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4386A - 컨테이너 적재 장치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적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4386A
KR20110074386A KR1020090131327A KR20090131327A KR20110074386A KR 20110074386 A KR20110074386 A KR 20110074386A KR 1020090131327 A KR1020090131327 A KR 1020090131327A KR 20090131327 A KR20090131327 A KR 20090131327A KR 20110074386 A KR20110074386 A KR 20110074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unit cell
guide lock
cell structure
loa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1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욱
최영
양상욱
김승욱
성문현
정창교
김진호
전창현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90131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4386A/ko
Publication of KR20110074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43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0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 B65G63/0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2Container cranes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를 고정 및 유지하기 위한 복 수개의 단위 셀 구조를 포함하는 철골구조의 컨테이너 적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위 셀 구조는 그 내부에 배치되는 컨테이너의 서로 마주보는 양 측면 하단을 지지하여 상기 컨테이너를 평행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 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적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테이너를 운반 및 적재할 수 있는 자동화된 장비를 구비함으로써 컨테이너의 운반/적재 작업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컨테이너, 운반, 적재, 자동화

Description

컨테이너 적재 장치 {APPARATUS FOR LOADING CONTAINER}
본 발명은 컨테이너 적재 장치에 관한 것이며, 좀 더 자세히는 자동화된 장비를 구비함으로써 컨테이너의 운반/적재 작업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수행하기 위한 자동화된 컨테이너 운반/적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격지 사이의 상품이동수단으로서 선박을 이용한 해상운송은, 타 운송수단에 비하여 에너지를 적게 사용하며 수송비용도 저렴하여 국제 교역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에는 컨테이너를 이용하는 해상운송에 있어서, 운송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대형화된 선박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는 선박의 수송량을 증가시켜 운송의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대형 선박을 접안 시키고 컨테이너의 하역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항만 또는 항구가 더 많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대형 컨테이너선을 접안시킬 수 있는 항구는 국내외에 한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항구의 건설에는 필요한 항만 수심을 유지하기 위한 준설 등으로 인 하여 많은 경비가 소요될 뿐만 아니라 넓은 장소가 요구된다. 또한, 대형 항구의 건설로 인하여 주변 교통 체증의 유발이나 해안환경의 파괴 등 주위의 환경에도 많은 영향을 끼치는 바, 대형 항구의 건설에는 많은 제약이 따르고 있다.
그러므로, 대형 선박을 육지에 마련된 항구의 안벽에 접안 시킬 필요 없이, 육지로부터 떨어진 해상에서 화물을 하역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며, 이에 관련하여 이동항구(모바일 하버, Mobile Harbor) 및 이를 이용한 화물 이송 방법에 관한 발명이 특허(등록번호 제10-0895604호)받은 바 있다. 도 1은 상기 특허에서 도시된 이동항구의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해상 부유체인 이동항구(10)는 크레인(20)을 이용하여 하역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도 1a는 이동항구(10)와 대형 컨테이너선(30) 사이에서의 하역을, 도 1b는 이동항구(10)와 육상 부두(40) 사이에서의 하역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화물이 컨테이너선(30)으로부터 크레인 모듈(15) 및 셔틀 모듈(50)을 거쳐 육상 부두(40)로 이송되는 전체적인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크레인 모듈(15)은 자체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추진장치를 구비하는 선박이 될 수 있고, 일반적인 바지선 등 다양한 형태의 부유체가 사용될 수 있다. 크레인 모듈(15)의 하나 이상의 측면은 셔틀 모듈(50)과 도킹하여 셔틀 모듈(50)과의 사이에서 화물의 하역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셔틀 모듈(50)은 해상에서 이동하여 육상의 부두(40) 또는 다른 컨테이너선(30)과의 사이에서 화물 하역을 수행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셔틀 모듈(50)로서 기존의 근거리용 해상운송에 사용되는 바지선을 고려할 수 있는데, 바지선은 별도의 장비가 구비되지 않은 선체 위의 빈 공간에 화물을 적재하며, 또한 적재된 컨테이너를 고정하기 위하여 인부들의 수작업에 의존한다. 따라서 셔틀 모듈(50)로서 기존의 바지선을 사용하는 경우, 크레인 모듈(15)과 셔틀 모듈(50) 사이 및 셔틀 모듈(50)과 부두(40) 사이에서 화물을 이송하는데 장시간이 소요되어 이동항구 시스템 전체의 작업 효율성을 크게 저해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컨테이너의 하역 작업은 수 톤 내지 수십 톤에 이르는 화물을 이송시키는 작업이므로 이동항구 시스템 전체가 안정화될 것이 요구되지만, 해상에서는 바람, 파랑, 또는 조류 등의 영향으로 선박의 요동이 불가결하다고 할 것인 바, 이러한 상황에서 인부들의 수작업이 수행될 경우 안전사고의 우려마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컨테이너를 운반 및 적재하기 위한 자동화 장비를 구비함으로써 안전하고 신속하게 컨테이너를 운반/적재할 수 있는 컨테이너 적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컨테이너를 고정 및 유지하기 위한 복 수개의 단위 셀 구조를 포함하는 철골구조의 컨테이너 적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위 셀 구조는 그 내부에 배치되는 컨테이너의 서로 마주보는 양 측면 하단을 지지하여 상기 컨테이너를 평행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 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적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적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위 셀구조에 있어서, 컨테이너의 하단에 대응하며 서로 마주보는 부재에는 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락은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적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락은 상기 컨테이너를 향하여 돌출/후퇴함으로써 상기 컨테이너의 하단에 형성된 모서리 끼움쇠에 삽입/제거되는 컨테이너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적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위 셀구조는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면을 향하여 돌출/후퇴함으로써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면에 형성된 모서리 끼움쇠에 삽입/제거되는 컨테이너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적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위 셀 구조는, 상기 컨테이너가 놓여지는 직사각형 형상의 바닥면을 구획하는 바닥 부재와, 상기 바닥 부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동시에 상기 바닥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되 는 한 쌍의 막대 형상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락은 상기 막대 형상 부재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막대 형상 부재에 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락은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 락은 상기 컨테이너를 향하여 돌출/후퇴함으로써 상기 컨테이너의 하단에 형성된 모서리 끼움쇠에 삽입/제거되는 컨테이너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위 셀구조는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면을 향하여 돌출/후퇴함으로써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면에 형성된 모서리 끼움쇠에 삽입/제거되는 컨테이너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바닥 부재의 상면에는 컨테이너의 바닥면과 접하여 회전하는 롤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테이너를 운반 및 적재할 수 있는 자동화된 장비를 구비함으로써 컨테이너의 운반/적재 작업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컨테이너 적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우선 참고로 도 15a 및 15b를 참조하여 컨테이너(C)의 구조를 살펴본다. 일반적인 컨테이너는 모두 6개의 면을 포함하는 직육면체 형상이며, 각 면들이 접하여 형성되는 8개의 꼭지점에는 모두 모서리 끼움쇠(corner fitting)(F)가 형성되어 있다. 도 1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 모서리 끼움쇠(F)에는 대응하는 세 면 방향으로 각각 하나씩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들 개구에 다양한 고정부재를 삽입함으로써 컨테이너의 래싱 작업이 이루어 진다.
본 발명에 따른 셔틀 모듈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틀 모듈의 전체적인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셔틀 모듈(50)은 크게 선체(100), 크레인 시스템(200), 컨테이너 이동 유닛(300) 및 적재 창고(400)로 나눌 수 있다. 선체(100)는 셔틀모듈(50)을 해상에서 운항할 수 있도록 하며 다른 구조물들이 설치되는 바닥면을 제공한다. 크레인 시스템(200)은 셔틀 모듈(50)과 셔틀 모듈(50)의 외부공간, 예컨대 컨테이너선(30), 이동항구(10) 또는 육상의 부두(40) 등의 사이에서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컨테이너 이동 유닛(300)은 크레인 시스템(200)에 의해 전달된 컨테이너를 적재 창고(400)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반대로 적재 창고(400)에 적재되어 있던 컨테이너를 크레인 시스템(200)으로 이동시킨다. 마지막으로, 적재 창고(400)는 컨테이너를 안정적으로 고정 및 유지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철골구조물이다.
이하에서 크레인 시스템(200), 컨테이너 이동 유닛(300) 및 적재 창고(400) 각각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1. 크레인 시스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시스템(200)의 전체적인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시스템(200)은 지지구조(210)에 고정되는 메인 붐(main boom)(220)과, 슬라이딩함으로써 메인 붐(220)의 일측에서 입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확장 붐(extended boom)(230)과, 이들 붐(220, 230)을 따라 이동하며 컨테이너의 하역 및 적재 작업을 수행하는 트롤리(trolly)(240)를 포함한다. 확장 붐(230)은 메인 붐(220)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컨테이너를 이송하고자 하는 경우에 메인 붐(220)의 내부로부터 슬라이딩하여 나올 수 있다(이하, 어느 붐이 다른 붐의 내부로부터 슬라이딩하여 나오는 것을 슬라이딩 아웃(Sliding Out)이라 부르고, 슬라이딩하여 들어가는 것을 슬라이딩 인(Sliding In)이라 부른다).
도 5a는 크레인 시스템(200)이 컨테이너를 하역/적재하는 경우에 해당하며, 확장 붐(230)이 메인 붐(220)으로부터 슬라이딩 아웃하여 크레인 시스템(200)이 신장된 모습을 도시한다. 한편, 도 5b는 크레인 시스템(200)이 컨테이너의 하역/적재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예컨대 셔틀 모듈(50)이 운항 중인 경우로서, 확장 붐(230)이 메인 붐(220) 안으로 슬라이딩 인하여 크레인 시스템(200)이 수축된 모습을 도시한다.
이와 같이 크레인 시스템(200)을 구성하는 붐이 신장 및 수축 가능한 다단 구조로 형성되면, 크레인 시스템(200)이 신장될 경우 기존의 크레인과 마찬가지로 컨테이너의 하역 및 적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동시에, 크레인 시스템(200)이 수축되는 경우에는 크레인 시스템(200)이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어 셔틀 모듈(50)의 운항 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2. 컨테이너 이동 유닛
본 발명의 컨테이너 이동 유닛(300)을 살펴보기에 앞서, 선박에 적재된 컨테이너 배열의 넘버링 시스템(numbering system)인 베이-로우-티어 시스템(bay-row-tier system)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통상 선박의 화물 적재 공간은 숫자로 명명되며 또한 문서로 기록된다. 이로써 해상 이송에 있어서 특정 컨테이너가 어디에 적재되어 있는지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이 법칙에 의하면, 베이(bay)는 선수에서 선미에 이르는 선박의 길이방향이며, 로우(row)는 선박을 횡단하는 방향이며, 티어(tier)는 수직 방향을 가리킨다(도 6 참조).
본 발명의 셔틀 모듈(50)이 구비하는 컨테이너 이동 유닛(300)은 컨테이너를 베이, 로우, 티어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각각의 구성을 포함한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셔틀 모듈(50)을 적용하여, 예를 들어, 컨테이너선(30)으로부터 셔틀 모듈(50)로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경우, 크레인 시스템(200)에 의하여 전달된 컨테이너는 베이, 티어 및 로우 방향의 순서로 이동하여 적재창고(400)에 적재되므로, 컨테이너 이동 유닛(300)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서도 이와 동일한 순서로 설명한다.
2-1. 베이 방향 이동
크레인 시스템(200)이 컨테이너를 내려놓는 위치, 즉 크레인 시스템(200)의 지지구조(210) 아래 부분에는 대차(310) 및 대차(310) 상에 놓여진 테이블 리프트(320)가 배치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테이블 리프트(320)는 컨테이너를 실을 수 있는 테이블(322)과 하부 프레임(324)을 구비하며, 테이블(322)과 하부 프레임(324)은 X형 링크 구조(326)를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또한, 하부 프레임(324)의 아래에는 바퀴(328)가 마련되어 있어 대차(310) 상에 형성된 레일(312) 및 갑판에 마련된 레일(4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이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대차(310)는 아래에 바퀴(314)가 장착되어 있어서 동력원(미도시)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음으로써 로우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대차(310)의 상단에는 테이블 리프트(320)의 하부 프레임(324)에 마련된 바퀴(328)와 대응하는 2쌍의 레일(312)이 마련되어 베이 방향으로 연장한다. 따라서, 테이블 리프트(320)가 대차(310) 상에서 이들 레일(312)을 따라 베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갑판의 중앙부에는 대차(310) 및 테이블 리프트(320)의 일 측으로부터 셔틀 모듈(50)의 선수를 향해 연장되는 레일(420)이 적재 창고(400)의 중앙 통로(410)를 따라 마련되어 있으므로, 테이블 리프트(320)가 레일(420)을 따라 베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셔틀 모듈(50)은 한 쌍의 테이블 리프트(32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동일한 구성의 한 쌍의 테이블 리프트(320)를 구비함으로써, 이하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이 컨테이너를 이동시킴에 있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크레인 시스템(200)에 의해 이송된 컨테이너가 제 1 테이블 리프트(320-1) 상에 내려진 후, 제 1 테이블 리프트(320-1)는 대차(310) 상에 형성된 레일(312) 및 갑판에 마련된 레일(420)을 따라 베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컨테이너의 적재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크레인 시스템(200)은 다음 컨테이너에 대한 이송 작업을 수행하여 제 2 테이블 리프트(320-2) 상에 내려놓는다. 제 1 테이블 리프트(320-1)가 대차(310) 상으로 복귀하는 즉시, 대차(310)는 로우 방향으로 이동하여 컨테이너를 싣고 있는 제 2 테이블 리프트(320-2)가 갑판에 마련된 레일(4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어느 하나의 테이블 리프트(예컨대, 제 1 테이블 리프트(320-1))가 컨테이너의 적재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다른 테이블 리프트(예컨대, 제 2 테이블 리프트(320-2))가 크레인 시스템(200)에서 전달되는 후속 컨테이너를 받는 작업이 동시에 수행됨으로써, 전체 화물 이송/적재 작업에 있어서 딜레이 시간을 줄일 수 있다.
2-2. 티어 방향 이동
컨테이너가 테이블 리프트(320)에 실린 상태로 베이 방향으로 소망하는 위치 까지 이동된 다음에는 티어 방향 이동이 수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테이블 리프트(320)는 컨테이너를 실을 수 있는 테이블(322)과 하부 프레임(324)을 구비하며, 테이블(322)과 하부 프레임(324)은 X형 링크 구조(326)를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이 X형 링크 구조(326)는 유압 실린더(미도시)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음으로써 하부 프레임(32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테이블(322)을 상승/하강시킬 수 있다. 테이블(322)의 상승/하강 운동에 의하여 테이블(322)에 적재된 컨테이너는 티어 방향으로 소망하는 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다.
2-3. 로우 방향 이동
본 발명에 따른 적재 창고(400)는 컨테이너를 안정적으로 고정 및 유지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복 수개의 단위 셀 구조(U)(도 11a 및 도 11b 참조)를 포함하는 철골구조물로 이루어져 있다.
단위 셀 구조(U)는 컨테이너가 적재될 직사각형 형상의 바닥면을 구획하는 바닥 부재(430), 바닥 부재(430)의 양 측면에 로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대략 막대 형상의 한 쌍의 가로 부재(440), 한 쌍의 가로 부재(440) 상에 세워지는 수직 프레임(450), 수직 프레임(450)의 상부에 놓여져 단위 셀 구조(U)의 천장면을 구획하는 상부 프레임(460) 및 이들에 의해 형성된 구조물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 부재(470)를 포함한다. 보강 부재(470)는, 바람직하게는, 단위 셀 구조(U)를 이루는 면을 대각선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각 단위 셀 구조(U)에 있어서 바닥 부재(430)의 양 측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가로 부재(440)에는 가이드 락(480)을 수용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 공간(442)이 연장되어 있다. 이 내부 공간(442)에는 셀 안쪽을 향하여 가로 부재(4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릿 형상 개구(444)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내부 공간(442)의 하방으로는 가이드 락(480)의 이동을 위하여 레일(446)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내부 공간(442)에는 컨테이너를 로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가이드 락(480)이 배치된다.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이드 락(480)은 대략 막대 형상 부재이며, 내부 공간(442)의 하방에 마련된 레일(446)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그 하방에 구동 모터(미도시)에 의해 작동하는 바퀴(482)를 구비한다. 또한, 가이드 락(480)에 있어서 슬릿 형상 개구(444)를 향하는 일 측면에는 유압 실린더에 의하여 돌출 및 후퇴 가능한 컨테이너 결합부재(484)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한 쌍의 마주보는 가이드 락(480)으로부터 컨테이너 결합부재(484)가 돌출하는 경우, 이들이 컨테이너의 하단에 형성된 모서리 끼움쇠(F)에 삽입되어, 컨테이너를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테이블 리프트(320)가 작동하여 테이블(322)에 실린 컨테이너가 소망하는 높이까지 상승하는 경우, 가이드 락(480)이 레일(446)을 따라 테이블 리프트(320) 및 컨테이너가 위치하는 곳까지 이동한다. 이후 가이드 락(480)에 구비 된 결합부재(484)가 돌출하여 컨테이너의 모서리 끼움쇠(F)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컨테이너를 지지한 상태에서 가이드 락(480)이 레일(446)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컨테이너의 로우 방향 이동이 이루어진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테이블 리프트(320)의 테이블(322)의 상면에는 4열의 롤러(329)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컨테이너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3. 적재 창고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재 창고(400)는 복 수개의 단위 셀 구조(U)를 포함하는 철골구조물로 이루어지며, 각 단위 셀 구조(U)는 크게 바닥 부재(430), 가로 부재(440), 수직 프레임(450), 상부 프레임(460) 및 보강 부재(470)를 포함한다. 참고적으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 창고(400)는 8 로우, 5 베이, 4 티어로, 컨테이너 적재능력은 320 TEU일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바닥 부재(430)는 가운데가 개구된 직사각형의 판형상 부재이다. 바닥 부재(430)의 주면(즉,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면)에 있어서 네 모서리 부근에는 유압 실린더에 의하여 상방으로 돌출 및 후퇴 가능한 컨테이너 고정부재(432)가 4 개 마련되어 있다. 컨테이너가 적재되지 않은 경우에는 고정부재(432)는 도 1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방으로 후퇴되고 있다. 그러나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경우 고정부재(432)는 도 1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압 실린더의 작동으로 상방으로 돌출하여 컨테이너의 바닥에 형성된 모서리 끼움쇠에 삽입되어 컨테 이너를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컨테이너 고정부재(432)를 이용할 경우 컨테이너는 자동 래싱 처리될 수 있다.
또한, 바닥 부재(430)의 주면에는 2열의 롤러(434)가 장착되어 있어서, 가이드 락(480)에 의해 컨테이너가 로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들 롤러(434)가 회전함으로써 컨테이너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이송/적재 장치를 이용하면, 컨테이너를 이송 및 적재하기 위한 자동화 장비를 구비함으로써 해상에 부유하는 대형 컨테이너선과 육상 부두 사이에서 안전하고 신속하게 컨테이너를 이송할 수 있으며, 결국 이동항구 시스템 전체의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할 수 있으며,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 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명백하다.
도 1a 및 1b는 종래 특허에서 도시된 이동항구의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이동항구 시스템을 이용하여 화물이 이송되는 전체적인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틀 모듈의 전체적인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시스템의 전체적인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a 및 5b는 각각 크레인 시스템이 신장 및 수축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선박에 적재된 컨테이너 배열의 넘버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7a 및 7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틀 모듈을 도시하는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리프트의 전체적인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차의 전체적인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리프트 및 대차를 포함하는 셔 틀 모듈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 창고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락의 전체적인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 창고를 구성하는 바닥 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고정부재가 후퇴 및 돌출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일반적인 컨테이너의 형상 및 그 일부분을 확대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식별번호에 대한 설명>
10: 이동항구 15: 크레인 모듈
20: 크레인 30: 컨테이너선
40: 육상 부두 50: 셔틀 모듈
100: 선체 200: 크레인 시스템
210: 지지구조 220: 메인 붐
230: 확장 붐 240: 트롤리
300: 컨테이너 이동 유닛 310: 대차
312: 레일 314: 바퀴
320: 테이블 리프트 320-1: 제 1 테이블 리프트
320-2: 제 2 테이블 리프트 322: 테이블
324: 하부 프레임 326: X형 링크 구조
328: 바퀴 329: 롤러
400: 적재 창고 410: 중앙 통로
420: 레일 430: 바닥 부재
432: 고정부재 434: 롤러
440: 가로 부재 442: 내부 공간
444: 슬릿 형상 개구 446: 레일
450: 수직 프레임 460: 상부 프레임
470: 보강 부재 480: 가이드 락
482: 바퀴 484: 결합부재
C: 컨테이너 F: 모서리 끼움쇠
U: 단위 셀 구조

Claims (9)

  1. 컨테이너를 고정 및 유지하기 위한 복 수개의 단위 셀 구조를 포함하는 철골구조의 컨테이너 적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위 셀 구조는 그 내부에 배치되는 컨테이너의 서로 마주보는 양 측면 하단을 지지하여 상기 컨테이너를 평행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 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적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셀구조에 있어서, 컨테이너의 하단에 대응하며 서로 마주보는 부재에는 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락은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적재 장치.
  3. 제 2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락은 상기 컨테이너를 향하여 돌출/후퇴함으로써 상기 컨테이너의 하단에 형성된 모서리 끼움쇠에 삽입/제거되는 컨테이너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적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셀구조는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면을 향하여 돌출/후퇴함으로써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면에 형성된 모서리 끼움쇠에 삽입/제거되는 컨테이너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적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셀 구조는,
    상기 컨테이너가 놓여지는 직사각형 형상의 바닥면을 구획하는 바닥 부재와,
    상기 바닥 부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동시에 상기 바닥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막대 형상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락은 상기 막대 형상 부재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적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 형상 부재에 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락은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적재 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락은 상기 컨테이너를 향하여 돌출/후퇴함으로써 상기 컨테이너의 하단에 형성된 모서리 끼움쇠에 삽입/제거되는 컨테이너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적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셀구조는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면을 향하여 돌출/후퇴함으로써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면에 형성된 모서리 끼움쇠에 삽입/제거되는 컨테이너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적재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부재의 상면에는 컨테이너의 바닥면과 접하여 회전하는 롤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적재 장치.
KR1020090131327A 2009-12-24 2009-12-24 컨테이너 적재 장치 KR201100743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1327A KR20110074386A (ko) 2009-12-24 2009-12-24 컨테이너 적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1327A KR20110074386A (ko) 2009-12-24 2009-12-24 컨테이너 적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4386A true KR20110074386A (ko) 2011-06-30

Family

ID=44404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1327A KR20110074386A (ko) 2009-12-24 2009-12-24 컨테이너 적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438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46894B1 (en) Port storage and distribution system for international shipping containers
RU2384510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перегрузки груза
JP6113832B2 (ja) クレーンと、ハッチカバーを支持し積み重ねるクレーンの本体に設置されたベースとを備える、港湾作業時に積み下ろしを行うためのシステム
US2440307A (en) Ship hold
KR20110074385A (ko) 컨테이너 이송/적재 장치
EP2743217B1 (en)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for containers at quayside
KR102525152B1 (ko)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KR20110074387A (ko) 컨테이너 적재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이송선
CN108495783B (zh) 在集装箱船和码头之间转移标准化集装箱的方法
KR20110074386A (ko) 컨테이너 적재 장치
KR101112158B1 (ko) 모바일 포탈 크레인 및 이를 장착한 선박
KR20110079443A (ko) 모바일 하버를 이용한 컨테이너 하역 방법
KR20100072798A (ko)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JPH06247563A (ja) 船の水平移動式荷役設備
KR20110129698A (ko) 스위블 크레인이 설치되는 이동 항구
WO2002036423A1 (en) A transportation system
KR101079654B1 (ko) 듀얼 가이드 크레인, 이를 장착한 선박 및 컨테이너 착지 방법
KR101132621B1 (ko) 양현 하역 선박
KR101516201B1 (ko) 선박용 독립 가스 탱크 탑재 장치 및 선박용 독립 가스 탱크 탑재 방법
KR20220124647A (ko) 컨테이너 수송선 및 컨테이너의 반송 방법
KR20110041775A (ko) 레일을 이용한 컨테이너 이송 장치
KR20110069440A (ko) 크레인 시스템의 화물 이송방법
KR20110079431A (ko) 컨테이너 크레인을 구비하는 이동항구
JP2004238135A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
JP2001270491A (ja) Ro−Ro船の荷役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