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2906A - 도어-록킹유닛을 갖춘 압력용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도어-록킹유닛을 갖춘 압력용기 어셈블리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2906A
KR20110082906A KR1020100002845A KR20100002845A KR20110082906A KR 20110082906 A KR20110082906 A KR 20110082906A KR 1020100002845 A KR1020100002845 A KR 1020100002845A KR 20100002845 A KR20100002845 A KR 20100002845A KR 20110082906 A KR20110082906 A KR 20110082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door
pressure vessel
plate
produc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2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용수
Original Assignee
권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용수 filed Critical 권용수
Priority to KR1020100002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2906A/ko
Publication of KR20110082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29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07Lids, covers or knob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10Lid-lo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록킹 및 이의 해제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도어-록킹유닛을 갖춘 압력용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히팅수단을 통해 가열할 수 있도록 제품 베이스(100)에 개방된 상부가 노출되게 배치되는 통 형상의 압력용기(210)와, 상기 제품 베이스(100)의 상부(110)에 일측 가장자리가 힌지부재(230)를 통해 장착되어 상기 압력용기(21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며 내측 테두리를 따라 패킹(221)이 배치된 도어(220)와, 상기 도어(220)를 록킹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도어-록킹유닛(300)을 갖춘 압력용기 어셈블리(200)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킹유닛(300)이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도어(220)의 상면에서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안착 배치되며, 외주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록킹부(311)가 상기 도어(220)의 가장자리 외측으로 연장 돌출된 회동플레이트(310)와; 금속플레이트를 절곡하여 제작되며 상기 회동플레이트(310)의 록킹부(311)들과 대향되도록 상기 제품 베이스(100)의 상부(110)에 각각 세워져 장착되고, 상단에는 상기 도어(220)의 가장자리측을 향해 굽어지게 절곡된 걸림부(321)가 마련되어 상기 회동플레이트(310)가 소정각도 일방향 회전함에 따라 상기 록킹부(311)들이 각각 삽입되어 걸리는 복수개의 록킹브래킷(32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록킹유닛을 갖춘 압력용기 어셈블리{PRESSURE CHAMBER ASSEMBLY WITH DOOR-LOCKING UNIT}
본 발명은 생약추출기 또는 중탕기, 멸균소독기 등에 사용되는 압력용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도어(뚜껑)를 록킹(LOCKING)상태로 견실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도어-록킹유닛을 갖춘 압력용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력용기 어셈블리는 생약을 대량으로 추출하기 위한 생약추출기와 중탕기 또는 고압 상태에서 피멸균부재를 멸균시키기 위한 멸균소독기 등에 폭넓게 사용되는 것으로, 여기에는 압력용기의 개방부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와, 도어 폐쇄상태를 견실하게 유지하기 위한 록킹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압력용기 어셈블리는 생약추출기 또는 중탕기 등에 적용되는데, 이것이 생약추출기에 적용된 예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약재 등을 달이기 위한 생약추출기는 내부에 히팅부재(20)가 배치되는 본체(10)와, 이 본체(10) 상부에 배치되며 적당량의 물과 한약재 등이 채워지는 압력용기 어셈블리(30)와, 압력용기 어셈블리(30)의 내부압을 표시하며 생약추출기의 전기적인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패널(40)을 갖추고 있다. 종래 압력용기 어셈블리(30)는 본체(10) 상부에 세워져 설치되며 히팅부재(20)를 통해 하부가 직접 가열되는 용기(31)와, 이 용기(31)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도록 일측이 힌지(32) 결합되며 기밀유지를 위해 내측에는 패킹(미도시)이 배치된 도어(33)와, 이 도어(33)를 록킹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록킹부재(40)를 갖추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압력용기 어셈블리(30)의 용기(31) 내부에 한약재(생약)와 적당량의 물을 넣은 후 도어(33)를 닫는다. 그리고 록킹부재(40)를 통해 도어(33)를 록킹상태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히팅부재(20)를 통해 용기(31)를 가열하면, 한약재의 생약성분이 액체로 추출되게 된다. 이때, 용기(31)의 내부압력은 상당히 높기 때문에 고압이 가해지더라도 도어(33)가 개방되지 않도록 록킹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고압의 수증기가 패킹 틈새를 통해서도 새어 나오지 않게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 압력용기 어셈블리(30)의 도어 록킹부재(40)는 용기(31)의 개방된 상부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체결편(42)과, 이 체결편(42)의 선단부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조립된 손잡이(43)와, 체결편(43)들과 대응되는 도어(33)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어 체결편(41)의 선단이 수용 결합되는 복수개의 걸림부재(42)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체결편(41)들을 세워 걸림부재(42)들에 걸어 가조립한 후 손잡이(43)를 각각 잠그는 방향으로 돌려 잠그면, 도어(33)는 용기(31)의 개방부 둘레에 견실하게 밀착된다.
그러나 종래 압력용기 어셈블리(30)의 도어 록킹부재(40)에서는 도어(33)를 록킹시키거나 해제하는 경우 일일이 체결편(41)에 장착된 손잡이(43)들을 돌려 잠그거나 해제해야 함으로써 사용상의 상당한 불편함이 있다. 즉, 상기와 같은 도어 록킹부재(40)의 경우 체결편(41)이 보통 5개 내지 6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일일이 5개 내지 6개의 체결편(41)들을 세운 후 이에 마련된 손잡이(43)들을 각각 돌려 잠그거나 해제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압력용기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도어의 록킹유닛 구조를 개선하여 도어 록킹상태를 견실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도어 록킹 및 해제 조작을 원터치 타입으로 용이하게 하여 사용 편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도어-록킹유닛을 갖춘 압력용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히팅수단을 통해 가열할 수 있도록 제품 베이스에 개방된 상부가 노출되게 배치되는 통 형상의 압력용기와, 상기 제품 베이스의 상부에 일측 가장자리가 힌지부재를 통해 장착되어 상기 압력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며 내측 테두리를 따라 패킹이 배치된 도어와, 상기 도어를 록킹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도어-록킹유닛을 갖춘 압력용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킹유닛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도어의 상면에서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안착 배치되며, 외주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록킹부가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 외측으로 연장 돌출된 회동플레이트와; 금속플레이트를 절곡하여 제작되며 상기 회동플레이트의 록킹부들과 대향되도록 상기 제품 베이스의 상부에 각각 세워져 장착되고, 상단에는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측을 향해 굽어지게 절곡된 걸림부가 마련되어 상기 회동플레이트가 소정각도 일방향 회전함에 따라 상기 록킹부들이 각각 삽입되어 걸리는 복수개의 록킹브래킷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동플레이트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록킹부들이 상기 록킹브래킷의 걸림부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스톱퍼부가 상기 록킹브래킷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동플레이트의 록킹부들에 상기 회동플레이트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원호형 단면을 갖는 보강라인이 형성되며; 상기 록킹브래킷의 걸림부들에 상기 보강라인과 부합되게 원호형 단면을 갖는 결합 비드부가 마련되어; 상기 압력용기의 내부압력이 올라감에 따라 상기 도어가 들리면서 상기 보강라인이 상기 결합 비드부에 요철 결합방식으로 맞물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동플레이트의 록킹부 양측단과 선단에 평상 시 하단부가 상기 제품 베이스의 상면과 0.5~1.5mm 정도의 사이틈이 유지되도록 연장된 보강스커트부가 마련되어; 상기 록킹부가 상기 록킹브래킷의 걸림부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압력용기의 내부압력이 올라가 상기 도어의 중심부가 상측으로 들리면 상기 록킹부 부위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보강스커트부의 하단부가 상기 제품 베이스 상면에 접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동플레이트의 상면에 상기 회동플레이트를 록킹브래킷에 걸리도록 하거나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동손잡이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압력용기 어셈블리의 도어-록킹유닛에 의하면; 제품 베이스에 힌지 결합된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회동플레이트를 일측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키면 록킹부가 록킹브래킷들의 걸림부에 걸림으로써 도어는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는 한 개방되지 않는다. 즉, 간단한 회동플레이트의 회전 조작에 의해 도어가 견실하면서도 용이하게 록킹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력용기 어셈블리의 도어-록킹유닛에 의하면; 회동플레이트의 록킹부가 록킹브래킷의 스톱퍼에 닿을 때까지 회전시키면 걸림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이의 회전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력용기 어셈블리의 도어-록킹유닛에 의하면; 용기 내부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회동플레이트의 록킹부와 록킹브래킷의 걸림부가 요철 결합방식으로 맞물림되는 것은 물론이며 보강스커트부의 하단이 제품 베이스 상면에 지지됨으로써, 용기의 내부압력이 해제되지 않는 한 회동플레이트의 록킹상태가 해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력용기 어셈블리의 도어-록킹유닛에 의하면; 회동플레이트 상면에 장착된 회동손잡이를 통해 이의 회전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도어 상면에 장착된 개방손잡이를 잡고서 도어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압력용기 어셈블리가 적용된 생약추출기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생약추출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용기 어셈블리 도어-록킹유닛의 록킹해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킹유닛의 록킹해제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킹유닛의 록킹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킹유닛의 록킹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Ⅶ - Ⅶ선에 따른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킹유닛을 통한 록킹 초기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8은 압력용기 내부의 증기압이 상승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킹유닛의 록킹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본 발명에 따른 압력용기 어셈블리는 생약추출기에 적용된 것을 예로 설명한다. 그리고 첨부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용기 어셈블리가 적용된 생약추출기를 보인 것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용기 어셈블리와 도어-록킹유닛의 구성을 발췌하여 보인 것이고,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용기 어셈블리에 적용된 도어-록킹유닛을 통해 도어가 록킹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된 생약추출기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히팅수단(미도시:전기히터 또는 가스버너 등)이 내장 설치되며 전면에 콘트롤패널(120)이 장착된 제품 베이스(100)와, 이 제품 베이스(100)의 상부(110)에 배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용기 어셈블리(200)를 갖추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용기 어셈블리의 구성 설명>
본 발명에 따른 압력용기 어셈블리(200)는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품 베이스(100)의 상부(110)에 개방된 상단부가 노출되게 배치되는 압력용기(210)와, 제품 베이스(100)의 상부(110)에 장착되어 압력용기(210)의 개방된 상단부를 개폐하는 도어(220)와, 이 도어(220)를 록킹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도어-록킹유닛(300)을 갖추고 있는데, 각 구성요소들의 상세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압력용기(210)는 상단부가 개방된 금속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의 저부는 제품 베이스(100)에 내장된 히팅수단(미도시)을 통해 가열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압력용기(210)의 상단부는 제품 베이스(100) 상부(110)에 견실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플랜지 형태의 테두리를 갖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도어(220)는 제품 베이스(100)의 상부(110)에 일측 가장자리가 힌지부재(230)를 통해 장착되어 압력용기(21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것으로, 내측에는 테두리를 따라 실리콘 패킹(221;도 7과 도 8참조)이 배치되어 있다. 이 실리콘 패킹(221)에 의해 도어(220)가 닫히면 용기(210)의 내부압력이 새어나가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어(220)의 상면에는 개방손잡이(250)가 장착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이를 잡고서 도어(220)를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개방손잡이(250)와 힌지부재(230)는 후술하는 회동플레이트(310)의 좌우회전 시 간섭되지 않도록 회동플레이트(310)에 천공된 절결홈(313)을 통해 도어(220) 상면에 견실하게 장착된다. 또한, 도어(220)의 중앙부 상면에는 압력용기(210)의 내부 압력을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압력게이지(24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인 도어-록킹유닛(300)은 도어(220)를 닫은 상태에서 이를 록킹시키거나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것으로, 도어(220)의 상면에 좌우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 가능하게 안착 배치되는 회동플레이트(310)와, 이 회동플레이트(310)가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함에 따라 록킹 또는 록킹 상태를 해제하는 복수개의 록킹브래킷(320)과, 회동플레이트(310)를 회동 조작하기 위한 회동손잡이(330)를 갖추고 있다.
회동플레이트(310)는 소정의 두께(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3mm)를 갖는 금속원판으로 제작되며, 도어(220)의 상면에 중심부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 배치된다. 이러한 회동플레이트(310)의 외주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록킹부(311)가 도어(220) 가장자리 외측을 벗어나도록 연장 돌출되어 있다.(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록킹부(311)를 5개 구성하였는데 이에 한정하지 않고 5 내지 8개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회동플레이트(310)의 록킹부(311)들에는 회동플레이트(310)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원호형 단면을 갖는 보강라인(312)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록킹부(311)들의 강성 보강은 물론이며 후술하는 결합 비드부(322)와의 요철 결합을 위한 것이다. 또한, 회동플레이트(310)의 록킹부(311) 양측단과 선단에는 평상 시 하단부가 제품 베이스(100)의 상면(110)과 0.5~1.5mm 정도의 사이틈(G; 도 7참조)이 유지되도록 아래측으로 연장된 보강스커트부(313L)(313R)(314)가 마련되어 있다. 이 보강스커트부(313L)(313R)(314)는 록킹부(311) 양측단과 선단에서 절곡 연장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스틸플레이트를 통해 별도로 제작한 후 용접을 통해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록킹부(311)가 록킹된 상태에서 압력용기(210)의 내부압력이 올라가 도어(220)의 중심부가 상측으로 들리면, 지렛대 원리에 의해 록킹부(311) 부위는 아래측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보강스커트부(313L)(313R)(314)의 하단부가 제품 베이스(100) 상면(110)에 접하여 보다 견실한 지지를 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은 도어 록킹과정 설명에서 상술한다. 도 4에서 미설명 부호 "315"는 록킹부(311) 양측단에 대향되게 마련된 보강스커트부(313L)(313R)를 연결 지지하는 보강브릿지로, 이것은 용접수단을 통해 접합 구성된다. 또한, 보강스커트부(313L)(313R) 하단에 홈을 형성한 것은 회동플레이트(310)의 좌우 회동 시 후술하는 고정플레이트(324)를 고정하는 볼트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록킹브래킷(320)들은 금속플레이트를 절곡 제작한 것으로, 회동플레이트(310)의 록킹부(311)들과 대향되도록 제품 베이스(100)의 상부(110)에 각각 세워져 장착되며, 상단에는 도어(220) 가장자리측을 향하여 굽어지게 절곡된 걸림부(321)가 마련된다. 이에 따라 회동플레이트(310)를 일방햐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키면 록킹부(311)들이 록킹브래킷(320)들의 걸림부(321) 아래측으로 각각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 이러한 록킹브래킷(320)들의 걸림부(321)에는 록킹부(311)의 보강라인(312)과 부합되게 원호형 단면을 갖는 결합 비드부(323)가 마련되는데, 이것 역시 록킹브래킷(320)의 강성 보강은 물론이며 보강라인(312)과의 요철 결합을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용기(210)의 내부압력이 올라감에 따라 도어(220)와 함께 회동플레이트(310) 전체가 약간 들리면 보강라인(312)과 결합 비드부(322)가 요철(凹凸) 결합방식으로 맞물림되게 된다.
또한, 록킹브래킷(320)들의 측면부에는 회동플레이트(310)가 좌측방향(도면에서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록킹부(311)들이 록킹브래킷(320)의 걸림부(321)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스톱퍼부(323)가 절곡 형성되어 있다. 이 스톱퍼부(323)는 록킹브래킷(320)의 측면에서 절곡되어 있으며, 이의 하단부는 후술하는 고정플레이트(324)에 접합되어 록킹브래킷(320)의 걸림부(321)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병행하게 된다.
또한, 록킹브래킷(320)들의 하단부는 금속 고정플레이트(324)를 통해 제품 베이스(100) 상부(110)에 견실하게 볼트 체결된 것으로 도시하였는지, 이에 국한하지 않고 록킹브래킷(320)의 하단부를 직접 제품 베이스(100) 상부(110)에 용접 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회동손잡이(330)는 회동플레이트(310) 상면에 장착되어 회동플레이트(310)를 록킹브래킷(320)에 걸리도록 하거나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일종의 조작 노브로, 이의 양측으로는 록킹 회전방향 또는 록킹해제 회전방향이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킹유닛을 통한 도어 록킹과정 설명>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압력용기 어셈블리의 도어-록킹유닛을 통한 도어 록킹과정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품 베이스(100)에 설치된 압력용기(210) 내부에 추출하고자 하는 한약재와 적당량을 물을 넣고 도어(220)를 닫으면, 도어(220) 내측의 패킹(221)은 압력용기(210)의 개방 상단부에 밀착되며 회동플레이트(310)의 록킹부(311)들은 록킹브래킷(320)들과 어긋난 상태로 된다(도 3과 도 4참조).
계속하여, 회동손잡이(330)를 잡고서 회동플레이트(310)를 록킹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플레이트(310)의 록킹부(311)들은 록킹브래킷(320)들의 걸림부(321) 아래측으로 각각 삽입되어 걸린다. {이러한 것은 록킹브래킷(320)의 측면부에 스톱퍼부(323)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회동플레이트(310)를 일측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 도어(220) 록킹이 이루어진다. 이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플레이트(310)의 록킹부(311)들은 록킹브래킷(320)의 스톱퍼부(321)에 닿을 때까지 삽입되며, 이에 따라 록킹부(311)들의 보강라인(312)과 록킹브래킷(320) 걸림부(321)의 결합 비드부(322)가 일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생약추출기의 제품 베이스(100)에 내장된 히팅수단(미도시)을 통해 용기(210)를 가열하면, 증기압에 의해 용기(210) 내부압력이 점차 높아진다. 이에 따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220)와 함께 회동플레이트(310) 중심부위가 상측방향(도 8의 화살표 방향 참조)으로 약간 들리며, 이로 인해 록킹부(311)들의 보강라인(312)은 록킹브래킷(320) 걸림부(321)들의 결합 비드부(322)에 요철(凹凸) 결합방식으로 맞물림된다. {도어(220) 함께 회동플레이트(310)가 약간(실제 0.5. 내지 1mm정도) 들리더라도 패킹(221)에 의해 압력 누수현상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킹부(311)가 록킹브래킷(320)의 걸림부(321)에 걸린 상태에서 압력용기(210)의 내부압력이 올라가 도어(220)의 중심부가 상측으로 들리면, 지렛대 원리에 의해 록킹부(311) 부위가 아래측으로(도 8의 화살표 A 방향) 탄성 변형되면서 보강스커트부(313L)(313R)(314)의 하단부는 제품 베이스(100) 상면(110)에 접하여 지지된다. 이에 따라 압력용기의 내부압이 상당하게 올라가더라도 도어는 회동플레이트에 의해 견실하게 록킹 지지된다.
결국, 압력용기(210) 내부의 높은 증기압이 해제되지 않고서는 회동플레이트(310)가 도어(220) 록킹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아, 견실하면서 안전한 록킹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미도시된 증기압 해제밸브를 통해 압력용기(210)내의 높은 증기압을 해제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플레이트(310)의 록킹부(311)들과 록킹브래킷(320)의 걸림부(321)가 다시 약간 떨어져 회동플레이트(310)를 도어(220) 록킹해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킹유닛(300)이 적용된 압력용기 어셈블리(200)를 생약추출기에 적용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고 압력용기 어셈블리(200)를 중탕기 또는 압력용기가 적용되는 의료용 멸균기 및 소독기와 같은 다양한 제품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회동플레이트(310)를 금속 원판형태로 구성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가장자리에 록킹부가 형성된 사각 또는 다각형태로 구성한 후 도어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 배치하여도 본 발명의 소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회동플레이트(310)가 도어(220) 상면의 중심부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할 수도 있으며, 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록킹부(311)와 보강스커트부(313L)(313R)(314)를 통해 도어(220) 상부에서 좌우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제품 베이스 200..압력용기 어셈블리 210..압력용기
220..도어 300...도어-록킹유닛 310..회동플레이트
311..록킹부 312..보강라인 320..록킹브래킷
321..걸림부 322..결합 비드부 323..스톱퍼부
330..회동손잡이

Claims (5)

  1. 히팅수단을 통해 가열할 수 있도록 제품 베이스(100)에 개방된 상부가 노출되게 배치되는 통 형상의 압력용기(210)와, 상기 제품 베이스(100)의 상부(110)에 일측 가장자리가 힌지부재(230)를 통해 장착되어 상기 압력용기(21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며 내측 테두리를 따라 패킹(221)이 배치된 도어(220)와, 상기 도어(220)를 록킹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도어-록킹유닛(300)을 갖춘 압력용기 어셈블리(200)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킹유닛(300)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도어(220)의 상면에서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안착 배치되며, 외주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록킹부(311)가 상기 도어(220)의 가장자리 외측으로 연장 돌출된 회동플레이트(310)와;
    금속플레이트를 절곡하여 제작되며 상기 회동플레이트(310)의 록킹부(311)들과 대향되도록 상기 제품 베이스(100)의 상부(110)에 각각 세워져 장착되고, 상단에는 상기 도어(220)의 가장자리측을 향해 굽어지게 절곡된 걸림부(321)가 마련되어 상기 회동플레이트(310)가 소정각도 일방향 회전함에 따라 상기 록킹부(311)들이 각각 삽입되어 걸리는 복수개의 록킹브래킷(32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킹유닛을 갖춘 압력용기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브래킷(320)에는 상기 회동플레이트(310)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록킹부(311)들이 상기 록킹브래킷(320)의 걸림부(321)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스톱퍼부(323)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킹유닛을 갖춘 압력용기 어셈블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플레이트(310)의 록킹부(311)들에는 상기 회동플레이트(310)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원호형 단면을 갖는 보강라인(312)이 형성되며;
    상기 록킹브래킷(320)의 걸림부(321)들에는 상기 보강라인(312)과 부합되게 원호형 단면을 갖는 결합 비드부(322)가 마련되어;
    상기 압력용기(210)의 내부압력이 올라감에 따라 상기 도어(220)가 들리면서 상기 보강라인(312)이 상기 결합 비드부(322)에 요철 결합방식으로 맞물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킹유닛을 갖춘 압력용기 어셈블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플레이트(310)의 록킹부(311) 양측단과 선단에는 평상 시 하단부가 상기 제품 베이스(100)의 상면(110)과 0.5~1.5mm 정도의 사이틈(G)이 유지되도록 연장된 보강스커트부(313L)(313R)(314)가 마련되어;
    상기 록킹부(311)가 상기 록킹브래킷(320)의 걸림부(321)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압력용기(210)의 내부압력이 올라가 상기 도어(220)의 중심부가 상측으로 들리면 상기 록킹부(311) 부위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보강스커트부(313L)(313R)(314)의 하단부가 상기 제품 베이스(100) 상면(110)에 접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킹유닛을 갖춘 압력용기 어셈블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플레이트(310)의 상면에는 상기 회동플레이트(310)를 록킹브래킷(320)에 걸리도록 하거나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동손잡이(330)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킹유닛을 갖춘 압력용기 어셈블리.
KR1020100002845A 2010-01-12 2010-01-12 도어-록킹유닛을 갖춘 압력용기 어셈블리 KR201100829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845A KR20110082906A (ko) 2010-01-12 2010-01-12 도어-록킹유닛을 갖춘 압력용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845A KR20110082906A (ko) 2010-01-12 2010-01-12 도어-록킹유닛을 갖춘 압력용기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2906A true KR20110082906A (ko) 2011-07-20

Family

ID=44920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2845A KR20110082906A (ko) 2010-01-12 2010-01-12 도어-록킹유닛을 갖춘 압력용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290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0238U (ko) * 2013-07-09 2015-01-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시추 장비 테스트용 압력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시추 장비 테스트 장치
KR101951159B1 (ko) * 2018-12-10 2019-02-21 이상환 살균소독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0238U (ko) * 2013-07-09 2015-01-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시추 장비 테스트용 압력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시추 장비 테스트 장치
KR101951159B1 (ko) * 2018-12-10 2019-02-21 이상환 살균소독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0847979A (en) A pressure-cooking utensil of improved construction and a corresponding manufacturing method
BRPI0516787B1 (pt) sistema de fechamento e abertura com servo-mecanismo de alavanca para panela de pressão
US9585719B2 (en) Waste container assembly
CA2946658C (en) An apparatus for cooking at least one egg with an eggshell as well as such a method
KR20110082906A (ko) 도어-록킹유닛을 갖춘 압력용기 어셈블리
PT83331B (pt) Aparelho de microondas
KR200450045Y1 (ko) 압력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
KR101244277B1 (ko) 중탕기
KR101607922B1 (ko) 저진공을 이용한 조리용기
KR101697861B1 (ko) 2중 잠금 장치를 가지는 고압 멸균기
KR102299434B1 (ko) 조리 장치
KR20170002580U (ko) 밀폐용기 잠금장치
KR100736780B1 (ko) 전기압력조리기의 안전장치
JP2001340431A (ja) 高圧蒸気滅菌器
JPH07163638A (ja) 滅菌装置
CN202698787U (zh) 烹调设备和缓慢烹调器设备
KR200266048Y1 (ko) 멸균기의 도어개폐구조
KR101566253B1 (ko) 스팀캡을 구비한 덮개, 스팀캡 및 마이크로파에 의한 멸균 방법
KR200383385Y1 (ko) 압력밥솥의 잠금장치
CN210114679U (zh) 高压灭菌锅
CN207506378U (zh) 一种易拆洗电压力锅
CN210871006U (zh) 电饭煲
US20080206118A1 (en) Steriliser
CN213850186U (zh) 一种灯桶一体式烤炉
KR101359043B1 (ko) 조리기구의 압력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