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4429A - 영상시스템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시스템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4429A
KR20110084429A KR20117011960A KR20117011960A KR20110084429A KR 20110084429 A KR20110084429 A KR 20110084429A KR 20117011960 A KR20117011960 A KR 20117011960A KR 20117011960 A KR20117011960 A KR 20117011960A KR 20110084429 A KR20110084429 A KR 20110084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ing device
user
performance
imaging
pro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7011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터 폴리트
로버트 시. 캐롤
Original Assignee
티에이치엑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에이치엑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티에이치엑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84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44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lour parameters, e.g. colour tempera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93Calibration of display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2Networking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71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action taken
    • H04N1/00082Adjusting or controlling
    • H04N1/00087Setting or calib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시스템은 가입방식으로 영상시스템 서비스에 대한 접속을 허용한다. 구체적으로, 이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네트웍을 통해 원격 영상시스템 유지관리 서비스에 접속할 것을 가입비 지불을 통해 허용되고, 이런 서비스는 장치프로필, 매칭, 보정, 장치프로필을 공유할 네트웍, 평가관리 기능들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영상시스템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CCESS TO IMAGE SYSTEM SERVICES}
본 발명은 영상시스템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촬상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춘 영상시스템을 위한 측정, 보정, 매칭 및/또는 평가 관리 서비스들에 접속하는 한편, 작업순서에 맞게 영상시스템 정보를 공유할 네트웍을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영상시스템은 대개 촬상장치, 데이터 저장장치 및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촬상장치는 표적 이미지를 촬영해 이 이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한다. 데이터는 촬상장치로 보내지기 전에 처리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처리된 데이터를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형태의 출력이미지로 변환한다.
촬상장치는 반사광, 소나, 자기공명, 방사선측정, 열측정, X선 등의 여러가지 정보원의 감지에 의해 표적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치수들을 정확히 표현하는 프로필을 촬영한다. 비디오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데이터를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출력으로 변환하는 치수들을 나타내는 프로필들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런 프로필들은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Cine-tal 시스템사의 cineProfiler 어플과 같은 시스템을 이용해 결정된다. 이런 어플은 촬상장치를 측정하고 촬상장치의 프로필을 생성한다.
시간이 갈수록 주어진 장치의 프로필이 변하는데, 그 이유는 여러가지다. 이런 시스템을 이용해, 촬상장치의 특징 샘플들을 주기적으로 촬영하여 장치 프로필을 결정한다. 프로필 결정 외에, 이런 시스템은 촬상장치의 보정이나 조정을 하여 공지의 특성들을 갖는 출력을 제공하는 보정알고리즘을 포함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촬상장치는 정의된 표준 컬러 등에 일치하는 데이터출력을 제공하도록 프로필을 근거로 보정할 수 있다. 모니터나 프린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도 촬상장치가 캡처한 이미지를 복사하는 정의된 표준에 일치하는 영상데이터로부터 출력을 제공하도록 (프로필을 근거로) 보정될 수 있다. 촬상이나 디스플레이 장치를 공지의 표준에 맞게 보정하는 외에, 아래와 같은 다른 작업도 실행할 수 있다:
(i) 어떤 촬상장치의 출력데이터를 다른 촬상장치의 출력데이터에 매칭;
(ⅱ) (모니터나 프린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미지 에센스 프로필에 맞게 보정(이에 대해서는 뒤에 더 설명함);
(ⅲ) 어떤 디스플레이 장치의 출력데이터를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출력데이터에 매칭.
이상 설명한 프로필 측정, 매칭 및 보정 작업들은 특정 장비에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이용해 실행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 목적으로는 영상운용시스템이 좋지만, 어떤 사용자에게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어떤 사용자들은 영상운용시스템에 가끔씩만 접속하고, 이런 시스템에 대한 블랭킷 라이센스(blanket license)가 지나친 것일 수 있다. 또, 사용자측에서 시스템을 설치하는데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될 수도 있다. 또, 기존의 영상시스템 운용시스템이 영상처리에 관한 다양한 자산운용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기도 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시스템은 가입방식으로 영상시스템 서비스에 대한 접속을 허용한다. 구체적으로, 이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네트웍을 통해 원격 영상시스템 유지관리 서비스에 접속할 것을 가입비 지불을 통해 허용되고, 이런 서비스는 장치프로필, 매칭, 보정, 장치프로필을 공유할 네트웍, 평가관리 기능들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개념도.
이하의 설명은 예를 든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영상시스템"이란 많은 산업분야에서 사용되는 광의의 전자장치에 적용되는 개념으로서, 촬상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촬상장치는 아날로그와 디지털 비디오카메라, 스틸카메라, 광학스캐너, MRI 장치, PET(Positron Emission Tomography), CT 스캔장치, 초음파기구, 열촬상기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촬상장치는 표적 물체의 반사/방출 특성으로 생긴 영상들을 캡처하여, 표적물체를 설명하는 영상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데이터는 처리된 다음 디스플레이 장치로 보내진다.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컴퓨터 모니터(LCD, CRT 등), TV, 비디오 프로젝터, 필름프린터나 필름노출기를 포함한 각종 프린터가 있는데, 물론 이에 한정되지도 않는다. 이런 디스플레이 장치는 처리된 데이터를 받아 사람이 인식하는 형태로 변환한다.
다음 설명은 알파벳 문자나 숫자나 기타 정보를 나타내는 컴퓨터 메모리내의 데이터비트에 알고리즘과 심볼의 관점으로 제시된다. 이런 설명과 표현은 통상의 기술자가 다른 기술자에게 자신의 작업결과를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수단이다.
알고리즘은 원하는 결과를 유도하는 일관성을 갖는 단계들의 시퀀스라 할 수 있다. 이런 단계들은 물리적 양의 물리적 처리를 요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수적은 아니지만, 이들 양은 전기신호나 자기신호 형태를 취하는 것으로, 저장, 운반, 조합, 비교는 물론 다른 처리가 가능하다. 흔히 이런 신호는 비트, 값, 심볼, 캐릭터, 디스플레이 데이터, 용어, 숫자 등으로 표현하는 것이 편리할 수 있다. 그러나, 어떤 표현도 물리적 양과 관련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어떤 알고리즘은 정보를 입력해 원하는 결과를 내는 데이터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데이터 구조는 데이터 처리시스템에 의한 데이터관리르 크게 촉진하지만, 복잡한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통해서만 접속할 수 있기도 하다. 데이터 구조는 메모리의 정보 콘텐츠가 아니라,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에 물리적 조직을 하는 특정의 전자적 구조요소들을 나타낸다. 데이터 구조는 단순한 관념이 아니라 전기적이거나 자기적인 구조요소들이고, 복잡한 데이터를 정확히 표현함과 동시에 컴퓨터 연산의 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또, 실행된 조작은 인간 작업자가 한 정신적 노동과 관련된 비교나 더하기와 같은 것이라 할 수 있다. 인간 작업자의 이런 능력은 필수가 아니고, 대부분의 경우 바람직하지도 않으며, 본 발명의 일부분을 구성하지도 않고; 동작은 모두 기계적 동작이다. 본 발명의 동작을 하기 위한 기계로는 범용 컴퓨터나 기타 비슷한 장치가 있다. 어떤 경우에도 컴퓨터를 조작하는 방법과 컴퓨터 자체의 방법은 구분이 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원하는 물리적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한 전기적이거나 다른 물리적 신호들을 처리하는데 있어서 컴퓨터를 조작하는 방법과 장치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또한 이런 조작이나 작업을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이런 장치는 필요한 목적에 맞게 구성되거나, 시스템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되거나 재구성되는 범용 컴퓨터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알고리즘은 어떤 특별한 컴퓨터나 다른 장치에만 관련된 것이 아니다. 특히, 본 명세서에 기재된 프로그램은 각종 범용 장치에 사용될 수 있고, 필요한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좀더 특수한 장치를 구성하는데 아주 편리함이 밝혀졌다. 다양한 이런 장치에 필요한 구조는 아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여러 용어(예; "영상시스템", "촬상장치", "디스플레이 장치")는 본 명세서에서 특수한 의미를 갖는다. "보정"이란 성능특성(예; 표준, 제조업자의 사양, 다른 촬상장치의 획득프로필)에 맞게 촬상장치를 조정하는 것을 말한다. 촬상장치의 조절이나 조정과 관련된 다른 용어도 성능특성에 맞게 촬상장치를 조정한다는 의미이다. "네트웍"은 "LAN"이나 "WAN"을 의미하고, 모두 2개 이상의 컴퓨터장치 사이에서 메시지를 주고받도록 연결된 것을 의미한다. "컴퓨터"나 "컴퓨팅장치"는 PC, 웍스테이션, 랩탑, 서버, PDA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네트웍에서는 보통 한대 이상의 컴퓨팅장치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대용량 저장장치와, 프린터나 모뎀과 같은 주변기구로 동작하는 통신 하드웨어를 갖는 장치인 "서버"로 동작한다. 어떤 컴퓨팅장치는 네트웍 유저가 공유 데이터파일, 공통 주변기기, 웍스테이션과 같은 네트웍 리소스에 접속하도록 하는 유저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유저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네트웍 리소스를 작동시켜, 입력변수와 주변환경에 의해 결정되는 특정 작동특성과 함께 컴퓨터 프로그램의 일반 동작을 포함하는 "프로세스"를 생성한다.
"브라우저"는 네트웍 유저와의 디스플레이와 인터페이스는 물론, 네트웍에 연결된 컴퓨팅장치들 사이의 메시지 전달은 해도 유저에게 필수적은 아닌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브라우저는 컴퓨터의 월드와이드웹("웹"이라 함)을 통해 텍스트와 그래픽 정보를 전송하는데 통신프로토콜을 이용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이용할 수 있는 브라우저로는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인터넷 익스플로러, Opera Software ASA의 Opera Browser 프로그램, Mozilla Foundation의 Firefox 브라우저 프로그램이 있다. 이하에서는 브라우저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관점에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텍스트 기반 인터페이스로 실행될 수도 있고, 심지어는 음성이나 비주얼 인터페이스로도 실행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시스템(10)은 네트웍(14)을 통해 영상시스템(12)에 연결된다. 영상시스템(12)은 영상(18)을 캡처하는 촬상장치(16), 데이터 처리기(20), 촬영된 영상(18)에 해당하는 영상(24)을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2), 측정기(26), 및 네트웍(30)과 네트웍(14)을 통해 데이터처리기(20)와 시스템(10)에 각각 연결되는 컴퓨터(28)를 포함한다. 어떤 영상시스템(12)에서는, 컴퓨터(28)가 데이터처리기(20)에 내장되고 네트웍(30)이 없기도 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촬상장치(16)는 영상을 캡처하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카메라는 예로 든 것일 뿐이다. 데이터처리기(20)로는 표준 컴퓨팅 플랫폼을 포함하는 데이터처리기 어레이와, 영상 개조를 위한 특수 영상처리기를 포함하는데, 디스플레이 장치(22)에 촬상장치(16)를 연결하는 유무선 연결장치도 포함할 수 있다. 또, 디스플레이 장치(22)는 캡처한 영상(18)의 디스플레이나 다른 출력을 생성하기만 하면 어떤 종류의 장치도 포함한다. 영상(24)은 도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22)와 별개인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디스플레이 장치(22)의 스크린에 나타나는 것이다. 한편, 영상(24)이 종이, 필름, 금속, 기타 인간이 인식할 수 있는 표시를 싣는 다른 형태의 미디어에 나타날 수도 있다. 측정기(26)는 촬상장치(16)와 디스플레이 장치(22) 양쪽에 존재한다. 영상시스템(12)의 구성에 따라, 측정기(26)는 조도계, 색도계, 분광광도계 등을 포함한 여러가지 감지기를 포함한다. 도 1의 시스템(12)의 모든 구성요소는 표적물체의 영상데이터를 만들어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영상데이터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시스템(12)은 컴퓨터(28)와 네트웍(14)을 통해 컴퓨팅장치(32)에 연결된다. 컴퓨팅장치(32)는 여러대의 컴퓨터들이 서로 협력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각각의 컴퓨터가 여기서 설명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네트웍(14)은 웹이다. 컴퓨팅장치(32)는 일반적으로 프로세서(34), 장치 데이터베이스(36), 유저 데이터베이스(38) 및 프로필 데이터베이스(4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34)는 여러개의 일반 요소들을 아주 간단히 표현한 것으로,구체적으로는 네트웍(14)과 통신을 하거나, 데이터베이스(36,38,40)가 영상시스템(12)에서 받은 데이터를 분석케하거나, 영상시스템(12)에 대한 보정이나 다른 서비스를 하는 기능을 한다. 뒤에 설명하겠지만, 데이터베이스(36,38,40) 각각에 저장된 데이터는 다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와 관계를 가질 수도 있다. 이들 데이터베이스(36,38,40)는 편의상 분리된 것으로 표현했을 뿐이고, 3개 이상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할 수도 있고, 다른 종류의 데이터베이스가 있을 수도 있다.
장치 데이터베이스(36)는 여러가지 촬상장치(16)와 디스플레이 장치(22)의 성능사양과 성능데이터를 저장한다. 각 장치에 대한 데이터는 제조업자나 모델별로 정리되고 특정 장치의 성능을 위한 제조업자의 사양을 나타낼 수 있다. 뒤에 설명하겠지만, 유저 데이터베이스(38)는 시스템(10)의 유저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각각의 유저에 상당하는 데이터는 유저 신분, 영상시스템 구성정보, 유지보수정보, 유저들 사이의 관계, 프로젝트 정보, 성능 허용오차, 위치/사용 이력, 라이프사이클 사양, 유지보수 스케쥴, 규제조건 등이 있다. 프로필 데이터베이스(40)는 일반적으로 영상표준, 영상에센스 프로필, 촬상프로필, 및 색영역, 콘트라스트 비율, 색온도, 해상도, 프레임 레이트, 기타 디지털 촬상/디스플레이에 관련된 속성을 규정한 영상 디스플레이 프로필이 있다. 프로필 데이터베이스(40)는 특정 촬상장치(16,22)에서 원하는 표준이나 프로필을 충족시키는 보정 알고리즘의 조절도를 제한하는 기능의 허용오차 사용도 저장할 수 있다. 프로필 데이터베이스(40)는 EH한 유저, 장치 및 유저/프로젝트에 대한 관계링크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컨대, 프로필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장치 프로필은 유저 데이터베이스(38)에 저장된 유저데이터에 관계링크를 통해 연계될 수도 있다.
시스템(10)에 접속하기 위해, 표준 컴퓨터용의 설치 어플을 갖춘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 디스플레이와 테스트차트를 측정할 장치, 및 촬상장치(16)나 디스플레이 장치(22)를 컴퓨터(28)에 인터페이스하기 위해 영상데이터를 촬상/디스플레이 환경에 맞게 수정하는 장치(총칭하여 "인터페이스 장비"라 함)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시스템(10)에서, 설치어플은 컴퓨터(28)에서 실행되고, 측정기능들은 측정기(26)에 의해 실행되며, 수정이나 조정 기능은 데이터처리기(20)에 의해 실행되고, 컴퓨팅장치(32)와의 통신기능은 컴퓨터(28)에 의해 실행된다.
작동중에, 유저는 시스템(10) 접속을 위해 가입비를 지불한다. 가입비는 1년 정도의 정해진 기간동안의 무제한 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 한편, 가입비가 접속횟수를 근거로 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시스템에 접속해 연산을 실행할 수 있다. 끝으로, 가입비가 접속시간(예; 분이나 시간 등)을 기반으로 할 수도 있다. 시스템(10)의 사용을 시작하기 위해, 유저는 브라우저를 통해 시스템(10)에 접속하고, 가입비를 선택하며, 통상의 방식으로 온라인 지불을 한다. 물론, 우편으로 가입신청을 할 수도 있다. 일단 유저가 시스템(10)에 가입한 뒤 시스템(10)에 접속하면 ID와 패스워드가 유저에게 제공된다. 이때, 또는 유저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프로파일링과 보정 작업을 할 때, 촬상장치(16)나 디스플레이 장치(22)를 식별하는 정보를 제공하라는 메시지가 유저에게 뜰 것이다. 물론, 유저가 보정작업을 1회 이상 하고 유저 데이터베이스(38)에 ID 정보가 저장된 뒤, 유저는 이전에 식별된 장치로부터 선택하기만 하면 된다.
앞에서 설명한 인터페이스 장비가 촬상장치(16)와 디스플레이 장치(22)를 자동으로 확인해 시스템(10)에 ID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 컴퓨터(28)가 주기적으로 시스템에 자동으로 접속하거나, 유저에게 자동으로 경고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컴퓨터(28)에 의해 디스플레이되거나 네트웍(14,30)을 통해 유저에게 통지를 할 수 있다.
유저가 가입하고 시스템에 로그인하고 보정할 장치(16,22)를 수동이나 자동으로 확인한 뒤, 다음과 같이 보정이 진행된다. 촬상장치(16)를 보정할 경우, 먼저 촬상장치(16)의 표적 영역에 영상(18)을 둔다. 영상시스템(12)에 채택된 기술에 따라, 영상(18)은 컬러차트, (적외선감지용) 히팅장치, (MRI용) 양식일 수 있다. 당 분야에 잘 알려진 것처럼, 보정을 위해 영상(18)은 촬상장치(16)가 감지했을 때의 공지의 결과값을 생성해야 한다. 요컨대, 영상시스템(12)은 표적의 데이터가 예상대로 표현되는지 평가할 때 무엇을 찾아야 하는지 알아야 한다. 유저가 촬상장치(16)를 표준에 맞게 보정할 경우, 보정을 위해 선택된 표준값이 이 영상(18)이 표적으로 사용될 것임을 알려준다. 특정 표준값을 선택했을 때 시스템(10)이 표적영역에 특정 컬러차트를 두도록 하는 메시지가 유저에게 뜰 수 있다.
이어서, 인터페이스 장비는 촬상장치(16)나 측정기(26)가 감지한 영상(18)에 대한 데이터를 받고, 이 데이터는 영상(18)의 특성을 반영하는 "획득 프로필"을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본 시스템의 일례에서, 측정기(26)가 감지한 데이터는 획득프로필로 사용된다. 예컨대, 측정기(26)가 영상(18)에 의해 반사된 빛으로부터 스펙트럼 데이터를 감지하고서 파장과 강도 데이터를 획득프로필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획득프로필이 "에센스 파일"로 특성화되는데, 이는 촬상장치(16)가 영상(18)의 특성들을 감지하거나 이 특성들을 표현하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식과 무관하게 획득프로필이 영상의 특성들을 표현하기 때문이다. 이런 에센스파일은 디스플레이 장치(22)가 실행하는데 필요한 "표준"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2)가 영상(18)과 동일한 특성을 영상(24)에서 재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장치(22)의 디스플레이 프로필이 에센스파일과 관련하여 수정 알고리즘에 의해 조정된다.
한편, 촬상장치(16)를 사용해 획득프로필을 생성하면, 촬상장치가 영상(18)을 감지했을 때 생긴 데이터가 색공간 데이터(예; RGB, CMYK, YCbCr 등)를 유도할 수 있다. 이런 종류의 획득프로필은 촬상장치(16)가 영상(18)을 감지하는 방식을 나타내고 다른 촬상장치(16)가 작업하는데 필요한 "표준"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다른 촬상장치(16)의 획득프로필을 첫번째 획득프로필을 기준으로 수정알고리즘으로 조정하여, 다른 촬상장치로 하여금 첫번째 촬상장치와 같은 방식으로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촬상장치(16)의 성능 특성들의 이와 같은 매칭은 아주 유용한데, 특히 장치의 종류에 무관하게 일관된 영상데이터를 제공하도록 영상시스템(12)에서 유저가 촬상장치 여러대를 사용할 때 유용하다.
이상 설명한 획득프로필은 "표준"으로 사용되지 않고, 영상(18)과 관련된 (예; 특정 산업분야의) 범용 표준에 맞게 촬상장치(16)를 작동시키기 위한 시작점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촬상장치(16)가 표준으로 예상되는 것처럼 영상(18)의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수정 알고리즘으로 획득프로필을 조정한다. 이런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 획득프로필이 적색, 청색, 녹색의 3개의 값을 갖는다고 하면:
획득프로필 : R=X, B=Y, G=Z 이다.
또, 영상(18)을 표적으로 사용할 때 촬상장치(16)가 작동하는데 필요한 선택된 표준이 이들 색깔에 대해 아래와 같이 다른 값들을 예상한다고 하자:
표준 : R=X', B=Y', G=Z'
이런 획득프로필과 표준을 근거로 생성된 수정 알고리즘이 촬상장치(16)의 동작을 조정하여, 촬상장치(16)에서 출력된 영상데이터가 표준과 일치하도록 하면, 수정은 다음과 같다:
수정 알고리즘 : X→X', Y→Y', Z→Z'
동일한 개념을 촬상장치(16)를 다른 촬상장치로 보정하는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보정을 위한 이런 수정 알고리즘은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예컨대 Cine-tal 시스템사의 cineSpace(특히, cineCube 요소)라 하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만들 수 있다.
획득프로필은 측정기(26)에서 생기든 촬상장치(16)에서 생기든 관계없이 컴퓨터(28)로 보내지고, 이어서 네트웍(14)을 거쳐 컴퓨팅장치(32)로 보내진다. 프로세서(34)는 획득프로필을 받아 저장하는데, 구체적으로는 프로필이 획득된 문맥을 확인하는 정보(즉, 시간, 날짜, 장소 등)와 함께 유저 데이터베이스(38)에 확인된 촬상장치(16)와 관련되어 저장하고, 이런 정보는 컴퓨팅장치(32)에 의해 자동으로 결정되거나 유저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된다.
이상에서 알 수 있듯이, 프로세서(34)는 유저가 보정한 각각의 장치(16,22)에 대한 획득프로필의 이력을 관리한다. 촬상장치(16)와 디스플레이 장치(22)의 성능 특성들은 주변조건, 부품 편이 등의 다양한 요인들 때문에 시간이 갈수록 변한다. 본 시스템의 한가지 특징은 각종 장치 모델에 대한 성능데이터의 저장소 기능을 한다는 것이다. 이런 장기 데이터는 실제 프로필을 구하지 않고도 이런 장치의 자동화된 통계적 프로필들을 유저에게 제공하는데 이용된다. 구체적으로, 촬상장치(16)의 어떤 특성이 시간에 따라 어느 정도로 변하는 장기 데이터를 근거로 프로필을 예측할 수 있다. 시스템(10)은 촬상장치(16)에 대한 획득프로필을 구하지 않고도 이런 변화를 보상하는 수정 알고리즘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런 데이터는 매입이 가능하거나, 제조업자와의 관계로 레버리지되기도 한다. 데이터가 시간에 따른 장치의 실제 성능특성을 나타내므로, 제조업자들은 이 데이터를 이용해 장치의 시간경과 조절 메커니즘을 디자인하여, 장치의 초기 성능특성으로부터의 원치않는 편차를 자동으로 보상한다.
이와 같이, 장치(16)에 대한 보정을 위해, 유저는 비슷한 다른 장치의 표준이나 프로필을 선택하거나 정의해야 한다. 이상과 같이 유저에 의해 생성된 장치프로필이나 프로필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표준으로부터 표준을 선택하라고 시스템(10)이 유저에게 알려준다. 한편, 유저는 제조업자가 제공한대로 보정중인 장치와 관련된 성능특성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런 제조업자의 사양은 장치 데이터베이스(36)에 저장된 것으로, 장치(16)를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표준"으로 기능한다. 요컨대, 촬상장치(16)는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표준, 다른 촬상장치(16)의 획득프로필, 또는 촬상장치(16)에 대한 제조업자의 사양 어떤 것에도 맞게 보정될 수 있다. 이하, 이런 보정용의 각종 데이터집합을 "사전정의된 성능특성"이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촬상장치(16)를 작동시킬 소정의 성능특성에서 촬상장치가 벗어나 있으면, 프로세서(34)는 시스템(12)에 다운로드할 수정알고리즘을 생성한다. 수정알고리즘의 예로는 1D Look Up Tables(LUT), 3D LUT, 색공간 트랜스레이션, 매트릭스 함수, 데이터 업샘플링 인스트럭션, 데이터 다운샘플링 인스트럭션, 데이터 멀티플라이어, 데이터 애더, 감마감마 커브 콜렉션 등이 있는데, 물론 이에 한정되지도 않는다. 데이터처리기(20)는 수정알고리즘을 사용해 촬상장치(16)의 디지털 영상출력을 조정하여, 이 데이터가 사전정의된 성능특성과 일치하도록 한다. 이런 식으로, 촬상장치(16)는 선택된 표준이나 획득프로필이나 제조업자의 사양에 일치하는 출력을 제공하도록 조정되거나 보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필 데이터베이스(40)나 장치 데이터베이스(36)는 특정 보정작업을 위한 수정알고리즘을 생성할 때 프로세서가 접속할 수 있는 허용오차 데이터를 저장하기도 한다. 허용오차 데이터는 촬상장치(16)의 모델이나 특정하게 받은 표준이나 제조업자의 사양에 관련된다. 허용오차 데이터는 수정알고리즘을 생성하는데 있어서 프로세서(34)가 이용할 조정한계를 정한다. 촬상장치(16)가 작동하는데 필요한 소정의 성능특성으로서 유저가 획득프로필을 사용하고자할 경우, 각종 인자에 대한 허용오차 데이터가 유저에게 제시된다. 어떤 경우에도, 수정알고리즘이 조정할 성능인자를 위해, 프로세서(34)는 조정량이 관련 허용오차 데이터 범위에 있음을 확인한다. 특정 촬상장치(16)가 성능특성과 관련된 허용오차 범위를 넘을 정도로 벗어난 성능특성을 측정한 경우 유저에게 메시지가 제시된다. 이런 경우, 유저에게 다른 표준을 선택할 옵션이 제시되거나 촬상장치(16)를 점검하도록 한다. 일례로, 장치가 최소 5000:1의 콘트라스트를 생성해야만 하지만 프로필에 의하면 이 장치가 이 성능을 낼 수 없을 때, 시스템은 이 장치가 일련번호에 의해 최소 표준을 만족하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촬상장치(16)가 보정되거나 프로필되고 보정된 뒤, 다른 장치에 대한 프로필이나 보정을 하라고 유저에게 제시된다. 예컨대, 유저는 촬상장치(22) 보정을 선택할 수 있다. 촬상장치(22)의 보정과정은 촬상장치(16)의 과정과 아주 비슷하다. 유저는 촬상장치(22)를 수동으로 확인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리스트에서 촬상장치를 선택하거나 시스템(10)에 ID 정보(메이커, 모델, 일련번호, 서비스 개시일 등)를 요청하거나, 장치의 ID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또는 전술한 인터페이스 장비가 촬상장치(22)를 자동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색도계, 광도계, 분광계, 기타 빛이나 색을 측정하는 다른 장치와 같은 측정기(26)를 사용해 촬상장치(22)를 프로필할 수 있다. 유저는 프로필 데이터베이스(40)나 장치 데이터베이스(36)에서 촬상장치(22)의 성능특성들을 선택한다. 이런 성능특성들은 촬상장치(16)에 사용된 것과 같은 표준이거나, 다른 표준이거나, 장치 데이터베이스(36)에 저장된 촬상장치(22)에 대한 제조업자의 사양이거나, 프로필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다른 촬상장치의 디스플레이 프로필이거나, 전술한 방식으로 영상(18)에서 생겨 프로필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에센스파일일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34)는 사전정의된 성능특성에서 벗어난 장치의 성능 편차를 보상하기 위한 수정알고리즘을 생성한다. 또, 프로필 데이터베이스(40)나 장치 데이터베이스(36)에 저장된 허용오차 데이터를 이용해, 프로세서(34)가 수정알고리즘으로 촬상장치(22)의 성능인자를 조정할 수 있는 범위를 한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보정 서비스 외에, 시스템(10)은 유저에게 다양한 다른 평가관리기능을 제공하기도 한다. 프로파일링과 보정 서비스를 하는 도중에, 시스템은 유저의 장치의 장기 성능에 관한 상당량의 정보를 획득한다. 시간이 지나면서 그리고 주기적인 사용과 함께, 여러 장치의 프로필들이 시스템(10)에 의해 저장된다. 이들 프로필을 이용해, 시스템은 장치의 성능의 트렌드를 결정할 수 있고, 예컨대 장치와 관련된 허용오차 데이터가 수정알고리즘에 의해 언제 벗어날지를 예측할 수 있다. 이런 정보가 유저에게 제공되면, 어떤 장치를 언제 수리, 점검, 교체할지 결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또, 특정 장치와 관련된 필요한 액션 아이템들을 확인하거나 식별할 것을 유저에게 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의료분야에 사용되는 많은 장치들은 주기적으로 리포트를 해야 한다. 이를 위해, 리포팅 스케쥴을 유저 데이터베이스(38)에 저장했다가, 마감일 전에 유저에게 (이메일 등으로) 자동으로 보내지는 경고메시지를 생성하거나 시스템에 접속하는 동안 사용자에게 경고하는데 사용한다. 다른 장치들은 Dolby, THX와 같은 보증당사자에 의해 액티브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비슷한 리포팅 조건들을 가질 수 있다. 어느 경우에도, 마감일이 다가오면 유저에게 경고를 하고 마감일 전에 필요한 행위(예; 보정)를 할 것을 유저에게 제시한다. 시스템은 필요한 행위를 끝냈을 때에도 리포팅 기능을 관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조업자의 권장 관리스케쥴을 받아야 하는 장치도 많다. 이런 스케쥴은 유저 데이터베이스(38)에 저장된다. 관리할 일정이 다가오면, 시스템에 접속한 동안 또는 전술한 메시지 기능을 통해 유저에게 통지된다.
시스템(10)은 다양한 다른 리포트를 할 수도 있다. 일례로, 장치에 의한 보정작업 이력, 전술한 허용오차 한계에 따른 유효수명의 종료를 표시하는 라이프사이클 리포트, 장치에 의한 리포팅 조건에 관한 (과거나 장래의) 리포트, 장치에 의한 유지관리 리포트 등이 있다.
프로파일링이나 보정작업을 하는 동안 유저가 장치의 위치와 작업자의 위치를 확인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작업에 관련된 시간기록과 함께 이 정보를 통해 시스템은 또다른 평가관리기능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인이 가장 최근의 위치정보를 이용해 보수해야할 장치를 찾을 수 있다. 유지관리나 규정준수에 관한 리포트나 경고를 받지 않고도, 유저는 장치의 프로파일링이나 보정 이력들을 주도적으로 리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 컴퓨팅장치(32)는 네트웍(14)을 통해 다른 서비스제공자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장기간에 걸쳐 수집된 장치에 관한 통계데이터를 근거로 선택된 표준과 예측가능한 고장을 충족하는 영상장치의 성능에 관한 정보가 제3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분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 가입에 의해 시스템에 접속하지 않고, 시스템의 버전이 셀프호스팅으로 유저에게 라이센스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네트웍(14)은 유저와 관련된 사람만 접속할 수 있는 LAN일 것이다. 한편, 네트웍(14)이 전술한 웹일 수도 있지만, 유저와 관계자만 접속이 허용되고, 유저가 컴퓨팅장치(32)를 관리한다. 이런 구성에서, 유저는 인터넷과 같은 외부네트웍이 아닌 방화벽 뒤의 내부네트웍에서 시스템(10)에 접속할 수 있다.

Claims (24)

  1. 촬상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영상시스템을 보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입에 의해 원격 시스템에 유저가 접속하는 단계;
    네트웍을 통해 유저와이 통신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유저와 관련된 ID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촬상장치와 관련된 획득프로필을 통신링크를 통해 획득하는 단계;
    획득프로필을 보정해야 할 기준인 성능특성들을 선택할 것을 유저에게 제시하는 단계; 및
    선택된 성능특성에 일치되게 촬상장치의 성능을 조정하기 위한 수정알고리즘을 통신링크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장치가 비디오카메라, 스틸카메라, 광학스캐너, MRI 장치, 스캔장치, 초음파기구 또는 열촬상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시스템이 하나의 프로세서와 다수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획득프로필을 근거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촬상장치의 성능을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성능특성에 촬상장치의 성능에 대한 제조업자의 사양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성능특성에 다른 촬상장치의 획득프로필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성능특성에 관련된 표적물체를 촬상장치의 표적영역에 두도록 유저에게 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가 촬상장치에 의해 생성된 획득프로필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가 측정기에 의해 생성된 획득프로필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원격시스템에 대한 유저의 접속에 관한 문맥데이터를 포함해 유저와 관련된 기록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성능특성에 촬상장치의 성능 조정범위를 한정하는 허용오차 데이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통신링크를 통해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는 허용오차 데이터 범위를 벗어난 조정에 관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촬상장치를 확인하라고 유저에게 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수정알고리즘이 3D LUT(Look Up Table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련된 디스플레이 프로필을 통신링크를 통해 획득하는 단계와, 선택된 성능특성에 맞게 디스플레이 장치의 성능을 조정하는 제2의 수정알고리즘을 통신링크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컴퓨터 모니터, TV, 비디오 프로젝터 또는 프린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촬상장치와 관련된 리포팅 스케줄을 검색하는 단계와, 리포팅 스케줄에 관한 메시지를 통신링크를 통해 유저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촬상장치와 관련된 유지관리 스케줄을 검색하는 단계와, 유지관리 스케줄에 관한 메시지를 통신링크를 통해 유저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촬상장치의 위치정보를 통신링크를 통해 획득하는 단계와, 위치정보에 대한 접속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촬상장치의 표적영역에 있는 표적물체를 설명하는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촬상장치와, 영상데이터를 근거로 표적물체를 사람이 인식할 수 있게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영상시스템을 보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네트웍을 통해 원격 시스템에 로그인하는 단계;
    촬상장치나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장치 프로필을 네트웍을 통해 원격시스템에 전달하는 단계;
    성능특성들을 선택하는 단계;
    성능특성들을 근거로 네트웍을 통해 원격시스템으로부터 수정알고리즘을 받는 단계; 및
    수정알고리즘을 이용해 촬상장치나 디스플레이 장치의 성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특성이 촬상장치나 디스플레이 장치의 성능으로 인정된 표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특성이 촬상장치나 디스플레이 장치의 성능에 대한 제조업자의 사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특성이 장치 프로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영상시스템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프로세서와, 이 프로세서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컴퓨팅장치;
    영상시스템과 통신하도록 컴퓨팅장치에 연결된 네트웍; 및
    가입 유저들에 대한 컴퓨팅장치로의 접속을 제한하고, 영상시스템에서 장치프로필을 받으며, 장치프로필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장치프로필을 근거로 수정알고리즘을 생성하며, 수정알고리즘을 이용해 시스템의성능을 조정하기 위한 수정알고리즘을 영상시스템에 전달하도록 컴퓨팅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20117011960A 2008-10-29 2009-10-21 영상시스템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844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260,385 2008-10-29
US12/260,385 US8154753B2 (en) 2008-10-29 2008-10-29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ccess to image system servi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4429A true KR20110084429A (ko) 2011-07-22

Family

ID=42117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7011960A KR20110084429A (ko) 2008-10-29 2009-10-21 영상시스템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4) US8154753B2 (ko)
EP (1) EP2350869A4 (ko)
JP (1) JP2012507791A (ko)
KR (1) KR20110084429A (ko)
CN (2) CN104639786A (ko)
CA (2) CA2818674A1 (ko)
HK (2) HK1163845A1 (ko)
WO (1) WO201005369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54753B2 (en) * 2008-10-29 2012-04-10 Thx,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ccess to image system services
KR20100055949A (ko) * 2008-11-18 2010-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촬영/재생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US9801616B2 (en) * 2010-04-13 2017-10-31 Seth Wallack Live feed ultrasound via internet streaming
TWI528329B (zh) * 2011-11-01 2016-04-0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產品輪廓影像分析系統及方法
CN102591994A (zh) * 2012-03-07 2012-07-18 我查查信息技术(上海)有限公司 基于图像采集设备的信息获取方法、装置及移动通信设备
CN105453092B (zh) * 2013-08-07 2019-03-08 皇家飞利浦有限公司 生成针对成像系统的维护通知信号的方法、系统和介质
CN103945119B (zh) * 2014-03-17 2018-01-23 广东明创软件科技有限公司 基于移动终端的提高摄像头对焦速度的方法及其移动终端
US9846687B2 (en) 2014-07-28 2017-12-19 Adp, Llc Word cloud candidate management system
US9729733B2 (en) * 2015-11-30 2017-08-08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Electronic document file acquisition representing apparatus, electronic document file acquisition represent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20170230650A1 (en) * 2016-02-05 2017-08-10 Tektronix, Inc. Camera stop calibrator
EP3552178B1 (en) * 2016-12-12 2022-06-01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video processing curves for high dynamic range images
JP6853810B2 (ja) * 2018-12-12 2021-03-31 株式会社東芝 点検支援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5888A (en) * 1996-01-11 2000-06-13 Eastman Kodak Company System for creating a device specific color profile
JP2002135607A (ja) * 2000-10-24 2002-05-10 Toppan Printing Co Ltd 画像カラーマッチングサービスシステム、画像カラーマッチングサービス用画像保管サーバ、画像カラーマッチングサービス用モニタプロファイル保管サーバ、及び画像カラーマッチングサービス方法
JP2002163098A (ja) * 2000-11-24 2002-06-07 Canon Inc 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453203B2 (ja) * 2001-01-09 2010-04-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デバイス環境設定システム、デバイス環境設定処理方法及び情報記録媒体
US20020097408A1 (en) * 2001-01-19 2002-07-25 Chang William Ho Output device for universal data output
US20020165881A1 (en) 2001-03-15 2002-11-07 Imation Corp. Web page color accuracy using color-customized style sheets
US6956966B2 (en) * 2001-04-03 2005-10-18 Electronics For Imag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image correction for digital image acquisition
JP3646931B2 (ja) * 2001-08-29 2005-05-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メージレタッチプログラム
US20030063300A1 (en) * 2001-10-01 2003-04-03 Gilles Rubinstenn Calibrating image capturing
US7369271B2 (en) * 2002-06-28 2008-05-0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ts method, and control method
EP1588550A1 (en) * 2003-01-30 2005-10-26 Kodak Polychrome Graphics, LLC Color correction using a device-dependent display profile
JP2004287665A (ja) * 2003-03-20 2004-10-14 Fuji Xerox Co Ltd 課金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20040103713A (ko) 2003-06-02 2004-12-09 주식회사 케이티 디지털 입력장치의 색상보정을 위한 인화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US7610207B2 (en) * 2003-12-10 2009-10-27 Zerotouchdigital Method for processing a digital image to satisfy a fulfillment request
JP2005245815A (ja) * 2004-03-05 2005-09-15 Toshiba Corp 医療検査機器再調節支援システム
FI20040834A0 (fi) 2004-06-17 2004-06-17 Petri Piirainen Menetelmä kameran ja/tai näyttölaitteen värikalibroimiseksi
US20050280881A1 (en) * 2004-06-18 2005-12-22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ation of a white point for calibration of an image capturing device
US7855727B2 (en) * 2004-09-15 2010-12-21 Gyrus Acmi, Inc. Endoscopy device supporting multiple input devices
JP2006139492A (ja) * 2004-11-11 2006-06-01 Canon Inc プロファイル情報取得システム、プロファイル情報取得機器、プロファイル情報送信機器、プロファイル情報取得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60170792A1 (en) * 2004-11-12 2006-08-03 Sozotek,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rue luminance detail
JP2006173822A (ja) * 2004-12-14 2006-06-29 Canon Inc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US7733353B2 (en) * 2005-02-15 2010-06-08 Eastman Kodak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profiling digital-image input devices
US20060206942A1 (en) * 2005-03-10 2006-09-14 Xybernaut Corporation Field interview kit
US8508607B2 (en) * 2005-09-06 2013-08-13 Its-7 Method and system for a programmable camera for configurable security and surveillance systems
JP2007134935A (ja) * 2005-11-10 2007-05-31 Seiko Epson Corp カラープロファイル提供システム、カラープロファイル提供装置、カラープロファイル利用装置、カラープロファイル提供プログラムおよびカラープロファイル利用プログラム、並びにカラープロファイル提供方法
JP2008252515A (ja) * 2007-03-30 2008-10-16 Olympus Corp 映像信号処理装置、映像表示システム、及び映像信号処理方法
JP2008295034A (ja) * 2007-04-26 2008-12-04 Sharp Corp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09031245A (ja) * 2007-07-03 2009-02-12 Sony Corp 色票装置
KR20090014849A (ko) * 2007-08-07 2009-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처리장치 및 스캔이미지처리방법
US8089656B2 (en) * 2007-09-12 2012-01-03 Ricoh Company Limited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9025751B2 (en) * 2008-10-01 2015-05-05 Avaya Inc.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conference calls through the use of filtered lists of participants
US8154753B2 (en) * 2008-10-29 2012-04-10 Thx,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ccess to image system ser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639786A (zh) 2015-05-20
CN102227721A (zh) 2011-10-26
CA2818674A1 (en) 2010-05-14
JP2012507791A (ja) 2012-03-29
US9275378B2 (en) 2016-03-01
WO2010053693A2 (en) 2010-05-14
US8154753B2 (en) 2012-04-10
EP2350869A4 (en) 2015-04-15
HK1210888A1 (en) 2016-05-06
WO2010053693A3 (en) 2010-07-08
CN102227721B (zh) 2015-04-01
EP2350869A2 (en) 2011-08-03
US8498010B2 (en) 2013-07-30
US20140333653A1 (en) 2014-11-13
US20100103270A1 (en) 2010-04-29
HK1163845A1 (en) 2012-09-14
US8792125B2 (en) 2014-07-29
US20140029052A1 (en) 2014-01-30
CA2781447A1 (en) 2010-05-14
US20120194675A1 (en) 201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84429A (ko) 영상시스템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11663732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images from a commodity camera for object scanning, reverse engineering, metrology, assembly, and analysis
AU2017245312A1 (en) Detection system
CN105051781A (zh) 机器视觉系统以及用于产品的远程质量检验的方法
US20080044082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Determination of Colors as Well as a Corresponding Computer Program and a Corresponding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147889A (zh) 自动化图象质量控制
TW200903293A (en) Medical image acquisition error detection
US200502192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ociating documents with multi-media data
Wüller et al. Standardization of image quality analysis–ISO 19264
JP5346718B2 (ja) モニタ管理システム及び輝度情報管理装置
KR102260822B1 (ko) 클라우드 보안규정 준수여부 진단 및 관리 장치
KR20220040453A (ko) 면도날 자동주문 장치
Colbert Understanding Proprietary Infrared Image Files
JP4368160B2 (ja) 画像表示品質データ提供装置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方法
US2020021895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essing and obtaining a calibration for a printing device
CN116558781A (zh) 用于显示屏体检测的方法、装置、终端设备及系统
US1141729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interaction with an enhanced monochromatic image presentation device
Zhao Image data collection, processing, storage, and their application in smartphone food analysis
JP2008306498A (ja) 画像表示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ones et al. Image quality assurance for the real world
CN116461096A (zh) 3d打印设备的测试方法、装置、存储介质以及电子设备
TW201624361A (zh) 設備元件管理系統及其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