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8948A -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8948A
KR20110088948A KR1020100008696A KR20100008696A KR20110088948A KR 20110088948 A KR20110088948 A KR 20110088948A KR 1020100008696 A KR1020100008696 A KR 1020100008696A KR 20100008696 A KR20100008696 A KR 20100008696A KR 20110088948 A KR20110088948 A KR 20110088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test
order
field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8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8728B1 (ko
Inventor
김형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8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8728B1/ko
Priority to US13/013,161 priority patent/US20110191065A1/en
Priority to CN2011100293704A priority patent/CN102143221A/zh
Publication of KR20110088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Z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6Z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을 개시한다. 개시되는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은, 검사 오더를 발생시키는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검사 오더를 수신하여 해당 검사를 수행하는 검사 장치, 검사 장치에서 발생한 검사 오더를 네트워크를 통해 검사 오더에 대응하는 검사 장치로 배정하고, 검사 장치로부터 검사 결과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원격 오더 관리자를 포함한다. 원격 오더 관리자는,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검사 오더를 수신하고, 이 검사 오더를 해당 검사 장치로 전송하여 각 검사 장치에 검사 작업을 배정한다. 또한 원격 오더 관리자는 원활한 검사 작업의 배정을 위해 주기적으로 검사 장치와 통신하여 검사 장치 각각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한다. 또한 원격 오더 관리자는 검사를 완료한 검사 장치로부터 검사 결과를 수신하여 관리한다. 이와 같이, 검사 장치를 여러 개 운용하는 경우 이 원격 오더 관리자를 통해 여러 개의 검사 장치 각각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관리함으로써 검사 장치에서의 검사 작업이 매우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NETWORK-BASED MEDICAL TREATMENT SYSTEM}
본 발명은 의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의료 기기들을 네트워크로 구성하여 복합적으로 운용하는 의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형 의료 시설의 진단(검사) 장비는 단독 운용(stand-alone) 제품이 대부분이다. 구형 의료 시설의 경우 네트워크 인프라가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았기 때문에 진단 장비 또한 네트워크 기능이 지원되지 않아도 무방했다.
그러나 요즘에는 의료 시설 내부의 네트워크 인프라가 잘 갖추어져 있으며, 이런 환경의 변화에 맞춰 병원용 진단 장비도 점점 네트워크 기능을 통합해 병원 시스템과 연동되기 시작했다. 의료진들은 의료 시설의 중앙 시스템과 연동되는 EMR 단말 PC를 이용해 환자의 과거 기록 등을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또한 환자의 진료 결과를 서버로 전송하기도 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검사 장치들과 연동되는 의료 시스템에서 생성한 검사 오더를 적당한 검사 장치들에게 분배하고, 또한 검사 결과를 자동으로 전달받아 단말 장치나 서버로 전달하는 등의 동작들에 대한 프로세스를 정의함으로써 검사 오더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은, 검사 오더를 발생시키는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검사 오더를 수신하여 해당 검사를 수행하는 검사 장치와; 검사 장치에서 발생한 검사 오더를 네트워크를 통해 검사 오더에 대응하는 검사 장치로 배정하고, 검사 장치로부터 검사 결과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원격 오더 관리자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원격 오더 관리자는,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검사 오더가 최초로 저장되는 신규 오더 큐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신규 오더 큐는, 원격 오더 관리자의 메모리 상에 존재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신규 오더 큐는, 검사 장치의 종류와 같은 수의 큐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술한 원격 오더 관리자는, 검사 장치에서 진행되고 있는 검사 오더들의 리스트를 관리하는 현재 분석 오더 큐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현재 분석 오더 큐는, 검사 장치에서 해당 검사가 완료되면 검사에 대응하는 검사 오더가 제거되고 신규 오더 큐에 보관되어 있는 새로운 검사 오더를 수신한다.
또한, 상술한 신규 오더 큐는, 검사 장치의 종류와 같은 수의 큐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술한 신규 오더 큐의 각각의 큐는 단일 종류의 검사에 대응하는 모든 검사 장치의 수와 같은 수의 엔트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술한 원격 오더 관리자는, 단말 장치로부터 검사 오더를 수신하여 신규 오더 큐 또는 현재 분석 오더 큐에 저장하여 대기하도록 하는 원격 오더 스케줄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원격 오더 스케줄러는, 현재 분석 오더 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면서 신규 오더 큐의 검사 오더를 현재 분석 오더 큐로 옮긴다.
또한, 상술한 원격 오더 관리자는, 검사 장치에서 검사가 완료된 후 검사 해당 검사 장치결과로부터 전송되는 검사 결과를 단말 장치로 전달하는 검사 결과 관리자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검사 결과 관리자는, 검사 결과를 수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원격 오더 관리자는, 검사 장치의 현재 상태를 알 수 있도록 검사 장치 각각의 상태 정보를 보관하는 장치 상태 버퍼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장치 상태 버퍼가 검사 장치와 같은 수의 버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술한 장치 상태 버퍼의 각각의 버퍼는, 단일 종류의 검사에 대응하는 모든 검사 장치의 수와 같은 수의 엔트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술한 검사 장치의 상태 정보는, 검사 장치 ID 필드와 상태 필드, 로컬 작업 No. 필드, 높은 우선 순위 로컬 작업 NO. 필드, 품질 제어 필드, 잔여 검사 시간 필드, 검사자 필드, 검사 종류 필드, 검사 정책 필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술한 검사 장치 ID 필드는, 검사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의 ID(Identification)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또한, 상술한 상태 필드는, 검사 장치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또한, 상술한 상태 필드는, 검사 장치의 현재 상태를 '대기 중(idle)'과 '검사 중(analyzing)', '이상(abnormal)', '장애(disable)'를 포함하는 기준을 적용하여 구분한다.
또한, 상술한 로컬 검사 NO. 필드는, 검사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 생성되어 검사 장치(106) 내에서 대기 중인 로컬 검사 오더의 수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또한, 상술한 높은 우선 순위 로컬 작업 NO. 필드는, 검사 장치 내에서 대기 중인 검사 오더 가운데 우선 순위가 높은 검사 오더의 수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또한, 상술한 품질 제어 필드는, 검사 장치의 품질 관리 빈도와 시기 등을 나타내는 필드이다.
또한, 상술한 잔여 검사 시간 필드는, 검사 장치에서 현재 수행되고 있는 검사 오더의 완료 시간까지의 잔여 시간을 나타내는 필드이다.
또한, 상술한 검사자 필드는, 검사 장치에서 검사를 수행하는 검사자(operator)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또한, 상술한 검사 종류 필드는, 해당 검사의 종류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또한, 상술한 검사 정책 필드는, 검사 장치에서 자체적으로 발생한 로컬 검사 오더와 단말 장치에서 발생하여 검사 장치로 전송된 검사 오더 가운데 어느 것을 우선적으로 처리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또한, 상술한 원격 오더 관리자는, 검사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장치 상태 버퍼의 내용을 업데이트하는 장치 상태 모니터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검사 장치는 검사 장치 자신의 상태가 변경되면 변경된 상태가 반영된 상태 정보를 장치 상태 모니터로 전송하여 검사 장치 자신의 상태가 변경되었음을 통보한다.
또한, 상술한 단말 장치는 의료진이 검사 오더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또한, 상술한 검사 장치는 의료 행위와 관련된 검사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또한, 상술한 단말 장치와 원격 오더 관리자가 각각 독립된 장치로서 구비된다.
또한, 상술한 단말 장치가 원격 오더 관리자의 기능을 겸하도록 하나의 장치로서 구비된다.
일 측면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검사 장치들과 연동되는 의료 시스템에서 생성한 검사 오더를 적당한 검사 장치들에게 분배하고, 또한 검사 결과를 자동으로 전달받아 단말 장치나 서버로 전달하는 등의 동작들에 대한 프로세스를 정의함으로써 검사 오더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검사 시간을 단축시키고 검사 결과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원격 오더 관리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원격 오더 관리자와 검사 장치의 구성을 더욱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사 장치의 상태 정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의 단말 장치에서 새롭게 생성된 검사 오더를 검사 장치에 전송하기 까지의 신규 오더(검사 오더) 배정 방법을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의 검사 장치에서 검사가 완료되었을 때의 검사 결과 및 상태 정보의 처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에서 검사 장치의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100)에서는, 단말 장치(102)와 원격 오더 관리자(104), 검사 장치(106)가 네트워크(108)를 통해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단말 장치(102)는 의료진(의사, 간호사 등)이 진료 현장에서 사용하는 PDA나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등으로서, 의료진이 검사 오더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예를 들면 의료진의 판단에 따라 현재 혈액 검사가 필요한 경우 단말 장치(102)를 통해 혈액 검사를 요청하는 검사 오더를 발생시킨다. 이 검사 오더는 네트워크(108)를 통해 원격 오더 관리자(104)로 전송된다. 이 단말 장치(102)는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여러 대가 운용될 수 있다.
원격 오더 관리자(104)는 단말 장치(102)로부터 전송되는 검사 오더를 수신하고, 이 검사 오더를 해당 검사 장치(106)로 전송하여 각 검사 장치(106)에 검사 작업을 배정한다. 원격 오더 관리자(104)는 원활한 검사 작업의 배정을 위해 주기적으로 검사 장치(106)와 통신하여 검사 장치(106) 각각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한다. 또한 원격 오더 관리자(104)는 검사를 완료한 검사 장치(106)로부터 검사 결과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104a)에 저장하고 단말 장치(102)에 전송하는 등의 데이터 관리도 수행한다. 특히 검사 장치(106)를 여러 개 운용하는 경우 이 원격 오더 관리자(104)를 통해 여러 개의 검사 장치(106) 각각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관리하게 되면 여러 개의 검사 장치(106) 가운데 현재 검사 작업을 진행하고 있지 않은 대기 상태의 검사 장치를 쉽고 빠르게 확인하여 검사 오더를 배정함으로써, 검사 장치(106)에서의 검사 작업이 매우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검사 장치(106)는 의료 행위 또는 그와 연관된 분야의 각종 검사(또는 진단)를 수행하는 장치로서, 혈액 검사기나 소변 분석기, 방사선 촬영 장치, 자기 공명 촬영 장치(MRI)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 검사 장치(106)는 원격 오더 관리자(104)로부터 검사 오더를 수신하여 해당 검사를 수행하고, 검사가 완료되면 검사 결과를 원격 오더 관리자(104)로 전송한다. 원격 오더 관리자(104)에서의 원활한 검사 오더 배정을 위해 검사 장치(106)는 자신의 현재 상태(대기 상태 또는 검사 진행 중)가 변경될 때마다 변경된 현재 상태의 정보를 원격 오더 관리자(104)로 전송한다. 이 검사 장치(106)는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여러 대가 운용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100)은 단말 장치(102)와 원격 오더 관리자(104)를 별개의 구성 요소로 구분하였으나, 단말 장치(102)가 원격 오더 관리자 역할을 겸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원격 오더 관리자에서 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단말 장치(102) 각각에 설치하여 운용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은 경우, 만약 다수의 단말 장치(102)가 사용된다면 각각의 단말 장치에 통신 우선순위를 부여하거나, 주 단말 장치를 정해서 다른 단말 장치들 사이의 통신을 제어하도록 해도 좋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원격 오더 관리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오더 관리자는, 신규 오더 큐(202)와 원격 오더 스케줄러(204), 현재 분석 오더 큐(206), 검사 결과 관리자(208), 장치 상태 버퍼(210), 장치 상태 모니터(212)로 구성된다.
신규 오더 큐(202)는, 단말 장치(102)로부터 수신되는 검사 오더가 최초로 저장되는 큐이다.
원격 오더 스케줄러(204)는, 단말 장치(102)로부터 검사 오더를 수신하여 신규 오더 큐(202) 또는 현재 분석 오더 큐(206)에 저장하여 대기하도록 하는 스케줄러로서, 현재 분석 오더 큐(206)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신규 오더 큐(202)의 검사 오더를 현재 분석 오더 큐(206)로 옮기는 작업을 수행한다.
현재 분석 오더 큐(206)는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검사 장치(106)에서 현재 진행 중인 검사 오더들의 리스트를 관리한다. 검사 장치(106)에서 하나의 검사 작업이 완료되면 현재 분석 오더 큐(206)에서 해당 검사 작업의 검사 오더가 제거되며, 그로 인해 빈 자리는 원격 오더 스케줄러(204)에 의해 신규 오더 큐(202)에서 새로운 검사 오더가 옮겨져 채워진다.
검사 결과 관리자(208)는, 검사 장치(106)에서 검사가 완료된 후 해당 검사 장치(106)로부터 전송되는 검사 결과를 단말 장치(102)로 전달하거나 데이터베이스(104a)에 저장한다.
장치 상태 버퍼(210)는, 검사 장치(106)의 현재 상태를 알 수 있도록 관리하기 위해 검사 장치(106) 각각의 상태 정보를 보관한다.
장치 상태 모니터(212)는, 검사 장치(106)로부터 주기적으로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장치 상태 버퍼(208)의 내용을 업데이트한다. 이를 위해 검사 장치(106)는 자신의 상태가 변경되면 변경된 상태가 반영된 상태 정보를 장치 상태 모니터(210)로 전송하여 자신의 상태가 변경되었음을 통보할 의무가 있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원격 오더 관리자와 검사 장치의 구성을 더욱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특히 원격 오더 관리자(104)의 신규 오더 큐(202)와 현재 분석 오더 큐(206), 장치 상태 버퍼(210)의 상세 구성과 검사 장치(106) 각각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격 오더 관리자(104)의 신규 오더 큐(202)는, 단말 장치(102)로부터 새롭게 수신되는 검사 오더를 저장하는 큐로서, 원격 오더 관리자(104)의 메모리 상에 존재한다. 신규 오더 큐(202)를 구성하는 큐의 수는 검사 장치(106)의 종류와 같은 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108) 상에 소변 검사 장치와 혈액 검사 장치의 두 종류의 검사 장치(106)가 연결되어 있다면, 신규 오더 큐(202)는 소변 검사 관련 오더를 위한 큐와 혈액 검사 관련 오더를 위한 큐의 두 개의 큐를 갖는다.
현재 분석 오더 큐(206)는, 현재 검사 장치(106)에서 진행 중인 검사 오더 리스트를 보관하는 큐로서, 검사 장치(106)에서 해당 검사가 완료되면 관련 검사 오더는 현재 분석 오더 큐(206)에서 제거되고, 신규 오더 큐(202)에 보관되어 있던 검사 오더가 옮겨져 새로 채워진다. 현재 분석 오더 큐(206)를 구성하는 큐의 수 역시 검사 장치(106)의 종류와 같은 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각 큐의 엔트리 수는 검사 장치(106)의 수만큼 존재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108) 상에 혈액 검사 장치와 소변 검사 장치의 두 종류의 검사 장치(106)가 연결되어 있고 또 각각 5대의 소변 검사 장치와 혈액 검사 장치가 존재한다면, 현재 분석 오더 큐(206)의 수는 두 개가 되고, 각 큐마다 다섯 개의 엔트리를 갖는다.
장치 상태 버퍼(210)는, 장치 상태 모니터(212)에서 수집한 검사 장치(106)의 상태 정보를 저장한다. 장치 상태 버퍼(210)의 버퍼 수 역시 검사 장치(106)의 종류와 같은 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각 큐의 엔트리 수는 검사 장치(106)의 수만큼 존재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108) 상에 혈액 검사 장치와 소변 검사 장치의 두 종류의 검사 장치(106)가 연결되어 있고 또 각각 5대의 소변 검사 장치와 혈액 검사 장치가 존재한다면, 장치 상태 버퍼(206)의 수는 두 개가 되고, 각 버퍼마다 다섯 개의 엔트리를 갖는다.
검사 장치(106)는, 원격 오더 관리자(104)를 통해 배정되는 원격 검사 오더뿐만 아니라 검사 장치(106)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 생성되는 로컬 검사 오더를 위한 로컬 검사 오더 큐도 마련된다. 검사 장치(106)는 원격 검사 오더와 로컬 검사 오더 가운데 우선 순위가 더 높은 것을 우선적으로 처리하는데, 원격 검사 오더와 로컬 검사 오더의 우선 순위는 검사 정책(Policy)의 값에 따라 결정된다. 만약 검사 정책이 ‘EMR 우선’이면 원격 검사 오더를 우선적으로 수행하고, 검사 정책이 ‘로컬 우선’이면 로컬 검사 오더를 먼저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사 장치의 상태 정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상태 정보(400)는 장치 상태 버퍼(210)에 저장되며, 장치 상태 모니터(212)에 의해 관리된다. 상태 정보(400)는 <검사 장치 ID> 필드(402)와 <상태> 필드(404), <로컬 작업 No.> 필드(406), <높은 우선 순위 로컬 작업 NO.> 필드(408), <품질 제어> 필드(410), <잔여 검사 시간> 필드(412), <검사자> 필드(414), <검사 종류> 필드(416), <검사 정책> 필드(418)로 구성된다.
<검사 장치 ID> 필드(402)는, 각 검사 장치(106)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의 ID(Identification)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 검사 장치 ID(402)를 통해 각 검사 장치(106)를 식별하여 특정 검사 장치(106)에 신규 검사 오더를 전달하거나 특정 검사 장치(106)로부터 상태 정보 또는 검사 결과를 수신한다.
<상태> 필드(404)는, 각 검사 장치(106)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필드로서, '대기 중(idle)', '검사 중(analyzing)', '이상(abnormal)', '장애(disable)' 등으로 세분화할 수 있다. '대기 중(idle)'은 검사 장치(106)가 현재 아무런 검사도 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내며, 새로운 검사 오더가 수신되면 해당 검사를 즉시 수행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검사 중(analyzing)'은 검사 장치(106)가 특정 검사 오더를 수신하여 해당 검사가 현재 진행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상(abnormal)'은 검사가 수행되고 있거나 또는 수행될 수 있으나 약간의 문제가 있어서 정상적인 신뢰할만한 검사 결과를 기대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장애(disable)'는 검사 장치(106)가 정상적인 검사를 수행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로컬 검사 NO.> 필드(406)는, 원격 오더 관리자(104)를 통해 전달되는 원격 검사 오더가 아닌, 검사 장치(106)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 생성되어 검사 장치(106) 내의 로컬 검사 오더 큐에 대기 중인 로컬 검사 오더의 수를 의미한다.
<높은 우선 순위 로컬 작업 NO.> 필드(408)는, 검사 장치(106) 내의 로컬 검사 오더 큐에서 대기 중인 검사 오더 가운데 우선 순위가 높은 검사 오더의 수를 의미한다.
<품질 제어> 필드(410)는, 해당 검사 장치(106)가 품질 제어(Quality Control)를 통해 관리되고 있는지를 의미한다. 즉 검사 장치(106)의 품질 관리 빈도와 시기 등을 나타냄으로써, 품질 제어가 잘 수행되고 있는 검사 장치와 품질 제어를 하지 않거나 품질 제어를 수행한지 오래된 검사 장치를 구분하여 품질 제어가 잘 수행되고 있는 검사 장치를 우선하여 검사에 이용하도록 함으로서 검사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잔여 검사 시간> 필드(412)는, 검사 장치(106)에서 현재 수행되고 있는 검사 오더의 완료 시 까지의 잔여 시간을 의미한다. 모든 검사 장치(106)가 부여된 검사를 수행하고 있을 때에는 이 <잔여 검사 시간> 필드(412)를 통해 어느 검사 장치(106)가 가장 먼저 검사를 종료할지를 미리 알 수 있으므로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검사 오더의 배정이 가능하다.
<검사자> 필드(414)는 해당 검사 장치(106)에서 검사를 수행하는 검사자(operator)를 나타낸다.
<검사 종류> 필드(416)는 해당 검사의 종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혈액 검사의 경우 그것이 면역 검사인지, 임상 화학 검사인지 등을 나타낸다.
<검사 정책> 필드(418)는, 해당 검사 장치(106)가 검사 장치(104)에서 자체적으로 발생한 로컬 검사 오더 큐에 대기 중인 로컬 검사 오더를 우선적으로 처리할 지, 원격 오더 관리자(104)를 통해 배정되는 원격 검사 오더를 우선적으로 처리할 지를 의미한다. <검사 정책> 필드(418)는 검사 장치(106)의 <정책> 필드와 매칭된다.
이 밖에도 검사 장치(106)의 종류, 의료 시설의 상황 등에 따라 더 많은 정보들을 정의하여 네트워크(108) 상에 존재하는 검사 장치(106)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의 단말 장치에서 새롭게 생성된 검사 오더를 검사 장치에 전송하기 까지의 신규 오더(검사 오더) 배정 방법을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격 오더 관리자(104)는 단말 장치(102)에서 의료진의 입력에 의해 새롭게 생성된 검사 오더를 단말 장치(102)로부터 네트워크(108)를 통해 수신한다(502). 원격 오더 관리자(104)의 내부 구성 요소인 원격 오더 스케줄러(204)는 신규 오더 큐(202)에 대기 중인 검사 오더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504). 만약 신규 오더 큐(202)에 대기 중인 검사 오더가 존재하면(506의 예), 수신된 검사 오더를 신규 오더 큐(202)의 대기 중인 기존의 검사 오더들의 가장 뒤에 대기시킨다(508). 반대로 신규 오더 큐(202)에 대기 중인 검사 오더가 존재하지 않으면(506의 아니오), 현재 분석 오더 큐(206)를 통해 검사 장치(106) 각각에서 진행 중인 검사가 있는지를 확인한다(510). 만약 검사 장치(104) 가운데 검사를 수행하지 않는 즉 대기 중인 검사 장치(106)가 존재하면(512의 아니오) 수신된 검사 오더를 대기 중인 검사 장치(106)로 전송하고 검사오더의 전송 과정을 종료한다(514). 반대로 모든 검사 장치(106)에서 검사가 수행 중일 때에는(512의 예), 수신된 검사 오더를 신규 오더 큐(202)에 대기시킨다(516). 이 상태에서 수행 중이던 검사가 완료되어 대기 상태로 전환된 검사 장치(106)가 발생하면(518의 예), 신규 오더 큐(202)에 대기 중이던 검사 오더를 대기 상태의 검사 장치(106)로 전송한다(520). 신규 오더 큐(202)에서 검사 장치(106)로의 검사 오더의 전송은 선입선출(First In First Out, FIFO) 방식을 이용하거나 또는 각각의 검사 오더에 부여되어 있는 우선순위를 따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의 검사 장치에서 검사가 완료되었을 때의 검사 결과 및 상태 정보의 처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격 오더 관리자(104)는 검사 장치(106)에서 검사가 완료되면 검사 장치(106)로부터 검사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와 검사 결과를 수신한다(602). 장치 상태 모니터(212)는 검사가 완료된 해당 검사 장치(106)의 상태를 대기 상태로 변경하고, 이를 반영하여 장치 상태 버퍼(210)의 내용을 업데이트한다(604). 대기 상태의 검사 장치(106)가 발생하였으므로, 원격 오더 관리자(104)는 원격 오더 스케줄러(204)를 통해 신규 오더 큐(202)에 대기 중인 검사 오더를 인출하여 현재 분석 오더 큐(206)에 입력하고, 해당 검사 오더를 대기 상태의 검사 장치(106)로 전송하여 배정한다(606). 이 때 신규 오더 큐(202)에서 검사 장치(106)로의 검사 오더의 전송은 선입선출(First In First Out, FIFO) 방식을 이용하거나 또는 각각의 검사 오더에 부여되어 있는 우선순위를 따를 수 있다. 검사 장치(106)는 새롭게 배정된 검사 오더에 대응하는 검사를 시작하면서 검사 장치(106) 자신의 상태 정보를 '검사 중' 상태로 변경하여 원격 오더 관리자(104)로 전송하는데, 원격 오더 관리자(104)는 장치 상태 모니터(212)를 통해 검사 장치(106)로부터 이 변경된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장치 상태 버퍼(210)의 내용을 업데이트한다(608). 검사 장치(106)에서의 검사가 완료되었으므로, 원격 오더 관리자(104)는 검사 결과 관리자(208)를 통해 해당 검사 결과를 데이터베이스(104)에 저장하고, 해당 검사 장치(106)에 검사 완료가 확인되었음을 통보한다(61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에서 검사 장치의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격 오더 관리자(104)는 장치 상태 모니터(212)를 통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검사 장치(106)의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한다.
원격 오더 관리자(104)는 먼저 장치 상태 모니터(212)를 통해 각 검사 장치(106)로부터 주기적으로 상태 정보를 수집한다(702). 이와 같이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장치 상태 버퍼(210)의 내용을 업데이트한다(704). 만약,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이 동작에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응답하지 않는 검사 장치(106)가 존재하면, 해당 검사 장치(106)의 상태 정보를 <장애>로 변경한다(706). 또한, 이를 원격 오더 스케줄러(204)에게 통보하여 해당 검사 장치(106)로는 검사 오더를 배정하지 않도록 조치한다(708).

Claims (32)

  1. 검사 오더를 발생시키는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검사 오더를 수신하여 해당 검사를 수행하는 검사 장치와;
    상기 검사 장치에서 발생한 검사 오더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검사 오더에 대응하는 검사 장치로 배정하고, 상기 검사 장치로부터 검사 결과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원격 오더 관리자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오더 관리자는,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검사 오더가 최초로 저장되는 신규 오더 큐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오더 큐는, 상기 원격 오더 관리자의 메모리 상에 존재하는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오더 큐는, 상기 검사 장치의 종류와 같은 수의 큐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오더 관리자는,
    상기 검사 장치에서 진행되고 있는 검사 오더들의 리스트를 관리하는 현재 분석 오더 큐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분석 오더 큐는, 상기 검사 장치에서 해당 검사가 완료되면 상기 검사에 대응하는 검사 오더가 제거되고 상기 신규 오더 큐에 보관되어 있는 새로운 검사 오더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오더 큐는, 상기 검사 장치의 종류와 같은 수의 큐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오더 큐의 각각의 큐는 단일 종류의 검사에 대응하는 모든 검사 장치의 수와 같은 수의 엔트리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오더 관리자는,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검사 오더를 수신하여 상기 신규 오더 큐 또는 상기 현재 분석 오더 큐에 저장하여 대기하도록 하는 원격 오더 스케줄러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오더 스케줄러는, 상기 현재 분석 오더 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면서 상기 신규 오더 큐의 검사 오더를 상기 현재 분석 오더 큐로 옮기는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오더 관리자는,
    상기 검사 장치에서 검사가 완료된 후 상기 검사 해당 검사 장치결과로부터 전송되는 검사 결과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달하는 검사 결과 관리자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결과 관리자는, 상기 검사 결과를 수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오더 관리자는,
    상기 검사 장치의 현재 상태를 알 수 있도록 상기 검사 장치 각각의 상태 정보를 보관하는 장치 상태 버퍼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상태 버퍼가 상기 검사 장치와 같은 수의 버퍼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상태 버퍼의 각각의 버퍼는, 단일 종류의 검사에 대응하는 모든 검사 장치의 수와 같은 수의 엔트리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장치의 상태 정보는,
    검사 장치 ID 필드와 상태 필드, 로컬 작업 No. 필드, 높은 우선 순위 로컬 작업 NO. 필드, 품질 제어 필드, 잔여 검사 시간 필드, 검사자 필드, 검사 종류 필드, 검사 정책 필드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검사 장치 ID 필드는, 상기 검사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의 ID(Identification)를 나타내는 필드인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필드는, 상기 검사 장치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필드인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필드는,
    상기 검사 장치의 현재 상태를 '대기 중(idle)'과 '검사 중(analyzing)', '이상(abnormal)', '장애(disable)'를 포함하는 기준을 적용하여 구분하는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검사 NO. 필드는, 상기 검사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 생성되어 상기 검사 장치(106) 내에서 대기 중인 로컬 검사 오더의 수를 나타내는 필드인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은 우선 순위 로컬 작업 NO. 필드는, 상기 검사 장치 내에서 대기 중인 상기 검사 오더 가운데 우선 순위가 높은 검사 오더의 수를 나타내는 필드인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 제어 필드는, 상기 검사 장치의 품질 관리 빈도와 시기 등을 나타내는 필드인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
  23.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 검사 시간 필드는, 상기 검사 장치에서 현재 수행되고 있는 검사 오더의 완료 시간까지의 잔여 시간을 나타내는 필드인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
  24.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자 필드는, 상기 검사 장치에서 검사를 수행하는 검사자(operator)를 나타내는 필드인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
  25.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종류 필드는, 해당 검사의 종류를 나타내는 필드인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
  26.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정책 필드는, 상기 검사 장치에서 자체적으로 발생한 로컬 검사 오더와 상기 단말 장치에서 발생하여 상기 검사 장치로 전송된 상기 검사 오더 가운데 어느 것을 우선적으로 처리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필드인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
  2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오더 관리자는,
    상기 검사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장치 상태 버퍼의 내용을 업데이트하는 장치 상태 모니터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장치는 상기 검사 장치 자신의 상태가 변경되면 변경된 상태가 반영된 상태 정보를 상기 장치 상태 모니터로 전송하여 상기 검사 장치 자신의 상태가 변경되었음을 통보하는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
  2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의료진이 상기 검사 오더를 발생시키는 장치인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
  3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장치는 의료 행위와 관련된 검사를 수행하는 장치인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
  3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원격 오더 관리자가 각각 독립된 장치로서 구비되는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
  3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원격 오더 관리자의 기능을 겸하도록 하나의 장치로서 구비되는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
KR1020100008696A 2010-01-29 2010-01-29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 KR101528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696A KR101528728B1 (ko) 2010-01-29 2010-01-29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
US13/013,161 US20110191065A1 (en) 2010-01-29 2011-01-25 Network-based medical treatment system
CN2011100293704A CN102143221A (zh) 2010-01-29 2011-01-27 基于网络的医疗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696A KR101528728B1 (ko) 2010-01-29 2010-01-29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948A true KR20110088948A (ko) 2011-08-04
KR101528728B1 KR101528728B1 (ko) 2015-06-15

Family

ID=44342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8696A KR101528728B1 (ko) 2010-01-29 2010-01-29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10191065A1 (ko)
KR (1) KR101528728B1 (ko)
CN (1) CN10214322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88530A (zh) * 2011-11-16 2012-06-13 深圳市理邦精密仪器股份有限公司 一种产科超声检测方法及系统
CN103876836B (zh) * 2012-12-20 2017-08-22 上海联影医疗科技有限公司 检查队列控制方法及其控制装置
CN104158914A (zh) * 2014-09-10 2014-11-19 航天神舟生物科技集团有限公司 面向家庭的远程尿液检测与健康咨询服务系统及方法
CN107209918B (zh) * 2015-01-28 2020-11-13 奥林巴斯株式会社 检查业务辅助系统
CN105721216A (zh) * 2016-02-29 2016-06-29 浪潮通信信息系统有限公司 一种网管设备管理的方法和装置
CN107864003A (zh) * 2017-12-27 2018-03-30 成都博高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用LoRa无线技术实现通信的公网中继器
CN111710403B (zh) * 2020-06-10 2024-04-09 深圳市好克医疗仪器股份有限公司 医疗设备的监管方法、设备及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33780B2 (en) * 1999-10-22 2011-04-26 Telaric,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infusion pump or the like
CN1278630A (zh) * 2000-08-11 2001-01-03 孙德尉 掌上远程医疗装置
US20050114178A1 (en) * 2003-11-26 2005-05-26 Anand Krishnamurthy Method for processing a workflow for automated patient scheduling in a hospital information system
US20070179567A1 (en) * 2006-01-30 2007-08-02 Gennaro Chris J Customer-specific follow-up frequency
JP4409592B2 (ja) * 2006-10-11 2010-02-03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医療業務支援システム
JP4979334B2 (ja) * 2006-10-18 2012-07-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医用画像読影支援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090085114A (ko) * 2006-11-21 2009-08-06 백스터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주입 요법의 원격 모니터링 및/또는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08075526A1 (ja) * 2006-12-19 2008-06-26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医用画像管理システム
DE102007011421A1 (de) * 2007-03-08 2008-09-25 Siemens Ag Verfahren zur Ermöglichung einer Verfolgung einer Untersuchung oder Behandlung eines Patienten mittels einer bildgebenden Untersuchungseinrichtung
US9501619B2 (en) * 2008-11-13 2016-11-22 Cerner Innovation, Inc. Integrated medication and infusion monitoring system
US9792660B2 (en) * 2009-05-07 2017-10-17 Cerner Innovation, Inc. Clinician to device associ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43221A (zh) 2011-08-03
US20110191065A1 (en) 2011-08-04
KR101528728B1 (ko) 2015-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8728B1 (ko) 네트워크 기반 의료 시스템
O’neill et al. Active reprioritization of the reading worklis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has a beneficial effect on the turnaround time for interpretation of head CT with intracranial hemorrhage
CN102243692A (zh) 医疗会议系统及方法
JP2021505848A (ja) 生体アッセイを効率的に実施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CN107683509A (zh) 护理现场测试poct系统
WO2012124265A1 (ja) スケジュール提示装置
JP2011019905A (ja) モジュール式イメージング・システムに使用するためのアプリケーション・サーバ
JP7313890B2 (ja) 医用情報処理装置及び医用情報処理方法
US20150227463A1 (en) Precaching of responsive information
JP2014071591A (ja) 診療予約受付装置
EP3799075A1 (en) Advanced medical imaging in distributed setup
JP6993425B2 (ja) 検査情報表示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435882B2 (ja) 業務連携支援装置及び方法、部門システム、並びに医用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1606027B1 (ko) 우선순위가 고려된 검사예약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10267042A (ja) 医療データ管理システム
WO2020129361A1 (ja) 診療支援装置及び診療支援システム
JP4127725B2 (ja) 病院業務の処理時間予測システム
JP2009134424A (ja) 医療検査支援システム及び医療検査支援方法
JP201910167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17121114A (zh) 在放射操作指挥中心(rocc)结构内对专家用户的检查分配任务进行工作量平衡
JP6110824B2 (ja) 医療資源紹介装置、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医療資源紹介装置の作動方法
JP6844181B2 (ja) 検体管理プログラム、検体管理装置および検体管理方法
WO2021172495A1 (ja) 医用情報処理装置、医用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383790B2 (ja) サーバ装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4065567A (ja) 医用情報処理装置及び医用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