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4922A - 스티어링 락 장치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4922A
KR20110074922A KR1020117011691A KR20117011691A KR20110074922A KR 20110074922 A KR20110074922 A KR 20110074922A KR 1020117011691 A KR1020117011691 A KR 1020117011691A KR 20117011691 A KR20117011691 A KR 20117011691A KR 20110074922 A KR20110074922 A KR 20110074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key
lever
key cylinder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1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케부미 구라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알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알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알파
Publication of KR20110074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49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60R25/021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comprising a locking member radially and linearly moved towards the steering column
    • B60R25/02115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comprising a locking member radially and linearly moved towards the steering column ke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611For control and machine elements
    • Y10T70/5757Handle, handwheel or knob
    • Y10T70/5765Rotary or swin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스티어링 락 장치에서는, 하우징과 키 실린더(3)의 사이에 키 로터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버가 설치된다. 레버에, 키 실린더를 향해 돌출되는 지점부가 설치되어 있다. 지점부가 키 실린더의 지점받이부와 맞닿은 상태에서, 지점부를 요동 중심으로 하여 레버가 키 로터의 반경 방향으로 요동한다. 그 후, 레버가 그 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키 로터의 반경 방향으로 변위한다. 상기 스티어링 락 장치에 의하면, 요동 지점으로서의 핀을 필요로 하지 않고, 키의 빼고 꽂음에 따라 레버로 락부재의 락 언락을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티어링 락 장치{STEERING LOCK DEVIC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동을 잠그는 스티어링 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티어링 락 장치로서, 일본국 특허제2752709호 공보(특허 문헌 1)에 개시된 키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키 장치(100)는, 도 7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키 실린더(101)와, 키 로터(104)와, 슬라이더(106)와, 레버(107)와, 핀(108)과, 스프링(109)을 구비하고 있다. 키 로터(104)는, 키 실린더(101) 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키 로터(104)에는, 삽입 구멍(102) 및 가이드 슬릿(103)이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더(106)는, 가이드 슬릿(103)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키(105)의 빼고 꽂음에 따라 가이드 슬릿(103) 내에서 이동한다. 레버(107)는, 키 실린더(101)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레버(107)의 일단(107a)은, 스티어링 락 장치(110)와 걸어맞춰진다. 레버(107)의 키측의 타단(107b)은, 슬라이더(106)와 맞닿는다. 핀(108)은, 케이싱(도시 생략)에 설치되어 있고, 레버(107)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스프링(109)은, 키 실린더(101)에 설치되어 있고, 타단(107b)을 키 로터(104)의 외주면을 향해 탄성 가압하고 있다.
키(105)를 키 로터(104)의 삽입 구멍(102)에 꽂아 넣으면, 슬라이더(106)가 키 로터(104)의 바깥쪽으로 슬라이드한다. 슬라이더(106)에 의해 타단(107b)이 가압되고, 레버(107)가 도 7의 시계 방향으로 요동한다. 다음에, 키(105)를 락 방향으로 돌리면, 스티어링 락 장치(110)의 락 부재(도시 생략)가 언락되어 일단(107a)과 걸어맞춰지고, 스티어링 락 장치(110)의 언락 상태가 유지된다. 이 때, 락 부재의 락 위치로부터 언락 위치로의 변위에 의해 락 부재와 스티어링 샤프트의 끼워맞춤이 해제된다. 이 결과,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동이 자유로워지고, 자동차가 조종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의 언락 상태에서 키(105)를 락 방향으로 회동시킨 후에 삽입 구멍(102)으로부터 키(105)를 빼면, 슬라이더(106)가 키 로터(104)의 안쪽으로 슬라이드한다. 슬라이더(106)의 슬라이드에 따라, 스프링(109)에 의해 레버(107)가 도 7의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되고, 스티어링 락 장치(110)가 잠긴다. 이 때, 락 부재의 언락 위치로부터 락 위치로의 변위에 의해 락 부재와 스티어링 샤프트가 끼워맞춰진다. 이 결과,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동이 저지되고, 자동차가 조종 불능인 상태가 된다.
그러나, 종래의 키 장치(100)에서는, 레버(107)에 핀(108)을 부착하는 수고를 필요로 하고, 핀(108)의 압입 공정도 필요하고, 코스트가 늘어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요동 지점으로서의 핀을 필요로 하지 않고, 키의 빼고 꽂음에 따라 락 부재의 락·언락 상태를 레버를 통해 제어할 수 있고, 코스트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스티어링 락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발명의 특징은, 통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수납되고, 지점받이부를 가지는 키 실린더와, 상기 키 실린더에 삽입 가능하고, 또한, 삽입 후의 회동에 의해 상기 키 실린더의 락·언락을 행하는 키와, 상기 키 실린더의 회동과 연동하여 회동하는 캠 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캠 부재의 회동에 수반하여 변위하는 락 부재와, 상기 키 실린더의 축방향으로 연장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키 실린더의 반경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레버를 구비한 스티어링 락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레버는, 상기 지점받이부에 받쳐지는 지점부를 가지며, 또한, 상기 지점부를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다. 상기 키의 회동에 의해 상기 락 부재가 언락 위치로 변위되고, 상기 키 실린더로의 상기 키의 삽입에 수반하는 상기 레버의 요동에 의해 레버와 언락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락 부재가 걸어맞춰져, 상기 락 부재가 언락 위치에 유지된다. 상기 지점받이부 및 상기 지점부의 한쪽이 오목부로서 형성되고, 다른쪽이 상기 한쪽을 향해 볼록부로서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가 상기 오목부를 향해 탄성 가압되어 유지된다.
상기 특징에 의하면, 지점받이부와 지점부의 한쪽이 오목부로서 형성되고, 다른쪽이 한쪽을 향해 볼록부로서 형성된다. 볼록부가 오목부를 향해 탄성 가압되어 유지됨으로써, 요동 지점으로서의 핀을 필요로 하지 않고, 키의 빼고 꽂음에 따라 레버를 통해 락 부재의 락·언락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조립성을 향상할 수 있음과 더불어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고, 코스트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요동 지점부가, 상기 지점부의 상기 키 로터의 반경 방향으로의 이동 거리보다 큰 반경을 가지는 호상 볼록부로서 형성되고, 상기 지점받이부가, 상기 지점부보다 큰 상기 오목부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레버가 요동할 때에 호상의 요동 지점부가 지점받이부를 향해 탄성 가압되어 유지되므로, 지점부를 요동 중심으로 하여 레버를 원활히 요동 할 수 있다. 또, 레버의 지점부가 지점받이부에서 받쳐지므로, 레버의 덜거덕거림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지점부의 반경이 지점부의 이동 거리보다 크게 되어 있으므로, 지점부가 이동해도 지점부의 일부가 지점받이부의 영역에 머문다. 이 결과, 지점부가 지점받이부에 가까워질 때에, 지점부와 지점받이부가 원활히 걸어맞춰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점받이부가, 상기 지점부의 상기 반경보다 큰 곡률 반경을 가지는 호상 오목부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지점부가, 지점받이부의 호상 내주면에 의해 확실히 받쳐질 수 있다. 또, 내주면의 곡률 반경이 지점부의 반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지점부가 지점받이부를 향해 탄성 가압되어 유지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레버가 그 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요동(변위)하는 상태로 이행할 때에, 지점부를 지점받이부로부터 원활히 이탈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지점부를 지점받이부에 원활히 탄성 가압시켜 유지시킬 수 있다.
혹은, 상기 지점받이부가, 상기 키 실린더의 외각(外殼)을 구성하는 실린더 케이스에 형성된 지지 구멍의 개구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상기 지점부가, 상기 레버에 돌출되어 설치되고, 또한, 상기 지지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지점받이부에 지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지점부가, 지지 구멍에 삽입되어 지지 구멍의 개구 가장자리에 설정된 지점받이부에 지지된다. 이 때문에, 레버를 키 실린더의 중심 축에 보다 근접시켜 배치함으로써 레버의 요동 범위를 좁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장치 전체의 반경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티어링 락 장치의 일실시 형태의 락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티어링 락 장치의 일실시 형태의 키 삽입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스티어링 락 장치의 일실시 형태의 언락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스티어링 락 장치의 일실시 형태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 중의 V-V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스티어링 락 장치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레버의 요동 지점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종래의 키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도 1~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은, 도 4 중의 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스티어링 락 장치(1)는, 하우징(2)과, 키 실린더(3)와, 키 로터(4)와, 로테이터(40)와, 캠 부재(5)(도 5 참조)와, 락 부재(6)(도 5 참조)와, 레버(7)를 구비하고 있다. 키 실린더(3)는, 하우징(2)에 수납되어 있다. 키 로터(4)는, 키 실린더(3) 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로테이터(40)는, 키 로터(4)와 연결되어 있고, 키 로터(4)와 더불어 회동한다. 캠 부재(5)는, 로테이터(40)와 연결되어 있고, 키 로터(4)와 연동하여 회동한다. 도 5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락 부재(6)에는, 캠 부재(5)와 연계하는 연계 구멍(61)이 형성되어 있다. 또, 락 부재(6)의 선단은, 락시에는 하우징(2)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스티어링 샤프트(도시 생략)와 끼워맞춰지고, 언락시에는 하우징(2) 내부에 저장된다. 레버(7)는, 하우징(2)과 키 실린더(3)의 사이에 개설되어 있고, 키 실린더(3)의 축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키 로터(4)는, 키(8)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41)과, 키 로터(4)의 반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라이드 구멍(42)을 구비하고 있다. 슬라이드 구멍(42) 내에 슬라이더(43)가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더(43)는, 슬라이드 구멍(42) 내에서 상기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키(8)가 삽입되면, 키(8)가 슬라이더(43)의 경사면에 맞닿고, 슬라이더(43)가 슬라이드 구멍(42) 내를 상기 반경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5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락 부재(6)는, 직사각형 틀 형상을 가지고 있고, 그 틀 내에 연계 구멍(61)이 형성되어 있다. 연계 구멍(61) 근방에는, 캠 폴로워(63)가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 락 부재(6)의 틀의 양 외측면에는,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락측 단부(62)가 형성되어 있다.
락 부재(6)는, 키 실린더(3)의 반경 방향을 따라 하우징(2)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락 부재(6)는, 락 부재(6)와 하우징(2)의 사이에 압축 배치된 락 스프링(10)의 복원력에 의해, 스티어링 샤프트를 향해(도 5의 하방) 탄성 가압되어 있다. 또, 락 부재(6)가 하우징(2)으로부터 돌출되었을 때에는, 락측 단부(62)가 하우징측 단부(21)와 맞닿음으로써, 락 부재(6)의 돌출 치수가 설정된다. 연계 구멍(61) 내에 삽입된 캠 부재(5)가 도 5 중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면, 캠 부재(5)와 캠 폴로워(63)가 연계하여, 락 부재(6)가 도 5 중 상방으로 변위된다.
레버(7)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키 실린더(3)의 축방향을 따라, 즉 키 실린더(3), 로테이터(40), 및 캠 부재(5)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레버(7)는, 일단부(71)와, 타단부(72)와, 지점부(73)를 가지고 있다. 일단부(71)는, 레버(7)의 일단에 갈고랑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더(43)와 맞닿을 수 있다. 타단부(72)는, 레버(7)의 타단에 갈고랑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락 부재(6)에 맞닿을 수 있다. 지점부(73)는, 레버(7)의 중앙부 근방에 키 로터(4)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고, 레버(7)의 요동 지점으로서 기능한다. 지점부(73)는, 자신의 키 로터(4) 반경 방향으로의 이동 거리보다도 큰 반경을 가지는 반원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 레버(7)와 하우징(2)의 사이에 압축 배치된 레버 스프링(9)의 복원력에 의해, 일단부(71)측이 키 로터(4)를 향해 탄성 가압되고, 또한, 지점부(73)가 후술하는 지지 구멍(32a)에 삽입된 상태로, 레버(7)가 후술하는 지점받이부(31)에 지지되어 있다.
키 실린더(3)는, 레버(7)의 지점부(73)를 받는 지점받이부(31)를 가지고 있다. 도 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키 실린더(3)의 외각을 구성하는 실린더 케이스(32)에는, 지지 구멍(32a)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 구멍(32a)은, 키 실린더(3)의 축방향을 따르는 슬릿이며, 실린더 케이스(32)의 외면으로부터 내면으로 관통하고 있다. 지점받이부(31)는, 지지 구멍(32a)의 개구 가장자리의 길이 방향 양단에 설정되어 있다. 지점받이부(31)는, 지점부(73)의 반경보다 약간 큰 곡률 반경을 가지는 곡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레버(7)의 지점부(73)의 양측에는, 오목부(74)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74)에 의해 레버(7)와 지점받이부(31)의 간섭이 회피되고, 레버(7)의 충분한 요동 범위가 확보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스티어링 락 장치(1)에 있어서, 도 1 및 도 5에 나타내어지는 락 부재(6)의 락 상태에서는, 레버 스프링(9)에 의해, 지점부(73)가 지점받이부(31)에 맞닿아 요동 중심으로서 기능하고, 일단부(71)가 슬라이더(43)를 키 로터(4)의 안쪽으로 밀어 넣고, 또한, 타단부(72)가 락 부재(6)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다음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키(8)를 키 로터(4)에 삽입하면, 슬라이더(43)가 바깥쪽으로 밀어 내지고, 슬라이더(43)를 통해 일단부(71)가 키 로터(4)의 바깥쪽으로 가압된다. 지점부(73)와 지점받이부(31)가 맞닿은 상태에서, 지점부(73)를 요동 중심으로 하여 레버(7)가 도 2 중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여, 타단부(72)가 락 부재(6)와 맞닿는다. 타단부(72)와 락 부재(6)가 맞닿은 후는, 타단부(72)를 요동 지점으로 하여 레버(7)가 요동하고, 지점부(73)가 지점받이부(31)로부터 이격한다.
다음에,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키(8)가 언락 방향(도 4 중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면, 키 로터(4)와 연동하여 캠 부재(5)가 언락 방향으로 회동되고, 캠 부재(5)와 연계 구멍(61)의 연계에 의해 락 부재(6)가 하우징(2) 내에 저장된다. 락 부재(6)가 하우징(2) 내에 저장되면, 하우징측 단부(21)와 락측 단부(62)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이 때, 레버 스프링(9)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일단부(71)를 요동 중심으로 하여 레버(7)가 요동한다. 그 결과, 지점부(73)가 지점받이부(31)에 맞닿고, 하우징측 단부(21)와 락측 단부(62)의 사이의 간극에 타단부(72)가 삽입된다. 하우징측 단부(21)와 락측 단부(62)의 사이의 간극에 타단부(72)가 삽입됨으로써, 타단부(72)와 락측 단부(62)가 걸어맞춰져 락 부재(6)의 언락 상태가 유지된다.
또, 상기 언락 상태에서, 키(8)를 락 방향(도 4 중 반시계 방향)으로 돌린 후에 키 로터(4)로부터 빼면, 일단부(71)는 슬라이더(43)에 의한 가압으로부터 해방된다. 이 결과, 레버 스프링(9)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지점부(73)를 요동 중심으로 하여 레버(7)가 요동하고, 타단부(72)와 락 부재(6)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또, 키 로터(4)에 연동하여 캠 부재(5)가 락 방향으로 회동되므로, 락 스프링(10)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락 부재(6)는 락 상태가 된다. 그 결과, 락 부재(6)가 스티어링 샤프트에 끼워맞춰져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동이 저지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요동 지점으로서의 핀을 필요로 하지 않고, 키(8)의 빼고 꽂음에 따라 레버(7)를 통해 락 부재(6)의 락·언락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조립성을 향상할 수 있음과 더불어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고, 코스트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레버(7)가 요동할 때에 지점부(73)의 호상의 외주면(73a)이 지점받이부(31)에 맞닿으므로, 지점부(73)를 요동 중심으로 하여 레버(7)가 원활히 요동할 수 있다. 또, 레버(7)의 지점부(73)가 지점받이부(31)에서 받쳐짐으로써, 레버(7)의 덜거덕거림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지점부(73)의 외주면(73a)의 반경이 지점부(73)의 키 로터(4)의 반경 방향으로의 이동 거리보다 크게되어 있으므로, 지점부(73)가 이동해도 지점부(73)의 일부가 지점받이부(31)의 영역에 머문다. 이 결과, 지점부(73)가 지점받이부(31)에 가까워질 때에, 지점부(73)와 지점받이부(31)가 원활히 걸어맞춰질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그리고, 레버(7)의 지점부(73)가, 호상으로 형성되는 내주면(31a)에 의해 확실히 받쳐질 수 있다. 또, 내주면(31a)의 곡률 반경이 외주면(73a)의 반경보다도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지점부(73)와 지점받이부(31)의 걸어맞춤 상태로부터 타단부(72)를 지점으로 하여 레버(7)가 요동(변위)하는 상태로 이행할 때에, 지점부(73)를 지점받이부(31)로부터 원활히 이탈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지점부(73)를 지점받이부(31)에 원활히 받치게 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지점부(73)가, 지지 구멍(32a)에 삽입되어 지지 구멍(32a)의 개구 가장자리에 설정된 지점받이부(31)에 지지된다. 이 때문에, 레버(7)를 키 실린더(3)의 중심축에 보다 근접시켜 배치함으로써 레버(7)의 요동 범위를 좁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장치 전체의 반경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Claims (4)

  1. 통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수납되고, 지점받이부(支点受部)를 가지는 키 실린더와,
    상기 키 실린더에 삽입 가능하고, 또한, 삽입 후의 회동에 의해 상기 키 실린더의 락·언락을 행하는 키와,
    상기 키 실린더의 회동과 연동하여 회동하는 캠 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캠 부재의 회동에 수반하여 변위하는 락 부재와,
    상기 키 실린더의 축방향으로 연장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키 실린더의 반경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지점받이부에 받쳐지는 지점부를 가지며, 또한, 상기 지점부를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고,
    상기 키의 회동에 의해 상기 락 부재가 언락 위치로 변위되고, 상기 키 실린더로의 상기 키의 삽입에 수반하는 상기 레버의 요동에 의해 레버와 언락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락 부재가 걸어맞춰져, 상기 락 부재가 언락 위치에 유지되고,
    상기 지점받이부 및 상기 지점부의 한쪽이 오목부로서 형성되고, 다른쪽이 상기 한쪽을 향해 볼록부로서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가 상기 오목부를 향해 탄성 가압되어 유지되는, 스티어링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점부가, 상기 지점부의 상기 키 로터의 반경 방향으로의 이동 거리보다도 큰 반경을 가지는 호상 볼록부로서 형성되고,
    상기 지점받이부가, 상기 지점부보다 큰 상기 오목부로서 형성되어 있는, 스티어링 락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점받이부가, 상기 지점부의 상기 반경보다 큰 곡률 반경을 가지는 호상 오목부로서 형성되어 있는, 스티어링 락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점받이부가, 상기 키 실린더의 외각(外殼)을 구성하는 실린더 케이스에 형성된 지지 구멍의 개구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상기 지점부가, 상기 레버에 돌출되어 설치되고, 또한, 상기 지지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지점받이부에 지지되어 있는, 스티어링 락 장치.
KR1020117011691A 2008-11-27 2009-11-04 스티어링 락 장치 KR201100749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302346 2008-11-27
JP2008302346A JP2010125970A (ja) 2008-11-27 2008-11-27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4922A true KR20110074922A (ko) 2011-07-04

Family

ID=42225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1691A KR20110074922A (ko) 2008-11-27 2009-11-04 스티어링 락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10226025A1 (ko)
EP (1) EP2368774B1 (ko)
JP (1) JP2010125970A (ko)
KR (1) KR20110074922A (ko)
CN (1) CN102227343A (ko)
RU (1) RU2477689C2 (ko)
WO (1) WO20100617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24100B1 (fr) * 2014-07-23 2016-09-09 U-Shin France Sas Antivol pour vehicule automobil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61697A (en) * 1926-10-15 1928-03-06 Lillicrapp William Joseph Steering-column locking device for motor vehicles
FR1583726A (ko) * 1967-10-05 1969-12-05
DE1780228C2 (de) * 1968-08-17 1983-01-13 DOM-Sicherheitstechnik GmbH & Co KG, 5040 Brühl Lenk-Zündschloß für Fahrzeuge,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JPS4911910B1 (ko) * 1969-12-29 1974-03-20 Nissan Motor
CH544868A (de) * 1972-08-28 1973-11-30 Owen Neale Charles Zylinderschloss mit Schlüssel
FR2273694A1 (fr) * 1974-06-04 1976-01-02 Antivols Simplex Sa Antivol a pene longitudinal pour vehicules
FR2467116A1 (fr) * 1979-10-12 1981-04-17 Sodex Magister Perfectionnements aux antivols pour vehicules automobiles
JPS6042055B2 (ja) * 1981-12-26 1985-09-20 国産金属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ステアリングロツク装置
JPS59357U (ja) * 1982-06-25 1984-01-05 株式会社ユ−シン 自動車用ステアリングロツク装置
FR2591166B1 (fr) * 1985-12-11 1988-02-12 Neiman Sa Antivol a securite de presence de la cle
CA1322461C (en) * 1988-03-31 1993-09-28 Hideaki Sakuno Steering column shaft locking device for an automotive vehicle
US4907427A (en) * 1988-12-27 1990-03-13 Armstrong Ennels D Steering wheel shaft lock assembly
JPH02125871U (ko) * 1989-03-28 1990-10-17
JP2752709B2 (ja) 1989-07-29 1998-05-18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キー装置
JP3095328B2 (ja) * 1994-10-06 2000-10-0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H10315914A (ja) * 1997-05-19 1998-12-02 Tokai Rika Co Ltd 車両用始動装置
FR2788477B1 (fr) * 1999-01-15 2001-02-16 Valeo Securite Habitacle Antivol de direction de vehicule automobile
FR2805231B1 (fr) * 2000-02-23 2002-05-10 Valeo Securite Habitacle Systeme d'antivol electronique perfectionne pour vehicule automobile
FR2807373B1 (fr) * 2000-04-10 2002-06-21 Valeo Securite Habitacle Antivol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des moyens perfectionnes de retenue du pene
DE10053753C1 (de) * 2000-10-30 2002-04-18 Audi Ag Vorrichtung zum Sperren der Lenkspindel eines Kraftfahrzeugs
JP3990224B2 (ja) * 2002-08-09 2007-10-10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4358060B2 (ja) * 2004-07-30 2009-11-04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の検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68774A4 (en) 2012-05-09
RU2477689C2 (ru) 2013-03-20
CN102227343A (zh) 2011-10-26
WO2010061715A1 (ja) 2010-06-03
RU2011126162A (ru) 2013-01-10
EP2368774A1 (en) 2011-09-28
JP2010125970A (ja) 2010-06-10
US20110226025A1 (en) 2011-09-22
EP2368774B1 (en) 2014-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7259B1 (ko) 차량의 시트레일 록킹장치
US7472570B2 (en) Key cylinder
CN101128640B (zh) 圆筒锁装置
EP2418119A2 (en) Latch assembly for a vehicle seat
WO2013118326A1 (ja) 車両用内装装置
US20080006068A1 (en) Lock device
JP2018012454A (ja) コンソールドア両開き構造
JP5059771B2 (ja) シリンダ錠
JP6406183B2 (ja) リッド用ロック装置
WO2014162820A1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4706385B2 (ja) 電子キー及び電子キーのスロット
KR20110074922A (ko) 스티어링 락 장치
JP6074294B2 (ja) 車両用ハンドル装置
JP6042459B2 (ja) キーシリンダ装置
JP6042460B2 (ja) キーシリンダ装置
JP2018053928A (ja) ヒンジ
JP2010254233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5216678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US20160023633A1 (en) Steering lock device
JP4512922B2 (ja) シリンダ錠
KR100310455B1 (ko) 자동차의 핸들 잠금 장치
JP5199024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2009293189A (ja) シリンダ装置
KR100887808B1 (ko) 이그니션 키이 실린더 장치
JP2011213248A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