고, 허리 뒤의 저항감이나 답답한 느낌을 방지하여 쾌적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런데, 도 21, 도 22에서는 피부의 부위 A, A′나 피부의 부위 G, G′가 신축 소재(3)와 겹치지 않는다. 그러나, 부위 A, A′나 부위 G, G′의 신축에 따라 신축 소재(3)가 신축하므로, 상술한 저항감이나 답답한 느낌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지(1)의 착용자는 속옷을 입고 있다. 이에 의해, 부위 A, A′나 부위 G, G′에서는 착용자의 피부와 바지(1)가 직접 접촉하는 일은 없다. 그리고, 착용자가 땀을 흘려도 착용자의 피부(부위 A, A′나 부위 G, G′)에 바지(1)가 붙는 일은 없다. 따라서, 부위 A, A′나 부위 G, G′가 신축 소재(3)와 겹치지 않아도 웅크린 자세를 취하였을 때에 부위 A, A′나 부위 G, G′에 대응한 바지(1)의 부위(부위 A, A′나 부위 G, G′에 겹쳐 있는 바지(1)의 포백으로 구성된 부위) 대신에 신축 소재(3)가 늘어나고, 상술한 저항감이나 답답한 느낌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바지(1)의 착용자가 장시간 웅크린 자세를 계속해도 신축 소재(3)가 적당히 늘어나므로 하지의 혈관이 압박되는 일은 거의 없고, 일어섰을 때에 균형을 잃을 우려도 없다. 또한, 바지(1)의 착용자가 웅크린 자세를 취할 때, 신축 소재(3)가 적당히 늘어나므로 저항감이 발생하지 않아 원활하게 웅크린 자세를 취할 수 있고, 웅크린 자세를 취하는 도중에 균형을 잃을 우려도 없다. 이에 의해, 지붕으로부터의 전락 재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바지(1)에 따르면, 바지(1)의 착용자가 사다리를 올라갈 때에 다리를 구부려 위쪽으로 들어올릴 때에, 신축 소재(3)가 적당히 늘어나므로 다리의 굴곡 운동에 따른 저항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지붕으로부터의 전락 재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바지(1)에 따르면, 바지(1)의 착용자가 웅크린 자세를 취하였을 때에 신축 소재(3)가 적당히 늘어나므로, 벨트에 의해 복부가 압박되고 이 압박에 의해 등뼈가 압박되는 일이 없고, 복부나 등뼈의 압박에 의한 돌발성 요통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그런데, 바지(1)에 있어서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 소재(3)의 아래쪽에 카고 포켓(59)을 설치해도 된다. 또한, 도 6에서는 카고 포켓(59)이 바지로부터 떨어져 그려져 있는데, 실제로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카고 포켓(59)은 바지에 들러붙어 있다. 또한, 도 6은 도 1에 대응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2에 대응한 도면이다.
카고 포켓(59)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카고 포켓(59)은 도 7, 도 10,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지(1)의 착용자의 고관절 외측에 대응하는 부위(고관절 외측 부위)(11)에 위치하는 신축 소재(3)(신축 소재(3)의 부위)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다.
카고 포켓(59)의 개구부(301)는, 바지(1)의 착용자가 직립 자세를 취하고 있을 때, 앞쪽 부위(개구부(301)의 앞쪽 부위)(303)가 뒤쪽 부위(개구부(301)의 뒤쪽 부위)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고, 이에 의해 수평면에 대해 경사지게 되어 개구되어 있다.
또한, 카고 포켓(59)의 개구부(301)는 측면에서 보아 예를 들면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바지(1)의 착용자의 고관절 외측 부위(11)에 위치하는 신축 소재(3)의 아래 테두리와 대략 평행하게 되어 있다(도 11 참조).
바지(1)의 착용자가 직립한 자세를 취하고 있을 때(착용자의 대퇴부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을 때), 카고 포켓(59)의 개구부(301)는 상하방향으로는 착용자의 대퇴부의 중간부에 위치하고, 가로방향으로는 착용자의 대퇴부의 외측의 측방 부위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카고 포켓(59)의 개구부(301)는 카고 포켓(59)의 다른 부위보다 대개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카고 포켓(59)의 개구부(301)의 상단(309)이 카고 포켓(59)의 최상단에 위치하고, 카고 포켓(59)의 개구부 상단(309) 이외의 부위(개구부(301)의 부위)는 카고 포켓(59)의 상측에 위치하며, 카고 포켓(59)의 수납부(307)는 개구부(301)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추가로 설명하면, 바지(1)의 착용자가 직립한 자세를 취하고 있을 때, 카고 포켓(59)의 개구부(301)의 상단(309)은 고관절 외측 부위(11)보다 약간 아래쪽으이며 고관절 외측 부위(11)보다 약간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바지(1)의 착용자가 직립한 자세로 있을 때, 카고 포켓(59)의 개구부(301)의 하단(311)은 개구부(301)의 상단(309)이나 고관절 외측 부위(11)보다 아래쪽으이며 고관절 외측 부위(11)보다 약간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바지(1)의 착용자가 웅크리고 있을 때(웅크린 자세가 되어 있을 때) 등, 착용자의 대퇴부가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을 때, 도 14의 (a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카고 포켓(59)의 개구부(301)는 앞쪽 부위(303)가 뒤쪽 부위(305)보다 약간 위쪽에 위치하여 경사지게 개구되게 되어 있다. 추가로 설명하면, 바지(1)의 착용자가 직립 자세일 때의 수평면과 카고 포켓(59)의 개구부(301)의 교차 각도(θH1)(도 14의 (a1) 참조)가 바지(1)의 착용자가 웅크리고 있을 때의 수평면과 카고 포켓(59)의 개구부(301)의 교차 각도(θH2)(도 14의 (a2) 참조)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 바지(1)의 착용자가 웅크리고 있을 때 등에 카고 포켓(59)의 개구부(301)가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되고, 카고 포켓(59)의 개구부(301)의 앞쪽 부위(303)가 뒤쪽 부위(305)보다 약간 아래쪽에 위치하여 경사지게 개구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카고 포켓(59)에는 제1 바닥부(313)와 제2 바닥부(315)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바닥부(313)는, 바지(1)의 착용자가 직립 자세를 취하고 있을 때에 대략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연장되게 되어 있다(도 14의 (a1) 등 참조). 제2 바닥부(315)는, 바지(1)의 착용자가 웅크리는 등의 자세를 취하고 있을 때에 대략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연장되게 되어 있다(도 14의 (a2) 등 참조). 또, 제1 바닥부(313)는 제2 바닥부(315)보다 앞쪽에 위치하고, 제1 바닥부(313)와 제2 바닥부(315)는 서로 이어져 있음과 동시에 소정의 교차 각도로 교차하고 있다.
또한, 카고 포켓(59)은 이음용 천부재(317)(도 12의 (b), 도 13 참조)를 개재하여 바지(1)의 본체(도 1~도 3에서 도시된 카고 포켓(59)이 설치되지 않은 바지)(319)에 설치되어 있다. 단, 카고 포켓(59)의 개구부(301)의 양단부(직선형상의 개구부(301)의 연장 방향의 양단부; 상단(309)과 하단(311))는 이음용 천부재를 개재하지 않고 바지 본체(319)에 직접 설치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카고 포켓(59)의 개구부(301)는 카고 포켓(59)의 상측에서 카고 포켓(59)의 주변부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301)는 바지 본체(319)에 접합되지 않는다. 또한, 카고 포켓(59)의 개구부(301) 이외의 부위(카고 포켓(59)의 주변부의 다른 부위)는 바지 본체(319)에 접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카고 포켓(59)의 수납부(30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카고 포켓(59)의 개구부(301) 이외의 부위의 적어도 일부는 이음용 천부재(317)를 개재하여 바지의 본체(319)에 설치되어 있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카고 포켓(59)의 개구부(301)의 양단(309, 311)에 인접하고 있는 부위(카고 포켓(59)의 주변부의 다른 부위 중에서 개구부(301)의 양단(309, 311)에 인접하고 있는 소정 길이의 부위; 도 11에 도시된 부위(333, 343))는 바지 본체(319)에 직접 접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카고 포켓(59)의 개구부(301)의 양단(309, 311)이 바지 본체(319)에 직접 설치되어 있게 된다.
카고 포켓(59)에 대해 예를 들어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카고 포켓(59)은 도 11이나 도 13 등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지 본체(319)의 외측에서 바지 본체(319)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포백으로 구성된 포켓 천(321)과 포백으로 구성된 이음용 천부재(317)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포켓 천(321)은 예를 들면 5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5각 형상의 포켓 천(321)의 하나의 각(제1각)(323)은 예각(90°보다 약간 작은 각도)으로 되어 있다. 또, 제1각(323)이 90° 또는 약간 큰 둔각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5각 형상의 포켓 천(321)에서의 다른 4개의 각(제2각 내지 제5각)은 둔각으로 되어 있다. 제1각(323) 옆에 제2각(325)이 위치하고, 제2각(325) 옆에 제3각(327)이 위치하며, 제3각(327) 옆에 제4각(329)이 위치하고, 제4각(329) 옆에 제5각(331)이 위치하며, 제5각(331) 옆에 제1각(323)이 위치하고 있다. 이음용 천부재(317)는 가늘고 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포켓 천(321)은, 이 두께방향이 바지 본체(319)의 포백(5)의 두께방향과 일치하도록 하여 바지 본체(319)에 설치되어 있다.
바지(1)의 착용자가 직립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포켓 천(321)의 제1각(323)이 카고 포켓(59)의 상단으로 되어 있다. 또한, 포켓 천(321)의 제2각(325)은 전후방향으로 제1각(323)보다 앞쪽에 위치하고, 상하방향으로 제1각(323)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바지(1)의 착용자가 직립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포켓 천(321)의 제3각(327)은 전후방향으로 제1각(323)보다 앞쪽으이며 제2각(325)보다 약간 뒤쪽에 위치하고, 상하방향으로 제2각(325)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바지(1)의 착용자가 직립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포켓 천(321)의 제4각(329)은 전후방향으로 제1각(323)보다 약간 뒤쪽에 위치하고, 상하방향으로 제3각(327)과 대략 같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바지(1)의 착용자가 직립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포켓 천(321)의 제5각(331)은 전후방향으로 제4각(329)보다 약간 뒤쪽에 위치하고, 상하방향으로 제1각(323)보다 하측이고 제2각(325)보다 약간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포켓 천(321)에서의 제1각(323)과 제2각(325) 사이의 부위(포켓 천(321)의 외주의 일부)는 바지 본체(319)에 접합되지 않고, 제1각(323)과 제2각(325) 사이의 직선 부분이 카고 포켓(59)의 개구부(301)가 되어 있다.
또한, 포켓 천(321)에서의 제2각(325)과 제3각(327) 사이의 부위(포켓 천(321)의 외주의 일부)(333)는 이음용 천부재(317)를 개재하지 않고 바지 본체(319)에 직접 접합되어 있으며(도 11, 도 12의 (a) 참조), 포켓 천(321)에서의 제3각(327)과 제4각(329) 사이의 부위(포켓 천(321)의 외주의 일부)(335), 포켓 천(321)에서의 제4각(329)과 제5각(331) 사이의 부위(포켓 천(321)의 외주의 일부)(337) 및 포켓 천(321)에서의 제5각(331)과 제1각(323) 사이의 부위(포켓 천(321)의 외주의 일부)(339)는 이음용 천부재(317)를 개재하여 바지 본체(319)에 접합되어 있다(도 11, 도 12의 (b) 참조).
따라서, 이음용 천부재(317)를 개재하여 바지 본체(319)에 설치되어 있는 포켓 천(321)의 주변부는 바지 본체(319)로부터 이음용 천부재(317)의 폭만큼 떨어질 수 있게 되어 있고(도 12의 (b) 참조), 카고 포켓(59)의 수납부(307)가 두꺼워지고 있다(포켓 천(321)이 바지 본체(319)나 착용자의 피부로부터 떨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
포켓 천(321)의 바지 본체(319)에의 접합에 대해 더 설명한다.
포켓 천(321)에서의 제3각(327)과 제4각(329) 사이의 부위(제3각 제4각 사이 부위)(33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음용 천부재(317)를 개재하여 바지 본체(319)에 접합되어 있는 것인데, 보다 자세하게는 직선형상의 제3각 제4각 사이 부위(335) 중의 제3각(327)에 위치하는 얼마 안 되는 길이의 부위(341)에서는 포켓 천(321)이 바지 본체(319)에 직접 설치되어 있다(도 12의 (c) 참조). 즉, 이음용 천부재(317)는 존재하지만 포켓 천(321)과 이음용 천부재(317)와 바지 본체(319)가 서로 꿰매 붙여져 있고, 이음용 천부재(317)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포켓 천(321)이 바지 본체(319)나 착용자의 피부로부터 떨어질 수 없게 되어 있다. 또, 도 12의 (d)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위(341)에서 이음용 천부재(317)를 개재하지 않고 포켓 천(321)이 바지 본체(319)에 직접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포켓 천(321)에서의 제5각(331)과 제1각(323) 사이의 부위(제5각 제1각 사이 부위)(339)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음용 천부재(317)를 개재하여 바지 본체(319)에 접합되어 있는 것인데, 보다 자세하게는 직선형상의 제5각 제1각 사이 부위(339) 중의 제1각(323)에 위치하는 얼마 안 되는 길이의 부위(343)에서는 부위(341)와 마찬가지로 하여 포켓 천(321)이 바지 본체(319)에 직접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카고 포켓(59)의 개구부(301)의 양단부(309, 311)가 바지(1)의 본체(319)에 직접 설치되어 있게 된다. 또한, 제3각 제4각 사이 부위(335)가 상술한 제1 바닥부(313)가 되고, 제4각(329)과 제5각(331) 사이의 부위(제4각 제5각 사이 부위)(337)가 상술한 제2 바닥부(315)가 된다. 또, 도 12에서 도시된 참조 부호 320은 솔기의 실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카고 포켓(59)의 상부에는 플랩(덮개)(345)이 설치되어 있다. 플랩(345)은 카고 포켓(59)의 개구부(301)에 씌워져 카고 포켓(59)의 개구부(301)를 덮게 되어 있다(도 10 등 참조).
플랩(345)은 5각 형상의 겉 천(겉감)(347)과 안감(349)을 꿰매 맞추어 5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5각형의 각 변 중의 가장 긴 변이 신축 소재(3R)와 우측 앞 팬츠지(25R)의 경계(신축 소재 우측 앞 팬츠지 경계부) 및 신축 소재(3R)와 우측 뒤 팬츠지(27R)의 경계(신축 소재 우측 뒤 팬츠지 경계부)에 위치하고 있다(도 7, 도 10, 도 11 등 참조). 그리고, 플랩(345)이 다 벗겨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플랩(345)이 카고 포켓(59)의 개구부(301)에 씌워져 개구부(301)에 뚜껑을 덮고(도 10 참조), 플랩(345)이 다 벗겨졌을 때, 플랩(345)이 카고 포켓(59)의 개구부(301)가 나타나게 되어 있다(도 11 참조).
또한, 플랩(345)에는 면 파스너(fastener) 구성 부재(351)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플랩(345)이 카고 포켓(59)의 개구부(301)에 씌워져 면 파스너 구성 부재(351)가 포켓 천(321)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면 파스너 구성 부재(353)에 걸어맞춤함으로써, 플랩(345)이 다 벗겨지는 것이 방지되고 카고 포켓(59)을 플랩(345)으로 뚜껑을 덮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카고 포켓(59)의 개구부(301)는 신축 소재(3)의 일변부(폭방향의 한쪽 변부)(45R)(신축 소재 우측 앞 팬츠지 경계부, 신축 소재 우측 뒤 팬츠지 경계부)로부터 약간 떨어져 한쪽 변부(45R)와 평행하게 되어 있다(도 11 참조). 이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바지(1)의 착용자의 고관절 외측 부위(11)에 위치하는 신축 소재(3)의 아래 테두리와 대략 평행하게 되어 있다.
카고 포켓(59)을 구비한 바지(1)에 따르면, 카고 포켓(59)의 개구부(301)에서의 앞쪽 부위(303)가 뒤쪽 부위(305)보다 아래쪽에 위치하여 개구부(301)가 경사지게 개구되어 있으므로, 바지(1)의 착용자가 웅크렸을 때 등에 카고 포켓(59)의 개구부(301)로부터 물건(카고 포켓(59) 내에 수납되어 있는 볼트 등)이 낙하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즉, 종래 바지에서는, 도 14의 (b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직립 자세를 취하고 있으면 카고 포켓의 개구부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는 물건이 카고 포켓으로부터 낙하하는 일은 없다. 한편, 종래 바지에서는, 도 14의 (b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무릎을 세운 자세를 취하면 카고 포켓의 개구부가 대략 연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카고 포켓의 개구부로부터 물건이 낙하할 우려가 있다. 또, 구부렸다 펴기나 쭈그려 앉기 등 무릎을 깊게 접은 자세에서는 카고 포켓의 개구부가 아래쪽을 향하고 카고 포켓의 내용물이 낙하하여 버린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카고 포켓(59)이 부착된 바지(1)에서는, 도 14의 (a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직립 자세를 취함으로써 카고 포켓(59)의 개구부(301)가 경사지게 되어 있어도 물건이 카고 포켓(59)으로부터 낙하하는 일은 없다. 또한, 도 14의 (a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웅크린 자세를 취해도 카고 포켓(59)의 개구부(301)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므로 물건이 카고 포켓(59)으로부터 낙하하는 일은 없다.
또한, 카고 포켓(59)이 부착된 바지(1)에 따르면, 착용자가 웅크린 자세를 취하였을 때에도 카고 포켓(59)의 개구부(301)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착용자가 카고 포켓(59) 안에 손을 넣기 쉽게 되어 있고 카고 포켓(59)으로부터 물건을 꺼내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카고 포켓(59)이 부착된 바지(1)에 따르면, 카고 포켓(59)이 개구부의 상단(309)과 제1 바닥부(313)와 제2 바닥부(315)를 구비함으로써, 착용자가 직립 자세를 취하고 있을 때는 제1 바닥부(313)에 물건이 모이고, 착용자가 무릎을 세운 자세를 하고 있을 때는 제2 바닥부(315)에 물건이 모이며, 쭈그려 앉기, 구부렸다 펴기 등 깊게 무릎을 접은 자세이어도 제2 바닥부(315)와 개구부(301)의 상단(309)의 교점(제5각(331))에 물건이 모이기 때문에, 카고 포켓(59) 안에 수납한 물건을 작업자의 자세와 상관없이 카고 포켓(59)으로부터 꺼내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카고 포켓(59)이 부착된 바지(1)에 따르면, 카고 포켓(59)이 이음용 천부재(317)를 개재하여 바지의 본체(319)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카고 포켓(59)의 내부 공간이 넓어지고 카고 포켓(59)에의 물건의 출입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또, 카고 포켓(59)의 개구부(301)의 양단부(309, 311)가 바지의 본체(319)에 직접 설치되어 있으므로, 개구부(301)의 개구가 수납부(307)보다 좁게 되어, 카고 포켓(59) 안에 수납한 물건이 개구부(301)로부터 밖으로 나오기 어렵게 되어 있으며, 카고 포켓(59) 안에 수납한 물건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설명에서는 카고 포켓(59)을 신축 소재(3)가 설치되어 있는 바지(1)에 설치하고 있지만, 신축 소재(3)를 설치하지 않은 바지에 카고 포켓(59)을 설치해도 되고, 또 신축 소재(3)를 이용하지 않으면서 우측 앞 팬츠지(25R)와 우측 뒤 팬츠지(27R)의 내측(좌측)의 접합부가 인심(19)과 일치하고, 좌측 앞 팬츠지(25L)와 좌측 뒤 팬츠지(27L)의 내측(우측)의 접합부가 인심(19)과 일치하는 바지(보통 바지, 특히 보통 작업 바지)에 카고 포켓(59)을 설치해도 된다.
즉, 보통 작업 바지에 카고 포켓(착용자의 대퇴부 외측에 대응하는 부위에 설치되고, 작업 바지의 착용자가 직립 자세를 취하고 있을 때, 개구부(301)의 앞쪽 부위(303)가 뒤쪽 부위(305)보다 아래쪽에 위치하여 경사지게 개구되어 있는 카고 포켓)(59)을 설치해도 된다.
그런데, 상기 설명은 바지(하의)(1)에 대한 것이지만, 작업복(61)에 신축 소재(3)를 설치해도 된다. 즉, 상의부(윗옷부)(65)와 바지부(6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작업복(61)(도 24, 도 25 등 참조)에 있어서, 바지부(63)를 바지(1)와 마찬가지로 구성하고, 작업복 본체(도 24, 도 26에서 도시된 작업복)에 카고 포켓(59)을 설치하는 등 적당히 변경해도 된다. 도 25는 작업복(61)의 전개도로서, 바지부(63)를 구성하는 것에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지(1)의 것과 같은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바지부(63)가 바지(1)와 마찬가지로 구성된 작업복(61)은 바지(1)와 마찬가지로 하여 좌우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작업복(61)(상의부(65))에는 띠형상의 신축 소재(상의 어깨부 앞쪽 신축 소재)(67)가 설치되어 있다. 상의 어깨부 앞쪽 신축 소재(67)는, 착용자의 목 부들기 경사 앞부위(69)부터, 팔 부들기 앞부위(71)를 지나 겨드랑이 아래 앞부위(73)에 이르는 부분에서 상의부(65)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목 부들기 경사 앞부위(69)는 착용자의 목 부들기(목과 동체의 경계 또는 이 경계보다 약간 아래쪽)의 부위이며 경사 앞에 위치하는 부위에 대응하는 부위이다. 팔 부들기 앞부위(71)는 착용자의 팔 부들기(팔과 동체의 경계)의 부위이며 앞쪽에 위치하는 부위에 대응하는 부위이다. 겨드랑이 아래 앞부위(73)는 착용자의 겨드랑이 아래의 부위이며 앞쪽에 위치하는 부위에 대응하는 부위이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작업복(61)은 좌우대칭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의 어깨부 앞쪽 신축 소재(67)는 상의 어깨부 우측 앞쪽 신축 소재(67R)와 상의 어깨부 좌측 앞쪽 신축 소재(67L)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의 어깨부 우측 앞쪽 신축 소재(67R)는, 목 부들기 경사 우측 앞부위(69R)부터, 팔 부들기 우측 앞부위(71R)를 지나 겨드랑이 아래 우측 앞부위(73R)까지 연장되게 설치되어 있다.
목 부들기 경사 우측 앞부위(69R)는 착용자의 목 부들기의 일부이며 착용자의 우측 경사 앞에 위치하는 부위에 대응하는 부위이다. 팔 부들기 우측 앞부위(71R)는 착용자의 오른팔 부들기의 일부이며 착용자 앞쪽에 위치하는 부위(상하방향으로는 오른팔 부들기의 대략 중앙부)에 대응하는 부위이다. 겨드랑이 아래 우측 앞부위(73R)는 착용자의 우측 겨드랑이 아래의 앞쪽 부위에 대응하는 부위이다.
상의 어깨부 우측 앞쪽 신축 소재(67R)의 길이방향은, 상의 어깨부 우측 앞쪽 신축 소재(67R)가 연장되게 설치되어 있는 방향(목 부들기 경사 우측 앞부위(69R)부터, 팔 부들기 우측 앞부위(71R)를 지나 겨드랑이 아래 우측 앞부위(73R)에 이르는 방향)이다. 상의 어깨부 우측 앞쪽 신축 소재(67R)의 폭방향은, 상의 어깨부 우측 앞쪽 신축 소재(67R)의 길이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이다.
상의 어깨부 우측 앞쪽 신축 소재(67R)의 폭은 예를 들면 일정하지 않으며, 목 부들기 경사 우측 앞부위(69R)에서 좁고 팔 부들기 우측 앞부위(71R)로 향함에 따라 점차 넓어지며 겨드랑이 아래 우측 앞부위(73R)로 향함에 따라 점차 좁게 되어 있다. 즉, 상의 어깨부 우측 앞쪽 신축 소재(67R)의 폭의 값은 원활하게 변화하여 길이방향의 양단부에서 작고 길이방향의 중앙부에서 크게 되어 있다.
상의 어깨부 좌측 앞쪽 신축 소재(67L)는, 상의 어깨부 우측 앞쪽 신축 소재(67R)와 대칭으로 형성되어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작업복(61)(상의부(65))에는 띠형상의 신축 소재(상의 어깨부 뒤쪽 신축 소재)(75)가 설치되어 있다. 상의 어깨부 뒤쪽 신축 소재(75)는, 착용자의 목 부들기 경사 뒷부위(77)부터, 팔 부들기 뒷부위(79)를 지나 겨드랑이 아래 뒷부위(81)에 이르는 부분에서 상의부(65)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목 부들기 경사 뒷부위(77)는 목 부들기(목과 동체의 경계 또는 이 경계보다 약간 아래쪽)의 부위이며 경사 뒤에 위치하는 부위에 대응하는 부위이다.
팔 부들기 뒷부위(79)는 팔 부들기(팔과 동체의 경계)의 부위이며 뒤쪽에 위치하는 부위에 대응하는 부위이다.
겨드랑이 아래 뒷부위(81)는 겨드랑이 아래의 부위이며 뒤쪽에 위치하는 부위에 대응하는 부위이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작업복(61)은 좌우대칭이므로, 상의 어깨부 앞쪽 신축 소재(67)와 마찬가지로 하여 상의 어깨부 뒤쪽 신축 소재(75)도 상의 어깨부 우측 뒤쪽 신축 소재(75R)와 상의 어깨부 좌측 뒤쪽 신축 소재(75L)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의 어깨부 우측 뒤쪽 신축 소재(75R)는 목 부들기 경사 우측 뒷부위(77R)부터, 팔 부들기 우측 뒷부위(79R)를 지나 겨드랑이 아래 우측 뒷부위(81R)까지 연장되게 설치되어 있다.
목 부들기 경사 우측 뒷부위(77R)는 착용자의 목 부들기의 일부이며 착용자의 우측 경사 뒤에 위치하는 부위에 대응하는 부위이다. 팔 부들기 우측 뒷부위(79R)는 착용자의 오른팔 부들기의 일부이며 착용자의 뒤쪽에 위치하는 부위(상하방향으로는 오른팔 부들기의 대략 중앙부)에 대응하는 부위이다. 겨드랑이 아래 우측 뒷부위(81R)는 착용자의 우측 겨드랑이 아래의 뒤쪽 부위에 대응하는 부위이다.
상의 어깨부 우측 뒤쪽 신축 소재(75R)의 길이방향은, 상의 어깨부 우측 뒤쪽 신축 소재(75R)의 연장 설치되어 있는 방향(목 부들기 경사 우측 뒷부위(77R)부터, 팔 부들기 우측 뒷부위(79R)를 지나 겨드랑이 아래 우측 뒷부위(81R)에 이르는 방향)이다. 상의 어깨부 우측 뒤쪽 신축 소재(75R)의 폭방향은, 상의 어깨부 우측 뒤쪽 신축 소재(75R)의 길이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이다.
상의 어깨부 우측 뒤쪽 신축 소재(75R)의 폭은 예를 들면 일정하지 않으며, 상의 어깨부 우측 앞쪽 신축 소재(67R)와 마찬가지로 하여 길이방향의 중앙부에서 넓고 양단부에서 좁게 되어 있다.
상의 어깨부 좌측 뒤쪽 신축 소재(75L)는, 상의 어깨부 우측 뒤쪽 신축 소재(75R)와 대칭으로 형성되어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 작업복(61)에서는, 상의 어깨부 우측 앞쪽 신축 소재(67R)(상의 어깨부 좌측 앞쪽 신축 소재(67L))와 상의 어깨부 우측 뒤쪽 신축 소재(75R)(상의 어깨부 좌측 뒤쪽 신축 소재(75L))는 서로 이어지지 않았지만(착용자의 겨드랑이 아랫부분에서 떨어져 있지만), 상의 어깨부 우측 앞쪽 신축 소재(67R)(상의 어깨부 좌측 앞쪽 신축 소재(67L))와 상의 어깨부 우측 뒤쪽 신축 소재(75R)(상의 어깨부 좌측 뒤쪽 신축 소재(75L))가 서로 이어져 있어도 된다(착용자의 겨드랑이 아랫부분에서 이어져 있어도 된다).
또한, 상의 어깨부 앞쪽 신축 소재(67), 상의 어깨부 뒤쪽 신축 소재(75) 중 어느 하나를 삭제해도 되고 둘 다 삭제해도 된다. 도 26은 상의 어깨부 앞쪽 신축 소재(67)가 삭제된 작업복(61a)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4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또한, 작업복(61)(상의부(65))에는 띠형상의 신축 소재(상의 몸통부(胴部) 신축 소재)(83)가 설치되어 있다. 상의 몸통부 신축 소재(83)는, 상측 허리부 부위(85)부터 횡복 부위(87)를 지나고 복부 경사 앞부위(89)에 이르기까지의 부분에서 상의부(65)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상측 허리부 부위(85)는, 착용자의 허리부(허리부 중의 상측 부위)에 대응하는 부위이다. 횡복 부위(87)는, 착용자의 횡복부에 대응하는 부위이다. 복부 경사 앞부위(89)는, 착용자의 복부의 경사 앞에 대응하는 부위이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작업복(61)이 좌우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의 몸통부 신축 소재(83)는 복부 우측 경사 앞부위(89R)부터 우측 횡복 부위(87R), 상측 허리부 부위(85), 좌측 횡복 부위(87L)를 이 순서로 지나며, 복부 좌측 경사 앞부위(89L)까지 연장되게 설치되어 있다.
복부 우측 경사 앞부위(89R)는, 착용자의 배꼽으로부터 대략 우측방향으로 소정의 거리(예를 들면, 10cm 정도) 떨어져 있는 개소에 대응하는 부위이다. 우측 횡복 부위(87R)는, 착용자의 우측 횡복(높이방향으로는 배꼽과 대략 같은 위치에 있고 배와 등의 경계부에 위치하는 개소)에 대응하는 우측 부위이다. 상측 허리부 부위(85)는, 착용자의 허리부 상측에서의 착용자 바로 뒤에 대응하는 부위이다.
좌측 횡복 부위(87L)는, 착용자의 우측 횡복(높이방향으로는 배꼽과 대략 같은 위치에 있고 배와 등의 경계부에 위치하는 개소)에 대응하는 좌측 부위이다. 복부 좌측 경사 앞부위(89L)는, 착용자의 배꼽으로부터 대략 좌측방향으로 소정의 거리(예를 들면, 10cm 정도) 떨어져 있는 개소에 대응하는 부위이다.
상의 몸통부 신축 소재(83)의 길이방향은, 상의 몸통부 신축 소재(83)가 연장되게 설치되어 있는 방향(복부 우측 경사 앞부위(89R)부터 우측 횡복 부위(87R), 상측 허리부 부위(85), 좌측 횡복 부위(87L)를 이 순서로 지나며, 복부 좌측 경사 앞부위(89L)에 이르는 방향)이다. 상의 몸통부 신축 소재(83)의 폭방향은, 상의 몸통부 신축 소재(83)의 길이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이다.
상의 몸통부 신축 소재(83)의 폭은 예를 들면 일정하지 않으며, 상의 어깨부 우측 앞쪽 신축 소재(67R)와 마찬가지로 하여 길이방향의 중앙부에서 넓고 양단부에서 좁게 되어 있다.
작업복(61)을 착용자가 착용하였을 때에 착용자와 작업복(61)을 위쪽에서 보면, 상의 몸통부 신축 소재(83)는 착용자의 앞쪽이 비어 있는 「C」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의 몸통부 신축 소재(83)와 바지부(63)의 신축 소재(3(3R, 3L))는 웨이스트 밴드지(9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떨어져 있지만, 상의 몸통부 신축 소재(83)와 바지부(63)의 신축 소재(3)가 서로 이어져 있어도 된다. 즉, 도 24의 (b)에서 도시된 부위(허리의 폭보다 좁은 소정 폭의 부위)(93)에서 팬츠측 신축 소재(3)와 상의 몸통부 신축 소재(83)가 서로 이어져 있어도 된다. 또, 팬츠측 신축 소재(3)와 상의 몸통부 신축 소재(83)를 일체의 신축 소재로 구성해도 된다.
작업복(61)에 대해 도 25를 참조하면서 더 설명한다. 또, 도 25에서는 작업복(61)의 우측 부분만을 전개하고 있다. 또한, 도 25에서 도시된 이중 반원(95)이 그려져 있는 옷감(신축 소재를 포함함)은 이중 반원(95)이 그려져 있는 선분(97)에 대해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작업복(61)에서는 바지측 신축 소재(3), 웨이스트 밴드지(91), 상의 몸통부 신축 소재(83), 뒷길지(99), 옷깃지(101)가 실제로는 선분(97)에 대해 대칭으로 되어 있다.
또한, 작업복(61)은 우측 앞길(103(103R)), 우측 윗소매지(105(105R)), 우측 아랫소매지(107(107R)), 바지부(63)를 구성하는 옷감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도 25에서 도시된 각 옷감과 이들에 대칭인 각 옷감(좌측의 각 옷감)을 적절히 꿰매 맞춤으로써 작업복(61)이 생성된다.
그런데, 도 1 등에서 도시된 바지(1)에서는 좌우의 신축 소재(3R, 3L)가 분할되어 있고, 좌우의 신축 소재(3R, 3L)를 서로 꿰매 맞추어 바지(1)를 생성하고 있지만, 도 1 등에서 도시된 바지(1)에 있어서 좌우의 신축 소재(3R, 3L)를 분할하지 않고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도 25에서 도시된 상의 몸통부 신축 소재(83)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도 25에서 도시된 상의 몸통부 신축 소재(83)를 좌우로 분할하고, 이들 좌우로 분할한 상의 몸통부 신축 소재를 서로 꿰매 맞추어 상의 몸통부 신축 소재를 형성해도 된다.
작업복(61)에 따르면, 상의 어깨부 앞쪽 신축 소재(67)나 상의 어깨부 뒤쪽 신축 소재(75)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작업복(61)의 착용자가 팔을 움직일 때에 상의 어깨부 앞쪽 신축 소재(67)나 상의 어깨부 뒤쪽 신축 소재(75)가 신축하여 팔을 움직이기 쉬워진다.
또한, 작업복(61)에 따르면, 상의 몸통부 신축 소재(83)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작업복(61)의 착용자가 허리를 구부릴 때에 상의 몸통부 신축 소재(83)가 신축하여 허리를 구부리기 쉬워진다.
도 24 등에서 도시된 작업복(61)은 긴팔 타입이지만, 작업복을 반팔 타입으로 하거나 어깨걸이 타입(러닝셔츠 타입)으로 해도 된다.
또한, 작업복(61)에 있어서 바지부(63)를 삭제하고 상의부(65)만으로 하여 이를 상의로서 사용해도 된다.
또, 각 신축 소재(3, 67, 75, 8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신축 소재가 설치되지 않은 작업복에 바지(1)의 경우와 같이 하여 카고 포켓(59)을 설치해도 된다.
1 바지
3 신축 소재
7 허리부 부위
11 고관절 외측 부위
15 무릎 근방 내측 부위
19 인심
61, 61a 작업복
63 바지부
67 상의 어깨부 앞쪽 신축 소재
69 목 부들기 경사 앞부위
71 팔 부들기 앞부위
73 겨드랑이 아래 앞부위
75 상의 어깨부 뒤쪽 신축 소재
77 목 부들기 경사 뒷부위
79 팔 부들기 뒷부위
81 겨드랑이 아래 뒷부위
83 상의 몸통부 신축 소재
85 상측 허리부 부위
87 횡복 부위
89 복부 경사 앞부위
301 카고 포켓의 개구부
303 개구부의 앞쪽 부위
305 개구부의 뒤쪽 부위
309 개구부의 상단
311 개구부의 하단
313 제1 바닥부
315 제2 바닥부
317 이음용 천부재
319 바지의 본체

Claims (21)

  1. 착용자의 허리부에 대응하는 부위부터 고관절의 외측에 대응하는 부위를 지나며, 무릎의 근처이며 대퇴부의 내측에 대응하는 부위인 무릎 근방 내측 부위까지 이르는 부분이 소정 폭의 나선형상의 신축 소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축 소재의 무릎 근방 내측 부위는 상기 바지의 인심(inseam)의 부위보다 약간 후방까지 이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신축 소재의 폭은 위에서 아래로 향함에 따라 점차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관절의 외측에 대응하는 부위에 위치하는 신축 소재의 아래쪽에 카고 포켓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카고 포켓의 개구부는 앞쪽 부위가 뒤쪽 부위보다 아래쪽에 위치하여 경사지게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카고 포켓에는 착용자가 직립 자세를 취하고 있을 때에 대략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연장되는 제1 바닥부와, 착용자가 웅크린 자세를 취하고 있을 때에 대략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연장되는 제2 바닥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6. 청구항 4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카고 포켓은 이음용 천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바지의 본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카고 포켓의 개구부의 양단부는 상기 바지의 본체에 직접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7. 착용자의 대퇴부의 외측에 대응하는 부위에 설치되고, 개구부의 앞쪽 부위가 뒤쪽 부위보다 아래쪽에 위치하여 경사지게 개구되어 있는 카고 포켓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바지.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카고 포켓에는 착용자가 직립 자세를 취하고 있을 때에 대략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연장되는 제1 바닥부와, 착용자가 웅크린 자세를 취하고 있을 때에 대략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연장되는 제2 바닥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바지.
  9. 청구항 7 또는 8에 있어서,
    상기 카고 포켓은 이음용 천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작업 바지의 본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카고 포켓의 개구부의 양단부는 상기 작업 바지의 본체에 직접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바지.
  10. 착용자의 허리부에 대응하는 부위부터 고관절의 외측에 대응하는 부위를 지나며, 무릎의 근처이며 대퇴부의 내측에 대응하는 부위인 무릎 근방 내측 부위까지 이르는 부분이 소정 폭의 나선형상의 신축 소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복.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신축 소재의 무릎 근방 내측 부위는 상기 작업복의 바지부에서의 인심의 부위보다 약간 후방까지 이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복.
  12. 청구항 10 또는 11에 있어서,
    상기 신축 소재의 폭은 위에서 아래로 향함에 따라 점차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복.
  13. 청구항 10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착용자의 목 부들기 부위이며 경사 앞에 위치하는 부위에 대응하는 부위부터, 팔 부들기 부위이며 앞쪽에 위치하는 부위에 대응하는 부위를 지나며, 겨드랑이 아래의 부위이며 앞쪽에 위치하는 부위에 대응하는 부위까지 이르는 부분이 띠형상의 신축 소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복.
  14. 청구항 10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착용자의 목 부들기 부위이며 경사 뒤에 위치하는 부위에 대응하는 부위부터, 팔 부들기 부위이며 뒤쪽에 위치하는 부위에 대응하는 부위를 지나며, 겨드랑이 아래의 부위이며 뒤쪽에 위치하는 부위에 대응하는 부위까지 이르는 부분이 띠형상의 신축 소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복.
  15. 청구항 10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착용자의 허리부에 대응하는 부위부터 횡복부(橫腹部)에 대응하는 부위를 지나 복부의 경사 앞에 대응하는 부위에 이르기까지의 부분이 띠형상의 신축 소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복.
  16. 청구항 10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관절의 외측에 대응하는 부위에 위치하는 신축 소재의 아래쪽에 카고 포켓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카고 포켓의 개구부는 앞쪽 부위가 뒤쪽 부위보다 아래쪽에 위치하여 경사지게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복.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카고 포켓에는 착용자가 직립 자세를 취하고 있을 때에 대략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연장되는 제1 바닥부와, 착용자가 웅크린 자세를 취하고 있을 때에 대략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연장되는 제2 바닥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복.
  18. 청구항 16 또는 17에 있어서,
    상기 카고 포켓은 이음용 천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작업복의 본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카고 포켓의 개구부의 양단부는 상기 작업복의 본체에 직접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복.
  19. 착용자의 대퇴부의 외측에 대응하는 부위에 설치되고, 개구부의 앞쪽 부위가 뒤쪽 부위보다 아래쪽에 위치하여 경사지게 개구되어 있는 카고 포켓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복.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카고 포켓에는 착용자가 직립 자세를 취하고 있을 때에 대략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연장되는 제1 바닥부와, 착용자가 웅크린 자세를 취하고 있을 때에 대략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연장되는 제2 바닥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복.
  21. 청구항 19 또는 20에 있어서,
    상기 카고 포켓은 이음용 천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작업복의 본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카고 포켓의 개구부의 양단부는 상기 작업복의 본체에 직접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복.
KR1020137010275A 2010-09-30 2011-09-28 바지, 작업 바지 및 작업복 KR201300925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21306 2010-09-30
JP2010221306 2010-09-30
JP2011093084 2011-04-19
JPJP-P-2011-093084 2011-04-19
PCT/JP2011/072275 WO2012043673A1 (ja) 2010-09-30 2011-09-28 ズボン、作業ズボンおよびツナ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588A true KR20130092588A (ko) 2013-08-20

Family

ID=45893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0275A KR20130092588A (ko) 2010-09-30 2011-09-28 바지, 작업 바지 및 작업복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143930A1 (ko)
JP (1) JP5637639B2 (ko)
KR (1) KR20130092588A (ko)
CN (1) CN103140146A (ko)
TW (1) TW201221074A (ko)
WO (1) WO201204367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5166A (ko) * 2015-04-21 2016-10-31 최범 운동겸용 보정 옷 하의
KR20230000423U (ko) 2021-08-19 2023-02-28 김한수 내구성이 강화된 작업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120907A1 (it) * 2012-05-24 2013-11-25 Freddy Spa Indumento per modellare le natiche ed i fianchi femminili, n particolare un indumento sportivo per danza o ginnastica
CN104274263B (zh) * 2013-07-04 2016-08-10 许夏杰 腿型矫正裤
CA2944360C (en) * 2013-12-12 2017-10-31 Stephan/H Flight suits
USD780404S1 (en) * 2014-04-18 2017-03-07 Mascot International A/S Trousers
USD773777S1 (en) * 2014-04-18 2016-12-13 Mascot International A/S Trousers
USD766546S1 (en) * 2014-04-18 2016-09-20 Mascot International A/S Trousers
USD766545S1 (en) * 2014-04-18 2016-09-20 Mascot International A/S Trousers
US9668524B2 (en) * 2014-05-30 2017-06-06 Alo, Llc Exercise garments with integrated legwarmers
US10085490B2 (en) 2014-07-30 2018-10-02 Vf Imagewear, Inc. Shirts configured for enhancing worker mobility
EP3174413B1 (en) * 2014-07-30 2022-01-26 VF Imagewear, Inc. Pants configured for enhancing worker mobility
US9668525B2 (en) 2014-11-04 2017-06-06 Alf Wear Pants including selectively located stretch panels
USD750347S1 (en) * 2014-11-04 2016-03-01 Alf Wear Pants
USD783940S1 (en) * 2016-03-03 2017-04-18 Beijing Tiexue Tech. Co., Ltd. Multi-pockets pants
USD783941S1 (en) * 2016-04-25 2017-04-18 Essdras M. Suarez Pants
USD819300S1 (en) * 2016-07-08 2018-06-05 5.11, Inc. Pants
USD844297S1 (en) * 2016-12-29 2019-04-02 G-Star Raw C.V. Pants
USD818670S1 (en) * 2017-01-26 2018-05-29 Vebo Wear, Inc. Tactical pants
USD833081S1 (en) * 2017-12-04 2018-11-06 Silho-Light Corporation Safety pants with luminous silhouette
USD852461S1 (en) * 2018-01-04 2019-07-02 Mascot International A/S Trousers
USD853084S1 (en) * 2018-01-04 2019-07-09 Mascot International A/S Trousers
US11166504B2 (en) * 2018-04-18 2021-11-09 Lane Bryant Ipco Llc Outer garments with hidden internal support and back body shaping and lift
USD896469S1 (en) * 2018-05-08 2020-09-22 Nike, Inc. Garment
JP7161542B2 (ja) * 2018-09-28 2022-10-26 株式会社アシックス シャツおよびパンツ
USD891039S1 (en) * 2018-10-22 2020-07-28 Herbert Burchette Multi-functional utility pants
US20220151312A1 (en) * 2020-11-14 2022-05-19 Christine M. Schramm Fabric Inserts To Eliminate Restriction of Movement In Clothing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1814U (ko) * 1986-11-17 1988-05-30
DE3901191A1 (de) * 1989-01-17 1989-08-24 Kurt Dipl Ing Bluemel Motorrad-schutzanzug mit integriertem helm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schutzanzuges
JPH0368996U (ko) * 1989-11-01 1991-07-08
JPH0371828U (ko) * 1989-11-15 1991-07-19
JP3028483U (ja) * 1996-02-27 1996-09-03 株式会社自重堂 スラックス
CN2303487Y (zh) * 1997-06-20 1999-01-13 曹殿国 有伸缩结构的裤子
CN2313403Y (zh) * 1998-03-02 1999-04-14 曹殿国 一种有伸缩结构的防寒裤
JP3053212U (ja) * 1998-04-13 1998-10-23 株式会社自重堂 スラックス
JP3068996U (ja) * 1999-11-16 2000-05-26 旭蝶繊維株式会社 携帯電話器収納用ポケット付スラックス
JP3071828U (ja) * 2000-03-16 2000-09-22 東洋物産株式会社 放射線管理区域用被服
WO2004030479A2 (en) * 2002-10-03 2004-04-15 Dicker Timothy P Exercise garment
US7730552B2 (en) * 2003-04-15 2010-06-08 Wacoal Corp. Pants garment
EP1782705A4 (en) * 2004-07-12 2009-02-25 Shinji Takeuchi CLOTHING WITH STEPPING PART
JP4294598B2 (ja) * 2005-01-26 2009-07-15 有限会社 中澤研究室 タイツ
CA2504416A1 (en) * 2005-04-18 2006-10-18 Jeffrey W. Louis Stretchable hybrid material garment
JP2007303024A (ja) * 2006-05-11 2007-11-22 Shimano Inc 自転車搭乗用衣服
JP5419323B2 (ja) * 2006-12-01 2014-02-19 株式会社デサント 旋回機能を有するスポーツウェア
GB2444804B (en) * 2006-12-15 2009-04-01 Speedo Int Ltd Elasticated sports garments
WO2009050769A1 (ja) * 2007-10-15 2009-04-23 Asics Corporation 競技用ウエア
WO2010082677A1 (ja) * 2009-01-15 2010-07-22 株式会社ゴールドウイン 医療用又はスポーツ用衣服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5166A (ko) * 2015-04-21 2016-10-31 최범 운동겸용 보정 옷 하의
KR20230000423U (ko) 2021-08-19 2023-02-28 김한수 내구성이 강화된 작업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40146A (zh) 2013-06-05
JPWO2012043673A1 (ja) 2014-02-24
TW201221074A (en) 2012-06-01
US20140143930A1 (en) 2014-05-29
JP5637639B2 (ja) 2014-12-10
WO2012043673A1 (ja) 201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2588A (ko) 바지, 작업 바지 및 작업복
US10039330B2 (en) Crotched exercise garment
US10455868B2 (en) Compression garments and a method of manufacture
US10092048B2 (en) Garment
JP6445656B2 (ja) ズボン
EP3369404B1 (en) Pants with waist protection belt
JP4472577B2 (ja) スパッツ
JP5284026B2 (ja) 衣類
JP5632042B2 (ja) 衣類
JP7466005B2 (ja) 運動用タイツ
JP3203905U (ja) 下衣部
GB2294864A (en) Work wear
AU2013206022A1 (en) Compression garments and a method of manufacture
TWM456100U (zh) 下肢部分段式壓力褲
JP2014167189A (ja) 下衣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