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2052A - 농후유동식 - Google Patents

농후유동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2052A
KR20110082052A KR1020117011588A KR20117011588A KR20110082052A KR 20110082052 A KR20110082052 A KR 20110082052A KR 1020117011588 A KR1020117011588 A KR 1020117011588A KR 20117011588 A KR20117011588 A KR 20117011588A KR 20110082052 A KR20110082052 A KR 20110082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fatty
heavy chain
fatty acid
carbon atoms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1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3188B1 (ko
Inventor
나오히사 노사카
카츠히코 오오야마
케이치 코지마
요시에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닛신 오일리오그룹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15266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1008205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닛신 오일리오그룹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신 오일리오그룹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82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2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1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61K31/23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23L33/12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30Dietetic or nutritional methods, e.g. for losing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40Complete food formulations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or specific purposes, e.g. infant formu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Abstract

에너지를 효율 좋게 보급할 수 있는 중쇄지방산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위에 부담이 적은 농후유동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농후유동식은, 트리글리세리드의 구성지방산으로서 포함되는 탄소수 8의 중쇄지방산과 탄소수 10의 중쇄지방산과의 합계 함유량이, 농후유동식의 에너지 100kcal당 2.5~8.0g인 농후유동식으로서, 상기 탄소수 8의 중쇄지방산과 탄소수 10의 중쇄지방산과의 합계중, 탄소수 10의 중쇄지방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60질량% 이상, 탄소수 8의 중쇄지방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40질량% 이하이다.

Description

농후유동식{CONCENTRATED LIQUID DIET}
본 발명은, 농후유동식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유지(油脂)를 주요 에너지 공급원으로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위에 부담이 적은 농후유동식에 관한 것이다.
농후유동식은, 고령자나 입원환자 등의 영양보급에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농후유동식에는 단백질, 지질, 당질, 미네랄 등의 영양소가 균형 있게 배합되는 것이 요구된다.
한편, 수술전ㆍ수술후의 환자의 경우에는 영양의 균형보다도 손상된 조직을 회복하기 위한 에너지와 단백질을 조기에 보급할 수 있는 성분 조성이 요구된다. 에너지가 되는 영양소로는 단백질, 지질, 당질을 들 수 있으나, 단백질은 당질 다음으로 에너지로 이용되기 쉽기 때문에 에너지로서 단백질이 소비되는 결과, 몸의 회복 조직의 성분이나 면역반응에 필요한 단백질이 부족한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단백질의 에너지로서의 소비를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는 지방산으로서 중쇄지방산이 알려져 있다. 또한 중쇄지방산은 소화관내에서 빠르게 흡수되고, 간에서 지극히 빠르게 분해되어 에너지화 된다는 점에서 유동식에 많이 배합할 수 있다면, 에너지로서 단백질을 여분으로 소비시키는 일 없이 효율 좋게 에너지를 보급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유지(油脂)는 일반적으로 다량으로 섭취하면 위거북함 등, 위에 부담이 생길 수 있고, 중쇄지방산의 경우도 한번에 다량으로 섭취하면 위거북함이나 위에 자극 등 상복부에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그 배합량을 많게 하지는 않는다. 사실, 중쇄지방산을 구성지방산으로 하는 트리글리세리드를 배합한 유동식은 보고되고 있으나 (특허문헌1: 일본 특허 공개 2001-245633호 공보 및 특허문헌2: 일본 특허 공개 2006-136318호 공보), 그 배합량이 많다고는 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중쇄지방산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또한 위에 부담이 적은 농후유동식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1. 일본 특허 공개 2001-245633호 공보 2. 일본 특허 공개 2006-136318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에너지를 효율 좋게 보급할 수 있는 중쇄지방산을 다량으로 함유하면서, 위에 부담이 적은 농후유동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트리글리세리드를 구성하는 중쇄지방산으로서, 탄소수 8의 지방산인 n-옥탄산과 탄소수 10의 지방산인 n-데칸산을 선택하고, n-데칸산의 비율을 n-옥탄산보다도 많게 함으로써, 위에 큰 부담을 주지 않고 에너지효율이 좋은 중쇄지방산을 다량으로 섭취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것을 제공한다.
(1) 트리글리세리드의 구성지방산으로서 포함되는 탄소수 8의 중쇄지방산과 탄소수 10의 중쇄지방산의 합계 함유량이 농후유동식의 에너지 100kcal당 2.5~8.0g인 농후유동식으로서, 상기 탄소수 8의 중쇄지방산과 탄소수 10의 중쇄지방산과의 합계중, 탄소수 10의 중쇄지방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60질량% 이상, 탄소수 8의 중쇄지방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40질량% 이하인 농후유동식.
(2) 상기 트리글리세리드의 구성지방산으로서 포함되는 탄소수 8의 중쇄지방산과 탄소수 10의 중쇄지방산과의 합계 함유량이, 농후유동식의 에너지 100kcal당 2.5~6g인 (1)에 기재된 농후유동식.
(3) 상기 탄소수 8의 중쇄지방산과 탄소수 10의 중쇄지방산과의 합계중, 탄소수 10의 중쇄지방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75~95질량%, 탄소수 8의 중쇄지방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5~25질량%인 (1) 또는 (2)에 기재된 농후유동식.
(4) 농후유동식의 에너지 100kcal당 트리글리세리드를 2.6~10g 함유하는 (1) 내지 (3)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농후유동식.
본 발명에 따르면, 트리글리세리드를 구성하는 중쇄지방산으로서, 탄소수 8의 지방산인 n-옥탄산과 탄소수 10의 지방산인 n-데칸산을 선택하고, n-데칸산의 비율을 n-옥탄산보다 많게 하였기 때문에, 위에 큰 부담을 주지 않고 에너지 효율이 좋은 중쇄지방산을 다량으로 섭취할 수 있다.
또한, 수술전ㆍ수술후의 환자의 경우, 손상된 조직을 회복하기 위해서 에너지와 단백질을 조기에 보급 할 필요가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소화관내에서 빠르게 흡수되고, 간에서 지극히 빠르게 분해되어 에너지화되는 중쇄지방산을 다량으로 함유하므로, 효율 좋게 에너지를 보급할 수 있다. 따라서 여분의 에너지로서 단백질을 소비시키지 않고 몸의 조직의 회복에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조기회복을 바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농후유동식은, 트리글리세리드의 구성지방산으로서 포함되는 탄소수 8의 중쇄지방산과 탄소수 10의 중쇄지방산과의 합계 함유량이, 농후유동식의 에너지 100kcal당 2.5~8.0g인 농후유동식으로서, 상기 탄소수 8의 중쇄지방산과 탄소수 10의 중쇄지방산과의 합계중, 탄소수 10의 중쇄지방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60질량% 이상, 탄소수 8의 중쇄지방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40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농후유동식은, 에너지를 효율 좋게 보급하기 위하여, 트리글리세리드의 구성지방산으로서 포함되는 탄소수 8의 중쇄지방산과 탄소수 10의 중쇄지방산과의 합계 함유량을 농후유동식의 에너지 100kcal당 2.5~8.0g으로 한다. 또한, 한번에 다량으로 섭취함에 따른 위에의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상기 탄소수 8의 중쇄지방산과 탄소수 10의 중쇄지방산과의 합계중, 탄소수 10의 중쇄지방산이 차지하는 비율을 60질량% 이상, 탄소수 8의 중쇄지방산이 차지하는 비율을 40질량% 이하로 한다.
(농후유동식)
본 발명에서의 농후유동식이란, 필요한 영양을 보급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에너지 0.8kcal/g(ml) 이상의 경구 영양제나 경관(經管) 영양제를 의미하며, 식품 또는 의약품으로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의 농후유동식은 섭취할 때 액체, 겔 등의 형태일 수 있으며, 섭취전의 형태는 분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농후유동식은 반드시 단백질, 지질, 당질, 미네랄, 비타민 등의 영양소를 균형 있게 배합할 필요는 없고, 오히려 지질을 주요 칼로리원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농후유동식은 호박, 옥수수, 양파 등의 재료(페이스트물, 분쇄물, 분말 등)를 배합한 스프로도 먹을 수 있다. 그리고 한 끼당의 염분을 동일한 종류의 식품의 50질량% 이하가 되도록 배합 설정함으로써, 저염ㆍ고에너지의 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프의 경우, 첨가하는 식염의 양을 줄여 한 끼당의 염분이 0.4g이 되도록 배합하고, 단백 식재료 대신에 덱스트린을 배합함으로써, 저염ㆍ저단백ㆍ고에너지의 스프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농후유동식은, 트리글리세리드의 구성지방산으로서 포함되는 탄소수 8의 중쇄지방산과 탄소수 10의 중쇄지방산과의 합계 함유량이, 농후유동식의 에너지 100kcal당 2.5~8.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2.5~6g인 것이 바람직하다. 농후유동식은, 에너지를 확보하면서 필요한 영양성분을 섭취해야 하는 환자 등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영양성분의 배합 비율은 농후유동식의 에너지 100kcal당의 양으로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이면, 에너지와 단백질을 조기에 보급할 필요가 있는 수술전ㆍ수술후의 환자에게도 탄소수 8의 중쇄지방산이나 탄소수 10의 중쇄지방산으로부터 필요한 에너지를 효율 좋게 보급할 수 있으므로, 단백질을 에너지로 소비시키지 않고 손상된 조직의 회복에 이용할 수 있으며, 조기회복을 바랄 수 있다. 지질 1g당의 에너지는 9kcal이다.
본 발명의 농후유동식은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나, 상기 트리글리세리드는 구성지방산을 탄소수 8 또는 10의 중쇄지방산만으로 이루어지는 단산기(單酸基) 트리글리세리드일 수 있고, 구성지방산으로서 탄소수 8 및 10의 중쇄지방산을 포함하는 혼산기(混酸基) 트리글리세리드일 수 있다. 혼산기 트리글리세리드인 경우에는 각각의 중쇄지방산의 글리세린에의 결합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혼산기 트리글리세리드인 경우에는 구성지방산의 일부에 탄소수 8 및 10 이외의 중쇄지방산을 함유할 수 있고, 장쇄지방산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농후유동식은, 트리글리세리드의 구성지방산으로서 포함되는 탄소수 8의 중쇄지방산과 탄소수 10의 중쇄지방산과의 합계중, 탄소수 10의 중쇄지방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60질량% 이상, 탄소수 8의 중쇄지방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40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탄소수 10의 중쇄지방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60~100질량%、탄소수 8의 중쇄지방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0~40질량% 이며, 탄소수 10의 중쇄지방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60~95질량%,탄소수 8의 중쇄지방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5~4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10의 중쇄지방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75~95질량%、탄소수 8의 중쇄지방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5~2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탄소수 10의 중쇄지방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80~95질량%、탄소수 8의 중쇄지방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5~20질량%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에서는 한번에 다량으로 섭취하더라도 위거북함이나 자극 등 위에 부담이 가볍고, 또한 상기 트리글리세리드의 유동성이 양호해지므로 취급(handling)성이 우수하다. 탄소수 10의 중쇄지방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100질량%일 수 있으나, n-데칸산의 경우 융점이 31℃로 고화되기 쉽기 때문에, 보다 우수한 취급성을 얻기 위해서는 탄소수 10 이외의 지방산, 예를 들면 탄소수 8의 포화 지방산인 n-옥탄산을 상기 범위내에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농후유동식에 있어서 트리글리세리드의 구성지방산으로서 포함되는 탄소수 8 및 10의 중쇄지방산은 포화 지방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탄소수 8의 포화 지방산으로는 n-옥탄산, 탄소수 10의 포화 지방산으로는 n-데칸산을 들 수 있다. 상기 중쇄지방산은 소화관내에서 빠르게 흡수되고, 간에서 지극히 빠르게 분해되므로 상기 중쇄지방산을 많이 함유하는 농후유동식에 의하면 효율 좋게 에너지를 보급할 수 있다.
트리글리세리드의 제조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탄소수 8의 중쇄지방산과 탄소수 10의 중쇄지방산을 구성지방산으로 하는 트리글리세리드의 경우, 야자유나 팜핵유 유래의 탄소수 8의 중쇄지방산과 탄소수 10의 중쇄지방산과 글리세린을 원료로 하여 에스테르화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에스테르화 반응 조건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무촉매, 무용제(無溶劑) 및 가압하에서 반응시킬 수 있고, 촉매나 용제를 이용하여 반응시킬 수도 있다. 또한, 유전자 변형 식물의 유량(油糧) 종자를 원료로 압착, 추출함으로써, 탄소수 8의 중쇄지방산과 탄소수 10의 중쇄지방산을 구성지방산으로 하는 트리글리세리드를 얻거나, 유전자 변형 식물의 유량 종자로부터 얻은 탄소수 8의 중쇄지방산과 탄소수 10의 중쇄지방산을 원료로 하여 트리글리세리드를 제조하거나 할 수도 있다.
트리글리세리드를 구성하는 지방산의 비율을 조정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탄소수 8의 중쇄지방산인 n-옥탄산으로 이루어지는 단산기 트리글리세리드와, 탄소수 10의 중쇄지방산인 n-데칸산으로 이루어지는 단산기 트리글리세리드를 제조한 후, 원하는 비율이 되도록 혼합하는 방법이나, 미리 원하는 비율의 n-옥탄산과 n-데칸산을 준비하여 글리세린과 에스테르 결합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트리글리세리드의 구성지방산으로서 포함되는 탄소수 8의 중쇄지방산과 탄소수 10의 중쇄지방산의 합계중, 탄소수 8, 10의 중쇄지방산이 차지하는 비율을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트리글리세리드를 구성하고 있는 지방산을 메틸 에스테르화하고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량 분석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농후유동식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트리글리세리드 이외에 지질로서 유지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대두유, 채종유, 고올레산 채종유, 옥수수유, 참기름, 참깨 샐러드유, 차조기유, 아마인유, 낙화생유, 고리놀레산 홍화유, 고올레산 홍화유, 해바라기유, 고올레산 해바라기유, 미드올레산 해바라기유, 면실유, 포도씨유, 마카데미아넛유, 헤이즐넛유, 호박씨유, 호두유, 동백유, 차실유(茶實油), 들깨유, 보리지유, 올리브유, 쌀기름, 미강유, 밀배아유, 팜유, 팜핵유, 야자유, 카카오지, 쇠기름, 라드, 닭기름(鷄脂), 유지(乳脂), 어유(魚油), 바다표범유, 조류(藻類)유, 품종개량에 의해 저포화화된 이들의 유지(油脂) 및 이들의 혼합 유지(油脂), 수소첨가 유지(油脂), 분별 유지(油脂), 에스테르 교환 유지(油脂)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농후유동식 전체로서, 농후유동식의 에너지 100kcal당 트리글리세리드를 2.6~10g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농후유동식은,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에서 목적에 따라 단백질, 당질, 비타민, 미네랄 등의 각종 영양성분, 안정제, 유화제, 향료 등의 식품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단백질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유단백질(乳蛋白質), 대두단백질, 난황단백질 또는 이들의 분해물을 들 수 있다. 또한 당질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글루코오스, 수크로스, 프럭토스, 덱스트린, 전분 또는 이들의 가공 처리물을 들 수 있다. 또한, 농후유동식의 재료로서 호박, 옥수수, 양파 등의 페이스트물, 분쇄물, 분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농후유동식의 투여량은, 의약품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환자의 증상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고, 식품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의 식품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농후유동식의 포장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농후유동식에 통상 이용되는 것이면, 목적에 따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캔, 종이용기, 알루미늄 파우치, 병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농후유동식은, 고온 멸균 처리 후, 무균실 등에서 상기 용기에 포장되거나, 또는 일단 용기에 포장 후에 레토르트 살균된다.
(실시예)
다음에, 여러 가지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트리글리세리드의 제조]
<제조예1> n-옥탄산 트리글리세리드의 제조방법
n-옥탄산(미요시유지사 제조) 570g과 글리세린(미요시유지사 제조) 110g을 혼합하고, 240℃에서 24시간 탈수하면서 반응시킴으로써, n-옥탄산 트리글리세리드를 얻었다.
<제조예2> n-데칸산 트리글리세리드의 제조방법
n-데칸산(미요시유지사 제조) 850g과 글리세린(미요시유지사 제조) 140g을 혼합하고, 240℃에서 24시간 탈수하면서 반응시킴으로써, n-데칸산 트리글리세리드를 얻었다.
[참고예]
먼저, 동물에 의한 검토 결과를 참고예로 들기로 한다.
[래트(rat)에 의한 위점막에의 자극 검토 시험]
n-옥탄산 트리글리세리드와 n-데칸산 트리글리세리드의 배합비율이 상이한 시험용 유화물(乳化物)을 래트에 투여함으로써, 트리글리세리드의 구성지방산과 위점막에의 자극과의 관계에 대하여 검토를 실시하였다.
〔시험용 유화물 조제〕
<참고예 1>
70℃의 물에 카세인, 덱스트린 및 유화제를 가하여 분산기에서 혼합하고, 여기에 제조예 1의 방법으로 제조한 n-옥탄산 트리글리세리드와, 제조예 2의 방법으로 제조한 n-데칸산 트리글리세리드를 40:60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가하여 초음파로 유화시켜 시험용 유화물을 얻었다. 배합비를 표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참고예2>
트리글리세리드로서, 제조예 1의 방법으로 제조한 n-옥탄산 트리글리세리드와, 제조예 2의 방법으로 제조한 n-데칸산 트리글리세리드를 20:80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는 외에는 참고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참고예3>
트리글리세리드로서, 제조예 2의 방법으로 제조한 n-데칸산 트리글리세리드를 사용하는 외에는 참고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비교참고예 1>
트리글리세리드로서, 제조예 1의 방법으로 제조한 n-옥탄산 트리글리세리드와, 제조예 2의 방법으로 제조한 n-데칸산 트리글리세리드를 60:40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는 외에는 참고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시험방법1〕 참고예 1~3, 비교참고예 1
체중 약 200g의 10주령 Wistar계 수컷 래트(일본 SLC(주)) 5마리를 1시험구로 하여 투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조제한 각 시험용 유화물(참고예 1~3, 비교참고예 1)의 래트에의 투여는, 18시간 절식 후 경구에 의해 실시하였다. 트리글리세리드 투여량은 체중 1kg당 2g으로 하였다. 투여 후 1시간 안정시킨 후, 마취하에서 개복하여 위를 적출하였다. 그리고, 적출한 위를 대만(大灣)을 따라 절개하고, 위점막을 생리식염수로 세정한 후, 육안(필요에 따라서 돋보기를 사용)으로 관찰하였다. 위점막에의 자극에 관한 판정은 문헌(Yakugaku Zasshi 89(8):1114-1118, 1978)에 기재된 방법에 근거하여 실시하였다. 판단 기준을 이하에 나타낸다.
〔판단 기준〕
(-): 9개 이내의 점형상 발적이 확인되었다.
(+): 10개 이상의 점형상 발적이 있고, 미란의 각 긴지름의 총합이 2mm이하.
(++): 20개 이상의 점형상 발적이 있고, 미란의 각 긴지름의 총합이 10mm이하.
(+++): 궤양, 또는 미란의 각 긴지름의 총합이 10mm이상.
(-)로 판정된 경우에는 점형상 발적수를 카운트하였다.
〔시험방법 2〕 양성 대조군
에탄올을 투여하는 외에는 시험방법 1과 동일하게 하였다.
〔시험방법 3〕 음성 대조군
생리식염수를 투여하는 외에는 시험방법 1과 동일하게 하였다.
Figure pct00002
각 시험용 유화물을 경구 투여한 래트의 위점막에의 자극 판정 결과와 점형상 발적수를 표2에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시험용 유화물을 경구 투여한 군(참고예 1~3)은 모두 위점막에 미란이나 궤양은 확인되지 않았고, 점형상 발적에 대해서도 9개 이내로, 위점막에의 자극은 (-)음성으로 판정되었다. 따라서, 체중 60kg의 사람에 대하여 약 120g에 상당하는 양의 중쇄지방산을 투여해도 위점막에 크게 영향이 없음이 확인되었다.
더욱 상세하게 비교한 바, 탄소수 10의 중쇄지방산인 n-데칸산의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서, 점형상 발적수가 적어져 참고예 1~3은 비교참고예 1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고, 특히 참고예 2 및 3은 생리식염수를 투여한 음성 대조군과 동일한 정도의 발적수를 보였다.
이들의 결과로부터, 시험용 유화물에 배합되는 트리글리세리드의 구성지방산으로서 탄소수 8의 중쇄지방산인 n-옥탄산보다 탄소수 10의 중쇄지방산인 n-데칸산의 비율을 높게 함으로써, 위점막에의 자극을 경감시킬 수 있다는 것이 명확해졌다.
[실시예]
[사람에 의한 상복부에의 불쾌감 검토 시험]
n-옥탄산 트리글리세리드와 n-데칸산 트리글리세리드의 배합비율이 상이한 농후유동식을 사람에 투여함으로써, 트리글리세리드의 구성지방산과 상복부의 지각에 미치는 영향과의 관계에 대하여 검토를 실시하였다.
〔농후유동식의 조제〕
<조제예 1> 배합용 1~3
70℃의 물에 카세인, 전분유(全粉乳), 상백탕, 덱스트린, 유화제를 이들 순서로 가하고, 분산기에서 혼합하였다. 이것을 호모믹서에서 교반하면서 제조예 1의 방법으로 제조한 n-옥탄산 트리글리세리드를 가하여 배합용 유동식 1~3을 얻었다. 배합비를 표3에 나타낸다.
<조제예 2> 배합용 4~6
70℃의 물에 카세인, 전분유, 상백탕, 덱스트린, 유화제를 이들 순서로 가하고, 분산기에서 혼합하였다. 이것을 호모 믹서에서 교반하면서 제조예 2의 방법으로 제조한 n-데칸산 트리글리세리드를 가하여 배합용 유동식 4~6을 얻었다. 배합비를 표3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실시예 1>
조제예 1의 방법으로 조제한 600g의 배합용 유동식 1과, 조제예 2의 방법으로 조제한 900g의 배합용 유동식 4를 혼합하여 농후유동식을 얻었다. 얻은 농후유동식은 레토르트 용기에 100g씩 봉입한 후, 레토르트 살균(121℃, 15분간)을 실시하고, 한 끼씩 섭취할 수 있도록 분할하였다. 한 끼당의 각 성분의 양을 표4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조제예 1의 방법으로 조제한 300g의 배합용 유동식 1과, 조제예 2의 방법으로 조제한 1200g의 배합용 유동식 4를 혼합하여 농후유동식을 얻었다. 봉입 및 살균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한 끼당의 각 성분의 양을 표4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조제예 2의 방법으로 조제한 배합용 유동식 4만으로 농후유동식을 얻었다. 봉입 및 살균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한 끼당의 각 성분의 양을 표4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조제예 1의 방법으로 조제한 600g의 배합용 유동식 2와, 조제예 2의 방법으로 조제한 900g의 배합용 유동식 5를 혼합하여 농후유동식을 얻었다. 봉입 및 살균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한 끼당의 각 성분의 양을 표4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조제예 1의 방법으로 조제한 300g의 배합용 유동식 2와, 조제예 2의 방법으로 조제한 1200g의 배합용 유동식 5를 혼합하여 농후유동식을 얻었다. 봉입 및 살균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한 끼당의 각 성분의 양을 표4에 나타낸다.
<실시예6>
조제예 2의 방법으로 조제한 배합용 유동식 5만으로 농후유동식을 얻었다. 봉입 및 살균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한 끼당의 각 성분의 양을 표4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조제예 1의 방법으로 조제한 900g의 배합용 유동식 1과, 조제예 2의 방법으로 조제한 600g의 배합용 유동식 4를 혼합하여 농후유동식을 얻었다. 봉입 및 살균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한 끼당의 각 성분의 양을 표5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조제예 1의 방법으로 조제한 900g의 배합용 유동식 2와, 조제예 2의 방법으로 조제한 600g의 배합용 유동식 5를 혼합하여 농후유동식을 얻었다. 봉입 및 살균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한 끼당의 각 성분의 양을 표5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조제예 1의 방법으로 조제한 900g의 배합용 유동식 3과, 조제예 2의 방법으로 조제한 600g의 배합용 유동식 6을 혼합하여 농후유동식을 얻었다. 봉입 및 살균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한 끼당의 각 성분의 양을 표5에 나타낸다.
<비교예 4>
조제예 1의 방법으로 조제한 600g의 배합용 유동식 3과, 조제예 2의 방법으로 조제한 900g의 배합용 유동식 6을 혼합하여 농후유동식을 얻었다. 봉입 및 살균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한 끼당의 각 성분의 양을 표5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시험방법]
사전시험에서, 시험식의 섭취로 인해 위거북함 등의 상복부 불쾌감을 자각할 수 있었던 건강 성인 남녀 18명 (20~60세)을 대상으로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조건을 표6에 나타낸다.
각 그룹, 동일 대상자에게 비교예, 실시예의 농후유동식을 섭취시켰다. 하나의 농후유동식을 섭취한 시험일의 익일에 계속해서 시험을 실시하지 않고, 1일 이상 간격을 두고서 다음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전날엔 이하의 항목을 지시하고 준수시켰다. (1) 저녁 식사의 내용 및 식사 시간을 기록할 것, (2) 음주, 폭음 폭식 및 위에 부담이 상정되는 사항은 금지하고, 21시 이후엔 물 이외에는 섭취하지 않을 것.
또한, 시험 당일엔 이하의 항목을 지시하고 준수시켰다. (1) 아침식사는 7시까지 표준식(물, 젤리)을 섭취하고, 그 이후에는 물 이외에는 섭취하지 않을 것, (2) 시험 전에 평소의 위의 증상을 앙케이트 용지에 기입할 것, (3) 식품 섭취 후 15분에서 3시간까지 15분 간격으로 복부 불쾌감의 발현과 정도를 앙케이트 용지에 기입할 것, (4) 시험 중에는 심신 모두 안정상태를 유지하고, 전화는 사용하지 않을 것, (5) 수분 섭취는 용량 약 50ml의 컵으로 각자 적절히 하고 다량섭취는 삼가할 것.
Figure pct00006
시험중의 앙케이트는, 「상복부에 자극이 있다」, 「팽만감을 느낀다」, 「구역질이 난다」, 「트림이 나온다」, 「상복부에 열이 있다」의 다섯 항목에 대해서, 「해당되지 않는다」, 「약간 해당된다」, 「해당된다」, 「매우 해당된다」의 4단계로 기입시켰다. 이들을 점수화하고, 각 항목의 개별 점수 및 각 항목의 합계 점수를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평가 점수의 내용을 이하에 나타낸다.
<평가 점수>
0점: 해당되지 않는다
1점: 약간 해당된다
2점: 해당된다
3점: 매우 해당된다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트리글리세리드의 섭취량별에 따른 결과를 표에 정리하였다. 3g 섭취군(트리글리세리드의 구성지방산으로서 포함되는 탄소수 8의 중쇄지방산과 탄소수 10의 중쇄지방산의 합계 섭취량: 2.8g)의 결과를 표7에, 6g 섭취군(트리글리세리드의 구성지방산으로서 포함되는 탄소수 8의 중쇄지방산과 탄소수 10의 중쇄지방산의 합계 섭취량: 5.5 또는 5.6g)의 결과를 표8에, 9g 섭취군(트리글리세리드의 구성지방산으로서 포함되는 탄소수 8의 중쇄지방산과 탄소수 10의 중쇄지방산의 합계 섭취량: 8.3g)의 결과를 표 9에 나타낸다.
3g 섭취 군에서는, 「상복부에 자극이 있다」에 대해서는, 실시예 3에서 비교예 1에 비해 낮은 값의 경향이 확인되었다. 또한 「팽만감을 느낀다」에 대해서는, 실시예 1, 2, 3에서 낮은 값의 경향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각 항목의 「합계 점수」에 대해서는 실시예 6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냈다.
6g 섭취 군에서는, 「팽만을 느낀다」에 대해서는 실시예 5에서 비교예 2에 비해 낮은 값의 경향이 확인되었고, 실시예 6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트림이 나온다」에 대해서는, 실시예 4, 5, 6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상복부에 열이 있다」에 대해서는, 실시예 4, 5에서 낮은 값의 경향이 확인되었다. 또한, 각 항목의 「합계 점수」에 대해서는, 실시예 5에서 낮은 값의 경향이 확인되었고, 실시예 6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9g 섭취 군에서는, 「구역질이 난다」에 대해서는, 비교예 4에서 비교예 3에 비해 높은 값의 경향이 확인되었으나, 모든 항목에서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고, 거의 같은 정도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트리글리세리드의 섭취량과 상복부의 지각에 미치는 영향과의 관계에 대해서 검토한 바, 「구역질이 난다」에 대해서는 실시예 1, 4에서 비교예 4에 비해 낮은 값의 경향이 확인되었고, 「상복부에 열이 있다」에 대해서는, 실시예 1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고, 「합계 점수」에 대해서는, 실시예 4에서 낮은 값의 경향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트리글리세리드를 구성하는 지방산에 있어서 탄소수 10의 중쇄지방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탄소수 8의 중쇄지방산이 차지하는 비율보다 많아짐으로써 상복부에의 불쾌감은 감소하는 것이 명확해졌다. 또한, 트리글리세리드의 섭취량에 의존하여 상복부에의 불쾌감이 상승하는 것도 명확해졌다.
<제조예 3> 중쇄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혼합품의 제조방법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n-옥탄산 트리글리세리드 2kg과,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n-데칸산 트리글리세리드 8kg을 혼합하여 중쇄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혼합품 10kg (트리글리세리드의 구성지방산으로서 포함되는 탄소수 8의 중쇄지방산과 탄소수 10의 중쇄지방산의 합계 중, 탄소수 10의 중쇄지방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80질량%、탄소수 8의 중쇄지방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20질량%)을 얻었다.
〔농후유동식의 조제〕
<실시예 7>
표 10에 나타낸 배합의 커피 풍미의 레토르트 농후유동식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70℃의 물 7.047kg에 환원 물엿 1.84kg과 가공 전분 0.31kg을 가하고, 분산기에서 혼합하여 용해시켰다. 이것을 호모 믹서에서 교반하면서 서서히 제조예 3의 방법으로 제조한 중쇄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혼합물 0.48kg을 가하고, 커피 엑기스 0.3kg, 커피 플레이버 0.02kg, 중조(重曹) 0.003kg을 가하여 커피 풍미의 농후유동식 10kg을 얻었다. 얻은 커피 풍미의 농후유동식을 각각 125g (한 끼분)씩 알루미늄 파우치에 충전, 밀봉시킨 후, 120℃에서 20분간 레토르트 처리하고, 냉각하여 커피 풍미의 레토르트 농후유동식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커피 풍미의 레토르트 농후유동식의 에너지 100kcal당의 트리글리세리드의 구성지방산으로서 포함되는 탄소수 8의 중쇄지방산과 탄소수 10의 중쇄지방산과의 합계 함유량은, 3.5(5.6/159×100=3.52)g이고, 레토르트 농후유동식의 에너지 100kcal당의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은 3.8g이었다.
Figure pct00010
<실시예 8>
표 11에 나타낸 배합의 홍차 풍미의 레토르트 농후유동식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70℃의 물 7.19kg에 환원 물엿 1.84kg과 가공 전분 0.31kg을 가하고 분산기에서 혼합하여 용해시켰다. 이것을 호모 믹서에서 교반하면서 서서히 제조예 3의 방법으로 제조한 중쇄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혼합물 0.48kg을 가하고, 홍차 엑기스 0.16kg, 홍차 플레이버 0.02kg을 가하여 홍차풍미의 농후유동식 10kg을 얻었다. 얻은 홍차 풍미의 농후유동식을 각각 125g (한 끼분)씩 알루미늄 파우치에 충전, 밀봉한 후, 120℃에서 20분간 레토르트 처리하고 냉각하여 홍차풍미의 레토르트 농후유동식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홍차 풍미의 레토르트 농후유동식의 에너지 100kcal당의 트리글리세리드의 구성지방산으로서 포함되는 탄소수 8의 중쇄지방산과 탄소수 10의 중쇄지방산의 합계 함유량은, 3.5(5.6/159×100=3.52)g이고, 레토르트 농후유동식의 에너지 100kcal당의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은 3.8g이었다.
Figure pct00011
<실시예 9>
제조예 3의 방법으로 제조한 중쇄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혼합물, 호박, 덱스트린, 가공 전분, 물 및 조미료를 원료로 하여 중쇄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혼합물 함량, 단백질 함량, 염분 함량 및 칼륨 함량이 한 끼당 각각 6g, 0.9g이하, 0.4g이하 및 100mg이하로, 한 끼당 에너지가 161kcal인 저염ㆍ저단백ㆍ고에너지의 호박 스프(농후유동식)를 얻었다. 얻은 호박 스프에 대하여, 142g을 한 끼분으로 하여 한 끼분씩 알루미늄 파우치에 충전ㆍ밀봉한 후, 레토르트 처리 함으로써, 레토르트 호박 스프(레토르트 농후유동식)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레토르트 호박 스프의 에너지 100kcal당의 트리글리세리드의 구성지방산으로서 포함되는 탄소수 8의 중쇄지방산과 탄소수 10의 중쇄지방산의 합계 함유량은, 3.5(5.6/161×100=3.47)g이고, 레토르트 농후유동식의 에너지 100kcal당의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은 3.7g이었다.
<실시예 10>
제조예 3의 방법으로 제조된 중쇄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혼합물, 옥수수, 양파, 덱스트린, 가공 전분, 물 및 조미료를 원료로 하여 중쇄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혼합물 함량, 단백질 함량, 염분 함량 및 칼륨 함량이 한 끼당 각각 6g, 0.9g 이하, 0.4g 이하 및 100mg이하이며, 한 끼당 에너지가 166kcal인 저염ㆍ저단백ㆍ고에너지의 옥수수 스프(농후유동식)를 얻었다. 얻은 옥수수 스프에 대하여, 141g을 한 끼분으로 하여 한 끼분씩 알루미늄 파우치에 충전ㆍ밀봉한 후, 레토르트 처리 함으로써 레토르트 옥수수 스프(레토르트 농후유동식)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레토르트 옥수수 스프의 에너지 100kcal당의 트리글리세리드의 구성지방산으로서 포함되는 탄소수 8의 중쇄지방산과 탄소수 10의 중쇄지방산과의 합계 함유량은, 3.4(5.6/166×100=3.37)g이고, 레토르트 농후유동식의 에너지 100kcal당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은 3.6g이었다.

Claims (4)

  1. 트리글리세리드의 구성지방산으로서 포함되는 탄소수 8의 중쇄지방산과 탄소수 10의 중쇄지방산의 합계 함유량이, 농후유동식의 에너지 100kcal당 2.5~8.0g인 농후유동식으로서, 상기 탄소수 8의 중쇄지방산과 탄소수 10의 중쇄지방산의 합계 중, 탄소수 10의 중쇄지방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60질량% 이상, 탄소수 8의 중쇄지방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40질량% 이하인 농후유동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글리세리드의 구성지방산으로서 포함되는 탄소수 8의 중쇄지방산과 탄소수 10의 중쇄지방산의 합계 함유량이 농후유동식의 에너지 100kcal당 2.5~6g인 농후유동식.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8의 중쇄지방산과 탄소수 10의 중쇄지방산과의 합계 중, 탄소수 10의 중쇄지방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75~95질량%, 탄소수 8의 중쇄지방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5~25질량%인 농후유동식.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농후유동식의 에너지 100kcal당 트리글리세리드를 2.6~10g 함유하는 농후유동식.
KR1020117011588A 2008-11-06 2009-10-27 농후유동식 KR1019231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85832 2008-11-06
JPJP-P-2008-285832 2008-11-06
JP2009116959 2009-05-13
JPJP-P-2009-116959 2009-05-13
PCT/JP2009/005656 WO2010052847A1 (ja) 2008-11-06 2009-10-27 濃厚流動食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5973A Division KR20170029645A (ko) 2008-11-06 2009-10-27 농후유동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2052A true KR20110082052A (ko) 2011-07-15
KR101923188B1 KR101923188B1 (ko) 2018-11-29

Family

ID=4215266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5973A KR20170029645A (ko) 2008-11-06 2009-10-27 농후유동식
KR1020117011588A KR101923188B1 (ko) 2008-11-06 2009-10-27 농후유동식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5973A KR20170029645A (ko) 2008-11-06 2009-10-27 농후유동식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3) US9907774B2 (ko)
EP (1) EP2351491B1 (ko)
JP (1) JP5059947B2 (ko)
KR (2) KR20170029645A (ko)
CN (1) CN102186364B (ko)
CA (1) CA2741842C (ko)
ES (1) ES2544589T3 (ko)
MY (1) MY150593A (ko)
TW (1) TWI519243B (ko)
WO (1) WO20100528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210699D0 (en) * 2012-06-15 2012-08-01 Vitaflo Ltd Nutritional food
CN105722399B (zh) * 2013-11-15 2020-12-15 日清奥利友集团株式会社 改良豆乳及其制造方法
EP3173464B1 (en) 2014-07-22 2021-11-24 The Nisshin OilliO Group, Ltd. Powdered fat/oil composition, food including powdered fat/oil composition, and methods for producing same
WO2016121675A1 (ja) * 2015-01-26 2016-08-04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油脂
EP3287013B1 (en) * 2015-04-22 2019-10-30 The Nisshin OilliO Group, Ltd. Gel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7046688A (ja) * 2015-08-31 2017-03-09 株式会社みやぎヘルスイノベーション 体重増加抑制用飲料組成物
CN108024550B (zh) 2015-09-24 2021-11-26 日清奥利友集团株式会社 粉末油脂组合物和其制造方法
AU2016363771B2 (en) 2015-12-04 2022-06-16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Medium chain triglyceride compositions
EP3406695A4 (en) 2016-01-21 2019-09-11 The Nisshin OilliO Group, Ltd. POWDER TRANSFORMATION AGENT FOR LIQUID COMPONENT
EP3406682A4 (en) * 2016-01-21 2019-10-09 The Nisshin OilliO Group, Ltd. THICKENER FOR LIQUID CONSTITUENT
WO2017126667A1 (ja) 2016-01-21 2017-07-27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液状成分の粉末化剤
US11246322B2 (en) 2016-01-21 2022-02-15 The Nisshin Oillio Group, Ltd. Thickener for liquid component
JP6715930B2 (ja) * 2016-07-07 2020-07-01 ソマール株式会社 ゲル状食品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食品
JP6847515B2 (ja) * 2017-01-20 2021-03-24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耐冷性トリグリセリド
CA3058047A1 (en) * 2017-04-10 2018-10-18 Vitaflo International Ltd Composition for use in the treatment of epilepsy
JPWO2018230487A1 (ja) * 2017-06-12 2020-04-09 株式会社明治 消化管症状を抑制する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003425A1 (fr) * 1968-03-07 1969-11-07 Unilever Nv Compositions grasses plastiques comestibles et procede pour les preparer
US5288512A (en) * 1987-12-15 1994-0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educed calorie fats made from triglycerides containing medium and long chain fatty acids
JPH01243970A (ja) * 1988-03-18 1989-09-28 Nippon Oil & Fats Co Ltd 人工濃厚流動食
US4888196A (en) * 1989-03-28 1989-12-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for tempering flavored confectionery compositions containing reduced calorie fats and resulting tempered products
US5258197A (en) * 1989-09-20 1993-11-02 Nabisco, Inc. Reduced calorie triglyceride mixtures
AU6858696A (en) * 1995-08-24 1997-03-19 Advanced Nutritionals Corporation Carbohydrate and medium chain triglyceride gel as an energy supplement
DE69622722T2 (de) 1996-11-20 2003-02-27 Nutricia Nv Fette enthaltende Ernährungszusammensetzung zur Behandlung des Stoffwechselsyndroms
US6130244A (en) * 1998-02-25 2000-10-10 Abbott Laboratories Product and method to reduce stress induced immune suppression
US7241468B2 (en) * 1999-12-17 2007-07-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educed calorie fat compositions
JP4513157B2 (ja) 2000-03-06 2010-07-28 日油株式会社 ソフトバック入り濃厚流動食
JPWO2003007932A1 (ja) 2001-07-16 2004-11-04 日清オイリオ株式会社 体脂肪量調整剤
WO2004000044A1 (en) * 2002-06-21 2003-12-31 Dansk Droge A/S Low-energy-diet
US20040005368A1 (en) * 2002-07-01 2004-01-08 Morris Mann Novel approach to weight loss comprising a modified protein composition that regulates blood sugar in conjunction with compositions that increase oxygen uptake and suppress appetite
JP4262710B2 (ja) 2004-10-15 2009-05-13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流動食の製造方法
JP2006117557A (ja) * 2004-10-20 2006-05-11 Nisshin Oillio Group Ltd 血中アディポネクチン濃度増加剤
AU2005200306A1 (en) 2005-01-27 2006-08-10 Adelaide Research And Innovation Pty Ltd Satiety agent
FR2885491B1 (fr) 2005-05-16 2020-03-06 Nutricos Technologies Traitement de la secheresse keratinique par des glycerides
RU2437655C2 (ru) 2006-01-09 2011-12-27 Нестек С.А. Лечение пациентов, подвергнутых стрессу
EP2002832A4 (en) * 2006-03-31 2009-11-11 Suntory Holdings Ltd COMPOSITION WITH A LIGNAN CONNECTION
EP2001293B9 (en) 2006-04-03 2019-04-17 Accera, Inc. Use of ketogenic compounds for treatment of age-associated memory impairment
WO2007132714A1 (ja) * 2006-05-16 2007-11-22 The Nisshin Oillio Group, Ltd. 骨密度増加剤
WO2009153064A2 (en) * 2008-06-19 2009-12-23 N.V. Nutricia Liquid nutritional composition for bariatric surgery pati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07774B2 (en) 2018-03-06
TW201028106A (en) 2010-08-01
CA2741842A1 (en) 2010-05-14
KR20170029645A (ko) 2017-03-15
US20180161301A1 (en) 2018-06-14
CN102186364B (zh) 2013-10-02
EP2351491A4 (en) 2014-03-12
US20110200734A1 (en) 2011-08-18
ES2544589T3 (es) 2015-09-01
MY150593A (en) 2014-01-30
EP2351491A1 (en) 2011-08-03
JPWO2010052847A1 (ja) 2012-04-05
JP5059947B2 (ja) 2012-10-31
KR101923188B1 (ko) 2018-11-29
CA2741842C (en) 2015-12-29
EP2351491B1 (en) 2015-06-03
US10285965B2 (en) 2019-05-14
WO2010052847A1 (ja) 2010-05-14
TWI519243B (zh) 2016-02-01
US10383838B2 (en) 2019-08-20
CN102186364A (zh) 2011-09-14
US20180256531A1 (en) 2018-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5965B2 (en) Method for supplementing and administering a concentrated liquid diet
CA2417971C (en) Oil/fat composition
CN100448358C (zh) 油/脂组合物
CN102065699A (zh) 含脂质组合物及其使用方法
WO2002011552A2 (en) Oil/fat composition
EP1481675A1 (en) Body temperature elevating agents
JP5749880B2 (ja) D−タガトースを有効成分とする体脂肪蓄積改善剤およびメタボリックシンドローム改善剤
JP2010018522A (ja) アディポネクチン産生促進剤
EP3170406B1 (en) Gel-form emulsified food
TWI228030B (en) Regulator for body fat
JP2004075653A (ja) 体脂肪分解促進剤および飲食物
WO2007132714A1 (ja) 骨密度増加剤
JP5702292B2 (ja) パーキンソン病患者の内臓脂肪減少抑制剤
JP2004043337A (ja) 血中中性脂肪濃度調整剤
TW200427410A (en) Processed fat compositions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lifestyle-related diseases
JP2019156774A (ja) 眠気防止剤、眠気防止用医薬組成物、眠気防止用食品組成物
JP2003153666A (ja) ユビキノ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105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302

Effective date: 2018092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