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9193A -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9193A
KR20110079193A KR1020090136177A KR20090136177A KR20110079193A KR 20110079193 A KR20110079193 A KR 20110079193A KR 1020090136177 A KR1020090136177 A KR 1020090136177A KR 20090136177 A KR20090136177 A KR 20090136177A KR 20110079193 A KR20110079193 A KR 20110079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yl
weight
resin composition
aromatic vinyl
vinyl cyan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6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덕
안성희
이혜진
공성호
손세범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6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9193A/ko
Publication of KR20110079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919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nitriles
    • C08L3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onitri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은 (A) 선형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0~15 중량부; (B) 분지형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60~90 중량부; 및 (C) 트리스(할로겐 치환 페녹시)-s-트리아진 화합물 10~3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은 투명성이 우수하고, V0의 난연도를 유지하는 특성을 나타낸다.
선형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분지형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트리스(할로겐 치환 페녹시)-s-트리아진 화합물, 투명성, 난연성

Description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Flame Retardant Styrene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선형, 분지형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에 트리스(할로겐치환 페녹시)-s-트리아진 화합물을 적용함으로써, 투명성이 우수하고, V-0 클래스의 난연도를 달성하는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품의 품질뿐 아니라 감성적 디자인이 요구되는 현재의 트렌드는 다양한 색상의 발현과 함께 투명도 있는 제품을 요구한다. 이미 대형화된 TV, 모니터에서는 투명한 재질의 사용이 보편화되었고 이는 소비자의 심미적 취향에 부합한다.
한편, 화재 안전성 측면에서는 난연 소재의 적용 범위가 늘어나고 있고 난연 성능 또한 고도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세계 각국의 전기 전자 제품에 대한 난연규제가 제품별로 시행중이며 외부발화원에 의한 난연도 요구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가전제품 공급업체에서도 마케팅의 수단으로 화재안전성을 내세워 자체규정으로 난연도를 강화하여 UL94 V-0 이상의 난연도를 요청하는 업체가 많이 있다.
투명한 외관을 가진 범용의 소재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스티렌수지, 아크릴수지, SAN 수지 등이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 중 투명함을 유지하 면서 UL94 V-0의 난연도를 발현할 수 있는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유일하다. 그러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고가이며, 내약품성에 취약한 단점을 가진다.
SAN 수지는 내화학성이 우수하고 열변형성 및 광택성 등이 뛰어나며 가볍고 투명해서 일반적으로 라이터, 선풍기 날개, 냉장고 선반 등에 사용되고 있으나 연소시에 불꽃을 가지고 적하되어 UL94 V-0를 만족하기 어렵다. 따라서 종래 SAN 수지의 난연화를 위해서는 플루오르화합물과 같은 적하방지재를 사용하여 UL94 V-0 클래스를 달성할 수 있으나 플루오르계 적하방지제를 사용할 경우 투명도가 현저히 떨어져 투명재료로의 활용이 제한적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선형, 분지형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를 적용하여 적하방지제를 사용하지 않고 UL 94 V-0를 달성하는 난연수지를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성이 우수하고, V0 클래스의 난연도를 달성하는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난연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선형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0~15 중량부, (B) 분지형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60~90 중량부 및 (C) 트리스(할로겐 치환 페녹시)-s-트리아진 화합물 10~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A) 및 (B)의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40 내지 90 중량% 및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10 내지 60 중량%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o-메틸스티렌, m-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o-에틸스티렌, m-에틸스티 렌, p-에틸스티렌, 프로필스티렌, 부틸스티렌, 1-비닐나프탈렌, 2-비닐나프탈렌, 비닐 톨루엔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분지형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B)의 분지화율이 0.4~0.6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분지형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B)의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00 내지 500,000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트리스(할로겐 치환 페녹시)-s-트리아진 화합물(C)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된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82219364-PAT00001
상기의 화학식 1에서 n은 각각 1~3의 정수이며, X는 각각 불소, 염소 또는 브롬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열안정제, 활제, 이형 제, 핵제, 대전 방지제, 안정제, 분산제, 적하방지제, 내후안정제, 염료, 안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상기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선형, 분지형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에 트리스(할로겐 치환 페녹시)-s-트리아진 화합물을 적용함으로써, 투명하고 난연도 UL94 V0를 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A) 선형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0~15 중량부, (B) 분지형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60~90 중량부 및 (C) s-트리아진 유도 트리스(할로겐 치환 페녹시)-s-트리아진 화합물 10~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A) 선형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선형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A)는 선 형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A)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40 내지 90 중량%에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10 내지 60 중량%를 첨가하여 공중합시켜 제조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선형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50 내지 90 중량%와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1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른 구체예에서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은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60 내지 85 중량%와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15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은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60 내지 80 중량%와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2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선형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의 함량이 서로 다른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로서 상기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의 함량이 20~40 중량%인 서로 다른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선형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조성물의 용도에 따라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선택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선형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A)에 사용되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의 예로는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o-메틸스티렌, m-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o-에틸스티렌, m-에틸스티렌, p-에틸스티렌, 프로필스티렌, 부틸스티렌, 1-비닐나프탈렌, 2-비닐나프탈렌, 비닐 톨루엔 등이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스티렌이 바람직하다.
구체예에서 상기 선형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A)에 사용되는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로는 공중합체가 가능한 불포화 탄화수소와 시안화기를 함께 가지고 있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하나의 구체예로서 상기 불포화 탄화수소의 일부 수소가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로 치환될 수 있다.
상기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등을 들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아크릴로니트릴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형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A)는 가공성 및 내열성을 부가하기 위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무수말레인산 또는 N-치환말레이드 등의 단량체 약 0 내지 30 중량%를 더 부가하여 중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선형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A)는 0 내지 1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 중량부가 포함된다.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적하방지하기 어렵다.
(B) 분지형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구성성분인 분지형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B)는 고분자 사슬의 엉킴 효과를 극대화하고, 적하 방지제의 효과와 같이 활용되어 연소시 수지의 적하를 최대한 억제한다. 상기 분지형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40 내지 90 중량%와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10 내지 60 중량%를 공중합시켜 제조하는 것으로, 다관능성 개시제를 첨가하여 통상의 중합법으로 제조된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분지형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50 내지 90 중량%와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1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른 구체예에서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은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60 내지 85 중량%와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15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은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60 내지 80 중량%와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2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분지형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B)에 사용되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예로는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o-메틸스티렌, m-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o-에틸스티렌, m-에틸스티렌, p-에틸스티렌, 프로필스티렌, 부틸스티렌, 1-비닐나프탈렌, 2-비닐나프탈렌, 비닐 톨루엔 등이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스티렌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등을 들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아크릴로니트릴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관능성 개시제로는 2,2-비스(4,4-디(t-부틸퍼옥시)시클로헥실)프로판, 트리(t-부틸퍼옥시)트리아진, 트리(t-부틸퍼옥시)트리멜 리아트 또는 폴리에테르 폴리-t-부틸퍼옥시 카보네이트 등의 퍼옥시카보네이트계 화합물 및 t-부틸퍼옥시 메틸퓨마레이트, t-부틸퍼옥시 에틸퓨마레이트와 같은 알킬퍼옥시-알킬퓨마레이트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개시제의 함량은 상기 분지형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100중량부에 0.001∼5 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다. 다관능성 개시제의 함량이 0.00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분지쇄가 생성되지 않으며,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교차결합(Crosslinking)이 일어난다.
상기 분지형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000 내지 500,000, 바람직하게는 350,000 내지 450,000이다. 300,000 미만이면 연소시 적하 방지 효과가 적고, 500,000 초과되면 수지조성물의 점도가 상승하여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분지형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0.4~0.6의 분지화율, 바람직하게는 0.45~0.55의 분지화율(gM)을 갖는다. 분지화율이 0.4 미만이면, 가공성이 저하되고, 0.6을 초과하는 경우 적하방지효과에 문제가 있다. 분지화율 (gM)은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MALS(Multi Angle Light Scattering)를 이용하여 다음 식으로 계산된다.
Figure 112009082219364-PAT00002
(상기 <rg> Branched은 분지형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의 회전 반경, 상기 <rg> linear는 선형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의 회전반경이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60 내지 9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0 중량부의 분지형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가 존재한다. 6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 연소시에 적하 방지 효과가 떨어져 V0를 달성하기 어렵고, 9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 가공하기 어렵다.
(C) s-트리아진 유도 트리스(할로겐 치환 페녹시)-s-트리아진 화합물
본 발명에 따른 s-트리아진 유도 트리스(할로겐 치환 페녹시)-s-트리아진 화합물(B)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s-트리아진으로부터 유도된 트리스(할로겐 치환 페녹시)-s-트리아진 화합물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82219364-PAT00003
상기의 화학식 1에서 n은 각각 1~3의 정수이며, X는 불소, 염소 또는 브롬 등의 할로겐 원소이다.
투명성과 난연성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n이 3이고, X가 염소 또는 브롬인 할로겐 치환 페녹시 s-트리아진 화합물이 바람직하며, 염소 또는 브롬의 함량은 50 % 이상이 바람직하고 최종 용도에 따라 혼합 및 단독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 트리스(할로겐 치환 페녹시)-s-트리아진 화합물(B)은 10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트리스(할로겐 치환 페녹시)-s-트리아진 화합물(C)이 1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충분한 난연성을 확보할 수 없고, 3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투명성 및 난연도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의 구성성분 외에도 각각의 용도에 따라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자외선안정제, 형광증백제, 활제, 이형제, 핵제, 대전방지제,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보강재, 무기물 첨가제, 안료 또는 염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6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40 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구성성분과 기타 첨가제들을 동시에 혼합한 후에, 압출기 내에서 용융 압출하고 펠렛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제품의 성형에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고온에서 사출되면서 난연성 및 높은 외관특성이 요구되는 TV 하우징과 같은 전기, 전자 제품의 하우징의 제조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플라스틱 성형품을 성형하는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압출, 사출, 혹은 캐스팅 성형방법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성형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화될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거나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서 사용된 각 성분 및 첨가제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선형 SAN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28/72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125,000, 분지화율이 0.61인 SAN 수지를 사용하였다.
(B) 분지형 SAN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25/75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400,000, 분지화율이 0.47인 분지화된 SAN 수지를 사용하였다.
(C) 트리스(할로겐 치환 페녹시)-s-트리아진 화합물
s-트리아진으로부터 유도된 n이 3인 트리스(브롬 치환 페녹시)-s-트리아진으로 중국 Jiangsu Huading社의 FLAM-245을 사용하였다.
(D) 열안정제
열안정제는 Irganox 1076을 사용하였다.
(E) 적하방지제
Dupont-Mitsui화학의 TEFLON 7A-J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5
상기 각 구성성분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함량으로 첨가한 후, 헨 셀 믹서기에서 3∼10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상기의 혼합물은 통상의 이축 압출기에서 압출온도 180∼280 ℃, 스크류 회전속도 150∼300 rpm, 조성물 공급속도 30∼60 kg/hr로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펠렛은 80 ℃에서 3시간 건조 후 6 Oz 사출기에서 성형온도 180∼280 ℃, 금형온도 40∼80 ℃의 조건으로 사출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은 23 ℃, 상대습도 50%에서 40시간 방치한 후 UL 94 VB 난연규정에 따라 각각의 두께에서 난연도를 측정하였다. 투명도는 3 mm 두께의 시편 5장을 겹쳐 아래의 글자를 판독 가능하면 투명, 불가능하면 불투명의 판정을 하였다. 이때, 시편과 눈의 거리는 30 Bm이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비교실시예 1~5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각 성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5와 동일한 조건에서 시편제조 및 물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3 4 5
선형 SAN A   10   5 10   20   20 80
분지형 SAN B 80 70 70 65 60 100 60 60 60  
난연제 C 20 20 30 30 30   20 40 20 20
열안정제 D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적하방지제 E                 0.5  
난연도 UL94 VB 2.0mm V-0 V-0 V-0 V-0 V-0 Fail V-2 사출
불가
V-0 V-2
투명도 육안
평가
투명 투명 투명 투명 투명 투명 투명 - 불투명 투명
상기 표 1로부터, 실시예 1 내지 5는 V-0의 난연도 및 우수한 투명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해, 선형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A), 분지형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B) 및 트리스(할로겐 치환 페녹시)-s-트리아진 화합물(C)이 본 발명의 범위를 밖의 조성으로 사용한 경우 난연도 및 투명성이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또는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8)

  1. (A) 선형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0~15 중량부;
    (B) 분지형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60~90 중량부; 및
    (C) 트리스(할로겐 치환 페녹시)-s-트리아진 화합물 10~30 중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선형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및 상기 (B) 분지형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의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40 내지 90 중량% 및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10 내지 60 중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o-메틸스티렌, m-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o-에틸스티렌, m-에틸스티렌, p-에틸스티렌, 프로필스티렌, 부틸스티렌, 1-비닐나프탈렌, 2-비닐나프탈렌, 비닐 톨루엔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 로니트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지형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B)의 분지화율이 0.4~0.6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지형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B)의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00 내지 5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스(할로겐 치환 페녹시)-s-트리아진 화합물(C)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9082219364-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각각 1~3의 정수이며, X는 각각 불소, 염소 또는 브롬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열안정제, 활제, 이형제, 핵제, 대전 방지제, 안정제, 분산제, 적하방지제, 내후안정제, 염료, 안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성형품.
KR1020090136177A 2009-12-31 2009-12-31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201100791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6177A KR20110079193A (ko) 2009-12-31 2009-12-31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6177A KR20110079193A (ko) 2009-12-31 2009-12-31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9193A true KR20110079193A (ko) 2011-07-07

Family

ID=44918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6177A KR20110079193A (ko) 2009-12-31 2009-12-31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919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9216A (ko) * 2018-10-31 2020-05-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9216A (ko) * 2018-10-31 2020-05-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27671B (zh) 一种abs复合材料
KR101457403B1 (ko) 고온 내열변색 특성이 우수한 asa 수지 조성물
KR100962389B1 (ko)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CN107434878B (zh) 一种高灼热丝、耐水煮阻燃聚丙烯复合材料及制备方法
CN102391608A (zh) 一种超高耐热阻燃abs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4011096A (zh) 阻燃丙烯酸共聚物、包含它的树脂组合物和包含它的模制品
CN104387739A (zh) 一种阻燃聚碳酸酯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100453B1 (ko) 난연성, 착색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EP2610306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ith flowability, transparency, and impact strength
KR101452086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도광판
KR20110079193A (ko)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20120100523A (ko) 내스크래치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
KR20180113040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30068871A (ko) 고온에서의 가공성 및 내변색성이 우수한 내열성 abs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183899A (zh) 具有优异阻燃性、着色性和热稳定性的热塑性树脂组合物
KR101981471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1683339B1 (ko) 스티렌계 난연수지용 적하 방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스티렌 난연수지 조성물
KR20150057171A (ko)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111104B1 (ko) 투명성, 난연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0984536B1 (ko) 대전방지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EP2204405A1 (en) Scratch-resistant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KR20090021951A (ko)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
KR20110007372A (ko) 난연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80076638A (ko)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사출 성형품
KR20090066624A (ko)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