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0001A - 크로스 타이 용접 작업용 구조물 및 크로스 타이 용접 작업 방법 - Google Patents

크로스 타이 용접 작업용 구조물 및 크로스 타이 용접 작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0001A
KR20110080001A KR1020100000132A KR20100000132A KR20110080001A KR 20110080001 A KR20110080001 A KR 20110080001A KR 1020100000132 A KR1020100000132 A KR 1020100000132A KR 20100000132 A KR20100000132 A KR 20100000132A KR 20110080001 A KR20110080001 A KR 20110080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cross tie
tie
weld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0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4465B1 (ko
Inventor
이병도
허주호
신성광
이상복
백종소
윤진섭
박용오
편장훈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0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4465B1/ko
Publication of KR20110080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0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52Orientable fix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7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moving work to adjust its position betwee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62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workpieces having a special form or being made from a special material
    • B23Q3/064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workpieces having a special form or being made from a special material for holding elongated workpieces, e.g. pipes, bars o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8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ttachment of work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로스 타이 용접 작업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가용접 상태인 크로스 타이를 들어 올리기 위해 크로스 타이의 양단에 복수의 결속용 지지판을 끼운 상태로 설치하는 단계와; 고정용 지지판을 이용하여 복수의 결속용 지지판을 체결함으로써 이루어진 크로스 타이 결합판과 크로스 타이를 결합하는 단계와; 크로스 타이의 양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크로스 타이 지지대를 설치한 후, 크로스 타이 결합판과 크로스 타이의 회전축 간에 복수의 봉강을 체결하고 봉강에 의해 크로스 타이를 끌어당겨 들어올린 상태로 지지하는 단계와; 크로스 타이의 용접 부위에 대한 용접 작업을 수행하고 크로스 타이를 회전시키면서 크로스 타이의 다른 용접 부위에 대한 용접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크로스 타이에 대한 용접 작업시 턴 오버용 크레인 없이 회전식 지지대를 이용하여 용접 작업의 각 단계에 필요한 위치로 크로스 타이를 간편하게 회전시키면서 용접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용접 작업의 대기 시간을 단축하여 전체적인 작업 공수를 절감함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Description

크로스 타이 용접 작업용 구조물 및 크로스 타이 용접 작업 방법{ROTART SUPPORTER FOR CROSS-TIE AND WELDING METHOD OF CROSS-TIE}
본 발명은 크로스 타이 용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크로스 타이에 대한 용접 작업시 크로스 타이를 회전시키면서 용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크로스 타이 용접 작업용 구조물 및 크로스 타이 용접 작업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선박에 사용되고 있는 도 1a에 도시한 가용접 상태인 크로스 타이(Cross tie) 구조물(1)의 경우 자동 용접 기계를 이용하여 각 부재를 용접하고 있다. 그런데, 자동 용접 기계의 특성상 아래 보기 용접을 실시하여야 하기 때문에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로스 타이 구조물의 각 부재 별로 용접 작업 위치가 아래쪽에 배치되도록 수차례에 걸쳐 구조물의 방향을 바꾸어 주는 턴 오버(Turn-over) 작업을 실시한다.
이때, 턴 오버 작업은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를 사용하며 용접 작업은 대기 상태로 있게 된다. 이러한 작업이 한 구조물에 대해서도 여러 번 반복적으로 실시된다. 이에 따라 턴 오버용 크레인이 수시로 사용되며, 이로 인한 용접 작업의 대기 시간이 길어져서 전체 작업 공수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크로스 타이에 대한 용접 작업시 크레인 없이 크로스 타이를 회전시키면서 용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크로스 타이 용접 작업용 구조물 및 크로스 타이 용접 작업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 타이 용접 작업용 구조물은, 크로스 타이에 대한 용접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가용접 상태인 크로스 타이의 양단에 결합되며 복수개의 체결공을 갖는 크로스 타이 결합판과; 상기 크로스 타이의 양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회전축을 구비하고 크로스 타이 결합판의 체결공과 회전축에 봉강을 체결하여 봉강에 의해 크로스 타이를 끌어당겨 들어올린 상태로 지지하고 필요시 크로스 타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크로스 타이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크로스 타이 결합판은 크로스 타이에 끼워 결속하기 위한 끼움홈, 볼트공 및 체결공을 갖는 결속용 지지판과, 결속용 지지판과의 결속을 위한 볼트공을 갖는 고정용 지지판으로 구성되고, 크로스 타이에 결속용 지지판의 끼움홈을 끼운 상태로 복수개의 결속용 지지판을 설치하고 고정용 지지판의 볼트공이 결속용 지지판의 볼트공에 대응하도록 고정용 지지판을 설치한 후 볼트공에 볼트를 결합함으로써 형성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크로스 타이 용접 작업용 구조물은, 들어 올려진 크로스 타이를 받치기 위해 크로스 타이의 하부에 설치되는 처짐 방지용 지지대를 더 구비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 타이 용접 작업 방법은, 크로스 타이에 대한 용접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가용접 상태인 크로스 타이를 들어 올리기 위해 크로스 타이의 양단에 복수의 결속용 지지판을 끼운 상태로 설치하는 단계와; 고정용 지지판을 이용하여 복수의 결속용 지지판을 체결함으로써 이루어진 크로스 타이 결합판과 크로스 타이를 결합하는 단계와; 크로스 타이의 양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크로스 타이 지지대를 설치한 후, 크로스 타이 결합판과 크로스 타이 지지대의 회전축 간에 복수의 봉강을 체결하고 봉강에 의해 크로스 타이를 끌어당겨 들어올린 상태로 지지하는 단계와; 크로스 타이의 용접 부위에 대한 용접 작업을 수행하고 크로스 타이를 회전시키면서 크로스 타이의 다른 용접 부위에 대한 용접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크로스 타이 용접 작업 방법은, 처짐 방지용 지지대를 이용하여 크로스 타이의 중앙부를 받쳐 크로스 타이의 수평을 맞춘 후에 용접 작업을 수행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크로스 타이에 대한 용접 작업시 턴 오버용 크레인 없이 회전식 지지대를 이용하여 용접 작업의 각 단계에 필요한 위치로 크로스 타이를 간편하게 회전시키면서 용접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용접 작업의 대기 시간을 단축하여 전체적인 작업 공수를 절감함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 1a는 크로스 타이의 사시도.
도 1b는 크로스 타이의 용접 부위를 설명하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용 지지판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용 지지판의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 타이 지지대의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 타이 용접 작업 방법을 설명하는 공정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용 지지판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용 지지판의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 타이 지지대의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 타이 용접 작업 방법을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 타이 용접 작업용 구조물은 크로스 타이에 대한 용접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 타이 용접 작업용 구조물은 크게 가용접 상태인 크로스 타이의 양단에 결합되는 형태로서 결속용 지지판(120)과 고정용 지지판(130)이 결속되어 이루어진 크로스 타이 결합판(110) 및 크로스 타이 결합판(110)과는 봉강(140)에 의해 연결되는 크로스 타이 지지대(150)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속용 지지판(120)은 크로스 타이에 끼워 결속할 수 있도록 길다란 형태의 끼움홈(121)을 구비하고, 또한 고정용 지지판(130)과의 체결을 위한 볼트공(122) 및 봉강(140)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123)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용 지지판(130)은 결속용 지지판(120)과의 결속을 위한 볼트공(131)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크로스 타이에 결속용 지지판(120)의 끼움홈(121)을 끼운 상태로 복수개의 결속용 지지판(120)을 설치하고 고정용 지지판(130)의 볼트공(131)이 결속용 지지판(120)의 볼트공(122)에 대응하도록 고정용 지지판(130)을 설치한 상태에서 볼트공(122),(131)에 볼트(111)를 끼워 체결함으로써 크로스 타이 결합판(110)을 형성할 수가 있다.
상기 크로스 타이 지지대(150)는 크로스 타이의 양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한쌍이 설치되는데, 상부에 회전축(151)을 구비하여 크로스 타이 결합판(110)의 체결공(123)과 회전축(151)에 봉강(140)을 체결하여 봉강(140)에 의해 크로스 타이를 끌어당겨 들어올린 상태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또한 필요시에는 크로스 타이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별도의 크레인 없이 소형 장비 등을 이용하여 회전축(1510의 작용으로 간편하게 회전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 타이 용접 작업용 구조물은 들어 올려진 크로스 타이를 떠받치기 위해 크로스 타이의 중간 하부에 설치되는 처짐 방지용 지지대(160)를 더 구비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 타이 용접 작업 방법은 크로스 타이에 대한 용접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한 방법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가용접 상태인 크로스 타이(1)를 들어 올리기 위해 크로스 타이(1)의 양단에 복수의 결속용 지지판(120)을 끼운 상태로 설치한다. 계속해서, 고정용 지지판(130)을 이용하여 복수의 결속용 지지판(120)을 볼트(111) 등으로 상호 체결함으로써 이루어진 크로스 타이 결합판(110)과 크로스 타이(1)를 결합한다.
그리고, 크로스 타이(1)의 양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부에 회전축(151)을 구비한 크로스 타이 지지대(150)를 설치한 후에 크로스 타이 결합판(110)과 크로스 타이 지지대(150)의 회전축(151) 간에 복수개의 봉강(140)을 체결하고 봉강(140)에 의해 크로스 타이(1)를 끌어당겨 공중으로 들어올린 상태로 견고하게 지지한다.
마지막으로, 용접기를 이용하여 크로스 타이(1)의 용접 부위에 대한 용접 작업을 수행하고 소형 장비 등을 이용하여 힘을 가해 회전축(151)의 작용으로 크로스 타이(1)를 회전시키면서 크로스 타이(1)의 다른 용접 부위에 대한 용접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크로스 타이 용접 작업 방법은, 처짐 방지용 지지대(160)를 이용하여 크로스 타이(1)의 중앙부를 받쳐 크로스 타이(1)의 수평을 맞춘 후에 용접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하면, 크로스 타이에 대한 용접 작업시 크로스 타이를 들어올릴 때에만 크레인을 사용하고 이후에는 회전식 크로스 타이 지지대를 이용하여 용접 작업의 각 단계에 필요한 위치로 크로스 타이를 간편하게 회전시키면서 용접 작업을 수행할 수가 있기 때문에 용접 작업의 대기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크로스 타이에 대한 용접 작업에 대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 타이 용접 작업용 구조물 및 크로스 타이 용접 작업 방법을 한정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110 : 크로스 타이 결합판 111 : 볼트
120 : 결속용 지지판 121 : 끼움홈
122,131 : 볼트공 123 : 체결공
130 : 고정용 지지판 140 : 봉강
150 : 크로스 타이 지지대 151 ; 회전축
160 : 처짐 방지용 지지대

Claims (5)

  1. 크로스 타이에 대한 용접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가용접 상태인 크로스 타이의 양단에 결합되며 복수개의 체결공(123)을 갖는 크로스 타이 결합판(110)과;
    상기 크로스 타이의 양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회전축(151)을 구비하고 크로스 타이 결합판(110)의 체결공(123)과 회전축(151)에 봉강(140)을 체결하여 봉강(140)에 의해 크로스 타이를 끌어당겨 들어올린 상태로 지지하고 필요시 크로스 타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크로스 타이 지지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타이 용접 작업용 구조물.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타이 결합판(110)은 크로스 타이에 끼워 결속하기 위한 끼움홈(121), 볼트공(122) 및 체결공(123)을 갖는 결속용 지지판(120)과, 결속용 지지판(120)과의 결속을 위한 볼트공(131)을 갖는 고정용 지지판(130)으로 구성되고,
    크로스 타이에 결속용 지지판(120)의 끼움홈(121)을 끼운 상태로 복수개의 결속용 지지판(120)을 설치하고 고정용 지지판(130)의 볼트공(131)이 결속용 지지판(120)의 볼트공(122)에 대응하도록 고정용 지지판(130)을 설치한 후 볼트공(122),(131)에 볼트(111)를 결합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타이 용접 작업용 구조물.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타이 용접 작업용 구조물은,
    들어 올려진 크로스 타이를 받치기 위해 크로스 타이의 하부에 설치되는 처짐 방지용 지지대(16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타이 용접 작업용 구조물.
  4. 크로스 타이에 대한 용접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가용접 상태인 크로스 타이를 들어 올리기 위해 크로스 타이의 양단에 복수의 결속용 지지판을 끼운 상태로 설치하는 단계와;
    고정용 지지판을 이용하여 복수의 결속용 지지판을 체결함으로써 이루어진 크로스 타이 결합판과 크로스 타이를 결합하는 단계와;
    크로스 타이의 양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크로스 타이 지지대를 설치한 후, 크로스 타이 결합판과 크로스 타이 지지대의 회전축 간에 복수의 봉강을 체결하고 봉강에 의해 크로스 타이를 끌어당겨 들어올린 상태로 지지하는 단계와;
    크로스 타이의 용접 부위에 대한 용접 작업을 수행하고 크로스 타이를 회전시키면서 크로스 타이의 다른 용접 부위에 대한 용접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타이 용접 작업 방법.
  5.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타이 용접 작업 방법은,
    처짐 방지용 지지대를 이용하여 크로스 타이의 중앙부를 받쳐 크로스 타이의 수평을 맞춘 후에 용접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타이 용접 작업 방법.
KR1020100000132A 2010-01-04 2010-01-04 크로스 타이 용접 작업용 구조물 및 크로스 타이 용접 작업 방법 KR101134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132A KR101134465B1 (ko) 2010-01-04 2010-01-04 크로스 타이 용접 작업용 구조물 및 크로스 타이 용접 작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132A KR101134465B1 (ko) 2010-01-04 2010-01-04 크로스 타이 용접 작업용 구조물 및 크로스 타이 용접 작업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001A true KR20110080001A (ko) 2011-07-12
KR101134465B1 KR101134465B1 (ko) 2012-04-13

Family

ID=44919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0132A KR101134465B1 (ko) 2010-01-04 2010-01-04 크로스 타이 용접 작업용 구조물 및 크로스 타이 용접 작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44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14282A (zh) * 2015-08-03 2015-11-04 共享钢构有限责任公司 一种十字柱快速定位装置及方法
CN111843338A (zh) * 2020-07-09 2020-10-30 中国二冶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加工电缆支架的加工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622B1 (ko) * 2013-01-09 2014-07-17 황원규 해양 플랜트의 크로스 모듈 용접 방법.
CN106002364A (zh) * 2016-06-08 2016-10-12 江西洪都航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工字型材数控加工装夹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6056A (en) * 1990-11-30 1993-10-26 Gencorp Inc. Self-clamping mold assembly
KR200152024Y1 (ko) 1996-08-29 1999-07-15 박용실 가두리양식장 구축용 각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14282A (zh) * 2015-08-03 2015-11-04 共享钢构有限责任公司 一种十字柱快速定位装置及方法
CN111843338A (zh) * 2020-07-09 2020-10-30 中国二冶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加工电缆支架的加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4465B1 (ko) 201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4465B1 (ko) 크로스 타이 용접 작업용 구조물 및 크로스 타이 용접 작업 방법
JP2010024776A (ja) 建材の建て起こし装置、建材の建て起こし方法
JP5473294B2 (ja) 天井クレーンの据付け方法及び据付けシステム
JP2011020779A (ja) 鋼板ブロック反転装置および鋼板ブロック反転方法
CN204282843U (zh) 一种劲性混合结构中钢梁安装的滑移式吊装就位装置
JP4510918B1 (ja) 杭打機
JP6508958B2 (ja) 解体システムおよび解体方法
CN205257845U (zh) 小型吊装机具
JP6508959B2 (ja) 解体システムおよび解体方法
CN204225503U (zh) 大跨度钢桁架高空散装转换梁胎架
JP2015059303A (ja) 足場の支持構造及び吊り足場の設置方法
CN202787300U (zh) 固定式塔吊基础地脚螺栓位置控制模具
CN203684694U (zh) 一种可将布料机安装在电梯井内的连接装置
JP2011241084A (ja) 壁つなぎ装置及び壁つなぎ装置の取付方法
KR100586843B1 (ko) 지붕막 구조물 및 지붕막 구조물의 리프트 업 시공방법
CN206829645U (zh) 一种预制楼板的定位装置
CN203096947U (zh) 一种装配式建筑梁柱节点连接机构
JP2016138639A (ja) 免震装置交換構造、及び免震装置交換方法
CN204402068U (zh) 用于工业厂房改造的屋架结构荷载快速转移装置
CN215801774U (zh) 一种预埋工装
JP3834325B2 (ja) 建物の解体方法
CN103114653A (zh) 一种装配式建筑梁柱节点连接机构
JP4488150B2 (ja) 建築用パネルの吊り上げ用治具
JP2018087482A (ja) クロスバーを含んだ基礎構造物施工方法
JP3471248B2 (ja) 門型クレ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