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7464A - 전동칫솔용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칫솔용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7464A
KR20110077464A KR1020090134054A KR20090134054A KR20110077464A KR 20110077464 A KR20110077464 A KR 20110077464A KR 1020090134054 A KR1020090134054 A KR 1020090134054A KR 20090134054 A KR20090134054 A KR 20090134054A KR 20110077464 A KR20110077464 A KR 20110077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housing
lamp
cover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4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충식
Original Assignee
에센시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센시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센시아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4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7464A/ko
Publication of KR20110077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74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8Accessories for toilet tables, e.g. glass plates, supports therefor
    • A47K1/09Holders for drinking glasses, tooth brushes, hair brus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Brush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칫솔용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램프접속부(11)와 가압버튼(13)이 마련된 전원부(10)와, 이 전원부(10) 상방에 배치되는 메인하우징(20)과, 이 메인하우징(20)의 내부에 배치되는 승강하우징(30)과, 이 승강하우징(30) 내부로 삽입 결합되는 칫솔보관통(40)과, 상기 전원부(10)의 램프접속부(11)에 접속되는 살균부(50) 및 상기 메인하우징(20)의 상단부를 덮어씌우는 커버(6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부, 메인하우징, 승강하우징, 칫솔보관통, 살균부 및 커버로 크게 나누어 조립하는 방식으로써, 기본적으로 전체적인 장치의 조립 및 분리 작업이 신속하고 수월하게 이루어지며, 또한, 커버의 개폐에 따라 승강되면서 전원스위치를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커버 오픈시 자외선 발광이 차단되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고, 또한, 승강하우징과 칫솔보관통 사이에 발광확인체를 마련함으로써, 커버 밀폐시에도 외부에서 살균램프의 발광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전원부의 회전 조작에 메인하우징과의 원터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물받이부의 물을 실시간적으로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전동칫솔용 살균장치, 전원부, 승강하우징, 살균부, 커버

Description

전동칫솔용 살균장치{Apparatus for sterilizing for electromotion toothbrush}
본 발명은 전동칫솔용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부, 메인하우징, 승강하우징, 칫솔보관통, 살균부 및 커버로 크게 나누어 조립하는 방식으로써, 기본적으로 전체적인 장치의 조립 및 분리 작업이 신속하고 수월하게 이루어지며, 또한, 커버의 개폐에 따라 승강되면서 전원스위치를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커버 오픈시 자외선 발광이 차단되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고, 또한, 승강하우징과 칫솔보관통 사이에 발광확인체를 마련함으로써, 커버 밀폐시에도 외부에서 살균램프의 발광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전원부의 램프접속부와 살균부의 램프하우징 간에 원터치 록킹 구조를 마련하여 전원부의 회전 조작에 의해 이들이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받이부에 고여 있는 물을 실시간적으로 신속하게 제거하여 물이 바닥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여 항상 청결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전동칫솔용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칫솔살균기는 살균램프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을 통해 칫솔모를 살 균하는 장치로서, 본체와 칫솔을 수납하는 칫솔걸이 및 살균램프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칫솔살균기는 휴대가 가능한 휴대용 칫솔살균기와, 욕실에 비치하여 사용되는 입형식 칫솔살균기로 구분된다.
상기 입형식 칫솔살균기를 살펴보면, 본체의 내부에 다수의 칫솔을 걸 수 있도록 하는 칫솔걸이가 마련되고, 상기 칫솔걸이의 인접부에는 칫솔모에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하는 살균램프와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의 상방에는 힌지에 의해 회동되는 커버로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본체의 배면 또는 하단에는 벽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거치대가 마련되거나, 또는 바닥에 세워지도록 받침대가 구성된다.
그리고, 종래의 칫솔살균기는 본체의 일측에 살균램프와 전원선으로 연결되어 살균램프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치가 마련되어 이 스위치를 조작함에 따라 살균램프가 작동되면서 살균이 수행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전동칫솔용 살균장치는 본체, 칫솔걸이 살균램프/ 제어부, 커버, 거치대, 받침대 및 전원선에 의해 살균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 등 복잡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전체 장치의 조립 및 분리 작업이 복잡하고 어렵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스위치를 통해 살균램프를 온/오프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본체의 커버가 개방되었을 경우에도 살균램프가 점등된 상태로 있어 그 자외선이 외부로 조사되어 상해를 입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커버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살균램프의 온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살균램프의 온/오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수시로 커버를 개폐시켜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본체의 하방에 별도의 물받이대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칫솔걸이에 걸려 있는 칫솔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하방으로 낙하되어 바닥면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설령 본체 내부에 물받이를 구비한다고 하여도 물받이의 물을 버리기 위해서 장치 전체를 분해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전원부, 메인하우징, 승강하우징, 칫솔보관통, 살균부 및 커버로 크게 나누어 조립하는 방식으로써, 기본적으로 전체적인 장치의 조립 및 분리 작업이 신속하고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동칫솔용 살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커버의 개폐에 따라 승강되면서 전원스위치를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커버 오픈시 자외선 발광이 차단되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게 되는 전동칫솔용 살균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승강하우징과 칫솔보관통 사이에 발광확인체를 마련함으로써, 커버 밀폐시에도 외부에서 살균램프의 발광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칫솔용 살균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전원부의 램프접속부와 살균부의 램프하우징 간에 원터치 록킹 구조를 마련하여 전원부의 회전 조작에 의해 이들이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받이부에 고여 있는 물을 실시간적으로 신속하게 제거하여 물이 바닥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여 항상 청결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전동칫솔용 살균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동칫솔용 살균장치는 상면 중앙에 램프접속부가 마련되고 그 인접부에 내부의 전원스위치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버튼이 마련된 전원부; 상기 전원부 상방에 배치되고 내부가 비어있으며 저면 중앙에 장착홀이 형성되고 그 인접 테두리에 낙수홀 및 가압버튼이 관통되도록 하는 버튼관통홀이 마련된 메인하우징; 상기 메인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하로 승강되는 승강하우징; 상기 승강하우징 내부로 삽입 결합되되, 칫솔 삽입을 위해 상방이 개방되고 자체 하중에 의해 그 저면이 하방의 가압버튼을 가압하며 중앙의 공간부 주위에 원형으로 공간부를 형성하여 원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칫솔삽입부가 마련되고, 상면에 걸림부가 구비된 칫솔보관통; 상기 전원부의 램프접속부에 접속 연결되는 살균램프와, 이 살균램프를 덮어씌우고 상기 칫솔삽입부의 중앙 공간부에 배치되며 그 하단부가 상기 메인하우징의 장착홀에 관통된 상태로 밀착 고정되는 램프하우징이 마련된 살균부; 및 상기 메인하우징의 상단부를 덮어씌우고 개방시 상기 칫솔보관통의 걸림부를 걸어 올려 칫솔보관통 자체 하중에 의해 온 되어 있는 전원스위치의 가압을 해제하여 전원스위치를 오프시키는 걸쇠가 마련된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칫솔용 살균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하우징과 칫솔보관통의 중앙 공간부에 배치되어 있는 램프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살균램프의 발광 여부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발광확인체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칫솔용 살균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확인체가 배치되는 칫솔보관통의 해당 부위에는 인접하는 다른 칫솔삽입부보다 상하 길이를 짧게 하여 그 하방에 상기 발광확인체가 배치되도록 하는 치간칫솔삽입부가 마련되고, 상기 승강하우징의 일측 벽면에는 상기 발광확인체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절취된 노출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칫솔용 살균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출공은 승강하우징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절취된 장방형 구조로 되고 이 노출공에 배치되는 발광확인체의 해당 부위에 이 노출공의 외측 테두리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장착된 후 걸려 고정되도록 양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칫솔용 살균장치에 있어서, 상기 램프접속부의 인접 테두리에 칫솔보관통의 칫솔들로부터 낙수홀을 통해 낙수된 물을 수집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패인 물받이부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칫솔용 살균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의 내주면 소정부위에 승강하우징의 외주면을 밀착 지지하여 이 승강하우징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리브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칫솔용 살균장치에 있어서, 상기 램프하우징의 하단부 외주면에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램프접속부의 외주면 테두리에 걸림후크가 마련되어, 전원부의 회전 조작에 의해 걸림후크가 상기 걸림돌기에 걸려 전원부가 메인하우징에 고정 결합되고 걸림이 해제되어 전원부가 메인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칫솔용 살균장치에 있어서, 상기 칫솔삽입부의 외주면은 외부로 연통되도록 하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창살띠 구조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칫솔용 살균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메인하우징에 힌지 연결되어 축 회전되도록 일측변 양단부에 힌지축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칫솔용 살균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힌지축 인접부에 하방으로 라운드진 곡면 구조의 힌지안내부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메인하우징의 상단부에 상기 힌지안내부의 곡면 테두리와 밀착된 상태에서 커버가 힌지 회전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칫솔용 살균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걸쇠는 이 커버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직각 연장되어 그 선단부에 양측으로 돌출된 걸림돌부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칫솔보관통의 걸림부는 커버의 힌지 회전에 대응하여 걸쇠가 축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길다란 슬릿 형상의 안내공 구조로서 이 안내공의 인접 테두리에는 상기 걸림돌부가 걸리도록 하는 걸림턱이 마련되어 칫솔보관통이 들어 올려지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칫솔용 살균장치는 전원부, 메인하우징, 승강하우징, 칫솔보관통, 살균부 및 커버로 크게 나누어 조립하는 방식으로써, 기본적으로 전체적인 장치의 조립 및 분리 작업이 신속하고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커버의 개폐에 따라 승강되면서 전원스위치를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커버 오픈시 자외선 발광이 차단되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승강하우징과 칫솔보관통 사이에 발광확인체를 마련함으로써, 커버 밀폐시에도 외부에서 살균램프의 발광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전원부의 램프접속부와 살균부의 램프하우징 간에 원터치 록킹 구조를 마련하여 전원부의 회전 조작에 의해 이들이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받이부에 고여 있는 물을 실시간적으로 신속하게 제거하여 물이 바닥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여 항상 청결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전동칫솔용 살균장치는 램프접속부(11)와 가압버튼(13)이 마련된 전원부(10)와, 이 전원부(10) 상방에 배치되는 메인하우징(20)과, 이 메인하우징(20)의 내부에 배치되는 승강하우징(30)과, 이 승강하우징(30) 내부로 삽입 결합되는 칫솔보관통(40)과, 상기 전원부(10)의 램프접속부(11)에 접속되는 살균부(50) 및 상기 메인하우징(20)의 상단부를 덮어씌우는 커버(6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전원부(10)는 상면 중앙에 상방으로 돌출된 원기둥 형상의 램프접속부(11)가 마련되고 그 인접부에는 내부의 전원스위치(12)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버튼(13)이 관통 배치되도록 하는 관통공(14)이 형성되며, 상기 램프접속부(11)의 인접 외측테두리에는 칫솔보관통(40)의 칫솔들로부터 낙수홀(22)을 통해 낙수된 물을 수집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패인 물받이부(15)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램프접속부(11)의 외주면 테두리에는 전원부(10)의 축 회전 조작에 의해 램프하우징(52)의 하단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52a)에 걸려 전원부(10)가 메인하우징(20)에 고정 결합되고 걸림이 해제되어 전원부(10)가 메인하우징(2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걸림후크(11a)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부(10)의 하방 내부에는 건전지 등의 전원을 장착하기 위 한 전원장착부(16)가 마련되고, 이 전원장착부(16)의 외측면에 전원 접속을 온/오프시키는 상기 전원스위치(12)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스위치(12)는 일단부가 스위치박스(17) 상면에 연결되고 그 타단부가 스위치박스(17)의 접속단자(17a) 직상방으로 들어 올려져 있는 탄성을 갖는 판재 형상으로, 칫솔보관통(40)의 칫솔삽입부(42) 중 어느 하나의 하중에 의해 눌려진 가압버튼(13)의 가압시 탄발력을 갖고 접속단자(17a)에 접촉되어 있다가 커버(60) 오픈시 걸쇠(61)가 걸림부(43)를 들어올려서 칫솔보관통(40)의 하중이 해제되면 자체 탄발력에 의해 가압버튼(13)을 상방으로 밀어 올려서 접속단자(17a)로부터 이탈되어 전원공급이 차단되도록 되어 있다.
미 설명 부호 18은 상기 전원장착부(16)를 덮어씌우는 덮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메인하우징(20)은 전원부(10) 상방에 배치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사각 관체 형상으로, 그 저면 중앙에는 램프하우징(52)의 하단부가 일정길이 삽입된 상태에서 이 램프하우징(52)의 외주면이 그 내주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장착홀(21)이 형성되고 그 인접 테두리에는 칫솔보관통(40)의 칫솔로부터 흘러내린 물이 하방의 물받이부(15)로 낙하되도록 하는 낙수홀(22) 및 가압버튼(13)이 관통되도록 하는 버튼관통홀(23)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낙수홀(22)은 원호 형상을 따라 등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버튼관통홀(23)은 낙수홀(22)과 동일 반경의 원호 상에 배치되며 메인하우징(20)에 대해 전원부(10)를 회전 조작시킬 때 상기 가압버튼(13)이 걸리 거나 하는 등의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범위의 각도를 갖는 길다란 원호 형상의 관통공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하우징(20)의 내주면 소정부위에는 승강하우징(30)의 외주면을 밀착 지지하여 이 승강하우징(3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얇은 띠 형상의 지지리브(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메인하우징(20)의 상단 후단부 양측에는 이 커버(60)의 힌지안내부(63)가 밀착된 상태에서 커버(60)가 힌지 회전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부(2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하우징(20)은 외부에서 내부의 발광확인체(70)가 발광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가능한 투명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승강하우징(30)은 메인하우징(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하로 승강되는 사각 관체 형상으로, 하단 테두리 소정부위에는 발광확인체(7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단에서 상방으로 일정길이 절취된 장방형 구조의 노출공(31)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 테두리 소정부위에는 칫솔보관통(40)의 결합돌기가 걸려 일체형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홀(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칫솔보관통(40)은 승강하우징(30) 내부로 삽입 결합되되, 칫솔 삽입을 위해 상방이 개방되고 자체 하중에 의해 그 저면이 하방의 가압버튼(13)을 가압하며 중앙의 공간부(41) 주위에 원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칫솔삽입부(42)가 마련되고, 상면에 커버(60)의 걸쇠(61)가 걸리도록 하는 걸림부(43)가 갖추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칫솔삽입부(42)의 외주면은 외부로 연통되도록 하는 복수의 통공(42a)이 형성된 창살띠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43)는 커버(60)의 힌지 회전에 대응하여 걸쇠(61)가 축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길다란 슬릿 형상의 안내공(43a) 구조로서, 이 안내공(43a)의 인접 테두리에는 상기 걸림돌부(61a)가 걸리도록 하는 걸림턱(43b)이 마련되어 칫솔보관통(40)이 들어 올려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발광확인체(70)가 배치되는 칫솔보관통(40)의 해당 부위에는 인접하는 다른 칫솔삽입부(42)보다 상하 길이를 짧게 하여 그 하방에 상기 발광확인체(70)가 배치되도록 하는 치간칫솔삽입부(44)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칫솔보관통(40)의 상단 테두리에는 상기 승강하우징(30)의 결합홀에 걸려 칫솔보관통이 승강하우징에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살균부(50)는 전원부(10)의 램프접속부(11)에 접속 연결되고 전원을 공급받아 자외선을 발광시키는 살균램프(51)와, 이 살균램프(51)를 덮어씌워 보호하고 상기 칫솔삽입부(42)의 중앙 공간부(41)에 배치되며 그 하단부가 상기 메인하우징(20)의 장착홀(21)에 관통된 상태로 그 외주면이 이 장착홀(21)의 내주면에 밀착 고정되는 망상 구조의 램프하우징(52)이 마련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램프하우징(52)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램프접속부(11)의 외주 면 테두리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후크(11a)가 걸리도록 하여, 즉, 전원부(10)의 회전 조작에 의해 걸림후크(11a)가 상기 걸림돌기(52a)에 걸려 전원부(10)가 메인하우징(20)에 고정 결합되고 걸림이 해제되어 전원부(10)가 메인하우징(2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걸림돌기(52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60)는 메인하우징(20)의 개방된 상단부를 덮어씌우는 사각 덮개 형상으로, 이 커버(60) 개방시 상기 칫솔보관통(40)의 걸림부(43)를 걸어 올려 칫솔보관통(40) 자체 하중에 의해 온 되어 있는 전원스위치(12)의 가압을 해제하여 전원스위치(12)를 오프시키도록 하는 걸쇠(61)가 마련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걸쇠(61)는 커버(60)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직각 연장되는 길다란 막대 형상으로, 그 선단부에는 커버(60)의 힌지 회전에 따라 축 회전되다가 걸림부(43)의 안내공(43a) 인접 테두리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43b)에 걸리는 동시에 이 칫솔보관통(40)을 들어 올릴 수 있도록 양측으로 돌출된 걸림돌부(6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60)는 메인하우징(20)에 힌지 연결되어 축 회전되도록 일측변 양단부에 힌지축(62)이 마련되어 있고, 이 커버(60)의 힌지축(62) 인접부에는 메인하우징(20)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탄성지지부(25)가 밀착된 상태에서 커버(60)가 힌지 회전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하방으로 라운드진 곡면 구조의 힌지안내부(6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하우징(30)과 상기 칫솔보관통(40)의 중앙 공간부(41)에 배치되어 있는 램프하우징(52) 사이에는 살균램프(51)의 발광 여부를 외부에서 육 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체(또는, 빛을 투과할 수 있는 재질) 재질의 발광확인체(70)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발광확인체(70)는 인접하는 다른 칫솔삽입부(42)보다 상하 길이가 짧은 치간칫솔삽입부(44) 하방에 배치되고 그 일단부가 상기 승강하우징(30)의 일측 벽면에 형성되어 있는 노출공(31)을 통해 이 승강하우징(3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노출공(31)에 배치되는 발광확인체(70)의 해당 부위에는 이 노출공(31)의 외측 테두리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장착된 후 걸려 고정되도록 양측으로 돌출된 걸림턱(7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전동칫솔용 살균장치는 메인하우징(20)의 장착홀(21)에 살균부(50)의 램프하우징(52)이 장착 고정되도록 조립하고, 승강하우징(30)의 내부로 칫솔보관통(40)을 삽입시키고 이들 사이에 발광확인체(70)를 개재시킨 후 서로 결합시키며, 상기 메인하우징(20)을 상기 전원부(10)의 상방에 배치하여 전원부(10)의 회전 조작을 통해 램프하우징(52)의 하단부 외주면의 걸림돌기(52a)에 램프접속부(11)의 걸림후크(11a)가 걸리도록 하여 서로 결합시킨다.
그러고 나서, 상기 칫솔보관통(40)의 중앙 공간부(41)에 살균부(50)의 램프하우징(52)이 배치되도록 하여 승강하우징(30)과 칫솔보관통(40)의 결합체를 메인하우징(20)의 내부 공간에 투입시킨 다음 커버(60)의 걸쇠(61)가 칫솔보관통(40)의 걸림부(43) 내로 삽입되도록 하여 커버(60)를 메인하우징(20)의 상단부에 힌지 결 합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전동칫솔용 살균장치에 대한 조립이 완성된다.
이렇게 조립이 완성된 본 발명의 전동칫솔용 살균장치는 칫솔보관통(40) 내에 수납되어 있는 칫솔들을 살균 처리하기 위해서 커버(60)를 닫으면 자체의 하중에 의해 칫솔보관통(40)의 칫솔삽입부(42) 중 어느 하나가 전원부(10)의 가압버튼(13)을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가압버튼(13)은 하방의 전원스위치(12)를 가압하여 전원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살균부(50)의 살균램프(51)로부터 자외선이 발광되어 칫솔들에 대한 살균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는 내부의 발광확인체(70)를 통해 살균램프(51)의 발광 여부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새로운 칫솔 수납 및 살균이 완료된 내부 칫솔 인출을 위해 커버(60)를 개방시키면 이 커버(60)의 걸쇠(61)가 칫솔보관통(40)의 걸림부(43)를 걸어서 들어 올리는 동시에 전원스위치(12)의 가압을 해제하여 살균램프(51)를 오프시킴으로써 자외선 발광에 따른 사용자의 상해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원부(10)의 전원스위치(12)는 칫솔보관통(40)의 하중에 의해 가압버튼(13)의 가압시 탄발력을 갖고 접속단자(17a)에 접촉되어 있다가 커버(60) 오픈시 걸쇠(61)가 걸림부(43)를 들어 올려서 칫솔보관통(40)의 하중에 의한 가압력이 해제되면 자체 탄발력에 의해 가압버튼(13)을 상방으로 밀어 올려서 접속단자(17a)로부터 이탈되어 전원공급이 차단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살균 중 칫솔에서 낙수된 물은 하방의 낙수홀(22)을 통해 전원부(10) 상면의 물받이부(15)로 수집되며, 어느 정도 수집이 이루어지고 나면 메인하우징(20)에 대해 하방의 전원부(10)를 축 회전시켜 램프하우징(52)의 걸림돌기(52a)에서 램프접속부(11)의 걸림후크(11a)가 걸림 해제되도록 하여 이들을 서로 분리시킨 후 물받이부(15)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킨 다음 다시 전원부(10)를 메인하우징(20)에 결합시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를 종래의 공지 기술과 단순히 조합 적용한 변형예는 물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용 살균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개략 투시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용 살균장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개략 투시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용 살균장치를 상방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용 살균장치를 하방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용 살균장치 중 전원부가 메인하우징에 결합된 상태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용 살균장치 중 전원부가 메인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용 살균장치 중 전원부가 메인하우징에 결합된 상태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요부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용 살균장치 중 전원부가 메인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요부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용 살균장치 중 메인하우징의 장착홀에 램프하우징이 밀착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용 살균장치 중 커버의 힌지 구조를 나타낸 요부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원부 11 : 램프접속부
11a : 걸림후크 12 : 전원스위치
13 : 가압버튼 14 : 관통공
15 : 물받이부 16 : 전원장착부
17 : 스위치박스 17a : 접속단자
18 : 덮개 20 : 메인하우징
21 : 장착홀 22 : 낙수홀
23 : 버튼관통홀 24 : 지지리브
25 : 탄성지지부 30 : 승강하우징
31 : 노출공 32 : 결합홀
40 : 칫솔보관통 41 : 공간부
42 : 칫솔삽입부 42a : 통공
43 : 걸림부 43a : 안내공
43b : 걸림턱 44 : 치간칫솔삽입부
45 : 결합돌기 50 : 살균부
51 : 살균램프 52 : 램프하우징
52a : 걸림돌기 60 : 커버
61 : 걸쇠 61a : 걸림돌부
62 : 힌지축 63 : 힌지안내부
70 : 발광확인체 71 : 걸림턱

Claims (11)

  1. 상면 중앙에 램프접속부(11)가 마련되고 그 인접부에 내부의 전원스위치(12)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버튼(13)이 마련된 전원부(10);
    상기 전원부(10) 상방에 배치되고 내부가 비어있으며 저면 중앙에 장착홀(21)이 형성되고 그 인접 테두리에 낙수홀(22) 및 가압버튼(13)이 관통되도록 하는 버튼관통홀(23)이 마련된 메인하우징(20);
    상기 메인하우징(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하로 승강되는 승강하우징(30);
    상기 승강하우징(30) 내부로 삽입 결합되되, 칫솔 삽입을 위해 상방이 개방되고 자체 하중에 의해 그 저면이 하방의 가압버튼(13)을 가압하며 중앙의 공간부(41) 주위에 원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칫솔삽입부(42)가 마련되고, 상면에 걸림부(43)가 구비된 칫솔보관통(40);
    상기 전원부(10)의 램프접속부(11)에 접속 연결되는 살균램프(51)와, 이 살균램프(51)를 덮어씌우고 상기 칫솔삽입부(42)의 중앙 공간부(41)에 배치되며 그 하단부가 상기 메인하우징(20)의 장착홀(21)에 관통된 상태로 밀착 고정되는 램프하우징(52)이 마련된 살균부(50); 및
    상기 메인하우징(20)의 상단부를 덮어씌우고 개방시 상기 칫솔보관통(40)의 걸림부(43)를 걸어 올려 칫솔보관통(40) 자체 하중에 의해 온 되어 있는 전원스위치(12)의 가압을 해제하여 전원스위치(12)를 오프시키는 걸쇠(61)가 마련된 커버(6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동칫솔용 살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하우징(30)과 상기 칫솔보관통(40)의 중앙 공간부(41)에 배치되어 있는 램프하우징(52) 사이에 배치되어 살균램프(51)의 발광 여부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발광확인체(7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용 살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확인체(70)가 배치되는 칫솔보관통(40)의 해당 부위에는 인접하는 다른 칫솔삽입부(42)보다 상하 길이를 짧게 하여 그 하방에 상기 발광확인체(70)가 배치되도록 하는 치간칫솔삽입부(44)가 마련되고, 상기 승강하우징(30)의 일측 벽면에는 상기 발광확인체(7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절취된 노출공(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용 살균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공(31)은 승강하우징(30)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절취된 장방형 구조로 되고 이 노출공(31)에 배치되는 발광확인체(70)의 해당 부위에 이 노출공(31)의 외측 테두리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장착된 후 걸려 고정되도록 양측으로 돌출된 걸림턱(7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용 살균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접속부(11)의 인접 테두리에 칫솔보관통(40)의 칫솔들로부터 낙수홀(22)을 통해 낙수된 물을 수집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패인 물받이부(15)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용 살균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20)의 내주면 소정부위에 승강하우징(30)의 외주면을 밀착 지지하여 이 승강하우징(3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리브(24)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용 살균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하우징(52)의 하단부 외주면에 걸림돌기(52a)가 돌출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램프접속부(11)의 외주면 테두리에 걸림후크(11a)가 마련되어, 전원부(10)의 회전 조작에 의해 걸림후크(11a)가 상기 걸림돌기(52a)에 걸려 전원부(10)가 메인하우징(20)에 고정 결합되고 걸림이 해제되어 전원부(10)가 메인하우징(2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용 살균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삽입부(42)의 외주면은 외부로 연통되도록 하는 복수의 통공(42a) 이 형성된 창살띠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용 살균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60)는 메인하우징(20)에 힌지 연결되어 축 회전되도록 일측변 양단부에 힌지축(62)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용 살균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60)의 힌지축(62) 인접부에 하방으로 라운드진 곡면 구조의 힌지안내부(63)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메인하우징(20)의 상단부에 상기 힌지안내부(63)의 곡면 테두리와 밀착된 상태에서 커버(60)가 힌지 회전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부(2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용 살균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60)의 걸쇠(61)는 이 커버(60)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직각 연장되어 그 선단부에 양측으로 돌출된 걸림돌부(61a)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칫솔보관통(40)의 걸림부(43)는 커버(60)의 힌지 회전에 대응하여 걸쇠(61)가 축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길다란 슬릿 형상의 안내공(43a) 구조로서 이 안내공(43a)의 인접 테두리에는 상기 걸림돌부(61a)가 걸리도록 하는 걸림턱(43b)이 마련되어 칫솔보관통(40)이 들어 올려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용 살균장치.
KR1020090134054A 2009-12-30 2009-12-30 전동칫솔용 살균장치 KR201100774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4054A KR20110077464A (ko) 2009-12-30 2009-12-30 전동칫솔용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4054A KR20110077464A (ko) 2009-12-30 2009-12-30 전동칫솔용 살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7464A true KR20110077464A (ko) 2011-07-07

Family

ID=44917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4054A KR20110077464A (ko) 2009-12-30 2009-12-30 전동칫솔용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746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133B1 (ko) * 2012-05-07 2014-04-09 주식회사 비에프티 열탕 살균장치 및 항균장치가 구비된 다기능 수저 보관함
KR200479331Y1 (ko) * 2015-10-16 2016-01-15 이길순 칫솔, 화장용 퍼프 및 화장솔 살균기
ITUB20155798A1 (it) * 2015-12-18 2017-06-18 Alessandro Gerloni Dispositivo utile per la disinfezione o sterilizzazione di spazzolini per l?igiene orale.
KR102269247B1 (ko) * 2020-12-03 2021-06-28 조준서 양치컵과 칫솔의 동시 살균이 가능한 uv 살균장치
KR102393493B1 (ko) * 2021-08-09 2022-05-02 안창선 다용도 주방 용품 살균 건조기
KR20230078135A (ko) * 2021-11-26 2023-06-02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아용 살균 칫솔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133B1 (ko) * 2012-05-07 2014-04-09 주식회사 비에프티 열탕 살균장치 및 항균장치가 구비된 다기능 수저 보관함
KR200479331Y1 (ko) * 2015-10-16 2016-01-15 이길순 칫솔, 화장용 퍼프 및 화장솔 살균기
EP3156079A1 (en) * 2015-10-16 2017-04-19 Gil Soon Lee Sterilizer for toothbrushes, puffs for cosmetic use and cosmetic brushes
ITUB20155798A1 (it) * 2015-12-18 2017-06-18 Alessandro Gerloni Dispositivo utile per la disinfezione o sterilizzazione di spazzolini per l?igiene orale.
WO2017103956A1 (en) * 2015-12-18 2017-06-22 Gerloni Alessandro Disinfection or sterilization device for the oral hygiene toothbrushes
KR102269247B1 (ko) * 2020-12-03 2021-06-28 조준서 양치컵과 칫솔의 동시 살균이 가능한 uv 살균장치
KR102393493B1 (ko) * 2021-08-09 2022-05-02 안창선 다용도 주방 용품 살균 건조기
WO2023018113A1 (ko) * 2021-08-09 2023-02-16 안창선 다용도 주방 용품 살균 건조기
KR20230078135A (ko) * 2021-11-26 2023-06-02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아용 살균 칫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77464A (ko) 전동칫솔용 살균장치
US6039928A (en) Writing implement sterilization apparatus
US20070057197A1 (en) Ultraviolet disinfection device
KR101688044B1 (ko) 숟가락 및 젓가락 살균기
JP2006517120A (ja) 喉頭鏡
KR200459582Y1 (ko) 살균 소독 기능을 갖는 이미용기구 보관대
JP2011136159A (ja) 調理器具用殺菌装置
JP2013527890A (ja) ドアハンドル
KR101729571B1 (ko) 살균기능을 구비한 변기커버
KR20130004183U (ko) 자외선 살균기능이 있는 마우스 키보드 수납구
KR200453674Y1 (ko) 수저 살균소독기
EP1764114A1 (en) Ultraviolet disinfection device
KR100875726B1 (ko) 위생적으로 인출 가능한 수저통
KR101981235B1 (ko) 생리컵 살균기
JP2011012856A (ja) フィルタ装置
KR200416276Y1 (ko) 주방용 칼꽂이
KR20160077876A (ko) 주방용 칼 가위 소독기
KR200443494Y1 (ko) 서랍형 살균장치
KR20090043289A (ko) 수저 살균이 가능한 주방용 수납장
KR101211193B1 (ko) 살균 및 건조 기능이 구비된 주방용품 수납기구
KR100862739B1 (ko) 위생수저통을 구비한 테이블
KR200383346Y1 (ko) 발광다이오드형 자외선 및 오존 램프를 이용한 살균수저통
KR200389168Y1 (ko) 수저통의 오존 살균 장치
KR102235324B1 (ko) 살균 기능과 전원 사용성 및 청소성이 향상된 진공쌀통
KR20190033817A (ko) Uvc 광을 이용한 컵 소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