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6150A - 텔레비전용 커서를 구현하는 기술 - Google Patents

텔레비전용 커서를 구현하는 기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6150A
KR20110086150A KR1020117013349A KR20117013349A KR20110086150A KR 20110086150 A KR20110086150 A KR 20110086150A KR 1020117013349 A KR1020117013349 A KR 1020117013349A KR 20117013349 A KR20117013349 A KR 20117013349A KR 20110086150 A KR20110086150 A KR 20110086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terface
graphical user
widget
key
acti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3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4173B1 (ko
Inventor
빅터 카르바할
제이미 치
린 준 옹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소니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소니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086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6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4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4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8Window management, e.g. event handling following interaction with the use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G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6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e-ma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텔레비전을 위한 커서 또는 기타 유사한 위젯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은 텔레비전 상에 객체들의 임의의 조합과 위젯을 포함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어서,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키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키 이벤트가 원격 제어 장치 상의 하나 이상의 방향 키의 활성화를 나타내면, 각 방향 키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위젯을 이동시켜 갱신될 수 있다. 또한, 위젯이 소정의 객체에 근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엔터 키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그 소정의 객체에 의해 지정된 기능을 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텔레비전용 커서를 구현하는 기술{TECHNIQUES FOR IMPLEMENTING A CURSOR FOR TELEVISIONS}
종래의 텔레비전은 증가하고 있는 콘텐츠 소스들에 더 많이 접속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콘텐츠 소스들 및 텔레비전을 선택하고 제어하도록 텔레비전 상에 표시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는 계속 증가하고 있는 양의 정보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도록 종래의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더욱 다양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텔레비전 및 다양한 콘텐츠 소스들을 제어할 필요성도 계속되고 있다. 따라서,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텔레비전 및 다양한 콘텐츠 소스들을 제어하는 개선된 기술이 여전히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텔레비전 상에 커서 또는 기타 유사한 위젯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텔레비전 상에 커서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은 원격 제어 장치 및 비디오 처리 유닛을 포함한다. 원격 제어 장치는 사용자에 의한 하나 이상의 키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키 이벤트들을 생성한다. 비디오 처리 및 제어 유닛은 텔레비전 상에 위젯을 포함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 비디오 처리 및 제어 유닛은 원격 제어 장치의 방향 키의 활성화를 나타내는 키 이벤트들에 응답하여 위젯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이동하게 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텔레비전 상에 복수의 객체와 위젯을 포함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원격 제어 장치 상의 각 방향 키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위젯을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킴으로써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갱신한다. 또한, 엔터 키가 활성화될 때 위젯이 소정의 객체에 근접해 있다고 판단되면, 엔터 키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그 소정의 객체에 의해 지정된 기능을 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유사한 참조 번호들이 유사한 요소들을 가리키는 첨부 도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이지 않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사용하여 텔레비전을 위한 위젯 특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사용하여 텔레비전을 위한 위젯 특징을 구현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다른 방법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참조하며, 그 예는 첨부 도면에 예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로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님을 이해할 것이다. 오히려,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대체예, 수정예 및 등가예를 모두 포함하려는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을 완전히 이해하도록 다양한 특정 상세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이러한 특정 상세 없이 실시해도 된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다른 경우에, 널리 알려져 있는 방법, 절차, 부품 및 회로는 본 발명의 양태들이 불필요하게 모호해지지 않도록 상세히 설명하지 않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의 사용을 통해 텔레비전을 위한 위젯 특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다. 시스템(100)은 텔레비전(110), 하나 이상의 콘텐츠 소스(120, 130) 및 하나 이상의 원격 제어 장치(140)를 포함한다. 텔레비전은 디스플레이(150) 및 선택 사항으로 비디오 처리 및 제어 유닛(160)을 포함한다. 또한, 하나 이상의 콘텐츠 소스(120, 130)는 비디오 처리 및 제어 유닛(170)을 포함해도 된다. 이에 따라, 비디오 처리 및 제어 유닛(160, 170)은 텔레비전 및/또는 콘텐츠 소스들의 임의의 조합에 걸쳐 구현되거나 분산되어도 된다. 각 비디오 처리 및 제어 유닛(160, 170)은 하드웨어, 펌웨어 내에 및/또는 소프트웨어와 마이크로프로세서(예를 들어, 처리 유닛에 의해 실행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것을 포함한 하나 이상의 기능을 구현하는 컴퓨팅 장치 실행가능 커맨드 및 데이터)에 의해 구현되어도 된다.
하나 이상의 콘텐츠 소스(120, 130)는 케이블 셋톱 박스(STB), 위성 수신기,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플레이어,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 게임 콘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100)의 입력 인터페이스는 콘텐츠 소스의 키보드, 제어 패널(180) 등의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및 원격 제어 장치(140), 및/또는 기타를 포함한다. 원격 제어 장치(140)는 장치 독립적 제어기(예를 들어, 유니버설 원격 제어 장치)일 수 있거나, 텔레비전(110), 소정의 콘텐츠 소스(120, 130) 등의 하나 이상의 장치에 연관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140)는 단일 장치 또는 복수의 장치를 제어해도 된다. 원격 제어 장치는 복수의 방향 키, 엔터 키, 및 영숫자 키 패드, 특정 콘텐츠 소스 및/또는 어그노스틱(agnostic) 장치 제어 키, 및/또는 기타 등의 임의의 개수의 기타 키를 포함한다. 방향 키는 통상적으로 상향 키, 하향 키, 좌측 키 및 우측 키를 포함한다. 방향 키는 또한 상향 좌측 대각선 키, 상향 우측 대각선 키, 하향 우측 대각선 키 및 하향 좌측 대각선 키를 포함해도 된다. 대안으로, 원격 제어 장치(140)는, 네비게이션 키의 국부적 활성화에 따라, 상향, 하향, 좌측 및 우측 방향 신호를 제공하며 또한 선택 사항으로 대각선 방향 신호를 제공하는 다기능 "네비게이션" 키를 포함해도 된다.
원격 제어 장치(140)를 사용함으로써 텔레비전(110)을 위한 위젯 특징을 구현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 2를 참조하여 시스템(100)의 동작을 더 설명한다. 단계(205)에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190)는 디스플레이(150) 상에 비디오 처리 및 제어 유닛(160, 170)에 의해 출력된다. 예시적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190)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190)는 메뉴, 서브 메뉴, 아이콘(310), 애플리케이션 윈도우(320), 섬네일, 제어 바 및/또는 기타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해도 된다.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190)는 또한 사용자에 의해 맞춤화될 수 있는 커서(330) 등의 위젯을 포함한다.
단계(210)에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190)를 생성하는 소정의 비디오 처리 및 제어 유닛(160, 170)은 사용자에 의한 원격 제어 장치(140)의 하나 이상의 키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원격 제어 장치(140)로부터 하나 이상의 키 이벤트를 수신한다. 단계(215)에서, 그 하나 이상의 키 이벤트가 하나 이상의 방향 키의 활성화를 나타내면, 소정의 비디오 처리 및 제어 유닛(160, 170)은, 소정의 방향 키의 각 활성화에 대응하는 소정의 방향으로 소정의 방향 키의 각 개별적인 활성화에 응답하여 위젯을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킴으로써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190)를 갱신한다. 또한, 하나 이상의 키 이벤트가 소정의 방향 키가 눌러져 있는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면, 위젯은 소정의 방향 키에 대응하는 소정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해도 된다. 위젯이 이동하는 거리는 소정의 방향 키가 눌러져 있는 시간에 비례한다.
단계(220)에서, 하나 이상의 키 이벤트가 "엔터" 키의 활성화를 나타내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190)를 생성하는 소정의 비디오 처리 및 제어 유닛(160, 170)은, 위젯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190)의 메뉴 항목, 아이콘, 섬네일 등의 위치에 근접해 있는지를 판정한다. 단계(225)에서, 위젯이 객체에 근접해 있으면, 비디오 처리 및 제어 유닛(160, 170)은, "엔터" 키 이벤트에 응답하여, 소정의 객체에 의해 지정된 기능을 개시한다. 단계(230)에서, 위젯이 객체에 근접해 있지 않다고 비디오 처리 및 제어 유닛(160, 170)이 판정하면, 키 이벤트를 무시할 수 있다.
또한, 단계(215)에 응답하여 위젯이 디스플레이 상의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이동하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는 그 미리 정해진 영역에 연관된 하나 이상의 메뉴, 서브 메뉴, 아이콘, 섬네일 및/또는 기타를 표시하도록 갱신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위젯을 DVD가 재생되고 있는 디스플레이의 하부로 이동시키면, 비디오 재생 제어 패널을 하부에 표시해도 된다. 또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레이아웃을 맞춤화해도 된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키 이벤트가 "엔터" 키가 눌러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동안 하나 이상의 다른 키 이벤트가 하나 이상의 방향 키가 활성화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면, 위젯에 근접해 있는 객체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재배치되도록 그 객체를 하나 이상의 소정의 방향 키의 활성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도 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140) 상의 하나 이상의 방향 키를 활성화하여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의 키보드(340)를 나타내는 한 세트의 아이콘들에 대하여 커서(330)를 네비게이션한 후 키보드의 적용가능 문자들에 근접해 있는 "엔터" 키와 방향 키의 활성화 조합을 이용해서 이메일을 작성해도 된다. 다른 상황에서,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방향 키를 활성화하여 게임 콘솔(350)을 나타내는 아이콘에 대하여 커서(330)를 네비게이션한 후 "엔터" 키를 활성화하여 게임 콘솔의 개시 동작을 위한 메뉴를 불러와도 된다. 또 다른 상황에서,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140) 상의 하나 이상의 방향 키를 활성화하여 DVD 영화가 재생(360)되고 있는 윈도우의 하부로 커서(330)를 네비게이션하여 비디오 재생 제어 막대(도시하지 않음)가 DVD 영화의 하부에 겹치게 해도 되며, 이어서 이 막대를 이용하여 영화 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
이제 도 4a와 도 4b를 참조해 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다른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단계(405)에서, 비디오 처리 및 제어 유닛(160, 170)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소정의 인스턴스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190)는 메뉴, 서브 메뉴, 아이콘, 애플리케이션 윈도우, 섬네일, 제어 막대 및/또는 기타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해도 된다.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는 또한 커서 등의 위젯을 포함한다.
단계(410)에서, 소정의 비디오 처리 및 제어 유닛(160, 170)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190)가 객체들을 대략 순서화된 포맷으로 제시하는지 또는 객체들을 비대칭 포맷으로 제시하는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대략 순서화된 포맷은 행과 열의 규칙적인 세트로 객체들을 메뉴, 서브 메뉴, 아이콘, 섬네일 등의 형태로 제시한다. 비대칭 포맷에서는, 객체들을 임의의 순서로 배치해도 된다.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190)의 소정의 인스턴스가 비대칭이면, 단계(415)에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190)의 소정의 인스턴스는 커서 등의 위젯과 함께 디스플레이(150) 상에 비디오 처리 및 제어 유닛(160, 170)에 의해 출력된다. 위젯은 사용자에 의해 맞춤화되어도 되고,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및/또는 기타 등의 문맥에 기초해도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커서를 위해 사용되는 심볼, 크기 등을 변경해도 된다. 다른 예에서, 커서는, 기본적으로, 객체를 선택하도록 손이나 화살표 등의 간단한 포인터 심볼이어도 된다. 커서는 객체들이 비교적 작고 그리고/또는 조밀하게 있는 경우 확대 심볼로 변경되어도 되며, 확대 심볼에 근접해 있는 객체들은 사용자가 쉽게 인식하도록 확대되어도 된다.
단계(420)에서, 소정의 비디오 처리 및 제어 유닛(160, 170)은 사용자에 의한 원격 제어 장치(140)의 하나 이상의 키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원격 제어 장치(140)로부터 하나 이상의 키 이벤트를 수신한다. 하나 이상의 키 이벤트가 하나 이상의 방향 키의 활성화를 나타내면, 단계(425)에서, 소정의 비디오 처리 및 제어 유닛(160, 170)은, 소정의 방향 키의 각 활성화에 대응하는 소정의 방향으로의 소정의 방향 키의 개별적인 각 활성화에 응답하여 위젯을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킴으로써,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190)를 갱신한다. 또한, 하나 이상의 키 이벤트가 소정의 방향 키가 눌러지고 있음을 나타내면, 위젯은 소정의 방향 키에 대응하는 소정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그 응답으로 위젯을 디스플레이 상의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이동시키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도 갱신되어 미리 정해진 영역에 연관된 하나 이상의 메뉴, 서브 메뉴, 아이콘, 섬네일 및/또는 기타를 표시할 수 있다.
단계(430)에서, 하나 이상의 키 이벤트가 "엔터" 키의 활성화를 나타내면, 비대칭으로 포맷화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190)를 생성하는 소정의 비디오 처리 및 제어 유닛(160, 170)은, 위젯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190)의 메뉴 항목, 아이콘, 섬네일 또는 객체에 근접해 있는지를 판정한다. 단계(435)에서, 위젯이 객체에 근접해 있다면, 비디오 처리 및 제어 유닛(160, 170)은 "엔터" 키 이벤트에 응답하여 소정의 객체의 의해 지정된 기능을 개시할 수 있다. 비디오 처리 및 제어 유닛(160, 170)은 위젯이 객체에 근접해 있지 않다고 판정하면, 키 이벤트를 무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위젯이 객체에 근접해 있는 경우 하나 이상의 방향 키의 활성화와 함께 "엔터" 키를 활성화함으로써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레이아웃을 맞춤화할 수 있다.
단계(440)에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190)의 소정의 인스턴스의 객체들의 배치가 대략 균일하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190)의 소정의 인스턴스는 디스플레이(150) 상에 비디오 처리 및 제어 유닛(160, 170)에 의해 출력된다. 단계(445)에서, 소정의 비디오 처리 및 제어 유닛(160, 170)은 사용자에 의한 활성화에 응답하여 원격 제어 장치(140)로부터 하나 이상의 키 이벤트를 수신한다. 단계(450)에서, 하나 이상의 키 이벤트가 하나 이상의 방향 키의 활성화를 나타내면, 소정의 비디오 처리 및 제어 유닛(160, 170)은, 소정의 방향 키의 개별적인 각 활성화에 응답하여 미리 정해진 순서로 현재 활성화 상태에 있는 객체의 지시(indication)를 이동시킴으로써, 대략 균일하게 포맷화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190)를 갱신한다. 예를 들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190)는 초기에 한 세트의 객체들을 제시하며, 객체들 중 소정의 하나는 강조된다. 방향 키들의 각 활성화에 응답하여, 강조 표시는 방향 키들이 활성화되는 특정한 시퀀스에 기초하는 소정의 시퀀스로 객체마다 적용된다.
단계(455)에서, 하나 이상의 키 이벤트가 "엔터" 키의 활성화를 나타내면, 대략 균일한 포맷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190)를 생성하는 소정의 비디오 처리 및 제어 유닛(160, 170)은 엔터 키 이벤트에 응답하여 현재 활성화 상태에 있는 객체에 의해 지정된 기능을 개시한다.
단계(410)에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190)가 대략 순서화된 포맷의 객체들을 나타내는지 또는 객체들이 비대칭 포맷으로 제시되는지를 판정함으로써, 방법은 커서 모드(415 내지 435)와 종래의 객체 대 객체 모드(object-to-object mode; 440 내지 455) 간의 전환을 자동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방법은 하나 이상의 소정의 키 이벤트 등의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응답하여 커서 모드와 객체 대 객체 모드 간의 전환을 쉽게 행할 수 있다. 커서 모드와 객체 대 객체 모드 간의 전환은, 때로는, 텔레비전(110) 상의 객체마다 네비게이션하는 것이 더욱 쉽고 그리고/또는 빠르기 때문에 유익할 수 있지만, 다른 때에는, 그 객체로 직접 네비게이션하는 것이 더욱 쉽고 그리고/또는 빠를 수 있다.
텔레비전 상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가 점점 더 복잡해짐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이점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객체들 간에 네비게이션하는 개선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기술은, 특정한 또는 별도의 장치와는 대조적으로, 임의의 원격 제어 장치 상의 소정의 키 이벤트에 의해 제어되는 커서 또는 기타 유사한 위젯의 개념을 구현한다. 이 기술은 텔레비전 및 기타 콘텐츠 소스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주위의 원활하고 직관적인 네비게이션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 기술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정보를 더욱 비대칭이면서 유연성있게 제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기술은 기존의 텔레비전 및 콘텐츠 소스의 하위 호환성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존의 텔레비전 및/또는 기타 콘텐츠 소스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통해 구현되어도 된다.
위에서 언급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예시적으로 제시된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철저하게 기재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을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체적인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도 아니며, 전술한 교시로 볼 때 명백하게 많은 수정 및 변경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리 및 그 실제 적용을 가장 잘 설명하도록 실시예들을 선택하여 설명하였으며, 이에 따라 당업자가 본 발명 및 고려하는 특정한 용도에 맞도록 다양하게 수정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가장 잘 활용할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에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등가물에 의해 정의하려는 것이다.

Claims (20)

  1. 텔레비전 상에 객체들의 임의의 조합과 위젯을 포함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와,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키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 이상의 키 이벤트가 하나 이상의 방향 키의 활성화를 나타내면, 각 방향 키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위젯을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켜,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갱신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 이상의 키 이벤트가 엔터 키의 활성화를 나타내면, 상기 위젯이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객체에 근접해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위젯이 소정의 객체에 근접해 있다면, 상기 엔터 키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소정의 객체에 의해 지정된 기능을 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이 임의의 객체에 근접해 있지 않다면 상기 엔터 키 이벤트를 무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갱신하는 단계는 눌러진 상태에 있는 소정의 방향 키에 응답하여 상기 소정의 방향 키에 대응하는 소정의 방향으로 상기 위젯을 연속 모션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젯이 이동하는 상기 거리는 상기 방향 키가 눌러진 상태에 있는 시간에 비례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은 커서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들은 메뉴 항목, 서브 메뉴 항목, 아이콘, 애플리케이션 윈도우, 섬네일 및 제어 바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은 상기 텔레비전, 셋톱 박스, 위성 수신기,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게임 콘솔 및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콘텐츠 소스의 동작을 선택하거나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을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이동시킨 경우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갱신하여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에 하나 이상의 추가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텔레비전과,
    사용자에 의한 하나 이상의 키 - 상기 키들은 엔터 키 및 복수의 방향 키를 포함함 - 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키 이벤트들을 생성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와,
    상기 텔레비전 상에 위젯을 포함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기 위한 비디오 처리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위젯은 방향 키 이벤트들에 응답하여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동시키는,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처리 및 제어 유닛은 엔터 키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위젯이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객체에 근접해 있는지를 판정하고, 상기 위젯이 소정의 객체에 근접해 있다면 상기 엔터 키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소정의 객체에 의해 지정된 기능을 개시하는,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은 상기 비디오 처리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처리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콘텐츠 소스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소스는 셋톱 박스, 위성 수신기,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게임 콘솔, 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포함하는,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는 메뉴, 메뉴 항목, 서브 메뉴, 서브 메뉴 항목, 아이콘, 애플리케이션 윈도우, 섬네일 및 제어 바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객체를 포함하는, 시스템.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은 커서를 포함하는, 시스템.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은 상기 텔레비전 또는 콘텐츠 소스의 동작을 선택하거나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16.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컴퓨팅 장치 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할 때 하나 이상의 장치가 방법을 실시하게 하는 상기 컴퓨팅 장치 실행가능 명령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텔레비전 상에 복수의 객체와 위젯을 포함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와,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키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 이상의 키 이벤트가 하나 이상의 방향 키의 활성화를 나타내면, 각 방향 키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위젯을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켜,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갱신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 이상의 키 이벤트가 엔터 키의 활성화를 나타내면, 상기 위젯이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객체에 근접해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위젯이 소정의 객체에 근접해 있다면, 상기 엔터 키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소정의 객체에 의해 지정된 기능을 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 판독가능 매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가 상기 복수의 객체를 대략 순서화된 포맷으로 또는 비대칭 포맷으로 제시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가 비대칭 포맷을 갖는다면 상기 복수의 객체와 상기 위젯을 포함하는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 이상의 키 이벤트가 하나 이상의 방향 키의 활성화를 나타내면, 각 방향 키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위젯을 이동시켜, 상기 비대칭 포맷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갱신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 이상의 키 이벤트가 엔터 키의 활성화를 나타내면, 상기 위젯이 상기 비대칭 포맷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객체에 근접해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위젯이 상기 비대칭 포맷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소정의 객체에 근접해 있다면, 상기 엔터 키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소정의 객체에 의해 지정된 기능을 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 판독가능 매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가 대략 균일한 포맷을 갖는다면, 상기 복수의 객체를 포함하는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 이상의 키 이벤트가 하나 이상의 방향 키의 활성화를 나타내면, 각 방향 키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미리 정해진 순서로 현재 활성 상태의 객체의 지시(indication)를 이동시켜, 상기 대략 균일한 포맷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갱신하는 단계와,
    상기 위젯이 상기 비대칭 포맷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소정의 객체에 근접해 있다면 상기 엔터 키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현재 활성 상태의 객체에 의해 지정된 기능을 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 판독가능 매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 포맷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복수의 객체는 메뉴, 메뉴 항목, 서브 메뉴, 서브 메뉴 항목, 아이콘, 애플리케이션 윈도우, 섬네일 및 제어 바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대략 균일한 포맷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복수의 객체는 메뉴에 배치된 복수의 메뉴 항목, 서브 메뉴에 배치된 복수의 서브 메뉴 항목, 복수의 아이콘, 또는 복수의 섬네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 판독가능 매체.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은 커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 판독가능 매체.
KR1020117013349A 2008-11-11 2009-10-28 텔레비전용 커서를 구현하는 기술 KR1013441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269,028 2008-11-11
US12/269,028 US8605219B2 (en) 2008-11-11 2008-11-11 Techniques for implementing a cursor for televisions
PCT/US2009/005840 WO2010056276A2 (en) 2008-11-11 2009-10-28 Techniques for implementing a cursor for televis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6150A true KR20110086150A (ko) 2011-07-27
KR101344173B1 KR101344173B1 (ko) 2013-12-20

Family

ID=42164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3349A KR101344173B1 (ko) 2008-11-11 2009-10-28 텔레비전용 커서를 구현하는 기술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605219B2 (ko)
EP (1) EP2347576A4 (ko)
JP (1) JP5553837B2 (ko)
KR (1) KR101344173B1 (ko)
CN (1) CN102210140B (ko)
CA (1) CA2743917C (ko)
MX (1) MX2011004943A (ko)
WO (1) WO2010056276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941B1 (ko) * 2012-10-16 2014-10-22 크루셜텍 (주) 아이콘 관련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셋톱박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95224B (zh) 2011-11-01 2015-09-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遥控方法、遥控器、遥控响应方法以及机顶盒
CN104252232B (zh) * 2012-03-28 2018-01-09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远程协助过程中的指令控制方法及装置
CN104252384B (zh) * 2012-03-28 2018-06-22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远程协助过程中的指令控制方法及装置
CN102662467B (zh) * 2012-03-28 2014-11-19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远程协助过程中的指令控制方法及装置
CN103561338B (zh) * 2013-10-30 2017-01-25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电视界面的指示模式切换方法和装置
CN103702214B (zh) * 2013-12-10 2018-08-14 乐视网信息技术(北京)股份有限公司 一种视频播放方法和电子设备
CN103686281B (zh) * 2013-12-13 2018-04-10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模拟鼠标控制智能电视的方法、遥控器和移动终端
CN104486686B (zh) * 2014-12-23 2017-07-28 深圳市九洲电器有限公司 一种电子节目菜单的导航方法和系统
CN104661076A (zh) * 2015-03-09 2015-05-27 浪潮软件集团有限公司 一种机顶盒实现模式切换的方法和机顶盒
CN105159546B (zh) * 2015-10-20 2018-09-14 魅族科技(中国)有限公司 一种界面显示方法及其装置
CN108040275B (zh) * 2017-12-29 2020-08-21 福州福大海矽微电子有限公司 一种遥控器操作网页浏览器的方法及终端
CN111770369A (zh) * 2020-05-25 2020-10-13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遥控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4128A (en) * 1995-02-23 1997-09-02 Apple Computer, Inc. Object storage apparatus for use with data sets in computer applications
US6034689A (en) * 1996-06-03 2000-03-07 Webtv Networks, Inc. Web browser allowing navigation between hypertext objects using remote control
JP3524313B2 (ja) * 1997-02-05 2004-05-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H1139134A (ja) * 1997-07-16 1999-02-12 Sharp Corp カーソル移動制御方式
TW460839B (en) * 1999-01-08 2001-10-21 Lg Electronics Inc User interface method of image display device
US6535198B1 (en) 1999-03-28 2003-03-18 Nongqiang Fan Remote control for interactive television
JP2000357040A (ja) * 1999-06-16 2000-12-26 Sony Corp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媒体
US6567070B1 (en) * 1999-08-10 2003-05-20 Intel Corporation Selection of objects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040095317A1 (en) 2002-11-20 2004-05-20 Jingxi Zhang Method and apparatus of universal remote pointing control for home entertainment system and computer
KR100514736B1 (ko) 2002-12-27 2005-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포인터 이동 제어 방법
JP2005062978A (ja) * 2003-08-20 2005-03-10 Seiko Epson Corp 情報処理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KR100940207B1 (ko) * 2003-12-30 2010-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우스 포인팅 방법 및 제어 장치
KR100608679B1 (ko) 2004-01-08 2006-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객체의 이동 방향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0597400B1 (ko) 2004-01-14 2006-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기어를 구비한 리모트 컨트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래픽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 방법
WO2005074565A2 (en) 2004-02-02 2005-08-18 Scope Seven Inc. Simplified control system for electronic media
WO2006010990A1 (en) * 2004-06-25 2006-02-02 Nokia Corporation A device
JP2006157638A (ja) * 2004-11-30 2006-06-15 Sharp Corp 遠隔制御装置、電子デバイス、表示装置およびゲーム機用コントロール装置
JP2006211125A (ja) 2005-01-26 2006-08-10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US20060262116A1 (en) 2005-05-19 2006-11-23 Hillcrest Laboratories, Inc. Global navigation objects in user interfaces
KR100814395B1 (ko) 2005-08-30 2008-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조그 키와 사방향 키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07142618A (ja) 2005-11-16 2007-06-07 Hitachi Ltd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100733988B1 (ko) * 2005-12-09 2007-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버튼 조합과 동적 기능 할당을 이용한 캐릭터 위치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70157232A1 (en) * 2005-12-30 2007-07-05 Dunton Randy R User interface with software lensing
KR100827233B1 (ko) * 2006-02-10 2008-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노이즈에 강인한 포인팅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 방법
TW200743320A (en) 2006-05-15 2007-11-16 Tatung Co Ltd Multimedia display apparatus with adding-on personal computer functions capable of entering keyboard keys with remote control
KR100813981B1 (ko) 2006-07-11 2008-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구현 방법
CN100498659C (zh) * 2006-12-29 2009-06-10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为遥控器提供鼠标功能的方法和装置
KR100796778B1 (ko) * 2007-01-02 2008-01-22 주식회사 셀런 텔레비전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콘트롤의 위치를 효율적으로 결정하는 방법
US7721312B2 (en) 2007-03-19 2010-05-18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crolling through TV video icons by category
CN101272475B (zh) * 2007-03-23 2010-07-21 百视通网络电视技术发展有限责任公司 适用于iptv的视频播放状态下的频道切换方法
KR101451271B1 (ko) * 2007-10-30 2014-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941B1 (ko) * 2012-10-16 2014-10-22 크루셜텍 (주) 아이콘 관련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셋톱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10140A (zh) 2011-10-05
CN102210140B (zh) 2014-08-20
US20100118210A1 (en) 2010-05-13
EP2347576A2 (en) 2011-07-27
JP2012508426A (ja) 2012-04-05
US8605219B2 (en) 2013-12-10
WO2010056276A3 (en) 2010-07-22
MX2011004943A (es) 2011-06-09
KR101344173B1 (ko) 2013-12-20
WO2010056276A2 (en) 2010-05-20
CA2743917A1 (en) 2010-05-20
JP5553837B2 (ja) 2014-07-16
EP2347576A4 (en) 2012-04-18
CA2743917C (en) 2014-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4173B1 (ko) 텔레비전용 커서를 구현하는 기술
KR101364849B1 (ko) 방향성 터치 원격 제어장치
US10423324B2 (en)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other devices using the same
US821790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ouchscreen based user interface interaction
JP5770856B2 (ja) 遠隔制御部のための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
US9009594B2 (en) Content gestures
KR101621524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2189885A2 (en) Method to provide menu, using menu set and multimedia device using the same
JP2014500558A5 (ko)
US20130127731A1 (en) Remote controller, and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US20100162155A1 (en) Method for displaying items and display apparatus applying the same
US11822776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oviding media guidance with contextual controls
US10536662B2 (en) Method for zapping contents and display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same
KR2015006613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리모컨,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2009023149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content playback
US20170180777A1 (en)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70237929A1 (en) Remote controller for providing a force input in a media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WO2012166071A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graphical user interfaces based on user selection history
KR101862845B1 (ko) 리모콘 키의 감지 레벨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미지 처리 단말 및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40812B1 (ko) 원격 조정 장치 및 원격 조정 장치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KR102049461B1 (ko) 원격 조정 장치 및 원격 조정 장치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WO2014139149A1 (en) Remote control interaction with an operating system through a device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