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3075A - 다층금속판재 연속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다층금속판재 연속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3075A
KR20110083075A KR1020100003098A KR20100003098A KR20110083075A KR 20110083075 A KR20110083075 A KR 20110083075A KR 1020100003098 A KR1020100003098 A KR 1020100003098A KR 20100003098 A KR20100003098 A KR 20100003098A KR 20110083075 A KR20110083075 A KR 20110083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rolling mill
uncoiler
base steel
bo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3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3145B1 (ko
Inventor
이영선
이광석
강성훈
김상우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03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3145B1/ko
Publication of KR20110083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3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3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3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04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by means of a rolling mi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4Preventing or minimising gas access, or using protective gases or vacuum during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24Preliminary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03Coo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7/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nnection with rolling of multi-layer sheets of metal
    • B21B47/02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nnection with rolling of multi-layer sheets of metal for folding sheets before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18Sheet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02Iron or ferrous alloys
    • B23K2103/04Steel or steel allo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층금속판재 연속제조장치는, 모재강판 및 접합강판의 표면산화를 차단하고 상기 모재강판에 대한 상기 접합강판의 접합력을 높이도록, 진공분위기에서 상기 모재강판과 접합강판이 각각 배치된 후 서로 접합되도록 구성되며, 구체적으로, 진공챔버; 상기 진공챔버 내에 배치되며, 금속을 용해하는 진공유도용해로; 상기 진공유도용해로로부터 배출되는 용탕을 냉각압연하여 모재강판을 만드는 냉각압연기; 감겨진 접합강판이 언코일되도록 구성되는 언코일러; 및 상기 모재강판에 상기 언코일러로부터 언코일되는 상기 접합강판을 겹쳐서 열간압연하여 접합시키는 열간압연기;를 포함하여, 상기 모재강판에 대한 상기 접합강판의 접합이 진공분위기에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Description

다층금속판재 연속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of multilayered metallic materials}
본 발명은 다층금속판재 연속제조장치로서, 제조되는 다층금속판재가 접합 계면부에 금속간 화합물 및 크랙이 발생되지 않는 건전한 계면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다층금속판재 연속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다층금속판재 연속제조장치에 의해 다층금속판재를 제조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층금속판재 연속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다층금속판재의 계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다층금속판재 제조는 모재강판(1)과 접합강판(2)을 접합하는 작업과정에 있어서, 산소가 포함된 대기 중에서 상기 작업과정이 이루어진다.
이로 인하여, 모재강판(1)과 접합이 되는 접합강판(2)에서 시간에 지남에 따라 표면이 산화되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와 같이 표면이 산화된 모재강판(1)과 접합강판(2)은, 접합된 다층금속판재의 접합 계면부(8) 상태가 불건전한 상태가 되게 한다.
즉, 상기 접합 계면부(8)가 산화된 표면(산화막)으로 인하여 접합력이 떨어지게 됨으로써, 후에 다층금속판재가 서로 갈라져서 분리되거나 그 기계적 성질이 떨어지는 것과 같이, 전체적으로 다층금속판재의 품질이 떨어지게 되는 한계점이 있다.
그리고, 모재강판(1)을 만든 후 이를 상기 접합강판(2)과 접합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흐름에 따라 모재강판(1)의 온도가 급격하게 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열간압연기(6)에서 아주 높은 온도로 다시 모재강판(1)을 접합강판(2)과 함께 가열하게 되는데, 이는 접합에 적정한 온도가 아닌 오버히팅(overheating)된 온도가 됨으로써, 접합과정에서 다층금속판재의 접합 계면부(8)가 불건전하게 된다.
즉, 다층금속판재의 접합 계면부(8)에 금속간의 화합물(9)이 발생하고 다량이 기공이 생기거나 크랙(crack)(7)이 발생하는 등 그 상태가 불건전한 상태를 이루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제조되는 다층금속판재가 접합 계면부에 금속간 화합물 및 크랙이 발생되지 않는 건전한 계면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다층금속판재 연속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층금속판재 연속제조장치는, 모재강판 및 접합강판의 표면산화를 차단하면서 상기 모재강판에 대한 상기 접합강판의 접합력을 높이도록, 진공분위기에서 상기 모재강판과 접합강판이 각각 배치된 후 서로 접합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진공챔버; 상기 진공챔버 내에 배치되며, 금속을 용해하는 진공유도용해로; 상기 진공유도용해로로부터 배출되는 용탕을 냉각압연하여 모재강판을 만드는 냉각압연기; 감겨진 접합강판이 언코일되도록 구성되는 언코일러; 및 상기 모재강판에 상기 언코일러로부터 언코일되는 상기 접합강판을 겹쳐서 열간압연하여 접합시키는 열간압연기;를 포함하여, 상기 모재강판에 대한 상기 접합강판의 접합이 진공분위기에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언코일러는, 상기 모재강판의 일면에 접합될 제1 접합강판이 감겨진 제1 언코일러; 및 상기 모재강판의 타면에 접합될 제2 접합강판이 감겨진 제2 언코일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진공유도용해로의 인입구와 상기 진공챔버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는 상하방향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진공챔버의 개구부에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개폐부재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진공챔버에는 상기 냉각압연기와 열간압연기 각각의 점검을 위한 점검창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진공챔버에는 내부에 마련된 상기 진공유도용해로, 냉각압연기, 언코일러, 및 열간압연기의 유지보수를 위한 점검도어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언코일러와 열간압연기는, 기어드 모터와 체결된 기어박스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기어드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진공챔버; 상기 진공챔버 내에 배치되며, 금속을 용해하는 진공유도용해로; 상기 진공유도용해로로부터 배출되는 용탕을 냉각압연하여 모재강판을 만드는 냉각압연기; 감겨진 접합강판이 언코일되는 언코일러; 상기 모재강판에 상기 언코일러로부터 언코일되는 상기 접합강판을 겹쳐서 열간압연하여 접합시키는 열간압연기; 및 상기 냉각압연기와 열간압연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모재강판과 상기 접합강판을 상기 열간압연기까지 가이드 이송하면서, 상기 모재강판과 접합강판의 온도가 설정된 압연 용융점이 되도록 가열하는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상기 모재강판에 대한 상기 접합강판의 접합이 진공분위기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층금속판재 연속제조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냉각압연기와 열간압연기 사이에 배치된 프레임; 상기 모재강판과 접합강판을 가이드 이송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상부를 따라 수평하게 설치된 이송롤러; 및 상기 이송롤러의 상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할로겐 램프를 구비하여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이송되는 상기 모재강판과 접합강판의 온도가 설정된 압연 용융점까지 상승되도록 가열하는 할로겐 히팅터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컨베이어는, 이송되는 상기 모재강판과 접합강판을 양측에서 가이드 지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상부 양측을 따라 각각 장착된 사이드롤러; 및 이송되는 상기 모재강판과 접합강판을 상측에서 가이드 지지하도록, 상기 이송롤러 상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핀치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언코일러는, 상기 모재강판의 일면에 접합될 제1 접합강판이 감겨진 제1 언코일러; 및 상기 모재강판의 타면에 접합될 제2 접합강판이 감겨진 제2 언코일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진공유도용해로의 인입구와 상기 진공챔버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는 상하방향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진공챔버의 개구부에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개폐부재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진공챔버에는 상기 냉각압연기와 열간압연기 각각의 점검을 위한 점검창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진공챔버에는 내부에 마련된 상기 진공유도용해로, 냉각압연기, 언코일러, 및 열간압연기의 유지보수를 위한 점검도어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언코일러와 열간압연기는, 기어드 모터와 체결된 기어박스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기어드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금속판재 연속제조장치는, 진공챔버 내의 진공분위기에서 다층금속판재가 제조됨으로써, 그 제조과정에서 모재강판 및 접합강판 표면에 산화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나아가 산화된 표면을 가지고 서로 접합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다층금속판재의 품질이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이송과 동시에 할로겐 히팅터널에 의해 접합공정에 적정한 온도까지 모재강판과 접합강판을 가열함으로써, 열간압연기에서 오버히팅(overheating)하지 않은 적정한 온도에서 압연될 수 있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제조되는 다층금속판재가 접합 계면부에 금속간 화합물 및 크랙(crack)이 발생되지 않는 건전한 계면상태를 가지도록 하며, 나아가, 상기 건전한 계면상태로 인하여 상기 다층금속판재의 접합력도 높아지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다층금속판재 연속제조장치에 의해 다층금속판재를 제조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다층금속판재 연속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다층금속판재의 계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층금속판재 연속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다층금속판재 연속제조장치에서 진공챔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다층금속판재 연속제조장치에서 냉각압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다층금속판재 연속제조장치에서 열간압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다층금속판재 연속제조장치에서 컨베이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컨베이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3의 다층금속판재 연속제조장치에 의해 다층금속판재를 제조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은 도 3의 다층금속판재 연속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다층금속판재의 계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모재강판 및 접합강판의 표면산화를 차단하고 상기 모재강판에 대한 상기 접합강판의 접합력을 높이도록, 진공분위기에서 상기 모재강판과 접합강판이 각각 배치된 후 서로 접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층금속판재 연속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다층금속판재 연속제조장치에서 진공챔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층금속판재 연속제조장치는 진공챔버(20)와, 상기 진공챔버(20) 내에 배치되는 진공유도용해로(30), 냉각압연기(40), 언코일러, 열간압연기(60) 및 컨베이어(70)를 포함한다.
상기 진공챔버(20)는 내부가 진공분위기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구성요소들이 내부에 마련될 수 있도록 적정한 공간을 갖는다.
이러한 진공챔버(20)는 내부공간에 진공 상태를 만들고 이를 유지하기 위해 진공펌프와 같은 기기들이 활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진공펌프와 같은 기능을 가진 종래의 어떠한 기기들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진공챔버(20)는 그 내부에 다층금속판재를 제조하는 상기 구성요소들이 설치됨으로써, 다층금속판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이용되는 각각의 판재, 즉 강판들의 표면에 산화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나아가 산화된 표면을 가지고 서로 접합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다층금속판재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진공챔버(20)에는 후술하는 냉각압연기(40)와 열간압연기(60) 각각의 점검을 위한 점검창(24)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진공챔버(20)에는 내부에 마련된 진공유도용해로(30), 냉각압연기(40), 언코일러, 및 열간압연기(60)의 유지보수를 위한 점검도어(26)가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검창(24) 및 점검도어(26)는 관리자 또는 작업자가 상기 다층금속판재 연속제조장치를 정기적으로 점검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으로서 적정한 위치 및 수량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진공유도용해로(30)는 진공챔버(20) 내에 배치되며, 내부에 인입되는 금속을 용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진공유도용해로(30)는, 진공 또는 불활성 가스에서 고체재료를 녹는점 이상으로 가열하여 용해할 목적으로 제조된 노로서, 가열하는 방식에 있어서 코크스 ·석탄가스 ·천연가스 ·중유 ·석탄 등을 연료로 하는 것과 전열식으로 행하는 것, 아크열을 이용하는 것 등이 활용될 수 있으며, 이 밖에 용해하려는 것이 전기도체일 경우에는 그 자체에 유도전류를 흘려서, 저항발열을 이용하여 가열하는 유도가열방식도 활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공유도용해로(30)의 인입구(30a)와 진공챔버(20)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20a)는 상하방향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진공챔버(20)의 개구부(20a)에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개폐부재(22)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격된 상기 인입구(30a)와 개구부(20a)는, 상기 개폐부재(22)가 열려서 금속이 인입될 때 진공유도용해로(30)의 인입구(30a)까지 연장된 적정한 금속 이송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압연기(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유도용해로(30)로부터 배출되는 용탕을 냉각압연하여 모재강판(11)을 만드는 기기다.
즉, 냉각압연기(40)는 진공유도용해로(30)에서 용해된 용탕을 판재와 같은 일정한 형상을 이루도록 일정 이하의 낮은 온도에서 압연을 한다.
아울러, 상기 언코일러는 감겨진 접합강판(12)이 언코일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언코일러는 제1 언코일러(54)와 제2 언코일러(5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언코일러(54)는 모재강판(11)의 일면에 접합될 제1 접합강판(12a)이 감겨진 부재이고, 상기 제2 언코일러(56)는 모재강판(11)의 타면에 접합될 제2 접합강판(12b)이 감겨진 부재이다.
여기에서, 물론 상기 제1 접합강판(12a)과 제2 접합강판(12b)은 코일형태로 상기 제1 언코일러(54)와 제2 언코일러(56)에 각각 감겨지며, 제1 언코일러(54)와 제2 언코일러(56)가 회전함에 따라 제1 접합강판(12a)과 제2 접합강판(12b)은 풀리면서 상기 모재강판(11)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점점 모재강판(11)과 가까워지는 움직임을 취한다.
한편, 상기 열간압연기(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재강판(11)에 언코일러로부터 언코일되는 접합강판(12)을 겹쳐서 열간압연하여 접합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열간압연기(60)는 모재강판(11)과 접합강판(12)을 접합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접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이에 적합한 온도를 형성시키기 위해 일정 이상의 높은 온도에서 모재강판과 접합강판(12)을 압연한다.
이때, 상술된 언코일러와 열간압연기(60)는, 기어드 모터(80)와 체결된 기어박스(52)(62)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기어드 모터(80)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열간압연기(60)에 기어드 모터(80) 하나가 활용됨에 따라 언코일러의 회전축이 연결된 기어박스(52)는, 연결벨트(82)에 의해 상기 기어드 모터(80)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언코일러가 회전구동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결벨트(82)는 열간압연기(60)의 압연롤과 언코일러의 회전부가 다층금속판재를 제조하기 위해 적정한 회전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은 물론이다.
도 7은 도 3의 다층금속판재 연속제조장치에서 컨베이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컨베이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컨베이어(70)는 냉각압연기(40)와 열간압연기(60)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컨베이어(70)는 모재강판(11)과 접합강판(12)을 상기 열간압연기(60)까지 가이드 이송하면서, 모재강판(11)과 접합강판(12)의 온도가 설정된 압연 용융점이 되도록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컨베이어(70)는, 냉각압연기(40)와 열간압연기(60) 사이에 배치된 프레임(72), 상기 프레임(72)에 설치되는 이송롤러(74)와 할로겐 히팅터널(79)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72)은 이송되는 모재강판(11)과 접합강판(12)이 냉각압연기(40)와 열간압연기(60) 사이에서 적정한 높이 및 경로를 취할 수 있도록, 그 위치 및 구조가 구성된다.
상기 이송롤러(74)는 모재강판(11)과 접합강판(12)을 가이드 이송하도록, 프레임(72)의 상부를 따라 수평하게 설치된다.
즉, 이송롤러(74)는 복수 개가 서로 평행하게 프레임(72)의 상부면을 따라 장착되며, 이때 이송되는 모재강판(11)과 접합강판(12)이 정확하고 안전한 이송을 이룰 수 있도록 서로에 대한 이격된 거리 및 그 수가 정해짐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할로겐 히팅터널(79)은 프레임(72)에 설치되며, 이송롤러(74)의 상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할로겐 램프를 구비한다.
이러한 할로겐 히팅터널(79)은 이송되는 모재강판(11)과 접합강판(12)의 온도가 설정된 압연 용융점까지 상승되도록 상기 할로겐 램프에 의해 모재강판(11)과 접합강판(12)을 가열한다.
이에 따라, 상기 모재강판(11)과 접합강판(12)이 서로 접합하기 위한 공정에 적정한 온도까지 되도록 한다.
즉, 상기 컨베이어(70)는 이송과 동시에 할로겐 히팅터널(79)에 의해 접합공정에 적정한 온도까지 모재강판(11)과 접합강판(12)을 가열함으로써,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간압연기(60)에서 오버히팅(overheating)하지 않은 적정한 온도에서 압연될 수 있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되는 다층금속판재가 접합 계면부(18)에 금속간 화합물(도 1의 9) 및 크랙(crack)(도 1 및 도 2의 7)이 발생되지 않는 건전한 계면상태를 가지도록 한다. 이와 함께, 상기 건전한 계면상태로 인하여 상기 다층금속판재의 접합력도 높아진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70)는 프레임(72)의 상부에 설치되는 사이드롤러(76)와 핀치롤러(78)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사이드롤러(76)는 프레임(72)의 상부 양측을 따라 각각 장착되어, 이송되는 모재강판(11)과 접합강판(12)을 양측에서 가이드 지지한다.
또한, 상기 핀치롤러(78)는 이송롤러(74) 상측으로 이격되어 프레임(72)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모재강판(11)과 접합강판(12)을 상측에서 가이드 지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사이드롤러(76)와 핀치롤러(78)는, 모재강판(11)과 접합강판(12)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1 : 모재강판 12 : 접합강판
12a : 제1 접합강판 12b : 제2 접합강판
18 : 접합 계면부 20 : 진공챔버
22 : 개폐부재 24 : 점검창
26 : 점검도어 30 : 진공유도용해로
30a : 인입구 40 : 냉각압연기
52, 62 : 기어박스 54 : 제1 언코일러
56 : 제2 언코일러 60 : 열간압연기
70 : 컨베이어 72 : 프레임
74 : 이송롤러 76 : 사이드롤러
78 : 핀치롤러 79 : 할로겐 히팅터널
80 : 기어드 모터 82 : 연결벨트

Claims (15)

  1. 모재강판 및 접합강판의 표면산화를 차단하면서 상기 모재강판에 대한 상기 접합강판의 접합력을 높이도록, 진공분위기에서 상기 모재강판과 접합강판이 각각 배치된 후 서로 접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금속판재 연속제조장치.
  2. 진공챔버;
    상기 진공챔버 내에 배치되며, 금속을 용해하는 진공유도용해로;
    상기 진공유도용해로로부터 배출되는 용탕을 냉각압연하여 모재강판을 만드는 냉각압연기;
    감겨진 접합강판이 언코일되도록 구성되는 언코일러; 및
    상기 모재강판에 상기 언코일러로부터 언코일되는 상기 접합강판을 겹쳐서 열간압연하여 접합시키는 열간압연기;를 포함하여,
    상기 모재강판에 대한 상기 접합강판의 접합이 진공분위기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금속판재 연속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언코일러는,
    상기 모재강판의 일면에 접합될 제1 접합강판이 감겨진 제1 언코일러; 및
    상기 모재강판의 타면에 접합될 제2 접합강판이 감겨진 제2 언코일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금속판재 연속제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유도용해로의 인입구와 상기 진공챔버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는 상하방향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진공챔버의 개구부에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개폐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금속판재 연속제조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챔버에는 상기 냉각압연기와 열간압연기 각각의 점검을 위한 점검창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금속판재 연속제조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챔버에는 내부에 마련된 상기 진공유도용해로, 냉각압연기, 언코일러, 및 열간압연기의 유지보수를 위한 점검도어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금속판재 연속제조장치.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언코일러와 열간압연기는,
    기어드 모터와 체결된 기어박스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기어드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금속판재 연속제조장치.
  8. 진공챔버;
    상기 진공챔버 내에 배치되며, 금속을 용해하는 진공유도용해로;
    상기 진공유도용해로로부터 배출되는 용탕을 냉각압연하여 모재강판을 만드는 냉각압연기;
    감겨진 접합강판이 언코일되는 언코일러;
    상기 모재강판에 상기 언코일러로부터 언코일되는 상기 접합강판을 겹쳐서 열간압연하여 접합시키는 열간압연기; 및
    상기 냉각압연기와 열간압연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모재강판과 상기 접합강판을 상기 열간압연기까지 가이드 이송하면서, 상기 모재강판과 접합강판의 온도가 설정된 압연 용융점이 되도록 가열하는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상기 모재강판에 대한 상기 접합강판의 접합이 진공분위기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금속판재 연속제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냉각압연기와 열간압연기 사이에 배치된 프레임;
    상기 모재강판과 접합강판을 가이드 이송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상부를 따라 수평하게 설치된 이송롤러; 및
    상기 이송롤러의 상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할로겐 램프를 구비하여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이송되는 상기 모재강판과 접합강판의 온도가 설정된 압연 용융점까지 상승되도록 가열하는 할로겐 히팅터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금속판재 연속제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이송되는 상기 모재강판과 접합강판을 양측에서 가이드 지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상부 양측을 따라 각각 장착된 사이드롤러; 및
    이송되는 상기 모재강판과 접합강판을 상측에서 가이드 지지하도록, 상기 이송롤러 상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핀치롤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금속판재 연속제조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언코일러는,
    상기 모재강판의 상면에 접합될 제1 접합강판이 감겨진 제1 언코일러; 및
    상기 모재강판의 하면에 접합될 제2 접합강판이 감겨진 제2 언코일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금속판재 연속제조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유도용해로의 인입구와 상기 진공챔버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는 상하방향 이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진공챔버의 개구부에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개폐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금속판재 연속제조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챔버에는 상기 냉각압연기와 열간압연기 각각의 점검을 위한 점검창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금속판재 연속제조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챔버에는 내부에 마련된 상기 진공유도용해로, 냉각압연기, 언코일러, 열간압연기, 및 컨베이어의 유지보수를 위한 점검도어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금속판재 연속제조장치.
  15. 제8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언코일러와 열간압연기는,
    기어드 모터와 체결된 기어박스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기어드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금속판재 연속제조장치.
KR1020100003098A 2010-01-13 2010-01-13 다층금속판재 연속제조장치 KR101093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098A KR101093145B1 (ko) 2010-01-13 2010-01-13 다층금속판재 연속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098A KR101093145B1 (ko) 2010-01-13 2010-01-13 다층금속판재 연속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075A true KR20110083075A (ko) 2011-07-20
KR101093145B1 KR101093145B1 (ko) 2011-12-12

Family

ID=44920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3098A KR101093145B1 (ko) 2010-01-13 2010-01-13 다층금속판재 연속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31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89530A (zh) * 2011-12-01 2012-06-13 上海交通大学 多层轧制及多点电脉冲处理所致3d梯度板材的制备方法及设备
CN105170652A (zh) * 2015-08-31 2015-12-23 东北大学 一种多层异种金属复合极薄带的制备方法
KR20160052026A (ko) 2014-10-31 2016-05-1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관제 문제 통보 방법 및 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6660B1 (ko) 2014-10-31 2017-10-1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관제 맵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34654A1 (ja) * 2007-09-14 2009-03-19 Seiko Epson Corporation 鉄鋼部材の接合方法、鉄鋼部材からなる接合体における接合力強化方法、鉄鋼製品及びダイカスト製品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89530A (zh) * 2011-12-01 2012-06-13 上海交通大学 多层轧制及多点电脉冲处理所致3d梯度板材的制备方法及设备
CN102489530B (zh) * 2011-12-01 2013-12-11 上海交通大学 多层轧制及多点电脉冲处理所致3d梯度板材的制备方法及设备
KR20160052026A (ko) 2014-10-31 2016-05-1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관제 문제 통보 방법 및 그 장치
CN105170652A (zh) * 2015-08-31 2015-12-23 东北大学 一种多层异种金属复合极薄带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3145B1 (ko) 2011-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09494C1 (ru) Компактная линия гомогенизации непрерывным отжигом
KR101093145B1 (ko) 다층금속판재 연속제조장치
WO2017167147A1 (zh) 热冲压成形加热装置及热冲压生产线
JP5759021B2 (ja) 真空ガラス部材の連続加工装置
JP5975232B2 (ja) 鋼管の搬送方法および搬送装置
US10480860B2 (en) Conveyor furnace
KR101061876B1 (ko) 다층금속판재 연속제조방법
US20150068250A1 (en) Method for producing float glass
JP2019215159A (ja) 熱処理装置
KR100424095B1 (ko) 배치형 브레이징 퍼니스 시스템
CN110099783B (zh) 用于传送箔的基础结构、装置和方法
JP6667698B1 (ja) ローラ搬送式焼成炉のシャッター装置
CN113385768A (zh) 新能源汽车动力电池液冷板专用无马弗钎焊炉
JP2007284785A (ja) 金属箔のスレッディング装置
KR101456422B1 (ko) 금속 클래드재 또는 금속 산화물계 클래드재에 필러 메탈을 접합하여 전기 접점 소재를 제작하는 장치
KR101601206B1 (ko) 3실형 고진공 브레이징 장치
CN211771455U (zh) 一种防火卷帘生产用卷轴表面处理装置
JP4872646B2 (ja) クラッド材製造設備の加熱冷却炉
CN214665964U (zh) 一种多工位自动化加热炉
CN215469034U (zh) 一种用于卷带焊接的缓冲装置
JP3701069B2 (ja) 焼結炉のベルト駆動装置
CN208004779U (zh) 钢丝绳绳端与锚头锁具自动化浇注系统的预热恒温炉
JP4313276B2 (ja) 金属板の板継ぎ方法
TWI715680B (zh) 玻璃成形體的製造方法以及玻璃成形體的製造裝置
JP2011245528A (ja) クラッド圧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