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8290A - 거푸집 - Google Patents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8290A
KR20110088290A KR1020100008134A KR20100008134A KR20110088290A KR 20110088290 A KR20110088290 A KR 20110088290A KR 1020100008134 A KR1020100008134 A KR 1020100008134A KR 20100008134 A KR20100008134 A KR 20100008134A KR 20110088290 A KR20110088290 A KR 20110088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formwork
fitting
blocks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8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7778B1 (ko
Inventor
이승재
배시웅
정민호
문인주
Original Assignee
코오롱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8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778B1/ko
Publication of KR20110088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00Shrinkage connections, e.g. assembled with the parts at different temperature; Force fits; Non-releasable friction-grip fastenings
    • F16B4/004Press fits, force fits, interference fits, i.e. fits without heat or chemical trea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28Shapes rectang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토목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소정의 형태 및 치수로 만들기 위하여 일시 설치하는 가시설 구조물인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벽체 형태로 축조되는 복수의 블록(100)들을 포함하며; 상기 각 블록(100)에는 그 블록(100)의 연접 블록(100)과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거푸집을 제시한다.

Description

거푸집{FORM}
본 발명은 건설,토목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소정의 형태 및 치수로 만들기 위하여 일시 설치하는 가시설 구조물인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패널에 의해 기둥, 바닥, 벽 등 콘크리트를 부어 만들 모양으로 틀을 짠 후 콘크리트를 부어 넣고 굳은 뒤 이 틀을 떼어내는데, 이 틀을 거푸집이라고 한다. 떼어낸 거푸집은 재사용이 가능하다.
거푸집은 소재에 따라 분류될 수 있으며, 초기에는 콘크리트 거푸집용 합판을 많이 사용하였고 최근에는 공사에 따라 경질섬유판, 합성수지재, 알루미늄패널, 강판도 사용하고 있다.
또한 거푸집은 형식에 따라, 일반거푸집, 유로폼(Euroform), 슬라이딩폼, 수직이동 거푸집, 테이블 거푸집, 터널식 거푸집, 와플거푸집, 트레블링 거푸집 등이 있다.
이와 같은 거푸집은 특히 측벽부분이 콘크리트의 측압에 의해 큰 하중을 받기 때문에, 거푸집의 안정성 확보 등을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10)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타이 케이블(tie cable)이나 지지대(20)와 함께 설치된다. 미설명 도면부호 '30'은 콘크리트 구조물이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거푸집(10)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첫째, 거푸집(10)의 후방에 타이 케이블이나 지지대(20)를 설치함에 따라서, 타이 케이블이나 지지대(20)를 설치하기 위한 면적까지 공사면적이 넓게 확보해야된다.
둘째, 거푸집(10)의 후방에 타이 케이블이나 지지대(20)를 설치함에 따라서, 거푸집(10)의 설치 및 해체작업이 복잡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셋째, 다수의 패널들에 의해 거푸집(10)을 짜는데, 이때 다수의 패널들 간 상호 체결지점(10a)이 상하,좌우에 각각 여러개이기 때문에 거푸집(10)의 설치 및 해체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넷째, 다수의 패널들의 체결작업 간소화를 위해, 각 패널들을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하는데, 이 때문에 패널들의 크기 및 중량이 상당하여 운반 및 설치,해체작업이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체만으로 콘크리트 측압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구조이며, 설치 및 해체작업이 보다 간소해질 수 있는 거푸집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벽체 형태로 축조되는 복수의 블록(100)들을 포함하며; 상기 각 블록(100)에는 그 블록(100)의 연접 블록(100)과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블록(100)의 끼움 결합부는 복수의 블록(100)이 끼움부재(300)에 의해 결속될 수 있도록 상기 끼움부재(300)가 끼워지는 끼움홀(104,10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각 블록(100)의 끼움홀(104,105)은 상기 거푸집의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끼움홀(104) 및, 상기 거푸집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끼움홀(10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끼움부재(300)는 중공이 형성된 중공형일 수 있다.
상기 각 블록(100)의 끼움 결합부는 연접 블록(100)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106) 및, 연접 블록(100)의 돌출부(106)가 끼워지는 끼움홈(10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06)는 상기 끼움홈(107)에 연결되는 홀에 설치되며, 상기 끼움홈(107)에 연결되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록(100) 복수에 끼워질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06)의 중공에 끼워지는 끼움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블록(100)은, 상기 끼움 결합부가 형성된 본체부(110) 및, 상기 거푸집의 타설면을 이루도록 상기 본체부(110)에 탈부착 가능토록 결합되는 타설면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푸집의 타설면을 이루도록 상기 복수의 블록(100)에 탈부착 가능토록 결합된 타설면부재(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블록(100)은 내부에 채움재(200)가 채워지는 공간부(102)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블록쌓기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타이 케이블이나 지지대 등의 거치 구조물 없이 설치 가능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거푸집의 설치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이하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도 2는 제1실시 예의 일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상태 도면.
도 5는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제2실시 예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6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8의 분해 상태 도면.
도 10은 도 8과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제4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제4실시 예의 정면도.
도 12는 제5실시 예의 블록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분해 상태 도면.
도 14는 도 12의 D-D선에 따른 단면도.
도 15는 제6실시 예의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E-E선에 따른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이하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거푸집은 기본적으로 복수의 블록(100)들이 벽체 형태로 축조되어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각 블록(100)에 그 블록(100)의 연접 블록(100)과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복수의 블록(100)들을 벽체 형태로 축조하여 거푸집 형태를 만들고, 축조된 복수의 블록(100)들을 끼움 결합부에 의해 상호 끼움 결합시켜서 복수의 블록(100)들을 전체적으로 고정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첫째, 패널은 자체만으로 세워놓을 수 없지만 블록(100)은 자체만으로도 넘어지지 않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블록(100)들을 끼움 결합부에 의해 일체로 고정하기 때문에 블록(100)이 패널보다는 구조적으로 더 안정적이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거푸집 자체 구조만으로도 충분히 콘크리트 측압을 견딜 수 있다. 따라서, 거푸집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타이 케이블이나 지지대 등의 부수적인 부재를 더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거푸집 설치 면적에 추가로 더 공사면적을 확보하지 않아도 되며, 거푸집의 후방 공간 활용이 가능하여 기타 안전시설물 설치가 용이하다.
둘째, 상술한 바와 같이 타이 케이블이나 지지대 등의 부수적인 부재를 더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작업이 신속하고 간소해질 수 있다.
셋째, 블록(100) 개개 단위로 제작되어 운반 및 거푸집의 설치, 해체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우수하며, 대형의 패널에 비해 넓은 운반로가 요구되지 않는다.
넷째, 복수의 블록(100)들을 쌓아서 끼움 결합에 의해 상호 결합하기 때문에 블록(100)들 간 체결지점이 패널형보다는 현격히 줄어듦으로써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작업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다섯째, 복수의 블록(100)들을 끼움 결합에 의해 상호 결합하며 블록(100)이 패널보다는 구조적으로 견고하기 때문에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작업을 여러번 반복하여도 블록(100)의 손상이 거의 없어 재사용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거푸집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 예는 다음과 같다.
복수의 블록(100)들은 모두 동일하게 한 종류로 형성될 수도 있고, 모두 형태는 같으나 여러가지 규격으로 형성되는 등, 형태 및 규격 등에 따라 복수 종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복수의 블록(100)들은 여러가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운반 및 설치, 해체작업의 용이성 등을 위해 경량재(예컨대, 목재, 플라스틱, 알루미늄)로 형성될 수 있다.
각 블록(100)은 도 2 내지 도 11, 도 15,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진 일체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 이상의 부재들에 의해 분리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분리형 구조의 블록(100)은, 끼움 결합부가 형성된 본체부(110) 및, 거푸집의 타설면을 이루도록 본체부(110)의 전방에 탈부착 가능토록 결합된 타설면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거푸집의 타설면이란, 거푸집에 의해 형성된 타설공간 측 면, 즉 콘크리트가 닿는 내측면이다. 따라서, 해체 작업 등으로 인해, 타설면부재(120)가 손상되거나 오염되었을 때, 타설면부재(120)의 부분 교체만으로 간단하게 블록(100)이 보수될 수 있다. 타설면부재(120)는 본체부(110)에 여러가지 방식으로 탈부착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타설면부재(120)는 하나의 블록(100)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대신, 복수의 블록(100)들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복수의 블록(100)들에 동시에 탈부착 가능토록 결합될 수도 있다.
블록(100)은 도 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꽉 찬 솔리드(solid)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100)은 내부에 채움재(200)가 채워지는 공간부(10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공간부(102)는 채움재(200)를 넣고 뺄 수 있도록 외부에 연통되는 입구홀(102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과 같은 경우, 블록(100)은 내부가 빈 만큼 재료비가 줄어들 수 있어서 저가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고, 채움재(200)가 없으면 블록(100)이 매우 가벼워지기 때문에 제작 및 운반, 조립이 용이해질 수 있고, 채움재(200)를 채워넣으면 채움재(200)에 의해 블록(100)이 무거워질 수 있기 때문에 견고한 거푸집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채움재(200)는 블록(100)에 넣고 빼기 용이하면서 비용이 들지 않도록, 물이나 모래 등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블록(100)들은 각 블록(100)들의 형태나 크기 등에 따라서 여러가지 구조로 축조될 수 있으며, 보다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축조되기 위해서는 엇쌓기 방식으로 축조될 수 있다.
각 블록(100)의 끼움 결합부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첫째,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블록(100)의 끼움 결합부는 복수의 블록(100)에 연속적으로 끼워져서 복수의 블록(100)들을 일체로 결속하는 끼움부재(300)가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홀(104,105)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블록(100)들을 쌓은 후, 끼움부재(300)로 한번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소수의 끼움부재(300)들에 의해 복수의 블록(100)들을 전체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블록(100)의 체결작업공수가 현격히 줄어듦으로써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작업이 간소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블록(100)을 하나씩 쌓을 때마다 블록(100)과 블록(100)을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아니고, 복수의 블록(100)들을 쌓은 후 한번에 끼움 결합에 의해 고정시키기 때문에,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작업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구조물의 형태나 크기에 따라 거푸집을 이루는 복수의 블록(100)들을 모두 쌓은 후 끼움부재(300)를 끼워넣을 수도 있고, 일부 블록(100)들을 쌓아서 고정한 후 또 일부 블록(100)들을 쌓고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블록(100)들이 엇쌓기 방식으로 축조된 경우와 같이 상하방향 끼움 결합만으로도 상하,좌우방향(즉 거푸집의 높이방향, 폭방향)으로 모두 상호 고정될 수 있다면, 각 블록(100)의 끼움홀(104,105)은 복수의 블록(100)들이 상호 상하방향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상하 관통된 제1끼움홀(104)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복수의 블록(100)들이 상하방향은 물론 좌우방향으로도 상호 끼움 결합되는 것이, 보다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복수의 블록(100)들의 축조방식에 제한받지 않는 바, 각 블록(100)의 끼움홀(104,105)은 제1끼움홀(104) 및, 좌우 형성된 제2끼움홀(105)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할 수 있다.
이때, 상하관통홀 및 좌우관통홀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끼움홀(104)이 거푸집의 전방 측에 형성되고 제2끼움홀(105)이 거푸집의 후방 측에 형성되거나 이와 반대로 전후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제1끼움홀(104) 및 제2끼움홀(105)은 블록(100)의 형상이나 크기, 블록(100)의 축조방식 등에 따라서 하나 또는 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끼움부재(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경량화 및 비용 절감을 위해 중공이 형성된 중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블록(100)의 끼움홀(104,105)에 끼워질 수 있다면 중공이 없는 솔리드(solid)형도 무방하다.
둘째,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블록(100)의 끼움 결합부는 연접 블록(100)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106) 및, 연접 블록(100)의 돌출부(106)가 끼워지는 끼움홈(10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돌출부(106)는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100)의 본체부(110)와 별도로 형성된 후 접착제 등에 의해 일체로 결속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돌출부(106)는 끼움홈(107)에 연결되는 홀(108)에 설치되며, 끼움홈(107)에 연결되는 중공(106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블록(100)들이 보다 견고하게 상호 결속될 수 있도록, 블록(100) 복수에 끼워질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어 돌출부(106)의 중공에 끼워지는 끼움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06)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에 돌기처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은 교량의 슬래브 등 건설,토목 구조물 형성이나 안전난간 설치를 위한 거푸집 본래의 용도는 물론, 방음벽, 교통차단이나 작업장 차단 등을 위한 펜스(fence) 등으로 활용 가능하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블록 102; 공간부
104; 제1끼움홀 105; 제2끼움홀
106; 돌출부 107; 끼움홈
110; 본체부 120; 타설면부재
200; 채움재 300; 끼움부재

Claims (10)

  1. 벽체 형태로 축조되는 복수의 블록(100)들을 포함하며;
    상기 각 블록(100)에는 그 블록(100)의 연접 블록(100)과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거푸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블록(100)의 끼움 결합부는 복수의 블록(100)이 끼움부재(300)에 의해 결속될 수 있도록 상기 끼움부재(300)가 끼워지는 끼움홀(104,10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거푸집.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 블록(100)의 끼움홀(104,105)은 상기 거푸집의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끼움홀(104) 및, 상기 거푸집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끼움홀(10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거푸집.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재(300)는 중공이 형성된 중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거푸집.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블록(100)의 끼움 결합부는 연접 블록(100)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106) 및, 연접 블록(100)의 돌출부(106)가 끼워지는 끼움홈(10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거푸집.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06)는 상기 끼움홈(107)에 연결되는 홀에 설치되며, 상기 끼움홈(107)에 연결되는 중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거푸집.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블록(100) 복수에 끼워질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06)의 중공에 끼워지는 끼움부재(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거푸집.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블록(100)은, 상기 끼움 결합부가 형성된 본체부(110) 및, 상기 거푸집의 타설면을 이루도록 상기 본체부(110)에 탈부착 가능토록 결합되는 타설면부재(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거푸집.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의 타설면을 이루도록 상기 복수의 블록(100)에 탈부착 가능토록 결합된 타설면부재(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거푸집.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블록(100)은 내부에 채움재(200)가 채워지는 공간부(10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거푸집.
KR1020100008134A 2010-01-28 2010-01-28 거푸집 KR101187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134A KR101187778B1 (ko) 2010-01-28 2010-01-28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134A KR101187778B1 (ko) 2010-01-28 2010-01-28 거푸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290A true KR20110088290A (ko) 2011-08-03
KR101187778B1 KR101187778B1 (ko) 2012-10-04

Family

ID=44926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8134A KR101187778B1 (ko) 2010-01-28 2010-01-28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7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50279A (zh) * 2019-08-13 2019-11-15 中交第四航务工程局有限公司 一种用于浇筑全断面预制混凝土的干坞系统及布置方法
KR20200054504A (ko) * 2018-11-12 2020-05-20 김태명 조립식 벽돌 세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5620B2 (ja) * 1999-05-20 2002-02-12 稲葉 佳江 建築用基礎型枠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4504A (ko) * 2018-11-12 2020-05-20 김태명 조립식 벽돌 세트
CN112996967A (zh) * 2018-11-12 2021-06-18 金太明 组装式砖套
US11566420B2 (en) 2018-11-12 2023-01-31 Tai-Myong Kim Assembly-type brick set
CN110450279A (zh) * 2019-08-13 2019-11-15 中交第四航务工程局有限公司 一种用于浇筑全断面预制混凝土的干坞系统及布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7778B1 (ko) 201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7001B1 (ko) 철근을 이용한 스틸 박스 거더 교량의 슬래브 시공 공법
US20140361144A1 (en) Formwork panel
KR101588593B1 (ko) 가교의 시공방법
KR200481707Y1 (ko) 거푸집 겸용 외장벽판
KR101889644B1 (ko) 보 바닥 형성용 거푸집 패널
KR100924652B1 (ko) 허니콤부재를 이용한 토건용 거푸집 패널
KR100893765B1 (ko) 슬래브 거푸집의 지지구조
JP6860167B2 (ja) ボックスカルバートの構築方法、及びボックスカルバート
KR101187778B1 (ko) 거푸집
KR101098998B1 (ko) 재활용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철골보 접합기구 및 이를 이용한 철골보 접합방법
JP5697480B2 (ja) 推進工法の支圧壁及び支圧壁の施工方法並びに積層用ピース
CN104805931A (zh) 一种房屋建筑集成组装墙体及组装方法
JP5532468B1 (ja) スラブ内の型枠支持部材
KR101041435B1 (ko) 아치형 슬라브용 일체형 거더를 이용한 슬라브 구조체
JP6039186B2 (ja) 壁高欄の型枠
KR20180089808A (ko) 벽 단부 형성용 거푸집 패널
KR200477823Y1 (ko) 콘크리트 건축물 시공용 필러폼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연결구조
JP5872332B2 (ja) 建物の耐震補強方法
KR101346671B1 (ko) 간격재를 이용한 pc보와 수직부재의 접합부 핀접합 구조
KR200303949Y1 (ko) 콘크리트 슬라브 시공용 데크지지대
KR20120020758A (ko) 콘크리트 건물의 건축공법
CN210659251U (zh) 含钢筋笼免拆成型梁模板及模板结构
KR20170113783A (ko) 철근이 부착된 거푸집 일체형 벽체구조
KR20160050516A (ko) 가설 브라켓과 장스팬용 데크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 시스템의 역타 공사 방법
KR20050112913A (ko) 벽 및 슬라브 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