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8790A - 주파수 영역의 채널 추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주파수 영역의 채널 추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8790A
KR20110068790A KR1020100047605A KR20100047605A KR20110068790A KR 20110068790 A KR20110068790 A KR 20110068790A KR 1020100047605 A KR1020100047605 A KR 1020100047605A KR 20100047605 A KR20100047605 A KR 20100047605A KR 20110068790 A KR20110068790 A KR 20110068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hannel
frequency
noise ratio
resourc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7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9335B1 (ko
Inventor
좌혜경
김일규
신무용
신형철
유덕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2/967,556 priority Critical patent/US8594238B2/en
Publication of KR20110068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8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4Channel estimation channel estimation algorithms
    • H04L25/0256Channel estimation using minimum mean square error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27Modulators
    • H04L27/2634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or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modulators in combination with other circuits for modulation
    • H04L27/2636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or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modulators in combination with other circuits for modulation with FFT or DFT modulators, e.g. standard single-carrier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transmitter or DFT sprea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DFT-SOFD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8Details of algorithms
    • H04L27/2669Details of algorithms characterised by the domain of operation
    • H04L27/2672Frequency dom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89Link with other circuits, i.e. special connections between synchronisation arrangements and other circuits for achieving synchronisation
    • H04L27/2695Link with other circuits, i.e. special connections between synchronisation arrangements and other circuits for achieving synchronisation with channel estimation, e.g. determination of delay spread, derivative or peak tr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주파수 영역의 채널 추정에 관한 것으로, 셀 특정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주파수 선택도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주파수 선택도에 따라 사용자 특정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 기법을 선택하여 선택된 채널 추정 기법을 이용하여 주파수 채널을 추정함으로써,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DSCH :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이 할당된 영역에 대한 채널 추정을 더 정확히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파수 영역의 채널 추정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of channel in frequency domain}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추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파수 영역의 채널 추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국가관리번호 :2008-S-002-02, 과제명 : 3GPP LTD 단말모뎀 칩셋 개발]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기법 혹은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기법을 채택하고 있다.
특히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IEEE 802.16, 802.20 및 와이브로(Wibro) 시스템의 표준은 OFDMA 기법을, 3GPP(3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의 LTE(Long Term Evolution)라고 명명한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는 OFDMA 기법 및 SC-FDMA 기법을 이용한다.
OFDMA 기법 및 SC-FDMA 기법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은 순환 전치 심볼(Cyclic Prefix symbol)을 사용한다. 이때, 다중 경로 페이딩(multipath fading)으로 인한 영향을 극복하기 위하여 순환 전치 심볼의 길이는 채널의 임펄스 응답의 길이보다 길게 디자인된다. 그리고 주파수 영역에서 단일 탭(single tap) 등화기를 사용하여 추정된 채널의 왜곡을 보상한다. 이때, 채널의 왜곡을 보상하기 위해서는 채널을 정확히 추정해야 한다.
본 발명은 이 같은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 채널을 정확히 추정할 수 있는 채널 추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셀 특정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주파수 선택도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주파수 선택도에 따라 사용자 특정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 기법을 선택하여 선택된 채널 추정 기법을 이용하여 주파수 채널을 추정하는 주파수 영역의 채널 추정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이때, 상기 방법은 획득하기 이전에, 셀 특정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주파수 응답을 추정하고, 추정된 채널 주파수 응답을 이용하여 잡음 신호 분산을 산출하여, 추정된 채널 주파수 응답과, 상기 산출된 잡음 신호 분산을 이용하여 특정 자원 블록의 신호대 잡음 비(SNR : Signal to Noise Ratio)를 산출하고,산출된 신호대 잡음 비를 이용하여 주파수 선택도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는 수신 신호의 주파수 선택도를 획득하는 주파수 선택도 획득부 및 주파수 선택도 획득부에서 획득되는 주파수 선택도에 따라 수신 신호의 대역폭 일부에 대해 채널 추정 기법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채널 추정 기법을 이용하여 채널 주파수 응답을 추정하는 채널 추정부를 포함하는 주파수 영역의 채널 추정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때, 채널 추정부는, 셀 특정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주파수 응답을 추정하는 기준 주파수 추정부를 포함하고, 주파수 선택도 획득부는, 기준 주파수 추정부에서 추정된 채널 주파수 응답을 이용하여 잡음 신호 분산을 산출하는 잡음 신호 분산 산출부 및 기준 주파수 추정부에서 추정된 채널 주파수 응답과, 잡음 신호 분산 산출부에서 산출된 잡음 신호 분산을 이용하여 특정 자원 블록의 신호대 잡음 비(SNR : Signal to Noise Ratio)를 산출하는 신호대 잡음 비 산출부를 포함하여, 산출된 신호대 잡음 비를 이용하여 주파수 선택도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셀 특정 기준 신호와 사용자 특정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함으로써,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DSCH :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이 할당된 영역에 대한 채널 추정을 더 정확히 수행할 수 있다.
도 1 은 LTE 시스템에서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구조의 예시도,
도 2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추정 장치의 블록도,
도 3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추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들을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LTE 시스템에서 하향 링크 서브 프레임 구조의 예시도이다.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서브 프레임 내에 셀 특정 기준 신호가 할당된다. 셀 특정 기준 신호는 시스템 대역폭에 대한 무선 채널을 추정하여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이 아닌 다른 물리 채널들을 복조하는데에 이용된다.
또한, 하향 링크의 데이터 전송 모드가 빔 형성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DSCH)이 전송되는 자원 블록(RB:Resource Block) 내에 추가적으로 사용자 특정 기준 신호가 할당되어 사용자 특정 무선 채널 정보를 획득하는 데 이용된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시스템 대역폭은 6개의 자원 블록(Resource Block,RB)을 포함한다. 하나의 자원 블록은 12개의 부 반송파를 포함하며, LTE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자원 블록이 180kHz의 대역폭을 갖는다. 시스템 대역폭은 최대 110개의 자원 블록까지 수용 가능하며, 이는 20MHz 시스템에 해당된다. 일반 CP(Cyclic Prefix) 형태의 경우 시간 축으로는 하나의 서브 프레임에 14개의 OFDM 심볼을 갖는다.
셀 특정 기준 신호는 최대 송신 안테나 개수를 4개까지 고려하여 할당되어 있으며, 주파수 간격은 6개(K)의 부반송파마다 하나씩 할당되어 있다. 사용자 특정 기준 신호는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DSCH)이 할당되는 자원블록 영역에만 할당되며, 주파수 간격은 3개(KUE) 부 반송파마다 하나씩 할당되어있다.
도 2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추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추정 장치는 데이터 수신부(200), 주파수 선택도 획득부(210) 및 채널 추정부(220)를 포함한다.
데이터 수신부(200)는 다수의 안테나를 포함하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기법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들을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수신부(200)는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RF 대역 신호를 샘플링하여 기저대역(baseband) 신호로 변환한 후 CP(Cyclic Prefix)를 제거한다. 그리고 CP가 제거된 직렬 신호를 병렬 신호로 변환한 후 FFT를 통해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 심볼 신호로 변환한다.
주파수 선택도 획득부(210)는 데이터 수신부(200)로 수신된 데이터들의 주파수 선택도를 획득한다.
구체적으로 주파수 선택도 획득부(210)는 잡음 신호 분산 산출부(214), 및 신호대 잡음비 산출부(216)를 포함한다.
잡음 신호 분산 산출부(214)는 기준 주파수 추정부(222)에서 추정된 채널 주파수 응답을 이용하여 잡음 신호 분산을 산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잡음 신호 분산 산출부(214)는 MMSE(Minimum mean square error)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잡음 신호 분산을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이때
Figure pat00002
는 Ptx번째 송신 안테나에서의 k번째 셀 특정 기준 신호의 송신 신호이다.
신호대 잡음비 산출부(216)는 기준 주파수 추정부에서 추정된 채널 주파수 응답과, 상기 잡음 신호 분산 산출부(214)에서 산출된 잡음 신호 분산을 이용하여 특정 자원 블록 예를들어 m번째 자원 블록의 신호대 잡음 비(SNR : Signal to Noise Ratio)를 다음 수학식 2를 통해 산출한다.
Figure pat00003
그리고 신호대 잡음비 산출부(216)는 대역폭 전체에 대한 신호대 잡음 비 평균(SNRs)을 수학식 3을 이용하여 산출한다.
Figure pat00004
채널 추정부(220)는 주파수 선택도 획득부(210)에서 획득되는 주파수 선택도에 따라 수신 신호의 대역폭 일부에 대해 채널 추정 기법을 선택하여, 선택된 채널 추정 기법에 따라 채널 주파수 응답을 추정한다.
예컨대 보호 대역을 제외한 나머지 수신 신호를
Figure pat00005
라 할 때, 이중 M개의 셀 특정 기준 신호
Figure pat00006
를 기초로 다양한 채널 추정방법을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할 수 있다.
일 예로 최소 자승(Least Square,LS) 기법을 이용하여 임시 채널 주파수 응답을 구한다. 그리고 임시 채널 주파수 응답을 기반으로 알려진 채널 추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K·M개의 부반송파에 대한 Ptx번째 송신 안테나와 Prx 번째 수신 안테나 사이의 채널 주파수 응답
Figure pat00007
을 구할 수 있다. 이때, 채널 추정 알고리즘은 선형 보간기(Linear interpolator) 혹은 FFT 보간기(FFT Interpolator)를 이용한 것일 수 있다.
기준 주파수 추정부(222)는 셀 특정 기준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주파수 응답을 추정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채널 추정부(220)는 신호대 잡음비 산출부(216)에서 산출된 특정 자원 블록의 신호대 잡음 비와 신호대 잡음 비 평균의 차가 소정 값 이하이면, 주파수 선택도가 작다고 판단하여 해당 자원 블록의 채널 추정 기법으로 선형 보간법을 선택한다. 그리고 채널 추정부(220)는 특정 자원 블록의 신호대 잡음비와 신호대 잡음비 평균의 차가 소정 값보다 크면, 주파수 선택도가 크다고 판단하여 해당 자원 블록의 채널 추정 기법으로 FFT 보간법을 선택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채널 추정부(220)는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DSCH :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이 할당된 자원블록이 연속된 경우에는 연속된 자원 블록 수를 반영하여 최소지수승(LS) 방식에 따라 임시 주파수 응답을 구하고, 상기 임시 주파수 응답을 역퓨리에 변환하여 유효 임펄스 응답을 추출하고, 추출된 유효 임펄스 응답을 퓨리에 변환하여 채널 주파수 응답을 구한다. 이때 채널 추정부(220)는 자원 블록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와 상기 연속된 자원 블록 수의 곱보다 큰 2의 지수 승을 결정하여, 결정된 2의 지수 승을 이용하여 최소 지수 승 방식에 따라 임시 주파수 응답을 구한다.
반면,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DSCH) 자원 할당이 비연속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채널 추정부(220)는 FFT 보간법을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DSCH) 자원이 시스템 대역폭 내에서 연속적으로 할당된 곳마다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DSCH) 자원 할당이 총 3개의 자원 블록(RB#2,RB#4,RB#5)에 되어 있는데, 2개의 자원 블록(RB#4,RB#5)이 연속 할당이고, 나머지 하나가 비연속적으로 할당된 경우에는 2개의 자원 블록(RB#4,RB#5)에 대한 FFT 보간법을 수행하고, 나머지 한 개 자원블록(RB#2)에 대한 FFT 보간법을 수행한다.
도 3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추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복수의 송신 안테나(안테나 0,...안테나Ptx-1)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복수의 수신 안테나(안테나 0,...안테나Prx-1)로 수신한다.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RF 대역 신호를 샘플링하여 기저대역(baseband) 신호로 변환한 후 CP(Cyclic Prefix)를 제거하고, CP가 제거된 직렬 신호를 병렬 신호로 변환한 후 FFT를 통해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 심볼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보호 대역을 제외한 나머지 수신 신호를
Figure pat00008
라 할 때, 이중 M개의 셀 특정 기준 신호
Figure pat00009
를 기초로 다양한 채널 추정방법을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할 수 있다(300).
일 예로 최소 자승(Least Square,LS) 기법을 이용하여 임시 채널 주파수 응답을 구한다. 그리고 임시 채널 주파수 응답을 기반으로 알려진 채널 추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K·M개의 부반송파에 대한 Ptx번째 송신 안테나와 Prx 번째 수신 안테나 사이의 채널 주파수 응답
Figure pat00010
을 구할 수 있다. 이때, 채널 추정 알고리즘은 선형 보간기(Linear interpolator) 혹은 FFT 보간기(FFT Interpolator)등을 이용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구해진 채널 주파수 응답과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잡음 신호의 분산을 구한다(310). 예컨데 MMSE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다음 식으로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11
이때
Figure pat00012
는 Ptx번째 송신 안테나에서의 k번째 셀 특정 기준 신호의 송신 신호이다.
그리고 셀 특정 기준 신호로 구한 채널 주파수 응답과 잡음 신호의 분산을 이용하여 m번째 자원 블록(RB)에 대한 신호대 잡음비(SNRm)를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320).
Figure pat00013
또한, 시스템 대역폭 전체에 대한 평균 SNR(SNRs)도 다음 식을 통해 구할 수 있다(330).
Figure pat00014
일 실시예에 있어서 대표적인 SNR 값으로 0번째 송신 안테나에서의 SNR을 기준으로 한다.
그리고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DSCH) 자원 할당 방법과 자원 블록(RB)별 SNR에 따라 사용자 특정 기준 신호를 통해 채널을 추정할 수 있다.
이때,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DSCH)가 할당된 자원블록(RB)의 개수가 Mpdsch라 하고, 시스템 대역폭 전체에 대한 평균 SNR과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DSCH)이 할당된 자원블록(RB)에서 SNR의 차(Di)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Figure pat00015
그리고 시스템 대역폭 전체에 대한 평균 SNR과 할당된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DSCH) 자원 블록에서의 SNR의 차(Di)가 2~3dB이하인 경우(Di≤2~3, all i)에는(340) 주파수 선택도가 크지 않기 않다. 따라서 사용자 특정 기준 신호를 통한 주파수 영역의 채널 추정 방법으로 선형 보간법(Linear interpolator)을 이용한다(355).
반면, 시스템 대역폭 전체에 대한 평균 SNR과, 할당된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DSCH) 자원 블록에서의 SNR 차(Di)가 2~3dB를 초과하는 경우(Di>2~3, any i)에는(340) 주파수 선택도가 큰 경우이다. 따라서 이때는 주파수 선택도가 클 때에 성능이 우수한 FFT 보간법(FFT interpolator)을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PDSCH 자원 할당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FFT 보간법에 사용되는 IFFT 의 크기가 12·Mpdsch 보다 큰 2의 지수 승으로 하여 실제 사용자 특정 기준 신호가 할당된 위치에 LS 방식을 이용하여 임시 주파수 응답을 구한다(350). 그리고 IFFT를 통해 시간 영역으로 변환하여, 유효한 임펄스 응답을 추출한다(360). 그리고 다시 FFT하여 12·Mpdsch개의 주파수 영역의 채널 응답을 구한다(370).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DSCH) 자원 할당이 비연속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FFT 보간법을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DSCH) 자원이 시스템 대역폭 내에서 연속적으로 할당된 곳마다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PDSCH 자원 할당이 총 3개의 자원 블록(RB#2,RB#4,RB#5)에 되어 있는데, 2개의 자원 블록(RB#4,RB#5)이 연속 할당이고, 나머지 하나가 비연속적으로 할당된 경우에는 2개의 자원 블록(RB#4,RB#5)에 대한 FFT 보간법을 수행하고, 나머지 한 개 자원블록(RB#2)에 대한 FFT 보간법을 수행한다.
한편, 전술한 주파수 영역의 채널 추정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해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 매체 등을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 데이터 수신부
210 : 주파수 선택도 획득부
212 : 기준 주파수 추정부
214 : 잡음 신호 분산 산출부
216 : 신호대 잡음비 산출부
220 : 채널 추정부

Claims (19)

  1. 셀 특정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주파수 선택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주파수 선택도에 따라 사용자 특정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 기법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채널 추정 기법을 이용하여 주파수 채널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파수 영역의 채널 추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 이전에,
    셀 특정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주파수 응답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추정된 채널 주파수 응답을 이용하여 잡음 신호 분산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추정된 채널 주파수 응답과, 상기 산출된 잡음 신호 분산을 이용하여 특정 자원 블록의 신호대 잡음 비(SNR : Signal to Noise Ratio)를 산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영역의 채널 추정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산출된 신호대 잡음 비를 이용하여 주파수 선택도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영역의 채널 추정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대역폭 전체에 대한 신호대 잡음 비 평균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신호대 잡음비와 신호대 잡음비 평균을 이용하여 주파수 선택도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영역의 채널 추정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추정 기법을 선택하는 단계는,
    특정 자원 블록의 신호대 잡음비와 신호대 잡음비 평균의 차가 소정 값 이하이면, 해당 자원 블록의 채널 추정 기법으로 선형 보간법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영역의 채널 추정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추정 기법을 선택하는 단계는,
    특정 자원 블록의 신호대 잡음비와 신호대 잡음비 평균의 차가 소정 값보다 크면, 해당 자원 블록의 채널 추정 기법으로 FFT 보간법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영역의 채널 추정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을 추정하는 단계는,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DSCH :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이 할당된 자원블록이 연속된 경우에는 연속된 자원 블록 수를 반영하여 최소지수승(LS) 방식에 따라 임시 주파수 응답을 구하는 단계;
    상기 임시 주파수 응답을 역퓨리에 변환하여 유효 임펄스 응답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 임펄스 응답을 퓨리에 변환하여 채널 주파수 응답을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영역의 채널 추정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주파수 응답을 구하는 단계는,
    자원 블록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와 상기 연속된 자원 블록 수의 곱보다 큰 2의 지수 승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2의 지수 승을 이용하여 최소 지수승 방식에 따라 임시 주파수 응답을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영역의 채널 추정 방법.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자원 블록은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DSCH :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이 할당된 자원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영역의 채널 추정 방법.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 신호 분산을 산출하는 단계는 MMSE(Minimum mean square error)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영역의 채널 추정 방법.
  11. 수신 신호의 주파수 선택도 정보를 획득하는 주파수 선택도 획득부; 및
    상기 주파수 선택도 획득부에서 획득되는 주파수 선택도에 따라 수신 신호의 대역폭 일부에 대해 채널 추정 기법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채널 추정 기법을 이용하여 채널 주파수 응답을 추정하는 채널 추정부;를 포함하는 주파수 영역의 채널 추정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추정부는,
    셀 특정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주파수 응답을 추정하는 기준 주파수 추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선택도 획득부는,
    상기 기준 주파수 추정부에서 추정된 채널 주파수 응답을 이용하여 잡음 신호 분산을 산출하는 잡음 신호 분산 산출부; 및
    상기 기준 주파수 추정부에서 추정된 채널 주파수 응답과, 상기 잡음 신호 분산 산출부에서 산출된 잡음 신호 분산을 이용하여 특정 자원 블록의 신호대 잡음 비(SNR : Signal to Noise Ratio)를 산출하는 신호대 잡음 비 산출부;를 포함하여, 상기 산출된 신호대 잡음 비를 이용하여 주파수 선택도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영역의 채널 추정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대 잡음 비 산출부는 대역폭 전체에 대한 신호대 잡음 비 평균을 더 산출하여, 상기 주파수 선택도 획득부는 상기 산출된 신호대 잡음비와 신호대 잡음비 평균을 이용하여 주파수 선택도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영역의 채널 추정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추정부는,
    특정 자원 블록의 신호대 잡음비와 신호대 잡음비 평균의 차가 소정 값 이하이면, 주파수 선택도가 작다고 판단하여 해당 자원 블록의 채널 추정 기법으로 선형 보간법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영역의 채널 추정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추정부는,
    특정 자원 블록의 신호대 잡음비와 신호대 잡음비 평균의 차가 소정 값보다 크면, 주파수 선택도가 크다고 판단하여 해당 자원 블록의 채널 추정 기법으로 FFT 보간법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영역의 채널 추정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추정부는,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DSCH :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이 할당된 자원블록이 연속된 경우에는 연속된 자원 블록 수를 반영하여 최소지수승(LS) 방식에 따라 임시 주파수 응답을 구하고, 상기 임시 주파수 응답을 역퓨리에 변환하여 유효 임펄스 응답을 추출하고, 추출된 유효 임펄스 응답을 퓨리에 변환하여 채널 주파수 응답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영역의 채널 추정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추정부는,
    자원 블록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와 상기 연속된 자원 블록 수의 곱보다 큰 2의 지수 승을 결정하여, 결정된 2의 지수 승을 이용하여 최소 지수승 방식에 따라 임시 주파수 응답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영역의 채널 추정 장치.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자원 블록은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DSCH :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이 할당된 자원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영역의 채널 추정 장치.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 신호 분산 산출부는 MMSE(Minimum mean square error)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잡음 신호 분산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영역의 채널 추정 장치.
KR1020100047605A 2009-12-15 2010-05-20 주파수 영역의 채널 추정 장치 및 방법 KR101329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967,556 US8594238B2 (en) 2009-12-15 2010-12-14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channel in channel doma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129 2009-12-15
KR20090125129 2009-1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790A true KR20110068790A (ko) 2011-06-22
KR101329335B1 KR101329335B1 (ko) 2013-11-20

Family

ID=44400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7605A KR101329335B1 (ko) 2009-12-15 2010-05-20 주파수 영역의 채널 추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93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5135A1 (ko) * 2011-12-08 2013-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채널을 추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80136697A (ko) * 2017-06-15 2018-12-26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채널 환경에 가장 적합한 채널추정 방법을 적응적으로 선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추정 시스템
WO2021096334A1 (ko) * 2019-11-13 2021-05-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사용자 스케줄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64649B2 (en) * 2001-11-02 2007-01-16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rate control for OFDM communication system
US7885228B2 (en) * 2003-03-20 2011-02-08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mode selection for data transmission in a multi-channel communication system
US8165186B2 (en) * 2005-08-12 2012-04-24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estim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WO2008082367A1 (en) 2007-01-05 2008-07-10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A method of determining a carrier frequency offset between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5135A1 (ko) * 2011-12-08 2013-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채널을 추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426798B2 (en) 2011-12-08 2016-08-2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estimating data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KR20180136697A (ko) * 2017-06-15 2018-12-26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채널 환경에 가장 적합한 채널추정 방법을 적응적으로 선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추정 시스템
WO2021096334A1 (ko) * 2019-11-13 2021-05-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사용자 스케줄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9335B1 (ko) 201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90396B2 (ja) 低減された次数のfft及びハードウェア補間器を使用する広帯域パイロットチャネル推定
JP4832261B2 (ja) チャネル推定装置
US8744013B2 (en) Channel estimation for OFDM systems
KR101398393B1 (ko) Ofdma 시스템에서의 반송파간 간섭 제거 방법
Weng et al. Channel estimation for the downlink of 3GPP-LTE systems
CN102143101A (zh) 镜像扩展的频域加窗正交频分多址信道估计方法
CN101729456A (zh) 正交频分复用通信系统的信道估计方法
CN112702290B (zh) 一种信道估计方法和设备
JP5308438B2 (ja) 直交パイロット・パターンに対する干渉推定方法
WO2012093333A1 (en) Method of channel estimation, method of selecting pilot information,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KR20110112565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추정 장치 및 방법
US859423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channel in channel domain
KR101329335B1 (ko) 주파수 영역의 채널 추정 장치 및 방법
JP2010538527A (ja) Ofdmシステムにおけるロバスト制御シグナリングの配信方法及び装置
CN103415067A (zh) 一种基于探测参考信号的信噪比估计方法
KR100849493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선형 또는 비선형 평균을 이용한채널 추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0647079B1 (ko) 주파수 다중 분할 방식 무선 모뎀의 이산 푸리에 변환 기반채널 추정 방법
US94135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estimation using localized SIN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JP2005151377A (ja) Ofdm通信方式における伝送路特性推定方法及び装置
KR100992369B1 (ko) Ofdm 시스템의 채널 추정 장치
CN117040979B (zh) 一种信道估计方法及其处理装置
CN102143098A (zh) 一种正交频分复用系统中的信道估计方法及装置
JP5632998B2 (ja) 受信装置、フィードバック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59460B1 (ko) 직교주파수분할다중 방식에 기반한 통신시스템을 위한 채널 추정 방법 및 장치
TWI411257B (zh) 正交頻分複用系統中通道估計的裝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