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7983A - 집광장치 - Google Patents

집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7983A
KR20110087983A KR1020100007681A KR20100007681A KR20110087983A KR 20110087983 A KR20110087983 A KR 20110087983A KR 1020100007681 A KR1020100007681 A KR 1020100007681A KR 20100007681 A KR20100007681 A KR 20100007681A KR 20110087983 A KR20110087983 A KR 20110087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moving
unit
power transmission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7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9778B1 (ko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7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9778B1/ko
Publication of KR20110087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7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9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9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02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thereof, e.g. convey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bucket-arms, i.e. a pair of ar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 geometry, material of bucket-arms directly pivoted on the frames of tractors or self-propelled mach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30Auxiliary apparatus, e.g. for thawing, cracking, blowing-up, or other preparatory treatment of the s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집광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적재물을 집광하는 삽날부; 및 적재물을 삽날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재물 집광시 적재물이 삽날부 측으로 이송되도록 이송장치를 동작시켜 삽날부에 적재물이 담겨지는 효율을 높임으로써, 집광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작업횟수를 절감하여 집광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집광장치{APPARATUS FOR COLLECTING ORE}
본 발명은 집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 등에 적재된 적재물을 집광하는 집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공장에서 고로 조업시 원료 또는 연료로 사용되는 철광석과 석탄은 통상 선박으로 수송되어 부두에서 하역작업을 거친 후, 벨트 컨베이어 등의 운송설비를 통하여 공장의 야적장까지 운송된다.
이와 같이 선박에서 적재물을 하역시키는 설비를 하역장치(Unloader)라 하며, 특히 버킷(Bucket)이 엘리베이터형으로 연속적으로 적재물을 굴삭하여 하역시키는 형태의 하역장치를 연속식 하역장치라고 한다.
상기와 같은 연속식 하역장치에 의해 적재물이 어느 정도 하역되어 홀드 내 적재물의 잔존량이 적어지게 되면, 버킷에 밀려 홀드의 벽면 측에 잔재된 적재물을 페이로더(Pay loader)를 이용하여 홀드의 중앙 부분으로 집광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하역효율을 향상시키고 안전사고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집광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집광장치는: 적재물을 집광하는 삽날부; 및 상기 적재물을 상기 삽날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삽날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장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이송구동부와; 상기 이송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동되어 상기 적재물을 상기 삽날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이송구동부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제1회전부재와; 상기 제1회전부재와 연동되어 무한궤도를 따라 회전하며 상기 이송부를 이동시키는 동력전달부재; 및 상기 제1회전부재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회전을 안내하는 제2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적재물을 상기 삽날부 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위치와 비이송위치로 상기 이송장치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삽날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송장치와 연결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송장치가 상기 이송위치와 상기 비이송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부재를 구동시키는 이동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구동부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은 상기 이송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이동부재의 타측은 상기 유압실린더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삽날부를 승강시키는 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집광장치에 따르면, 적재물 집광시 적재물이 삽날부 측으로 이송되도록 이송장치를 동작시켜 삽날부에 적재물이 담겨지는 효율을 높임으로써, 집광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작업횟수를 절감하여 집광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시 집광시 작업자가 적재물을 직접 삽으로 퍼서 삽날부에 담거나 밀대를 이용하여 삽날부에 밀어 넣어줄 필요가 없으므로, 하역효율을 향상시키고, 안전사고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광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송장치의 이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송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광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이송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집광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광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송장치의 이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송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광장치(100)는 삽날부(110)와, 이동부(120) 및 이송장치(130)를 포함한다.
삽날부(110)는 페이로더(Pay loader) 등과 같은 장비(10)의 전방 측에 구비된다. 이러한 삽날부(110)는 붐부재(101)와 연결된다. 붐부재(101)는 삽날부(110)를 장비(10)와 연결시키며, 삽날부(110)를 승강시킨다. 또한, 삽날부(110)는 장비(10)에 설치되는 아암(105)과 연결되며, 아암(105)의 구동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삽날부(110)는 내부에 적재공간(부호생략)이 형성되고 전방 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삽날부(110)는 장비(10)와 함께 이동되면서 적재물을 적재공간에 담은 후, 적재물이 집광될 위치, 예를 들면 선박의 홀드(1)의 중앙 부분에 담은 적재물을 쏟아내어 적재물을 집광한다.
이동부(120)는 후술할 이송장치(130)를 이송위치와 비이송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이동부(1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121)와 이동구동부(12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송위치는 이송장치(130)가 홀드(1)의 바닥면에 잔재된 적재물과 접촉되어 적재물을 삽날부(110) 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위치인 것으로 예시되며(도 2 참조), 비이송위치는 이송장치(130)가 이송위치에서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홀드(1)의 바닥면에 잔재된 적재물과 접촉되지 않는 위치인 것으로 예시된다(도 1 참조).
이동부재(121)는 삽날부(1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송장치(130)와 연결된다. 그리고 이동구동부(125)는 이송장치(130)가 이송위치와 비이송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이동부재(121)를 구동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구동부(125)는 유압실린더(부호생략)를 포함한다. 또한, 이동부재(121)의 일측은 이송장치(130)의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13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이송장치(130)와 연결되며, 타측은 이동구동부(125)의 유압실린더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부재(121)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일측과 타측의 사이 부분이 삽날부(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이동부재(121)는 이동구동부(125)의 동작에 의해 타측이 상승될 경우 이송장치(130)와 연결된 일측이 하강되어 이송장치(130)를 이송위치로 하강시킨다. 또한, 이동부재(12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구동부(125)의 동작에 의해 타측이 하강될 경우 이송장치(130)와 연결된 일측이 상승되어 이송장치(130)를 비이송위치로 상승시킨다.
이송장치(130)는 적재물을 삽날부(110) 측으로 이송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이송장치(130)는 삽날부(110)에 구비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구동부(140)와, 동력전달부(150) 및 이송부(160)를 포함한다.
이송구동부(140)는 이송장치(130)를 구동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이송구동부(140)는 프레임(135)에 설치되는 구동모터(부호생략)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135)은 내부가 관통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동력전달부(150)는 이송구동부(140)로부터 동력을 전달한다. 이러한 동력전달부(150)는 제1회전부재(152)와, 동력전달부재(154) 및 제2회전부재(156)를 포함한다.
제1회전부재(152)는 이송구동부(140)에 연동되어 회전된다. 제1회전부재(152)는 프레임(135)에 설치되어 이송구동부(140)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회전부재(152)는 한 쌍이 구비되며, 각각의 제1회전부재(152)는 이격되게 배치되어 프레임(13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한 쌍의 제1회전부재(152)는 회전축(부호생략)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이송구동부(140)와 연결된 어느 하나의 제1회전부재(152)가 회전되면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회전부재(152)는 스프라켓(Sprocket)인 것으로 예시된다.
동력전달부재(154)는 제1회전부재(152)에 연동되어 무한궤도를 따라 회전되며 이송부(160)를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동력전달부재(154)는 한 쌍이 구비되며, 각각의 동력전달부재(154)는 이격되게 배치된 제1회전부재(152)에 각각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동력전달부재(154)는 스프라켓에 맞물려 회전되는 체인(Chain)인 것으로 예시된다.
제2회전부재(156)는 제1회전부재(152)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동력전달부재(154)의 회전을 안내한다. 제2회전부재(156)는 한 쌍이 구비되며, 각각의 제2회전부재(156)는 이격되게 배치되어 프레임(13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회전부재(156)는 스프라켓(Sprocket)인 것으로 예시된다.
이송부(160)는 동력전달부(150)에 연동되어 적재물을 삽날부(110) 측으로 이송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부(160)는 동력전달부재(154)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가 설치된다. 이러한 복수의 이송부(160)는 동력전달부재(154)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제1회전부재(152) 및 제2회전부재(154)의 하부에서 삽날부(110)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적재물을 삽날부(110) 측으로 밀어 이송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광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이송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집광장치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장치(100)가 비이송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장치(100)가 이송위치로 이동되도록 이동부(120)를 동작시키면, 이동구동부(125)의 동작에 의해 이동부재(121)는, 이송장치(130)와 연결된 일측이 하강되도록 회동된다. 이에 따라 이송장치(1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위치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이송위치로 이동된 이송장치(130)는 장비(10)를 따라 이동되면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드(1) 바닥면에 잔재된 적재물을 삽날부(110) 측으로 이송시킨다. 구체적으로, 이송구동부(140)가 동작되어 이송장치(130)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면, 발생된 동력은 동력전달부(150)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제1회전부재(152)는 이송구동부(140)에 연동되어 회전되고, 동력전달부재(154)는 제1회전부재(152)에 연동되어 무한궤도를 따라 회전되며, 제2회전부재(156)는 동력전달부재(154)의 회전을 안내한다.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동력전달부(150)에 설치되는 복수의 이송부(160)는, 동력전달부재(154)을 따라 이동되면서 홀드(1) 바닥면에 잔재된 적재물을 밀어 삽날부(110) 측으로 이송시킨다. 이에 따라 홀드(1)의 바닥면에 잔재된 적재물은 이송부(160)에 의해 삽날부(110) 측으로 이송되어, 장비(10) 이동시 삽날부(110)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밀려나지 않고, 삽날부(110) 내부의 적재공간에 담기게 된다.
이처럼 삽날부(110)에 담긴 적재물은 장비(10)에 의해 이동되어 적재물이 집광될 위치, 예를 들면 선박의 홀드(1)의 중앙 부분에 쏟아내어져 집광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집광장치(100)는, 적재물 집광시 적재물이 삽날부(110) 측으로 이송되도록 이송장치(120)를 동작시켜 삽날부(110)에 적재물이 담겨지는 효율을 높임으로써, 집광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작업횟수를 절감하여 집광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이송장치(100)는 집광시 작업자가 적재물을 직접 삽으로 퍼서 삽날부(110)에 담거나 밀대를 이용하여 삽날부(110)에 밀어 넣어줄 필요가 없으므로, 하역효율을 향상시키고, 안전사고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집광장치 110 : 삽날부
120 : 이동부 130 : 이송장치
140 : 이송구동부 150 : 동력전달부
152 : 제1회전부재 154 : 동력전달부재
156 : 제2회전부재 160 : 이송부

Claims (8)

  1. 적재물을 집광하는 삽날부; 및
    상기 적재물을 상기 삽날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삽날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이송구동부;
    상기 이송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동되어 상기 적재물을 상기 삽날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광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이송구동부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제1회전부재;
    상기 제1회전부재와 연동되어 무한궤도를 따라 회전하며 상기 이송부를 이동시키는 동력전달부재; 및
    상기 제1회전부재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회전을 안내하는 제2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광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물을 상기 삽날부 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위치와 비이송위치로 상기 이송장치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광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삽날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송장치와 연결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송장치가 상기 이송위치와 상기 비이송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부재를 구동시키는 이동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광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구동부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은 상기 이송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이동부재의 타측은 상기 유압실린더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광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날부를 승강시키는 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광장치.
KR1020100007681A 2010-01-28 2010-01-28 집광장치 KR101159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681A KR101159778B1 (ko) 2010-01-28 2010-01-28 집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681A KR101159778B1 (ko) 2010-01-28 2010-01-28 집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983A true KR20110087983A (ko) 2011-08-03
KR101159778B1 KR101159778B1 (ko) 2012-06-26

Family

ID=44926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7681A KR101159778B1 (ko) 2010-01-28 2010-01-28 집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9778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09902U (ko) * 1975-03-03 1976-09-04
KR200147279Y1 (ko) * 1995-09-19 1999-06-15 김광식 굴삭기의 버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9778B1 (ko) 2012-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88346B (zh) 矿用挖掘装载一体机
KR101175786B1 (ko) 연속식언로더
KR20130088407A (ko)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
KR101159671B1 (ko) 연속식 하역장치의 적재물제거장치
CN101270664A (zh) 行走式转载机
KR101159778B1 (ko) 집광장치
KR101167130B1 (ko) 연속식 하역장치
CN201923669U (zh) 堆料和/或取料设备
CN102514945A (zh) 一种半门式刮板取料机
KR101167127B1 (ko) 연속식 하역장치
KR101159583B1 (ko) 연속식 하역장치
KR101159668B1 (ko) 연속식 하역장치
CN203585209U (zh) 一种可保护链条的重载滚子链
KR20130059890A (ko) 연속식 하역기의 로터리피더용 이송장치
KR101298757B1 (ko) 연속하역장비용 낙광 제거장치
US9908716B2 (en) Excavator dump range extender
JP6309045B2 (ja) 垂直コンベヤ
CN111517243A (zh) 一种施工场地用可升降的粉末材料运输机
KR102299559B1 (ko) 연속식 하역기
KR101246226B1 (ko) 연속식 하역기
CN212641543U (zh) 一种矿井用多功能铲车
CN102825552A (zh) 钢桶表面抛丸处理系统
KR200363042Y1 (ko) 파분쇄된 재생모래의 적재위치를 선별적으로 이동시키는이동식 벨트 콘베이어
KR101184934B1 (ko) 집광장치
KR102224878B1 (ko) 연속하역장비용 주행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