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6048A - 광 정보 기록 매체용 색소 및 광 정보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광 정보 기록 매체용 색소 및 광 정보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6048A
KR20110086048A KR20117011073A KR20117011073A KR20110086048A KR 20110086048 A KR20110086048 A KR 20110086048A KR 20117011073 A KR20117011073 A KR 20117011073A KR 20117011073 A KR20117011073 A KR 20117011073A KR 20110086048 A KR20110086048 A KR 20110086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cording
formula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7011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5104B1 (ko
Inventor
히데노리 소메이
타케오 츠즈키
타쿠오 코다이라
다이조 요코야마
Original Assignee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86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6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5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5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 G11B7/24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 G11B7/249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organometallic compounds
    • G11B7/249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organometallic compounds neutr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29/00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 C09B29/34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other coupling components
    • C09B29/36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other coupling components from heterocyclic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29/00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 C09B29/0025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diazotized amino heterocyclic compounds
    • C09B29/0029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diazotized amino heterocyclic compounds the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only nitrogen as heteroatom
    • C09B29/004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diazotized amino heterocyclic compounds the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only nitrogen as heteroatom containing a five-membered heterocyclic ring with three nit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29/00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 C09B29/34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other coupling components
    • C09B29/36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other coupling components from heterocyclic compounds
    • C09B29/3678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other coupling components from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nly oxygen as hetero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45/00Complex metal compounds of azo dyes
    • C09B45/02Preparation from dyes containing in o-position a hydroxy group and in o'-position hydroxy, alkoxy, carboxyl, amino or keto groups
    • C09B45/14Monoazo compounds
    • C09B45/18Monoazo compounds containing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45/00Complex metal compounds of azo dyes
    • C09B45/02Preparation from dyes containing in o-position a hydroxy group and in o'-position hydroxy, alkoxy, carboxyl, amino or keto groups
    • C09B45/14Monoazo compounds
    • C09B45/20Monoazo compounds containing cobal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45/00Complex metal compounds of azo dyes
    • C09B45/02Preparation from dyes containing in o-position a hydroxy group and in o'-position hydroxy, alkoxy, carboxyl, amino or keto groups
    • C09B45/14Monoazo compounds
    • C09B45/22Monoazo compounds containing other met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 G11B7/24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 G11B7/246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dyes
    • G11B7/2467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dyes azo-dy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 G11B7/24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 G11B7/246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dyes
    • G11B2007/24606Azo- dy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 G11B7/24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 G11B7/249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organometallic compounds
    • G11B2007/24905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organometallic compounds neutr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 Carriers And Manufacture Thereof (AREA)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기록 방식이 인-그루브 기록인 광 정보 기록 매체에 있어서, 변조도가 높고, 지터 특성이 낮은 양호한 기록 특성을 가지는 광 정보 기록 매체를 얻을 수 있다. 중심 부분에 관통공을 포함하고, 일방면 측에 나선상으로 형성된 안내구(3)를 포함하는 원판상의 기판(2), 상기 기판(2)의 상기 안내구(3) 상에 형성된 반사층(4), 상기 반사층(4) 상에 형성되고 색소를 포함하는 유기 물질로 구성된 기록층(5), 상기 기록층(5) 상에 설치된 보호층(6) 및 상기 보호층(6) 상에 형성된 광투과층(6)을 포함한다. 기록층(5)은, [화학식 1]에 나타낸 골격과, [화학식 2]에 나타낸 관능기를 가지는 아조계 금속 착체 화합물인 유기 색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 정보 기록 매체용 색소 및 광 정보 기록 매체 {DYE FOR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광 정보 기록 매체 및 광 정보 기록 매체에 이용되는 유기 색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그루브(In-Groove) 기록을 채용하고 있는 추기형(追記型) 블루레이 디스크(BD-R)에 최적인 광 정보 기록 매체용 색소와, 그것을 이용한 광 정보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정보 기록 매체로서, 광 디스크 등의 광 정보 기록 매체가 보급되고 있다. 이와 같은 광 정보 기록 매체로서는, 추기형 CD(CD-R)과 같은, 두께 1.2mm, 지름 120mm 또는 80mm의 광 투과성 수지 기판 상에 반사층, 기록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것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높은 정보 기록 밀도가 요구되고 있다. 그로부터, 레이저 파장을 짧게 하고 개구수(NA: numerical aperture)가 큰 대물 렌즈를 사용하는 방식이 고려되고, 추기형 DVD(DVD±R)와 같은 광 정보 기록 매체가 실현되고 있다. 이 DVD±R은, 단(短)파장화와 고(高)NA화에 의한 디스크의 경사 각도(틸트)의 허용값을 크게 하기 위해서, 두께 0.6mm의 광 투과성 수지 기판을 2매 맞붙이고, 이 기판간에 반사층 및 기록층을 개재한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고정세(高精細)한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서, 보다 더 높은 정보 기록 밀도가 요구되고 있다. 그로부터, 보다 단파장의 레이저 광을 이용하여 기록 및 재생을 수행하는 광 정보 기록 매체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광 정보 기록 매체로서는, 편면(片面)에 15GB의 기록 용량을 가지는 추기형 HD_DVD(HD_DVD-R)나, 편면에 25GB의 기록 용량을 가지는 추기형 블루레이 디스크(BD-R)가 있다.
HD_DVD-R은, 일방면(一方面)에 안내구(案內溝, 프리그루브)가 형성된 두께 0.6mm의 수지 기판 상에 기록층, 반사층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그 위에 반사층의 보호를 위해 보호층이 설치되고, 그 위에 두께 0.6mm의 더미 기판을 맞붙인 구조를 가지고 있고, 디스크의 구조 자체는 DVD±R과 같다. BD-R은, 일방면에 안내구가 형성된 두께 1.1mm의 수지 기판 상에 반사층, 기록층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그 위에 기록층의 보호를 위해서 광 투과성의 무기 재료로 구성된 보호층이 설치되고, 그 위에 두께 0.1mm의 광 투과성 수지제의 커버층이 설치되고, CD-R이나 DVD±R 과 동등한 지름 및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광기록 매체의 기록층은, 아조계 색소나 시아닌계 색소 등의 유기 색소를 포함하는 유기 물질이나, Si, Cu, Sb, Te, Ge 등의 무기 물질로 구성되고, 파장 405nm의 레이저 광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기록 및 재생이 수행된다.
기록층에 유기 색소를 이용하는 경우, 파장 405nm의 레이저 광으로 양호한 기록 특성이 얻어지는 색소가 선택된다. 이러한 광 정보 기록 매체에 최적인 색소로서는, 일본 공개 특허 제2007-45147호 공보나, 일본 공개 특허 제2007-19666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있다.
1. 일본 공개 특허 제2007-45147호 공보 2. 일본 공개 특허 제2007-196661호 공보
상기의 공지 문헌에 개시된 색소는, 기본적으로는 HD_DVD-R과 BD-R의 양방에 사용할 수 있는 색소인, 그러나, 발명자들이 예의 검토 결과, 실제로는 기록 방식의 차이 즉 온-그루브(On-Groove) 기록과 인-그루브(In-Groove)기록에서는, 색소가 최적인 특성이 다른 것을 알았다.
HD_DVD-R은, 안내구가 레이저 광 조사(照射) 측에 대하여 돌출된다. 그 때문에, HD_DVD-R의 기록 방식은 온-그루브 기록이 된다. 온-그루브 기록에서는, 레이저 광의 스팟 사이즈보다도 광이 집중하는 효과가 있다. 그 때문에, 기록용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형성된 피트는, 비교적 형상의 흐트러짐이 적고, 지터 특성 등의 기록 특성이 비교적 양호해진다.
한편 BD-R은, 안내구가 레이저 광 조사 측에 대하여 오목해진다. 그 때문에, BD-R의 기록 방식은 인-그루브 기록이 된다. 인-그루브 기록에서는, 온-그루브 기록과 같은 광이 집중하는 효과가 없다. 또한, BD-R은 트랙 피치, 즉 안내구의 간격이 0.32㎛으로, 레이저 광 파장의 405㎚보다도 작으므로, 안내구에 들어가는 레이저 광의 광량이 적어진다. 그 때문에, 피트의 형상이 흐트러져서 양호한 기록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인-그루브 기록에 있어서 양호한 기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록 감도가 높은, 즉 비교적 낮은 레이저 출력으로 기록이 가능한 것, 변조도(變調度)가 비교적 크고, 지터 특성이 비교적 낮은 기록층을 실현되는 색소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인-그루브 기록인 BD-R에 있어서, 양호한 기록 특성을 실현할 수 있는 유기 색소를 제안하는 것으로, 그 색소를 이용한 광 정보 기록 매체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광 정보 기록 매체에 이용되는 색소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색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 매체용 색소가 제공된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A는 하기 [화학식 2]의 (a1) 내지 (a8)로부터 선택되며, M은 Ni, Co, Cu로부터 선택된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2
또한, 본 발명에서는 나선상(螺旋狀)의 안내홈을 일방(一方)의 면에 갖는 기판; 상기 기판의 일방의 면 상에 형성된 반사층; 상기 반사층 상에 형성된 기록층; 상기 기록층 상에 형성된 보호층; 및 상기 보호층 상에 형성된 광 투과층;을 포함하는 광 정보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기록층은 유기 색소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유기 색소로서 상기의 화학식으로 나타내어지는 유기 색소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록 방식이 인-그루브 기록인 광 정보 기록 매체에 있어서, 변조도가 높고, 지터 특성이 낮은 양호한 기록 특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기록 감도가 양호해지므로, 2배속 이상의 고속 기록에 대응이 가능해진다.
도 1은 광 정보 기록 매체의 실시 형태의 단면을 확대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화학식 3]에 나타낸 색소의 흡수 스펙트럼이다.
도 3은 [화학식 3]에 나타낸 색소를 이용한 광 정보 기록 매체의 아이 패턴이다.
도 4는 [화학식 4]에 나타낸 색소의 흡수 스펙트럼이다.
도 5는 [화학식 4]에 나타낸 색소를 이용한 광 정보 기록 매체의 아이 패턴이다.
도 6은 [화학식 5]에 나타낸 색소의 흡수 스펙트럼이다.
도 7은 [화학식 5]에 나타낸 색소를 이용한 광 정보 기록 매체의 아이 패턴이다.
도 8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2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의 결과를 정리한 표이다.
본 발명의 광 정보 기록 매체에 따른 실시 형태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광 정보 기록 매체(1)는, 중심 부분에 관통공(貫通孔, 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고, 일방면 측에 나선상(螺旋狀)으로 형성된 안내구(3)를 포함하는 원판상(圓板狀)의 기판(2), 상기 기판(2)의 상기 안내구(3) 상에 형성된 반사층(4), 상기 반사층(4) 상에 형성되고 색소를 포함하는 유기 물질로 구성된 기록층(5), 상기 기록층(5) 상에 설치된 보호층(6) 및 상기 보호층(6) 상에 형성된 광투과층(6)을 포함한다.
기판(2)은, 두께(t)가 1.1mm을 가지는 지름 120mm의 수지제(製) 기판이다. 이 기판(2)에는, 종래의 광 정보 기록 매체의 기판 재료로서 이용되고 있는 각종 재료를 임의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 수지,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 공중합체 등의 염화비닐계 수지, 에폭시 수지, 아몰퍼스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수지, 알루미늄 등의 금속, 유리 등을 들 수 있고, 필요에 의해 이들을 조합 또는 혼합하는 등의 방법으로 병용해도 좋다. 상기 재료 중에서는, 성형성(成型成), 내습성(耐濕成), 치수 안정성 및 저가 등의 점에서 열가소성 수지가 바람직하고, 폴리카보네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판(2)은,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이 때, 금형 내에 스탬퍼가 세팅되어 있고, 이에 의해 기판(2)에 나선상의 안내구(3)가 형성된다. 이 안내구(3)는 트랙 피치(TP)가 0.32㎛으로 형성되어 있고, 피트는 이 안내구(3) 내에 형성된다.
반사층(4)은, 은(Ag) 합금이나 알루미늄(Al) 합금 등의 반사율이 높은 금속 박막으로 형성되어 있고, 스퍼터링 등에 의해 형성된다. 반사층(4)의 두께는55nm∼65nm가 바람직하다.
기록층(5)은, 본 발명에서 제안된 색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유기 색소의 구체예로서는, 하기의 [화학식 3] 내지 [화학식 15]에 나타내어지는 화학식을 가지는 것이 있다. 또한, 하기의 화학식을 가지는 것 이외의 색소라도,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라면 적용 가능하다.
[화학식 3]
Figure pct00003
[화학식 4]
Figure pct00004
[화학식 5]
Figure pct00005
[화학식 6]
Figure pct00006
[화학식 7]
Figure pct00007
[화학식 8]
Figure pct00008
[화학식 9]
Figure pct00009
[화학식 10]
Figure pct00010
[화학식 11]
Figure pct00011
[화학식 12]
Figure pct00012
[화학식 13]
Figure pct00013
[화학식 14]
Figure pct00014
[화학식 15]
Figure pct00015
이들의 색소를 예를 들면 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올(TFP) 용액에 녹인 색소 용액을, DC 지터가 가장 낮아질 때의 광학 밀도(Optical Density: 이하 OD값으로 약칭한다)가 되도록, 스핀 코팅법에 의해 도포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OD값이란, 색소의 최대 흡수 파장에 있어서의 흡광도를 나타낸 것이다. OD값의 측정 방법은, 도 1의 기판(2) 상에, 직접 기록층(5)을 도포하고, 각각의 색소의 최대 흡수 파장의 광을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수행된다. 예를 들면 화학식 3의 색소는 도 2에 도시하는 흡수 스펙트럼을 갖는다. 최대 흡수 파장(λmax)은 383㎚이므로, 파장 383㎚의 광으로 흡광도를 측정하고, OD값을 도출한다. OD값은 성막 조건(회전수, 시간 등)에 의해 조정된다. DC 지터가 가장 낮아지는 OD값은, 광 정보 기록 매체(1)에 있어서의 기록층(5)의 성막 조건을 바꾸어서 OD값을 바꾼 샘플 디스크를 복수 개 준비하고, 시판되고 있는 기록 재생 장치[예를 들면 펄스 테크 사(社)제(製) ODU-1000]로 기록을 수행하고, 각각의 DC 지터를 구하고, 그 결과로 결정한다. 예를 들면 화학식 3의 색소의 측정된 OD값은 0.24였다. 이 결정된 OD값이 되는 성막조건으로 스핀 코팅을 수행하고, 기록층(5)을 형성한다.
보호층(6)은, 광투과층(7)의 성막 시에 있어서의 기록층(5)에 포함되는 색소의 광투과층(7)으로의 확산이나, 광투과층(7)의 형성용 경화 수지의 용제 등의 기록층(5)으로의 침투 등의 혼화(混和)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보호층(6)을 구성하는 재료는, 산화규소 특히 이산화규소나, 산화아연, 산화세륨, 산화이트륨 등의 산화물; 유화아연, 유화이트륨 등의 유화물; 질화규소 등의 공화물; 탄화규소; 산화물과 유황 화합물과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 보호층(6)은 스퍼터링 등의 방법으로 형성된다. 보호층(6)의 두께는 20㎚정도가 바람직하다.
광투과층(7)은, 광 투과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자외선 또는 방사선에 의해 경화하는 경화성 수지를 스핀 코팅법 등에 의해 두께 0.1mm로 형성하는 방법 또는 두께 0.1mm의 투명 수지를 맞붙이는 방법으로 형성된다. 이 광투과층(6)의 광투과율은, 두께가 0.1mm이고, 405㎚의 파장의 광에서 분광 광도계에서 측정했을 때에 70%이상 바람직하게는 80%이상이다. 또한, 광투과층(7)은 비교적 부드럽고, 상처가 나기 쉬우므로, 광 입사측의 표면에 아크릴계 수지 등으로 구성된 하드 코팅층 (도시되지 않음)을 설치해도 좋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해서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중심 부분에 관통공을 포함하고, 트랙 피치 0.32㎛, 구폭(溝幅, 180㎚), 구 깊이 32㎚의 안내구를 가지는 외경(外徑) 120mm, 두께 1.1mm의 원판상의 폴리카보네이트제의 기판을, 사출 성형에 의해 작성하였다. 이 기판의 안내구가 형성된 면에 Ag합금을 스퍼터링하여 60㎚의 두께의 반사층을 형성하였다. 그 후 [화학식 3]에 나타낸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유기 색소를 TFP 용제에 녹인 색소 용액을, OD값이 0.24가 되는 성막 조건에서 스핀 코팅법에 의해 도포하고, 80℃에서 30분간 건조하고, 기록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ZnS-SiO2로 구성된 투명한 보호층을 20㎚의 두께가 되도록 스퍼터링으로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경화 후의 25℃에 있어서의 탄성율이 1700MPa가 되는 UV 경화성 수지를 스핀 코팅법에 의해 도포하고, 그 후 경화시켜서 0.1mm 두께의 광투과층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광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 재생 장치[펄스 테크 공업(주) 제(製) ODU-1000]를 이용하여, 파장 405㎚, 개구수(NA) 0.85, 기록 속도 9.89m/초(2배속)로 안내구 내에 피트를 기록하고, 재생 특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항목은, 기록용 레이저 광의 파워(기록 파워), 변조도, DC 지터로 하였다. 기록 파워는 DC 지터가 최소가 될 때의 값으로, 6.0mW이하이면 양호한 기록 감도인 것으로 하였다. 변조도는 40%이상을 합격으로 하였다. DC 지터는, 최소값이 10%이하의 경우를 합격으로 하였다.
실시예 1의 광 정보 기록 매체에서는, 기록 파워가 5.3mW, 변조도가 48%, DC 지터가 7.5%였다. 또한, 레이저 파워를 0.35mW로 하여 재생을 수행한 결과,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명료한 아이 패턴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기록층에 이용하는 유기 색소로서 [화학식 4]에 나타낸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유기 색소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광 정보 기록 매체를 얻었다. [화학식 4]에 나타낸 색소는 도 4에 나타낸 흡수 스펙트럼을 갖는다. 최대 흡수 파장(λmax)은 374㎚이므로, 파장 374㎚의 광으로 흡광도를 측정하고, OD값을 도출하였다. 또한, DC 지터가 가장 낮아지는 OD값은 0.28이므로, 기록층의 형성은 OD값이 0.28이 되는 성막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실험 자료의 광 정보 기록 매체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기록 재생 장치[펄스 테크 공업(주) 제 ODU-1000]를 이용하여 기록하고, 재생 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레이저 파워 0.35mW에서 아이 패턴을 관찰하였다. 실시예 2의 광 정보 기록 매체에서는, 기록 파워가 5.6mW, 변조도가 49%, DC 지터가 7.4%였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명료한 아이 패턴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기록층에 이용하는 유기 색소로서 [화학식 5]에 나타낸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유기 색소를 채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광 정보 기록 매체를 얻었다. [화학식 5]에 나타낸 색소는 도 6에 나타낸 흡수 스펙트럼을 갖는다. 최대 흡수 파장(λmax)은 386㎚이므로, 파장 386㎚의 광으로 흡광도를 측정하고, OD값을 도출하였다. 또한, DC 지터가 가장 낮아지는 OD값은 0.28이므로, 기록층의 형성은 OD값이 0.28이 되는 성막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실험 자료의 광 정보 기록 매체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기록 재생 장치[펄스 테크 공업(주) 제 ODU-1000]를 이용하여 기록하고, 재생 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레이저 파워 0.35mW에서 아이 패턴을 관찰하였다. 실시예 3의 광 정보 기록 매체에서는, 기록 파워가 5.6mW, 변조도가 49%, DC 지터가 7.4%였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명료한 아이 패턴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 기록층에 이용하는 유기 색소로서 [화학식 6]에 나타낸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유기 색소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광 정보 기록 매체를 얻었다. [화학식 6]에 나타낸 색소는 최대 흡수 파장(λmax)이 377㎚이므로, 파장 377㎚의 광으로 흡광도를 측정하고, OD값을 도출하였다. 또한, DC 지터가 가장 낮아지는 OD값은 0.28이므로, 기록층의 형성은 OD값이 0.28이 되는 성막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실험 자료의 광 정보 기록 매체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기록 재생 장치[펄스 테크 공업(주) 제 ODU-1000]를 이용하여 기록하고, 재생 특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4의 광 정보 기록 매체에서는, 기록 파워가 5.3mW, 변조도가 48%, DC 지터가 7.5%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 있어서, 기록층에 이용하는 유기 색소로서 [화학식 7]에 나타낸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유기 색소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광 정보 기록 매체를 얻었다. [화학식 7]에 나타낸 색소는 최대 흡수 파장(λmax)이 383㎚이므로, 파장 383㎚의 광으로 흡광도를 측정하고, OD값을 도출하였다. 또한, DC 지터가 가장 낮아지는 OD값은 0.25이므로, 기록층의 형성은 OD값이 0.25가 되는 성막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실험 자료의 광 정보 기록 매체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기록 재생 장치[펄스 테크 공업(주) 제 ODU-1000]를 이용하여 기록하고, 재생 특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5의 광 정보 기록 매체에서는, 기록 파워가 5.5mW, 변조도가 49%, DC 지터가 7.4%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 있어서, 기록층에서 이용하는 유기 색소로서 [화학식 8]에 나타낸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유기 색소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광 정보 기록 매체를 얻었다. [화학식 8]에 나타낸 색소는 최대 흡수 파장(λmax)이 384㎚이므로, 파장 384㎚의 광으로 흡광도를 측정하고, OD값을 도출하였다. 또한, DC 지터가 가장 낮아지는 OD값은 0.24이므로, 기록층의 형성은 OD값이 0.24가 되는 성막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실험 자료의 광 정보 기록 매체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기록 재생 장치[펄스 테크 공업(주) 제 ODU-1000]를 이용하여 기록하고, 재생 특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6의 광 정보 기록 매체에서는, 기록 파워가 5.5mW, 변조도가 40%, DC 지터가 8.0%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에 있어서, 기록층에 이용하는 유기 색소로서 [화학식 9]에 나타낸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유기 색소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광 정보 기록 매체를 얻었다. [화학식 9]에 나타낸 색소는 최대 흡수 파장(λmax)이 387㎚이므로, 파장 387㎚의 광으로 흡광도를 측정하고, OD값을 도출하였다. 또한, DC 지터가 가장 낮아지는 OD값은 0.26이므로, 기록층의 형성은 OD값이 0.26이 되는 성막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실험 자료의 광 정보 기록 매체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기록 재생 장치[펄스 테크 공업(주) 제 ODU-1000]를 이용하여 기록하고, 재생 특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7의 광 정보 기록 매체에서는, 기록 파워가 5.6mW, 변조도가 51%, DC 지터가 7.7%였다.
(실시예 8)
실시예 1에 있어서, 기록층에 이용하는 유기 색소로서 [화학식 10]에 나타낸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유기 색소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광 정보 기록 매체를 얻었다. [화학식 10]에 나타낸 색소는 최대 흡수 파장(λmax)이 386㎚이므로, 파장 386㎚의 광으로 흡광도를 측정하고, OD값을 도출하였다. 또한, DC 지터가 가장 낮아지는 OD값은 0.30이므로, 기록층의 형성은 OD값이 0.30이 되는 성막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실험 자료의 광 정보 기록 매체를,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기록 재생 장치[펄스 테크 공업(주) 제 ODU-1000]를 이용하여 기록하고, 재생 특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8의 광 정보 기록 매체에서는, 기록 파워가 5.8mW, 변조도가 44%, DC 지터가 7.9%이었다.
(실시예 9)
실시예 1에 있어서, 기록층에 이용하는 유기 색소로서 [화학식 11]에 나타낸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유기 색소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광 정보 기록 매체를 얻었다. 화학식 11에 나타낸 색소는 최대 흡수 파장(λmax)이381㎚이므로, 파장 381㎚의 광으로 흡광도를 측정하고, OD값을 도출하였다. 또한, DC 지터가 가장 낮아지는 OD값은 0.28이므로, 기록층의 형성은 OD값이 0.28이 되는 성막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실험 자료의 광 정보 기록 매체를,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기록 재생 장치[펄스 테크 공업(주) 제 ODU-1000]를 이용하여 기록하고, 재생 특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9의 광 정보 기록 매체에서는, 기록 파워가 5.4mW, 변조도가 45%, DC 지터가 7.6%이었다.
(실시예 10)
실시예 1에 있어서, 기록층에 이용하는 유기 색소로서 [화학식 12]에 나타낸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유기 색소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광 정보 기록 매체를 얻었다. [화학식 12]에 나타낸 색소는 최대 흡수 파장(λmax)이 377㎚이므로, 파장 377㎚의 광으로 흡광도를 측정하고, OD값을 도출하였다. 또한, DC 지터가 가장 낮아지는 OD값은 0.29이므로, 기록층의 형성은 OD값이 0.29가 되는 성막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실험 자료의 광 정보 기록 매체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기록 재생 장치[펄스 테크 공업(주) 제 ODU-1000]를 이용하여 기록하고, 재생 특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10의 광 정보 기록 매체에서는, 기록 파워가 5.7mW, 변조도가 41%, DC 지터가 7.5%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1에 있어서, 기록층에 이용하는 유기 색소로서 [화학식 13]에 나타낸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유기 색소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광 정보 기록 매체를 얻었다. [화학식 13]에 나타낸 색소는 최대 흡수 파장(λmax)이 379㎚이므로, 파장 379㎚의 광으로 흡광도를 측정하고, OD값을 도출하였다. 또한, DC 지터가 가장 낮아지는 OD값은 0.33이므로, 기록층의 형성은 OD값이 0.33이 되는 성막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실험 자료의 광 정보 기록 매체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기록 재생 장치[펄스 테크 공업(주) 제 ODU-1000]를 이용하여 기록하고, 재생 특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11의 광 정보 기록 매체에서는, 기록 파워가 5.7mW, 변조도가 40%, DC 지터가 8.1%이었다.
(실시예 12)
실시예 1에 있어서, 기록층에 이용하는 유기 색소로서 [화학식 14]에 나타낸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유기 색소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광 정보 기록 매체를 얻었다. [화학식 14]에 나타낸 색소는 최대 흡수 파장(λmax)이 388㎚이므로, 파장 388㎚의 광으로 흡광도를 측정하고, OD값을 도출하였다. 또한, DC 지터가 가장 낮아지는 OD값은 0.35이므로, 기록층의 형성은 OD값이 0.35가 되는 성막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실험 자료의 광 정보 기록 매체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기록 재생 장치[펄스 테크 공업(주) 제 ODU-1000]를 이용하여 기록하고, 재생 특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12의 광 정보 기록 매체에서는, 기록 파워가 5.9mW, 변조도가 42%, DC 지터가 8.2%였다.
(실시예 13)
실시예 1에 있어서, 기록층에 이용하는 유기 색소로서 [화학식 15]에 나타낸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유기 색소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광 정보 기록 매체를 얻었다. [화학식 15]에 나타낸 색소는 최대 흡수 파장(λmax)이 379㎚이므로, 파장 379㎚의 광으로 흡광도를 측정하고, OD값을 도출하였다. 또한, DC 지터가 가장 낮아지는 OD값은 0.28이므로, 기록층의 형성은 OD값이 0.28이 되는 성막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실험 자료의 광 정보 기록 매체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기록 재생 장치[펄스 테크 공업(주) 제 ODU-1000]를 이용하여 기록하고, 재생 특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13)의 광 정보 기록 매체에서는, 기록 파워가 5.6mW, 변조도가 46%, DC 지터가 7.8%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 기록층에 이용하는 유기 색소로서 [화학식 16]에 나타낸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유기 색소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광 정보 기록 매체를 얻었다. [화학식 16]에 나타낸 색소는 최대 흡수 파장(λmax)이 428㎚이므로, 파장 428㎚의 광으로 흡광도를 측정하고, OD값을 도출하였다. 또한, DC 지터가 가장 낮아지는 OD값은 0.20이므로, 기록층의 형성은 OD값이 0.20이 되는 성막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화학식 16]
Figure pct00016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실험 자료의 광 정보 기록 매체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기록 재생 장치[펄스 테크 공업(주) 제 ODU-1000]를 이용하여 기록하고, 재생 특성을 평가하였다. 비교예 1의 광 정보 기록 매체에서는, 기록 파워가 5.4mW, 변조도가 31%, DC 지터가 10.2%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기록층에 이용하는 유기 색소로서 다음의 [화학식 17]에 나타낸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유기 색소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광 정보 기록 매체를 얻었다. [화학식 16]에 나타낸 색소는 최대 흡수 파장(λmax)이 337㎚이므로, 파장 337㎚의 광으로 흡광도를 측정하고, OD값을 도출 하였다. 또한, DC 지터가 가장 낮아지는 OD값은 0.34이므로, 기록층의 형성은 OD값이 0.34가 되는 성막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화학식 17]
Figure pct00017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실험 자료의 광 정보 기록 매체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기록 재생 장치[펄스 테크 공업(주) 제 ODU-1000]를 이용하여 기록하고, 재생 특성을 평가하였다. 비교예 2의 광 정보 기록 매체에서는, 기록 파워가 7.4mW, 변조도가 38%, DC 지터가 14.5%였다.
이상의 결과를 도 8에 나타낸 표로 정리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색소를 이용하면 기록 특성이 양호한 광 정보 기록 매체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의 샘플은 BD-R과 동일한 구조이므로, 본 발명의 색소는 기록 방식이 인-그루브 기록인 광 정보 기록 매체에 적합한 것을 알 수 있다.
1…광 정보 기록 매체 2…기판
3…안내구 4…반사층
5…기록층 6…보호층
7…광투과층 TP…트랙 피치(track pitch)

Claims (2)

  1. 광 정보 기록 매체에 이용되는 색소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색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 매체용 색소.
    [화학식 1]
    Figure pct00018

    A는 하기 [화학식 2]의 (a1) 내지 (a8)로부터 선택되며, M은 Ni, Co, Cu로부터 선택된다.
    [화학식 2]
    Figure pct00019
  2. 나선상(螺旋狀)의 안내홈을 일방(一方)의 면에 갖는 기판; 상기 기판의 일방의 면 상에 형성된 반사층; 상기 반사층 상에 형성된 기록층; 상기 기록층 상에 형성된 보호층; 및 상기 보호층 상에 형성된 광 투과층;을 포함하는 광 정보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기록층은 유기 색소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유기 색소로서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유기 색소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정보 기록 매체.
    [화학식 1]
    Figure pct00020

    A는 하기 [화학식 2]의 (a1) 내지 (a8)로부터 선택되며, M은, Ni, Co, Cu로부터 선택된다.
    [화학식 2]
    Figure pct00021
KR1020117011073A 2008-12-22 2009-12-14 광 정보 기록 매체용 색소 및 광 정보 기록 매체 KR1012351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325506 2008-12-22
JP2008325506A JP5094698B2 (ja) 2008-12-22 2008-12-22 光情報記録媒体用色素及び光情報記録媒体
PCT/JP2009/071083 WO2010073971A1 (ja) 2008-12-22 2009-12-14 光情報記録媒体用色素及び光情報記録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6048A true KR20110086048A (ko) 2011-07-27
KR101235104B1 KR101235104B1 (ko) 2013-02-20

Family

ID=42287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1073A KR101235104B1 (ko) 2008-12-22 2009-12-14 광 정보 기록 매체용 색소 및 광 정보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135941B2 (ko)
EP (1) EP2368718B1 (ko)
JP (1) JP5094698B2 (ko)
KR (1) KR101235104B1 (ko)
CN (1) CN102325660B (ko)
TW (1) TWI412032B (ko)
WO (1) WO20100739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60330B2 (ja) * 2008-07-25 2013-03-13 太陽誘電株式会社 光情報記録媒体用色素及び光情報記録媒体
JPWO2012114886A1 (ja) * 2011-02-24 2014-07-07 太陽誘電株式会社 追記型光記録媒体
JPWO2012114884A1 (ja) * 2011-02-24 2014-07-07 太陽誘電株式会社 光記録媒体
TW201340102A (zh) 2012-01-24 2013-10-01 Taiyo Yuden Kk 光記錄媒體
TW201331936A (zh) 2012-01-24 2013-08-01 Taiyo Yuden Kk 光記錄媒體
TW201342372A (zh) 2012-01-24 2013-10-16 Taiyo Yuden Kk 光記錄媒體
JP2013196753A (ja) * 2012-03-23 2013-09-30 Hitachi Consumer Electronics Co Ltd 光ディスク、そのフォーマット処理方法及び記録方法、並びに光ディス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0682B2 (ja) * 2004-07-16 2010-09-22 三菱化学メディア株式会社 光記録媒体及び光記録媒体の光記録方法
CN100570720C (zh) 2004-07-16 2009-12-16 三菱化学媒体株式会社 光记录介质及光记录介质的光记录方法
KR100766764B1 (ko) 2004-07-16 2007-10-17 미츠비시 가가쿠 메디아 가부시키가이샤 광기록 매체 및 광기록 매체의 광기록 방법
JP4818000B2 (ja) * 2005-07-14 2011-11-16 三菱化学メディア株式会社 光学記録媒体および金属錯体化合物。
WO2007007748A1 (ja) * 2005-07-14 2007-01-18 Mitsubishi Kagaku Media Co., Ltd. 光学記録媒体、光記録材料および金属錯体化合物
JP2007196661A (ja) * 2005-12-27 2007-08-09 Mitsubishi Kagaku Media Co Ltd 光学記録媒体及びアザシアニン色素
TW200809850A (en) * 2006-05-31 2008-02-16 Fujifilm Corp Optical recording medium, method of using dye compound and method of recording visible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35941B2 (en) 2015-09-15
TW201108226A (en) 2011-03-01
TWI412032B (zh) 2013-10-11
US20110244164A1 (en) 2011-10-06
EP2368718B1 (en) 2013-08-28
CN102325660B (zh) 2014-04-02
KR101235104B1 (ko) 2013-02-20
EP2368718A1 (en) 2011-09-28
JP5094698B2 (ja) 2012-12-12
JP2010143184A (ja) 2010-07-01
WO2010073971A1 (ja) 2010-07-01
CN102325660A (zh) 2012-01-18
EP2368718A4 (en) 201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5104B1 (ko) 광 정보 기록 매체용 색소 및 광 정보 기록 매체
JP3685922B2 (ja) 光記録媒体およびその記録方法
WO2004093070A1 (ja) 光記録媒体及びその記録再生方法
JP4783327B2 (ja) 光情報記録媒体
KR20040028488A (ko) 고밀도 재생전용 광디스크
JP5160330B2 (ja) 光情報記録媒体用色素及び光情報記録媒体
JP4703542B2 (ja) 光情報記録媒体
KR20050032689A (ko) 고밀도 재생전용 광디스크
JP5283573B2 (ja) 光情報記録媒体用色素及びそれを用いた光情報記録媒体
JP2003303447A (ja) 光記録媒体
JP2007294055A (ja) 光情報記録媒体及び光情報記録媒体の製造方法
JP4810453B2 (ja) 光情報記録媒体
WO2012114886A1 (ja) 追記型光記録媒体
WO2012114883A1 (ja) 有機色素を含む記録層を有する追記型光記録媒体
KR20010090164A (ko) 고밀도 광기록매체
JP2013175266A (ja) 光記録媒体
JP2007109353A (ja) 光情報記録媒体
JP2007035081A (ja) 光情報記録媒体
JP2011183580A (ja) 光情報記録媒体用色素及びそれを用いた光情報記録媒体
JPH05159359A (ja) 光記録媒体における基板反射層用材料
JP2005306027A (ja) 光情報記録媒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