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0622B1 - 해양 플랜트의 크로스 모듈 용접 방법. - Google Patents

해양 플랜트의 크로스 모듈 용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0622B1
KR101420622B1 KR1020130002551A KR20130002551A KR101420622B1 KR 101420622 B1 KR101420622 B1 KR 101420622B1 KR 1020130002551 A KR1020130002551 A KR 1020130002551A KR 20130002551 A KR20130002551 A KR 20130002551A KR 101420622 B1 KR101420622 B1 KR 101420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moving
hole
moving memb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2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원규
Original Assignee
황원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원규 filed Critical 황원규
Priority to KR1020130002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06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02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해양 플랜트에서 모듈끼리 조립시 크로스 포인트 때문에 용접이 힘들며, 특이 비철 같은 경우는 퍼지(purge)를 만들어 주어야함에도 설비파이프가 긴 관계로 알르곤 공간(space)이 안됨으로 그로 인하여 용접불량이 쉽게 나게 된다.또한 TIG용접시 퍼지(purge)를 해야함에 공간적이 협소하기 때문에 용접이 힘든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 준비단계, 제 1 이동부재 이동단계, 제 2 이동 부재 이동단계, 용접작업시 필요한 부재이동 단계, 용접단계, 용접 후 제거 단계로 나누어지며, 각 단계에서 제 1 이동부재 와 제 2 이동 부재를 두 개의 모터를 정방향, 역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설비 배관과 용접할 설비 배관의 끝단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용접에 필요한 자재를 손쉽게 이동하여 용접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해양 플랜트의 크로스 모듈 용접 방법. {Marine plant welding method of cross module}
본 발명은 해양 플랜트 크로스 배관 용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더 상세하게는 해양 플랜트와 같이 협소한 공간에서의 모듈 용접 공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플랜트산업 중 가스 석유화학 플랜트 산업, 발전 단수 플랜트 산업으로 크게 나누어지며, 그 중 가스 석유 화학 플랜트는 각각의 부품을 단계별로 제작하여 해양에서 조립하는 것으로, 현재 사 대양에서 활발히 진행이 되고 있다.
그러나 해양 플랜트와 같이 좁은 공간에서 다수개의 공정들이 집적되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설비들을 연결함에 있어, 지반에서 설치하는 것보다 시간과 정교함이 많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출원번호 10-2010-0000132호의" 크로스 타이 용접 작업용 구조물 및 크로스 타이 용접 작업 방법 "이 개발되었으나 상기의 특허는 주로 크로스 타이에 대한 용접과 용접 작업시 크레인 없이 크로스 타이를 회전시키면서 용접 작업을 수행할 있는 목적이 있기 때문에 장소가 협소한 곳에서 사용하기 어려우며, 또한 TIG용접시에 퍼지(purge)에 관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가 없다.
해양 플랜트에서 모듈끼리 조립시 크로스 포인트 때문에 용접이 힘들며, 특이 비철 같은 경우는 퍼지(purge)를 만들어 주어야함에도 설비파이프가 긴 관계로 아르곤 공간(space)이 안됨으로 그로 인하여 용접불량이 쉽게 나게 된다. 또한, TIG용접시 퍼지(purge)를 해야함에 공간적이 협소하기 때문에 용접이 힘든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준비단계, 제 1 이동 부재 이동단계, 제 2 이동 부재 이동단계, 용접작업시 필요한 부재이동 단계, 용접단계, 용접 후 제거 단계로 나누어지며,
각 단계에서 제 1 이동 부재와 제 2 이동 부재를 두 개의 모터를 정방향, 역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설비 배관과 용접할 설비 배관의 끝단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용접에 필요한 자재를 손쉽게 이동하여 용접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해결함으로써, 제 1 이동 부재와 제 2 이동 부재를 다시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크로스 포인트에 용접을 할 경우에도 손쉽게 용접이 가능하며,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 + "형 본체 플레이트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이동 부재 이동단계를 도시한 상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 2 이동 부재 이동단계를 도시한 상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용접 작업시 필요한 부재 이동단계를 도시한 상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용접 단계를 도시한 상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용접 후 제거 단계를 도시한 상태도.
도 7 은 본 별도의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 예를 도시한 상태도.
도 9 는 도 8의 A 부분 확대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 예의 제 2 이동 부재의 이동결과에 따른 상태도.
도 11 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 예의 인사이드 퍼지 지그 연결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 는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 예를 도시한 상태도.
본 발명은 크게 6단계로 구성되어 진다.
준비단계, 제 1 이동 부재 이동단계, 제 2 이동 부재 이동단계, 용접작업시 필요한 부재이동 단계, 용접단계, 용접 후 제거 단계.
◎ 준비단계;
" + " 자형 본체 플레이트(plate)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통공이 날개부에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관통공이 구비되고, 상부는 롤러가 장착되며,
상기한 통공에 고정장치의 상부에 구비된 통공으로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결합한 후, 본체 플레이트와 삽입 부재 및 패킹을 설비 배관에 삽입하는 단계.
◎ 제 1 이동 부재 이동단계;
본체 플레이트(plate)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공으로 낙하 부재가 포함된 제 1 이동 부재를 삽입하고, 본체 플레이트(plate)의 관통공에 공기(air)를 불어 용접할 설비 배관 끝단까지 이동하는 단계.
◎ 제 2 이동 부재 이동단계;
상기한 용접할 설비 배관 끝단까지 노출된 제 1 이동 부재의 끝단을 제 2 이동 부재로 교체한 후 제 2 이동 부재를 모터를 이용하여 제 1 이동 부재의 이동경로 역순으로 이동하는 단계.
◎ 용접 작업시 필요한 부재 이동단계:
상기한 제 2 이동 부재에 용접시 필요한 부재를 구비한 후 모터를 이용하여 제 2 이동 부재 이동경로로 이동하는 단계.
◎ 용접단계
상기한 제 2 이동 부재에 용접시 필요한 부재를 이용하여 용접을 하는 단계.
◎ 용접 후 제거 단계
용접 후 제 2 이동 부재를 모터를 이용하여 다시 설비 배관으로 이동하는 단계.
◎ 별도의 제 1 실시한 예
인사이드 퍼지 지그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내입부가 형성되며,
상기한 내입부에 탄성 부재를 구비한 경사유도부가 구비되며, 경사유도부의 일 측면에 인사이드 퍼지 지그를 지지할 수직 지지정부재가 구성되며,
상기한 수직 지지 고정부재의 본체에는 상측과 하측으로 지지대 내입부가 관통되며, 지지대 내입부에 지지부가 삽입되고, 본체의 연결부와 상, 하측의 연결부는 각각의 동일한 지름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고정핀으로 고정된다.
◎ 별도의 제 2 실시한 예
제 1 결합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연결부와 제 1 인사이드 퍼지 지그의 상부의 구비된 연결부는 제 2 이동부재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한 제 1 결합부재의 상부에는 가스유입구가 구비되고, 타측 하저면에는 2개 이상의 가스 유출공와 하부 연결부로 구성되고,
상기한 하부 연결부와 제 2 결합부재의 상부 연결부 및 제 2 인사이드 퍼지 지그의 연결부로 연결되는 구조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준비단계에 사용되는 " + " 자형 본체 플레이트(1)에 대하여 도시된 것이다.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의 통공(2)이 날개부(3)에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관통공(4)이 구비되고, 상부는 롤러(5)가 장착되며, 상기한 통공(2)에 고정장치(6)의 상부에 구비된 통공(7)으로 볼트(8)와 너트(9)를 이용하여 결합 된 후,
본체 플레이트(1)와 삽입 부재(11) 및 패킹(12)을 설비 배관(20)에 삽입하는 단계로 써;
위에서 살펴본 본체 플레이트에 대한 각각의 역할은 ;
복수 개의 통공(2)은 설비 배관(20) 단면의 지름(Ø)에 따라 고정장치(6)의 위치를 볼트(8)와 너트(9)를 이용하여 바꾸어 달수 있도록 설치된 것이며,
본체 플레이트(1) 중앙부의 관통공(4)은 제 1 이동 부재(40) 및 제 2 이동 부재(60)의 지름(Ø)에 맞춰서 관통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롤러(5)는 제 1 이동 부재(40)와 제 2 이동 부재(60)가 모터(100)를 이용하여 감고, 풀릴 수 있도록 지지하는 구실을 하게 되며,
삽입 부재(11)는 고정장치(6) 하측과 접하게 되어 고정장치(6)와 설비 배관(20)의 단면을 밀폐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패킹(12)은 본체 플레이트(1)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4)으로 에어 콤프라샤(도시하지 않았음)에서 공기(air)(10)가 토출 되어 낙하 부재(30)를 움직이기 하기 위하여 본체 플레이트(1)와 설비 배관(20) 단면을 다시 한번 밀폐하게 된다.
또한, 낙하 부재(3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형체는 소형 낙하산이라 할 수 있다.
도 2 는 제 1 이동 부재 이동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본체 플레이트(1)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공(4)으로 낙하 부재(30)와 제 1 이동 부재(40)를 묶어 삽입하고, 상기한 관통공(4)에 공기(air)(10)를 불어 용접할 설비 배관의 끝단(50)까지 이동하는 단계로 써;
제 1 이동 부재(40)와 낙하 부재(30)는 도 2 에 표기된 것처럼 함께 묶어 있음으로. 본체 플레이트(1)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공(4)으로 에어(air)(10)가 토출되면 제 1 이동 부재(40)와 낙하 부재(30)는 용접할 설비 배관 끝단(50)까지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제 1 이동 부재(40)의 재질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어 적은 공기(air)(10)에도 제 1 이동 부재(40)와 낙하 부재(30)가 같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3 은 제 2 이동 부재 이동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용접할 설비 배관 끝단(50)까지 삽입된 제 1 이동 부재(40)의 끝단을 제 2 이동 부재(60)로 교체한 후 제 2 이동 부재(60)를 제 1 이동 부재의 이동경로(40-1)의 역순으로 이동하는 단계로써;
용접할 설비 배관 끝단(50)까지 나온 제 1 이동 부재(40)의 끝 부분을 제 2 이동 부재(60)와 함께 묶은 후 모터(200)에 연결시 킨 후 앞서 설치된 모터(10)를 당긴(정방향) 후 모터(20)를 풀어주기(역방향) 되면, 제 1 이동 부재(40)와 제 2 이동 부재(60)는 다시 설비배관(20)으로 나오게 된다.
또한, 제 1 이동 부재(40)와 제 2 이동 부재(60)를 번거롭지만 이동 부재를 나누어 사용하는 이유는 제 1 이동 부재(40)는 낙하 부재(30)와 함께 공기(air)(10)로 용접할 설비 배관 끝단(50)까지 가야 하기 때문에 재질이 합성수지처럼 부피와 무게가 많이 나가지 않는 특성을 지니고 있어야 하며,
제 2 이동 부재(60)는 용접시 부재들을 용접할 배관 끝단(50)으로 이동해야함으로 제 1 이동 부재(40)보다는 중량이 무거운 와이어를 사용한다.
도 4 는 용접 작업시 필요한 부재 이동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제 2 이동 부재(60)에 용접시 필요한 부재를 구비한 후 다시 제 2 이동 부재 (60) 이동경로로 이동하는 단계로써;
설비 배관(20)으로 나온 제 1 이동 부재(40)와 제 2 이동 부재(60) 중 제 1 이동 부재(40)를 제거한 후 제 2 이동 부재(60)에 용접에 필요한 부재(70)들을 묶은 후 모터(100)를 풀어주면서(역방향), 모터(200)를 당겨주게 (정방향) 되면, 제 2 이동 부재(60)와 호스 및 기타재료는 용접할 설비 배관의 끝단(50)까지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 사용되는 모터(100)(200)는 정방향, 역방향이 가능한 모터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의 모터(20)는 사용하고자 하는 위치가 용접할 설비 배관의 끝단(50)에 위치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손쉽게 파지하고 이동할 수 있도록 소형의 모터를 사용하여 된다.
또한, 상기의 모터(100)는 상기의 모터(200)보다 사용할 위치가 설비배관(시작부분) 근처이기 때문에 모터(200)보다 부피가 크더라도 상관이 없다.
도 5 는 용접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제 2 이동 부재(60)에 용접시 필요한 부재를 묶어 이동한 후 용접을 하는 단계로써;
모터(100)와 모터(200)의 역방향, 정방향의 작용으로 제 2 이동 부재(60)와 함께 이동된 용접시 필요한 부재(70)로 용접준비를 하는 것이다.
상기한 용접시 필요한 부재(70)는 TIG 용접시 필요한 아르곤 가스 호스이며, 작업자가 용접에 필요한 물품 등이다.
제 2 이동 부재(60)에서 용접시 필요한 부재(70)를 이탈시킨 후 모터(200)에 연결된 제 2 이동 부재(60)도 같이 이탈시킨다. 그러므로 제 2 이동 부재(60)은 모터(100)에만 연결되어 있다.
도 6 은 용접 후 제거 단계로써,
용접 후 제 2 이동 부재(60)를 다시 설비 배관(20)으로 이동하는 단계이다.
용접이 끝난 후 제 2 이동 부재(60)에 유일하게 연결된 모터(100)를 당기면서(정방향) 제 2 이동 부재(60)은 설비배관(20)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7 ~ 도 10은 발명의 별도의 제 1 실시 예시 도이다.
인사이드 퍼지 지그(300)에 상부에 손잡이(301)가 구비되고, 타측의 상측과 하측에는 각각 내입부(300-1)(300-2)가 구성되고, 상기한 내입부(300-1)(300-2)에 탄성 부재(400-1)를 구비한 경사유도부(400)가 삽입되어,
인사이드 퍼지 지그(300)의 외 둘레에 접하게 되고, 타측은 지지부재(500)가 접하게 되며,
상기한 지지부재(500)의 상측에 형성된 관통공(500-1)과 제 1 연결부재(510)의 관통공(510-1)으로 고정핀(530)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지지부재(500)의 하측에 구비된 관통공(500-2)와 제 2 연결부재(520)도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연결되어 회동이 용이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으로 이루어진 인사이드 퍼지 지그(300)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TIG 용접시 배관의 지름이 크게 되면 인사이드 퍼지 지그의 재질이 실리콘이기 때문에 배관에 쉽게 흡착되기 힘들며, 주변의 영향에 의하여 고정되기 힘든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므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지부재가 구성되게 된다.
또한, 앞서 서술한 것처럼 제 2 이동 부재(60)에 유일하게 연결된 모터(100)를 당기면서(정방향) 제 2 이동 부재(60)은 설비배관(20)으로 이동함으로써 용접 후 제거 단계에 들어간다.
여기서 인사이드 퍼지 지그의 손잡이 부분을 연결함으로써, 제 2 이동 부재(60)의 이동에 의한 인사이드 퍼지 지그가 이탈 되게 된다.
그러나 인사이드 퍼지 지그의 크기가 크게 되면 쉽게 이탈되지 않기 때문에 인사이드 퍼지 지그의 측면에 경사 유도부가 접하게 되며, 경사 유도부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져 있기에 때문에 손쉽게 이탈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실시하고자 할 때에는 인사이드 퍼지 지그의 손잡이 부분에 제 2 이동 부재를 묶은 후 인사이드 퍼지 지그의 내입부에 경사유도부를 삽입한 후,
상기한 경사유도부의 일 측면에 지지부재를 설치하게 되며, 상술한 용접 후 제거 단계에서 제 2 이동 부재(60)이 모터(100)의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 2 이동 부재(60)에 묶여 있던 인사이드 퍼지 지그의 손잡이가 제 2 이동 부재 이동경로(60-1) 기울어지게 되고, 인사이드 퍼지 지그의 내입부에 삽입되어 고정된 경사유도부의 탄성 부재의 휨과 비틀림으로써,
제 2 이동 부재 이동경로(60-1)의 역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며, 이에 접촉된 지지부재는 이탈되게 됨으로써 인사이드 퍼지 지그와 경사유도부 및 지지부는 관내에서 이탈되게 된다.
도 11 ~ 도 12는 발명의 별도의 제 2 실시 도이다.
용접단계; 상기한 제 2 이동 부재(60)에 용접시 필요한 부재(70)를 이용하여 용접을 한 뒤, 제 2 이동 부재(60)를 용접할 설비 배관 끝단(50)에 설치된 제 1 인사이드 퍼지 지그(700)의 관통공(702)에 제 1 결합부재(600)가 삽입되며,
제 1 결합부재(60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연결부(601)와 제 1 인사이드 퍼지 지그(700)의 상부의 구비된 연결부(701)는 제 2 이동부재(6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한 제 1 결합부재(600)의 상부에는 가스유입구(603)가 구비되고, 타측 하저면에는 2개 이상의 가스 유출공(604)와 하부 연결부(602)로 구성되고,
상기한 하부 연결부(602)와 제 2 결합부재(600-1)의 상부 연결부(601-1) 및 제 2 인사이드 퍼지 지그(700-1)의 연결부(701-1)로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 1 결합부재 는 도 11 에서 도시된 것처럼 제 1 인사이드 퍼지 지그의 관통공이 구성되고, 관통공 내주면은 경사면이 형성되어 제 1 결합부재의 외주면의 경사면과 대접 되게 구성되어야 하며,
상기의 제 1 결합부재의 중앙부에는 가스 유입구가 설치되고, 반대편에는 2개 이상의 가스 유출공이 형성되는 이유는 유입된 가스가 퍼지(purge)역활을 하기 때문이며, 2개 이상의 용접부위가 발생하여도, 제 1 결합부재의 상부 연결부와 제 1 인사이드 퍼지 지그의 상부 연결부와 연결되고,
또한, 제 1 결합부재의 하부 연결부도 제 2 결합부재에 연결됨으로 연속적으로 제 1, 2 결합부재와 제 1, 2 인사이드 퍼지지그가 연결이 가능함으로써, 두 개 이상의 용접부위가 발생하더라도 손쉽게 인사이드 퍼지 지그를 이탈시킬 수가 있으며,
이탈시키는 방법은 앞서 상술한 도 6 은 용접 후 제거 단계를 대입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용접이 끝난 후 제 2 이동 부재에 유일하게 연결된 모터를 당기면서(정방향) 제 2 이동 부재(60)는 설비배관(20)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제 2 이동 부재(60)는 제 1, 2 결합부재와 제 1,2 인사이드 퍼지 지그와 함께 연결되어 있음으로, 도 12 에 도시된 것처럼 한 방향으로 이탈되게 된다.
본체 플레이트 1
통공 2
날개부 3
관통공 4
롤러 5
고정장치 6
통공 7
볼트 8
너트 9
공기(air) 10
설비 배관 20
제 1 이동 부재 40
제 1 이동 부재 경로 40-1
용접할 배관 끝단 50
제 2 이동 부재 60
제 2 이동 부재 이동경로 60-1
용접시 필요한 부재 70
모터 100,200
인사이드 퍼지 지그 300
손잡이 301, 301-1
강선 301-2
내입부 300-1, 300-2
경사유도부 400
탄성 부재 400-1
지지부재 500
제 1 연결 부재 510
관통공 510-1
제 2 연결 부재 520
관통공 500-1, 500-2
고정핀 503
제 1 결합부재 600
상부 연결부 601
하부 연결부 602
가스 유입구 603
가스 유출공 604
제 1 인사이드 퍼지 지그 700
연결부 701
관통공 702
강선 800

Claims (3)

  1. 해양 플랜트의 크로스 모듈 용접 방법 있어서,
    준비단계;" + "자형 본체 플레이트(plate)(1)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통공(2)이 날개부(3)에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관통공(4)이 구비되고, 상부는 롤러(5)가 장착되며, 상기한 통공(2)에 고정장치(6)의 상부에 구비된 통공(7)으로 볼트(8)와 너트(9)를 이용하여 결합한 후, 본체 플레이트(1)와 삽입 부재(11) 및 패킹(12)을 설비 배관(20)에 삽입하는 단계.
    제 1 이동 부재 이동단계; 상기의 본체 플레이트(plate)(1)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공(4)으로 낙하 부재(30)가 포함된 제 1 이동 부재(40)를 삽입하고, 본체 플레이트(plate)(1)의 관통공(4)에 공기(air)(10)를 불어 용접할 설비 배관 끝단(50)까지 이동하는 단계.
    제 2 이동 부재 이동단계; 상기한 용접할 설비 배관 끝단(50)까지 토출된 제 1 이동 부재(40)의 끝단을 제 2 이동 부재(60)로 교체한 후 제 2 이동 부재(60)를 모터(100)를 이용하여 제 1 이동 부재의 이동경로(40-1) 역순으로 이동하는 단계.
    용접 작업시 필요한 부재 이동단계: 상기한 제 2 이동 부재(60)에 용접시 필요한 부재(70)를 구비한 후 모터(200)를 이용하여 제 2 이동 부재 이동경로(60-1)로 이동하는 단계.
    용접단계; 상기한 제 2 이동 부재(60)에 용접시 필요한 부재(70)를 이용하여 용접을 하는 단계.
    용접 후 제거 단계; 용접 후 제 2 이동 부재(60)를 모터(100)를 이용하여 다시 설비 배관(20)으로 이동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플랜트의 크로스 모듈 용접 방법.
  2. 1 항에 있어서,
    용접단계; 상기한 제 2 이동 부재(60)에 용접시 필요한 부재(70)를 이용하여 용접을 한 뒤, 제 2 이동 부재(60)를 용접할 설비 배관 끝단(50)에 설치된 인사이드 퍼지 지그(300)의 손잡이(301)에 묶어 연결하는 단계로써,
    상기한 인사이드 퍼지 지그(300)에 일측에는 손잡이(301)이 구비되고, 타측의 상측과 하측에는 각각 내입부(300-1)(300-2)가 구성되고,
    상기한 내입부(300-1)(300-2)에 탄성 부재(400-1)를 구비한 경사유도부(400)가 삽입되어,
    인사이드 퍼지 지그(300)의 외 둘레에 접하게 되고, 타측은 지지부재(500)가 접하게 되며, 상기한 지지부재(500)의 상측에 형성된 관통공(500-1)과 제 1 연결부재(510)의 관통공(510-1)으로 고정핀(530)에 의해 연결되며,
    지지부재(500)의 하측에 구비된 관통공(500-2)과 제 2 연결부재(520)의 관통공(500-2)으로 고정핀(530-1)에 의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플랜트의 크로스 모듈 용접 방법.
  3. 1 항에 있어서
    용접단계; 상기한 제 2 이동 부재(60)에 용접시 필요한 부재(70)를 이용하여 용접을 한 뒤, 제 2 이동 부재(60)를 용접할 설비 배관 끝단(50)에 설치된 제 1 인사이드 퍼지 지그(700)의 관통공(702)에 제 1 결합부재(600)가 삽입되며,
    제 1 결합부재(60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연결부(601)와 제 1 인사이드 퍼지 지그(700)의 상부의 구비된 연결부(701)는 제 2 이동부재(6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한 제 1 결합부재(600)의 상부에는 가스유입구(603)가 구비되고, 반대측 외주면에 2개 이상의 가스 유출공(604)와 하부 연결부(602)로 구성되며,
    상기한 하부 연결부(602)와 제 2 결합부재(600-1)의 상부 연결부(601-1) 및 제 2 인사이드 퍼지 지그(700-1)의 연결부(701-1)는 강성에 의하여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플랜트의 크로스 모듈 용접 방법.








KR1020130002551A 2013-01-09 2013-01-09 해양 플랜트의 크로스 모듈 용접 방법. KR101420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551A KR101420622B1 (ko) 2013-01-09 2013-01-09 해양 플랜트의 크로스 모듈 용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551A KR101420622B1 (ko) 2013-01-09 2013-01-09 해양 플랜트의 크로스 모듈 용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0622B1 true KR101420622B1 (ko) 2014-07-17

Family

ID=51742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2551A KR101420622B1 (ko) 2013-01-09 2013-01-09 해양 플랜트의 크로스 모듈 용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06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0123B1 (ko) * 2019-05-30 2020-02-11 (주)케이씨이앤씨 배관 용접용 국소 퍼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0638A (ko) * 1993-09-23 1995-04-28 박경팔 복합 입력신호에 대한 신호 분리 처리장치
KR200152024Y1 (ko) * 1996-08-29 1999-07-15 박용실 가두리양식장 구축용 각재
KR101134465B1 (ko) * 2010-01-04 2012-04-13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크로스 타이 용접 작업용 구조물 및 크로스 타이 용접 작업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0638A (ko) * 1993-09-23 1995-04-28 박경팔 복합 입력신호에 대한 신호 분리 처리장치
KR200152024Y1 (ko) * 1996-08-29 1999-07-15 박용실 가두리양식장 구축용 각재
KR101134465B1 (ko) * 2010-01-04 2012-04-13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크로스 타이 용접 작업용 구조물 및 크로스 타이 용접 작업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0123B1 (ko) * 2019-05-30 2020-02-11 (주)케이씨이앤씨 배관 용접용 국소 퍼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229762A (ja) 線条体収容型アームを備えたロボット
KR101142264B1 (ko) 지능형 로봇장치를 이용한 강관 외면 자동용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용접방법
US20140054089A1 (en) Auxiliary Arm for Drilling Equipment
JP7133809B2 (ja) 配管内点検ロボット
CN104690479B (zh) 框架整体式专用夹具
KR101420622B1 (ko) 해양 플랜트의 크로스 모듈 용접 방법.
CN107848123B (zh) 具有能量管线束的机器人
WO2009105697A1 (en) Friction welded compression based tubular structures and method for forming same
US8745833B2 (en) Method of partially replacing shell plate of tower or vessel
KR20090024540A (ko) 자동 용접 시스템
KR20160136615A (ko) 구동수단이 구비되는 배전용 일체형 긴선장치
JP5399366B2 (ja) ドア把持装置及び方法
AU2008202221A1 (en) Strongback Traveling Clamp
KR20220081470A (ko) 케이블 포설용 치구
KR101690204B1 (ko) 플랜지 정렬용 지그장치
CN110402346B (zh) 具有集成绞盘的塔架
JP4648890B2 (ja) 管内用穿孔装置
JP4313248B2 (ja) 送電線鉄塔上のがいし連脱落防止用割りピンの補修装置
KR101399603B1 (ko) 파이프 취부 장치
KR102593369B1 (ko) 엘보 또는 t자형 구조의 파이프에 대한 용접기능을 향상시킨 용접지그
CN111201109B (zh) 焊接装置
KR200435797Y1 (ko) 수송관 연결용 지그
CN219725046U (zh) 一种箱型钢结构焊接行走轨道装置
JP6130720B2 (ja) ワイピングガス装置
JP6632194B2 (ja) 外装管の除去装置、及び、外装管の除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