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0101A - 제빙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제빙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0101A
KR20110080101A KR1020100000276A KR20100000276A KR20110080101A KR 20110080101 A KR20110080101 A KR 20110080101A KR 1020100000276 A KR1020100000276 A KR 1020100000276A KR 20100000276 A KR20100000276 A KR 20100000276A KR 20110080101 A KR20110080101 A KR 20110080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making
ice
chamber
unit
refrigeran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0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3415B1 (ko
Inventor
정진
임재훈
이재승
정성기
신영식
안재국
임창학
박상현
칸카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0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3415B1/ko
Priority to US12/926,257 priority patent/US8616018B2/en
Priority to EP10191370.5A priority patent/EP2341303B1/en
Priority to CN201010586266.0A priority patent/CN102116563B/zh
Publication of KR20110080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0101A/ko
Priority to US14/088,813 priority patent/US8875536B2/en
Priority to US14/505,657 priority patent/US948245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3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4Producing ice by using stationary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4Rotating ra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C2500/06Spillage or flooding of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1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through special compart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drip water collection pans
    • F25D2321/1441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drip water collection pans inside a refrige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빙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제빙실에 마련되어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유닛;과, 제빙유닛에 직접 접촉되는 냉매파이프를 가지는 냉동사이클;을 포함하고, 제빙실의 공기는 제빙유닛 또는 냉매파이프와 직접 열교환하여 냉각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제빙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빙실 냉각 구조를 개선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여 저장 용품을 저온으로 저장하는 장치이다. 또한 제빙실로 냉기를 공급하여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냉동사이클은 압축기와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구성요소들을 연결하고 냉매가 흐를 수 있는 냉매파이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의 구성요소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하여 제빙실로 냉기를 공급할 수 있다. 제빙실 또는 저장실에 증발기를 설치하고, 이 증발기에서 열교환된 냉기를 강제대류에 의하여 제빙실로 공급할 수 있다.
제빙실에는 이러한 냉동사이클을 통하여 공급되는 냉기를 이용하여 얼음을 만들어 내는 제빙유닛과, 이 제빙유닛에 의해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저장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은 제빙실의 냉각 구조를 개선하여 제빙실 냉각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은 제빙실의 냉각 구조를 개선하여 제빙유닛의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한 냉장고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은 제빙실의 냉각 구조를 개선하여 제빙유닛의 제빙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제빙실을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제빙실에 마련되어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유닛;과 상기 제빙유닛에 냉각에너지를 전달하는 냉매파이프를 가지는 냉동사이클;을 포함하고, 상기 제빙실의 공기는 상기 제빙유닛 또는 상기 냉매파이프와 직접 열교환하여 냉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빙실의 공기를 순환시켜 상기 제빙실의 공기가 상기 제빙유닛 또는 상기 냉매파이프와 접촉하여 열교환이 촉진되도록 하는 제빙실용 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빙유닛은 상기 제빙실의 공기와의 열교환을 촉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용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빙유닛은 상기 제빙실용 팬에 의해서 순환하는 상기 제빙실의 공기가 상기 제빙유닛을 통과하도록 가이드하는 드레인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빙실에는 상기 제빙실용 팬에 의해서 상기 제빙실용 팬으로 흡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흡입유로와, 상기 제빙실용 팬에서 토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빙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유로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빙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유로를 형성하는 드레인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레인덕트는 상기 토출유로의 시작 지점에 마련되는 유입구;와, 상기 토출유로의 마지막 지점에 마련되는 제1유출구;와, 상기 토출유로의 중도에 마련되는 제2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제1유출구를 통하여 상기 드레인덕트의 길이 방향으로 토출되고, 나머지는 상기 제2유출구를 통하여 상기 드레인덕트의 폭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유출구를 통하여 상기 드레인덕트의 폭 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흡입유로가 있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저장 용품을 저장하는 냉장실 또는 냉동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빙실은 상기 냉장실 또는 상기 냉동실과 단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매파이프는 상기 제빙실로 삽입되어 상기 제빙유닛과 결합하는 직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빙유닛은 상기 냉매파이프의 직냉부가 안착되는 제빙트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빙트레이에는 상기 제빙실의 공기와의 열교환을 촉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매파이프의 직냉부는 U 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용 리브는 상기 U 자형으로 형성된 냉매파이프의 직냉부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매파이프의 직냉부를 상기 제빙트레이에 밀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픽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측에서 바라본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제빙실에 마련되는 제빙유닛에 있어서, 물을 수용하는 제빙트레이;와 상기 제빙트레이에 냉각에너지를 전달하는 냉동사이클의 냉매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빙트레이와 상기 냉매파이프는 상기 제빙실의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매개체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빙실의 공기를 순환시켜 상기 제빙실의 공기가 상기 제빙트레이와 상기 냉매파이프와의 열교환을 촉진되도록 하는 제빙실용 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빙트레이는 상기 제빙실의 공기와의 열교환을 촉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용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제빙실 냉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빙식 냉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손실을 줄여 냉장고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빙유닛의 조립성을 증대시키고 제빙유닛의 교체 및 수리를 향상시킬 수 있고, 제빙유닛의 조립 공정 산포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을 나타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측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매파이프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유닛이 설치되기 전 제빙실 내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유닛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유닛의 분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유닛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트레이의 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유닛이 설치된 제빙실 내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제빙유닛의 분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단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실의 유동 현상을 나타낸 측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실의 유동 현상을 나타낸 정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8: 냉매파이프 28a: 냉매파이프의 직냉부
30: 제빙실 31: 제빙실 케이스
40: 고정부재 60: 제빙유닛
70: 서포터 80: 드레인덕트
84, 89: 픽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을 나타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측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3은 단열재가 발포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냉동실(11)과 냉장실(13)을 가지는 본체(10)와, 냉동실(11)을 개폐하는 냉동실도어(12)와, 냉장실(13)을 개폐하는 냉장실도어(14)와, 냉동실(11) 및 냉장실(13)로 냉기를 공급할 수 있는 냉동사이클(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냉동실도어(12)를 개방하여 냉동실(11)에 저장 용품을 저장할 수 있다. 냉동실(11)에는 냉동박스(15)가 설치될 수 있고, 사용자는 저장 용품을 냉동박스(15)에 냉동 보관할 수 있다.
냉동실(11)의 후벽에는 제1냉기공급덕트(16)가 마련될 수 있다. 제1냉기공급덕트(16)에는 냉동사이클(20)의 냉동실용 증발기(27)와 냉동실용 팬(16a), 냉동실용 냉기배출구(16b)가 설치될 수 있다. 냉동실용 팬(16a)은 냉동실용 증발기(27)에 의해서 열교환된 냉기를 냉동실용 냉기배출구(16b)를 통하여 냉동실(11)로 공급할 수 있다.
사용자는 냉장실도어(14)를 개방하여 냉장실(13)에 저장 용품을 저장할 수 있다. 냉장실(13)에는 복수 개의 선반(17)이 설치될 수 있고, 사용자는 저장 용품을 각 선반(17)에 적재하여 냉장 보관할 수 있다.
냉장실(13)의 후벽에는 제2냉기공급덕트(18)가 마련될 수 있다. 제2냉기공급덕트(18)에는 냉동사이클(20)의 냉장실용 증발기(26)와 냉장실용 팬(18a), 냉장실용 냉기배출구(18b)가 설치될 수 있다. 냉장실용 팬(18a)은 냉장실용 증발기(26)에 의해서 열교환된 냉기를 냉장실용 냉기배출구(18b)를 통하여 냉장실(13)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냉장실(13)의 일 측에는 제빙실(30)이 마련될 수 있다. 제빙실(30)은 내부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는 제빙실 케이스(31)에 의해서 냉장실(13)로부터 구획되면서 냉장실(13)과는 단열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빙실(30)에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유닛(60)과, 제빙유닛(60)에 의해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저장용기(50)가 설치될 수 있다. 제빙유닛(60)에 의해서 생성된 얼음은 얼음저장용기(50)에 저장될 수 있고, 얼음저장용기(50)에 저장되는 얼음은 이송장치(51)에 의해서 얼음분쇄장치(52)로 이동할 수 있고, 얼음분쇄장치(52)에 의해서 조각난 얼음은 얼음배출덕트(53)를 통과하여 디스펜서(54)로 공급될 수 있다.
제빙유닛(60)에는 냉동사이클(20)의 냉매파이프(28)의 적어도 어느 일 부분이 설치될 수 있다. 냉동사이클(20)의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가 제빙실(30)에 삽입될 수 있고, 이렇게 제빙실(30)로 삽입된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가 제빙유닛(60)에 설치될 수 있다.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는 제빙유닛(60)과 직접 접촉함으로써 제빙유닛(60)을 직접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제빙실(30)에는 제빙실(30)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제빙실용 팬(37)이 설치될 수 있다. 제빙실용 팬(37)은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 또는 제빙유닛(60) 측으로 제빙실(30)의 공기를 강제 유동시킴으로써 제빙실(30)의 공기가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 또는 제빙유닛(60)과 열교환하여 냉각되도록 할 수 있다.
냉동사이클(20)은 압축기(21)와 응축기(22), 전환밸브(23), 제1팽창밸브(24), 제2팽창밸브(25), 냉장실용 증발기(26), 냉동실용 증발기(27), 냉매파이프(2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냉매파이프(28)는 압축기(21)와 응축기(22), 제1팽창밸브(24), 제2팽창밸브(25), 냉장실용 증발기(26), 냉동실용 증발기(27)를 연결할 수 있다. 냉매파이프(28)를 흐르는 냉매는 압축기(21)에서 토출된 후 응축기(22)와 제2팽창밸브(25)를 거친 후 냉장실용 증발기(26)와 냉동실용 증발기(27)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냉장실용 증발기(26)에서 냉매는 냉장실(13)의 공기와 열교환하여 냉장실(13)의 공기를 냉각시키고, 냉동실용 증발기(27)로 공급되는 냉매도 냉동실(11)의 공기와 열교환하여 냉동실(11)의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냉매파이프(28)를 흐르는 냉매는 제1팽창밸브(24)를 거친 후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를 통과하고 냉장실용 증발기(26) 및 냉동실용 증발기(27)를 순차적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환밸브(23)는 냉매가 제1팽창밸브(24)와 제2팽창밸브(25)를 통과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제1팽창밸브(24) 또는 제2팽창밸브(25)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통과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다만 도 2는 냉동사이클(20)이 구성되는 한 예를 나타낸 것이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냉매파이프(28)는 도 3과 같이, 단열재가 발포되기 전에 냉장고의 후면에 하나의 유닛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하나의 유닛으로 형성되는 냉매파이프(28)는 제빙실(3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직냉부(28a)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매파이프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실 케이스(31)는 제빙실(30)을 형성할 수 있다. 제빙실 케이스(31)는 제빙실(30)이 냉장실(13)에서 구획되고, 냉장실(13)과는 단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빙실 케이스(31)에는 안내덕트(32)가 설치될 수 있다. 안내덕트(32)는 제빙실 케이스(31)의 제1토출구(33)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제빙실 케이스(31)의 제2토출구(34)로 가이드하여, 제1토출구(33)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제2토출구(34)를 통하여 제빙실(30)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안내덕트(32)에는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가 통과하는 관통부(3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는 안내덕트(32)의 관통부(32a)를 통과한 후 제빙실 케이스(31)의 제2토출구(34)를 통과함으로써 제빙실(30)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안내덕트(32)는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가 통과하기 때문에 단열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단열 재질로 형성되는 안내덕트(32)는 성에가 착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부재(40)는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를 제빙실(30)의 소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재(40)는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의 말단에 결합하여 냉매파이프(28)와 일체화될 수 있다. 냉매파이프(28)와 일체화된 고정부재(40)는 제빙실 케이스(31)의 바깥쪽에서 제빙실 케이스(31)에 결합될 수 있고,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는 제빙실 케이스(31)의 제2토출구(34)를 통하여 제빙실(30)에 삽입된 채로 제빙실(30)의 소정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고 지지될 수 있다.
고정부재(40)와 제빙실 케이스(31)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 결합 구조에 의해서 서로 결합할 수 있다. 고정부재(40)의 좌측에는 제1후크(41)가 형성될 수 있고, 그 우측 하단에는 제2후크(42)가 형성될 수 있다. 제빙실 케이스(31)에는 제1후크(41)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1후크홈(35)이 형성될 수 있고 제2후크(42)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2후크홈(36)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40)의 제1후크(41)와 제2후크(42)가 제빙실 케이스(31)의 제1후크홈(35)과 제2후크홈(36)에 결합됨으로써, 고정부재(40)는 제빙실 케이스(31)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재(40)를 제빙실 케이스(31)에 결합한 후 냉장고의 후면에 단열재를 발포할 수 있다. 단열재 발포 시에도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는 고정부재(40)에 의해서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제빙실(30)에 삽입된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가 움직이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결국 별도의 용접 공정 없이도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를 제빙실(30)에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유닛이 설치되기 전 제빙실 내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유닛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유닛의 분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유닛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트레이의 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유닛이 설치된 제빙실 내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실(30)에는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가 제빙실(30)의 후벽에서 전방으로 돌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는 제빙실 케이스(31)의 제2토출구(34)를 통하여 제빙실(30)로 삽입될 수 있고, 고정부재(40)에 의하여 제빙실(30)의 소정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은 채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빙실(30)에는 구동유닛(55)과 제빙실용 팬(37)이 설치될 수 있다. 구동유닛(55)과 제빙실용 팬(37)을 하나의 유닛으로 일체화되어 제빙실(30)에 착탈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구동유닛(55)과 제빙실용 팬(37)은 별개의 부재로서 그 각각이 제빙실(30)에 착탈될 수 있다.
구동유닛(55)은 얼음저장용기(50)에 설치되는 이송장치(51)를 구동할 수 있고, 제빙실용 팬(37)을 구동할 수 있다. 구동유닛(55)은 이송장치(51)를 구동하는 모터 및 제빙실용 팬(37)을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빙실용 팬(37)은 제빙실(30)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제빙실용 팬(37)은 제1토출구(33)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구동유닛(55)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빙실용 팬(37)은 제빙실(30)의 공기를 흡입한 후 제1토출구(33)와 안내덕트(32), 제2토출구(34)를 통하여 제빙실(30)로 토출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로 제빙실용 팬(37)은 제빙실 케이스(31)의 제1토출구(33)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빙실 케이스(31)에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제빙실용 팬(37)은 제빙실 케이스(31)의 제2토출구(34)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빙유닛(60)에 결합하거나 제빙실 케이스(31)에 결합될 수 있다.
제빙실(30)에는 제빙유닛(60)이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빙유닛(60)은 제빙실 케이스(31)와 결합함으로써 제빙실(30)의 소정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빙유닛(60)은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와 결합함으로써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로부터 직접 냉각에너지를 전달받을 수 있다.
제빙유닛(60)은 제빙트레이(61)와 전장부 하우징(62), 이빙히터(63), 이젝터(64), 슬라이더(65), 만빙감지레버(6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빙트레이(61)는 급수되는 물을 담을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빙트레이(61)는 물을 결빙하여 소정 형상으로 얼음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구조이면, 그 구조의 제한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제빙트레이(61)의 하부에는 이빙히터(63)가 설치될 수 있다. 이빙히터(63)는 제빙트레이(61)를 가열하여 얼음이 제빙트레이(61)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빙히터(63)는 제빙트레이(61)의 바깥 둘레를 따라서 U 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빙트레이(61)의 하부에는 파이프 안착부(61c)가 설치될 수 있다. 파이프 안착부(61c)에는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가 안착될 수 있다.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는 U 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와 대응하여 파이프 안착부(61c)도 U 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는 제빙트레이(61)를 직접 냉각할 수 있고, 차가워진 제빙트레이(61)는 급수된 물을 얼음으로 만들어 낼 수 있다.
여기서,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는 이빙히터(63)와 겹치지 않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U 자형으로 형성되는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는 U 자형으로 형성되는 이빙히터(63)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는 이빙히터(63)보다 낮은 위치에서 제빙트레이(61)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결국 이빙히터(63)의 열이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반대로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의 냉각에너지가 이빙히터(63)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 안착부(61c)에는 그 둘레를 따라서 안착 가이드(61d)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 가이드(61d)는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가 제빙트레이(61)의 파이프 안착부(61c)에 쉽게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안착 가이드(61d)에는 이탈유도홈(61e)이 형성될 수 있는데, 사용자는 이탈유도홈(61e)으로 공구를 삽입하여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가 제빙트레이(61)의 파이프 안착부(61c)로부터 쉽게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제빙트레이(61)에는 열교환용 리브(61f)가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용 리브(61f)는 제빙트레이(61)의 바닥 면에 형성될 수 있는데, U자형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용 리브(61f)는 제빙트레이(61)로 전달되는 냉각에너지와 주변 공기가 열교환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에서 제빙트레이(61)로 전달되는 냉각에너지는 제빙트레이(61)에 수용된 물을 얼음으로 변환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데, 그 중 일부는 열교환용 리브(61f)를 통하여 제빙실(30)의 공기를 냉각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용 리브(61f)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량이 증가하게 되면 제빙실(30)의 공기의 냉각 성능은 증가할 수 있으나, 제빙트레이(61)는 냉각에너지 중 일부를 열교환용 리브(61f)에 뺏기게 되므로 제빙트레이(61)의 물의 결빙 성능은 감소할 수 있다.
제빙트레이(61)의 일단에는 전장부 하우징(62)이 설치될 수 있다. 전장부 하우징(62)에는 이빙히터(63)를 가열하거나, 이젝터(64)를 회전시킬 수 있는 전장 시스템이 설치될 수 있다.
제빙트레이(61)의 상부에는 이젝터(64)가 설치될 수 있다. 이젝터(64)는 회전하면서 얼음을 제빙트레이(61)로부터 들어내어 슬라이더(65)로 떨어뜨릴 수 있다.
슬라이더(65)는 제빙트레이(61)의 일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더(65)는 얼음저장용기(50)로 얼음을 이동시키는 가이드 기능을 할 수 있다. 얼음은 슬라이더(65)를 타고 하강하여 얼음저장용기(50)에 수용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로써 슬라이더(65)는 제빙트레이(61) 이외에 기타 다른 구성요소에 설치될 수 있다.
만빙감지레버(66)는 얼음저장용기(50)에 얼음이 가득 채워졌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만빙감지레버(66)는 얼음저장용기(50)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얼음저장용기(50)에 얼음이 가득 채워지면 만빙감지레버(66)는 얼음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만빙감지레버(66)가 얼음저장용기(50)의 만빙을 감지하면 제빙유닛(60)은 더 이상 얼음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빙유닛(60)은 서포터(70)와 드레인덕트(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서포터(70)는 제빙트레이(61)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서포터(70)는 그 전단이 나사 결합 구조에 의해서 전장부 하우징(62)에 결합할 수 있고, 그 후단이 후크 결합 구조에 의해서 제빙트레이(61)에 결합할 수 있다. 서포터(70)와 전장부 하우징(62)은 서포터(70)의 제1나사홈(75)과 전장부 하우징(62)의 제2나사홈(62a)을 일치시킨 후 나사에 의해서 결합할 수 있고, 서포터(70)와 제빙트레이(61)는 서포터(70)의 후크(미도시)가 제빙트레이(61)의 후크홈(61a)에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다. 이에 서포터(70)는 제빙유닛(60)을 지탱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로 서포터(70)는 제빙트레이(61) 또는 전장부 하우징(62)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빙유닛(60)은 서포터(70)와 제빙실 케이스(31)의 결합 구조에 의해서 제빙실(30)에 착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서포터(70)와 제빙실 케이스(3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 구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서포터(70)와 제빙실 케이스(31)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결합 구조와 적어도 하나의 후크 결합 구조, 적어도 하나의 록킹 구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서포터(70)와 제빙실 케이스(31)의 적어도 하나의 지지 결합 구조는 서포터(70)의 후방에 마련되는 지지부(71)와, 제빙실 케이스(31)의 후방에 마련되는 안착부(31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제빙유닛(60)이 제빙실(30)에 삽입될 때 서포터(70)의 지지부(71)는 제빙실 케이스(31)의 안착부(31a)에 단순 지지될 수 있다.
서포터(70)와 제빙실 케이스(31)의 적어도 하나의 후크 결합 구조는 서포터(70)의 상부에 마련되는 홈부(72)와, 제빙실 케이스(31)의 상측에 마련되는 고리부(31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리부(31b)는 제빙실 케이스(31)의 상면에서 하향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홈부(72)는 대경부(72a)와 소경부(72b)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대경부(72a)의 크기는 고리부(31b)가 진입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고, 소경부(72b)의 크기는 고리부(31b)가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빙유닛(60)이 제빙실(30)에 삽입될 때 제빙실 케이스(31)의 고리부(31b)는 서포터(70)의 대경부(72a)에 삽입된 후 서포터(70)의 소경부(72b)로 이동하여 서포터(70)의 소경부(72b)에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서포터(70)와 제빙실 케이스(31)의 적어도 하나의 록킹 구조는 서포터(70)의 전방에 마련되는 록킹부재(73)와, 제빙실 케이스(31)의 상측에 마련되는 록킹부재 수용부(31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록킹부재(73)는 탄성 절개부(74)에 의해서 서포터(70)에 탄성 지지될 수 있다. 록킹부재(73)는 록킹부재 수용부(31c)에 삽입되는 결속부(73a)와, 결속부(73a)를 지지하면서 탄성 변형될 수 있는 스위치부(73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작업자는 스위치부(73b)를 가압하여 결속부(73a)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록킹부재 수용부(31c)는 제빙실 케이스(31)의 상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록킹부재 수용부(31c)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제빙유닛(60)이 제빙실(30)에 삽입될 때 서포터(70)의 록킹부재(73)는 제빙실 케이스(31)의 록킹부재 수용부(31c)에 결속될 수 있다.
결국 제빙유닛(60)은 서포터(70)와 제빙실 케이스(31)의 적어도 하나의 결합 구조에 의하여 제빙유닛(60)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유동이 제한된 상태로 제빙실(30)에 결합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 또는 작업자는 서포터(70)와 제빙실 케이스(31)의 적어도 하나의 결합 구조를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제빙유닛(60)이 제빙실(30)에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서포터(70)에는 급수탱크(76)가 형성될 수 있다. 급수탱크(76)는 외부의 급수관(미도시)과 연결되는 제빙실 케이스(31)의 급수홀(31d)과 연통될 수 있다.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급수홀(31d)과 급수탱크(76)를 통하여 제빙트레이(61)에 공급될 수 있다.
드레인덕트(80)는 제빙트레이(61)의 하측에 마련될 수 있다. 드레인덕트(80)는 제빙트레이(61) 또는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에서 낙하하는 물을 포집한 후 제빙실(30) 외부로 배수시킬 수 있다. 또한 드레인덕트(80)는 성에가 착상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드레인덕트(80)와 제빙트레이(61)는 적어도 하나의 회동 결합 구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드레인덕트(80)와 제빙트레이(61)의 적어도 하나의 회동 결합 구조는 힌지 결합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드레인덕트(80)의 제1힌지체결부(83a)와 제빙트레이(61)의 제2힌지체결부(61b)가 힌지축(83c)에 의해서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드레인덕트(80)는 힌지축(83c)을 중심으로 제빙트레이(61)에 대해서 회동할 수 있다.
또한 드레인덕트(80)와 전장부 하우징(62)은 적어도 하나의 록킹 구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드레인덕트(80)와 전장부 하우징(62)의 적어도 하나의 록킹 구조는 나사 결합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있다. 드레인덕트(80)의 제1나사체결부(83b)와 전장부 하우징(62)의 제2나사체결부(62b)는 나사(62c)에 의해서 결합할 수 있다. 이때 나사(62c)의 결합 방향은 사선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제빙실(30) 외부에서 공구를 이용하여 나사 결합을 할 수 있다.
결국 드레인덕트(80)는 적어도 하나의 록킹 구조를 통하여 제빙트레이(61)의 하측에서 움직이지 않고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 또는 작업자는 적어도 하나의 록킹 구조가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드레인덕트(80)가 제빙트레이(61)와 일정 간격 벌어지도록 드레인덕트(80)를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드레인덕트(80)는 배수대(81)와 단열재(82), 성에방지커버(83), 히터접촉부(8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배수대(81)는 제빙트레이(61) 또는 냉매파이프(28)에서 낙하하는 물을 포집하고, 이처럼 포집된 물이 배수구(81a) 측으로 흐르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수대(81)는 알루미늄 등 열전도도가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제상시 이빙히터로 부터의 열전달을 촉진하여 결빙된 물이 잘 녹도록 하여 빠르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배수구(81a)를 통하여 배수되는 제상수는 제빙실 케이스(31)의 배수홀(31e)과 연결되는 드레인호스(38)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수대(81)에는 재질 특성에 의해서 성에가 착상되기 쉬운데,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성에방지커버(83)가 배수대(81)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배수대(81)와 성에방지커버(83) 사이에는 단열재(82)가 삽입되어 배수대(81)와 성에방지커버(83) 사이의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성에방지커버(83)는 플라스틱 사출물 등과 같이 열전도도가 낮은 재질로 형성되어 배수대(81)와 성에방지커버(83)에 성에가 착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수대(81)에는 적어도 하나의 히터접촉부(85)가 설치될 수 있다. 히터접촉부(85)는 배수대(81)와 이빙히터(63)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히터접촉부(85)는 열을 전도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재질로 형성되는 히터접촉부(85)는 이빙히터(63)의 열을 배수대(81)로 전달하여 배수대(81)에 성에가 착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히터접촉부(85)의 개수는 배수대(81)로 전달하고자 하는 열의 양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히터접촉부(85)의 히터접촉부(85)는 열전도도가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히터접촉부(85)는 배수대(81)와 같은 재질인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덕트(80)는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를 제빙트레이(61)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픽서(8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픽서(84)는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를 제빙트레이(61)의 파이프 안착부(61c)에 밀착시켜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를 제빙트레이(61) 하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는 제빙트레이(61)와 접촉하여 제빙트레이(61)를 직접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픽서(84)는 가압부(84a)와 탄성부(84b)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픽서(84)의 가압부(84a)는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의 재질과 같은 동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픽서(84)의 가압부(84a)가 직접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를 가압하는 경우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가 손상될 수 있다.
픽서(84)의 탄성부(84b)는 러버 재질로 형성되어,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픽서(84)의 탄성부(84b)는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와 접촉할 때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러버 재질의 탄성부(84b)는 열전도도가 매우 낮으므로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의 냉각에너지가 드레인덕트(8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드레인덕트(80)에 성에가 착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픽서(84)는 드레인덕트(80)와 일체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픽서(84)는 드레인덕트(80)에서 제빙트레이(61) 측으로 돌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픽서(84)는 드레인덕트(80)의 양측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제빙트레이(61)와 드레인덕트(80) 사이에는 토출유로(F1)가 형성될 수 있는데, 픽서(84)를 토출유로(F) 양측 각각에 배치하여 토출유로(F1)에서 유동하는 제빙실(30) 공기의 유동 저항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결국 토출유로(F1)를 유동하는 제빙실(30) 공기의 양은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빙트레이(61)의 열교환용 리브(61f)와 열교환되는 양도 증가하여 제빙실(30) 공기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열교환용 리브(61f)는 드레인덕트(80)와 근접하도록 하향 돌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열교환용 리브(61f)는 토출유로(F1) 양측 각각에 배치되는 픽서(8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열교환용 리브(61f)는 토출유로(F1)상에서 점유 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제빙실(30) 공기의 열교환 양을 늘릴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제빙유닛의 분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의 단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도 1 내지 도 10은 픽서(84)는 드레인덕트(80)에 일체화되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도 11 및 도 12는 픽서(89)가 드레인덕트(80)와 분리되어 별개의 부재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만, 도 11 및 도 12는 도 1 내지 도 10과 비교하여 변경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픽서(89)는 제빙트레이(61)와 드레인덕트(8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픽서(89)는 제빙트레이(61)의 직냉부(28a)를 제빙트레이(61)에 고정시킬 수 있다.
픽서(89)는 픽서몸체(89a)와 가압부(89b), 탄성부(89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픽서몸체(89a)는 제빙트레이(61)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픽서몸체(89a)와 제빙트레이(61)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구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픽서몸체(89a)와 제빙트레이(61)는 나사 결합 구조를 통하여 서로 결합할 수 있고, 기타 여러 가지 결합 구조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가압부(89b)는 픽서몸체(89a)에서 상향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89b)는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를 가압할 수 있다. 가압부(89b)의 단부에는 탄성부(89c)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89c)는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와 접촉할 때 탄성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실의 유동 현상을 나타낸 측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실의 유동 현상을 나타낸 정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덕트(80)는 제빙트레이(61)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제빙트레이(61)와 드레인덕트(80) 사이에 소정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소정 공간은 제빙실용 팬(37)에 의해서 토출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토출유로(F1)로 사용될 수 있다. 제빙실(30)의 공기는 토출유로(F1)에서 제빙트레이(61)의 열교환용 리브(61f) 또는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와 열교환하여 냉각될 수 있다.
또한 제빙유닛(60)과 제빙실 케이스(31) 사이에 소정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소정 공간은 제빙실용 팬(37)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흡입유로(F2)로 사용될 수 있다.
드레인덕트(80)는 그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유입구(86)와, 그 외부로 공기를 유출시키는 제1유출구(87) 및 제2유출구(8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유입구(86)는 토출유로(F1)의 시작 지점에 마련될 수 있고, 제1유출구(87)는 토출유로(F1)의 마지막 지점에 마련될 수 있고, 제2유출구(88)는 토출유로(F1)의 중도에 마련될 수 있다. 제빙실(30)의 공기는 유입구(86)로 흡입된 후 제1유출구(87)를 빠져 나가면서 드레인덕트(8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유동할 수 있고, 제2유출구(88)를 빠져 나가면서 드레인덕트(80)의 폭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제1유출구(87)는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덕트(80)는 제빙실(30)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기 때문에 제1유출구(87)가 전방 하측을 향하도록 설치하여 제1유출구(87)에서 토출되는 냉기가 제빙실(30)의 구석까지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제1유출구(87)에서 토출되는 냉기는 얼음분쇄장치(52)까지 이동할 수 있으므로, 얼음분쇄장치(52)에 남아있는 얼음이 녹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유출구(88)는 흡입유로(F2)가 있는 방향의 반대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유출구(88)에서 토출되는 냉기가 흡입유로(F2)로 바로 진입하게 되면 제빙실용 팬(37)을 냉각시켜 제빙실용 팬(37)에 성에를 착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제2유출구(88)를 흡입유로(F2)가 있는 방향의 반대 방향에 설치하여, 제2유출구(88)에서 토출되는 냉기가 드레인덕트(80)의 하부를 거쳐서 제빙실(30)을 냉각시킨 후 흡입유로(F2)에 합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드레인덕트(80)의 하부에는 냉기의 유동이 지속적으로 있기 때문에 드레인덕트(80)의 하부에 성에가 착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국 제빙실용 팬(37)에 의해서 토출되는 공기는 유입구(86)를 통하여 토출유로(F1)로 유입되고, 토출유로(F1)에서 제빙트레이(61)의 열교환용 리브(61f) 및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와 열교환하여 냉각되고, 이후 제1유출구(87) 및 제2유출구(88)로 토출되어 제빙실(30) 전체를 냉각시킨 후 흡입유로(F2)로 통하여 다시 제빙실용 팬(37)으로 흡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동작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단열재가 발포되기 전 냉매파이프(28)는 냉장고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의 말단에는 고정부재(40)가 설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40)가 제빙실 케이스(31)에 결합됨에 따라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는 제빙실(30)에 삽입되어 제빙실(30)의 소정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이후 단열재를 발포하여 제빙실(30)과 냉장실(13), 냉동실(11)이 단열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제빙실(30)에 구동유닛(55) 및 제빙실용 팬(37)을 결합시킬 수 있다. 제빙실용 팬(37)은 제1토출구(33)에 위치할 수 있고, 제빙실용 팬(37)에 의해서 토출되는 공기는 제1토출구(33)와 안내덕트(32), 제2토출구(34)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제빙실(30)로 유입될 수 있다.
이후 제빙실(30)에 제빙유닛(60)을 결합시킬 수 있다.
먼저 드레인덕트(80)의 나사 결합을 해제하여 드레인덕트(80)와 제빙트레이(61) 사이에 소정 공간을 확보한 후 드레인덕트(80)와 제빙트레이(61) 사이 공간으로 제빙트레이(61)의 직냉부(28a)가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서포터(70)의 지지부(71)가 제빙실 케이스(31)의 안착부(31a)에 안착되도록 하고, 서포터(70)의 홈부(72)가 제빙실 케이스(31)의 고리부(31b)에 의해서 걸리도록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서포터(70)와 제빙실 케이스(31)의 록킹 구조 즉 서포터(70)의 록킹부재(73)가 제빙실 케이스(31)의 록킹부재 수용부(31c)에 결속됨으로써 제빙유닛(60)은 제빙실(3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드레인덕트(80)와 전장부 하우징(62)의 록킹 구조 즉 드레인덕트(80)의 제1나사체결부(83b)와 전장부 하우징(62)의 제2나사체결부(62b)가 나사(62c)에 의해서 결속됨으로써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는 제빙유닛(6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픽서(84)는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가 제빙트레이(61)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제빙유닛(60) 하측에 얼음저장용기(50)가 결합할 수 있다.
이후 제빙실용 팬(37)은 제빙실(30)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제빙실(30)을 냉각시킬 수 있다. 즉 제빙실용 팬(37)에 의해서 토출되는 공기는 토출유로(F1)에서 제빙트레이(61)의 열교환용 리브(61f) 및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와 열교환하여 냉각될 수 있고, 제1유출구(87) 및 제2유출구(88)로 토출되는 냉기는 제빙실(30) 전체를 냉각시킨 후 흡입유로(F2)로 통하여 다시 제빙실용 팬(37)으로 흡입될 수 있다.
한편, 제빙유닛(60)은 제빙실(3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제빙유닛(60)을 분리한 후 교체 또는 수리를 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작업자는 록킹부재(73)의 스위치부(73b)를 가압하여 록킹부재(73)의 결속부(73a)가 제빙실 케이스(31)의 록킹부재 수용부(31c)에서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드레인덕트(80)와 전장부 하우징(62)의 나사 결합을 해제하여 픽서(84)가 냉매파이프(28)의 직냉부(28a)에서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제빙실 케이스(31)의 고리부(31b)가 서포터(70)의 홈부(72)의 대경부(72a)를 통하여 서포터(70)의 홈부(72)에서 빠져 나가도록 하고, 서포터(70)의 지지부(71)가 제빙실 케이스(31)의 안착부(31a)에서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또는 작업자는 제빙유닛(60)을 제빙실(30)로부터 분리하여 밖으로 꺼낼 수 있다.

Claims (17)

  1. 제빙실을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제빙실에 마련되어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유닛;과
    상기 제빙유닛에 냉각에너지를 전달하는 냉매파이프를 가지는 냉동사이클;을 포함하고,
    상기 제빙실의 공기는 상기 제빙유닛 또는 상기 냉매파이프와 직접 열교환하여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실의 공기를 순환시켜 상기 제빙실의 공기가 상기 제빙유닛 또는 상기 냉매파이프와 접촉하여 열교환이 촉진되도록 하는 제빙실용 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유닛은 상기 제빙실의 공기와의 열교환을 촉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용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유닛은 상기 제빙실용 팬에 의해서 순환하는 상기 제빙실의 공기가 상기 제빙유닛을 통과하도록 가이드하는 드레인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실에는 상기 제빙실용 팬에 의해서 상기 제빙실용 팬으로 흡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흡입유로와, 상기 제빙실용 팬에서 토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빙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유로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유로를 형성하는 드레인덕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덕트는 상기 토출유로의 시작 지점에 마련되는 유입구;와, 상기 토출유로의 마지막 지점에 마련되는 제1유출구;와, 상기 토출유로의 중도에 마련되는 제2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제1유출구를 통하여 상기 드레인덕트의 길이 방향으로 토출되고, 나머지는 상기 제2유출구를 통하여 상기 드레인덕트의 폭 방향으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출구를 통하여 상기 드레인덕트의 폭 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흡입유로가 있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1항에 있어서,
    저장 용품을 저장하는 냉장실 또는 냉동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빙실은 상기 냉장실 또는 상기 냉동실과 단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파이프는 상기 제빙실로 삽입되어 상기 제빙유닛과 결합하는 직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유닛은 상기 냉매파이프의 직냉부가 안착되는 제빙트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빙트레이에는 상기 제빙실의 공기와의 열교환을 촉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파이프의 직냉부는 U 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용 리브는 상기 U 자형으로 형성된 냉매파이프의 직냉부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파이프의 직냉부를 상기 제빙트레이에 밀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픽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빙실에 마련되는 제빙유닛에 있어서,
    물을 수용하는 제빙트레이;와
    상기 제빙트레이에 냉각에너지를 전달하는 냉동사이클의 냉매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빙트레이와 상기 냉매파이프는 상기 제빙실의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매개체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유닛.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실의 공기를 순환시켜 상기 제빙실의 공기가 상기 제빙트레이와 상기 냉매파이프와의 열교환을 촉진되도록 하는 제빙실용 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유닛.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트레이는 상기 제빙실의 공기와의 열교환을 촉진시키는 적어도 나의 열교환용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유닛.
KR1020100000276A 2010-01-04 2010-01-04 제빙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1613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276A KR101613415B1 (ko) 2010-01-04 2010-01-04 제빙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US12/926,257 US8616018B2 (en) 2010-01-04 2010-11-04 Ice making unit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EP10191370.5A EP2341303B1 (en) 2010-01-04 2010-11-16 Ice making unit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CN201010586266.0A CN102116563B (zh) 2010-01-04 2010-12-08 制冰单元和具有该制冰单元的冰箱
US14/088,813 US8875536B2 (en) 2010-01-04 2013-11-25 Ice making unit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14/505,657 US9482458B2 (en) 2010-01-04 2014-10-03 Ice making unit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276A KR101613415B1 (ko) 2010-01-04 2010-01-04 제빙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101A true KR20110080101A (ko) 2011-07-12
KR101613415B1 KR101613415B1 (ko) 2016-04-20

Family

ID=43971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0276A KR101613415B1 (ko) 2010-01-04 2010-01-04 제빙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8616018B2 (ko)
EP (1) EP2341303B1 (ko)
KR (1) KR101613415B1 (ko)
CN (1) CN102116563B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9851A (ko) * 2012-01-03 2013-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30081136A (ko) * 2012-01-06 2013-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40059938A (ko) * 2012-11-09 2014-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9383131B2 (en) 2012-03-05 2016-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9791198B2 (en) 2012-06-27 2017-10-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9869504B2 (en) 2015-06-17 2018-01-16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Refrigerant channel-integrated ice making tr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0969152B2 (en) 2018-01-16 2021-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ce mak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084B1 (ko) 2010-01-04 2017-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1907167B1 (ko) * 2012-04-10 2018-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9513045B2 (en) 2012-05-03 2016-12-06 Whirlpool Corporation Heater-less ice maker assembly with a twistable tray
KR101916462B1 (ko) * 2012-06-22 2019-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025738B1 (ko) * 2012-07-06 2019-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이에 구비되는 열교환기
US8925335B2 (en) 2012-11-16 2015-01-06 Whirlpool Corporation Ice cube release and rapid freeze using fluid exchange apparatus and methods
US9593870B2 (en) 2012-12-03 2017-03-14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with thermoelectric device for ice making
US9863685B2 (en) 2012-12-03 2018-01-09 Whirlpool Corporation Modular cooling and low energy ice
US20160003514A1 (en) * 2012-12-10 2016-01-07 Daechang Co., Ltd. Icemaker
US9518770B2 (en) 2012-12-13 2016-12-13 Whirlpool Corporation Multi-sheet spherical ice making
US9410723B2 (en) 2012-12-13 2016-08-09 Whirlpool Corporation Ice maker with rocking cold plate
US9500398B2 (en) 2012-12-13 2016-11-22 Whirlpool Corporation Twist harvest ice geometry
US9273891B2 (en) 2012-12-13 2016-03-01 Whirlpool Corporation Rotational ice maker
US9518773B2 (en) 2012-12-13 2016-12-13 Whirlpool Corporation Clear ice maker
US9470448B2 (en) 2012-12-13 2016-10-18 Whirlpool Corporation Apparatus to warm plastic side of mold
KR101962139B1 (ko) * 2013-01-03 2019-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스메이커 및 그 제어방법
US9028407B1 (en) * 2013-12-13 2015-05-12 Safer Care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patient conditions
WO2016065269A2 (en) 2014-10-23 2016-04-28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rate of ice production in an automatic ice maker
KR101696850B1 (ko) * 2015-06-17 2017-01-16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아이스버킷 록킹장치를 갖는 냉장고 및 아이스버킷 록킹장치의 설치 방법
KR101696817B1 (ko) * 2015-06-17 2017-01-16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아이스버킷 록킹장치를 갖는 냉장고 및 아이스버킷 록킹장치의 설치 방법
US9976788B2 (en) 2016-01-06 2018-05-22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Ice maker with rotating ice tray
KR101798570B1 (ko) * 2016-04-08 2017-11-17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빙 장치
KR102024228B1 (ko) * 2016-04-12 2019-09-23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냉장고
US10731908B2 (en) 2017-04-26 2020-08-04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cold air supply for ice maker and ice level sensor
CN107044751B (zh) * 2017-05-25 2020-05-26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一种制冰机
US10712074B2 (en) 2017-06-30 2020-07-14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with tandem evaporators
US10948226B2 (en) * 2017-07-07 2021-03-16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Compact ice making system for slimline ice compartment
US10465966B2 (en) 2017-07-07 2019-11-05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Ice making system and air flow circulation for slimline ice compartment
US10712069B2 (en) 2017-07-07 2020-07-14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Compact ice making system having two part ice tray portion
US10352610B2 (en) 2017-09-27 2019-07-16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Refrigerator appliance
US10739053B2 (en) 2017-11-13 2020-08-11 Whirlpool Corporation Ice-making appliance
US11181309B2 (en) 2017-12-22 2021-11-23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Direct cooling ice maker
US10539354B2 (en) 2017-12-22 2020-01-21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Direct cooling ice maker
CN108895740B (zh) * 2018-04-25 2020-09-29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制冰机及冰箱
US10907874B2 (en) 2018-10-22 2021-02-02 Whirlpool Corporation Ice maker downspout
CN109341186B (zh) * 2018-11-28 2019-11-01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独立制冰系统的冰箱
US11953253B2 (en) * 2019-09-02 2024-04-09 Bsh Hausgeraete Gmbh Household ice maker and method of operating a household ice maker
KR20220092975A (ko) * 2019-11-13 2022-07-04 일렉트로룩스 홈 프로덕츠 인코퍼레이티드 직냉식 제빙기
US11519651B2 (en) 2020-01-03 2022-12-06 Bsh Hausgeraete Gmbh Ice maker with specific cooling of a storage container, and household cooling appliance
US11466913B2 (en) 2020-01-03 2022-10-11 Bsh Hausgeraete Gmbh Ice maker comprising specific cooling of a storage container and household cooling appliance
US11598566B2 (en) 2020-04-06 2023-03-07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volving ice maker
US11421927B2 (en) 2020-04-08 2022-08-23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Refrigerator appliance ice making and dispensing system
CN213300574U (zh) * 2020-09-18 2021-05-28 海信容声(广东)冰箱有限公司 具有制冰机的冰箱
CN114719513B (zh) * 2021-01-04 2023-06-16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制冰组件及冰箱
CN214536960U (zh) * 2021-01-04 2021-10-29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制冰组件及冰箱
CN214537002U (zh) * 2021-01-04 2021-10-29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制冰组件及冰箱
CN114719480B (zh) * 2021-01-05 2023-03-24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制冰组件及冰箱
CN113357869A (zh) * 2021-06-07 2021-09-07 海信容声(广东)冰箱有限公司 一种冰箱
CN116465133A (zh) * 2021-12-10 2023-07-21 海信冰箱有限公司 冰箱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58877A (en) * 1937-07-24 1939-05-16 Sylvester A Limpert Evaporator unit for refrigeration purposes
US2230905A (en) * 1940-05-15 1941-02-04 Louis L Popky Beverage cooling apparatus
US4142377A (en) * 1977-12-02 1979-03-06 General Motors Corporation Ice maker flexible tray construction
US4174742A (en) * 1978-02-08 1979-11-20 Murphey James 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nd dispensing snow cones
US4306423A (en) * 1980-10-09 1981-12-22 General Electric Company Flexible tray type ice maker
JPS623659Y2 (ko) * 1981-01-19 1987-01-27
US4651537A (en) * 1984-01-10 1987-03-24 Turbo Refrigerating Company Ice making machine
US4848102A (en) * 1988-02-29 1989-07-18 Insta-Chill, Inc. Ice making apparatus
KR910003551Y1 (ko) * 1989-03-03 1991-05-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제빙기의 증발기 구조
US5253487A (en) * 1989-11-15 1993-10-19 Kabushiki Kaisha Toshiba Automatic ice maker and household refrigerator equipped therewith
US5025637A (en) * 1990-04-16 1991-06-25 Hoshizaki Denki Kabushiki Kaisha Automatic ice making machine
US5172567A (en) * 1991-05-29 1992-12-22 Thermo King Corporation Eutectic beams for use in refrigeration
US5263334A (en) * 1992-02-21 1993-11-23 Hoshizaki Denki Kabushiki Kaisha Food service counter of the ice storage type
US5425243A (en) * 1992-08-05 1995-06-20 Hoshizaki Denki Kabushiki Kaisha Mechanism for detecting completion of ice formation in ice making machine
US5440892A (en) * 1994-08-29 1995-08-15 Hoshizaki Denki Kabushiki Kaisha Auger-type ice making machine
JP3342377B2 (ja) * 1997-11-20 2002-11-05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製氷装置
KR200163202Y1 (ko) * 1999-07-01 2000-02-15 경진아이스큐버주식회사 제빙기용증발플레이트
CN2387482Y (zh) * 1999-08-11 2000-07-12 国营常熟制冷设备厂 制冰机的翻板机构
KR100507929B1 (ko) * 2002-12-10 2005-08-17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제빙기
KR100889821B1 (ko) * 2003-01-27 2009-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온도조절 챔버를 구비한 냉장고
DE10336832A1 (de) * 2003-08-11 2005-03-1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wasserführenden Einbauten
KR100565622B1 (ko) * 2003-09-19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TW200519338A (en) * 2003-10-23 2005-06-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ce tray and ice making machine, refrigerator both using the ice tray
KR100547341B1 (ko) * 2004-01-28 200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050102993A (ko) * 2004-04-23 2005-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52964A (ko) * 2004-05-21 2004-06-23 최재숙 급속제빙 및 급속해빙에 의한 빙과 제조장치
JP2006194461A (ja) * 2005-01-11 2006-07-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製氷皿
US7337620B2 (en) * 2005-05-18 2008-03-04 Whirlpool Corporation Insulated ice compartment for bottom mount refrigerator
US7281386B2 (en) * 2005-06-14 2007-10-16 Manitowoc Foodservice Companies, Inc. Residential ice machine
US20070068188A1 (en) * 2005-09-29 2007-03-29 Tecumseh Products Company Ice maker circuit
US7762092B2 (en) * 2005-12-08 2010-07-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Ice making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7406838B2 (en) * 2005-12-12 2008-08-05 Ching-Hsiang Wang Ice-making machine
KR20070120765A (ko) * 2006-06-20 2007-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20080034780A1 (en) * 2006-08-11 2008-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ce mak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20080104991A1 (en) * 2006-11-03 2008-05-08 Hoehne Mark R Ice cube tray evaporator
US7614244B2 (en) * 2006-12-21 2009-11-10 General Electric Company Ice 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880464B1 (ko) * 2006-12-28 2009-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080061173A (ko) * 2006-12-28 2008-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08082214A1 (en) * 2006-12-28 2008-07-10 Lg Electronics Inc. Ice making system and method for ice making of refrigerator
US8408023B2 (en) * 2007-01-03 2013-04-0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ice maker
US8443621B2 (en) * 2007-01-03 2013-05-21 Lg Electronics Inc. Ice maker and method for making ice
US8453475B2 (en) * 2007-01-03 2013-06-04 Lg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ice
TW200839163A (en) * 2007-03-16 2008-10-01 Zippy Tech Corp An ice-making mechanism equipped with convection fan
KR101406187B1 (ko) * 2007-06-04 2014-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빙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9851A (ko) * 2012-01-03 2013-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30081136A (ko) * 2012-01-06 2013-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9383131B2 (en) 2012-03-05 2016-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9791198B2 (en) 2012-06-27 2017-10-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20140059938A (ko) * 2012-11-09 2014-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9869504B2 (en) 2015-06-17 2018-01-16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Refrigerant channel-integrated ice making tr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0969152B2 (en) 2018-01-16 2021-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ce ma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41303A3 (en) 2013-12-25
US20140083127A1 (en) 2014-03-27
EP2341303B1 (en) 2017-09-06
US8616018B2 (en) 2013-12-31
US8875536B2 (en) 2014-11-04
KR101613415B1 (ko) 2016-04-20
EP2341303A2 (en) 2011-07-06
US20150013374A1 (en) 2015-01-15
CN102116563A (zh) 2011-07-06
US9482458B2 (en) 2016-11-01
CN102116563B (zh) 2015-01-28
US20110162405A1 (en)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80101A (ko) 제빙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110080104A (ko) 냉장고
KR20110080103A (ko) 냉장고
US10775087B2 (en) Ice-making tray and refrigerator comprising same
KR101650303B1 (ko) 제빙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907166B1 (ko) 냉장고
US11035601B2 (en) Refrigerator
KR20130078530A (ko) 냉장고
WO2008082215A1 (en) Refrigerator
EP2097695B1 (en) Refrigerator
CN115046341B (zh) 一种制冰机及制冷设备
KR20170010305A (ko) 냉장고
CN117628763A (zh) 制冰机及制冷设备
KR20180035621A (ko) 냉장고
KR20180035620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