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0831A - 곡물 뻥튀기장치 - Google Patents

곡물 뻥튀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0831A
KR20110080831A KR1020100001245A KR20100001245A KR20110080831A KR 20110080831 A KR20110080831 A KR 20110080831A KR 1020100001245 A KR1020100001245 A KR 1020100001245A KR 20100001245 A KR20100001245 A KR 20100001245A KR 20110080831 A KR20110080831 A KR 20110080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unit
pressure
cam
pressure coo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1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4197B1 (ko
Inventor
이낙수
Original Assignee
이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낙수 filed Critical 이낙수
Priority to KR1020100001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4197B1/ko
Priority to PCT/KR2010/009473 priority patent/WO2011083931A2/ko
Publication of KR20110080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0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61Puffed cereals, e.g. popcorn or puffed rice
    • A23L7/174Preparation of puffed cereals from wholegrain or grain pieces without preparation of meal or dough
    • A23L7/178Preparation of puffed cereals from wholegrain or grain pieces without preparation of meal or dough by pressure release with or without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30Puffing or expanding
    • A23P30/32Puffing or expanding by pressure release, e.g. explosion puffing; by vacuum treatment
    • A23P30/36Puffing or expanding by pressure release, e.g. explosion puffing; by vacuum treatment in discontinuously working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승강구동원에 직결된 작동캠에 의하여 압력뚜껑이 승강되도록 하여 전체 크기를 소형화함과 아울러 곡물의 종류 및 상태에 따라 가압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의 곡물 뻥튀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곡물 뻥튀기장치는 본체와; 본체에 설치되며, 곡물을 수용하는 압력솥과; 압력솥 상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본체에 설치되며, 가압력 해제시 압력솥 상에서 상승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작동로드와; 작동로드의 압력솥과 마주하는 단부에 설치되며, 압력솥에 소정 압력이 인가되도록 가압하는 압력뚜껑과; 압력솥과 압력뚜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압력솥에 수용된 곡물을 가열하는 가열원과; 본체에 설치되며 회전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원과; 승강구동원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작동캠을 구비하며, 작동로드의 승강 및 승강구동원을 온/오프 제어하여 압력뚜껑의 압축 상사위치에서의 가압시간을 조절하는 승강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곡물 뻥튀기장치{GRAIN POPP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곡물에 압력과 열을 가하여 팽화시키는 곡물 뻥튀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승강구동원에 직결된 작동캠에 의하여 압력뚜껑이 승강되도록 하여 전체 크기를 소형화함과 아울러 곡물의 종류 및 상태에 따라 가압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의 곡물 뻥튀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 뻥튀기장치는 압력솥 내에 곡물을 넣고 밀폐한 후 일정시간 가열시, 곡물 내부의 수증기가 팽창하면서 압력솥 내부의 압력이 급상승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압력솥을 개방하는 경우 곡물이 급팽창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곡물을 가공하는 장치이다.
최근 들어, 다이어트와 건강식품으로 곡물 뻥튀기의 판매가 증가되고 있지만, 시중에서 판매되는 뻥튀기의 대부분은 주원료가 인조미(人造米)로서, 공장, 점포 또는 노점에서 다량 생산을 목적으로 제작된 뻥튀기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되고 있다. 인조미는 원산지나 제조공정 상의 위생 상태가 불명확하며, 맛과 영양성분이 일률적이어서 대중의 기호에 부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곡물 뻥튀기장치는 상기한 인조미 또는 특정한 곡물 전용으로 개발된 것으로서, 곡물의 종류와 조합에 따른 변수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압력솥에 대한 가압시간(퍼핑시간; poping time), 곡물량 조정 등의 기능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인조미 이외의 여러 종류의 곡물을 뻥튀기 재료로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뻥튀기장치는 공장 등의 생산시설 내 또는 시장 등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기계를 소형화할 필요가 적었다.
또한, 일반적인 뻥튀기장치는 호퍼에 수용된 곡물을 압력솥으로 이송하는 곡물 이송유니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작동캠과 이송레버 등으로 구성되므로, 이와 같은 구성으로는 장치를 소형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한편, 곡물 뻥튀기장치를 가정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주방 등에 사용하는데 적합하도록 장치의 소형화가 요구되며, 조작이 미숙한 사용자가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효율적인 공간 배치 및 조작의 간편화가 요구된다. 더 나아가 다양한 종류의 곡물에 대해서도 뻥튀기가 가능할 것과, 어린이나 사용자 등의 안전성을 확보할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승강구동원 및 승강조절부의 구조 및 배치를 최적화하여 장치 전체적으로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다양한 종류의 곡물에 대하여 뻥튀기가 가능하도록 가압시간(퍼핑시간)을 조절하고 압력뚜껑의 승강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가압시간 가변에 따른 뻥튀기 소요시간이 늘어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의 곡물 뻥튀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곡물공급부에 수용되고, 곡물이송부를 통하여 제공된 곡물을 뻥튀기하는 곡물 뻥튀기장치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곡물을 수용하는 압력솥과; 상기 압력솥 상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가압력 해제시 상기 압력솥 상에서 상승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작동로드와; 상기 작동로드의 상기 압력솥과 마주하는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압력솥에 소정 압력이 인가되도록 가압하는 압력뚜껑과; 상기 압력솥과 상기 압력뚜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압력솥에 수용된 곡물을 가열하는 가열원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회전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원과; 상기 승강구동원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작동캠을 구비하며, 상기 작동로드의 승강 및 상기 승강구동원을 온/오프 제어하여 상기 압력뚜껑의 압축 상사위치에서의 가압시간을 조절하는 승강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조절부는, 상기 압력뚜껑의 압축 상사위치에서의 상기 작동캠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 작동캠위치 감지부와; 상기 작동캠 감지세서로부터의 감지신호를 기초로 상기 승강구동원을 온/오프 제어하여 상기 압력뚜껑의 압축 상사위치에서 가압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캠은, 상기 승강구동원의 회전축 상에 설치되며, 소정 캠 프로파일을 가지는 작동캠 본체와; 상기 작동캠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작동로드의 상승 위치를 조절하는 트리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트리거는 상기 작동캠 본체의 회전시 상기 작동로드와의 접촉에 의하여 소정 구간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작동로드의 상승을 일정시간동안 규제하며, 상기 작동캠 본체에는 상기 트리거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여 상기 작동로드가 퍼핑(popping)위치에서 상승하도록 하는 트리거 멈춤턱이 형성된다.
상기 작동로드는, 상기 작동캠 본체 또는 상기 트리거와 구름 접촉되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캠은, 상기 승강구동원의 회전축 상에 설치되는 작동캠 본체와; 상기 작동캠 본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작동캠 본체의 회전시 상기 압력뚜껑의 압축, 증기배출 및 퍼핑을 안내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작동로드는, 상기 가압부와 마주하는 단부에 설치되며, 일측에 걸림턱이 형성된 작동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조절부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작동헤드 및 상기 가압부와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증기배출 및 퍼핑을 조절하는 트리거 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리거 레버는, 상기 가압부가 상기 작동헤드를 가압하여 압축 상사위치에 위치시 상기 걸림턱 상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작동캠 본체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가압부가 상기 작동헤드에서 이격시 소정 구간에서 상기 걸림턱에 걸려 상기 작동헤드의 상승을 억제하는 걸림돌기와; 상기 작동캠 본체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소정 구간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가압부에 접촉되어 회동하면서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턱의 걸림을 해제하는 레버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의 상기 압력솥의 일측에 소정 높이로 설치되는 보강프레임과; 상기 보강프레임 상에 설치되며, 상기 작동로드를 지지하는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 상에 마련되며, 상기 승강구동원을 지지하는 제2지지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뻥튀기장치는 압축 상사위치를 제외한 구간에서 작동캠을 곡물의 종류 내지는 상황에 관계없이 일정한 속도로 구동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곡물을 대상으로 퍼핑을 수행하면서도 뻥튀기 소요시간이 늘어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뻥튀기장치는 하우징의 전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로드를 통하여 압력솥에 대한 압력뚜껑의 승강을 조절함으로써, 승강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어서, 곡물 뻥튀기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뻥튀기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안전커버와 뻥튀기 수용기를 배제한 상태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뻥튀기장치의 하우징을 배제한 상태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뻥튀기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계통을 보인 블록도.
도 5a 및 도 5b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뻥튀기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캠의 동작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뻥튀기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조절부 및 작동로드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d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뻥튀기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조절부와 작동로드의 동작 상태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뻥튀기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이송부를 보인 개략적인 분리사시도.
도 9a 내지 도 9e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뻥튀기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이송부의 동작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뻥튀기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물이송부를 보인 개략적인 분리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뻥튀기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계통을 보인 블록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뻥튀기장치의 곡물공급부를 포함한 요부를 보인 개략적인 분리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뻥튀기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공급부의 요부를 보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뻥튀기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물공급부의 요부를 보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뻥튀기장치의 압력조절부를 보인 분리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곡물 뻥튀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뻥튀기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안전커버와 뻥튀기 수용기를 배제한 상태의 도 1의 정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뻥튀기장치의 하우징을 배제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뻥튀기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계통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뻥튀기장치는 본체(100), 이 본체(100)에 설치되는 압력솥(110) 및 압력뚜껑(120), 가열원(130), 압력뚜껑 승강유니트(200), 곡물공급부(300) 및 곡물이송부(4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뻥튀기장치는 전체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과, 뻥튀기 전 과정을 제어하는 제어부(700) 및 뻥튀기 조건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된 유저 인터페이스부(User Interface 부; 이하, 'UI부'라 한다)(6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그 내부에 본체(100), 승강구동원(210), 곡물공급부(300), 곡물이송부(400) 및 제어부(700)를 수용한다. 이 하우징(10)의 정면 외부에는 UI부(600)가 설치된다. 이 하우징(10)은 후술하는 곡물공급부(300)의 호퍼(도 11의 311)에 수용된 곡물(G)의 잔량을 육안으로 관찰하기 위한 호퍼창(11)과, 곡물이송부(300)가 출입하는 출입구(13)를 가진다. 또한 하우징(10)에는 안전커버(810)의 제1결합부(811)가 장착되는 안전커버 결합홈(15)과, 뻥튀기수용기(850)의 제2결합부(851)가 장착되는 복수의 수용기 결합홈(17)을 가진다.
또한 압력뚜껑 승강유니트(200)는 승강구동원(210), 작동로드(220) 및 승강조절부(25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하우징(10) 내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곡물 뻥튀기장치의 전체 골격을 구성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체(100)는 베이스(101)와, 이 베이스(101) 상에 소정 높이로 설치되는 보강프레임(103)과, 보강프레임(103) 상에 설치되는 제1지지프레임(105) 및 제1지지프레임(105) 상에 설치되는 제2지지프레임(107)을 포함한다.
보강프레임(103)은 압력솥(110)과 곡물이송부(400)의 회동축(401) 사이에 배치되어, 회동축(401)과 더불어 베이스(101) 상의 소정 높이에 제1지지프레임(105)이 견고히 설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보강프레임(103)은 곡물이송부(400)의 움직임에 간섭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제1지지프레임(105)에 대한 지지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지지프레임(105)은 보강프레임(103) 및 곡물이송부(400)의 회동축(401)에 의해 지지되는 것으로, 베이스(101)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된다. 이 제1지지프레임(105)은 작동로드(220)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2지지프레임(107)은 제1지지프레임(105) 상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승강구동원(210)을 지지한다.
압력솥(110)은 본체(100)의 베이스(101) 상에 설치되며, 곡물이송부(400)를 통하여 이송된 곡물을 수용하는 곡물수용공간(110a)을 가진다. 이 압력솥(110)은 후술하는 압력조절부(500)에 의하여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
압력뚜껑(120)은 작동로드(220)의 일 단부 즉, 압력솥(110)과 마주하는 단부에 설치되며 압력솥(110)에 소정 압력이 인가되도록 가압한다. 가열원(130)은 압력솥에 수용된 곡물을 소정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으로, 압력솥(110)에 마련되는 제1가열원(131)과 압력뚜껑(120)에 마련되는 제2가열원(1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이 가열원(130)은 곡물의 종류 및 곡물 투하량에 따라 제어부(700)에 의하여 제어된다. 가열원(130)의 가열온도는 UI부(600)의 표시부(610)에 표시되며, UI부(600)의 입력부(620)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통하여 가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뻥튀기장치를 가정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체적으로 소형화가 요구되므로, 압력솥(110) 및 압력뚜껑(120)의 경우도 일반적인 곡물 뻥튀기장치에 비하여 보다 작게 형성할 필요가 있다. 한편, 압력솥(110) 및 압력뚜껑(120)을 작게 형성하더라도 압력솥(110) 내부는 퍼핑 조건에 맞는 온도로 가열되어야 하며, 가열과 냉각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가열원(130), 압력솥(110) 및 압력뚜껑(120)이 열변형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상기한 점들을 감안하여, 가열원(130)으로 세라믹 히터 또는 평판형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열원(130)과 이웃되게 압력솥(110) 및 압력뚜껑(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매립되거나, 가열원(130)에 이웃되게 본체(100)에 배치되어 가열원(130)에 의하여 가열된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도 4의 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700)는 온도감지부(135)에서 감지된 가열원(130)의 온도를 기초로 펄스 폭 변조(PWM) 방식으로 가열원(13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압력뚜껑 승강유니트(200)는 제2지지프레임(107)에 설치되며 회전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원(210)과, 제1지지프레임(105)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로드(220) 및 작동로드(220)의 승강을 조절하는 승강조절부(250)를 포함한다.
승강구동원(210)은 제어부(700)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제어되는 것으로, 승강조절부(250)의 작동캠(도 5a의 260 또는 도 3의 270)을 회전 구동한다.
작동로드(220)는 압력솥(110) 상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본체(100)의 제1지지프레임(105)에 설치된다. 이 작동로드(220)는 승강조절부(250)의 가압력 해제시 압력솥(110) 상에서 상승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작동로드(220)의 외주에 마련되며, 제1지지프레임(105)과 작동로드(220)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2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조절부(250)는 승강구동원(210)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작동캠(도 5a의 260, 도 3의 270)을 포함하며, 작동로드(220)의 승강 및 승강구동원(210)을 온/오프(On/Off) 제어하여 압력뚜껑(120)의 압축 상사위치(압력뚜껑(120)의 가압력이 가장 큰 위치)에서의 가압시간을 조절한다. 이를 위하여, 승강조절부(250)는 압력뚜껑의 압축 상사위치에서의 작동캠(260, 270)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 작동캠위치 감지부(281)와, 승강 제어부(2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 제어부(285)는 모드 변환시, 퍼핑 대상 곡물이 투입량, 종류 등에 관계없이 작동캠(260, 270)이 항상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정속으로 제어함과 아울러 압축 상사위치에서의 작동캠(260, 270)의 멈춤 여부 및 멈춤시간을 제어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긴 퍼핑시간이 요구되는 곡물을 대상으로 퍼핑을 수행함에 있어서 작동캠의 회전 속도를 낮추지 않으므로 모드 변환시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승강 제어부(285)는 작동캠위치 감지부(281)로부터의 감지신호를 기초로 승강구동원(210)을 온/오프 제어한다. 그러므로 압력뚜껑(120)의 압축 상사위치에서 작동캠이 정지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어서, 곡물의 종류 및 조건에 따라 가변되는 퍼핑시간에 맞추어 압축 상사위치 유지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승강 제어부(28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뻥튀기장치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하는 제어부(700)에 속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 각각은 본 발명의 곡물 뻥튀기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캠의 동작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캠(260)은 작동캠 본체(261)와, 이 작동캠 본체(261)에 설치되는 트리거(265)를 포함한다. 작동캠 본체(261)는 작동로드(220)의 상단부가 접촉되는 소정의 캠 프로파일(cam profile)(261a)을 가지는 것으로서, 승강구동원(210)에서 제공된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 운동한다. 즉, 작동캠 본체(261)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압축 상사위치에서 소정 시간 정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승강구동원(210)에 의하여 정속으로 회전 운동한다. 따라서 작동캠 본체(261)의 회전시, 캠 프로파일(261a)을 따라 작동로드(220)가 승강 높이를 달리함으로써, 퍼핑 과정의 모드를 변환할 수 있다. 작동캠 본체(261)의 캠 프로파일(261a)의 위치 변화는 작동캠위치 감지부(281)를 통하여 감지할 수 있으므로, 작동캠 본체(261)의 회전에 따른 작동로드(220)의 승강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작동캠 본체(261)가 승강구동원(210)의 회전축(211)에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나타내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승강구동원(210)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별도의 동력전달부를 통하여 전달 받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트리거(265)는 작동캠 본체(26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작동로드(220)가 압축 상사위치를 벗어나 상승하는 위치를 규제 또는 해제한다. 즉, 트리거(265)는 작동캠 본체(261)의 회전시 일정구간에서 작동로드(220)와 접촉되며, 작동로드(220)와의 사이의 가압력에 의하여 소정 구간에서 작동캠 본체(261)에 대해 상대 회전하면서 작동로드(220)의 상승을 일정시간동안 규제한다. 여기서 작동캠 본체(261)에는 트리거(265)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여 작동로드(220)가 퍼핑 시작위치에서 순간적으로 상승하도록 하는 트리거 멈춤턱(263)이 형성되어 있다. 퍼핑 시작위치는 압력뚜껑(120)이 압력솥(110) 상에서 상승을 시작하는 위치를 가리키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트리거 멈춤턱(263)을 형성함으로써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거 멈춤턱(263)에 대해 트리거(265)가 걸리는 위치에서 트리거(265)와 작동로드(220)의 접촉이 순간적으로 해제된다. 따라서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로드(220)가 작동캠 본체(261)의 일부에 부딪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모드를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작동로드(220)는 상측 단부에 작동캠 본체(261) 또는 트리거(265)와 구름 접촉되는 롤러(225)를 포함하여 마찰을 완화함으로써, 작동캠 본체(261)의 회전운동에 따른 작동로드(220)의 승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작동로드(220)의 승강시 압력뚜껑(120)에 제1지지프레임(105)에 접촉되어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지지프레임(105)의 하부에 댐퍼(2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곡물 뻥튀기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동캠(270)을 포함한 승강조절부(250) 및 작동로드(230)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7a 내지 도 7d 각각은 본 발명의 곡물 뻥튀기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조절부(250)와 작동로드(230)의 동작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동캠(270)은 작동캠 본체(271)와, 이 작동캠 본체(271)에 돌출 형성되는 가압부(273)를 포함한다. 작동캠 본체(271)는 승강구동원(210)의 회전축(211) 상에 연결되어, 압축 상사위치에서 소정 시간 정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정속으로 회전 운동한다. 따라서 작동캠 본체(271)의 회전시, 가압부(273)의 위치 변화에 따라 작동로드(230)가 승강 높이를 달리함으로써, 퍼핑 과정의 모드를 변환할 수 있다. 작동캠 본체(271)의 회전위치는 작동캠위치 감지부(281)를 통하여 감지할 수 있으므로, 작동캠 본체(271)의 회전에 따른 작동로드(230)의 승강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즉, 작동캠위치 감지부(281)는 작동캠 본체(271)의 소정 위치에 마련된 위치마크(271a)를 기준으로 작동캠 본체(271)의 회전위치를 감지한다. 여기서, 작동캠 본체(271)가 승강구동원(210)의 회전축에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나타내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승강구동원(210)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별도의 동력전달부를 통하여 전달 받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가압부(273)는 작동캠 본체(271)에 돌출 형성되어, 작동캠 본체(271)의 회전시 압력뚜껑(120)의 압축, 증기배출 및 퍼핑을 안내한다. 여기서, 가압부(273)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롤러(274)가 결합 설치될 수 있다. 이 가압롤러(274)는 후술하는 작동헤드(235) 및 트리거 레버(275)에 접촉시 구름 접촉됨으로써 마찰을 완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작동로드(230)는 가압부(273)와 마주하는 단부에 설치되며, 일측에 걸림턱(237)이 형성된 작동헤드(23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작동헤드(235)는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부(273)의 회전 위치에 따라서 작동캠 본체(271)의 반경보다 큰 폭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승강조절부에 비하여, 작동캠(270)의 설치 높이를 낮추더라도 작동로드(230)의 승강 높이를 동일 내지 유사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전체 높이를 낮출 수 있다.
승강조절부(250)는 본체(100)의 제2지지프레임(107)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리거 레버(2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트리거 레버(275)는 작동헤드(235) 및 가압부(273)와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증기배출 및 퍼핑을 조절한다. 이를 위하여 트리거 레버(275)는 레버본체(277) 및 걸림돌기(279)를 포함한다.
도 7a는 압력솥(도 1의 110) 상이 개방된 상태 즉, 퍼핑 준비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 경우 작동헤드(235)가 가압부(273) 및 트리거 레버(275)와 간섭되지 않는다.
도 7b는 작동로드(220)가 압축 상사위치에 위치시의 작동캠(270) 및 작동로드(230)의 상태 즉, 압력 인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작동헤드(235)는 가압부(273)에 의하여 가압되면서, 압축 상사 위치를 유지하면서 압력뚜껑(120)이 압력솥(110)을 가압한다. 이 경우 걸림돌기(279)는 걸림턱(237) 상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된다. 도 7b의 상태에서 작동캠위치 감지부(281)는 작동캠(270)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700)에 제공한다. 제어부(700)는 작동캠위치 감지부(281)로부터의 검출 신호 및 UI부(600)를 통한 사용자 설정 상태를 고려하여, 승강구동원(210)을 온/오프 제어함으로써, 압력 인가 상태의 유지 시간을 조절한다.
여기서, 도 7a 상태에서 도 7b 상태로 작동캠(270)이 회전시, 작동헤드(235)가 트리거 레버(275)에 간섭되지 않도록, 작동헤드(235)와 걸림돌기(279) 각각의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작동로드(230)의 하강시 작동헤드(235)의 경사면이 걸림돌기(279)의 경사면에 접촉되면서 트리거 레버(275)가 회동함으로써, 작동로드(230)가 트리거 레버(275)의 간섭없이 자연스럽게 하강할 수 있다.
도 7c는 작동로드(220)가 걸림돌기(279)에 의하여 상승이 억제된 상태 즉, 증기배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b의 상태에서 소정 시간 경과 후 작동캠 본체(271)는 승강구동원(210)에 의하여 정속 회전을 계속한다. 이때 작동헤드(235)의 걸림턱(237)이 소정 구간에서 걸림돌기(279)에 걸리게 됨으로써 작동헤드(235)의 상승을 억제한다. 이 구간에서 압력솥(110)과 압력뚜껑(120) 사이의 가압력이 일부 해제되면서, 퍼핑 과정에서 발생되고 압력솥(110) 내에 갇힌 증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도 7d는 작동로드(220)가 걸림돌기(279)에서 벗어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작동캠 본체(271)의 연속되는 회전에 의하여 상기한 소정 구간을 벗어나는 경우, 가압부(273)가 레버본체(277)에 접촉되어 레버본체(277)를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걸림돌기(279)와 걸림턱(237)의 걸림이 해제되면서, 작동로드(220)가 제1탄성부재(221)의 탄성바이어스에 의하여 도 7a에 도시된 위치로 상승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작동캠(270), 작동로드(220) 및 트리거 레버(275)를 구성하여, 압축, 증기 배출, 개방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전체 구성을 콤팩트화 할 수 있다. 또한 압축 상사 위치를 제외한 전 구간에서 퍼핑 대상 곡물의 종류나 퍼핑 조건 변경시 작동캠(270)의 변속 없이 소정 회전속도로 정속 회전함으로써, 곡물에 따른 속도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뻥튀기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이송부를 보인 개략적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9a 내지 도 9e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뻥튀기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이송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도 8 및 도 9a 내지 도 9e 각각을 참조하면, 곡물이송부(400)는 하우징(도 1의 10)의 내외를 출입하면서 곡물공급부(300)로부터 제공받은 곡물을 압력솥(110)의 곡물수용공간(110a)으로 이송한다. 이를 위하여 곡물이송부(400)는 제1 및 제2이송부(410)(430), 이들을 왕복 회전구동하는 이송구동원(450) 및 상대운동조절부를 포함한다.
제1이송부(410)는 일 단부에 곡물 수용홀(411a)이 형성된 공급암(411)과, 공급암(411) 일측에 마련된 제1동력전달부(413)를 포함한다. 이 제1이송부(410)는 곡물공급부(300)로부터 곡물을 공급받는 제1위치(도 9a의 제1이송부 위치)와 공급받은 곡물을 압력솥(110)에 제공하는 제2위치(도 9c의 제1이송부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한다. 이를 위하여 제1이송부(410)는 제2이송부(430) 상에 마련되며, 본체(101) 내에 일 회전축(401)을 중심으로 왕복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동력전달부(413)의 일부 구간에 이송구동원(450)의 구동기어(451)와의 기어물림이 해제되는 제1아이들구간(413a)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이동을 시작하는 초기 소정 구간(도 9b에서 도 9c로 제2이송부(430)가 이동하는 구간)에서 제1이송부(410)가 정지되고, 제2이송부(430)가 제1이송부(410)에 대해 상대 회전하여 곡물 수용홀(411a)이 개방된다.
제2이송부(430)는 제1이송부(410)와 동축 상에 왕복 회전 가능하게 제1이송부(4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압력솥(110) 상에 곡물 수용홀(411)이 위치된 상태(도 9b의 배치 상태)에서 제1이송부(410)에 앞서 이동되면서 곡물 수용홀(411)의 하부를 개방하고, 그 이외의 위치에서 곡물 수용홀(411)의 하부를 닫는다. 이를 위하여 제2이송부(430)는 곡물 수용홀(411a)의 개폐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암(431)과, 가이드암(431)의 일측에 마련되며 이송구동원(450)에 기어 물림되는 제2동력전달부(43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동력전달부(433)의 일부 구간에 이송구동원(450)과의 기어물림이 해제되는 제2아이들구간(433a)이 형성된다. 따라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이동을 시작하는 일부 구간(도 9d에서 도 9e로 제1이송부(410)가 이동하는 구간)에서 제2이송부(430)가 정지되고 제1이송부(410)가 제2이송부(430)에 대해 상대 회전하여 제1 및 제2이송부(410)(430)의 회전위치를 동기시킬 수 있다.
상대운동 조절부는 제1이송부(410)와 제2이송부(430) 사이의 상대운동을 조절하는 것으로, 제1 및 제2걸림부(415, 417) 및 록킹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록킹부(420)는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시 제1 및 제2이송부(410)(430)가 동시에 움직이도록 록킹한다. 이 록킹부(420)는 제1이송부(410) 상에 설치되며 전원의 인가여부에 따라 작동바(421a)가 이동하여 제1이송부(410)와 제2이송부(430)를 록킹하는 솔레노이드(42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솔레노이드(421)는 제어부(700)에 의하여 온/오프 제어된다. 그러므로 솔레노이드(421)에 인가되는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 작동바(421a)가 자중(自重)에 의하여 하강하면서 제1 및 제2이송부(410)(430)의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록킹홈을 관통하면서 제1이송부(410)와 제2이송부(430)를 록킹한다. 따라서 이송구동원(450)에 의한 동력이 제1 및 제2이송부(410)(430)에 전달됨으로써,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의 이동시 제1이송부(410)와 제2이송부(430)가 함께 이동하도록 한다.
솔레노이드(421)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작동바(421a)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운동하면서 록킹이 해제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구동원(450)에서 전달되는 동력은 제1아이들구간(413a)에서는 제2이송부(430)만 회전하고, 제2아이들구간(433a)에서는 제1이송부(410)만 회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록킹부(420)의 예로서 제1이송부(410) 상에 설치되며 자중에 의해 록킹하는 솔레노이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이송부(420)에 설치되는 구성 및 구동력에 의하여 록킹하는 구성을 갖도록 변형실시할 수 있다.
제1걸림부(415)는 제1이송부(410)의 제1동력전달부(413) 단부에 설치되며, 곡물 수용홀(411a)이 개방된 후 제1아이들구간(413a)에 위치된 제1이송부(410)에 대해 상대 운동하는 제2이송부(420)가 제1이송부(410)에 상호 걸리도록 한다(도 9d 참조). 이를 위하여 제1동력전달부(413)에 비하여 제2동력전달부(433)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걸림부(415)를 구비함으로써, 제2이송부(430)의 회전시 제1걸림부(415)의 걸림에 의하여 제1동력전달부(413)가 다시 이송구동원(450)의 구동기어(451)에 기어물림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걸림부(415)가 제1동력전달부(413)의 단부에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나타내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제1아이들구간(413a)을 벗어나 제1동력전달부(413)가 기어물림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제1이송부(410)의 다른 위치 또는 제2이송부(430)에 설치될 수 있다.
제2걸림부(417)는 제1이송부(410)에 형성되며 제2아이들구간(433a)에 위치된 제2이송부(430)에 대해 상대 운동하는 제1이송부(410)가 제2이송부(430) 상호 걸리도록 한다(도 9e 참조). 따라서 제2아이들구간(433a)을 벗어나 제2동력전달부(433)가 구동기어(451)에 대해 기어물림 가능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걸림부(417)가 제1이송부(410)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나타내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제2아이들구간(433a)을 벗어나 제2동력전달부(433)가 재차 기어물림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제1이송부(410)의 다른 위치 또는 제2이송부(43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대운동 조절부는 이송구동원(450)에 의하여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왕복 회전하는 제1이송부(410)와 제2이송부(430)를 탄성 가압하는 스토퍼(4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스토퍼(470)는 제1위치(도 9a의 위치)에서 제1이송부(410)와 제2이송부(430) 각각에 마련된 안착홈(412)(432)에 대응하는 위치의 베이스(101) 상에 형성된다. 이 탄성가압부재(470)는 볼플런저 구조(미도시)로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토퍼(470)를 더 포함하여 제1위치에서 안착홈(412)(432)를 탄성 가압함으로써, 이송구동원(450)으로부터의 동력전달이 차단되더라도 제1 및 제2이송부(410)(430)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곡물이송부(400)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뻥튀기 장치의 운반, 설치, 이동시 곡물이송부(400)의 움직임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곡물이송부(400)는 제1위치에서 출입구(도 2의 13)를 닫는 커버부재(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460)는 제1이송부(410)의 공급압(411) 단부에 결합 설치되는 것으로, 제1위치에서 출입구(13)를 닫음으로써, 이물질이 출입구(13)를 통하여 하우징(10)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곡물이송부(400)는 제1위치 감지부(461)와, 제2위치 감지부(4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위치 감지부(461)는 제1 및 제2이송부(410)(430)가 제1위치(도 9a 위치)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예컨대 제1위치 감지부(461)는 제1이송부(410)에 형성된 제1감지용 홈(410a)과, 제2이송부(430)에 형성된 제2감지용 홈(430a) 모두가 제1위치 감지부(461)에 대응하는 위치에 놓이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제2위치 감지부(465)는 제1 및 제2이송부(410)(430)가 제2위치(도 9b 위치)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이를 위하여 제2위치 감지부(465)는 제1이송부(410)에 형성된 제3감지용 홈(410b)과, 제2이송부(430)에 형성된 제4감지용 홈(430b) 모두가 제2위치 감지부(465)에 대응하는 위치에 놓이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따라서 제2위치 감지부(465)로부터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제2이송부(430)의 이송을 개시하여 압력솥(110) 상에 곡물이 투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곡물이송부(400)는 후술하는 곡물공급부(300)의 호퍼(311) 내의 곡물이 곡물이송부(400) 하부에 위치되는 곡물회수용기(350)로 회수시, 간섭하지 않도록, 제1 및 제2이송부(410)(430) 각각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곡물회수홈(419)(43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곡물회수홈(419)(439)은 곡물이송부(400)가 제2위치에 위치시, 호퍼(311)의 곡물배출구(311a)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뻥튀기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물이송부를 보인 개략적인 분리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구조의 곡물이송부를 포함하는 곡물 뻥튀기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계통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곡물이송부는 제1이송부(480), 제1이송부(480)를 왕복 회전 구동하는 제1이송구동원(455), 제1이송부(480)의 하부에 마련된 제2이송부(490) 및 제2이송부(490)를 왕복 회전 구동하는 제2이송구동원(457)을 포함한다. 제1이송부(480)는 곡물 공급홀(481)과, 제1이송구동원(455)에 맞물리는 제1동력전달부(483)를 포함한다. 제2이송부(490)는 곡물 공급홀(48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가이드암(491)과, 제2이송구동원(457)에 맞물리는 제2동력전달부(49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곡물이송부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이송부와 비교하여 볼 때, 제1 및 제2이송부(480)(490)를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이송구동원으로서 제1 및 제2이송구동원(455)(457)을 포함하는 점에서 구별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이송구동원(455)(457)을 포함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이송부(480)(490)를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경우는 솔레노이드(도 4의 421)와 같은 상대운동 조절부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더라도 곡물이송부의 이송 동작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곡물이송부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이송부와 마찬가지로, 제1위치 감지부(461)와, 제2위치 감지부(465)를 더 포함하여 제1 및 제2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제1이송부(480)에는 제1 및 제3감지용 홈(480a)(480c)이 형성되고, 제2이송부(490)에 제2 및 제4감지용 홈(490a)(490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곡물이송부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이송부와 같이, 제1 및 제2이송부(480)(490) 각각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곡물회수홈(489)(49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뻥튀기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곡물이송부를 구성하는 경우는 솔레노이드, 제1 및 제2걸림부와 같은 제1이송부와 제2이송부 사이의 상대운동 조절을 구성이 불필요하므로, 장치의 구성을 보다 컴팩트화 할 수 있다. 또한 제1이송부와 제2이송부 사이의 동조 없이 개별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므로, 청도 등의 관리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뻥튀기장치의 요부를 보인 개략적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뻥튀기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공급부의 요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공물공급부(300)는 내부에 곡물(G)을 수용하는 호퍼(311)와, 곡물공급구동부 및 곡물회수용기(350)를 포함한다.
호퍼(311)는 본체의 일측에 곡물이송부(400)에 비하여 상단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된 곡물(G)을 곡물이송부(400)로 투입하도록 하부에 형성되는 곡물배출구(311a)를 가진다. 또한 호퍼(311)는 사용자가 곡물을 투입하도록 상단에 형성되는 곡물투입구(311b)와, 곡물공급구동부의 일부가 설치되도록 형성된 설치홈(311c)을 가진다. 곡물투입구(311b)에는 마개(313)가 결합되어, 외부 이물질이 호퍼(311) 내부로 투입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호퍼(311)의 정면에는 호퍼(311) 내의 곡물 잔량을 표시하는 눈금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우징(도 1의 10)의 정면에 설치되는 호퍼 창(11)을 통하여 상기한 눈금을 확인함으로써 호퍼(311) 내의 곡물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호퍼(311) 내의 곡물량을 확인함에 있어서, 상기한 육안으로 확인 하는 방식 이외에 다른 방식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호퍼(311)에 곡물잔량 감지부(미도시)를 마련하고, 이 곡물잔량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잔량을 UI부(도 1의 600)에 표시하는 방식으로 잔량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곡물공급구동부는 호퍼(311) 내부에 수용된 곡물을 곡물배출구(311a)로 공급하는 것으로, 호퍼(311)의 설치홈(311c)에 설치되며 복수의 공급날개(315a)를 가지는 공급날개차(315)와, 공급날개차(315)를 회전 구동하는 공급구동원(317)을 포함한다. 여기서, 공급날개차(315)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311)의 측면에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눈금이 표시된 호퍼(311)의 정면 전체를 하우징(10)에 밀착 가능한 형상으로 제작함에 있어서 공급날개차(315)의 설치가 큰 영향을 미지치 않는다. 따라서 호퍼(311)의 정면에 표시된 눈금을 사용자가 호퍼 창(11)을 통하여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공급구동원(317)은 제어부(700)에 의하여 회전 제어되는 것으로, 곡물이송부(400)의 곡물 이송동작 및 곡물회수용기(350)로의 곡물 배출 동작에 맞추어 구동된다.
곡물회수용기(350)는 호퍼(311)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일측에 회동 및 착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곡물회수용기(350)는 호퍼(311) 내에 수용된 곡물을 바꾸거나 호퍼(311) 청소 등을 위하여, 호퍼(311) 내부를 비우는데 있어서 사용되는 용기로서, 곡물배출구(311a)에 대향되게 상부에 형성되는 곡물회수구(350a)를 가진다. 따라서 곡물이송부(400)가 제2위치에 위치한 상태 즉, 제1 및 제2곡물회수홈(419)(439)이 곡물배출구(311a) 하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공급날개차(315)를 소정 시간 동안 회전 구동함으로써 호퍼(311) 내의 곡물을 곡물회수용기(350)를 통하여 회수할 수 있다. 곡물회수용기(350)의 일측에는 손잡이부(355)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곡물회수용기(350)를 하우징(10) 내외부 사이에서 회동 및 착탈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뻥튀기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물공급부의 요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물공급부(300)는 내부에 곡물(G)을 수용하는 호퍼(321)와, 곡물공급구동부 및 곡물회수용기(350)를 포함한다.
호퍼(321)는 본체의 일측에 곡물이송부(400)에 비하여 상단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된 곡물(G)을 곡물이송부(400)로 투입하도록 하부에 형성되는 곡물배출구(321a)를 가진다. 곡물공급구동부는 호퍼(321)의 곡물배출구(321a)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오거(auger)(325)와, 오거(325)를 회전 구동하는 공급구동원(32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곡물공급부를 하우징의 일측 내부에 마련함으로써, 곡물 뻥튀기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다 컴팩트화할 수 있으며, 곡물공급부의 곡물 잔량을 확인하는 호퍼 창을 하우징 전면에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곡물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곡물공급부의 곡물공급구동부를 구성함에 있어서 공급날개차 또는 오거를 이용하여 곡물공급량을 제어함으로써 곡물이송부에 투입되는 곡물량을 정밀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호퍼 내부에 수용된 곡물을 비우고자 할 때 곡물이송부의 간섭없이 신속하게 곡물회수용기로 곡물을 회수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4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700)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온도 감지부(135), 작동캠위치 감지부(281), 제1위치 감지부(461), 제2위치 감지부(465) 등의 감지부를 통하여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뻥튀기 전 과정을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부(700)는 작동캠위치 감지부(281)로부터 감지된 작동캠(도 2의 260)의 위치를 기초로 작동캠(260)을 제어하고, 제1위치 감지부(461) 및 제2위치 감지부(465)로부터 감지된 곡물이송부(400)의 위치를 기초로 곡물이송부(4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이송부를 구성한 경우,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700)는 제1위치 감지부(461) 및 제2위치 감지부(465)로부터 감지된 곡물이송부(400)의 위치를 기초로, 이송구동원(450)과 솔레노이드(421)를 제어함으로써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의 제1 및 제2이송부(410)(4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물이송부를 구성한 경우,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700)는 제1위치 감지부(461) 및 제2위치 감지부(465)로부터 감지된 곡물이송부(400)의 위치를 기초로, 제1이송구동원(455)과 제2이송구동원(457) 각각을 통하여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의 제1이송부(480)와 제2이송부(490)의 동작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UI부(600)는 퍼핑온도, 퍼핑수량, 예약 작동시간, 곡물 공급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설정하거나,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이를 위하여, UI부(60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설정된 퍼핑온도, 퍼핑수량 등이 표시되는 표시부(610)와, 소정의 조작키를 통하여 퍼핑온도, 퍼핑수량, 호퍼 내의 곡물 제거 등의 환경설정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부(620)를 포함한다. 여기서, UI부(600)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어, 표시부(610)와 입력부(620)가 동일 디스플레이 상에 다양한 디자인으로 표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부(700)를 구성하여 전 자동화함으로써, 가정주부와 같은 비숙련자도 손쉽게 다양한 곡물을 재료로 하여 뻥튀기 과자를 제조할 수 있다.
안전커버(810)는 하우징(10)의 작동캠(260) 전방에 결합 설치되는 것으로, 동작시 사용자의 손이 작동로드(220) 및 압력뚜껑(12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10)에는 안전커버(810)가 결합되는 복수의 안전커버 결합홈(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안전커버(810)는 상기 안전커버 결합홈(15)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811)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우징(10) 내부에는 제1결합부(811)가 안전커버 결합홈(15) 내에 결합되어 있는지 유무를 감지하는 안전커버 감지부(815)가 설치될 수 있다. 안전커버 감지부(815)는 복수의 안전커버 결합홈(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안전커버 결합홈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2 이상의 안전커버 결합홈(15)에 안전커버 감지부(815)를 설치하는 경우, 복수의 안전커버 감지부(815)를 직렬로 연결하여, 다른 구성요소가 모두 정상 동작하는 것에 더하여 모든 안전커버 감지부(815)가 안전커버(810)의 결합을 감지한 경우에만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안전커버 감지부(815)가 안전커버(810)의 제1결합부(811)의 결합을 감지한 경우에만 곡물 뻥튀기장치가 작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뻥튀기장치는 뻥튀기 수용기(8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뻥튀기 수용기(850)는 하우징(10)의 압력솥(110) 전방 위치에 설치되며, 압력솥(110)에서 퍼핑된 곡물을 수용한다. 이 뻥튀기 수용기(850)는 퍼핑된 곡물을 수용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압력솥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10)에는 뻥튀기 수용기(850)가 결합되는 복수의 수용기 결합홈(17)이 형성되며, 뻥튀기 수용기(850)는 상기 수용기 결합홈(17)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851)를 포함한다. 또한 뻥튀기 수용기(850)를 하우징(10)의 정면에 설치함에 있어서 곡물이송부(400)가 뻥튀기 수용기(850) 내부를 드나들 수 있도록 이송부 이동공간(853)과, 뻥튀기 과정에서 발생된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다수의 증기배출공(8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0) 내부에는 제2결합부(851)가 수용기 결합홈(17) 내에 결합되어 있는지 유무를 감지하는 수용기 감지부(855)가 복수의 수용기 결합홈(1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용기 결합홈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2 이상의 수용기 결합홈(17)에 수용기 감지부(855)를 설치하는 경우는 복수의 수용기 감지부(855)를 직렬 연결하여, 다른 구성요소가 모두 정상 동작하는 것에 더하여 모든 수용기 감지부(855)가 뻥튀기 수용기(850)의 결합을 감지한 경우에만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안전커버(810)와 뻥튀기 수용기(850)를 더 포함함으로써 뻥튀기 장치의 동작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뻥튀기장치의 압력조절부를 보인 분리사시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뻥튀기장치의 압력조절부(500)는 베이스(101)에 대하여 압력솥(11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압력솥(110)과 압력뚜껑(120) 사이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압력조절부(500)는 지지봉(115), 제2탄성부재(117) 및 승강조절판(510)을 포함한다.
지지봉(115)은 베이스(101)의 지지봉 설치홈(101a)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압력솥(110)을 지지한다. 제2탄성부재(117)는 압력솥(110)과 베이스(101) 사이에 설치되어, 압력솥(110)을 압력뚜껑(120)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킨다. 따라서, 압력뚜껑(120)이 하강하여 압력솥(110)에 맞추칠 때 압력솥(110)과 압력뚜껑(120) 사이의 충격량을 감소시킨다.
승강조절판(510)은 회전 중심에 형성된 나사결합공(510a)을 가지며, 나사결합공(510a)을 통하여 베이스(101)를 사이에 두고 지지봉(115)에 나사결합 된다. 따라서 승강조절판(510)의 조임과 풀림에 의하여 지지봉(115)의 승강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승강조절판(510)의 회전 운동이 지지봉(115)의 승강운동으로 변환되도록 하기 위한 방편으로서, 지지봉 설치홈(101a)과 지지봉(115) 사이에는 지지봉(115)의 회전을 억제하는 형상의 설치 구조(예컨대, 다각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압력조절부(500)는 승강조절판(510)의 일측에 마련되어, 승강조절판(510)을 회동시키는 조절노브(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절노브(520)를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는 베이스(101) 하방에 설치되는 승강조절판(510)을 손쉽게 회전 조작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압력조절부(500)는 베이스(101)와 승강조절판(510)의 상호 마주하는 어느 일면의 적어도 일 위치에 마련되며, 볼(551)과 탄성체(555)로 이루어진 볼 플런져(5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4는 볼 플런져(550)가 베이스(101)의 저면 2군데에 마련된 것을 예로 들어 나타낸 것으로서, 볼 플런져(550)에 대응되는 승강조절판(510)의 상대위치에는 복수의 안착홈(510b)이 형성되어 볼 플런져(550)와 복수의 안착홈(510b) 사이의 결합 위치에 따라 복수의 단계로 구분하여 압력솥(110)의 승강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볼 플런져(550)가 베이스(101)의 저면에 마련되고 안착홈이 승강조절판(510)에 형성된 점을 예로 들어 나타내었으나, 그 역의 배치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부(500)는 베이스(101)에 대한 조절노브(520)의 상대 회전에 따라 압력솥(110)의 승강 높이를 파악할 수 있도록, 베이스(101)에 압력솥(110)의 승강 높이를 나타내는 눈금(540)을 표시함과 아울러 승강조절판(510)에 상기 눈금(540)을 지시하는 인디케이터(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눈금(540)이 승강조절판(510)에 형성되고, 인디케이터(530)가 베이스(101)에 설치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수동에 의하여 압력솥과 압력뚜껑 사이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뻥튀기 과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하게 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투입되는 곡물량, 곡물의 종류, 곡물의 건조 정도 등을 고려하여 압력 조건을 달리 설정할 수 있으므로, 최적화된 압력 조건을 갖도록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 하우징 11: 호퍼창
100: 본체 101: 베이스
110: 압력솥 120: 압력뚜껑
130: 가열원 200: 압력뚜껑 승강유니트
210: 승강구동원 220: 작동로드
250: 승강조절부 260, 270: 작동캠
281: 작동캠위치 감지부 285: 승강제어부
300: 곡물공급부 311, 321: 호퍼
350: 곡물회수용기 400: 곡물이송부
410: 제1이송부 420: 록킹부
430: 제2이송부 450: 이송구동원
460: 커버부재 461: 제1위치 감지부
465: 제2위치 감지부 500: 압력조절부
510: 승강조절판 520: 조절노브
530: 인디케이터 550: 볼 플런져
600: UI부 610: 표시부
620: 입력부 700: 제어부
810: 안전커버 815: 안전커버 감지부
850: 뻥튀기수용기 855: 수용기 감지부

Claims (8)

  1. 곡물공급부에 수용되고, 곡물이송부를 통하여 제공된 곡물을 뻥튀기하는 곡물 뻥튀기장치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곡물을 수용하는 압력솥과;
    상기 압력솥 상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가압력 해제시 상기 압력솥 상에서 상승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작동로드와;
    상기 작동로드의 상기 압력솥과 마주하는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압력솥에 소정 압력이 인가되도록 가압하는 압력뚜껑과;
    상기 압력솥과 상기 압력뚜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압력솥에 수용된 곡물을 가열하는 가열원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회전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원과;
    상기 승강구동원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작동캠을 구비하며, 상기 작동로드의 승강 및 상기 승강구동원을 온/오프 제어하여 상기 압력뚜껑의 압축 상사위치에서의 가압시간을 조절하는 승강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뻥튀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조절부는,
    상기 압력뚜껑의 압축 상사위치에서의 상기 작동캠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 작동캠위치 감지부와;
    상기 작동캠 감지세서로부터의 감지신호를 기초로 상기 승강구동원을 온/오프 제어하여 상기 압력뚜껑의 압축 상사위치에서 가압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뻥튀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캠은,
    상기 승강구동원의 회전축 상에 설치되며, 소정 캠 프로파일을 가지는 작동캠 본체와;
    상기 작동캠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작동로드의 상승 위치를 조절하는 트리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뻥튀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캠은,
    상기 승강구동원의 회전축 상에 설치되는 작동캠 본체와;
    상기 작동캠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캠 본체의 회전시 상기 압력뚜껑의 압축, 증기배출 및 퍼핑을 안내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뻥튀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로드는,
    상기 가압부와 마주하는 단부에 설치되며, 일측에 걸림턱이 형성된 작동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뻥튀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조절부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작동헤드 및 상기 가압부와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증기배출 및 퍼핑을 조절하는 트리거 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뻥튀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레버는,
    상기 가압부가 상기 작동헤드를 가압하여 압축 상사위치에 위치시 상기 걸림턱 상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작동캠 본체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가압부가 상기 작동헤드에서 이격시 소정 구간에서 상기 걸림턱에 걸려 상기 작동헤드의 상승을 억제하는 걸림돌기와;
    상기 작동캠 본체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소정 구간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가압부에 접촉되어 회동하면서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턱의 걸림을 해제하는 레버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뻥튀기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의 상기 압력솥의 일측에 소정 높이로 설치되는 보강프레임과;
    상기 보강프레임 상에 설치되며, 상기 작동로드를 지지하는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 상에 마련되며, 상기 승강구동원을 지지하는 제2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뻥튀기장치.
KR1020100001245A 2010-01-07 2010-01-07 곡물 뻥튀기장치 KR101254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245A KR101254197B1 (ko) 2010-01-07 2010-01-07 곡물 뻥튀기장치
PCT/KR2010/009473 WO2011083931A2 (ko) 2010-01-07 2010-12-29 곡물 뻥튀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245A KR101254197B1 (ko) 2010-01-07 2010-01-07 곡물 뻥튀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831A true KR20110080831A (ko) 2011-07-13
KR101254197B1 KR101254197B1 (ko) 2013-04-18

Family

ID=44305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1245A KR101254197B1 (ko) 2010-01-07 2010-01-07 곡물 뻥튀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54197B1 (ko)
WO (1) WO2011083931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983Y1 (ko) * 2021-11-24 2022-10-06 박상훈 팝콘 제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5313B2 (ja) * 1996-05-27 1999-04-19 有限会社ウイポップ 膨化成形品製造装置
KR0134900Y1 (ko) * 1996-12-03 1998-12-15 서종열 뻥튀기과자 제조장치
KR200163171Y1 (ko) 1997-11-04 1999-12-15 배금주 팽화(膨化)과자 자동 제조장치
KR200276947Y1 (ko) 2002-03-13 2002-05-27 진종철 뻥튀기 과자 제조장치
KR100571883B1 (ko) * 2004-03-09 2006-04-17 주식회사델리스 뻥튀기 제조장치
KR100736683B1 (ko) * 2005-06-17 2007-07-10 김강희 뻥튀기 제조장치
KR200441626Y1 (ko) 2007-05-08 2008-08-28 신형구 뻥튀기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983Y1 (ko) * 2021-11-24 2022-10-06 박상훈 팝콘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83931A2 (ko) 2011-07-14
WO2011083931A3 (ko) 2011-12-01
KR101254197B1 (ko) 201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17631B1 (en) Cooking device and procedure
US9549637B2 (en) Roasting and glazing apparatus and method of cleaning thereof
US6112645A (en) Automatic cooking machine
JP5102249B2 (ja) 圧力調理器および圧力調理器の保温時制御方法
JP5028050B2 (ja) 圧力式炊飯器及び圧力式炊飯方法
EP1532902B1 (en) Automatic food cooking apparatus
CN104302215A (zh) 改进的烘烤机设备和方法
JP2002501394A (ja) コンピュータ制御の2段階上側プラテン位置決め機構を備える二面グリル
KR101030073B1 (ko) 뻥튀기 제조장치
KR101286504B1 (ko) 튀김기
KR20200000280A (ko) 다용도 요리기
KR101227695B1 (ko) 곡물 뻥튀기장치
KR101254197B1 (ko) 곡물 뻥튀기장치
US11896157B2 (en) Roasting and glazing apparatus
KR101227696B1 (ko) 곡물 뻥튀기장치
KR101227697B1 (ko) 곡물 뻥튀기장치
CN107198443A (zh) 煮饭器
KR20100098198A (ko) 뻥튀기 제조장치
JP5099384B2 (ja) 連続食品加熱装置
CA3025166C (en) Roasting and glazing apparatus, roasting and glazing method, and method for cleaning a roasting and glazing apparatus
KR20210109920A (ko) 전기 조리기
EP1734848B1 (en) Machine for preparing ready-to-eat meals based on pasta starting from precooked and deep-freezed pasta
KR880000704Y1 (ko) 컵 라면류의 자동 판매기
KR20120041635A (ko) 곡물 퍼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