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8986A - 부실채권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부실채권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8986A
KR20110088986A KR1020100008759A KR20100008759A KR20110088986A KR 20110088986 A KR20110088986 A KR 20110088986A KR 1020100008759 A KR1020100008759 A KR 1020100008759A KR 20100008759 A KR20100008759 A KR 20100008759A KR 20110088986 A KR20110088986 A KR 20110088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btor
bond
recovery
amount
se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8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2755B1 (ko
Inventor
남기풍
소병직
Original Assignee
신용보증기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보증기금 filed Critical 신용보증기금
Priority to KR1020100008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2755B1/ko
Publication of KR20110088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2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2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3Credit; Loans; Processing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8Performance of employee with respect to a job fun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실채권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채권회수에 있어서 회수목표 배정과 회수 및 성과평가에 관한 부실채권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부실채권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채권정보, 채무자정보를 저장하는 채권DB, 수익 및 비용정보를 저장하는 회계DB, 회수 정보를 저장하는 관리DB로 구성되는 데이터베이스;와, 채권의 속성에 따른 세그먼트를 분류하고, 분류된 세그먼트에 속한 개별채권들의 채무자 속성정보를 바탕으로 채무자 등급을 산출하는 분류수단;과, 가치평가를 위한 채권 잔액(EAD)를 산출하고, 세그먼트(Segment)를 기반으로 속성정보를 수집하며,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된 과거 회수기록 전체를 모집단으로 분류수단에서 분류된 세부 세그먼트로 그룹핑하여 각각의 세그먼트 별로 회수율을 산출하고, 채권분류별 평가율을 산출하여 각각의 세그먼트에 해당하는 개별채권들의 현재가치를 산출하는 가치평가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실채권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managing insolvent obligation and the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부실채권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채권회수에 있어서 회수목표 배정과 회수 및 성과평가에 관한 부실채권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채권 회수방법으로는 강제집행(담보권 실행)과 추심으로 나눌 수 있다. 강제집행이란 채무자의 재산을 민사소송법에 의한 경매 등으로 환가하여 회수하는 것이며, 추심이란 채무자의 소재를 파악 추적하고 독촉이나 면담 등으로 채무상환을 유도해 내는 것이다.
전자의 경우는 담보가 있는 부실채권에 대한 채권회수 방법이고, 후자의 경우는 담보가 없는 무담보 부실채권에 대한 채권 회수방법이라고 할 수 있는데, 전자에 비해 후자의 경우에는 보다 전문적인 채권회수 노하우와 체계적인 관리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된다.
즉, 무담보 부실채권 관리업무는 부실채권의 속성에 따라 다양한 회수절차가 존재하며 이에 따른 회수율(Recovery Rate) 차이가 현저히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접근방법, 객관적인 정보 및 프로세스 기반의 자동화된 부실채권 관리시스템이 필요하다.
종래, 부실채권 관리시스템에 대한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35980호 전자문서를 이용한 부실채권 관리시스템 이외에 다수 출원 및 공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 따르면, 고객이 금융거래 과정에서 작성한 종이 서류에 대응하는 이미지 컨텐츠를 포함하여 생성된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 관련 전자문서와, 상기 금융거래에 대응하는 고객정보와 금융기관 정보 및 고객으로부터의 금융거래 요청 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전자문서 관리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수단; 직원단말로부터 부실채권이 발생한 고객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저장매체를 통해 상기 고객정보를 포함하는 전자문서 관리 정보와 연계된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 관련 전자문서를 추출하는 수단; 및 상기 전자문서 관리 정보에 포함된 금융거래 요청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추출된 금융거래 관련 전자문서 중 상기 부실채권에 대응하는 채권관리 전자문서를 확인하고, 상기 채권관리 전자문서를 상기 고객정보와 연계하여 상기 전자문서 DB에 저장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부실채권이 발생한 고객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고객정보를 포함하는 전자문서 관리 정보와 연계된 금융거래 관련 전자문서를 추출하고, 추출된 전자문서 중 부실채권에 대응하는 채권관리 전자문서를 확인하고 고객정보와 연계하여 전자문서 DB에 저장할 뿐이었다.
이에, 부실채권의 관리 전반에 있어서 즉, 추심직원 및 추심조직에 대한 채권배분과 회수목표 배정, 회수활동 및 성과평가에 있어 체계적이고 합리적이지 못했던 부분이 많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체 채권을 각각의 개별 채권의 성격별로 그룹으로 나누고 각 채권별로 회수율을 산출하여 개별 채권의 가치를 평가하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채무자들의 신용정보 변동에 기반하여 개별 채권의 가치변동을 감지함으로써 각각의 회수담당자들에게 관리활동의 핵심메시지를 부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나아가 객관적이고 공평하게 부여된 회수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투입된 비용을 감안하여 실적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함에도 있다.
본 발명은 부실채권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채권정보, 채무자정보를 저장하는 채권DB, 수익 및 비용정보를 저장하는 회계DB, 회수 정보를 저장하는 관리DB로 구성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채권의 속성에 따른 세그먼트를 분류하고, 분류된 세그먼트에 속한 개별채권들의 채무자 속성정보를 바탕으로 채무자 등급을 산출하는 분류수단; 및 가치평가를 위한 채권 잔액(EAD)를 산출하고, 상기 세그먼트(Segment)를 기반으로 속성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된 과거 회수기록 전체를 모집단으로 상기 분류수단에서 분류된 세부 세그먼트로 그룹핑하여 각각의 세그먼트 별로 회수율을 산출하고, 채권분류별 평가율을 산출하여 상기 각각의 세그먼트에 해당하는 개별채권들의 현재가치를 산출하는 가치평가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부실채권 관리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에 있어서, (a) 분류수단을 통해 채권의 속성에 따른 세그먼트를 분류하는 단계; (b) 상기 분류된 세그먼트에 속한 개별채권들의 채무자 속성정보를 바탕으로 채무자 등급을 분류수단을 통해 산출하는 단계; (c) 가치평가를 위한 채권 잔액(EAD)를 산출하고, 세그먼트를 기반으로 속성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d)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된 과거 회수기록 전체를 모집단으로 분류수단에서 분류된 세부 세그먼트로 그룹핑하여 각각의 세그먼트 별로 회수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e) 채권분류별 평가율을 산출하여 각각의 세그먼트에 해당하는 개별채권들의 현재가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전체 채권을 각각의 개별 채권의 성격별로 그룹으로 나누고 각 채권별로 회수율을 산출하여 개별 채권의 가치를 평가함으로써, 회수목표 부여나 관리활동의 타이밍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채무자들의 신용정보 변동에 기반하여 개별 채권의 가치변동을 감지함으로써 각각의 회수담당자들에게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일정기간의 회수실적을 객관적이고 공평하게 부여된 회수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투입된 비용을 감안하여 실적을 평가함으로써, 객관적이고 공정한 목표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실채권 관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류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치평가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실채권 관리시스템의 소액(1천5백만원 미만) 매출채권 세그먼트의 실제 회수금액을 현가화한 가치분포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론적인 회수율 분포를 나타낸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익성 분석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성과평가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실채권 관리방법에 관한 전체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그먼트 분류과정에 관한 상세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채무자 등급 산출과정에 관한 상세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별채권 현재가치 산출과정에 관한 상세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익성 분석과정에 관한 상세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성과 평가과정에 관한 상세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실채권 관리시스템은, 각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바탕으로 세그먼트(Segment)로 나누어서 건별 회수율에 기반하여 회수목표 배정과 함께 실적분석 및 성과를 평가하고, 이러한 과정을 거쳐 개인별 또는 팀별, 조직부문별 수익성 분석이나 성과평가를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본원발명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데이터베이스(100), 분류수단(200), 가치평가수단(300), 회수목표 배정수단(400), 수익성 분석수단(500), 성과평가수단(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이터베이스(100)는 채권잔액정보와 채무자 정보를 저장하는 채권DB(110), 수익 및 비용정보를 저장하는 회계DB(120), 회수 정보를 저장하는 관리DB(130)로 이루어진다.
-분류수단(200)-
분류수단(200)은 데이터베이스(100)의 채권DB(110)로부터 가지고 온 채권잔액정보 및 채무자 정보를 바탕으로 채권의 속성에 따른 세그먼트(Segment)를 분류하는 채권분류부(210)와, 분류된 세그먼트에 속한 개별채권들의 채무자 속성정보를 바탕으로 채무자별 상환능력 등급인 채무자등급을 산출하는 채무자 분류부(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채권분류부(210)는 채권의 속성에 따라 세그먼트를 분류한다. 이는 개별채권을 기준으로 원장특성에 따라 통계적인 회수율 차이를 보이므로, 우선 채권분류는 채권발생, 즉 바람직하게는 대출과정 및 통계적 타당성과 개념적 타당성에 위배되지 않도록 세그먼트가 나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채권분류 대상은 현재 잔액이 남아있는 채권과 조만간에 기한의 이익을 상실시킬 채권을 대상으로 한다.
이러한 채권의 속성에 따른 세그먼트를 분류하는 채권분류부(210)는, 개별평가 세그먼트모듈(211), 채무과목명 세그먼트모듈(212), 자금용도 세그먼트모듈(213), 회생지원 세그먼트모듈(214), 고액 세그먼트모듈(215) 및 소액 세그먼트모듈(216)로 구성된다.
회생, 개인회생, 개인워크아웃, 자체분할상환 중 어느 하나인 경우, 개별 세그먼트로 분류하는 개별평가 세그먼트모듈(211), 채권종류 또는 대출과목에 따라 분류하는 채무과목명 세그먼트모듈(212)(예를 들면, 주채무과목명이 할인어음일 경우는 할인어음 세그먼트), 자금용도에 따라 분류하는 자금용도 세그먼트모듈(213)(예를 들면, 자금용도가 시설자금인 경우, 시설자금 세그먼트), 회생지원으로 발급된 보증인 경우 회생지원 세그먼트로 분류하는 회생지원 세그먼트모듈(214), 대상원장의 고객번호 별 이행금액(부실잔액 포함)의 합이 일정금액(예를 들어 5억원 이상)인 경우, 고액 세그먼트로 분류하는 고액 세그먼트모듈(215), 그 이하인 경우는 소액 세그먼트로 분류하는 소액 세그먼트모듈(2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참고로 회생은, 즉 회생절차란 재정적 어려움으로 인하여 파탄에 직면한 채무자에 대하여 채권자, 주주, 지분권자 등 이해관계인의 법률관계를 조정하여 채무자 또는 그 사업의 효율적인 회생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개인회생은, 즉 개인회생절차라 함은 재정적 어려움으로 인하여 파탄에 직면하고 있는 개인채무자로서 장래 계속적으로 또는 반복하여 수입을 얻을 가능성이 있는 자에 대하여 채권자 등 이해관계인의 법률관계를 조정함으로써, 채무자의 효율적 회생과 채권자의 이익을 도모하기 위하여 마련된 절차이다.
또한 개인워크아웃은 사단법인 신용회복위원회에서 신용회복지원 신청대상 과중채무자의 신용회복지원 적격여부를 심사하여 상환기간의 연장, 분할상환, 이자율조정, 변제기 유예, 채무감면 등의 방법으로 신용회복을 지원하는 제도이다.
그리고 자체분할상환은 신용보증기금의 채무자가 채무를 분할하여 상환하고자 하는 경우에 채무자의 상환능력을 고려하여 일정한 기준에 따라 분할상환을 허용하는 제도이다.
여기서, 개별평가 세그먼트 분류에는 조회기준일이 최종 상환예정일보다 빠른 경우에 적용조건이 된다. 이에 반해 적용 제외조건은 자체분할상환, 개인워크아웃의 경우에는 분할상환관리화면상의 '분할상환완료일', 또는, '기한이익상실일'이 '조회기준일'보다 빠른 경우이고, 다만 기한이익 회복일이 있는 경우는 기한이익 회복일이 기한이익 상실일보다 늦은 경우에는 적용조건에 포함된다. 또한 회생의 경우 회생기업관리/채권신고 화면상의 '회생'의 '종결일'이 '조회기준일'보다 빠른 경우에 적용 제외조건이 되고, 개인회생의 경우는 개인회생 절차폐지일이 조회기준일보다 빠른 경우에 적용 제외조건이 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 따른 채권분류의 대상은 기준일 현재 규제 해제되지 않은 부실채권을 대상으로 하고 단, 소멸시효완성채권은 제외한다.(이하 대상원장)
여기서, 잔액(EAD)은 부실채권 잔액과 대지급금 잔액의 합이다.
채무자 분류부(220)는 채권분류부(210)를 통해 분류된 세그먼트에 속한 개별채권들의 채무자 속성정보를 바탕으로 채무자별 상환능력 등급인 채무자등급을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채무자의 속성정보를 기초로 합리적인 회수활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채무자를 회수 가능성에 따라 분류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채무자 분류부(220)는 채무자들의 속성정보를 분석하여 채무상환 가능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데 있다. 실제로 채무자들이 자신의 채무를 변제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환의사는 물론 상환능력이 결합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채무자 속성정보는 상환의욕에 영향을 주는 인적 속성과 상환 능력에 영향을 주는 물적 속성으로 대별된다. 여기서 인적 속성은 채무자 등급 산출시 반영되고, 물적 속성은 채무자 등급 필터링, 즉 조정에 반영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 따른 채무자 분류 기준의 인적 속성은 성별, 연령, 채무관계자 구분, 주채무자와의 관계, 총채무 잔액, 신용관리정보 등록금액, 신용관리정보 등록건수, 주소지 등 이고, 물적 속성은 채권보전조치 종류에 따라 가압류, 가처분, 근저당권이 해당되며, 보전조치 재산 종류에 따라 부동산, 등기(등록)동산, 임금채권, 매출채권, 질권 등 기타 담보권이 이에 해당된다.
이에 따라 채무자 분류부(220)의 세부 구성을 살펴보면, 채무자 분류대상 선정모듈(221), 채무자 속성별 세그먼트모듈(222), 채무자 인적속성모듈(223), 채무자 물적속성모듈(224), 채무자 등급산출모듈(225)로 구성된다.
우선, 채무자 분류대상 선정모듈(221)은 채권분류부를 통해 분류된 세그먼트에 속한 개별채권들의 채무자 속성정보를 기반으로 채무자 분류 대상을 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채무자 분류대상 선정모듈은 채권분류부(210)의 건별 채권(원장)에 연결된 채무자 중 법인을 제외한 자연인인 생물학적 개개인 채무자를 대상으로 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채권 잔액은 대상 채무자와 연결된 건별 채권의 원금 발생액에서 기준일 이전의 원금 회수액을 차감한 잔액이다.
다음으로, 채무자 속성별 세그먼트모듈(222)은 채무자 분류대상 선정모듈(221)에 의해 선정된 대상 채무자의 잔액(EAD)정보를 채권DB로부터 불러들여 채무자 총채권 잔액별 세그먼트를 산출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들어, 다음의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상 채무자의 잔액(EAD)정보가 세그먼트 구분 테이블의 from이상 to미만인 세그먼트를 산출한다.
Figure pat00001
다음으로, 채무자 인적속성모듈(223)은 상기 채무자 속성정보를 기반으로 선정된 대상 채무자의 연령, 성별, 신용관리정보 등록 건수, 신용관리정보 등록금액정보 및 상기 대상 채무자를 채무관계자별로 그룹을 나누어, 채무자와의 관계에 따른 관계자 식별코드와 관계자 소재지 코드를 부여하여 채무관계자 인적속성 지표를 생성하여, 상기 채무자 인적속성 지표로 채무자 등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채무관계자별 그룹은 주채무자, 연대보증인, 주채무자에 준하는 연대보증인, 한정입보인, 어음채무자, 채무인수인, 상속인 등으로 구분하고, 관계자 식별코드는 주채무자와의 관계, 즉 배우자, 부모, 자녀, 동업자, 기타 등의 식별코드이며, 소재지 코드는 도, 광역시 단위의 소재지 코드이다. 그리고 신용관리정보 등록 건수는 기준일 현재 대상채무자의 은행연합회 신용관리정보 등록건수를 카운트한 값이고, 신용관리정보 등록금액정보는 연체금액이 아닌 등록금액기준으로 기준일 현재 대상채무자 은행연합회 신용관리정보 등록금액을 합산한 값이다.
다음으로, 채무자 물적속성모듈(224)은 상기 채무자 속성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대상 채무자의 채권보전조치 종류에 따라 가압류, 가처분, 근저당권에 해당하는 물적 속성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채무자 등급산출모듈(225)은 채무자 인적속성모듈로부터 생성된 대상 채무자의 연령, 성별, 신용관리정보 등록 건수 및 신용관리정보 등록금액정보를 기초로 채무자 등급을 산출하고, 기준일 현재 채권보전조치 가압류 유무, 가처분 유무, 근저당권 유무에 따라 채무자 등급을 필터링하여, 상기 채무자 물적속성모듈의 물적 속성에 해당하는 가압류, 가처분 및 근저당권 등록 건수가 각각 1 이상인 경우 1등급 조정, 2개 이상인 경우는 2등급 조정으로 채무자 등급 조정에 반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가치평가수단(300)-
가치평가수단은 분류수단(200)의 채권의 속성에 따른 세그먼트(Segment)를 기반으로 채권의 현재가치를 평가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가치평가수단은 채권잔액 산출부(310), 인덱스부(320), 채권분류별 평가율 산출부(330), 가치평가부(340)를 포함한다.
채권잔액 산출부(310)는 가치평가를 위한 채권 잔액(EAD)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참고로, 채권 잔액은 잔존 채무액에 채권보전을 위한 대지급금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인덱스부(320)는 분류수단(200)의 채권의 속성에 따른 세그먼트(Segment)를 기반으로 기업속성, 대표자속성, 개별채권(원장)속성, 채권보전조치, 채무자 속성정보를 수집하여 산출한다.
여기서, 기업속성정보는 업종, 부실사유, 사업장 소유여부, 사업장 소재지, 거래기간, 사업기간, 채무불이행사유, 총자산, 기업신용등급, 자기자본비율, 매출액, 당좌거래, 관계기업 유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기업속성정보 중, 업종은 해당 원장의 고객의 표준 산업분류코드의 대분류를 가져와서 이행일 이전 최종 신용조사서상의 표준산업 분류코드 대분류와 업종분류에 근거해 업종 정보를 산출한다.
부실사유는 해당 원장의 고객의 부실사유코드를 가져와서 조회기준일 이전 최종 신용조사서상의 부실사유 정보를 산출하고, 사업장 소유여부는 해당 원장인 이행일 이전 최종 신용조사서상의 사업장 소유 및 사업장 소유구분에 근거해 사업장 소유 여부 정보를 산출한다. 여기서, 참고로 부실채권일 경우, 조회기준일 이전 최종 신용조사서상의 정보이고, 그 외 부실채권의 경우, 원장은 이행일 이전 최종 신용조사서상의 정보이다.
사업장 소재지는 고객에 등록되어 있는 정보 중 주사업장의 소재지를 근거해 사업장 소재지 정보를 산출하며, 거래기간은 최초 보증일로부터 해당 이행일까지의 기간 정보를 산출하고, 사업기간은 이행일 이전 최종 신용조사서상의 정보로부터 설립일(법인 설립일)로부터 이행일(추정일)까지의 기간을 년수로 환산하여 사업기간을 산출하며, 총자산은 이행일 이전 최종 신용조사서상의 재무제표 정보 중 총자산에 근거하여 산출한다.
매출액은 해당 원장 고객의 이행일 이전 최종 신용조사서상의 매출액에 근거하여 산출하고, 참고로 이행일 직전 3개년 이내의 재무제표 중 가장 최근 재무 제표의 매출액을 활용하여, 최종 신용조사서상의 매출액이 없는 경우 매출액은 0으로 가정한다.
당좌거래여부는 이행일 이전 최종 신용조사서상의 당좌거래 기업 유무를 근거로 산출하고, 관계기업 유무는 이행일 이전 최종 신용조사서상의 관계기업 유무를 근거로 산출한다.
또한 대표자 속성정보는 동업종사기간, 경영형태, 연령, 주택소유 유무를 포함하고, 개별채권 속성정보는 채무자수, 창업특례보증, 연체기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채권보전조치 정보는 가압류 수량, 가처분 수량, 근저당권 수량과 재산종류에 따라 부동산, 등기등록동산, 임차보증금, 질권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채무자 속성정보는 채무자 등급, 채무자 인적속성, 채무관계자 인적속성, 채무자 물적속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불이행 사유는 원금연체, 이자연체, 신용관리정보 등록, 회생 및 파산신청, 신용회복 신청, 휴.폐업, 사업장 압류나 가압류 등 신용상태에 급격한 변동을 초래한 원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덱스부(320)는 동업종사 기간과 경영형태, 연령, 주택 소유 등 대표자의 속성과 연대보증인 등 채무자의 수를 인적 속성에 감안하여 인덱스를 산출하고, 대출(신용)기간과 사업기간을 감안하여 대출 또는 채권발생 당시의 기업 총자산과 매출액을 해당 재무제표에서 활용한다. 물적 속성에서 사업장 소유항목에서는 사업장의 권리침해 사실 유무와 소재지를 감안하여 인덱스 조정을 도모한다.
다음으로 채권분류별 평가율 산출부(330)는 채권DB에 축적된 과거 회수기록 전체를 모집단으로 분류수단(200)의 채권분류부(210)와 채무자분류부(220)에서 정의된 채권 및 채무자별 세부 세그먼트로 그룹핑하여 통계적 방법에 의해 각각의 세그먼트 별로 회수율을 산출한 회수기록이 채권DB에 추가되면 세그먼트별 회수율에 반영된다.
다음으로 가치평가부(340)는 가치평가시 각각의 세그먼트에 해당하는 채권의 가치를 산출하기 위해 개별채권들의 현재가치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개별채권의 현재가치는 다음과 같이 산출한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En은 원금회수+대지급금회수이고, Ln은 대지급금발생이며, Tn은 기간이고, 할인율은 기금이 회수된 자금으로 운용할 경우 발생되는 기회비용을 나타낸다.
자금조달에 따른 기회비용은 다음과 같이 산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경제적 현금흐름 산출을 위한 할인율은 국고채 수익률(RF)+리스크 프리미엄(Risk Premium) = 6.98%와 같다. 이때, Risk Premium = 1.60%이고, 국고채 수익률은 5.38%(국고채 5년만기 2008년 월말 수익률 평균 이용)이다. 국채에 대한 개별리스크 소요자기자본 산출은 다음의 표 2에 나타난다.
Figure pat00003
개별평가 대상 세그먼트로 분류된 채권은 아래와 같이 평가된 가치가 산출된다.
기준일에서 상환예정일 간의 기간(개월수)을 계산하고, 기준일의 할인율을 적용하여 채권가치를 평가한다. 여기서, 건별 채권의 개별분할상환 가치는 예정금액/(1+할인율/12)기간이고, 합산액은 건별 채권의 개별분할 상환가치이다.
이행률을 감안한 가치 산출을 하는데, 개별평가 세그먼트 가치는 상기 합산액에 이행률을 곱한 값이다. 이때, 이행률은 과거 10년간의 신용보증기금 이행률(자체분할상환 및 개인워크아웃 이행률 70%, 개인회생 분할상환 이행률 80%, 회생절차분할상환 이행률 5%)을 적용한다.
다음으로, 채권분류 세그먼트별 채권평가는 인덱스부(320)에서 산출된 최종 인덱스를 가져와서, 건별(원장) 채권의 경과기간을 산출하는데, 이때 경과기간은 발생일에서 기준일(가치평가 측정일)까지의 기간을 개월 수로 측정한다.
상기 채권분류별 평가율 산출부(330)의 평가율(Look-up Table)에서는 명목가치에 기초한 기간경과 효과를 반영, 회수율 변화 추이를 산출해야 하는데, 세그먼트 인덱스별로 다른 차이를 보이고 있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해야 한다.
채권에 대한 경제적 가치를 산출하기 위해 각각의 세그먼트 별로 회수금액을 현가화한 회수율을 기간별로 산출한다. 이를 위해서 실제 회수율패턴을 이용하여 이론적인 회수율 분포로 재생성한다. 도 4는 소액(1천5백만원 미만) 대출채권 세그먼트의 실제 회수금액을 현가화한 가치분포를 도해한 것으로 횡축은 경과된 월수, 종축은 경제적 가치를 나타낸다.
도 4에서, 구간①은 채권발생 초기로서 경제적 가치가 매우 높으며, 이후 기간경과에 따라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다. 구간②는 완만한 가치 하락기로 발생 후 약 8~9개월 경과시점으로 회수율이 점차 감소하는 구간이며, ③은 회수가 미미하게 발생하는 구간으로 채권 성립후 40개월 이후의 과정을 나타낸다. 실제 회수패턴으로 작성되었기 때문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론적인 회수율 분포로 재생해야만 평가율로서 기능을 한다.
채권의 가치 산출은, 채권잔액에 가치평가율을 곱하여 산출한다. 여기서, 채권보전비용 회수를 위한 대지급 회수에 따른 일정율을 채권분류별 평가율 산출부(330)에서 산출된 가치평가율에 정책적으로 가산하여 평가할 수도 있다. 이때의 채권가치는 채권잔액에 대지급금이 반영된 가치평가율의 곱으로 나타난다.
-회수목표 배정수단(400)-
회수목표 배정수단은 보유하고 있는 개별채권의 속성에 근거하여 특정시점을 기준으로 회수가능 금액을 산출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는 회계단위 기간동안 회수해야 할 목표액을 자동 배정하는 시스템으로서 목표 배정에는 경제적 가치가 아닌 명목금액에 의한 회수목표액이란 특징을 갖고 있다.
이러한 회수목표 배정수단은 채권 정의부(410), 배정액 산출부(420)를 포함한다.
채권 정의부(410)는 목표 배정 대상채권을 정의하는 구성으로, 배정시점 당시 잔액(채권잔액+대지급금)이 0을 초과한 채권으로 정의하되, 개별평가대상 세그먼트로 분류된 채권의 잔액은 대상기간 동안의 분할상환 예정액으로 정의하여 먼저 배정한 뒤, 다른 채권을 배정하는 순서를 갖는다.
배정액 산출부(420)는 분류수단(200)의 채무자 분류부(220)와 가치평가수단(300)으로부터 산출된 최종 인덱스(Index)와 평가율(Look-up Table)을 근거로 배정액을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배정액 산출부는 최종 인덱스에 원장의 배정기간을 산출하고, 평가율에서 월별 목표배정률을 가져와 목표배정액을 다음과 같이 산출한다.
1시점 잔액은 1이고, t시점 잔액은 시점별 잔액에 시점별 목표배정율을 곱한 값이며, t+1시점잔액은 t시점잔액에 t시점 회수금액을 뺀 값이고, 목표배정율은 다음의 식과 같이 나타난다.
Figure pat00004
-수익성 분석수단(500)-
수익성 분석수단(500)은 회수활동으로부터 발생한 회수실적(회수수익), 회수활동에 투입된 회수비용(대지급금) 및 관리비용 등의 회계정보를 기초로 수익성을 분석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수익성 분석수단의 데이터 집계부(510)는 다음의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회계DB로부터 본부점별로 대지급금 발생내역과 신코드로 매핑된 손익계정원장 및 예산집행내역 금액 데이터값을 해당 신코드와 함께 가져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원천에 명기된 매핑테이블을 참고하여 데이터값을 가져온다. 단, 데이터는 본부점별로 집계한다.
Figure pat00005
다음 표 4는 신코드 매핑테이블 예시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6
그리고 인건비 등의 새로 산출해야 하는 과목의 값을 계산하고 해당 신코드와 함께 가져온다.
인건비(신코드 20100/신코드 20200)에 있어서, 입력현황 데이터를 관리자화면에서 입력 또는 업로드를 한다. 이때 인원수는 매월 또는 분기별 데이터를 평균한 인원수를 의미하고, 관리인원수는 (지점/부지점장 인원수+공통업무 인원수)*배점비율+관리전담 인원수이다.
다음 표 5는 인원현황 데이터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pat00007
여기서, 1인당 평균인건비와 1인당 평균복지카드비용은 관리자화면에서 입력 또는 업로드한다. 관리인건비(신코드20100)은 (1인당 평균인건비+1인당 평균복지카드비용)*본부점별 관리인원수이고, 소송전담인건비(신코드20200)은 (1인당 평균인건비+1인당 평균복지카드비용)*본부점별 소송전담 인원수이다.
데이터 집계부(510)는 모든 수익과 비용은 대상이 되는 본부점별로 집계하되, 부실채권 관리활동과 관련된 조직단위를 대상으로 한다. 예를 들어 다음의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2009년 현재 본부점 대분류 코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며, 대분류별 본부점 개수는 다음과 같다.
기타직사용자부담금(신코드21000)은 다음과 같이 산출한다. 기타직사용자부담금(21000)은 0.088*본부점별 기타직보수(신코드)
환산임차료(신코드22270)는 다음의 표 6에 산출된 계정값을 본부점별로 생성한다.
Figure pat00008
여기서, 1년만기 정기예금이자율과 임차기간은 관리자화면에서 입력 또는 업로드한다. 본부점별 환산임차료는 본부점별 사무실 임차보증금(신코드30010)*1년만기 정기예금이자율*임차기간/365이다.
Figure pat00009
여기서, 코드 01은 부실채권 관리활동과 관련된 본부부서(예: 관리부), 02는 부실채권 관리활동 관련 조직단위를 관리하는 지역본부(예: 영업본부), 03은 부실채권 관리활동 관련 영업점, 04는 부실채권 관리활동 관련 사무소, 05년 부실채권 관리활동 전담 조직단위(예: 채권관리팀)이다. 이때, 채권관리팀의 경우 다음의 표 8과 같이 회계단위를 전산단위로 매핑하여 전산단위를 대상단위로 한다.
Figure pat00010
본 실시예에 따른 본부점별 비용 집계에서 직접비는 대지급금 발생내역을 부점별로 합산하여 가져오고, 준직접비 및 간접비는 다음 예시의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신코드 테이블의 원천항목에 해당하는 매핑 테이블을 참고한다.
Figure pat00011
여기서, 매핑테이블1은 본부점별로 손익계정원장 및 총계정원장에서 계정과목과 유형이 같은 계정값과 해당 신코드를 가져온다. 단, 채권관리팀은 다음의 계정값을 가져온다.
해당 계정값 * 채권관리팀 전산단위 인원수/ 채권관리팀 회계단위 인원수
예를 들면, 서부채권관리1팀의 계정값 = 계정값 * 서부채권관리1팀(VAJ)인원수/서부채권관리팀(VAO)인원수이다.
다음으로, 배부기준 적용부(520)는 영업본부, 영업점, 사무소에 대해서는 배부기준에 따라 부점별 배부기준을 계산하고, 과목별 배부기준에 따라 (과목별로 집계된 금액*배부기준비율)로 계정값을 대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보조부문 배부기준 적용부(530)는 본부점별 배부기준을 계산하고, (소송지원부서, 본부부서, 영업본부 비용*각 배부기준 비율)로 부점별 배분비용을 계산하고, 산출된 배분비용과 상기 계산된 부점별 비용을 합산하여 배분 후 부서별 관리부문 비용을 계산한다.
다음으로, 간접비 원가산출부(540)는 상기 보조부문 배부기준 적용부의 계산값을 가져와서
Figure pat00012
을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부점별 수익계산부(550)는 원장 데이터에서 회수유형이 출자전환 회수일 경우를 제외하고, 회수금액을 부점별 회수유형별로 합산하여 가져오고, 대지급금 회수내역에서 회수유형이 출자전환 회수일 경우를 제외하고, 회수금액을 부점별 회수유형별로 합산하여 가져와, 부점별 회수유형별로 합산하여 부점별 수익합계 값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수익성 분석부(560)는 이익 및 이익률과 분석지표를 산출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수익성 분석부는 보조부문 배부기준 적용부에서 계산한 배분 후 부서별 관리부문 비용과 부점별 수익계산부에서 계산한 부점별 수익합계 값을 가져온 후 다음과 같이 이익 및 이익률을 계산한다.
이익 = 수익합계-배분 후 비용
이익률 = (수익합계-배분 후 비용)/수익합계*100 (단위:%)
상기 계산된 부점별 이익과 배부기준 적용부(520)의 부점별 평균관리인원수를 가져와서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1인당 이익은 이익을 평균 관리 인원수로 나눈 값이고, 앞서 계산된 이익값과 간접비 원가산출부(540)에서 계산한 부실채권 평균잔액을 가져와서 자산수익률을 계산한다. 여기서, 자산수익률은 이익/부실채권 평균잔액*100 (단위:%)이다.
-성과평가수단(600)-
성과평가수단(600)은 관리DB의 회수정보와 수익성 분석수단으로부터 해당 지표들을 불러들여, 목표대비 실적, 회수수익 대비 발생비용을 통한 경제성 및 효율성 등을 기초로 개별평가 단위의 성과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목표달성 지표부(610), 수익성 지표부(620), 비용효율성 지표부(630), 성과평가부(640)로 구성된다.
목표달성 지표부(610)는 회수목표 배정수단(400)에서 산출된 목표배정액을 부점별로 합산하고, 회수금액을 부점별로 합산한 후 목표달성률을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목표달성률은 인정회수 금액을 목표배정액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한 값으로 나타난다.
다음으로 수익성 지표부(620)는 수익성 분석수단(500)으로부터 산출된 부점별 수익값, 부점별 비용값, 부점별 이익률값을 가져오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비용효율성 지표부(630)는 수익성 분석수단(500)으로부터 산출된 부점별 대지급금 발생액 및 회수금액을 가져오고, 소송비용절감액을 업로드하고, 부점별 소송비용절감액을 합산하여 상기에서 산출된 부점별 대지급금 발생액, 회수금액, 소송비용절감액으로 다음과 같이 비용효율성 배수를 산출한다. 여기서, 비용효율성 배수는 (회수금액+소송비용절감액)/대지급금 발생금액이다.
그리고 성과평가부(640)는 목표달성 지표부(610), 수익성 지표부(620) 및 비용효율성 지표부(630)에서 산출된 지표값들을 부점별로 집계하여 각 지표들에 대한 조건에 따라 기금전체/그룹별/영업본부별 등으로 점수가 높은 순서대로 순위를 매기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수단(700)은 상술한 각 구성인 데이터베이스(100), 분류수단(200), 가치평가수단(300), 회수목표 배정수단(400), 수익성 분석수단(500), 성과평가수단(600)을 중앙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실채권 관리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에 있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실채권 관리시스템의 제어수단은 데이터베이스(채권DB)에 저장된 채권의 속성에 따른 세그먼트를 분류수단을 통해 분류한다(S2).
다음으로, 제어수단은 분류된 세그먼트에 속한 개별채권들의 채무자 속성정보를 바탕으로 채무자 등급을 분류수단을 통해 산출한다(S4).
다음으로 제어수단은 가치평가를 위한 채권 잔액(EAD)를 산출하고, 세그먼트를 기반으로 속성정보를 수집한다(S6).
다음으로 제어수단은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된 과거 회수기록 전체를 모집단으로 분류수단에서 분류된 세부 세그먼트로 그룹핑하여 각각의 세그먼트 별로 회수율을 산출한다(S8).
다음으로 제어수단은 채권분류별 평가율을 산출하여 각각의 세그먼트에 해당하는 개별채권들의 현재가치를 산출한다(S10).
다음으로 제어수단은 채권의 속성에 근거하여 특정시점을 기준으로 회수가능 금액을 산출한다(S12).
다음으로 제어수단은 수익성 분석수단을 통해 회수 정보의 회수실적, 회수에 투입된 회수비용(대지급금) 및 관리비용의 회계정보로 수익성을 분석한다(S14).
그리고 제어수단은 성과평가수단을 통해 관리DB의 회수정보와, 회수목표 배정수단 및 상기 수익성 분석수단으로부터 해당 지표들을 불러들여 부점별로 각 지표들에 대한 지표값의 점수가 높은 순서대로 순위를 매긴다(S16).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채권의 속성에 따른 세그먼트를 분류과정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수단은 채권의 속성이 회사정리절차, 개인회상, 신용회복, 분할상환 중 어느 하나인 경우, 개별평가 세그먼트로 분류한다(S22).
다음으로, 제어수단은 해당 채권의 속성에 따라 채권 종류 또는 대출과목에 따라 채무과목명 세그먼트로 분류한다(S24).
다음으로, 제어수단은 해당 채권의 속성이 자금용도인 경우, 자금용도에 따라 자금용도 세그먼트로 분류한다(S26).
다음으로, 제어수단은 해당 채권의 속성이 회생지원으로 발급된 보증인 경우, 회생지원 세그먼트로 분류한다(S28).
다음으로, 제어수단은 해당 채권의 속성이 채권 대상원장의 고객번호별 부실잔액의 합이 일정금액 이상인 경우 고액 세그먼트로 분류한다(S30).
그리고 제어수단은 해당 채권의 속성이 채권 대상원장의 고객번호별 부실잔액의 합이 일정금액 이하인 경우, 소액 세그먼트로 분류한다(S32).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별채권들의 채무자 속성정보를 바탕으로 채무자 등급 산출과정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수단은 분류된 세그먼트에 속한 개별채권들의 채무자 속성정보를 기반으로 채무자 분류 대상을 선정한다(S42).
다음으로, 제어수단은 선정된 대상 채무자의 잔액(EAD)정보를 채권DB로부터 불러들여 채무자 총채권 잔액별 세그먼트를 산출한다(S44).
다음으로, 제어수단은 채무자 속성정보를 기반으로 선정된 대상 채무자의 연령, 성별, 신용관리정보 등록 건수, 신용관리정보 등록금액정보, 그리고 대상 채무자를 채무관계자별로 그룹을 나누어, 채무자와의 관계에 따른 관계자 식별코드와 관계자 소재지 코드가 부여되는 채무관계자 정보를 포함하는 인적속성 지표를 생성한다(S46).
다음으로, 제어수단은 대상 채무자의 채권보전조치 종류에 따라 가압류, 가처분, 근저당권 중 어느 하나이상에 해당하는 물적 속성(정보)을 생성한다(S48).
그리고 제어수단은 대상 채무자의 인적속성 지표로 채무자 등급을 산출하고, 상기 물적 속성에 따라 채무자 등급을 필터링(조절)한다(S5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별채권들의 현재가치 산출과정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수단은 가치평가를 위한 채권 잔액(EAD)을 산출한다(S62).
다음으로, 제어수단은 채권의 속성에 따른 세그먼트(Segment)를 기반으로 기업속성, 대표자속성, 개별채권(원장)속성, 채권보전조치, 채무자 속성정보를 수집한다(S64).
다음으로, 제어수단은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된 과거 회수기록 전체를 모집단으로 분류수단에서 정의된 채권 및 채무자별 세부 세그먼트로 그룹핑하여 각각의 세그먼트 별로 회수율을 산출하고 채권분류별 평가율을 산출한다(S66).
그리고 제어수단은 각각의 세그먼트에 해당하는 개별채권들의 현재가치를 산출한다(S68). 여기서, 기준일에서 상환예정일 간의 기간(개월 수)를 계산하고, 기준일의 할인율을 적용하여 채권가치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익성 분석과정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수단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본부점별로 대지급금 발생내역과 신코드로 매핑된 손익계정원장 및 예산집행 내역 금액 데이터값을 해당 신코드로 가져와서 데이터를 집계한다(S72).
다음으로, 제어수단은 해당 영업점에 따른 부점별 배부기준을 계산하고, 과목별로 집계된 금액에 임의의 배부기준비율을 곱한 계정값을 대체한다(S74).
다음으로, 제어수단은 본부점별 배부기준을 계산하고, 본부점별 배부기준인 해당 영업본부 비용을 각 배부기준 비율을 곱한 부점별 배분비용을 계산하고, 산출된 배분비용과 상기 부점별 비용을 합산하여 배분 후 부서별 관리부문 비용을 계산한다(S76).
다음으로, 제어수단은 제(S76)단계의 계산값과 부실채권 평균잔액을 이용하여 간접비 원가산출을 한다(S78).
다음으로, 제어수단은 채권잔액에서 회수유형이 출자전환 회수일 경우를 제외하고, 회수금액을 부점별 회수유형별로 합산하여 가져오고, 대지급금 회수내역에서 회수유형이 출자전환 회수일 경우를 제외하고, 회수금액을 부점별 회수유형별로 합산하여 가져와 부점별 회수유형별로 합산하여 부점별 수익합계 값을 생성한다(S80).
그리고, 제어수단은 상기 배분 후 부서별 관리부문 비용과 상기 부점별 수익합계 값을 이용하여 이익 및 이익률을 산출한다(S82).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성과 평가 과정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수단은, 회수목표 배정수단에서 산출된 목표배정액을 부점별로 합산하고, 회수금액을 부점별로 합산한 후 목표달성률에 대한 지표값을 산출한다(S92).
다음으로, 제어수단은 수익성 분석수단으로부터 산출된 부점별 수익값, 부점별 비용값, 부점별 이익률값에 대한 지표값을 산출한다(S94).
다음으로, 제어수단은 수익성 분석수단으로부터 산출된 부점별 대지급금 발생액 및 회수금액을 가져와서 소송비용절감액을 업로드하고, 부점별 소송비용절감액을 합산하여 부점별 대지급금 발생액, 회수금액, 소송비용절감액으로 비용효율성 배수에 대한 지표값을 산출한다(S96).
그리고 제어수단은 목표달성 지표부, 수익성 지표부 및 비용효율성 지표부에서 산출된 지표값들을 부점별로 집계하여 각 지표들에 대한 조건에 따라 기금전체/그룹별/영업본부별로 순위를 매겨 성과를 평가한다(S98).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채권의 건별 현재가치를 평가함으로써 채권에 대한 회수 및 관리전략을 차별화하고, 회수예상액에 기초한 목표배정과 회수활동의 동인을 부여함으로써 속성별 세부목표를 할당하며, 회수율이 높은 채권에 대한 회수활동 및 역량을 집중할 수 있도록 수익성에 따른 집중활동 대상 채무자를 제공하고 회계정보에 의한 수익성 중심의 회수활동이 이루어지게 하고, 객관적인 성과측정 모형 도입으로 개인 실적의 합리적 평가로 성과중심의 관리시스템을 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데이터베이스 110 : 채권DB
120 : 회계DB 130 : 관리DB
200 : 분류수단 210 : 채권분류부
211 : 개별평가 세그먼트모듈 212 : 채무과목명 세그먼트모듈
213 : 자금용도 세그먼트모듈 214 : 회생지원 세그먼트모듈
215 : 고액 세그먼트모듈 216 : 소액 세그먼트모듈
220 : 채무자 분류부 221 : 채무자 분류대상 선정모듈
222 : 채무자 속성별 세그먼트모듈 223 : 채무자 인적속성모듈
224 : 채무자 물적속성모듈 226 : 채무자 등급산출모듈
300 : 가치평가수단 310 : 채권잔액 산출부
320 : 인덱스부 330 : 채권분류별 평가율 산출부
340 : 가치평가부 400 : 회수목표 배정수단
410 : 채권 정의부 420 : 배정액 산출부
500 : 수익성 분석수단 510 : 데이터 집계부
520 : 배부기준 적용부 530 : 보조부문 배부기준 적용부
540 : 간접비 원가산출부 550 : 부점별 수익계산부
560 : 수익성 분석부 600 : 성과평가수단
610 : 목표달성 지표부 620 : 수익성 지표부
630 : 비용효율성 지표부 640 : 성과평가부

Claims (24)

  1. 부실채권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채권정보, 채무자정보를 저장하는 채권DB, 수익 및 비용정보를 저장하는 회계DB, 회수 정보를 저장하는 관리DB로 구성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채권의 속성에 따른 세그먼트를 분류하고, 분류된 세그먼트에 속한 개별채권들의 채무자 속성정보를 바탕으로 채무자 등급을 산출하는 분류수단; 및
    가치평가를 위한 채권 잔액(EAD)를 산출하고, 상기 세그먼트(Segment)를 기반으로 속성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된 과거 회수기록 전체를 모집단으로 상기 분류수단에서 분류된 세부 세그먼트로 그룹핑하여 각각의 세그먼트 별로 회수율을 산출하고, 채권분류별 평가율을 산출하여 상기 각각의 세그먼트에 해당하는 개별채권들의 현재가치를 산출하는 가치평가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실채권 관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권의 속성에 근거하여 특정시점을 기준으로 회수가능 금액을 산출하는 회수목표 배정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실채권 관리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정보의 회수실적, 회수에 투입된 회수비용(대지급금) 및 관리비용의 회계정보로 수익성을 분석하는 수익성 분석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실채권 관리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DB의 회수정보와, 상기 회수목표 배정수단 및 상기 수익성 분석수단으로부터 해당 지표들을 불러들여 부점별로 각 지표들에 대한 지표값의 점수가 높은 순서대로 순위를 매기는 성과평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실채권 관리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수단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가지고 오는 채권잔액정보 및 채무자 정보로 채권의 속성에 따른 세그먼트를 분류하는 채권분류부; 및
    상기 분류된 세그먼트에 속한 개별채권들의 채무자 속성정보로 채무자별 상환능력 등급인 채무자 등급을 산출하는 채무자 분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실채권 관리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치평가수단은,
    가치평가를 위한 채권 잔액(EAD)을 산출하는 채권잔액 산출부;
    상기 채권의 속성에 따른 세그먼트(Segment)를 기반으로 기업속성, 대표자속성, 개별채권(원장)속성, 채권보전조치, 채무자 속성정보를 수집하는 인덱스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된 과거 회수기록 전체를 모집단으로 분류수단에서 정의된 채권 및 채무자별 세부 세그먼트로 그룹핑하여 각각의 세그먼트 별로 회수율을 산출하여 채권분류별 평가율을 산출하는 채권분류별 평가율 산출부; 및
    상기 각각의 세그먼트에 해당하는 개별채권들의 현재가치를 산출하는 가치평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실채권 관리시스템.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치평가수단은,
    기준일에서 상환예정일 간의 기간(개월 수)를 계산하고, 기준일의 할인율을 적용하여 개별채권들의 현재가치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실채권 관리시스템.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익성 분석수단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본부점별로 대지급금 발생내역과 신코드로 매핑된 손익계정원장 및 예산집행 내역 금액 데이터값을 해당 신코드로 가져오는 데이터 집계부;
    해당 영업점에 따른 부점별 배부기준을 계산하고, 과목별로 집계된 금액에 임의의 배부기준비율을 곱한 계정값을 대체하는 배부기준 적용부;
    본부점별 배부기준을 계산하고, 본부점별 배부기준인 해당 영업본부 비용을 각 배부기준 비율을 곱한 부점별 배분비용을 계산하고, 산출된 배분비용과 상기 부점별 비용을 합산하여 배분 후 부서별 관리부문 비용을 계산하는 보조부문 배부기준 적용부;
    상기 보조부문 배부기준 적용부의 계산값과 부실채권 평균잔액을 이용하여 간접비 원가산출을 하는 간접비 원가산출부;
    채권잔액에서 회수유형이 출자전환 회수일 경우를 제외하고, 회수금액을 부점별 회수유형별로 합산하여 가져오고, 대지급금 회수내역에서 회수유형이 출자전환 회수일 경우를 제외하고, 회수금액을 부점별 회수유형별로 합산하여 가져와 부점별 회수유형별로 합산하여 부점별 수익합계 값을 생성하는 부점별 수익계산부; 및
    상기 배분 후 부서별 관리부문 비용과 상기 부점별 수익합계 값을 이용하여 이익 및 이익률을 산출하는 수익성 분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실채권 관리시스템.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성과평가수단은,
    상기 회수목표 배정수단에서 산출된 목표배정액을 부점별로 합산하고, 회수금액을 부점별로 합산한 후 목표달성률을 산출하는 목표달성 지표부;
    상기 수익성 분석수단으로부터 산출된 부점별 수익값, 부점별 비용값, 부점별 이익률값을 가져오는 수익성 지표부;
    상기 수익성 분석수단으로부터 산출된 부점별 대지급금 발생액 및 회수금액을 가져와서 소송비용절감액을 업로드하고, 부점별 소송비용절감액을 합산하여 부점별 대지급금 발생액, 회수금액, 소송비용절감액으로 비용효율성 배수를 산출하는 비용효율성 지표부; 및
    상기 목표달성 지표부, 수익성 지표부 및 비용효율성 지표부에서 산출된 지표값들을 부점별로 집계하여 각 지표들에 대한 조건에 따라 기금전체/그룹별/영업본부별로 순위를 매기는 성과평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실채권 관리시스템.
  10.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수단의 채권분류부는,
    상기 채권의 속성에 따라 회생, 개인회생, 개인워크아웃, 자체분할상환 중 어느 하나인 경우, 개별평가 세그먼트로 분류하는 개별평가 세그먼트모듈;
    상기 채권의 종류 또는 대출과목에 따라 분류하는 채무과목명 세그먼트모듈;
    자금용도에 따라 분류하는 자금용도 세그먼트모듈;
    회생지원으로 발급된 보증인 경우 회생지원 세그먼트로 분류하는 회생지원 세그먼트 모듈;
    상기 채권 대상원장의 고객번호별 부실잔액의 합이 일정금액 이상인 경우 고액 세그먼트로 분류하는 고액 세그먼트모듈; 및
    상기 채권 대상원장의 고객번호별 부실잔액의 합이 일정금액 이하인 경우 소액 세그먼트로 분류하는 소액 세그먼트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실채권 관리시스템.
  11.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수단의 채무자 분류부는,
    분류된 세그먼트에 속한 개별채권들의 채무자 속성정보를 기반으로 채무자 분류 대상을 선정하는 채무자 분류대상 선정모듈;
    상기 선정된 대상 채무자의 잔액(EAD)정보를 채권DB로부터 불러들여 채무자 총채권 잔액별 세그먼트를 산출하는 채무자 속성별 세그먼트모듈; 및
    상기 채무자 속성정보를 기반으로 선정된 대상 채무자의 연령, 성별, 신용관리정보 등록 건수, 신용관리정보 등록금액정보, 상기 대상 채무자를 채무관계자별로 그룹을 나누어, 채무자와의 관계에 따른 관계자 식별코드와 관계자 소재지 코드가 부여된 채무관계자 정보를 포함하는 인적속성 지표를 생성하는 채무자 인적속성모듈; 을 포함하여 상기 채무자 인적속성 지표로 채무자 등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실채권 관리시스템.
  12.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수단의 채무자 분류부는,
    상기 대상 채무자의 채권보전조치 종류에 따라 가압류, 가처분, 근저당권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물적 속성을 생성하는 물적속성모듈; 및
    상기 대상 채무자의 인적속성 지표로 산출된 채무자 등급을, 상기 물적 속성에 따라 채무자 등급을 필터링하는 채무자 등급산출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실채권 관리시스템.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목표 배정수단은,
    목표배정시점 당시 잔액(채권잔액+대지급금)이 0을 초과한 채권으로 정의하는 채권 정의부; 및
    상기 분류수단 및 가치평가수단으로부터 산출되는 인덱스와 평가율로 배정액을 산출하는 배정액 산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실채권 관리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채권 정의부는, 상기 채권의 속성에 따른 개별평가대상 세그먼트로 분류된 채권의 잔액을 대상기간 동안의 분할상환 예정액으로 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실채권 관리시스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정액 산출부는, 상기 인덱스에 해당 채권의 배정기간을 산출하고, 평가율에서 월별 목표배정률을 가져와 목표배정액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실채권 관리시스템.
  16. 부실채권 관리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에 있어서,
    (a) 분류수단을 통해 채권의 속성에 따른 세그먼트를 분류하는 단계;
    (b) 상기 분류된 세그먼트에 속한 개별채권들의 채무자 속성정보를 바탕으로 채무자 등급을 분류수단을 통해 산출하는 단계;
    (c) 가치평가를 위한 채권 잔액(EAD)를 산출하고, 세그먼트를 기반으로 속성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d)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된 과거 회수기록 전체를 모집단으로 분류수단에서 분류된 세부 세그먼트로 그룹핑하여 각각의 세그먼트 별로 회수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e) 채권분류별 평가율을 산출하여 각각의 세그먼트에 해당하는 개별채권들의 현재가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실채권 관리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f) 채권의 속성에 근거하여 특정시점을 기준으로 회수가능 금액을 산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실채권 관리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g) 수익성 분석수단을 통해 회수 정보의 회수실적, 회수에 투입된 회수비용(대지급금) 및 관리비용의 회계정보로 수익성을 분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실채권 관리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h) 성과평가수단을 통해 관리DB의 회수정보와, 회수목표 배정수단 및 수익성 분석수단으로부터 해당 지표들을 불러들여 부점별로 각 지표들에 대한 지표값의 점수가 높은 순서대로 순위를 매기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실채권 관리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a) 단계는,
    (a-1) 채권의 속성이 회생, 개인회생, 개인워크아웃, 분할상환 중 어느 하나인 경우, 개별평가 세그먼트로 분류하는 단계;
    (a-2) 상기 해당 채권의 속성에 따라 채권 종류 또는 대출과목에 따라 채무과목명 세그먼트로 분류하는 단계;
    (a-3) 상기 해당 채권의 속성이 자금용도인 경우, 자금용도에 따라 자금용도 세그먼트로 분류하는 단계;
    (a-4) 상기 해당 채권의 속성이 회생지원으로 발급된 보증인 경우, 회생지원 세그먼트로 분류하는 단계;
    (a-5) 상기 해당 채권의 속성이 채권 대상원장의 고객번호별 부실잔액의 합이 일정금액 이상인 경우, 고액 세그먼트로 분류하는 단계; 및
    (a-6) 상기 해당 채권의 속성이 채권 대상원장의 고객번호별 부실잔액의 합이 일정금액 이하인 경우, 소액 세그먼트로 분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실채권 관리방법.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b) 단계는,
    (b-1) 상기 분류된 세그먼트에 속한 개별채권들의 채무자 속성정보를 기반으로 채무자 분류 대상을 선정하는 단계;
    (b-2) 상기 제 (b-1) 단계에서 선정된 대상 채무자의 잔액(EAD)정보를 채권DB로부터 불러들여 채무자 총채권 잔액별 세그먼트를 산출하는 단계; 및
    (b-3) 상기 채무자 속성정보를 기반으로 선정된 대상 채무자의 연령, 성별, 신용관리정보 등록 건수, 신용관리정보 등록금액정보, 상기 대상 채무자를 채무관계자별로 그룹을 나누어, 채무자와의 관계에 따른 관계자 식별코드와 관계자 소재지 코드가 부여된 채무관계자 정보를 포함하는 인적속성 지표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상기 인적속성 지표로 채무자 등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실채권 관리방법.
  22. 제 16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b) 단계는,
    (b-4) 상기 채무자의 채권보전조치 종류에 따라 가압류, 가처분, 근저당권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물적 속성을 생성하는 단계; 및
    (b-5) 상기 채무자의 인적속성 지표로 산출된 채무자 등급을, 상기 물적 속성에 따라 채무자 등급을 필터링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실채권 관리방법.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g) 단계는,
    (g-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본부점별로 대지급금 발생내역과 신코드로 매핑된 손익계정원장 및 예산집행 내역 금액 데이터값을 해당 신코드로 가져와서 데이터를 집계하는 단계;
    (g-2) 해당 영업점에 따른 부점별 배부기준을 계산하고, 과목별로 집계된 금액에 임의의 배부기준비율을 곱한 계정값을 대체하는 단계;
    (g-3) 본부점별 배부기준을 계산하고, 본부점별 배부기준인 해당 영업본부 비용을 각 배부기준 비율을 곱한 부점별 배분비용을 계산하고, 산출된 배분비용과 상기 부점별 비용을 합산하여 배분 후 부서별 관리부문 비용을 계산하는 단계;
    (g-4) 상기 제 (g-3) 단계의 계산값과 부실채권 평균잔액을 이용하여 간접비 원가산출을 하는 단계;
    (g-5) 채권잔액에서 회수유형이 출자전환 회수일 경우를 제외하고, 회수금액을 부점별 회수유형별로 합산하여 가져오고, 대지급금 회수내역에서 회수유형이 출자전환 회수일 경우를 제외하고, 회수금액을 부점별 회수유형별로 합산하여 가져와 부점별 회수유형별로 합산하여 부점별 수익합계 값을 생성하는 단계; 및
    (g-6) 상기 배분 후 부서별 관리부문 비용과 상기 부점별 수익합계 값을 이용하여 이익 및 이익률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실채권 관리방법.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h) 단계는,
    (h-1) 회수목표 배정수단에서 산출된 목표배정액을 부점별로 합산하고, 회수금액을 부점별로 합산한 후 목표달성률에 대한 지표값을 산출하는 단계;
    (h-2) 수익성 분석수단으로부터 산출된 부점별 수익값, 부점별 비용값, 부점별 이익률값에 대한 지표값을 산출하는 단계;
    (h-3) 상기 수익성 분석수단으로부터 산출된 부점별 대지급금 발생액 및 회수금액을 가져와서 소송비용절감액을 업로드하고, 부점별 소송비용절감액을 합산하여 부점별 대지급금 발생액, 회수금액, 소송비용절감액으로 비용효율성 배수에 대한 지표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h-4) 상기 제 (h-1) 내지 (h-3)에서 산출되는 지표값들을 부점별로 집계하여 각 지표들에 대한 조건에 따라 기금전체/그룹별/영업본부별로 순위를 매겨 성과를 평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실채권 관리방법.
KR1020100008759A 2010-01-29 2010-01-29 부실채권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12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759A KR101112755B1 (ko) 2010-01-29 2010-01-29 부실채권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759A KR101112755B1 (ko) 2010-01-29 2010-01-29 부실채권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986A true KR20110088986A (ko) 2011-08-04
KR101112755B1 KR101112755B1 (ko) 2012-03-13

Family

ID=44927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8759A KR101112755B1 (ko) 2010-01-29 2010-01-29 부실채권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27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204B1 (ko) * 2015-12-29 2016-11-14 신용보증기금 구상권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17832B1 (ko) * 2022-12-18 2023-04-03 백용수 부실채권 관리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794B1 (ko) * 2018-12-04 2019-07-23 엔블록 주식회사 개인회생채권 평가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755A (ko) * 2000-05-02 2001-11-14 민영석 부실채권 거래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KR100620677B1 (ko) * 2003-08-06 2006-09-13 한국신용평가정보주식회사 채권추심 시스템
KR20070113338A (ko) * 2006-05-23 2007-11-29 박병권 자동 채권 관리 시스템
JP2008077390A (ja) 2006-09-21 2008-04-03 Promise Co Ltd 債権管理業務システム及び債権管理業務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204B1 (ko) * 2015-12-29 2016-11-14 신용보증기금 구상권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17832B1 (ko) * 2022-12-18 2023-04-03 백용수 부실채권 관리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2755B1 (ko) 2012-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661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valuating the ability of borrowers to repay loans
US879915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consumer credit risk using income risk based credit score
US20210049706A1 (en) Systems and methods of organizing databases
WO2011152087A1 (ja) 経済活動指標提示システム
JP2003016261A (ja) 融資総合管理システム、信用スコアリング判定システム、及び、信用保証管理システム
KR101112755B1 (ko) 부실채권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4318869A (ja) 融資管理システム
Tracy Accounting workbook for dummies
KR20090001917A (ko) 여신 고객에 대한 조기경보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기록매체
US20160042468A1 (en) Modified cash ledger basis for an accounting system and process
Wysłocka et al. The effectiveness of leasing as a method of financing the development of a company
Pederson Cost of capital for agricultural cooperatives
KR20090086370A (ko) 여신 고객등급 처리방법
RU2682479C1 (ru) Система формирования финансовой и управленческой отчетностей по международным стандартам финансовой отчетности (мсфо)
KR100419700B1 (ko) 가계 재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무 관리 방법
KR20090001940A (ko) 부실여신 거래 기업의 사전 선정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기록매체
Shim et al. CFO Fundamentals: Your Quick Guide to Internal Controls, Financial Reporting, IFRS, Web 2.0, Cloud Computing, and More
KR101676204B1 (ko) 구상권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Scott Accounting and auditing enforcement releases: Cash flow evidence associated with revenue recognition fraud
Hilbers et al. Macroprudential Indicators of Financial System Soundness
Adriansyah et al. Analysis of the Application of Statements of Financial Accounting Standards Number 71 concerning Financial Instruments (Case Study at Ltd Bank BRI (Persero) Plc in 2020)
Lamuda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BANK HEALTH CASE STUDY AT PT BANK MANDIRI (PERSERO) TBK
LASALEWO et al. Analysis of Accounting Treatment of Income Based on Psak No. 72 At PT. Pegadaian Regional V Manado Office
Green An Exploration of Financial and Accounting Principles and Methods
Lumpkin The Evolution and Revolution of Financial Accoun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