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1706A - 화상형성장치의 표시모드를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표시모드를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1706A
KR20110071706A KR1020090128339A KR20090128339A KR20110071706A KR 20110071706 A KR20110071706 A KR 20110071706A KR 1020090128339 A KR1020090128339 A KR 1020090128339A KR 20090128339 A KR20090128339 A KR 20090128339A KR 20110071706 A KR20110071706 A KR 20110071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user
file
document box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8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태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8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1706A/ko
Priority to US12/974,246 priority patent/US20110149332A1/en
Publication of KR20110071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17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6Protecting data by securing the transmission between two devices or processes
    • G06F21/608Secure pr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reduced user or operator actions, e.g. presetting, automatic actions, using hardware token stor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22Increasing security of the print jo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73Print job history, e.g. logging, accounting, 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4Local printer device

Abstract

화상형성장치의 표시모드를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외부장치와 연결가능하고, 적어도 하나의 다큐먼트 박스와 다큐먼트 박스에 저장된 파일 및 표시부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에서 다큐먼트 박스 및 상기 파일의 표시모드를 설정하는 방법은 화상형성장치에 로그인하고, 로그인 정보를 인증하고, 화상형성장치 내에 저장된 다큐먼트 박스 및 파일을 설정된 표시모드에 따라 인증된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에 대응하여 표시하고, 표시된 다큐먼트 박스 및 파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표시모드를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시스템{Method of setting display mode i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for performing thereof}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는 화상형성장치의 표시모드를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프린트, 스캐너, 복합기(Multi-Function Peripheral) 등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는 인쇄, 복사, 스캔, 팩스 송수신, 이메일 전송, 서버 전송 등의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큐먼트 박스(Document Box)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인쇄, 복사, 스캔, 팩스 송수신, 이메일 전송, 서버 전송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중 발생된 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의 다큐먼트 박스를 이용하여 저장할 수 있고, 다큐먼트 박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함에 따라 복수의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존재하는 많은 데이터를 쉽고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큐먼트 박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화상형성장치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인쇄 작업, 복사 작업, 이메일 전송 작업, 팩스 전송 작업, 서버 전송 작업 등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화상형성장치에 저장된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를 편리하게 관리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의 표시모드를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외부장치와 연결가능하고, 적어도 하나의 다큐먼트 박스와 상기 다큐먼트 박스에 저장된 파일 및 표시부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다큐먼트 박스 및 상기 파일의 표시모드를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큐먼트 박스 및 상기 파일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표시모드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로그인하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로그인에 따른 로그인 정보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 내에 저장된 다큐먼트 박스 및 파일을 상기 설정된 표시모드에 따라 상기 인증된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다큐먼트 박스 및 파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모드는 기본모드 및 상기 사용자의 다큐먼트 박스 및 파일의 사용이력에 기초한 이력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외부장치와 연결가능한 화상형성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다큐먼트 박스 및 상기 다큐먼트 박스에 저장된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된 다큐먼트 박스 및 파일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표시모드에 따라 표시되도록 모드를 설정하는 설정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복수의 사용자들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로그인 정보를 인증하는 인증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다큐먼트 박스 및 파일을 상기 설정된 표시모드에 따라 상기 인증된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에 대응하여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된 다큐먼트 박스 및 파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정보를 획득하는 입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다큐먼트 박스 및 파일이 상기 설정된 표시모드에 따라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모드는 기본모드 및 상기 사용자의 다큐먼트 박스 및 파일의 사용이력에 기초한 이력모드를 포함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호스트 장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시스템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저장된 다큐먼트 박스 및 파일이 상기 호스트 장치의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여 표시되도록 표시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로그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로그인 정보를 인증하고, 상기 설정된 표시모드에 따라 상기 호스트 장치에 표시하기 위한 다큐먼트 박스 및 파일에 대한 정보를 상기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상기 다큐먼트 박스 및 파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에 대응하는 다큐먼트 박스 및 파일을 표시하는 호스트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기재된 바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에 저장된 다큐먼트 박스 및 파일의 표시모드를 편리하게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본인으로부터 접근된 이력이 있는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만을 조회하는 이력모드 또는 모든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를 조회하는 기본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의 검색작업을 빠르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은 화상형성장치(100) 및 호스트 장치(200)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저장부(110), 다큐먼트 박스(111),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표시부(121), 입력부(122), 설정부(130), 인증부(140), 사용자 계정정보 데이터베이스(145), 검출부(150), 이력관리 데이터베이스(155), 결정부(160), 모드관리 데이터베이스(165), 통신부(170), 제어부(180), 화상 형성부(191), 팩스부(192) 및 전송기능 수행부(193)로 구성되고, 호스트 장치(2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 제어부(230) 및 메모리(240)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100) 및 호스트 장치(200)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 1에는 하나의 호스트 장치(200)만이 화상형성장치(100)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간략하게 도시되어 있으나, 호스트 장치(200)와 같은 복수의 호스트 장치들이 화상형성장치(100)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하나의 화상형성장치(100)만이 호스트 장치(200)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간략하게 도시되어 있으나, 화상형성장치(100)와 같은 복수의 화상형성장치들이 호스트 장치(200)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 및 호스트 장치(200)는 각각에 마련된 통신부(170)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이용하여 유, 무선 네트워크 또는 유선 직렬 통신 등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network)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등에 해당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가 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인쇄, 스캔, 복사, 팩스 송수신, 이메일 전송, 서버로 파일 전송 작업 등을 수행하기 위한 파일들 및 상기 파일들을 관리하는 다큐먼트 박스(111)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파일들 및 다큐먼트 박스(111)들은 화상형성장치(100)의 저장부(110)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큐먼트 박스(111) 및 다큐먼트 박스(111)에 저장되는 파일을 저장한다. 즉, 저장부(11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복 수의 사용자들에 대응하는 다큐먼트 박스(111)들 및 다큐먼트 박스(111)에 저장되는 파일들을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서 다큐먼트 박스(111)는 저장부(110)에 저장되는 파일을 속성에 따라 구분하여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서 파일(file)은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인쇄, 스캔, 복사, 팩스 송수신, 이메일 전송, 서버로 파일 전송 작업 등을 수행하는 스캔데이터, 팩스데이터, 이메일데이터 및 인쇄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생성된다.
스캔데이터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스캔 작업을 수행한 결과에 따라 생성되고, 팩스데이터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팩스 송수신 작업을 수행한 결과에 따라 생성되고, 이메일데이터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이메일 송수신 작업을 수행한 결과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인쇄데이터는 화상형성장치(100)와 연결된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다큐먼트 박스(11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일을 저장한다. 즉, 다큐먼트 박스(111)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파일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본 실시예에서 다큐먼트 박스(111)는 디렉터리 또는 폴더(folder)가 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10)는 속성 별로 분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큐먼트 박스(111)를 저장한다. 이때, 속성 별로 분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큐먼트 박스(111)는 퍼블릭 박스(Public Box), 보안 박스(Secure Box) 및 사용자 박스(User Box)가 있다. 퍼블릭 박스(Public Box)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모든 사용 자가 생성, 삭제, 수정 및 조회가 가능하고, 보안 박스(Secure Box)는 허용된 사용자가 생성, 삭제, 수정 및 조회가 가능하고, 사용자 박스(User Box)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자 별로 구분된 각각의 다큐먼트 박스(111)로서,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본인에 대응하는 다큐먼트 박스(111)의 생성, 삭제, 수정 및 조회를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퍼블릭 박스(Public Box), 보안 박스(Secure Box) 및 사용자 박스(User Box)는 속성 별로 분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큐먼트 박스(111)의 일 예에 불가하기에, 다큐먼트 박스(111)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10)는 통상적인 저장매체로서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저장부(110)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대용량의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메모리(Flash Memory) 및 메모리카드(Memory Card)를 모두 포함함을 알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에게 출력정보를 표시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출력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21) 및 입력정보를 획득하는 입력부(122)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표시부(121) 및 입력부(122)가 결합된 형태로도 존재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패널, 마우스, 키보드, 터치 화면, 모니터, 스피커 등의 입출력 장 치 및 입출력 장치를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21)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입력부(122)는 사용자로부터 로그인 정보를 획득한다. 즉, 사용자는 입력부(122)를 조작하여 로그인 정보를 입력한다. 이때, 로그인 정보는 사용자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 등을 포함한다.
또한, 입력부(122)는 사용자로부터 표시모드를 설정하는 입력정보를 획득한다. 즉, 사용자는 표시부(121)에 표시된 어느 하나의 표시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정보를 입력부(122)를 조작하여 입력할 수 있다.
설정부(130)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이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표시모드에 따라 표시되도록 모드를 설정한다. 이때, 설정부(130)는 입력부(122)로부터 획득한 입력정보 또는 통신부(170)를 통하여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수신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모드(Display Mode)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을 표시하는 방법을 의미하고,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표시모드에 따라 표시하는 모드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에 대하여 표시모드가 설정될 수 있는 모드를 의미한다.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표시모드에 따라 표시하는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화상형성장치(100)의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에 대한 표시모드가 설정될 수 있고, 화상형성장치(100)는 상기 사용 자들 중 인증된 사용자에 설정된 표시모드에 따라 저장부(110)에 저장된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을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모드는 기본모드 및 사용자의 다큐먼트 박스(11) 및 파일의 사용이력에 기초한 이력모드를 포함한다. 이때, 사용이력은 사용자가 상기 다큐먼트 박스 및 상기 파일을 가장 최근(the latest)에 사용한 사용기간(period), 접속빈도, 보안수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이러한 사용이력은 사용자에 의하여 편집가능하다. 이력모드에 관하여는 이하에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인증부(1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하여 획득된 로그인 정보를 인증한다. 즉, 인증부(14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복수의 사용자들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로그인 정보를 인증한다. 인증부(14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복수의 사용자들의 계정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계정정보 데이터베이스(145)를 참조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하여 획득된 로그인 정보를 인증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계정정보 데이터베이스(145)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계정정보들을 저장 및 관리한다. 이때, 계정정보는 아이디 및 패스워드 등을 의미하고, 또한, 본 실시예에서 관리는 갱신을 포함한다.
즉, 인증부(140)는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로그인 정보를 사용자 계정정보 데이터베이스(145)에 저장된 사용자의 계정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를 인증한다.
비교 결과에 따라 획득된 로그인 정보가 사용자 계정정보 데이터베이스(145)에 저장된 계정정보와 동일한 경우, 상기 사용자를 허가된 사용자로서 인증한다. 비교 결과에 따라 획득된 로그인 정보가 사용자 계정정보 데이터베이스(145)에 저 장된 계정정보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화상형성장치(100)에 상기 사용자의 접근을 막는다. 또는, 다큐먼트 박스(111)의 일 예인 퍼블릭 박스의 조회 등과 같이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에게도 접근이 허여된 작업만을 수행하도록 한다.
인증부(140)의 인증결과에 따라, 표시부(121)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을 설정부(130)에서 설정된 표시모드에 따라 표시한다. 즉, 설정부(130)에서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표시모드에 따라 표시되는 모드가 설정된 경우, 인증부(140)에 의하여 인증된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에 대응하는 표시모드에 따라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화상형성장치(100)의 복수의 사용자들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에 대하여 기본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인증부(140)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가 인증되면, 표시부(121)는 기본모드에 따라 저장부(110)에 저장된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을 표시한다.
또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복수의 사용자들 중 다른 사용자에 대하여 이력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인증부(140)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가 인증되면, 표시부(121)는 이력모드에 따라 저장부(110)에 저장된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을 표시한다.
이에 따라, 인증된 사용자는 입력부(122)를 사용하여 표시부(121)에 표시된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상기 선택된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에 대하여 인쇄, 복사, 스캔, 팩스 송신, 이메일 전송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표시모드에 따른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의 표시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인증부(140)의 인증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허가된 사용자인 경우, 표시부(121)는 상기 허가된 사용자에 대응하여 설정된 표시모드를 표시한다. 이때, 표시모드는 기본모드 또는 이력모드가 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21)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다큐먼트 박스(111) 중 상기 인증된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큐먼트 박스(111)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인증된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큐먼트 박스(111)는 다큐먼트 박스의 일 예인 퍼블릭 박스 및 상기 인증된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박스가 될 수 있다.
상기에서 표시부(121)의 표시모드는 상기 허가된 사용자에 의하여 변경가능하다. 즉, 표시부(121)는 다큐먼트 박스(111)에 저장된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1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모드인 기본모드 또는 이력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아이콘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기본모드 또는 이력모드를 선택받기 위한 아이콘은 상기 인증된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큐먼트 박스(111)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기본모드(Default Mode)는 상기 인증된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에 대응하는 다큐먼트 박스(111) 및 다큐먼트 박스(111)에 저장된 파일을 모두 표시하고, 이력모드(History Mode)는 상기 인증된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사용이력에 기초한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이력모드(History Mode)는 상기 인증된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을 가장 최근(the latest)에 사용한 사용기간(period)을 참조하여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을 표시할 수 있다. 즉, 표시부(121)는 상기 인증된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일 회 이상 접근된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111)만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설정에 따라 표시부(121)는 상기 설정된 사용기간에 따라 소정의 기간(예를 들면, 1달)이내에 적어도 1회 이상 접속한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111)만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표시부(121)는 상기 인증된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에의 접속빈도를 참조하여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을 표시할 수 있다. 즉, 표시부(121)는 상기 인증된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횟수 이상(예를 들면, 10회) 접속된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111)만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21)는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에의 보안수준을 참조하여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을 표시할 수 있다. 즉, 표시부(121)는 상기 인증된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보안 수준에 해당하는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만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안설정된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111) 만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재한 바와 같은 사용이력은 상기 인증된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에 의하여 편집가능하다. 즉, 사용기간, 접속빈도, 보안수준의 설정 등은 편집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인증된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횟수 이상 접속된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111)만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소정의 횟수는 변경가능하다.
또한, 상기 인증된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는 상기 사용이력 중 복수개를 선택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즉, 표시부(121)는 설정에 따라 소정의 기간(예를 들면, 1달)이내에 접속하고 적어도 10회 이상 접속된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111)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인증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모든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111)를 표시하는 모드를 기본모드로 호칭하고, 인증된 사용자의 사용이력에 기초하여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111)를 표시하는 모드를 이력모드로 호칭할 것이나,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기본모드 및 이력모드는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111)를 표시하는 모드의 호칭의 일 예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모드에 대한 다양한 호칭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21)는 인증부(140)의 인증 결과에 따라,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설정된 표시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 즉, 표시부(121)는 현재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을 표시하는 모드가 기본모드 또는 이력모드 중 어떠한 모드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현재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을 표시하는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는 표시부(121)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큐먼트 박스(111) 중 어느 하나의 다큐먼트 박스(111)를 선택한다. 또한, 다큐먼트 박스(111)에 저장된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111)를 표시하는 모드인 기본모드 또는 이력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이때, 사용자는 입력부(122)를 조작하여 다큐 먼트 박스(111)와 기본모드 또는 이력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한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의 일 예인 디스플레이 패널을 터치하는 방법 등으로 다큐먼트 박스(111) 및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검출부(15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이력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다큐먼트 박스(111)에 저장된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111) 중 설정된 사용이력에 따른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을 검출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설정된 사용이력이 가장 최근에 사용된 사용기간인 경우, 검출부(15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일 회 이상 접근된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111)를 검출한다.
즉, 검출부(15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복수의 사용자들이 저장부(110)에 저장된 복수의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에 가장 최근에(the latest) 접근한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이력관리 데이터베이스(155)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일 회 이상 접근된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111)를 검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력관리 데이터베이스(155)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복수의 사용자들이 저장부(110)에 저장된 복수의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 각각에 대하여 가장 최근에 접근한 시간에 대한 정보들을 저장 및 관리한다. 다만, 다큐먼트 박스(111)는 파일들을 저장하고 있기에, 이력관리 데이터베이스(155)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다큐먼트 박스(111)들 만에 대하여 사용자별로 가장 최근에 접근한 시간에 대한 정보들을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입력부(122)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기간을 설정하는 시간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소정의 기간은 1일, 1주일, 1개월 등 다양한 기간이 될 수 있다. 즉, 표시부(121)는 사용자로부터 시간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팝업 창을 더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인증된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에 대응하는 다큐먼트 박스(111)와 함께 시간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슬라이드 바 등을 표시할 수 있다.
검출부(150)는 이력관리 데이터베이스(155)를 참조하여 상기 획득된 시간정보의 소정의 기간 이내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일 회 이상 접근된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111)를 검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가 상기 소정의 기간을 1주일로 설정한 경우, 검출부(150)는 현 시점으로부터 1주일 이내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일 회 이상 접근된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111)만을 검출할 수 있다.
표시부(122)는 검출부(150)에 의하여 검출된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111)를 표시한다. 즉, 사용자로부터 이력모드가 선택된 경우, 표시부(122)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다큐먼트 박스(111)에 저장된 복수의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111) 중 상기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일 회 이상 접근된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111)만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이력모드가 선택되고 소정의 기간을 설정하는 시간정보가 입력된 경우, 표시부(122)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다큐먼트 박스(111)에 저장된 복수의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111) 중 상기 소정의 기간 이내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일 회 이상 접근된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111)만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편리하게 화상형성장치(100)의 표시모드를 설정할 수 있 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복수의 다큐먼트 박스(111) 및 다큐먼트 박스(111)에 저장된 복수의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111) 중 상기 사용자로부터 접근된 이력이 있는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111)만을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의 저장부(110)의 저장용량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많은 수의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이 저장부(110)에 저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을 검색하기 위하여 저장부(110)에 저장된 모든 다큐먼트 박스(111)들을 리뷰(review)하거나, 또는 검색 기능을 사용하여야 한다. 하지만, 모든 다큐먼트 박스(111)들을 리뷰하거나 검색 기능을 사용하는 것은 저장부(110)에 저장된 모든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들을 검색하여야 하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를 이용하여 인쇄, 팩스 전송, 서버로의 파일 전송 기능 등을 수행하는 파일은 통상적으로 사용자에 의하여 적어도 한 번 이상 접근된 이력이 존재하기에, 사용자로부터 접근된 이력이 존재하는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111)를 표시하는 이력모드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기간을 설정하는 시간정보를 획득함에 따라, 장기간 사용하지 않은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들을 제외시키기에 검색 결과의 정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다큐먼트 박스(111), 기본모드 및 이력모드를 선택하는 아이콘, 시간정보를 입력하는 아이콘 등을 모두 하나의 화면에 표시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사용자는 입력부(121)를 이용하여 이력모드에 따라 검출된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111)가 표시된 상태에서 기본모드를 선택하거나, 기본모드에 따라 검출된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111)가 표시된 상태에서 이력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이력모드 및 기본모드 간의 변환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검출부(150)는 사용자의 선택 결과에 따라, 기본모드 및 이력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다큐먼트 박스(111)에 저장된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111)를 검출하고, 표시부(122)는 검출된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111)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기본모드에 따라 검출된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111)가 표시부(121)에 표시된 상태에서, 입력부(122)가 이력모드를 선택하는 정보를 획득하면, 검출부(150)는 다큐먼트 박스(111)에 저장된 복수의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111) 중 기본모드에 따라 검출된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111)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사용이력이 존재하는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111)를 검출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검출된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111)를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기본모드 및 이력모드를 서로 변환시켜가며 화상형성장치(100)에서 다양한 작업들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결정부(160)는 상기 인증된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가장 최근에 사용한 모드를 결정하고, 검출부(150)는 결정부(160)에 의하여 결정된 모드에 따른 다큐먼트 박스(111)에 저장된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111)를 검출하고, 사용자 인 터페이스부(120)는 검출부(150)에 의하여 검출된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111)를 표시한다.
이때, 결정부(160)는 사용자가 가장 최근에 사용한 모드를 저장하는 모드관리 데이터베이스(165)를 참조하여, 상기 인증된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가장 최근에 사용한 모드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모드관리 데이터베이스(165)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에 대하여 가장 최근에 사용한 모드에 대한 정보들을 저장 및 관리한다. 예를 들면, 모드관리 데이터베이스(165)는 사용자별로 가장 최근에 사용한 모드가 기본모드인지 또는 이력모드인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기본모드 또는 이력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지 않아도, 사용자가 가장 최근에 사용된 모드에 따라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을 표시하기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통신부(170)는 외부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7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기능에 따라 팩스 송수신 등에 사용되는 모뎀, 네트워크 망과의 접속을 위한 네트워크 모듈, 이동식 저장매체와의 데이터 이동 채널 형성을 위한 USB 호스트 모듈 등을 모두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화상형성장치(100)의 표시모드를 설정하는 방법을 화상형성장치(100)와 연결된 호스트 장치(200)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 즉, 화상형성장치(100) 및 호스트 장치(200) 각각에 마련된 통신부(170)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 의 표시모드를 설정하고,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에 저장된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111)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통신부(17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호스트 장치(200)와 연결한다. 사용자는 호스트 장치(200)에서 화상형성장치(100)에 로그인한다. 즉, 화상형성장치(100)는 통신부(170)를 통하여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로그인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로그인 정보의 수신은 호스트 장치(200)가 화상형성장치(100)와 연결되면, 호스트 장치(200)의 사용자가 아이디 및 패스워드 등을 입력하여 로그인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화상형성장치(100)와 호스트 장치(200)가 연결되면 호스트 장치(200)에서 자동으로 로그인 정보가 화상형성장치(100)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설정에 따라 로그인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화상형성장치(100)는 로그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인증부(140)는 수신된 로그인 정보를 인증하고, 제어부(18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표시모드가 상기 연결된 외부장치의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여 표시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화상형성장치(100) 내에 저장된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이 상기 설정된 표시모드에 따라 상기 외부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18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표시모드가 상기 연결된 외부장치의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여 표시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화상형성장치(100) 내에 저장된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이 상기 설정된 표시모드에 따라 호스트 장치(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통 신부(170)는 인증된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표시모드에 따른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에 대한 정보를 호스트 장치(200)에 전송하여 제공한다. 이에 따라, 호스트 장치(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에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이 표시될 수 있다.
통신부(170)는 호스트 장치(200)의 사용자로부터 기본모드 또는 이력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검출부(150)는 수신된 모드에 따라 다큐먼트 박스(111)에 저장된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111)를 검출하고, 통신부(170)는 검출된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111)에 관한 정보를 호스트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호스트 장치(200)에 의하여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을 표시하는 표시모드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70)는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소정의 기간을 설정하는 시간정보를 수신하고, 검출부(150)는 이력관리 데이터베이스(155)를 참조하여 상기 시간정보의 소정의 기간 이내에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적어도 일 회 이상 접근된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111)를 검출하고, 통신부(170)는 상기 검출된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111)에 관한 정보를 호스트 장치(200)로 전송한다.
또한, 검출부(150)는 결정부(160)의 결정 결과에 따라 호스트 장치(200)의 사용자가 가장 최근에 사용한 모드에 따라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111)를 검출하고, 통신부(170)는 검출된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111)에 관한 정보를 호스트 장치(200)로 전송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호스트 장치(200)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화상형성장치(100) 에 저장된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111)를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저장부(170)에 저장된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이 화상형성장치(100)에 설정된 표시모드에 따라 표시되도록 하기 위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한다.
화상형성부(191), 팩스부(192) 및 전송기능 수행부(193)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화상 형성부(191)는 파일의 인쇄작업을 수행하고, 팩스부(192)는 파일의 팩스전송작업을 수행하고, 전송기능 수행부(193)는 파일을 서버, 이동식저장매체, 컴퓨터 시스템 등의 외부 장치로의 전송작업을 수행한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자는 이력모드를 사용하여 사용자 본인이 접근한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만을 조회하기에, 복잡한 다큐먼트 박스(111) 구조에 무관하게 편리하게 사용하고자 하는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기본모드 및 이력모드 간의 모드 전환을 이용하여 기존에 사용했던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새로운 접근 이력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들에 추가하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호스트 장치(200)는 화상형성장치(100)와 연결된 상태에서 화상형성장치(100)를 제어하는 범용 컴퓨터 시스템 및 화상형성장치(100)와 다른 화상형성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호스트 장치(200)는 화상형성장 치(100)와 연결된 상태에서 화상형성장치(100)에 저장된 파일을 원격으로 관리하기 위한 범용 컴퓨터 시스템, 모바일 시스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화상형성장치 등을 모두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화상형성장치(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즉,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로그인 정보, 인증 정보, 이력모드 또는 기본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는 선택정보, 검출된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111)에 대한 정보 등을 화상형성장치(100)와 송수신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에게 출력 정보를 표시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Web UI(User Interface)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호스트 장치(2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고, 메모리(240)는 호스트 장치(200)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메모리(240)는 프로그램 메모리(미도시) 및 데이터 메모리(미도시)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호스트 장치(20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데이터 메모리에는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이 일시 저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호스트 장치(200)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표시모드를 설정하고,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에 저장된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111)를 원격으로 편리하게 검색하고, 또한, 검색된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111)를 이용하여 인쇄, 팩스 전송, 이메일 전송, 서버로의 파일 전송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표시부(121)에 표시되는 다큐먼트 박스(111) 및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선택화면(201)는 인증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큐먼트 박스(111), 기본모드를 선택하는 아이콘(202) 및 이력모드를 선택하는 아이콘(203)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선택화면(201)에 표시된 어느 하나의 다큐먼트 박스(111)를 선택하고, 기본모드를 선택하는 아이콘(202) 또는 이력모드를 선택하는 아이콘(20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기본모드를 선택하는 아이콘(202)을 선택하면, 기본모드에 따라 인증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이 표시된다. 이력모드를 선택하는 아이콘(203)을 선택하면, 이력모드에 따라 인증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 중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일 회 이상 접근된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만이 표시된다. 이때, 선택은 다큐먼트 박스(111) 또는 상기 아이콘(202, 203)들을 터치하는 방식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표시부(121)에 표시되는 시간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면(301)은 사용자가 시간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으로 팝업 창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화면(301)의 날짜를 조정하여 소정의 기간을 설정하는 시간정보를 입력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조정된 날짜 이후의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만을 조회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소정의 기간을 설정하고, 상기 기간 이내에 접근된 이력이 있는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만을 조회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표시부(121)에 표시되는 다큐먼트 박스(111),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아이콘 및 시간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슬라이드 바가 함께 표시된 선택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선택화면(401)에는 시간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슬라이드 바(402)가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슬라이더 바(402)를 터치하는 형식으로 조정하여 소정의 기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기간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접근된 이력이 있는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만을 조회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모드 및 이력모드 간의 변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화면(501)은 기본모드가 선택된 경우 표시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에 대응하여 다큐먼트 박스 1 내지 다큐먼트 박스 7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화면(501)이 표시된다.
화면(501)에서 다큐먼트 박스 1을 선택하면, 현재 선택된 모드가 기본모드이기에, 다큐먼트 박스 1에 저장된 모든 다큐먼트 박스 및 파일이 표시된 화면(502)가 나타난다. 즉, 다큐먼트 박스 1에는 다큐먼트 박스 1-1, 다큐먼트 박스 1-2 및 파일 1이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설정된 사용이력이 사용기간인 경우, 화면(501)에서 이력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일 회 이상 접근된 이력이 있는 다큐먼트 박스만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큐먼트 박스 1 내지 다큐먼트 박스 2가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일 회 이상 접근된 경우, 화면(503)가 표시된다.
화면(502)에서 이력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일 회 이상 접근된 이력이 있는 다큐먼트 박스 및 파일만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파일 1이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일 회 이상 접근된 경우, 화면(504)가 표시된다.
또한, 화면(503)에서 다큐먼트 박스 1을 선택하면, 현재 선택된 모드가 이력모드이기에 다큐먼트 박스 1에 저장된 다큐먼트 박스 및 파일 중 상기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일 회 이상 접근된 이력이 있는 다큐먼트 박스 및 파일만이 표시된 화면(504)가 나타난다.
화면(502)에서 다큐먼트 박스 1-1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고, 이력모드를 선택하면, 화면(505)가 표시된다. 즉, 사용자에 의하여 새로운 접근 이력이 발생한 다큐먼트 박스 1-1이 이력모드에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력모드 및 기본모드 간의 변환을 통하여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들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화면들은 GUI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표시부(121)에 표시될 수도 있고, 또는 Web UI를 이용하여 호스트 장치(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에 표시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력관리 데이터베이스(155)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표(601)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복수의 사용자들이 화상형성장치(100)에 저장된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에 가장 최근에 접근한 시간을 저장한다.
따라서, 검출부(150)는 이력관리 데이터베이스(155)를 참조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소정의 기간 이내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일 회 이상 접근된 이력이 있는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111)만을 검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관리 데이터베이스(165)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표(701)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복수의 사용자들이 가장 최근에 사용한 모드를 저장한다.
따라서, 결정부(160)는 모드관리 데이터베이스(165)를 참조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가장 최근에 사용된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표시모드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에 기재된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시스템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시스템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8에 기재된 방법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801 단계에서 설정부(13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저장된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이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표시모드에 따라 표시부(121)에 표시되도록 설정한다.
802 단계에서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100)에 로그인한다. 즉, 입력부(122) 또는 통신부(170)는 사용자로부터 로그인 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로그인 정보는 사용자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될 수 있다.
803 단계에서 인증부(140)는 상기 로그인에 따른 로그인 정보를 인증한다. 즉, 인증부(140)는 사용자 계정정보 데이터베이스(145)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인증한다.
804 단계에서 표시부(121)는 화상형성장치(100) 내에 저장된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을 상기 801 단계에서 설정된 표시모드에 따라 상기 인증된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에 대응하여 표시한다. 즉, 표시부(121)는 상기 인증된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에 대하여 설정된 표시모드에 따라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을 표시한다.
805 단계에서 입력부(122)는 표시부(121)에 표시된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다. 즉, 사용자는 입력부(122)를 조작하여 표시부(121)에 표시된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이에 따라, 선택된 다큐먼트 박스(111) 및 파일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100)의 표시모드를 편리하게 설정할 수 있고, 또한, 화상형성장치(100)에 저장된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111)를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본인이 접근한 이력이 있는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111)만을 조회하기에, 빠르고 정확하게 원하는 파일을 검색할 수 있고, 검색된 파일을 이용한 다양한 작업들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 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되는 다큐먼트 박스 및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되는 시간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되는 다큐먼트 박스,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아이콘 및 시간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슬라이드 바가 함께 표시된 선택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모드 및 이력모드 간의 변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력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저장된 파일 및 다큐먼트 박스를 검색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Claims (17)

  1.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외부장치와 연결가능하고, 적어도 하나의 다큐먼트 박스와 상기 다큐먼트 박스에 저장된 파일 및 표시부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다큐먼트 박스 및 상기 파일의 표시모드를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큐먼트 박스 및 상기 파일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표시모드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로그인하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로그인에 따른 로그인 정보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 내에 저장된 다큐먼트 박스 및 파일을 상기 설정된 표시모드에 따라 상기 인증된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다큐먼트 박스 및 파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모드는 기본모드 및 상기 사용자의 다큐먼트 박스 및 파일의 사용이력에 기초한 이력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표시모드 설정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이력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다큐먼트 박스 및 상기 파일을 가장 최 근(the latest)에 사용한 사용기간(period), 접속빈도, 보안수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정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이력은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편집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정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설정된 표시모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모드는 상기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에 의하여 변경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정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장치와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모드가 상기 연결된 외부장치의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여 표시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 내에 저장된 다큐먼트 박스 및 파일을 상기 설정된 표시모드에 따라 상기 외부장치의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정방법.
  6.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외부장치와 연결가능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다큐먼트 박스 및 상기 다큐먼트 박스에 저장된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된 다큐먼트 박스 및 파일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표시모드에 따라 표시되도록 모드를 설정하는 설정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복수의 사용자들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로그인 정보를 인증하는 인증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다큐먼트 박스 및 파일을 상기 설정된 표시모드에 따라 상기 인증된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에 대응하여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된 다큐먼트 박스 및 파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정보를 획득하는 입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다큐먼트 박스 및 파일이 상기 설정된 표시모드에 따라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모드는 기본모드 및 상기 사용자의 다큐먼트 박스 및 파일의 사용이력에 기초한 이력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화상형성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이력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다큐먼트 박스 및 상기 파일을 가장 최근(the latest)에 사용한 사용기간(period), 접속빈도, 보안수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이력은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편집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화상형성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설정된 표시모드를 더 표시하고,
    상기 표시모드는 상기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에 의하여 변경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장치와 연결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모드가 상기 연결된 외부장치의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여 표시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 내에 저장된 다큐먼트 박스 및 파일이 상기 설정된 표시모드에 따라 상기 외부장치의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다큐먼트 박스 및 파일에 가장 최근(the latest)에 접근한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이력관리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표시모드가 이력모드인 경우, 상기 이력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다큐먼트 박스들 및 파일들 중 상기 인증된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일 회 이상 접근된 다큐먼트 박스 및 파일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검출된 다큐먼트 박스 및 파일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인증된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기간을 설정하는 시간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다큐먼트 박스들 및 파일들 중 상기 입력받은 시간정보의 소정의 기간 이내에 상기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일 회 이상 접근된 다큐먼트 박스 및 파일을 검출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검출된 다큐먼트 박스 및 파일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이 가장 최근에 사용한 모드를 저장하는 모드관리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인증된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가장 최근에 사용한 표시모드를 결정하는 결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다큐먼트 박스 및 파일을 상기 결정된 표시모드에 따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화상형성장치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호스트 장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저장된 다큐먼트 박스 및 파일이 상기 호스트 장치의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여 표시되도록 표시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로그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로그인 정보를 인증하고, 상기 설정된 표시모드에 따라 상기 호스트 장치에 표시하기 위한 다큐먼트 박스 및 파일에 대한 정보를 상기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상기 다큐먼트 박스 및 파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 고, 상기 수신된 정보에 대응하는 다큐먼트 박스 및 파일을 표시하는 호스트 장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이력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다큐먼트 박스 및 상기 파일을 가장 최근(the latest)에 사용한 사용기간(period), 접속빈도, 보안수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시스템.
KR1020090128339A 2009-12-21 2009-12-21 화상형성장치의 표시모드를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시스템 KR2011007170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339A KR20110071706A (ko) 2009-12-21 2009-12-21 화상형성장치의 표시모드를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시스템
US12/974,246 US20110149332A1 (en) 2009-12-21 2010-12-21 Method of setting display mode i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to set the display m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339A KR20110071706A (ko) 2009-12-21 2009-12-21 화상형성장치의 표시모드를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706A true KR20110071706A (ko) 2011-06-29

Family

ID=44150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8339A KR20110071706A (ko) 2009-12-21 2009-12-21 화상형성장치의 표시모드를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149332A1 (ko)
KR (1) KR201100717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5149A (ko) * 2012-10-30 2014-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형성 장치에서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4944A (ja) * 2011-03-24 2012-10-22 Brother Ind Ltd 画像通信装置
JP5847546B2 (ja) * 2011-11-14 2016-01-2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599857B2 (ja) * 2012-10-01 2014-10-01 アンリツ株式会社 移動端末試験装置及び移動端末試験方法
JP5870904B2 (ja) * 2012-11-14 2016-03-0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プリンタドライバプログラム、制御方法
JP6398153B2 (ja) * 2013-06-04 2018-10-03 株式会社リコー 機器、情報処理端末、情報処理システム、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7728961B (zh) * 2017-09-06 2021-03-19 深圳市盛路物联通讯技术有限公司 数据输出控制方法及相关装置
JP7409061B2 (ja) 2019-12-13 2024-01-09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文書管理装置及び文書管理プログラム
JP2021102269A (ja) * 2019-12-24 2021-07-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70494B2 (ja) * 2005-09-13 2012-02-08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916322B2 (ja) * 2007-01-23 2012-04-1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5149A (ko) * 2012-10-30 2014-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형성 장치에서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49332A1 (en) 201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71706A (ko) 화상형성장치의 표시모드를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시스템
KR101279442B1 (ko) 웹데브 서버가 내장된 화상형성장치에서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시스템
KR101227077B1 (ko) 화상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US891327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US9405769B2 (en) Searching for devices in an information technology environment with aid of maps
US10075606B2 (en) Management server, method of managing workform and execution start condition and recording medium
JP6049275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280488B2 (ja) アカウント管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6111713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認証情報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01374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5247177B2 (ja) 文書管理装置、文書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8083809A (ja) 画像処理装置、情報送信方法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KR20110024156A (ko) 호스트 디바이스, 워크폼 실행 디바이스, 워크폼 생성방법 및 워크폼 실행 방법
JP2010074682A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画像データの保存方法及び画像データの保存用プログラム
JP2013179436A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2085176A (ja) 画像形成装置、情報機器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810812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solidating and managing rendering jobs
US1108917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searching for documents managed by a management system
US20110113076A1 (en) Method of managing file i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KR20110023642A (ko) 화상형성장치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호스트 장치
US9215348B2 (en) Method of selecting a workform having redefined attribute information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JP6833573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10071703A (ko) 화상형성장치의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시스템
US984369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witching between first and second screen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hereof
JP2016174228A (ja) 機器、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