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9594A - 이동형 엑스선 튜브를 이용한 엑스선 검사 장치 및 엑스선 검사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형 엑스선 튜브를 이용한 엑스선 검사 장치 및 엑스선 검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9594A
KR20110079594A KR1020110057393A KR20110057393A KR20110079594A KR 20110079594 A KR20110079594 A KR 20110079594A KR 1020110057393 A KR1020110057393 A KR 1020110057393A KR 20110057393 A KR20110057393 A KR 20110057393A KR 20110079594 A KR20110079594 A KR 20110079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metal tube
inspection apparatus
rays
ray insp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7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4761B1 (ko
Inventor
조계표
김영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엑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엑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엑서스
Priority to KR1020110057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4761B1/ko
Publication of KR20110079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9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 G01N23/04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using fluoroscopic examination, with visual observation or video transmission of fluoroscopic ima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 G01N23/08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the radiation being X-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10Different kinds of radiation or particles
    • G01N2223/101Different kinds of radiation or particles electromagnetic radiation
    • G01N2223/1016X-ra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30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 G01N2223/33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scanning, i.e. relative motion for measurement of successive object-parts
    • G01N2223/3303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scanning, i.e. relative motion for measurement of successive object-parts object fixed; source and detector mov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28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tubes, pi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이동형 X선 튜브를 이용한 X선 검사 장치 및 X선 검사 방법이 개시된다. X선을 이용하여 금속관을 검사하는 X선 검사 장치는 금속관이 지면과 일정 높이로 이격하여 위치하도록 금속관을 지지하는 지지부, 지면과 일정 높이 이격하여 위치한 금속관의 하단에서 금속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식 카트, 이동식 카트에 설치되어 금속관의 하단에서 금속관을 향해 X선을 방사하는 X선 방사부 및 금속관의 내부에서 금속관의 내부로 투과되는 X선을 검출하는 X선 검출부 및 검출부 이동용 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형 엑스선 튜브를 이용한 엑스선 검사 장치 및 엑스선 검사 방법{X-RAY EXAMIN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MOVABLE X-RAY TUB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동형 X선 튜브를 이용한 X선 검사 장치 및 X선 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파괴 검사(non-destructive inspection)란, 재료를 파괴하지 않고 내부의 흠을 찾아내는 검사로 외관 검사, X선 투과 검사, 자기 검사, 침투 검사, 음향 검사, 초음파 탐상 검사 등이 있다. 특히, X선 투과 검사(X-ray inspection)는 X선을 방사하여 내부의 사진을 촬영하고, 형광판으로 그것을 투시하여 용접부의 블로홀(blow hole), 슬래그 혼입, 균열 등을 조사하는 검사 방법을 말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있어서, 금속관에 대한 X선 검사 장치를 금속관의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있어서, 금속관에 대한 X선 검사 장치를 금속관의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1 및 도 2는 금속관(110)과, 금속관(110)의 내부에 삽입된 X선 튜브(X-ray tube)(120), X선 튜브(120)에서 방사되는 X선(130), 금속관(110)의 외부에서 금속관(110) 외부로 투과되는 X선(130)을 검출하는 아날로그 디텍터(140), 금속관(110)에서 검사의 대상(예를 들어, 용접 부위)이 되는 용접 비드(weld bead)(150) 및 X선 튜브(120)의 무게를 지탱하기 위한 붐대(160)를 도시하고 있다.
즉, 이러한 종래기술의 X선 검사 장치나 방법에서는, X선 튜브(120)를 금속관(110)의 내부에 두고 아날로그 디텍터(140)를 금속관(110)의 외부에 설치하여 검사한다. 따라서, 225kV와 같은 고에너지를 사용하는 X선 튜브(120)의 경우, X선 튜브(120)의 크기로 인해, 검사 가능한 제품(예를 들어, 금속관(110))의 크기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검사 가능한 금속관(110)의 두께에 한계가 있다. 또한, X선 튜브(120)가 금속관(110) 내부에 삽입되기 때문에, X선 튜브(1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고가의 고압케이블의 길이가 일정 길이 이상 사용되어야 하고, 붐대(160)에 X선 튜브(120)의 고하중이 전가되어 검사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기술에서는 파이프의 구경에 따라 기하학적 불선명도를 나타내는 Ug 값이 보장되지 않는다. 이러한 기하학적 불선명도가 높으면 결함의 크기가 왜곡되거나 검출이 어렵기 때문에 ASTM(American society for testing materials)나 미국 석유협회 규격인 API5L 등의 규정에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고, 파이프의 후판으로 갈수록 노이즈가 증가하며 이미지의 콘트라스트(Contrast)가 낮아 결함 검출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더해, 해상도나 Ug 값을 만족시키려면 기계적인 충돌이 발생할 수 있는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금속관에 대해 보다 효과적으로 X선 투과 검사가 가능한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금속관에 X선 튜브를 삽입하는 대신, X선 튜브를 금속관의 외부에 위치시키고, 금속관의 내부에 라인 스캔 카메라(linescan camera)나 디지털 패널 디텍터(flat panel detector)와 같은 디지털 디텍터를 삽입함으로써, 종래기술에 비해 더 작은 내경(안지름)의 금속관에 대해서도 X선 투과 검사가 가능한 X선 검사 장치 및 X선 검사 방법이 제공된다.
금속관을 고정시키고 X선 튜브와 디지털 디텍터를 이동시켜 X선 검사를 수행함으로써, 금속관의 이송을 위한 대차를 제작하지 않아 장비 구성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금속관의 이송을 위해 필요한 에너지가 저감되어 사용자의 운영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X선 검사 시 금속관이 움직이지 않으므로 보다 안정적인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X선 검사 장치 및 X선 검사 방법이 제공된다.
금속관을 고정시키고 X선 튜브와 디지털 디텍터를 이동시켜 X선 검사를 수행함으로써, X선 검사 시 이동하는 X선 튜브와 디지털 디텍터가 금속관에 비해 매우 경량 부품이기 때문에 이동 제어가 안정적으로 되어 제작 비용, 운용비용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검사 영상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X선 검사 장치 및 X선 검사 방법이 제공된다.
디지털 디텍터를 이용함으로써, 종래기술의 아날로그 디텍터에 비해 보다 선명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X선 검사 장치 및 X선 검사 방법이 제공된다.
X선 튜브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이용되는 고압케이블의 길이를 최소화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고압을 공급할 수 있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X선 검사 장치 및 X선 검사 방법이 제공된다.
X선 검사 규정에 보다 부합한 검사가 가능한 X선 검사 장치 및 X선 검사 방법이 제공된다.
X선을 방사하는 방향으로 레이저 빔을 방사하는 레이저 포인터를 이용하여 엑스레이 조사부위를 X선의 방사 이전에 확인할 수 있는 X선 검사 장치 및 X선 검사 방법이 제공된다.
X선을 이용하여 금속관을 검사하는 X선 검사 장치에 있어서, 금속관이 지면과 일정 높이로 이격하여 위치하도록 금속관을 지지하는 지지부, 지면과 일정 높이 이격하여 위치한 금속관의 하단에서 금속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식 카트, 이동식 카트에 설치되어 금속관의 하단에서 금속관을 향해 X선을 방사하는 X선 방사부 및 금속관의 내부에서 금속관의 내부로 투과되는 X선을 검출하는 X선 검출부를 포함하는 X선 검사 장치가 제공된다.
일측에 따르면, 지지부는 하나의 금속관을 지지하기 위해 복수개의 지지대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 집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수개의 지지대 각각은, 금속관을 회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수개의 지지대 각각은, 지지부가 지지대 집합을 둘 이상 포함하는 경우, 금속관을 회전시키거나 또는 금속관을 다른 지지대 집합이나 검사지역 외부로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동식 카트는, 지면에 기설치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금속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X선 검출부는 라인 스캔 카메라(linescan camera) 및 디지털 패널 디텍터(flat panel detect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X선 검사 장치는 상기 금속관의 내부에서 X선 검출부를 이동시키는 이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이동 제어부는 이동식 카트의 이동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동식 카트가 이동한 거리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X선 검출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X선 검사 장치는 기하학적 불선명도(Geometric Unsharpness)를 나타내는 Ug 값이 기선정된 값을 만족하도록 이동식 카트 및 이동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Ug 값은 X선 방사부에서 X선이 방사되는 포커스의 크기, 포커스와 금속관 사이의 거리 및 금속관과 X선 검출부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고, 기선정된 값은 금속관의 두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X선 검사 장치는 검출된 X선을 통해 생성된 이미지로부터 금속관의 결함을 탐색하는 이미지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X선 방사부는 X선을 방사하는 방향으로 레이저 빔을 방사하는 레이저 포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X선 검출부는 금속관의 내부에서 금속관의 하단으로 레이저 빔을 방사하는 레이저 포인터를 포함할 수 있다.
X선을 이용하여 금속관을 검사하는 X선 검사 장치에서 X선을 검사하는 방법에 있어서, 지지부에 의해 지면과 일정 높이로 이격하여 위치된 금속관의 하단에서, X선 방사부가 금속관을 향해 X선을 방사하는 단계 및 금속관의 내부에 위치한 X선 검출부가 금속관의 내부로 투과되는 X선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X선 방사부는 금속관의 하단에서 금속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식 카트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검사 방법이 제공된다.
금속관에 X선 튜브를 삽입하는 대신, X선 튜브를 금속관의 외부에 위치시키고, 금속관의 내부에 라인 스캔 카메라(linescan camera)나 디지털 패널 디텍터(flat panel detector)와 같은 디지털 디텍터를 삽입함으로써, 종래기술에 비해 더 작은 내경(안지름)의 금속관에 대해서도 X선 투과 검사가 가능해진다.
즉, X선 튜브를 금속관의 외부에 설치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작은 구경의 금속관에 대한 검사가 가능해진다. 또한, 이에 따라 출력이 높은 X선 튜브의 사용이 가능해져 후판의 검사가 가능해지며, X선 튜브와 파이프의 거리 조절이 용이하여 기하학적 불선명도 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어 ASTM(American society for testing materials)나 미국 석유협회 규격인 API5L 등의 규정을 만족시킬 수 있다.
금속관을 고정시키고 X선 튜브와 디지털 디텍터를 이동시켜 X선 검사를 수행함으로써, 금속관의 이송을 위한 대차를 제작하지 않아 장비 구성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금속관의 이송을 위해 필요한 에너지가 저감되어 사용자의 운영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X선 검사 시 금속관이 움직이지 않으므로 보다 안정적인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금속관을 고정시키고 X선 튜브와 디지털 디텍터를 이동시켜 X선 검사를 수행함으로써, X선 검사 시 이동하는 X선 튜브와 디지털 디텍터가 금속관에 비해 매우 경량 부품이기 때문에 이동 제어가 안정적으로 되어 제작 비용, 운용비용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검사 영상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디지털 디텍터를 이용함으로써, 노이즈가 적고 이미지 콘트라스트(Contrast)가 높아 결함의 검출이 용이해지며, 검사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동식 또는 포터블(protable) 장비로서 X선 검사 장치를 개발함으로써, 고정식 장비와 같이 복잡하고 고가의 기계설비 없이도 금속관에 대한 X선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디지털 디텍터를 이용함으로써, 종래기술의 아날로그 디텍터에 비해 보다 선명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X선 튜브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이용되는 고압케이블의 길이를 최소화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고압을 공급할 수 있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X선 검사 규정에 보다 부합한 검사가 가능해진다.
X선을 방사하는 방향으로 레이저 빔을 방사하는 레이저 포인터를 이용하여 엑스레이 조사부위를 X선의 방사 이전에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있어서, 금속관에 대한 X선 투과 검사 장치를 금속관의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있어서, 금속관에 대한 X선 투과 검사 장치를 금속관의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금속관에 대한 X선 검사 장치를 금속관의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금속관에 대한 X선 검사 장치를 금속관의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X선 튜브, 검사체 및 디지털 디텍터간의 거리에 따른 상관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X선 튜브의 포커스 크기에 따른 상관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포커스, 객체 및 디텍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X선 검사 장치의 일례를 다양한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카트의 일례를 다양한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X선 검사 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X선 검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각의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금속관에 대한 X선 검사 장치를 금속관의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금속관에 대한 X선 검사 장치를 금속관의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3 및 도 4는 금속관(210)과, 금속관(210)의 외부에 위치한 X선 튜브(220), X선 튜브(220)에서 방사되는 X선(230), 금속관(210)의 내부에서 금속관(210) 내부로 투과되는 X선(230)을 검출하는 디지털 디텍터(240) 및 금속관(210)에서 검사의 대상(예를 들어, 용접 부위)이 되는 용접 비드(weld bead)(250)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X선 검사 장치는 X선 튜브(220) 및 X선 튜브(220)에 연결되어 X선을 발생시키는 X선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X선 방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지털 디텍터(240)에 대응하여 금속관의 내부에서 금속관의 내부로 투과되는 X선을 검출하는 X선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X선 검사 장치는 금속관(210)이 지면과 일정 높이로 이격하여 위치하도록 금속관(210)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지면과 일정 높이 이격하여 위치한 금속관(210)의 하단에서 금속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식 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X선 방사부는 이동식 카트에 설치되어 금속관의 하단에서 금속관을 향해 X선을 방사할 수 있다. 이러한 X선 검사 장치에 대해서는 이후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X선 방사부는 금속관의 하단에서 금속관을 향해 X선을 방사하고, X선 검출부는 금속관의 내부에서 금속관의 내부로 투과되는 X선을 검출한다. 이때, 또한, 디지털 디텍터(240) 즉, X선 검출부를 이동시키는 이동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제어부에 대해서는 이후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이때, 디지털 디텍터(240)로는 라인 스캔 카메라(linescan camera)나 디지털 패널 디텍터(flat panel detector)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는, 라인 스캔 카메라와 디지털 패널 디텍터를 모두 이용하고, 모드(mode)에 따라 라인 스캔 카메라와 디지털 패널 디텍터 중 필요한 디지털 디텍터(240)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X선 검사 장치는 X선 튜브(220)를 금속관(210)의 내부에 삽입하는 대신, X선 튜브(220)는 금속관(210)의 외부에서 X선(230)을 방사하도록 하고, X선 튜브(220)보다 작고 가벼운 디지털 디텍터(240)를 금속관(210)의 내부에 삽입하여 X선(230)을 검출하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을 갖는 금속관의 검사도 가능해진다. 뿐만 아니라, X선 튜브(220)가 금속관(210)의 내부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고가의 고압케이블의 길이가 금속관(210)의 길이에 대응하여 길어지나, 본 실시예에서는 X선 튜브(220)가 금속관(210)의 외부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금속관(210)의 길이와 상관 없이 상대적으로 짧은 고압케이블을 이용할 수 있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에 더해, 디지털 디텍터(240)는 아날로그 디텍터에 비해 보다 선명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X선 튜브(220)는 일례로, 40~450KV의 전압과 0~20mA의 전류를 이용하는 X선 발생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X선 검사 장치는 기하학적 불선명도(Geometric Unsharpness)를 나타내는 Ug 값이 기선정된 값을 만족하도록 이동식 카트 및 이동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Ug 값은 기하학적 불선명도(Geometric Unsharpness)를 의미하는 것으로, X선 튜브(220)의 포커스(Focus) 크기와 X선 튜브(220), 검사체 및 디지털 디텍터(240)의 거리간의 상관관계가 검사결과의 신뢰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X선 검사 장치는 필요에 따라, 이미지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처리부는 X선 검출부 즉, 디지털 디텍터(240)를 이용하여 검출된 X선을 통해 생성된 이미지로부터 금속관의 결함을 탐색하여 결함을 발견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이미지 처리부는 다양한 디지털 필터(digital filter)를 이용하여 결함을 탐색할 수 있다. 디지털 필터는 디지털 신호 처리에 의해 정형 특성을 얻기 위한 것으로, LC 회로망이나 능동 회로에 의한 아날로그 필터에 비해 수치 계산에 의해 얻어지므로 정밀도가 높은 신호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디지털 디텍터를 이용하는 경우, 아날로그 디텍터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선명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디지털 필터의 종류는 현재 알려진 모든 디지털 필터 중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이미지 처리부와 디지털 필터를 사용함으로써, 결함 위치뿐만 아니라, 검사 데이터(예를 들어, 사용 전압이나 전류, 금속관의 모델 정보 등)를 실시간으로 이미지 상에 오버레이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결함의 크기 측정도 실시간으로 처리가 가능해진다.
도 5는 X선 튜브, 검사체 및 디지털 디텍터간의 거리에 따른 상관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X선 튜브의 포커스 크기에 따른 상관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X선 튜브(510)와 검사체(520) 및 디지털 디텍터(530)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도 5는 X선 튜브(510)와 검사체(520)간의 거리가 변경함으로써, 그리고 도 6은 X선 튜브(510)의 포커스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각각 X선이 검사체(520)와 관련하여 영향을 미치는 영역의 범위를 조절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포커스, 객체 및 디텍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7은 X선 튜브(510)가 X선을 방사하는 영역인 포커스(710), 검사를 위한 물체(720) 및 디텍터(730)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7에서 제1 길이(740)는 포커스(710)의 크기를, 제2 길이(750)는 포커스(710)와 물체(720)간의 거리를, 제3 길이(760)는 물체(720)의 두께를, 제4 길이(770)는 물체(720)와 디텍터(730)간의 거리를 각각 나타낸다. 이때, 제5 길이(780)가 상술한 Ug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Ug 값은 아래 수학식 1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F'는 제1 길이(740)를, 't'는 제4 길이(770)를, 'd'는 제2 길이(750)를 각각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Ug 값의 한계치는 물체(720)의 두께인 제3 길이(760)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이미 잘 알려진 다양한 표준들에 따른 값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체
720)의 두께에 따른 Ug 값의 한계치는 아래 표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즉,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시예들에 따른 X선 검사 장치 또는 X선 검사 장치의 제어부는 이러한 Ug 값과 Ug 값의 물체(720)의 두께에 따른 한계값을 이용하여 X선 튜브(220)에서 방사될 X선의 포커스 크기, 대차의 이동 및 디지털 디텍터(240)의 이동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X선 검사 장치의 일례를 다양한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지면(810)상에 복수의 지지대들이 복수의 금속관들을 지면과 일정 높이로 이격하여 위치하도록 지지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복수의 지지대들 각각은 복수의 금속관들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롤러들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지지대(820)는 금속관(830)을 회전시키거나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롤러(8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지지대들에 포함된 회전롤러들은 도 3 및 도 4를 통해 설명한 용접 비드(weld bead)(250)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복수의 금속관들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지지대들에 의해 지면과 일정 높이로 이격하여 위치된 금속관들의 하부에는 이동식 카트(850)가 금속관(83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이동식 카트(850)가 복수의 금속관들 각각의 하단을 이동하면서, X선을 방사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금속관들 중 둘 이상의 하단에 둘 이상의 이동식 카트들이 이동하면서 동시에 둘 이상의 금속관들에 대한 X선 검사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이동식 카트(850)에는 X선 방사부(860)가 설치될 수 있고, X선 방사부(860)는 금속관(830)의 하단에서 금속관(830)을 향해 X선을 방사할 수 있다. 여기서, X선 방사부(860)는 도 3 및 도 4를 통해 설명한 바 있다.
이때, 도 8 내지 도 10에는 생략되어 있으나, 복수의 금속관의 내부에는 도 3 및 도 4를 통해 설명한 X선 검출부가 삽입될 수 있고, 복수의 금속관의 내부에서 복수의 금속관의 내부로 투과되는 X선을 각각 검출함으로써, 복수의 금속관에 대한 X선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X선 검출부를 이동시키는 이동 제어부 역시 도 8 내지 도 10에는 생략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X선 검사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제어부는, X선 방사부(860)가 설치된 이동식 카트(850)의 이동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동식 카트(850)가 이동한 거리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상기 X선 검출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가이드 레일(870)은 이동식 카트(850)가 지면(810)에서 정해진 경로로 정확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지면에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동식 카트(850)는, 지면(810)에 기설치된 가이드 레일(870)을 따라 금속관(83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도 8에 도시된 가이드 레일(870)은 이동식 카트(850)의 정확한 이동을 돕기 위한 하나의 일례일 뿐,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X선 검사 장치는 가이드 레일(870) 없이도 이동식 카트(850)를 이동시키며 X선 검사가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도 8 내지 도 10에는 생략되어 있으나, X선 방사부(860)는 X선을 방사하는 방향으로 레이저 빔을 방사하는 레이저 포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레이저 포인터를 통해 X선 조사 부위가 사전에 확인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X선 검출부에도 금속관의 내부에서 금속관의 하단으로 레이저 빔을 방사하는 레이저 포인터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카트의 일례를 다양한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도 11 내지 도 14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카트에는 도 3 및 도 4를 통해 설명한 X선 튜브(220)와 X선 발생 장치 모두를 포함하는 X선 방사부(860)가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X선 튜브(2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이용되는 고압케이블의 길이를 최소화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고압을 공급할 수 있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즉, 도 11 내지 도 14에서 X선 튜브(1110)와 X선 발생 장치(1120)가 모두 이동식 카트에 설치되기 때문에, X선 튜브(11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고압케이블의 길이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도 11 및 도 14에는 도 8을 통해 설명한 가이드 레일(870)에 따라 이동식 카트가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고정부(113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X선 검사 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X선 검사 장치(150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510), 이동식 카트(1520), X선 방사부(1530) 및 X선 검출부(154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510)는 금속관이 지면과 일정 높이로 이격하여 위치하도록 금속관을 지지한다. 여기서, 지지부(1510)는 하나의 금속관을 지지하기 위해 복수개의 지지대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 집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지지대는 도 8 내지 도 10을 통해 설명한 복수의 지지대들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지지대 각각은, 금속관을 회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지지대 각각은, 상기 지지부가 상기 지지대 집합을 둘 이상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금속관을 회전시키거나 또는 상기 금속관을 다른 지지대 집합이나 검사지역 외부로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롤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금속관은 도 3 및 도 4를 통해 설명한 금속관(210) 또는 도 8 내지 도 10을 통해 설명한 복수의 금속관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이동식 카트(1520)는 지면과 일정 높이 이격하여 위치한 금속관의 하단에서 금속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식 카트(1520)는 도 8 내지 도 10을 통해 설명한 이동식 카트(850)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식 카트(1520)는 일례로, 지면에 기설치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금속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레일은 이동식 카트(1520)의 정확한 이동을 돕기 위한 것으로,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아니다. 즉, 가이드 레일 없이도, 이동식 카트(1520)를 이동시켜 X선 검사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X선 방사부(1530)는 이동식 카트에 설치되어 금속관의 하단에서 금속관을 향해 X선을 방사한다. 이러한 X선 방사부(1530)는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한 X선 방사부 또는 도 8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X선 방사부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X선 방사부(1530)는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X선 튜브(220)와 X선 튜브(220)에 연결되어 X선을 발생시키는 X선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X선 방사부(1530)는 X선을 방사하는 방향으로 레이저 빔을 방사하는 레이저 포인터를 포함할 수 있다.
X선 검출부(1540)는 금속관의 내부에서 상기 금속관의 내부로 투과되는 X선을 검출한다. X선 검출부(1540)는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한 X선 검출부 또는 도 8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X선 검출부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X선 검출부(1540)는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한 라인 스캔 카메라(linescan camera)나 디지털 패널 디텍터(flat panel detector) 등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디지털 디텍터(240)에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X선 검출부(1540)도 금속관의 내부에서 금속관의 하단으로 레이저 빔을 방사하는 레이저 포인터가 포함될 수 있다. 즉, 금속관의 용접 비드를 향해 레이저 빔을 방사하도록 함으로써, 현재 X선 검출부(1540)가 정확한 방향을 향하고 있음이 식별 가능해진다.
또한, X선 검사 장치(1550)는 금속관의 내부에서 X선 검출부(1540)를 이동시키는 이동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X선 방사부(1530)와 대응하여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제어부는 이동식 카트(1520)의 이동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동식 카트(1520)가 이동한 거리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X선 검출부(154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X선 검출부(1540)와 이동식 카트(1520)에 설치된 X선 방사부(1530)가 모두 금속관의 용접 비드를 따라 이동하면서, 용접 비드에 대한 X선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제어부 역시 X선 방사부(1530)가 설치된 이동식 카트(1520)와 같이 이동식의 카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X선 검사 장치(1550)는 기하학적 불선명도(Geometric Unsharpness)를 나타내는 Ug 값이 기선정된 값을 만족하도록 이동식 카트(1520) 및 이동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Ug 값은 X선 방사부(1530)에서 X선이 방사되는 포커스의 크기, 포커스와 금속관 사이의 거리 및 금속관과 X선 검출부(1540)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또한, 기선정된 값은 금속관의 두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X선 검사 장치(1550)는 검출된 X선을 통해 생성된 이미지로부터 금속관의 결함을 탐색하는 이미지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X선 검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1610)에서는, 지지부에 의해 지면과 일정 높이로 이격하여 위치된 금속관의 하단에서, X선 방사부가 금속관을 향해 X선을 방사한다. 여기서, 지지부 및 X선 방사부는 도 15를 통해 설명한 지지부(1510) 및 X선 방사부(1530)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이때, X선 방사부는 금속관의 하단에서 금속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식 카트에 설치될 수 있다. 이동식 카트 역시 도 15를 통해 설명한 이동식 카트(1520)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식 카트는 금속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X선 방사부가 금속관에 대해 X선을 방사하는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지면에 금속관의 길이 방향으로 기설치된 가이드 레일을 이용함으로써, 이동식 카트가 보다 정확하게 이동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지지부는 하나의 금속관을 지지하기 위해 복수개의 지지대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 집합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지지대 각각은, 금속관을 회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지지대 각각은, 지지부가 지지대 집합을 둘 이상 포함하는 경우, 금속관을 회전시키거나 또는 금속관을 다른 지지대 집합이나 검사지역 외부로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1620)에서는, 금속관의 내부에 위치한 X선 검출부가 금속관의 내부로 투과되는 X선을 검출한다. 여기서, X선 검출부는 도 15를 통해 설명한 X선 검출부(1540)에 대응할 수 있다. 즉, X선 검출부는 라인 스캔 카메라(linescan camera) 및 디지털 패널 디텍터(flat panel detect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X선 검출부는 금속관의 내부에서 X선 검출부를 이동시키는 X선 검사 장치(1500)의 이동 제어부를 통해 X선 방사부와 대응하여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제어부는 이동식 카트의 이동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동식 카트가 이동한 거리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X선 검출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X선 검출부와 이동식 카트에 설치된 X선 방사부가 모두 금속관의 용접 비드를 따라 이동하면서, 용접 비드에 대한 X선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계(1610) 및 단계(1620)에 따른 X선의 방사와 X선의 검출을 금속관의 검사부위 전체에 적용하기 위해, X선 검사 방법은 기하학적 불선명도(Geometric Unsharpness)를 나타내는 Ug 값이 기선정된 값을 만족하도록 이동식 카트 및 이동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하는 단계는 도 15를 통해 설명한 X선 검사 장치(1500)에 포함된 제어부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Ug 값은 X선 방사부에서 X선이 방사되는 포커스의 크기, 포커스와 금속관 사이의 거리 및 금속관과 X선 검출부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고, 기선정된 값은 금속관의 두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X선 검사 방법은 검출된 X선을 통해 생성된 이미지로부터 금속관의 결함을 탐색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탐색하는 단계는 X선 검사 장치(1500)에 포함된 이미지 처리부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X선 방사부는 X선을 방사하는 방향으로 레이저 빔을 방사하는 레이저 포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레이저 포인터를 이용함으로써, X선 조사 이전에 조사 부위가 미리 확인될 수 있다.
또한, X선 검출부 역시 금속관의 내부에서 금속관의 하단으로 레이저 빔을 밤사하는 레이저 포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X선 검출부가 포함하는 레이저 포인터를 통해 X선 검출부의 진행방향을 미리 확인할 수 있으며, X선 검출부가 금속관의 용접 비드를 향하고 있는지도 확인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에서 생략된 내용은 도 3 내지 도 14를 참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X선 검사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면, 금속관에 X선 튜브를 삽입하는 대신, X선 튜브를 금속관의 외부에 위치시키고, 금속관의 내부에 라인 스캔 카메라(linescan camera)나 디지털 패널 디텍터(flat panel detector)와 같은 디지털 디텍터를 삽입함으로써, 종래기술에 비해 더 작은 내경(안지름)의 금속관에 대해서도 X선 투과 검사가 가능해진다.
또한, 금속관을 고정시키고 X선 튜브와 디지털 디텍터를 이동시켜 X선 검사를 수행함으로써, 금속관의 이송을 위한 대차를 제작하지 않아 장비 구성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금속관의 이송을 위해 필요한 에너지가 저감되어 사용자의 운영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X선 검사 시 금속관이 움직이지 않으므로 보다 안정적인 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 금속관을 고정시키고 X선 튜브와 디지털 디텍터를 이동시켜 X선 검사를 수행함으로써, 검사실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검사비가 절감되고, 사용자의 공장 사용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으며, X선 검사 시 이동하는 X선 튜브와 디지털 디텍터가 금속관에 비해 매우 경량 부품이기 때문에 이동 제어가 안정적으로 되어 제작 비용, 운용비용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검사 영상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해, 이러한 X선 검사 장치는 이동식 또는 포터블(protable) 장비로서 개발된 것으로, 고정식 장비와 같이 복잡하고 고가의 기계설비 없이도 금속관에 대한 X선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디지털 디텍터를 이용함으로써, 종래기술의 아날로그 디텍터에 비해 보다 선명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 X선 튜브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이용되는 고압케이블의 길이를 최소화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고압을 공급할 수 있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에 더해, X선 검사 규정에 보다 부합한 검사가 가능해진다.
즉, X선 튜브를 금속관의 외부에 설치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작은 구경의 금속관에 대한 검사가 가능해진다. 또한, 이에 따라 출력이 높은 X선 튜브의 사용이 가능해져 후판의 검사가 가능해지며, X선 튜브와 파이프의 거리 조절이 용이하여 기하학적 불선명도 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어 ASTM(American society for testing materials)나 미국 석유협회 규격인 API5L 등의 규정을 만족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디지털 디텍터를 이용함으로써, 노이즈가 적고 이미지 콘트라스트(Contrast)가 높아 결함의 검출이 용이해지며, 검사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아래 표 2는 종래기술과 본원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X선 검사 시스템 및 방법을 비교한 일례이다.
Figure pat00003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파일 시스템은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810: 지면
820: 지지대
830: 금속관
840: 회전롤러
850: 이동식 카트
860: X선 방사부
870: 가이드 레일

Claims (15)

  1. X선을 이용하여 금속관을 검사하는 X선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금속관이 지면과 일정 높이로 이격하여 위치하도록 상기 금속관을 지지하는 지지부;
    지면과 일정 높이 이격하여 위치한 상기 금속관의 하단에서 상기 금속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식 카트;
    상기 이동식 카트에 설치되어 상기 금속관의 하단에서 상기 금속관을 향해 X선을 방사하는 X선 방사부; 및
    상기 금속관의 내부에서 상기 금속관의 내부로 투과되는 X선을 검출하는 X선 검출부
    를 포함하는 X선 검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하나의 금속관을 지지하기 위해 복수개의 지지대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 집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검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지지대 각각은, 상기 금속관을 회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검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지지대 각각은, 상기 지지부가 상기 지지대 집합을 둘 이상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금속관을 회전시키거나 또는 상기 금속관을 다른 지지대 집합이나 검사지역 외부로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검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카트는, 지면에 기설치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금속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검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선 검출부는,
    라인 스캔 카메라(linescan camera) 및 디지털 패널 디텍터(flat panel detect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X선 검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관의 내부에서 상기 X선 검출부를 이동시키는 이동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X선 검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제어부는,
    상기 이동식 카트의 이동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상기 이동식 카트가 이동한 거리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상기 X선 검출부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검사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기하학적 불선명도(Geometric Unsharpness)를 나타내는 Ug 값이 기선정된 값을 만족하도록 상기 이동식 카트 및 상기 이동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X선 검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Ug 값은 상기 X선 방사부에서 X선이 방사되는 포커스의 크기, 상기 포커스와 상기 금속관 사이의 거리 및 상기 금속관과 상기 X선 검출부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계산되고,
    상기 기선정된 값은 상기 금속관의 두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X선 검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X선을 통해 생성된 이미지로부터 금속관의 결함을 탐색하는 이미지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X선 검사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선 방사부는,
    X선을 방사하는 방향으로 레이저 빔을 방사하는 레이저 포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검사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선 검출부는,
    상기 금속관의 내부에서 상기 금속관의 하단으로 레이저 빔을 방사하는 레이저 포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검사 장치.
  14. X선을 이용하여 금속관을 검사하는 X선 검사 장치에서 X선을 검사하는 방법에 있어서,
    지지부에 의해 지면과 일정 높이로 이격하여 위치된 상기 금속관의 하단에서, X선 방사부가 상기 금속관을 향해 X선을 방사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관의 내부에 위치한 X선 검출부가 상기 금속관의 내부로 투과되는 X선을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X선 방사부는 상기 금속관의 하단에서 상기 금속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식 카트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검사 방법.

  15. 제14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110057393A 2011-06-14 2011-06-14 이동형 엑스선 튜브를 이용한 엑스선 검사 장치 및 엑스선 검사 방법 KR101254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393A KR101254761B1 (ko) 2011-06-14 2011-06-14 이동형 엑스선 튜브를 이용한 엑스선 검사 장치 및 엑스선 검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393A KR101254761B1 (ko) 2011-06-14 2011-06-14 이동형 엑스선 튜브를 이용한 엑스선 검사 장치 및 엑스선 검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9594A true KR20110079594A (ko) 2011-07-07
KR101254761B1 KR101254761B1 (ko) 2013-04-17

Family

ID=44918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7393A KR101254761B1 (ko) 2011-06-14 2011-06-14 이동형 엑스선 튜브를 이용한 엑스선 검사 장치 및 엑스선 검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476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03570A (zh) * 2015-09-28 2015-12-30 中北大学 气缸套缺陷的x射线自动检测装置和方法
KR102263464B1 (ko) * 2019-12-31 2021-06-11 테크밸리 주식회사 이송수단을 구비하는 강관의 엑스선 검사장치
CN113125473A (zh) * 2020-01-13 2021-07-16 中国石油天然气集团有限公司 管道x射线数字成像检测设备校验方法
CN114076775A (zh) * 2021-11-15 2022-02-22 国核示范电站有限责任公司 一种管道焊缝射线检测几何不清晰度控制工艺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56698B3 (de) * 2004-11-24 2006-08-17 Stratus Vision Gmbh Inspektionsvorrichtung für ein Substrat, das mindestens eine aufgedruckte Schicht aufweist
KR100977878B1 (ko) * 2008-07-08 2010-08-25 (주)메디엔인터내셔날 스탠드 및 이를 채용한 엑스선 촬영 장치
KR101223913B1 (ko) * 2011-03-09 2013-01-25 주식회사 엑서스 X선 검사 장치 및 x선 검사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03570A (zh) * 2015-09-28 2015-12-30 中北大学 气缸套缺陷的x射线自动检测装置和方法
KR102263464B1 (ko) * 2019-12-31 2021-06-11 테크밸리 주식회사 이송수단을 구비하는 강관의 엑스선 검사장치
CN113125473A (zh) * 2020-01-13 2021-07-16 中国石油天然气集团有限公司 管道x射线数字成像检测设备校验方法
CN113125473B (zh) * 2020-01-13 2022-08-30 中国石油天然气集团有限公司 管道x射线数字成像检测设备校验方法
CN114076775A (zh) * 2021-11-15 2022-02-22 国核示范电站有限责任公司 一种管道焊缝射线检测几何不清晰度控制工艺
CN114076775B (zh) * 2021-11-15 2024-04-23 国核示范电站有限责任公司 一种管道焊缝射线检测几何不清晰度控制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4761B1 (ko) 2013-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4761B1 (ko) 이동형 엑스선 튜브를 이용한 엑스선 검사 장치 및 엑스선 검사 방법
US516141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ed inspection of an object
CN104854963B (zh) X线装置、及构造物的制造方法
CN101672829B (zh) 一种ω焊缝缺陷参数测量方法
US20160178581A1 (en) System for evaluating weld quality using eddy currents
JP2013156104A (ja) 溶接部の超音波探傷装置及び超音波探傷方法
JP2015021937A (ja) 超音波検査装置及び超音波検査方法
KR101223913B1 (ko) X선 검사 장치 및 x선 검사 방법
KR102263464B1 (ko) 이송수단을 구비하는 강관의 엑스선 검사장치
KR101223911B1 (ko) 디지털 디텍터를 이용한 x선 검사 장치 및 x선 검사 방법
JP2009236620A (ja) 超音波探傷方法
JP2009180647A (ja) 溶接部の放射線透過試験方法
JP2008151653A (ja) 検査装置、検査方法、検査プログラムおよび検査システム
CN103630559B (zh) 一种管道焊缝无损探伤系统
JP2013185960A (ja) デジタル・ラジオグラフィ検査の調整方法
KR101825654B1 (ko) 배관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JP7274980B2 (ja) 溶接検査装置、溶接検査方法、溶接検査システム、溶接検査用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15825117A (zh) 一种气化器翅片管角焊缝数字射线检测装置及检测方法
KR20200025187A (ko) 방사선 검사 시스템
CN107782752B (zh) 一种焊缝射线检测设备及其检测方法
RU2496106C1 (ru) Способ неразрушающего рентгеновского контроля трубопровод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KR101487526B1 (ko) 검사 대상물의 폭 검출을 이용한 방사선 검사 장치 및 방법
JP2007047077A (ja) 配管肉厚測定装置及び配管肉厚測定方法
CN206523449U (zh) 射线探伤机及其成像工装
JP5476586B2 (ja) 放射線検査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