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1497A - 나사부 길이검사구 - Google Patents

나사부 길이검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1497A
KR20110071497A KR1020090128086A KR20090128086A KR20110071497A KR 20110071497 A KR20110071497 A KR 20110071497A KR 1020090128086 A KR1020090128086 A KR 1020090128086A KR 20090128086 A KR20090128086 A KR 20090128086A KR 20110071497 A KR20110071497 A KR 20110071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gth
thread
male
stepped portion
mal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8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용대
윤현기
김대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부원비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부원비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부원비엠에스
Priority to KR1020090128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1497A/ko
Publication of KR20110071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14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5/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G01B5/061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height gauges
    • G01B5/06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height gauges provided with a slide which may be moved along a vertical support by means of a micrometer scre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22Feeler-pin gauges, e.g. dial gauges
    • G01B3/26Plug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5/0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 G01B5/04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for measuring wid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Length-Measur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 간의 연결을 위해 철근 단부 상에 형성된 수나사부가 적정길이로 가공되었는지를 검사하는 나사부 길이검사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중공형태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피 검사용 수나사부와 나사체결되는 체결관과, 상기 체결관의 단부면 상에 구비되되 해당 수나사부의 길이규격 중 허용오차범위에 해당하는 두께를 갖는 단차부로 구성됨에 따라,
상기 체결관에 끼워진 수나사부의 끝단이 해당 단차부의 두께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가공합격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철근의 나사부 길이검사구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기존에 비해 검사속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오로 인한 검사불량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철근, 나사부, 길이검사

Description

나사부 길이검사구{SCREW LENGTH GAUGE}
본 발명은 철근 등에 형성되는 나사부의 가공길이 불량여부를 판단하는 검사구에 관한 것으로, 치수게이지로 나사부 길이를 측정한 후 해당규격과 일일이 대비하여 불량여부를 판단하는 종래 방식에 비해 검사 속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오로 인한 검사 불량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콘크리트의 부족한 인장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철근이 함께 사용되며, 이러한 철근에 의해 기본골격을 이루게 된다.
상기 철근은 최초 특정 길이로 제작된 후 건설현장 상황에 따라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거나 연결하여 필요한 길이로 만들어 사용한다.
통상 철근을 연결하는 방법으로는 용도에 따라 크게 금속와이어를 이용해 철근을 묶어 상호 연결하는 겹침 이음방식과 가열 및 가압에 의한 압접방식, 그리고 별도의 커플러(coupler)를 이용하여 나사결합을 통해 연결하는 기계적 이음방식이 있다.
상기 방식들 중 나사식 커플러를 이용한 기계적 이음방식은, 각 철근 단부의 일정구간 상에 수나사부를 가공한 후 커플러 양단에 나사결합을 통해 끼워 넣어 연결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기계적 이음방식은, 커플러에 의해 철근이 연결된 상태에서 인장하중이 가해질 때, 각 철근 중 나사부가 다른 부위보다 먼저 파단되어서는 안되므로 철근 이음부의 인장강도가 다른 부위의 인장강도 이상이어야 한다.
이렇게 수나사부의 인장강도는 수나사부의 직경, 길이, 가공 방법 등에 의해 결정되며, 수나사부의 적정 형성 길이는 해당 직경에 따라 규격화 되어 있다.
더불어 가공 후 수나사부가 해당규격대로 가공되었는지를 검사하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시행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나사부 길이검사는 대부분 버니어캘리퍼스와 같은 치수게이지로 이용해 측정하여 해당규격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하지만 이렇게 치수게이지를 이용해 측정하는 방식은, 나사부 길이를 측정한 후 측정값이 해당 규격값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일일이 확인해야 하므로, 검사작업이 번거롭고 오래 걸릴 수밖에 없다
더구나 철근은 직경 등에 따라 나사부의 규격길이가 제 각각이기 때문에, 이 경우 각 나사부의 해당규격들을 암기한 상태에서 측정값과 대비하는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자의 착오로 인해 검사결과의 오류발생 가능성이 높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기존에 비해 간단한 방법으로 나사부의 길이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검사시간을 단축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정확한 검사결과를 얻을 수 있는 나사부 길이검사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공형태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수나사부와 나사체결되는 체결관과,
상기 체결관의 단부면 상에 구비되되, 해당 수나사부 길이규격 중 허용오차범위에 해당하는 두께를 갖는 단차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체결관은 가공하고자 하는 수나사부 길이규격 중 최소허용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제작되어, 결합된 수나사부의 끝단부가 체결관 내부에 위치할 경우 가공불량에 해당되고 상기 단차부의 두께 내에 위치할 경우 정상가공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단차부는 반원링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단차부가 위치하지 않은 구간을 통해 수나사부의 끝단부 위치를 판단하는 점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적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규격길이와 일치하는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관을 수나사부에 나사 체결시키고, 이 상태에서 수나사부의 단부가 단차부의 단차두께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만으로 정상가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치수게이지로 측정한 후 측정값이 규격값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종래 방식과는 달리, 단순히 체결관과 수나사부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정상길이 여부를 확인 할 수 있음으로, 기존에 비해 검사과정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관과 단차부 자체가 해당 규격값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별도로 각 규격을 일일이 암기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해소됨으로, 항시 정확한 검사결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예시된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그 작용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앞의 종래기술의 설명에서는 철근의 수나사부 검사과정만 예를 들었 지만 본 발명은 철근 외에도 일반 볼트와 같은 기타 부품의 나사부 검사용도로도 얼마든지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나사부 길이검사구(10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체결관(100) 및 단차부(20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체결관(100)은 수나사부(300)와의 직접적인 체결 및 수나사부(300)의 길이가 최소허용길이에 못 미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하는 부분으로,
양단부가 개방된 중공 형태의 원형관 구조이며 전체길이(A)는 해당 수나사부(300)의 길이규격 중 최소허용길이와 동일하게 제작된다.
그리고 중공부(110)의 내주면에는 상기 수나사부(300)와의 체결을 위한 암나사부(120)가 형성되되, 암나사부(120)는 중공부(110) 전체길이를 따라 형성되어, 결국 암나사부(120)의 전체길이가 해당 수나사부의 최소허용길이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체결관(100)의 길이와 암나사부(120)의 직경 등도 해당 수나사부(300)의 규격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제작된다.
더불어 체결관(100)의 외주면은 널링(knurling)처리를 하여 수나사부(300)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작업자 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체결관(100)의 단부에는 단차부(200)가 구비되는데,
상기 단차부(200)는 수나사부(300)가 정상 길이로 가공되었는지 여부를 직접 적으로 판단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 반원 형태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주면은 체결관(100)의 중공부, 즉 암나사부(120)의 직경과 동일하게 제작된다.
그리고 단차부(200)의 두께는 해당 수나사부 길이규격 중 허용오차범위 만큼의 치수로 제작되는데, 예를 들어 해당 수나사부의 규격길이가 100mm이고 이에 해당하는 허용오차범위가 ±5mm일 경우 단차부(200)의 두께는 10mm로 제작된다.
이러한 단차부(200)는 절삭가공을 통해 체결관(100)과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호 별도로 제작한 후 체결관(100)의 중공부(110) 입구 테두리면 상에 용접 등을 통해 부착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측면도 상에서 봤을 때 체결관(100) 단부면에는 단차부(200) 두께 만큼의 단차(B)가 형성되고, 이러한 단차(B)가 해당 수나사부 길이규격의 허용오차범위가 되는 것이다.
즉 체결관(100)의 전체길이(A)는 해당 수나사부 길이규격 중 최소허용길이가 되고 체결관(100) 전체길이(A)와 단차부(200)의 두께(B)를 합한 길이가 수나사부의 최대허용길이(C)가 된다.
그리고 단차부(200)를 반원 링 형태로 제작함에 따라 체결관(100)에 결합되었을 때, 체결관(100) 단부면 중 단차부(200)가 형성되지 않은 구간을 통해 수나사부(300)의 끝단부 위치를 정확히 볼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처럼 가공 완료된 철근의 수나사수(300) 직경에 맞는 검사 구(1000)를 준비하고, 수나사부(300)를 체결관(100)의 중공부(110)에 끼워넣어 암나사부(120)와 나사체결 시킨다.
이 과정에서 [도 3]처럼 암나사부(120)의 시작지점(D)이 수나사부(300)의 시작지점(E)과 일치될 때까지 체결시킨다.
이 상태에서 체결관(100)의 반대쪽 단부를 봤을 때, 수나사부(300)의 끝단부가 중공부(110) 내에 위치할 경우, 이는 수나사부(300)의 전체길이가 최소허용길이에 못 미치는 것을 의미하므로 가공불량에 해당된다.
또한 수나사부(300)의 끝단부가 단차부(300)의 단부면을 넘을 정도로 튀어나올 경우, 최대허용길이를 넘어선 것을 의미하므로 역시 가공불량에 해당된다.
그리고 수나사부(300)의 끝단부가 단차부(200)의 두께(B) 내, 즉 허용오차범위 내에 위치할 경우 정상가공된 것으로 판단하면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단순히 해당 검사구(1000)를 수나사부(300)에 체결시킨 상태에서 수나사부(300)의 끝단부가 검사구의 단차 내에 위치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만으로 가공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수나사부의 길이측정과 규격대비가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측정과 규격대비과 별도로 진행되던 종래기술에 비해 검사속도가 훨씬 빨라질 수 있으며, 해당 규격을 암기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해소되며, 그만큼 검사불량률도 낮아지게 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고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이 체결관 상에 단차부가 형성된 구조로 제작하고 해당 수나사부를 체결관에 나사 결합시킨 후 수나사부의 끝단부가 단차부내에 위치되는지 여부에 따라 수나사부 가공불량을 판단함에 따라, 기존에 비해 검사혹도 및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구성 및 목적과 관련이 있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도 1 은 체결관과 단차부 및 수나사부 간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 는 체결구 전체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 은 체결구에 수나사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Claims (2)

  1. 중공형태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수나사부와 나사체결되는 체결관과,
    상기 체결관의 단부면 상에 구비되되, 해당 수나사부 길이규격 중 허용오차범위에 해당하는 두께를 갖는 단차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부 길이검사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반원링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단차부가 위치하지 않은 구간을 통해 수나사부의 끝단부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부 길이검사구.
KR1020090128086A 2009-12-21 2009-12-21 나사부 길이검사구 KR201100714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086A KR20110071497A (ko) 2009-12-21 2009-12-21 나사부 길이검사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086A KR20110071497A (ko) 2009-12-21 2009-12-21 나사부 길이검사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497A true KR20110071497A (ko) 2011-06-29

Family

ID=44402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8086A KR20110071497A (ko) 2009-12-21 2009-12-21 나사부 길이검사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149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78932A (zh) * 2016-02-15 2016-04-13 杭州大通风能动力有限公司 自动化螺栓精加工设备以及采用其进行的螺栓精加工方法
CN110260753A (zh) * 2019-07-09 2019-09-20 中国航发哈尔滨东安发动机有限公司 一种检验装置及检验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78932A (zh) * 2016-02-15 2016-04-13 杭州大通风能动力有限公司 自动化螺栓精加工设备以及采用其进行的螺栓精加工方法
CN110260753A (zh) * 2019-07-09 2019-09-20 中国航发哈尔滨东安发动机有限公司 一种检验装置及检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9555B2 (en) Thread gauging system and method
CN201110752Y (zh) 钢管管端内径规
KR20110071497A (ko) 나사부 길이검사구
CN103115544A (zh) 外螺纹有效长度及收尾长度测量工装
CN202719945U (zh) 钢管管端内径规
CN102261883B (zh) 一种测量两平行平面间距离尺寸的检具
CN220039341U (zh) 一种锥度螺纹深度校准工具
CN205138383U (zh) 板簧衬套内径通止规
US9032632B2 (en) Method and device for inspecting a threading of a tubular connection used in the oil industry
JP2017067584A (ja) シーリング材の劣化状態診断方法及びシーリング材の硬度測定用の治具
KR101080324B1 (ko) 나사부 체결길이 검사게이지
CN206095112U (zh) 一种圆弧螺纹结构检测装置
KR101080312B1 (ko) 미성형 나사 검사게이지
RU169350U1 (ru) Муфта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арматурных стержней с разными диаметрами, выполненная из стального стержня шестигранного сечения
US20220112719A1 (en) Rebar Splicer Capable of Enabling Quick Visual Measuring of a Predetermined Torque Value
CN217110764U (zh) 一种五段式孔类检验治具
RU2400019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ой конической резьбы
CN212410259U (zh) 用于螺栓破坏扭矩测量的夹具组件
CN205784927U (zh) 一种锥孔检测塞规
CN211205080U (zh) 一种托盘定位销的位置度检查装置
CN219433939U (zh) 携便式钢筋套丝检测装置
CN216593135U (zh) 用于奇数齿外花键大径的检具
CN111102910A (zh) 一种螺纹同轴度测具及测量方法
CN214951011U (zh) 一种直螺纹有效套丝长度检查卡尺
CN220103973U (zh) 建筑工程用钢筋质检检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323

Effective date: 20120525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