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0483A - 3차원 공간에서 틀린 그림 판별장치 및 방법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3차원 공간에서 틀린 그림 판별장치 및 방법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0483A
KR20110080483A KR1020100000735A KR20100000735A KR20110080483A KR 20110080483 A KR20110080483 A KR 20110080483A KR 1020100000735 A KR1020100000735 A KR 1020100000735A KR 20100000735 A KR20100000735 A KR 20100000735A KR 20110080483 A KR20110080483 A KR 20110080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wrong
picture
wrong picture
dimens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0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6733B1 (ko
Inventor
김선태
Original Assignee
김선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태 filed Critical 김선태
Priority to KR1020100000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6733B1/ko
Publication of KR20110080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0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6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6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2Games, e.g. card g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공간에서 틀린 그림 판별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마우스, 키보드, 터치패드 등의 입력을 담당하는 부분인 입력부와, 모니터, 스피커 등의 화면 및 사운드 출력을 담당하는 부분인 출력부와, 틀린 그림 영역을 추출하여 데이터로 기록매체에 기록 및 저장하는 부분인 추출부와, 3차원 물체 모델링 데이터, 그래픽 이미지, 사운드 등의 파일을 기록하고 있는 부분인 메모리부와, 사용자가 모니터상에서 선택한 2차원 좌표가 3차원 공간상의 틀린 그림을 선택했는지 판별하는 부분인 판별부와, 장치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추출부에서 추출한 틀린 그림 영역 데이터가 기록된 기록매체를 메모리부에 적재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판별부는 틀린 그림 찾기 영상이 표시된 모니터 혹은 화면 상에서 해당 틀린 그림 부분을 클릭하면, 상기 틀린 그림 찾기 영상에서 클릭한 3차원 물체의 좌표(p)에 대하여 그 좌표 p에 해당하는 텍스처 매핑 좌표(q)를 추출하는 좌표변환기와, 틀린 그림영역을 추출하는 틀린 그림영역 추출기와, 모니터상에서 선택한 3차원 물체의 좌표(p)에 해당하는 텍스처 매핑좌표(q)가 틀린 그림영역 추출기에서 추출한 틀린 그림 영역에 포함되는지 체크하는 영역체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3차원 공간에서 틀린 그림 판별장치 및 방법 및 기록매체{Apparatus and Method for Finding Wrong Image In Three Dimensional Space and a recording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3차원 공간에서 틀린 그림 판별장치, 방법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차원 공간상에서 물체의 틀린 그림을 찾기 때문에 공간지각력을 키워주며 교육용 게임을 비롯한 제품을 홍보하는 광고 프로그램에도 적용가능한 3차원 공간에서 틀린 그림 판별장치 및 방법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2차원 공간상에서 틀린 그림 찾기 프로그램은 출시되어 있으며, 도 1은 종래의 2차원 공간상의 틀린 그림찾기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2차원 공간상에서 전체 화상 이미지와 좌우로 스크롤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2차원 틀린 그림 찾기 프로그램은 2차원 공간상에서만 틀린 그림 찾기가 가능하기 때문에, 3차원 공간상에서 3차원 물체를 회전, 확대, 축소, 이동하고, 보는 시점을 회전, 확대, 축소, 이동하는 등의 동작을 하면서 물체를 여러 각도와 크기, 위치에서 자세히 보면서 제1화면과 제2화면에 출력된 물체의 틀린 그림을 다양하게 찾을 수 없다는 문제점과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종래의 2차원 공간상에서 틀린 그림을 찾는 방식과는 달리 3차원 공간상에서 3차원 물체를 회전, 확대, 축소, 이동하고, 보는 시점을 회전, 확대, 축소, 이동하는 등의 동작을 하면서 물체를 여러 각도와 크기, 위치에서 자세히 보면서 제1화면과 제2화면에 출력된 물체의 틀린 그림을 다양하게 찾을 수 있고, 또한 3차원 공간상에서 물체의 틀린 그림을 찾기 때문에 공간지각력을 키워주며 교육용 게임을 비롯한 제품을 홍보하는 광고 프로그램에도 적용가능한 3차원 공간에서 틀린 그림 판별장치 및 방법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3차원 공간에서 틀린 그림 판별장치는
마우스, 키보드, 터치패드 등의 입력을 담당하는 부분인 입력부와,
모니터, 스피커 등의 화면 및 사운드 출력을 담당하는 부분인 출력부와,
틀린 그림 영역을 추출하여 데이터로 기록매체에 기록 및 저장하는 부분인 추출부와,
3차원 물체 모델링 데이터, 그래픽 이미지, 사운드 등의 파일을 기록하고 있는 부분인 메모리부와,
사용자가 모니터상에서 선택한 2차원 좌표가 3차원 공간상의 틀린 그림을 선택했는지 판별하는 부분인 판별부와,
장치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추출부에서 추출한 틀린 그림 영역 데이터가 기록된 기록매체를 메모리부에 적재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판별부는 틀린 그림 찾기 영상이 표시된 모니터 혹은 화면 상에서 해당 틀린 그림 부분을 클릭하면, 상기 틀린 그림 찾기 영상에서 클릭한 3차원 물체의 좌표(p)에 대하여 그 좌표 p에 해당하는 텍스처 매핑 좌표(q)를 추출하는 좌표변환기와,
틀린 그림영역을 추출하는 틀린 그림영역 추출기와,
모니터상에서 선택한 3차원 물체의 좌표(p)에 해당하는 텍스처 매핑좌표(q)가 틀린 그림영역 추출기에서 추출한 틀린 그림 영역에 포함되는지 체크하는 영역체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틀린 그림 찾기 프로그램(게임)에 필요한 3차원 물체 및 그래픽 이미지, 사운드 데이터를 비롯한 제1화면에 출력될 3차원 물체와 이를 부분적으로 변형시킨 제2화면에 출력될 3차원 물체 관련 데이터 제작을 비롯하여 틀린 그림 찾기 프로그램(게임) 플레이에 필요한 제한 시간 및 3차원 공간상에서 3차원 물체의 위치, 게임 스토리 내용, 사운드 재생 등의 설정이 기록된 데이터를 제작하여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과정과;
3차원 물체의 틀린 그림 영역을 추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여 제1화면에 출력될 3차원 물체의 맵핑된 원본 텍스처(이미지)와 제1화면의 물체를 부분적으로 변형시킨 제2화면의 물체에 맵핑된 텍스처(이미지)를 설정하고 틀린 그림 영역을 추출하여 기록매체에 기록하거나 이전에 만들어져 이미 저장된 틀린 그림 데이터를 불러와서 수정하여 다시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1항의 장치를 이용한 3차원 공간에서 틀린 그림 데이터 제작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가 3차원 틀린 그림 찾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면 틀린 그림 영역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비롯한 3차원 물체의 모델링 데이터, 그래픽 이미지, 사운드, 제한 시간, 3차원 물체의 위치 정보 등의 데이터를 메모리부에 적재시키면서 출력부에서는 로딩화면을 비롯한 사운드가 출력되는 과정과;
메인화면이 출력되면 사용자는 게임 시작버튼을 선택하여 게임을 시작할 수도 있고 옵션 버튼을 선택하여 사운드 음량 조절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으며 종료버튼을 선택하여 프로그램을 종료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게임시작 버튼을 선택한 뒤 이름 입력 및 캐릭터 선택을 하면 게임스토리가 출력된 뒤 3차원 게임 공간이 출력되는 과정과;
게임 진행 동안 제어부에서 메모리부에 기록된 제작자가 설정한 제한된 시간 정보를 바탕으로 시간이 다 소요되었는지 체크하고 다 소요되었다면 결과를 기록하고 랭킹을 출력하고 그렇지 않다면 계속 게임을 진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1항의 장치를 이용한 3차원 공간에서 틀린 그림 판별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3차원 공간에서 틀린 그림 판별방법은
사용자가 3차원 공간상에서 이동하다가 틀린 그림 물체에 근접했을 때 해당 물체를 선택하라 표시가 나타난 것을 보고 해당 물체를 마우스 및 터치패드 등으로 선택하는 과정과;
제어부에서는 판별부에게 사용자가 선택한 모니터상의 2차원 좌표가 3차원 공간상의 물체를 선택했는지 체크하게 하고 선택이 안되었다면 다시 3차원 공간에서 틀린 물체를 찾게 하고, 선택이 되었다면 출력된 하나의 화면이 2개의 좌우 혹은 상하 화면으로 분할되면서 제1화면에는 선택한 물체가 출력되고 제2화면에는 제1화면에 출력된 물체의 그림이 부분적으로 변형된 물체 혹은 모양이 부분적으로 변형된 물체가 출력되는 과정과;
사용자가 3차원 공간상에서 3차원 물체를 회전, 확대, 축소, 이동하고, 보는 시점을 회전, 확대, 축소, 이동하는 등의 동작을 하면서 물체를 여러 각도와 크기, 위치에서 자세히 보면서 제1화면과 제2화면에 출력된 물체의 틀린 그림을 다양하게 찾아 선택하는 과정과;
제어부에서는 판별부에게 사용자가 선택한 모니터상의 2차원 좌표가 3차원 공간상의 물체를 선택했는지 체크하게 하고 선택이 안되었다면 다시 제1화면과 제2화면에 출력된 두 물체간의 틀린 그림을 찾아 선택하게 하며 선택이 되었다면 선택한 물체의 3차원 좌표 추출하고 이에 해당하는 맵핑된 2차원 텍스처(이미지) 좌표 추출하고 판별부에서는 추출된 2차원 텍스처(이미지) 좌표가 메모리부에 저장된 추출부에서 추출한 틀린 그림 영역 데이터에 포함되는지 판별하고 결과를 제어부에 통보하며 제어부에서는 통보받은 판별 결과를 출력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과정과;
제어부에서는 메모리부에 기록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다수의 물체에 대한 틀린 그림을 모두 찾았는지 체크하고 다 찾았으면 결과를 기록한 뒤 랭킹을 출력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3차원 공간상에서 물체에 대한 틀린 그림을 제한된 시간이 다 소요되기 전까지 계속 찾는 과정과;
결과가 기록되고 랭킹화면이 출력되며 사용자는 메인화면에서 게임시작 버튼을 선택하여 게임을 다시 할 수도 있고 옵션 버튼을 선택하여 사운드 음량 조절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으며 종료버튼을 선택하여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추출부에서 틀린 그림 영역을 추출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과정과;
제어부에 의해서 메모리부에 저장된 틀린 그림 영역 및 그래픽 데이터 및 사운드 데이터, 제한 시간 데이터 등을 로딩하면서 로딩화면을 출력하는 과정과;
메인화면이 출력되면 게임 시작 버튼을 선택 후 이름 입력 및 캐릭터를 선택하면 게임 스토리가 출력되고 3차원 게임 플레이 공간이 출력되는 과정과;
3차원 공간을 이동하면서 틀린 물체가 표시되면 물체 선택하는 과정과;
틀린 물체가 선택이 되었다면 하나의 화면이 2개의 좌우 혹은 상하 화면으로 분할되면서 제1화면에는 선택한 3차원 물체가 출력되고 제2화면에는 제1화면에 출력된 물체와 그림이 부분적으로 변형된 물체 혹은 모양이 부분적으로 변형된 3차원 물체가 출력되는 과정과;
사용자가 모니터상에서 3차원 물체를 회전, 확대, 축소, 이동하고, 보는 시점을 회전, 확대, 축소, 이동하는 등의 동작을 하면서 물체를 여러 각도와 크기, 위치에서 자세히 보면서 제1화면과 제2화면에 출력된 물체의 틀린 그림을 다양하게 찾아 선택하는 과정과;
사용자가 선택한 모니터상의 2차원 좌표가 3차원 공간상의 물체를 선택했는지 체크하는 과정과;
선택된 물체의 3차원 좌표에 해당하는 물체의 맵핑된 2차원 텍스처(이미지) 좌표 추출하는 과정과;
추출된 2차원 텍스처(이미지) 좌표가 메모리부에 기록되어 있는 추출부에서 추출한 틀린 그림영역 데이터에 포함되는지 판별하는 과정과;
게임 결과를 기록하고 게임 랭킹을 출력하고 종료 화면을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의 장치를 이용한 3차원 공간에서 틀린 그림 판별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공간에서 틀린 그림 판별방법에 의하면, 종래의 2차원 공간상에서 틀린 그림을 찾는 방식과는 달리 3차원 공간상에서 3차원 물체를 회전, 확대, 축소, 이동하고, 보는 시점을 회전, 확대, 축소, 이동하는 등의 동작을 하면서 물체를 여러 각도와 크기, 위치에서 자세히 보면서 제1화면과 제2화면에 출력된 물체의 틀린 그림을 다양하게 찾을 수 있고, 또한 3차원 공간상에서 물체의 틀린 그림을 찾기 때문에 공간지각력을 키워주며 교육용 게임을 비롯한 제품을 홍보하는 광고 프로그램에도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지구본을 소재로 하면 사용자는 3차원 공간상에서 지구본을 회전하고, 확대, 축소하는 등의 동작을 하면서 여러 각도에서 틀린 그림을 하고 있는 나라가 어디 있는지 찾을 수 있으며 동시에 교육적인 효과도 발생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자동차를 소재로 하면 3차원 공간상에서 자동차를 회전하고, 확대, 축소하는 등의 동작을 하면서 여러 각도에서 틀린 그림을 찾기 때문에 간접적으로 제품을 홍보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현재 3차원 그래픽 기술은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고 PC 뿐만 아니라 TV, 핸드폰에까지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이런 시점에서 종래 기술은 2차원 공간상에서만 틀린 그림 찾기가 가능했지만 본 발명은 3차원 공간에서도 가능하도록 극복하였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2차원 공간상의 틀린 그림찾기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2차원 공간상에서 전체 화상 이미지와 좌우로 스크롤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블록도 및 판별부의 상세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의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틀린 그림 영역 추출기 프로그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3차원 공간상에서 이동하다가 틀린 그림 물체에 근접했을 때 해당 물체를 선택하라는 표시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3차원 공간상에서 이동하다가 틀린 그림 물체에 근접했을 때 해당 물체를 선택하라는 표시화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3차원 공간상에서 틀린 그림을 찾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3차원 공간상에서 3차원 물체를 회전, 확대, 축소, 이동하고, 보는 시점을 회전, 확대, 축소, 이동하는 등의 동작을 하면서 물체를 여러 각도와 크기, 위치에서 자세히 보면서 제1화면과 제2화면에 출력된 물체의 틀린 그림을 다양하게 찾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3차원 공간상에서 3차원 물체를 회전, 확대, 축소, 이동하고, 보는 시점을 회전, 확대, 축소, 이동하는 등의 동작을 하면서 물체를 여러 각도와 크기, 위치에서 자세히 보면서 제1화면과 제2화면에 출력된 물체의 틀린 그림을 다양하게 찾는 화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틀린 그림을 찾았을 때 판별 결과를 표시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틀린 그림 찾기의 일련의 과정의 예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공간에서 틀린 그림 판별방법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블록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의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의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틀린 그림 영역 추출기 프로그램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3차원 공간상에서 이동하다가 틀린 그림 물체에 근접했을 때 해당 물체를 선택하라는 표시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3차원 공간상에서 이동하다가 틀린 그림 물체에 근접했을 때 해당 물체를 선택하라는 표시화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a 및 도 8b는 3차원 공간상에서 틀린 그림을 찾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a 및 도 9b는 3차원 공간상에서 3차원 물체를 회전, 확대, 축소, 이동하고, 보는 시점을 회전, 확대, 축소, 이동하는 등의 동작을 하면서 물체를 여러 각도와 크기, 위치에서 자세히 보면서 제1화면과 제2화면에 출력된 물체의 틀린 그림을 다양하게 찾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a 및 10b는 3차원 공간상에서 3차원 물체를 회전, 확대, 축소, 이동하고, 보는 시점을 회전, 확대, 축소, 이동하는 등의 동작을 하면서 물체를 여러 각도와 크기, 위치에서 자세히 보면서 제1화면과 제2화면에 출력된 물체의 틀린 그림을 다양하게 찾는 화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a 및 도 11b는 틀린 그림을 찾았을 때 판별 결과를 표시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공간에서 틀린 그림 판별방법은 입력과 출력을 담당하는 부분인 입출력부(100)와, 마우스, 키보드, 터치패드 등의 입력을 담당하는 부분인 입력부(110)와, 모니터, 스피커 등의 화면 및 사운드 출력을 담당하는 부분인 출력부(120)와, 틀린 그림 영역을 추출하여 데이터로 기록매체에 기록 및 저장하는 부분인 추출부(130)와, 메모리를 담당하는 부분, 특히, 3차원 물체 모델링 데이터, 그래픽 이미지, 사운드 등의 파일을 기록하고 있는 부분인 메모리부(140)와, 사용자가 모니터상에서 선택한 2차원 좌표가 3차원 공간상의 틀린 그림을 선택했는지 판별하는 부분인 판별부(150)와,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부분으로서, 특히, 상기 추출부(130)에서 추출한 틀린 그림 영역 데이터가 기록된 기록매체를 메모리부(140)에 적재시키는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판별부(150)는 틀린 그림 찾기 영상이 표시된 모니터 혹은 화면 상에서 해당 틀린 그림 부분을 클릭하면, 상기 틀린 그림 찾기 영상에서 클릭한 3차원 물체의 좌표(p)에 대하여 그 좌표 p에 해당하는 텍스처 매핑 좌표(q)를 추출하는 좌표변환기(152)와,
틀린 그림영역을 추출하는 틀린 그림영역 추출기(154)와,
모니터상에서 선택한 3차원 물체의 좌표(p)에 해당하는 텍스처 매핑좌표(q)가 틀린 그림영역 추출기(154)에서 추출한 틀린 그림 영역에 포함되는지 체크하는 영역체크부(1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입출력부(100)는 설정 값을 입력을 비롯한 3차원 공간상에서 물체 혹은 보는 시점을 회전, 확대, 축소, 이동 등을 하기 위한 마우스 및 키보드 등으로 이루어진 입력부(110)와 화면 및 사운드가 출력되는 출력부(120)로 구성된다.
상기 추출부(130)는 3차원 물체의 틀린 그림 영역을 추출하여 기록매체에 저장한다.
상기 메모리부(140)에는 3차원 물체의 틀린 그림 영역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비롯하여 3차원 물체의 모델링 데이터, 그래픽 이미지, 사운드 등의 각종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상기 판별부(150)는 사용자가 모니터에서 선택한 2차원 좌표가 3차원 공간상에서 물체의 틀린 그림을 선택했는지 판별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입출력부(100)와 추출부(130), 메모리부(140), 판별부(150)를 전체적으로 제어하여 사용자가 3차원 공간상에서 틀린 그림을 찾는 동작을 수행할 때 그 과정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60)에서는 추출부(130)에서 추출한 틀린 그림 영역 데이터가 기록된 기록매체를 메모리부(140)에 적재시킨다.
또한, 게임에서 출력되는 3차원 물체 및 틀린 그림을 비롯한 게임 스테이지는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작자는 게임에 필요한 3차원 물체를 비롯한 그래픽 이미지, 사운드 데이터를 제작한다. 3차원 공간에서 틀린 그림영역 데이터 제작방법의 일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특히, 제1화면에 출력될 물체와 이를 부분적으로 변형시킨 제2화면에 출력될 물체를 제작한다. 또한, 게임 플레이에 필요한 제한 시간 및 3차원 공간상에서 3차원 물체의 위치, 게임 스토리 내용, 사운드 재생 등의 설정이 기록된 데이터를 제작한다(스텝200).
제작자는 3차원 물체의 틀린 그림 영역을 추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여 추출부(130)에서 마우스, 키보드 등의 입력부(110)를 이용하여 제1화면에 출력될 3차원 물체의 맵핑된 원본 텍스처(이미지)와 제1화면의 물체를 부분적으로 변형시킨 제2화면의 물체에 맵핑된 텍스처(이미지)를 설정하고 틀린 그림 영역을 추출하여 기록매체에 기록하거나 이전에 만든 틀린 그림영역 데이터를 불러와서 수정하여 다시 기록매체에 기록할 수도 있다(스텝201, 스텝202, 스텝203, 스텝204, 스텝205, 스텝206, 스텝207).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면, 3차원 공간에서 틀린 그림 판별 방법의 일예를 살펴보면, 사용자는 3차원 틀린 그림 찾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컴퓨터에서 실행한다(스텝208). 제어부(160)에서는 추출부(130)에서 추출한 틀린 그림 영역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비롯한 3차원 물체의 모델링 데이터, 그래픽 이미지, 사운드, 제한 시간, 3차원 물체의 위치 정보 등의 데이터를 메모리부(140)에 적재시키면서 상기 출력부(120)에서는 로딩화면을 비롯한 사운드가 출력된다.(스텝209).
메인화면이 출력되면 사용자는 게임 시작버튼을 선택하여 게임을 시작할 수도 있고, 옵션 버튼을 선택하여 사운드 음량 조절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으며, 종료버튼을 선택하여 프로그램을 종료할 수도 있다(스텝210).
사용자가 입력부(110)를 이용하여 게임시작 버튼을 선택한 뒤 이름 입력 및 캐릭터를 선택 한다(스텝211, 스텝212).
그 이후에 출력부(120)에서는 게임스토리를 출력한 뒤 3차원 게임 공간을 출력을 출력한다(스텝213, 스텝214).
이때, 게임 진행 동안 제어부(160)에서는 메모리부(140)에 기록된 제작자가 설정한 제한된 시간 정보를 바탕으로 시간이 다 소요되었는지 체크하고 다 소요되었다면 결과를 기록하고 랭킹을 출력한다. 그렇지 않고 시간이 다 소요되지 않았다면 사용자는 계속 게임을 진행한다(스텝215).
사용자는 이 3차원 공간에서 이동하다가 틀린 그림 물체에 근접했을 때 도 6 및 도 7에서처럼 해당 물체를 선택하라 표시가 나타난 것을 보고 해당 물체를 입력부(110)인 마우스 및 터치패드 등으로 선택한다(스텝216).
상기 제어부(160)에서는 판별부(150)에게 사용자가 선택한 모니터상의 2차원 좌표가 3차원 공간상의 물체를 선택했는지 체크하게 하고 선택이 안되었다면 다시 3차원 공간에서 틀린 물체를 찾게 하고, 선택이 되었다면 출력된 하나의 화면이 2개의 좌우 혹은 상하 화면으로 분할되면서 제1화면에는 선택한 물체가 출력되고 제2화면에는 제1화면에 출력된 물체의 그림이 부분적으로 변형된 물체 혹은 모양이 부분적으로 변형된 물체가 출력된다(스텝217, 스텝218).
사용자는 3차원 공간상에서 3차원 물체를 회전, 확대, 축소, 이동하고, 보는 시점을 회전, 확대, 축소, 이동하는 등의 동작을 하면서 물체를 여러 각도와 크기, 위치에서 자세히 보면서 제1화면과 제2화면에 출력된 물체의 틀린 그림을 다양하게 찾아 선택한다(스텝219).
상기 제어부(160)에서는 상기 판별부(150)에게 사용자가 선택한 모니터상의 2차원 좌표가 3차원 공간상의 물체를 선택했는지 체크하게 하고 선택이 안되었다면 다시 제1화면과 제2화면에 출력된 두 물체간의 틀린 그림을 찾아 선택하게 한다(스텝220).
선택이 되었다면 선택한 물체의 3차원 좌표 추출하고 이에 해당하는 맵핑된 2차원 텍스처(이미지) 좌표를 추출한다(스텝221, 스텝222).
그리고 상기 판별부(150)에서는 추출된 2차원 텍스처(이미지) 좌표가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추출부(130)에서 추출한 틀린 그림 영역 데이터에 포함되는지 판별하고 결과를 제어부에 통보한다. 제어부에서는 통보받은 판별 결과를 상기 출력부(120)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통보한다(스텝223, 스텝224).
상기 제어부(160)에서는 메모리부(140)에 기록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다수의 물체에 대한 틀린 그림을 모두 찾았는지 체크하고 다 찾았으면 결과를 기록한 뒤 랭킹을 출력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3차원 공간상에서 물체에 대한 틀린 그림을 제한된 시간이 다 소요되기 전까지 계속 찾는다(스텝225, 스텝226).
결과가 기록되고 랭킹화면이 출력되면 메인화면이 출력되고 사용자는 게임시작 버튼을 선택하여 게임을 다시 할 수도 있고 옵션 버튼을 선택하여 사운드 음량 조절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으며 종료버튼을 선택하여 프로그램을 종료할 수 있다(스텝227).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공간에서의 틀린 그림 판별방법은 교육용 게임, 제품 광고 프로모션(자동차, 핸드폰 제품 등)등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핸드폰, 웹, PC 등의 컴퓨터 환경에서, 3차원 공간상에서 3차원 물체를 회전, 확대, 축소, 이동하고, 보는 시점을 회전, 확대, 축소, 이동하는 등의 동작을 하면서 물체를 여러 각도와 크기, 위치에서 자세히 보면서 제1화면과 제2화면에 출력된 물체의 틀린 그림을 다양하게 찾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로서 이용될 수 있다.
텍스처 매핑(texture mapping)은 컴퓨터 그래픽스분야에서 가상의 삼차원 물체의 표면에 세부적인 질감의 묘사를 하거나 색을 칠하는 기법이다. 일반적으로는 수식이나 2차원의 그림을 삼차원 물체의 표면에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하여 적용하고 이에 따라 컴퓨터 그래픽 화면을 만들어 나갈 때 마치 실제의 물체처럼 느껴지게 끔 그 세부 묘사를 하는 것이다.
쉽게 말하자면 지도를 제작할 때 입체인 지구표면은 평면으로 바꾸는 방법을 쓰지만 텍스처 매핑의 경우에는 그 반대로 2차원을 3차원에 적용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틀린 그림 찾기 방법의 일예를 단계적으로 추가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틀린 그림 찾기의 일련의 과정의 예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먼저, 모니터상에서 3차원 공간상의 제1화면과 제2화면의 3차원물체의 틀린 그림을 클릭하면, 이때 모니터상의 좌표는 x=232 y=374라고 표시한다(도 12 참조).
이후, 선택한 3차원 물체에 해당하는 틀린 그림 좌표 구하기과정이 수행된다(도 13 및 도 14 참조).
1) 모니터상에서 클릭한 3차원 물체의 3차원 좌표 P와 Face 정보 추출
마우스로 선택한 3차원 물체의 좌표 P 값 => x=0.073349118 y=0.16339254 z=0.15647590
선택한 좌표 P에 해당하는 삼각형 Face ID 값 => 108
2) 선택한 3차원 물체의 삼각형 Face에 해당하는 3개 각 꼭지점 Vertex V0, V1, V2 값 추출
V0 => x=0.087618798 y=0.27234101 z=0.24542300
V1 => x=-0.087954998 y=-0.0036147099 z=0.023895400
V2 => x=0.088670500 y=-0.00086844602 z=0.021375701
3) 선택한 3차원 좌표 P의 삼각형 Face V0, V1, V2에 대한 무게 중심 값 계산
삼각형 Face의 좌표값 V0, V1, V2를 알고 이 삼각형안에 선택된 3차원 좌표값 P를 알면 삼각형 Face 108에 대한 좌표 P의 무게 중심 값을 알 수 있다.
W0 = 0.083160095
W1 = 0.31477663
W2 = 0.60206330
4) 선택한 삼각형 Face 108의 각 꼭지점에 매핑된 Texture 매핑 값 추출
UV0 => x=0.21497700 y=0.50648302
UV1 => x=0.33152601 y=0.87930202
UV2 => x=0.21546100 y=0.88164699
5) 사용자가 선택한 3차원 물체의 틀린 그림에 해당하는 실제 Texture 좌표값 계산
사용자가 3차원 공간상에서 선택한 물체의 좌표값 P와 삼각형 Face의 좌표값을 이용하여 계산된 무게 중심 값으로 삼각형 Face에 매핑된 Texture 매핑값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3차원 공간상에서 선택한 물체의 그림 좌표를 알아낼 수 있다.
UV.x = W0 * UV0.x + W1 * UV1.x + W2 * UV2.x
UV.y = W0 * UV0.y + W1 * UV1.y + W2 * UV2.y
UV => x=0.22482158 y=0.65557957
본 예에서는 텍스처 사이즈가 가로 1024, 세로 768 이기 때문에 위의 UV 비율값을 곱하여 실제 좌표값을 구한다.
RealX = 230 = 1024 * 0.22482158
RealY = 503 = 768 * 0.65557957
6) 사용자가 선택한 3차원공간상의 틀린 그림 좌표가 틀린 그림영역추출기에서 추출한 틀린 그림영역에 속하는지 판별
틀린 그림영역추출기에서 추출한 데이터의 구조는 아래와 같다.
(1) Handphone.jpg Handphone_Diff.jpg 52,469,84,508
(2) Handphone.jpg Handphone_Diff.jpg 83,603,122,636
(3) Handphone.jpg Handphone_Diff.jpg 255,271,302,299
(4) Handphone.jpg Handphone_Diff.jpg 220,478,237,523
(5) Handphone.jpg Handphone_Diff.jpg 511,537,534,669
(6) Handphone.jpg Handphone_Diff.jpg 660,513,696,588
(7) Handphone.jpg Handphone_Diff.jpg 83,108,126,134
여기서 사용자가 선택한 X=230, Y=503값은 (4)번의 틀린 그림영역 LeftTop(X=220, Y=478), RightBottom(X=237, Y=523)에 포함되므로 사용자가 틀린 그림을 선택했다고 판정할 수 있다(도 15 참조).
100: 입출력부
110: 입력부
120: 출력부
130: 추출부
140: 메모리부
150: 판별부
160: 제어부

Claims (9)

  1. 3차원 공간에서 틀린 그림 판별장치에 있어서,
    마우스, 키보드, 터치패드 등의 입력을 담당하는 부분인 입력부와,
    모니터, 스피커 등의 화면 및 사운드 출력을 담당하는 부분인 출력부와,
    틀린 그림 영역을 추출하여 데이터로 기록매체에 기록 및 저장하는 부분인 추출부와,
    3차원 물체 모델링 데이터, 그래픽 이미지, 사운드 등의 파일을 기록하고 있는 부분인 메모리부와,
    사용자가 모니터상에서 선택한 2차원 좌표가 3차원 공간상의 틀린 그림을 선택했는지 판별하는 부분인 판별부와,
    장치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추출부에서 추출한 틀린 그림 영역 데이터가 기록된 기록매체를 메모리부에 적재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판별부는 틀린 그림 찾기 영상이 표시된 모니터 혹은 화면 상에서 해당 틀린 그림 부분을 클릭하면, 상기 틀린 그림 찾기 영상에서 클릭한 3차원 물체의 좌표(p)에 대하여 그 좌표 p에 해당하는 텍스처 매핑 좌표(q)를 추출하는 좌표변환기와,
    틀린 그림영역을 추출하는 틀린 그림영역 추출기와,
    모니터상에서 선택한 3차원 물체의 좌표(p)에 해당하는 텍스처 매핑좌표(q)가 틀린 그림영역 추출기에서 추출한 틀린 그림 영역에 포함되는지 체크하는 영역체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공간에서 틀린 그림 판별장치.
  2. 틀린 그림 찾기 프로그램(게임)에 필요한 3차원 물체 및 그래픽 이미지, 사운드 데이터를 비롯한 제1화면에 출력될 3차원 물체와 이를 부분적으로 변형시킨 제2화면에 출력될 3차원 물체 관련 데이터 제작을 비롯하여 틀린 그림 찾기 프로그램(게임) 플레이에 필요한 제한 시간 및 3차원 공간상에서 3차원 물체의 위치, 게임 스토리 내용, 사운드 재생 등의 설정이 기록된 데이터를 제작하여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과정과;
    3차원 물체의 틀린 그림 영역을 추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여 제1화면에 출력될 3차원 물체의 맵핑된 원본 텍스처(이미지)와 제1화면의 물체를 부분적으로 변형시킨 제2화면의 물체에 맵핑된 텍스처(이미지)를 설정하고 틀린 그림 영역을 추출하여 기록매체에 기록하거나 이전에 만들어져 이미 저장된 틀린 그림 데이터를 불러와서 수정하여 다시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1항의 장치를 이용한 3차원 물체의 틀린 그림 데이터 제작방법.
  3. 사용자가 3차원 틀린 그림 찾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면 틀린 그림 영역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비롯한 3차원 물체의 모델링 데이터, 그래픽 이미지, 사운드, 제한 시간, 3차원 물체의 위치 정보 등의 데이터를 메모리부에 적재시키면서 출력부에서는 로딩화면을 비롯한 사운드가 출력되는 과정과;
    메인화면이 출력되면 사용자는 게임 시작버튼을 선택하여 게임을 시작할 수도 있고 옵션 버튼을 선택하여 사운드 음량 조절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으며 종료버튼을 선택하여 프로그램을 종료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게임시작 버튼을 선택한 뒤 이름 입력 및 캐릭터 선택을 하면 게임스토리가 출력된 뒤 3차원 게임 공간이 출력되는 과정과;
    게임 진행 동안 제어부에서 메모리부에 기록된 제작자가 설정한 제한된 시간 정보를 바탕으로 시간이 다 소요되었는지 체크하고 다 소요되었다면 결과를 기록하고 랭킹을 출력하고 그렇지 않다면 계속 게임을 진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1항의 장치를 이용한 3차원 공간에서 틀린 그림 판별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3차원 공간상에서 이동하다가 틀린 그림 물체에 근접했을 때 해당 물체를 선택하라 표시가 나타난 것을 보고 해당 물체를 마우스 및 터치패드 등으로 선택하는 과정과;
    제어부에서는 판별부에게 사용자가 선택한 모니터상의 2차원 좌표가 3차원 공간상의 물체를 선택했는지 체크하게 하고 선택이 안되었다면 다시 3차원 공간에서 틀린 물체를 찾게 하고, 선택이 되었다면 출력된 하나의 화면이 2개의 좌우 혹은 상하 화면으로 분할되면서 제1화면에는 선택한 물체가 출력되고 제2화면에는 제1화면에 출력된 물체의 그림이 부분적으로 변형된 물체 혹은 모양이 부분적으로 변형된 물체가 출력되는 과정과;
    사용자가 3차원 공간상에서 3차원 물체를 회전, 확대, 축소, 이동하고, 보는 시점을 회전, 확대, 축소, 이동하는 등의 동작을 하면서 물체를 여러 각도와 크기, 위치에서 자세히 보면서 제1화면과 제2화면에 출력된 물체의 틀린 그림을 다양하게 찾아 선택하는 과정과;
    제어부에서는 판별부에게 사용자가 선택한 모니터상의 2차원 좌표가 3차원 공간상의 물체를 선택했는지 체크하게 하고 선택이 안되었다면 다시 제1화면과 제2화면에 출력된 두 물체간의 틀린 그림을 찾아 선택하게 하며 선택이 되었다면 선택한 물체의 3차원 좌표 추출하고 이에 해당하는 맵핑된 2차원 텍스처(이미지) 좌표 추출하고 판별부에서는 추출된 2차원 텍스처(이미지) 좌표가 메모리부에 저장된 추출부에서 추출한 틀린 그림 영역 데이터에 포함되는지 판별하고 결과를 제어부에 통보하며 제어부에서는 통보받은 판별 결과를 출력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과정과;
    제어부에서는 메모리부에 기록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다수의 물체에 대한 틀린 그림을 모두 찾았는지 체크하고 다 찾았으면 결과를 기록한 뒤 랭킹을 출력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3차원 공간상에서 물체에 대한 틀린 그림을 제한된 시간이 다 소요되기 전까지 계속 찾는 과정과;
    결과가 기록되고 랭킹화면이 출력되며 사용자는 메인화면에서 게임시작 버튼을 선택하여 게임을 다시 할 수도 있고 옵션 버튼을 선택하여 사운드 음량 조절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으며 종료버튼을 선택하여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의 장치를 이용한 3차원 공간에서 틀린 그림 판별방법.
  5. 추출부에서 틀린 그림 영역을 추출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과정과;
    제어부에 의해서 메모리부에 저장된 틀린 그림 영역 및 그래픽 데이터 및 사운드 데이터, 제한 시간 데이터 등을 로딩하면서 로딩화면을 출력하는 과정과;
    메인화면이 출력되면 게임 시작 버튼을 선택 후 이름 입력 및 캐릭터를 선택하면 게임 스토리가 출력되고 3차원 게임 플레이 공간이 출력되는 과정과;
    3차원 공간을 이동하면서 틀린 물체가 표시되면 물체 선택하는 과정과;
    하나의 화면이 2개의 좌우 혹은 상하 화면으로 분할되면서 제1화면에는 선택한 3차원 물체가 출력되고 제2화면에는 제1화면에 출력된 물체와 그림이 부분적으로 변형된 물체 혹은 모양이 부분적으로 변형된 물체가 출력되는 과정과;
    사용자가 모니터상에서 3차원 물체를 회전, 확대, 축소, 이동하고, 보는 시점을 회전, 확대, 축소, 이동하는 등의 동작을 하면서 물체를 여러 각도와 크기, 위치에서 자세히 보면서 제1화면과 제2화면에 출력된 물체의 틀린 그림을 다양하게 찾아 선택하는 과정과;
    사용자가 선택한 모니터상의 2차원 좌표가 3차원 공간상의 물체를 선택했는지 체크하는 과정과;
    선택된 물체의 3차원 좌표에 해당하는 물체의 맵핑된 2차원 텍스처(이미지) 좌표 추출하는 과정과;
    추출된 2차원 텍스처(이미지) 좌표가 메모리부에 기록되어 있는 추출부에서 추출한 틀린 그림영역 데이터에 포함되는지 판별하는 과정과;
    게임 결과를 기록하고 게임 랭킹을 출력하고 종료 화면을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의 장치를 이용한 3차원 공간에서 틀린 그림 판별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면 및 제2화면에 출력된 3차원 물체를 회전, 확대, 축소, 이동하고, 보는 시점을 회전, 확대, 축소, 이동하는 등의 동작을 하면서 물체가 여러 각도와 크기, 위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의 장치를 이용한 3차원 공간에서 틀린 그림 판별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모니터상의 제1화면과 제2화면과의 틀린 영역을 제1화면 혹은 제2화면에 선택했을 때 틀린 영역인지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 서로 다른 3차원 물체에 맵핑된 텍스처(이미지)를 바탕으로 틀린 그림 영역을 추출하여 기록매체에 기록하고 이 기록매체에 사용자가 선택한 3차원 물체의 좌표에 해당하는 맵핑된 텍스처(이미지) 좌표가 포함되는지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의 장치를 이용한 3차원 공간에서 틀린 그림 판별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모니터상의 제1화면과 제2화면과의 틀린 영역을 제1화면 혹은 제2화면에 선택했을 때 틀린 영역인지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 제1화면과 제2화면을 2차원 이미지로 대조하여 틀린 영역을 자동추출하고 사용자가 모니터상에서 선택한 2차원 좌표가 포함되는지 판별하는 것을 제 1 항의 장치를 이용한 3차원 공간에서 틀린 그림 판별방법.
  9. 상기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서의 과정을 컴퓨터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00000735A 2010-01-06 2010-01-06 3차원 공간에서 틀린 그림 판별장치 및 방법 및 기록매체 KR101116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735A KR101116733B1 (ko) 2010-01-06 2010-01-06 3차원 공간에서 틀린 그림 판별장치 및 방법 및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735A KR101116733B1 (ko) 2010-01-06 2010-01-06 3차원 공간에서 틀린 그림 판별장치 및 방법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483A true KR20110080483A (ko) 2011-07-13
KR101116733B1 KR101116733B1 (ko) 2012-02-22

Family

ID=44919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0735A KR101116733B1 (ko) 2010-01-06 2010-01-06 3차원 공간에서 틀린 그림 판별장치 및 방법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67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605B1 (ko) * 2015-02-06 2015-07-2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성 검사 방법
WO2016190491A1 (ko) * 2015-05-28 2016-12-01 (주)루노소프트 게임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437B1 (ko) * 1999-07-28 2004-06-16 주식회사 이오리스 틀린그림찾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605B1 (ko) * 2015-02-06 2015-07-2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성 검사 방법
WO2016190491A1 (ko) * 2015-05-28 2016-12-01 (주)루노소프트 게임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6733B1 (ko) 201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79105B2 (en) Displaying a three dimensional user interface
CN111701238B (zh) 虚拟画卷的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EP3053145B1 (en) Generat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for unknown objects
US20210089191A1 (en) Reality capture graphical user interface
JP4115188B2 (ja) 仮想空間描画表示装置
JP5039922B2 (ja) 画像描画システム、画像描画サーバ、画像描画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944335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apturing and moving 3D models and true-scale metadata of real world objects
JP5592011B2 (ja) マルチスケール3次元配向
KR20120073148A (ko) 저작 시스템을 이용한 재생가능한 장면의 생성
CN110442245A (zh) 基于物理键盘的显示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04067315A (zh) 三维建筑物显示中的目标获取
KR20210097765A (ko) 가상 환경에 기반한 객체 구축 방법 및 장치, 컴퓨터 장치 및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20190127367A (ko)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를 위한 가상 전시 공간 제공 방법
KR102237519B1 (ko) 2.5 차원화를 이용한 가상 전시 공간 제공 방법
JP2006039872A (ja) 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KR101116733B1 (ko) 3차원 공간에서 틀린 그림 판별장치 및 방법 및 기록매체
EP3594906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and computer program
CN114913277A (zh) 一种物体立体交互展示方法、装置、设备及介质
JP7475625B2 (ja) 3次元空間における入力受付および入力表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3次元空間における入力受付および入力表示装置
US11875445B2 (en) Seamless image processing of a tiled image region
US20230326147A1 (en) Helper data for anchors in augmented reality
JP2006178662A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
CN117839223A (zh) 游戏编辑预览方法、装置、存储介质与电子设备
JP2005251077A (ja) 画像描画方法、画像描画システム及び画像描画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