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2598A - 프린트 배선판 및 그 제조방법, 프린트 배선판 반제품 연쇄체 - Google Patents

프린트 배선판 및 그 제조방법, 프린트 배선판 반제품 연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2598A
KR20110082598A KR1020117012557A KR20117012557A KR20110082598A KR 20110082598 A KR20110082598 A KR 20110082598A KR 1020117012557 A KR1020117012557 A KR 1020117012557A KR 20117012557 A KR20117012557 A KR 20117012557A KR 20110082598 A KR20110082598 A KR 20110082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wiring
wiring board
bending
insulating layer
metal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2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4997B1 (ko
Inventor
미츠아키 다카쿠라
다츠야 사이토
Original Assignee
닛폰 하츠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 하츠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 하츠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82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2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4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4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5Insulated conductive substrates, e.g. insulated metal substra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78Rigid circuit boards or rigid supports of circuit boards locally made bendable, e.g. by removal or replacement of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5Insulated conductive substrates, e.g. insulated metal substrate
    • H05K1/056Insulated conductive substrates, e.g. insulated metal substrate the metal substrate being covered by an organic insulating lay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654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covering at least two types of conductors provided for in H05K2201/09218 - H05K2201/095
    • H05K2201/09745Recess in conductor, e.g. in pad or in metallic substra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818Shape or layout detail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5K2201/09009 - H05K2201/09809
    • H05K2201/0989Coating free areas, e.g. areas other than pads or lands free of solder resis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30Details of proces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5K2203/01 - H05K2203/17
    • H05K2203/302Bending a rigid substrate; Breaking rigid substrates by bending

Abstract

절연층이 경시적으로 벗겨져서 떨어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절연층(19)를 구비한 금속기판(13)의 절곡 전에, 절곡부(15, 16)의 대응부(41, 43)에 절연층(19)을 분단하는 단면 V자형의 절곡홈(45, 47)을 설치함과 함께, 금속기판(13)의 절연층(19)이 없는 이면(17)에 절곡부(15, 16)의 대응부(41, 43)에 단면 V자형의 맞다음홈(49, 51)을 설치하고, 절곡홈(45, 47) 및 맞다음홈(49, 51)을 기점으로 금속기판(13)을 절곡함과 함께, 맞다음홈(49, 51)을 닫도록 맞다음홈(49, 51) 내의 면(35a, 37a)을 맞닿게 하여 절곡부(15, 16)의 절곡각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린트 배선판 및 그 제조방법, 프린트 배선판 반제품 연쇄체{PRINTED WIRING BOAR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PRINTED WIRING BOARD SEMI-FINISHED-PRODUCT-LINKED OBJECT}
본 발명은 LED(발광 다이오드) 등의 전자부품이 설치되는 프린트 배선판 및 그 제조방법, 그 제조방법에 이용되는 프린트 배선판 반제품 연쇄체에 관한 것이다.
근년, LED(발광 다이오드) 등으로 대표되는 전자부품은 그 편리성에 의해 넓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LED를 설치한 프린트 배선판을 절곡하여 사용하거나, 혹은 설치하는 것도 있다.
이 프린트 배선판에서는, 예를 들면 표면에 절연층을 구비한 가늘고 긴 장방(長方)형상의 금속기판을 절곡부에서 절곡(折曲)하여, 선단부(先端部)의 양측에 설치용 등의 다리부를 형성한다. 절연층의 표면에는 LED를 설치하기 위해 프린트된 배선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프린트 배선판은 특허문헌 1과 같이 절연층이 폴리이미드라면 절곡가공해도 문제는 없다.
반면, 폴리이미드의 절연층은 절곡가공에는 적합하지만, 전열성에 어려움이 있다.
한편, LED 등의 전자부품은 성능이나 내구성의 유지를 위해 발생하는 열을 피할 필요가 있어서, 절연층은 에폭시화합물 재료에 알루미나나 실리카 등의 전열성이 좋은 무기필러를 함유시킨 것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에폭시화합물에 알루미나나 실리카 등의 무기필러를 함유시킨 절연층은 취성이어서 상기 절곡가공에는 적합하지 않고, 절곡가공하면 절곡부에서 절연층이 경시(經時)적으로 벗겨져 떨어져서, 장해를 초래하는 원인으로 될 우려가 있다.
일본특허공개 평8 - 125295 호 공보
해결하려는 문제점은 무기필러를 함유시킨 절연층은 취성이고, 절곡가공하면 절곡부에서 절연층이 경시적으로 벗겨져 떨어져서, 장해를 초래하는 원인이 될 우려가 있었던 점이다.
본 발명은 절연층이 경시적으로 벗겨져 떨어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표면에 취성인 절연층을 구비한 금속기판을 절곡부에서 절곡하여 선단부와 이 선단부에 교차(交差)는 다리부를 일체로 설치하고, 적어도 상기 선단부의 절연층 표면에 전자부품을 설치하기 위해 프린트된 배선부를 구비하는 프린트 배선판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의 전체 길이에 따라서, 상기 절연층을 분단(分斷)한 절연층 분단부를 설치한 것을 프린트 배선판의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린트 배선판을 제조하기 위한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을 구비한 금속기판의 절곡 전에, 상기 절곡부의 대응부에 상기 절연층을 분단하는 단면 V자형의 절곡홈을 설치하고, 상기 절곡홈을 기점으로 상기 금속기판을 절곡한 것을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방법의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방법에 이용되는 프린트 배선판 반제품 연쇄체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 및 배선부를 구비한 금속기판의 절곡 전에, 인접 사이에 단면 V자형의 분할홈을 거쳐서 그 절곡 전의 금속기판을 복수 연설하고, 상기 분할홈에 교차하여 상기 절곡홈 또는 상기 절곡홈 및 맞다음홈을 복수의 금속기판에 걸쳐서 연속 형성한 것을 프린트 배선판 반제품 연쇄체의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표면에 취성인 절연층을 구비한 금속기판을 절곡부에서 절곡하여 선단부와 그 선단부에 교차하는 다리부를 일체로 설치하고, 적어도 상기 선단부의 절연층 표면에 전자부품을 설치하기 위해 프린트된 배선부를 구비하는 프린트 배선판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의 전체 길이에 따라서, 상기 절연층을 분단한 절연층 분단부를 설치했다.
이 때문에, 절곡부의 절곡에 의해 취약한 절연층이 존재하지 않아서, 절연층의 벗겨져 떨어짐을 규제하고, 절연층의 벗겨져 떨어짐에 따른 장해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프린트 배선판을 제조하기 위한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 및 배선부를 구비한 금속기판의 절곡 전에, 상기 절곡부의 대응부에 상기 절연층을 분단하는 단면 V자형의 절곡홈을 설치하고, 상기 절곡홈을 기점으로 상기 금속기판을 절곡했다.
이 때문에, 절곡홈을 기점으로 상기 금속기판을 절곡하여도 절곡부의 절곡에 의해 취약한 절연층이 존재하지 않아서, 절연층의 벗겨져 떨어짐을 규제하고, 절연층의 벗겨져 떨어짐에 따른 장해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방법에 이용되는 프린트 배선판 반제품 연쇄체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 및 배선부를 구비한 금속기판의 절곡 전에, 인접 사이에 단면 V자형의 분할홈을 거쳐서 그 절곡 전의 금속기판을 복수 연설하고, 상기 분할홈에 교차하여 상기 절곡홈 또는 상기 절곡홈 및 맞다음홈을 복수의 금속기판에 걸쳐서 연속 형성했다.
이 때문에, 상기 절연층 및 배선부를 구비한 금속판을 절곡 전의 상태에서 분할홈에 의해 이탈시켜서, 단체(單體)로 한 상태로 상기 절곡을 행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프린트 배선판의 취급이 용이해 진다.
그 외에도, 절곡홈을 기점으로 상기 금속기판을 절곡하여도 절곡부의 절곡에 의해 취약한 절연층이 존재하지 않아서, 절연층의 벗겨져 떨어짐을 규제하고, 절연층의 벗겨져 떨어짐에 따른 장해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프린트 배선판에 LED를 지지시킨 단면도이다. (실시예 1)
도 2는 절곡 전의 금속기판의 평면도이다. (실시예 1)
도 3은 절곡 전의 금속기판의 단면도이다. (실시예 1)
도 4는 금속기판 절곡 후의 프린트 배선판의 단면도이다. (실시예 1)
도 5는 프린트 배선판 반제품 연쇄체의 평면도이다. (실시예 1)
도 6은 절곡 전의 금속기판의 평면도이다. (실시예 2)
도 7은 절곡 전의 금속기판의 단면도이다. (실시예 2)
도 8은 금속기판 절곡 후의 프린트 배선판의 단면도이다. (실시예 2)
도 9는 프린트 배선판 반제품 연쇄체의 평면도이다. (실시예 2)
도 10은 절곡 전의 금속기판의 평면도이다. (실시예 3)
도 11은 절곡 전의 금속기판의 단면도이다. (실시예 3)
도 12는 금속기판 절곡 후의 프린트 배선판의 단면도이다. (실시예 3)
도 13은 절곡 전의 금속기판의 단면도이다. (실시예 4)
도 14는 금속기판 절곡 후의 프린트 배선판의 단면도이다. (실시예 4)
도 15는 절곡 전의 금속기판의 단면도이다. (실시예 5)
도 16은 금속기판 절곡 후의 프린트 배선판의 단면도이다. (실시예 5)
절연층이 경시적으로 벗겨져 떨어짐을 억제한다는 목적을 절연층을 분단하는 단면 V자형의 절곡홈에 의해 실현했다.
실시예 1
[프린트 배선판]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 1에 따라, 프린트 배선판에 LED를 지지시킨 단면도이다.
도 1과 같이, 프린트 배선판(1)은 선단부(7)와, 이 선단부(7)에 교차하는 한 쌍의 다리부(9, 11)를 일체로 설치한 것이다. 선단부(7)와 한 쌍의 다리부(9, 11)의 교차는 본 실시예에서는 직교하지만, 그 외의 각도로 교차시킬 수도 있다.
선단부(7)와 다리부(9, 11)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의 금속기판(13)을 절곡부(15, 16)에서 이면(17) 측으로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금속기판(13)의 표면(18)에는, 절연층(19)이 구비되어 있다. 금속기판(13)은 방열을 위해 전열성이 좋은 알루미늄을 이용하고 있지만, 알루미늄 이외에 전열성이 좋은 알루미늄 합금, 동(銅)의 어느 것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절연층(19)은, 예를 들면, 에폭시화합물 재료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주체로 하고, 알루미나나 실리카 등의 전열성이 좋은 무기필러를 함유시킨 재료가 이용되어 있다. 따라서, 절연층(19)은 취성이기는 하지만 전열성이 좋다.
선단부(7)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선단부(7)에는 동박(銅箔)의 프린트에 따른 배선부(21)가 구비되고, 전자부품인 LED(발광 다이오드, 23)가 탑재되어 있다.
다리부(9, 11)는 사각형 형상의 선단부(7)의 2변 테두리부(25, 27)에 대항하여 형성되어, 가늘고 긴 케이스를 따라서 연설(延設)되고, 케이스 측의 기부(基部)에 고정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다리부(9, 11)는 설치용임과 함께 방열핀을 구성한다.
상기 절곡부(15, 16)에는 그 외측 전체 길이에 따라서, 상기 절연층(19)을 분단한 절연층 분단부(31, 3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절연층 분단부(31, 33)는 본 실시예에서 단면 V자형의 홈(31a, 33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금속기판(13)의 절연층이 없는 이면(裏面, 17)에는 상기 절곡부(15, 16)의 절곡각도를 결정하는 맞다음부(35, 37)가 이 금속기판(13)의 판 두께 내에 설치되어 있다. 맞다음부(35, 37)는 그 면(35a, 37a)이 상호 맞닿아서 절곡부(15, 16)의 절곡각도를 상기와 같이 직각으로 결정하고 있다. 단, 절곡각도는 직각 이외에 60°등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프린트 배선판(1)에서는 LED(23)의 발열을 전열성이 좋은 절연층(19)을 거쳐서 마찬가지로 전열성이 좋은 알루미늄의 선단부(7)로 전열된다. 이 전열된 열은, 다리부(9, 11)를 거쳐서 더욱더 전열되고, 케이스 등을 거쳐서 외부로 방열된다.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방법]
도 2는 절곡 전의 금속기판의 평면도, 도 3은 동 단면도, 도 4는 금속기판 절곡 후의 프린트 배선판의 단면도이다.
도 2, 도 3의 절곡 전의 금속기판(13)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하여 제조한다.
반경화 상태의 절연재의 일방의 면에 금속기판(13)을 배치하고, 타방의 면에 동박을 배치하여, 적층프레스에 의해 일체화하여, 동박적층판 구조를 형성한다.
이이서, 타방의 면에 배치한 동박을 회로(回路)로 형성하여, 도 2에 도시되는 배선부(21)를 형성한다.
이어서, 프레스에 의해 설정된 크기로 타발하고, 절곡 전의 절연층(19)을 구비한 금속기판(13)을 형성한다.
이이서, 상기 절연층(19) 및 배선부(21)를 구비한 금속기판(13)의 절곡 전에 상기 절곡부(15, 16)의 대응부(41, 43)에 상기 절연층(19)을 분단하는 단면 V자형의 절곡홈(45, 47)을 각각 2개 설치한다. 절곡홈(45, 47)은 금속기판(13)의 폭방향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금속기판(13)의 절연층이 없는 이면(17)에서 상기 절곡부(15, 16)의 대응부(41, 43)에 단면 V자형의 맞다음홈(49, 51)을 각각 2개 설치한다. 맞다음홈(49, 51)은 절곡홈(45, 47)에 표리(表裏)가 대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절곡홈(45, 47) 및 맞다음홈(49, 51)은 동일의 깊이로 형성되고, 절곡홈(45, 47)은 절연층(19)의 두께보다도 깊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금속기판(13)의 두께가 1 mm이고, 절곡홈(45, 47) 및 맞다음홈(49, 51)의 깊이는 각각 0.35 mm 정도로 되고, 절곡홈(45, 47) 및 맞다음홈(49, 51) 사이의 잔여의 두께는 0.3 mm 정도로 되어, 수작업에 따른 절곡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금속기판(13)의 두께는 1 mm ~ 3 mm가 채용되고, 어느 두께의 금속기판(13)이어도 잔여의 두께는 0.3 mm 정도로 된다.
또한, 절곡홈(45, 47)이 배선부(21)에 근접할 때는 절곡홈(45, 47)을 작게 형성하지만, 절곡홈(45, 47) 및 맞다음홈(49, 51) 사이의 잔여의 두께는 0.3mm 정도로 된다.
절곡홈(45, 47) 및 맞다음홈(49, 51)은 금속기판(13)이 알루미늄인 것을 고려하여, 예를 들면 다이아몬드를 파묻은 팁을 구비하는 회전날에 의해 절삭된다.
이어서, 상기 절곡홈(45, 47) 및 맞다음홈(49, 51)을 기점으로 상기 금속기판(13)을 절곡함과 함께, 상기 맞다음홈(49, 51)을 닫도록 맞다음홈(49, 51) 내의 면(35a, 37a)을 맞닿게 하여 상기와 같이 절곡부(15, 16)의 절곡각도를 결정하여, 도 4의 프린트 배선판(1)을 얻을 수 있다.
프린트 배선판(1)의 절연층 분단부(31, 33)는 절곡 전의 금속기판(13)의 절곡홈(45, 47)이 절곡에 의해 넓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절곡홈(45, 47) 및 맞다음홈(49, 51)은 금속기판(13)을 프레스에 의해 설정된 크기로 타발하는 전후의 어느 것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
[프린트 배선판 반제품 연쇄체]
도 5는 프린트 배선판 반제품 연쇄체의 평면도이다.
상기와 같이 도 4의 프린트 배선판(1)은, 도 2, 도 3과 같이, 프레스로 타발한 각각의 금속기판(13)의 절곡에 의해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도 5의 프린트 배선판 반제품 연쇄체(53)로부터 형성할 수도 있다.
도 5의 복수 개의 절곡 전의 금속기판(13)을 병렬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알루미늄의 기판재(55)를 프레스로 타발하고, 이 기판재(55)에 상기와 같은 수순에 의해 절연층(55)을 전체에 형성하여, 복수 조의 배선부(21)를 형성한다.
이어서, 기판재(55)의 표리(表裏)에 단면 V자형의 분할홈(57, 59, 61, 63)을 상기와 같은 회전날에 의해 절삭형성한다. 표리의 분할홈(57, 59, 61, 63) 사이의 잔여의 두께는 수작업으로 분할하는 것을 고려하여 0.3 mm 정도로 하고 있다.
분할홈(57, 63)은 사판부(捨板部 : 65, 67)를 분할하고, 분할홈(61, 63)은 사판부(69, 71)를 분할하기 위한 것이다. 분할홈(59)은 각 금속기판(13)을 분할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하여, 상기 절연층(19) 및 배선부(21)를 구비한 금속기판(13)의 절곡 전에 인접 사이에 단면 V자형의 분할홈(59)을 거쳐서 그 절곡 전의 금속기판(13)을 복수 연설(連設)한다.
이어서, 상기 분할홈(59)에 교차하여 상기 절곡홈(45, 47) 및 상기의 맞다음홈(49, 51)(단, 도 5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복수의 금속기판(13)에 걸쳐서 연속 형성한다.
이렇게 하여 형성한 프린트 배선판 반제품 연쇄체(53)는 주변에 구비한 사판부(65, 67, 69, 71)를 분할홈(57, 61, 63)에 의해 분할 제거하고, 금속기판(13)을 인접하는 금속기판(13)으로부터 분할홈(59)에 의해 분할하여 도 2와 같은 형태로 하고, 상기와 같은 절곡에 의해 도 4의 프린트 배선판(1)을 차례로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5의 프린트 배선판 반제품 연쇄체(53)는 복수 개를 다시금 연쇄체로서 일괄하여 형성하고, 프레스로 타발하여, 각각의 프린트 배선판 반제품 연쇄체(53)로 할 수도 있다.
[실시예 1의 효과]
본 실시예(1)는 표면에 취성인 절연층(19)을 구비한 금속기판(13)을 절곡부(15, 16)에서 이면(17) 측으로 절곡하여 선단부(7)와 그 선단부(7)에 교차하는 다리부(9, 11)를 일체로 설치하고, 적어도 상기 선단부(7)의 절연층(19) 표면에 LED(23)를 설치하기 위해 프린트된 배선부(21)를 구비하는 프린트 배선판(1)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15, 16)의 외측 전체 길이에 따라서, 상기 절연층(19)을 분단한 절연층 분단부(31, 33)를 설치했다.
이 때문에, 절곡부(15, 16)의 외측에서 절곡에 의해 취약한 절연층(19)이 존재하지 않아서, 절연층(19)의 벗겨져 떨어짐을 규제하고, 절연층(19)의 벗겨져 떨어짐에 따른 장해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절연층 분단부(31, 33)는 단면 V자형의 홈(31a, 33a)이다.
이 때문에, 절곡부(15, 16)에서 절연층(19)을 확실하게 분단할 수 있다.
상기 선단부(7)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다리부(9, 11)는 상기 선단부(7)의 2변 테두리부에 설치되었다.
이 때문에, 다리부(9, 11)에 따른 확실한 지지와 방열을 행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금속기판(13)의 절연층(19)이 없는 이면(17)에 상기 절곡부(15, 16)의 절곡각도를 결정하는 맞다음부(35, 37)를 이 금속기판(143)의 판두께 내에 설치했다.
이 때문에, 판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 절곡부(15, 16)의 절곡각도를 결정할 수 있어서, 소형화에 유리하다.
상기 다리부(9, 11)는 방열핀이다.
따라서, 선단부(7)의 LED(23)의 발열을 다리부(9, 11)를 거쳐서 적확(的確)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금속기판(13)은 알루미늄, 알루미늄합금, 동의 어느 것으로 형성되었다.
이 때문에, 전열성을 향상시켜서, 방열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프린트 배선판(1)을 제조하기 위한 프린트 배선판(1)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19)을 구비한 금속기판(13)의 절곡 전에, 상기 절곡부(15, 16)의 대응부(41, 43)에 상기 절연층(19)을 분단하는 단면 V자형의 절곡홈(45, 47)을 설치하고, 상기 절곡홈(45, 47)을 기점으로 상기 금속기판(13)을 절곡했다.
이 때문에, 절곡홈(45, 47)을 기점으로 상기 금속기판(13)을 절곡하여도 절곡부(45, 47)의 외측에서 절곡에 의해 취약한 절연층(19)이 존재하지 않아서, 절연층(19)의 벗겨져 떨어짐을 규제하고, 절연층의 벗겨져 떨어짐에 따른 장해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절연층(19)을 구비한 금속기판(13)의 절곡 전에, 상기 절곡부(15, 16)의 대응부(41, 43)에 상기 절연층(19)을 분단하는 단면 V자형의 절곡홈(45, 47)을 설치함과 함께, 상기 금속기판(13)의 절연층(19)이 없는 이면(17)에서 상기 절곡부(15, 16)의 대응부(41, 43)에 단면 V자형의 맞다음홈(49, 51)을 설치하여, 상기 절곡홈(45, 47) 및 맞다음홈(49, 51)을 기점으로 상기 금속기판(13)을 절곡함과 함께, 상기 맞다음홈(49, 51)을 닫도록 맞다음홈(49, 51) 내의 면(35a, 37a)을 맞닿게 하여 상기 절곡부(15, 16)의 절곡각도를 결정한다.
이 때문에, 절곡부(15, 16)의 절곡각도를 확실하게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린트 배선판(1)의 제조방법에 이용되는 프린트 배선판 반제품 연쇄체(53)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19) 및 배선부(21)를 구비한 금속기판(13)의 절곡 전에, 인접 사이에 단면 V자형의 분활홈(59)을 거쳐서 그 절곡 전의 금속기판(13)을 복수 연설하고, 상기 분할홈(59)에 교차하여 상기 절곡홈(45, 47) 또는 상기 절곡홈(45, 47) 및 맞다음홈(49, 51)을 복수의 금속기판(13)에 걸쳐서 연속형성했다.
이 때문에, 상기 절연층(19) 및 배선부(21)를 구비한 금속판(13)을 절곡 전의 상태로 분할홈(59)에 의해 수작업으로 이탈시켜서, 단체로 한 상태로 상기 절곡을 행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프린트 배선판(13)의 취급이 용이해 진다.
그 외에도, 절곡홈(45, 47)을 기점으로 상기 금속기판(13)을 절곡하여도 절곡부(15, 16)의 외측에서 절곡에 의해 취약한 절연층(19)이 존재하지 않아서, 절연층(19)의 벗겨져 떨어짐을 규제하고, 절연층(19)의 벗겨져 떨어짐에 따른 장해를 억제할 수 있다.
프린트 배선판 반제품 연쇄체(53)는 주변에 단면 V자형의 분할홈(57, 61, 63)을 거쳐서 사판부(65, 67, 69, 71)를 구비했다.
이 때문에, 금속기판(13)을 단체로서 절단 분리하기까지 금속기판(13) 사이의 분할홈(59)에서의 부주의한 분할을 규제하여,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6 ~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것으로, 도 6은 절곡 전의 금속기판의 평면도, 도 7은 동 단면도, 도 8은 금속기판 절곡 후의 프린트 배선판의 단면도, 도 9는 프린트 배선판 반제품 연쇄체의 평면도이다. 또한, 기본적인 구성은 실시예 1과 같으며, 동일 또는 대응하는 구성부분에는 동일한 부호 또는 동일한 부호에 A를 붙여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프린트 배선판(1A)은, 도 8과 같이, 선단부(7)에 배선부(21Aa)를 구비함과 함께, 다리부(9,11)의 절연층(19) 표면에도, 전자부품, 예를 들면 LED를 설치하기 위해 프린트된 배선부(21Ab)를 구비했다.
그 외, 도 6 ~ 도 8에서 도시되는 프린트 배선판(1A)의 제조방법은, 도 2 ~ 도 4에서 도시되는 실시예 1의 프린트 배선판(1)의 제조방법과 동일하고, 도 9에 도시되는 프린트 배선판 반제품 연쇄체(53A)는 도 5에 도시되는 프린트 배선판 반제품 연쇄체(53)와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도, 실시예 1과 같은 작용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10 ~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것이며, 도 10은 절곡 전의 금속기판의 평면도, 도 11은 동 단면도, 도 12는 금속기판 절곡 후의 프린트 배선판의 단면도이다. 또한, 기본적인 구성은 실시예 2와 같으며, 동일 또는 대응하는 구성부분에는 동일한 부호 또는 동일한 부호의 A를 B로 교체하여 설명한다.
도 10 ~ 도 12와 같이, 본 실시예의 프린트 배선판(1B)에서는 상기 선단부(7B)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각 2개의 다리부(9B, 11B)가 상기 선단부(7B)의 4변 테두리부에 나누어 설치되어 있다.
도 10 ~ 도 12에서 도시되는 프린트 배선판(1B)의 제조방법은, 도 2 ~ 도 4에서 도시되는 실시예 1의 프린트 배선판(1)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다.
단, 본 실시예의 각 2개의 다리부(9B, 11B)(도 10에서 다리부(9B, 11B) 상당부를 부호에 괄호를 붙여서 도시했음.)에 대응하는 각 2개소의 절곡홈(45B, 47B) 및 맞다음홈(49B, 51B)은 각각 1개로 구성되고, 금속기판(13B)의 절곡에 의해 각 2개소의 절곡홈(45B, 47B)이 각 2개소의 평면의 절연층 분단부(31B, 33B)(단, 도 12의 단면에서는 한 쌍만 도시함.)를 형성하고, 각 2개소의 맞다음홈(49B, 51B)의 각 면(35a, 37a)이 맞닿아 각 2개소의 절곡부(15B, 16B)(단, 도 12의 단면에서는 한 쌍만 도시함.)의 절곡각도를 결정하고, 각 2개소의 맞다음부(35B, 37B)를 이 금속기판(13B)의 판두께 내에 설치한 구성으로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실시예와 같은 작용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다리부(9B, 11B)가 합계 4개이고, 각 다리부(9B, 11B)에 배선부(21Bb)를 거쳐서 전자부품, 예를 들면 LED를 설치해도 방열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다리부(9B, 11B)의 배선부(21Bb)는 생략할 수도 있다.
실시예 4
도 13,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한 것으로, 도 13은 절곡 전의 금속기판의 단면도, 도 14는 금속기판 절곡 후의 프린트 배선판의 단면도이다. 또한, 기본적인 구성은 실시예 2와 같으며, 동일 또는 대응하는 구성부분에는 동일한 부호 또는 동일한 부호의 A를 C로 교체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프린트 배선판(1C)은, 도 14와 같이, 선단부(7C)의 이면에 배선부(21Ca)를 구비함과 함께, 다리부(9C, 11C) 이면의 절연층(19C) 표면에도 전자부품, 예를 들면 LED를 설치하기 위해 프린트된 배선부(21Cb)를 구비했다. 더우기, 다리부(9C, 11C)에는 연장부(9Ca, 11Ca)가 형성되고, 연장부(9Ca, 11Ca)의 이면의 절연층(19C) 표면에도 배선부(21Cc)를 구비했다.
도 13, 도 14에 도시되는 프린트 배선판(1C)의 제조방법은, 도 2 ~ 도 4에 도시되는 실시예 1의 프린트 배선판(1)의 제조방법과 같다.
단, 본 실시예의 프린트 배선판(13C)은 절연층(19C), 배선부(21Ca, 21Cb, 21Cc)가 금속기판(13C)의 이면측에 설치되고, 맞다음부(35C, 37C)는 절연층 분단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도 실시예 2와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실시예 5
도 15,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관한 것으로, 도 15는 절곡 전의 금속기판의 단면도, 도 16은 금속기판 절곡 후의 프린트 배선판의 단면도이다. 또한, 기본적인 구성은 실시예 4와 같으며, 동일 또는 대응하는 구성부분에는 동일한 부호 또는 동일한 부호의 C를 D로 교체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프린트 배선판(1D)는, 도 15, 도 16과 같이, 맞다음부(35D, 37D)가 각각의 개소에 단일하게 형성되어, 실시예 3과 같이 되어 있다.
[기타]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맞다음부(35, 37, 35B, 37B, 35C, 37C, 35D, 37D)는 생략할 수 있다. 맞다음부(35, 37, 35B, 37B, 35C, 37C, 35D, 37D)를 생략할 때는 프린트 배선판(1, 1A, 1B, 1C, 1D)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맞다음홈(49, 51, 49B, 51B, 49C, 51C, 49D, 51D)은 형성되지 않는다. 이 때, 금속기판(13, 13A, 13B, 13C, 13D) 절곡용의 잔여두께는 상기와 같이 0.3 mm 정도로 형성된다.
절연층(19C, 19D) 측에 형성되는 맞다음부(35C, 37C, 35D, 37D)는 절연층 분단부를 구성하기 위해 생략되는 일은 없다.
다리부(9, 11, 9B, 11B, 9C, 11C, 9D, 11D)는 방열을 무시하고, 단지 지지용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1, 1A, 1B, 1C, 1D 프린트 배선판
7, 7B, 7C, 7D 선단부
9, 11, 9B, 11B 다리부
13, 13A, 13B 금속기판
15, 16 분할부
17 이면
18 표면
19 절연층
23 LED (전자부품)
25, 27 2변 테두리부
31, 33, 31B, 33B 절연층 분단부
35, 37, 35B, 37B 맞다음부
35C, 37C, 35D, 37D 맞다음부(절연층 분단부)
35a, 37a 면
41, 43 절곡부의 대응부
45, 47, 45B, 47B 절곡홈
49, 51, 49B, 51B, 49C, 51C 맞다음홈
57, 59, 61, 63 분할홈
65, 67, 69, 71 사판부

Claims (11)

  1. 표면에 취성인 절연층을 구비한 금속기판을 절곡부에서 절곡하여 선단부와 이 선단부에 교차하는 다리부를 일체로 설치하고,
    적어도 상기 선단부의 절연층 표면에 전자부품을 설치하기 위해 프린트된 배선부를 구비하는 프린트 배선판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의 전체 길이에 따라서, 상기 절연층을 분단한 절연층 분단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배선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 분단부는 단면 V자형의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배선판.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는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다리부는 상기 선단부의 2변 테두리부 또는 4변 테두리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배선판.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의 절연층 표면에 전자부품을 설치하기 위해 프린트된 배선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배선판.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의 절곡각도를 결정하는 맞다음부를 그 금속기판의 판두께 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배선판.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방열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배선판.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은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동의 어느 것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배선판.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프린트 배선판을 제조하기 위한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 및 배선부를 구비한 금속기판의 절곡 전에, 상기 절곡부의 대응부에 상기 절연층을 분단하는 단면 V자형의 절곡홈을 설치하고,
    상기 절곡홈을 기점으로 상기 금속기판을 절곡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방법.
  9.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프린트 배선판을 제조하기 위한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 및 배선부를 구비한 금속기판의 절곡 전에, 상기 절곡부의 대응부에 상기 절연층을 분단하는 단면 V자형의 절곡홈 또는 맞다음홈의 적어도 일방을 설치함과 함께, 상기 금속기판의 절연층이 없는 이면에서 상기 절곡부의 대응부에 단면 V자형의 맞다음홈을 설치하고,
    상기 절곡홈 및 맞다음홈을 기점으로 상기 금속기판을 절곡함과 함께, 상기 맞다음홈을 닫도록 맞다음홈 내의 면을 맞닿게 하여 상기 절곡부의 절곡각도를 결정하는 맞다음부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의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방법에 이용하는 프린트 배선판 반제품 연쇄체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 및 배선부를 구비한 금속기판의 절곡 전에, 인접 사이에 단면 V자형의 분할홈을 거쳐서 그 절곡 전의 금속기판을 복수 연설하고,
    상기 분할홈에 교차하여 상기 절곡홈 또는 상기 절곡홈 및 맞다음홈을 복수의 금속기판에 걸쳐서 연속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배선판 반제품 연쇄체.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배선판 반제품 연쇄체는 주변에 단면 V자형의 분할홈을 거쳐서 사판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배선판 반제품 연쇄체.
KR1020117012557A 2008-12-01 2009-11-12 프린트 배선판 및 그 제조방법, 프린트 배선판 반제품 연쇄체 KR1012249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306759A JP5154387B2 (ja) 2008-12-01 2008-12-01 プリント配線板及びその製造方法、プリント配線板半製品連鎖体
JPJP-P-2008-306759 2008-12-01
PCT/JP2009/006060 WO2010064364A1 (ja) 2008-12-01 2009-11-12 プリント配線板及びその製造方法、プリント配線板半製品連鎖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2598A true KR20110082598A (ko) 2011-07-19
KR101224997B1 KR101224997B1 (ko) 2013-01-22

Family

ID=42233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2557A KR101224997B1 (ko) 2008-12-01 2009-11-12 프린트 배선판 및 그 제조방법, 프린트 배선판 반제품 연쇄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154387B2 (ko)
KR (1) KR101224997B1 (ko)
CN (1) CN102227957B (ko)
WO (1) WO2010064364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3861A1 (en) * 2011-11-16 2013-05-23 Lg Innotek Co., Ltd. Bent printed circuit board for backlight unit
KR101294943B1 (ko) * 2011-12-26 2013-08-08 주식회사 포스코 방열구조를 가지는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led 조명장치
KR101304733B1 (ko) * 2011-12-26 2013-09-05 주식회사 포스코 방열구조를 가지는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led 조명장치
KR20150066820A (ko) * 2013-12-09 2015-06-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29135B2 (ja) * 2010-06-15 2014-11-1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モジュール
KR101352519B1 (ko) 2012-10-08 2014-01-17 정인원 연성인쇄회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09293B1 (ko) * 2012-10-31 2019-08-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조명장치용 하우징
CN105472878A (zh) * 2016-01-05 2016-04-06 友达光电(厦门)有限公司 软性电路板以及显示装置
CN107035979A (zh) * 2017-04-27 2017-08-11 浙江阳光美加照明有限公司 一种可弯折的灯丝条及使用该灯丝条的led灯丝灯
WO2021199866A1 (ja) * 2020-03-30 2021-10-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回路モジュール
DE102021100307A1 (de) 2021-01-11 2022-07-14 Marelli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ermany) GmbH Verfahren zum Bearbeiten einer Schaltungsträgerplatte und Schaltungsträgerplatt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9855U (ja) * 1981-12-26 1983-07-07 株式会社フジクラ ほうろう基板
JPS6378590A (ja) * 1986-09-22 1988-04-08 株式会社東芝 メタルプリント基板
JPH0311786A (ja) * 1989-06-09 1991-01-21 Ibiden Co Ltd プリント配線板
JPH03157985A (ja) * 1989-11-15 1991-07-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部品実装用金属基板
JPH0538994U (ja) * 1991-10-18 1993-05-25 オリジン電気株式会社 電源モジユール
JPH09162507A (ja) * 1995-12-08 1997-06-20 Nippon Seiki Co Ltd 金属ベースプリント基板
JP2001160664A (ja) * 1999-12-01 2001-06-12 Denki Kagaku Kogyo Kk 金属ベース回路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3861A1 (en) * 2011-11-16 2013-05-23 Lg Innotek Co., Ltd. Bent printed circuit board for backlight unit
KR101330770B1 (ko) * 2011-11-16 2013-11-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용 절곡 인쇄회로기판
US9326382B2 (en) 2011-11-16 2016-04-26 Lg Innotek Co., Ltd. Bent printed circuit board for backlight unit
KR101294943B1 (ko) * 2011-12-26 2013-08-08 주식회사 포스코 방열구조를 가지는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led 조명장치
KR101304733B1 (ko) * 2011-12-26 2013-09-05 주식회사 포스코 방열구조를 가지는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led 조명장치
KR20150066820A (ko) * 2013-12-09 2015-06-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27957A (zh) 2011-10-26
JP2010129984A (ja) 2010-06-10
JP5154387B2 (ja) 2013-02-27
WO2010064364A1 (ja) 2010-06-10
CN102227957B (zh) 2013-10-16
KR101224997B1 (ko) 2013-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4997B1 (ko) 프린트 배선판 및 그 제조방법, 프린트 배선판 반제품 연쇄체
CN203131524U (zh) 一种可弯折的led光源模组
JP5023377B2 (ja) セラミックシート
US8809687B2 (en) Flexible printed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10028371B2 (en) Heat radiation member, heat radiation circuit board, and heat emission device package
US10337687B2 (en) Metal PCB assembly for vehicle lamp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2084949A1 (en) Circuit board with regional flexibility
TWI438375B (zh) 光源模組及其光源組件
KR101805556B1 (ko) 차량용 광모듈 조립체
KR20120072689A (ko) 방열회로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09022A (ko) 광전기 혼재 기판
US20130015565A1 (en) Substrate structure, semiconductor device array an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he same
US20220246333A1 (en) Resistor
JP5813367B2 (ja) 電子モジュール、配線基体および照明装置
JP2005175342A (ja) 配線回路基板保持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03151860U (zh) 一种可弯折的金属基印刷电路板
US9870849B2 (en) Chip resistor and mounting structure thereof
KR20160108867A (ko) 엘이디 램프용 연성회로기판 조립체
WO2013117213A1 (en) Heat sink with laminated fins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such a heat sink
JP4835404B2 (ja) 電子回路部品付回路基板
US20090071683A1 (en) Electronic device mounting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0641557B2 (en) Combined heat sink
JP6005997B2 (ja) 金属ベース回路基板のエッジ形成方法及び金属ベース回路基板
JP2008524841A (ja) プリント回路基板装置
CN203219609U (zh) 一种新型金属基印刷电路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