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6721A - 도광판 유닛 및 도광판 유닛에서의 팽창 흡수 기능의 부여방법 - Google Patents

도광판 유닛 및 도광판 유닛에서의 팽창 흡수 기능의 부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6721A
KR20110076721A KR1020100018795A KR20100018795A KR20110076721A KR 20110076721 A KR20110076721 A KR 20110076721A KR 1020100018795 A KR1020100018795 A KR 1020100018795A KR 20100018795 A KR20100018795 A KR 20100018795A KR 20110076721 A KR20110076721 A KR 20110076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light guide
metal frame
frame body
synthe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8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2623B1 (ko
Inventor
배용준
야스히로 사카이
Original Assignee
배용준
가부시키가이샤 사카이 실크 스크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용준, 가부시키가이샤 사카이 실크 스크린 filed Critical 배용준
Publication of KR20110076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6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1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feather joints, e.g. tongues and grooves, with or without fri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F21V29/76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with essentially identical parallel planar fins or blades, e.g. with comb-like cross-s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200/0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200/2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of light guides of a generally planar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조명용 도광판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적어도 아크릴판 등의 합성수지 도광판(D)의 열팽창에 의한 신축을 흡수하는 팽창 흡수 기능과 방열 기능을 겸비하고, 또한 조립, 분해가 용이하며 설치에 편리한 도광판 유닛(U)을 제공하는 것이다.
합성수지 도광판(D)과 금속 프레임체(F)와 광원부(L)를 주요 요소로 하는 유닛화된 도광판 유닛(U)이며, 또한 상기 금속 프레임체(F)가 합성수지 도광판(D)의 열팽창을 저감시키는 방열 기능과, 합성수지 도광판(D)의 열팽창에 의한 신축을 흡수하는 팽창 흡수 기능을 겸비하는 도광판 유닛(U).

Description

도광판 유닛 및 도광판 유닛에서의 팽창 흡수 기능의 부여방법{Grant method of expansion absorption function from light guide plate unit}
본 발명은 아크릴판과 같은 합성수지 도광판에 빛을 비추어 이 빛이 도광판의 표면에서 방출되는 작용을 응용하여 주로 조명용으로 이용되는 도광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알루미늄재 등의 금속에서 테두리가 되어, 왜곡 발생 없이 설치나 조립이 편리한 제조로 구성된 도광판 유닛(U)에 관한 것이다.
메타크릴 수지판(일반적으로 아크릴판이라 함으로 이 후 아크릴판이라 한다.)는, 투명도가 좋고 경도가 높음과 동시에 내후성, 내열성, 내약품성에도 우수하므로 성형재료나 판재로서 차량용, 전기 기기용, 간판용, 디스플레이용 등으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판재로서는 아크릴판 표면에 레이저광 등으로 미세한 자국을 내어, 아크릴판의 단면에 빛을 비춤으로써 그 빛이 자국난 곳에서 절곡하여 아크릴판 표면에서 발광되는 작용, 즉 에지 라이팅 효과라고 불리는 작용을 응용한 아크릴 도광판이 점포 디스플레이 등으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상기 레이저광 등으로 생기는 자국으로서는 선 그어짐이나 점의 배열, 조각(彫刻) 디자인 등이 있다.
또한, 단면에 비추는 빛으로서는 LED를 광원으로서 사용되는 것이 주류가 되어있다.
이 에지 라이팅 효과를 응용한 아크릴 도광판을 조명용으로서 점포 등에 설치하는 경우, 현장에서 설치한 프레임재에 아크릴판을 부착하여 이 단면에 광원을 부착하고 배선하는 등의 작업이 요구되고 있다.
원하는 아크릴판의 크기는 각각 다르고 또한 설치 장소에 따라서는 광원의 부착이나 배선 공사가 곤란한 장소도 존재한다.
여기서 이것의 대책으로써 이들 조명장치를 유닛화하여, 취급이나 조립이 편리한 구성이 요구되었다.
유닛화로서는 일본국 특개 2005-56711호 공보에서 알 수 있듯이 1개의 조명장치로써 유닛화된 것은 있지만, 반드시 복수의 도광판 유닛을 조립하여 사용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은 아니다.
조립 사용에 관해서는 일본국 특개 2009-264060호 공보를 들 수 있지만 이 내용은 프레임재를 현장에 설치하여 이것에 아크릴판을 부착하는 수단으로, 이것도 유닛화 되었다고는 말하기 어렵다.
또한, 유닛화에 관한 다른 예로서는 사각형의 아크릴판을 사각한 알루미늄재 등의 프레임체로 강고(强固)하게 테두리하는 수단이 있는데 아크릴판이 프레임체에 의해 단단히 조이는 작용을 받으므로 아크릴판의 열팽창이 저지되게 되어 그 결과, 아크릴판이 휘는 등의 왜곡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각으로 구성된 프레임체와 아크릴 도광판 사이에 간격부를 마련하는 수단이 고려되었는데, 홈이 생겨 제품으로서 정밀도가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홈을 흡수하고, 또한 열팽창을 흡수하기 위하여, 도 8,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간격부에 활 형상 판 스프링(B)이 끼워진 수단 등도 강구되었는데 이 경우에는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활 형상 판 스트링(B)의 강도 조정이나 가공, 조립이 번거롭고 또한 비용적으로도 적절한 해결수단이 되지 못했다.
또한, 아크릴판의 단면 근방에 테이프를 붙여 고정하는 방법도 사용되었는데, 이것도 아크릴판의 열팽창을 방해하여 아크릴판이 휘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국특개2005-56711호,일본국특개2009-264060호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모든 사정을 배경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아크릴 도광판과 같은 합성수지 도광판(D)과, 금속 프레임체(F)와, 광원부(L)를 주요 요소로 하는 유닛화된 도광판 유닛(U)를 제공하고,
또한, 상기 금속 프레임체(F)가 합성수지 도광판(D)의 열팽창을 저감시키는 방열기능과 왜곡을 방지하는 팽창 흡수 기능을 겸비하는 도광판 유닛(U)을 제공함에 있다.
즉, 본 발명은 다각형의 합성 수지 도광판과, 그 합성수지 도광판을 주위에서 지지하는 금속 프레임체를 구비하고, 합성수지 도광판의 단면에 광원부를 배치한 도광판 유닛으로서, 광원부가 합성수지 도광판의 단면에 가압 밀착되어 있는 도광판 유닛이다.
즉, 본 발명은 합성수지 도광판이 금속 프레임체의 내측에 설치된 결합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합성수지 도광판의 단면에는 금속 프레임체의 결합부에 내장된 광원부가 금속 프레임체와 일체가 되어 가압 밀착되어 있으며, 금속 프레임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프레임재에 분리 가능하게 서로 밀착된 밀착부가 형성되고, 금속 프레임체가 방열 핀을 갖고 있는 상기 기재의 도광판 유닛이다.
즉, 본 발명은 금속 프레임체를 구성하는 프레임재 끼리가 밀착부에서 인장 및 밀착 기능 부재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밀착되어 있고, 또한 금속 프레임체가 갖는 복수의 방열 핀 사이에 형성되는 방열 핀 홈에 상기 인장 밀착 기능 부재가 내장되어 있는 상기 기재의 도광판 유닛이다.
즉, 본 발명은 인장 밀착 기능 부재가 프레임체의 밀착부가 형성하는 코너부와 동일 각도로 절곡 형성된 절곡부를 갖는 코너 부재와, 그 코너 부재의 양단에 각각 부착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그 탄성 부재의 끝에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프레임재에는 상기 걸림부를 걸어 두기 위한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기재의 도광판 유닛이다.
즉, 본 발명은 탄성 부재가 스파이럴 스프링인 상기 기재의 도광판 유닛이다.
즉, 본 발명은 합성수지 도광판과 이를 주위에서 지지하는 금속 프레임체가 다각형인 상기 기재의 도광판 유닛이다.
즉, 본 발명은 합성수지 도광판이 메탈크릴 수지판이고, 또한 프레임재가 알루미늄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기재의 도광판 유닛이다.
즉, 본 발명은 금속 프레임체의 외주, 또는 하면측에 방열 핀을 갖는 상기 기재의 도광판 유닛이다.
즉, 본 발명은 광원부가 그 상면이 합성수지 도광판의 단면에 면접촉 가능하도록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고휘도LED인 상기 기재의 도광판 유닛이다.
즉, 본 발명은 다각형의 합성수지 도광판과 상기 합성수지 도광판을 주위에서 지지하는 금속 프레임체를 구비하고, 합성수지 도광판의 단면에 광원부를 배치한 도광판 유닛에서의 팽창 흡수 기능의 부여 방법으로써, 합성수지 도광판을 금속 프레임체의 내측에 설치된 결합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시키고, 광원부를 금속 프레임체와, 일체가 되는 합성 수지 도광판의 단면에 탄압 밀착시키는 팽창 흡수 기능의 부여 방법이다.
본 발명의 도광판 유닛(U)은 합성수지 도광판(D)과 금속 프레임체(F)와 광원부(L)를 주요 요소로 하여 미리 조립하기 때문에, 이것을 현장에 반입하여 부설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시간이 줄고 적은 인력으로도 가능하다.
또한, 요구에 따라 도광판 유닛(U)의 형상ㆍ치수를 미리 마음대로 설정해 둘 수 있고, 그 결과 효과적인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도광판 유닛(U)은 금속 프레임체(F)를 구성하는 프레임재(J, J)가 밀착부(S)에서 인장 밀착 기능 부재(T)로 서로 분리 가능하게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합성수지 도광판(D)이 열팽창으로 팽창한 경우에는 금속 프레임체(F)가 확장되어 열팽창을 흡수하게 되어 합성수지 도광판(D)이 휘는 등의 왜곡 문제는 발생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도광판 유닛(U)에서 인장 밀착 기능 부재(T)는 절곡 형성된 절곡부(T4)를 갖는 코너 부재(T1)의 양단에 각각 스파이럴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T2)가 부착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합성수지 도광판(D)의 열팽창에 의해 어느 한 방향으로 탄성 부재(T2, T2)가 인장 되더라도 코너 부재(T1)가 지주가 되어, 인장 밀착 기능 부재(T) 전체가 어긋나지 않고, 항상 금속 프레임체(F)를 원형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도광판 유닛(U)은 금속 프레임체(F)의 각 코너부(C) 근방에서, 2개의 프레임재(J, J)가 각각 설치된 고정부(G)에, 탄성 부재(T2)의 양단에 형성된 걸림부(T3)를 걸리게 하기 위함이기 때문에, 그 조립과 분리가 매우 용이하고, 제조비용도 저렴하고, 또한 조립ㆍ분리가 짧은 시간에 가능하며, 기술적으로도 비용적으로도 효과가 좋다.
예를 들면 도광판 유닛(U)의 구성 부재인 합성 수지 도광판(D)이나 금속 프레임체(F) 등이 손상된 경우, 그 손상 부품을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도광판 유닛(U)에서의 금속 프레임체(F)은 단순히 합성수지 도광판(D)를 테두리 하기 위한 것만이 아닌, 광원부(L)인 고휘도LED(L1)를 내장하면서, 방열 핀(H)을 갖고 히트 싱크(방열판) 기능의 역할을 하고, 또한 팽창 흡수 기능도 겸비한다.
이와 같은 금속 프레임체(F)가 복합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도광판 유닛(U) 자체가 심플한 구조가 되어, 부설(敷設), 취급이 편리하고 또한 보기에도 좋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도광판 유닛(U)의 금속 프레임체(F)는 열전달성이 좋은 금속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도 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재(J)의 단부에 방열 핀(H)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방열 기능이 2중으로 발휘되어, 아크릴판 등의 수지판으로 형성되는 합성수지 도광판(D)의 열팽창이 저감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방열 핀(H)을 도 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재(J, Jㆍㆍ)의 외주에 설치된 경우에는 도광판 유닛(U)를 얇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 프레임체(F)의 하면에 설치된 경우에는 도광판 유닛(U)을 수직면에서 보았을 때의 평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양 수단에 대해서는 사용 목적, 사용 조건에 따라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또는 동시에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도광판 유닛(U)에서은, 광원부(L)로서 이용되는 고휘도LED(L1)가 프레임재(J)의 결합부(K)에 내장되고, 또한 프레임재(J) 그 자체가 인장 밀착 기능 부재(T)의 인장력에 의해 서로 당기는 합성수지 도광판(D)의 단면(D1)을 탄압하고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고휘도LED(L1)의 평면상에 형성된 상면(L2)이 합성수지 도광판(D)의 단면(D1)에 항상 밀착된 상태가 되고, 고휘도LED(L1)의 빛을 완전하게 합성수지 도광판(D)에 도광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도광판 유닛(U)을 다각형으로 한 경우에는 시각적인 변화를 얻을 수 있어, 디스플레이 효과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특히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광판 유닛(U)이 정육각형인 경우, 이것을 조합하여 부설한 경우, 전체적으로 봐서 육각 형상이 되어 있어 시각적으로 미관을 나타내는 특징이 얻어진다.
또한, 채용하는 다각형에 따라서는 도광판 유닛(U)을 입체적으로 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되고 그 사용범위는 확대된다.
도 1은 도광판 유닛(U)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광판 유닛(U)에서의 금속 프레임체(F)를 일부 절단한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도 3은 인장 밀착 기능 부재(T)의 사시도이다.
도 4는 고휘도LED(L1)를 배열한 광원부(L)의 사시도이다.
도 5는 금속 프레임체(F)가 합성수지 도광판(D)의 열팽창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 올려져, 간격(E)이 생긴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방열 핀(H)이 금속 프레임체(F)의 하면측에 설치되어 있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광판 유닛(U)이 육각형인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종래예의 도광판 유닛(U)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종래예의 도광판 유닛(U)에 이용되는 활 형상 판 스프링(B)의 실태 사시도이다.
이하, 필요에 따라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도광판 유닛(U)의 금속 프레임체(F)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합성 수지 도광판(D)을 사각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금속 프레임체(F)도 같은 사각형이 된다. 합성수지 도광판(D)에는 아크릴판을 채용하고 있다.
금속 프레임체(F)는 알루미늄재로 형성하며, 4개의 프레임재(J)로 구성된다.
합성수지 도광판(D)은 도 2에 나타내는 금속 프레임체(F)의 내측, 즉 프레임재(J)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된 단면 ㄷ자형의 결합부(K)에 내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금속 프레임체(F)의 프레임재(J)는 각각 그 선단이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있어, 서로를 맞대어 밀착부(S)를 형성하고, 그 밀착부(S)에서 인장 밀착 기능 부재(T)에 의해 서로 슬라이딩 분리 가능하도록 인장 밀착된다.
또한, 프레임재(J)에는 안내 부재(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금속 프레임체(F)의 내측에 마련된 단면 ㄷ자형의 결합부(K)의 바닥부에는 광원부(L)(즉, L칩)가 장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원부(L)에 고휘도 LED(L1)를 채용하고 있으며, 서로 대향하는 2개의 프레임재(J, J)의 결합부(K)에 내장되어 있다.
고휘도 LED(L1)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개가 직렬로 베이스부(LA)에 배열되어 광원부(L)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광원부(L)는 전기 배선(L2)을 가지고 있어 현장에서의 배선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고휘도 LED(L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상면(L3)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인장 밀착 기능 부재(T)의 인장력에 의해 합성수지 도광판(D)의 단면(D1)에 탄압(彈壓)되어 밀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고휘도 LED(K1)로부터 나온 빛이 새지 않고 합성수지 도광판(D)의 내부로 들어가고, 상기한 에지 라이팅 효과에 의해 합성수지 도광판(D)의 표면에 생긴 레이저 자국으로부터 빛이 방출되어 조명 장치로서의 기능을 발휘한다.
여기서, 광원부(L)가 프레임재(J)와 일체가 되어 합성수지 도광판(D)의 단면(D1)을 충분히 탄압하기 위해서, 밀착부(S)에서의 프레임재(J, J)간의 접합에 대해서는 미소한 간격 조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고휘도 LED(L1)는 백열구 등에 비해 그 발열량이 적은데, 그 발열에 의해 합성수지 도광판(D)에 사용하고 있는 아크릴판은 열팽창을 일으켜 신축된다.
그래서, 본 도광판 유닛(U)에서는 금속 프레임체(F)의 내측에 히트싱크 기능을 갖는 3개의 방열 핀(H)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금속 프레임체(F)를 알루미늄재로 형성함으로써 경량이면서 금속 프레임체(F) 전체가 방열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의 도광판 유닛(U)은 열팽창 흡수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금속 프레임체(F)와 인장 밀착 기능 부재(T)에 의해 그 기능이 발휘된다.
인장 밀착 기능 부재(T)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각으로 절곡 형성한 절곡부(T4)를 갖는 코너 부재(T1)와, 그 양단에 설치되는 탄성 부재(T2, T2)인 스파이럴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코너 부재(T1)의 절곡부(T4)를 밀착부(S)의 코너부(C)에 대어, 탄성 부재(T2)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부(T3, T3)를 금속 프레임체(F)의 방열 핀(H)의 일부에 형성된 고정부(G, G)에 각각 걸어둔다.
본 실시예에서는 걸림부(T3)는 후크 형상을 채용하고, 고정부(G)는 방열 핀(H)의 일부를 절결(notch)하여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설정에 따라서, 인장 밀착 기능 부재(T)는 3개의 방열 핀(H)에 의해 형성되는 방열 핀 홈(H1)에 매립되는 형상이 되고, 인장 밀착 기능 부재(T)는 도광판 유닛(U)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사용하기 편하다.
또한, 고정부(G)도 방열 핀(H)을 이용하여 그 일부를 절결하는 것만으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가공상, 비용상에서도 효율적이다.
이와 같이 금속 프레임체(F)와 인장 밀착 기능 부재(T)에서 발휘되는 열팽창 흡수 기능에 의하면, 도광판 유닛(U)의 사용 중에 합성수지 도광판(D)이 열팽창에 의해 어느 한 방향으로 탄성 부재(T2)가 인장 되더라도, 금속 프레임체(F)의 코너부(C)와 코너 부재(T1)의 절곡부(T4)가 일치되어 있으므로, 그것이 지주가 되어 인장 밀착 기능 부재(T) 전체가 어긋나지 않고, 금속 프레임체(F)를 확실하게 사각형으로 유지하여 원형 복귀를 가능하도록 한다.
이들의 작용을 도 5의 부분 사시도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합성수지 도광판(D)의 열팽창에 의한 신장을 프레임재(J)가 받았을 때, 이 신장을 일단, 밀착부(S)에서 간격(E)이 형성됨으로써 흡수한다. 다시, 합성수지 도광판(D)이 냉각되어 수축된 경우에는 인장 밀착 기능 부재(T)의 인장력에 의해 간격(E)은 해제된다.
이와 같이 합성수지 도광판(D)의 열팽창을 금속 프레임체(F) 전체에서 흡수하는 팽창 흡수 기능을 발휘하여 합성수지 도광판(D)인 아크릴판이 휘는 등의 왜곡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도광판 유닛(U)은 그 조립, 분해가 매우 용이하고, 제조 비용도 저렴하여, 기술적, 비용적으로도 효율적이다.
예를 들면, 도광판 유닛(U)의 합성수지 도광판(D)이나 금속 프레임체(F) 등이 손상된 경우라도 그 손상 부품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이다.
(제 2 실시형태)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도광판 유닛(U)에서는, 금속 프레임체(F)의 하면측에 방열 핀(H)을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방열 핀(H)을 하면측에 설치함으로써 금속 프레임체(F)의 폭을 작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도광판 유잇(U)을 수직면에서 보았을 때 평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방열 핀(H)이 금속 프레임체(F)의 하면측에 설치되어 있더라도, 인장 밀착 기능 부재(T)는 방열 핀(H)이 형성하는 방열 핀 홈(H1)에 내장되어, 도광판 유닛(U)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같다.
(제 3 실시형태)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광판 유잇(U)을 정육각형으로 형성한다.
제 1 실시형태에서의 사각형의 도광판 유닛(U)에서의 코너부(C)의 각도가 90도인 것에 비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60도로 한다.
그러나, 금속 프레임체(F)와 인장 밀착 기능 부재(T)에서 얻어지는 팽창 흡수 기능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작용하여 문제가 없다.
도광판 유닛(U)이 정육각형인 경우, 이를 조합했을 때 전체적으로 육각 형상이 되어 시각적으로 미관을 나타내는 특징이 얻어진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같다.
이상, 본 발명을 그 실시형태를 예로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요지의 변경이 없는 한, 그 실시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광판 유닛(U)의 조합은 삼각형, 사각형 등을 평면 형상으로 조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입체적으로 조합할 수도 있다.
또한, 방열 핀(H)의 형상이나 그 설정 위치도 방열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하게 채용할 수 있다.
또한, 금속 프레임체(F)의 소재도 반드시 알루미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리, 철, 그 밖의 금속 재료, 또는 열 전도성이 좋은 비금속 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방열 핀(H)은 금속 프레임체(F)와 일체를 이룰 수도 있고, 별도로 나중에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도광판(D)에 대해서도 아크릴판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밖의 수지 재료판을 채용하는 것은 물론, 도광판(D)에 반사판 등을 조립하거나 보강용 소재를 병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광판 유닛(U)이 수 미터에 이르는 대형인 경우에는, 프레임재(J)에 보강재를 조립하거나, 프레임재(J)의 중간 근방부에서 보강을 위해서 프레임재끼리 서로 끌어당기는 탄성 부재 등을 보조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도광판 유닛(U)은 합성수지 도광판(D)과 이에 부수되는 구성 부재를 조합하여 미리 유닛화함에 따라 취급이 편리한 특징을 갖는다.
특히, 금속 프레임체(F)에 방열 기능이나 팽창 흡수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조립, 분해, 시공이 편리한 특징을 갖는다.
이들 특징을 적용하는 한, 점포 등의 조명용뿐만 아니라, 실내, 실외의 안내판이나 간판, 또는 유원지의 데코레이션, 또는 자동차 등의 미터기 등에도 널리 이용할 수 있다.
U : 도광판 유닛 D : 합성수지 도광판
D1 : 단면 F : 금속 프레임체
J : 프레임재 E : 간격
T : 인장 밀착 기능 부재 T1 : 코너 부재
T2 : 탄성 부재 T3 : 걸림부
T4 : 절곡부 C : 코너부
G : 고정부 S : 밀착부
L : 광원부 LA : 베이스부
L1 :고휘도 LED L3 : 상면
L2 : 전기 배선 H : 방열 핀
H1 : 방열 핀 홈 K : 결합부
B : 활 형상 판 스프링

Claims (10)

  1. 다각형의 합성수지 도광판과 그 합성수지 도광판을 주위에서 지지하는 금속 프레임체를 구비하고, 합성수지 도광판의 단면에 광원부를 배치한 도광판 유닛으로서, 광원부가 합성수지 도광판의 단면에 탄압 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합성수지 도광판이 금속 프레임체의 내측에 설치된 결합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합성수지 도광판의 단면에는 금속 프레임체의 결합부에 내장된 광원부가 금속 프레임체와 일체가 되어 탄압 밀착되어 있으며, 금속 프레임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프레임재에 분리 가능하도록 서로 밀착하는 밀착부가 형성되고, 금속 프레임체가 방열 핀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유닛.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금속 프레임체를 구성하는 프레임재끼리 밀착부에서 인장 밀착 기능 부재에 의해 분리 가능하도록 밀착되어 있고, 또한 금속 프레임체가 갖는 복수의 방열 핀 사이에 형성되는 방열 핀 홈에 상기 인장 밀착 기능 부재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인장 밀착 기능 부재가 프레임체의 밀착부가 형성하는 코너부와 동일 각도로 절곡 형성된 절곡부를 갖는 코너 부재와, 그 코너 부재의 양단에 각각 부착되는 탄성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그 탄성 부재의 끝에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프레임재에는 상기 걸림부를 걸어 두기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탄성 부재가 스파이럴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유닛.
  6. 제 1 항에 있어서,
    합성수지 도광판과 이를 주위에서 지지하는 금속 프레임체가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유닛.
  7. 제 1 항에 있어서,
    합성수지 도광판이 메타크릴 수지판이며, 또한 프레임재가 알루미늄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유닛.
  8. 제 2 항에 있어서,
    금속 프레임체의 외주 및 하면측에 방열 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유닛.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광원부가 그 상면이 합성수지 도광판의 단면에 면접촉 가능하도록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고휘도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유닛.
  10. 다각형의 합성수지 도광판과 그 합성수지 도광판을 주위에서 지지하는 금속 프레임체를 구비하고, 합성수지 도광판의 단면에 광원부를 배치한 도광판 유닛에서의 팽창 흡수 기능의 부여 방법으로서, 합성수지 도광판을 금속 프레임체의 내측에 설치된 결합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시키고, 광원부를 금속 프레임체와 일체가 되어 합성수지 도광판의 단면에 탄압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흡수 기능의 부여 방법.
KR1020100018795A 2009-12-29 2010-03-03 도광판 유닛 및 도광판 유닛의 팽창 흡수 기능의 부여방법 KR1011426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99237A JP5383477B2 (ja) 2009-12-29 2009-12-29 導光板ユニット
JPJP-P-2009-299237 2009-12-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6721A true KR20110076721A (ko) 2011-07-06
KR101142623B1 KR101142623B1 (ko) 2012-05-11

Family

ID=44349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8795A KR101142623B1 (ko) 2009-12-29 2010-03-03 도광판 유닛 및 도광판 유닛의 팽창 흡수 기능의 부여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383477B2 (ko)
KR (1) KR1011426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2586A (ko) * 2013-10-11 2015-04-21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CN109539047A (zh) * 2018-12-28 2019-03-29 博朗特互联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激光导光板的led工程照明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77475B2 (en) 2011-11-18 2014-07-15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Back frame, method for manufacturing back frame, and backlight system
CN102401332B (zh) * 2011-11-18 2014-12-3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背框、背框的制造方法以及背光系统
JP5942146B2 (ja) * 2012-05-29 2016-06-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Led照明器具
CN104520633B (zh) * 2012-08-28 2016-08-31 夏普株式会社 照明装置、显示装置以及电视接收装置
CN110031930B (zh) * 2019-05-08 2023-08-11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用玻璃导光板照明装置及其生产工艺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2603A (ja) * 1993-03-23 1994-12-13 Nec Home Electron Ltd エッジライト形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01118417A (ja) * 1999-10-19 2001-04-27 Enplas Corp 面光源装置及び該面光源装置を備えた画像表示装置
JP3875891B2 (ja) * 2002-01-24 2007-01-3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KR100615399B1 (ko) * 2002-08-29 2006-08-25 주식회사 우영 직하발광형 평면광원
JP4560650B2 (ja) * 2004-11-22 2010-10-13 ライツ・アドバンスト・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4547704B2 (ja) * 2004-12-27 2010-09-22 ミネベア株式会社 面状照明装置
JP4793029B2 (ja) * 2006-03-03 2011-10-12 三菱化学株式会社 照明装置
JP4690940B2 (ja) * 2006-05-23 2011-06-01 日軽金アクト株式会社 風雨避け構造体
KR200448799Y1 (ko) * 2007-09-28 2010-05-24 이제석 천정등 커버 고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2586A (ko) * 2013-10-11 2015-04-21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CN109539047A (zh) * 2018-12-28 2019-03-29 博朗特互联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激光导光板的led工程照明灯
CN109539047B (zh) * 2018-12-28 2024-03-08 南方雄狮创建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激光导光板的led工程照明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83477B2 (ja) 2014-01-08
KR101142623B1 (ko) 2012-05-11
JP2011138720A (ja) 2011-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2623B1 (ko) 도광판 유닛 및 도광판 유닛의 팽창 흡수 기능의 부여방법
KR101533918B1 (ko) Led 평판조명기구
WO2010083341A2 (en) Luminaire having floating luminous light source
KR101126039B1 (ko) 엘이디 평면조명등
KR101410559B1 (ko) 광학성과 방열성 및 시공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led 조명장치
KR101626771B1 (ko) Led 평판조명기구 구조
JP3133878U (ja) ライン状発光体
KR101805712B1 (ko) Led와 도광판 밀착구조를 갖는 평판조명장치
KR101759085B1 (ko) 엘이디 조명등의 방열구조
JP6077337B2 (ja) 地面用発光装置
KR101808082B1 (ko) 빛튐 방지 구조를 갖는 led 평판조명장치
KR101373776B1 (ko) 간판
US11073255B2 (en) Low profile assembly for LED downlight wall wash with low vertical attenuation and high lateral uniformity
KR101791735B1 (ko) 라운드형 조명용 광고판
KR20130113122A (ko) 간판
KR101236909B1 (ko) 복수 개의 도광판 패널 셀들을 이어붙여 대형으로 구성한 도광판 기반 백라이트 장치
TWM500268U (zh) 背光模組
KR101236324B1 (ko) 조명식 입체문자채널용 받침프레임
KR101733465B1 (ko) Led 조명등의 방열구조
JP7274144B2 (ja) 横断歩道用照明装置及び横断歩道用照明装置の設置方法
KR20170000523U (ko) 입체형 문자 간판
KR101600513B1 (ko) 보행자 안전등
KR200456954Y1 (ko) 엘이디 광고 장치
KR102260158B1 (ko) 레이스웨이형 조명기구
KR102008144B1 (ko) 방열기능을 갖는 led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